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897B1 - 의치상 및 그 제조 방법, 인공치 및 그 제조 방법과, 유상의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의치상 및 그 제조 방법, 인공치 및 그 제조 방법과, 유상의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1897B1 KR102351897B1 KR1020197022696A KR20197022696A KR102351897B1 KR 102351897 B1 KR102351897 B1 KR 102351897B1 KR 1020197022696 A KR1020197022696 A KR 1020197022696A KR 20197022696 A KR20197022696 A KR 20197022696A KR 102351897 B1 KR102351897 B1 KR 1023518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cket
- artificial tooth
- denture base
- base
- den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61C13/0019—Production methods using three dimensional print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1—Making teeth by casting or mould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7—Artificial resin tee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0—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0—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 A61C13/1003—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by embedding in base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0—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 A61C13/1003—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by embedding in base material
- A61C13/1006—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by embedding in base material characterised by a tooth shape which improves reten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0—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 A61C13/1003—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by embedding in base material
- A61C13/1009—Anchorage members, e.g. pins or bars; Means or methods for affixing pins to porcelain tee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0—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 A61C13/1003—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by embedding in base material
- A61C13/1013—Arch forms
- A61C13/1016—Methods or apparatus for mounting, holding or positioning a set of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치조융선이 높은 환자에 대한 유상의치의 상부에 대해 충분한 두께를 확보하기 위해서, 인공치의 컬러부를 미리 절삭하지 않아도 되는 의치상을 제공한다. 상부와, 상기 상부의 잇몸 부분에 대해 단차부를 갖고 구획되어, 인공치가 장착되는 소켓과, 상기 잇몸 부분 중, 치열을 따라 상기 소켓의 양단에 위치함과 동시에 인접하는 치아와의 사이의 치간유두에 상당하는 치간유두 부분을 갖고, 상기 소켓을 상향으로 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기저면은, 양단의 치간유두 부분의 사이를 연결하는 능선형을 나타내는 소켓 정부를 가짐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볼록한 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기저면의 변연 부분은, 상기 단차부와 연속적으로 당접하고, 상기 소켓 정부는, 상기 소켓에 인공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순측으로부터 시인되는 치간유두 부분의 정부와 대략 동일한 높이 또는 보다 위에 위치하고 있는, 의치상.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치상(義齒床) 및 그 제조 방법, 인공치(人工齒) 및 그 제조 방법과, 유상의치(有床義齒)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덴쳐(유상의치)에 있어서 종래부터 행해지고 있는, 상형과 하형으로 구성되는 석고형 안에 경화성 수지를 흘려 넣고, 이어서 경화성 수지를 경화(예를 들면, 광중합, 열중합 등)시키는 방법에서는, 인공치는 의치상의 레진부에 매설되어 고정되어 있었다(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89839호 및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064138호 참조).
또, CAD/CAM법에 의해 제작되는 덴쳐에 있어서는, CAD/CAM에 의해 절삭된 의치상의 소켓부에 인공치를 끼워넣고, 접착하여 고정되어 있다(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55878호 참조).
종래법에 의해 얻어지는 의치상도, CAD/CAM법에 의해 얻어지는 의치상도, 고정을 위해 의치상 안에 인공치가 매설되어 있다. 유상의치를 필요로 하는 환자는 치조융선(alveolar ridge)의 높이가 가지각색이다. 특히, 치조융선이 높은 환자에 대한 유상의치는 장착감과 교합감을 양립시키기 위해, 인공치의 직하 부분에 관하여 의치상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의치상의 두께를 얇게 하면, 인공치의 컬러부(즉, 의치상 안에 매몰되는 부분)가 환자의 치조융선에 닿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그 컬러부를 미리 절삭할 필요가 있어, 유상의치 제작상의 부하가 커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사실에 비추어, 제조상의 부담을 경감 가능한 의치상 및 거기에 매설되는 인공치와, 이들을 구비한 유상의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는, 이하의 양태가 포함된다.
<1> 상부(床部)와,
상기 상부의 잇몸 부분에 대해 단차부를 갖고 구획되어, 인공치가 장착되는 소켓과,
상기 잇몸 부분 중, 치열을 따라 상기 소켓의 양단에 위치함과 동시에 인접하는 치아와의 사이의 치간유두(齒間乳頭)에 상당하는 치간유두 부분을 갖고,
상기 소켓을 상향으로 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기저면은, 양단의 치간유두 부분의 사이를 연결하는 능선상(尾根狀)을 나타내는 소켓 정부(頂部)를 가짐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볼록한 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기저면의 변연(邊緣) 부분은, 상기 단차부와 서로 연속적으로 당접(當接)하고,
상기 소켓 정부는, 상기 소켓에 인공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순측(脣側)으로부터 시인되는 치간유두 부분의 정부(頂部)와 거의 동일한 높이 또는 보다 위에 위치하고 있는, 의치상.
<2> 상기 소켓 정부로부터 순면측(脣面側)의 기저면은, 순측을 향해 경사가 낮아지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1>에 기재된 의치상.
<3> 상기 소켓 정부로부터 설면측(舌面側)의 상기 기저면도, 설측을 향해 경사가 낮아지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2>에 기재된 의치상.
<4> 상기 기저면에 있어서, 상기 소켓 정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돌기부를 갖는, <3>에 기재된 의치상.
<5> 상기 소켓이 복수개, 상기 상부(床部)에 있어서 인접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기저면을 갖는 소켓이, 상기 복수개의 소켓 중 적어도 1개인, <1> 내지 <4> 중 어느 1개에 기재된 의치상.
<6> 의치상용 재료를 절삭하여 <1> 내지 <5> 중 어느 1개에 기재된 의치상을 얻는 절삭 공정을 갖는 의치상의 제조 방법.
<7> 상기 절삭 공정에는, CAD에 의해 설계된 디자인을 CAM에 의해 절삭하는 공정(CAD/CAM 공정)을 포함하는, <6>에 기재된 의치상의 제조 방법.
<8> 상기 CAD/CAM 공정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가 형성되는, <7>에 기재된 의치상의 제조 방법.
<9> <1> 내지 <5> 중 어느 1개에 기재된 의치상을 3D 프린트에 의해 성형하는 성형 공정을 갖는 의치상의 제조 방법.
<10> 교합면을 위로 했을 때에, 의치상의 소켓에 접착되는 기저면이, 치열을 따르는 양단을 연결하는 골형(谷狀)을 나타내는 기저면 정부를 가짐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오목한 면으로 구성되고,
순측 표면 및 설측 표면은, 상기 소켓에 장착된 후에도 각각 하단연(下端緣)까지가 시인 가능한 연속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인공치.
<11> 상기 기저면 정부로부터 순면측의 기저면은, 순측을 향해 경사가 낮아지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10>에 기재된 인공치.
<12> 상기 기저면 정부로부터 설면측의 상기 기저면도, 설측을 향해 경사가 낮아지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11>에 기재된 인공치.
<13> 상기 기저면 정부의 중앙부에 함몰부를 갖는, <12>에 기재된 인공치.
<14> 상기 기저면이, <1> 또는 <1>에 종속되는 <5>에 기재된 의치상의 소켓과 감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10>에 기재된 인공치.
<15> 상기 기저면이, <2> 또는 <2>에 종속되는 <5>에 기재된 의치상의 소켓과 감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11>에 기재된 인공치.
<16> 상기 기저면이, <3> 또는 <3>에 종속되는 <5>에 기재된 의치상의 소켓과 감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12>에 기재된 인공치.
<17> 상기 기저면이, <4> 또는 <4>에 종속되는 <5>에 기재된 의치상의 소켓과 감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13>에 기재된 인공치.
<18> 상기 기저면 정부가 인공치의 측면 방향으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10> 내지 <17> 중 어느 1개에 기재된 인공치.
<19> 사출 성형에 의해 <10> 내지 <18> 중 어느 1개에 기재된 인공치를 얻는 성형 공정을 갖는 인공치의 제조 방법.
<20> 인공치용 재료를 절삭하여 <10> 내지 <18> 중 어느 1개에 기재된 인공치를 얻는 절삭 공정을 갖는 인공치의 제조 방법.
<21> <10> 내지 <18> 중 어느 1개에 기재된 인공치를 3D 프린트에 의해 성형하는 성형 공정을 갖는 인공치의 제조 방법.
<22> <1>에 기재된 의치상과, 상기 의치상의 상기 소켓에 장착된, <10>에 기재된 인공치를 구비하는 유상의치.
또, <2>에 기재된 의치상과, 상기 의치상의 상기 소켓에 장착된, <11>에 기재된 인공치를 구비하는 유상의치.
