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463090B1 - 프로필렌-1-부텐공중합체 - Google Patents

프로필렌-1-부텐공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3090B1
KR100463090B1 KR1019970060159A KR19970060159A KR100463090B1 KR 100463090 B1 KR100463090 B1 KR 100463090B1 KR 1019970060159 A KR1019970060159 A KR 1019970060159A KR 19970060159 A KR19970060159 A KR 19970060159A KR 100463090 B1 KR100463090 B1 KR 100463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enoxy
propylene
titanium dichloride
butyl
butene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0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2450A (ko
Inventor
히데따께 호즈미
야스히또 이지찌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42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0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2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210/08But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60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together with refractory metals, iron group metals, platinum group metals, manganese, rhenium technet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2Refractor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Titanium, zirconium, hafn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59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 C08F4/65908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in combination with an ionising compound other than alumoxane, e.g. (C6F5)4B-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60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together with refractory metals, iron group metals, platinum group metals, manganese, rhenium technet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2Refractor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Titanium, zirconium, hafn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59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 C08F4/6592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containing at least one cyclopentadienyl ring, condensed or not, e.g. an indenyl or a fluorenyl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2Copolymers of propene at least partially crystalline copolymers of propene with other 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60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together with refractory metals, iron group metals, platinum group metals, manganese, rhenium technet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2Refractor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Titanium, zirconium, hafn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59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 C08F4/65912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in combination with an organoaluminium compou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STM D2240 에 준거하여 측정한 쇼아-A 경도가 70 이하이고, 또한 온도 70 ℃ 에 있어서의 크실렌 용매에 의한 극한 점도 [η] 가 0.3 이상인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이 공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와 혼합한 경우, 유연성, 인장신율 특성, 내상부성 및 투명성이 뛰어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본 발명은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및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와 혼합한 경우에, 유연성, 인장신율 특성, 내상부성(耐傷付性) 및 투명성이 뛰어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부여하는 신규한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및 이 프로필렌 1-부텐 공중합체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는 투명성, 표면비점착성, 인장특성 등이 뛰어난 연질 혹은 반경질수지재로서 필름, 시트 등의 용융성형물 용도에 사용된다. 또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에 혼합되고 예를 들면 열밀봉성, 내충격성의 개량 용도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미국 특허 제 2918457 호 공보에는 삼염화티탄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는 경도가 높기 때문에 폴리프로필렌의 개질용도로서 사용한 경우, 열밀봉성 및 내충격성의 개량이라고 하는 효과는 발휘되나, 유연성, 인장신율 특성 및 내상부성은 개량되지 않는다. 또 저분자량 성분을 함유하기 때문에, 성형품의 표면에 점착성이 남는다는 문제도 있었다.
일본국 특개소 53-79984 호 공보, 특개소 54-85293 공보, 특개소 60-38414 공보, 특개소 62-119212 호 공보, 특개소 62-119213 호 공보에는 저분자량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및 그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다. 이것들의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는 경도가 높기 때문에, 폴리프로필렌의 개질 용도로서 사용한 경우, 성형품의 표면점착성이 억제되고, 열밀봉성 및 내충격성은 개량되나 유연성, 인장신율 특성 및 내상부성은 개량되지 않는다.
또 특개소 50-38787 호 공보에는 삼염화티탄 촉매를 140 ℃ ∼ 250 ℃ 에서 사용함으로써, 무정형의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가 수득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공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의 개질 용도로서 사용한 경우, 유연성, 인장신율 특성, 내상부성 및 투명성은 인정되나 조성분포 유래의 미결정을 함유하기 때문에 그 효과는 충분치는 않고, 목적으로 하는 성능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다량의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를 배합제로서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와 같은 배합을 한 경우, 유연성, 인장신율 특성, 내상부성 및 투명성의 개질은 달성되나, 폴리프로필렌이 갖는 강도나 내열성이 저하하여 반드시 균형이 잡힌 재료로는 될 수 없다. 또 분자량 분포가 넓고, 저 분자량 성분 유래의 점착성이 성형품에 잔존하는 문제가 있었다.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열가소성수지 조성물로서는 결정성이 있는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특개평 8-12719 에 개시되어 있다. 또 결정화도가 10 ∼ 30% 인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계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이 특공평 7-42367 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들의 결정성이 있는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는 경도가 높아 이것들을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는 유연성 부여효과는 볼 수 없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가 없는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에 관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특정의 경도 및 분자량을 갖는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를 배합제에 사용한 폴리올레핀 재료로 유연성, 인장신율특성, 내상부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재료가 수득된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ASTM D2240 에 준거하여 측정한 쇼아-A 경도가 70 이하이고, 또한 온도 70 ℃ 에 있어서의 크실렌 용매에 의한 극한 점도 [η] 가 0.3 이상인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3 ∼ 95 중량 %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97 ∼ 5 중량 % 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는 ASTM D2240 에 준거하여 측정한 쇼아-A 경도가 70 이하,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다. 이 경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수득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유연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는 온도 70 ℃ 에 있어서의 크실렌 용매에 의한 극한 점도 [η] 가 0.3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이상이다. 이 극한 점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수득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인장신율 특성이 떨어진다.
극한점도 [η] 의 측정은 70 ℃ 크실렌 중에서 우벨로오데 점도계를 사용하여 실시한다. 샘플은 300 mg 을 100 ml 크실렌에 용해시키고, 3 mg/ml 의 용액을 조정한다. 또 이 용액을 1/2, 1/3, 1/5로 희석하고, 각각을 70 ℃ (±0.1℃)의 항온수조 내에서 측정한다. 각각의 농도로 3 회 반복측정하여 얻어진 값을 평균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는 시차주사열량계 (DSC) 로 측정하였을 때의 결정융해피크 및 결정화피크의 어느 하나도 갖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수득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유연성이 떨어진다.
