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0377A - 재생장치, 프로그램,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재생장치, 프로그램, 재생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60377A KR20090060377A KR1020097009498A KR20097009498A KR20090060377A KR 20090060377 A KR20090060377 A KR 20090060377A KR 1020097009498 A KR1020097009498 A KR 1020097009498A KR 20097009498 A KR20097009498 A KR 20097009498A KR 20090060377 A KR20090060377 A KR 200900603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page
- button
- stream
- ps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8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7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4
- 101150101654 PSR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54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9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102100027674 CTD small phosphatase-like prote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2
- 101000725950 Homo sapiens CTD small phosphatase-like prote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102100027667 Carboxy-terminal domain RNA polymerase II polypeptide A small phosphatase 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8
- 101000725947 Homo sapiens Carboxy-terminal domain RNA polymerase II polypeptide A small phosphatase 2 Protein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60 trigge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0071 C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1100478232 Caenorhabditis elegans spr-3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08 change requ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76 im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8 load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316 preloa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87 sel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4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reading from or writing on a non-volatile solid state storage medium, e.g. DVD, CD-RO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3—Read-only disc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8—Write-once disc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6—Hard disk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1—Blu-ray discs; Blue laser DVR disc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11B2220/2575—DVD-RA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9/806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1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sound signal
- H04N9/821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3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character code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I-그래픽스 데이터(13)는 그래픽스 스트림을 디코드하여, 복수 버튼이 배치된 페이지를 동화상과 합성시킨다. 그리고 페이지 상의 버튼에 대응한 코맨드를 실행함으로써 페이지를 절환하는 제어(1), 절환 후의 페이지에 있어서 셀렉티드 상태로 해야 할 버튼을 특정하는 제어(2)를 실행한다. 여기서 셀렉티드 상태로 해야 할 버튼 번호가 무효한 값인가 여부의 판정이 이루어지고, 무효한 값이면 대신하는 값이 상태 레지스터에 설정된다.
페이지 절환, 셀렉티드상태, 버튼번호, 무효한 값, 상태 레지스터
Description
본 발명은 BD-ROM 등의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생장치의 상태를 설정하는 상태설정기능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상태설정은 재생장치가 내장하는 상태 레지스터에 소정 값을 설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태 레지스터에 값을 설정하는 방법에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적인 정보에 따라서 설정하는 방법, 기록매체에 기록된 코맨드에 따라서 동적으로 설정하는 방법, 재생장치에서의 내장 프로그램이 소정의 순서에 따라서 설정하는 방법과 같이, 세 가지가 있다.
재생장치의 내장 프로그램에 맡기는 방법은 편집 담당자가 개입할 여지가 없으므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의 내용에 따라서 설정 값을 변경하는 자유도가 존재하지 않아서, 편집 담당자의 창의성을 살릴 수 있는 장소가 없다.
정적인 설정은, 재생해야 할 영상의 내용에 따른 값을 상태 레지스터에 설정할 수 있으나, 정적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해 버리면 재생장치의 상태가 어떤 상태라도 이와 같은 정적 데이터에 의해 상태 레지스터의 설정 값이 결정되어 버린 다. 즉 재생장치의 동작에 따라서 설정 값을 변화시키는 유연성이 결여된다.
기록매체에 기록된 코맨드 열에 의한 방법은, 사용자가 지금까지 어떤 조작을 행했는가, 또는 재생장치가 어떤 경로로 디지털 스트림을 재생했는가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서 적절한 값을 상태 레지스터에 설정할 수 있으므로,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여지가 편집 담당자에게 생기게 된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상태 레지스터의 설정을 행하도록 편집 담당자는 프로그래밍·디버그·테스트를 행할 필요가 있으므로, 편집 담당자의 부담이 굉장히 커진다.
대자본의 제작회사라면 몰라도 소자본으로 영화제작을 행하고 있는 편집 담당자에게 있어서 이와 같은 작업의 발생은 큰 어려움이며, 본업인 콘텐츠 제작을 압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편집 담당자가 상태 레지스터 설정을 행함에 있어서 작업의 부담을 가볍게 할 수 있는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그래픽스 스트림(Graphics Stream) 및 동화상 스트림(Video Stream)을 재생하는 재생장치로, 그래픽스 스트림은 하나 이상의 대화제어 세그먼트와 그래픽스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대화제어 세그먼트는 복수의 페이지정보와 타임아웃정보를 포함하며, 복수의 페이지정보는 멀티페이지 메뉴의 화면 구성을 규정하는 정보이고, 각 페이지정보는 하나 이상의 버튼정보를 포함하며, 각 버튼정보는 그래픽스 데이터를 버튼 부재의 한 상태로서 표시시킴으로써 멀티페이지 메뉴를 구성하는 각 페이지 상에서 대화적인 화면구성을 실현하는 정보이고, 타임아웃정보는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시간 축 중 대화적인 화면구성의 종기(終期)가 언제인가를 나타내며, 재생에 제공할 그래픽스를 저장하는 플레인 메모리와, 그래픽스 스트림을 디코드하여 그래피컬한 버튼 부재가 복수 배치된 페이지를 얻어서 플레인 메모리에 기록하는 디코드 수단과, 현재 페이지의 번호를 저장하는 페이지번호 레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디코드 수단은 현재 페이지 상의 버튼 부재의 확정조작에 따라서 페이지번호 레지스터에 새로운 페이지번호를 설정하는 취지의 설정 코멘드를 실행하며, 상기 페이지번호 레지스터에 저장된 페이지번호는 타임아웃정보에 나타내는 시각에 도달한 때에 무효화 되고, 상기 페이지번호의 무효화는 디코드 수단이 이미 플레인 메모리에 기록된 페이지를 그래픽스 플레인에서 소거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대화제어 세그먼트에서의 타임아웃정보에 따라서 페이지번호 레지스터의 번호를 무효화함으로써 페이지번호 레지스터에서의 페이지번호를 올바를 내용으로 보장하는 처리를 재생장치 측에 위임할 수 있다.
기술해야 할 처리의 일부를 재생장치 측에 위임할 수 있으므로, 동적인 상태설정을 행함에 있어서의 코딩 양이 감소하여, 편집 담당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제 1 실시 예)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재생장치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재생장치의 실시행위 중 사용행위에 대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재생장치의 사용행위에 대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재생장치는 재생장치 200이며, 텔레비전(300), 리모컨(400)과 함께 홈 씨어터 시스템을 형성한다.
이 BD-ROM(100)은 재생장치(200), 텔레비전(300), 리모컨(400)에 의해 형성되는 홈 씨어터 시스템에 영화작품을 공급하는 용도로 제공된다.
또, 리모컨(400)은 재생장치에 대한 조작을 사용자로부터 접수하는 것이다. 도 1(b)은 대화화면에 대한 조작을 사용자로부터 접수하기 위한 리모컨(400)에서의 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모컨(400)은, MoveUp 키, MoveDown 키, MoveRight 키, MoveLeft 키, 음성절환조작(audio switching operation)을 접수하는 음성절환 키(audio switch key), 자막절환 조작을 접수하는 자막절환 키, 수치 키 「0」~「9」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이 본 발명에 의한 재생장치의 사용형태에 대한 설명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 의한 재생장치의 재생대상이 되는 기록매체인 BD-ROM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BD-ROM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의 제 4 단째에 BD-ROM을 나타내고, 제 3 단째에 BD-ROM 상의 트랙을 나타낸다. 본 도면의 트랙은 BD-ROM의 내주에서 외주에 걸쳐서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트랙을 횡 방향으로 연장시켜서 도시하고 있다. 이 트랙은, 리드인 영역과, 볼륨 영역과, 리드아웃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본 도면의 볼륨 영역은 물리 층, 파일시스템 층, 응용 층의 레이어 모델(layer model)을 갖는다. 디렉터리 구조를 사용하여 BD-ROM의 응용 층 포맷(애플리케이션 포맷)을 표현하면 도면 중의 제 1 단째와 같이 된다. 본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BD-ROM에는, 루트(ROOT) 디렉터리의 아래에 BDMV 디렉터리가 있고, BDMV 디렉터리의 밑에는 YYY.MPLS, XXX.CLPI, XXX.M2TS, ZZZ.M2TS, ZZZ.CLPI라는 파일이 존재한다. 파일 XXX.M2TS가 AVClip에 해당하고, 파일 XXX.CLPI가 Clip정보에 해당한다.
본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포맷을 작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기록매체는 생산된다.
<AVClip의 구성>
이어서, 영화 콘텐츠의 구성요소(AVClip-Clip정보) 중 AVClip에 대하여 설명 한다.
도 3은 AVClip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AVClip은(중간 단) 복수의 비디오 프레임(픽처 pj 1, 2, 3)으로 이루어지는 비디오 스트림, 복수의 오디오 스트림으로 이루어지는 오디오 스트림을(상 1 단째), PES 패킷 열로 변환하고(상 2 단째), 또한, TS 패킷으로 변환하며(상 3 단째), 마찬가지로 자막 계의 프레젠테이션 그래픽스 스트림(presentation graphics stream, PG 스트림) 및 대화 계의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스트림(interactive graphics stream, IG 스트림)(하 1 단째)을 PES 패킷 열로 변환하고(하 2 단째), 또한, TS 패킷으로 변환하여(하 3 단째) 이들을 다중화함으로써 구성된다.
자막을 구성하는 것은 AVClip에 다중화된 PG 스트림만은 아니다. textST 스트림에 의해서도 자막은 구성된다. textST 스트림은 텍스트 데이터에 의해 자막을 표현하는 데이터 열이다. textST 스트림은 SubClip이라고 불리며, AVClip과는 다른 파일명으로 BD-ROM 또는 재생장치 내의 HD에 기록된다. 자막을 구성하는 PG 스트림, textST 스트림은 PG_textST_stream이라는 명칭으로 불린다. 이상이 AVClip에 대한 설명이다.
<Clip정보의 구성>
이어서, XXX.CLPI에 대하여 설명한다.
Clip정보(XXX.CLPI)는 개개의 AVClip에 대한 관리정보이다. 도 4는 Clip정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중의 인출 선은 Clip정보의 구성을 클로즈업하고 있다. 인출선 hn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lip정보(XXX.CLPI)는, 「 Program Info.」와 비디오 스트림 중 I 픽처의 선두를 검색하기 위한 「EP_map」을 포함한다.
『Program info』는 AVClip에 다중화되어 있는 개개의 엘리멘터리 스트림(elementary stream)에 대한 PID 및 속성을 stream_index에 대응시켜서 나타내는 정보이다. stream_index는 본 Clip정보가 대응하는 AVClip에 다중화되어 있는 개개의 엘리멘터리 스트림에 대한 인덱스이다. stream_index에 의해 식별되는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PID는 점선 화살표 hn 2로 나타내는 복수의 stream_PID〔stream_index〕entry에 제시된다.
또, 각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속성은 점선 화살표 hn 2로 나타내는 복수의 stream_Attribute〔stream_index〕에 제시된다. 여기에 제시되는 속성에는 비디오 속성, 오디오 속성, 그랙픽스 속성이 있다. 비디오 속성은 PID에 대응하는 엘리멘터리 스트림이 어떤 압축방식으로 압축되었는가(Coding), 비디오 스트림을 구성하는 개개의 픽처 데이터의 해상도가 어느 정도인가(Resolution), 애스펙트 비(aspect ratio)는 어느 정도인가(Aspect),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는 어느 정도인가 등을 나타낸다. 한편, 오디오 속성은 그 오디오 스트림이 어떤 압축방식으로 압축되었는가(Coding), 그 오디오 스트림의 채널속성이 무엇인가(Ch.), 어떤 언어에 대응하고 있는가(Lang) 등을 나타낸다. stream_index를 이용함으로써, 원하는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속성을 Program Info. 로부터 검색할 수 있다.
『EP_map』은 복수의 선두검색 위치의 어드레스를 시각정보를 사용하여 간접참조하기 위한 레퍼런스 테이블(reference table)이며, 점선 인출선 hn 5로 나타내 는 바와 같이, 복수의 엔트리 정보(ACCESS UNIT #1 엔트리, ACCESS UNIT #2 엔트리, ACCESS UNIT #3 엔트리, …)와 엔트리 수(Number)로 이루어진다.
각 엔트리는, 인출선 hn 6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응하는 I 픽처의 재생개시시각을 I 픽처의 어드레스와 I 픽처의 사이즈(I-size)를 대응시켜서 나타낸다. I 픽처의 재생개시시각은 I 픽처의 타임 스탬프(Presentation Time Stamp)로 표현된다. 또 I 픽처 어드레스는 TS 패킷의 일련번호((SPN(Source Packet Number))로 표현된다. 또한, XXX.CLPI의 파일명 XXX는 Clip정보가 대응하고 있는 AVClip과 동일한 명칭이 사용된다. 즉 본 도면에서의 AVClip의 파일명은 XXX이므로 AVClip (XXX.M2TS)에 대응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이 Clip정보에 대한 설명이다.
<ZZZ.M2TS, ZZZ.CLPI>
이어서, ZZZ.M2TS, ZZZ.CLPI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브 Clip(ZZZ.M2TS)은 다른 AVClip과 동기 재생되는 스트림을 내장한 파일이다. 이와 같은 스트림의 대표적인 것이 상술한 textST 스트림이다. 이외의 서브 Clip에는 오디오 스트림이나 IG 스트림이 있다. 서브 Clip과 구별하기 위해, 도 3에 나타낸 AVClip을 메인 Clip이라고 부른다.
Clip정보(ZZZ.CLPI)는 서브 Clip에 대응하는 Clip정보이다.
<PL정보의 구성>
이어서 YYY.MPLS에 대하여 설명한다. 플레이리스트 정보(playlist information, YYY.MPLS)는 메인패스(main path) 및 서브패스(subpath)라고 불리는 2종류의 재생경로를 결합한 것을 Playlist(PL)로 정의하는 정보이다. 도 5는 플레 이리스트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본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레이리스트 정보는, 메인패스를 정의하는 Play Item 정보 #1, #2, …, #m과, 서브패스를 정의하는 서브패스 정보 #1, #2, …, #p로 이루어진다.
메인패스는 주된 AVClip 상에 정의되는 재생경로이다. 한편, 서브패스는 서브 Clip 상에 정의되는 재생경로이다.
먼저, 메인패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메인패스는 복수의 PlayItem 정보(PlayItem 정보 #1, #2, #3, …, #n)와 이들 PlayItem 정보 수(Number)로부터 정의된다. PlayItem 정보는 메인패스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논리적인 재생구간을 정의한다. PlayItem 정보의 구성은 인출선 hs 1에 의해 클로즈업 되어 있다. 이 인출 선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layItem 정보는, 재생구간의 In 점 및 Out 점이 속하는 AVClip의 재생구간 정보의 파일명을 나타내는 『Clip_Information_file_name』과, 당해 AVClip이 어떤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있는가를 나타내는 『Clip_codec_identifier』와, 재생구간의 시점을 나타내는 시간정보 『IN_time』과, 재생구간의 종점을 나타내는 시간정보 『OUT_time』과, AVClip 및 서브 Clip에 다중화되어 있는 엘리멘터리 스트림 중 재생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STN_table』로 구성된다.
PlayItem 정보의 특징은 시간정보-어드레스 변환을 전제로 한 표기법에 있다. 즉 EP_map을 레퍼런스 테이블로 사용한 간접참조의 형식으로 재생구간이 정의되어 있다. 도 6은 PL정보에 의한 간접참조를 모식화한 도면이다. 본 도면에 있어서 AVClip은 복수의 TS 패킷으로 구성되어 있다. Clip정보 내의 EP_map은 이들 복 수의 I 픽처의 선두에 해당하는 위치의 TS 패킷의 섹터 어드레스를 화살표 ay 1, 2, 3, 4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지정하고 있다. 도면 중의 화살표 jy 1, 2, 3, 4는 PlayItem 정보에 의한 TS 패킷의 참조를 모식화하여 나타내고 있다. 즉, PlayItem 정보에 의한 참조(화살표 jy 1, 2, 3, 4)는, EP_map을 사용함으로써, AVClip 내에 포함되는 복수 TS 패킷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간접참조임을 알 수 있다.
PlayItem 정보-Clip정보-AVClip의 세트로 이루어지는 BD-ROM 상의 재생구간을 『Play Item』이라고 한다. BD-ROM에 기록된 영화작품은 이 Play Item에 의해서 구성된다. 논리적인 재생단위에 의해서 BD-ROM에서의 영화작품이 구성되므로, 어떤 영화작품의 신(scene)을 구성하는 AVClip을 다른 영화작품에서 인용하는 "공유(sharing)"를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다양한 PL정보를 정의하는 것만으로 영화작품의 변형물(variation)이 증가하므로, 영화제작자의 표현의 폭을 증가시키는 것이 정적인 시나리오의 최대의 메리트이다. 또, BD-ROM에서의 재생단위에는 PlayItem 외에, 타이틀(Title), 챕터(Chapter)가 있다. 타이틀은, 소위 영화작품에 상당하는 재생단위이며, 하나 이상의 PL정보로 구성된다. 한편, 챕터는, 소위 장(章)에 상당하는 단위이며, 마크정보(mark information)라고 불리는 정보에 의해 규정된다.
또한, PL정보의 파일명 YYY는 BD-ROM에 있어서 PL정보에 부여되는 3자리의 식별번호를 추상화하고 있다. 즉 본 도면에서의 PL정보는 이 식별번호 YYY를 사용하여 고유하게(uniquely) 식별된다. PL정보의 식별번호를 "YYY"라고 표현하고 있는 것은 PL정보의 식별번호가 AVClip 및 AVClip정보의 식별번호 XXX와는 다른 번호체 계임을 의미하고 있다(여기에서의 3자리라는 자릿수는 예시에 불과하며, 몇 자리라도 좋다).
