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8022A - 이차 전지의 회복 방법 및 재이용 방법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의 회복 방법 및 재이용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28022A KR20180028022A KR1020170111602A KR20170111602A KR20180028022A KR 20180028022 A KR20180028022 A KR 20180028022A KR 1020170111602 A KR1020170111602 A KR 1020170111602A KR 20170111602 A KR20170111602 A KR 20170111602A KR 20180028022 A KR20180028022 A KR 201800280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condary battery
- battery
- input
- value
- so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G01R31/387—Determining ampere-hour charge capacity or SoC
- G01R31/388—Determining ampere-hour charge capacity or SoC involving voltage measur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s or variables, e.g. visual or audible indicators
-
- G01R31/3682—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9—Measuring internal impedance, internal conductance or related variab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42—Regeneration of electrolyte or reacta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9—Charging or discharging for charge maintenance, battery initiation or rejuvena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8—Constructional arrangements comprising digital calculation means, e.g. for performing an algorithm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1—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9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과제) 하이레이트 열화에 대한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의 조기 회복
(해결 수단) 여기에서 제안되는 이차 전지의 회복 방법은,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의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1 처리와, 제 1 처리에 있어서,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외로 판정된 경우에, 이차 전지 또는 상기 조전지를, SOC 0 % 이상 20 % 이하의 미리 정해진 저 SOC 상태로 조정하여 방치하는 제 2 처리를 포함하고 있다.
(해결 수단) 여기에서 제안되는 이차 전지의 회복 방법은,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의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1 처리와, 제 1 처리에 있어서,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외로 판정된 경우에, 이차 전지 또는 상기 조전지를, SOC 0 % 이상 20 % 이하의 미리 정해진 저 SOC 상태로 조정하여 방치하는 제 2 처리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차 전지의 회복 방법 및 재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조(組)전지가 재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전지 특성값이 허용 범위 내인지를 판정하는 처리와, 조전지의 구속 하중을 측정하여, 구속 하중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인지를 판정하는 처리에 있어서, 조전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이차 전지로 분리해도 되는지 여부가 판정되고 있다.
그런데, 하이레이트에서의 충방전이 반복된 전지 셀은, 전지 저항이 상승하여, 입출력 특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자의 지견으로서, 이러한 전지 저항이 상승하는 요인으로서, 이차 전지의 정극 시트와 부극 시트 사이에 있어서, 전해액 중에 염 농도에 불균일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서는, 하이레이트에서의 입출력에 있어서의 전지 반응의 속도에 대하여, 전해액 중의 리튬 이온의 이동 속도가 못 따라가는 경우에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사상 (事象) 이 원인으로 저항이 상승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차 전지를 방치하면 되고, 전해액 중의 염 농도의 불균일이 해소됨에 따라,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의 저항이 저하되어 간다. 그러나, 입출력 특성이 저하되더라도, 예를 들어, 40 시간 이상의 장시간 방치하거나 하면, 입출력 특성이 회복되는 경우가 있다. 또, 전지 저항이 상승하고, 입출력 특성이 저하되는 다른 요인으로서, 활물질의 결정 구조의 변화나 활물질의 균열 등, 전지 재료가 열화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40 시간 이상의 장시간 방치하더라도, 입출력 특성의 충분한 회복을 기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차 전지의 입출력 특성이 회복 가능한 경우에는, 조기에 이것을 회복시키고자 한다. 이로써 이차 전지의 입출력 특성의 회복이 가능한지 여부를 조기에 확인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제안되는 이차 전지의 회복 방법은, 이하의 제 1 처리와 제 2 처리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처리는,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의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이다.
제 2 처리는, 제 1 처리에 있어서,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외로 판정된 경우에,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를, SOC 0 % 이상 20 % 이하의 미리 정해진 저 SOC 상태로 조정하여 미리 정해진 기간 방치하는 처리이다.
이 회복 방법에 의하면, 제 1 처리에 있어서,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외로 판정된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가 저 SOC 상태로 조정되어 미리 정해진 기간 방치된다. 이로써 저 SOC 상태로 조정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를 조기에 회복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제안되는 이차 전지의 재이용 방법은, 이하의 제 1 처리 내지 제 5 처리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처리는,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의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이다.
제 2 처리는, 제 1 처리에 있어서,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외로 판정된 경우에,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를, SOC 0 % 이상 20 % 이하의 미리 정해진 저 SOC 상태로 조정하여 미리 정해진 기간 방치하는 처리이다.
제 3 처리는, 제 2 처리 후에,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이다.
제 4 처리는, 제 3 처리에 있어서,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외로 판정된 경우에,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를 이용 불가로 판정하는 처리이다.
제 5 처리는, 제 1 처리 또는 제 3 처리에 있어서,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내로 판정된 경우에,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를 이용 가능으로 판정하는 처리이다.
이 재처리 이용 방법에 의하면, 하이레이트 열화가 발생한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가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조기에 또한 적절히 판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3 처리에 있어서,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내로 판정된 경우에,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를 미리 정해진 SOC 로 조정하는 제 6 처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 입출력 특성은 저항이어도 된다. 저항을 바탕으로 검사함으로써, 하이레이트 열화의 상태로부터 회복될 수 있는지를 적절히 판정할 수 있어, 하이레이트 열화가 발생한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가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적절히 검사할 수 있다.
도 1 은, 이차 전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 는, 이차 전지의 저항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 은, 이차 전지의 회복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 는, 이차 전지의 재이용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 는, 이차 전지의 저항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 은, 이차 전지의 회복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 는, 이차 전지의 재이용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여기에서 제안되는 이차 전지의 회복 방법 및 재이용 방법에 대하여 일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는, 당연히 특별히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 은, 이차 전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에서는, 권회 전극체를 수용한 각형 전지가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 이차 전지 (10)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체 (11) 와, 케이스 (12) 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 (12) 는, 케이스 본체 (12a) 와, 덮개 (12b) 와, 전극 단자 (13, 14) 를 구비하고 있다.
