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950010100B1 - 자동차 운전 조작용 페달기구 - Google Patents

자동차 운전 조작용 페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100B1
KR950010100B1 KR1019920012406A KR920012406A KR950010100B1 KR 950010100 B1 KR950010100 B1 KR 950010100B1 KR 1019920012406 A KR1019920012406 A KR 1019920012406A KR 920012406 A KR920012406 A KR 920012406A KR 950010100 B1 KR950010100 B1 KR 950010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brake pedal
axel
foo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2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2090A (ko
Inventor
마스유끼 나루세
Original Assignee
마스유끼 나루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스유끼 나루세 filed Critical 마스유끼 나루세
Priority to KR1019920012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0100B1/ko
Publication of KR940002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1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4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means connecting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to propulsion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 운전 조작용 페달기구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운전조작용 페달기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중의 브레이크페달을 정면방향에서 본 중앙 종단면도.
제3도는 제1도중의 브레이크페달의 유도롤러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유도롤러의 라디에타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5도는 브레이크페달 보호유지 수단인 자석을 대신하는 다른 실시형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요부평면도.
제6도와 제7도는, 페달기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측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9도 및 제10도는, 각각 상기 제2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정면도와 요부측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12도는 브레이크페달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13도는 브레이크페달의 다른 실시형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14도는 브레이크페달의 우측면도.
제15도는 제13도에 있어서의 15-15선 단면도.
제16도는 브레이크페달에 있어서의 누르는 레버의 종단면도.
제17도는 브레이크페달에 있어서의 누르는 레버의 다른 실시형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18도는 브레이트페달에 있어서의 유도롤러의 다른 실시형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19도는 브레이크페달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돌출부의 다른 실시형을 나타내는 요부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브레이크페달 11 : 밟는면
12 : 전달아암 13 : 유도면
14 : 악셀스톱퍼 15 : 유도롤러
16 : 스톱퍼 17 : 영구자석
18 : 측벽 19 : 금속보울
20 : 악셀페달 21 : 지지브래킷
22 : 지지축 23 : 축받이부
24 : 페달지지레버 25 : 스로틀레버
26,27 : 코일용수철 28 : 스로틀와이어
30 : 브레이크페달 31 : 밟는면
32 : 전달아암 33 : 유도돌출부
34 : 악셀스톱퍼 35 : 유도롤러
36 : 스톱퍼 37 : 자석
40 : 악셀페달 50 : 브레이크페달
51 : 밟는면 52 : 전달아암
53 : 슬라이드돌출부 54 : 유도롤러
60 : 악셀페달 70 : 브레이크페달
71 : 밟는면 72 : 전달아암
73 : 유도면 74 : 지축
75 : 유도롤러 76 : 밟는 레버
77,78 : 돌출부 79 : 오목부
80 : 슬라이드돌출부 81 : 스톱퍼
90 : 밟는레버 91 : 코일스프링
92 : 유도롤러 94 : 무단벨트
95 : 회전롤러
본 발명은 자동차 운전조작용 페달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속성, 안정성을 고려하여 조작성 향상을 도모한 페달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자동차 운전석에 설치했던 페달기구의 조작성 개량을 위해 여러가지 방법이 제안되어졌다.
예를들면, 브레이크페달과 발판을 추축을 통하여 연결한 밀러 등의 발명(Millar et al, 미국특허 제3108651호)와 악셀페달과 발판을 조합시킨 콕스의 발명(Coks, 미국특허 제1715336호)의 페달기구가 알려져 있다.
전자는 오오토매틱 차에 대해서 브레이크페달을 개량한 것으로, 재동스트로크를 짧게하여 발을 소정의 발판위에 놓는 상태에서 제동할 수 있도록 했다.
후자는 추축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운동을 하는 발판의 끝을 악셀페달 위에 놓고, 발판끝을 밟아 악셀조작을 하도록 하고 있다.
또, 악셀페달 및 브레이크페달 쌍방을 발판과 종으로 일렬로 조합배열한 것으로서, 닌힌호발명(Nsin-Hsin Lo, 미국특허 제4802381호)가 알려져 있다.
