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7950A - 특히 최미세 분할용 편물 공구 - Google Patents
특히 최미세 분할용 편물 공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97950A KR20080097950A KR1020080041433A KR20080041433A KR20080097950A KR 20080097950 A KR20080097950 A KR 20080097950A KR 1020080041433 A KR1020080041433 A KR 1020080041433A KR 20080041433 A KR20080041433 A KR 20080041433A KR 20080097950 A KR20080097950 A KR 200800979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nitting
- tool
- knitting tool
- section
- b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0—Driving devices for thread-carrier rod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6—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arp knitting machin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06—Needle bars; Sinker bar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특히 미세 분할 영역을 얻기 위하여 명시적으로 설계된 편물 바늘 또는 다른 편물 공구(2)는 좁은 작용 섹션(4) 및 넓은 지지 섹션(5)을 가지며, 이에 의해서 지지 섹션(5)에는 예를 들어, 슬릿(12) 형태를 가지거나 또는 리브(32) 형태를 가지는 위치설정 수단(11)이 제공된다. 편물 공구(2)는 바아(1)의 측부 상에 홈(33) 또는 돌출부(32) 형태의 고정 수단(29)과 연관된다. 이 측정으로 인하여, 편물 공구(2)의 지지 섹션(5)은 - 서로 인접하면서 - 서로로부터 최소 거리에 있거나 또는 서로 접촉하게 배열되므로, 지지 섹션(5)을 구성하기 위하여, 최대 횡단 섹션이 이용가능하다. 이것은 비록 매우 미세한 분할 영역의 경우에도 편물 공구(2)에 대해서 강한 안전성을 제공하며 그리고 동시에 정확한 정렬 상태를 제공하고 분할 에러를 피할 수 있다.
편물 바늘, 좁은 작용 섹션, 지지 섹션, 슬릿, 리브, 위치설정 수단, 바아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구에 관한 것이며, 직물기 특히 편물기의 바아 적재용 편물 공구에 관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편물 공구는 니트 상품(knit goods)의 제조용 공구, 특히 편물 바늘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된다.
직물 기계, 즉 편직기(tufting machine), 스티치 접착기(stitch bonding machine) 또는 편물기는 평탄한 직물 구조를 제조하기 위한 공구들을 갖는 바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구는 상기 기계 또는 유사 직물기의 바아(bar)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대체로, 직물기는 많은 편물 공구 즉, 서로에 대해서 평행하게 정렬되는 바늘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아를 포함한다. 여기서, 바아는 편물 공구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방형 캐리어이고 소정 운동을 실행한다. 여기서, 캐리어에 안착된 모든 편물 공구는 동일 운동을 실행한다.
편물 공구는 서로에 대해서 특정 거리에서 바아 상에 고정된다. 상기 거리는 분할 영역을 결정한다. 분할 영역에 대한 측정은 인치 당 편물 공구의 수에 관 하여 표현된 소위 미세도(fineness)이다. 미세도 (게이지) E40은 인치 당 40 바늘을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바아는 각 편물 공구용 슬릿(slit)을 가지며, 이에 의해서 편물 공구가 고정되고 상기 슬릿에서 제위치에 체결된다. 이 개념을 이용하여, E40 내지 E44의 미세도 또는 게이지가 얻어질 수 있다. 높은 미세도를 고려할 때, 상기 개념은 한계가 있다. 슬릿들 사이에 제공된 스트립 벽 및/또는 공구 샤프트는 매우 얇아서 더 이상 기계적 요구사항을 지탱할 수 없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목적은 편물기의 편물 공구에 대한 개선된 개념을 확립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특히 높은 미세도가 얻어지는 개념을 확립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0에 따른 편물기 뿐 아니라 청구항 1에 따른 편물 공구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편물 공구는 그 몸체에서 위치설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편물 공구가 상기 위치설정 수단으로써 사전 규정된 분할 영역과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위치설정 수단은 현재까지 불필요한 스트립 벽들이 편물 공구들 사이에 제공되게 한다. 상기 위치설정 수단은 공구 샤프트의 수용을 위해서 초기 에 필요한 채널 또는 스트립 벽들과는 독립적으로, 편물 공구를 바아 상에 위치설정한다. 이 결과로, 스트립 벽들에 대해서 초기에 사용된 공간이 베어링 섹션들을 생성하는 그 공구 샤프트 또는 편물 공구 몸체들의 두께에 대해서 지금은 사용가능하다. 편물 공구의 강도 또는 경도와 연관됨 문제점들이 발생하지 않고, 예를 들어, E50의 매우 높은 미세도가 얻어질 수 있다.