시차주사 열량계 (DSC) 측정은 시차 주사 열량계 (세이코덴시고오교사제 DSC 200C) 를 사용하여, 승온 및 항온 과정의 어느 것이나 10 ℃/분의 속도로 측정을 한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배합제로서 사용한 경우,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의 배합 부수를 콘트롤함으로써, 임의로 유연성을 개량할 수가 있다. 그러나, 수득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강도나 내열성을 유지시키면서 유연성을 개량하기 위해서는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가, 보다 소량의 배합부수로 보다 높은 유연성 개질효과를 발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와 호모폴리프로필렌을 50/50 중량% 로 혼합하여 수득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굽힘탄성율이 2500 kgf/㎠ 이하로 되는 유연성 개질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300 kgf/㎠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 kgf/㎠ 이하로 되는 유연성 개질효과를 나타내는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수득되는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의 강도나 내열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와 호모폴리프로필렌을 임의의 조성으로 혼합한 경우에 호모폴리프로필렌의 굽힘 탄성율 (S) 및 호모폴리프로필렌 첨가 중량부수 % (T) 와 수득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굽힘 탄성율 (U) 이 이하의 관계에 있는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V는 1.1 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0.9, 특히 바람직하게는 0.8 이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수득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강도나 내열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와 호모프로필렌을 임의의 조성으로 혼합한 경우에, 호모폴리프로필렌 첨가 중량부수 % (T) 와 수득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상부성이 이하의 관계에 있는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W≤ Tx Z
W : 홈깊이 측정치 (㎛)
표면측정기 트라이보기어 (신또 가가꾸제) 를 사용하여 500 g 의 하중을 올려놓은 긁는 침으로 시료의 2 mm 두께 프레스시트를 일정속도로 긁음으로써 홈을 냈다. 그 홈의 깊이를 접촉식의 표면조도계 사아프코무 (도꾜 세이미쓰제) 로 ㎛ 오더의 측도로 측정한 값
이 때, Z 는 1.0 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9,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특히 바람직하게는 0.7 이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수득되는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의 강도나 내열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는 겔침투크로마토그래피 (GPC)에 의해서 측정한 분자량 분포 (Mw/Mn) 가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량 분포가 지나치게 넓을 경우에는 이 공중합체를 개질제로서 사용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점착성이 크게 되는 경우가 있다.
분자량 분포는 겔침투 크로마토그래피 (GPC)법, (Waters 사제, 150c/GPC 장치) 에 의해 실시한다. 용출온도는 140 ℃, 사용컬럼은 쇼와뎅꼬사제 Sodex Packed Columm A-80M, 분자량 표준 물질은 폴리스티렌(도쇼사제, 분자량 68-8, 400,000) 을 사용한다. 수득된 폴리스티렌 환산 중량 평균 분자량 (Mw), 수평균 분자량 (Mn), 또 이비 (Mw/Mn) 를 분자량 분포로 한다. 측정 샘플은 약 5 mg 의 중합체를 5 ml 의 o-디클로로벤젠에 용해, 약 1 mg/ml 의 농도로 한다. 수득된 샘플용액의 400 μl 을 주입하고, 용출용매 유속은 1.0m/분으로 하고 굴절율 검출기로 검출한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1-부텐의 함량은 0.5 ∼ 90 몰 %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70 몰 % 이다. 1-부텐이 지나치게 적으면 충분한 개질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고, 한편, 1-부텐이 지나치게 많으면 공중합체의 분자량 저하가 현저하고 이 경우도 충분한 개질 효과, 특히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인장신율 특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는 비등 n-헵탄불용분이 5 중량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중량 % 이하이다. 이 불용분이 지나치게 많으면, 수득된 혼합조성물이 유연성이 떨어지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는 비등아세트산 메틸가용부가 2 중량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가용부가 지나치게 많으면, 이 공중합체를 개질제로 사용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점착성이 크게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는 프로필렌 및/또는 1-부텐측쇄의 배열이 아택틱 (atactic)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필렌 및/또는 1-부텐의 측쇄의 배향이 아택틱 구조라는 것은, 공중합체중의 프로필렌 연쇄의 측쇄의 배향이 아택틱 구조인 경우, 공중합체중의 1-부텐의 연쇄의 측쇄의 배향이 아택틱 구조인 경우, 공중합체중의 프로필렌/1-부텐 복합연쇄의 측쇄의 배향이 아택틱 구조인 경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가 아택틱 구조라는 것은 예컨대 본 발명의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의 중합에 사용한 전이금속 착물을 사용하여 호모폴리프로필렌을 중합한 경우에, 수득된 단독폴리프로필렌이 13CNMR 스펙트럼으로부터 결정할 수 있는 프로필렌 메틸탄소의 mm, mr 및 rr 에 귀속되는 각 시그날의 강도 [mm], [mr] 및 [rr] 를 사용하여 하기 식으로 정의되는 F(1) 값이 40 이상 60 이하, 바람직하게는 43 이상 57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이상 55 이하인 구조인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공중합체에 관해서도 프로필렌 메틸탄소, 1-부텐의 분기 메틸렌탄소, 1-부텐의 분기말단메틸탄소 등의 mm, mr 및 rr 로 귀속되는 각 시그날의 강도를 사용하여 구하여지는 F(1) 에 상당하는 값이 상기 범위에 있는 것으로서, 아택틱 구조인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가 아택틱 구조가 아닌 경우, 그 경도가 높고, 수득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유연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프로필렌 메틸탄소, 1-부텐의 분기 메틸렌탄소, 1-부텐의 분기 말단 메틸탄소 등의 mm, mr, rr 시그날의 귀속은 예컨대, 문헌 [T. Asakura, Macromolecules, 제 24 권 2334 페이지 (1991)] 나, [기이고꾸야서점 발행, 신판 고분자 분석 핸드북 (1995)] 을 참고로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는 시차 주사 열량계 (DSC) 로 측정하였을 때의 결정 융해피크 및 결정화피크의 어느 하나도 갖지 않는 폴리프로필렌을 제조할 수 있는 촉매를 사용하여, 프로필렌과 1-부텐을 중합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촉매로서는 하기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식 중, M1 은 원소의 주기율표의 제 4 족의 전이금속 원자를 나타내고, A는 원소의 주기율표의 제 16 족의 원자를 나타내고, B 는 원소의 주기율표의 제 14 족의 원자를 나타낸다. Cp1 은 시클로펜타디엔형 음이온 골격을 갖는 기이다. X1, X2, R1, R2, R3, R4, R5, R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 20 의 알킬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7 ∼ 20 의 아르알킬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6 ∼ 20 의 아릴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 20의 치환실릴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 20 의 알콕시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7 ∼ 20 의 아르알킬옥시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6 ∼ 20 의 아릴옥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2 ∼ 20의 2 치환아미노기를 나타낸다. R1, R2, R3, R4, R5, R6 은 임의로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화학식 (I) 로 표시되는 전이 금속착물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메틸렌(시클로펜타디에닐)(3,5-디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시클로펜타디에닐)(3-페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디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시클로펜타디에닐)(3-트리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톡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클로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5-디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페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디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트리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톡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클로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5-디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페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디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트리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톡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클로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5-디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페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디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트리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톡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클로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5-디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페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디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트리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톡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클로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플루오레닐)(3,5-디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플루오레닐)(3-t-부틸-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플루오레닐)(3-t-부틸-5-페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플루오레닐)(3-페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플루오레닐)(3-t-부틸디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플루오레닐)(3-트리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플루오레닐)(3-t-부틸-5-메톡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메틸렌(플루오레닐)(3-t-부틸-5-클로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시클로펜타디에닐)(3,5-디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시클로펜타디에닐)(3-페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디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시클로펜타디에닐)(3-트리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톡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클로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5-디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페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디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트리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톡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클로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5-디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린덴(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페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디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트리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톡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클로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5-디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페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틸-2-페녹시)티탄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디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트리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톡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클로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5-디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페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디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트리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톡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클로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플루오레닐)(3,5-디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플루오레닐)(3-