이것은 마루위에 고정시킨 발판의 앞쪽에 악셀페달을 손전방측에 브레이크페달을 배치하도록 하여 발을 발판에 올린채 발끝으로 악셀조작을, 발뒤꿈치로 브레이크조작을 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 페달기구에 있어서는. 밀러 등의 발명은 브레이크페달만, 콕스의 발명은 악셀페달만의 단일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양 페달사이의 상호관계에 있어서는 종래와 같이 각각 독립조작을 하는 것으로 양 페달사이의 밟는 조작이 가랭이를 지지점으로한 다리 전체의 상당한 운동으로되고, 신속성에 결점이 있을뿐 아니라 운전자의 자세균형이 무너지기 쉽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클러치가 부착된 차로부터 오오토매틱차로 바꿔탄 경우에, 발이 헷갈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닌힌로 발명은 발판을 지지점으로 하여 브레이크페달과 악셀페달의 연계조작을 개선하고 있으나, 발안쪽 중앙을 지지점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의 발의 회전운동에 의해 조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전후방향에의 발목의 운동기능의 기민성과, 움직이는 회전범위가 클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발의 전후방향에의 회전범위는 매우좁고, 브레이크페달과 악셀페달 쌍방의 실효스트로크를 종래보다도 매우짧게 해야하고 매우 세밀하고 정확한 조작을 요구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문에 긴급사태에 있어서는 오히려 양 페달의 발디딤이 미끄러지는 등의 불량조작이 생기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조작하는 발의 뒤꿈치를 올려 놓을 수 없기 때문에 안정성이 나쁘고 피로하기 쉬운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브레이크페달과 악셀페달 사이의 발을 밟는 것을 바꾸는 일없이 자연적인 발조작을 가능하게 하여 신속성, 조작성을 매우 향상시킨 운전조작용 페달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운전자세의 안정성을 향상하고 피로가 없는 안락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운전조작 작용 페달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긴급시에 자연히 발이 브레이크페달로 유도되도록 안전성을 향상시킨 운전조작용 페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악셀페달을 횡방향으로의 왕복스트로크를 갖는 가로로 미는 페달로함과 동시에 브레이크페달의 한쪽끝 바로위에 인접배치하여 브레이크페달측 방향으로 힘을 가해서 된 자동차 운전조작용 페달기구를 구성했다.
이러한 페달기구에 의하면, 브레이크페달에 발을 얹은 상테로 발꿈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발끝을 횡방향으로 회전시켜 악셀페달을 조작시킬 수 있으므로 브레이크페달로 부터의 발을 바꾸는 일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조작중인 발의 뒤꿈치를 축으로 회전시키면서 앞끝을 회방향으로 이행시키고 무릎을 벌린 상태로 그 횡압력을 조절하면서 조작하도록 하기 때문에, 장시간의 운전에서도 안락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브레이크페달의 우측끝에 유도롤러를 갖추고, 이 브레이크페달 위에 그 주변가장자리부를 돌출시킴과 동시에, 악셀페달의 스트로크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하여, 악셀페달 조작으로부터 브레이크페달 조작으로의 변환조작이 보다 원활하고 신속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이 브레이크페달의 우측끝에 자석을 갖춤과 동시에, 이 자석에 대향하는 근접위치에 극성을 반대로 한 자석을 고정배치하여 브레이크페달에 하중이 걸리지 않을때 각각의 자석이 흡인하여 브레이크페달을 일정한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자석대신에 스프링에 의해 힘이 가해진 보울과 이 보울이 끼워맞춰 걸리는 오목부를 설치해도 좋다.
