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500994B1 - 터치 패널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994B1
KR102500994B1 KR1020150141278A KR20150141278A KR102500994B1 KR 102500994 B1 KR102500994 B1 KR 102500994B1 KR 1020150141278 A KR1020150141278 A KR 1020150141278A KR 20150141278 A KR20150141278 A KR 20150141278A KR 102500994 B1 KR102500994 B1 KR 102500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electrode
substrate
layer
touc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5583A (ko
Inventor
히로유키 미야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ublication of KR20160045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583A/ko
Priority to KR1020230019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9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having a semiconductor body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material, e.g. zinc oxide, copper aluminium oxide, cadmium stann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1An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2Cath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지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터치 패널을 제공한다. 또는 검출 감도를 높일 수 있는 터치 패널을 제공한다.
제 1 도전층과, 제 2 도전층과, 복수의 표시 소자와, 주사선을 갖는 터치 패널로 한다. 제 1 도전층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윤곽의 일부에 제 1 방향에 평행한 직선 부분인 제 1 부분을 갖는다. 제 2 도전층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윤곽의 일부에 제 1 방향에 평행한 직선 부분인 제 2 부분을 갖는다.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은 대향하여 제공되어 있다. 표시 소자는 제 1 도전층 및 제 2 도전층이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제공되어 있다. 또한 주사선은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을 갖는다. 또한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이 이루는 각의 각도를 30° 이상 60° 이하로 한다.

Description

터치 패널{TOUCH PANEL}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입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술한 기술 분야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형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일례로서는 반도체 장치, 표시 장치, 발광 장치, 축전 장치, 기억 장치, 전자 기기, 조명 장치, 입력 장치, 입출력 장치, 이들의 구동 방법, 또는 이들의 제조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반도체 장치란, 반도체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기능할 수 있는 장치 전반을 가리킨다. 트랜지스터 등의 반도체 소자를 비롯하여 반도체 회로, 연산 장치, 기억 장치는 반도체의 일 형태이다. 촬상 장치,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발광 장치, 입력 장치, 입출력 장치, 전기 광학 장치, 발전 장치(박막 태양 전지, 유기 박막 태양 전지 등을 포함함), 및 전자 기기는 반도체 장치를 갖는 경우가 있다.
근년에 들어, 위치 입력 수단으로서 터치 센서를 탑재한 표시 장치가 실용화되고 있다. 터치 센서를 탑재한 표시 장치는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불린다(이하, 단순히 터치 패널이라고도 부름). 예를 들어,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휴대 정보 단말로서는 스마트 폰, 태블릿 단말 등이 있다.
또한, 표시 장치로서는 대표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소자나 발광 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발광 장치, 전기 영동 방식 등에 의하여 표시를 하는 전자 페이퍼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EL 소자의 기본적인 구성은 한 쌍의 전극 사이에 발광성의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층을 끼운 것이다. 이 소자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발광성의 유기 화합물로부터 발광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유기 EL 소자가 적용된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 등에 필요한 백라이트가 불필요하므로 얇고, 가볍고, 콘트라스트가 높고, 소비 전력이 낮은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EL 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일례가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은 예를 들어 표시 패널 위에 중첩되도록 감압식의 센서 어레이, 또는 정전 용량식의 센서 어레이가 제공되고, 센서 어레이의 기판에 손끝이나 입력용 펜(스타일러스라고도 함)으로 접촉함으로써 접촉한 위치를 검지한다.
특허문헌 2에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 위에 터치 센서를 제공한 터치 패널의 구성이 개시(開示)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 2002-324673호 공보 일본국 특개 2000-172444호 공보
터치 센서, 또는 터치 패널에 접촉되는 피검지체의 위치 정보를 더 정밀하게 취득하기 위하여 터치 센서의 고감도(高感度)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검지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입력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는 검출 감도를 높일 수 있는 입력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는 신규 입력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한 이들 과제의 기재는 다른 과제의 존재를 방해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이들 과제 모두를 해결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들 외의 과제는 명세서, 도면, 청구항 등의 기재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제 1 도전층과, 제 2 도전층과, 복수의 표시 소자와, 주사선을 갖는 터치 패널이다. 제 1 도전층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윤곽의 일부에, 제 1 방향에 평행한 직선 부분인 제 1 부분을 갖는다. 제 2 도전층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윤곽의 일부에 제 1 방향에 평행한 직선 부분인 제 2 부분을 갖는다.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은 대향하도록 제공된다. 표시 소자는 제 1 도전층 및 제 2 도전층과 중첩하지 않는 위치에 제공된다. 또한 주사선은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갖는다. 또한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30° 이상 60° 이하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제 1 도전층 및 제 2 도전층은 제 1 방향 및 제 1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교차되는 격자 형상을 각각 갖고, 격자의 개구부와, 표시 소자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표시 소자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 1 방향에 평행한 2변을 갖는 다각형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갖고, 제 1 도전층, 제 2 도전층, 표시 소자, 및 주사선은,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 가시광을 차광하는 기능을 갖는 차광층을 갖고, 제 1 기판 위에 표시 소자 및 주사선이 제공되고, 제 2 기판 위에 제 1 도전층, 제 2 도전층, 및 차광층이 제공되어, 차광층은 제 1 도전층과 제 2 기판 사이, 및 제 2 도전층과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제 1 도전층과 제 2 도전층은 동일 평면 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의 거리가 1μm 이상 1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상기 터치 패널과, FPC를 갖는 터치 패널 모듈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상기 터치 패널, 또는 터치 패널 모듈과, 안테나, 버튼, 전지, 스피커, 마이크로폰, 또는 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전자 기기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검지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입력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검출 감도를 높일 수 있는 입력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신규 입력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효과의 기재는 다른 효과의 존재를 방해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반드시 이들 효과 모두를 가질 필요는 없다. 또한 이들 외의 효과는 명세서, 도면, 청구항 등의 기재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의 구성예.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장치의 구성예.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장치의 구성예.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장치의 구성예.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장치의 구성예.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장치의 구성예.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장치의 구성예.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장치의 구성예.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장치의 구성예.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의 구성예.
도 11은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의 구성예.
도 12는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의 구성예.
도 13은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의 구성예.
도 14는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의 구성예.
도 15는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의 구성예.
도 16은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의 구성예.
도 17은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의 구성예.
도 18은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의 구성예.
도 19는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의 구성예.
도 20은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의 구성예.
도 21은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의 구성예.
도 22는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의 구성예.
도 23은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의 구성예.
도 24는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의 구성예.
도 25는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의 구성예.
도 26은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의 구성예.
도 27은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의 구성예.
도 28은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의 블록도 및 타이밍 차트도.
도 29는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의 회로도.
도 30은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화소를 설명하는 도면.
도 31은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 및 화소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32는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 및 조명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33은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34는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35는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 및 그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그 형태 및 자세한 내용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제시하는 실시형태의 기재 내용에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동일한 부분 또는 같은 기능을 갖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상이한 도면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여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같은 기능을 갖는 부분을 가리키는 경우에는 해치 패턴을 동일한 것으로 하여 특별히 부호를 부여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의 크기, 층 두께, 또는 영역은 명료화를 위하여 과장된 경우가 있다. 따라서, 반드시 그 스케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제 1', '제 2' 등의 서수사는 구성 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부여하는 것이고 수적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트랜지스터는 반도체 소자의 종류 중 하나이고, 전류나 전압의 증폭이나, 도통 또는 비도통을 제어하는 스위칭 동작 등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트랜지스터는 IGFET(Insulated Gate Field Effect Transistor)나 박막 트랜지스터(TFT:Thin Film Transistor)를 포함한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입력 장치(터치 센서)의 구성예, 및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입력 장치와 표시 장치(표시 패널)를 구비하는 입출력 장치(터치 패널)의 구성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터치 센서로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등에서, 터치 패널은 표시면에 화상을 표시(출력)하는 기능과 표시면에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등의 피검지체가 접촉되거나 근접하는 것을 검출하는 터치 센서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터치 패널은 입출력 장치의 일 형태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터치 패널의 기판에 예를 들어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또는 TCP(Tape Carrier Package) 등의 커넥터가 제공된 것, 또는 기판에 COG(Chip On Glass) 방식에 의하여 IC(집적 회로)가 실장된 것을 터치 패널 모듈, 또는 단순히 터치 패널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적용할 수 있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는 한 쌍의 도전층을 구비한다. 한 쌍의 도전층 사이에는 용량이 형성된다. 한 쌍의 도전층에 피검지체가 접촉되거나 근접함으로써 한 쌍의 도전층 사이의 용량의 크기가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검출을 할 수 있다.
정전 용량 방식으로서는 표면형 정전 용량 방식, 투영형 정전 용량 방식 등이 있다. 투영형 정전 용량 방식으로서는 자기 용량 방식, 상호 용량 방식 등이 있다. 상호 용량 방식을 이용하면 동시 다점 검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 쌍의 도전층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윤곽의 일부에 직선 부분을 갖는다. 또한 2개의 도전층은 각각의 직선 부분이 평행이 되도록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2개의 도전층 사이에 형성되는 용량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도전층이 평행하게 대향하는 부분에 있어서, 2개의 도전층 사이에 전위차를 주었을 때에 생기는 전기력선은 밀도가 균일하게 분포되므로 장소에 따라 검출 감도의 차이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검지 정밀도가 높은 터치 센서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터치 패널은 터치 센서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표시 장치)을 갖는다. 터치 센서는 표시 패널의 표시면 측에 중첩되어 제공된다.
또한 표시 패널이 갖는 표시 소자와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한 쌍의 도전층이 중첩하지 않도록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터치 패널이 표시하는 화상의 휘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인성이 높은 터치 패널을 실현할 수 있다. 더구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한 쌍의 도전층의 상기 직선 부분의 방향은 표시 패널이 표시하는 표시화상의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에 대하여 약 45° 기울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이 갖는 주사선(게이트 선이라고도 함)의 연장 방향과 상기 도전층의 직선 부분의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40° 이상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도전층이 격자 형상(메시 형상이라고도 함)이면, 도전층의 도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도전층이 격자 형상인 경우, 격자는 직선 부분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과, 직선 부분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도전층이 격자 형상인 경우, 격자의 개구부와, 표시 소자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중첩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표시 소자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윤곽이 격자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변을 갖는 다각형이면 개구율을 높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는 표시 소자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윤곽이 도전층의 직선 부분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2개의 변을 갖는 다각형, 또는 일부에 직선 부분을 갖는 폐곡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구성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입출력 장치의 예로서 터치 패널의 구성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터치 패널의 구성예〕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터치 패널(100)의 사시 개략도이다. 또한 도 1의 (B)는 도 1의 (A)를 전개한 사시 개략도이다. 또한 명료화를 위하여 대표적인 구성 요소만을 나타내었다. 또한 도 1의 (B)에서는 일부의 구성 요소(기판(30), 기판(72) 등)를 파선으로 윤곽만 명시하였다.
터치 패널(100)은 입력 장치(10)와, 표시 패널(70)을 갖고, 이들이 중첩되어 제공된다.
입력 장치(10)는 기판(30)을 갖는다. 기판(30)에는 전극(31), 전극(32), 복수의 배선(41), 복수의 배선(42)이 제공된다. 또한 기판(30)에는 복수의 배선(41) 및 복수의 배선(42)의 각각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FPC(50)가 접착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FPC(50) 위에 IC(51)가 제공된 예를 나타내었다.
입력 장치(10)로서는 예를 들어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투영형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적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등의 피검지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입력 장치(10)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10)의 더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표시 패널(70)은 대향하여 제공된 기판(71)과 기판(72)을 갖는다. 또한 기판(71) 위에는 표시부(81), 구동 회로(82), 배선(83) 등이 제공된다. 또한 기판(71)에는 배선(8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FPC(73)가 제공된다. 또한 여기서는 FPC(73) 위에 IC(74)가 제공된 예를 나타내었다.
표시부(81)는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이며, 복수의 화소를 갖는다. 도 1의 (B)에는 표시부(81)의 일부를 확대한 개략도를 도시하였다. 화소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 소자(60)를 갖는다. 또한 화소는 트랜지스터 및 표시 소자(6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 소자(60)로서는 대표적으로 유기 EL 소자 등의 발광 소자나, 액정 소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구동 회로(82)는, 주사선 구동 회로나 신호선 구동 회로 등의, 표시부(81)가 갖는 화소를 구동시키는 회로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구동 회로(82)로서 주사선 구동 회로를 적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배선(83)은 표시부(81)나 구동 회로(82)에 신호나 전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신호나 전력은 FPC(73)를 통하여 외부, 또는 IC(74)에서 배선(83)으로 입력된다.
표시부(81)는 구동 회로(82)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주사선(게이트 선이라고도 함)(87)을 갖는다. 주사선(87)은 화소가 갖는 하나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이다. 구동 회로(82)는 하나의 주사선(87)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화소를 선택하는 신호를 각 주사선(87)에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의 (B)에서는, 주사선(87)의 연장 방향을 방향(80)으로 하여 화살표로 나타내었다. 도 1의 (B)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표시부(81)의 구동 회로(82)가 제공된 측의 변(윤곽)에 직교하는 방향과 방향(80)이 평행인 경우를 도시하였다. 또한 표시부(81)의 윤곽이 장방형 또는 정방형이 아닌 경우 등에는 표시부(81)의 윤곽과 방향(80)이 직교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주사선(87)은 반드시 직선 형상일 필요는 없으며, 화소의 구성에 따라 부분적으로 만곡된 또는 굴곡진 형상이어도 좋다. 이때, 주사선(87) 위의 2개의 점을 연결하는 직선의 방향이 방향(80)에 상당한다. 또는 주사선(87)을 표시부(81)와 중첩되는 일부분에서 잘라냈을 때 이 일부분 위의 2개의 점을 연결하는 직선의 방향이 방향(80)에 상당한다. 또한 방향(80)은 하나의 주사선(87)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화소(또는 부화소)의 배열 방향에 평행한 방향이라고 바꿔 말할 수도 있다.
도 1의 (A) 및 (B)에서는 FPC(73) 위에 COF(Chip On Film) 방식에 의하여 실장된 IC(74)가 제공된 예를 도시하였다. IC(74)는 예를 들어 주사선 구동 회로, 또는 신호선 구동 회로 등으로서 기능하는 IC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70)이 주사선 구동 회로 및 신호선 구동 회로로서 기능하는 회로를 구비하는 경우나, 주사선 구동 회로나 신호선 구동 회로로서 기능하는 회로를 외부에 제공하여, FPC(73)를 통하여 표시 패널(70)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IC(74)를 제공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IC(74)를 COG(Chip On Glass) 방식에 의하여 기판(71)에 직접 실장하여도 좋다.
〔입력 장치의 구성예〕
도 2의 (A)에 입력 장치(10)의 상면 개략도를 도시하였다. 입력 장치(10)는 기판(30) 위에 복수의 전극(31), 복수의 전극(32), 복수의 배선(41), 복수의 배선(42)을 갖는다. 또한 기판(30)에는 복수의 배선(41) 및 복수의 배선(42)의 각각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FPC(50)가 제공된다. 또한 도 2의 (A)에는 FPC(50)에 IC(51)가 실장된 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여기서는 구별하기 쉽게 전극(32)의 윤곽을 실선으로, 전극(31)의 윤곽을 파선으로, 각각 나타내었다.
도 2의 (A)에서 전극(31)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전극(32)은 전극(3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31)과 전극(32)은 직교하는 방향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배선(41)은 각각 하나의 전극(31)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복수의 배선(42)은 각각 하나의 전극(32)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IC(51)는 입력 장치(10)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를 갖는다. IC(51)는 예를 들어 상호 용량 방식이나 자기 용량 방식 등의 구동 방법을 실현하는 회로를 갖는다.
도 2의 (B)에 도 2의 (A) 중의 영역P의 확대도를 도시하였다. 전극(31)과 전극(32)은 교차부(90)에서 이들 일부가 중첩하여 서로 교차한다. 교차부(90)에서는 전극(31)과 전극(32)이 전기적으로 단락(쇼트)하지 않도록 이들 사이에 절연체가 끼여 있다.