또, <3>에 기재된 의치상과, 상기 의치상의 상기 소켓에 장착된, <12>에 기재된 인공치를 구비하는 유상의치.
또, <4>에 기재된 의치상과, 상기 의치상의 상기 소켓에 장착된, <13>에 기재된 인공치를 구비하는 유상의치.
<23> 상기 소켓이 복수개, 상기 상부(床部)에 있어서 인접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소켓의 각각에 장착되는 상기 인공치가 연결되어 있는, <22>에 기재된 유상의치.
<24> 의치상용 재료를 절삭하여 <1>에 기재된 의치상을 얻는 절삭 공정과, 상기 의치상의 상기 소켓에 <10>에 기재된 인공치를 장착하는 장착 공정을 갖는 유상의치의 제조 방법.
또, 의치상용 재료를 절삭하여 <2>에 기재된 의치상을 얻는 절삭 공정과, 상기 의치상의 상기 소켓에 <11>에 기재된 인공치를 장착하는 장착 공정을 갖는 유상의치의 제조 방법.
또, 의치상용 재료를 절삭하여 <3>에 기재된 의치상을 얻는 절삭 공정과, 상기 의치상의 상기 소켓에 <12>에 기재된 인공치를 장착하는 장착 공정을 갖는 유상의치의 제조 방법.
또, 의치상용 재료를 절삭하여 <4>에 기재된 의치상을 얻는 절삭 공정과, 상기 의치상의 상기 소켓에 <13>에 기재된 인공치를 장착하는 장착 공정을 갖는 유상의치의 제조 방법.
또한, 상기 소켓이 복수개, 상기 상부에 있어서 인접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기저면을 갖는 소켓이, 상기 복수개의 소켓 중 적어도 1개인, 이들 중 어느 한 유상의치의 제조 방법.
<25> 3D 프린트에 의해 <1>에 기재된 의치상을 얻는 공정과, 상기 의치상의 상기 소켓에 <10>에 기재된 인공치를 장착하는 장착 공정을 갖는 유상의치의 제조 방법.
또, 3D 프린트에 의해 <2>에 기재된 의치상을 얻는 공정과, 상기 의치상의 상기 소켓에 <11>에 기재된 인공치를 장착하는 장착 공정을 갖는 유상의치의 제조 방법.
또, 3D 프린트에 의해 <3>에 기재된 의치상을 얻는 공정과, 상기 의치상의 상기 소켓에 <12>에 기재된 인공치를 장착하는 장착 공정을 갖는 유상의치의 제조 방법.
또, 3D 프린트에 의해 <4>에 기재된 의치상을 얻는 공정과, 상기 의치상의 상기 소켓에 <13>에 기재된 인공치를 장착하는 장착 공정을 갖는 유상의치의 제조 방법.
또한, 상기 소켓이 복수개, 상기 상부(床部)에 있어서 인접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기저면을 갖는 소켓이, 상기 복수개의 소켓 중 적어도 1개인, 이들 중 어느 한 유상의치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조상의 부담이 경감 가능한 의치상 및 거기에 매설되는 인공치와, 이들을 구비한 유상의치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인공치가 의치상에 매설되는 부분이 적기 때문에, 치조융선이 높은 환자용 유상의치여도 인공치를 절삭하는 공정을 대폭 줄이거나, 또는 없앨 수 있다. 또, 의치상의 기저면이 볼록 형상이 되기 때문에 인공치와의 접착 면적이 증대되어, 인공치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도 1a는 제1 실시형태의 의치상을, 소켓을 상향으로 한 상태에서 정면에서 약간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대해 약간 우측면 가까이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a는 제1 실시형태의 의치상의 일부 사시도(A)이다.
도 2b는 도 2a에 있어서의 II-II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2b의 변형예이다.
도 2d는 도 2b의 변형예이다.
도 2e는 도 2b의 변형예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의치상의 소켓에 인공치를 장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a는 제1 실시형태의 인공치의 정면도이다.
도 4b는 제1 실시형태의 인공치의 약간 배면 가까이의 측면도(B)이다.
도 4c는 제1 실시형태의 인공치의 약간 측면 가까이의 배면도(C)이다.
도 4d는 도 4a에 있어서의 IV-IV 단면도이다.
도 4e는 도 4d의 변형예이다.
도 4f는 도 4d의 변형예이다.
도 4g는 도 4d의 변형예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의치상의 소켓에 인공치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유상의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6에 있어서의 VII-VII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와 대비한 비교예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제2 실시형태의 의치상의 일부 정면도이다.
도 8b는 제2 실시형태의 의치상의 일부 배면 사시도이다.
도 9a는 제2 실시형태의 인공치의 정면도이다.
도 9b는 제2 실시형태의 인공치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의 유상의치를 나타내는, 도 8a 및 도 9a에 있어서의 X-X 단면도이다.
도 11a는 제3 실시형태의 의치상의 일부 정면도이다.
도 11b는 제3 실시형태의 의치상의 일부 배면 사시도이다.
도 12a는 제3 실시형태의 인공치의 정면도이다.
도 12b는 제3 실시형태의 인공치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형태의 유상의치를 나타내는, 도 11a 및 도 12a에 있어서의 XIII-XIII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4 실시형태의 유상의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a는 소켓에 인공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순측으로부터 시인되는 치간유두 부분(114)의 정부의 높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b는 소켓에 인공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순측으로부터 시인되는 치간유두 부분(114)의 정부의 높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c는 소켓에 인공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순측으로부터 시인되는 치간유두 부분(114)의 정부의 높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 6의 VII-VII 단면도(A)에 대응한 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대해 약간 우측면 가까이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a는 제1 실시형태의 의치상의 일부 사시도(A)이다.
도 2b는 도 2a에 있어서의 II-II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2b의 변형예이다.
도 2d는 도 2b의 변형예이다.
도 2e는 도 2b의 변형예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의치상의 소켓에 인공치를 장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a는 제1 실시형태의 인공치의 정면도이다.
도 4b는 제1 실시형태의 인공치의 약간 배면 가까이의 측면도(B)이다.
도 4c는 제1 실시형태의 인공치의 약간 측면 가까이의 배면도(C)이다.
도 4d는 도 4a에 있어서의 IV-IV 단면도이다.
도 4e는 도 4d의 변형예이다.
도 4f는 도 4d의 변형예이다.
도 4g는 도 4d의 변형예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의치상의 소켓에 인공치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유상의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6에 있어서의 VII-VII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와 대비한 비교예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제2 실시형태의 의치상의 일부 정면도이다.
도 8b는 제2 실시형태의 의치상의 일부 배면 사시도이다.
도 9a는 제2 실시형태의 인공치의 정면도이다.
도 9b는 제2 실시형태의 인공치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의 유상의치를 나타내는, 도 8a 및 도 9a에 있어서의 X-X 단면도이다.
도 11a는 제3 실시형태의 의치상의 일부 정면도이다.
도 11b는 제3 실시형태의 의치상의 일부 배면 사시도이다.
도 12a는 제3 실시형태의 인공치의 정면도이다.
도 12b는 제3 실시형태의 인공치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형태의 유상의치를 나타내는, 도 11a 및 도 12a에 있어서의 XIII-XIII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4 실시형태의 유상의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a는 소켓에 인공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순측으로부터 시인되는 치간유두 부분(114)의 정부의 높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b는 소켓에 인공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순측으로부터 시인되는 치간유두 부분(114)의 정부의 높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c는 소켓에 인공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순측으로부터 시인되는 치간유두 부분(114)의 정부의 높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 6의 VII-VII 단면도(A)에 대응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언급하는 전체 도면을 통해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제1 실시형태]
(유상의치의 구성)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유상의치(300)는, 의치상(100)과, 이 의치상(100)의 상부(102)에 장착된 복수의 인공치(200)를 포함한다. 또, 상부(102) 중, 인공치(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잇몸으로서 시인되는 부분을 잇몸 부분(110)이라고 칭한다. 또한, 도 6에서는, 위턱용의 유상의치(300)를 나타내고 있지만, 물론, 아래턱용의 유상의치 및 의치상이어도 된다.
(의치상의 구성)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치상(100)은, 인공치(200)가 장착되는 부위인 상부(102)를 갖는다. 상부(102)에는, 인공치(200)(도 6 참조)가 재치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소켓(120)이 치열을 따라 인접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a 및 도 1b의 의치상(100)은, 소켓(120)을 상향으로 한 상태로 나타나 있다. 의치상(100)에 관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언급하는 상하 방향 및 고저는, 모두 이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상태에서의 상하 방향 및 고저에 따르고 있다. 또, 도 1a 중, D-D 간의 만곡한 파선으로 나타낸 화살표가, 치열을 따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또, L로 나타내는 화살표의 방향이 순측 또는 뺨측을 나타내고, T로 나타내는 화살표의 방향이 설측을 나타낸다. 이후의 설명에서 언급하는 "치열을 따르는 방향", "순측"(본원 발명에서는,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한, "뺨측"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이와 같이 표현한다) 및 "설측"은 각각 이 도 1a 중의 화살표들로 나타낸 방향을 나타낸다. 이하의 도면 내에서도 적절히 이 화살표에 의해 방향이 나타나 있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120)은, 잇몸 부분(110)과는 단차부(112)를 갖고 명료하게 구획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소켓(120)은, 잇몸 부분(110)에 대해 단차부(112)의 높이분만큼 표면이 낮게 되어 있다.