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플루오레닐)(3-t-부틸-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플루오레닐)(3-페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플루오레닐)(3-t-부틸디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플루오레닐)(3-트리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플루오레닐)(3-t-부틸-5-메톡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리덴(플루오레닐)(3-t-부틸-5-클로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시클로펜타디에닐)(3,5-디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시클로펜타디에닐)(3-페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디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시클로펜타디에닐)(3-트리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톡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클로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5-디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페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디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트리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톡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클로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5-디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페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디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트리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톡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클로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5-디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페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디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트리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톡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클로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 타디에닐)(3,5-디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트리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페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디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 (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트리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톡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클로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플루오레닐)(3,5-디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플루오레닐)(3-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플루오레닐)(3-t-부틸-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플루오레닐)(3-페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플루오레닐)(3-t-부틸디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플루오레닐)(3-트리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플루오레닐)(3-t-부틸-5-메톡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페닐메틸렌(플루오레닐)(3-t-부틸-5-클로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등이나, 이것들의 화합물의 티탄을 지르코늄, 하프늄으로 변경한 화합물, 클로라이드를 브로미드, 아이오다이드, 디메틸아미드, 디에틸아미드, n-부톡시드, 이소프로폭시드로 변경한 화합물, (시클로펜타디에닐) 을 (디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 (트리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 (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 (t-부틸디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 (인데닐)로 변경한 화합물, 3,5-디메틸-2-페녹시를 2-페녹시, 3-메틸-2-페녹시, 3,5-디-t-부틸-2-페녹시 , 3-페닐-5-메틸-2-페녹시 , 3-t-부틸디메틸실릴-2-페녹시, 3-트리메틸실릴-2-페녹시로 변경한 화합물, 메틸렌을 디에틸메틸렌으로 변경한 화합물 등인, 화학식 (I) 에 있어서의 B 가 탄소 원자인 전이금속 착물 및 디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5-디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5-디-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5-메틸-3-페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디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5-메틸-3-트리메틸실릴-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톡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클로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5-디아밀-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5-디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5-디-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메틸시클로디에닐)(5-메틸-3-페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에틸실릴(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디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에틸실릴(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5-메틸-3-트리메틸실릴-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톡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클로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5-디아밀-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5-디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5-디-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5-메틸-3-페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디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5-메틸-3-트리메틸실릴-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톡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클로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5-디아밀-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5-디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5-디-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5-메틸-3-페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디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5-메틸-3-트리메틸실릴-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톡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클로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t-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3,5-디아밀-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5-디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5-디-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5-메틸-3-페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디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테트라메틸클로펜타디에닐)(5-메틸-3-트리메틸실릴-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톡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클로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5-디아밀-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5-디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5-디-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5-메틸-3-페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디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5-메틸-3-트리메틸실릴-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톡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트리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클로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트리메틸실릴펜타디에닐)(3,5-디아밀-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인데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인데닐)(3-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인데닐)(3,5-디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인데닐)(3-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인데닐)(3-t-부틸-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인데닐)(3,5-디-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인데닐)(5-메틸-3-페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인데닐)(3-t-부틸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인데닐)(5-메틸-3-트리메틸실릴-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인데닐)(3-t-부틸-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인데닐)(3-t-부틸-5-클로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인데닐)(3,5-디아밀-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플루오레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플루오레닐)(3-메톡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플루오레닐)(3,5-디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플루오레닐)(3-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플루오레닐)(3-t-부틸-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플루오레닐)(3,5-디-t-부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플루오레닐)(5-메틸-3-페닐-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플루오레닐)(3-t-부틸메틸실릴-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플루오레닐)(5-메틸-3-트리메틸실란-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플루오레닐)(3-t-부틸-5-메톡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플루오레닐)(3-t-부틸-5-클로로-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플루오레닐)(3,5-디아밀-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디메틸실릴(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1-나프톡시-2-일)티탄디클로라이드 등이나, 이것들의 화합물의 (시클로펜타디에닐) 을 (디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 (트리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 (에틸시클로펜타디에닐), (n-프로필시클로펜타디에닐), (이소프로필시클로펜타디에닐), (sec-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 (이소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 (t-부틸디메틸실릴시클로펜타디에닐), (페닐시클로펜타디에닐), (메틸인데닐), (페닐인데닐) 로 변경한 화합물, 2-페녹시를 3-페닐-2-페녹시, 3-트리메틸실릴-2-페녹시, 3-t-부틸디메틸실릴-2-페녹시로 변경한 화합물, 디메틸실란을 디에틸실릴, 디페닐실릴, 디메톡시실릴로 변경한 화합물, 티탄을 지르코늄, 하프늄으로 변경한 화합물, 클로라이드를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디메틸아미드, 디에틸아미드, n-부톡시드, 이소프로폭시드로 변경한 화합물에는, 화학식 (I) 에 있어서 B 가 탄소 원자 이외의 원소의 주기율표의 제 14 족의 원자인 전이금속 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학식 (I) 로 표시되는 전이금속 착물의 조정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일본국 특개평 9-87313호 공보를 참고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전이금속 착물은 이하의 화합물 (A) 혹은 또한 화합물 (B) 를, 중합 시에 임의의 순서로 투입하여 사용할 수가 있으나, 또 그것들의 임의의 화합물의 조합을 미리 접촉시켜서 수득한 반응물을 사용하여도 좋다.
화합물 (A)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화합물 (A) 로서는 공지의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류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A1) 일반식 E1 aAlZ3-a 로 표시되는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A2) 일반식 {-Al(E2)-O-}b 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환상의 알루미녹산 및 (A3) 일반식 E3{-Al(E3)-O-}cAlE3 2 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선상의 알루미녹산 (단, E1, E2, E3은 탄소수 1 ∼ 8 의 탄화수소기이며, 모든 E1, 모든 E2 및 모든 E3은 동일하거나 상이하여도 좋다. Z 는 수소 또는 할로겐을 나타내고, 모든 Z 는 동일하거나 상이하여도 좋다. a 는 0 ∼ 3 의 수이며, b 는 2 이상의 정수를, c 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중의 어느 하나이거나 혹은 그것들의 2 ∼ 3 종류의 혼합물을 예시할 수가 있다.