도 2의 (B)에서는 전극(32)은 국소적으로는 전극(31)을 90° 회전시킨 것과 같은 형상을 갖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전극(31) 및 전극(32)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윤곽은 복수의 다이아몬드형의 패턴이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일체가 된 형상을 갖는다. 이때,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다이아몬드형의 패턴이 정방형이면 전극(31)의 지면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이아몬드형 패턴의 피치와 지면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는 전극(32)의 피치를 같은 간격으로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로써 입력 장치(10)의 검지 영역에 있어서 검출점을 같은 간격으로, 매트릭스 상으로 배치할 수 있어, 검지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전극(31)은 그 윤곽의 일부에 직선 부분(21)을 갖는다. 또한 전극(32)은 그 윤곽의 일부에 직선 부분(22)을 갖는다. 전극(31)과 전극(32)은 직선 부분(21)과 직선 부분(22)이 평행하게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전극(31)과 전극(32)의 간격이 일정하게 되어, 또한 이들 2개의 전극이 대향하는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용량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전극이 대향하는 부분에서 2개의 전극 사이에 전위차를 주었을 때 생기는 전기력선은 밀도가 균일하게 분포되므로 장소에 따라 검출 감도에 차이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검지 정밀도가 높은 터치 센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30)에는 전극(31) 또는 전극(32) 중 한쪽만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때, 다른 쪽의 전극을 표시 패널(70)에 제공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예를 들어, 액정 소자의 코먼 전극(공통 전극)을 전극(31) 또는 전극(32)으로서 이용하면 좋다. 도 3에서는 전극(31)이 기판(30)에 배치된 구성을 도시하였지만, 전극(32)이 기판(30)에 배치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도 2의 (B)에는 도 1의 (B)에 도시한 주사선(87)의 연장 방향인 방향(80)을 도시하였다. 직선 부분(21)과 직선 부분(22)이 평행일 때, 방향(80)과 직선 부분(21)이 이루는 각과 방향(80)과 직선 부분(22)이 이루는 각은 같게 된다. 여기서는 방향(80)과 직선 부분(21) 또는 직선 부분(22)이 이루는 각의 각도를 각도θ라고 표기한다. 각도θ는 30° 이상 60°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5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42° 이상 48° 이하, 대표적으로는 4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극(31)과 전극(32)의 간격을 D로 한다. 간격D는 작을수록 2개의 전극 사이의 용량을 높일 수 있으므로 검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간격D의 크기로서는 예를 들어 0보다 크며 10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μm 이상 5m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μm 이상 1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μm 이상 500μm 이하 등으로 하면 좋다. 또는 표시부(81)가 갖는 화소, 또는 부화소를 배열하였을 때의 피치, 또는 표시 소자(60)를 배열하였을 때의 피치의 정수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B)에는 전극(31)과 전극(32)이 각각 격자 형상을 갖는 예를 도시하였다. 전극(31) 및 전극(32)의 격자의 간격은 그 정수배가 상기 전극(31)과 전극(32)의 간격D와 같게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31) 및 전극(32)의 격자를 직교하는 격자로 한 경우, 격자를 이루는 2개의 직선 부분 중 하나의 방향이 직선 부분(21) 또는 직선 부분(22)과 평행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극(31) 및 전극(32)이 갖는 개구부의 형상은 방향(80)에 대하여 각도θ만큼 기울어진 정방형의 형상이 된다.
또한 도 2의 (B)에서는 격자의 개구부의 형상이 정방형인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타원형, 각이 둥근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전극(31) 및 전극(32)은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을 정도로 가늘게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31) 및 전극(32)을 격자 형상(메시 형상)으로 가공함으로써 높은 도전성과 표시 장치가 높은 시인성을 얻을 수 있다. 전극(31) 및 전극(32)의 가장 가는 부분의 폭을 30nm 이상 100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50nm 이상 50μ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0nm 이상 20μ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10μm 이하의 패턴 폭을 갖는 도전막은 사용자가 시인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전극(31) 및 전극(32)에 도전성의 나노 와이어를 사용하여도 좋다. 인접한 나노 와이어끼리가 접촉하도록 적당한 밀도로 분산함으로써 2차원적인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투광성이 매우 높은 도전막으로서 기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경의 평균값이 1nm 이상 100nm 이하, 바람직하게는 5nm 이상 50n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nm 이상 25nm 이하의 나노 와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나노 와이어로서 Ag 나노 와이어, Cu 나노 와이어, Al 나노 와이어 등의 금속 나노 와이어, 또는 카본 나노 튜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g 나노 와이어의 경우, 광투과율은 89% 이상, 시트 저항값은 40Ω/□ 이상 100Ω/□ 이하를 실현할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32)이 복수의 전극(33)과 브릿지 전극(34)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전극(33)이나 브릿지 전극(34)의 상대 위치나 형상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하여 도 4의 (B)에서는 브릿지 전극(34)만을 파선으로, 도 4의 (C)에서는 브릿지 전극(34)만을 실선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브릿지 전극(34)과 전극(31) 및 전극(33)의 상하 관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느 쪽이 기판(30) 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섬 형상의 전극(33)은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브릿지 전극(34)에 의하여 인접한 2개의 전극(33)이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전극(33)과 전극(31)을 동일한 도전막을 가공하여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 막 두께나 선 폭 등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고, 각각의 전극의 저항값이 장소에 따라 편차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전극(33)과 전극(31)을 동일한 평면 위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31)과 전극(33)은 높이 방향의 위치의 어긋남이 생기지 않으므로 이들 사이에 생기는 전기력선의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어, 입력 장치(10)의 검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전극(32)이 브릿지 전극(34)을 갖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전극(31)이 이러한 구성이어도 좋다. 이때, 브릿지 전극(34)을 제공함으로써 접촉 저항의 영향이 현저해지는 경우에는 전극(31)과 전극(32) 중 짧은 쪽에 브릿지 전극(34)을 갖는 구성을 적용하면 하나의 전극이 갖는 브릿지 전극(34)의 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도 5의 (A)에는 도 2의 (A) 중의 영역Q의 확대도를 도시하였다. 영역Q는 입력 장치(10)의 검지 영역의 모서리부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지 영역의 모서리부에서는 전극(31) 및 전극(32)은 방향(80)에 평행, 또는 수직인 방향에 절단한 것 같은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극(31) 및 전극(32)의 윤곽이 방향(80)에 평행, 또는 수직인 직선 부분을 갖는 구성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입력 장치(10)와 표시 패널(70)을 조합한 터치 패널(100)을 슬림 베젤화할 수 있다.
도 5의 (B)에서는 도 5의 (A)에 비해 간격D를 넓힌 경우의 예를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전극(31)과 전극(32)의 간격을 넓힐 경우, 교차부(90)에도 격자 형상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의 (B)에서는 전극(32)이 격자 형상의 브릿지 전극(34)을 갖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또한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릿지 전극(34)을 적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극(31) 및 전극(32)이 교차부(90)에서 격자 형상을 갖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상기에서는 전극(31)과 전극(32)이 격자 형상을 갖는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극(31)과 전극(32)이 대향하는 직선 부분을 가지면 좋고, 다른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6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31) 및 전극(32)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더미 전극(35)을 전극(31)과 전극(32) 사이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전극(31)이나 전극(32)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시인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7의 (A)에는 도 4의 (A)에 도시한 전극(31)과 전극(33)의 다이아몬드형 전극 패턴의 안쪽을 파서 윤곽부만 남긴 형상으로 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또한 도 7의 (B)에는 전극(31)과 전극(33)으로서 격자의 한쪽의 직선 부분만 남긴 경우를 도시하였다. 또한 도 7의 (C)에는 전극(31)과 전극(33)의 안쪽에 지그재그 형상의 패턴을 갖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이때, 이 지그재그 형상의 패턴이 갖는 직선 부분은 전극(31) 또는 전극(33)이 갖는 윤곽의 직선 부분과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지그재그 형상의 패턴이 전극(31) 또는 전극(32)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치하면 이 방향의 전기 저항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의 (A), (B) 및 (C)에서는 전극(32)이 브릿지 전극(34)을 갖는 구성의 예를 도시하였지만,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릿지 전극(34)을 적용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도 2의 (A) 등에서는 전극(31) 및 전극(32)의 상면 형상으로서, 복수의 다이아몬드형이 한 방향으로 연결된 형상이 된 예를 도시하였지만, 전극(31) 및 전극(3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띠 모양(장방형 형상), 곡선을 갖는 띠 모양, 지그재그 형상 등, 다양한 상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전극(31)과 전극(32)이 직교하도록 배치된 것 같이 도시하였지만 이들은 반드시 직교하여 배치될 필요는 없고 2개의 전극이 이루는 각의 각도가 90° 미만이라도 좋다.
도 8의 (A)에서는 지그재그 형상의 상면 형상을 갖는 전극(36) 및 전극(37)을 이용한 경우의 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명료화를 위하여 도 8의 (A) 등에서는 전극(36)을 파선으로, 전극(37)을 실선으로 나타내었다. 이때, 도 8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직선 부분의 중심 위치를 중첩시키는 게 아니라 상대적으로 어긋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전극(36)과 전극(37)이 평행하게 대향하는 부분을 접근시킬 수 있고, 전극 사이에 용량이 높아져 검출 감도가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또는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36) 및 전극(37)의 상면 형상을 지그재그 형상의 직선 부분의 일부가 돌출한 형상으로 하면, 이 직선 부분의 중심 위치를 중첩하여 배치하여도 대향하는 부분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전극 사이에 용량을 높일 수 있다.
도 8의 (A) 중의 일점쇄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확대도를 도 9의 (A)에, 도 8의 (B) 중의 일점쇄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확대도를 도 9의 (D)에 각각 도시하였다. 또한 각 도면에는 전극(36), 전극(37) 및 이들이 교차하는 교차부(38)를 도시하였다. 여기서 도 9의 (B) 및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9의 (A) 및 (D)에서의 전극(36) 및 전극(37)의 직선 부분이 모서리부를 갖도록 사행하는 형상이어도 좋고, 도 9의 (C) 및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선이 연속하도록 사행하는 형상이어도 좋다.
이상의 내용이 입력 장치의 구성예에 대한 설명이다.
〔화소의 구성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터치 패널(100)이 갖는 표시 패널(70)의 화소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70)의 표시부에는 복수의 화소가 제공된다. 또한 화소는 하나 이상의 표시 소자(60)를 갖는다. 풀 컬러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70)로 하는 경우, 예를 들어 하나의 화소에 적색(R), 녹색(G), 청색(B)의 3색의 표시 소자(60)가 제공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의 화소가 상기 3색에 더하여 황색(Y)이나 백색(W)의 표시 소자(60)를 갖는 구성으로 하면,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여기서 하나의 표시 소자(60)와 이에 대응하는 화소 회로를 갖는 구성을 부화소라고 부를 경우도 있다. 화소가 3개의 표시 소자(60)를 갖는 경우 화소는 3개의 부화소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10)를 표시 패널(70)에 중첩하여 배치하는 경우, 입력 장치(10)가 갖는 전극(31) 및 전극(32)이 표시 소자(6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표시 소자(60)에서의 광이 전극(31) 및 전극(32)에 의하여 차단되는 일이 없으므로 입력 장치(10)를 제공하였을 때의 표시 패널(70)의 휘도의 저하를 실질적으로 없애거나 또는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시인성이 높고, 또한 소비 전력이 저감된 터치 패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전극(31) 및 전극(32)이 표시 소자(60)와 중첩되지 않으므로 전극(31) 및 전극(32)에 비교적 저항이 큰 투광성의 도전체 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전극(31) 및 전극(32)에 저항이 작은 금속이나 합금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전극(31)이나 전극(32)을 육안으로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까지 매우 가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31)이나 전극(32)이 광을 반사하거나 하여 시인되는 것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더 시인성이 높은 터치 패널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0에 도 1의 (A)에 도시한 터치 패널(100)의 표시면 측에서 보았을 때의 표시부(81)와, 입력 장치(10)를 중첩한 상태에 있어서의 확대도를 도시하였다. 여기서는 표시 패널(70)이 갖는 화소(40)가 상이한 색을 나타내는 4개의 표시 소자(60)(표시 소자(60R), 표시 소자(60G), 표시 소자(60B), 표시 소자(60Y))를 갖는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이하에서 4종류의 표시 소자에 공통된 사항을 설명할 때 표시 소자(60)라고 표기하여 설명한다.
도 10에는 전극(31)과 각 표시 소자(60)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였다. 또한 여기서는 전극(31)을 나타내었지만, 전극(32)(또는 전극(33) 및 브릿지 전극(34))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10에는 표시 패널(70)이 갖는 주사선(87)의 방향을 설명하기 위하여 3개의 주사선(주사선(87a), 주사선(87b), 주사선(87c))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또한 주사선의 연장 방향인 방향(80)도 나타내었다.
도 10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전극(31)이 갖는 격자의 직선 부분과 주사선(87)이 이루는 각의 각도가 45°인 경우를 나타내었다. 표시 소자(60)는 전극(31)이 갖는 직선 부분을 따라 배열된다. 여기서, 도 10에서 비스듬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표시 소자(60)는 상이한 2색에 대응하는 2종류의 표시 소자(60)가 번갈아 배열된다. 하나의 화소(40)는 인접한 4개의 표시 소자(60)(표시 소자(60R), 표시 소자(60G), 표시 소자(60B), 표시 소자(60Y))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표시 소자(60R)는 적색을 나타내는 표시 소자이고, 표시 소자(60G)는 녹색을 나타내는 표시 소자이고, 표시 소자(60B)는 청색을 나타내는 표시 소자이고, 표시 소자(60Y)는 황색을 나타내는 표시 소자로 한다.
하나의 표시 소자(60)는 그 윤곽이 전극(31)이 갖는 격자의 직선 부분에 평행한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표시 소자(60)를 배열할 때의 2개의 표시 소자(60)의 틈을 적게 하여 개구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0에서는 표시 소자(60)의 윤곽이 모서리부가 둥근 사각형상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정방형, 장방형, 다각형, 타원형, 원형, 또는 모서리부가 둥근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도 10에서 나타낸 주사선(87a)은 예를 들어 표시 소자(60R)를 포함하는 부화소를 구동하는 주사선에 대응한다. 또한 주사선(87b)은 표시 소자(60G)를 포함하는 부화소, 및 표시 소자(60Y)를 포함하는 부화소를 구동하는 주사선에 대응한다. 또한 주사선(87c)은 표시 소자(60B)를 포함하는 부화소를 구동하는 주사선에 대응한다. 각 주사선은 각 부화소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즉, 도 10에서 예시하는 구성에서는, 하나의 화소는 3개의 주사선(87)에 의하여 구동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전극(31)이 갖는 개구부 중 하나에, 하나의 화소(40)(즉, 4개의 표시 소자(60))가 포함되는 구성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극(31)은 인접한 표시 소자(60) 사이에 배치되도록 가공된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도 11의 (A)에는 전극(31)이 갖는 격자의 개구부에 하나의 표시 소자(60)가 포함되도록 배치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또한 도 11의 (B)에는 전극(31)이 스트라이프 형상인 경우를 도시하였다. 또한 도 11의 (C)에서는 전극(31)이 갖는 격자의 하나의 개구부에 복수의 화소(40)가 배치된 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도 11의 (D)에서는 전극(31)이 갖는 격자에서 직교하는 2개의 방향의 격자의 피치가 상이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또한 도 11의 (E) 및 도 11의 (F)에는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31)이 지그재그 형상을 갖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서는 하나의 화소(40)에 4색의 표시 소자(60)가 제공된 예를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3색, 또는 5색 이상의 표시 소자를 제공하여도 좋다.
도 12에서는 하나의 화소(40)가 3색의 표시 소자(60)를 갖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였다. 도 12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화소(40a), 화소(40b), 및 화소(40c)를 다른 화소와 구별해서 도시하고, 화소(40a), 화소(40b), 및 화소(40c) 각각에 포함되는 3개의 표시 소자(60)에 같은 해치 패턴을 부여하였다.