즉, 브레이크페달의 우측끝에 수직판을 설치하고, 이 수직판의 바깥면에 대향하는 근접위치에 이 수직판을 보울을 통해 좌측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을 고정배치함과 동시에, 이 수직판의 바깥면에는 부하가 없는 상태의 브레이크페달위치에서 이 보울이 끼워맞추는 얕은 오목부를 형성하면 무부하 상태의 브레이크페달을 일정한 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페달의 악셀페달쪽 끝부분에 누르는 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도를 갖는 유도면을 형상하면 차체가 경사진 경우에도 안정된 페달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악셀페달의 횡압면 하부에 조작하는 발의 일부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발판부를 형성하고, 브레이크페달의 앞가장자리는 악셀페달쪽으로 향함에 따라 후퇴하는 앞이 가는 형상으로 성형함과 동시에, 이 발판부를 브레이크페달이 후퇴한 앞가장자리부보다 앞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면, 악셀페달에의 조작중인 발의 닿는 범위가 측변에서 하부로까지 이르도록 넓은 범위로 됨과 동시에 발꿈치부분의 힘에 의해 자유롭게 되므로 조작중인 발의 페달에 대한 힘에 의해 확실히 안정한 것으로 되고, 페달의 조작성이 보다 향상한다.
또한, 브레이크페달을 발꿈치로부터 발끝까지의 조작중인 발의 거의 전체가 놓일 수 있는 길이로 되고, 그 하단을 판위에 자유롭게 미끄러 접촉시킴과 동시에 상단부는 아암부재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면, 브레이크페달에 의해 조작중인 발을 지탱할 수 있고, 장시간 운전시에도 피로가 없다.
즉, 발꿈치에만 힘을 가하면 브레이크페달의 하단부로 조작중인 발을 지지할 수 있고, 제동함이 없이 조작주인 발을 페달상에 놓을 수 있고, 브레이크조작을 하는 경우에는 발끝을 누르면 되는 것이다.
또한 브레이크페달의 우측끝 상방에 기부가 설치되고 회전운동이 자유롭게된 누르는 레버를 갖춤과 동시에 그 선단을 이 악셀페달의 누르는 면에 가깝게 다가가게 해서 누르는 면위를 미끄러져 움직이는 것이 자유롭게 하면 이 누르는 레버를 횡방향만이 아니라, 아래방향 또는 경사진 아래방향으로 밟아도 악셀페달을 옆으로 누르는 격이 되며 악셀페달 조작의 경우의 조작중인 발의 동작 자유도가 크게 된다.
또한, 클러치페달을 갖는경우에는, 이 페달을 하단을 판위에 미끄럼이 자유롭게 접촉시키고, 상단부를 클러치아암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시키면 상기 브레이크페달과 같이 조작중인 발을 클러치아암위에 놓은 상태로 발의 휴식이 가능하고 신속하고 확실한 조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되고, 악셀페달을 브레이크페달 한쪽 끝부분의 바로 위에 설치함과 동시에 가로로 누르는 형태로 되므로, 브레이트페달과 악셀페달사이의 바꿔밟는 시간을 없애고, 부드럽게 자유로운 발 조작이 가능하게 되고, 신속성, 조작성이 비약적으로 향상한 운전조작용 페달기구이다.
또한, 악셀누르는 면이 곧게된 상태이기 때문에, 주행중 제동시의 체중이 조작중인 발에 가중되는 등의 영향이 없이 악셀조작이 가능하고, 긴급시에도 자연히 발이 브레이크페달로 유도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악셀을 너무 많이 밟게되는 등의 사고 유발요인 없이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된다.
또한, 조작중인 발을 페달에 올려놓은 상태로 발꿈치 부분으로 체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며, 운전자세가 안정된 운전조작용 페달기구로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운전조작용 페달기구를 표시하는 것으로, 브레이크페달(10)과 악셀페달(20)을 갖추고 있다. 브레이크페달(10)은 횡방향으로 긴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미끄러짐을 막는 다수의 홈형성 내지 고무 등의 카-바가 되어 있는 밟는면(11)의 중심부근 안쪽면에서 전달아암(12)의 선단에 지지 고정되어 있다.
이 페달(10)의 우측단부에는 완만한 경사를 갖고 점진적으로 올라간 유도면(13)이 이어져 설치되고, 이 유도면(13)의 우단으로는 수직으로 세워올라간 악셀스톱퍼(14)가 형성되여진다.
이 유도면(13) 중앙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유도롤러(15)가 부착되어 있다.