이상이 메인패스에 대한 설명이다. 이어서 서브패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브패스>
도 5의 화살표 hc 1은 서브패스 정보의 내부 구성을 클로즈업하여 나타낸다. 이 화살표 hc 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서브패스 정보는 하나 이상의 서브 PlayItem으로 이루어진다. 또, 각 서브 PlayItem은 도면 중의 화살표 hc 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Clip_information_file_name』, 『clip_codec_identifier』, 『SubPlayItem_In_time』, 『SubPlayItem_Out_time』, 『sync_PlayItem_id』, 『sync_start_PTS_of_PlayItem』으로 이루어진다.
『Clip_information_file_name』은 Clip정보의 파일명을 기술함으로써 서브 PlayItem에 대응하는 서브 Clip을 고유하게 지정하는 정보이다.
『Clip_codec_identifier』는 당해 AVClip이 어떤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있는가를 나타낸다.
『SubPlayItem_In_time』은 서브 Clip의 재생시간 축 상에서의 서브 PlayItem의 시점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SubPlayItem_Out_time』은 서브 Clip의 재생시간 축 상에서의 서브 PlayItem의 종점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sync_PlayItem_id』는 메인패스를 구성하는 PlayItem 중 본 서브 PlayItem이 동기해야 하는 것을 고유하게 지정하는 정보이다. SubPlayItem_In_time은 이 sync_PlayItem_id에 의해 지정된 Play Item의 재생시간 축 상에 존재한다.
『sync_start_PTS_of_PlayItem』은 sync_PlayItem_id로 지정된 PLay Item의 재생시간 축 상에 있어서, SubPlayItem_In-time으로 지정된 서브 PlayItem의 시점이 어디에 존재하는가를 나타낸다. 서브 PlayItem의 재생시에 있어서 현재의 재생시점이 이 sync_start_PTS_of_PlayItem으로 지시되는 시점에 도래한 경우, 서브 PlayItem에 의한 재생이 개시된다.
도 7은 sync_PlayItem_id, sync_start_PTS_of_PlayItem에 의한 서브 PlayItem의 동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의 메인패스는 Play Item #1, #2, #3으로 이루어진다. 서브패스를 구성하는 서브 PlayItem의 sync_PlayItem_id, sync_start_PTS_of_PlayItem의 지정은 점선 틀 wh 1의 내부에 도시하는 바와 같으며, sync_PlayItem_id는 PlayItem #1을 나타내도록 설정되어 있다. sync_start_PTS_of_PlayItem은 Play Item의 재생시간 축 상에서의 시점 t 1을 나타내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렇게 하면, Play Item의 재생시간 축 상에 있어서, 현재의 재생시점이 t 1에 도달한 때에, Clip_information_file_name에 의해 지정된 서브 Clip(textST 스트림) 중 SubPlayItem_In_time에서 SubPlayItem_Out_time까지의 부분이 재생되게 된다. 이와 같은 재생에 의해, textST 스트림 중 SubPlayItem_In_time, SubPlayItem_Out_time으로 지정된 부분이 AVClip과 동기 재생되게 된다. 이상이 서브패스 정보에 대한 설명이다.
상술한 Play Item 정보의 구성에서 STN_table은 상태설정에 사용되는 정보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없어서는 안 되는 필요불가결한 요소이다. 이하 STN_table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STN_table>
STN_table은 Play Item의 Clip_information_file_name으로 지정되어 있는 AVClip에 다중화된 복수의 엘리멘터리 스트림이나 서브 PlayItem의 Clip_information_file_name으로 지정되어 있는 서브 Clip 내의 엘리멘터리 스트림 중 재생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복수의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각각에 대한 entry를 attribute와 대응시킴으로써 구성된다. 여기서, "재생가능"은 Play Item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AVClip에 다중화되어 있는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주로 의미한다. 그러나 이것만이 아니라, AVClip과는 별개로 기록되면서 이 엘리멘터리 스트림과 함께 재생되는 엘리멘터리 스트림(textST 스트림)도 포함한다.
도 8은 STN_table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TN_table은 STN_table에서의 entry와 attribute와의 세트(entry-attribute)를 복수 포함하고, 이들 entry-attribute의 세트의 개수(number_of_ video_stream_entries, number_of_audio_stream_entries, number_of_PG_textST_ stream_entries, number_of_IG_stream_entries)를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로 되어 있다.
entry-attribute의 세트는, 도면 중의 괄호기호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Play Item에서 재생 가능한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PG_textST_stream, IG 스트림의 각각에 대응하고 있다.
entry-attribute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a) ~ (d)는 entry-attribute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비디오 스트림에 대응한 entry-attribute의 세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비디오 스트림에서의 엔트리는 AVClip을 다중 분리할 때에 당해 비디오 스트림의 추출에 사용되는 PID를 나타내는 『ref_to_stream_PID_of_mainClip』을 포함한다.
비디오 스트림에서의 attribute는 0x02로 설정된 『stream_coding_type』과 비디오 스트림의 표시 레이트(display rate)를 나타내는 『Frame_rate』 등을 포함한다.
도 9(b)는 비디오 스트림에 대응한 entry-attribute의 세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비디오 스트림에서의 엔트리는 AVClip을 다중 분리할 때에 당해 비디오 스트림의 추출에 사용되는 PID를 나타내는 『ref_to_stream_PID_of_mainClip』을 포함한다.
오디오 스트림에서의 attribute는, 0x80(LinearPCM), 0x81(AC-3), 0x82(DTS)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됨으로써 오디오 스트림의 코딩 타입을 나타내는 『stream_coding_type』과, 대응하는 오디오 스트림의 채널 구성을 나타내고, 서라운드(surround) 출력의 여부를 나타내는 『audio_presentation_type』과, 대응하는 오디오 스트림의 언어속성을 나타내는 『audio_language_code』 등으로 이루어진 다.
도 9(c)는 PG 스트림에 대응한 entry-attribute의 세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PG 스트림에서의 엔트리는 AVClip을 다중 분리할 때에 당해 PG 스트림의 추출에 사용되는 PID를 나타내는 『ref_to_stream_PID_of_mainClip』을 포함한다.
PG 스트림에서의 attribute는, 0x90으로 설정됨으로써 PG 스트림의 코딩을 나타내는 『stream_coding_type』과, 대응하는 PG 스트림의 언어속성을 나타내는 『PG_language code』로 이루어진다.
도 9(d)는 textST 스트림에 대응한 entry-attribute의 세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textST 스트림에서의 엔트리는, textST 스트림을 저장한 SubClip의 엔트리 식별자를 나타내는 『ref_to_subClip_entry_ID』와, 동기 정보의 ID를 나타내는 『ref_to_subPath_ID』와, textST 스트림에 부가된 PID를 나타내는 『ref_to_stream_PID_of_subClip』으로 이루어진다.
textST 스트림에서의 attribute는, 0x92로 설정됨으로써 textST 스트림이라는 취지를 나타내는 『stream_coding_type』과, 대응하는 textST 스트림의 캐릭터 코드를 나타내는 『character code』와, 대응하는 textST 스트림의 언어속성을 나타내는 『language code』로 이루어진다.
도 9(e)는 IG 스트림에 대응한 entry-attribute의 세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IG 스트림에서의 엔트리는, AVClip을 다중 분리할 때에, 당해 IG 스트림의 추출에 사용되는 PID를 나타내는 『ref_to_stream_PID_of_mainClip』을 포함한다.
IG 스트림에서의 attribute는, 0x91로 설정됨으로써 IG 스트림의 코딩을 나타내는 『stream_coding_type』과, 대응하는 IG 스트림의 언어속성을 나타내는 『language code』로 이루어진다. 이상이 각 엘리멘터리 스트림에 대한 entry-attribute의 데이터 구조이다. STN_table에서의 엔트리의 순위는 대응하는 스트림을 선택할 때의 우선순위로서 해석된다. 또 STN_table에서 textST 스트림, PG 스트림을 하나로 정리해서 기술하고 있는 것은, PG 스트림, textST 스트림을 대등하게 취급하여, 이들의 우열을 규정하기 위함이다. 즉 PG_textST_stream에 상당하는 엔트리 군에 있어서 textST 스트림에 대응하는 엔트리가 PG 스트림에 대응하는 엔트리보다 상위에 기술되어 있는 경우, PG 스트림 보다 textST 스트림이 우선적으로 선택되게 된다. 역으로 STN_table에 있어서 PG 스트림에 대응하는 엔트리가 textST 스트림에 대응하는 엔트리보다 상위에 기술되어 있는 경우, PG 스트림이 우선적으로 선택되게 된다.
이상의 STN_table은 플레이리스트 정보마다 존재하므로, 어떤 플레이리스트 정보 내의 STN_table에서는 어떤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엔트리가 상위이나, 다른 플레이리스트 정보 내의 STN_table에서는 그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엔트리가 하위에 설정되는 경우도 있다.
이상이 BD_ROM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포맷의 데이터 구조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재생장치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기록매체는 BD-ROM 만은 아니다. 재생장치에 내장 되어 있는 HD도 재생대상이 된다. 이 HD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은 HD에도, 서브 Clip을 저장한 파일, Clip정보를 저장한 파일, 플레이리스트 정보를 저장한 파일이 존재한다. 이들 파일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프리로드(preload) 된 서브 Clip, Clip정보, 플레이리스트 정보이다. 도 10은 프리로드 된 플레이리스트 정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리로드 플레이리스트 정보는 도 5에 나타낸 BD-ROM 상의 플레이리스트 정보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른 점은 Play Item 정보에서의 Clip_ Information_file_name 및 서브 PlayItem 정보의 Clip_Information_file_name이 BD-ROM 및 HD 중 어느 쪽에 존재하는 Clip정보라도 지정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지정에 있어서는, 프리로드 플레이리스트 정보는 BD-ROM 상의 파일을 풀 패스(full path)로 지정할 필요는 없다. 본 HD는 BD-ROM과 일체가 되어서, 가상적인 하나의 드라이브(가상 패키지라고 불린다)로서 재생장치에 의해 인식되기 때문이다. 고로, PlayItem 정보에서의 Clip_Information_file_name 및 서브 PlayItem 정보의 Clip_Information_file_name은 Clip정보를 저장한 파일의 파일 보디(file body)에 해당하는 수치 XXX, ZZZ를 지정함으로써, HD, BD-ROM 상의 AVClip을 지정할 수 있다. 도 11은 HD 상의 플레이리스트 정보 내의 Clip_Information_file_name에 의한 파일 지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의 화살표 rf 1, rf 2, rf 3은 플레이리스트 정보에서의 Play Item의 Clip_Information_file_name에 의한 지정을 나타내고, 화살표 pf 1, pf 2, pf 3은 플레이리스트 정보에서의 서브 PlayItem의 Clip_Information_file_name에 의한 지정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Clip_Information _file_name에 의한 지정에 의해 HD 상의 서브 Clip에 정의된 서브패스를 BD-ROM 상의 메인 Clip 상에 정의된 메인패스와 동기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데이터 구조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술된 클래스 구조체의 인스턴스(instance)이며, 편집을 행하는 제작자는 이 클래스 구조체를 기술함으로써 BD-ROM 상의 이들 데이터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이 기록매체의 설명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 의한 재생장치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재생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재생장치는 본 도면에 나타내는 내부에 의거하여 공업적으로 생산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재생장치는 주로 시스템 LSI와 드라이브 장치라고 하는 2개의 파트로 이루어지며, 이들 파트를 장치의 캐비닛 및 기판에 실장 함으로써 공업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시스템 LSI는 재생장치의 기능을 담당하는 다양한 처리부를 집적한 집적회로이다. 이렇게 해서 생산되는 재생장치는, BD 드라이브(1), 리드 버퍼 2, 디멀티플렉서 3, 비디오 디코더(4), 비디오 플레인(video plane, 5), P-그래픽스 디코더(9), 프레젠테이션 그래픽스 플레인(Presentation Graphics plane, 10), 합성부(11), 폰트제네레이터(12), I-그래픽스 디코더(13), 스위치(14),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플레인(15), 합성부(16), HDD(17), 리드 버퍼 18, 디멀티플렉서 19, 오디오 디코더(20), 시나리오 메모리(23), 제어부(24), 스위치(25), CLUT부 26, CLUT부 27, PSR세트(28), 조작접수부(29), 천이제어부(30)로 구성된다.
BD-ROM 드라이브(1)는 BD-ROM의 로딩/인젝트를 행하며, BD-ROM에 대한 액세 스를 실행한다.
리드 버퍼 2는 FIFO 메모리이고, BD-ROM으로부터 판독된 TS 패킷이 선입선출 식으로 저장된다.
디멀티플렉서(De-MUX)(3)는, 리드 버퍼 2에서 TS 패킷을 인출하고, 이 TS 패킷을 구성하는 TS 패킷을 PES 패킷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변환에 의해 얻어진 PES 패킷 중 제어부(24)로부터 설정된 streamPID를 갖는 것을, 비디오 디코더(4), 오디오 디코더(20), P-그래픽스 디코더(9), I-그래픽스 디코더(13) 중 어느 곳으로 출력한다.
비디오 디코더(4)는 디멀티플렉서 3에서 출력된 복수 PES 패킷을 복호하여 비 압축형식의 픽처를 얻어서 비디오 플레인(5)에 기록한다.
비디오 플레인(5)은 비 압축형식의 픽처를 저장해 두기 위한 플레인이다. 플레인이란 재생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화면 분의 화소 데이터를 저장해 두기 위한 메모리 영역이다. 재생장치에 복수의 플레인을 설치해 두고, 이들 플레인의 저장내용을 화소별로 가산하여 영상출력을 행하면, 복수의 영상내용을 합성시킨 상태로 영상출력을 행할 수 있다. 비디오 플레인(5)에서의 해상도는 1920 × 1080이고, 이 비디오 플레인(5)에 저장된 픽처 데이터는 16비트의 YUV 값으로 표현된 화소 데이터에 의해 구성된다.
P-그래픽스 디코더(9)는, BD-ROM, HD로부터 판독된 그래픽스 스트림을 디코드하여, 비 압축 그래픽스를 프레젠테이션 그래픽스 플레인(10)에 기록한다. 그래픽스 스트림의 디코드에 의해 자막이 화면상에 나타나게 된다.
프레젠테이션 그래픽스 플레인(10)은 하나의 화면 분의 영역을 갖는 메모리이며, 하나의 화면 분의 비 압축 그래픽스를 저장할 수 있다. 본 플레인에서의 해상도는 1920 × 1080이고, 프레젠테이션 그래픽스 플레인(10) 중의 비 압축 그래픽스의 각 화소는 8비트의 인덱스 컬러로 표현된다. CLUT(Color Lookup Table)를 사용하여 이와 같은 인덱스 컬러를 변환함으로써, 프레젠테이션 그래픽스 플레인(10)에 저장된 비 압축 그래픽스는 표시에 제공된다.
합성부(11)는 비 압축상태의 픽처 데이터(i)를 프레젠테이션 그래픽스 플레인(10)의 저장 내용과 합성한다.
폰트제네레이터(12)는 문자 폰트를 사용하여 textST 스트림에 포함되는 텍스트 코드를 비트맵으로 전개한다.
I-그래픽스 디코더(13)는 BD-ROM 또는 HD로부터 판독된 IG 스트림을 디코드하여, 비 압축 그래픽스를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플레인(15)에 기록한다.
스위치(14)는 폰트제네레이터(12)가 생성한 폰트 열, P-그래픽스 디코더(9)의 디코드에 의해 얻어진 그래픽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프레젠테이션 그래픽스 플레인(10)에 기록하는 스위치이다.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플레인(15)은 I-그래픽스 디코더(13)에 의한 디코드에서 얻어진 비 압축 그래픽스가 기록된다.
합성부(16)는 비 압축 상태의 픽처 데이터(i), 프레젠테이션 그래픽스 플레인(10)의 저장 내용과 합성된 픽처 데이터(ii)를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플레인(15)의 저장 내용과 합성한다.
HDD(17)는 상술한 재생장치 내장형의 HD이다. 본 HDD의 기록내용을 판독하고, BD-ROM의 기록내용과 동적으로 조합시킴으로써, BD-ROM에 존재하지 않는 그래픽스 스트림의 재생이나 BD-ROM에 존재하지 않는 textST 스트림에 의한 재생을 실현할 수 있다.
리드 버퍼 18는 FIFO 메모리이며, HDD(17)로부터 판독된 TS 패킷이 선입선출 식으로 저장된다.
디멀티플렉서(De-MUX)(19)는 리드 버퍼 18로부터 TS 패킷을 인출하여, TS 패킷을 PES 패킷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변환에 의해 얻어진 PES 패킷 중 제어부(24)에 의해 지시된 streamPID를 갖는 것을 폰트제네레이터(12)에 출력한다.
오디오 디코더(20)는 디멀티플렉서 19로부터 출력된 PES 패킷을 복호하여, 비 압축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시나리오 메모리(23)는 현재 PL정보나 현재 Clip정보를 저장해 두기 위한 메모리이다. 현재 PL정보란 BD-ROM에 기록되어 있는 복수 PL정보 중 현재 처리대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현재 Clip정보란 BD-ROM에 기록되어 있는 복수 Clip정보 중 현재 처리대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제어부(24)는, 시나리오 메모리(23)에서 판독된 현재 PL정보, 현재 Clip정보에 따라서 BD-ROM에 기록된 AVClip을 판독하고 재생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 제어에서 디멀티플렉서 3은 현재 PL정보 중 플레이리스트 정보로부터 현재 Play Item을 특정하고, 그 현재 Play Item의 Clip_information_file_name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AVClip을 액세스한다. 그리고 현재 Clip정보를 참조하여, AVClip 중 Play Item의 In_time에서 Out_time까지에 상당하는 TS 패킷을 판독하도록 BD-ROM 드라이브(1)를 제어한다. TS 패킷이 판독되면, 이것을 순차 디멀티플렉서 3을 통해서 비디오 디코더(4), P-그래픽스 디코더(9), I-그래픽스 디코더(13), 오디오 디코더(20)에 투입하여 AVClip을 재생시켜 간다.