또, 각 소켓(120)의 치열을 따르는 양단에는, 잇몸 부분(110)이 단차부(112)의 높이분만큼 높아진 치간유두 부분(1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치간유두 부분(114)이란, 소켓(120)에 장착되는 인공치(200)와, 인접하는 치아와의 사이에서 치간유두를 형성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인접하는 "치아"란, 인접하는 인공치(200)를 의미하지만, 유상의치(300)가 부분 의치라면, 당해 부분 의치가 인접하는 자연치인 경우도 있다.
소켓(120)에 있어서 인공치(200)가 고정되는 면인 기저면(130)은, 당해 소켓(120)의 양단에 위치하는 치간유두 부분(114)의 사이를 연결하는 것과 같은 능선형을 나타내고 있다. 이 능선형의 부분을 소켓 정부(138)라고 칭한다. 달리 말하면, 소켓 정부(138)는, 소켓(120)의 기저면(130) 중 가장 높은 개소를 말한다. 또한, 소켓 정부(138)에 관해서 언급되고 있는 "능선형"이란, 도면 내와 같이 소켓(120)을 상향으로 한 상태로서 표현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의치상(100)이 유상의치(300)의 일부로서 실제로 구강 내에 장착된 경우에는, 위턱용의 유상의치(300)의 경우는 이 "능선"은 제일 낮은 위치에 있고, 아래턱용의 유상의치(300)의 경우는 반대로 제일 높은 위치에 있게 된다.
소켓(120)의 기저면(130)은, 이 소켓 정부(138)를 포함해 전체적으로 볼록한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전체적으로 볼록한 면"이란, 기본적으로는 전체가 볼록한 입체 형상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전체가 볼록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일부에 평탄면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또, 복수의 평탄면의 조합으로 전체가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켓(120)의 순측의 기저면(132)은,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순측을 향해 경사가 낮아지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c의 변형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순측의 기저면(132)은 평탄면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설측의 기저면(134)도, 설측을 향해 경사가 낮아지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d의 변형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측의 기저면(134)은 평탄면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도 2e의 변형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면(130)이 전체적으로 볼록 형상이라면, 순측의 기저면(132) 및 설측의 기저면(134) 양쪽 다가 평탄면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소켓(120)의 기저면(130)의 변연 부분(136)은,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순측 및 설측 중 어느 곳에 있어서도, 잇몸 부분(110)의 단차부(112)와 서로 연속적으로 당접하고 있다. 즉, 당해 변연 부분(136)은, 당해 단차부(112)와의 사이에 홈이나 골부와 같은 함몰 구조를 개재시키지 않고, 당해 변연 부분(136)이 직접, 당해 단차부(112)와 접하고 있는 것이다. 또, 당해 단차부(112)도, 당해 변연 부분(136)과의 사이에 홈이나 포켓과 같은 함몰 구조를 개재시키지 않고, 당해 단차부(112)가 직접, 당해 변연 부분(136)과 접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을 상기와 같이 "서로 연속적으로 당접하고 있다"라고 표현하고 있다.
여기에서, 도 3은, 일부 소켓(120)에 인공치(200)가 장착되어 있는 모습을 정면에서 볼 때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본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잇몸 부분(110)의 치간유두 부분(114)은, 소켓 정부(138)의 높이에 대해서, 단차부(112)의 분만큼 약간 높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 부분은, 인접하는 2개의 인공치(200)가 장착되면 그 사이에 가려 순측으로부터는 시인할 수 없다. 그리고, 인접하는 2개의 인공치(200)의 사이에 위치하는 치간유두 부분(114)에서 순측으로부터 시인할 수 있는 부분(즉, 도면 내의 치간유두(P))의 제일 높은 부분인 정부(116)의 높이는, 소켓 정부(138)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다. 여기에서, 소켓 정부(138)의 높이와 치간유두 부분(114)의 정부(116)의 높이가 대략 동일하다는 것은, 양자의 높이가 언뜻 보기에 동일하다고 인식할 수 있으면 된다는 취지이며, 엄밀하게 동일한 높이인 것까지를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현실적으로는 어느 한쪽이 약간이지만 다른 한쪽보다 더 높다라고 하는 경우가 있어도 된다.
또한, 소켓(120)에 인공치(200)를 장착한 상태에서 순측으로부터 시인되는 치간유두 부분(114)의 정부(116)의 높이에 관하여, 도 15a, 도 15b 및 도 15c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5a에 있어서, 직선 a는, 인접하는 치간유두 부분(114)의 최고점을 통과하는 직선이다. 직선 b는, 소켓 하단부(139)를 통과하고, 또한, 상기 직선 a와 평행한 직선이다. 면 S1은, 인접하는 상기 직선 a 및 상기 직선 b를 통과하는 면이다. 또, 거리 D1은, 직선 a와 직선 b의 거리이다.
한편, 도 15b에 있어서, 직선 c는, 상기 직선 b와 평행하며, 또한, 소켓 정부(138)를 통과하는 직선이다. 또, 면 S2는, 상기 직선 b 및 상기 직선 c를 통과하는 면이다. 또, 거리 D2는, 직선 b와 직선 c의 거리이다. 또한, 면 S1과 면 S2는, 반드시 동일 평면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리고, 소켓 정부(138)가 소켓에 인공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순측으로부터 시인되는 치간유두 부분(114)의 정부(116)의 높이가 대략 동일하다는 것은, 도 15c에 있어서, 상기 직선 b로부터 치간유두 부분(114)의 정부(116)까지의 거리 D3이, 상기 거리 D2와 대략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을, 상기 거리 D1 및 거리 D2를 참조하여, D1:D2가 1:1.2~1:0.8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1:1.1~1:0.9인 경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1:0.95인 경우를, 상기 거리 D3이 상기 거리 D2와 대략 동일하다고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켓 정부(138)가, 소켓(120)에 인공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순측으로부터 시인되는 치간유두 부분(114)의 정부(116)와 대략 동일한 높이인 경우를 나타냈지만, 소켓 정부(138)가, 치간유두 부분(114)의 정부(116)보다 높은 위치, 즉, 도 15c에 있어서, D3<D2가 되는 위치에 있어도 된다.
또, 의치상(100)의 소켓의 형상으로서는, 도 1a 및 도 1b와, 도 2a~도 2e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소켓 정부(138)를 갖고 전체적으로 볼록한 면으로 구성되는 기저면(130)을 갖는 것으로 하여 모든 소켓을 형성해도 되고, 이러한 기저면(130)을 갖는 소켓을 종래의 오목 형상의 소켓과 혼재시켜도 된다. 이러한 상이한 형상의 소켓을 혼재시키는 예로서는, 예를 들면 앞니를 이러한 기저면(130)을 갖는 소켓으로 하고, 어금니를 종래의 오목 형상 소켓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의치상용 재료)
의치상용 재료로서의 의치상(10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CAD/CAM 시스템(CAD(Computer Aided Design) 시스템 유닛과, CAM(Computer Aided Manufacturing) 시스템 유닛을 구비한 제조 시스템)을 이용한 제조에 적합한 점, 및, 시판의 아크릴계 수지제의 레진 치아와의 접착성이 우수한 점에서, 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아크릴계 수지란, 아크릴산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메타크릴산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아크릴산 에스터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중합체를 가리킨다.
즉,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수지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에스터,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하, "아크릴계 단량체"라고도 칭한다)을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진 중합체이다.
아크릴계 수지의 원료의 적어도 일부인 아크릴계 단량체는, 단관능 아크릴계 단량체여도 되고, 다관능 아크릴계 단량체여도 된다.