유도롤러(15)는,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유도면(13) 중앙에 형성된 긴 원형상의 관통구멍(13a)로부터 상부가장자리가 돌출되어, 유도면(13)의 이면에 돌출설치한 브래킷(15b)에 지지시킨 추축(15c)에 베어링(15d)를 통하여 자유롭게 회전을 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유도롤러(15)의 한쪽의 측면에는 라디에터기어(15a)가 같은 축으로 고정되며, 이 라디에터기어는 악셀스톱퍼(14)의 내벽에 고정시킨 스톱퍼(16)에 의해 역전되는것을 저지시키도록 부착되어 있다.
즉, 유도롤러는 밟는면(11) 방향A(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유도롤러(15)의 위에 발을 올려놓으면 조작중인 발을 자연스럽게 악셀페달(20)에서 이탈된 화살표A방향으로 유도된다.
이 악셀스톱퍼(14)의 외벽에는 영구자석(17)이 고정된다. 또한, 이 자석(17)과 대항시킨 위치의 운전석의 측벽(18)에는 극성이 반대인 자석(17a)가 약가의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페달(10)에 하등의 하중 걸림이 없을때에는, 이들 한쌍의 자석(17)(17a)가 함께 흡입하여 브레이크페달(10)을 일정한 위치로 유지된다.
한편, 이 자석(17)(17a) 대신에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악셀스톱퍼(14)의 외벽에 얕은 구형상의 오목부(14a)를 설치하여 이 오목부에 걸어맞춤하는 금속보울(19)에 의한 걸림수단으로 될 수 있다.
즉, 운전석의 측벽(18)에 고정시킨 원통(19a)내에서 코일스프링(19b)에 의해 외부쪽으로 힘이 가해져 회전이 자유롭게 수용되어 있는 금속보울(19)가 무부하상태에서 악셀스톱퍼 외벽의 오목부(14a)에 눌러 끼워 맞추어져 브레이크페달(10)을 소정위치로 유지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 브레이크페달을 밟으면 오목부(14a)와 보울(19)와의 걸어맞춤은 쉽게 벗겨지고, 운전조작의 장애로 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런 구성으로 하면 자기에 의한 전자부품으로의 악영향이 없게된다.
악셀페달(20)은, 운전석의 측벽(18)에 고정된 지지브래킷(21)에 부착된 축받이부(23)과 수직축(22)를 통해 거의 수평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무부하상태에서 이 브레이크페달(10)의 우측끝부 유도면(13)의 좌측끝 주변 바로 윗쪽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수직축(22)는 축받이부(23)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으며 페달지지레버(24) 및 스로틀레버(25)가 소정의 각도로 수직축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페달지지레버(24)의 선단에는 수평축(24a)가 형성되어 있으며 거기에 악셀페달(20)이 수직방향(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악셀페달(20)은, 수평방향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지지브래킷(21)에 고정된 코일용수철(26)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힘이 가해지고, 수직방향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페달지지레버(24)에 장착시킨 코일용수철(27)에 의해 아래방향, 즉, 브레이크페달(10)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그리고, 이 스로틀레버(25)는 스로틀(도시않음)에 연결시킨 스로틀와이어(28)에 연결되며, 악셀페달의 수평방향으로의 움직임에 따라 스로틀조정이 되도록 되어 있다.
이 악셀페달(20)의 회전운동은, 브레이크페달(10)의 우측끈에 세워져 설치된 악셀스톱퍼(14)에 의해서 저지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페달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 우선,악셀페달을 조작할때에는, 제5도~제7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발뒤꿈치 FH를 지지점으로서 조작발 F를 우측방향으로 선회하는 것에 의하여 조작한다.
이때, 조작발 F의 저면은 브레이크페달(10)의 유도면(13)에 접촉하고 따라서, 조작발은 원활히 선회이동할 수 있다.
이어서, 이 악셀페달조작으로부터 브레이크페달(10)의 눌러밟는 조작으로 이행하는 경우는, 우측으로 선회한 조작발을 좌측으로 돌려 밟으면 좋으나, 이때 돌리는 방향으로의 유도롤러(15)의 회전에 의해 조작발은 악셀페달(20)으로부터 신속 또한 원활히 이탈하여 순간적으로 브레이크페달(10)의 밟는 조작이 가능하다. 즉, 악셀조작도 제동조작도 발꿈치를 지지점으로한 조작발의 선회, 밟는 조작으로 충분하고, 발의 대는 것을 지지점으로 한 조작발 전체의 이동이 없이 페달조작이 신속성이 증가하게 된다.