현재 Play Item에 동기하는 서브 PlayItem이 플레이리스트 정보 내에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24)는 그 서브 PlayItem에 의해 지정되는 서브 Clip을 메인 Clip과 동기하여 재생시킨다. 이 동기는, 서브 PlayItem의 Sync_Start_PTS_of_PlayItem에 상당하는 픽처 데이터가 메인 Clip으로부터 판독되는 것을 기다려서, 그 서브 PlayItem의 SubPlayItem_In_time에서부터 SubPlayItem_Out_time까지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재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스위치(25)는 BD-ROM 및 HD로부터 판독된 각종 데이터를 리드 버퍼 2, 리드 버퍼 18, 시나리오 메모리(24)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투입하는 스위치이다.
CLUT부 26은 비디오 플레인(5)에 저장된 비 압축 그래픽스에서의 인덱스 컬러를 Y, Cr, Cb 값으로 변환한다.
CLUT부 27은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플레인(15)에 저장된 비 압축 그래픽스에서의 인덱스 컬러를 Y, Cr, Cb 값으로 변환한다.
PSR세트(28)는 재생장치에 내장되는 레지스터이며, 64개의 플레이어 스테이터스 레지스터(Player Status Register, PSR)와 4096개의 제너럴 퍼포즈 레지스터(General Purpose Register, GPR)로 이루어진다. 플레이어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의 설정 값(PSR)이 어떤 의미를 갖는가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조작접수부(29)는, 스트림 등을 선택하는 조작이 리모컨이나 재생장치의 프런트 패널에 대하여 이루어지면, 그 조작을 나타내는 사용자 오퍼레이션 정보를 제어부(24)에 출력한다.
천이제어부(30)는 제어부(24)의 구성요소의 하나이며, STN_table에 기술되어 있는 entry-attribute의 세트 중 PSR의 수치에 대응하는 것 중에서 Stream-PID를 인출하여, 디멀티플렉서 3, 디멀티플렉서 19에 설정한다. 디멀티플렉서 3, 디멀티플렉서 19에 대한 설정은 PSR의 설정 값에 의거하므로, 천이제어부(30)는 장치에서의 상태변화나 변경요구에 따라서 PSR에 값을 설정하는 처리를 행한다.
재생장치의 상태변화시에 천이제어부(30)는, 설정 값이 종료 값인가, 무효한 값(Invalid)인가 부정 값인가를 판정하고, 유효한 값(Valid)이면 PSR의 설정 값을 유지한다. 부정 값 또는 무효한 값이면 최적 값을 PSR에 설정한다.
또 조작접수부(29)로부터 출력된 사용자 오퍼레이션 정보나 I-그래픽스 디코더(13)로부터 출력된 버튼 코맨드에 의해 PSR의 변경이 요구된 경우, 천이제어부(30)는, 조작접수부(29)로부터 출력된 사용자 오퍼레이션 정보, I-그래픽스 디코더(13)로부터 출력된 버튼 코맨드에 의거하여, PSR에 설정해야 할 값(값 X)을 결정하고, 이 값 X에 의거하여 PSR을 갱신하는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조작접수부(29)로부터 출력된 사용자 오퍼레이션 정보가 음성절환 키, 부 영상절환 키가 눌러진 것을 나타내는 것이면, PSR의 수치에 1을 더한 값을 값 X로 결정한다. 또, 조작접수부(29)로부터 출력된 사용자 오퍼레이션 정보가 수치 키가 눌러진 것을 나타내는 것이면, 그 눌러진 값을 값 X로 결정한다. 한편, 조작접수부(29)로부터 출력된 버 튼 코맨드가 PSR의 설정을 재생장치에 명하는 것이면, 그 버튼 코맨드의 인수(引數)에 의해 지정된 값을 X로 결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값 X가 결정되면, 값 X가 유효한 값(Valid)인가, 부정 값 혹은 무효한 값(Invalid)인가를 판정하고, 판정결과에 따른 PSR 갱신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값 X가 유효이면, 값 X를 사용하여 PSR을 덮어쓰기(overwrite) 한다. 값 X가 부정 값이면 최적 값을 선택하여 PSR에 설정한다. 값 X가 무효한 값이면 PSR의 수치를 유지한다.
<PSR에 대한 설명>
이상이 본 발명에 의한 재생장치의 구성이다. 이어서 PSR 세트에서의 개개의 PSR에 대하여 설명한다. PSR 세트 중, PSR 1, PSR 2, PSR 15, PSR 16, PSR 30은 재생장치에서의 음성·자막의 선택이나, 이들을 디코드·표시하는 능력의 유무, 언어설정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3은 PSR 1, PSR 2, PSR 15, PSR 16, PSR 30의 상세 설정을 나타낸다.
PSR 1은 재생장치에 의해 현재 선택되어 있는 오디오 스트림을 특정한다.
PSR 2는 disp_flag를 포함하며, 재생장치에 의해 현재 선택되어 있는 PG_textST_stream을 특정한다. disp_flag는, "0"으로 설정됨으로써 PG 스트림 및 textST 스트림의 표시가 불가능함을 나타내고, "1"로 설정됨으로써 PG 스트림 및 textST 스트림의 표시가 가능함을 나타낸다.
PSR 15는 LPCM capability, AC-3 capability, DTS capability를 포함한다. LPCM capability는, 0001b로 설정됨으로써 LPCM 형식의 스테레오 음성을 재생할 수 있는 능력이 재생장치에 있음을 나타내고, 0010b로 설정됨으로써 LPCM 형식의 서라 운드 음성을 재생할 수 있는 능력이 재생장치에 있음을 나타낸다.
AC-3 capability는, 0001b로 설정됨으로써 AC-3 형식의 스테레오 음성을 재생할 수 있는 능력이 재생장치에 있음을 나타내고, 0010b로 설정됨으로써 AC-3 형식의 서라운드 음성을 재생할 수 있는 능력이 재생장치에 있음을 나타낸다.
DTS capability는, 0001b로 설정됨으로써 DTS 형식의 스테레오 음성을 재생할 수 있는 능력이 재생장치에 있음을 나타내고, 0010b로 설정됨으로써 DTS 형식의 서라운드 음성을 재생할 수 있는 능력이 재생장치에 있음을 나타낸다. 한편, 0000으로 설정됨으로써 DTS 형식의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드하는 능력이 재생장치에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PSR 16은 OXFFFF 이외의 값이 설정됨으로써 오디오 스트림의 언어속성을 나타낸다. OXFFFF가 설정됨으로써 오디오 스트림의 언어속성이 불특정임을 나타낸다.
PSR 30은, 최상위 비트가 "0"으로 설정됨으로써 텍스트 자막을 표시하는 능력이 재생장치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취지를 나타내고, 최상위 비트가 "1"로 설정됨으로써 텍스트 자막을 표시하는 능력이 재생장치에 존재한다는 취지를 나타낸다.
이상이 도 13에 대한 설명이다. 이어서, 도 14를 참조하면서 PSR 4 ~ PSR 8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PSR 4 ~ PSR 8의 상세 설정을 나타낸다.
PSR 4는, 1 ~ 100의 값으로 설정됨으로써 현재의 재생시점이 속하는 타이틀을 나타내고, 0으로 설정됨으로써 현재의 재생시점이 톱 메뉴임을 나타낸다.
PSR 5는, 1 ~ 999의 값으로 설정됨으로써 현재의 재생시점이 속하는 챕터 번호를 나타내고, OxFFFF로 설정됨으로써 재생장치에 있어서 챕터 번호가 무효라는 것을 나타낸다.
PSR 6은 0 ~ 999의 값으로 설정됨으로써 현재의 재생시점이 속하는 PL(현재 PL)의 번호를 나타낸다.
PSR 7은 0 ~ 255의 값으로 설정됨으로써 현재의 재생시점이 속하는 Play Item(현재 Play Item)의 번호를 나타낸다.
PSR 8은 0 ~ 0xFFFFFFFF의 값으로 설정됨으로써 45KHz의 시간 정밀도를 사용하여 현재의 재생시점(현재 PTM)을 나타낸다. 이상이 PSR 4 ~ PSR 8에 대한 설명이다.
<PSR 1의 상태천이>
도 13에 도시한 PSR 중 PSR 1의 상태천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PSR 1은 현재 Play Item의 STN_table에 엔트리가 기술되어 있는 복수 오디오 스트림 중 하나를 특정하는 것이다. PSR 1의 설정 값이 변화하면 재생장치는 이 변화 후의 오디오 스트림을 재생한다. PSR 1은 초깃값으로 OxFF가 설정되어 있고, 재생장치에 의해 1 ~ 32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OxFF는 부정 값이며, 오디오 스트림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취지 또는 오디오 스트림이 선택되어 있지 않다는 취지를 나타낸다. 1 ~ 32의 설정 값은 오디오 스트림 번호로 해석된다.
도 15(a)는 PSR 1의 설정 값을 취할 수 있는 상태천이를 나타낸다. 본 도면에 있어서 Valid는, PSR 1의 값이 Play Item의 STN_table에 기술된 엔트리 수 이하의 번호로 되어 있고, 또한 디코드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Invalid는, PSR 1의 값이 0이거나, 또는 Play Item의 STN_table에 기술된 엔 트리 수를 상회하는 번호로 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Play Item의 STN_table에 기술된 엔트리 수가 1 ~ 32의 값이었다고 해도 디코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도 15(a)에서의 점선 틀은 상태천이시에 PSR의 값을 결정하는 순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PSR의 설정 처리순서에는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가 있다.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는 어떤 사상(事象, event)이 재생장치에 발생해서 재생장치의 상태가 변화했을 때에 실행해야 할 처리순서를 나타낸다.
Procedure when YYYchange is requested는 사용자가 어떤 절환(도 15에 있어서 스트림)을 요구한 때에 실행해야 할 처리순서를 나타낸다.
이들 점선 틀에 도시된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가 본 발명의 주안이 되는 스트림의 선택순서이며, 후에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5(a)에서의 화살표는 PSR을 취할 수 있는 상태 사이의 상태천이를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상태천이를 의미하는 화살표에 첨부된 주석은 각 상태천이의 트리거(trigger)가 되어야 하는 사상을 의미한다. 즉 본 도면에서는 "Load Disc", "Change a Stream", "Start PlayList playback", "Cross a PlayItem boundary", "Terminate PlayList playback"과 같은 사상이 발생했을 때 PSR 1의 상태천이가 이 루어지게 된다. 이들의 기법을 이해하여 도 15(a)를 참조하면, Invalid → Invalid의 상태천이시, Valid → Invalid의 상태천이시에는 상술한 처리순서는 실행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Invalid → Valid 간의 상태천이, Valid → Valid 간의 상태천이는 어느 것이나 점선 틀을 경유하고 있다. 즉 PSR 1을 Valid로 설정함에 있어서, 상술한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에 의해 PSR 1이 설정되는 것이다.
이하, 상태천이의 트리거가 되어야 하는 사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Load Disc』는 재생장치에 BD-ROM이 로딩 되었다는 사상을 의미한다. PSR 1은 이와 같은 로딩시에 일단 부정 값(OxFF)으로 설정되는 것이다.
『Start PlayList playback』은 PL에 의거한 재생처리가 개시되었다는 사상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사상의 발생시에는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가 실행되고, PSR 1은 Valid로 설정됨을 알 수 있다.
『Terminate PlayList playback』은 PL에 의거한 재생처리가 종료되었다는 사상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사상의 발생시에는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는 실행되지 않으며, Invalid로 이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ChangeXXX』는 사용자에 의한 XXX(본 도면에서는 스트림)의 절환 요구가 이루어졌다는 사상을 의미한다. PSR 1이 Invalid인 경우에 이와 같은 사상이 발생하면(도면 중의 cj 1), PSR 1은 그 요구대로의 값으로 설정된다. 이렇게 하여 설정된 값이 설령 유효한 스트림 번호를 나타내고 있었다고 해도, 이 PSR 1의 설정 값은 Invalid인 값으로서 취급된다. 즉, 사상 "ChangeXXX"에 의한 상태천이에서는 Invalid인 PSR이 Valid로 변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PSR 1이 Valid인 경우에, 이와 같은 사상 Change a Stream이 발생하면(도면 중의 cj 2),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가 실행되어, 새로운 값이 PSR 1에 설정된다. 여기서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의 실행에 의해 설정되는 값은 사용자가 희망한 값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왜냐하면,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는 무효한 값을 배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PSR 1이 Valid에 있어서 Change stream이 발생한 경우, Valid에서 Invalid로 상태 천이하는 일은 있을 수 없다. PSR 1이 Invalid가 되지 않도록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 측에서 보증하기 때문이다.
『Cross a PlayItem boundary』는 어떤 Play Item의 경계 통과라는 사상을 의미한다. 여기서 Play Item의 경계란, 연속하는 두 개의 Play Item 중 선행하는 측의 종단, 후속하는 측의 선단의 좁은 틈을 의미한다. PSR 1이 Valid인 경우에 이와 같은 사상이 발생하면,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가 실행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의 실행 후, PSR 1의 상태는 Valid로 복귀하거나 Invalid로 이행함을 알 수 있다. STN_table은 Play Item별로 존재하고 있고, Play Item이 바뀌면 재생 가능한 엘리멘터리 스트림도 바뀐다. Play Item의 재생개시마다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를 실행하여 Play Item별로 최적의 설정 값을 PSR 1에 설정하는 것이 이 상태천이의 취지이다.
이 상태천이에 있어서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는 도 15(b)와 같이 된다. 본 처리순서는 스텝 S1, 스텝 S2라는 두 개의 판정 스텝의 조합으로 PSR 1의 설정을 행하는 것이다.
스텝 S1은, STN_table에서의 엔트리 수가 0인가 아닌가의 판정이며, 만일 0이면 PSR 1의 값을 유지한다(스텝 S3).
스텝 S2는, STN_table에서의 엔트리 수가 0이 아닌 경우에, PSR 1 보다 STN_table의 엔트리 수가 많고, 또한 조건 (A)가 참(true)인가를 판정하는 것이다. 조건 (A)란 PSR 1에 의해 특정되는 오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능력이 재생장치에 존재하는 것이다. 만일 스텝 S2가 Yes이면 PSR 1을 유지한다(스텝 S4). 만일 PSR 1의 값이 엔트리 수보다 크거나 혹은 조건 (A)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PSR 1을 재설정한다(스텝 S5).
도 16은 스텝 S5의 상세한 처리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스텝 S6, 스텝 S7은 모든 오디오 스트림에 대하여 스텝 S8을 반복하는 루프 처리를 형성하고 있다. 이 루프 처리에 있어서, 처리대상이 되는 개개의 오디오 스트림을 오디오 스트림 i라고 한다. 스텝 S8은 오디오 스트림 i가 세 가지의 조건(a), (b), (c)를 만족하는가의 체크를 행한다.
조건 (a)는 오디오 스트림 i를 재생하는 능력이 재생장치에 존재하는 것이며, 이것을 만족하는가 만족하지 않는가의 판정은 PSR 15와 오디오 스트림 i의 stream_coding_type과의 비교에 의해 이루어진다.
조건 (b)는 오디오 스트림 i의 언어속성이 재생장치의 언어설정과 같은 것이며, 이것을 만족하는가 만족하지 않는가의 판정은 STN_table에 기술된 오디오 스트 림 i의 Audio_language_code가 PSR 16의 설정 값과 동일한가 여부의 비교에 의해 이루어진다.
조건 (c)는 오디오 스트림 i의 채널속성이 서라운드이고, 이것을 재생하는 능력이 재생장치에 존재하는 것이다. 이것을 만족하는가 여부의 판정은 PSR 15와, 오디오 스트림의 audio_presentation_type, stream_coding_type과의 비교에 의해 이루어진다.
조건 (c)가 어떤 케이스에서 만족되는가에 대하여 도 1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7은 재생능력과 스트림의 속성과의 조합을 표 형식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재생장치의 능력에는, 스테레오 출력, 서라운드 출력의 두 가지가 있고, 스트림의 속성에는 스테레오, 서라운드의 두 가지가 있다.
재생장치 측이 스테레오를 출력하는 능력이 있고, 오디오 스트림의 속성이 스테레오인 경우, 오디오 스트림의 재생이 가능해진다.
재생장치 측이 서라운드를 출력하는 능력이 있고, 오디오 스트림의 속성이 스테레오인 경우, 오디오 스트림의 재생이 가능해진다.
재생장치 측이 서라운드를 출력하는 능력이 있고, 오디오 스트림의 속성이 서라운드인 경우, 이 오디오 스트림의 재생이 가능해진다.