편물 공구에 제공된 위치설정 수단은 상기 공구의 횡방향에 대한 특정 위치로 편물 공구를 이동시켜서 상기 공구를 상기 위치에서 고정시키기 위하여 배치된다. 위치설정 수단은 적당한 컷아웃(cutout), 예를 들어, 몸체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으로 실행될 수 있다. 그때, 상기 슬릿은 양호하게는, 바아 상에 제공된 돌출부 또는 스트립 주위로 연장된다. 상기 돌출부는 바아와 단일 부재로 구성되거나 또는 다른 방안으로는 바아 안으로 세팅된 스트립으로 제공될 수 있다. 횡단면에서 볼 때, 상기 경우의 편물 공구는 위치설정 수단의 영역에서 U 프로파일을 가지며, 상기 U 프로파일은 상기 편물 공구를 돌출부 상에 안착시키기 위하여 배치된다. 이 과정에서, 돌출부의 상부 좁은 측부는 슬릿 바닥과 접촉할 수 있다. 다른 방안으로, 편물 공구의 레그들의 면들은 돌출부에 이웃한 양 측부 상의 바아에 안착될 수 있다. 돌출부의 상부 좁은 측부는 그때 위치설정 수단의 바닥 또는 베이스로부터 거리를 두고 위치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설정 수단은 몸체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는 몸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로서 제공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상기 리브는 몸체의 좁은 측부 상에 위치한다. 바 아는 상기 홈에 끼위지는 리브를 위한 홈을 가진다. 양호하게는 바아에는 여러 개의 홈이 제공되며, 상기 홈은 서로에 대해서 평행하게 정렬되어서 바늘의 분할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홈들은 지지 섹션 또는 공구 샤프트 보다 좁다. 상기 홈은 단지 리브들을 수용하는 용도로만 사용된다.
편물 공구의 위치설정 수단이 몸체 상에서 슬릿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바아 상에 제공된 스트립들은 편물 공구의 분할 영역을 결정한다.
두 경우 모두에 있어서, 편물 공구들 사이에는 스페이서, 슬릿 벽 또는 다른 요소들이 제공되지 않는다. 오히려, 인접 편물 공구의 평탄측부들은 서로 대면하며, 좁은 슬릿들을 제한하거나 또는 상당한 압력 없이 서로 접촉한다. 결과적으로, 공구 샤프트들 또는 지지 섹션들 사이의 분할 영역의 전체 거리는 채워짐으로써, 상기 공구 샤프트들 또는 지지 섹션들은 비록 매우 미세한 분할 영역에서도 높은 경도를나타낸다. 또한, 몸체들은 횡방향으로 서로 지지되므로, 추가로 경도에 기여한다.
양호하게는, 적어도 스티치 형성 섹션(stitch forming section)의 영역에서, 편물 공구들은 바아에 홀딩(holding)된 지지 섹션들의 폭 보다 작은 폭을 가진다. 여기서, 폭은 편물 공구에 대해서 종방향에 대한 횡방향으로 스티치 형성 섹션 또는 각 지지 섹션의 측면들의 거리로 해석되어야 한다. 횡방향은 바아의 종방향에 대해서 평행하게 연장된다. 그러나, 약간 크거나 또는 지지 섹션과 동일 폭을 가지는 스티치 형성 섹션을 구비한 편물 공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바아가 다른 공간 방위의 스티치 형성 섹션을 구비한 편물 공구에 교대로 적재될 때, 즉 스 티치 형성 섹션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그리고 하향으로 경사지게 교대로 지향할 때, 가능하다.
편물 공구가 바늘이라면, 스티치 형성 섹션은 예를 들어 후크 단부에서 종결되는 샤프트를 가질 수 있다. 샤프트는 균일한 높이 또는 다른 높이를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높이는 각 바늘의 종방향에 대해서 수직으로 측정된다. 슬릿은, 예를 들어, 슬라이더가 샤프트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는 다른 바아에 홀딩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는 바늘과 동일 원리에 따라서 구성되고 바아에서 홀딩될 수 있다. 스티치 형성을 위해 사용되는 슬라이더, 바늘 및 기타 요소들은 청구범위에 규정된 바와 같이 편물 공구들이다.
본 발명의 추가 상세한 구성들은 도면,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의 핵심 형태 및 상세 구성으로 제한된다. 도면은 추가 상세 구성을 도시하며 보충 참조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비록 매우 미세한 분할 영역의 경우에도 편물 공구에 대해서 강한 안전성을 제공하며 그리고 동시에 정확한 정렬 상태를 제공하고 분할 에러를 피할 수 있다.
