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118B1 - Melody control circuit for the doll - Google Patents
Melody control circuit for the dol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00002118B1 KR900002118B1 KR1019870003100A KR870003100A KR900002118B1 KR 900002118 B1 KR900002118 B1 KR 900002118B1 KR 1019870003100 A KR1019870003100 A KR 1019870003100A KR 870003100 A KR870003100 A KR 870003100A KR 900002118 B1 KR900002118 B1 KR 9000021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lody
- switch
- output terminal
- signal generator
- control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 G10K1/06—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 G10K1/06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electrically oper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Description
제 1 도는 본 발명의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2 도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회로도.2 is a circuit diagram of one preferred embodiment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ve arrangements.
제 3 도는 제 2 도 각 부의 시간 파형도.3 is a time waveform diagram of each part of FIG.
제 4 도는 본 발명을 봉제 곰인형에 적용시킨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stuffed bear doll.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전원부 2 : 제 1 스위치부1: power supply part 2: first switch part
3 : 멜로디IC 4 : 제 1 증폭기3: melody IC 4: first amplifier
5 : 콘덴서마이크 6 : 음성신호차단부5: Condenser microphone 6: Voice signal cutoff part
7 : 제 2 증폭기7: second amplifier
8 : 제 1 스위치구동부(제 1 플립플롭)8: first switch driver (first flip-flop)
9 : 음량제어신호발생부 10 : 전류증폭기9: Volume control signal generator 10: Current amplifier
11 : 리세트신호발생부 12 : 제 2 스위치부11: reset signal generator 12: second switch
13 : 제 2 스위치구동부 14 : 클럭발생기13: second switch driver 14: clock generator
15, 16, 18 : 제 2, 제 3, 제 4 플립플롭 17 : 원샷(ONE SHOT)회로15, 16, 18: 2nd, 3rd, 4th flip-flop 17: One shot circuit
a, b, c, d : 접속점 SP : 스피커a, b, c, d: connection point SP: speaker
본 발명은 완구용 멜로디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아의 울음소리에 감응하여 자장가멜로디가 반복해서 출력되되 반복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멜로디가 약하게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완구용 멜로디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lody control circuit for toy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lody control circuit for toys that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melody is gradually output as the lullabie melody is repeatedly output in response to the cry of the infant.
종래에는 여러가지 스위칭방식에 감응하여 멜로디I.C가 동작되어 자장가 멜로디가 반복출력되는 것들이 있었으나 이들은 세트된 일정한 시간동안 계속해서 동일한 강세로 반복 출력되기 때문에 초기에 출력되는 자장가에 의하여 잠들려는 유아에게는 오히려 잠을 깨우는 소음이 될 뿐만 아니라 주위의 청취자에게는 지루한 감을 주어 거부감을 불러 일으킬 우려가 있었다. 또한, 초기 자장가 멜로디에 의하여 유아가 잠들었을 경우에는 세트된 일정시간이 지날때까지 동일한 강세로 반복 출력되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많아 건전지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폐단이 있었다.In the past, melodic ICs were operated in response to various switching methods, and the lullabie melodies were repeatedly output. However, they are repeatedly outputted with the same accent for a predetermined time. Not only was it awakening noise, it was boring to the listeners around it, causing fear of rejection. In addition, when the infant was asleep by the early lullabie melody, because the output is repeatedly output in the same stress until the set time has passed, there was a lot of power consumption, there was a need to replace the battery frequently.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류증폭기, 음량제어신호발생부, 리세트신호발생부 및 음성신호차단부를 구비함으로써 자장가 멜로디가 반복해서 출력되되 반복출력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약하게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완구용멜로디 제어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rrent amplifier, a volume control signal generator, a reset signal generator and a voice signal cut-off unit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the magnetic field melody is repeatedly outputted but gradually weakened as the repeated output. To provide a toy melody control circuit that can be controlled to be outpu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력소모가 적은 완구용 멜로디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y melody circuit with low power consumptio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은 전원부, 제 1 스위치부, 멜로디IC, 제 1 증폭기 및 스피커를 구비하는 완구용 멜로디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부가 음성신호에 감응하여 스위칭되도록 콘덴서마이크, 음성신호차단부, 제 2 증폭기 및 제 1 스위치구동부를 상기 제 1 스위치부의 제어신호입력단에 차례로 접속하되 상기 음성신호차단부의 제어신호입력단을 제 1 스위치부의 출력단에 접속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y melody circuit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a first switch unit, a melody IC, a first amplifier and a speaker, wherein the first switch unit is sensitive to a voice signal. The condenser microphone, the audio signal blocking unit, the second amplifier, and the first switch driving unit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signal input terminal of the first switch unit so as to be switched, and the control signal input terminal of the audio signal blocking unit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switch unit.
