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741B1 - 지엽 취급 장치 - Google Patents
지엽 취급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7741B1 KR101157741B1 KR1020100032161A KR20100032161A KR101157741B1 KR 101157741 B1 KR101157741 B1 KR 101157741B1 KR 1020100032161 A KR1020100032161 A KR 1020100032161A KR 20100032161 A KR20100032161 A KR 20100032161A KR 101157741 B1 KR101157741 B1 KR 1011577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per sheet
- banknote
- sheet
- paper
- conveyan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40—Device architecture, e.g. modular construction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지엽의 잼 처리 시 등에 좁은 작업 스페이스에서도 지엽 수납체를 간단히 착탈할 수 있게 한다. 지엽 취급 장치(10)는, 투입 또는 방출하는 지엽을 반송하는 지엽 반송부(20)와, 그 지엽 반송부(20)의 하방에 근접하여 대향 배치되고 지엽 반송부(20)와의 사이에서 수수된 지폐를 수납하는 복수의 지폐 카세트(32)를 구비하고, 이들 복수의 지폐 카세트(32)를 수용하는 지엽 수납체 수용부(30)와,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를 지엽 반송부(20)에 대해 소정량 하방으로 퇴피 이동시키는 퇴피 기구(60)와, 그 퇴피 이동한 지엽 수납체 수용부(30)의 상방 이동을 허용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섭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플로팅 기구(7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객 등의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며, 조작에 따라서 지엽(지폐 등)의 불출 또는 집어넣기를 행하는 지엽 취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은행 등의 금융 기관의 점포 내에 설치되어, 고객 등의 조작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입금 또는 출금 등의 지폐의 수취 또는 불출의 거래를 행하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 등의 지엽 취급 장치가 보급되어 있다.
이 지엽 취급 장치에 의해, 지폐를 수취, 불출을 행함으로써, 입금 거래, 출금 거래, 납입 대체 거래 등의 금융 기관에서의 거래를 행하게 할 수 있다.
출금 거래의 경우에는, 조작자의 지시에 의해, 장치 내에 수납되어 있는 지폐를 롤러, 벨트 등의 반송 기구를 이용하여 입출금구로 반송하여, 고객에게 지폐를 불출한다.
입금 거래의 경우에는, 조작자가 지시하고, 입출금구에 투입한 지폐를 장치 내에 집어넣어, 수납하도록 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들 지엽 취급 장치는, 지폐의 투입, 불출을 행하는 입출금구, 지폐의 진위, 금종을 감별하는 감별부, 지폐의 표리를 정렬하기 위한 표리 정렬부, 지폐를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지폐 카세트), 지폐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일시 보관부, 수납 케이스로부터 조출된 지폐 중 감별부에서 정상권으로서 인정되지 않았던 지폐를 회수하는 배제 불량권 회수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각 부의 구성 중, 수납 케이스는 복수 구비되는 경우가 많지만, 감별부, 일시 보관부, 표리 정렬부, 배제 불량권 회수부 등은 1개만 구비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데, 장치 본체의 가동율의 향상과 보수 작업의 능률 향상의 관점에서, 장치 본체 내에 교환 가능한 형태의 복수의 수납 케이스를 수용하도록 한 것이 실용화되어 왔다.
여기서,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엽 취급 장치(100)에서의 지폐 반송부(101)와 지폐 수납체 수용부(102) 사이의 지폐의 수수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이 때, 복수의 지폐 카세트(103A, 103B, …) 중, 1개의 지폐 카세트(103A)에서, 지폐(107)의 잼(jam)이 발생하였다고 하자.
이 경우, 잼 처리를 위해 복수의 지폐 카세트(103A, 103B, …)를 화살표 A 방향(수평 방향)으로 인출하고자 하면, 지폐(107)가, 롤러(105A)와 롤러(105B) 사이, 롤러(106A)와 롤러(106B) 사이, 또한 지폐 반송부(101)와 지폐 수납체 수용부(102)의 대향면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이 때문에, 복수의 지폐 카세트(103A, 103B, …)를 화살표 A 방향(수평 방향)으로 인출할 수 없어, 잼 처리가 곤란하게 된다.
이에 대해,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쌍(105A, 105B)의 간격을 둠으로써, 롤러(105A)와 롤러(105B) 사이에 지폐가 잔존하지 않게 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반대로 지폐가 수취측의 롤러에 미치지 못해 잼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쌍(105A, 105B) 중, 한쪽의 롤러(105A)를 상방으로 퇴피시키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롤러(105A)를 퇴피시키는 기구가 필요로 된다. 그리고, 이 퇴피 기구가 복잡화되면, 비용 상승으로 이어진다.
한편, 잼 처리를 간단히 행하기 위해서는, 지폐 카세트(103A, 103B, …)를 도 1의 화살표 A 방향(수평 방향)으로 인출시키면 되지만, 이대로는, 지폐 반송부(101)와 지폐 수납체 수용부(102) 사이에 지폐가 끼여, 지폐 카세트(103A, 103B, …)를 인출할 수 없다.