제8도~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계한 페달기구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달아암(32)에 지지되고, 앞가장자리(30a)가 오른쪽으로 후퇴한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된 브레이크페달(30)과 앞끝에 조작발 F의 일부를 올려놓을 수 있는 발판(40a)를 갖춘 악셀페달(40)으로 구성되어 있다.
브레이크페달(30)은 전체가 거의 평탄한 구성이고, 미끄럼방지의 도랑을 갖는 밟는면(31)의 우측에 형성된 관통구멍(33a)에 주변가장자리부를 돌출시켜 유도롤러(35)가 부착되고 우단에는 수직으로선 악셀스톱퍼(34)를 갖추고 있다.
밟는면(31)의 관통구멍(33a)와 접하는 우단부 중앙에는 우측으로 향해 약간 올라온 유도돌출부(33)이 형성되고, 조작발 F의 브레이크페달(30)으로부터 악셀페달(40)으로의 이행이 원활히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제8도에서의 앞가장자리(30a)의 후퇴각도 a는 15~30도가 적절하다.
또한, 유도롤러(35), 라디에터기어(35a), 스톱퍼(36), 자석(37)(37a)는 상기 제1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발판(40a)는, 악셀페달(40)의 전방하단부로부터 선단으로 향하여 약간경사져 좌방향으로 돌출되고, 브레이크페달의 앞 가장자리(30a)의 우단부의 바로 전방에서 무부하 상태의 브레이크페달의 높이와 거의 같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발을 부드럽게 올려놓을 수 있다. 또한, 악셀페달(40)에서의 다른 부분의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와 같으므로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제2실시예의 페달기구에 있어서는, 제9도 및 제10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악셀페달(40)의 발판(40a) 부분의 조작발 F의 우측면뿐만이 아니라 하측면에도 맞닿기 때문에 발 감각이 좋고, 운전조작의 피로가 적게된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의 수평축(24a)를 설치하지 않고, 악셀페달의 상하운동이 없으면, 가로로 누르면서 아래쪽으로 밟는 감각으로 가로로 누르는 조작이 가능하므로 보다 한층 피로가 없는 운전이 가능하다.
제11~12도는 제3실시예에 따른 페달기구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달아암(52)에 지지된 브레이크페달(50)과 가로로 누르는 악셀페달(60)으로 구성되어진다. 이 브레이크페달(50)은 앞끝이 마루면까지 뻗은 곱자모양의 밟은면(51)을 갖고 그 하단부 이면쪽에는 반원주형의 슬라이드돌부(53)이 형성되어 마무면에 접촉하고 그 위를 원활히 운동한다. 브레이크페달(50)을 지지하고 있는 전달아암(52)는 지지점(52a)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스프링(도시않음)으로 화살표 C방향(상방향)으로 힘을 가해진다.
전달아암(52)의 선단부(52b)는 브레이크페달 이면에 설치된 추축(52c)에 부착되어 있고, 브레이크페달(50)은 이 추축(52c)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로이 설치되어 있다.
브레이크페달(50)의 우측상부에는 관통투과구멍(51a)로부터 주변가장자리부를 상방으로 돌출시켜 유도롤러(54)가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유도롤러(54)가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로운 점에서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와 다르나 조작발의 이동을 원할하게, 신속하게 하는 기본적인 작용은 동일하다.
악셀페달(60)은 선단부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에서의 구성과 같으며, 상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이 악셀페달의 선단부에 좌측으로 향하여 만곡한 만곡부(60a)를 형성하고 있고, 오른쪽발로 조작한 경우에 그 만곡면이 조작발의 측부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페달기구에 있어서는, 발꿈치 FH를 중심으로하여 조작발 F를 선회시켜 조작하나 조작발 F의 이면거의 전체를 브레이크페달(50)의 밟는면(51)상에 놓아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안정된 동일평면상의 선회, 밟는 운동에 의한 조작으로 되고, 페달조작만이 아니라 발꿈치부분에 의한 체중의 유지조절도 보다 쉽게 된다. 또한, 발꿈치 FH를 중심으로 하여 조작발 F를 선회시킬때 악셀페달(60)의 만곡부(60a)에 맞닿기 때문에 마찰이 적어 원활히 조작할 수 있다.