또한 상기 제 1 스위치부의 출력단에는 음량제어신호발생부를 접속하고 상기 음량제어신호발생부의 출력단은 전류증폭기에 접속하되 이 전류증폭기는 상기 전원부와 스피커사이에 개재시켜 접속하여 제 1 스위치 구동부와 음량제어신호발생부의 리세트 입력단에 그 출력단에 접속된 레세트신호발생부의 각 입력단에는 상기 전원부와 음량제어신호발생부의 출력단에 각각 대응시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volume control signal generator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switch unit, and an output terminal of the volume control signal generator is connected to a current amplifier, and the current amplifier is interpos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and a speaker to connect the first switch driver and the volume control signal. Each input terminal of the reset signal generator connected to the reset input terminal of the generator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s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volume control signal generator.
이와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On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 도는 본 발명의 계략도이며, 제 2 도는 본 발명의 따른 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회로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ircuit diagram of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지(B+), 전원스위치(SW), 다이오드(D3) (D4) 및 콘덴서 (C5)로 된 전원부(1)와, 다링톤쌍으로 접속된 트랜지스터(TR3) (TR4)로 된 제 1 스위치부(2)와, 멜로디IC(3)와, 저항(R16) 및 트랜지스터(TR7)로 된 제 1 증폭기(4)와, 그리고 스피커(SP)를 구비한 멜로디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부(2)의 다링톤쌍으로 접속된 트랜지스터(TR3) (TR4)를 음성신호에 감응되어 온/오프되도록 하기위하여 음성신호를 콘덴서마이크(5)로 수신하며, 트랜지스터(TR1) (TR2)로 된 제 2 증폭기(7)에서 2단증폭 및 파형정형시켜 출력시키며, 이 출력신호에 의하여 제 1 플립플롭(FF1)으로 된 제 1 스위치구동부(8)는 세트되며, 제 1 플립플롭(FF1)의 정출력단(Q)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상기 트랜지스터(TR3) (TR4)가 제어되도록 접속한다. 또한 상기 제 1 스위치(2)의 출력단(b)에 신호가 나타난 다음에는 차음성신호가 상기와 같이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덴서마이크(5)의 출력단(a)에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TR8)의 콜렉터가 접속된 제 2 스위치부(12)를 접속하되 상기 제 1 스위치부(2)의 출력단(b)에 다이오드(D1)을 통하여 접속된 콘덴서(C10)로 된 제 2 스위치구동부(13)가 저항(18)을 통하여 상기 트랜지스터(TR8)의 베이스에 접속된다.With a power supply 1 consisting of a battery (B + ), a power switch (SW), a diode (D 3 ) (D 4 ) and a capacitor (C 5 ), and a transistor (TR 3 ) (TR 4 ) connected in a Darlington pair a first switch (2), and a melody IC (3), a resistance (R 16) and a transistor according to a melody circuit having a first amplifier (4) to (TR 7), and a speaker (SP) In order to turn on / off the transistors TR 3 (TR 4 ) connected to the Darlington pair of the
상기 스피커(SP)는 다링톤쌍인 트랜지스터(TR5) (TR6)로 된 전류증폭기(10)를 통하여 상기 전원부(1)로부터 전류를 공급받도록 접속하며, 상기 전류증폭기(10)는 스피커(SP)를 통하여 출력되는 멜로디가 반복출력되면서 점차 약하게 출력되도록 상기 전원부(1)로 부터 스피커(SP)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후술되는 음량제어신호발생부(9)의 출력단(d)을 상기 트랜지스터(TR5)의 베이스단에 접속한다.The speaker SP is connected to receive current from the power supply unit 1 through a
상기 음량제어신호발생부(9)는 클력발생기(14), 제 2 플립플롭(FF2), 제 3 플립플롭(FF3), 다이오드(D2) 및 저항(R12- R15)으로 구성하며, 세트된 시간동안 하강계단파신호를 그 출력단(d)에 출력하도록 접속하여 구성한다.The volume control signal generator 9 includes a