재생장치 측이 스테레오를 출력하는 능력이 있고, 오디오 스트림의 속성이 서라운드인 경우, 재생장치 측에서 AC-3(5.1ch)을 2채널로 다운 믹싱(down mixing)하는 처리를 행하면 재생장치에 의한 재생dl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스트림의 채널속성, 재생장치의 능력의 어떤 조합에서도 오디오 스트림의 재생이 가능해진 다. 그러나 조건 (c)는, 이들 4개의 조합 중, 「서라운드 출력 능력이 재생장치 측에 있음」「스트림의 채널속성 = 서라운드」의 조합 시에만 만족되게 된다. 이상의 점에서 조건 (c)의 성립조건은 엄격하게 설정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7에 있어서, 상술한 조합 시에만 조건 (c)가 성립한다고 한 것은 일 예이며, 이 조합 외에, 「스테레오 출력 능력이 재생장치 측에 있음」「스트림의 채널속성 = 스테레오」의 조합 시에도 조건 (c)가 만족된다고 해도 좋다. 이 경우, 스테레오 음성밖에 재생할 수 없는 재생장치, 또는 서라운드 재생보다 스테레오 재생이 우선되고 있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2ch 오디오 스트림의 스테레오 재생이 5.1ch 오디오 스트림의 다운 믹싱 재생보다 우선되게 된다.
이들 복수의 조건 중, 「오디오 스트림 i가 무엇과 무엇을 만족하는가」, 또 「몇 개의 조건을 만족하는가」라고 하는, 만족해야 하는 조건의 패턴에 따라서 본 흐름도는 오디오 스트림에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이상의 처리를 오디오 스트림 모두에 대하여 반복하면 스텝 S9 ~ 스텝 S13의 처리를 행한다. 스텝 S9는 (a)를 만족하는 오디오 스트림이 존재하지 않는가 여부의 판정이다. 만일, 존재하지 않으면 부정 값(OxFF)을 PSR 1에 설정한다(스텝 S14).
스텝 S10은 (a), (b), (c) 모두를 만족하는 오디오 스트림이 존재하는가 여부의 판정이다. 만일 존재하면 (a), (b), (c)를 만족하는 오디오 스트림의 번호를 PSR 1에 설정한다(스텝 S15).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a), (b), (c)를 만족하는 오디오 스트림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이다. 조건 (a) ~ 조건 (c)가 모두 만족되므로, 동일한 우선순위가 되어버려서 우열을 결정할 수 없다. 이 경우 스텝 S15에서는, STN_table에서의 엔트리의 순서에 따라서 각 스트림에서의 순위가 정해진다. 즉, 코덱-언어속성-채널속성이 동일한 오디오 스트림에 대해서는 STN_table에서의 엔트리의 순위를 참조함으로써,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오디오 스트림이 선택되게 된다.
여기서, 코덱, 언어속성, 채널속성이 동일한 오디오 스트림이 복수 존재하고 있고, 이들이 각각 본편 음성, 커멘터리, BGM인 경우, 도 18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편 음성에 해당하는 오디오 스트림에 대한 엔트리를 STN_table에서 우선순위에 기술한다. 그리고 커멘터리에 해당하는 오디오 스트림, BGM에 해당하는 오디오 스트림의 엔트리를 다음 순위 이후에 기술해 둔다. 그렇게 하면, 자동으로 본편 음성이 선택되고, 커멘터리, BGM이 뒤로 밀린다.
이와 같이 STN_table에서의 기술순서를 바꿈으로써, 편집 담당자는 재생시에 어느 스트림을 우선적으로 재생시키고, 어느 스트림을 뒤로 미룰 것인가라고 하는 선택제어를 편집시에 규정할 수 있다.
스텝 S11은 (a), (b), (c) 모두를 만족하는 오디오 스트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a), (b)를 만족하는 오디오 스트림이 존재하는가 여부의 판정이다. 만일 존재하면, (a), (b)를 만족하는 오디오 스트림 중 STN_table에서의 엔트리 순위가 가장 높은 것을 PSR 1에 설정한다(스텝 S16).
스텝 S12는 (a), (b), (c) 모두를 만족하는 오디오 스트림, 또는 (a), (b)를 만족하는 오디오 스트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a), (c)를 만족하는 오디오 스 트림이 존재하는가 여부의 판정이다. 만일 존재하면, (a), (c)를 만족하는 오디오 스트림 중 STN_table에서의 엔트리 순위가 가장 높은 것을 PSR 1에 설정한다(스텝 S17).
스텝 S13은 (a) (b) (c) 모두, (a) (b), (a) (c)를 만족하는 오디오 스트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a)를 만족하는 오디오 스트림이 존재하는가 여부의 판정이다. 만일 존재하면, (a)를 만족하는 오디오 스트림 중 STN_table에서의 엔트리 순위가 가장 높은 것을 PSR 1에 설정한다(스텝 S18).
이상이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이다. 이어서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스트림 변화시에 있어서의 설정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흐름도와 도 15(b)와의 차이는 도 15(b)에서의 PSR 1의 표기가 X로 치환되어 있는 점이다. 이 X는 조작접수부(29)로부터 출력된 사용자 오퍼레이션 정보나 I-그래픽스 디코더(13)로부터 출력된 버튼 코맨드에 의한 값이다.
본 흐름도에서의 스텝 S19는, X보다 STN_table의 엔트리 수가 많고, 또한 조건 (A)가 참인가를 판정하는 것이다. 조건 (A)는, PSR 1에 특정되는 오디오 스트림을 재생하는 능력이 재생장치에 존재하는 것이며, PSR 15와 오디오 스트림의 Stream_coding_type의 비교에 의해 판정된다. 만일 X가 이 조건을 만족하면 PSR 1에 X를 설정한다(스텝 S21).
만일 X가 엔트리 수보다 크거나 혹은 조건 (A)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X가 OxFF인가 여부를 판정한다. 만일 OxFF가 아니면 사용자가 선택을 의도하는 오디 오 스트림의 번호가 무효라고 생각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조작에 의거한 값 X를 무시하고, PSR 1의 설정 값을 유지한다(스텝 S23).
만일 PSR 1의 설정 값이 OxFFF이면 PSR 1을 설정한다(스텝 S24). 이 스텝 S24의 처리순서는 도 16에 도시한 처리순서와 동일하다(도 16중, 스텝 S9의 판정은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에서는 필요하지 않다. 왜냐하면,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에서는 조건 (a), (b), (c)를 만족하는 오디오 스트림이 하나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값 X를 PSR 1에 설정하지 않고, PSR 1의 설정 값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이상의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에 의해 확실하게 재생이 되고, 또한 BD-ROM, 재생장치 쌍방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오디오 스트림이 선택되게 된다.
<PSR 1 설정의 구체 예>
이하 구체 예를 참조하면서 본 흐름도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구체 예에서 상정하고 있는 재생장치는 미들 클래스(middle-level)의 재생장치이다. 여기에서의 미들 클래스는, DTS 형식의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드하는 능력은 가지고 있지 않으나, LPCM의 디코드 능력이나 AC-3 서라운드 음성의 출력 능력은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일본어 음성을 나타내도록 언어설정이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재생장치에 대하여, 도 20(b)에 도시된 오디오 스트림, STN_table이 기록된 BD-ROM이 로딩 된 것으로 한다. 이 STN_table에는 도 20(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6개의 오디오 스트림의 엔트리가 기술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술내용의 STN_table이 처리대상이면, 도 16의 스텝 S8에서 각 오디오 스트림이 조건 (a), 조건 (b), 조건 (c)를 구비하고 있는가 여부의 체크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첫 번째의 오디오 스트림 (1)은 3개의 조건 중 조건 (a)밖에 만족하지 못한다. 두 번째의 오디오 스트림 2는 3개의 조건 중 조건 (a), 조건 (c)를 만족한다.
STN_table에 엔트리가 제시되어 있는 모든 오디오 스트림에 대하여 상술한 체크가 이루어지면, 다섯 번째의 오디오 스트림이 조건 (a) ~ 조건 (c) 모두를 만족하고, 네 번째의 오디오 스트림은 조건 (a), 조건 (b)를, 두 번째의 오디오 스트림은 조건 (a), (c)를, 첫 번째의 오디오 스트림은 조건 (a)만을 만족하고 있다는 것이 판명된다. 이들 이외의 오디오 스트림은 조건 (a)가 결여되어 있으므로 처리대상이 되지 않는다.
각 오디오 스트림에 대한 조건구비가 명확해졌으므로, 조건 (a) ~ 조건 (c) 모두를 만족하는 다섯 번째의 오디오 스트림에 최고 순위를 부여한다. 이와 같이 최고 순위가 부가되었으므로, 오디오 스트림 (5)가 선택되어 비디오 스트림과 함께 재생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 의해, 조건 (a), 조건 (b), 조건 (c) 모두를 만족하는 스트림이 선택된다는 것이 분명해졌으나. 서라운드를 출력하는 능력이 재생장치에 없는 경우, 스트림 선택은 어떻게 행해지는가. 여기서 재생장치 측에 서라운드의 출력 능력이 존재하지 않고, AVClip에 AC-3(2 ch)의 오디오 스트림과 AC-3(5.1 ch)의 오 디오 스트림이 다중화되어 있는 케이스를 상정한다. 도 17의 표에서는 어떤 오디오 스트림의 재생도 가능해지므로, 이와 같은 오디오 스트림을 도 16의 처리순서의 대상으로 한 경우, 이들의 오디오 스트림은 우열을 가릴 수 없다.
이 경우, STN_table에서의 엔트리를 참조함으로써 선택이 바람직한 오디오 스트림의 우열을 규정한다. 도 17에서 재생장치 측에 능력이 없는 경우, 재생장치는 AC-3(5.1 ch)을 AC-3(2 ch)로 다운 믹싱하여 재생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은 다운 믹싱이 이루어지면 재생시의 음질은 편집 담당자가 의도한 것보다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AC-3(2 ch)은 당초부터 스테레오 출력을 의도하여 작성된 것이므로, 편집 담당자는 AC-3(5.1 ch)의 다운 믹싱 재생보다 AC-3(2 ch)의 재생을 기대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AC-3(2 ch) 음성의 엔트리를 AC-3(5.1 ch)보다도 높게 설정해 두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서라운드의 재생능력을 갖지 않은 재생장치에서는 AC-3(2 ch)의 음성이 우선적으로 재생되게 된다. 한편, 비트 레이트를 비교하면, 오디오 스트림(51)의 비트 레이트는 384Kbps, AC-3(2 ch)의 비트 레이트는 192kbps이며, AC-3(5.1 ch)의 쪽이 높다. 이 사실을 중시하는 편집 담당자는 AC-3(2 ch)의 재생보다 AC-3(5.1 ch)의 다운 믹싱 재생을 기대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다운 믹싱에 대한 기대가 높으면, 편집 담당자는 STN_table에서 AC-3(5.1 ch)의 엔트리를 높게 설정하면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서라운드 출력 능력이 없는 재생장치에 의한 재생은 다운 믹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편집 담당자가 AC-3(5.1 ch)의 다운 믹싱 재생보다 AC-3(2 ch)의 재생을 기대하고 있는 경우의 STN_table의 기술 예와, 오디오 스트림의 선택 예에 대하여, 도 2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 상정하는 재생장치는 서라운드 출력 능력이 없는 재생장치이므로, PSR 15, 16의 값은 도 21(a)과 같이 된다. 또 STN_table은 도 20(b)과 같은 내용으로 설정되어 있고(도 21(b)), 재생장치가 서라운드 출력 능력이 없는 재생장치이다. 이 경우, 조건 (b), 조건 (b)를 만족하는 오디오 스트림 4, 오디오 스트림 5가 동일한 우선순위 "1"이, 조건 (a)만을 만족하는 오디오 스트림 1, 오디오 스트림 2가 다음의 우선순위 "2"가 된다. 우선순위가 "1"이 되었으므로 오디오 스트림 4, 오디오 스트림 5의 우열을 가릴 수 없다. 이 경우, 재생장치는 STN_table에서의 엔트리 순위에 따라서 오디오 스트림을 선택한다. 이 기술 예에 있어서 편집 담당자는 AC-3(5.1 ch)의 다운 믹싱보다 AC-3(2 ch)의 재생을 기대하고 있으므로, 도 21(b)에 있어서 STN_table에서의 AC-3(2 ch)의 오디오 스트림의 엔트리는 AC-3(5.1 ch)의 엔트리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오디오 스트림 4의 엔트리 순위는 오디오 스트림 5 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재생장치는 오디오 스트림 5를 선택하여 재생한다.
이어서 편집 담당자가 AC-3(2 ch)의 재생보다 AC-3(5.1 ch)의 다운 믹싱 재생을 기대하고 있는 경우의 STN_table의 기술 예와 오디오 스트림의 선택 예에 대하여, 도 2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AC-3(5.1 ch)의 다운 믹싱 재생을 기대하고 있으므로, STN_table에 있어서, AC-3(2 ch)의 오디오 스트림(오디오 스트림 2, 오디오 스트림 5)의 엔트리 순위는 AC-3(5.1 ch)의 오디오 스트림(오디오 스트림 1, 오디오 스트림 4)의 엔트리 순위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도 22(b)). 이와 같이 오디오 스트림 5의 엔트리 순위는 오디오 스트림 4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오디오 스트림 4, 오디오 스트림 5가 동일한 조건 (a), 조건 (b)를 만족하는 경우, 재생장치는 오디오 스트림 5를 선택하여 재생한다(도 2(c)).
서라운드의 재생출력 능력이 재생장치에 없는 경우, AC-3(2 ch)의 재생을 우선시키는가, AC-3(5.1 ch)의 다운 믹싱 재생을 우선시키는가를 편집 담당자는 자유롭게 규정할 수 있으므로, 편집 담당자의 의향에 따른 재생제어가 실현되게 된다. 이상이 PSR 1에 대한 상태제어이다.
<PSR 2의 상태천이>
이어서 PSR 2에 대하여 설명한다. PSR 2는, 현재 Play Item의 STN_table에 엔트리가 기술된 복수의 PG 스트림 또는 복수의 textST 스트림 중, 재생하여야 할 스트림의 특정에 사용된다. PSR 2의 설정 값이 변화하면, 재생장치는 이 변화 후의 PG 스트림 또는 textST 스트림을 재생한다. PSR 2는 초깃값으로 부정 값이 설정되어 있고, 재생장치에 의해 1 ~ 255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OxFFFF는 부정 값이고, PG 스트림 및 textST 스트림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취지, 또는 PG 스트림 및 textST 스트림이 선택되어 있지 않다는 취지를 나타낸다. 1 ~ 255의 설정 값은 PG_textST_stream 번호로 해석된다. 도 23(a)은 PSR 2를 취할 수 있는 상태천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의 상태천이는 도 15(a)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도 23(b)은 PSR 2에서의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4는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들 흐름도도 도 15(b), 도 19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단지, 스텝 S5, 스텝 S22에서의 PSR 2의 설정은 크게 다르다.
도 25는 PSR 2의 설정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흐름도의 스텝 S31, 스텝 S32는, STN_table에 기술되어 있는 PG_textST_ stream의 각각에 대하여, 스텝 S33 ~ 스텝 S35의 처리를 반복하는 루프 처리로 되어 있다. 본 루프 처리에 있어서 처리대상이 되는 PG_textST_stream을 PG_textST_ stream i로 한다. 스텝 S33은 PG_textST_stream i의 stream_coding_type이 Ox91인가, Ox92인가의 판정이며, 만일 Ox91이면 스텝 S34로 이행한다.
스텝 S34는 PG_textST_stream i가 이하의 (a), (b)를 만족하는가 만족하지 않는가의 판정이다.
(a) PG 스트림 i를 재생하는 능력이 재생장치에 존재할 것
(b) PG 스트림 i의 언어속성이 재생장치의 언어설정과 일치할 것
이 (b)의 조건은 STN_table에서의 PG_language_code가 PSR 17과 일치하는가 일치하지 않는가의 판정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스텝 S35는 PG_textST_stream i가 (a), (b)를 만족하는가 만족하지 않는가의 판정이다.
(a) textST 스트림 i를 재생하는 능력이 재생장치에 존재할 것
(b) textST 스트림 i의 언어속성이 재생장치의 언어설정과 일치할 것
(a)의 조건을 구비하고 있는가의 판정은 재생장치의 PSR 30이 "재생능력 있음"을 나타내는가 여부에 의해 이루어진다. (b)의 조건을 구비하고 있는가의 판정은 STN_table의 textST_language_code가 PSR 17의 설정 값과 일치하고 있는가 여부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상의 스텝 S33 ~ 스텝 S35의 처리가 모든 PG_textST_stream에 대하여 반복되면 스텝 S36 ~ 스텝 S41의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36은 (a)를 만족하는 PGstream이 존재하지 않는가의 판정이고, 만일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면 스텝 S39에 있어서 Invalid인 값(OxFFFF)을 PSR 2에 설정한다(스텝 S38).
스텝 S37은 (a), (b)의 쌍방을 만족하는 PG_textST_stream이 존재하는가 여부의 판정이며, 만일 존재하는 것이라면 (a), (b)를 만족하는 PG_textST_stream 중 STN_table에서의 엔트리 순위가 가장 높은 것을 PSR 2에 설정한다(스텝 S39).
스텝 S40은 (a)만을 만족하는 PGstream, (a)만을 만족하는 textST_stream 중 STN_table에서의 엔트리 순위가 가장 높은 것을 PSR 2에 설정한다. 이하 구체 예를 참조하면서 본 흐름도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PSR 2 설정의 구체 예>
이 구체 예에서 상정하고 있는 재생장치는, 도 2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G 스트림을 디코드하는 능력은 가지고 있으나, textST 스트림을 디코드하는 능력은 가지고 있지 않은 재생장치이다. 그리고 일본어 음성을 나타내도록 언어설정이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재생장치에 대하여, 도 2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TN_table이 로드되었다고 하자. 이 STN_table에는 2개의 textST 스트림의 엔트리(PG_textST_stream 1, 3)와, 2개의 PG 스트림의 엔트리(PG_textST_stream 2, 4)가 기술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술내용의 STN_table이 처리대상이면, 스텝 S34, 스텝 S35에 있어서 각 PG_textST_stream이 조건 (a), 조건 (b)를 구비하고 있는가 여부의 체크가 도 2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첫 번째의 PG_textST_stream, 세 번째의 PG_textST_stream은 조건 (a)를 만족하지 않는다. 네 번째의 PG_textST_ stream은 조건 (a), 조건 (b)를 만족한다.