도 1은 편물기의 바아(1)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바늘(3)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경우의 편물 공구(2)가 도시된다. 바늘(3)은 서로 옆에 평행 정렬 상태로 고 정된다. 도 2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편물 공구(2)는 작용 섹션(4) 및 지지 섹션(5)을 가진다. 작용 섹션(4)은 스티치 형성 영역, 즉 스티치 형성 섹션(stitch-forming section)을 가진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작용 섹션(4)은 지지 섹션(5) 보다 좁다. 즉, 작용 섹션이 지지 섹션 보다 넓지 않다. 여기서, 폭은 횡방향(Q)으로 측정되며, 상기 횡방향은 바아(1)의 종방향에 대응하고 각 편물 공구의 종방향(L)에 대해서 직각이다. 작용 섹션(4)의 좁은 폭으로 인하여, 비록 지지 섹션(5)이 서로에 대해서 매우 인접하거나 또는 평탄한 그 측면(7,8)이 서로 접촉할 때에도, 인접 편물 공구(2)의 작용 섹션(4) 사이에서 적절한 갭(6) 또는 자유 공간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좁은 갭(9)이 인접 측면(7,8)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이 갭은 수 ㎛에서 1/10mm까지의 영역의 크기를 가지며; 선택적으로 더 클 수도 있다. 양호하게는, 갭(9)은 비어있는데, 즉, 개방되어 있다. 개별적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갭에 예를 들어, 탄력적이거나 또는 가소성의 탄성 댐핑 소자 등과 같은 추가 소자를 배열하는 것이 실용적일 수 있다. 그러나, 어느 경우에도, 편물 공구(2)의 분할 영역을 한정하거나 또는 미리 특정한 갭(9)의 소자들은 없다. 분할 영역은 인접 편물 공구(2)의 중심 대 중심 거리(T)에 의해서 표현된다. 미세도 E가 높거나(게이지) 또는 클수록, 분할 영역(T)이 작아진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분할 영역(T)은 즉 0.5mm(대략 E50)이다. 상기 분할 영역을 유지관리하기 위하여, 편물 공구(2)의 몸체(10)는 도 4에서 더욱 명확한 바와 같이 위치설정 수단을 구비한다. 위치설정 수단(11)은 슬릿(12)으로 구성되고 종방향(L)으로 연장 되는 컷아웃으로 나타나며, 상기 슬릿은 지지 섹션(5)의 바늘의 상부측, 하나의 좁은 측부(13)에서 몸체(10) 안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슬릿(12)은 양호하게는 지지 섹션(5)으로 제한된다. 후크(14)를 구비한 편물 공구(2)의 단부측 작용 섹션(4)은 예를 들어, 바아(1)로부터 돌출하고 이와 같이 위치설정 수단을 수용하지 않는다. 상기 섹션은 예를 들어 슬라이더(도시생략)를 수용하도록 배치되고 스티치 형성 시스템의 일부인 슬릿(15)을 구비할 수 있다.
편물 공구(2)의 위치설정을 위해서, 바아(1)는 지지 섹션(5)의 좁은 측부(13)와 접촉하는 양호하게는 평탄한 지지면(16)을 가진다. 돌출부(17)는 상기 지지면(16)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트립(18)으로 나타난다. 도 5에서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상기 스트립 폭은 양호하게는 두개의 평행한 평탄 측부(19,20)에 의해서 제한된다. 상기 스트립의 높이는 두개의 좁은 측부(31,36)에 의해서 제한된다. 스트립(18)은 바아(1)의 접촉면(16)에 제공된 홈(21)에 세팅된다. 여기서, 스트립(18)의 좁은 측부(36)는 바늘 바아(1)와 상호작용하며 스트립(18)에 대한 접촉면으로 작용한다. 편물 공구(2)의 지지 섹션(5)의 슬릿(12)은 스트립(18) 주위로 연장된다. 여기서, 스트립(18)의 높이는 바늘 바아로부터 멀리 향하는 좁은 측부(31)가 슬릿(12)의 바닥(35)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열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슬릿(12)을 제한하고 레그(22,23)로 구성되는 두개의 플랭크(flank)는 스트립(18)의 평탄 측부(19,20)에서 양호하게는 최소 유극(play)으로 또는 유극없이 접촉하므로 종방향(L)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편물 공구(2)를 위치시킨다. 좁은 측부(13)는 슬릿(12)에 의해서 두개의 부분면(13a,13b) 으로 분할되고, 상기 부분면은 지지면(16)과 접촉하며 지지면(16)에서 편물 공구(2)를 정렬시킨다.