상기 음량제어신호발생부(9) 및 제 1 스위치구동부(8)를 초기 전원인가시와, 세트된 멜로디의 반복연주가 완료된 시점에서 리세트시키기 위한 리세트신호발생부(11)는 저항(R8) 및 콘덴서(C4)로 된 원샷(ONE SHOT)회로(17)와, 콘덴서(C6)및 제 4 플립플롭(18)으로 구성한다.The
제 2 도와 같은 회로가 설치된 프린트기판과 전지(B+) 및 스피커(SP)를 내장시킨 케이스(20)를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곰인형의 안면부 속에 집어넣고 전원스위치(SW)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치끈(21)을 목부분을 통하여 밖으로 연장시킨다. 미설명부호 TR1- TR8은 트랜지스터, FF1- FF4는 플립플롭, D1- D4는 다이오드, C1- C10은 콘덴서, R1- R10은 저항이다.As shown in FIG. 4, a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the same circuit as that of FIG. 2 and a
이와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작용효과를 제 3 도 및 제 4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4 도와 같은 곰인형의 멜로디 장치를 온시킨다음 유아근처에 놓아둔다. 여기서 전원스위치(SW)의 온과 동시에 윈샷회로에서 제 3 도 b의 시간t0에서와 같은 펄스가 출력되어 제 1, 제 2, 제 3 및 제 4 플립플롭(FF1- FF4)이 리세트된다.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Turn on the teddy bear's melody device, like the 4th tile, and place it near the infant. At the same time as the power switch SW is turned on, the same pulse as that at the time t 0 of FIG. 3b is output from the win-shot circuit so that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flip-flops FF 1 -FF 4 are returned. Is set.
이와같이 전원이 인가된 상태의 멜로디 장치가 내장된 곰인형을 유아근처에 놓아두면 유아가 울음을 터트리는 경우에 전술한 콘덴서 마이크(5)에서 유아의 울음소리를 수신하고 제 3 도 d의 시간t1에서와 같은 수신된 음성신호는 결합콘덴서(C2)를 통해서 트랜지스터(TR1) (TR2)로 된 제 2 증폭기(7)에서 증폭 및 정형된 다음 제 3 도 e의 펄스신호 결합콘덴서(C3)를 통해서 제 1 플립플롭(FF1)의 세트단자(S)에 인가된다. 제 1 플립플롭(FF1)의 정출력단자(Q)는 하이레벨상태로 전환되며 이 하이레벨신호는 저항(R7)을 통해서 제 1 스위치부(2)의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단에 입력되며 제 1 스위치부(2)는 온상태로 절환되어 트랜지스터(TR4)의 에미터단(b)은 하이레벨 상태로 된다.In this way, letting the bear the melody device while power is embedded near the infant an infant in a condenser microphone (5) described above in the case teoteurineun crying receiving a call of infants, and the third the time t 1 of d The received voice signal as in A is amplified and shaped in a
상기 에미터단(b)이 하이레벨로 되는 순간 이 하이레벨신호는 다이오드(D1)를 거쳐서 콘덴서(C10)를 충전시키고 상기 콘덴서(C10)의 양단 전압이 저항(R18)을 통하여 트랜지스터(TR8)를 도통시킨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TR8)의 콜렉터단인 접속점(a)는 제 3 도 c의 시간t1이후에는 접지상태로 되어 콘덴서마이크(5)를 통하여 수신되는 차후의 음성신호를 바이패스 시킨다. 또한 상기 에미터단(b)의 하이레벨신호는 다이오드(D2) 및 저항(R12)을 통하여 전류증폭기(10)의 트랜지스터(TR5)의 베이스단(d)에 입력되고, 또 클럭발생기(14)에 입력된다. 클럭발생기(14)에서는 저항(R10) (R11) 및 콘덴서(C7)로 결정되는 제 3 도 h의 구형파를 출력한다.As soon as the emitter stage b becomes high, this high level signal charges the capacitor C 10 via the diode D 1 , and the voltage across the capacitor C 10 passes through the resistor R 18 . Turn on (TR 8 ). Therefore, the connection point a, which is the collector end of the transistor TR 8 , becomes a ground state after time t 1 in FIG. 3C, thereby bypassing the subsequent au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ndenser microphone 5.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high level signal of the emitter stage b is input to the base stage d of the transistor TR 5 of the
상기 구형파의 주파수 f는The frequency f of the square wave is
로 결정된다.Is determined.