단관능 아크릴계 단량체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1분자 중에 아크릴로일기를 1개 포함하는 아크릴산 에스터, 1분자 중에 메타크릴로일기를 1개 포함하는 메타크릴산 에스터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 아크릴계 단량체로서는, 1분자 중에 아크릴로일기를 2개 이상 포함하는 아크릴산 에스터, 1분자 중에 메타크릴로일기를 2개 이상 포함하는 메타크릴산 에스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산 에스터로서는, 아크릴산 알킬에스터가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알킬에스터의 부위에 포함되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4인 아크릴산 알킬에스터가 보다 바람직하고,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이 더 바람직하며, 아크릴산 메틸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크릴산 에스터로서는,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터가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알킬에스터의 부위에 포함되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4인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터가 보다 바람직하고,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이 더 바람직하며, 메타크릴산 메틸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아크릴계 수지는, 반응성이나 생산성의 관점에서, 단관능 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진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수지는, 단관능 아크릴계 단량체를 50질량% 이상(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5질량% 이상)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진 중합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로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 메틸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 메틸의 단독 중합체(폴리메타크릴산 메틸, 즉,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이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내충격성의 관점에서 고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고무의 종류로서는, 아크릴계 고무, 뷰타다이엔계 고무, 뷰타다이엔-아크릴계 고무, 뷰타다이엔-스타이렌계 고무, 실리콘계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가 고무를 포함하는 경우, 고무의 종류는 적절히 물성을 고려해 선택하면 되지만, 경도, 내충격성 등 다양한 물성의 밸런스를 고려하면, 뷰타다이엔계 고무 또는 뷰타다이엔-아크릴계 고무가 바람직하다.
의치상(100)은, 심미성의 관점에서, 잇몸에 가까운 색조로 착색되어 있어도 된다. 의치상(100)의 착색에는, 예를 들면, 안료, 염료, 색소 등을 사용하면 된다.
의치상(100)은, 전체상 의치(이른바 완전 틀니)용의 의치상이어도 되고, 국부상 의치(이른바 부분 틀니)용의 의치상이어도 된다.
또, 의치상(100)은, 위턱용 의치의 의치상이어도 되고, 아래턱용 의치의 의치상이어도 되며, 위턱용 의치상과 아래턱용 의치상의 세트여도 된다.
(의치상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의치상(100)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의치상(100)의 제조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CAD/CAM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이 CAD/CAM 시스템에 의한 제조 공정을, "CAD/CAM 공정"이라고 칭한다.
CAD 시스템 유닛은, 구강 내의 3D 표면 형상 정보와, 인공치(200)의 3D 형상 정보에 근거하여, 컴퓨터를 이용하여 의치상(100)의 형상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로서 설계하고, 또한, 제작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디지털 데이터에, 소켓(120)의 형상 정보도 포함된다.
CAM 시스템 유닛은, 예를 들면 밀링 머신을 갖고 있다. 그리고 CAM 시스템 유닛은, CAD 시스템 유닛에 의해 형성된 형상 정보를 취득하고, 밀링 머신에 의해 의치상(100)을 형성한다. 즉, 밀링 머신은, 입력된 의치상(100)의 형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의 의치상용 재료로 형성된 레진 블록을 절삭 가공하여 의치상(100)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의치상의 제조 방법에서는, 의치상(100)을 형성하는 공정의 적어도 일부에, 절삭 공정(예를 들면, 상기한 밀링 머신에 의한 절삭)을 포함한다. 이것에 의해, 수작업 등에 의해 소켓(120)을 성형하는 공정을 없앨 수 있거나, 또는 소켓(120)의 형상의 수작업 등에 의한 수정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절삭에 의해 소켓(120)을 형성함으로써, 소켓(120)을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의치상(100)의 제조 시스템에서는, CAD 시스템 유닛에 의해 얻어진, 의치상(100)의 형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이 형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CAM 유닛에 의해, 의치상(100)의 재료를 성형하여, 의치상(100)을 제조한다. 이 때문에, 원하는 형상의 의치상(100)을 효율적으로,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의치상(100)의 형상 정보에는, 소켓(120)의 형상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소켓(120)을 갖는 의치상(100)을, 밀링 머신을 이용한 CAD/CAM 공정만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절삭 공정의 일부에,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 의치상(100)의 제조에 있어서는, 상기한 제조 시스템의 밀링 머신 대신에, 3D 프린터를 갖는 제조 시스템이어도 된다. 이러한 제조 시스템에서는, CAM 시스템 유닛은, CAD 시스템 유닛에 의해 형성된 형상 정보를 취득하여, CAM 시스템 유닛의 일부인 3D 프린터를 이용한 3D 프린트에 의해, 의치상(100)을 형성한다. 3D 프린터는, 입력된 의치상(100)의 형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한층씩, 상기의 의치상용 재료를 적층함으로써 의치상(100)을 성형한다. 3D 프린터는, 광조형 방식, 분말 소결 적층 방식, 열용해 적층 방식 및 잉크젯 방식 중 어떤 방식을 채용한 것이어도 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의치상(100)의 형상 정보에는, 소켓(120)의 형상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소켓(120)을 갖는 의치상(100)을, 3D 프린터를 이용한 CAD/CAM 공정만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3D 프린트에 의해 의치상(100)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소켓(120)의 형상도 포함하여 3D 프린터만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로써, 수작업 등에 의해 소켓(120)을 성형하는 공정을 없앨 수 있거나, 또는 소켓(120)의 형상의 수작업 등에 의한 수정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의치상(100)의 제조 시스템으로서는, CAM 유닛은, 밀링 머신과 3D 프린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갖고 있으면 되고, 양쪽 다 갖고 있어도 된다.
(인공치의 구성)
도 4b~도 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공치(200)는, 상기 의치상(100)의 소켓(120)의 기저면(130)에 접착되는 면으로서의, 인공치(200)의 기저면(230)을 갖는다. 또한, 도 4a~도 4d의 인공치(200)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상기 의치상(100)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교합면을 상향으로 한 상태로 나타나 있다. 즉, 도 4a~도 4d의 인공치(200)의 상하 방향은, 도 1a 및 도 1b의 의치상(100)의 상하 방향과 동일하다. 인공치(200)에 관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언급하는 상하 방향 및 고저는, 모두 이 도 4a~도 4d에 나타낸 상태에서의 상하 방향 및 고저를 의미한다.
인공치(200)의 기저면(230)은, 대응하는 소켓(120)의 기저면(130)에 대응하도록, 전체적으로 오목한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전체적으로 오목한 면"이란, 기본적으로는 전체가 오목한 입체 형상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전체가 요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소켓(120)의 기저면(130)의 일부 또는 전부가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체가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그 평탄면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서 평탄면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전체적으로 오목한 면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인공치(200)의 기저면(230) 중, 상기 소켓 정부(138)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일 높은 위치에 있으며, 이 부분을 기저면 정부(238)라고 칭한다(도 4d 참조). 이 기저면 정부(238)는, 치열을 따르는 인공치(200)의 양단 E(도 4a~도 4c 참조)를 연결하는 골형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이 "양단"이란 인접하는 치아(인공치 또는 자연치를 불문한다)가 있는 측을 말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골형"이란, 인공치(200)의 기저면(230)을 만약 상향으로 한 경우, "골짜기"와 같은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인공치(200)가 유상의치(300)의 일부로서 실제로 구강 중에 장착된 경우에는, 위턱용의 유상의치(300)의 경우는 이 "골짜기"는 제일 낮은 위치에 있고, 아래턱용의 유상의치(300)의 경우는 반대로 제일 높은 위치에 있게 된다.
인공치(200)의 순측의 기저면(232)은, 도 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순측을 향해 경사가 연속적으로 낮아지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설측의 기저면(234)도, 설측을 향해서도 경사가 연속적으로 낮아지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인공치(200)가 장착되는 의치상(100)의 소켓(120)의 기저면(130)의 변연 부분(136)은, 상기와 같이, 순측 및 설측 중 어느 곳에 있어서도, 잇몸 부분(110)의 단차부(112)와 연속적으로 당접하고 있다(도 2b 참조). 따라서, 이 소켓(120)의 기저면(130)의 변연 부분(136)의 "연속적"인 형상과 대응하여, 인공치(200)의 기저면(230)도 동일하게 "연속적"인 형상, 즉, 돌기 및 돌조와 같은 돌출 구조가 없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4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순측의 기저면(232)은, 상기 도 2c에 나타내는 소켓(120)의 순측의 기저면(132)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평탄면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도 4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측의 기저면(234)은, 상기 도 2d에 나타내는 소켓(120)의 설측의 기저면(134)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평탄면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도 4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순측의 기저면(232) 및 설측의 기저면(234)은, 상기 도 2e에 나타내는 소켓(120)의 순측의 기저면(132) 및 설측의 기저면(134)의 형상에 각각 대응하도록, 양쪽 다 평탄면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인공치(200)의 순측 표면(204)(도 4a 및 도 4d 참조)과 설측 표면(206)(도 4b, 도 4c 및 도 4d 참조)은, 각각 그 하단연(208)까지가 연속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연속면"이란, 종래의 인공치에 있어서, 의치상에 매설되는 부분인, 이른바 컬러부와 같은 단차부가 하단연(208)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공치(200)의 순측 표면(204) 및 설측 표면(206)은 각각 그 하단연(208)까지가, 의치상(100)에 장착된 후에도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5 참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인공치(200)가, 의치상(100)의 상부(102)에 있어서 인접해 형성되는 소켓(120)에 배치될 때에는, 이들의 인접하는 인공치(200)가 서로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3과 같이 인공치(200)를 의치상(100)에 배치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인공치(200)가 접하는 부분에 있어서 연결하도록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인공치(200)는, 기저면 정부(238)가 인공치의 측면 방향으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4b 및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공치(200)를 측면 방향으로부터 시인한 경우에, 한쪽의 측면측으로부터 다른 한쪽의 측면측까지의 기저면 정부(238)에 접하는 선이 점유하는 공간이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기저면 정부(238)(도 4d 참조)가 측면 방향으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인공치의 재료)
인공치(200)에 사용되는 재료로서는, 장석, 석영, 실리카,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등의 세라믹 재료, 또는 매트릭스 레진으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나 다이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고, 그 밖에 무기 필러를 포함하는 복합 레진이나, 아크릴계 레진 등 통상 치과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는 레진 재료로부터 적절히 선택된다. 다이메타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페놀A다이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Bis-GMA),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메타크릴레이트(TEGDMA), 우레탄다이메타크릴레이트(UDMA)를 들 수 있다.