전극체 (11) 는, 예를 들어, 정극 시트 (50) 와, 부극 시트 (60) 와, 세퍼레이터 (72, 74) 를 갖고 있다. 도 1 에 나타난 형태에서는, 정극 시트 (50) 는, 정극 집전박 (51) 과, 정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정극 활물질층 (53) 을 갖고 있다. 정극 집전박 (51) 은, 띠 형상의 시트 (예를 들어, 알루미늄박) 이다. 정극 집전박 (51) 에는, 폭 방향 편측의 가장자리를 따라 노출부 (52) 가 설정되어 있다. 정극 집전박 (51) 의 양면에는, 노출부 (52) 를 제외하고 정극 활물질층 (53) 이 형성되어 있다. 부극 시트 (60) 는, 부극 집전박 (61) 과, 부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부극 활물질층 (63) 을 갖고 있다. 부극 집전박 (61) 은, 띠 형상의 시트 (예를 들어, 동박) 이다. 부극 집전박 (61) 에는, 폭 방향 편측의 가장자리를 따라 노출부 (62) 가 설정되어 있다. 부극 집전박 (61) 의 양면에는, 노출부 (62) 를 제외하고 부극 활물질층 (63) 이 형성되어 있다.
정극 시트 (50) 와 부극 시트 (60) 는, 길이 방향의 방향을 맞춰, 세퍼레이터 (72, 74) 를 사이에 두고 정극 활물질층 (53) 과 부극 활물질층 (63) 이 대향하도록 중첩되어 있다. 이때, 세퍼레이터 (72, 74) 의 폭 방향의 편측으로 정극 집전박 (51) 의 노출부 (52) 가 비어져 나오고, 세퍼레이터 (72, 74) 의 폭 방향의 반대측으로 부극 집전박 (61) 의 노출부 (62) 가 비어져 나오도록, 정극 시트 (50) 와 부극 시트 (60) 가 중첩되어 있다. 정극 시트 (50) 와 부극 시트 (60) 와 세퍼레이터 (72, 74) 는, 상기와 같이 중첩된 상태로 정극 시트 (50) 의 짧은 폭을 따라 설정된 권회축 (WL) 의 둘레로 권회되어 있다. 전극체 (11) 의 권회축 (WL) 을 따른 편측에는, 세퍼레이터 (72, 74) 로부터 정극 집전박 (51) 의 노출부 (52) 가 비어져 나와 있다. 반대측에는, 세퍼레이터 (72, 74) 로부터 부극 집전박 (61) 의 노출부 (62) 가 비어져 나와 있다. 세퍼레이터 (72, 74) 는, 예를 들어, 전해액이 통과할 수 있지만 정극 활물질층 (53) 과 부극 활물질층 (63) 과는 절연할 수 있는 다공질의 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케이스 본체 (12a) 는, 전극체 (11) 를 수용하는 부재이다. 도 1 에 나타난 형태에서는, 케이스 본체 (12a) 는, 일 측면이 개구된 바닥이 있는 직방체 형상을 갖고 있다. 덮개 (12b) 는, 개구된 일 측면에 장착되어, 케이스 본체 (12a) 의 개구를 막는 부재이다. 이러한 덮개 (12b) 는, 케이스 본체 (12a) 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에 용접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 (12a) 및 덮개 (12b) 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이나 철강 (SUS 재) 등의, 적당한 강도를 갖는 경량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전극 단자 (13, 14)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12b) 의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있다. 전극 단자 (13, 14) 는, 케이스 (12) 내에 배치된 내부 단자 (13a, 14a) 와, 케이스 (12) 의 밖에 배치된 외부 단자 (13b, 14b) 를 구비하고 있다. 내부 단자 (13a, 14a) 와 외부 단자 (13b, 14b) 는, 절연성을 갖는 개스킷 (13d, 14d) 을 개재시켜 덮개 (12b) 의 내측과 외측에서 덮개 (12b) 를 사이에 두고, 코킹 부재 (13c, 14c) 에 의해 덮개 (12b) 에 고정되고,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정극의 내부 단자 (13a) 의 선단부 (13a1) 에, 정극 집전박 (51) 의 노출부 (52) 가 용접되어 있다. 부극의 내부 단자 (14a) 의 선단부 (14a1) 에, 부극 집전박 (61) 의 노출부 (62) 가 용접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 (12a) 는, 각형의 케이스로, 평평한 장방형의 수용 영역을 갖고 있다. 전극체 (11) 는, 권회축 (WL) 을 포함하는 일 평면을 따른 평평한 형상으로 케이스 본체 (12a) 에 수용되어 있다. 전극체 (11) 가 수용된 후에 케이스 본체 (12a) 에는 덮개 (12b) 가 장착된다. 케이스 본체 (12a) 및 덮개 (12b) 와 전극체 (11) 사이에는, 절연 필름 (도시 생략) 이 개재되어, 케이스 본체 (12a) 및 덮개 (12b) 와, 전극체 (11) 는 절연되어 있다. 덮개 (12b) 에는, 안전 밸브 (30) 나 주액 구멍 (32) 이 형성되어 있고, 주액 구멍 (32) 에는 캡재 (33) 가 장착되어 있다. 전해액 (80) 은, 주액 구멍 (32) 으로부터 케이스 본체 (12a) 에 주입된다. 주액 구멍 (32) 은, 전해액 (80) 이 주입된 후에, 캡재 (33) 가 장착됨으로써 막아진다.
여기에서, 이차 전지의 정극 활물질이나 부극 활물질은,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한정되지 않는다. 정극 활물질로는, 층상계, 스피넬계 등의 리튬 복합 금속 산화물 (예를 들어, LiNiO2, LiCoO2, LiFeO2, LiMn2O4, LiNi1 /3Co1 /3Mn1 /3O2, LiNi0 .5Mn1 .5O4, LiCrMnO4, LiFePO4 등) 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전극체의 구성으로는, 권회 전극체가 예시되어 있다. 권회 전극체는, 평평한 형태가 예시되어 있지만, 원통 형상이어도 된다. 또, 세퍼레이터를 개재시켜, 정극 시트와 부극 시트를 교대로 적층한 적층형의 전극체여도 된다.
