KR102515861B1 -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 - Google Patents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15861B1 KR102515861B1 KR1020160174318A KR20160174318A KR102515861B1 KR 102515861 B1 KR102515861 B1 KR 102515861B1 KR 1020160174318 A KR1020160174318 A KR 1020160174318A KR 20160174318 A KR20160174318 A KR 20160174318A KR 102515861 B1 KR102515861 B1 KR 1025158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value
- screen
- diffusion layer
- fil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having particles on the surf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의 흐릿함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얇게 구성되면서, 투과형 스크린으로서 충분한 투영성을 갖고, 또한, 유리 등의 피착체에의 밀착력이나 내구성이 우수함과 함께, 재박리성이 우수하고, 박리후의 재사용에 있어서도 기포 등의 혼입에 의한 시인성 저하가 없는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이, 기재와, 광확산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광확산층이, 실리콘 수지와, 평균입경이 1~10㎛의 유기 미립자를 포함하고 있고, 광확산층의 두께를 5~3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고, 광확산층측에 있어서의, JIS Z 0237:2009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180° 박리력을 20~200mN/2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고, 또한, JIS K 7136:2000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헤이즈값을 20% 이상의 값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이, 기재와, 광확산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광확산층이, 실리콘 수지와, 평균입경이 1~10㎛의 유기 미립자를 포함하고 있고, 광확산층의 두께를 5~3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고, 광확산층측에 있어서의, JIS Z 0237:2009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180° 박리력을 20~200mN/2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고, 또한, JIS K 7136:2000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헤이즈값을 20% 이상의 값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창유리 등의 피착체에 첩부(貼付)되어, 프로젝터로부터 조사된 화상을 확대투영하기 위한,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이하, 단지, 스크린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에 관한 것이다.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투과형의 프로젝션 스크린으로서는, 프레넬 렌즈와 렌티큘러 렌즈를 조합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프로젝션 스크린은, 일반적으로, 소면적인 반면, 시인되는 화면이 어둡고, 게다가, 모아레 모양이 화상 중에 발생하기 쉬운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프로젝션 스크린에서는, 렌티큘러 렌즈의 초점면에 블랙 스트라이프를 배치하여, 집광한 프로젝터광을 감쇠시키지 않고, 블랙 스트라이프에 의해 외광의 일부를 흡수하여, 외광에 의한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억제하는 수법도 취해지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외광의 일부가, 블랙 스트라이프에 있어서 흡수되지 않고, 광학계 내부에 침입하기 때문에, 콘트라스트의 저하는 여전히 문제로 되어 있었다.
그래서, 쇼윈도 등의 투명체에 첩부하여, 프로젝터로부터 출사된 화상을, 배면측에 있는 시청자에 대하여 인식시키는 양식의 투과형 스크린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드코트층과, 투명체(제1의 투명체)와, 전방산란성의 광산란층과, 점착층과, 투명체(제2의 투명체)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투과형 스크린이다.
그리고, 전방산란성의 광산란층이, 투명 바인더 중에, 평균입경이 1~10㎛의 구상 미립자를 소정량 배합하여 이루어지고, 투명 바인더의 굴절율에 대한, 구상 미립자의 상대굴절율(n)이, 0.91<n<1.09의 범위 내의 값이며, 또한, 헤이즈값이 3% 이상, 상선명도가 60% 이상의 투과형 스크린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되어 있다.
또한, 주변광 제거율이 높고, 가요성(可撓性) 투과형 스크린을 사용한 배면투영 시스템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2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을 제시할 수 있는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스텝과, 프로젝터로부터의 광을 수광하는 이면과, 이면과 반대측의 표시부와, 프로젝터에 의해 스크린에 화상이 투영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주변이 밝은 조건하에서 스크린을 실질적으로 불투명하게 하는 광흡수층과, 를 갖는 가요성 스크린을 제공하는 스텝과, 박리가능한 접착제를 제공하는 스텝과, 시청가능한 위치에 있는 실질적으로 투명의 표면을 선택하는 스텝과, 스크린을 실질적으로 투명한 표면 위에, 박리가능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공하는 스텝과, 프로젝터로부터 스크린의 이측(裏側)에 화상을 투사하여, 시청자에 정보를 제공하는 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면투영 시스템이다.
그리고, 가요성 스크린으로서, 평균입경이 약20㎛ 초과~400㎛ 미만의 유리 비드 단층과, 불투명 흑색 모재와, 폴리염화비닐 등의 기판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비드식 스크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되어 있다.
또한, 스크린을 투명한 표면 위에 점착시키는 접착제로서, 미립자형 아크릴계 점착제 등이 주성분으로서, 0.5~2파운드/인치(약280~1100mN/25㎜)의 박리력을 갖는, 박리가능한 접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1에 개시된 투과형 스크린은, 기본적으로, 투명체(제1의 투명체)와, 투명체(제2의 투명체)와의 사이에, 전방산란성의 광산란층을 협지(挾持)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때문에, 전방산란성의 광산란층과, 점착제층이,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있어, 투과형 스크린이 과도하게 두꺼워져, 소정 화상을 투영했을 경우에, 화상에 흐릿함이 생기는 문제가 보였다.
또한, 전방산란성의 광산란층을, 투명체(제1의 투명체)와, 투명체(제2의 투명체)와의 사이에, 끼워넣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투과형 스크린을, 피착체(유리판 등)에 대하여 첩부하는 것까지 고려하고 있지 않아, 사용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도 보였다.
또한, 특허문헌2에 개시된 가요성 투과형 스크린을 사용한 배면투영 시스템에 있어서도, 비드식 스크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요성 스크린과, 박리가능한 접착제층이, 독립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때문에, 투과형 스크린 전체가, 과도하게 두꺼워져, 화상에 흐릿함이 생기는 문제가 보였다. 또한, 접착제층은 박리가능하지만, 접착성의 내구성이 떨어져, 의도하지 않는 벗겨짐이 우려되었다.
또한, 비드식 스크린 등에 있어서의 비드의 평균입경이 과도하게 커, 고정세의 화상을 투영하기 위한 스크린으로서는 사용하기 어려울 뿐아니라, 광확산성이 떨어지는 문제도 보였다.