도 1 및 도 4에서 더욱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편물 공구(2)는 지지면(16)에 대해서 클램프 스트립(clamp strip;24)에 의해서 인장된다. 예를 들어, 클램프 스트립(24)은 완충 요소를 통해서 후방 측부 즉, 편물 공구(2)의 좁은 측부를 향하여 가압된다.
또한, 발형상체(27)가 지지 섹션(5)에 제공될 수 있는데, 상기 발형상체(27)는 양호하게는 슬릿(12)을 가지는 지지 섹션(12)의 좁은 측부(13)로부터 이격되게 연장된다. 상기 발형상체(27)는 바아(1)를 따라서 횡방향(Q)으로 연장되는 축방향 위치설정 홈(28)에 끼워진다.
홈(12) 형태의 위치설정 수단(11)이 지지 섹션(5)의 큰 부분에 대해서 연장된다. 단일의 평행 플랭크형 슬릿(12)을 대신하여, 대응하게 작은 돌출부(17)(도시생략)와 연관된 두개의 짧은 연속 슬릿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슬릿(12)은 반드시 평행 플랭크들을 가질 필요는 없다. 직사각형 횡단면을 대신하여, 슬릿(12) 및 스트립(18)이 기준에서 벗어난 횡단면 즉, 사다리꼴 횡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서로에 대한 크기는 슬릿(12)의 플랭크들이 스트립(18)에 의해서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방식 즉, 서로에 대해서 멀리 굽혀지는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 방식에서, 지지 섹션은 전체적으로 유극 없이 위치설정된다. 슬릿 벽들의 탄성의 결과로 인하여, 제조 오차를 보상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18)의 윤곽부(contour)는 편물 공 구(2)의 부분적인 위치설정 또는 측방향 안내를 간단하게 행하기 위하여 양호하게는 슬릿(12) 보다 작으며, 한편 축방향 위치설정은 발형상체(27)에 의해서 독점적으로 달성된다. 돌출부(17)는 정확한 분할 영역에서 바아(1)에 배열된다. 그러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변형 구성에서 각각 바늘 분할 영역 또는 편물 공구 분할 영역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29)으로 나타난다.
적당한 분할 영역의 조정은 고정 수단(29)과 위치설정 수단(11)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달성된다. 일련의 추가 변형 구성에서 - 수개의 변형 구성은 하기에 보기로서 언급되며- 상기 수단에 대해서 고려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수단(29)은 바아(1)의 지지면(16)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고 그 일부인 스트립형 돌출부(30)로써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30)는 바아(1)를 갖는 단일 부재(one piece)로 시임없이(seamlessly) 연결된다.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돌출부들 사이에 최초에 제공된 재료가 지지면(16)을 생성하기 위하여 제거될 때 생성될 수 있다. 돌출부(30)는 슬릿(12)의 바닥(35)과 접촉하는 스트립형 위치설정면(31) 형태의, 지지면(16)과 평행한 단부측 좁은 측부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부분면(13a,13b)은 지지면(16)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지지면 위의 최소 거리에서 떠있다. 바아(1)의 돌출부(30)의 위치설정면(31)과 편물 공구(2)의 바닥(35)의 상호작용의 결과로써, 편물 공구(2)의 작용 섹션(4)의 후크(14)의 높이가 고정된다. 고품질의 편물 상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작용 높이가 바늘 바아(1)의 모든 설치된 편물 공구(2)에 대해서 동일한 것이 필요하다. 도 6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바아(1)의 모든 위치 설정면(31)의 균일한 높이는 상기 위치설정면들이 하나의 처리 단계에서 함께 가공된다는 점에서, 단순한 공지된 제조 수단으로 즉, 기계 가공(연삭가공 또는 밀링 가공)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편물 공구(2)의 위치설정은 분할 영역을 위치설정 수단(11) 및 고정 수단(29)에 의해서 수직 방향(V)에 대해서 뿐 아니라, 횡방향(Q)으로 고정하는 것에 대해서 명시되어 있다.
도 5에 따른 스트립(18)의 크기는 후크(14)의 작용 높이가 도 6에 따른 예시적인 몸체에서와 같이 고정되는 방식으로 한정될 수 있다. 그때, 슬릿(12)의 바닥(35)과 상호작용하는 스트립(18)의 위치설정면(31)은 상기 슬릿과 접촉하므로 작용 섹션(4)의 높이를 한정한다. 바아(1)의 지지면(16)은 그때 편물 공구(2)의 좁은 측부(13)로부터 거리를 두고 위치한다.