조전지는, 복수의 이차 전지 (10) 를 직렬 또는 병렬로 조합하여 고용량, 고출력의 전지를 구성한 것이다. 조전지를 구성하는 이차 전지 (10) 의 내부 저항이 높아지면, 조전지의 저항이 상승한다. 이차 전지 (10) 의 저항 성분에는, 활물질과 전해액 계면의 전하 이동 저항이나 활물질 중의 리튬 이온의 확산 이동 저항 등이 있다.
본 발명자의 지견에 의하면,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의 저항이 상승하는 요인에는, 예를 들어, 활물질의 결정 구조의 변화나 활물질의 균열 등, 재료의 열화를 수반하여 저항이 상승하는 경우가 있다. 재료의 열화를 수반하는 저항 상승은,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를 장시간 방치하더라도 충분히 회복되지 않는다.
이에 반하여, 하이레이트에서의 입출력을 수반하는 용도에서는,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의 저항 상승의 요인으로서, 이차 전지 (10) 중의 염 농도 불균일의 발생을 들 수 있다. 요컨대, 이차 전지 (10) 의 정극 시트 (50) 와 부극 시트 (60) 사이에 있어서, 전해액 중에 염 농도에 불균일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서는, 하이레이트에서의 입출력에 있어서의 전지 반응의 속도에 대하여, 전해액 중의 리튬 이온의 이동 속도가 못 따라잡는 경우에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상이 원인으로 저항이 상승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를 방치하면 되고, 전해액 중의 염 농도의 불균일이 해소됨에 따라,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의 저항이 저하되어 간다. 그러나, 완전한 회복에는 장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 정극 시트 (50) 와 부극 시트 (60) 사이에 있어서, 전해액이 부족한 것에 기인하여 전지 반응에 필요로 하는 리튬 이온이 부족한 것도,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의 저항이 상승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이레이트에서의 입출력에 의해 활물질의 팽창 수축에 의해서, 정극 시트 (50) 와 부극 시트 (60) 의 간극이 변동한다. 이때, 펌프와 같은 작용에 의해, 정극 시트 (50) 와 부극 시트 (60) 사이로부터 전해액이 압출되어, 정극 시트 (50) 와 부극 시트 (60) 에 있어서 전해액이 부족한 상황이 일어날 수 있다. 또, 이차 전지 (10) 의 발열에 의해 전해액이 팽창하는 것도, 정극 시트 (50) 와 부극 시트 (60) 사이로부터 전해액이 압출되는 요인이 된다. 이 결과, 예를 들어, 도 1 과 같은 전극체 (11) 에서는, 전극체 (11) 의 권회축 (WL) 을 따른 중앙 부분은, 양측부에 비해 전해액이 부족하기 쉽다. 이와 같은 사상이 원인으로 저항이 상승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를 방치하고, 정극 시트 (50) 와 부극 시트 (60) 사이로 전해액이 되돌아와 전해액 부족이 해소됨에 따라,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의 저항이 저하되어 간다. 이 경우에도, 완전한 회복에는 장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의 저항이 상승한 경우에는,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를 방치함으로써 저항 상승이 충분히 개선되는 경우와, 방치하더라도 충분히 개선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를 방치하더라도, 전지의 입출력 특성의 회복 (요컨대, 전지 저항의 저하) 이 느리고,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의 입출력 특성이 개선되는지 여부의 확인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소정 조건에서의 저항값이 상승한 경우라도, 입출력 특성의 회복을 기대할 수 있는 경우가 있고, 입출력 특성의 회복을 기대할 수 있는지 여부의 판정에도 장시간 (예를 들어, 40 시간 이상 (도 2 의 그래프 A 참조)) 걸리고 있다. 이와 같이,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가 교환을 필요로 하는지 여부를 조기에 또한 적절히 판단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자는, 하이레이트에서의 충방전을 반복함으로써 저항이 상승한 이차 전지는,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의 입출력 특성이 회복될 수 있는 경우에는, 저 SOC 로 조정되어 방치된 경우인 쪽이 보다 빠르게 회복되는 것을 새롭게 알아내었다.
도 2 는, 이차 전지의 저항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 의 세로축은 저항 (mΩ) 이다. 가로축은 시간 (h) 이다. 도 2 에서는, 하이레이트에서의 충방전을 반복함으로써 저항이 상승한 이차 전지에 대하여, 방치했을 때의 저항의 추이가 나타나 있다. 그래프 A 는, 고 SOC (여기에서는, SOC 85 %) 로 조정되어 방치된 경우의 이차 전지의 저항값의 추이를 나타내고 있다. 그래프 B 는, 저 SOC (여기에서는, SOC 5 %) 로 조정되어 방치된 경우의 이차 전지의 저항값의 추이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에 도시된 그래프로 나타낸 이차 전지의 샘플은, 이하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정극 활물질로서의 LiNi1 /3Co1 /3Mn1 /3O2, 정극 도전재로서의 카본 블랙, 정극 결착재로서의 폴리불화비닐리덴 (PolyVinylidene DiFluoride) 이 정극 활물질층에 포함되어 있다. 여기에서, 정극 활물질과 정극 도전재와 정극 결착재의 질량 비율은, 정극 활물질 : 정극 도전재 : 정극 결착재 = 91 : 6 : 3 이다.
부극 활물질로서의 천연 흑연, 부극 결착재로서의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styrene-butadiene rubber), 부극 증점제로서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가 부극 활물질층에 포함되어 있다. 여기에서, 부극 활물질과 부극 결착재와 부극 증점제의 질량 비율은, 부극 활물질 : 부극 결착재 : 부극 증점제 = 98 : 1 : 1 이다.
세퍼레이터에는, 폴리프로필렌 (PP) 과 폴리에틸렌 (PE) 이 PP/PE/PP 의 순서로 적층된 3 층 구조의 다공질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전해액에는, 에틸렌카보네이트 (EC), 디메틸카보네이트 (DMC), 에틸메틸카보네이트 (EMC) 를, EC : DMC : EMC = 30 : 40 : 30 의 체적비로 혼합한 혼합 용매에, LiPF6 을 지지염으로서 1.1 ㏖/ℓ 의 비율로 혼합한 전해액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에서 준비된 이차 전지의 전지 용량은, 4.1 V 에서 3.0 V 까지의 방전 용량이 25 Ah 이다. 이차 전지의 초기 저항은 1.53 mΩ 이다.