일반식 E1 aAlZ3-a 로 표시되는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Al) 의 구체예로서는 트리메틸알루미늄, 트리에틸알루미늄, 트리프로필알루미늄,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트리헥실알루미늄 등의 트리알킬 알루미늄 ; 디메틸알루미늄 클로라이드, 디에틸알루미늄클로라이드, 디프로필알루미늄클로라이드, 디이소부틸알루미늄 클로라이드, 디헥실알루미늄클로라이드 등의 디알킬알루미늄클로라이드 ; 메틸알루미늄디클로라이드, 에틸알루미늄디클로라이드, 프로필알루미늄디클로라이드, 이소부틸알루미늄디클로라이드, 헥실알루미늄 디클로라이드 등의 알킬알루미늄 디클로라이드 ; 디메틸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 디에틸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 디프로필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 디이소부틸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 디헥실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 등의 디알킬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 등을 예시할 수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트리알킬알루미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틸알루미늄,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이다.
일반식 {-Al(E2)-O-}b 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환상의 알루미녹산 (A2), 일반식 E3{-Al(E3)-O-}cAlE3 2 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선상의 알루미녹산 (A3) 에서 E2, E3 의 구체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노르말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노르말부틸기, 이소부틸기, 노르말펜틸기, 네오펜틸기 등의 알킬기를 예시할 수가 있다. b 는 2 이상의 정수이며, c 는 1 이상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게는 E2 및 E3 은 메틸기, 이소부틸기이며, b 는 2 ∼ 40, c 는 1 ∼ 4 이다.
상기한 알루미녹산은 각종의 방법으로 만들어진다. 그 방법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공지의 방법에 준하여 만들면 된다. 예컨대 트리알킬알루미늄 (예컨대 트리메틸알루미늄 등) 을 적당한 유기 용매 (벤젠, 지방족탄화수소 등) 에 용해시킨 용액을 물과 접촉시켜서 만든다. 또한, 트리알킬알루미늄(예컨대 트리메틸알루미늄 등)을 결정수를 함유하고 있는 금속염(예컨대 황산구리수화물 등)에 접촉시켜서 만드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화합물 (B)
화합물 (B) 로서는 (Bl) 일반식 BQ1Q2Q3 로 표시되는 붕소 화합물, (B2) 일반식 G+(BQ1 Q2 Q3 Q4)-로 표시되는 붕소화합물, (B3) 일반식 (L-H)+(BQ1 Q2 Q3 Q4)-로 표시되는 붕소 화합물의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가 있다.
일반식 BQ1 Q2 Q3 로 표시되는 붕소 화합물 (B1) 에 있어서, B 는 3 가의 원자가 상태인 붕소원자이고, Q1 ∼ Q3 은 할로겐원자, 1 ∼ 20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탄화수소기, 1 ∼ 20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할로겐화 탄화수소기, 1 ∼ 20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아랄기, 1 ∼ 20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콕시기 또는 2 ∼ 20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아미노기이며, 그것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하여도 좋다. 바람직한 Q1 ∼ Q3 은 할로겐원자, 1 ∼ 20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탄화수소기, 1 ∼ 20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할로겐화 탄화수소기이다.
화합물 (B1) 의 구체예로서는 트리스 (펜타플루오로페닐)보란, 트리스(2,3,5,6-테트라플루오로페닐) 보란, 트리스 (2,3,4,5-테트라플루오로페닐) 보란, 트리스 (3,4,5-트리플루오로페닐) 보란, 트리스 (2,3,4-트리플루오로페닐) 보란, 페닐비스 (펜타플루오로페닐) 보란 등을 들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트리스(펜타플루오로페닐) 보란이다.
일반식 G+ (BQ1 Q2 Q3 Q4)- 로 표시되는 붕소화합물 (B2) 에 있어서, G+ 는 무기 또는 유기의 양이온이며, B 는 3 가의 원자가 상태의 붕소원자이며, Q1 ∼ Q4 는 상기한 (B1) 에 있어서의 Q1 ∼ Q3과 동일하다.
일반식 G+ (BQ1 Q2 Q3 Q4)- 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체예에서는, 무기양이온 G+에는 페로세늄양이온, 알킬치환페로세늄양이온, 은양이온 등을, 유기양이온인 G+ 에는 트리페닐메틸양이온 등을 들 수 있다. (BQ1 Q2 Q3 Q4)-로는, 테트라키스 (펜타플루오로페닐) 볼레이트, 테트라키스 (2,3,5,6-테트라플루오로페닐) 볼레이트, 테트라키스 (2,3,4,5-테트라플루오로페닐) 볼레이트, 테트라키스 (3,4,5-트리플루오로페닐) 볼레이트, 테트라키스 (2,2,4-트리플루오로페닐) 볼레이트, 페닐비스 (펜타플루오로페닐) 볼레이트, 테트라키스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페닐)볼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의 구체적인 조합으로서는, 페로세늄테트라키스 (펜타플루오로페닐)볼레이트, 1,1'-디메틸페로세늄테트라키스 (펜타플루오로페닐) 볼레이트, 은테트라키스 (펜타플루오로페닐) 볼레이트, 트리페닐메틸테트라키스 (펜타플루오로페닐)볼레이트, 트리페닐메틸테트라키스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볼레이트 등을 들 수가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트리페닐메틸테트라키스 (펜타플루오로페닐) 볼레이트이다.
또한, 일반식 (L-H)+ (BQ1 Q2 Q3 Q4)- 로 표시되는 붕소 화합물 (B3) 에 있어서는 L 은 중성 루이스 염기이며, (L-H)+은 브뢴스테드산이며, B 는 3가의 원자가 상태의 붕소원자이며, Q1 ∼ Q4는 상기한 루이스산 (B1) 에 있어서의 Q1 ∼ Q3과 동일하다.