STN_table에 엔트리가 제시되어 있는 모든 스트림에 대하여, 상술한 체크가 이루어지면, 네 번째의 스트림이 조건 (a) ~ 조건 (b) 모두를 만족하고, 두 번째의 스트림은 조건 (a)를, 첫 번째, 세 번째의 스트림은 선택의 대상에서 제외된다.
각 스트림에 대한 조건구비가 명확해졌으므로, 조건 (a) ~ 조건 (b) 모두를 만족하는 네 번째의 스트림에 최고순위를 부여한다.
여기서 동일한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PG_textST_stream이 복수인 경우, 상술한 흐름도에서는 이들 PG_textST_stream에 대한 우선순위가 같아져 버린다. 그런 이유에서 우열을 결정할 수 없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 경우, STN_table에서의 엔트리의 사상에 따라서 각 스트림에서의 순위가 정해진다.
이하, 도 27을 참조하면서 STN_table에서의 엔트리의 순서에 따른 PG_textST_stream 선택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상정하는 재생장치는 PG 스트림, textST 스트림의 쌍방을 디코드하는 능력을 갖는 재생장치이다. 이 재생장치의 언어설정과 동일한 언어속성을 갖는 PG 스트림, textST 스트림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 이들 PG 스트림, textST 스트림에 대한 우선순위가 같아져 버린다. 이와 같은 경우,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집 담당자가 선택을 희망하는 스트림에 대한 엔트리를 STN_table의 선두순위에 기술한다. 그리고 PG 스트림에 해당하는 엔트리를 다음 순위 이후에 기술해 둔다. 여기서 편집 담당자가 선택되기를 바라고 있는 스트림이 textST 스트림이고, 이것의 엔트리가 STN_table의 선두에 기술되었다고 하면, 자동으로 textST 스트림이 선택되고, PG 스트림이 뒤로 밀려난다.
이와 같이 STN_table에서의 기술 순서를 변경함으로써, 편집 담당자는 재생시에 있어서 어떤 스트림을 우선적으로 재생시키고, 어떤 스트림을 뒤로 미룰 것인가라는 선택제어를 편집시에 규정할 수 있다.
<변경 예>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에 있어서 값 X가 무효한 값이라면, 천이제어부(30)는 PSR 1, 2의 저장 값을 유지한다고 하였으나, 사용자에 의해 음성절환 키, 자막절환 키가 눌려진 경우의 처리로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음성절환 키, 자막절환 키가 눌려진 경우, 본래 값 X는 "PSR + 1"이 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값 X가 무효하다는 이유로 PSR 1, 2의 저장 값이 유지되면 사용자는 재생장치가 오작동하고 있는 것처럼 느끼기 때문이다.
그래서 음성절환 키, 자막절환 키가 눌려진 경우, 천이제어부(30)는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에 추가하여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는,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를 실행할 때에,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 실행 전의 PSR의 저장 값과,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 실행 후의 PSR의 저장 값을 비교하는 것이다. 만일 전후의 저장 값이 같으면 X ← X + 1이라는 처리에 의해서 값 X를 인크리먼트 하고, 다시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를 실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에 의해 PSR이 갱신되기까지 값 X의 인크리먼트는 반복된다.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의 실행에 의해 PSR의 수치가 갱신되면 전후의 수치가 다른 값이 되므로, 그 시점에서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의 실행에서 얻어진 PSR의 수치를 채용하여 스트림의 선택을 행한다.
예를 들어, PSR 1에 "3"이 저장되어 있고, 스트림 번호 = 4, 5가 무효인 경우의 상술한 처리의 구체 예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이 경우 천이제어부(30)는 PSR 1의 저장 값에 "1"을 더한 값 4를 값 X로 한다. 그리고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를 실행한다. 이 경우, 스트림 번호 = 4는 무효이므로 PSR 1은 원래의 값 3에서 변화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PSR 1의 저장 값에 변화가 없는 경우, 4인 값 X를 인크리먼트 하여 5로 한 상태에서 다시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를 실행한다. 이 경우, 스트림 번호 = 5는 무효이므로, PSR 1은 원래의 값 3에서 변화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PSR 1의 저장 값에 변화가 없는 경우, 5인 값 X를 인크리먼트 하여 6으로 해서 다시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를 실행한다. 값 6은 유효하므로,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에 의해 유효한 스트림 번호 = 6이 자동으로 선택되게 된다. 음성절환 키가 눌러진 때에 상술한 처리를 행하면 무효한 스트림 번호의 존재를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고, 원활한 음성절환을 실현할 수 있다.
(제 2 실시 예)
제 2 실시 예는 멀티앵글구간에서의 상태설정에 관한 것이다. 멀티앵글구간 실현을 위한 데이터 구조는 도 5에 도시한 Play Item 정보에 있다. 도 28은 Play Item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앵글구간 대응의 Play Item 정보는 통상의 Play Item과의 호환부분과 멀티앵글구간 실현을 위한 확장부분으로 이루어진다. 호환부분의 데이터 구조는 도 5와 같으며, 『Clip_codec-identifier』, 『IN_time』, 『OUT_time』, 『STN_table』이다. 멀티앵글구간에 있어서, 이 호환부분에서 지정되는 AVClip은 1 본 째의 앵글구간으로 취급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멀티앵글구간에 대응할 수 없는 재생장치(BD-RE의 데이터 구조밖에 대응할 수 없는 재생장치)가 멀티앵글구간 대응의 Play Item을 판독했다고 해도, 이 호환부분만을 참조하여 재생을 행함으로써, 1 본째의 앵글구간을 재생해 갈 수 있다. 확장부분의 데이터 구조는 『is_multi_angles』, 『number_of_ angles』, 『Angle 정보〔1〕〔2〕…〔j〕』로 이루어진다.
『is_multi_angles』는 이 Play Item에 대응하는 재생구간이 멀티앵글구간인가 비 앵글구간인가를 나타낸다.
『number_of_angles』는, 멀티앵글구간을 나타내도록 『is_multi_angles』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 멀티앵글구간을 구성하는 앵글 수를 나타낸다.
『Angle 정보〔1〕〔2〕…〔j〕』는, 멀티앵글구간에서의 개개의 앵글구간에 대한 정보이며, 『Clip_Information_file_name』, 『Clip_codec_identifier』를 포함한다.
『Clip_Information_file_name』은 앵글구간을 구성하는 AVClip의 파일명이 기술된다.
『Clip_codec_identifier』는 앵글 정보의 Clip_Information_file_name에 의해서 기술된 파일명의 AVClip에서의 부호화 방식을 나타낸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앵글 정보에는 In_time, Out_time이 없다. 이것은 두 번째 이후의 앵글구간은 호환부분에 존재하는 In-time, Out_time에 의해 Play Item의 시점, 종점이 지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앵글 정보 내의 Clip_Information_ file_name으로 지정되는 AVClip은 호환부분 내의 Clip_Information_file_name으로 지정되는 AVClip과 동일한 재생시간이어야 한다. 또, AVClip 재생시간 축에 있어서, 개개의 재생 타이밍을 규정하는 타임 스탬프(System Time Clock)의 값이 엄밀하게 동일하지 않으면 안 된다.
멀티앵글구간 대응의 Play Item에 대하여 이하 구체 예를 설명한다. 본 구체 예에서 상정하고 있는 Play Item은 세 개의 Play Item(PlayItem #1, PlayItem #2, PlayItem #3)이다. 이들 Play Item 중 PlayItem #1, PlayItem #3은 멀티앵글구간을 구성하고 있고, PlayItem #2는 구성하고 있지 않다. 또, BD-ROM에는 도 29에 도시한 것과 같은 복수 AVClip(Front 1, Right 1, Left 1, Front 2, Front 3, Right 2)이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구체 예에 있어서, PlayItem #1의 Clip_ Information_file_name은 도 29 중의 Front 1, Left 1, Right 1을 지정하고 있고, PlayItem #2는 Front 2를, PlayItem #3은 Front 3, Right 2를 지정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들 Play Item에 의해 멀티앵글구간-비 앵글구간-멀티앵글구간으로 이루어지는 메인 패스가 정의되게 된다. 도 30(a), (b)은 이와 같이 하여 정의된 멀티앵글구간, 비 앵글구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의 화살표 my 1, my 2는 PlayItem #3에서의 두 개의 앵글 정보에 의한 지정을, 화살표 my 3은 PlayItem #3에서의 앵글 정보에 의한 지정을 각각 나타낸다. 이들 앵글 정보에 의한 지정 my 1, my 2에 의해 Right 1, Left 1은 AVClip 상의 일부분과 선택적으로 재생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앵글 정보에 의한 지정 my 3에 의해 Right 2는 AVClip 상의 일부분과 선택적으로 재생되게 된다.
도 30(b)은 멀티앵글구간, 비 앵글구간에서의 재생진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의 화살표 ag 1, 2, 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멀티앵글구간 #1에 있어서는 세 개의 앵글구간 중 하나를 고르는 선택이 가능해지며, 멀티앵글구간 #3에 있어서는, 화살표 ag 4, 5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앵글구간 중 하나를 고르는 선택이 가능해진다.
이상이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록매체의 개량이다.
이어서 재생장치의 개량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 예에 제시한 재생장치에서 앵글구간의 지정을 나타내는 것은 PSR 3이다. 제 2 실시 예에 관한 제어부(24)는 이 PSR 3의 설정 값에 따라서 앵글구간을 선택하여 재생하는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24)는, 현재 PL정보 중 하나의 Play Item을 재생할 때 PSR 3의 설정 값을 참조한다. PSR 3의 설정 값이 = 1이면 Play Item의 In_time, Out_time이 존재하는 AVClip을 액세스하고, 이 Play Item의 In_time에서 Out_time까지의 TS 패킷을 판독하도록 BD-ROM 드라이브(1)를 제어한다. 그리고 TS 패킷이 판독되면 이것을 순차적으로 비디오 디코더(4)에 투입하여 앵글구간을 재생시켜 간다.
PSR 3의 설정 값이 2 이상이면, Play Item의 앵글 정보 내의 Clip_ Information_file_name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AVClip(앞에서 기술한 Right 1, Left 1, Right 2)을 액세스하여, 이것을 구성하는 TS 패킷을 판독하도록 BD-ROM 드라이브(1)를 제어한다. 그리고 TS 패킷이 판독되면, 이것을 순차적으로 비디오 디코더(4)에 투입하여 앵글구간을 재생시켜 간다. 이와 같이, PSR 3의 설정 값에 따라서, 다른 AVClip을 액세스함으로써 앵글구간의 선택적인 재생이 실현된다.
이상과 같은 앵글구간 선택을 규정하는 PSR 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1은 PSR 3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PSR 3은 현재 선택되어 있는 앵글구간의 번호를 나타낸다. PSR 3은 1 ~ 9의 값을 취하며, 1 ~ 9의 앵글구간을 각각 지정한다.
PSR 3의 상태천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2(a)는 PSR 3의 상태천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을 도 15(a)와 비교하면, 사상 Cross PlayItem Boundary를 트리거로 한 상태천이는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Start PlayList Playback, Terminate PlayList Playback이 Start PlayItem with multiangle structure, End of PlayItem with multiangle structure로 치환되어 있다. 또,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는 "stream change is requested"가 아니라, "angle change is requested"로 치환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을 제외한 PSR 3의 상태천이는 도 15(a)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오디오 스트림의 수는 PlayItem마다 다르므로, PSR 1의 상태천이에서는 PL의 재생이 시작되고, Play Item의 경계를 추가할 때마다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를 기동하여 PSR 1을 설정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PSR 3은 멀티앵글구간에 있어서만 의미가 있고, Play Item의 통과마다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를 실행할 필연성이 적으므로, Invalid → Valid의 상태천이는 멀티앵글구간의 재생개시를 트리거로 하고 있고, Valid → Invalid의 상태천이는 멀티앵글구간의 재생종료를 트리거로 하고 있다.
이 Valid → Invalid의 상태천이시에 본 실시 예에서는, PSR 3의 설정 값을 유지한 채, 취급만을 Invalid로 한다. 즉 멀티앵글구간, 비 앵글구간이 교대로 출현하는 경우(도 30의 일 예), PSR 3은 설정 값의 취급만이 Valid에서 Invalid로, Invalid에서 Valid로 천이하게 된다. 이상이 PSR 3의 상태천이이다. 이어서 PSR 3의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2(b)는 PSR 3에서의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흐름도는 도 15(b)와 유사한 알고리즘이 된다. 스텝 S51은 PSR 3이 PlayItem에 기술된 number of Angle 미만인가 아닌가의 판정이다. 만일 스텝 S51이 Yes이면 PSR 3의 설정 값을 변화시키지 않는다(스텝 S53). 만일 스텝 S51이 No이면 PSR 3에 초깃값 1을 설정한다(스텝 S52).
도 32(c)는 PSR 3에서의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흐름도는 도 16에 준한 것이 된다. 스텝 S54는 X가 Play Item에 기술된 number of Angle을 넘는가 넘지 않는가의 판정이다. 만일 스텝 S54가 Yes이면 번호 X를 PSR 3에 설정한다(스텝 S57). 만일 스텝 S54가 No이면 PSR 3을 유지한다(스텝 S55).
도 30에 나타낸 세 개의 Play Item에 의해 멀티앵글구간 → 비 앵글구간 구간 → 멀티앵글구간을 연속하여 재생하는 경우에 앵글구간의 선택이 어떻게 행해지는가에 대하여 도 3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3(a)에서는 PSR 3이 앵글 번호 = 2를 나타내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 상태에서 PlayItem #1의 재생이 개시되면, 제어부(24)는 PSR 3의 설정 값 = 2에 의해 지시되는 앵글구간(Right 1)을 선택하여 재생한다. 이와 같은 Right 1의 재생이 계속되어 Right 1의 재생이 종료되면, PSR 3은 앵글 번호 = 2를 유지한 채 Invalid가 된다.
PlayItem #1에 의해 지정되는 멀티앵글구간 #1에는 PlayItem #2에 의해 지정되는 비 앵글구간이 후속하고 있다. PlayItem #2는 비 앵글구간이므로 PSR 3은 Invalid 그대로이다. 이때 PSR 3은 설정 값 = 2를 유지한 채 무효한 상태로 취급된다. PSR 3이 Invalid이므로 제어부(24)는 이 PSR 3의 설정 값에 관계없이 PlayItem #2의 In_time, Out_time이 존재하는 AVClip(XXX.M2TS)의 재생을 실행한 다.
비 앵글구간 #2에는 PlayItem #3에 의해 지정되는 멀티앵글구간 #3이 후속하고 있다. 멀티앵글구간 #3의 재생이 개시되면 PSR 3은 설정 값을 유지한 채 Invalid에서 Valid로 이행한다. 이렇게 해서 PSR 3이 Valid가 되면 이 PSR 3의 설정 값에 따른 앵글구간이 선택되게 된다. PSR 3은 설정 값 = 2를 유지한 채이므로, 제어부(24)는 이 앵글 번호 = 2에 의해 지시되는 앵글구간(Right 2)을 선택하여 재생한다. 본 도면에서의 화살표 gg 1은 이상에 설명한 앵글구간 선택의 천이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상은 PSR 3의 설정 값이 「PSR 3 = 2」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설명이다. 이어서 PSR 3의 설정 값이 「PSR 3 = 3」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3(a)과 동일하게 재생이 이루어져서, 비 앵글구간의 재생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도 32(a)에 도시한 상태천이에 의해 PSR 3의 설정 값은 Invalid로서의 취급인 채로 "3"으로 갱신된다. 이렇게 하여 PSR 3의 설정 값 = 3을 유지한 채 비 앵글구간의 재생이 계속되게 된다. 이러한 재생의 계속 후, 비 앵글구간의 재생이 종료하고 멀티앵글구간 #3의 재생이 개시되었다고 하자. 멀티앵글구간의 재생개시이므로,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가 실행된다. 도 32(b)의 스텝 S51에 있어서 현재의 PSR 3의 설정 값이 Play Item #3으로 규정되어 있는 앵글 수(number of angle)를 상회하고 있는가의 판정이 이루어진다(스텝 S51). 여기서 PlayItem #3에 있어서 선택 가능한 앵글구간 수는 두 개이며, PSR 3 = 3은 상회하고 있다. 이로 인해 PSR 3은 1로 설정되게 된다(스텝 S52). PSR 3이 1 로 설정되므로, XXX.M2TS가 선택되어, 첫 번째의 앵글이 재생되게 된다. 본 도면에서의 화살표 gg 2는 이상에 기술한 앵글구간 선택의 천이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앵글구간의 선택을 피하도록 SPR 3의 상태천이를 행하므로, 멀티앵글구간에서 비 앵글구간으로의 변천, 비 앵글구간에서 멀티앵글구간으로의 천이가 빈번하게 발생했다고 해도, 이상한 번호가 상태 레지스터에 설정되는 일은 없다. 앵글 선택의 정당성을 보증하므로 멀티앵글구간을 포함하는 영화작품의 보급을 촉진할 수 있다.
(제 3 실시 예)
제 3 실시 예는 대화기능의 실행시의 상태 설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정하는 대화기능이란, 복수 페이지로 이루어지고, 개개의 페이지에 그래피컬 한 버튼부재를 배치시켜서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것이다. 대화기능의 실행시에 표시 가능한 복수 페이지 중 어떤 페이지를 표시시키는가, 그리고 그 페이지에서의 복수 버튼 중 어떤 것에 포커스를 맞추는가를 규정하는 것이 본 실시 예에서의 상태 설정이다.