하이레이트 충방전의 사이클 조건으로서, 25 ℃ 의 온도 환경에 있어서, SOC 90 % 에서 SOC 10 % 까지 정전류에서의 방전과 충전이 반복되었다. 여기에서, 방전시의 전류 레이트는 3 C, 충전시의 전류 레이트는 2 C 가 되었다. 또 사이클 도중에 수시로 저항이 측정되어, 저항의 추이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이차 전지의 초기 저항이 1.92 mΩ 까지 상승한 시점에서 사이클이 정지되고, 소정의 SOC 로 조정되어, 25 ℃ 의 온도 환경에서 방치되었다. 그리고, 방치 중의 저항을 수시로 확인하였다. 여기에서, 저항은 25 ℃, SOC 60 %, 200 A, 10 초 방전의 IV 저항으로서 측정되고 있다. 여기에서, SOC 60 % 로의 조정은, 예를 들어, 25 ℃ 의 온도 환경에서, 1 C 의 전류 레이트에서 SOC 60 % 에 상당하는 미리 정해진 전압이 될 때까지 정전류 충전을 실시하고, 그 후, 1 시간, SOC 60 % 에 상당하는 미리 정해진 전압에서 정전압 충전을 실시하였다.
도 2 에 의하면, 모두 측정 당초의 저항값은 1.92 mΩ 이다. 그래프 A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 SOC (여기에서는, SOC 85 %) 로 조정되어 방치된 경우에서는, 이차 전지의 저항값은, 50 시간이 지나도 0.2 mΩ 정도밖에 낮아지지 않는다. 또한 서서히 저항값이 낮아지고 있어, 더욱 시간이 경과하면, 보다 낮아질 것으로 상정된다. 이에 반하여, 그래프 B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 SOC (여기에서는, SOC 5 %) 로 조정되어 방치된 경우에서는, 최초의 10 시간 정도에서 0.25 mΩ 정도 저하되고, 나아가 대략 25 시간 정도가 경과하면, 1.55 mΩ 정도로 낮아져 안정적이다.
이와 같이, 저 SOC 로 조정되어 방치된 경우에서는, 저항이 낮아지는 속도가 빠르고, 그만큼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의 열화가 조기에 회복된다. 그만큼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의 열화가 회복되는지 여부의 확인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자의 지견에 의하면, SOC 0 % 이상 20 % 이하의 저 SOC 상태로 조정함으로써, 동일하게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의 회복이 조기에 진행된다. 이때, 본 발명자의 지견에 의하면, 전지 열화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높은 온도 환경에서 방치하면 회복이 빨라지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25 ℃ 이상 60 ℃ 이하의 온도 환경에서 방치하면 된다.
여기에서 제안되는 이차 전지의 회복 방법은, 이하의 제 1 처리와 제 2 처리를 포함하고 있다. 도 3 은, 이차 전지의 회복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적절히 도 3 을 참조하면서, 여기에서 제안되는 이차 전지의 회복 방법을 설명한다. 요컨대, 제 1 처리는,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의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 (S11) 이다. 제 2 처리는, 제 1 처리에 있어서,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외 (아니오) 로 판정된 경우에,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를, SOC 0 % 이상 20 % 이하의 미리 정해진 저 SOC 상태로 조정하여, 방치하는 처리 (S12, S13) 이다.
이 회복 방법에 의하면, 염 농도의 불균일에서 기인하는 하이레이트 열화가 발생한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를, 저 SOC 상태로 조정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조기에 회복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염 농도의 불균일에서 기인하는 하이레이트 열화가 발생한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를, 저 SOC 상태로 조정하지 않고 방치하는 경우에 비해 1/4 정도의 시간으로,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의 저항값이 하이레이트 열화가 발생하기 전과 동일한 정도로 저하된다.
이차 전지의 회복 방법은, 제 2 처리에 있어서 방치된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를,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3 처리 (S14) 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제 3 처리 (S14) 에 의하면, 제 2 처리에 의해 방치된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의 입출력 특성이 회복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 처리 (S11) 혹은 제 3 처리 (S14) 에서,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내 (예) 로 판정된 경우에는,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를 이용이 재개되는 상태로 되돌리면 된다 (S16).
이 경우, 예를 들어,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는, 통상 사용에서 이용 가능한 미리 정해진 SOC (예를 들어, 20 % 내지 40 % 정도의 SOC) 로 조정되면 (S15) 된다. 또한, 제 3 처리는, 예를 들어, 제 2 처리에 의해 미리 정해진 기간 방치된 후에 실시되면 된다. 제 3 처리 (S14) 에서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외 (아니오) 로 판정된 경우에는, 예를 들어,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를 이용 불가로 해도 된다 (S17). 도시는 생략하지만, 예를 들어, 제 3 처리 (S14) 에서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외 (아니오) 로 판정된 경우에는, 제 2 처리로 되돌리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2 회째 (혹은, 미리 정해진 복수 회) 의 제 2 처리를 거친 제 3 처리 (S14) 에서,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외 (아니오) 로 판정된 경우에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를 이용 불가로 판정해도 된다.