도 12에서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화소(40a)와 화소(40b)는, 이에 포함되는 3 개의 표시 소자(60)의 배열이 같다. 또한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화소(40a)와 화소(40c)는, 각각 표시 소자(60)의 상하가 역전되어 배열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지면 세로 방향으로 동일한 색의 표시 소자(60)가 배열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컬러 필터나 발광 소자를 상이한 색의 표시 소자(60)에 따라 나누어 만들 때에 형성하기 쉬워지므로 바람직하다.
도 13의 (A)에는 하나의 화소가 3색의 표시 소자(60)를 갖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였다. 표시 소자(60)는 그 윤곽이 전극(31)의 격자의 방향에 따른 직선 부분을 갖고, 모서리부의 둥근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예를 나타내었다. 또한 같은 색의 표시 소자(60)가 전극(31)의 격자의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스트라이프 배치를 형성한다. 또한 도 13의 (B)~(D)에는 전극(31)이 도 13의 (A)와 상이한 형상으로 배치된 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도 10~도 13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복수의 표시 소자(60) 중 몇 개에 R,G,B,Y 등의 부호를 부여하였지만 이 배치 방법은 일례이며 표시 소자(60)의 배치 방법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R,G,B,Y는 서로 교환할 수 있다. 또한 R,G,B,Y의 어느 하나를 대신하여 백색의 표시 소자에 대응하는 W를 배치하여도 좋다.
이상의 내용이 화소의 구성예에 대한 설명이다.
[단면 구성예]
이하에서는 터치 패널(100)의 단면 구성의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면 구성예 1〕
도 14는 터치 패널(100)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14에서는 도 1의 (A)에서의 FPC(73)를 포함하는 영역, 구동 회로(82)를 포함하는 영역, 표시부(81)를 포함하는 영역, 및 FPC(50)를 포함하는 영역의 각각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기판(71)과 기판(72)은 접착층(151)에 의하여, 또한 기판(72)과 기판(30)은 접착층(152)에 의하여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기판(71)과 기판(72) 및 그 사이에 끼이는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구성이 표시 패널(70)에 상당한다. 또한 기판(30) 및 기판(30) 위에 제공된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10)에 상당한다.
<표시 패널(70)>
기판(71)과 기판(72) 사이에는 트랜지스터(201), 트랜지스터(202), 트랜지스터(203), 표시 소자(60), 용량 소자(205), 접속부(206), 배선(207) 등이 제공된다.
기판(71) 위에는 절연층(211), 절연층(212), 절연층(213), 절연층(214), 절연층(215), 스페이서(216) 등이 제공된다. 절연층(211)은 그 일부가 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층으로서 기능하고, 또한 다른 일부가 용량 소자(205)의 유전체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절연층(212), 절연층(213), 및 절연층(214)은 각 트랜지스터나 용량 소자(205) 등을 덮도록 제공된다. 절연층(214)은 평탄화층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여기서 트랜지스터를 덮는 절연층으로서 절연층(212), 절연층(213), 및 절연층(214)의 3층을 갖는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4층 이상이어도 좋고, 단층, 또는 2층이어도 좋다. 또한 평탄화층으로서 기능하는 절연층(214)은 필요가 없으면 제공하지 않아도 된다.
절연층(214) 위에 표시 소자(60)가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는 표시 소자(60)로서 상면 사출형(톱 에미션형)의 발광 소자(유기 EL 소자)를 적용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다. 표시 소자(60)는 제 2 전극(223) 측에 광을 사출한다. 표시 소자(60)의 발광 영역과 중첩하여 트랜지스터(202), 트랜지스터(203), 용량 소자(205), 및 배선 등을 배치함으로써 표시부(81)의 개구율을 높일 수 있다.
표시 소자(60)는 제 1 전극(221)과 제 2 전극(223) 사이에 EL층(222)을 갖는다. 또한 제 1 전극(221)과 EL층(222) 사이에는 광학 조정층(224)이 제공된다. 절연층(215)은 제 1 전극(221)과 광학 조정층(224)의 단부를 덮도록 제공되어 있다.
도 14에서는 표시부(81)의 예로서 1 화소분의 단면을 도시하였다. 여기서 화소가 전류 제어용 트랜지스터(202)와 스위칭 제어용의 트랜지스터(203)와 용량 소자(205)를 갖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트랜지스터(202)의 소스 또는 드레인 중 한쪽, 및 용량 소자(205)의 한쪽의 전극은 절연층(212), 절연층(213) 및 절연층(214)에 제공된 개구부를 통하여 제 1 전극(221)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도 14에는 구동 회로(82)의 예로서 트랜지스터(201)가 제공된 구성을 도시하였다.
트랜지스터(201), 트랜지스터(202), 및 트랜지스터(203)는 각각 게이트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도전층(241)과, 반도체층(242)과, 한쪽이 소스 전극으로서 기능하고, 다른 쪽이 드레인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한 쌍의 도전층(243)과, 게이트 절연층으로서 기능하는 절연층(211)을 갖는다.
도 14에서는 트랜지스터(201) 및 트랜지스터(202)에 채널이 형성되는 반도체층을 2개의 게이트 전극(도전층(241) 및 도전층(244)) 사이에 개재(介在)하는 구성을 적용한 예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트랜지스터는 다른 트랜지스터와 비교하여 전계 효과 이동도를 높일 수 있고, 온 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고속 동작이 가능한 회로를 제작할 수 있다. 더구나 회로의 점유 면적을 축소시킬 수 있다. 온 전류가 큰 트랜지스터를 적용함으로써 표시 패널을 대형화, 또는 고정세(高精細)화하였을 때 배선수가 증대하여도, 각 배선에서의 신호 지연을 저감할 수 있고, 표시의 휘도의 편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구동 회로(82)와 표시부(81)에 제공되는 트랜지스터는 각각 같은 구조의 트랜지스터로 하여도 좋고, 상이한 구조의 트랜지스터를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각 트랜지스터를 덮는 절연층(212), 절연층(213) 중 적어도 한쪽은 물이나 수소 등의 불순물이 확산되기 어려운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절연층(212) 또는 절연층(213)은 배리어막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트랜지스터에 대하여 외부로부터 불순물이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터치 패널을 실현할 수 있다.
스페이서(216)는 절연층(215) 위에 제공되어, 기판(71)과 기판(72)의 거리를 조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14에서 스페이서(216)와 차광층(232) 사이에 틈이 있는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이들이 접하여도 좋다. 또한 여기서는 스페이서(216)를 기판(71) 측에 제공한 구성을 나타내었지만 기판(72) 측(예를 들어 차광층(232)보다 기판(71) 측)에 제공하여도 좋다. 또는 스페이서(216)를 대신하여 입자상의 스페이서를 사용하여도 좋다. 입자상의 스페이서로서 실리카 등의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유기 수지나 고무 등의 탄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입자상의 스페이서는 상하 방향에 찌부러진 형상이 되는 경우가 있다.
기판(72)의 기판(71) 측에는 착색층(231), 차광층(232) 등이 제공되어 있다. 차광층(232)은 개구를 갖고, 이 개구가 표시 소자(60)의 표시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착색층(231)은 표시 소자(60)와 중첩하도록 제공되어 있다.
차광층(232)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재료로서는, 카본 블랙, 금속 산화물, 복수의 금속 산화물의 고용체를 포함하는 복합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차광층(232)에 착색층(231)의 재료를 포함하는 막의 적층막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착색층(231)에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재료를 사용하여, 어떤 색의 광을 투과하는 착색층에 사용하는 재료를 포함하는 막과 다른 색의 광을 투과하는 착색층에 사용하는 재료를 포함하는 막과의 적층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착색층(231)과 차광층(232)의 재료를 공통으로 함으로써 장치를 공통화할 수 있고, 또한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착색층(231)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로서, 금속 재료, 수지 재료, 안료, 또는 염료가 포함된 수지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착색층(231) 및 차광층(232)을 덮어서 오버 코트로서 기능하는 절연층을 제공하여도 좋다.
기판(71)의 단부에 가까운 영역에 접속부(206)가 제공되어 있다. 접속부(206)는 접속층(209)을 통하여 FPC(73)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한 구성에는 구동 회로(82)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207)의 일부와 제 1 전극(221)과 동일한 도전막을 가공하여 형성된 도전층을 적층하여, 접속부(206)를 구성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2개 이상의 도전층을 적층하여 접속부(206)를 구성함으로써 전기 저항을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속부(206)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4에는 일례로서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도전막을 가공하여 형성된 배선과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동일한 도전막을 가공하여 형성된 배선이 교차하는 교차부(86)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였다.
여기서는 교차부(86)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도전막을 가공하여 형성된 주사선(87)이 제공된 경우를 나타내었다. 또한 주사선(87)은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동일한 도전막을 가공하여 형성된 배선이어도 좋고, 다른 도전막을 사용하여도 좋다.
<입력 장치(10)>
기판(30)의 기판(72) 측에는 전극(31) 및 전극(32)이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는 전극(31)이 전극(33) 및 브릿지 전극(34)을 갖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다. 도 14 중의 교차부(8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32)과 전극(33)은 동일 평면 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극(32) 및 전극(33)을 덮는 절연층(161) 위에 브릿지 전극(34)이 제공되어 있다. 브릿지 전극(34)은 절연층(161)에 제공된 개구를 통하여 전극(32)을 끼우도록 제공되는 2개의 전극(3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전극(33)이 표시 소자(60)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였다. 즉, 전극(33)이 갖는 개구와 표시 소자(60)가 중첩되도록 전극(33)이 배치되어 있다. 이때, 전극(33)은 착색층(231)과도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극(33)은 차광층(232)과 중첩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는 전극(33)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전극(31), 전극(32) 및 브릿지 전극(34)도 마찬가지로 표시 소자(60)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30)의 단부에 가까운 영역에는 접속부(106)가 제공되어 있다. 접속부(106)는 접속층(109)을 통하여 FPC(5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배선(42)의 일부와 브릿지 전극(34)이 동일한 도전막을 가공하여 얻어진 도전층을 적층하여 접속부(106)를 구성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접속층(109)이나 접속층(209)으로서는 이방성 도전 필름(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이나 이방성 도전 페이스트(ACP:Anisotropic Conductive Pas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기판(30)은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등의 피검지체가 직접 접촉되는 기판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기판(30) 위에 보호층(세라믹 코트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보호층은 예를 들어 산화 실리콘, 산화 알루미늄, 산화 이트륨,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YSZ) 등의 무기 절연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판(30)에 강화 유리를 사용하여도 좋다. 강화 유리는 이온 교환법이나 풍랭 강화법 등에 의하여 물리적, 또는 화학적인 처리가 수행되어 그 표면에 압축 응력을 가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터치 센서를 강화 유리의 한쪽 면에 제공하고, 그 반대쪽 면을 예를 들어 전자 기기의 가장 바깥쪽에 제공하여 터치면으로서 사용함으로써 기기 전체의 두께를 저감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터치 패널이 갖는 기판에는 평탄면을 갖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표시 소자로부터의 광을 추출하는 측의 기판에는 이 광을 투과하는 재료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유리, 석영, 세라믹, 사파이어, 유기 수지 등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두께가 얇은 기판을 사용함으로써 터치 패널의 경량화, 박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가요성을 가질 정도의 두께의 기판을 사용함으로써 가요성을 갖는 터치 패널을 실현할 수 있다.
유리로서는 예를 들어, 무 알칼리 유리, 바륨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알루미노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가요성 및 가시광에 대한 투과성을 갖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가요성을 가질 정도의 두께의 유리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폴리에터설폰(PES) 수지, 폴리아마이드 수지, 사이클로올레핀 수지, 폴리스타이렌 수지, 폴리아마이드이미드 수지, 폴리염화바이닐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열팽창 계수가 낮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여, 예를 들어 폴리아마이드이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PET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리 섬유에 유기 수지를 함침(含浸)시킨 기판이나 무기 필러를 유기 수지에 섞어 열팽창 계수를 낮춘 기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재료를 사용한 기판은 중량이 가벼우므로 이 기판을 사용한 터치 패널도 경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발광을 추출하지 않는 측의 기판은 투광성을 갖지 않아도 되므로 상술한 기판 외에 금속 기판, 세라믹 기판, 또는 반도체 기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금속 기판은 열 전도성이 높고, 금속 기판 전체에 열을 용이하게 전도할 수 있으므로 터치 패널의 국소적인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가요성이나 굽힘성을 얻기 위해서는 금속 기판의 두께는 10μm 이상 200μm 이하가 바람직하고, 20μm 이상 50μ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금속 기판을 구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니켈 등의 금속, 또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등의 합금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금속 기판의 표면을 산화시키거나, 표면에 절연막을 형성함으로써 절연 처리가 수행된 기판을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스핀 코팅법이나 딥법(dipping method) 등의 도포법, 전착법, 증착법 또는 스퍼터링법 등을 이용하여 절연막을 형성하여도 좋고, 산소 분위기에서 방치하거나 가열하는 외에 양극 산화법 등에 의하여 기판의 표면에 산화막을 형성하여도 좋다.
가요성을 갖는 기판에 터치 패널의 표면을 손상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하드 코트층(예를 들어, 질화 실리콘층 등)이나, 압력을 분산할 수 있는 재질의 층(예를 들어, 아라미드 수지층 등) 등이 적층되어도 좋다. 또한 수분 등으로 인한 표시 소자의 수명 저하 등을 억제하기 위하여 가요성을 갖는 기판에 투수성이 낮은 절연막이 형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질화 실리콘막, 산화 질화 실리콘막 등의 질소와 실리콘을 포함하는 막이나, 질화 알루미늄막 등의 질소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투수성이 낮은 절연막을 가져도 좋다.
기판은 복수의 층을 적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유리층을 갖는 구성으로 하면 물이나 산소에 대한 배리어성을 향상시키고, 신뢰성이 높은 터치 패널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소자에 가까운 측에서 유리층, 접착층, 및 유기 수지층을 적층한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유리층의 두께는 20μm 이상 200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25μm 이상 100μm 이하로 한다. 이러한 두께의 유리층은 물이나 산소에 대한 높은 배리어성과 가요성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유기 수지층의 두께는 10μm 이상 200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20μm 이상 50μm 이하로 한다. 이러한 유기 수지층을 유리층보다 외측에 제공함으로써 유리층의 깨짐이나 크랙을 억제하여,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리 재료와 유기 수지의 복합 재료를 기판에 적용함으로써 극히 신뢰성이 높은 플렉시블한 터치 패널로 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도전층과, 반도체층과, 소스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도전층과, 드레인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도전층과, 게이트 절연층으로서 기능하는 절연층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터치 패널이 갖는 트랜지스터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태거형의 트랜지스터로 하여도 좋고, 역 스태거형의 트랜지스터로 하여도 좋다. 또한, 톱 게이트형 또는 보텀 게이트형 중 어느 트랜지스터 구조로 하여도 좋다. 트랜지스터에 사용하는 반도체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산화물 반도체, 실리콘, 저마늄, 유기 반도체 등을 들 수 있다.
트랜지스터에 사용하는 반도체 재료의 결정성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비정질 반도체, 결정성을 갖는 반도체(미결정 반도체, 다결정 반도체, 단결정 반도체, 또는 일부에 결정 영역을 갖는 반도체)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결정성을 갖는 반도체를 사용하면 트랜지스터 특성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트랜지스터에 사용하는 반도체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14족의 원소, 화합물 반도체 또는 산화물 반도체를 반도체층에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반도체, 갈륨 비소를 포함하는 반도체 또는 인듐을 포함하는 산화물 반도체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트랜지스터의 채널이 형성되는 반도체에 산화물 반도체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실리콘보다 밴드 갭이 큰 산화물 반도체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보다 밴드 갭이 넓고, 또한 캐리어 밀도가 작은 반도체 재료를 사용하면 트랜지스터의 오프 상태에서의 전류를 저감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산화물 반도체로서 적어도 인듐(In) 또는 아연(Zn)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In-M-Zn계 산화물(M은 Al, Ti, Ga, Ge, Y, Zr, Sn, La, Ce 또는 Hf 등의 금속)으로 표기되는 산화물을 포함한다.