도 7에 따라서, - 다른 방식으로 도 6에 따른 편물 공구(2) 및 바아(1)의 동일 구성으로 - 부분면(13a,13b)이 지지면(16)에 대해서 접촉하는 방식으로, 돌출부들(30)을 슬릿(12)의 크기에 대해서 크기설정할 수 있다. 돌출부(20)의 단부측 제한부 즉, 좁은 측부(31)가 그때 슬릿(12)의 바닥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위치한다. 지지면(16)은 그때, 특히 스티치 형성 섹션(4)을 위치설정하기 위하여 편물 공구(2)를 위치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바아(1)의 지지면(16)과 편물 공구(2)의 좁은 측부(13)의 상호작용의 결과로써, 편물 공구(2)의 작용 섹션(4)의 후크(14)의 높이는 고정된다. 이상적인 경우에, 상기 작용 높이는 바늘 바아에 사용되는 모든 편물 공구(2)에 대해서 동일하다.
도 8은 다른 변형 구성을 도시한다. 이 경우, 위치설정 수단(11)은 지지 섹 션(5)의 낮은 좁은 측부(13)로부터 돌출하는 양호하게는 종방향 연장 리브(32)에 의해서 구현되고, 상기 리브는 측방향 표면(7,8) 사이의 거리로 측정되는 지지 섹션(5)의 폭 보다 좁다. 리브(32)는 바아(1)에 제공되는 홈(33)과 결합하고 고정 수단(29)으로 구현된다. 다시, 인접 편물 공구(2)의 인접 지지 섹션은 서로 옆에 인접 배열되며 최소의 갭(9)을 남겨둔다. 도 9 및 도 10은 다시 바늘(3)로 구성된 편물 공구(2)의 다른 변형 구성을 도시한다. 다시, 상기 바늘은 위치설정용으로 사용되고 좁은 측부(13)에서 연장되는 슬릿(12)을 그 몸체에 구비하며, 상기 슬릿은 본 경우에 모서리가 둥근 바닥을 가진다. 도 10에서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작용 섹션(4)은 지지 섹션(5) 보다 좁다. 후크(14)의 영역은 다시 더 좁다. 작용 섹션(4)의 중심은 지지 섹션(5)의 중심에 대해서 평행하게 오프셋된다. 이 결과로, 한 측면(7)이 연속되고, 측면(8)은 작용 섹션(4)에서 지지 섹션(5)까지 변이부로 표시되는 계단부를 가진다. 후크(14)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슬라이더를 수용하도록 배치되는 슬릿(15)이 지지 섹션(5) 안으로 어느 정도 연장될 수 있다. 그것은 편물 공구(2)를 위치설정하는데 중요하지 않다.
각각의 상기 보기의 경우에 있어서, 작용 섹션(4) 및 지지 섹션(5)은 정렬된다; 그러나, 상기 섹션들은 도 10에 따라 서로에 대해서 평행하게 오프셋될 뿐 아니라, 서로에 대해서 각도있게 배열될 수 있다. 작용 섹션(4)은 임의의 원하는 방향으로 백조목형(swan necked)으로 형성될 수 있다. 편물 공구의 작용 섹션(4)은 편물 공구(2)의 스티치 형성 영역을 포함하며 적용 상황에 따라서 다른 길이들을 가질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영역(4)의 일 단부는 바늘(3), 후크(14)로서 구성될 경우, 편물 공구(2)의 단부를 포함하며; 스티치 형성 영역(4)의 타단부는 적용상황에 따라서 상기 지지 섹션(5)에서 또는 지지 섹션(5)의 경계부에서 정확하게 종결될 수 있다. 지지 섹션들(5) 사이로 연장되는 중간벽없이 편물 공구(2)가 위치설정하는 원리로 인하여 작용 섹션(4)의 구성과는 무관하게 상기 장점을 얻을 수 있다.
편물 공구(2)의 스티치 형성 섹션(4)의 규정되고 개선된 위치설정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설정은 스트립(18)으로부터 뿐 아니라 지지면(16)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하여, 편물 공구(2)는 양호하게는 지지 섹션(5)에서만, 발형상체(37,38)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발형상체는 원하는 바늘 높이로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축방향 위치설정은 발형상체(27)에 의해서 실행되기 때문에, 상기 발형상체(37,38)는 양호하게는 축방향 위치설정을 위해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발형상체(37,38)는 상기 표면의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바아(1)의 표면(16)에 제공되는 홈(39,40) 안으로 연장된다. 상기 실시예의 장점은 최소 복잡성의 제조공정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 높은 제조 정밀도이다. 금속 컷팅 용적(volume)은 두 홈(39,40)의 제조 시에 최소이다. 홈의 제조 시에 사용된 공구들의 마모 정도와 홈 바닥의 크기 부정확도는 대응하게 낮아진다.