따라서, 지폐가 끼이지 않도록 지폐 카세트(103A, 103B, …)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지폐 반송부(101)에 대해 지폐 수납체 수용부(102)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양자간에 공간을 형성하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카세트 등의 인출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서는, 용지를 수납하는 카세트에 고정된 슬라이드 부재를, 가이드 부재에 의해 카세트의 인출측이 낮아지도록 경사져 안내되고, 또한, 카세트를 인출하였을 때에 슬라이드 부재를 계지하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서는, 전면이 개구된 가구 프레임 내에 수납 박스를 저장하고, 이 수납 박스를 가구 프레임의 측벽의 경사 레일을 따라서 비스듬히 하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서는, 용지 카세트를 비스듬히 하방으로 인출하고 있지만, 용지 카세트가 무거운 물체인 경우는, 인출 시에 용지 카세트가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해야만 한다. 또한, 이러한 튀어 나감 방지 기구를 강고한 것으로 하면, 장치가 대형화하게 된다. 또한, 스페이스적으로 장치 하방에 제한이 있는 경우는, 용지 카세트를 단순히 비스듬하게 인출하는 것만으로는 다른 부재나 지면에 충돌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때문에, 단순히 용지 카세트나 수납 박스를 비스듬하게 인출하면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지엽의 잼 처리 시 등에 좁은 작업 스페이스에서도 지엽 수납체 수용부를 장치 프레임으로부터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게 한 지엽 취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투입 또는 방출되는 지엽을 반송하는 지엽 반송부와, 그 지엽 반송부의 하방에 근접하여 대향 배치되고 상기 지엽 반송부와의 사이에서 수수된 지엽을 수납하는 복수의 지엽 수납체를 구비한 지엽 취급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지엽 수납체를 수용하는 지엽 수납체 수용부와,
상기 지엽 수납체 수용부를 상기 지엽 반송부에 대해 소정량 하방으로 퇴피 이동시키는 퇴피 기구와,
상기 퇴피 이동한 상기 지엽 수납체 수용부를 그 상방 이동을 허용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섭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플로팅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로팅 기구는, 장치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가이드 부재와, 그 가이드 부재에 섭동 가능하게 감합되고 상기 지엽 수납체 수용부를 완화 기구를 통하여 부양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부재를 갖는다.
상기 완화 기구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지엽 수납체 수용부의 한쪽에 형성된 안내 홈과, 그 안내 홈에 섭동 가능하게 감합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지엽 수납체 수용부의 다른 쪽에 형성된 가이드 핀을 갖는다.
또한, 상기 지엽 반송부와 상기 지엽 수납체 수용부와의 사이에 출몰 가능하게 배설되고, 상기 지엽 반송부와 상기 지엽 수납체 수용부와의 위치 관계를 로크 또는 해제하는 로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엽의 잼 처리 시 등에 좁은 작업 스페이스에서도 지엽 수납체 수용부를 장치 프레임으로부터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도 1은 지엽 취급 장치에서의 지폐 반송부와 지폐 수납체 수용부와의 사이의 지폐의 수수 상태의 종래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롤러쌍의 간격을 둠으로써 지폐 잼을 방지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롤러쌍의 한쪽을 퇴피시켜 지폐 잼을 방지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지엽 취급 장치를 고객측에서 보았을 때의 외관 사시도.
도 5는 지엽 취급 장치의 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지엽 취급 장치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반송 제어부의 더 구체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지엽 취급 장치를 인출 방향의 전면에서 본 도면.
도 9는 지폐 반송부와 지엽 수납체 수용부와의 배치 간격이 넓어지면서 잼 지폐가 롤러쌍끼리로부터 빠져 나오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지엽 취급 장치의 단면 측면도.
도 11은 지엽 취급 장치의 XI-XI 방향의 단면도.
도 12는 퇴피 기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비스듬히 하방으로 퇴피한 지폐 수납체 수용부를, 더 수평 방향으로 인출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지엽 수납체 수용부를 인출하였을 때의 플로팅 기구의 단면도.
도 15는 지엽 수납체 수용부를 장착하였을 때의 플로팅 기구의 단면도.
도 2는 롤러쌍의 간격을 둠으로써 지폐 잼을 방지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롤러쌍의 한쪽을 퇴피시켜 지폐 잼을 방지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지엽 취급 장치를 고객측에서 보았을 때의 외관 사시도.
도 5는 지엽 취급 장치의 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지엽 취급 장치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반송 제어부의 더 구체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지엽 취급 장치를 인출 방향의 전면에서 본 도면.
도 9는 지폐 반송부와 지엽 수납체 수용부와의 배치 간격이 넓어지면서 잼 지폐가 롤러쌍끼리로부터 빠져 나오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지엽 취급 장치의 단면 측면도.
도 11은 지엽 취급 장치의 XI-XI 방향의 단면도.
도 12는 퇴피 기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비스듬히 하방으로 퇴피한 지폐 수납체 수용부를, 더 수평 방향으로 인출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지엽 수납체 수용부를 인출하였을 때의 플로팅 기구의 단면도.
도 15는 지엽 수납체 수용부를 장착하였을 때의 플로팅 기구의 단면도.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지엽 취급 장치(10)를 고객측에서 보았을 때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엽 취급 장치(10)는, 고객이 장치의 앞에 섰을 때 고객이 내려다 보면서 간단히 조작할 수 있는 가장 앞의 위치에, 터치 패널식의 표시 장치로 이루어지는 고객 조작부(12)가 표면 화면을 위로 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지엽」으로서는, 지폐 외, 어음, 수표, 주권, 채권 등의 유가 증권을 포함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폐를 이용한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이를 위해, 설명의 편의상, 부재명에서 지엽 대신에 지폐라고 부르는 일도 있다.
또한, 고객 조작부(12)의 후방측(깊이측)의 상방 좌우로 나뉘어, 오른쪽에 투출부로서의 지폐 투입 취출부(13)가 배치되고, 왼쪽에 경화 투입 취출부(1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그 상방에는, 오른쪽에 카드 삽입 취출구(15)가 배치되고, 왼쪽에 통장 삽입 취출구(16)가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지엽 취급 장치(10)의 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내부 구성은, 도 4의 고객 조작부(12)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이 내부 구성의 후방의 일부는 지엽 취급 장치(10)가 배설되어 있는 벽의 내측, 즉, 은행의 경우이면 은행 내부의 작업 영역(기계실)에 배치되어 있다.