이와같은 주파수를 가지는 구형파출력은 저항(R13)을 통해서 상기 베이스단(d)에 입력되고 또한 제 2 플립플롭(FF2)의 클럭단자(CK)에도 입력된다. 상기 제 2 플립플롭(FF2)은 부출력 단자가 데이타단자(D)에 접속되어 그 정출력단자(Q)에서는 클럭단자(CK)에 입력되는 주파수의 1/2주파수인 제 3 도 자의 구형파를 출력하고 이 구형파는 저항(R14)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단(d)에 입력되고 또한 제 3 플립플롭(FF3)의 클럭단자(CK)에도 입력된다. 마찬가지로 제 2 플립플롭(FF2)에서는 상기 클럭발생기(14)의 구형파주파수 f의 1/4주파수인 제 3 도차의 구형파를 출력하며, 이 구형파는 저항(R15)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단(d)에 입력되고 또한 리세트신호발생부(11)의 제 4 플립플롭(FF4)의 클럭단자(CK)에 입력된다.The square wave output having such a frequency is input to the base terminal d through the resistor R 13 and also to the clock terminal CK of the second flip-flop FF 2 . The second flip-flop FF 2 is a negative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data terminal (D), and the constant output terminal (Q) outputs a square wave of a third conductor, which is 1/2 frequency of the frequency input to the clock terminal (CK), and the square wave is transmitted through a resistor (R 14 ). It is input to the base terminal d and also to the clock terminal CK of the third flip-flop FF 3 . Similarly, the second flip-flop FF 2 outputs a square wave of the third order, which is a quarter frequency of the square wave frequency f of the
상기 베이스단(d)에서는 제 1 스위치부(2)의 출력단(b)의 출력과, 클럭발생기(14)의 출력단(3)의 출력과, 제 2 플립플롭(FF2)의 정출력 및 제 3 플립플롭(FF3)의 정출력이 합성된 출력 Vd는In the base stage (d), the output of the output terminal (b) of the
Vd= Vb+ V3+ VQ2+ VQ3 V d = V b + V 3 + VQ 2 + VQ 3
으로 결정된다. 예컨대 Vb= 5V, V3= 4V, VQ2= 2V, VQ3= 1V 라 하면Is determined. For example, if V b = 5V, V 3 = 4V, VQ 2 = 2V, VQ 3 = 1V
주기 P1에서 Vd= 5 + 4 + 2 + 1 = 12V d = 5 + 4 + 2 + 1 = 12 in period P 1
주기 P2에서 Vd= 5 + 4 + 2 + 0 = 11V d = 5 + 4 + 2 + 0 = 11 in period P 2
주기 P3에서 Vd= 5 + 4 + 0 + 1 = 10V d = 5 + 4 + 0 + 1 = 10 in period P 3
주기 P4에서 Vd= 5 + 4 + 0 + 0 = 9V d = 5 + 4 + 0 + 0 = 9 in period P 4
주기 P5에서 Vd= 5 + 0 + 2 + 1 = 8V d = 5 + 0 + 2 + 1 = 8 in period P 5
주기 P6에서 Vd= 5 + 0 + 2 + 0 = 7V d = 5 + 0 + 2 + 0 = 7 in period P 6
주기 P7에서 Vd= 5 + 0 + 0 + 1 = 6V d = 5 + 0 + 0 + 1 = 6 in period P 7
주기 P8에서 Vd= 5 + 0 + 0 + 0 = 5V d = 5 + 0 + 0 + 0 = 5 in period P 8
와 같이되어 주기 T동안에 제 3 도 d의 하강계단파가 전류증폭기(10)의 트랜지스터(TR5)의 베이스단(d)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전류증폭기(10)에서는 스피커(SP)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점차적으로 감소시킨다.In this manner, during the period T, the falling staging wave of FIG. 3d is applied to the base terminal d of the transistor TR 5 of the
상술한 시간t1에서 제 1 스위치부(2)의 트랜지스터(TR4)의 에미터단(b)의 하이레벨신호에 의하여 또한 멜로디IC(3)가 여진되어 그 출력단(3)에서 출력되는 제 3 도 m의 멜로디는 저항(R16)을 통해서 트랜지스터(TR7)에 인가되어 상술한 전류증폭기(10)에 따라서 증폭되어 스피커(SP)를 통하여 출력된다. 예컨대 계단파형의 신호존속기간(T)이 7분 정도라하면 30초간 멜로디 한곡이 연주되고 5초간 정지된 다음 다시 반복연주될 경우에 12곡 정도가 점차 약해지면서 반복연주된다.At the time t 1 described above, the
이상과 같이 세트된 시간동안(t1- t2)점차적으로 약해지면서 반복연주되다가 시간t2에서 제 4 플립플롭(FF4)의 부출력단에 하이레벨신호가 상기 클럭발생기(14)의 주파수F의 1/8주파수로 출력된다. 상기 부출력단의 하이레벨신호는 콘덴서(C6)를 통해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플립플롭(FF1- FF4)의 리세트 단자에 인가되어 리세트시키므로 제 1 플립플롭(FF1)에 의하여 제 1 스위치부(2)가 도통상태에서 차단상태로 되어 그 출력단(b)에 접속된 멜로디IC(3), 음량제어신호발생부(9) 및 음성신호차단부(6)에는 전원인가가 차단된다. 음성신호차단부(6)의 콘덴서(C10)는 저항(R18)을 통하여 방전되어 트랜지스터(TR8)는 차단상태로 되고 접속점(a)은 제 3 도 c의 시간t2에서 하이레벨상태로 전환되어 음성신호를 감응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epetitive performance becomes gradually weakened gradually during the set time (t 1 -t 2 ), and then the negative output terminal of the fourth flip-flop FF 4 at time t 2 . A high level signal is output at a frequency of 1 / 8th of the frequency F of the