특히 미세 분할 영역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된 편물 바늘 또는 다른 편물 공구(2)는 좁은 작용 섹션(4)과 넓은 지지 섹션(5)을 가짐으로써, 지지 섹션(5)은 위치설정 수단(11), 예를 들어 슬릿(12) 또는 리브(32)를 구비한다. 편물 공구(2)는 바아(1)의 측부 상의 홈 또는 돌출부(17) 형태의 고정 수단(29)과 연관 된다. 이 조치로 인하여, 편물 공구(2)의 지지 섹션(5)은 서로 인접하게, 서로 접촉 상태에서 또는 서로로부터 최소 거리를 두고 바아(1)에서 배열될 수 있으므로, 지지 섹션(5)에 대해서 최대 횡단면이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 매우 미세한 분할 영역의 경우에도 - 편물 공구(2)에 대해서 강한 안정성을 제공하며, 동시에 정확한 정렬을 제공하고 분할 에러를 피한다.
도 1은 수개의 후크형 바늘을 갖는 바아의 일반적인 배열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바아의 평면도.
도 3은 클램프 스트립을 제거한 도 1에 따른 바아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바아의 부분 섹션의 수직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바아의 V-V 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에 대응하는 바늘 및 바아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의 단면도에 대응하는 바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바아 및 편물 공구의 다른 실시예의 도 5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늘의 변형 실시예의 측면도.
도 10은 도 9에 따른 본 발명의 바늘의 평면도.
도 11은 편물 공구 및 바아의 다른 실시예의 도 4에 따른 단면도.
Claims (10)
- 직물기 특히, 편물기 적재용 편물 공구로서,소정 분할 영역(T)과 일치되게 편물 공구(2)를 위치시키기 위한 위치설정 수단(11)을 포함하는 몸체(10)를 구비한, 편물 공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위치설정 수단(11)은 상기 몸체(10)에 제공된 컷아웃(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공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위치설정 수단(11)은 상기 몸체(10)에 제공되고 상기 몸체의 종방향(L)으로 연장되는 슬릿(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공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위치설정 수단(11)은 상기 몸체(10)에 제공된 돌출부(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공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위치설정 수단(11)은 상기 몸체(10)에 제공되고 상기 몸체의 종방향(L) 으로 연장되는 리브(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공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위치설정 수단(11)은 상기 몸체(10)의 좁은 측부(13)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공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몸체는 상기 위치설정 수단(11)이 제공되는 지지 섹션(5)을 가지며 또한 스티치 형성 섹션(4)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공구.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지지 섹션은 상기 스티치 형성 섹션(4)의 폭을 초과하는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공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몸체(10)는 상기 편물 공구(2)의 종방향 위치설정을 위한 발형상체(27)를 가지며, 상기 발형상체는 상기 위치설정 수단(11)의 인근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공구.
-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편물 공구(2)의 수용을 위한 바아(1)를 포함하는 편물기로서,상기 바아(1)는 바늘 분할 영역을 한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29)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위치설정 수단(11)에 대해서 상호보완적이 되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07008923.0 | 2007-05-03 | ||
EP07008923A EP1988199B1 (de) | 2007-05-03 | 2007-05-03 | Wirkmaschinenwerkzeug, insbesondere für feinste Teilu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97950A true KR20080097950A (ko) | 2008-11-06 |
KR100991682B1 KR100991682B1 (ko) | 2010-11-04 |
Family
ID=38566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41433A KR100991682B1 (ko) | 2007-05-03 | 2008-05-02 | 특히 최미세 분할용 편물 공구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7878028B2 (ko) |
EP (1) | EP1988199B1 (ko) |
JP (3) | JP2008274539A (ko) |
KR (1) | KR100991682B1 (ko) |
CN (1) | CN101302680B (ko) |
DE (1) | DE502007001850D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27406A (ko) * | 2015-04-14 | 2018-03-14 |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 슬라이더 스프링, 슬라이더, 슬라이더 니들, 안내 배열체, 및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 스프링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