제13~16도는, 상기 제3실시예에서의 브레이크페달의 다른 실시형을 나타낸다. 브레이크페달(70)은 길이 방향 중앙으로 약간 앞쪽이 굽은 곱자모양으로 형성되고, 표면쪽에는 조작발 전체를 올려놓을 수 있는 넓이를 갖는 밟는면(71)을 갖는다. 이 브레이크페달(70)은 상부이면에서 전달아암(72)의 선단부에 축지지되고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밟는면(71)의 우측상부에는 표면을 올린 유도면(73)이 형성되고, 이 유도면의 중앙에는 곱자모양의 투과구멍(7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투과구멍(73a)에는 하나의 지축(74)가 상하 방향으로 걸쳐 있고 이 지축에는 각각 독립하여 회전이 자유로운 유도롤러(75)와 밟는 레버(76)이 부착되어 있다.
밟는면(71)의 상부중앙에는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뻗은 복수의 돌출부(77)가 형성되고, 이 우측끝은 상기 유도면(73)에 연속되어 있고, 발바닥과의 접촉면적을 적게하여 마찰저항을 줄이고, 조작발의 이동을 원활히 하도록 하고 있다. 이 밟는면(71)의 위쪽 좌측끈부에는 조작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뻗는 돌출부(7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밟는면(71)의 하단부 중앙에는 말발굽모양의 오목부(79)를 형성하고, 조작발의 발꿈치를 올려놓도록 되어 있다.
오목부(79)의 안쪽 하단부 중앙에는 반원주형상의 슬라이드 돌출부(80)을 설치하고 마루면적을 자유롭게 미끄러지도록 한다.
상기 롤러(75)는, 그 상부주변 가장자리를 위쪽으로 돌출시켜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밟는 레버(76)은 선단부가 유도롤러보다 위쪽으로 뻗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그 우측면에 맞닿는 판용수철스톱퍼(81)에 의해 우측으로의 회전을 제한시키고 있는 것이다. 밟는레버(76)의 좌측면에는 제16도와 같이 경사각도를 순차적으로 크게한 3연속평탄면 X,Y,Z를 갖는 밟는면(76a)가 형성되고, 우측면 상단부에는 악셀페달(60)을 누르는 반구형상의 돌기(76b)가 형성되어 있다.
판용수철스톱퍼(81)는 거의 단면 L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수평저부(81a)가 밟는레버(76)의 관통투과구멍(73a) 아래 열린곳에 걸쳐 있고, 수직으로 올라온 기립편(81b)의 밑부를 브레이크페달에 볼트지지시키고, 앞끝이 밟는 레버(76)의 우측면에 맞닿아 함께 누르는 것을 좌측으로 밀어붙이는 것이다.
또한, 밟는레버(76)의 하단면에는 무부하 상태에서 판용수철스톱퍼의 수평저부(81a)에 전면 접촉하여 함께 누르는 것을 기립안정시키는 평탄면(76c)를 갖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브레이크페달에 있어서는, 조작발의 발꿈치를 오목부(79)에 올리면 발꿈치후단은 자연히 마루에 닿고 발끝은 돌출부(77)위에 위치하고 이것이 기본자세로 된다. 브레이크조작의 경우는 브레이크페달(70)을 그대로 앞쪽으로 누르면 되고 악셀조작의 경우는, 발꿈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조작발을 오른쪽으로 선회시키면 돌출부(77)로 부터 유도면(73)을 거쳐 자연히 발끝 오른쪽가장자리가 밟는 레버(76)의 밟는면(76a)에 맞닿는다.