그러므로 차후의 음성신호에 감응하여 상술한 바와같은 동일한 작용으로 멜로디를 점차적으로 약화시키면서 반복 연주 된다.Therefore, in response to a subsequent voice signal, the sam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is repeated while gradually weakening the melod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유아의 울음소리에 감응하여 자장가 멜로디를 연주하기 시작하고 세트된 시간동안 점차적으로 약화시켜 반복연주함으로써 우는 유아를 달래어 잠재우는 효과를 현저하게 크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세트시간동안 강세가 일정하게 반복연주되는 멜로디 장치에 비하여 전력소모가 크게 절감되기 때문에 전지(B+)를 자주 교체해야하는 불편함과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ullabie starts to play the melody in response to the crying of the infant and gradually weakens it over and over again for a set time, thereby remarkably increasing the effect of soothe and calm the crying infant. Power consumption is greatly reduced compared to the melody device in which the accent is constantly repeated, so that the inconvenience and waste of frequent replacement of the battery (B + ) can be obtained.
비록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만 기술하였으나 청구된 청구범위에 제한한 본 발명의 영역에 벗어남이 없이 여러가지 다른 변형과 수정이 있을 수 있다.Although only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various other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70003100A KR900002118B1 (en) | 1987-04-01 | 1987-04-01 | Melody control circuit for the do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70003100A KR900002118B1 (en) | 1987-04-01 | 1987-04-01 | Melody control circuit for the dol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13113A KR880013113A (en) | 1988-11-30 |
KR900002118B1 true KR900002118B1 (en) | 1990-04-02 |
Family
ID=19260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70003100A KR900002118B1 (en) | 1987-04-01 | 1987-04-01 | Melody control circuit for the dol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00002118B1 (en) |
-
1987
- 1987-04-01 KR KR1019870003100A patent/KR900002118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13113A (en) | 1988-1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590903A1 (en) | Output limiter for class-D BICMOS hearing aid output amplifier | |
JPS61245199A (en) | Voice response type simulation language sound generator | |
KR900002118B1 (en) | Melody control circuit for the doll | |
JPH0223874B2 (en) | ||
JP3185229B2 (en) | Pulse signal processing circuit | |
US4487099A (en) | Electro-acoustic transducer drive circuit for producing damped waveform envelope musical notes | |
GB2208957A (en) | Relaxation aid | |
JP3145598B2 (en) | How to power on the amplifier | |
KR910000156Y1 (en) | Noticing circuit of starting output level | |
JPH0526825Y2 (en) | ||
JPS6031192A (en) | Voice generator for toy | |
CN2290262Y (en) | Electronic auto cradle sonic control equipment for child | |
JPH11205095A (en) | Voltage control oscillation circuit | |
JP3440482B2 (en) | Switching circuit | |
JPH0730068Y2 (en) | Automatic volume control circuit | |
KR890001441Y1 (en) | Sound-producing apparatus for dolls | |
KR200294859Y1 (en) | A toy doll which sleeps | |
JPH024525Y2 (en) | ||
JPH0964698A (en) | Oscillator | |
JPS6025274U (en) | vertical deflection device | |
JPS626554Y2 (en) | ||
JPS6087532A (en) | Acoustic reproducer | |
JPS6170815A (en) | Oscillator | |
JPS63244287A (en) | Ic card reading/writing device | |
JPH01183912A (en) | Input signal switching circu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30324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