즉, 본 발명은, 화상의 흐릿함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얇게 구성되면서, 투과형 스크린으로서 충분한 투영성을 갖고, 또한, 유리 등의 피착체에의 밀착력, 및 그 내구성이 우수함과 함께, 재박리성도 우수하고, 일단 벗긴 후의 재사용에 있어서도 기포 등이 혼입함에 의한 시인성 저하가 없는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재와, 광확산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광확산층이, 실리콘 수지와, 평균입경이 1~10㎛의 유기 미립자를 포함하고 있고, 광확산층의 두께를 5~3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고, 광확산층측에 있어서의, JIS Z 0237:2009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180° 박리력을 20~200mN/2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고, 또한, JIS K 7136:2000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헤이즈값을 20%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이 제공되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광확산층의 주제로서, 실리콘 수지를 사용함과 함께, 소정 평균입경(φ)의 유기 미립자를 사용하고, 또한, 광확산층의 두께(t)나, 180° 박리력, 또한, 헤이즈값, 각각을 소정의 범위로 제어함에 의해, 화상의 흐릿함이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로 얇고(필름 매수가 적고), 스크린으로서의 투영성이 우수하고, 또한, 기포를 물지 않고 첩부할 수 있고, 유리 등의 피착체에의 밀착성 및 그 내구성이 우수하고, 사용후는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고, 또한 재사용시에도 기포를 물지 않고 첩부할 수 있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을 구성함에 있어,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A)을, 실리콘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15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광투과율(전광선 투과율)을 과도하게 저하시키지 않고, 소정 이상의 헤이즈값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을 구성함에 있어, 광확산층의 두께를 t(㎛)로 하고,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A(중량부)로 하고,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을 φ(㎛)로 했을 때에, t×A/φ로 표시되는 영향인자를 3~1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정의되는 영향인자를 소정 범위 내의 값으로 하도록 구성함에 의해, 헤이즈값이나 밀착력이 소정 범위 내인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을, 더 정도(精度)좋게, 또한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을 구성함에 있어, 실리콘 수지와, 유기 미립자와의 굴절율차를 0.02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소정의 헤이즈값을, 더 정량적 또한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을 구성함에 있어, 기재의 두께를 50~25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기재 위에 실리콘 수지를 도포하여, 건조시킬 때에, 소정 온도(예를 들면, 130℃ 이상)로 가열했다고 해도, 기재가 소정의 내열성을 발휘하여, 양호한 평활성을 유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광확산성이나 전광선 투과율이 더 양호한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을 구성함에 있어, 기재의 열수축율을, 150℃, 1시간 가열후의 MD방향 및 TD방향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도 2% 이하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기재 위에 실리콘 수지를 도포하여, 건조시킬 때에, 소정 온도(예를 들면, 130℃ 이상)에서, 소정 시간 가열했다고 해도, 기재가 소정의 내열성을 발휘하여, 양호한 평활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상기 열수축율을, 1.5%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을 구성함에 있어, 기재의 표면 및 배면, 혹은 어느 한쪽에, 이방 광확산성 또는 등방 광확산성을 갖는 광제어 부재가 더 마련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소망의 헤이즈값에의 조정이 용이하게 되거나, 시각자가 화상을 시인할 수 있는 각도를 넓히거나, 스크린 내의 광확산의 균일성을 보다 높이거나 함에 의해, 다수의 시각자가, 양호하고 선명한 화상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을 구성함에 있어, 광확산층의, 기재와는 반대측의 표면에 대하여, 보호필름이 적층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보호필름을 포함하여 구성함에 의해, 광확산층의 표면에 대한 오염으로서의 먼지 부착 등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의 취급(운반성)이나, 광확산성이나 첩부성 등의 효과의 재현성을 더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도1(a)~(d)은,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 등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a)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에 있어서의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과, 헤이즈값 및 밀착력과의 관계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2(b)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에 있어서의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과, 헤이즈값 및 밀착력과의 관계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2(c)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에 있어서의 광확산층의 막두께와, 헤이즈값 및 밀착력과의 관계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에 있어서의 영향인자(t×A/φ)와, 헤이즈값 및 밀착력과의 관계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a)~(b)는, 이방 광확산성 필름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5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의 기재측에 추가로 이방 광확산성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첩부형 복합 프로젝션 스크린에 있어서의, 각각의 입사각과, 헤이즈값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6는, 종래의 광확산 점착시트의 태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2(a)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에 있어서의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과, 헤이즈값 및 밀착력과의 관계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2(b)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에 있어서의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과, 헤이즈값 및 밀착력과의 관계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2(c)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에 있어서의 광확산층의 막두께와, 헤이즈값 및 밀착력과의 관계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에 있어서의 영향인자(t×A/φ)와, 헤이즈값 및 밀착력과의 관계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a)~(b)는, 이방 광확산성 필름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5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의 기재측에 추가로 이방 광확산성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첩부형 복합 프로젝션 스크린에 있어서의, 각각의 입사각과, 헤이즈값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6는, 종래의 광확산 점착시트의 태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기재와, 광확산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광확산층이, 실리콘 수지와, 평균입경이 1~10㎛의 유기 미립자를 포함하고 있고, 광확산층의 두께를 5~3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고, 광확산층측에 있어서의, JIS Z 0237:2009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180° 박리력을 20~200mN/2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고, 또한, JIS K 7136:2000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헤이즈값을 20%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이다.
이하, 본 발명의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의 실시형태에 대해, 적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의 밀착력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은, 광확산층측을 피착체인 유리판에 첩부하는 경우, JIS Z 0237:2009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180° 박리력(박리속도 300㎜/분)(이하, 단지, 밀착력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를 20~200mN/25㎜의 범위 내로 조정된 것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밀착력이 20mN/25㎜ 이상인 것에 의해, 냉방이나 난방, 혹은 외기온의 변화에 있어서도 내구성좋게 첩부상태를 유지하고, 스크린으로서의 기능을 다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상기 밀착력은 30mN/2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5mN/2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착력이 200mN/25㎜ 이하인 것에 의해, 첩부시의 기포 빠짐이 우수한 스크린으로 할 수 있음과 함께, 불필요해진 경우는 용이하게 벗길 수 있다. 또한, 재차의 첩부시에 있어서도 초회와 같은 기포 빠짐성이 우수한 스크린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기포는 스크린이 얇아질수록 눈에 띄는 것이며, 또한, 스크린의 투영성이 높아질수록 눈에 띄는 것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상기 밀착력은 100mN/2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mN/25㎜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2.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의 헤이즈값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크린은, JIS K 7136:2000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헤이즈값을 20%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스크린의 헤이즈값(담가(曇價))이란, 적분구식 광선 투과율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스크린의 전광선 투과율 및 확산 투과율을 측정하고, 실시예에 나타내는 식(2) 및 (3)에 의해 구해지는 값이다.
즉, 상기 헤이즈값이 20% 이상인 것에 의해, 밝은 환경하에서도 스크린으로서의 투영성을 갖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상기 헤이즈값은 5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상기 헤이즈값의 상한은 특히 제약되지 않지만, 상기 헤이즈값이 과도하게 커지면, 후방 산란광이 증가하여 전광선 투과율이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상기 헤이즈값은, 99%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8%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3.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의 기본구성
도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이하, 단지, 스크린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10)은, 기본적으로, 기재(12)와, 실리콘 수지(14a) 및 유기 미립자(14b)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광확산층(1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사용전은, 주위로부터의 먼지 등의 부착을 방지하고자, 도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필름(16)이, 기재(12)와는 반대측의 광확산층(14)의 표면에 적층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의 보호필름(16)을 제거한 후, 스크린(10)을, 광확산층(14)을 개재(介在)하여, 피착체(18)로서의 창유리나 쇼케이스 등의 유리기재에 첩부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시각자는, 창유리나 쇼케이스 등에 첩부된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을 개재하여, 프로젝터로부터 조사된 화상을, 소정의 크기로 확산하여 이루어지는 동적화상이나 문자정보로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1(c), (d)에 나타내는 첩부형 스크린의 구성에서는, 통상, 프로젝터로부터의 광이 기재(12)측으로부터 입사하는 태양이지만, 용도에 따라, 피착체(18)측으로부터 프로젝터로부터의 광을 입사하는 태양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스크린의 일부인 기재는, 광확산층의 지지체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고, 스크린으로서의 취급성, 운반성, 제조용이성, 장식성 등을 향상시킴과 함께, 광확산층에 대한 기계적 보호, 자외선 차폐성, 산화방지성 등을 부여하는 기능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기재는, 실리콘 수지 및 유기 미립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공액을, 도포, 건조할 때의 내열성 유지부재로서의 기능을 갖는 경우도 있다.
한편, 광확산층은, 기본적으로, 피착체에 대한 첩부성과, 프로젝터로부터의 영상인 광을 확산시켜, 시야각 특성을 양호하게 하는, 양쪽의 기능을 갖고 있다.
즉, 스크린에는, 스크린을 사이에 두고 프로젝터와 반대측으로부터 관찰하는 투과형 스크린과, 프로젝터와 동일측으로부터 관찰하는 반사형 스크린이 있지만, 투과형 스크린의 경우에는, 상기 광확산층은, 프로젝터로부터의 화상을 그대로 확산시키면서 투과시켜, 스크린의 배면측에 있는 시청자에 대하여 인식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한편, 반사형 스크린의 경우에는, 상기 광확산층은, 프로젝터로부터의 화상을, 확산시키면서 반사시켜, 스크린의 프로젝터측에 있는 시청자에 대하여 인식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은, 투과형 스크린 및 반사형 스크린 중 어느 하나의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 의 효과를 최대한 이용하는 관점에서는, 투과형 스크린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4. 기재
(1) 종류
또한, 기재의 종류로서는,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 필름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면, 투명성, 내열성, 혹은 기계적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비교적 저렴하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재 위에 실리콘 수지를 도포하여, 건조시킬 때에, 소정 온도(예를 들면, 130℃ 이상)에서 가열했다고 해도, 기재가 소정의 내열성을 발휘하므로, 양호한 평활성을 유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안정적인 광확산성이나 광투과율을 갖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이외의 다른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 셀로판,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아세틸셀룰로오스부티레이트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설폰 필름,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필름, 폴리에테르설폰 필름, 폴리에테르이미드 필름, 불소 수지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아크릴 수지 필름, 폴리우레탄수지 필름, 노르보르넨계 중합체 필름, 환상 올레핀계 중합체 필름, 환상 공역디엔계 중합체 필름, 비닐지환식 탄화수소 중합체 필름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도, 호적 필름으로서 들 수 있다.