제 1 처리에서는,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의 입출력 특성의 값이 얻어진다.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의 입출력 특성의 값은, 예를 들어, 저항값으로서 규정할 수 있다. 저항값으로는, 미리 정해진 온도에서, 미리 정해진 SOC 로 조정하고, 소정 시간, 소정의 전류값에 의한 정전류에서 방전했을 때의 저항값을 채용하면 된다. 「SOC」는 State of Charge 의 약어로, 이차 전지의 충전 상태를 의미하고 있다. SOC 는, 이차 전지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는, 미리 정해진 하한 전압에서 상한 전압까지 CCCV 충전으로 충전되는 전기량이 100 이 되고, 하한 전압에서의 충전 상태가 SOC 0 % 가 된다. 그리고, SOC 는, 상한 전압에서의 충전 상태를 SOC 100 % 로 하고, 당해 하한 전압에서 상한 전압까지의 이차 전지에 충전되는 전기량을 기준으로 하여 100 분율로 나타내는 값으로 나타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25 ℃ 의 온도 환경에 있어서, 개회로 전압이 3.0 V 인 상태를 SOC 0 % 로 하고, 4.1 V 인 상태를 SOC 100 % 로 규정하고 있다. 또, 하한 전압과 상한 전압은, 이차 전지의 설계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25 ℃ 의 온도 환경에 있어서, 개회로 전압이 3.0 V 인 상태가 SOC 0 % 가 되고, 4.2 V 인 상태가 SOC 100 % 가 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자의 지견에 의하면, 이차 전지 (10) 의 IV 저항은, 예를 들어, 20 ℃ 이상 25 ℃ 이하 정도의 이른바 상온에서, SOC 45 % 이상 70 % 이하 정도로 조정하면, 열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와 열화된 상태에서 차이가 발생하기 쉽다. 이차 전지 (10) 의 IV 저항은, 열화되지 않은 상태와 열화된 상태에서 차이가 발생하기 쉬운 조건으로,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를 조정하고, 소정의 방전 조건에서 측정되면 된다. 이들을 고려하여 소정의 온도에서, 소정의 SOC 로 조정하고, 소정의 전류값에 의한 정전류에서, 소정 시간, 방전했을 때에 측정되는 IV 저항을 저항값으로 채용하면 된다. 여기에서는, 예시된 전지 용량이 25 Ah 인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대하여, 25 ℃ 에서, SOC 60 % 로 조정하고, 200 A 에서 10 초간 방전했을 때의 IV 저항이 저항값으로서 채용되어 있다. 여기에서, IV 저항을 측정할 때에, 조정되는 SOC 나, 방전 전류의 전류값이나, 방전 시간 등의 측정 조건은, 검사 대상이 되는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의 설계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또, 조전지에 대한 입출력 특성의 값은, 조전지 전체로서 평가해도 되고, 조전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이차 전지에 대해 각각 평가해도 된다.
제 1 처리에 있어서 정해지는 입출력 특성의 값에 대한 기준값은, 예를 들어,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가 사용되는 용도에 따른 적당한 값이 설정되면 된다. 요컨대, 용도에 따라 필요로 되는 입출력 특성의 정도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차량의 주행용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용도로서 사용되는 조전지에서는, 충분한 동력 성능, 충전 성능이 얻어지도록 상당 정도로 높은 전류값에서의 충전과 방전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용도에서는, 입출력 특성에 대하여 정해지는 기준값은 높게 정해진다. 차량의 주행용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용도에서는, 차종에 따라 필요시 되는 조전지의 능력이 상이한 경우가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입출력 특성의 값으로서, IV 저항에 의해 평가되고 있는 경우에는, 저항이 작을 것이 요구된다.
또, 기준값에 대해, 다른 예로서, 입출력 특성의 값이 초기 상태에서의 입출력 특성의 값에 대하여 어느 정도 열화되어 있는지를 입출력 특성의 기준값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입출력 특성이 IV 저항으로 나타나는 경우, 초기 상태에서의 IV 저항의 값에 대하여 1.5 배의 저항값을 기준값으로 설정해도 된다. 이 경우, 제 1 처리에서는, IV 저항이 1.5 배 정도 커졌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또, 조전지에 대해서는, 조전지 전체로서 입출력 특성의 값을 평가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 적당한 기준값이 준비되면 된다. 또, 조전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이차 전지에 대해 각각 입출력 특성의 값을 평가하는 경우에는, 구성하는 이차 전지에 따른 적당한 기준값이 준비되면 된다.
또, 차량 용도에서 사용되고 있던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가, 본 검사 공정 후에, 예를 들어, 축전 시스템용의 전지로서 재이용되는 경우에는, 축전 시스템용의 전지로서 요구되는 입출력 특성에 기초한 기준값을 설정하면 된다. 이와 같이, 제 1 처리 및 제 3 처리에 있어서의 입출력 특성의 기준값에는, 예를 들어, 재이용되는 용도에 따른 기준값을 설정하면 된다.
다음으로, 여기에서 제안되는 이차 전지의 재이용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에서 제안되는 이차 전지의 재이용 방법은, 전형적으로는, 이하의 제 1 처리, 제 2 처리, 제 3 처리, 제 4 처리, 제 5 처리 및 제 6 처리를 포함하고 있다. 이 재이용 방법에서 검사 대상이 되는 이차 전지는, 단일 전지 상태여도 되고, 조전지 상태여도 된다. 또, 조전지를 구성하는 이차 전지를 각각 검사할 수도 있다. 도 4 는, 이차 전지의 재이용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적절히 도 4 를 참조하면서, 여기에서 제안되는 이차 전지의 재이용 방법을 설명한다.
제 1 처리는,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의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하이레이트에서의 충방전이 반복되는 용도에 있어서, 실사용된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가 회수된다 (S21). 그리고, 다음으로,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의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내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S22).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의 입출력 특성의 값은, 미리 정해진 측정 방법으로 측정된 저항값이다.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내인 것은, 측정된 저항값이, 기준값으로서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인 것을 말한다. 또,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외인 것은, 측정된 저항값이, 기준값으로서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높은 것을 말한다. 요컨대, 판정 처리 S22 에 있어서, 여기에서는,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의 저항값이 측정되고, 측정된 저항값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제 2 처리는, 제 1 처리에 있어서,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외 (아니오) 로 판정된 경우에,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를, SOC 0 % 이상 20 % 이하의 미리 정해진 저 SOC 상태로 조정하여 미리 정해진 기간 방치하는 처리이다. 이 경우,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의 열화가 회복될 수 있는 것이면, 조기에 저항이 저하되어 간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10 시간 내지 24 시간 정도 방치한 후에 IV 저항을 측정하면 된다.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처리에 상당하는 판정 처리 S22 에 있어서,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외로 판정된 경우 (아니오) 에,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는 저 SOC 로 조정된다 (S23). 예를 들어, 입출력 특성의 값으로서의 저항값이 기준값으로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에, 저 SOC 로 조정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 미리 정해진 기간 방치되면, 예를 들어, 소정의 온도 조건으로 관리되어 보관되면 된다 (S24).