그대로 밟는면을누르면 돌기(76b)를 통하여 악셀페달(60)이 판용수철스톱퍼(81)이 기립편(81b)의 세력에 저항하여 오른쪽으로 밀고들어간다. 이 밟는면(76a)의 압력은 오른쪽으로의 횡압력, 아래쪽으로의 종압력, 또는 경사방향으로 압력 등 어느쪽이어도 좋고, 상황에 따른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악셀조정은 밟는면(76a)에의 누르는 힘의 조정에 의해서 되며, 악셀조작으로부터 브레이크 조작으로의 이행은 발끝을 왼쪽으로 선회하여 원래의 위치로 돌려 그대로 브레이크페달을 밀고들어가면 좋다.
조작발을 좌측으로 선회시켜 악셀조작을 멈추면, 판용수철스톱퍼(81)의 기립편(81b)의 세력에 의해 밟는레버(76)과 함께 악셀페달(60)도 원래의 무부하 상태로 돌아온다.
이 조작발의 왼쪽선회의 경우는, 유도롤러(75)에 의해 원활하게 발끝 왼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7도는, 밟는 레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밟는레버(90)은, 축(74)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좌측면에 경사각도가 다른 2개의 평탄한 밟는면(90a) 및 (90b)와, 우측면에 스프링 맞닿는면(90c)를 갖고 있으며, 밟는레버(90)의 우측에 고정된 코일스프링(91)에 의해 기립방향(좌측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또한, 제18도는 유도롤러의 다른 실시형을 나타낸 것으로, 롤러(92)는 2개의 회전롤러(93)(93a)에 걸쳐 연결된 무단벨트(94)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유도롤러와 브레이크페달의 밟는면과의 사이의 낙차를 보다 적게할 수 있고, 평면접촉으로 되며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조작발의 운동이 보다 부드럽게 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페달(70)과 마루면과의 접촉부분인 상기 슬라이드돌출부(80)은 제1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회전롤러(95)로 하여도 좋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오오토매틱(AT)차를 생각해서, 클러치페달이 없는 페달기구를 중심으로 설명했으나, 상기 브레이크페달(50) 또는 (90)은, 클러치 부착차에 있어서의 클러치페달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악셀조작에 관계되는 우측부분을 제외한 구성만을 클러치페달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기초하여 여러가지 설계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페달기구에 따르면, 악셀페달을 브레이크페달 한쪽 단부 바로위에 설치함과 동시에 가로로 누르는 형태로 한 것으로 브레이크페달에 조작발을 앉은 상태로 조작할 수 있고, 브레이크페달과 악셀페달 사이의 바꿔 밟는 불필요한 시간이 없게 되고, 원활하게 자연스런 조작이 가능하게 되고, 신속성, 조작성이 비약적으로 향상한다.
또한, 조작발의 뒤꿈치를 축으로 회전시키면서 앞끝을 가로 방향으로 이행시켜 무릎을 벌린 상태로 그 횡압력을 제어하면서 조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안락한 자세의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악셀페달이 가로로 눌러지기 때문에 악셀페달과 브레이크페달의 잘못된 작동시에 의한 사고 유발요인이 없는 안전성이 높은 페달구성으로 된다.