또한, 기재, 특히, 플라스틱 필름에 있어서는, 광확산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목적에서, 소망에 의해, 편면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 처리, 산화법, 조면화 처리(요철화법)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산화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코로나방전 처리, 크롬산 처리, 화염 처리, 규산화염 처리, 열풍 처리, 오존·자외선 처리 등의 1종 또는 복수종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또한, 조면화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샌드블라스트법, 용제 처리법, 에칭 처리법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기재의 형태에 대해서도, 용도나 목적에 따라 적의 변경할 수 있지만, 개구부, 예를 들면, 직경0.1~10㎜의 개구부를 갖는 다공성 필름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태이면, 플렉서블성이나 취급성이 향상하고, 평면적인 피착체뿐아니라, 곡면적인 피착체에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두께
또한, 기재의 두께를, 통상, 50~25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기재의 두께가 50㎛ 미만으로 되면, 광확산층을 형성할 때의 가열에 의해 기재 위에 미소한 물결침이 생겨, 스크린의 화상의 선명도를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기재의 두께가 250㎛를 초과하면, 기재두께에 의한 스크린에 있어서의 화상의 흐릿함이 커져, 화상의 선명도가 저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재의 하한 두께를 100㎛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0㎛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의 상한 두께를 220㎛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90㎛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3) 열수축율
또한, 기재의 열수축율은, JIS K 7133:1999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지만, 대상온도 150℃, 가열시간 1시간후에 있어서, MD방향 및 TD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대해서도 2%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와 같이 기재의 열수축율을 규정함에 의해, 기재 위에 실리콘 수지를 도포하여, 건조시킬 때에, 소정 온도에서, 소정 시간 가열했다고 해도, 기재가 소정의 내열성을 발휘하여, 양호한 평활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 기재의 열수축율이 과도하게 작아지면, 사용가능한 기재재료가 과도하게 제한되거나, 열수축율을 조정하기 위한 연신 열처리 등이 복잡해지거나, 또한, 제조 코스트 등이 현저하게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재의 열수축율의 하한을 0.001%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기재의 열수축율의 상한을 1.5%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MD방향이란, 기재필름 성형시의 장척방향을 의미하고, TD방향이란, 기재필름 성형시의 폭방향을 의미한다.
(4) 광투과율(가시광 투과율)
또한, 기재의 광투과율을,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 8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와 같이 기재의 광투과율을 제한함에 의해, 기재에 있어서의 광흡수를 제한하고, 결과로서, 시각자가, 스크린 배면측에 있어서, 선명하고, 밝은 화상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 기재의 광투과율이 과도하게 높아지면, 사용가능한 기재재료가 과도하게 제한되거나, 광투과율을 조정하기 위한 연신 열처리 등이 복잡해지거나, 또한, 제조 코스트 등이 현저하게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기재의 광투과율의 하한을 82%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5%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기재의 광투과율의 상한을 99.9%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9%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5. 광확산층
(1) 실리콘 수지
(1)-1 주성분
광확산층은 유기 미립자와 함께 실리콘 수지를 함유하는 것에 의해, 이것을 포함하는 스크린을 피착체에 첩부함과 함께, 재박리하여, 재이용 등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실리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광확산층은, 그 자착성에 의해, 공기를 압출하면서 피착체에 첩부하기 때문에, 기포혼입에 의한 광학적 결함이 생기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이것은, 스크린이 딱딱한 것이어도 얻어지는 효과이다. 즉, 스크린은, 실리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광확산층에 의해, 기포의 혼입을 방지하면서 현장에서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광확산층은, 피착체에 밀착하여 매우 강고하게 첩부하는 한편, 풀남음없이 재박리할 수 있다.
더하여, 실리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광확산층은, 창유리 등의 피착체에 가장 가까운 부분, 즉 외광이 조사되는 가장 가까운 부분에 사용되지만, 실리콘 수지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내광성도 우수한 것이 된다.
여기에서, 실리콘 수지는, 예를 들면,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그 유도체, 혹은 어느 한쪽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특히, 주성분으로서, 실록산 결합을 주골격으로 하고 알케닐기를 갖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부가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백금 촉매를 구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록산 결합을 주골격으로 하고, 알케닐기를 갖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구체적으로는, 하식(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또한 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알케닐기를 갖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R1aSiO(4-a)/ 2 (1)
(식(1) 중, R1은 서로 동일 또는 이종의 탄소수 1~12, 바람직하게는 1~8의 비치환 또는 치환의 1가 탄화수소기이며, a는 1.5~2.8, 바람직하게는 1.8~2.5, 보다 바람직하게는 1.95~2.05의 범위의 정수이다)
또한, 상술한 R1으로 표시되는 규소원자에 결합한 비치환 또는 치환의 1가 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면 비닐기, 알릴기, 프로페닐기, 이소프로페닐기, 부테닐기, 헥세닐기, 시클로헥세닐기, 옥테닐기 등의 알케닐기,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네오펜틸기, 헥실기, 시클로헥실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등의 알킬기, 페닐기, 톨릴기, 자일릴기, 나프틸기 등의 아릴기, 벤질기, 페닐에틸기, 페닐프로필기 등의 아랄킬기나, 이들 기의 수소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불소, 브롬, 염소 등의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등으로 치환한 것, 예를 들면 클로로메틸기, 클로로프로필기, 브로모에틸기,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시아노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에 있어서의 알케닐기로서는, 비닐기이면, 경화시간이 짧고, 생산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은, 분자 중에 SiH기를 갖고 있고, 실록산 결합을 주골격으로 하고 알케닐기를 갖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알케닐기와의 사이에서 부가반응하여, 경화할 수 있다.
(1)-2 백금 촉매
또한, 실리콘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한 백금 촉매로서는, 백금흑, 염화제2백금, 염화백금산, 염화백금산과 1가 알코올과의 반응물, 염화백금산과 올레핀류와의 착체, 백금비스아세토아세테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백금 촉매의 사용량을, 부가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3.0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러한 백금 촉매의 사용량이 0.01중량부 미만으로 되면, 경화부족 때문에 재박리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백금 촉매의 사용량이 3.0중량부를 초과하면, 첩부성이 나빠지고, 또한, 부가반응에 의한 겔화가 빠르고, 안정적인 도포작업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백금 촉매의 사용량의 하한을 0.05중량부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중량부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백금 촉매의 사용량의 상한을 2.5중량부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중량부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1)-3 기타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또한, 주성분의 부가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에는, 밀착력을 더 높이기 위해서, 분자 내에, 3관능성 혹은 4관능성의 실록산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배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을, 부가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러한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배합량이 50중량부를 초과하면, 밀착력이 상승하여, 재박리가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단, 이러한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배합량이 과도하게 적어지면, 첨가효과가 발현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배합량의 하한에 관하여, 1중량부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중량부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배합량의 상한에 관하여, 30중량부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중량부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실리콘 수지에는, 상술한 이외의 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반응지연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등의 공지의 첨가제를 적의하게 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첨가제를 더하는 경우에는, 첨가제의 종류에도 따르지만, 그 배합량을 부가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10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4 굴절율
또한, 실리콘 수지의 굴절율을 1.35~1.48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러한 실리콘 수지의 굴절율이 1.48을 초과한 값으로 되면, 유기 미립자의 굴절율과의 관계에서, 얻어지는 헤이즈값이 과도하게 작아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실리콘 수지의 굴절율이 1.35 미만의 값으로 되면, 적당한 실리콘 수지를 얻을 때에 사용하는 모노머의 종류가 과도하게 제한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리콘 수지의 굴절율의 하한을 1.38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0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실리콘 수지의 굴절율의 상한을 1.47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5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2) 유기 미립자
(2)-1 평균입경
또한,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을 1~1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이유는,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이 1㎛ 미만의 값으로 되면, 광확산층에 있어서의 헤이즈값이 급격하게 저하하거나, 혹은, 응집하기 쉬워져, 균일하게 분산 혼합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이 10㎛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광확산층의 밀착력이 급격하게 저하하거나, 혹은, 응집하기 어렵지만, 마찬가지로, 균일하게 분산 혼합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추가로 말하자면, 이와 같은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이면, 후술하는 영향인자로서의 t×A/φ를 소정 범위 내의 값으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소정 범위의 헤이즈값이나 밀착력을 더 안정적 또한 정량적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의 하한을 2㎛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의 상한을 8㎛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은,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2(a)에 언급하여, 광확산층(스크린과 동일시할 수 있다)의 헤이즈값(특성곡선A) 및 밀착력(특성곡선B)에 대한,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의 영향을 설명한다.
즉, 도2(a)의 횡축으로,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을 채택하여 나타내고 있고, 좌종축으로, 헤이즈값(%)을 채택하여 나타내고 있고, 우종축으로, 밀착력(mN/25㎜)을 채택하여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2(a) 중의 특성곡선A의 거동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이 2㎛로부터 10㎛로 커짐에 따라, 헤이즈값이 약간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52%로부터 약63%로 상승하여 있다.
또한, 특성곡선B의 거동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이 마찬가지로 커짐에 따라, 밀착력은 약간 저하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54mN/25㎜로부터 약49mN/25㎜로 저하하여 있다.
따라서,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은, 그만큼 강한 영향은 아니지만, 광확산층의 헤이즈값이나 밀착력에 대하여 소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이들의 수치를 미묘하게 조정할 때에는, 유효한 영향인자라 할 수 있다.