지엽 취급 장치(10)는, 장치 본체의 상방에 위치하고 투입 또는 방출되는 지폐를 반송하는 지폐 반송부(20)와, 지폐 반송부(20)의 하방에 근접하여 대향 배치된 지폐 수납체 수용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지폐 반송부(20)는, 입출금부로서의 지폐 투입 취출부(13) 외, 1차 보류부(27), 센서 출력 검출부(28), 감별부(29), 부적격권 수납부(22A, 22B) 등의 각 장치와, 이들 각 장치를 연결하는 화살표 a, b, …, y, z로 반송 방향이 나타내어지는 주반송로(21) 및 수수 반송로(21')가 배설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경화 투입 취출부(14)는, 도 5에서는, 지폐 투입 취출부(13)보다도 단면의 전방측에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다. 또한, 경화 투입 취출부(14)에 투입되고, 또는 불출된 경화의 반송로 그 밖의 구성은, 여기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주반송로(21) 및 수수 반송로(21') 상에는, 지폐의 통과를 검지하는 복수의 지폐 통과 검지 센서(23), 지폐 투입 취출부(13) 내의 지폐의 유무를 검지하는 복수의 지폐 유무 검지 센서(24), 반송로를 2 방향으로 절환하는 반송로 절환기(25), 반송로를 3 방향 이상으로 절환하는 반송로 절환기(26) 등이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지폐 반송부(20)의 하방에 근접하여 지폐 수납체 수용부(30)가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 지폐 수납체 수용부(30)에는, 복수의 지폐 수납체로서의 지폐 카세트(32)(32A, 32B, …, 32F)가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이 지폐 카세트(32)는, 각각 롤러와 절환기를 갖는 간단한 구성의 지엽 조출 수단으로서의 반송 기구(3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반송 기구(31)는, 지엽 조출 수단으로서 뿐만 아니라, 지엽 조입 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지폐 카세트(32)에는, 각각 불량 지엽 회수 수단으로서의 리젝트부(33)가 내장되어 있다. 이 리젝트부(33)의 상부에는, 수수 반송로(21')로부터 반송로 절환기(25)를 통하여 불량 지폐를 리젝트부(33)로 회수하는 롤러쌍으로 이루어지는 간단한 회수 기구(34)가 배치되어 있다.
도 6은, 지엽 취급 장치(10)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에서, 본체 제어부(36)는, 내장하는 기억 장치로서 ROM(Read Only Memory)(37), RAM(Random Access Memory)(38)을 구비하고, 외부 기억 장치로서 HD(Hard Disk)(39), FD(Flexible Disk)(4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외부 기억 장치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CD(Compact Disk), USB 메모리(Universal Serial Bus) 등을 이용하여도 된다.
ROM(37)에는,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RAM(38)에는, 본체 제어부(36) 등에서 연산되는 도중 경과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HD(39)에는, 장기 보관용의 데이터가 저장되고, FD(40)에는 필요 최저한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FD(40)는, 필요에 따라서 은행원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취출되어 사용된다.
상기의 도중 데이터에는, 지폐 반송부(20)의 주반송로(21) 및 수수 반송로(21')에 의해 지폐가 반송될 때마다 그 반송 경과가 기록되고, 장기 보관용 데이터, 필요 최저한 데이터 중 어느 것에도 지폐 카세트(32)마다의 지폐의 초기 수용 매수, 고객으로부터 입금 시의 추가 수용 매수 합계, 고객에의 출금 시의 조출 매수의 합계와 불량 지엽의 회수 매수의 합계가 기억(저장, 기록)되어 있다.
또한, 본체 제어부(36)에는, 카드 이미지 리더 프린터부(41), 통장 프린터부(42), 고객 조작 제어부(43), 반송 제어부(44)가 접속되어 있다. 카드 이미지 리더 프린터부(41)는, 카드 리더부(45), 카드 엠보싱 판독부(46), 저널 레시트의 프린터부(4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고객 조작 제어부(43)는, 고객 조작부(12)의 표시 화면을 구성하는 컬러 디스플레이(48)와 터치 패널(49)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반송 제어부(44)는, 주반송로(21) 및 수수 반송로(21')의 반송을 제어하는 주반송로부(50)와, 지폐 수납체 수용부(30)의 각 지폐 카세트(32)의 지폐의 조출과 조입을 제어하는 카세트부(51)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제어부(36)에는, 외부로부터 전원(52)이 접속되어 있고, 이 본체 제어부(36)는, 전원(52)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동작하고, ROM(37)으로부터 읽어낸 프로그램에 따라, 고객으로부터의 지시 입력에 따라서,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처리를 행한다.
도 7은, 반송 제어부(44)의 구체적 구성을 상세히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에서, 반송 제어부(44)는, 마이크로컴퓨터(MPU)(54)를 구비하고, 각 부를 제어함과 함께, 도 6에 도시한 본체 제어부(36)와 교신하면서, 고객과의 거래를 실행한다.
반송 모터부(55)는, 지폐를 반송하는 도 5의 화살표 a, b, …, z로 나타낸 반송로의 반송 벨트를 동작시키는 반송 모터를 구동 제어하는 것이다.
게이트 마그네트부(56)는,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 벨트로 구성되는 반송로가 2갈래 이상으로 분기된 부분에서 지폐의 반송 방향을 절환하는 복수의 반송로 절환기(25, 26)를 구동하는 복수의 게이트용 마그네트의 절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주반송로(21) 및 지폐 수납체 수용부(30) 내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분기부가 있고, 각 분기부마다 게이트용 마그네트가 사용되고 있다.
펄스 모터부(57)는, 지폐 투입 취출부(13), 일시 보류부(27), 각 지폐 카세트(32)에 적재된 지폐를 1매씩 조출하기 위한 롤러를 회전시키는 펄스 모터의 회전을 구동 제어하는 것이다.
DC 모터부(58)는, 지폐 투입 취출부(13) 및 경화 투입 취출부(14)의 셔터를 개폐하는 DC 모터의 회전을 구동 제어하는 것이다.
센서 출력 검출부(28)는, 주반송로(21)에 설치된 지폐 통과 검출 센서(23)나 지폐 투입 취출부(13)에 설치된 지폐 유무 검지 센서(24)의 출력을 검지하여, 지폐의 통과나 유무를 검출한다.