또한, 차량 용도와 같은 하이레이트에서의 충방전이 반복되는 용도에서, 장기 수명화가 요구되는 용도에서는, 예를 들어, SOC 30 % 이상 70 % 이하 정도의 미리 정해진 SOC 역에서 사용되도록 충방전이 제어되어 있다. 이와 같은 용도에서는, 그 사용 중에 있어서, SOC 0 % 이상 20 % 이하와 같은 저 SOC 역 (예를 들어, SOC 10 % 정도) 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SOC 0 % 이상 20 % 이하와 같은 저 SOC 역에서, 하이레이트에서의 충방전이 반복되면, 활물질의 부담이 커, 열화되기 쉬운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차량 용도에서는, 차량을 주행시킬 때의 통상적인 제어에 있어서,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가 SOC 0 % 이상 20 % 이하의 미리 정해진 저 SOC 상태가 되지 않도록 제어된다. 또, SOC 0 % 이상 20 % 이하의 미리 정해진 저 SOC 상태로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가 조정되어, 장기간 보존되는 일도 없다. 이러한 제 2 처리는, 예를 들어, 차량을 정지시킨 상태, 혹은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를 분리한 상태에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자의 지견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SOC 0 % 이상 20 % 이하의 미리 정해진 저 SOC 상태로 조정하여 보존함으로써,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의 회복이 진행되기 쉽다. 또, 저 SOC 상태로 보존하는 것과 함께, 전지 열화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높은 온도 환경에서 방치하면 회복이 빨라진다. 예를 들어, 25 ℃ 이상 60 ℃ 이하의 온도 환경에서 방치하면 된다.
또, 제 2 처리에서는,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가, SOC 0 % 이상 20 % 이하의 미리 정해진 저 SOC 상태로 조정되어 미리 정해진 기간 방치된다. 여기에서, 방치되는 기간은, SOC 0 % 이상 20 % 이하의 미리 정해진 저 SOC 상태로 조정된 상태에서, 입출력 특성 (여기에서는, 저항) 의 회복을 충분히 기대할 수 있는 시간이 설정되면 된다. 이러한 기간은, 전지의 설계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예를 들어, 10 시간 내지 50 시간 정도, 구체적으로는, 20 시간, 24 시간, 30 시간 정도로 설정하면 된다. 또, 제 2 처리에서는, 전지 열화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보다 낮은 SOC 로 조정되면 되고, 예를 들어, SOC 0 % 이상 10 % 이하 정도 (예를 들어, SOC 2 % 이상 6 % 이하 정도) 로 조정되면 된다.
제 3 처리는, 제 2 처리 후에,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이다. 요컨대, 제 3 처리에서는, 제 2 처리에서, SOC 0 % 이상 20 % 이하의 미리 정해진 저 SOC 상태로 조정되어 미리 정해진 기간 방치된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의 입출력 특성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 3 처리의 일례로서,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 SOC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기간 방치하는 처리 S24 후에,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의 입출력 특성 (여기에서는, IV 저항) 이 측정된다. 그리고,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 (임계값) 의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하면 된다 (S25). 이러한 판정 처리 S25 에서,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의 입출력 특성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내 (예) 로 판정된 경우에는,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가 소요되는 입출력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상태로 회복된 것으로서 처리된다.
제 4 처리는, 제 3 처리에 있어서,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의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외로 판정된 경우에,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를 이용 불가로 판정하는 처리이다.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정 처리 S25 에서,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의 입출력 특성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외 (아니오) 로 판정된 경우에 상당한다. 이 경우에는,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가 소요되는 입출력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상태로 회복되지 않은 것으로 여겨져, 이용 불가로 된다 (S26). 요컨대, 저 SOC 상태로 미리 정해진 기간 방치되더라도,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의 저항이 낮아지지 않아, 소요되는 입출력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상태로 회복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용에 적합하지 않은 상태로서 처리된다.
제 5 처리는, 제 1 처리 또는 제 3 처리에 있어서,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의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내로 판정된 경우에,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를 이용 가능으로 판정하는 처리이다.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정 처리 S25 에서,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의 입출력 특성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내 (예) 로 판정된 경우에 상당한다. 이 경우에는,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가 소요되는 입출력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상태로 회복된 것으로 여겨져, 이용 가능으로 된다. 요컨대, 저 SOC 상태로 미리 정해진 기간 방치된 결과,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의 저항이 저하되어, 소요되는 입출력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상태로 회복된 경우에는, 이용에 적절한 상태로서 처리된다.
제 6 처리는, 제 3 처리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내로 판정된 경우의 처리이다.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정 처리 S25 에서,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의 입출력 특성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내 (예) 로 판정된 경우에,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를 미리 정해진 SOC 로 조정하면 된다 (S27). 요컨대, 제 3 처리 후에는,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가 저 SOC 상태로 조정되어 있거나, 저 SOC 상태로 미리 정해진 기간 방치된 후에 입출력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충방전되어 있거나 한다. 이 때문에,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는, 제 3 처리 후에, 재이용에 적합한 적당한 SOC 로 조정되면 된다. 예를 들어, 차량 용도 등에서는,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가 SOC 20 % 정도로 조정되면 된다.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가 SOC 20 % 정도로 조정됨으로써, 차량에 장착된 후에 시동할 수 있고, 그 후, 소정의 제어를 따라 충전된다. 이와 같이, 재이용에 적합한 적당한 SOC 로 조정되면 되고, 재이용에 적합한 적당한 SOC 로 조정된 후, 실제로 재이용될 때까지, 적당한 조건에서 보관되면 된다 (S28). 여기에서의 보관 조건은, 예를 들어,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소정의 온도로 관리된 냉암소에 두면 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처리에 상당하는 판정 처리 S22 또는 제 3 처리에 상당하는 판정 처리 S25 에서,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가 이용 가능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재이용 공정 (S29) 으로 보내진다. 이와 같이, 여기에서 예시된 재이용 방법에서는, 한번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의 입출력 특성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외로 판정된 경우에,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가 저 SOC 상태로 미리 정해진 기간 방치된다. 이 처리에 의해, 이차 전지 (10) 또는 조전지가 재이용 가능한지를 조기에 판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검사 시간이나 검사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여기에서 제안되는 이차 전지의 회복 방법 및 재이용 방법을 여러 가지 설명하였지만,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여기에서 예시된 실시형태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여기에서는, 이차 전지의 회복 방법 및 재이용 방법은, 복수의 이차 전지에 의해 구성되는 조전지에도 이용될 수 있다. 조전지는, 복수의 이차 전지를 구속한 상태여도 되고, 복수의 이차 전지의 구속을 풀고, 단일 전지 상태에서 적용해도 된다. 또, 예를 들어, 제 2 처리에 있어서, 저 SOC 상태로 조정할 때에는 조전지 상태에서 실시하고, 방치시에는 복수의 이차 전지의 구속을 풀고, 단일 전지 상태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조전지의 경우, 각 처리의 도중 혹은 각 처리 전후에서 복수의 이차 전지의 구속을 풀고, 단일 전지 상태로 해도 된다. 또, 도 3 및 도 4 의 플로차트는 일례에 지나지 않고, 여기에서 제안되는 이차 전지의 회복 방법 및 재이용 방법은, 도 3 또는 도 4 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이차 전지의 회복 방법 및 재이용 방법은, 특히, 하이레이트 열화를 수반하는 용도에 사용된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의 회복 방법 및 재이용 방법으로서 바람직하다. 하이레이트 열화를 수반하는 용도는 차량 용도가 예시되지만, 차량 용도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용도의 이차 전지에 적용될 수 있다.