특히 반도체층으로서 복수의 결정부를 갖고, 이 결정부는 c축이 반도체층의 피형성면, 또는 반도체층의 상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하고, 또한 인접한 결정부들 사이에서 입계가 관찰되지 않는 산화물 반도체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산화물 반도체는 결정립계를 갖지 않으므로 표시 패널을 만곡시켰을 때의 응력에 의하여 산화물 반도체막에 크랙이 생기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가요성을 갖고, 만곡시켜서 사용하는 터치 패널 등에 이러한 산화물 반도체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층으로서 이러한 결정성을 갖는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함으로써, 전기 특성의 변동이 억제되어 신뢰성이 높은 트랜지스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보다 밴드 갭이 큰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트랜지스터는 그 낮은 오프 전류에 의하여 트랜지스터와 직렬로 접속된 용량에 축적된 전하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트랜지스터를 화소에 적용함으로써 각 표시 영역에 표시한 화상의 계조를 유지하면서, 구동 회로를 정지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소비 전력이 매우 저감된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는 트랜지스터의 채널이 형성되는 반도체에 실리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으로서 어모퍼스 실리콘을 사용하여도 좋지만, 특히 결정성을 갖는 실리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미결정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단결정 실리콘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다결정 실리콘은 단결정 실리콘에 비하여 저온으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어모퍼스 실리콘에 비하여 높은 전계 효과 이동도와, 높은 신뢰성을 구비한다. 이러한 다결정 반도체를 화소에 적용함으로써 화소의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매우 고정세하게 화소를 갖는 경우에도, 주사선 구동 회로와 신호선 구동 회로를 화소와 동일 기판 위에 형성할 수 있고, 전자 기기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저감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소스 및 드레인 외에,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각종 배선 및 전극 등의 도전층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로서는 알루미늄, 타이타늄, 크로뮴, 니켈, 구리, 이트륨, 지르코늄, 몰리브데넘, 은, 탄탈럼, 또는 텅스텐 등의 금속, 또는 이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재료를 포함하는 막을 단층으로, 또는 적층 구조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을 포함하는 알루미늄막의 단층 구조, 타이타늄막 위에 알루미늄막을 적층하는 2층 구조, 텅스텐막 위에 알루미늄막을 적층하는 2층 구조, 구리-마그네슘-알루미늄 합금막 위에 구리막을 적층하는 2층 구조, 타이타늄막 위에 구리막을 적층하는 2층 구조, 텅스텐막 위에 구리막을 적층하는 2층 구조, 타이타늄막 또는 질화 타이타늄막과 그 위에 중첩하여 알루미늄막 또는 구리막을 적층하고, 그 위에 타이타늄막 또는 질화 타이타늄막을 형성하는 3층 구조, 몰리브데넘막 또는 질화 몰리브데넘막과, 그 위에 중첩하여 알루미늄막 또는 구리막을 적층하고, 그 위에 몰리브데넘막 또는 질화 몰리브데넘막을 형성하는 3층 구조 등이 있다. 또한 산화 인듐, 산화 주석 또는 산화 아연을 포함하는 투명 도전 재료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망가니즈를 포함하는 구리를 사용하면 에칭에 의한 형상의 제어성이 높아지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각종 배선 및 전극 등의 도전층에 사용할 수 있는 투광성을 갖는 재료로서는 산화 인듐, 인듐 주석 산화물, 인듐 아연 산화물, 산화 아연, 갈륨을 첨가한 산화 아연 등의 도전성 산화물 또는 그래핀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금, 은, 백금, 마그네슘, 니켈, 텅스텐, 크로뮴, 몰리브데넘, 철, 코발트, 구리, 팔라듐, 또는 타이타늄 등의 금속 재료나 이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합금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금속 재료의 질화물(예를 들어, 질화 타이타늄)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금속 재료, 합금 재료(또는 그들의 질화물)를 사용할 경우에는 투광성을 가질 정도로 얇게 하면 좋다. 또한 상기 재료의 적층막을 도전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은과 마그네슘의 합금과 인듐 주석 산화물의 적층막 등을 사용하면 도전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각 절연층, 오버 코트, 스페이서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절연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 에폭시 등의 수지, 실록산 결합을 갖는 수지 외에 산화 실리콘, 산화 질화 실리콘, 질화 산화 실리콘, 질화 실리콘, 산화 알루미늄 등의 무기 절연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발광 소자는 한 쌍의 투수성이 낮은 절연막 사이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발광 소자에 물 등의 불순물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장치의 신뢰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투수성이 낮은 절연막으로서는 질화 실리콘막, 질화 산화 실리콘막 등의 질소와 실리콘을 포함하는 막이나 질화 알루미늄 등의 질소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막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산화 실리콘막, 산화 질화 실리콘막, 산화 알루미늄막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투수성이 낮은 절연막의 수증기 투과량은 1×10-5[g/(m2·day)] 이하, 바람직하게는 1×10-6[g/(m2·day)]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10-7[g/(m2·day)]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8[g/(m2·day)] 이하로 한다.
각 접착층으로서는 자외선 경화형 등의 광경화형 접착제, 반응 경화형 접착제, 열경화형 접착제, 혐기형 접착제 등의 각종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접착제로서는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실리콘(silicone) 수지, 페놀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이미드 수지, PVC(폴리 바이닐 클로라이드) 수지, PVB(폴리 바이닐 부티랄) 수지, EVA(에틸렌 바이닐 아세테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에폭시 수지 등의 투습성이 낮은 재료가 바람직하다. 또한 2액 혼합형의 수지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접착 시트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수지에 건조제를 포함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알칼리 토금속의 산화물(산화 칼슘이나 산화 바륨 등)과 같이, 화학 흡착에 의하여 수분을 흡착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제올라이트나 실리카 겔 등과 같이, 물리 흡착에 의하여 수분을 흡착하는 물질을 사용하여도 좋다. 건조제가 포함되어 있으면, 수분 등의 불순물이 기능 소자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표시 패널의 신뢰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지에 굴절률이 높은 필러나 광산란 부재를 혼합함으로써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 타이타늄, 산화 바륨, 제올라이트, 지르코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발광 소자로서는 자체 발광이 가능한 소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전류 또는 전압에 의하여 휘도가 제어되는 소자를 그 범주에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ED), 유기 EL 소자, 무기 EL 소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발광 소자는 톱 에미션형, 보텀 에미션형, 듀얼 에미션형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광을 추출하는 측의 전극에는 가시광을 투과하는 도전막을 사용한다. 또한 광을 추출하지 않는 측의 전극에는 가시광을 반사하는 도전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L층은 적어도 발광층을 갖는다. EL층은 발광층 외의 층으로서, 정공 주입성이 높은 물질, 정공 수송성이 높은 물질, 정공 블로킹 재료, 전자 수송성이 높은 물질, 전자 주입성이 높은 물질, 또는 양극성의 물질(전자 수송성 및 정공 수송성이 높은 물질) 등을 포함하는 층을 더 가져도 좋다.
EL층에는 저분자계 화합물 및 고분자계 화합물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고, 무기 화합물을 포함하여도 좋다. EL층을 구성하는 층은 각각 증착법(진공 증착법을 포함함), 전사법, 인쇄법, 잉크젯법, 도포법 등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음극과 양극 사이에 발광 소자의 문턱 전압보다 높은 전압을 인가하면 EL층에 양극 측으로부터 정공이 주입되고, 음극 측으로부터 전자가 주입된다. 주입된 전자와 정공은 EL층에서 재결합하여 EL층에 포함되는 발광 물질이 발광한다.
발광 소자로서, 백색 발광의 발광 소자를 적용할 경우에는 EL층에 2종류 이상의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2종류 이상의 발광 물질의 각각의 발광이 보색의 관계가 되도록 발광 물질을 선택함으로써 백색 발광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 R(적색), G(녹색), B(청색), Y(황색), O(주황색) 등의 발광을 나타내는 발광 물질, 또는 R, G, B, 중 2개 이상의 색의 스펙트럼 성분을 포함하는 발광을 나타내는 발광 물질 중 2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광 소자로부터의 발광의 스펙트럼이 가시광 영역의 파장(예를 들어, 350nm~750nm)의 범위 내에 2개 이상의 피크를 갖는 발광 소자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황색의 파장 영역에 피크를 갖는 재료의 발광 스펙트럼은 녹색 및 적색의 파장 영역에도 스펙트럼 성분을 갖는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EL층은 하나의 색을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발광층과, 다른 색을 발광하는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발광층이 적층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EL층에서의 복수의 발광층은 서로 접하여 적층되어도 좋고, 분리층을 개재하여 적층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형광 발광층과 인광 발광층 사이에 분리층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형광 발광층과 인광 발광층 사이에 이 형광 발광층 또는 인광 발광층과 동일한 재료(예를 들어 호스트 재료, 어시스트 재료)를 포함하고, 또한 어느 발광 재료도 포함하지 않는 영역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로써 발광 소자의 제작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구동 전압이 저감된다.
가시광을 투과하는 도전막은, 예를 들어, 산화 인듐, 인듐 주석 산화물(ITO:Indium Tin Oxide), 인듐 아연 산화물, 산화 아연, 갈륨을 첨가한 산화 아연 등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금, 은, 백금, 마그네슘, 니켈, 텅스텐, 크로뮴, 몰리브데넘, 철, 코발트, 구리, 팔라듐, 또는 타이타늄 등의 금속 재료, 이들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합금, 또는 이들 금속 재료의 질화물(예를 들어, 질화 타이타늄) 등도 투광성을 가질 정도로 얇게 형성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료의 적층막을 도전막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은과 마그네슘의 합금과 ITO의 적층막 등을 사용하면, 도전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그래핀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가시광을 반사하는 도전막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금, 백금, 은, 니켈, 텅스텐, 크로뮴, 몰리브데넘, 철, 코발트, 구리 또는 팔라듐 등의 금속 재료, 또는 이들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재료나 합금에 란타넘, 네오디뮴, 또는 저마늄 등이 첨가되어도 좋다. 또한 알루미늄과 타이타늄의 합금, 알루미늄과 니켈의 합금, 알루미늄과 네오디뮴의 합금 등의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합금(알루미늄 합금)이나, 은과 구리의 합금, 은과 팔라듐과 구리의 합금, 은과 마그네슘의 합금 등의 은을 포함하는 합금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은과 구리를 포함하는 합금은 내열성이 높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알루미늄 합금막에 접하는 금속막 또는 금속 산화물막을 적층함으로써 알루미늄 합금막의 산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 금속막, 금속 산화물막의 재료로서는 타이타늄, 산화 타이타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시광을 투과하는 도전막과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막을 적층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은과 ITO의 적층막, 은과 마그네슘의 합금과 ITO의 적층막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전막은 각각 증착법이나 스퍼터링법을 사용하여 형성하면 좋다. 그 외에 잉크젯법 등의 토출법, 스크린 인쇄법 등의 인쇄법, 또는 도금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는 EL층을 하나 갖는 싱글 소자여도 좋고, 복수의 EL층이 전하 발생층을 개재하여 적층된 탠덤 소자여도 좋다.
이상의 내용이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단면 구성예 1과는 일부의 구성이 상이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면 구성예 2〕
도 15에는 도 14와는 일부의 구성이 상이한 터치 패널(100)의 단면 구성예를 도시하였다.
도 15에서 트랜지스터(201) 및 트랜지스터(202)는 그 제 2 게이트로서 기능하는 도전층이 절연층(213)과 절연층(214)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도 14에 도시한 구성에 비하여 제 2 게이트에 가하는 전압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도 15에 도시한 표시 소자(60)는 구분 도포 방식으로 형성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이한 색의 화소마다 상이한 색을 발광하는 EL층(2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시 소자(60)의 발광 영역보다 외측이고 EL층(222)의 단부가 제 2 전극(223)에 덮인 영역을 갖는다. EL층(222)은 예를 들어 금속 마스크를 사용한 증착법이나, 인쇄법, 잉크젯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서는 도 14에서 예시한 광학 조정층(224)이나 착색층(231)이 제공되지 않는 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도 15에서는 제 2 전극(223)을 덮도록 보호막(217)이 제공된 예를 도시하였다. 보호막(217)은 표시 소자(60)에 물 등의 불순물이 확산되지 않도록 배리어막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보호막(217)은 EL층(222)의 단부, 또는 제 2 전극(223)의 단부를 덮도록 제공하면 더 효과적으로 표시 소자(60)에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보호막(217)으로서는 유기 절연성 재료, 또는 무기 절연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무기 절연성 재료를 사용하면 배리어성이 높은 막을 얇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보호막(217)에 무기 절연성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질화 실리콘, 질화 산화 실리콘, 산화 알루미늄, 산화 질화 알루미늄, 질화 산화 알루미늄, 질화 알루미늄, 산화 하프늄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산화 알루미늄은 배리어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막(217)의 성막 방법으로서는 스퍼터링법, 증착법, CVD(Chemical Vapor Deposition)법, ALD(Atomic Layer Deposition)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ALD법을 이용하면 성막 시의 표시 소자(60)에 대한 대미지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ALD법으로서 열ALD법도 이용할 수 있지만 PEALD(Plasma Enhanced ALD)법을 사용하면 실온 정도의 저온으로 성막할 수 있으므로 더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예시한 트랜지스터의 구성, 표시 소자(60)의 구성, 보호막(217)의 구성 등은, 도 14, 및 이하에서 예시하는 각 단면 구성에서의 트랜지스터나 표시 소자 등의 구성과 치환할 수 있다.
〔단면 구성예 3〕
도 16에 도시한 터치 패널은 기판(111)과 기판(112)을 갖는다. 기판(111)과 기판(72)은 접착층(152)에 의하여 접착되고, 기판(111)과 기판(112)은 접착층(153)에 의하여 접착되어 있다.
전극(32), 배선(42) 등은 기판(111) 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극(31), 배선(41)(도시하지 않았음) 등은 기판(112) 위에 형성되어 있다. 도 16에서는 기판(111) 위에 FPC(50)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도시하지 않은 영역에서 기판(112)에도 마찬가지로 FPC가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입력 장치(10)의 구성으로서 2개의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기판(111)과 기판(112)에는 기판(71)이나 기판(72)과 같거나, 이들보다 얇은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기판(111)이나 기판(112)으로서 상술한 가요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터치 패널(10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12) 위에 접착층(154)을 개재하여 보호 기판(130)을 제공하여도 좋다. 보호 기판(130)의 기판(112)과 반대측인 면이 터치 면으로서 기능한다. 보호 기판(130)의 재료로서는 상기 기판(30)의 기재를 원용할 수 있다.
〔단면 구성예 4〕
도 17에 도시한 터치 패널은 기판(113)을 갖는다. 기판(113)과 기판(72)은 접착층(152)에 의하여 접착되어 있다.
기판(113)의 한쪽 면에는 전극(32), 배선(42) 등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기판(113)의 다른 쪽 면에는 전극(31), 배선(41) 등이 제공되어 있다. 즉,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전극이나 배선이 기판(113)의 표면이나 뒷면에 제공된 구성을 갖는다.
또한 도 17에서는 배선(42)의 일부가 노출된 접속부(106a)에서, FPC(50a) 및 접속층(109a)이 제공되고, 배선(41)의 일부가 노출된 접속부(106b)에서 FPC(50b) 및 접속층(109b)이 제공된 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접속부(106a)와 접속부(106b)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중첩하여도 좋고, 중첩되지 않도록 어긋나게 배치되어도 좋다.
〔단면 구성예 5〕
도 18에 도시한 터치 패널은 기판(72)의 기판(71) 측과 반대측인 면에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전극 등이 제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판(72) 위에 브릿지 전극(34)과, 브릿지 전극(34)의 일부를 덮는 절연층(161)과, 절연층(161) 위에 전극(31), 전극(32), 배선(41)(도시하지 않았음), 배선(42) 등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 기판(130)과 기판(72)을 접착층(152)으로 접착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입력 장치(10)와 표시 패널(70)은 기판을 공유할 수 있으므로 터치 패널의 두께를 매우 얇게 할 수 있다.
〔단면 구성예 6〕
도 19에는 도 18에서 예시한 터치 센서의 구성과 도 15에서 예시한 구분 도포 방식이 적용된 발광 소자를 표시 소자(60)에 사용한 터치 패널의 구성을 조합한 경우의 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도 19에서는 차광층(232)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였다.