이들의 센서(23, 24)는, 광학식 센서이며,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구비하고, 발광 소자는 상시 또는 적시 발광하고, 수광 소자는 발광 소자가 발광한 광을 수광한다. 이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 사이를 지폐가 통과하고 또는 적재되어 차단한다.
이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간의 지폐의 유무에 따라, 수광 소자가 수광하는 수광량이 변화된다. 이 수광량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전기 신호의 강약으로 출력하고, 이 전기 신호에 의해, 지폐의 유무(통과 중, 잔존 중)를 검출하는 것이다.
감별부(29)는, 지폐의 진위, 파손 상황, 오염 상황, 접혀진 상황, 금종, 표리 등, 지폐의 상황을 광학적, 자기적으로 감별하는 것이다. 광학적으로는, 광학 라인 센서, 자기적으로는 자기 라인 센서가 사용된다.
다음으로, 도 8~도 15에 기초하여,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인 지엽 수납체 수용부(30)의 인출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지엽 취급 장치(10)를 인출 방향의 전면에서 본 도면, 도 9는, 지폐 반송부(20)와 지엽 수납체 수용부(30)와의 배치 간격이 넓어지면서 잼 지폐가 롤러쌍(18A, 18B)과 롤러쌍(19A, 19B) 사이로부터 빠져 나오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지엽 취급 장치(10)의 단면 측면도, 도 11은, 그 XI-XI 방향의 단면도, 도 12는, 퇴피 기구(60)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3은, 비스듬히 하방으로 퇴피한 지폐 수납체 수용부(30)를, 더 수평 방향으로 인출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를 인출하였을 때의 플로팅 기구(70)의 단면도, 도 15는,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를 장착하였을 때의 플로팅 기구(70)의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는 복수의 지폐 카세트(32)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케이스이며, 예를 들면 카세트 홀더가 해당한다.
또한, 도 5와 도 10 등에서는, 수용된 지폐 카세트(32)의 수가 다르지만, 실질적인 변경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엽 취급 장치(10)는, 투입 또는 방출되는 지폐를 반송하는 지폐 반송부(20)와, 그 지폐 반송부(20)의 하방에 근접하여 대향 배치되어 지폐 반송부(20)(수수 반송로(21'))와의 사이에서 수수된 지폐를 수납하는 복수의 지폐 카세트(32)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복수의 지폐 카세트(32)는, 지엽 수납체 수용부(30)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지폐 반송부(20)는, 본체 프레임(74)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는, 퇴피 기구(60)에 의해 하방으로 퇴피 이동 가능함과 함께, 플로팅 기구(70)를 통하여 본체 프레임(74)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들 퇴피 기구(60)와 플로팅 기구(7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여기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를 지폐 반송부(20)(수수 반송로(21'))에 대해 비스듬히 하방(B 방향)으로 퇴피 이동시킴으로써, 지폐 반송부(20)와 지엽 수납체 수용부(3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면서 양자간에 간극 C가 생긴다. 이렇게 하여, 잼 지폐는, 롤러쌍(18A, 18B)과 롤러쌍(19A, 19B)의 한쪽으로부터 빠져, 양자간에 끼워지는 것이 해소된다. 즉, 어느 한쪽의 롤러쌍에만 끼워진 상태로 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엽 취급 장치(10)는,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를 지폐 반송부(20)에 대해 비스듬히 하방(B 방향)으로 소정량 퇴피 이동시키는 퇴피 기구(60)와, 이 비스듬히 하방으로 퇴피 이동한 지폐 수납체 수용부(30)를, 그 상방 이동을 허용한 채로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섭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플로팅 기구(70)를 구비하고 있다.
퇴피 기구(60)는, 지폐 수납체 수용부(30)의 저부에 부착된 전방 롤러(62) 및 후방 롤러(64)와, 이들 전방 롤러(62) 및 후방 롤러(64)에 대향하여 바닥면에 배치된 전방 테이퍼 레일(63) 및 후방 테이퍼 레일(65)을 갖고 있다. 또한, 전방 테이퍼 레일(63) 및 후방 테이퍼 레일(65)은, 인출 방향(D 방향)의 전방부가 낮고 후방부가 높게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있다.
이 전방 롤러(62) 및 전방 테이퍼 레일(63)과, 후방 롤러(64) 및 후방 테이퍼 레일(65)은, 지폐 수납체 수용부(30)의 인출 방향의 전후에 소정 간격으로 또한 인출 방향과 직교 방향의 좌우측에 쌍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ㆍ후방 롤러(62, 64)의 직경은 동등하고, 또한, 전ㆍ후 테이퍼 레일(63, 65)의 경사각도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단, 이 직경이나 경사 각도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지폐 수납체 수용부(30)는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폐 반송부(20)와 괴리하는 방향으로 평행 이동한다.
이 퇴피 기구(60)에 의해,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를 지엽 반송부(20)에 대해 비스듬히 하방(도 10의 B 방향)으로 소정량(예를 들면 6㎜) 퇴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를 비스듬히 하방으로 퇴피 이동시키고 있는 것은, 복수의 지폐 카세트(32)를 수용하고 있는 지폐 수납체 수용부(30)가 무거운 물체이기 때문에, 바로 아래에 낙하시키면 충격을 수반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폐 수납체 수용부(30)를 비스듬히 하방으로 퇴피 이동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지폐 반송부(20)에 대해 지폐 수납체 수용부(30)를 활차 방식에 의해 바로 아래로 퇴피 이동시켜도 된다. 단, 이 경우에서도, 무거운 물체인 지엽 수납체 수용부(30)의 낙하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천천히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를 비스듬히 하방으로 퇴피 이동시킨 후, 이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를 수평 방향(D 방향)으로 인출할 때에, 후방 롤러(64)가 전방 테이퍼 레일(63)과 충돌하지 않도록, 전방 롤러(62, 62)의 좌우 폭 W1과 후방 롤러(64, 64)의 좌우 폭 W2를 바꿔서 배치하고 있다. 이것은, 지폐 수납체 수용부(30)를 D 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에, 후방 롤러(64, 64)가 전방 테이퍼 레일(63)에 부딪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 12는, 퇴피 기구(60)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0 등과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를 비스듬히 하방으로 퇴피시키고 나서 수평 방향으로 인출할 때에, 후방 롤러(64)가 전방 테이퍼 레일(63)과 충돌하지 않도록, 전방 롤러(62)와 후방 롤러(64)의 상하 방향(높이 방향)의 부착 위치를 바꾸고 있다.