또한, 인공치(200)의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에나멜층용과 상아질용의 2색 이상의 색조가 상이한 재료를 사용하여 복수층으로 나누어 적층해도 된다. 또, 2개의 상이한 재료에 색조를 변경한 것을 준비하여 조합해도 되고, 동일한 재질로 색조를 변경한 것을 준비해 사용해도 된다.
인공치(200)로서는, 아크릴계의 레진 치아, 아크릴계의 경질 레진 치아, 세라믹 치아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의치상(100)으로의 접착을 강고하게 하는 관점에서, 아크릴계의 레진 치아 및 경질 레진 치아가 바람직하다.
인공치(200)의 성형 방법으로서는, 압축 성형, 사출 성형, 사출 압축 성형 등에 의해 성형해도 되고, 예를 들면 인공치용 재료의 블록체로부터 CAD/CAM 등에 의해 절삭하여 성형해도 되며, 3D 프린터 등에 의해 적층하여 성형해도 된다.
(인공치의 의치상으로의 장착)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공치(200)는, 소켓(120)의 기저면(130)을 가리도록 하여, 의치상(100)에 고정되어 장착된다. 이때,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인공치(200)의 순측 표면(204)은 연속면으로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하단연(208)까지 잇몸 부분(110)에 매몰되지 않고, 잇몸 부분(110)과 면일(面一)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설측 표면(206)에 관해서도 동일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의치상용 재료를 상기와 같이 절삭하는 절삭 공정에 의해, 또는, 상기와 같이 3D 프린트에 의한 공정에 의해, 상기 의치상(100)을 얻을 수 있다. 이 의치상(100)의 상기 소켓(120)에 상기 인공치(200)를 장착하는 장착 공정으로 모든 인공치(200)가 고정되어 장착되고, 도 6에 나타내는 유상의치(300)가 제조된다. 유상의치(300)에 있어서는, 도 7a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120)의 기저면(130)에, 인공치(200)의 기저면(230)이 고정되어, 위턱의 치조융선(R)을 의치상(100)의 상부(102)의 오목부(104)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설명과 같이, 인공치(200)의 순측 표면(204) 및 설측 표면(206)의 어느 하단연(208)도, 잇몸 부분(110)에 매몰되지 않고, 외면으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7b에 나타내는 비교예의 유상의치(700)와 같이, 소켓(520)이 종래예와 같이 함몰되어 있으면, 그만큼 의치상(500)의 상부(502)를 얇게 할 수밖에 없는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환자에 따라 치조융선(R)이 높은 경우에는, 인공치(600)의 치근 부분(630)이 치조융선(R)에 닿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상부(502)를 두껍게 하고, 그만큼, 인공치(600)가 소켓(520)에 고정되는 치근 부분(630)을 깎을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하여, 인공치(600)와 소켓(520)의 고정도가 불충분하게 될 우려도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7a로부터도 명확한 바와 같이, 소켓(120)을 볼록 형상으로 하여, 인공치(200)를 이것에 재치하도록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치조융선(R)이 높아도 인공치(200)가 소켓(120)에 고정되는 부분을 깎을 필요가 없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조상의 부담을 경감 가능한 의치상 및 거기에 매설되는 인공치와, 이들을 구비한 유상의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설명과 같이, 의치상의 두께를 얇게 하면서, 인공치의 컬러부를 미리 절삭하지 않아도 끝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인공치가 의치상에 매설되는 부분이 적기 때문에, 치조융선이 높은 환자용 유상의치여도 인공치를 절삭하는 공정을 대폭 줄이거나, 또는 없앨 수 있다. 또, 의치상의 기저면이 볼록 형상이 되기 때문에 인공치와의 접착 면적이 증대되어, 인공치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장착 공정은, 인공치(200)를 의치상(100)에 접착하는 공정, 즉 접착 공정이기도 하다. 인공치(200)를 의치상(100)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레진)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레진을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레진으로서는, 의치상(100)과 인공치(200)의 본 접착이 가능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시판품을 사용해도 된다. 즉, 접착 공정은, 아크릴계 레진을 사용하여 인공치(200)를 의치상(100)에 본 접착하는 공정(이하, "본 접착 공정"이라고도 칭한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의치상(100)과 인공치(200)의 본 접착이란, 유상의치(300)로서의 사용이 가능할 정도로 인공치(200)가 의치상(100)에 고정되어 장착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본 접착 공정에서 사용하는 아크릴계 레진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온(0℃~35℃)에서 중합하는 레진, 열을 가해 중합하는 레진, 광으로 중합하는 레진을 들 수 있다. 상온(0℃~35℃)에서 중합하는 레진 또는 열을 가함으로써 중합하는 레진으로서는, 예를 들면, 비교적 낮은 온도(바람직하게는 0℃~70℃)에서 중합이 진행되는 아크릴계 레진, 70℃ 이상에서 중합이 진행되는 아크릴계 레진을 들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비교적 낮은 온도(바람직하게는 0℃~70℃)에서 중합이 진행되는 아크릴계 레진을 "특정 아크릴계 레진"이라고 칭한다.
아크릴계 레진으로서는, 폴리머분(粉)과 모노머액을 혼합시킨 것을 사용해도 된다. 소켓(120)과 인공치(200)의 간극에 아크릴계 레진을 주입하는 경우, 혼합 직후의 저점도 상태라면, 주입이 용이하다. 폴리머분으로서는,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등의 아크릴계 수지를 들 수 있고, 모노머액으로서는,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등의 메타크릴산 에스터를 들 수 있다. 또, 아크릴계 레진은, 다른 성분으로서, 4-META(4-메타크릴옥시에틸트라이멜리트산 무수물) 등의 확산 촉진 모노머, TBB(트라이-n-뷰틸보레인) 등의 상온 중합 개시제(또는, 열중합 개시제), 중합 금지제, 착색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 시판의 아크릴계 레진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론(주식회사 GC 제), 팔라익스프레스 울트라(헤라우스 쿨저사(Heraeus Kulzer GmbH) 제), 야마하치 덴탈 공업 주식회사(YAMAHACHI DENTAL MFG.,CO.) 제 리파인 브라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장착 공정은, 인공치(200)를 의치상(100)에 예비 접착하는 공정(이하, "예비 접착 공정"이라고도 칭한다)을 포함해도 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예비 접착이란, 인공치(200)와 의치상(100)의 위치 관계가 유지될 정도로 인공치가 의치상에 장착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서 그 위치 관계를 수정하거나, 또는 접착 상태를 용이하게 해소하거나 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인공치(200)를 의치상(100)에 예비 접착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치과용 복합 레진 또는 아크릴계 레진을 사용하여, 소켓(120)의 적어도 일부에 관하여, 인공치(200)와의 사이의 간극에 상기 레진(치과용 복합 레진 또는 아크릴계 레진)을 주입하고, 주입된 상기 레진을 상온(0℃~35℃)에서 중합시키거나, 가열하여 중합시키거나, 또는 광(예를 들면 가시광)으로 중합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예비 접착 공정에서 사용하는 레진으로서는, 치과용 복합 레진 또는 아크릴계 레진을 들 수 있다. 예비 접착 공정에서 사용하는 아크릴계 레진으로서는, 본 접착 공정에서 사용하는 아크릴계 레진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특정 아크릴계 레진(비교적 낮은 온도(바람직하게는 0℃~70℃)에서 중합이 진행되는 아크릴계 레진)이 바람직하다. 치과용 복합 레진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접착 공정이 예비 접착 공정을 가짐으로써, 예비 접착에 사용하는 레진의 중합이 진행될 때까지(예를 들면 광중합성 레진의 경우에는 광경화 후까지), 인공치(200)의 배열의 수정이나, 형상 조정이 필요한 인공치(200)가 있는 경우에는, 그 대상의 인공치(200)의 분리 등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예비 접착 공정은, 본 접착에 사용하는 레진의 양을 보다 적절히 조정하는 관점에서, 인공치(200)를, 의치상(100)의 소켓(120)의 적어도 일부에 예비 접착하는 공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치과용 복합 레진으로서는, 인공치(200)와 의치상(100)의 예비 접착이 가능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성형 수복 재료, 치관보철용 재료, 치과용 충전제 등의 복합 레진(수복 재료), 자기 접착성 시멘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복합 레진은, 예를 들면, 매트릭스 레진으로서 다이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고, 그 밖에 무기 필러, 실란 커플링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다이메타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페놀A다이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Bis-GMA),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메타크릴레이트(TEGDMA), 우레탄다이메타크릴레이트(UDMA)를 들 수 있다.