<대화기능을 위한 데이터 구조>
2 이상의 페이지, 버튼을 표시시키기 위한 데이터 구조는 제 1 실시 예에 제시한 IG 스트림에 존재한다. 도 34를 참조하면서 IG 스트림에 대하여 설명한다. IG 스트림은 ICS, PDS, ODS로 이루어진다.
ODS는 버튼을 그래피컬 하게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그래픽스 데이터이고, PDS는 버튼의 발색(發色)을 규정하는 팔레트 데이터(palette data)이다.
ICS는 동화상의 재생과 동기시키면서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정보이다. 동화상과의 동기는 ICS를 저장한 PES 패킷의 DTS, PTS에 의해 규정된다. 즉, ICS를 저장한 PES 패킷의 DTS는 대화기능을 유효하게 하는 기간(ICS를 Valid로 하는 기간)의 개시시기를 나타낸다.
도 34의 화살표 cu 1은 ICS의 내부 구성을 클로즈업하고 있다. 이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ICS는, 『loading_model』, 『user_interface_model』, 『composition_time_out_pts』, 『selection_time_out_pts』, 『user_time_out_ duration』, 표시 가능한 복수 페이지의 각각에 대응하는 『페이지 정보(1) (2) … (i) … (n)』을 포함한다.
『loading_model』은 본 IG 스트림이 AVClip에 다중화되어 존재하는가, AVClip과는 별개로 재생장치에 미리 프리로드 되어 있는가를 나타낸다.
『Interface_model_type』은, 동화상의 재생진행 중, 페이지를 상시 표시하도록 하는가(Always-on), 사용자 조작에 의거하여 팝 업 표시하도록 하는가를 나타낸다(Pop-up).
『composition_time_out_PTS』는 대화기능을 유효하게 하는 기간의 종기(終期)를 나타낸다.
『user_time_out_duration』은 사용자 조작이 없는 경우에 페이지 표시를 타임 아웃시키는 시기를 나타낸다.
이어서 페이지 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도면에서의 화살표 cu 2는 페이지 정보의 내부 구성을 클로즈업하고 있다. 이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이 지 정보는 『page_id』, 『UO_mask_table』, 『IN_effect』, 『Out_effect』, 『animation_frame_rate_code』, 『default_selected_button_id_ref』, 『default_ activated_button_id_ref』, 『pallet_id_ref』, 복수 버튼의 각각에 대응하는 『버튼정보 (1) (2) … (i) … (n)』을 포함한다.
『Page_id』는 페이지 정보에 대응하는 페이지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자이다.
『UO_Mask_Table』은 ICS에 대응하는 Display Set에서의 사용자 조작의 허가/불허가를 나타낸다. 이 마스크 필드가 불허가로 설정되어 있으면 재생장치에 대한 사용자 조작은 무효가 된다.
『IN_effect』는 페이지의 표시개시시에 실행해야 할 표시효과를 나타낸다.
『Out_effect』는 페이지의 표시종료시에 실행해야 할 표시효과를 나타낸다.
『animation_frame_rate_code』는 애니메이션형 버튼에 적용해야 하는 프레임 레이트를 기술한다.
『default_selected_button_id_ref』는, 대화화면의 표시가 시작되었을 때, 디폴트로 셀렉티드 상태로 설정해야 할 버튼을 동적으로 정하는가, 정적으로 정하는가를 나타낸다. 본 필드가 "OxFF"이면 디폴트에 의해 셀렉티드 상태로 설정해야 할 버튼을 동적으로 정한다는 취지를 나타낸다. 이 경우, 재생장치에서의 PSR의 설정 값이 우선적으로 해석되고, PSR 10에 표시되는 버튼이 셀렉티드 상태가 된다. 본 필드가 OxFF가 아니면 디폴트에 의해 셀렉티드 상태로 설정해야 할 버튼을 정적으로 정한다는 취지를 나타낸다. 이 경우, 『default_selected_button_id_ref』에 규정된 버튼 번호로 PSR을 덮어쓰기 하고, 본 필드에 의해 지시되는 버튼을 셀렉티드 상태로 설정한다.
『default_selected_button_id_ref』는, Selection_Timeout_PTS에 의해 정의된 시간 전에 사용자가 어떤 버튼도 액티브 상태로 하지 않았을 때, 자동으로 액티브 상태로 설정되는 버튼을 나타낸다. default_activated_button_number가 "FF"이면 Selection_Timeout_PTS에 의해 정의되는 시각에 있어서, 현재 셀렉티드 상태에 있는 버튼이 자동으로 선택된다. 이 default_activated_button_number가 00이면 자동선택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OO, FF 이외의 값이면 본 필드는 유효한 버튼 번호로서 해석된다.
『pallet_id_ref』는 대화화면에 있어서 CLUT부에 설정해야 하는 팔레트의 id를 나타낸다.
『버튼정보(Button_info)』는 대화화면에 있어서 합성되는 각 버튼을 정의하는 정보이다. 도 35는 버튼정보에 대한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중 인출선 hp 1은 ICS에 의해 제어되는 i번째의 버튼에 대한 버튼정보 i의 내부 구성을 클로즈업하고 있다. 페이지에 표시되는 개개의 버튼의 상태는 노말 상태, 셀렉티드 상태, 액티브 상태이다. 노말 상태란 단순히 표시되어 있는 것에 불과한 상태이다. 이에 대해 셀렉티드 상태란 사용자 조작에 의해 포커스가 맞춰져 있으나, 확정에 이르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액티브 상태란 확정에 이른 상태를 말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있으므로 버튼정보 i에는 이하의 정보요소가 규정되어 있다.
『button_number』는 버튼 i를 ICS에 있어서 고유하게 식별하는 수치이다.
『numerically_selectable_flag』는 버튼 i의 수치선택을 허가하는가 하지않는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auto_action_flag』는 버튼 i를 자동으로 액티브 상태로 하는가 여부를 나타낸다. auto_action_flag가 온(비트 값 1)에 설정되면, 버튼 i는 셀렉티드 상태가 되는 대신 액티브 상태가 된다. auto_action_flag가 오프(비트 값 0)로 설정되면, 버튼 i는 선택되었다고 해도 셀렉티드 상태가 되는 것에 불과하다.
『object_horizontal_position』, 『object_vertical_position』은 대화화면에서의 버튼 i의 좌상(左上) 화소의 수평위치, 수직위치를 나타낸다.
『upper_button_number』는 버튼 i가 셀렉티드 상태일 경우에 있어서 MOVEUP 키가 눌려진 경우, 버튼 i의 대신에 셀렉티드 상태로 해야 할 버튼의 번호를 나타낸다. 만일 이 필드에 버튼 i의 번호가 설정되어 있으면 MOVEUP 키가 눌러진 것은 무시된다.
『lower_button_number』, 『left_button_number』, 『right_button_number』는 버튼 i가 셀렉티드 상태인 경우에 있어서 MOVE Down 키, MOVE Left 키, MOVE Right 키가 눌러진 경우, 버튼 i 대신에 셀렉티드 상태로 해야 할 버튼의 번호를 나타낸다. 만일 이 필드에 버튼 i의 번호가 설정되어 있으면 이들 키가 눌러진 것은 무시된다.
『start_object_id_normal』은 노말 상태의 버튼 i를 애니메이션에 의해 묘사하는 경우, 애니메이션을 구성하는 복수 ODS에 부가된 일련번호 중 최초의 번호가 이 start_object_id_normal에 기술된다.
『end_object_id_normal』은 노말 상태의 버튼 i를 애니메이션에 의해 묘사하는 경우, 애니메이션을 구성하는 복수 ODS에 부가된 일련번호 『object_ID』 중 최후의 번호가 이 end_object_id_normal에 기술된다. 이 End_object_id_normal에 표시되는 ID가 start_object_id_normal에 표시되는 ID와 같은 경우, 이 ID에 의해서 표시되는 그랙픽스 오브젝트의 정지화면이 버튼 i의 도안이 된다.
『repeated_normal_flag』는 노말 상태에 있는 버튼 i의 애니메이션 표시를 반복 계속하는가 여부를 나타낸다.
『start_object_id_selected』는 셀렉티드 상태의 버튼 i를 애니메이션으로 묘사하는 경우, 애니메이션을 구성하는 복수 ODS에 부가된 일련번호 중 최초의 번호가 이 start_object_id_selected에 기술된다. 이 End_object_id_selected에 표시되는 ID가 start_object_id_selected에 표시되는 ID와 같은 경우, 이 ID에 의해서 표시되는 그래픽스 오브젝트의 정지화면이 버튼 i의 도안이 된다.
『end_object_id_selected』는 셀렉티드 상태의 버튼을 애니메이션으로 묘사하는 경우, 애니메이션을 구성하는 복수 ODS에 부가된 일련번호인 『object_ID』 중 최후의 번호가 이 end_object_id_selected에 기술된다.
『repeat_selected_flag』는 셀렉티드 상태에 있는 버튼 i의 애니메이션 표시를 반복 계속하는가 여부를 나타낸다. start_object_id_selected와 end_object_ id_selected가 같은 값이 되면 본 필드 00으로 설정된다.
『start_object_id_activated』는 액티브 상태의 버튼 i를 애니메이션으로 묘사하는 경우, 애니메이션을 구성하는 복수 ODS에 부가된 일련번호 중 최초의 번 호가 이 start_object_id_activated에 기술된다.
『end_object_id_activated』는 액티브 상태의 버튼을 애니메이션으로 묘사하는 경우, 애니메이션을 구성하는 복수 ODS에 부가된 일련번호인 『object_ID』 중 최후의 번호가 이 end_object_id_activated에 기술된다.
이어서 버튼 코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버튼 코맨드(button_command)』는 버튼 i가 액티브 상태가 되면 실행되는 코맨드가다. 버튼 코맨드에서는 이하의 (i) ~ (iv)의 코맨드를 사용함으로써, PSR, GPR에 값을 설정하거나 이들 PSR, GPR로부터 값을 취득하거나 할 수 있다.
(i) Get value of Player Status Register 코맨드
서식 : Get value of Player Status Register(인수)
이 함수는 인수(引數)에 의해 지정된 플레이어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의 설정 값을 취득한다.
(ii) Set value of Player Status Register 코맨드
서식 : Set value of Player Status Register(제 1 인수, 제 2 인수)
이 함수는 제 1 인수에 의해 지정된 플레이어 스테이터스 레지스터에 제 2 인수에 의해 지정된 값을 설정하도록 한다.
(iii) Get value of General Purpose Register 코맨드
서식 : Get value of General Purpose Register(인수)
이 함수는 인수에 의해 지정된 General Purpose Register의 설정 값을 취득하는 함수이다.
(iv) Set value of General Purpose Register 코맨드
서식 : Set value of General Purpose Register(제 1 인수, 제 2 인수)
이 함수는 제 1 인수에 의해 지정된 General Purpose Register에 제 2 인수에 의해 지정된 값을 설정시킨다.
<구체 예>
이상이 ICS의 내부 구성이다. ICS에 의한 대화제어의 구체 예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본 구체 예는 도 36과 같은 ODS, ICS를 상정하고 있다. 도 36은 어떤 DSn에 포함되는 ODS와 ICS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DSn에는 ODS 11 ~ 19, 21 ~ 29, 31 ~ 39, 41 ~ 49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들 ODS 중 ODS 11 ~ 19는 버튼 1-A의 각 상태를 묘사한 것이고, ODS 21 ~ 29는 버튼 B의 각 상태를 묘사한 것, ODS 31 ~ 39는 버튼 1-C의 각 상태를 묘사한 것, ODS 41 ~ 49는 버튼 1-D의 각 상태를 묘사한 것으로 한다(도면 중의 괄호 }를 참조). 한편, ICS에는 페이지 1 ~ 페이지 3이라고 하는 3매의 페이지에 대응하는 페이지 정보 (1), (2), (3)이 존재하고 있고, 이 중 선두 페이지에 해당하는 페이지 1에서의 button_info (1), (2), (3), (4)에 의해서 이들 버튼 1-A ~ 버튼 1-D의 상태제어가 기술되어 있다(도면 중 화살표 bh 1, 2, 3, 4 참조).
이 ICS에 의한 제어의 실행 타이밍이 도 37에 도시한 동화상 중 임의의 픽처 데이터 pt 1의 표시 타이밍이면, ICS에 의해 표시 가능한 세 개의 페이지(페이지 1, 페이지 2, 페이지 3) 중 페이지 1이 이 픽처 데이터 pt 1에 합성되어 표시되게 된다(gs 2). 동화상의 내용과 함께 복수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대화화면이 표시되므 로, ICS에 의해 버튼을 사용한 리얼한 연출이 가능해진다.
도 38에 도시하는 버튼 1-A ~ 버튼 1-D의 상태천이를 실행하는 경우의 ICS의 기술 예를 도 39에 나타낸다. 도 38에서의 화살표 hh 1, hh 2는 button info(1)의 neighbor_info()에 의한 상태천이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button info(1)의 neighbor_info()에서의 lower_button_number는 버튼 1-C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버튼 1-A가 셀렉티드 상태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MOVEDown 키가 눌러진 UO가 발생하면(도 38의 up 1), 버튼 1-C가 셀렉티드 상태가 된다(도 38의 sj 1). button info(1)의 neighbor_info()에서의 right_button_number는 버튼 1-B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버튼 1-A가 셀렉티드 상태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MOVERight 키가 눌러진 UO가 발생하면(도 38의 up 2), 버튼 1-B가 셀렉티드 상태가 된다(도 38의 sj 2).
도 38에서의 화살표 hh 3은 button info(3)의 neighbor_info()에 의한 상태천이의 제어를 나타낸다. button info(3)의 neighbor_info()에서의 upper_button_number는 버튼 1-A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버튼 1-C가 셀렉티드 상태로 되어있는 상태에서(up 3) MOVEUp 키가 눌러진 UO가 발생하면 버튼 1-A가 셀렉티드 상태로 복귀한다. 버튼 1-A에는 버튼 코맨드 「SetPage 2」가 기술되어 있다. 이 코맨드는 페이지 2로의 절환을 재생장치에 명하는 것이며, 버튼 1-A가 액티브 상태가 되고 관련 버튼 코맨드가 실행되면,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이지 1에서 페이지 2로의 표시 절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재생장치>
이상이 기록매체의 개량이다. 이어서 본 실시 예에 관한 재생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재생장치가 가지는 복수 PSR 중 대화기능에 관한 것은 PSR 0, PSR 11, PSR 10이다. 도 41을 참조하면서 PSR 0, PSR 10, PSR 11에 대하여 설명한다.
PSR 0은 현재 Play Item의 STN_table에 엔트리가 기술되어 있는 복수 IG 스트림 중 하나를 특정하는 것이다.
PSR 11은 PSR 0에 의해 특정되는 IG 스트림에 의해 복수 페이지의 표시가 가능한 경우, 이들 복수 페이지 중 하나를 특정하는 것이다.
PSR 10은 PSR 11에 의해 특정되는 페이지에 복수 버튼이 존재하는 경우, 그들 복수 버튼 중 하나를 특정하는 것이다.
대화기능을 실현함에 있어서 PSR 0은 이하와 같은 상태천이를 행한다. PSR 0은 초깃값으로서 1이 설정되어 있고, 재생장치에 의해 2 ~ 32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42(a)는 PSR 0을 취할 수 있는 상태천이를 나타낸다. 도 42(a)는 PSR 0에서의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를 나타내고, 도 43은 PSR 0에서의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들 상태천이, 흐름도는 제 1 실시 예에 제시한 PSR 1, PSR 2와 동일하다. 오디오 스트림, PG_textST_stream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복수 언어에 대응하는 IG 스트림이 AVCip에 다중화되어 있는 경우, 이들 중에서 재생장치 측의 언어설정에 따른 것이 선택되고 표시되게 된다. 이때, 재생장치는 대응하는 엔트리가 STN_table에 있어서 몇 번째에 위치하는가에 따라서 IG 스트림을 선택한다. 이로 인해 편집 담당자는 STN_table에서의 엔트리의 기술순서를 규정할 수 있고, 복수 IG 스트림 중 원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이 PSR 0의 상태천이에 대한 설명이 다.
PSR 10, PSR 11도 PSR 0과 마찬가지로, 제 1 실시 예, 제 2 실시 예에 제시한 바와 같은 상태천이를 행하며, 그 상세에 대해서는 후에 설명한다.
이어서 본 실시 예에 관한 재생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재생하여야 하는 IG 스트림이 PSR 0에 제시되어 있으므로, 제 2 실시 예의 재생장치에 있어서 제어부(24), 디멀티플렉서 3은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24)는 STN_table에서의 IG 스트림의 entry-attribute 중 PSR 0에 저장되어 있는 스트림 번호에 대응하는 것으로부터 PID를 인출하여 디멀티플렉서 3에 설정한다.
디멀티플렉서 3은 BD-ROM 및 HD로부터 판독된 TS 패킷 중 제어부(24)로부터 설정된 PID를 갖는 것을 I-그래픽스 디코더(13)에 출력한다. 이로 인해 I-그래픽스 디코더(13)에는 ICS, PDS, ODS가 순차적으로 공급되게 된다.
<I-그래픽스 디코더(13)의 내부 구성>
이어서, 도 44를 참조하면서 I-그래픽스 디코더(13)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I-그래픽스 디코더(13)는 코디드 데이터 버퍼(Coded Data Buffer(33)), 스트림 그래픽스 프로세서(Stream Graphics Processor(34)), 오브젝트 버퍼(Object Buffer(35)), 콤포지션 버퍼(Composition Buffer(36)), 그래픽스 컨트롤러(Graphics Controller(37))로 구성된다.