즉, 도 12에서,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는, 후방 롤러(64)의 하단면이 높이 H만큼 하방으로 퇴피한 위치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인출된다. 그러나, 이 실시 형태에서는, 후방 롤러(64)의 높이 위치를 바꾸고 있으므로, 이 높이 위치 H로부터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를 수평 방향으로 인출하여도, 후방 롤러(64)가 전방 테이퍼 레일(63)과 충돌하는 일은 없다.
다음으로, 플로팅 기구(7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엽 수납체 수용부(30)의 측면에는, 본체 프레임(74)(도 8 참조)에 고정된 가이드 부재로서의 가이드 레일(71)이 수평 방향(D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레일(71)에,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를 지지하는 슬라이드 부재로서의 슬라이드 레일(72)이 감합되어 있다.
플로팅 기구(70)는, 이 가이드 레일(71)과, 그 가이드 레일(71)에 섭동 가능하게 감합되고 완화 기구(73)를 통하여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를 지지하는 슬라이드 레일(72)을 갖고 있다.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는, 이 완화 기구(73)에 의해 슬라이드 레일(72)에 부양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는, 상방을 향하여 어떠한 부세력이 작용하면, 완화 기구(73)에 의해 상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지만, 하방으로는 이동할 수 없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이 상태를 부양 가능하게로 표현하였다.
이렇게 하여,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는, 우선 비스듬히 하방(B 방향)으로 소정량 퇴피 이동되고, 또한 가이드 레일(71)을 따라서 수평 방향(화살표 D 방향)으로 인출된다. 이 인출 시에는,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는 슬라이드 레일(72)에 지지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화살표 D 방향)으로 인출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71)은, 단면 コ자 형상을 이루고, 본체 프레임(74)에 볼트(75)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를 지지하는 슬라이드 레일(72)은, L 금구(76)에 볼트(77)로 고정되어 있다. 이 L 금구(76)에는, 상하로 연장되는 가이드 핀(78)이 꽂아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폐 수납체 수용부(30)에 고정된 안내 금구(79)에는, 이 가이드 핀(78)을 섭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 홈(8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L 금구(76)에 가이드 핀(78)을 꽂아 설치하고, 안내 금구(79)에 안내 홈(80)을 형성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 않는다. 예를 들면, 안내 금구(79)에 가이드 핀(78)을 꽂아 설치하고, L 금구(76)에 안내 홈(80)을 형성하여도 된다.
완화 기구(73)는, 이 가이드 핀(78)과 안내 홈(80)을 갖고 있다. 이 완화 기구(73)에 의해,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는 상하로 부양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는, 안내 금구(79)가 가이드 핀(78)을 따라서 상하로 섭동함으로써, 안내 금구(79)와 일체로 상하 이동한다.
이상에서, 본체 프레임(74)으로부터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를 인출할 때에는, 우선, 퇴피 기구(60)를 이용하여 지폐 수납체 수용부(30)를 비스듬히 하방(도 13의 B 방향)으로 퇴피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를 슬라이드 레일(72)을 통하여 가이드 레일(71)을 따라 수평 방향(도 13의 D 방향)으로 인출한다.
이 경우,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는, 슬라이드 레일(72)을 통하여 가이드 레일(71)에 지지된 상태에서 공중에 현수 지지된 상태로 인출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하방의 바닥면이 한층 낮은 단차(81)(도 13 참조)를 갖는 경우라도,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는 충돌하거나 하지 않고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작업원은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를 인출하여 잼 지폐를 제거할 수 있다. 이 잼 처리 후,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를 본체 프레임(74)에 다시 장착한다. 이 경우,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를, 슬라이드 레일(72)을 통하여 가이드 레일(71)을 따라, 인출 시와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삽입한다.
이윽고, 삽입한 지폐 수납체 수용부(30)가 퇴피 기구(60) 전방 테이퍼 레일(63) 및 후방 테이퍼 레일(65)의 전단에 도달하면, 또한 지폐 수납체 수용부(30)를 경사면을 따라서 비스듬히 상방으로 밀어 올리도록 한다.
이 때, 지폐 수납체 수용부(30)를 인출할 때에는, 이를 비스듬히 하방으로 퇴피 이동시킨 분만큼, 들어 올려야만 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슬라이드 레일(72)에 대해, 지폐 수납체 수용부(30)의 상방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완화 기구(73)를 설치한 것이다.
즉,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 수납체 수용부(30)를 퇴피 기구(60)의 경사면을 따라서 밀어 올릴 때, 지폐 수납체 수용부(30)와 일체의 안내 금구(79)가, 가이드 핀(78)을 따라서 상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 경우도, 슬라이드 레일(72)과 가이드 레일(71)은, 감합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지폐 수납체 수용부(30)는, 전방 테이퍼 레일(63) 및 후방 테이퍼 레일(65)의 경사면을 따라서 상방 이동해 간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 반송부(20)와 지폐 수납체 수용부(30) 사이에는, 지폐 반송부(20)와 지폐 수납체 수용부(30)와의 위치 관계를 로크 또는 해제하는 로크 수단으로서의 로크 핀(61)이 출몰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따라서, 지폐 수납체 수용부(30)가 지폐 반송부(20)의 하방에 근접하여 대향 배치된 시점에서, 예를 들면 지폐 반송부(20)에 설치된 로크 핀(61)을 지폐 수납체 수용부(30) 측으로 돌출시키고, 지폐 수납체 수용부(30)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이것으로 지엽 수납체 수용부(30)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 지엽 수납체 수용부(30)의 장착 완료 상태가, 도 15의 상태이다.