Claims (10)

  1. 세로방향으로 밟기 자유로운 브레이크페달(10)과 그 브레이크페달(10)에 대해서 가로방향으로 왕복자유로운 악셀페달(20)을 구비하고 그 브레이크페달(10)의 우측끝부에는 관통구멍(13a)를 형성함과 더불어 그 관통구멍(13a)로부터 주변가장자리부를 돌출시켜 악셀페달(20)의 스트로크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자유로운 유도롤러를 구비하며 그 악셀페달(20)은 자동창의 소정의 고정부위에 기단측을 회전가능하게 부착함과 더불어 자유로운 끝측을 브레이크페달(10)의 우측바로위에 인접배치시켜 밑쪽의 브레이크페달(10)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되어 있고 조작발의 발뒤꿈치를 지지점으로 해서 회전시켜 악셀페달(20)을 가로방향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악셀조절이 됨과 더불어 악셀페달(20)이 브레이크페달(10)의 밞음에 따라서 세로방향으로 연이어 움직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운전조작용 페달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브레이크페달(10)의 우측끝에는 자석(17)을 갖춤과 동시에 이 자석(17)에 대향하는 근접위치에 극성을 반대로 한 자석(17a)을 고정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전 조작용 페달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브레이크페달(20)의 우측끝에는 수직판을 갖추고, 이 수직판의 외측면에 대향하는 근접위치에는 수직판을 보울(19)를 통해 왼쪽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19b)을 고정 배치함과 동시에 이 수직판의 바깥면에는 무부하 상태의 브레이크페달 위치에서 상기 보울(19)이 끼워 맞춰지는 얕은 오목부(14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전 조작용 페달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브레이크페달(10)의 우측끝부에는 누르는 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도를 갖는 유도면(1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전 조작용 페달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악셀페달(40)의 가로로 누르는 면쪽에는 발의 일부를 올려놓을 수 있는 발판(40a)를 형성하고 브레이크페달(30)의 앞 가장자리는 우측으로 후퇴하는 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발판(40a)을 브레이크페달(30)의 후퇴한 앞가장자리부의 앞쪽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전 조작용 페달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브레이크페달(50)은, 발꿈치로부터 발끝까지의 조작중인 발의 거의 전체를 올려 놓을 수 있는 길이로 하고, 그 하단은 마루면에 자유로이 미끄러지게 접촉시킴과 동시에 상단부는 아암부재(52)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전 조작용 페달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페달기구는 하단이 마루면에 자유로이 미끄러져 접촉하고 상단부가 클러치아암에 회전운동이 자유로이 지지되는 판상의 클러치페달을 더 갖춘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전 조작용 페달기구.
  8. 제6항에 있어서, 브레이크페달(70)의 우단 위쪽으로는 기부가 설채되고, 악셀페달(60)을 가로방향으로 누르는 것이 자유로운 밟는 레버(76)이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전 조작용 페달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밟는레버(90)은 기립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전 조작용 페달기구.
  10. 제6항에 있어서, 브레이크페달(70)의 하부중앙에는 조작발의 발꿈치를 수용가능한 오목부(79)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전 조작용 페달기구.
KR1019920012406A 1992-07-11 1992-07-11 자동차 운전 조작용 페달기구 KR950010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2406A KR950010100B1 (ko) 1992-07-11 1992-07-11 자동차 운전 조작용 페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2406A KR950010100B1 (ko) 1992-07-11 1992-07-11 자동차 운전 조작용 페달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090A KR940002090A (ko) 1994-02-16
KR950010100B1 true KR950010100B1 (ko) 1995-09-07

Family

ID=19336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2406A KR950010100B1 (ko) 1992-07-11 1992-07-11 자동차 운전 조작용 페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010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090A (ko) 1994-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3976A (en) Brake-and accelerator pedal assembly
CA1332295C (en) System for controlling the ground speed of and enhancing the maneuverability of an off-road vehicle
US5022477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ground speed and enhancing the maneuverability of an off-road vehicle
JPH02128987A (ja) 自転車用ペダル
KR20110050376A (ko) 전기 자동차용, 또는 스로틀 기구를 구비한 자동차용 페달 장치
KR950010100B1 (ko) 자동차 운전 조작용 페달기구
US2761329A (en) Resiliently supported heel rest
JPH03178850A (ja) 自動車運転操作システム
JPH02120571A (ja) 車両の制御装置
JPH04129885A (ja) 車両運転席の床構造
JP2013092984A (ja) 車両のペダル装置
JPH0516692A (ja) ペダル機構
JPH07132808A (ja) ペダル機構
KR101008193B1 (ko) 자동차 액셀러레이터페달용 마찰감소장치
JPH08142817A (ja) ペダル装置
US3354743A (en) Vehicle driving controls
JP2552607B2 (ja) ペダル装置
JPH0567966B2 (ko)
JP2981128B2 (ja) 建設車両等のペダル操縦装置
JPH0782405B2 (ja) ペダル機構
JPS642166Y2 (ko)
KR20040023394A (ko) 차량의 통합형 페달
JP4249085B2 (ja) ペダル装置
KR850002808Y1 (ko) 차량의 안전 폐달장치
JP4988894B2 (ja) 反動式ブレ−キペダ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