코디드 데이터 버퍼(33)는 ICS, PDS, ODS가 DTS, PTS와 함께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이다.
스트림 그래픽스 프로세서(34)는 ODS를 디코드하여, 디코드에 의해 얻어진 비 압축 그래픽스를 오브젝트 버퍼(35)에 기록한다.
오브젝트 버퍼(35)는 스트림 그래픽스 프로세서(34)의 디코드에 의해 얻어진 비 압축 그래픽스(도면 중의 사각 틀)가 다수 배치되는 버퍼이다.
콤포지션 버퍼(36)는 ICS가 배치되는 메모리이고, 여기에 저장된 ICS에서의 복수의 페이지 정보 및 각 페이지 정보 내에 존재하는 버튼정보를 그래픽스 컨트롤러(37)에 공급한다.
그래픽스 컨트롤러(37)는 콤포지션 버퍼(36)에 배치된 ICS에서의 복수 페이지 정보 중 PSR 11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것(현재 페이지 정보)의 버튼정보를 참조하여, 그래픽스의 묘사를 행한다. 이 묘사는, 현재 페이지 정보 내의 각 버튼정보에 있어서 normal_state_info의 start_object_id, End_object_id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그래픽스를 오브젝트 버퍼(15)로부터 판독하고,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플레인(15)에 기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현재 페이지 정보 내의 버튼정보 중 PSR 10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것에 대해서는 selected_state_info의 start_object_id, End_object_id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그래픽스를 오브젝트 버퍼(15)로부터 판독하여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플레인(15)에 기록함으로써 묘사된다. 도면 중의 화살표 bg 1, 2, 3, 4는 이상의 그래픽스 컨트롤러(37)에 의한 묘사를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묘사에 의해 버튼 1-A ~ 버튼 1-D가 배치된 페이지가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플레인(15)에 나타나고, 동화상에 합성되게 된다.
이상은 그래픽스 컨트롤러(37)가 행해야 하는 처리의 개요이며, 그래픽스 컨 트롤러(37)가 행해야 하는 처리의 상세는 도 45 ~ 도 51에 도시한 것이 된다.
도 45는 그래픽스 컨트롤러(37)의 처리 중 메인 루틴에 해당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흐름도는 스텝 S88(애니메이션 처리), 스텝 S89(UO 처리)를 행하면서도 스텝 S81, S82, 스텝 S83의 어느 하나의 사상이 성립하고 있는가 여부를 판정하고, 만일 어떤 사상이 성립하면 해당하는 처리를 실행하여 메인 루틴으로 복귀하는 것이다.
스텝 S81은 현재의 재생시점에 있어서 ICS가 Valid가 되었는가 되지 않았는가의 판정이며, 만일 그렇다면 ICS에서의 최초의 페이지 정보를 PSR 10에 설정한다(스텝 S84). 그 후, 현재 페이지의 표시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85).
스텝 S82는 현재의 재생시점이 selection_TimeOut_PTS에 표시되는 시각인가 여부의 판정이며, 만일 그렇다면 버튼을 활성화하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86).
스텝 S83은 현재의 재생시점이 Composition_TimeOut_PTS인가 여부의 판정이며, 만일 그렇다면 화면 클리어를 행하여 PSR 10, PSR 10을 무효화한다(스텝 S87). 이상이 타임 스탬프에 의한 동기처리이다. 이 동기처리에 있어서 스텝 S85, 스텝 S86의 처리순서는 서브루틴화 되어 있다. 스텝 S85의 서브루틴의 처리순서를 도 4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6은 초기 표시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스텝 S91은 현재 페이지의 In-effect에 규정된 표시효과의 실행이고, 이를 실행한 후, 현재 버튼의 설정처리를 행한다. 현재 버튼은 PSR 10에 규정되어 있고, 이 PSR 10에 대한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의 실행이 이 스텝 S92의 처리이다. 이와 같은 스텝 S92에 의해 현재 버튼이 결정되면 스텝 S93 ~ 스텝 S98로 이행한다.
스텝 S93 ~ 스텝 S98은 현재 페이지에서의 각 버튼정보에 대하여 반복되는 루프처리를 형성하고 있다(스텝 S93, 스텝 S94). 본 루프처리에 있어서 처리대상이 되어야하는 버튼정보를 버튼정보(p)라고 한다.
스텝 S95에서는 button_info(p)가 현재 버튼에 대응하는 button_info인가 여부를 판정한다. 만일 그렇다면 스텝 S96으로, 상이하면 스텝 S97로 이행한다.
스텝 S96에서는 button_info(p)의 normal_state_info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start_object_id_normarl의 그래픽스 오브젝트를 그래픽스 오브젝트(p)로 하여 오브젝트 버퍼(15)에서 특정한다.
스텝 S97에서는 button_info(p)의 selected_state_info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start_object_id_selected의 그래픽스 오브젝트를 그래픽스 오브젝트(p)로 하여 특정한다.
스텝 S96, 스텝 S97을 거쳐서 그래픽스 오브젝트(p)가 특정되면, button_info(p)의 button_horizontal_position, button_vertical_position에 제시되는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플레인(15) 상의 위치에 그래픽스 오브젝트(p)를 기록한다(스텝 S98). 이와 같은 처리를 현재 페이지에서의 각 버튼정보에 대하여 반복하도록 하면 각 버튼의 상태를 표시하는 복수 그래픽스 오브젝트 중 최초의 그래픽스 오브젝트가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플레인(15) 상에 기록되게 된다.
이어서 스텝 S86의 서브루틴의 처리순서를 도 4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7은 버튼의 자동 활성화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default_activated_button_number가 0인가, FFR인가를 판정하고(스텝 S100), 00이면 어떤 처리도 행하지 않고 메인 루틴으로 복귀한다. FF이면 현재 버튼 i를 액티브 상태로 천이한다(스텝 S102). 그리고 현재 버튼 i에 대응하는 변수 animation(i)을 0으로 설정하고 메인 루틴으로 복귀한다(스텝 S103).
00도 FF도 아니면 default_activated_button_number에 의해 지정되는 버튼을 현재 버튼으로 하고(스텝 S101), 현재 버튼 i를 액티브 상태로 천이하며(스텝 S102), 현재 버튼 i에 대응하는 변수 animation(i)를 0으로 설정하고 메인 루틴으로 복귀한다(스텝 S103).
이상의 처리에 의해 셀렉티드 상태의 버튼은 소정시간의 경과시에 액티브 상태로 천이되게 된다. 이상이 도 47의 흐름도의 전모이다.
이어서 페이지에서의 애니메이션 표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8은 애니메이션 표시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초기표시는, 각 button_info의 normal_state_info에서의 start_ object_id_normal, selected_state_info에서의 start_object_id_selected에서 지정되어 있는 그래픽스 오브젝트를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플레인(15)에 기록함으로써 실현하였다. 애니메이션이란, 메인 루틴의 루프처리가 일순(一巡)할 때마다 각 버튼에서의 임의의 코마(q 코마 째에 있는 그래픽스 오브젝트)를 이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플레인(15)에 덮어쓰기 하는 처리이다. 이 갱신은, button_info의 normal_ state_info, selected_state_info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그래픽스 오브젝트를 1매 씩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플레인(15)에 기록하고 메인 루틴으로 복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여기서 변수 q는, 각 버튼정보의 button_info의 normal_state_info, selected_state_info에 지정되어 있는 개개의 그래픽스 오브젝트를 지정하기 위한 변수이다.
이 애니메이션 표시를 실현하기 위한 처리를 도 4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흐름도는, 표시의 간략화를 기하기 위해, ICS의 repeat_normal_flag, repeat_selectd_flag가 반복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작도되어 있다.
스텝 S110은 초기표시가 완료되어 있는가 여부의 판정이며, 만일 완료되어 있지 않으면 어떤 처리도 행하지 않고 복귀한다. 만일 완료되어 있으면 스텝 S111 ~ 스텝 S123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111 ~ 스텝 S123은 ICS에서의 각 button_info에 대하여 스텝 S113 ~ 스텝 S123의 처리를 반복하는 루프처리를 구성하고 있다(스텝 S111, 스텝 S112).
스텝 S113은 button_info(p)에 대응하는 변수 animation(p)를 변수 q로 설정한다. 이렇게 하여 변수 q는 button_info(p)에 대응하는 현재의 코마 수를 나타내게 된다.
스텝 S114는 button_info(p)가 현재 셀렉티드 상태에 있는 버튼(현재 버튼)에 대응하는 button_info인가 여부의 판정이다.
현재 버튼 이외의 버튼이면, button_info(p).normal_state_info에서의 start_object_id_normal에 변수 q를 더한 식별자를 ID(q)로 한다(스텝 S115).
현재 버튼에 대응하는 버튼이면 스텝 S116의 판정을 행한다.
스텝 S116은 현재 버튼이 액티브 상태인가의 판정이며, 만일 그렇다면 스텝 S117에서 button_info(p).actioned_state_info에서의 start_object_id_actioned에 변수 q를 더한 식별자를 ID(q)로 한다. 그리고 button_info(p)에 포함되는 버튼 코맨드 중 하나를 실행한다(스텝 S118).
현재 버튼이 액티브 상태가 아니면 button_info(p).selected_state_info에서의 start_object_id_selected에 변수 q를 더한 식별자를 ID(q)로 한다(스텝 S119).
이렇게 하여 ID(q)가 결정되면, 오브젝트 버퍼(15)에 존재하는 ID(q)를 갖는 그래픽스 오브젝트(q)를 button_info(p)의 button_horizontal_position, button_vertical_position에 제시되는 그래픽스 플레인(8) 상의 위치에 기록한다(스텝 S120).
이상의 루프처리에 의해 현재 버튼의 셀렉티드 상태(혹은 액티브 상태) 및 그 외의 버튼의 노말 상태를 구성하는 복수 그래픽스 오브젝트 중 q장째의 것이 인터랙티브 플레인(15)에 기록되게 된다.
스텝 S121은 start_object_id_normal + q가 end_object_id_normal에 도달했는가 여부의 판정이며, 만일 도달하지 않았으면, 변수 q를 인크리먼트한 값을 변수 animation(p)에 설정한다(스텝 S122). 만일 도달했으면, 변수 animation(p)을 0으로 초기화한다(스텝 S123). 이상의 처리는 ICS에서의 모든 button_info에 대하여 반복된다(스텝 S111, 스텝 S112). 모든 button_info에 대하여 처리가 이루어지면 메인 루틴으로 복귀한다.
이상의 스텝 S110 ~ 스텝 S123에 의해 대화화면에서의 각 버튼의 도안은, 메인 루틴이 일순할 때마다 새로운 그래픽스 오브젝트로 갱신된다. 메인 루틴이 몇 번이고 반복되면 소위 애니메이션이 가능해진다. 애니메이션 시에 그래픽스 오브젝트 코마의 표시간격은 animation_frame_rate_code에 표시되는 값이 되도록 그래픽스 컨트롤러(37)는 시간조정을 행한다.
이어서, 버튼 코맨드의 실행처리에 대하여 도 49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스텝 S131은 버튼정보에서의 버튼 코맨드를 하나 인출하며, 스텝 S132는 버튼 코맨드가 페이지 절환 코맨드인가 여부의 판정이다. 만일 페이지 절환 코맨드가 아니면 스텝 S133에 있어서 버튼 코맨드를 그대로 실행한다. 만일 페이지 절환 코맨드가면 현재 페이지의 Out_effect에 규정된 표시효과를 실행한다(스텝 S134). 그리고 button_command의 오퍼랜드로부터 특정되는 절환처 페이지를 X로 하고, button_command의 오퍼랜드로부터 특정되는 버튼 번호를 PSR 10에 저장하며(스텝 S135), PSR 10에 대한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를 실행한다(스텝 S136). 여기서 PSR 10은 현재 표시되어 있는 페이지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에 대한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를 실행함으로써, 현재 페이지가 정해진다. 그 후, R 10에 대한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를 실행하고 버튼 코맨드 실행처리를 끝낸다.
이상으로 버튼 코맨드 실행처리에 대한 설명을 마친다. 이어서 메인 루틴의 스텝 S37에서의 UO 처리의 처리순서에 대하여 도 5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0은 UO 처리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흐름도는 스텝 S140 ~ 스텝 S143 중 어느 하나의 사상이 성립하고 있는가 여부를 판정하고, 만일 어떤 사상이 성립하면 해당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메인 루틴으로 복귀한다. 스텝 S140은 UOmaskTable이 "1"로 설정되어 있는가 여부의 판정이며, 만일 설정되어 있으면 어떤 처리도 행하지 않고 메인 루틴으로 복귀한다.
스텝 S141은 MoveUP / Down / Left / Right 키가 눌러졌는가 여부의 판정이며, 만일 이들 키가 눌러지면 현재 버튼을 변경하여(스텝 S147), 현재 버튼의 auto_action_flag가 01인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48). 만일 다르면 메인 루틴으로 복귀한다. 만일 그렇다면 스텝 S144로 이행한다.
스텝 S142는 수치입력인가 여부의 판정이며, 만일 수치입력이면 수치입력처리를 행하고(스텝 S146) 메인 루틴으로 복귀한다.
스텝 S143은 activated 키가 눌러졌는가 여부의 판정이며, 만일 그렇다면 현재 버튼 i를 액티브 상태로 천이한다(스텝 S144). 그 후, 변수 animation(i)를 0으로 설정한다(스텝 S145). 도 51의 처리순서 중 스텝 S147은 서브루틴화 되어 있다. 이 서브루틴의 처리순서를 나타낸 것이 도 51이다. 이하 이들 흐름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1은 현재 버튼의 변경처리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현재 버튼의 neighbor_info에서의 upper_button_number, lower_button_number, left_button_number, right_button_number 중 눌러진 키에 대응하는 것을 특정한다(스텝 S150).
그리고 현재 버튼을 버튼 Y로 하고, 새로 현재 버튼이 되는 버튼을 버튼 X로 한다(스텝 S151). X를 PSR 10에 설정함에 있어서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를 실행한다(스텝 S152).
설정 후, 변수 animation(X), 변수 animation(Y)를 0으로 설정한 다음 메인 루틴으로 복귀한다(스텝 S153).
이상이 그래픽스 디코더의 처리이다.
<포커스 이동의 구체 예>
이상의 페이지 절환에 있어서, 절환 페이지에서의 어떤 버튼을 셀렉티드 상태로 하는가의 지정은 편집 담당자의 판단에 달려 있다. 여기서 어떤 포커스 이동을 실현하는가가 문제가 된다. 여기서 포커스는 셀렉티드 상태로 되어 있는 버튼을 말하며, 포커스 이동은, 상술한 버튼 코맨드나 디폴트 셀렉티드 버튼을 사용함으로써, 페이지 절환에 따라서 셀렉티드 상태로 되어 있는 버튼을 동적으로, 또는 정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연속 드라마 등 복수의 콘텐츠가 기록된 패키지 미디어의 시청을 지원하기 위한 포커스 이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연속 드라마가 기록된 패키지 미디어에서는 제 1 화, 제 2 화, 제 3 화, 제 4 화와 같이 각 화에 해당하는 콘텐츠가 한 장의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다. 이때, 제 1 화 → 제 2 화, 제 2 화 → 제 3 화, 제 3 화 → 제 4 화와 같이, 화수(話數) 순으로 각 화별(話別) 콘텐츠를 재생해 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화수 선택이 선택 메뉴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하나의 화의 재생이 끝날 때마다 제 1 화 → 제 2 화, 제 2 화 → 제 3 화, 제 3 화 → 제 4 화와 같은 선택조작을 사용자가 행하도록 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번잡 감을 준다.
이 선택조작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 도 52이다. 본 도면에 있어서 선택 메뉴에는 제 1 화, 제 2 화, 제 3 화, 제 4 화의 각각에 대응하는 버튼이 있고, 각 버튼의 확정시에는 제 1 화에 대응하는 챕터 메뉴, 제 2 화에 대응하는 챕터 메뉴, 제 3 화에 대응하는 챕터 메뉴가 각각 표시된다. 이들 챕터 메뉴의 표시 후, 선택 메뉴가 재표시되었을 때, 사용자는 일일이 다음 화수의 콘텐츠를 선택하도록 키 조작을 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 즉, 제 1 화에 대응하는 챕터 메뉴가 표시되고(hw 1), 선택 메뉴가 재표시된 경우(hw 2), 제 2 화를 선택하도록 키 조작(ks 1)을 행할 필요가 있다.
또 제 2 화에 대응하는 챕터 메뉴가 표시되고(hw 3), 선택 메뉴가 재표시된 경우(hw 4), 제 3 화를 선택하도록 키 조작(ks 2)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키 조작의 수고의 번거로움을 경감하는 것이 포커스 이동이다. 이하, 포커스 이동의 실현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3은 도 52에 도시한 페이지 1 ~ 페이지 4를 선택 메뉴, 챕터 메뉴에 어떻게 할당되는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2에 나타낸 복수 페이지 중, 페이지 1을 선택 메뉴에 할당하고, 페이지 2를 제 1 화의 챕터 메뉴, 페이지 3을 제 2 화의 챕터 메뉴, 페이지 4를 제 3 화의 챕터 메뉴에 각각 할당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페이지 1의 버튼 1-A ~ 버튼 1-D를 선택 메뉴의 제 1 화 ~ 제 4 화의 선택 버튼에 할당하고, 페이지 2의 버튼 1-A ~ 버튼 2-F를 챕터 메뉴의 챕터 1 ~ 챕터 5, 복귀 버튼에 할당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복귀 버튼은 선택 메뉴를 재표시시키는 취지를 사용자로부터 접수하는 버튼이다.