또한, 이 로크 핀(61)은, 예를 들면 도시되지 않은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해 출몰 가능하게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퇴피 기구(60)와 플로팅 기구(70)를 이용하여,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를 비스듬히 하방으로 퇴피 이동시킨 후, 또한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인출할 수 있으므로, 좁은 작업 스페이스에서도 잼 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의 지엽 취급 장치(10)의 기본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우선, 입금 거래 시에는, 고객에 의해 고객 조작부에서 입금 거래가 선택되면, 카드 삽입 취출구(15)에 카드가 삽입되고, 그 삽입된 카드의 정당성이 확인된 후, 지폐 투입 취출부(13)에의 지폐의 입금이 가능하게 된다.
이 입금에서는, 지폐 투입 취출부(13)의 셔터가 개방되어(도 1은 셔터가 닫혀 있을 때의 상태), 고객에 의한 지폐 투입 취출부(13)에의 지폐의 투입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고객이 지폐 투입 취출부(13)에 지폐를 투입하고, 투입이 종료된 것을, 고객 조작부(12)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소정의 버튼을 터치 조작하여 본체 제어부(36)에 통지하면, 셔터가 폐쇄된다.
계속해서, 지금 지폐 투입 취출부(13)에 투입된 지폐가, 화살표 a, h, b, c로 나타내는 순서대로 반송로로 반송되어 감별부(29)에 반입된다. 지폐는, 감별부(29)를 통과하면서 감별된다. 즉, 지폐의 진위, 파손 상황, 오염 상황, 접혀진 상황, 금종, 표리 등, 지폐의 상태에 대한 감별이 행해진다.
감별 결과에 이상이 없는 지폐는, 화살표 d, e로 나타내는 순서로 반송로로 반송되어 일단 1차 보류부(27)에 적재된다. 그리고, 감별 처리가 종료되고, 1매라도 감별 결과에 이상이 있으면, 1차 보류부(27)로부터, 화살표 f, h, b, c, d, w로 나타내는 순서로 반송로로 반송되어, 투입 지폐 전액이 지폐 투입 취출부(13)로 반환된다. 또한, 이 때, 지폐는 감별부(29)를 통과하지 않고 지폐 투입 취출부(13)까지 반송된다.
또한, 감별 처리가 종료되고, 1매도 감별 결과에 이상이 없으면, 1차 보류부(27)로부터, 화살표 f, h, b로 나타내는 순서대로 반송로로 반송된다. 여기서, 반송 중인 지폐가, 5000엔 또는 2000엔의 지폐일 때는, 차회 고객에게 불출하는 리사이클 지폐로서는 사용할 수 없는 리사이클 부적격권이므로, 예를 들면 5000엔 지폐의 경우는 화살표 n의 반송로로부터 부적격권 수납부(22A)에 수납된다.
또한, 예를 들면 2000엔 지폐의 경우이면, 화살표 n, o로 나타내는 반송로를 통하여 부적격권 수납부(22B)에 수납된다.
또한, 부적격권 수납부(22A, 22B)에 수납되는 지폐를 2000엔권, 5000엔권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10000엔권을 수납하는 것도 가능하며, 운용에 맞춰서 적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화살표 f, h, b로 나타내는 반송로로 반송 중인 지폐가, 가장 많이 거래되는 10000엔 지폐의 경우는, 차회 고객에게 불출하는 리사이클 지폐로서 사용할 수 있는 지폐이므로, 화살표 c, d, i, j로 나타내는 반송로를 거쳐서 지폐 카세트(32A)에 조입되어 적재된다.
또한, 지폐 카세트(32A)가, 본체 제어부(36)에 의한 지폐 출입의 연산에 의해, 지폐가 가득찬 것이 판명되어 있을 때는, 화살표 k로 나타내는 반송로 상으로 반송되어, 인접하는 지폐 카세트(32B)에 조입되어 적재된다.
또한, 일례로서, 지폐 카세트(32A), 지폐 카세트(32B)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운용에 맞춰서 지폐 카세트(32)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폐 카세트(32A) 및 지폐 카세트(32B)를 10000엔 지폐의 적재용으로 하고, 지폐 카세트(32C) 및 지폐 카세트(32D)를 1000엔 지폐의 적재용으로 하고, 지폐 카세트(32E) 및 지폐 카세트(32F)는, 장치의 후방으로부터 출입이 간편한 예비용 지폐 카세트로 하고 있다.
예비용 지폐 카세트에의 조입 적재는, 화살표 n, o, p, s로 나타내는 반송로를 거쳐서 지폐 카세트(32F)에, 또는 화살표 n, o, p, t로 나타내는 반송로를 거쳐서 인접하는 지폐 카세트(32E)에 조입되어 적재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수수 반송로(21')와 지폐 카세트(32) 사이의 지폐의 수수에서, 잼이 발생한 경우, 알람이 작동된다. 이 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수 반송로(21')의 롤러쌍(18A, 18B)과 지폐 카세트(32)의 롤러쌍(19A, 19B)에 걸쳐서 지폐가 물린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지폐 카세트(32)를 수평 방향으로 인출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도 10에서, 오퍼레이터는, 우선 로크 핀(61)을 해제하고,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를 지폐 반송부(20)에 대해 퇴피 기구(60)를 이용하여 비스듬히 하방(도 10의 B 방향)으로 퇴피 이동시킨다.
이 지엽 수납체 수용부(30)의 비스듬히 하방 이동에 의해, 지폐 반송부(20)와 지엽 수납체 수용부(30)(지폐 카세트(32))에 걸쳐 물린 잼 지폐는 이탈된다. 다음으로,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를, 슬라이드 레일(72)을 통하여 가이드 레일(71)을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인출한다. 이렇게 하여, 잼이 발생한 지폐를 빼낼 수 있다.