〔단면 구성예 7〕
도 20에 도시한 터치 패널은 기판(72)의 기판(71) 측의 면에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전극 등이 제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판(72) 위에 전극(32), 전극(33), 배선(41)(도시하지 않았음), 배선(42) 등과, 이들을 덮는 절연층(161)과, 절연층(161) 위에 브릿지 전극(34) 등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전극 등을 덮도록 절연층(233)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절연층(233) 위에 착색층(231), 차광층(232) 등이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입력 장치(10)와 표시 패널(70)이 기판을 공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판(72)의 일면을 터치면으로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터치 패널(100)의 두께를 더 얇게 할 수 있다.
〔단면 구성예 8〕
도 21에는 도 20에 도시한 터치 패널의 변형예를 도시하였다.
도 21에 도시한 터치 패널은 기판(71) 대신에 기판(91), 접착층(92), 기판(93) 및 절연층(94)의 적층 구조를 갖는다. 또는 기판(72) 대신에 기판(191), 접착층(192), 기판(193), 및 절연층(194)의 적층 구조를 갖는다.
절연층(94) 및 절연층(194)은 물이나 수소 등의 불순물이 확산되기 어려운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기판(91), 기판(93), 기판(191) 및 기판(193)에 투습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한다고 하여도 표시 소자(60)나 각 트랜지스터에 대하여 외부로부터 불순물이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신뢰성이 높은 터치 패널을 실현할 수 있다.
기판(93) 및 기판(193)은 가요성을 갖는 수지 등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기판(91) 및 기판(191)은 가요성을 갖는 필름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기판에 가요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휘는 터치 패널을 실현할 수 있다.
〔단면 구성예 9〕
도 22에 도시한 터치 패널은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전극 등과, 기판(72) 사이에 차광층(232)이 제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판(72) 위에 차광층(232)이 제공되고, 차광층(232)을 덮도록 절연층(234)이 제공되어 있다. 절연층(234) 위에는 전극(32), 전극(33), 배선(41)(도시하지 않았음), 배선(42)과, 이들을 덮는 절연층(161)과 절연층(161) 위에 브릿지 전극(34) 등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브릿지 전극(34) 및 절연층(161) 위에 절연층(233)이 제공되고, 절연층(233) 위에 착색층(231)이 제공되어 있다.
절연층(233) 및 절연층(234)은 평탄화막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절연층(233), 절연층(234)은 필요가 없으면 제공하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전극 등보다 시인측에 제공된 차광층(232)에 의하여 이 전극 등의 외광 반사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 전극 등이 시인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두께가 얇을 뿐만 아니라 시인성이 더 향상된 터치 패널을 실현할 수 있다.
〔단면 구성예 10〕
도 23에는 도 22에 도시한 터치 패널의 변형예를 도시하였다.
도 23에 도시한 터치 패널은 기판(71) 대신에 기판(91), 접착층(92), 및 절연층(94)의 적층 구조를 갖는다. 또한 기판(72) 대신에 기판(191), 접착층(192), 및 절연층(194)의 적층 구조를 갖는다.
기판(91) 및 기판(191)에 가요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휠 수 있는 터치 패널을 실현할 수 있다.
〔단면 구성예 11〕
도 24는 표시 패널(70)으로서 액정 표시 장치를 적용한 경우의 터치 패널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4에 도시한 터치 패널은 표시 소자(208)로서 액정 소자가 적용되어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은 편광판(131), 편광판(132), 및 백라이트(133)을 갖는다.
여기서는 표시 소자(208)로서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가 적용된 액정 소자를 적용한 예를 나타내었다. 표시 소자(208)는 전극(251)과, 전극(252)과, 액정(253)을 갖는다. 전극(251)은 전극(252) 위에 절연층(254)을 개재하여 제공되고 빗 모양, 또는 슬릿이 제공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착색층(231)과 차광층(232)을 덮도록 오버 코트(255)가 제공되어 있다. 오버 코트(255)는 착색층(231)이나 차광층(232)에 포함되는 안료 등이 액정(253)에 확산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오버 코트(255), 절연층(254), 및 전극(251) 등에 있어서, 액정(253)이 접하는 면에는 액정(253)의 배향을 억제하기 위한 배향막이 제공되어 있어도 좋다.
도 24에서는 편광판(131)이 접착층(157)에 의하여 기판(71)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백라이트(133)가 접착층(158)에 의하여 편광판(131)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편광판(132)은 기판(72)과 기판(30) 사이에 위치한다. 편광판(132)은 접착층(155)에 의하여 기판(72)과 접착되고, 또한 접착층(156)에 의하여 기판(30)(구체적으로는 기판(30) 위의 절연층(161)의 일부)과 접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FFS 모드가 적용된 액정 소자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외에도 VA(Vertical Alignment) 모드, TN(Twisted Nematic) 모드, IPS(In-Plane-Switching) 모드, ASM(Axially Symmetric aligned Micro-cell) 모드, OCB(Optically Compensated Birefringence) 모드, FLC(Ferroelectric Liquid Crystal) 모드, AFLC(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모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액정으로서는 서모트로픽 액정, 저분자 액정, 고분자 액정, 강유전 액정, 반강유전 액정, 고분자 분산형 액정(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블루상을 나타내는 액정을 사용하면 배향막이 필요 없으며, 또한 넓은 시야각을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단면 구성예 12〕
도 25는 표시 패널(70)로서 액정 표시 장치를 적용한 경우의 터치 패널의 단면 구성예이다. 도 25에 도시한 터치 패널은 편광판(132)이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전극 등보다 시인 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극(31), 전극(32) 등이 형성된 기판(114)이 접착층(152)에 의하여 기판(72)에 접착되고, 편광판(132)이 접착층(155)에 의하여 기판(114)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편광판(132)보다 시인 측에는 접착층(156)에 의하여 편광판(132)에 접착된 보호 기판(130)이 제공되어 있다.
기판(114)에는 가요성을 갖는 필름 등을 사용하면 터치 패널의 두께를 저감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단면 구성예 13〕
도 26은 표시 패널로서 액정 표시 장치를 적용한 경우의 터치 패널의 단면 구성예이다. 도 26에 도시한 터치 패널은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전극 등이 기판(72)의 기판(71) 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기판(72) 위에 전극(32), 전극(33), 배선(41)(도시하지 않았음), 배선(42) 등과 이들을 덮는 절연층(161)과, 절연층(161) 위에 브릿지 전극(34) 등이 제공된다. 또한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전극 등을 덮도록 절연층(233)이 제공된다. 또한 절연층(233) 위에 착색층(231), 차광층(232) 등이 제공된다.
또한 기판(72)의 반대측 면에는 접착층(155)에 의하여 편광판(132)이 접착되어 있다. 또한 편광판(132)에는 접착층(156)에 의하여 보호 기판(130)이 접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입력 장치와 표시 패널이 기판을 공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판(72)의 일면을 터치면으로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터치 패널의 두께를 더 얇게 할 수 있다.
〔단면 구성예 14〕
도 27은 표시 패널로서 액정 표시 장치를 적용한 경우의 터치 패널의 단면 구성예이다. 도 27에 도시한 터치 패널은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전극 등이 기판(72)의 기판(71) 측 면과 반대측의 면에 제공된 예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기판(72)의 착색층(231) 등이 제공된 면과 반대측 면 위에 브릿지 전극(34)과, 브릿지 전극(34)의 일부를 덮는 절연층(161)과, 절연층(161) 위에 전극(31), 전극(32), 배선(41)(도시하지 않았음), 배선(42) 등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기판(72) 위에는 접착층(152)에 의하여 편광판(132)이 접착되고, 편광판(132) 위에는 접착층(156)에 의하여 보호 기판(130)이 접착되어 있다.
이상의 내용이 단면 구성예에 대한 설명이다.
〔제작 방법예〕
여기서 가요성을 갖는 터치 패널을 제작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편의상 화소나 회로를 포함하는 구성, 컬러 필터 등의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구성,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전극이나 배선을 포함하는 구성 등을 소자층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소자층은 예를 들어 표시 소자를 포함하고, 표시 소자 외에 표시 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 화소나 회로에 사용하는 트랜지스터 등의 소자를 구비하여도 좋다.
또한 여기서는 소자층이 형성되는 절연 표면을 구비하는 지지체(예를 들어 도 23에서의 기판(91) 또는 기판(191))를 기판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가요성을 갖는 절연 표면을 구비하는 기판 위에 소자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기판 위에 직접 소자층을 형성하는 방법과, 강성을 갖는 지지 기재(基材) 위에 소자층을 형성한 후, 소자층과 지지 기재를 박리시켜 소자층을 기판으로 전치하는 방법이 있다.
기판을 구성하는 재료가 소자층의 형성 공정의 가해지는 열에 대하여 내열성을 갖는 경우에는 기판 위에 직접 소자층을 형성하면, 공정이 간략화되어 바람직하다. 이때, 기판을 지지 기재에 고정한 상태에서 소자층을 형성하면, 장치 내, 및 장치 간에서의 반송이 용이하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소자층을 지지 기재 위에 형성한 후에 기판으로 전치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먼저 지지 기재 위에 박리층과 절연층을 적층하여 이 절연층 위에 소자층을 형성한다. 이어서, 지지 기재와 소자층을 박리하여 기판으로 전치한다. 이때, 지지 기재와 박리층의 계면, 박리층과 절연층의 계면, 또는 박리층 내에서 박리가 발생되는 재료를 선택하면 된다.
예를 들어 박리층으로서 텅스텐 등의 고융점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층과 이 금속 재료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층을 적층하여 사용하고, 박리층 위의 절연층으로서 질화 실리콘이나 산화 질화 실리콘을 복수 적층한 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융점 금속 재료를 사용하면 소자층의 형성 공정의 자유도가 높아지므로 바람직하다.
박리는 기계적인 힘을 가하거나 박리층을 에칭하거나, 또는 박리 계면의 일부에 액체를 적하하여 박리 계면 전체에 침투시킴으로써 박리를 수행하여도 좋다. 또는 열팽창의 계수의 차이를 이용하여 박리 계면에 열을 가함으로써 박리를 수행하여도 좋다.
또한 지지 기재와 절연층의 계면에서 박리가 가능한 경우에는 박리층을 제공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지지 기재로서 유리를 사용하고, 절연층으로서 폴리이미드 등의 유기 수지를 사용하여, 유기 수지의 일부를 레이저 광 등을 이용하여 국소적으로 가열함으로써 박리의 기점을 형성하여 유리와 절연층의 계면에서 박리를 수행하여도 좋다. 또는 지지 기재와 유기 수지를 포함하는 절연층 사이에 금속층을 제공하고, 이 금속층에 전류를 흘리고 이 금속층을 가열함으로써 이 금속층과 절연층의 계면에서 박리를 수행하여도 좋다. 또는 지지 기재와 유기 수지를 포함하는 절연층 사이에 광을 흡수하는 재료(금속, 반도체, 절연체 등)의 층을 제공하고, 이 층에 레이저 광 등의 광을 조사하여 국소적으로 가열함으로써 박리의 기점을 형성하여도 좋다. 여기서 제시한 방법에서, 유기 수지를 포함하는 절연층은 기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가요성을 갖는 기판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폴리에터설폰(PES) 수지, 폴리아마이드 수지, 사이클로올레핀 수지, 폴리스타이렌 수지, 폴리아마이드이미드 수지, 폴리염화바이닐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열팽창 계수가 낮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열팽창률이 30×10-6/K 이하인 폴리아마이드이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PET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섬유체에 수지를 함침시킨 기판(프리프레그라고도 함)이나 무기 필러를 유기 수지에 섞어서 열팽창 계수를 낮춘 기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재료 중에 섬유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섬유체는 유기 화합물 또는 무기 화합물의 고강도 섬유를 사용한다. 고강도 섬유란 구체적으로 인장 탄성률 또는 영률(Young's modulus)이 높은 섬유를 말하고, 대표적인 예로서는 폴리바이닐알코올계 섬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아마이드계 섬유, 폴리에틸렌계 섬유, 아라미드계 섬유, 폴리파라페닐렌벤조비스옥사졸 섬유, 유리 섬유, 또는 탄소 섬유를 들 수 있다. 유리 섬유로서는 E유리, S유리, D유리, Q유리 등을 사용한 유리 섬유를 들 수 있다. 이들은 직포 또는 부직포의 상태에서 사용하고, 이 섬유체에 수지를 함침시켜 수지를 경화시킨 구조물을 가요성을 갖는 기판으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가요성을 갖는 기판으로서, 섬유체와 수지를 포함하는 구조물을 사용하면, 굴곡이나 국소적 가압으로 인한 파손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또는 가요성을 가질 정도로 얇은 유리, 금속 등을 기판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유리와 수지 재료가 접합된 복합 재료를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도 23에 도시한 구성의 경우, 제 1 지지 기재 위에 제 1 박리층, 절연층(94)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에 이들보다 위에 있는 구조물을 형성한다. 또한 이와 별도로, 제 2 지지 기재 위에 제 2 박리층, 절연층(194)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에 이들보다 위에 있는 구조물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 1 지지 기재와 제 2 지지 기재를 접착층(151)에 의하여 접합한다. 그 후, 제 2 박리층과 절연층(194)의 계면에서 박리함으로써 제 2 지지 기재 및 제 2 박리층을 제거하여 절연층(194)과 기판(191)을 접착층(192)에 의하여 접합한다. 또한 제 1 박리층과 절연층(94)의 계면에서 박리함으로써 제 1 지지 기재 및 제 1 박리층을 제거하여 절연층(94)과 기판(91)을 접착층(92)에 의하여 접합한다. 또한 박리 및 접합은 어느 쪽을 먼저 수행하여도 좋다.
이상의 내용이 가요성을 갖는 터치 패널을 제작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또한 여기서 표시 소자로서, 발광 소자나 액정 소자를 사용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소자나, 전자 방출 소자 등의 표시 소자를 사용한 표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MEMS를 사용한 표시 소자로서는 셔터 방식의 MEMS 표시 소자, 광 간섭 방식의 MEMS 표시 소자 등을 들 수 있다. 전자 방출 소자로서는 카본 나노 튜브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전자 페이퍼를 사용하여도 좋다. 전자 페이퍼로서는 마이크로 캡슐 방식, 전기 영동 방식, 일렉트로 웨팅 방식, 전자분류체(電子粉流體, Electronic Liquid Powder(등록상표)) 방식 등을 적용한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적어도 그 일부를 본 명세서 중에 기재하는 다른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입력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의 구동 방법의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센서의 검지 방법의 예]
도 28의 (A)는 상호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8의 (A)에서는 펄스 전압 출력 회로(601), 전류 검지 회로(602)를 도시하였고, 또한 펄스 전압이 인가되는 전극(621), 전류의 변화를 검지하는 전극(622)을 각각 X1~X6, Y1~Y6의 각각 6개의 배선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도 28의 (A)는 전극(621) 및 전극(622)이 중첩함으로써 형성되는 용량(603)을 도시하였다. 또한 전극(621)과 전극(622)은 서로 기능을 바꿔도 좋다.
펄스 전압 출력 회로(601)는 배선(X1~X6)에 순차적으로 펄스를 인가하기 위한 회로이다. 배선(X1~X6)에 펄스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용량(603)을 형성하는 전극(621) 및 전극(622)은 전계가 생긴다. 이 전극 사이에 생기는 전계가 차폐 등에 의하여 용량(603)의 상호 용량에 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이용하여 피검지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검출할 수 있다.
전극 검지 회로(602)는 용량(603)에서의 용량의 변화로 일어나는 배선(Y1~Y6)에서의 전류값의 변화를 검지하기 위한 회로이다. 배선(Y1~Y6)에서는 피검지체의 근접, 또는 접촉이 없으면 검지되는 전류값에 변화가 없지만, 검지하는 피검지체의 근접, 또는 접촉으로 인하여 용량이 감소하는 경우에는 전류값이 감소하는 변화를 검지한다. 또한 전류의 검지는 적분 회로 등을 사용하여 수행하면 좋다.