일반식 (L-H)+ (BQ1 Q2 Q3 Q4)- 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브뢴스테드산인 (L-H)+에는 트리알킬치환 암모늄, N,N-디알킬아닐리듐, 디알킬암모늄, 트리아릴포스포늄 등을 들 수 있고 (BQ1 Q2 Q3 Q4)- 에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의 구체적인 조합으로서는 트리에틸암모늄테트라키스 (펜타플루오로페닐) 볼레이트, 트리프로필암모늄테트라키스 (펜타플루오로페닐) 볼레이트, 트리(노르말부틸) 암모늄테트라키스 (펜타플루오로페닐) 볼레이트, 트리(노르말부틸)암모늄테트라키스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볼레이트, N,N-디메틸아닐리늄테트라키스 (펜타플루오로페닐) 볼레이트, N,N-디에틸아닐리늄테트라키스 (펜타플루오로페닐) 볼레이트, N,N-2,4,6-펜타메틸아닐리늄테트라키스 (펜타플루오로페닐)볼레이트, N,N-디메틸아닐리늄테트라키스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볼레이트, 디이소프로필암모늄테트라키스 (펜타플루오로페닐) 볼레이트, 디시클로헥실암모늄테트라키스 (펜타플루오로페닐) 볼레이트, 트리페닐포스포늄테트라키스 (펜타플루오로페닐) 볼레이트, 트리 (메틸페닐) 포스포늄테트라키스 (펜타플루오로페닐) 볼레이트, 트리 (디메틸페닐) 포스포늄테트라키스 (펜타플루오로페닐) 볼레이트 등을 들 수가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트리 (노르말부틸)암모늄테트라키스 (펜타플루오로페닐) 볼레이트, 또는 N,N-디메틸아닐리늄테트라키스 (펜타플루오로페닐) 볼레이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화학식 (I) 으로 표시되는 전이금속 착물 및 화합물 (A) 및 화합물 (B) 를, 중합 시 임의의 순서로 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또한 그것들의 임의의 화합물의 조합을 미리 접촉시켜서 수득된 반응물을 사용하여도 좋다.
각 촉매 성분의 사용량은 화합물(A)/전이금속 착물의 몰비가 0.1 ∼ 10000이며, 바람직하게는 5 ∼ 2000, 화합물(B)/전이금속 착물의 몰비가 0.01 ∼ 100이며, 바람직하게는 0.5 ∼ 10 의 범위에 있도록 각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촉매성분을 용액상태 또는 용매에 현탁상태로 사용하는 경우의 농도는, 중합반응기에 각 촉매성분을 공급하는 장치의 성능 등의 조건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나 일반적으로 화학식 (I)으로 표시되는 전이금속 착물이 통상 0.01 ∼ 500 μ mol/g, 바람직하게는 0.05 ∼ 100 μ mol/g,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 50 μ mol/g 이며, 화합물 (A) 는 Al 원자환산으로 통상 0.01 ∼ 10000 μ mol/g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5000 μ mol/g,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2000 μ mol/g 이며, 화합물 (B) 는 통상 0.01 ∼ 500 μ mol/g, 바람직하게는 0.05 ∼ 200 μ mol/g,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 100 μ mol/g 의 범위에 있도록 각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부탄, 펜탄, 헥산, 헵탄, 옥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벤젠, 톨루엔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메틸렌디클로라이드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를 용매로서 사용하는 용매중합 또는 슬러리 중합, 가스상태의 단량체 중에서의 기상중합 등이 가능하고, 또 연속 중합, 회분식 중합의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중합온도는 -50℃ ∼ 200℃ 의 범위를 취할 수 있으나, 특히 -20℃ ∼ 100℃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중합압력은 상압 ∼ 60 kg/㎠G 가 바람직하다. 중합시간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촉매의 종류, 반응장치에 따라 적절히 결정되나 1분간 ∼ 20시간의 범위를 취할 수가 있다. 또 중합체의 분자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수소 등의 연쇄 이동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한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3 ∼ 95 중량 %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97 ∼ 5 중량 % 로 이루어진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수지, 저밀도폴리에틸렌, LLDPE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4-메틸-펜텐-1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들 수가 있다.
이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 혹은 프로필렌과 소량의 α -올레핀과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랜덤 공중합체인 경우, 이 공중합체 중의 다른 α -올레핀 공중합 비율은 10 중량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7 중량 % 이다. 또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블록공중합체인 경우, 이 공중합체중의 다른 α -올레핀의 공중합 비율은 1 ∼ 40 중량 %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25 중량 %,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20 중량 %, 특히 바람직하게는 3 ∼ 15 중량 %이다. 이것들의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는 2 종 이상의 중합체를 병용하는 것이어도 좋다. 폴리프로필렌의 결정성의 지표로서는 예컨대, 융점, 결정융해열량 등이 사용되고 융점은 120℃ ∼ 176℃, 결정 융해열량은 60 J/g ∼ 120 J/g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의 융점이 지나치게 낮거나 또는 융해열량이 지나치게 낮으면 재료의 내열성이 떨어지는 결과로 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일반적으로는 이른바 티탄 함유 고체상 전이금속 성분과 유기금속성분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찌글러나타형 촉매 또는 시클로펜타디에닐골격을 적어도 1 개 갖는 주기율표 제 4A 족 ∼ 제 6A 족의 전이금속화합물 및 조촉매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메타로센촉매를 사용하여 슬러리 중합, 기상중합, 벌크 중합, 용액중합 등, 또는 이것들을 조합한 중합법으로, 1 단 또는 다단으로, 프로필렌을 단독 중합함으로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수득하거나, 또는 프로필렌과 탄소수 2 또는 4 ∼ 12 의 α -올레핀,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을 1 단 또는 다단으로 공중합시킴으로서 프로필렌, α -올레핀 공중합체를 수득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그리고 시판의 해당품을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3 ∼ 95 중량 %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97 ∼ 5 중량 % ((A) + (B) = 100 중량 % 로 한다) 을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10 ∼ 80 중량 %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90 ∼ 20 중량 % 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30 ∼ 70 중량 %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70 ∼ 30 중량 % 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가 과다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과소) 하면 유동성이 낮아지고, 성형 가공성이 떨어지거나 강도가 부족하거나, 내열성이 떨어지거나 하고, 한편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가 과소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과다)하면 유연성이 떨어지거나 내상부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는 필수의 성분인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가하여 필요에 따라 다른 고무성분, 예를 들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비공액 디엔 공중합체 고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고무, 폴리부타디엔, 스티렌-부타디엔블록 공중합체 고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블록 공중합체 고무, 스티렌-부타디엔랜덤 공중합체 고무, 부분수첨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고무, 부분수첨스티렌-부타디엔램덤 공중합체 고무, 스티렌-이소프렌블록 공중합체 고무, 부분수첨스티렌-이소프렌블록 공중합체 고무 등을 가하여도 좋다.