(2)-2 종류1
또한, 유기 미립자의 종류(모노머종)는, 실리콘 수지와의 사이에서, 굴절율차, 예를 들면, 0.02 이상의 차가 생겨, 소정의 헤이즈값이 얻어지는 것이면,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 아크릴아미드, 디올 화합물 등의 모노머에 유래한 (메타)아크릴산 수지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유기 미립자가 실리콘 수지 입자나 실리카 입자로 되면, 실리콘 수지와의 굴절율차가 과도하게 작아져, 예를 들면, 0.02 미만의 값으로 되어, 얻어지는 헤이즈값이 현저하게 작아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역으로 말하자면, 유기 미립자의 종류를 선택하고, 실리콘 수지와의 사이에서, 굴절율차를, 0.02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라고 할 수 있다.
기타, 유기 미립자의 종류로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계나 폴리에스테르 수지계도 알려져 있지만, 이들의 축합 폴리머는, 가수분해하기 쉬워, 내구성이나 광투과성이 현저하게 저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기 미립자의 종류에 관하여, (메타)아크릴산메틸, (메타)아크릴산에틸, (메타)아크릴산프로필, (메타)아크릴산부틸, (메타)아크릴산헵틸, (메타)아크릴산옥틸, (메타)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도데실 등의 모노머의 적어도 1개에 유래한 (메타)아크릴산 수지계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2)-3 종류2
또한, 유기 미립자의 종류2(가교제)에 관하여, 당해 유기 미립자의 내구성, 기계적강도, 유리전이온도, 내광성 등을 향상시키므로, 유기 미립자를 중합할 때의 모노머에, 디비닐벤젠 등의 가교제를 소정량 배합하고, 그 후에, 유기 미립자를 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모노머 전체량(100중량%)에 대하여, 통상, 0.1~10중량%의 범위가 되도록 가교제를 배합한 후, 용액중합이나 적정중합 등을 시켜, 평균입경이 고른, 내열성 등이 높은 가교 유기 미립자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4 굴절율
또한, 유기 미립자의 굴절율은, 실리콘 수지와의 굴절율차를 고려하여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통상, 1.42~1.6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러한 유기 미립자의 굴절율이 1.42 미만의 값으로 되면, 실리콘 수지의 굴절율과의 관계에서, 얻어지는 헤이즈값이 과도하게 작아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적당한 유기 미립자를 얻을 때에 사용하는 모노머의 종류가 과도하게 제한되거나, 유기 미립자의 제조 코스트가 높아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유기 미립자의 굴절율이 1.65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역시, 적당한 유기 미립자를 얻을 때에 사용하는 모노머의 종류가 과도하게 제한되거나, 유기 미립자의 제조 코스트가 높아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기 미립자의 굴절율의 하한을 1.45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8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 미립자의 굴절율의 상한을 1.60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5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2)-5 배합량
또한, 광확산층에 있어서의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실리콘 수지(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1~15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제어한다.
이 이유는,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이 1중량부 미만의 값으로 되면, 광확산층의 헤이즈값이 급격하게 저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이 15중량부를 초과한 값으로 되면, 광확산층의 밀착력이 급격하게 저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추가로 말하자면, 이와 같은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이면, 후술하는 영향인자로서의 t×A/φ를 소정 범위 내의 값으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소정 범위의 헤이즈값이나 밀착력을 더 안정적 또한 정량적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의 하한을 3중량부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중량부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의 상한을 13중량부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중량부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도2(b)에 언급하여, 광확산층(스크린과 동일시할 수 있다)의 헤이즈값(특성곡선A) 및 밀착력(특성곡선B)에 대한,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의 영향을 설명한다.
즉, 도2(b)의 횡축으로, 실리콘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중량부)을 채택하여 나타내고 있고, 좌종축으로, 헤이즈값(%)을 채택하여 나타내고 있고, 우종축으로, 밀착력(mN/25㎜)을 채택하여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2(b) 중의 특성곡선A의 거동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이 1중량부로부터 17중량부로 커짐에 따라, 헤이즈값이 현저하게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24%로부터 약98%로 상승하여 있다.
또한, 특성곡선B의 거동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이 마찬가지로 커짐에 따라, 밀착력은 서서히 저하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54mN/25㎜로부터 약16mN/25㎜로 저하하여 있다.
따라서,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은, 광확산층의 헤이즈값이나 밀착력에 대하여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이들의 수치를 크게 바꾸고자 하는 경우에는, 유효한 영향인자라 할 수 있다.
(3) 두께
광확산층의 두께를 5~3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이유는, 이러한 광확산층의 두께가 5㎛ 미만의 값으로 되면, 소망의 밀착력이나 유지력이 얻어지기 어려울 뿐아니라, 헤이즈값이 과도하게 낮아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광확산층의 두께가 30㎛를 초과하면, 경화시간이 길어져, 경제적으로 불리하며, 또한, 기재 등의 광학특성을 열화시키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광확산층의 두께의 하한을 8㎛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광확산층의 두께의 상한을 25㎛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도2(c)에 언급하여, 광확산층(스크린과 동일시할 수 있다)의 헤이즈값(특성곡선A) 및 밀착력(특성곡선B)에 대한, 이러한 광확산층의 두께의 영향을 설명한다.
즉, 도2(c)의 횡축으로, 광확산층의 막두께(㎛)를 채택하여 나타내고 있고, 좌종축으로, 헤이즈값(%)을 채택하여 나타내고 있고, 우종축으로, 밀착력(mN/25㎜)을 채택하여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2(c) 중의 특성곡선A의 거동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광확산층의 막두께가 10㎛로부터 25㎛로 두꺼워짐에 따라, 헤이즈값이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41%로부터 약72%로 상승하여 있다.
또한, 특성곡선B의 거동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광확산층의 막두께가 마찬가지로 두꺼워짐에 따라, 밀착력도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55mN/25㎜로부터 약65mN/25㎜로 증가하여 있다.
따라서, 광확산층의 막두께는, 광확산층의 헤이즈값에 대하여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이러한 수치를 크게 바꿔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유효한 영향인자라 할 수 있다.
또한, 광확산층의 막두께는, 광확산층의 밀착력에 대하여, 약간이지만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이러한 수치를 미묘한 범위로 바꾸고자 하는 경우이어도, 유효한 영향인자라 할 수 있다.
(4) 영향인자
광확산층에 있어서의 두께를 t(㎛)로 하고, 그것에 포함되는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A(중량부)로 하고, 또한,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을 φ(㎛)로 했을 때에, t×A/φ로 표시되는 영향인자를 3~1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와 같은 범위로 영향인자를 제어함에 의해, 헤이즈값이나 밀착력이 소망 범위 내인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을, 더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따라서, t×A/φ로 표시되는 영향인자의 하한을 10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t×A/φ로 표시되는 영향인자의 상한을 80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도3에 언급하여, 광확산층(스크린과 동일시할 수 있다)의 헤이즈값 및 밀착력에 대한, t×A/φ로 표시되는 영향인자의 영향을 설명한다.
즉, 도3의 횡축으로, 광확산층에 있어서의 t×A/φ로 표시되는 영향인자의 값(-)을 채택하여 나타내고 있고, 좌종축으로, 헤이즈값(%)을 채택하여 나타내고 있고, 우종축으로, 밀착력(mN/25㎜)을 채택하여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3 중의 특성곡선A의 거동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t×A/φ의 값이 커짐에 따라, 현저하게 헤이즈값이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t×A/φ가 5의 경우, 헤이즈값은 약20%로 낮은 값이지만, t×A/φ가 10으로 되면, 헤이즈값은 약40%로 상승하여 있다. 또한, t×A/φ가 20으로 되면, 헤이즈값은 약80%로 되고, 50 이상으로 되면, 헤이즈값은 약95%로 되어, 포화하는 경향이 보이고 있다.
한편, 특성곡선B의 거동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광확산층에 있어서의 t×A/φ의 값이 커짐에 따라, 밀착력에 대해서는, 서서히 저하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t×A/φ가 5~25의 경우, 밀착력은 약50~60mN/25㎜의 범위 내의 값이지만, t×A/φ가 30으로 되면, 밀착력은 약50mN/25㎜ 미만의 값으로 저하하여 있다. 또한, t×A/φ가 40으로 되면, 밀착력은 약40mN/25㎜로 저하하고, 60 이상으로 되면, 밀착력은 약20mN/25㎜ 미만의 값이 되는 경향이 보이고 있다.
따라서, 광확산층에 있어서의 t×A/φ는, 헤이즈값에 대하여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이러한 수치를 크게 바꿔,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유효한 영향인자라 할 수 있다.