이어서, 도 28의 (B)에는 도 28의 (A)에서 나타낸 상호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에서의 입출력 파형의 타이밍 차트를 나타내었다. 도 28의 (B)에서 1프레임 기간에 각 행렬에서의 피검지체의 검출을 수행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28의 (B)에서는 피검지체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비(非)터치)와 피검지체를 검출하는 경우(터치)의 2개의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배선(Y1~Y6)에 대해서는 검지되는 전류값에 대응하는 전압값으로 한 파형을 나타내었다.
배선(X1~X6)에는 순차적으로 펄스 전압이 인가되고, 이 펄스 전압에 따라 배선(Y1~Y6)에서의 파형이 변화한다. 피검지체의 근접 또는 접촉이 없는 경우에는 배선(X1~X6)의 전압의 변화에 따라 Y1~Y6의 파형이 변화한다. 한편, 피검지체가 근접 또는 접촉하는 부분에서는 전류값이 감소하므로 이에 대응하는 전압값의 파형도 변화한다.
이와 같이, 용량의 변화를 검지함으로써 피검지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펄스 전압 출력 회로(601) 및 전류 검지 회로(602)로서 일체화된 IC의 형태로 터치 패널에 실장된다. 또는 전자 기기의 하우징 내의 기판에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요성을 갖는 터치 패널로 할 경우에는 휜 부분에서는 기생 용량이 증대하여 노이즈의 영향이 커질 우려가 있으므로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구동 방법이 적용된 IC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시그널-노이즈 비(S/N비)를 높이는 구동 방법이 적용된 IC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8의 (A)에서는 터치 센서로서 배선의 교차부에 용량(603)만을 제공하는 패시브 매트릭스형의 터치 센서의 구성을 도시하였지만, 트랜지스터와 용량을 구비한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터치 센서로 하여도 좋다. 도 29에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터치 센서에 포함되는 하나의 센서 회로의 예를 도시하였다.
센서 회로는 용량(603)과, 트랜지스터(611)와, 트랜지스터(612)와, 트랜지스터(613)를 갖는다. 트랜지스터(613)는 게이트에 신호(G2)가 공급되고,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에 전압(VRES)이 공급되고, 다른 쪽이 용량(603)의 한쪽의 전극 및 트랜지스터(611)의 게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611)는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이 트랜지스터(612)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다른 쪽에 전압(VSS)이 공급된다. 트랜지스터(612)는 게이트에 신호(G1)가 공급되고,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쪽이 배선(ML)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용량(603)의 다른 쪽 전극에는 전압(VSS)이 공급된다.
이어서, 센서 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신호(G2)로서 트랜지스터(613)를 온 상태로 하는 전위가 공급됨으로서 트랜지스터(611)의 게이트가 접속되는 노드 n에 전압(VRES)에 대응한 전위가 공급된다. 다음에 신호(G2)로서 트랜지스터(613)를 오프 상태로 하는 전위가 공급됨으로서 노드 n의 전위가 유지된다.
이어서, 손가락 등의 피검지체의 근접 또는 접촉에 의하여, 용량(603)의 용량이 변함에 따라 노드 n의 전위가 VRES로부터 변화한다.
판독 동작은 신호(G1)에 트랜지스터(612)를 온 상태로 하는 전위를 공급한다. 노드 n의 전위에 따라 트랜지스터(611)에 흐르는 전류, 즉, 배선(ML)에 흐르는 전류가 변화한다. 이 전류를 검지함으로써 피검지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검출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611), 트랜지스터(612), 트랜지스터(613)로서, 채널이 형성되는 반도체층에 산화물 반도체를 적용한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트랜지스터(613)에 이러한 트랜지스터를 적용함으로써 노드 n의 전위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노드 n에 VRES를 다시 공급하는 동작(리프레시 동작)의 빈도를 줄일 수 있다.
[인셀형 터치 패널의 구성예]
상기에서는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전극을 표시 소자 등이 제공되는 기판과 다른 기판 위에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표시 소자 등이 제공되는 기판 위에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전극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화소를 갖는 표시부에 터치 센서를 제공한 터치 패널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화소에 제공되는 표시 소자로서 액정 소자를 적용한 예를 나타낸다.
도 30의 (A)는 본 구성예에서 예시하는 터치 패널의 표시부에 제공되는 화소 회로의 일부에서의 등가 회로도이다.
하나의 화소는 적어도 트랜지스터(3503)와 액정 소자(3504)를 갖는다. 또한 트랜지스터(3503)의 게이트에 배선(3501)이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에는 배선(3502)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화소 회로는 X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배선(예를 들어 배선(3510_1), 배선(3510_2))과 Y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배선(예를 들어 배선(3511))을 갖고, 이들은 교차하도록 제공되고, 이 사이에 용량이 형성된다.
또한 화소 회로에 제공되는 화소 중, 일부의 인접하는 복수의 화소는 각각 제공되는 액정 소자의 한쪽의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하나의 블록을 형성한다. 이 블록은 섬 형상의 블록(예를 들어, 블록(3515_1), 블록(3515_2))과 Y방향으로 연장하는 라인 형상의 블록(예를 들어, 블록(3516))의 2종류로 분류된다. 또한 도 30에서는 화소 회로의 일부만을 도시하였지만, 실제로는 이들 2종류의 블록이 X방향 및 Y방향에 반복적으로 배치된다.
X방향으로 연장하는 배선(3510_1)(또는 배선(3510_2))은 섬 형상의 블록(3515_1)(또는 블록(3515_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X방향으로 연장하는 배선(3510_1)은 라인 형상의 블록을 개재하여 X방향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섬 형상의 블록(3515_1)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Y방향으로 연장하는 배선(3511)은 라인 형상의 블록(3516)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30의 (B)는 X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배선(3510)과 Y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배선(3511)의 접속 구성을 나타낸 등가 회로도이다. X방향으로 연장하는 배선(3510)의 각각에는 입력 전압 또는 공통 전위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Y방향으로 연장하는 배선(3511)의 각각에는 접지 전위를 입력하거나, 배선(3511)과 검지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하, 도 31의 (A) 및 (B)를 참조하여, 상술한 터치 패널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1프레임 기간을 기록 기간과 검지 기간으로 나눈다. 기록 기간은 화소로 화상 데이터의 기록을 수행하는 기간이며, 배선(3510)(게이트선, 또는 주사선이라고도 함)이 순차적으로 선택된다. 한편, 검지 기간은 터치 센서에 의한 센싱을 수행하는 기간이며, X방향으로 연장하는 배선(3510)이 순차적으로 선택되어 입력 전압이 입력된다.
도 31의 (A)는 기록 기간에서의 등가 회로도이다. 기록 기간에는 X방향으로 연장하는 배선(3510)과, Y방향으로 연장하는 배선(3511)의 양쪽에 공통 전위가 입력된다.
도 31의 (B)는 검지 기간의 어느 시점에서의 등가 회로도이다. 검지 기간에는 Y방향으로 연장하는 배선(3511)의 각각은 검지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X방향으로 연장하는 배선(3510) 중, 선택된 것에는 입력 전압이 입력되고, 그 외에는 공통 전위가 입력된다.
또한 여기서 예시한 구동 방법은, 인셀 방식뿐만이 아니라 상기에서 예시한 터치 패널에도 적용할 수 있고, 상기 구동 방법예에서 제시한 방법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상의 기록 기간과 터치 센서에 의한 센싱을 수행하는 기간을 독립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화소의 기록 시의 노이즈에 기인하는 터치 센서의 감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전자 기기 및 조명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입력 장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를 사용하여, 전자 기기나 조명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입력 장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를 사용하여, 곡면을 갖고, 신뢰성이 높은 전자 기기나 조명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입력 장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를 사용하여, 가요성을 갖고, 신뢰성이 높은 전자 기기나 조명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입력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를 사용하여, 터치 센서의 검출 감도나 검지 정밀도가 향상된 전자 기기나 조명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전자 기기로서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장치(텔레비전 또는 텔레비전 수신기라고도 함), 컴퓨터용 등의 모니터,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포토 프레임, 휴대 전화기(휴대전화, 휴대 전화 장치라고도 함), 휴대형 게임기, 휴대 정보 단말, 음향 재생 장치, 파칭코기 등의 대형 게임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전자 기기 또는 조명 장치는 가요성을 갖는 경우, 집이나 빌딩의 내벽 또는 외벽이나, 자동차의 내장 또는 외장의 곡면을 따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전자 기기는 이차 전지를 가져도 좋고, 비접촉 전력 전송을 사용하여 이차 전지를 충전할 수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차 전지로서는, 예를 들어, 겔상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 폴리머 전지(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등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리튬 이온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유기 라디칼 전지, 납 축전지, 공기 이차 전지, 니켈 아연 전지, 은 아연 전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전자 기기는 안테나를 가져도 좋다. 안테나로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표시부에서 영상이나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가 이차 전지를 갖는 경우, 안테나를 비접촉 전력 전송에 사용하여도 좋다.
도 32의 (A), (B), (C1), (C2), (D), 및 (E)에 만곡한 표시부(7000)를 갖는 전자 기기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표시부(7000)는 그 표시면이 만곡되어 제공되고, 만곡된 표시면을 따라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7000)는 가요성을 가져도 좋다.
표시부(7000)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 등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여, 만곡된 표시부를 구비하여, 신뢰성이 높은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2의 (A)에 휴대 전화기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휴대 전화기(7100)는 하우징(7101), 표시부(7000), 조작 버튼(7103), 외부 접속 포트(7104), 스피커(7105), 마이크로폰(7106) 등을 갖는다.
도 32의 (A)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7100)는 표시부(7000)에 터치 센서를 구비한다. 전화를 걸거나, 문자를 입력하는 등의 모든 조작은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등으로 표시부(7000)에 터치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버튼(7103)의 조작에 의하여 전원의 ON/OFF 동작이나 표시부(7000)에 표시되는 화상의 종류를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일 작성 화면으로부터 메인 메뉴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32의 (B)에 텔레비전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텔레비전 장치(7200)는 하우징(7201)에 표시부(7000)가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는 스탠드(7203)에 의하여 하우징(7201)이 지지된 구성을 도시하였다.
도 32의 (B)에 도시한 텔레비전 장치(7200)의 조작은 하우징(7201)이 구비하는 조작 스위치나 별체의 리모트 컨트롤러(7211)에 의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7000)에 터치 센서를 구비하여도 좋고, 손가락 등으로 표시부(7000)에 터치함으로써 조작하여도 좋다. 리모트 컨트롤러(7211)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7211)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가져도 좋다. 리모트 컨트롤러(7211)가 구비하는 조작키 또는 터치 패널에 의하여 채널이나 음향의 조작을 할 수 있고, 표시부(7000)에 표시되는 영상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 장치(7200)는 수신기나 모뎀 등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수신기에 의하여 일반적인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할 수 있고, 또한, 모뎀을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함으로써 한방향(송신자로부터 수신자에게) 또는 쌍방향(송신자와 수신자 사이, 또는 수신자끼리 등)에서 정보를 통신할 수도 있다.
도 32의 (C1), (C2), (D), (E)에 휴대 정보 단말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각 휴대 정보 단말은 하우징(7301) 및 표시부(7000)를 갖는다. 또한 조작 버튼, 외부 접속 포트, 스피커, 마이크로폰, 안테나, 또는 배터리 등을 가져도 좋다. 표시부(7000)에는 터치 센서를 구비한다. 휴대 정보 단말의 조작은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등으로 표시부(7000)에 터치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도 32의 (C1)는 휴대 정보 단말(7300)의 사시도이고, 도 32의 (C2)는 휴대 정보 단말(7300)의 상면도이다. 도 32의 (D)는 휴대 정보 단말(7310)의 사시도이다. 도 32의 (E)는 휴대 정보 단말(7320)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예시하는 휴대 정보 단말은, 예를 들어 전화기, 수첩, 또는 정보 열람 장치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의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폰으로서 각각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예시하는 휴대 정보 단말은 예를 들어 이동 전화, 전자 메일, 문장 열람 및 작성, 음악 재생, 인터넷 통신, 컴퓨터 게임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휴대 정보 단말(7300), 휴대 정보 단말(7310) 및 휴대 정보 단말(7320)은 문자나 화상 정보를 그 복수의 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2의 (C1),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조작 버튼(7302)을 하나의 면에 표시하고 직사각형으로 나타내는 정보(7303)를 다른 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2의 (C1), (C2)에는 휴대 정보 단말의 상측에 표시되는 예를 도시하였고, 도 32의 (D)에는 휴대 정보 단말의 옆측에 정보가 표시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휴대 정보 단말의 3면 이상에 정보를 표시하여도 좋고, 도 32의 (E)에는 정보(7304), 정보(7305), 정보(7306)가 각각 다른 면에 표시된 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정보의 예로서는,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의 통지, 전자 메일이나 전화 등의 착신을 알리는 표시, 전자 메일 등의 제목 또는 송신자명, 일시, 시각, 배터리의 잔량, 안테나의 수신 강도 등이 있다. 또는 정보가 표시되는 위치에 정보 대신 조작 버튼, 아이콘 등을 표시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휴대 정보 단말(7300)의 사용자는 상의 포켓에 휴대 정보 단말(7300)을 넣은 채로 그 표시(여기서는 정보(7303))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화를 걸어온 발신자의 전화 번호 또는 이름 등을 휴대 정보 단말(7300) 상방으로부터 관찰할 수 있는 위치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휴대 정보 단말(7300)을 포켓에서 꺼내지 않아도 표시를 확인하여 전화를 받을지 말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2의 (F)~(H)에 만곡된 발광부를 갖는 조명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도 32의 (F)~(H)에 도시한 각 조명 장치가 갖는 발광부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 등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여 만곡한 발광부를 구비하여 또한 신뢰성이 높은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2의 (F)에 도시한 조명 장치(7400)는 파상(波狀)의 발광면을 갖는 발광부(7402)를 구비한다. 그러므로 디자인성이 높은 조명 장치가 된다.
도 32의 (G)에 도시한 조명 장치(7410)가 구비하는 발광부(7412)는 볼록 형태로 만곡된 2개의 발광부가 대칭적으로 배치된 구성이 되어 있다. 따라서, 조명 장치(7410)를 중심으로 하여 전(全) 방향을 비출 수 있다.
도 32의 (H)에 도시한 조명 장치(7420)는 오목 형태로 만곡된 발광부(7422)를 구비한다. 따라서, 발광부(7422)로부터의 발광을 조명 장치(7420)의 앞면에 집광하므로 특정한 범위를 밝게 비추기에 적합하다. 또한 이러한 형태로 함으로써 그림자가 생기기 어렵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조명 장치(7400), 조명 장치(7410), 및 조명 장치(7420)가 구비하는 각각의 발광부는 가요성을 가져도 좋다. 발광부를 가소성 부재나 움직일 수 있는 프레임 등의 부재로 고정하여, 용도에 따라 발광부의 발광면을 자유롭게 만곡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조명 장치(7400), 조명 장치(7410), 및 조명 장치(7420)는 각각 조작 스위치(7403)를 구비하는 받침부(7401)와, 받침부(7401)에 지지되는 발광부를 갖는다.
여기서는 받침부에 의하여 발광부가 지지된 조명 장치에 대하여 예시하였지만, 발광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천장에 고정하거나 또는 천장에 매달아 사용할 수도 있다. 발광부를 만곡시켜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발광면을 오목 형태로 만곡시켜 특정한 영역을 밝게 비추거나 또는 발광면을 볼록 형태로 만곡시켜서 방 전체를 밝게 비출 수 있다.
도 33에, 가요성을 갖는 표시부(7001)를 갖는 휴대 정보 단말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표시부(7001)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 등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예를 들어, 곡률반경 0.01mm 이상 150mm 이하로 만곡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7001)는 터치 센서를 구비하여도 좋고, 손가락 등으로 표시부(7001)에 터치함으로써 휴대 정보 단말을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여 가요성을 갖는 표시부를 구비하여, 또한 신뢰성이 높은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3의 (A1)은 휴대 정보 단말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3의 (A2)는 휴대 정보 단말의 일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휴대 정보 단말(7500)은 하우징(7501), 표시부(7001), 인출 부재(7502), 조작 버튼(7503) 등을 갖는다.
휴대 정보 단말(7500)은 하우징(7501) 내에 롤상으로 말린 가요성을 갖는 표시부(7001)를 갖는다.