또 필요에 따라 과산화물의 첨가에 의해 가교반응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산화 방지제, 열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활제, 대전방지제, 안료, 충전제, 난연제를 배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수득하는 방법으로서는 각 성분을 2축 압출기, 범버리 믹서 등에 의해 용융혼련하는 방법 등을 들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그의 뛰어난 특징을 이용하여 가전제품, 자동차 부품, 잡화품 등에 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자동차 부품에 있어서는 인파네, 문, 기둥 등의 내장표피, 에어백 커버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으나, 이것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중의 1-부텐 함량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검량선]
프로필렌 및 1-부텐 단독 중합체의 여러가지의 혼합비율의 혼합물을 각각 열프레스하여 두께 0.05 mm 의 필름상으로 성형하였다. 적외선 분광계를 사용하여 프로필렌단위 유래피크 (파수 1150 cm-1) 와 1-부텐단위 유래피크 (파수 770cm-1) 와의 흡광도비를 구하고, 이 흡광도비에 대하여 이 혼합물에 있어서의 1-부텐단위 함유량을 플로트하였다. 이것들의 플로트로부터 회귀직선을 구하여 검량선으로 하였다. 그리고 프로필렌 및 1-부텐의 단독 공중합체의 혼합물은 양자를 톨루엔에 용해시킨 후, 메탄올을 가하여 수득된 침전물을 건조시켜 사용하였다.
[1-부텐 함량의 측정]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를 열프레스하여 두께 0.05 mm 의 필름상으로 성형하고, 이어서 적외 분광계를 사용하여 프로필렌 단위 유래피크와 1-부텐 단위 유래피크와의 흡광도비를 구하고, 상기 방법으로부터 얻어진 검량선으로부터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중의 1-부텐 단위 함유량을 산출하였다.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의 경도는 ASTM D2240 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시차 주사 열량계 (DSC) 측정은 시차 주사 열량계 (세이코덴시고교사 제 DSC 220C) 을 사용하여 승온 및 항온과정의 어느 것이나 10℃/분의 속도로 측정하였다.
극한점도 [η] 의 측정은 70℃ 크실렌 중에서 우벨로데 점도계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샘플은 300 mg 을 100 ml 크실렌에 용해시키고, 3 mg/ml 의 용액을 조정하였다. 또한 이 용액을 1/2, 1/3, 1/5로 희석하고, 각각을 70℃ (± 0.1℃) 의 항온수조 내에서 측정하였다. 각각의 농도로 3회 반복 측정하고, 얻어진 값을 평균하여 사용하였다.
분자량 분포는 겔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법 (Waters 사 제, 150C/GPC 장치) 에 의해 실시하였다. 용출온도는 140℃, 사용컬럼은 쇼와 뎅꼬샤 제 sodex packed columm A-80M, 분자량 표준물질은 폴리스티렌(도소샤 제 분자량 68-8, 400,000) 을 사용하였다. 수득된 폴리스티렌 환산 중량 평균 분자량 (Mw), 수평균 분자량 (Mn), 또한 이 비 (Mw/Mn) 를 분자량 분포로 한다. 측정 샘플은 약 5 mg 의 중합체를 5 ml 의 o-디클로로벤젠에 용해시키고, 약 1 mg/ml 의 농도로 한다. 수득된 샘플 용액의 400㎕ 을 사출성형하였다. 용출용매 유속은 1.0 ml/분으로 하고, 굴절율 검출기로 검출하였다.
표 2 에 표시한 배합을 2축의 버치식 혼련기 라보프라스트밀(도요세이사 제) 을 사용하여 온도 200℃, 스크루회전수 100 rpm 로 3분간 혼련을 하였다. 이 조성물을 200℃ 에서 프레스하고, 2 mm 두께의 시트를 만들었다. 물성 시험은 프레스시트로부터 시험편을 타발하여 측정을 하였다.
실시예, 비교예에 표시한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조성물의 제특성은 다음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1) 경도 : ASTM D2240
(2) 굽힘시험 : JIS K7203
(3) 인장시험 : JIS K 6301 3 호 덤벨을 사용하여 인장속도 200 (mm/분)로 시험을 하였다.
(4) 내상부성 시험 : 표면성 측정기 트라이보기어 (신또가가꾸제) 를 사용하여 500 g 의 하중을 올려놓은 할퀴는 바늘로 시료의 2 mm 두께 프레스시트를 일정속도로 할퀴어 홈을 내었다. 그 홈의 깊이를 접촉식의 표면 조도계 사프코무 (도꾜세미미쓰제) 로 ㎛ 오더의 척도로 측정하였다.
(5) 헤이즈 : JIS K7102 mm 두께 프레스시트에 대해 측정을 하였다.
(6) 시차 주사 열량계 (DSC) : 시차 주사 열량계 (세이고덴시고교 샤 제 DSC 220C) 을 사용하여 승온 및 항온과정의 어느 것이나 10℃/분의 속도로 측정을 하였다.
실시예 1
용량 2 리터의 분리 가능한 플라스크 반응기에, 교반기, 온도계, 적가 깔때기, 환류 냉각관을 부착하여 감압으로 한 후, 질소로 치환한다. 이 플라스크에 무수 톨루엔 1 리터를 중합용매로 하여 도입하였다. 여기에 프로필렌 8NL/분, 1-부텐 0.5 NL/분을 상압에서 연속 공급하고, 용매온도를 30℃ 로 하였다. 트리이소부틸 알루미늄 (이후 TIBA 라고 약기) 1.25 mmol 을 중합조에 첨가한 후, 중합촉매로서 (테트라메틸-η 5-시클로펜타디에닐) 디메틸 (3-t-부틸-5-메톡시-2-페녹시) 실란디클로로티탄 0.005 mmol 을 중합조에 첨가하였다. 그 15 초 후에 트리페닐카르베늄 테트라키스 (펜타플루오로페닐) 블레이트 0.025 mmol 을 중합조에 첨가하고, 중합을 개시하였다. 30 분 간의 중합의 결과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155.8 g 이 수득되었다.
실시예 2 ∼ 16 및 비교예 1 ∼ 10
실시예 1 에서 표에 표시한 바와 같은 단량체 첨가량 및 촉매 첨가량에 변화시킨 것 이외에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또한, 표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배합하여 조합물을 수득하였다. 상세한 결과를 표에 나타냈다.
결과로부터 다음의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실시예 1 ∼ 8 의 공중합체를 사용한 실시예 9 ∼ 16 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비교예 1 ∼ 5 의 공중합체를 사용한 비교예 6 ∼ 10 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 비하여 굽힘 탄성율이 낮고 인장신율이 높고, 내상부성, 투명성이 뛰어나다.