자기 접착성 시멘트로서는, 예를 들면, 매트릭스 레진으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나 상기 설명한 다이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고, 그 밖에 접착성 물질, 필러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 복합 레진으로서는, 저점도 및 저탄성의 플로어블 타입, 고점도 및 고탄성의 페이스트 타입 등을 들 수 있지만, 의치상(100)의 소켓(120)이 전체적으로 볼록한 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감안하여, 어느 정도의 점도 및 탄성을 갖는 페이스트 타입이 바람직하다.
또, 인공치(200)의 위치 조정을 보다 적합하게 가능하게 하는 점에서, 광중합성의 복합 레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성의 복합 레진을 사용함으로써, 의치상의 소켓부에 주입된 복합 레진이 광조사 전에 경화되지 않기 때문에, 취급성이 우수하며, 인공치의 위치 조정을 정밀도 좋게 실시하기 쉽다. 또, 광중합성의 복합 레진을 사용함으로써, 경화 후의 접착(예비 접착)은, 접착력이 비교적 약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의치상(100)으로부터의 인공치(200)의 분리가 가능하고, 또, 인공치(200)를 분리한 후, 의치상(100)의 소켓(120)에 복합 레진을 도포하여 의치상(100)과 인공치(200)의 재접착(예비 접착)을 실시하기 쉽다. 그 때문에, 인공치(200)의 쉐이드(색조)를 잘못한 경우나 경화 조작 시에 인공치(200)의 위치에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 등에, 경화 후여도 용이하게 의치상(100)으로부터의 인공치(200)의 분리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재접착(예비 접착)하는 것에 의한 위치 조정을 실시하기 쉽다.
광중합성의 복합 레진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에스터 또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터 등의 중합성 화합물, 무기 충전제, 광중합 개시제 등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되고, 또, 중합 촉진제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시판의 복합 레진으로서는, 예를 들면, 뷰티필 II(주식회사 소후(SHOFU INC.) 제), 레보텍(주식회사 GC 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장착 공정(접착 공정)에 있어서 접착제에 의해 인공치(200)를 의치상(100)에 장착하기 전에, 가고정재를 사용하여, 인공치(200)가 의치상(100)에 가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가고정에 의해서도, 인공치(200)와 의치상(100)의 위치 관계가 유지될 정도로, 인공치(200)가 의치상(100)에 일시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가고정 후에, 장착 공정으로서, 예비 접착을 실시하지 않고 본 접착을 실시해도 된다.
가고정재를 사용하는 경우, 가고정재로서는, 예를 들면, 25℃(상온)에서 변형되는 점착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점착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염화바이닐계 수지, 바이닐알코올계 수지, 바이닐알킬에터계 수지 혹은 아크릴아마이드계 수지 등의 수지 또는 천연 고무, 실리콘계 고무 또는 스타이렌-뷰타다이엔 공중합 엘라스토머 등의 고무를 들 수 있다. 또, 점착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퍼티(예를 들면 모형 제작용 퍼티, 치과용 퍼티), 접착 라벨, 소맥분 점토, 점착성 금속박 테이프를 사용해도 된다.
퍼티란, 홈, 균열, 구멍 등을 충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재료를 말한다. 퍼티는, 일반적으로 안료, 수지(불휘발성 전색제), 휘발성 물질을 포함한다.
퍼티로서는, 에폭시 퍼티, 폴리에스터 퍼티, 실리콘 퍼티 혹은 이들의 변성 퍼티 등의 1성분형(1액성) 혹은 다성분형(2액성 등)의 퍼티, 래커 퍼티, 순간 접착 퍼티, 석고 퍼티, 탄산 칼슘 퍼티 또는 광경화형 퍼티 등을 들 수 있다.
접착 라벨이란, 기재의 이면에 점착성 재료가 설치된 라벨을 말하며, 그 점착성 재료측이 가고정되는 부위(예를 들면 치관 및 치근의 경계 부근)에 배치되어 사용된다.
기재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기재의 이면에 설치되는 점착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수지, 상기 고무를 들 수 있다.
또, 금속박 테이프로서는, 공지의 점착성 금속박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점착성 재료 중에서도, 가고정재 제거 후의 유상의치(300)로의 잔부착(殘付着)이 적은 관점에서, 퍼티가 바람직하고, 치과용 퍼티가 보다 바람직하며, 치과용 실리콘 퍼티가 더 바람직하다. 특히, 치과용 퍼티(바람직하게는 치과용 실리콘 퍼티)를 사용하면, 변형시의 복귀가 적기 때문에, 인공치(200)의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가고정시에 있어서의 인공치(200)와 의치상(100)의 위치 관계가 유지되기 쉽다.
상기 점착성 재료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을 병용해도 된다.
가고정재의 형상으로서는, 인공치(200)를 의치상(100)에 가고정할 수 있는 형상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치상(100)의 소켓(120)의 기저면(130)을 전체적으로 볼록한 면으로 구성하고, 인공치(200)의 기저면(230)을 전체적으로 오목한 면으로 구성했지만,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120)의 기저면(130)의 일부에 함입부(160)가 있어도 되고, 인공치(200)의 기저면(230)의 일부에 이것에 대응하는 돌출부(240)가 있어도 된다.
즉, 본 개시에 있어서, 소켓(120)의 기저면(130)에 대한 "전체적으로 볼록한 면"이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120)의 기저면(130)의 일부에 상기 함입부(160)와 같은 오목 형상이 있는 것도 포함한다. 또, 인공치(200)의 기저면(230)에 관하여 "전체적으로 오목한 면"이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공치(200)의 기저면(230)의 일부에 상기 돌출부(240)와 같은 볼록 형상이 있는 것도 포함한다.
단,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공치(200)의 기저면(230)의 일부를 이루는 돌출부(240)는, 인공치(200)의 순측 표면(204) 및 설측 표면(206)의 쌍방으로부터 가려질 정도의 돌기로서 구성된다. 또,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치상(100)의 소켓(120)의 기저면(130)의 일부를 이루는 함입부(160)는, 인공치(200)의 기저면(230)의 일부를 이루는 돌출부(240)가 감합(嵌合)하는 것과 같은 홈으로서 구성된다.
달리 말하면, 인공치(200)의 돌출부(240)는, 인공치(200)를 의치상(100)에 장착시켰을 때에, 인공치(200)의 순측 표면(204)의 하단연(208) 및 설측 표면(206)의 하단연(208)을 통과하는 직선 d를 넘지 않을 정도의 크기이다. 동일하게, 소켓(120)의 기저면(130)의 함입부(160)도, 인공치(200)를 의치상(100)에 장착시켰을 때에, 인공치(200)의 순측 표면(204)의 하단연(208) 및 설측 표면(206)의 하단연(208)을 통과하는 직선 d를 넘지 않을 정도의 크기이다.
또, 소켓(120)의 기저면(130)에 있어서 이러한 함입부(160)는 2개 이상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인공치(200)의 기저면(230)에 있어서 이러한 돌출부(240)는 2개 이상 있어도 된다. 단, 어느 함입부(160) 및 어느 돌출부(240)도, 상기한 바와 같이, 인공치(200)를 의치상(100)에 장착시켰을 때에, 인공치(200)의 순측 표면(204)의 하단연(208) 및 설측 표면(206)의 하단연(208)을 통과하는 직선 d를 넘지 않을 정도의 크기이다.