또한, 광확산층에 있어서의 t×A/φ는, 그 밀착력에 대해서도 그나름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이러한 수치를 미묘한 범위로 바꿔,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유효한 영향인자라 할 수 있다.
6. 광제어 부재1
광제어 부재의 일종으로서, 도4(a)~(b)에 나타내는 이방 광확산성 필름(예를 들면, 루버형 광확산 필름)(20)을, 기재의 표면(광확산층을 갖지 않는 측)에, 더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방 광확산성 필름(20)을, 광확산층(14)의 표면측(광입사측)에, 기재(12)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첩부형 복합 프로젝션 스크린(21)으로 하거나, 혹은, 기재를 개재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첩부형 복합 프로젝션 스크린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재를 개재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이방 광확산성 필름이, 기재로서의 기능을 감당하게 된다.
또, 이방 광확산성 필름(20)과, 기재(12)와의 사이에는, 통상,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이 형성하여 있고, 그것에 의해, 양자를 접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5 중의 특성곡선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린으로서, 이방 광확산성 필름을 단독 사용했을 경우에는, 헤이즈값을 나타내는 프로필이, 입사각에 의존하여, 비교적 급준하게 변화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래서, 광확산층의, 프로젝터의 광이 입사하는 측에, 이방 광확산성 필름을 적층하고, 이방 광확산성과, 등방 광확산성이 조합된 복합 프로젝션 스크린으로 함에 의해, 특성곡선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이즈값을 나타내는 프로필을, 보다 완만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헤이즈값의 변화를 완만하게 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프로젝션 스크린에 의하면, 시각자가 화상을 시인하는 각도나, 프로젝터로부터 스크린에의 광의 입사각도에 의하지 않고, 시야각 특성(광확산 입사각도 영역)이 넓어져, 비교적 다수의 시각자가, 양호하고 선명한 화상을, 스크린의 배면측으로부터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이방 광확산성 필름과, 광확산층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프로젝션 스크린이면, 외광에 노출되어 성능열화했을 경우이어도, 광확산층만을 교체하여, 비교적으로 코스트가 높은 이방 광확산성 필름을 재이용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복합 프로젝션 스크린이면, 광확산층만에서는, 헤이즈값이 아직 낮은 경우이어도, 이방 광확산성 필름에 기인한 헤이즈 효과로, 토탈로 해서, 헤이즈값을 보다 높은 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4(a)는, 이방 광확산성 필름(20)의 상면도(평면도)이며, 도4(b)는, 도4(a)에 표시되는 이방 광확산성 필름(20)을, 점선A-A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절단하여, 절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봤을 경우의 이방 광확산성 필름(20)의 단면도이다.
이러한 도4(a)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이방 광확산성 필름(20)은, 필름면 방향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굴절율이 높은, 라인상의 고굴절율 경화물(22)과, 상대적으로 굴절율이 낮은, 라인상의 저굴절율 경화물(24)이 교호(交互)로 평행배치된 루버 구조를 구비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4(b)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고굴절율 경화물(22)과, 저굴절율 경화물(24)은, 각각 소정 두께를 갖고 있고, 이방 광확산성 필름(20)의 수직방향에 있어서도, 교호로 평행배치된 상태를 유지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고굴절율 경화물이란, 비페닐환을 복수 갖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 등의 자외선 경화물로서, 일례이지만, 굴절율을 1.5~1.6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굴절율 경화물이란,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중합물로서, 일례이지만, 그 중량평균 분자량을, 3,000~20,0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굴절율에 대해서는, 1.4~1.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입사각이 광확산 입사각도 영역 내인 경우에는, 이러한 입사광이, 이방 광확산성 필름(20)에 의해, 이방성을 나타내도록 광확산된다.
즉, 도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방 광확산성 필름(20)에 대한 입사광의 입사각이, 루버 구조(23)의 경계면(23')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에 가까운 소정의 범위 내의 각도(광확산 입사각도 영역 내의 각도)인 경우에는, 입사광(32, 34)은, 루버 구조 내의 고굴절율 경화물(22)의 내부를, 방향을 변화시키면서 막두께 방향에 따라 통과하여, 출광면측에서의 광의 진행방향이 한결같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입사각이 광확산 입사각도 영역 내인 경우에는, 입사광(32', 34')이 이방 광확산성 필름(20)에 의해, 소정 방향만으로 확산되게 된다.
한편, 이방 광확산성 필름(20)에 대한 입사광(36')의 입사각이, 광확산 입사각도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에는, 입사광(36)은, 이방 광확산성 필름(20)에 의해 광확산되지 않고, 그대로 투과하게 된다.
7. 광제어 부재2
또한, 광제어 부재의 일종으로서, 광확산층이란, 별종의 등방 광확산성 필름(예를 들면, 칼럼형 광확산 필름)을, 기재의 표면(광확산층과 접하지 않는 측)에, 더 적층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기재의 표면(광확산층과 접하지 않는 측)에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개재하여, 등방 광확산성 필름을 적층하는 것에 의해, 혹은, 기재 대신에 등방 광확산성 필름을 직접, 광확산층과 적층하는 것에 의해, 복합 프로젝션 스크린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광확산층만에서는, 헤이즈값이 비교적 낮은 경우이어도, 등방 광확산성 필름에 기인한 헤이즈 효과로, 토탈로 해서, 헤이즈값을 보다 높은 값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 같은 복합 프로젝션 스크린이면, 외광에 많이 노출되어 성능열화한 경우에, 광확산층만을 교체하여, 비교적 코스트가 높은 칼럼형 광확산 필름에 대해서는, 재이용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또, 도시까지는 하지 않지만, 상술한 칼럼형 광확산 필름으로서는, 굴절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 중에, 굴절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복수의 주상물을 필름막두께 방향으로 임립(林立)시켜 이루어지는 내부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칼럼형 광확산 필름의 수직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에 있어서는, 굴절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상물과, 굴절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이, 각각 소정의 폭을 갖고 교호로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입사각이 광확산 입사각도 영역 내인 경우에는, 입사광이 필름 내에 칼럼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에 의해, 등방성으로 확산된다고 추정된다.
즉, 필름 내에 칼럼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에 대한 입사광의 입사각이, 칼럼구조의 경계면에 대하여, 평행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의 값(광확산 입사각도 영역 내의 값)인 것으로 한다.
그러면, 이러한 입사광은, 칼럼구조 내의 상대적으로 고굴절율의 주상물의 내부를, 방향을 변화시키면서 막두께 방향에 따라 통과하는 것에 의해, 출광면측에서의 광의 진행방향이 한결같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입사각이 광확산 입사각도 영역 내인 경우에는, 입사광이 필름 내에 칼럼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에 의해 확산되어, 확산광이 된다.
한편, 필름 내에 칼럼구조를 갖는 광확산 필름에 대한 입사광의 입사각이, 광확산 입사각도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에는, 입사광은, 광확산 필름에 의해 확산되지 않고, 그대로 광확산 필름을 투과하여, 투과광이 된다.
8. 다른 적층부재
(1) 보호필름
또한, 스크린에 있어서의 광확산층의, 기재와는 반대측의 표면에 대하여, 보호필름이 적층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이와 같이 보호필름을 적층함에 의해, 광확산층에의 오염물의 부착을 방지함과 함께, 스크린의 취급(운반성)이나, 밀착력이나 광확산성의 효과의 재현성을 더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보호필름으로서는,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메틸펜텐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불화비닐리덴 필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 실리콘 수지 필름 등의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다.
또, 보호필름에 있어서의 광확산층과 접하는 측의 면은, 불소 수지 등으로 박리 처리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고, 표면 처리하지 않고 상기 필름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필름의 두께로서는, 통상, 1~10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보호필름이 과도하게 얇아지면, 취급성이 악화하거나, 광확산층을 보호하는 기능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보호필름이 과도하게 두꺼워지면, 마찬가지로, 취급이 곤란하게 되거나, 스크린의 광확산층에 첩부했을 경우에, 롤화가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호필름의 두께의 하한을, 1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박리필름의 두께의 상한을, 200㎛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이하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2) 반사방지층
또한, 스크린에 있어서, 반사방지층을, 프로젝터의 광의 입사측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반사방지층(AR) 또는 저반사층(LR)이 코팅된 플라스틱 필름, 또는 모스아이 필름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반사방지층은, 특정의 각도 범위로부터의 입사광만을 선택적으로 산란하고 그 이외의 각도의 입사광은 투과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이 아닌 점에 있어서, 광확산제어층과는 다른 것이다.