[표 1]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1 (a) :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2 (b) : 트리페닐메틸테트라키스 (펜타플루오로페닐) 보레이트
*3 (c) : 디메틸실릴(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4 (d) : A-8PB : 폴리부텐 M2481 (Mitsui Petrochemical 사 제조), 2.16 kg 의 하중 및 230 ℃ 에서의 MI: 4.0, A-1 내지 A-8 PBR 는 프로필렌-1-부텐 고무이다.
[표 2]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1 (a) :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2 (b) : 트리페닐메틸테트라키스 (펜타플루오로페닐) 보레이트
*3 (c) : 디메틸실릴(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3-t-부틸-5-메틸-2-페녹시)티탄디클로라이드
*4 (d) : A-8PB : 폴리부텐 M2481 (Mitsui Petrochemical 사 제조), 2.16 kg 의 하중 및 230 ℃ 에서의 MI: 4.0
A-9 PBR: 프로필렌-1-부텐 고무 UBETAC APAD UT2780 (UBE REXENE Co. 제조)
A-9 내지 A-12 PBR 는 프로필렌-1-부텐 고무이다.
[표 3]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조성물
[표 4]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조성물
본 발명의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와 혼합한 경우, 유연성, 인장신율 특성, 내상부성 및 투명성이 뛰어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그의 뛰어난 특징을 이용하여 가전품, 자동차 부품, 잡화품 등에 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자동차 부품에 있어서는 인파네, 문, 기둥 등의 내장표피, 에어백 커버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ASTM D 2240 에 준거하여 측정한 쇼아-A 경도가 70 이하이고, 또한 온도 70 ℃ 에 있어서의 크실렌 용매에 의한 극한 점도 [η] 가 0.3 이상이고, 또한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하였을 때의 결정 융해 피크 및 결정화 피크의 어느 하나도 갖지 않은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ASTM D 2240 에 준거하여 측정한 쇼아-A 경도가 60 이하인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온도 70 ℃ 에 있어서의 크실렌 용매에 의한 극한 점도 [η]가 0.5 이상인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4. 제 1 항에 있어서, 호모폴리프로필렌과 50/50 중량 % 혼합물의 굽힘탄성율이 2500 kgf/㎠ 이하로 되는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5. 제 1 항에 있어서, 겔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로 측정되는 분자량 분포 Mw/Mn 이 3 이하인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6. 제 1 항에 있어서, 1-부텐의 함량이 0.5 - 90 몰 % 인 프로필렌 -1-부텐 공중합체.
  7. 제 1 항에 있어서, 1-부텐의 함량이 1-70 몰 % 인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8. 제 1 항에 있어서, 비등 n-헵탄 불용분이 5 중량 % 이하인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9. 제 1 항에 있어서, 비등 n-헵탄 불용분이 3 중량 % 이하인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비등 아세트산 메탄 가용분이 2 중량 % 이하인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하였을 때의 결정 융해 피크 및 결정화 피크의 어느 하나도 갖지 않는 폴리프로필렌을 제조할 수 있는 촉매를 사용하고, 프로필렌과 1-부텐을 공중합하여 수득되는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촉매가 하기 화학식 (I) 로 표시되는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화학식 1]
    (식 중, M1 은 원소의 주기율표의 제 4 족인 전이금속 원자를 나타내고, A는 원소의 주기율표의 제 16 족의 원자를 나타내고, B 는 원소의 주기율표의 제 14 족의 원자를 나타낸다. CP1 은 시클로펜타디엔 형 음이온 골격을 갖는 기이다. X1, X2, R1, R2, R3, R4, R5 및 R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 수 1 ∼ 20 의 알킬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7 ∼ 20 의 아르알킬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6 ∼ 20 의 아릴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 20 의 치환실릴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 20 의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7 ∼ 20 의 아르알킬옥시기,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6 ∼ 20 의 아릴옥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2 ∼ 20 의 2 치환 아미노기를 나타낸다.
    R1, R2, R3, R4, R5 및 R6 은 임의로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하여도 좋다).
  13. 제 1 항의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3 ∼95 중량 %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97 ∼ 5 중량 % 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4. 제 1 항의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10 ∼ 80 중량 %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90 ∼ 20 중량 % 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9970060159A 1996-11-15 1997-11-14 프로필렌-1-부텐공중합체 KR100463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04514 1996-11-15
JP30451496 1996-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450A KR19980042450A (ko) 1998-08-17
KR100463090B1 true KR100463090B1 (ko) 2005-06-16

Family

ID=17933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0159A KR100463090B1 (ko) 1996-11-15 1997-11-14 프로필렌-1-부텐공중합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84048A (ko)
EP (1) EP0842955B1 (ko)
KR (1) KR100463090B1 (ko)
CN (1) CN1109695C (ko)
DE (1) DE69712709T2 (ko)
ID (1) ID18880A (ko)
SG (1) SG601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81485A (zh) * 1997-12-11 2001-01-24 住友化学工业株式会社 热塑性烯烃弹性体组合物
JPH11181179A (ja) * 1997-12-22 1999-07-06 Sumitomo Chem Co Ltd 粉末成形用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粉末成形用粉末及び成形体
SG73641A1 (en) * 1998-05-20 2000-06-20 Sumitomo Chemical Co Ethylene-alpha-olefin-nonconjugated polyrene random
SG72966A1 (en) * 1998-07-08 2000-05-23 Sumitomo Chemical Co Transition metal compound olefin polymerization catalyst component olefin polymerization catalyst and process for producing olefin polymer
EP0970964B1 (en) * 1998-07-09 2004-04-21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Method for producing a titanium complex
EP0970976B1 (en) * 1998-07-10 2002-10-09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Copolymer,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and molded article thereof
US6664208B1 (en) * 1999-09-07 2003-12-16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Modified aluminum oxy compound, polymerization catalyst and process for producing olefin polymer and alkenyl aromatic hydrocarbon polymer
US6632885B2 (en) 1999-04-13 2003-10-14 Mitsui Chemicals, Inc. Soft syndiotactic polypropylene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WO2001045183A1 (fr) * 1999-12-17 2001-06-21 Dai Nippon Printing Co., Ltd Materiau d'emballage d'une cellule polymere et procede de production associe
US6582762B2 (en) 1999-12-22 2003-06-24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Sprayable hot melt adhesives