그 후, 지엽 수납체 수용부(30)를 플로팅 기구(70)를 이용하여 역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원래의 위치로 복귀 장착한다.
또한, 출금 거래 시에는, 고객에 의해 고객 조작부(12)에서 출금 거래가 선택되면, 카드 삽입 취출구(15)에 카드가 삽입되고, 또한 고객 조작부(12)의 표면 화면으로부터 암증 번호가 입력되고, 카드 및 암증 번호의 정당성이 확인되면, 고객에 의해 지정된 금액의 지폐가, 복수의 지폐 카세트(32) 중 어느 하나의 지폐 카세트(32)로부터 지폐 투입 취출부(13)로 불출된다.
10 : 지엽 취급 장치
12 : 고객 조작부
13 : 지폐 투입 취출부
14 : 경화 투입 취출부
15 : 카드 삽입 취출구
16 : 통장 삽입 취출구
18A, 18B : 롤러쌍
19A, 19B : 롤러쌍
20 : 지폐 반송부
21 : 주반송로
21' : 수수 반송로
22 : 부적격권 수납부
23 : 지폐 통과 검지 센서
24 : 지폐 유무 검지 센서
25 : 반송로 절환기
26 : 반송로 절환기
27 : 1차 보류부
28 : 센서 출력 검출부
29 : 감별부
30 : 지엽 수납체 수용부
31 : 반송 기구
32 : 지폐 카세트
33 : 리젝트부
34 : 회수 기구
36 : 본체 제어부
37 : ROM
38 : RAM
39 : HD
40 : FD
41 : 카드 리더 이미지 프린터부
42 : 통장 프린터부
43 : 고객 조작 제어부
44 : 반송 제어부
45 : 카드 리더부
46 : 카드 엠보싱 판독부
47 : 프린터부
48 : 컬러 디스플레이
49 : 터치 패널
50 : 주반송로부
51 : 카세트부
52 : 전원
54 : MPU
55 : 반송 모터부
56 : 게이트 마그네트부
57 : 펄스 모터부
58 : DC 모터부
60 : 퇴피 기구
61 : 로크 핀
62 : 전방 롤러
63 : 전방 테이퍼 레일
64 : 후방 롤러
65 : 후방 테이퍼 레일
70 : 플로팅 기구
71 : 가이드 레일
72 : 슬라이드 레일
73 : 완화 기구
74 : 본체 프레임
75 : 볼트
76 : L 금구
77 : 볼트
78 : 가이드 핀
79 : 안내 금구
80 : 안내 홈
81 : 단차
12 : 고객 조작부
13 : 지폐 투입 취출부
14 : 경화 투입 취출부
15 : 카드 삽입 취출구
16 : 통장 삽입 취출구
18A, 18B : 롤러쌍
19A, 19B : 롤러쌍
20 : 지폐 반송부
21 : 주반송로
21' : 수수 반송로
22 : 부적격권 수납부
23 : 지폐 통과 검지 센서
24 : 지폐 유무 검지 센서
25 : 반송로 절환기
26 : 반송로 절환기
27 : 1차 보류부
28 : 센서 출력 검출부
29 : 감별부
30 : 지엽 수납체 수용부
31 : 반송 기구
32 : 지폐 카세트
33 : 리젝트부
34 : 회수 기구
36 : 본체 제어부
37 : ROM
38 : RAM
39 : HD
40 : FD
41 : 카드 리더 이미지 프린터부
42 : 통장 프린터부
43 : 고객 조작 제어부
44 : 반송 제어부
45 : 카드 리더부
46 : 카드 엠보싱 판독부
47 : 프린터부
48 : 컬러 디스플레이
49 : 터치 패널
50 : 주반송로부
51 : 카세트부
52 : 전원
54 : MPU
55 : 반송 모터부
56 : 게이트 마그네트부
57 : 펄스 모터부
58 : DC 모터부
60 : 퇴피 기구
61 : 로크 핀
62 : 전방 롤러
63 : 전방 테이퍼 레일
64 : 후방 롤러
65 : 후방 테이퍼 레일
70 : 플로팅 기구
71 : 가이드 레일
72 : 슬라이드 레일
73 : 완화 기구
74 : 본체 프레임
75 : 볼트
76 : L 금구
77 : 볼트
78 : 가이드 핀
79 : 안내 금구
80 : 안내 홈
81 : 단차
Claims (4)
- 투입 또는 방출되는 지엽을 반송하는 지엽 반송부와, 그 지엽 반송부의 하방에 근접하여 대향 배치되고 상기 지엽 반송부와의 사이에서 수수된 지엽을 수납하는 복수의 지엽 수납체를 구비한 지엽 취급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지엽 수납체를 수용하는 지엽 수납체 수용부와,
상기 지엽 수납체 수용부를 상기 지엽 반송부에 대해 소정량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와,
상기 이동한 상기 지엽 수납체 수용부를 그 상방 이동을 허용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플로팅 기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취급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기구는,
장치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가이드 부재와, 그 가이드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합되고 상기 지엽 수납체 수용부를 지지 기구를 통하여 부양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취급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지엽 수납체 수용부의 한쪽에 형성된 안내 홈과, 그 안내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합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지엽 수납체 수용부의 다른 쪽에 형성된 가이드 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취급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 반송부와 상기 지엽 수납체 수용부와의 사이에 출몰 가능하게 배설되고, 상기 지엽 반송부와 상기 지엽 수납체 수용부와의 위치 관계를 로크 또는 해제하는 로크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취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9-200414 | 2009-08-31 | ||
JP2009200414A JP5280976B2 (ja) | 2009-08-31 | 2009-08-31 | 紙葉取扱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3715A KR20110023715A (ko) | 2011-03-08 |
KR101157741B1 true KR101157741B1 (ko) | 2012-06-25 |
Family
ID=43809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32161A KR101157741B1 (ko) | 2009-08-31 | 2010-04-08 | 지엽 취급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5280976B2 (ko) |
KR (1) | KR101157741B1 (ko) |
CN (1) | CN102001531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456529B (zh) * | 2011-07-26 | 2014-10-11 | 日立歐姆龍金融系統有限公司 | 紙片類處理裝置 |
WO2013061379A1 (ja) * | 2011-10-28 | 2013-05-02 |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紙葉類処理装置 |
BR112014001696B1 (pt) | 2011-07-26 | 2021-03-16 | Hitachi-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 dispositivo de processamento de folha de papel |
JP5500146B2 (ja) * | 2011-09-14 | 2014-05-21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媒体取引装置 |
JP5527347B2 (ja) * | 2012-03-26 | 2014-06-18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紙葉類収納庫及び紙葉類取扱装置 |