또한, 반사방지층 및 저반사층에 관해서는, 종래공지의 재료를 상술한 기재로서의 플라스틱 필름 위에 코팅하는 것에 의해 형성하면 된다. 또한, 종래의 처방에 의해 형성한 모스아이 필름을 기재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3) 기타
또한, 보강판, 하드코트층, 대전방지층, 자외선흡수층, 자외선반사층, 및 색상조정층, 반사판 등은, 본 발명 의 효과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측에 마련해도 되고, 기재 자체에 당해 기능을 부여시켜도 된다.
9. 제조방법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크린은, 상술의 각종 재료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하여 제작할 수 있다.
(1) 제1공정
제1공정은, 실리콘 수지와, 유기 미립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공액을 작성하는 공정이다.
따라서, 우선은, 교반장치 부착의 용기 내에, 소정량의 톨루엔이나 메틸에틸케톤 등의 유기용제를 수용한다.
이어서, 소정량의 유기 미립자를 투입하고, 균일하게 분산하기까지, 교반장치를 사용하여, 용기 내를 교반한다.
이어서, 소정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과로 이루어지는 부가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에 대하여, 소정량의 백금 촉매와, 소망에 따라, 3관능성 혹은 4관능성의 실록산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투입하고, 균일상태로 될때까지, 교반장치를 사용하여, 용기 내를 교반한다.
최후에, 용기 내를 교반하면서, 소정량의 톨루엔이나 메틸에틸케톤 등의 유기용제를 더 추가하여, 고형분 농도가 소정값(예를 들면, 20중량%)이 되도록 희석하여, 도공액으로 한다.
(2) 제2공정
제2공정은, 얻어진 도공액을, 소정 기재 위에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공정이다.
즉, 얻어진 실리콘 수지용액 도공액을, 도포장치, 예를 들면, 나이프 코터나 어플리케이터, 또한, 롤 코터 등을 사용하여, 기재 표면에 도막을 형성한다.
이어서, 소정 조건에서 도막을 가열 처리하고, 유기용제(톨루엔이나 메틸에틸케톤 등)를 비산시켜 건조시킴과 함께, 실리콘 수지 성분을 반응시켜, 기재 위에, 유기 미립자를 균일하게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정 광확산층을 형성한다.
그 때의 가열 처리 조건으로서는, 실리콘 수지의 종류나 촉매의 첨가량 등에 따라서도 바뀌지만, 통상, 가열온도 120~160℃, 가열시간 0.5~10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열온도 125~140℃, 가열시간 1~5분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이와 같이 도포, 건조 처리 등을 거쳐, 기본적으로 소정 기재와, 소정 광확산층으로 구성된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스크린)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말할 것도 없이, 본 발명의 범위가, 특단의 이유없이, 이들의 실시예 등의 기재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1. 스크린의 제작
교반장치 부착의 용기 내에, 실리콘 수지로서, 실록산 결합을 주골격으로 하고 비닐기를 갖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과로 이루어지는 부가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신에츠가가쿠고교(주)제, KS-847H, 굴절율 : 1.43) 100중량부(고형분 환산값을 나타낸다, 이하 동일)에 대하여, 백금 촉매(신에츠가가쿠고교(주)제, PL-50T) 0.03중량부와, 가교 폴리메타크릴산메틸(PMMA) 입자(세키스이카세이힌고교(주)제, SSX-104, 평균입경 : 4㎛, 굴절율 : 1.49)를 수용했다.
이어서, 용기 내의 배합성분인 실리콘 수지 등을 교반하면서, 소정량의 메틸에틸케톤을 더 추가하여, 고형분 농도가 20중량%가 되도록 희석하여, 도공액으로 했다.
이어서, 얻어진 도공액을,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PET 필름(도레(주)제, 루미라U48, 두께 : 125㎛, 가시광 투과율 : 89%)의 이접착(易接着) 처리면측에 대하여 도포하고, 130℃, 2분간의 가열 처리를 하여, 두께15㎛의 광확산층을 기재의 편면에 구비한, 스크린을 얻었다.
또, 상기 PET 필름은, 150℃, 1시간 가열후의 MD방향 및 TD방향의 열수축율은, 각각 0.9% 및 0.4%이었다.
2. 스크린의 평가
(1)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값
JIS K 7136:2000에 준거하고, 헤이즈미터로서 NDH-5000(니혼덴쇼쿠고교(주)제, 적분구식 광선 투과율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광확산층측이 입사광측이 되도록 스크린을 설치하여, 스크린의 헤이즈값(담가, %)을 측정했다.
즉, 적분구식 광선 투과율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스크린의 전광선 투과율 및 확산 투과율을 각각 측정하고, 하식(2) 및 (3)에 의해 헤이즈값을 산출했다.
헤이즈값(%)=확산 투과율(%)/전광선 투과율(%)×100 (2)
확산 투과율(%)=전광선 투과율(%)-평행 광선 투과율(%) (3)
(2) 밀착력
JIS Z 0237:2000에 준거하고, 인장시험기를 사용하여, 유리판에 대한 스크린(폭 : 25㎜)의 밀착력(180° 박리력, 박리속도 300㎜/분)을 측정했다.
(3) 투영성
스크린의 투영성을, 이하의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즉, 스크린을, 10cm×10cm의 정방형으로 커트하여, 그것을, 유리판에 첩부하여, 유리판 위에 스크린이 첩부된 샘플을 얻었다.
이어서, 미니프로젝터PP-D1(온쿄디지털솔루션(주)제)를 사용하여, 스크린의 기재측으로부터 샘플에 소정 화상을 투영했다. 이 때, 프로젝터로부터 조사된 광선은, 상기 샘플 평면의 법선에 대하여 하향 30°의 각도로 입사하도록 조사했다.
그리고, 유리판의 스크린 비첩부면측으로부터, 샘플 평면의 법선 방향(0°)으로부터, 혹은, 샘플 평면의 법선 방향 하향 30°의 방향(30°)으로부터, 소정 화상을 목시 관찰하고, 투영성을, 이하의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또, 이하의 기준에 있어서의 밝은 환경이란, 형광등이 켜져 있는 방에서, 샘플 위치에서 측정기를 형광등의 방향을 향하여 측정하면 800룩스, 샘플과 마찬가지로 배치하여 측정하면 400룩스를 나타내는 환경을 말한다. 한편, 어두운 환경이란, 형광등을 끈 암실상태를 말한다.
◎ : 밝은 환경하에서도 화상이 매우 선명하게 보임
○ : 밝은 환경하에서도 화상이 선명하게 보임
△ : 밝은 환경하에서는 화상이 불선명하지만, 어두운 환경하이면 선명하게 보임
× : 어두운 환경하에서도 화상이 불선명함
(4) 첩부성
스크린의 첩부성을, 이하의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즉, 스크린을, 횡6cm, 종14cm의 장방형 사이즈로 커트하여, 그것을, 유리판에 첩부했을 때의 에어 빠짐 상태를 목시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 : 수작업이어도, 간단하게 에어 빠짐이 가능함
○ : 수작업에서는 에어 빠짐이 불충분하지만, 스퀴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에어 빠짐이 가능함
△ : 스퀴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에어 빠짐이 가능함
× : 에어 빠짐이 곤란함
(5) 재박리성
스크린의 재박리성을, 이하의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즉, 상술한 스크린의 첩부성 평가를 행한 후, 유리판으로부터 벗겨, 광확산층을 포함하여 스크린의 상태를 목시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에 따라 재박리성을 평가했다.
◎ : 수작업으로 간단하게 유리판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고, 광확산층의 변형없고, 재첩부해도 에어가 혼입하지 않음
○ : 수작업으로 유리판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고, 광확산층의 변형없고, 스퀴지를 사용하여 재첩부하는 것으로 에어가 혼입하지 않음
△ : 유리판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지만, 광확산층이 변형하고, 재첩부후의 에어 빠짐성이 저하함
× : 유리판으로부터 박리할 수 없거나, 또는, 박리시에 광확산층이 파괴되고, 광확산층의 일부가 유리판에 남음
(6) 밀착내구성(히트사이클 시험)
스크린의 밀착내구성을, 이하의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즉, 스크린을, 10cm×10cm의 정방형으로 재단하고, 그 광확산층측을, 유리판에 첩부하여, 유리판 위에 스크린이 첩부된 샘플을 얻었다. 샘플은 마찬가지로 하여 10매 준비했다.
이어서, 샘플 10매에 대하여, 각각에 대해, -35℃, 70℃를 각 30분간씩 교호로 반복하는 히트사이클 시험을 250시간 행한 후, 샘플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고, 밀착내구성의 평가로 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 : 샘플10매에 있어서 스크린의 벗겨짐이 보이지 않았음
○ : 샘플1~2매에 있어서 스크린의 벗겨짐이 보였음
△ : 샘플3~5매에 있어서 스크린의 벗겨짐이 보였음
× : 샘플6~10매에 있어서 스크린의 벗겨짐이 보였음
[실시예2~4]
실시예2~4에 있어서, 실리콘 수지에 대한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의 영향을 검토했다.