또한, 휴대 정보 단말(7500)은 내장된 제어부에 의하여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영상을 표시부(700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정보 단말(7500)에는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7501)에 커넥터를 접속하는 단자부를 구비하여, 영상 신호나 전력을 유선으로 외부로부터 직접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조작 버튼(7503)에 의하여, 전원의 ON/OFF 동작이나 표시하는 영상의 전환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33의 (A1), (A2), (B)에는 휴대 정보 단말(7500)의 측면에 조작 버튼(7503)을 배치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 정보 단말(7500)의 표시면과 동일한 면(앞면)이나 뒷면에 배치하여도 좋다.
도 33의 (B)에는 표시부(7001)를 인출 부재(7502)에 의하여 인출한 상태의 휴대 정보 단말(7500)을 도시하였다. 이 상태로 표시부(7001)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7001)의 일부가 롤상으로 말린 도 33의 (A1)의 상태와 표시부(7001)를 인출 부재(7502)에 의하여 인출한 도 33의 (B)의 상태에서 휴대 정보 단말(7500)이 다른 표시를 수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도 33의 (A1)의 상태일 때, 표시부(7001)의 롤상으로 말린 부분을 비표시로 함으로써 휴대 정보 단말(7500)의 소비 전력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7001)를 인출하였을 때에 표시부(7001)의 표시면이 평면상이 되도록 고정하기 위하여 표시부(7001)의 측부에 보강을 위한 프레임을 제공하여도 좋다.
또한 이 구성 외에 하우징에 스피커를 제공하여 영상 신호과 함께 수신한 음성 신호에 의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도 33의 (C)~(E)에 폴더블 휴대 정보 단말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도 33의 (C)에는 전개한 상태, 도 33의 (D)에는 전개한 상태 또는 접은 상태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변화하는 도중의 상태, 도 33의 (E)에는 접은 상태의 휴대 정보 단말(7600)을 도시하였다. 휴대 정보 단말(7600)은 접은 상태에서는 가반성이 우수하고, 전개한 상태에서는 이음매가 없는 넓은 표시 영역에 의하여 표시의 열람성이 우수하다.
표시부(7001)는 힌지(7602)에 의하여 연결된 3개의 하우징(7601)에 지지된다. 힌지(7602)를 개재하여 2개의 하우징(7601) 사이를 굴곡시킴으로써 휴대 정보 단말(7600)을 전개한 상태로부터 접은 상태로 가역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도 33의 (F), (G)에 폴더블 휴대 정보 단말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도 33의 (F)에는 표시부(7001)가 내측이 되도록 접은 상태, 도 33의 (G)에는 표시부(7001)가 외측이 되도록 접은 상태의 휴대 정보 단말(7650)을 도시하였다. 휴대 정보 단말(7650)은 표시부(7001) 및 비표시부(7651)를 갖는다. 휴대 정보 단말(765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 표시부(7001)가 내측이 되도록 접음으로써 표시부(7001)가 더러워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3의 (H)에 가요성을 갖는 휴대 정보 단말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휴대 정보 단말(7700)은 하우징(7701) 및 표시부(7001)를 갖는다. 또한 입력 수단인 버튼(7703a), (7703b), 음성 출력 수단인 스피커(7704a), (7704b), 외부 접속 포트(7705), 마이크로폰(7706) 등을 가져도 좋다. 또한 휴대 정보 단말(7700)은 가요성을 갖는 배터리(7709)를 탑재할 수 있다. 배터리(7709)는 예를 들어 표시부(7001)와 중첩시켜 배치하여도 좋다.
하우징(7701), 표시부(7001), 및 배터리(7709)는 가요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휴대 정보 단말(7700)을 원하는 형상으로 만곡시키거나 휴대 정보 단말(7700)을 쉽게 비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정보 단말(7700)은 표시부(7001)가 내측 또는 외측이 되도록 접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정보 단말(7700)을 롤상으로 만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7701) 및 표시부(7001)를 자유롭게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휴대 정보 단말(7700)은 낙하된 경우, 또는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파손되기 어렵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휴대 정보 단말(7700)은 경량이므로 하우징(7701)의 상부를 클립 등으로 꼭 잡아 매달아서 사용하거나 하우징(7701)을 자석 등으로 벽면에 고정시켜서 사용하는 등, 다양한 상황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33의 (I)에 손목 시계형의 휴대 정보 단말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휴대 정보 단말(7800)은 밴드(7801), 표시부(7001), 입출력 단자(7802), 조작 버튼(7803) 등을 갖는다. 밴드(7801)는 하우징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휴대 정보 단말(7800)은 가요성을 갖는 배터리(7805)를 탑재할 수 있다. 배터리(7805)는 예를 들어 표시부(7001)나 밴드(7801)와 중첩시켜 배치하여도 좋다.
밴드(7801), 표시부(7001), 및 배터리(7805)는 가요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휴대 정보 단말(7800)을 원하는 형상으로 쉽게 만곡할 수 있다.
조작 버튼(7803)은 시각 설정에 더하여 전원의 ON/OFF 동작, 무선 통신의 ON/OFF 동작, 매너 모드의 실행 및 해제, 전력 절약 모드의 실행 및 해제 등, 다양한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정보 단말(7800)에 제공된 운영 체계에 의하여 조작 버튼(7803)의 기능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7001)에 표시된 아이콘(7804)에 손가락 등으로 터치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정보 단말(7800)은 통신 규격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이 가능한 헤드 세트와 상호 통신함으로써 핸즈 프리로 통화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정보 단말(7800)은 입출력 단자(7802)를 가져도 좋다. 입출력 단자(7802)를 갖는 경우, 다른 정보 단말과 커넥터를 통하여 데이터를 직접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입출력 단자(7802)를 통하여 충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예시하는 휴대 정보 단말의 충전 동작은 입출력 단자를 통하지 않고 비접촉 전력 전송에 의하여 수행하여도 좋다.
도 34의 (A)에 자동차(9700)의 외관을 도시하였다. 도 34의 (B)에 자동차(9700)의 운전석을 도시하였다. 자동차(9700)는 차체(9701), 차륜(9702), 대시보드(9703), 라이트(9704) 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는 자동차(9700)의 표시부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4의 (B)에 도시한 표시부(9710)~표시부(9715)에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9710)와 표시부(9711)는 자동차의 앞유리에 제공된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는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가 갖는 전극을 투광성을 갖는 도전성 재료로 제작함으로써 반대측이 비쳐 보이는 소위 시스루 상태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로 할 수 있다. 시스루 상태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이면, 자동차(9700)의 운전시에도 시야를 막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를 자동차(9700)의 앞유리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트랜지스터 등을 제공할 경우에는 유기 반도체 재료를 사용한 유기 트랜지스터나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트랜지스터 등, 투광성을 갖는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면 좋다.
표시부(9712)는 필러 부분에 제공된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이다. 예를 들어, 차체에 제공된 촬상 수단으로부터의 영상을 표시부(9712)에 표시함으로써 필러로 차단된 시야를 보완할 수 있다. 표시부(9713)는 대시보드 부분에 제공된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이다. 예를 들어, 차체에 제공된 촬상 수단으로부터의 영상을 표시부(9713)에 표시함으로써 대시보드로 차단된 시야를 보완할 수 있다. 즉, 자동차의 외측에 제공된 촬상 수단으로부터의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사각을 보완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보이지 않는 부분을 보완하는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보다 자연스럽게 위화감없이 안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34의 (C)는 운전석과 조수석에 벤치 시트를 채용한 자동차의 실내를 도시하였다. 표시부(9721)는 도어부에 제공된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이다. 예를 들어, 차체에 제공된 촬상 수단으로부터의 영상을 표시부(9721)에 표시함으로써 도어로 차단된 시야를 보완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9722)는 핸들에 제공된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이다. 표시부(9723)는 벤치 시트의 착좌면의 중앙부에 제공된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이다. 또한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를 착좌면이나 등받이 부분 등에 설치하고 이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를 이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의 발열을 열원으로 한 시트 히터로서 이용할 수 있다.
표시부(9714), 표시부(9715), 또는 표시부(9722)는 내비게이션 데이터, 속도계, 태코미터, 주행 거리, 급유량, 기어 상태, 및 에어컨 설정 등의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항목이나 레이아웃 등은 사용자의 스타일에 맞추어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는 표시부(9710)~표시부(9713), 표시부(9721), 표시부(9723)에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9710)~표시부(9715), 표시부(9721)~표시부(9723)는 조명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9710)~표시부(9715), 표시부(9721)~표시부(9723)는 가열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가 적용되는 표시부는 평면이어도 좋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는 곡면이나 가요성을 갖지 않는 구성이어도 좋다.
도 34의 (D)에 도시한 휴대형 게임기는 하우징(901), 하우징(902), 표시부(903), 표시부(904), 마이크로폰(905), 스피커(906), 조작키(907), 스타일러스(908) 등을 갖는다.
도 34의 (D)에 도시한 휴대형 게임기는 2개의 표시부(표시부(903)와 표시부(904))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전자 기기가 갖는 표시부의 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라도 좋고, 3개 이상이라도 좋다. 전자 기기가 복수의 표시부를 갖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표시부가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를 가지면 된다.
도 34의 (E)는 노트북형 PC이며, 하우징(921), 표시부(922), 키보드(923), 포인팅 디바이스(924) 등을 갖는다.
표시부(922)에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도 35의 (A)에 카메라(8000)의 외관을 도시하였다. 카메라(8000)는 하우징(8001), 표시부(8002), 조작 버튼(8003), 셔터 버튼(8004), 결합부(8005) 등을 갖는다. 또한 카메라(8000)에는 렌즈(8006)를 장착할 수 있다.
결합부(8005)는 전극을 갖고, 후술하는 파인더(8100) 외에 스트로보 장치 등을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는 카메라(8000)로서 렌즈(8006)를 하우징(8001)에서 떼어내어 교환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렌즈(8006)와 하우징이 일체가 되어 있어도 좋다.
셔터 버튼(8004)을 누름으로써 촬상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8002)는 터치 패널로서의 기능을 갖고, 표시부(8002)를 터치함으로써 촬상할 수도 있다.
표시부(8002)에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도 35의 (B)에는 카메라(8000)에 파인더(8100)를 장착한 경우의 예를 도시하였다.
파인더(8100)는 하우징(8101), 표시부(8102), 버튼(8103) 등을 갖는다.
하우징(8101)은 카메라(8000)의 결합부(8005)와 걸림 결합하는 결합부를 갖고 있으며 파인더(8100)를 카메라(8000)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이 결합부는 전극을 갖고, 이 전극을 통하여 카메라(8000)로부터 수신한 영상 등을 표시부(8102)에 표시시킬 수 있다.
버튼(8103)은 전원 버튼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버튼(8103)에 의하여 표시부(8102)의 표시의 ON/OFF를 전환할 수 있다.
표시부(8102)에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5의 (A) 및 (B)에는 카메라(8000)와 파인더(8100)를 별개의 전자 기기로 하여, 이것을 탈착 가능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카메라(8000)의 하우징(8001)에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를 구비하는 파인더가 제공되어 있어도 좋다.
도 35의 (C)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8200)의 외관을 도시하였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8200)는 장착부(8201), 렌즈(8202), 본체(8203), 표시부(8204), 케이블(8205) 등을 갖는다. 또한 장착부(8201)에는 배터리(8206)가 내장되어 있다.
케이블(8205)은 배터리(8206)로부터 본체(8203)에 전력을 공급한다. 본체(8203)는 무선 수신기 등을 구비하여, 수신한 화상 데이터 등의 영상 정보를 표시부(8204)에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8203)에 제공된 카메라로 사용자의 안구나 눈꺼풀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그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시점의 좌표를 산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점을 입력 수단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장착부(8201)에는 사용자에 접촉하는 위치에 복수의 전극이 제공되어 있어도 좋다. 본체(8203)는 사용자의 안구의 움직임에 따라 전극에 흐를 전류를 검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점을 인식하는 기능을 가져도 좋다. 또한 이 전극을 흐를 전류를 검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맥박을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가져도 좋다. 또한 장착부(8201)에는 온도 센서, 압력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의 각종 센서를 가져도 좋고,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표시부(8204)에 표시하는 기능을 가져도 좋다. 또한 사용자의 머리의 움직임 등을 검지하여, 표시부(8204)에 표시하는 영상을 그 움직임에 따라 변화시켜도 좋다.
표시부(8204)에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적어도 그 일부를 본 명세서 중에 기재하는 다른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입력 장치
21: 직선 부분
22: 직선 부분
30: 기판
31: 전극
32: 전극
33: 전극
34: 브릿지 전극
35: 더미 전극
36: 전극
37: 전극
38: 교차부
40: 화소
40a: 화소
40b: 화소
40c: 화소
41: 배선
42: 배선
50: FPC
50a: FPC
50b: FPC
51: IC
60: 표시 소자
60B: 표시 소자
60G: 표시 소자
60R: 표시 소자
60Y: 표시 소자
70: 표시 패널
71: 기판
72: 기판
73: FPC
74: IC
80: 방향
81: 표시부
82: 구동 회로
83: 배선
86: 교차부
87: 주사선
87a: 주사선
87b: 주사선
87c: 주사선
90: 교차부
91: 기판
92: 접착층
93: 기판
94: 절연층
100: 터치 패널
106: 접속부
106a: 접속부
106b: 접속부
109: 접속층
109a: 접속층
109b: 접속층
111: 기판
112: 기판
113: 기판
114: 기판
121: 전극
122: 전극
130: 보호 기판
131: 편광판
132: 편광판
133: 백라이트
151: 접착층
152: 접착층
153: 접착층
154: 접착층
155: 접착층
156: 접착층
157: 접착층
158: 접착층
161: 절연층
191: 기판
192: 접착층
193: 기판
194: 절연층
201: 트랜지스터
202: 트랜지스터
203: 트랜지스터
205: 용량 소자
206: 접속부
207: 배선
208: 표시 소자
209: 접속층
211: 절연층
212: 절연층
213: 절연층
214: 절연층
215: 절연층
216: 스페이서
217: 보호막
221: 전극
222: EL층
223: 전극
224: 광학 조정층
231: 착색층
232: 차광층
233: 절연층
234: 절연층
241: 도전층
242: 반도체층
243: 도전층
244: 도전층
251: 전극
252: 전극
253: 액정
254: 절연층
255: 오버 코트
601: 펄스 전압 출력 회로
602: 전류 검지 회로
603: 용량
611: 트랜지스터
612: 트랜지스터
613: 트랜지스터
621: 전극
622: 전극
901: 하우징
902: 하우징
903: 표시부
904: 표시부
905: 마이크로폰
906: 스피커
907: 조작키
908: 스타일러스
921: 하우징
922: 표시부
923: 키보드
924: 포인팅 디바이스
3501: 배선
3502: 배선
3503: 트랜지스터
3504: 액정 소자
3510: 배선
3510_1: 배선
3510_2: 배선
3511: 배선
3515_1: 블록
3515_2: 블록
3516: 블록
7000: 표시부
7001: 표시부
7100: 휴대 전화기
7101: 하우징
7103: 조작 버튼
7104: 외부 접속 포트
7105: 스피커
7106: 마이크로폰
7200: 텔레비전 장치
7201: 하우징
7203: 스탠드
7211: 리모트 컨트롤러
7300: 휴대 정보 단말
7301: 하우징
7302: 조작 버튼
7303: 정보
7304: 정보
7305: 정보
7306: 정보
7310: 휴대 정보 단말
7320: 휴대 정보 단말
7400: 조명 장치
7401: 받침부
7402: 발광부
7403: 조작 스위치
7410: 조명 장치
7412: 발광부
7420: 조명 장치
7422: 발광부
7500: 휴대 정보 단말
7501: 하우징
7502: 부재
7503: 조작 버튼
7600: 휴대 정보 단말
7601: 하우징
7602: 힌지
7650: 휴대 정보 단말
7651: 비표시부
7700: 휴대 정보 단말
7701: 하우징
7703a: 버튼
7703b: 버튼
7704a: 스피커
7704b: 스피커
7705: 외부 접속 포트
7706: 마이크로폰
7709: 배터리
7800: 휴대 정보 단말
7801: 밴드
7802: 입출력 단자
7803: 조작 버튼
7804: 아이콘
7805: 배터리
8000: 카메라
8001: 하우징
8002: 표시부
8003: 조작 버튼
8004: 셔터 버튼
8005: 결합부
8006: 렌즈
8100: 파인더
8101: 하우징
8102: 표시부
8103: 버튼
8200: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8201: 장착부
8202: 렌즈
8203: 본체
8204: 표시부
8205: 케이블
8206: 배터리
9700: 자동차
9701: 차체
9702: 차륜
9703: 대시보드
9704: 라이트
9710: 표시부
9711: 표시부
9712: 표시부
9713: 표시부
9714: 표시부
9715: 표시부
9721: 표시부
9722: 표시부
9723: 표시부

Claims (15)

  1. 상면 사출형의 입출력 장치로서,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 위에 제공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갖고,
    상기 표시부는 트랜지스터 및 유기 EL 소자를 구비한 화소를 갖고,
    상기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주사선을 갖고,
    상기 터치 센서는 제 1 도전층을 갖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도전층은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한 격자 형상을 갖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유기 EL 소자의 발광 영역은 상기 복수의 개구부 중 하나와 중첩되고, 또한 상기 제 1 도전층과는 중첩되지 않고,
    상기 격자 형상의 직선 부분의 연장 방향과, 상기 주사선의 연장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30° 이상 60° 이하이고,
    상기 유기 EL 소자는 상기 터치 센서 측을 향하여 광을 사출하는, 상면 사출형의 입출력 장치.