10 : 이차 전지
11 : 전극체
12 : 케이스
12a : 케이스 본체
12b : 덮개
13, 14 : 전극 단자
13a, 14a : 내부 단자
13a1, 14a1 : 선단부
13b, 14b : 외부 단자
13c, 14c : 코킹 부재
13d, 14d : 개스킷
30 : 안전 밸브
32 : 주액 구멍
33 : 캡재
50 : 정극 시트
51 : 정극 집전박
52 : 노출부
53 : 정극 활물질층
60 : 부극 시트
61 : 부극 집전박
62 : 노출부
63 : 부극 활물질층
72, 74 : 세퍼레이터
80 : 전해액
WL : 권회축
11 : 전극체
12 : 케이스
12a : 케이스 본체
12b : 덮개
13, 14 : 전극 단자
13a, 14a : 내부 단자
13a1, 14a1 : 선단부
13b, 14b : 외부 단자
13c, 14c : 코킹 부재
13d, 14d : 개스킷
30 : 안전 밸브
32 : 주액 구멍
33 : 캡재
50 : 정극 시트
51 : 정극 집전박
52 : 노출부
53 : 정극 활물질층
60 : 부극 시트
61 : 부극 집전박
62 : 노출부
63 : 부극 활물질층
72, 74 : 세퍼레이터
80 : 전해액
WL : 권회축
Claims (5)
- 이차 전지 또는 조(組)전지의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1 처리와,
상기 제 1 처리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외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이차 전지 또는 상기 조전지를, SOC 0 % 이상 20 % 이하의 미리 정해진 저 SOC 상태로 조정하여 방치하는 제 2 처리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의 회복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처리에 있어서 방치된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를, 상기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3 처리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의 회복 방법. - 이차 전지 또는 조전지의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1 처리와,
상기 제 1 처리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외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이차 전지 또는 상기 조전지를, SOC 0 % 이상 20 % 이하의 미리 정해진 저 SOC 상태로 조정하여 미리 정해진 기간 방치하는 제 2 처리와,
상기 제 2 처리 후에, 상기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3 처리와,
상기 제 3 처리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외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이차 전지 또는 상기 조전지를 이용 불가로 판정하는 제 4 처리와,
상기 제 1 처리 또는 상기 제 3 처리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내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이차 전지 또는 상기 조전지를 이용 가능으로 판정하는 제 5 처리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의 재이용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처리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특성의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의 범위 내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이차 전지 또는 상기 조전지를 미리 정해진 SOC 로 조정하는 제 6 처리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의 재이용 방법. -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특성은 저항인, 이차 전지의 재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6174620A JP6478121B2 (ja) | 2016-09-07 | 2016-09-07 | 二次電池の回復処理方法および再利用処理方法 |
JPJP-P-2016-174620 | 2016-09-0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8022A true KR20180028022A (ko) | 2018-03-15 |
KR101963034B1 KR101963034B1 (ko) | 2019-03-27 |
Family
ID=61280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1602A KR101963034B1 (ko) | 2016-09-07 | 2017-09-01 | 이차 전지의 회복 방법 및 재이용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0539627B2 (ko) |
JP (1) | JP6478121B2 (ko) |
KR (1) | KR101963034B1 (ko) |
CN (1) | CN10779983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18154B1 (ko) | 2019-09-05 | 2021-10-27 | 박원성 | 이차전지의 용량 복원 장치 |
JP7321854B2 (ja) * | 2019-09-11 | 2023-08-07 | 株式会社東芝 | 管理装置及び制御システム |
JP7293055B2 (ja) * | 2019-09-11 | 2023-06-19 | 株式会社東芝 | 充放電制御装置、電池パック、車両及び充放電制御方法 |
JP7200954B2 (ja) * | 2020-01-17 | 2023-01-10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二次電池の診断装置及び回復方法 |
EP4156370A4 (en) * | 2020-05-20 | 2024-08-28 | Nissan Motor | RECOVERY CONTROL METHOD FOR SECONDARY BATTERY, RECOVERY CONTROL SYSTEM FOR SECONDARY BATTERY, AND VEHICLE CONTROL SYSTEM |
CN111816938B (zh) * | 2020-07-06 | 2022-01-18 | 安徽绿沃循环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退役电池梯次利用方法 |
JP7242735B2 (ja) * | 2021-03-17 | 2023-03-20 |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再生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257314A (ja) * | 2010-06-10 | 2011-12-22 | Toyota Motor Corp | 二次電池の劣化判定方法および二次電池の制御システム |
JP2012028024A (ja) * | 2010-07-20 | 2012-02-09 | Toyota Motor Corp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容量回復方法 |
JP2013019709A (ja) * | 2011-07-08 | 2013-01-31 | Toyota Motor Corp | 二次電池システム及び車両 |
JP2014006205A (ja) * | 2012-06-26 | 2014-01-16 | Toyota Motor Corp | 二次電池の検査方法 |
JP2016131076A (ja) | 2015-01-13 | 2016-07-2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二次電池の検査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58264A (ja) * | 2002-11-05 | 2004-06-03 | Sony Corp | トレードインバッテリーシステム |
US8617745B2 (en) * | 2004-02-06 | 2013-12-31 | A123 Systems Llc | Lithium secondary cell with high charge and discharge rate capability and low impedance growth |
JP2006100000A (ja) * | 2004-09-28 | 2006-04-13 |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 蓄電設備の保守方法 |
US7429436B2 (en) * | 2005-01-31 | 2008-09-30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Method for determining state of charge of lead-acid batteries of various specific gravities |
JP5319081B2 (ja) * | 2007-05-22 | 2013-10-16 | プライムアースEvエナジー株式会社 | コントローラ付き組電池の製造方法 |
JP5276357B2 (ja) | 2008-05-19 | 2013-08-28 | プライムアースEvエナジー株式会社 | ニッケル−水素二次電池の交換方法 |