즉, 실시예2에 있어서는,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10중량부로 하고, 실시예3에 있어서는,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15중량부로 하고, 실시예4에 있어서는,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1중량부로 한 이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스크린을 작성하고, 헤이즈값 등을 측정했다. 각각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실시예5~6]
실시예5~6에 있어서, 광확산층의 두께의 영향을 검토했다.
즉, 실시예5에 있어서는, 광확산층의 두께를 10㎛로 하고, 실시예6에 있어서는, 광확산층의 두께를 25㎛로 한 이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스크린을 작성하고, 헤이즈값 등을 측정했다. 각각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실시예7~9]
실시예7~9에 있어서, 실리콘 수지에 배합하는 유기 미립자의 종류(평균입경의 차이를 포함한다)를 검토했다.
즉, 실시예7에 있어서는, 유기 미립자의 종류를 PMMA 입자(세키스이카세이힌고교(주)제, SSX-104, 평균입경 : 4㎛, 굴절율 : 1.49)로부터, PMMA 입자(세키스이카세이힌고교(주)제, SSX-102, 평균입경 : 2㎛, 굴절율 : 1.49)로 하고, 실시예8에 있어서는, 마찬가지로 유기 미립자의 종류를 PMMA 입자(세키스이카세이힌고교(주)제, SSX-108, 평균입경 : 8㎛, 굴절율 : 1.49)로 하고, 실시예9에 있어서는, 마찬가지로 유기 미립자의 종류를 가교 폴리스티렌 입자(소켄가가쿠(주)제, SX-350, 평균입경 : 3.5㎛, 굴절율 : 1.60)로 한 이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스크린을 작성하고, 헤이즈값 등을 측정했다. 각각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실시예10]
실시예10에 있어서, 기재와, 광확산층과의 사이에, 이방 광확산성을 구비한 광제어 부재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첩부형 복합 프로젝션 스크린을 작성하고, 그 영향을 검토했다.
즉, 이방 광확산성을 구비한 광제어 부재로서, 도4에 나타내는 이방 광확산성 필름을 준비했다.
또, 이러한 이방 광확산성 필름은, 이하의 수순에 따라 작성했다.
<이방 광확산성 필름용 조성물의 조제>
교반장치 부착의 용기 내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과,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와,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를 반응시켜, 중량평균 분자량 9,900의 폴리에테르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파장589nm에 있어서의 굴절율1.46)를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폴리에테르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o-페닐페녹시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가가쿠(주)제, NK에스테르 A-LEN-10; 파장589nm에 있어서의 굴절율1.58) 100중량부와, 광중합개시제로서의 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5중량부를 첨가한 후, 80℃의 조건하에서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을 행하여, 이방 광확산성 필름용 조성물을 얻었다.
<이방 광확산성 필름용 조성물의 도포>
이어서, 얻어진 이방 광확산성 필름용 조성물을, 공정 시트로서의 PET 필름 위에,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도포하여, 막두께200㎛의 광경화성 수지층을 얻었다.
<광경화성 수지층의 경화>
이어서, 얻어진 PET 필름과 광경화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컨베이어 위에 PET 필름측이 접하도록 설치함과 함께, 광경화성 수지층의 상방에, 선상의 자외선 램프를 내장하는 자외선 조사장치(아이그라픽스(주)제, ECS-4011GX)를, 컨베이어의 흐름 방향과 선상의 자외선 램프의 긴 쪽 방향이 이루는 각이 직각이 되도록 설치했다. 또한, 자외선 조사장치와 그것에 대응하는 컨베이어 부분까지를, 외광이 들어가지 않도록 박스화함과 함께, 자외선 조사장치로부터 발하는 자외선이 컨베이어의 흐름 방향(광경화성 수지층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 대략 평행광이 되도록 2매의 차광판으로 광경화성 수지층의 흐름 방향의 자외선의 조사폭을 조정했다. 이 때, 광경화성 수지층의 표면에 조사되는 자외선이, 선상의 자외선 램프의 긴 쪽 방향에서 봤을 때, 광경화성 수지층의 법선 방향을 0°로 했을 경우에, 램프로부터의 직접의 자외선의 조사각도가 30°가 되도록 설정했다. 또, 자외선 램프는, 그 긴 쪽 방향과 상기 적층체의 긴 쪽 방향이 이루는 각이 직각이 되도록 설치했다.
그리고, 광경화성 수지층 표면에 있어서의 피크조도가 10mW/㎠, 적산광량이 80mJ/㎠가 되도록 공기 분위기하에서 자외선을 조사하면서, 컨베이어에 의해, 적층체를 그 긴 쪽 방향으로, 0.2m/분의 속도로 이동시켰다.
<후처리>
이어서, 광경화성 수지층의 표면에 박리필름(린텍(주)제, SP-PET382050)를 적층하고, 그것 이외는 상기 공정과 같은 조건에서 자외선 조사를 행했다.
이것에 의해, 총두께200㎛, 단면 라인상의 경화물의 경사각도22°(필름 평면의 법선 방향이 0°), 루버 구조의 두께 방향의 길이165㎛의 이방 광확산성 필름을 얻었다. 또, 총두께는 정압 두께 측정기(다카라세이사쿠쇼(주)제, 테크롯쿠 PG-02J)에 의해 측정하고, 단면 라인상의 경화물의 경사각도 및 길이에 대해서는, 전자현미경 사진에 의거하여 측정했다.
이어서, 준비한 이방 광확산성 필름을, 그 공정시트로부터 박리하고, 그 노출면을, 시판의 아크릴계 접착제로, 실시예2에서 얻어진 스크린의 기재측에 첩부하는 것에 의해, 이방 광확산성 필름, 기재(PET 필름), 및 광확산층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첩부형 복합 프로젝션 스크린을 제작했다.
그리고, 헤이즈값 등의 각종 시험은, 이방 광확산성 필름 상의 박리필름을 벗겨,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측정했다.
단, 스크린의 투영성의 평가에 대해서는, 프로젝터의 광선과, 단면 라인상의 경화물의 경사각도가 가장 얕은 각도가 되도록(이방 광확산성 필름 제작시의 자외선 조사방향과 프로젝터의 광선의 조사방향이 대략 일치하는 방향) 스크린과 유리의 적층체의 상하좌우를 조정하여 행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비교예1]
비교예1에 있어서, 광확산층에 있어서의 실리콘 수지 중에, 유기 미립자를 전혀 배합하지 않은, 즉, 그 배합량을 0중량부한 이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스크린을 작성하고, 헤이즈값 등을 측정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비교예2]
비교예2에 있어서, 광확산층에 있어서의 실리콘 수지에 대한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17중량부로 한 이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스크린을 작성하고, 헤이즈값 등을 측정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비교예3]
비교예3에 있어서, 광확산층에 있어서의 유기 미립자의 종류를 SSX-104로부터, 토스파루145(도레(주)제, 평균입경 : 4.5㎛, 굴절율 : 1.43)로 하고, 그 배합량을 5중량부로 한 이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스크린을 작성하고, 헤이즈값 등을 측정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비교예4]
교반장치 부착의 용기 내에, 아크릴산부틸 98.5중량%와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1.5중량%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중량평균 분자량 200만의 아크릴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소켄가가쿠(주)제, 제품명TD-75) 0.2중량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신에츠가가쿠고교(주)제, 제품명KBM-403) 0.2중량부, 및 PMMA 입자(세키스이카세이힌고교(주)제, SSX-104, 평균입경 : 4㎛, 굴절율 : 1.49) 3중량부를 수용하고, 각각 아세트산에틸 중에서 혼합하는 것에 의해 도공액을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도공액을, PET 필름(도레(주)제, 루미라U48, 두께 : 125㎛)의 이접착 처리면측에 대하여 도포하고, 90℃, 1분간의 가열 처리를 하여, 그 후, 실온하, 1주간 양생시켰다. 이것에 의해,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지는 두께15㎛의 광확산층을 기재의 편면에 구비한, 스크린을 작성했다.