  2. 상면 사출형의 입출력 장치로서,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 위에 제공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갖고,
    상기 표시부는 트랜지스터 및 유기 EL 소자를 구비한 화소를 갖고,
    상기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주사선을 갖고,
    상기 터치 센서는 제 1 도전층 및 제 2 도전층을 갖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도전층은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한 격자 형상의 제 1 형상을 갖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2 도전층은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한 격자 형상의 제 2 형상을 갖고,
    상기 유기 EL 소자의 발광 영역은 상기 제 1 형상이 가지는 상기 복수의 개구부 중 하나와 중첩되고, 또한 상기 제 1 도전층과는 중첩되지 않고,
    상기 제 1 형상의 직선 부분의 연장 방향과, 상기 주사선의 연장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30° 이상 60° 이하이고,
    상기 유기 EL 소자는 상기 터치 센서 측을 향하여 광을 사출하는, 상면 사출형의 입출력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50141278A 2014-10-17 2015-10-08 터치 패널 KR102500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130A KR102611245B1 (ko) 2014-10-17 2023-02-14 터치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12646 2014-10-17
JPJP-P-2014-212646 2014-10-1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9130A Division KR102611245B1 (ko) 2014-10-17 2023-02-14 터치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583A KR20160045583A (ko) 2016-04-27
KR102500994B1 true KR102500994B1 (ko) 2023-02-16

Family

ID=5591479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278A KR102500994B1 (ko) 2014-10-17 2015-10-08 터치 패널
KR1020230019130A KR102611245B1 (ko) 2014-10-17 2023-02-14 터치 패널
KR1020230173259A KR20230168198A (ko) 2014-10-17 2023-12-04 터치 패널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9130A KR102611245B1 (ko) 2014-10-17 2023-02-14 터치 패널
KR1020230173259A KR20230168198A (ko) 2014-10-17 2023-12-04 터치 패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20160195983A1 (ko)
JP (6) JP6585457B2 (ko)
KR (3) KR1025009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994B1 (ko) * 2014-10-17 2023-02-1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터치 패널
KR102544696B1 (ko) * 2015-02-16 2023-06-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원형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JP2016180747A (ja) * 2015-03-24 2016-10-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感圧センサ
KR20160114510A (ko) * 2015-03-24 2016-10-0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터치 패널
DE102016206922A1 (de) 2015-05-08 2016-11-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Touchscreen
US10613690B2 (en) 2015-05-28 2020-04-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Touch panel
US10978489B2 (en) 2015-07-24 2021-04-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display panel,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panel,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N205068345U (zh) * 2015-10-29 2016-03-02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触控结构、触控屏及显示装置
CN106783909A (zh) * 2015-11-19 2017-05-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屏、其制作方法及显示装置
KR101730537B1 (ko) * 2015-11-30 2017-04-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WO2017103737A1 (en) 2015-12-18 2017-06-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panel, input/output device, data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panel
KR20170073948A (ko) * 2015-12-21 2017-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필름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05677096B (zh) * 2016-01-04 2018-09-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基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面板
US10089513B2 (en) * 2016-05-30 2018-10-02 Kyocera Corporation Wiring board for fingerprint sensor
JP6640034B2 (ja) * 2016-06-17 2020-02-0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6938119B2 (ja) * 2016-06-28 2021-09-2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入力機能付き透明ディスプレイ
JP6756538B2 (ja) * 2016-08-03 2020-09-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633061B1 (ko) * 2016-09-23 2024-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6928940B2 (ja) * 2016-09-28 2021-09-01 株式会社Nsc カバーガラス
KR102555409B1 (ko) * 2016-10-31 2023-07-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셀 터치 유기 발광 표시장치
CN108062187A (zh) * 2016-11-07 2018-05-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结构及其制作方法和触控装置
KR102644827B1 (ko) * 2016-11-18 2024-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JP6511127B2 (ja) * 2017-01-05 2019-05-15 東友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Dongwoo Fine−Chem Co., Ltd. タッチセンシング電極構造物及びそれを含むタッチセンサー
CN106855767A (zh) * 2017-01-09 2017-06-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基板及触控显示装置
US10976883B2 (en) * 2017-01-09 2021-04-13 Chengdu Boe Opt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Touch substrate and touch display device
TWI748063B (zh) * 2017-03-06 2021-12-01 南韓商東友精細化工有限公司 電極連接結構、觸控感測器和影像顯示裝置
JP6842362B2 (ja) * 2017-05-12 2021-03-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310733B1 (ko) * 2017-05-19 2021-10-0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싱 전극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KR102427622B1 (ko) * 2017-06-01 2022-08-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표시장치 및 터치패널
TWI615765B (zh) * 2017-06-12 2018-02-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感測基板以及整合偏光與觸控功能之結構
KR102361436B1 (ko) * 2017-06-13 2022-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87631B1 (ko) 2017-06-30 2022-04-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WO2019021835A1 (ja) * 2017-07-27 2019-01-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導電部材およびタッチパネル
US10402026B2 (en) * 2017-08-18 2019-09-03 Int Tech Co., Ltd. Conductive mesh and touch sensor
KR102419557B1 (ko) * 2017-08-28 2022-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6932598B2 (ja) * 2017-09-25 2021-09-0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6942602B2 (ja) * 2017-10-19 2021-09-2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456333B1 (ko) * 2017-10-23 2022-10-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표시장치 및 패널
US11221716B2 (en) * 2017-11-09 2022-01-11 Boe Technology Group Co., Ltd. Touch substrate and touch display apparatus with touch electrodes having zigzag boundaries
KR102411682B1 (ko) * 2017-11-16 2022-06-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표시장치 및 패널
JP2019091346A (ja) * 2017-11-16 2019-06-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US20190179444A1 (en) * 2017-12-12 2019-06-13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Touch panel and touch device
US20190189970A1 (en) * 2017-12-14 2019-06-20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7054345B2 (ja) * 2018-01-12 2022-04-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8319398B (zh) * 2018-02-28 2021-04-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及其制备方法、触控装置
JP7293190B2 (ja) 2018-03-16 2023-06-1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WO2020031500A1 (ja) * 2018-08-10 2020-02-13 株式会社フジクラ 配線体、配線板、及びタッチセンサ
US11073955B2 (en) * 2018-09-12 2021-07-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654715B1 (ko) * 2018-10-12 2024-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및 그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KR102639185B1 (ko) * 2018-11-07 2024-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 감지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9599425B (zh) * 2018-12-07 2020-10-3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Oled触控显示屏及其制作方法
JP7221058B2 (ja) * 2019-01-11 2023-02-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20200126471A (ko) * 2019-04-29 2020-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감지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KR20210075280A (ko) 2019-12-12 2021-06-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97868A (ko) 2020-01-30 2021-08-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268152B (zh) * 2020-02-14 2023-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与触控显示装置
KR20220019926A (ko) * 2020-08-11 2022-02-1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삽입 전극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CN111831172B (zh) * 2020-09-21 2021-04-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结构及触控显示面板、电子装置
CN112130698B (zh) * 2020-09-30 2022-09-23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2578934B (zh) * 2020-12-07 2022-11-29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触控面板及显示面板
TWI768842B (zh) * 2021-04-22 2022-06-21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鍵盤裝置
JP2024518006A (ja) * 2021-05-19 2024-04-24 京東方科技集團股▲ふん▼有限公司 タッチ構造及び表示パネル
WO2023047230A1 (ja) * 2021-09-24 2023-03-3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
CN114566095B (zh) * 2021-12-30 2024-05-24 深圳市八零联合装备有限公司 一种贴合装置
WO2024033738A1 (ja) * 2022-08-10 2024-02-1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4870A (ja) * 2005-02-22 2006-09-07 Sanyo Epson Imaging Devices Corp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5582A (en) * 1987-08-06 1989-03-02 Ibm Color display device
JP4338845B2 (ja) 1998-10-02 2009-10-0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タッチパネル及び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US6972753B1 (en) 1998-10-02 2005-12-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Touch panel,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ouch panel and electronic equipment provided with display device
SG118118A1 (en) 2001-02-22 2006-01-27 Semiconductor Energy Lab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 using the same
JP4027740B2 (ja) 2001-07-16 2007-12-2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TW564471B (en) 2001-07-16 2003-12-01 Semiconductor Energy Lab Semiconductor device and peeling off meth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7818489B2 (en) * 2006-11-04 2010-10-19 Virident Systems Inc. Integrating data from symmetric and asymmetric memory
TW200901014A (en) 2007-06-28 2009-01-01 Sense Pad Tech Co Ltd Touch panel device
JP5366051B2 (ja) 2009-04-20 2013-12-1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情報入力装置、表示装置
US20120206395A1 (en) * 2009-10-30 2012-08-16 Sharp Kabushiki Kaisha Touch panel-equipped display device
KR102275522B1 (ko) 2009-12-18 2021-07-0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액정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TWI407340B (zh) * 2009-12-22 2013-09-01 Au Optronics Corp 觸控顯示面板
JP2011146587A (ja) * 2010-01-15 2011-07-28 Fujifilm Corp 放射線検出素子
CN102725719B (zh) 2010-01-28 2016-01-06 富士胶片株式会社 导电片、导电片的使用方法及触控面板
JP5613448B2 (ja) * 2010-04-30 2014-10-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及び導電シート
US8593413B2 (en) * 2010-03-01 2013-11-26 Cando Corporation Sensory structure of capacitive touch panel and capacitive touch panel having the same
JP5454314B2 (ja) 2010-04-06 2014-03-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248653B2 (ja) 2010-05-27 2013-07-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シート及び静電容量方式タッチパネル
TWI435292B (zh) * 2010-06-17 2014-04-21 Au Optronics Corp 感測式顯示裝置
TW201207706A (en) * 2010-08-05 2012-02-16 Arima Display Corp Projected capacitive touch pane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8730200B2 (en) * 2010-09-03 2014-05-20 Qualcomm Incorporated Touch-screen panel comprising cells that have holed or dummied interior portions
JP2012256819A (ja) 2010-09-08 2012-12-27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
US20120153970A1 (en) 2010-12-21 2012-06-21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Capacitive touch sensing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reof
US9400576B2 (en) 2011-07-19 2016-07-26 Apple Inc. Touch sensor arrangements for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s
CN103649889A (zh) 2011-07-25 2014-03-1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显示装置
CN103135815B (zh) * 2011-11-25 2017-02-2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内嵌触摸屏液晶显示装置及其触控驱动方法
US9218098B2 (en) * 2011-12-12 2015-12-22 Sharp Kabushiki Kaisha Touch panel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JP2013149953A (ja) 2011-12-20 2013-08-01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US9362417B2 (en) 2012-02-03 2016-06-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KR20150003200A (ko) 2012-03-16 2015-01-08 오스람 오엘이디 게엠베하 수분 장벽 층을 갖는 전자 컴포넌트
WO2013146333A1 (en) 2012-03-30 2013-10-0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Touchscreen, driving method thereof, and touchscreen module
WO2013157526A1 (ja) * 2012-04-16 2013-10-24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基板および表示装置
JP6040443B2 (ja) 2012-05-09 2016-12-07 株式会社Joled 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パネル
TWI478029B (zh) 2012-05-23 2015-03-21 Hung Ta Liu 電容感應觸控方法
US9134864B2 (en) 2012-05-31 2015-09-1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controller and touch panel for rapid restoration from power-saving mode
US9916793B2 (en) 2012-06-01 2018-03-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114212B1 (ko) 2012-08-10 2020-05-2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US8922512B2 (en) * 2012-08-16 2014-12-30 Eastman Kodak Company Display apparatus with diamond-patterned micro-wire electrode
KR101968929B1 (ko) * 2012-09-11 2019-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센서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표시 패널
JP2014056095A (ja) 2012-09-12 2014-03-27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JP2014086705A (ja) 2012-10-26 2014-05-12 Nippon Hoso Kyokai <Nhk>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および薄膜デバイス
JP2014186724A (ja) 2013-02-22 2014-10-0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
TWI505335B (zh) * 2013-03-18 2015-10-21 Touch Crporation J 觸控感應電極結構
KR102141459B1 (ko) 2013-03-22 2020-08-0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액정 표시 장치
JP5865285B2 (ja) 2013-03-27 2016-02-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WO2014156340A1 (ja) * 2013-03-29 2014-10-02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基板及び電子機器
CN105144841B (zh) 2013-04-15 2017-11-17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发光装置
KR102076690B1 (ko) * 2013-04-19 2020-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482401B1 (ko) * 2013-04-30 2015-01-13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터치패널의 전극패턴 시인성 평가방법
US9549161B2 (en) * 2013-07-08 2017-01-17 Samsung Display Co., Ltd. Image and video in mosaic formats
KR102068341B1 (ko) * 2013-07-10 2020-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KR102118576B1 (ko) * 2013-07-15 2020-06-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TW201506724A (zh) * 2013-08-08 2015-02-16 Wintek Corp 觸控面板以及觸控顯示裝置
DE112014003928T5 (de) 2013-08-30 2016-05-1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Anzeigevorrichtung
JP6200738B2 (ja) * 2013-09-19 2017-09-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39367B1 (ko) 2013-11-27 2021-04-0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터치 패널
WO2015132694A1 (en) 2014-03-07 2015-09-1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Touch sensor,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ouch panel
KR102500994B1 (ko) 2014-10-17 2023-02-1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터치 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4870A (ja) * 2005-02-22 2006-09-07 Sanyo Epson Imaging Devices Corp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538296B2 (ja) 2024-08-21
US11747938B2 (en) 2023-09-05
JP2016081531A (ja) 2016-05-16
KR20230025690A (ko) 2023-02-22
JP7154323B2 (ja) 2022-10-17
US20230393688A1 (en) 2023-12-07
JP6585457B2 (ja) 2019-10-02
JP2024152830A (ja) 2024-10-25
JP6826641B2 (ja) 2021-02-03
KR102611245B1 (ko) 2023-12-06
US20200257402A1 (en) 2020-08-13
JP2021077385A (ja) 2021-05-20
US20160195983A1 (en) 2016-07-07
KR20160045583A (ko) 2016-04-27
KR20230168198A (ko) 2023-12-12
JP2023138993A (ja) 2023-10-03
JP7463466B2 (ja) 2024-04-08
JP2019212331A (ja) 2019-12-12
JP2023011573A (ja) 202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1245B1 (ko) 터치 패널
JP6744966B2 (ja) 入力装置、及び入出力装置
KR102393086B1 (ko) 터치 패널
JP7130021B2 (ja) 表示装置
KR102556794B1 (ko) 터치 패널
KR102469847B1 (ko) 표시 장치, 전자 기기, 및 시스템
JP6841640B2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