JP2010118266A (ja) * | 2008-11-13 | 2010-05-27 | Toyota Motor Corp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内部抵抗低減方法、及び、二次電池システム |
JP5656415B2 (ja) * | 2009-03-26 | 2015-01-21 | プライムアースEvエナジー株式会社 | 二次電池の状態判定装置及び制御装置 |
JP5416612B2 (ja) * | 2010-02-17 | 2014-02-12 | プライムアースEvエナジー株式会社 | 二次電池の再利用方法 |
WO2011118015A1 (ja) * | 2010-03-26 | 2011-09-29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組電池の製造方法 |
JP5519371B2 (ja) * | 2010-03-31 | 2014-06-11 | プライムアースEvエナジー株式会社 | 二次電池の再利用方法 |
WO2011132300A1 (ja) * | 2010-04-23 | 2011-10-27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二次電池の回復方法および二次電池の回復システムとそれを搭載する車両 |
KR20110134019A (ko) * | 2010-06-08 | 2011-12-1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배터리의 셀 열화 진단 방법 |
JP2012038463A (ja) * | 2010-08-04 | 2012-02-23 | Toyota Motor Corp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状態判定方法 |
DE112011105675B4 (de) * | 2011-09-28 | 2018-09-27 |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 Steuervorrichtung und Steuerverfahren für nicht-wässrige Sekundärbatterie |
JP5553177B2 (ja) * | 2011-11-24 | 2014-07-16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二次電池再利用方法、車両駆動電源、及び車両 |
US20130158914A1 (en) * | 2011-12-16 | 2013-06-20 | Chung-Sh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rmaments, Bureau,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 Apparatus for Measuring the State of Charge of a Battery Pack via Measuring an Open Circuit Voltage |
WO2013111186A1 (ja) * | 2012-01-25 | 2013-08-0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制御装置及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回復方法 |
US9018913B2 (en) * | 2012-05-18 | 2015-04-28 | Caterpillar Inc. | System for determining battery impedance |
JP5985280B2 (ja) * | 2012-07-05 | 2016-09-06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検査方法 |
JP6048448B2 (ja) * | 2014-05-22 | 2016-12-2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中古二次電池の再構成品適用判定方法及び組電池再構成品の再構成方法 |
-
2016
- 2016-09-07 JP JP2016174620A patent/JP6478121B2/ja active Active
-
2017
- 2017-09-01 KR KR1020170111602A patent/KR10196303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9-04 CN CN201710784439.1A patent/CN107799837B/zh active Active
- 2017-09-05 US US15/695,193 patent/US10539627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257314A (ja) * | 2010-06-10 | 2011-12-22 | Toyota Motor Corp | 二次電池の劣化判定方法および二次電池の制御システム |
JP2012028024A (ja) * | 2010-07-20 | 2012-02-09 | Toyota Motor Corp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容量回復方法 |
JP2013019709A (ja) * | 2011-07-08 | 2013-01-31 | Toyota Motor Corp | 二次電池システム及び車両 |
JP2014006205A (ja) * | 2012-06-26 | 2014-01-16 | Toyota Motor Corp | 二次電池の検査方法 |
JP2016131076A (ja) | 2015-01-13 | 2016-07-2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二次電池の検査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63034B1 (ko) | 2019-03-27 |
CN107799837B (zh) | 2020-04-24 |
JP2018041615A (ja) | 2018-03-15 |
US10539627B2 (en) | 2020-01-21 |
US20180067168A1 (en) | 2018-03-08 |
CN107799837A (zh) | 2018-03-13 |
JP6478121B2 (ja) | 2019-03-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3034B1 (ko) | 이차 전지의 회복 방법 및 재이용 방법 | |
WO2011007805A1 (ja)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監視システム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監視方法 | |
US10317477B2 (en) | Inspection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condary battery | |
JP5633227B2 (ja) | 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パックの劣化度検出方法 | |
KR101873659B1 (ko) | 비수계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 |
KR101873129B1 (ko) | 비수계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 |
KR20180080914A (ko) | 이차 전지의 저전압 불량 검사 방법 및 장치 | |
US8102155B2 (en) | Discharge controller | |
KR20180071798A (ko) | 이차 전지의 저전압 불량 검사 장치 및 방법 | |
CN109932657B (zh) | 用于电化学电池中软短路的确定和表征的方法 | |
JP2017045621A (ja)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容量回復方法 | |
KR101811952B1 (ko) | 재이용 가능한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의 선별 방법 | |
KR101690497B1 (ko) |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의 설계 방법 | |
JP5122899B2 (ja) | 放電制御装置 | |
US20230402666A1 (en) |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energy storage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 |
WO2021186781A1 (ja) | 容量回復装置、容量回復方法および二次電池システム | |
JP2018120758A (ja) | リチウムイオン電池及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システム | |
JP2014060009A (ja) | 非水電解質電池の製造方法、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および非水電解質電池の使用方法 | |
US20230176134A1 (en) | Method for inspecting nonaqueous electrolyte rechargeable battery | |
JP7025715B2 (ja) |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の再利用方法 | |
KR20160113571A (ko) |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의 설계 방법 | |
JP2023096944A (ja) |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の検査方法 | |
CN114600334A (zh) | 蓄电装置、以及蓄电元件的劣化抑制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