물론,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치상(100)의 소켓(120)의 기저면(130)에는 상기와 같은 함입부(160)가 반드시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되며, 또, 인공치(200)의 기저면(230)에는 상기와 같은 돌출부(240)가 반드시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의 유상의치(300)는,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치상(100)의 소켓(120)의 기저면(130)에 있어서의 소켓 정부(138)로부터 돌기부(122)가 돌출되어 있는 점, 및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공치(200)의 기저면(230)에 있어서의 기저면 정부(238)에 상기 돌기부(122)에 대응하는 함몰부(202)가 설치되어 있는 점 이외의 구성, 재질 및 제조 방법은 제1 실시형태의 유상의치(300)와 동일하다.
그리고, 의치상(100)에 인공치(200)를 장착할 때에는, 인공치(200)의 함몰부(202)에, 의치상(100)의 돌기부(122)를 끼워넣으면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소켓(120)의 기저면(130)과 인공치(200)의 기저면(230)을 접착한다.
이 유상의치(300)에 있어서는, 도 10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공치(200)의 함몰부(202)에 의치상(100)의 돌기부(122)가 감합하고 있다. 이러한 감합에 의해, 인공치(200)의 의치상(100)에 대한 고정도가 증강된다. 그 밖의 점은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유상의치(300)와 동일하다.
[제3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의 유상의치(300)는,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치상(100)의 소켓(120)의 기저면(130)에 있어서의 소켓 정부(138)로부터 돌기부(122)가 돌출되어 있는 점, 및,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공치(200)의 기저면(230)에 있어서의 기저면 정부(238)에 상기 돌기부(122)에 대응하는 함몰부(202)가 설치되어 있는 점은 상기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그 밖에,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측 표면(206)의 중앙부에 노치부(210)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치상(100)에 있어서 설면측의 기저면(134)에, 상기 노치부(210)에 감합하는 융기부(140)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이외의 구성, 재질 및 제조 방법은 제1 실시형태의 유상의치(300)와 동일하다.
그리고 의치상(100)에 인공치(200)를 장착할 때에는, 인공치(200)의 함몰부(202)에, 의치상(100)의 돌기부(122)를 끼워넣고, 동시에, 인공치(200)의 노치부(210)에 의치상(100)의 융기부(140)를 끼워넣으면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소켓(120)의 기저면(130)과 인공치(200)의 기저면(230)을 접착한다.
이 유상의치(300)에 있어서는, 도 13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공치(200)의 함몰부(202)에 의치상(100)의 돌기부(122)가 감합하고, 또한 인공치(200)의 노치부(210)에 의치상(100)의 융기부(140)가 감합하고 있다. 이러한 감합에 의해, 인공치(200)의 의치상(100)에 대한 고정도가 보다 증강된다. 그 밖의 점은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유상의치(300)와 동일하다.
[제4 실시형태]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유상의치(300)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분 의치이다. 이 유상의치(300)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의치상(100)의 소켓(도시하지 않음)에 인공치(200)가 장착되어 있다. 이 상태로, 인공치(200)의 순측 표면(204)(및 도시하지 않은 설측 표면)의 하단연(208)은, 잇몸 부분(110)과 면일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인공치(200)의 치열을 따르는 양단에는, 인접하는 자연치에 대해서 유상의치(300)를 계지시키기 위한 클래스프(150)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의치상 및 인공치와, 이들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유상의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25)
- 상부와,
상기 상부의 잇몸 부분에 대해 단차부를 갖고 구획되어, 인공치가 장착되는 소켓과,
상기 잇몸 부분 중, 치열을 따라 상기 소켓의 양단에 위치함과 동시에 인접하는 치아와의 사이의 치간유두에 상당하는 치간유두 부분을 갖고,
상기 소켓을 상향으로 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기저면은, 양단의 치간유두 부분의 사이를 연결하는 능선형을 나타내는 소켓 정부를 가짐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볼록한 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기저면의 변연 부분은, 상기 단차부와 서로 연속적으로 당접하고,
인접하는 상기 치간유두 부분의 최고점을 잇는 직선 a와, 순측의 소켓 하단부를 통과하고 상기 직선 a에 평행한 직선 b와의 거리를 D1로 하고, 또한, 상기 직선 b에 평행하며 상기 소켓 정부를 통과하는 직선 c와, 상기 직선 b와의 거리를 D2라 했을 때, D1 : D2가 1 : 1.2 ~ 1 : 0.8이거나, 또는, 소켓 정부가 치간유두 부분의 정부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의치상.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켓 정부로부터 순면측의 기저면은, 순측을 향해 경사가 낮아지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의치상.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켓 정부로부터 설면측의 상기 기저면도, 설측을 향해 경사가 낮아지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의치상.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저면에 있어서, 상기 소켓 정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돌기부를 갖는, 의치상.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켓이 복수개, 상기 상부에 있어서 인접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기저면을 갖는 소켓이, 상기 복수개의 소켓 중 적어도 1개인, 의치상. - 의치상용 재료를 절삭하여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치상을 얻는 절삭 공정을 갖는 의치상의 제조 방법.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절삭 공정에는, CAD 시스템 유닛에 의해 설계된 디자인을 CAM 시스템 유닛을 이용하여 성형하는 공정(CAD/CAM 공정)을 포함하는, 의치상의 제조 방법.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CAD/CAM 공정에 있어서 상기 소켓이 형성되는, 의치상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치상을 3D 프린트에 의해 성형하는 성형 공정을 갖는 의치상의 제조 방법.
- 교합면을 위로 했을 때에, 의치상의 소켓에 접착되는 기저면이, 치열을 따르는 양단을 연결하는 골형을 나타내는 기저면 정부를 가짐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오목한 면으로 구성되고,
순측 표면 및 설측 표면은, 상기 소켓에 장착된 후에도 각각 하단연까지가 시인 가능한 연속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인공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기저면 정부로부터 순면측의 기저면은, 순측을 향해 경사가 낮아지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인공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기저면 정부로부터 설면측의 기저면도, 설측을 향해 경사가 낮아지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인공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기저면 정부의 중앙부에 함몰부를 갖는, 인공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기저면이, 청구항 1에 기재된 의치상의 소켓과 감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인공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기저면이, 청구항 2에 기재된 의치상의 소켓과 감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인공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기저면이, 청구항 3에 기재된 의치상의 소켓과 감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인공치.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기저면이, 청구항 4에 기재된 의치상의 소켓과 감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인공치. -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면 정부가 인공치의 측면 방향으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인공치. - 사출 성형에 의해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공치를 얻는 성형 공정을 갖는 인공치의 제조 방법.
- 인공치용 재료를 절삭하여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공치를 얻는 절삭 공정을 갖는 인공치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공치를 3D 프린트에 의해 성형하는 성형 공정을 갖는 인공치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기재된 의치상과, 상기 의치상의 상기 소켓에 장착된, 청구항 10에 기재된 인공치를 구비하는 유상의치.