US6525138B2 (en) * 2000-09-08 2003-02-25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6562907B2 (en) * 2000-11-30 2003-05-13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Olefin polymer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O2003083003A1 (en) * 2002-03-22 2003-10-09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Adhesives
EP1558655B1 (en) 2002-10-15 2012-08-29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ultiple catalyst system for olefin polymerization and polymers produced therefrom
US7700707B2 (en) 2002-10-15 2010-04-20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olefin adhesive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PL377718A1 (pl) * 2002-12-24 2006-02-06 Basell Polyolefine Gmbh Kompozycja polietylenowa do wytwarzania bębnów typu L-ring (z pierścieniem w kształcie L)
EP1655314A1 (en) * 2004-11-09 2006-05-10 Basell Polyolefine GmbH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1-butene/propylene copolymers
CN102061024B (zh) * 2004-12-28 2014-08-20 三井-杜邦聚合化学有限公司 太阳能电池密封材料
DE102005030941A1 (de) * 2005-06-30 2007-01-11 Basell Polyolefine Gmbh Polyethylen Formmasse zur Herstellung von spritzgegossenen Fertigteilen
DE102005040390A1 (de) * 2005-08-25 2007-03-01 Basell Polyolefine Gmbh Multimodale Polyethylen Formmasse zur Herstellung von Rohren mit verbesserten mechanischen Eigenschaften
CN101273445B (zh) * 2005-09-28 2012-07-25 大见忠弘 可控气氛的接合装置、接合方法及电子装置
US8227392B2 (en) * 2008-01-25 2012-07-24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Base stocks and lubricant blends containing poly-alpha olefins
JP5315773B2 (ja) * 2008-04-24 2013-10-16 住友化学株式会社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CN102453180B (zh) * 2010-10-29 2014-01-08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丙烯/丁烯无规共聚物的制备方法及其应用
BR112015005697B1 (pt) 2012-09-14 2020-11-03 Mitsui Chemicals, Inc. Composição de copolímero de 1-butenoalfa-olefina
CN107698703A (zh) * 2017-10-31 2018-02-16 大连理工大学 一种丙烯/1‑丁烯共聚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PT3533601T (pt) * 2018-03-01 2022-08-09 Bayerische Motoren Werke Ag Estrutura compósita para cobertura de airbag e produto costurado da estrutura compósita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18457A (en) * 1957-09-26 1959-12-22 Sun Oil Co Copolymer of propylene and butene-1
US3923758A (en) * 1973-07-02 1975-12-02 Eastman Kodak Co Substantially hexane soluble propylene/butene-1 copolymer containing 30 to 75 weight percent butene-1
JPS5379984A (en) * 1976-12-24 1978-07-14 Mitsui Petrochem Ind Ltd Copolymer and production
JPS6043848B2 (ja) * 1977-12-21 1985-09-30 三井化学株式会社 軟質樹脂およびその製法
JPS6038414A (ja) * 1983-08-12 1985-02-28 Mitsui Petrochem Ind Ltd 熱可塑性樹脂共重合体
JPH06104698B2 (ja) * 1985-11-20 1994-12-21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プロピレン系ランダム共重合体およびそれからなる熱可塑性樹脂用ヒートシール性改善剤
JPH06104699B2 (ja) * 1985-11-20 1994-12-21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1―ブテン系ランダム共重合体およびそれからなる熱可塑性樹脂用ヒートシール性改善剤
US5700750A (en) * 1985-12-26 1997-12-23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Process for polymerization of alpha-olefins
US5714554A (en) * 1992-09-08 1998-02-03 Rexene Corporation High tensile strength amorphous 1-butene/propylene and ethylene/propylene copolymers
JPH0742367A (ja) * 1993-07-30 1995-02-10 Fujita Corp 鉄筋交差部位の結束方法及び鉄筋結束工具
JPH0812719A (ja) * 1994-07-01 1996-01-16 Mitsubishi Chem Corp 射出成形用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EP0842939B1 (en) * 1995-07-14 2004-10-06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Olefin polymerization catalyst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 complex and process for producing olefin polymers
JP3544252B2 (ja) * 1995-09-07 2004-07-21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自動車内装部材用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自動車用内装部材
JPH09309982A (ja) * 1996-05-22 1997-12-02 Sumitomo Chem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450A (ko) 1998-08-17
EP0842955A2 (en) 1998-05-20
EP0842955B1 (en) 2002-05-22
ID18880A (id) 1998-05-20
US6084048A (en) 2000-07-04
EP0842955A3 (en) 1998-07-15
DE69712709T2 (de) 2003-01-30
SG60151A1 (en) 1999-02-22
CN1109695C (zh) 2003-05-28
CN1185447A (zh) 1998-06-24
DE69712709D1 (de) 200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3090B1 (ko) 프로필렌-1-부텐공중합체
EP0128046B1 (en) Process and catalyst for producing reactor blend polyolefins
AU739861B2 (en) Polyolefin composition with molecular weight maximum occuring in that part of the composition that has the highest comonomer content
US6613845B1 (en) Propylene/ethylene-α-olefin block copolym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EP1056792B1 (en) Ethylene copolymerization process
US6388040B1 (en) Propylene/ethylene/α-olefin terpolymers an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H08502303A (ja) 長鎖分岐ポリマー及び長鎖分岐ポリマーを製造する方法
EP0200351A2 (en) Liquid ethylene-type random copolymer,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JPH09316147A (ja) プロピレン/エチレン−α−オレフィン系ブロック共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NO176964B (no) Metall-koordinasjonskomplekser, fremgangsmåte for fremstilling, samt anvendelse
JP7238135B2 (ja) オレフィン重合用触媒およびこれを用いて調製されたオレフィン系重合体
JPH1180233A (ja) プロピレン系共重合体、プロピレン系共重合体の製造方法、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用配合剤及び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536341B2 (ja) エチレン系共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2286683A1 (en) Amorphous propylene-polyene copolymers and compositions thereof
WO1997044389A1 (fr) Composition de resine polypropylenique
JP4025401B2 (ja) プロピレン−1−ブテン共重合体及び熱可塑性樹脂組成物
WO2019125677A1 (en) Polyolefin compositions
JP3656321B2 (ja) オレフィン系ブロック共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151205A (ja) 共重合体ゴムの製造方法
JPH11140238A (ja) 成形体
JP3329041B2 (ja) エチレン・α−オレフィン共重合体およびフィルム
JP3575157B2 (ja) エチレン−α−オレフィン共重合体ゴム
JP2003518173A (ja) エチレン−芳香族ビニル化合物−ビニルノルボルネン三元共重合体
JPH072942A (ja) エチレン/α−オレフィン共重合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9241326A (ja) エチレン−α−オレフィン共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