그리고,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얻어진 스크린의 헤이즈값 등을 측정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비교예5]
비교예5에 있어서, 미립자의 종류를 SSX-104로부터, 토스파루145(도레(주)제, 평균입경 : 4.5㎛, 굴절율 : 1.43)로 하고, 또한, 미립자의 배합량을 4.45중량부로 한 이외는, 비교예4에 준하여, 스크린을 작성하고, 헤이즈값 등을 측정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표1]
10 :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스크린)
12 : 기재
14 : 광확산층
14a : 실리콘 수지
14b : 유기 미립자
16 : 박리필름
18 : 피착체(창유리나 쇼케이스 등)
20 : 광제어 부재(이방 광확산성 필름)
21 : 첩부형 복합 프로젝션 스크린
22 : 고굴절율 경화물
23 : 루버 구조
24 : 저굴절율 경화물
36 : 입사광
12 : 기재
14 : 광확산층
14a : 실리콘 수지
14b : 유기 미립자
16 : 박리필름
18 : 피착체(창유리나 쇼케이스 등)
20 : 광제어 부재(이방 광확산성 필름)
21 : 첩부형 복합 프로젝션 스크린
22 : 고굴절율 경화물
23 : 루버 구조
24 : 저굴절율 경화물
36 : 입사광
Claims (8)
- 기재와, 광확산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광확산층이, 실리콘 수지와, 평균입경이 1~10㎛의 유기 미립자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광확산층의 두께를 5~3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고,
광확산층측에 있어서의, JIS Z 0237:2009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180° 박리력을 20~200mN/25㎜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고, 또한,
JIS K 7136:2000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헤이즈값을 20%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상기 실리콘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15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의 두께를 t(㎛)로 하고, 상기 유기 미립자의 평균입경을 φ(㎛)와, 상기 유기 미립자의 배합량을 A(중량부)로 했을 때에, t/φ×A로 표시되는 영향인자를 3~10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수지와, 상기 유기 미립자와의 굴절율차를 0.02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두께를 50~250㎛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열수축율을, 150℃, 1시간 가열후의 MD방향 및 TD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 대해서도 2% 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표면 및 배면, 혹은 어느 한쪽에, 이방 광확산성 또는 등방 광확산성을 갖는 광제어 부재가 더 마련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의, 상기 기재와는 반대측의 표면에 대하여, 보호필름이 적층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6-068549 | 2016-03-30 | ||
JP2016068549A JP6633955B2 (ja) | 2016-03-30 | 2016-03-30 | 貼付型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2982A KR20170112982A (ko) | 2017-10-12 |
KR102515861B1 true KR102515861B1 (ko) | 2023-03-31 |
Family
ID=60006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74318A KR102515861B1 (ko) | 2016-03-30 | 2016-12-20 |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633955B2 (ko) |
KR (1) | KR102515861B1 (ko) |
CN (1) | CN107290922B (ko) |
TW (1) | TWI707772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WO2019159529A1 (ja) * | 2018-02-16 | 2021-02-18 | Eneos株式会社 | 映像投影システム |
CN109683442A (zh) * | 2019-01-30 | 2019-04-26 | 广州悦荣欣科技有限公司 | 粘贴式软性激光电视屏幕 |
JP2020134830A (ja) * | 2019-02-22 | 2020-08-31 | Eneos株式会社 | 映像投影システム |
CN112946986B (zh) * | 2019-12-11 | 2022-04-01 | 四川尚视科技有限公司 | 一种可避免摩尔条纹的高增益激光抗光屏幕的制备方法 |
CN112940609A (zh) * | 2019-12-11 | 2021-06-11 | 四川尚视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激光抗光屏幕的色膜组合物及色膜的制备方法 |
CN112940618A (zh) * | 2019-12-11 | 2021-06-11 | 四川尚视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激光抗光屏幕的光扩散膜组合物及光扩散膜制备方法 |
CN118119891A (zh) * | 2021-10-29 | 2024-05-31 | 琳得科株式会社 | 投影屏 |
WO2023171222A1 (ja) * | 2022-03-09 | 2023-09-14 | リンテック株式会社 | 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 |
WO2024046330A1 (en) * | 2022-08-31 | 2024-03-07 | Arovia Hong Kong Limited | Silicone projection screen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0060384A1 (fr) * | 1999-03-31 | 2000-10-12 |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 Couche de diffusion de lumiere, couche composite de diffusion de lumiere et ecran a cristaux liquides |
JP3993980B2 (ja) * | 1999-12-22 | 2007-10-17 | 株式会社きもと | 透視可能な透過型スクリーン |
JP4129275B2 (ja) | 1999-12-22 | 2008-08-06 | 株式会社きもと | 透視可能な透過型スクリーン |
US6804053B2 (en) * | 1999-12-22 | 2004-10-12 | Kimoto Co., Ltd. | See-through light transmitting type screen |
US6870670B2 (en) | 2001-04-06 | 2005-03-22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Screens and methods for displaying information |
JP4123939B2 (ja) * | 2001-12-13 | 2008-07-23 | ソニー株式会社 | スクリー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システム |
KR100859365B1 (ko) * | 2004-03-12 | 2008-09-22 |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 투과형 스크린용 광확산 부재 |
US7855833B2 (en) * | 2004-08-10 | 2010-12-21 | Kimoto Co., Ltd. | Transmission screen |
JP4678847B2 (ja) * | 2004-10-28 | 2011-04-27 |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 シリコーン組成物から得られる粘着層を有する粘着性フィルム |
CN200969021Y (zh) * | 2006-11-07 | 2007-10-31 | 雅新实业股份有限公司 | 投影板 |
JP2009302029A (ja) * | 2008-02-13 | 2009-12-24 |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 フレキシブル透明導電フィルムとフレキシブル機能性素子およびこれ等の製造方法 |
JP2009229595A (ja) * | 2008-03-19 | 2009-10-08 | Nippon Zeon Co Ltd | 投影スクリーン及び投影システム |
KR101750568B1 (ko) * | 2008-09-17 | 2017-06-23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 광 확산 감압 접착제 |
JP5366086B2 (ja) * | 2009-07-10 | 2013-12-11 | リンテック株式会社 | 透明体貼付用スクリーン |
US8967818B2 (en) * | 2011-06-20 | 2015-03-03 | Nec Corporation | Fluorescent screen and image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same |
CN104145215B (zh) * | 2012-03-02 | 2016-12-14 | 三菱制纸株式会社 | 透射型屏幕 |
US20140347724A1 (en) * | 2013-05-24 | 2014-11-27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Projection system having a physical mask |
-
2016
- 2016-03-30 JP JP2016068549A patent/JP6633955B2/ja active Active
- 2016-12-20 KR KR1020160174318A patent/KR10251586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12-23 CN CN201611207726.8A patent/CN107290922B/zh active Active
-
2017
- 2017-02-09 TW TW106104279A patent/TWI707772B/zh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7290922B (zh) | 2020-11-20 |
CN107290922A (zh) | 2017-10-24 |
KR20170112982A (ko) | 2017-10-12 |
JP2017181772A (ja) | 2017-10-05 |
JP6633955B2 (ja) | 2020-01-22 |
TW201801915A (zh) | 2018-01-16 |
TWI707772B (zh) | 2020-10-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15861B1 (ko) | 첩부형 프로젝션 스크린 | |
JP5176958B2 (ja) | 光拡散層形成用塗布液および光拡散板 | |
US9109141B2 (en) | Transparent adhesive sheet and image display device | |
CN106244033B (zh) | 粘合片、带有粘合剂的光学薄膜以及图像显示装置的制造方法 | |
TWI470308B (zh) | 液晶顯示裝置 | |
TW200530741A (en) | Microstructured screen with light absorbing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 |
WO2016093181A1 (ja) | 透明シート、それを備えた透明スクリー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投影装置 | |
JP6147932B2 (ja) | 透明フィルム、それを備えた透明スクリー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投影装置 | |
JP2004333716A (ja) | 光拡散層、光拡散フィルムおよび光拡散粘着シート | |
JP2007133173A (ja) | 光拡散シートおよび複合光拡散板、ならびにそれら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 |
US20210357061A1 (en) | Flexible image display device and optical laminate for use in same | |
JP2007225972A (ja) | 光拡散フィルム、光学部材、背面投射型スクリーン及び背面投射型ディスプレイ装置 | |
KR101379151B1 (ko) | 백라이트 유닛 | |
JP2008034234A (ja) |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 |
JP2017026759A (ja) | スクリー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投影装置 | |
JP6288666B2 (ja) | ハードコート転写媒体 | |
JP2004114510A (ja) | 透明保護部材 | |
KR101780849B1 (ko) | 광학 부재 및 그의 용도 | |
WO2023074890A1 (ja) | 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 | |
JP2011191428A (ja) | 映り込み防止フィルム | |
JP7502333B2 (ja) | スクリーンフィルム及びそれを備えた投影システム | |
KR100945753B1 (ko) | 투사형 스크린 | |
JP5140531B2 (ja) | 液晶表示装置 | |
JP2002174859A (ja) | レンズアレイシートおよび透過型スクリーン | |
JP7187252B2 (ja) | 透明スクリーン用シート、透明スクリーン、及び粘着塗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