-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소켓이 복수개, 상기 상부에 있어서 인접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소켓의 각각에 장착되는 상기 인공치가 연결되어 있는, 유상의치. - 의치상용 재료를 절삭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의치상을 얻는 절삭 공정과,
상기 의치상의 상기 소켓에 청구항 10에 기재된 인공치를 장착하는 장착 공정
을 갖는 유상의치의 제조 방법. - 3D 프린트에 의해 청구항 1에 기재된 의치상을 얻는 공정과,
상기 의치상의 상기 소켓에 청구항 10에 기재된 인공치를 장착하는 장착 공정
을 갖는 유상의치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7037173 | 2017-02-28 | ||
JPJP-P-2017-037173 | 2017-02-28 | ||
PCT/JP2018/006809 WO2018159507A1 (ja) | 2017-02-28 | 2018-02-23 | 義歯床及びその製造方法、人工歯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有床義歯及びそ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3288A KR20190103288A (ko) | 2019-09-04 |
KR102351897B1 true KR102351897B1 (ko) | 2022-01-14 |
Family
ID=63370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22696A KR102351897B1 (ko) | 2017-02-28 | 2018-02-23 | 의치상 및 그 제조 방법, 인공치 및 그 제조 방법과, 유상의치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2) | US20190388198A1 (ko) |
EP (2) | EP3925570A1 (ko) |
JP (1) | JP6781816B2 (ko) |
KR (1) | KR102351897B1 (ko) |
CN (1) | CN110312490B (ko) |
WO (1) | WO2018159507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43580A (ko) | 2022-09-27 | 2024-04-03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탈부착식 플렉시블 의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660173B2 (en) * | 2019-02-15 | 2023-05-30 | Dentsply Sirona Inc. | Denture base and dental prosthesis |
GB2581491B (en) * | 2019-02-18 | 2023-02-22 | Davis Schottlander & Davis Ltd | Prosthetic tooth |
EP4051166A1 (de) * | 2019-10-29 | 2022-09-07 | VITA-ZAHNFABRIK H. Rauter GmbH & Co. KG | Künstliches zahnelement |
ES2843551A1 (es) * | 2020-01-17 | 2021-07-19 | Laboratorio Digital High Teeth S L |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 prótesis dentales y prótesis dental |
GB2593449A (en) * | 2020-03-13 | 2021-09-29 | Davis Schottlander & Davis Ltd | Prosthetic tooth or denture base |
CN111759507A (zh) * | 2020-07-08 | 2020-10-13 | 秦皇岛泽克尼陶瓷科技有限公司 | 一种微创美学支架义齿及其制备方法 |
CN111888022B (zh) * | 2020-08-11 | 2021-12-14 | 泰安市东方义齿有限公司 | 一种义齿的一次成型制造方法 |
DE102021112178B4 (de) * | 2021-05-10 | 2023-01-12 | Kulzer Gmbh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Dentalprothese |
WO2023042915A1 (ja) * | 2021-09-17 | 2023-03-23 | クラレノリタケデンタル株式会社 | 光造形用有床義歯作製キット、及び有床義歯の製造方法 |
CN117915858A (zh) * | 2021-10-26 | 2024-04-19 | 德山齿科株式会社 | 义齿用铣削坯件、前牙用被切削加工部件及义齿的制造方法 |
US20230301760A1 (en) | 2022-03-23 | 2023-09-28 | Kabushiki Kaisha Shofu | Denture bas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155878A (ja) * | 2008-11-20 | 2014-08-28 | Tokyo Medical And Dental Univ | 有床義歯の製造方法 |
WO2016110392A1 (de) * | 2015-01-07 | 2016-07-14 | Heraeus Kulzer Gmbh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entalprothese |
JP2016525150A (ja) | 2014-01-13 | 2016-08-22 | デンカ インク | 光硬化性樹脂組成物ならびに人工歯および義歯床を製造するための3次元印刷におけるその使用方法 |
JP2017018264A (ja) * | 2015-07-09 | 2017-01-26 | 三井化学株式会社 | 義歯床、有床義歯、義歯床の製造方法および有床義歯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59712052D1 (de) * | 1996-05-17 | 2004-12-09 | Brandestini Marco | Verfahren zur Herstellung dentaler Rekonstruktionen und Rohli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
WO1998049882A2 (fr) * | 1997-07-10 | 1998-11-12 | Hideyo Uji | Dent artificielle |
JP3064138U (ja) | 1999-05-20 | 1999-12-24 | 株式会社ジーシーデンタルプロダクツ | 人工歯 |
JP2001095820A (ja) * | 1999-09-29 | 2001-04-10 | Kazuo Komine | 有床義歯およびその製造方法 |
DE10304757B4 (de) * | 2003-02-05 | 2005-07-21 | Heraeus Kulzer Gmbh |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Zahnersatz |
EP1454597A1 (de) * | 2003-03-04 | 2004-09-08 | Merz Dental GmbH | Kunstzahn für Zahnprothesen |
JP2007000324A (ja) * | 2005-06-23 | 2007-01-11 | Oyama Yoshio | 義歯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8168065A (ja) * | 2007-01-15 | 2008-07-24 | Yunikkusu Japan:Kk | 有床義歯 |
KR101348050B1 (ko) * | 2007-04-18 | 2014-01-03 | 소후 인코포레이티드 | 인공치아 |
JP2008289839A (ja) | 2007-05-28 | 2008-12-04 | Yukinori Shimada | 人工歯の基底面と床を重着接合する構造方式の義歯 |
DE102007031229A1 (de) * | 2007-07-04 | 2009-01-08 | Schäfer, Günter Willy | Dentalprothese |
KR101313510B1 (ko) * | 2007-10-01 | 2013-10-01 | 소후 인코포레이티드 | 양측성 평형 교합이 용이한 인공치 |
CN101862225A (zh) * | 2009-04-20 | 2010-10-20 | 涂本洲 | 一种半成品全口义齿及制造方法 |
JP4869394B2 (ja) * | 2009-10-19 | 2012-02-08 | 株式会社ユニックスジャパン | 義歯 |
JP5693903B2 (ja) * | 2010-09-30 | 2015-04-01 | 株式会社シケン | 有床義歯とこれに使用される人工歯 |
ES2588707T3 (es) * | 2012-12-17 | 2016-11-04 | Ivoclar Vivadent Ag | Procedimiento y sistema para la construcción de una prótesis dental |
US10357435B2 (en) * | 2012-12-18 | 2019-07-23 | Dentca, Inc. |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in three-dimensional printing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teeth and denture base |
DE102014118231B3 (de) * | 2014-12-09 | 2016-05-12 | Heraeus Kulzer Gmbh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entalprothese mit einer Schablone |
DE102015104394B4 (de) * | 2015-03-24 | 2020-06-04 | Kulzer Gmbh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Teil- oder Totalprothese sowie Prothese erhältlich nach diesem Verfahren |
-
2018
- 2018-02-23 WO PCT/JP2018/006809 patent/WO2018159507A1/ja unknown
- 2018-02-23 JP JP2019502966A patent/JP6781816B2/ja active Active
- 2018-02-23 KR KR1020197022696A patent/KR10235189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2-23 EP EP21190524.5A patent/EP3925570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8-02-23 US US16/483,927 patent/US2019038819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8-02-23 EP EP18761121.5A patent/EP3586790B1/en active Active
- 2018-02-23 CN CN201880012470.6A patent/CN110312490B/zh active Active
-
2023
- 2023-02-13 US US18/168,075 patent/US20230190426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155878A (ja) * | 2008-11-20 | 2014-08-28 | Tokyo Medical And Dental Univ | 有床義歯の製造方法 |
JP2016525150A (ja) | 2014-01-13 | 2016-08-22 | デンカ インク | 光硬化性樹脂組成物ならびに人工歯および義歯床を製造するための3次元印刷におけるその使用方法 |
WO2016110392A1 (de) * | 2015-01-07 | 2016-07-14 | Heraeus Kulzer Gmbh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entalprothese |
JP2017018264A (ja) * | 2015-07-09 | 2017-01-26 | 三井化学株式会社 | 義歯床、有床義歯、義歯床の製造方法および有床義歯の製造方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43580A (ko) | 2022-09-27 | 2024-04-03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탈부착식 플렉시블 의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586790A4 (en) | 2021-03-03 |
EP3925570A1 (en) | 2021-12-22 |
CN110312490A (zh) | 2019-10-08 |
JP6781816B2 (ja) | 2020-11-04 |
EP3586790B1 (en) | 2022-06-29 |
US20230190426A1 (en) | 2023-06-22 |
JPWO2018159507A1 (ja) | 2019-12-12 |
WO2018159507A1 (ja) | 2018-09-07 |
KR20190103288A (ko) | 2019-09-04 |
US20190388198A1 (en) | 2019-12-26 |
EP3586790A1 (en) | 2020-01-01 |
CN110312490B (zh) | 2021-1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51897B1 (ko) | 의치상 및 그 제조 방법, 인공치 및 그 제조 방법과, 유상의치 및 그 제조 방법 | |
US11298216B2 (en) |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ayered dentures | |
US8753114B2 (en) | Method for dental restoration and related kit | |
EP2967771B1 (en) | System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of dentures | |
EP3135243B1 (en) | Layered denture | |
US20110212420A1 (en) | Method for dental restoration and related kit | |
JPWO2019035467A1 (ja) | 義歯用ブロック | |
JP2004065579A (ja) | クラウン型補綴物 | |
US11793614B2 (en) | Method for producing denture with high accuracy of fitting of artificial tooth to socket | |
JP2007236465A (ja) | 多層人工歯用本体部材 | |
KR20220072370A (ko) | 미리 성형되어 제공되는 변형 가능한 치아 모양의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 |
JP7120506B2 (ja) | 義歯床、義歯床の製造方法、有床義歯及び有床義歯の製造方法 | |
JP7531529B2 (ja) | ブレーシングボディ(bracing body)を有する付加製造義歯床 | |
US20240207026A1 (en) | Method for producing a dental prosthesis by filling an interspace | |
WO2016142407A1 (en) | Process for producing a denture | |
JP6996053B2 (ja) | 有床義歯の製造方法 | |
JP2004065578A (ja) | 歯牙表面用補綴物 | |
JP2018089011A (ja) | 有床義歯の製造方法 | |
US20220023017A1 (en) | Offset gingival overlay dentures | |
AU697179B2 (en) | Tooth-veneer process | |
JPH05220178A (ja) | 義歯用材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