KR20180072694A (ko) * | 2015-10-28 | 2018-06-29 | 미쉘 스타크 | 안내 채널 및 안내 채널에서 안내되는 편직 요소를 지닌 편직 기계 |
KR20200002566A (ko) * | 2018-06-29 | 2020-01-08 |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 편성 도구 및 편성 도구의 제조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045385B1 (de) * | 2007-10-02 | 2010-04-21 |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 Wirkwerkzeuganordnung und Wirkwerkzeug |
EP2719800B1 (en) | 2011-06-09 | 2018-03-21 | Tokyo Stainless Grinding Co., Ltd. | Method for producing steel |
JP2013243100A (ja) | 2012-05-23 | 2013-12-05 | Ushio Inc | ショートアーク型放電ランプ |
EP2942429B1 (de) * | 2014-05-07 | 2016-12-07 |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 Wirknadel und nadelbarre |
EP3009550B1 (de) * | 2014-10-14 | 2019-03-13 |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 Wirknadel und Nadelbarre |
PT3418434T (pt) * | 2017-06-19 | 2019-06-11 | Groz Beckert Kg | Ferramenta de tricotar à máquina, em particular, agulha de tricotar à máquina |
EP3702504B1 (de) * | 2020-06-30 | 2022-09-07 | KARL MAYER STOLL R&D GmbH | Kettenwirkmaschine, schiebernadelanordn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lastischen wirkware |
Family Cites Families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610511C (de) * | 1933-06-01 | 1935-03-12 | Internationaler Maratti Maschi | Flache oder runde Strick-, Wirk- oder aehnliche Maschine |
GB788764A (en) * | 1955-02-23 | 1958-01-08 | Karl Mayer Erste Hessische Wir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needle bars for warp knitting machines |
US2913888A (en) * | 1957-07-22 | 1959-11-24 | Roy C Amidon | Warp knitting method, machine and needle therefor |
DD63840A1 (de) * | 1967-09-14 | 1968-09-20 | Fery Heilmann | Anordnung der Hakennadeln einer Gruppe von Schiebernadeln an einem Halter |
DE1760139B1 (de) * | 1968-04-09 | 1970-07-16 | Liebrandt Karl | Halterung von Wirkwerkzeugen |
DE2004726A1 (en) * | 1970-02-03 | 1971-08-12 | Brunzel, Johannes Norbert Paul, 4000 Dusseldorf Oberkassel | Positioning and fastening unit for tuftingel |
DD105976A3 (ko) * | 1971-06-23 | 1974-05-20 | ||
US3823581A (en) * | 1973-02-02 | 1974-07-16 | C Russo | Knitting machine needle holder |
GB1419229A (en) * | 1974-01-15 | 1975-12-24 | Mayer Textilmaschf | Warp knitting machines with sliding tongue needles |
JPS51147650A (en) | 1975-06-06 | 1976-12-18 | Youichi Inamoto | Device for supporting and guiding knitting needle in knitting machine |
JPS5258184U (ko) * | 1975-10-25 | 1977-04-27 | ||
DE2655269C2 (de) * | 1976-12-07 | 1982-04-01 | Liba Maschinenfabrik Gmbh, 8674 Naila | Nadelbarre für Kettenwirkmaschine |
US4157690A (en) * | 1977-03-16 | 1979-06-12 | Edgar Pickering (Blackburn) Limited | Needle bar for a tufting machine |
DD140767B1 (de) * | 1978-08-21 | 1980-12-10 | Heinz Lindner | Kettenwirkmaschine,insbesondere haekelgalonmaschine zur herstellung jacquardgemusterter polschlingengewirke |
DD159184A1 (de) | 1981-05-29 | 1983-02-23 | Andreas Hering | Fassung zur halterung der wirknadeln an kettenwirkmaschinen |
DE3244014A1 (de) * | 1982-11-27 | 1984-05-30 | Johann 7071 Alfdorf Berger | Haekelwerkzeuge zur herstellung von baendern auf einer haekelgalonmaschine |
DE3420693A1 (de) * | 1984-06-02 | 1985-12-05 | Johann 7071 Alfdorf Berger | Einspannvorrichtung fuer haekelnadeln |
DE3509214A1 (de) * | 1985-03-14 | 1986-09-25 | Liba Maschinenfabrik Gmbh, 8674 Naila | Nadelbarre einer kettenwirkmaschine |
DE4131809A1 (de) * | 1991-09-24 | 1993-03-25 | Berger Gmbh | Vorrichtung zum einspannen und fuehren von haekelnadeln fuer eine haekelmaschine |
US5295450A (en) * | 1992-05-01 | 1994-03-22 | Card-Monroe Corp. | Tufting machine with self-aligning gauging modules |