CN104036583A (zh) * | 2014-05-23 | 2014-09-10 |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 一种现金交易装置 |
CN104008601A (zh) * | 2014-05-23 | 2014-08-27 |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 一种现金交易装置 |
WO2016204463A1 (ko) * | 2015-06-19 | 2016-12-22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연결반송로를 구비한 매체처리장치 |
CN105160762A (zh) * | 2015-10-08 | 2015-12-16 |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 纸币处理装置 |
JP7022565B2 (ja) * | 2017-11-01 | 2022-02-18 | シャープ株式会社 | シート収容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CN111587451A (zh) * | 2018-01-30 | 2020-08-25 | 富士通先端科技株式会社 | 纸张存放装置和纸张存放装置的控制方法 |
CN111868794B (zh) * | 2018-03-20 | 2022-05-13 | 富士通先端科技株式会社 | 纸张处理设备 |
JP7275479B2 (ja) * | 2018-05-22 | 2023-05-18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取引装置 |
JP6615263B2 (ja) * | 2018-05-28 | 2019-12-04 | グローリー株式会社 | 貨幣処理装置 |
TWI709113B (zh) * | 2019-06-25 | 2020-11-01 | 鴻發國際科技股份有限公司 | 紙頁處理設備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24937A (ko) * | 2005-06-01 | 2006-12-06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프레임 |
KR20060130409A (ko) * | 2005-06-14 | 2006-12-19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지폐카세트와 반송로 사이의 간극유지장치 |
KR20070028058A (ko) * | 2005-09-07 | 2007-03-12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지폐저장부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47417Y2 (ko) * | 1979-11-29 | 1989-02-28 | ||
JPS5864586A (ja) * | 1981-10-15 | 1983-04-16 | ロ−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 自動入出金機 |
JPS6159590A (ja) * | 1984-08-30 | 1986-03-27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現金収納スタツカ用キヤリア |
JP3352271B2 (ja) * | 1995-02-28 | 2002-12-03 | 株式会社リコー | 給紙装置 |
JPH11250312A (ja) * | 1998-02-27 | 1999-09-17 | Toshiba Corp | 小束処理装置および小束処理装置の小束収納庫 |
JPH11328479A (ja) * | 1998-05-19 | 1999-11-30 | Laurel Bank Mach Co Ltd | 紙幣処理機 |
JP2000287767A (ja) * | 1999-04-01 | 2000-10-17 | Zenji Tsuchikawa | 昇降ボックスを備えた家具 |
JP4346475B2 (ja) * | 2004-03-02 | 2009-10-21 |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紙葉類処理装置 |
JP4413111B2 (ja) * | 2004-09-17 | 2010-02-10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媒体カセット |
JP4464336B2 (ja) * | 2005-08-30 | 2010-05-19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シート給送ユニット、シートカセット、シート給送装置、画像形成装置 |
-
2009
- 2009-08-31 JP JP2009200414A patent/JP5280976B2/ja active Active
-
2010
- 2010-04-08 KR KR1020100032161A patent/KR10115774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4-16 CN CN201010162643.8A patent/CN102001531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24937A (ko) * | 2005-06-01 | 2006-12-06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프레임 |
KR20060130409A (ko) * | 2005-06-14 | 2006-12-19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지폐카세트와 반송로 사이의 간극유지장치 |
KR20070028058A (ko) * | 2005-09-07 | 2007-03-12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지폐저장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001531B (zh) | 2014-01-29 |
JP2011053802A (ja) | 2011-03-17 |
JP5280976B2 (ja) | 2013-09-04 |
KR20110023715A (ko) | 2011-03-08 |
CN102001531A (zh) | 2011-04-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57741B1 (ko) | 지엽 취급 장치 | |
KR101066750B1 (ko) | 지폐처리기 | |
JP4654268B2 (ja) | 紙幣入出金装置 | |
JP5795990B2 (ja) |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 |
JP6483281B2 (ja) | 自動取引装置 | |
JP5500190B2 (ja) | 媒体取引装置 | |
KR101165517B1 (ko) | 지엽 취급 장치 | |
JP5553134B2 (ja) | 媒体取引装置 | |
WO2014155645A1 (ja) |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 |
JP6051060B2 (ja) | 紙幣取扱装置 | |
WO2014155644A1 (ja) |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 |
JP5789562B2 (ja) |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 |
KR101280658B1 (ko) | 매체보관함 및 금융기기 | |
JP5487278B2 (ja) | 紙幣入出金装置 | |
JP2018097634A (ja) | 媒体収納庫及び媒体取引装置 | |
JP4838998B2 (ja) | 紙幣入出金機 | |
JP2864481B2 (ja) | 現金管理システム | |
JP4750308B2 (ja) | 自動取引装置 | |
JP5121909B2 (ja) | 現金自動取引装置 | |
JP3394319B2 (ja) | 現金自動補充回収システム | |
JP2615197B2 (ja) | 現金入出金装置 | |
JP3754620B2 (ja) | 紙葉取扱装置 | |
JP6584630B2 (ja) | 紙葉類取扱装置 | |
JP2968322B2 (ja) | 現金入出金装置 | |
KR101799200B1 (ko) | 매체 가이드장치와 매체 보관장치 및 금융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