DE4237084C2 (de) * | 1992-11-03 | 1995-04-13 | Mayer Textilmaschf | Wirknadelanordnung und zugehörige Wirknadel |
DE4414703C2 (de) * | 1994-04-14 | 1996-09-19 | Liba Maschf | Wirknadel für eine Kettenwirkmaschine |
DE4421388C2 (de) * | 1994-06-18 | 1996-04-18 | Mayer Textilmaschf | Nadelbefestigungsvorrichtung für Wirkmaschinen |
DE29506820U1 (de) * | 1995-04-28 | 1995-07-06 | Groz-Beckert KG, 72458 Albstadt | Barre mit Modulen für Tuftingwerkzeuge (I) |
US6925841B2 (en) * | 2003-06-26 | 2005-08-09 | Chima, Inc. | Closing element assembly for compound needles used in knitting machines |
DE102006004098B3 (de) * | 2006-01-28 | 2007-09-06 |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 Barre einer Wirkmaschine |
-
2007
- 2007-05-03 EP EP07008923A patent/EP1988199B1/de active Active
- 2007-05-03 DE DE502007001850T patent/DE502007001850D1/de active Active
-
2008
- 2008-05-02 JP JP2008120387A patent/JP2008274539A/ja active Pending
- 2008-05-02 KR KR1020080041433A patent/KR10099168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8-05-04 CN CN2008100928560A patent/CN101302680B/zh active Active
- 2008-05-05 US US12/149,584 patent/US7878028B2/en active Active
-
2012
- 2012-02-07 JP JP2012023846A patent/JP2012117198A/ja active Pending
-
2013
- 2013-07-12 JP JP2013146356A patent/JP6082668B2/ja active Active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27406A (ko) * | 2015-04-14 | 2018-03-14 |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 슬라이더 스프링, 슬라이더, 슬라이더 니들, 안내 배열체, 및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 스프링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
KR20180072694A (ko) * | 2015-10-28 | 2018-06-29 | 미쉘 스타크 | 안내 채널 및 안내 채널에서 안내되는 편직 요소를 지닌 편직 기계 |
KR20200002566A (ko) * | 2018-06-29 | 2020-01-08 |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 편성 도구 및 편성 도구의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302680B (zh) | 2011-01-12 |
EP1988199A1 (de) | 2008-11-05 |
JP2008274539A (ja) | 2008-11-13 |
JP2012117198A (ja) | 2012-06-21 |
CN101302680A (zh) | 2008-11-12 |
US7878028B2 (en) | 2011-02-01 |
JP2013237966A (ja) | 2013-11-28 |
US20080271497A1 (en) | 2008-11-06 |
KR100991682B1 (ko) | 2010-11-04 |
DE502007001850D1 (de) | 2009-12-10 |
EP1988199B1 (de) | 2009-10-28 |
JP6082668B2 (ja) | 2017-0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91682B1 (ko) | 특히 최미세 분할용 편물 공구 | |
USRE37108E1 (en) | Tufting machine with self-aligning gauging modules | |
US7716955B2 (en) | Sinker set for the manufacture of plush | |
US7726156B2 (en) | Sinker for knitting system and knitting system showing reduced wear | |
US7624599B2 (en) | Knitting tool for a knitting machine | |
KR100979088B1 (ko) | 편직기용 공구 세트 및 바 | |
KR100859110B1 (ko) | 편물바늘 및 바늘대 | |
KR100844196B1 (ko) | 편물기의 편물바늘로서의 편물부재 | |
KR20180033284A (ko) | 루프 형성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구성 요소 | |
KR100852230B1 (ko) | 편물기의 바 | |
CN101403163A (zh) | 成圈工具装置和成圈工具 | |
KR20160124893A (ko) | 환편기 | |
JP2018512517A (ja) | ニードルシリンダおよび丸編機 | |
WO2015104618A1 (en) | Needle cylinder for a circular knitting machine | |
US5442936A (en) | Device for clamping and guiding crocheting needles for a crocheting machine | |
CN107904771B (zh) | 一种改良的针织机菱角块、制造方法及其安装方法 | |
JP6373361B2 (ja) | スライド針 | |
KR102072196B1 (ko) | 편성 도구 및 편성 도구의 제조 방법 | |
US2416938A (en) | Needle bed for use in knitting machines | |
US1115140A (en) | Needle-carrier for knitting-machines. | |
US20240352635A1 (en) | Knitting system and needle for knitting machines | |
US1800265A (en) | Knitting machine | |
CN102345207A (zh) | 针织机特别是拉舍尔经编机的导纱针装置 | |
US182822A (en) | Improvement in needle-bars and cylinders of knitting-machin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