이와 같은 할당을 행한 후, 페이지 1의 버튼 1-A의 버튼 코맨드, 페이지 2의 버튼 2-F의 버튼 코맨드를 사용하여, 도 54와 같은 처리순서를 기술한다. 본 도면에서의 버튼 1-A의 버튼 코맨드에 의해 기술된 처리순서는, 버튼 1-A의 확정시에는 (1) PSR 10의 설정 값을 GPR에 저장하고, (2) PSR 11에 값 2를, (3) PSR 10에 값 1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PSR이 설정됨으로써 제 1 화의 챕터 메뉴가 표시되고 버튼 2-A가 셀렉티드 상태가 된다.
한편, 페이지 2의 버튼 2-F의 버튼 코맨드에 의해 기술된 처리순서는, (1) PSR 11에 1을 설정하고, (2) "GPR에 저장한 값 +1"을 PSR 10에 설정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페이지 1의 버튼 1-A, 페이지 2의 버튼 2-F의 버튼 코맨드를 기술하면, 제 1 화의 챕터 메뉴의 표시가 종료하여 선택 메뉴를 재표시할 때, 제 1 화에서 제 2 화의 버튼으로 포커스가 자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동일한 버튼 코맨드의 기술을 페이지 1의 버튼 1-B ~ 버튼 1-D, 다른 페이지의 버튼에 대하여 반복하도록 하면, 도 5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포커스 이동이 실현되게 된다.
이와 같은 포커스 이동에 의해, 수많은 콘텐츠로 이루어지는 연속 드라마에서 보고 싶은 챕터를 찾아내는 검색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이상의 포커스 이동의 실현에 있어서, 개개의 버튼마다 버튼 코맨드를 기술하여야 하므로, 버튼이나 페이지의 수가 많으면 버그의 발생도 있을 수 있고, 이와 같은 버그를 발견하기 위한 테스트 작업도 필요해진다.
포커스 이동시에 일어날 수 있는 버그로는 이하와 같은 것이 있다. 페이지 1 의 표시시에 있어서, 네 번째의 버튼 1-D가 셀렉티드 상태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술한 순서가 실행되면, 페이지 1 → 페이지 2의 절환, 페이지 2 → 페이지 1의 절환시에 있어서 버튼 1-D의 버튼 번호에 1을 더한 버튼 번호(=5)가 PSR에 설정된다. 다섯 번째의 버튼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PSR의 이와 같은 설정에 의해 페이지 1에서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버튼으로 포커스가 이동하게 된다. 또,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이지 2에서의 여섯 번째의 버튼(버튼 1-F)이 셀렉티드 상태로 설정된 후, PSR이 갱신되지 않은 채 페이지 1이 재표시되는 케이스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페이지 1의 재표시시에 실재하지 않는 버튼에 포커스가 이동함으로써, 재표시시에서의 포커스 이동이 이상해진다. 이상과 같이 개개의 페이지별로 버튼 수가 다른 경우, 절환 후의 페이지에 존재할 수 없는 버튼을 셀렉티드 상태로 하도록 하는 잘못된 상태설정이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다. 콘텐츠의 출하시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하자의 발생은 허락되지 않으므로, 이와 같은 상태설정의 정상동작을 보증해야 하는 편집 담당자는, 프로그램의 출하시와 같은 디버그의 테스트에 주력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소프트웨어 하우스와 같은 디버그 테스트를 편집 담당자가 철저하게 행하도록 한다는 것은, 본업인 콘텐츠 제작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그래서, 본 실시 예에서는 PSR 1, PSR 2, PSR 3과 마찬가지로,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를 통한 상태천이를 PSR 10, PSR 11이 행하도록 한다.
<PSR 11의 상태천이>
PSR 11은 IG 스트림에서 현재 표시되어 있는 페이지(현재 페이지)를 나타낸다. PSR 11은 00 ~ FF의 값을 취하며, 재생장치는 이 PSR 11의 값을 페이지 번호로서 해석하여 페이지 표시를 행한다. 도 57(a)은 PSR 11의 상태천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을 도 15(a)와 비교하면, 사상 Cross PlayItem Boundary를 트리거로 한 상태천이는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Invalid에서 Valid로의 상태천이의 트리거가 Start PlayList Playback에서 Interactive Composition Segment become Valid로 치환되어 있고, Valid에서 Invalid로의 상태천이가 Terminate PlayList Playback에서 Interactive Composition Segment become invalid로 치환되어 있다. 또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는 Stream change is requested가 아니라, page change is requested로 치환되어 있다. 이들을 제외하면 도 15(a)와 동일하다.
"Interactive Composition Segment become invalid"는 ICS의 composition_time_out_pts에 제시된 시각이 도달하였다는 사상, ICS가 변화하였다는 사상, PL의 재생이 종료하였다는 사상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것이다. 오디오 스트림의 수는 Play Item마다 다르므로, PSR 1의 상태천이에서는 PL의 재생이 시작되어, Play Item의 경계를 통과할 때마다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를 기동하여 PSR 1을 설정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PSR 11은 ICS가 다중화되어 있는 구간에 있어서 의미가 있고, Play Item을 통과할 때마다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를 실행할 필연성이 적으므로, Invalid-Valid, Invalid-Valid의 상태천이는 ICS가 Valid가 되었다는 것을 트리거로 하고 있다.
이어서 PSR 11에 대한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7(b)은 PSR 10에 대한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는 ICS에서의 최초의 페이지 정보를 PSR 11에 설정하는 것이다(스텝 S154).
도 57(c)은 PSR 11에 대한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는 X가 Valid인가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155), 만일 Valid이면 이 X를 PSR 11에 설정하고, 만일 Invalid이면(스텝 S156) 이 PSR 11을 유지하는 것이다(스텝 S157).
이상이 PSR 11에 대한 설명이다.
<PSR 10의 상태천이>
이하, PSR 10의 상태천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8(a)은 PSR 10의 상태천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을 도 57(a)과 비교하면, 사상 Change Page, 사상 Button Disabled를 트리거로 한 상태천이가 부가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면 도 57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는 page change is requested가 아니라, button change is requested로 치환되어 있다.
사상 Change Page는 페이지의 절환이 명해졌다는 사상이고, 사상 Button Disabled는 페이지에 의해서 표시된 버튼이 조작 불가능이 되었다는 사상이다. 이들 사상이 발생하면,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로 이행하여, PSR 10에 설정해야 하는 값을 재설정하고 나서 Valid로 복귀한다.
이상이 PSR 10의 상태천이이다. 이어서 PSR 10의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8(b)은 PSR 10의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스텝 S161은 현재 페이지에서의 디폴트 셀렉티드 버튼이 유효한가 여부의 판정이다. 만일 스텝 S161이 Yes이면 디폴트 셀렉티드 버튼을 PSR 10에 설정한다(스텝 S162).
스텝 S163은 디폴트 셀렉티드 버튼이 Invalid인 경우에 PSR 10이 유효한가 여부의 판정을 행하는 판정스텝이다. 만일 PSR 10이 Valid이면 PSR 10의 값을 유지하고(스텝 S164), PSR 10이 Invalid이면 현재 페이지의 최초의 버튼을 PSR 10에 설정한다(스텝 S165).
도 59는 PSR 10의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흐름도에서의 스텝 S166은 X가 Valid인 버튼 번호인가 여부를 판정하고, 만일 Valid이면 X를 PSR 10에 설정한다(스텝 S168). 만일 X가 Invalid이면 PSR 10의 설정 값을 유지한다(스텝 S167).
상술한 처리순서에 의하면, PSR이 Invalid이면 그 페이지에 기술된 버튼정보 중 선두의 버튼정보를 셀렉티드 상태로 하도록 PSR 10이 설정되므로, 설령 페이지 절환시에 있어서 절환처의 페이지에 존재할 수 없는 버튼 번호를 편집 담당자가 설정해 버렸다고 하더라도, 이것을 바른 값으로 치환하는 처리가 자동으로 실행되게 된다. 포커스 이동을 실현하기 위해서 기술한 버튼 코맨드에 오류가 있어도, 이에 대한 수정이 자동으로 행해지므로 편집 담당자의 부담은 경감한다.
(비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모든 실시행위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아니다. 하기 (A), (B), (C), (D), …… 의 변경을 한 실시행위의 형태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실시는 가능해진다. 본원의 청구항에 기재된 각 발명은 이상에 기재한 복수의 실시 예 및 이들의 변형 예를 확장한 기재 내지 일반화한 기재로 하고 있다. 확장 내지 일반화의 정도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출원 당시의 기술수준의 특성에 의거한다.
(A) 모든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를 BD-ROM으로 하여 실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기록되는 그래픽스 스트림에 특징이 있으며, 이 특징은 BD-ROM의 물리적 특성에 의존하는 것은 아니다. 그래픽스 스트림을 기록할 수 있는 기록매체라면 어떤 기록매체라도 좋다. 예를 들어, DVD-ROM, DVD-RAM, DVD-RW, DVD-R, DVD+RW, DVD+R, CD-R, CD-RW 등의 광디스크, PD, MO 등의 광자기디스크라도 좋다. 또, 콤팩트 플래시 카드, 스마트 미디어, 메모리 스틱, 멀티미디어 카드, PCM-CIA 카드 등의 반도체메모리 카드라도 좋다. 플렉시블 디스크, SuperDisk, Zip, Clik! 등의 자기기록 디스크(i), ORB, Jaz, SparQ, SyJet, EZFley, 마이크로 드라이브 등의 리무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ii)라도 좋다. 또한, 기구 내장형의 하드 디스크라도 좋다.
(B) 모든 실시 예에서의 재생장치는 BD-ROM에 기록된 AVClip을 디코드한 후에 TV에 출력하였으나, 재생장치를 BD-ROM 드라이브만으로 하고, 이들 이외의 구성요소를 TV에 구비해도 좋다. 이 경우, 재생장치와 TV를 IEEE1394로 접속한 홈 네트 워크에 내장할 수 있다. 또, 실시 예에서의 재생장치는 텔레비전과 접속하여 이용되는 타입이었으나, 디스플레이와 일체형으로 된 재생장치라도 좋다. 또한, 각 실시 예의 재생장치에 있어서 처리의 본질적 부분을 이루는 시스템 LSI(집적회로)만을 실시로 해도 좋다. 이들 재생장치 및 집적회로는 어떤 것이든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이므로, 이들 중 어떤 형태의 것이더라도 제 1 실시 예에 제시한 재생장치의 내부 구성을 기초로 재생장치를 제조하는 행위는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의 실시행위가 된다. 제 1 실시 예에 제시한 재생장치의 유상·무상에 의한 양도(유상의 경우는 판매, 무상의 경우는 증여가 된다), 대여, 수입하는 행위도 본 발명의 실시행위이다. 점포 앞 전시, 카탈로그 권유, 팸플릿 배포에 의해 이들의 양도나 대여를 일반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행위도 본 재생장치의 실시행위이다.
(C) 각 흐름도에 도시한 프로그램에 의한 정보처리는 하드웨어 자원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실현되어 있으므로, 상기 흐름도에 처리순서를 나타낸 프로그램은 단일체로 발명으로 성립한다. 모든 실시 예는 재생장치에 내장된 형태로 하여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의 실시행위에 대한 실시 예를 제시하였으나, 재생장치로부터 분리하여, 제 1 실시 예에 제시한 프로그램 단일체를 실시해도 좋다. 프로그램 단일체의 실시행위에는 이들 프로그램을 생산하는 행위(1)나, 유상·무상에 의해 프로그램을 양도는 행위(2), 대여하는 행위(3), 수입하는 행위(4), 쌍방향의 전자통신회선을 통하여 공중에 제공하는 행위(5), 점포 앞 전시, 카탈로그 권유, 팸플릿 배포에 의해 프로그램의 양도나 대여를 일반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행위(6)가 있다.
(D) 각 흐름도에 있어서 시계열로 실행되는 각 스텝의 「시간」의 요소를, 발명을 특정하기 위한 필수사항으로 생각한다. 그러면, 이들 흐름도에 의한 처리순서는 재생방법의 사용형태를 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각 스텝의 처리를 시계열로 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고, 작용 및 효과를 이루도록, 이들 흐름도의 처리를 행하는 것이라면 그것이 본 발명에 의한 기록방법의 실시행위에 해당한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E) BD-ROM에 기록함에 있어서, AVClip을 구성하는 각 TS 패킷에는 확장 헤더를 부여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장 헤더는 TP_extra_header라고 불리고, 『Arribval_Time_Stamp』와 『copy_permission_indicator』를 포함하여 4 바이트의 데이터 길이를 가진다. TP_extra_header부 TS 패킷(이하 EX부 TS 패킷이라고 약칭한다)은 32개마다 그룹화 되어서 3개의 섹터에 기록된다. 32개의 EX부 TS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은 6144 바이트(=32×192)이고, 이것은 3개의 섹터 사이즈 6144 바이트(=2048×3)와 일치한다. 3개의 섹터에 수록된 32개의 EX부 TS 패킷을 "Aligned Unit"이라고 한다.
IEEE1394를 통하여 접속된 홈 네트워크에서의 이용시에 있어서, 재생장치는 이하와 같은 송신처리로 Aligned Unit의 송신을 행한다. 즉, 송신 측 기기는 Aligned Unit에 포함되는 32개의 EX부 TS 패킷 각각에서 TP_extra_header를 제거하고, TS 패킷 본체를 DTCP 규격에 의거하여 암호화하여 출력한다. TS 패킷의 출력에 있어서는 TS 패킷 사이의 여러 곳에 등시성 패킷(isochronous packet)을 삽입한다. 그 삽입장소는 TP_extra_header의 Arrival_Time_Stamp에 표시되는 시각에 의거한 위치이다. TS 패킷의 출력에 따라서 재생장치는 DTCP_Descriptor를 출력한다. DTCP_Descriptor는 TP_extra_header에서의 복제허가 여부 설정을 나타낸다. 여기서 「복제금지」를 나타내도록 DTCP_Descriptor를 기술해 두면, IEEE1394를 통하여 접속된 홈 네트워크에서의 이용시에 있어서 TS 패킷은 다른 기기에 기록되지 않는다.
(F) 각 실시 예에서의 디지털 스트림은 BD-ROM 규격의 AVClip이었으나, DVD-Video 규격, DVD-Video Recording 규격의 VOB(Video Object)라도 좋다. VOB는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을 다중화함으로 얻어진 ISO/IEC13818-1 규격 준거의 프로그램 스트림이다. 또, AVClip에서의 비디오 스트림은 MPEG 4나 WMV 방식이라도 좋다. 또한, 오디오 스트림, Linear-PCM 방식, MP3 방식, MPEG-AAC 방식이라도 좋다.
(G) 각 실시 예에서의 영화작품은 아날로그 방송으로 방송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인코드함으로써 얻어진 것이라도 좋다. 디지털 방송으로 방송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구성되는 스트림 데이터라도 좋다.
또,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아날로그/디지털 영상신호를 인코드하여 콘텐츠를 얻어도 좋다. 또한,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직접 취득한 아날로그/디지털 영상신호를 인코드하여 콘텐츠를 얻어도 좋다. 그 외에도, 배신 서버에 의해 배신되는 디지털 저작물이라도 좋다.
(H) 각 실시 예에 제시한 그래픽스 오브젝트는 런 렝스(run length) 부호화된 라스터 데이터이다. 그래픽스 오브젝트의 압축·부호화 방식에 런 렝스 부호방식을 채용한 것은, 런 렝스 부호화는 자막의 압축·신장에 가장 적합하기 때문이다. 자막에는 동일 화소 값의 수평방향의 연속길이가 비교적 길어진다는 특성이 있 고, 런 렝스 부호화에 의한 압축을 행하면 높은 압축률을 얻을 수 있다. 또, 신장을 위한 부하도 가볍고, 복호 처리의 소프트웨어 화에 적합하다. 디코드를 실현하는 장치 구성을 자막-버튼 사이에서 공통화할 목적으로, 자막과 같은 압축·신장 방식을 버튼에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런 렝스 부호화 방식을 채용했다는 것은 본 발명의 필수사항은 아니며, 그래픽스 오브젝트는 PNG 데이터라도 좋다. 또, 라스터 데이터가 아니라, 벡터 데이터라도 좋고, 더 나아가 투명한 도안이라도 좋다.
(I) PCS에 의한 표시효과의 대상은 장치 측의 디스플레이 설정에 따라서 선택된 자막 그래픽스라도 좋다. 즉 와이드비전, 팬 앤 스캔(Pan and Scan), 레터 박스용의 다양한 표시 모드용의 그래픽스가 BD-ROM에 기록되어 있고, 장치 측은 자신에 접속된 텔레비전의 설정에 따라서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한다. 이 경우, 그렇게 하여 표시된 자막 그래픽스에 대하여 PCS에 의거하는 표시효과를 실시하므로 보기가 좋아진다. 이로 인해 동화상 본체에 의해 표현하고 있던 것과 같은 문자를 사용한 표시효과를 장치 측의 디스플레이 설정에 따라서 표시된 자막으로 실현할 수 있으므로 실용성에 있어서 그 가치는 크다.
(J) 각 실시 예에 있어서 재생장치에는 그래픽스 플레인을 실장 하였으나, 이 그래픽스 플레인에 대신하여 1 라인 분의 비 압축화소를 저장하는 라인 버퍼를 구비해도 좋다. 영상신호로의 변환은 수평 행(라인)마다 행해지므로, 이 라인 버퍼만 구비하고 있으면 이 영상신호로의 변환을 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K) 제 3 실시 예에서는 PSR 10, PSR 11에 값을 설정하는 버튼 코맨드를 ICS에 기술하였으나, PSR 1, PSR 2, PSR 3에 값을 설정하는 버튼 코맨드를 기술해도 좋다. 예를 들어 PSR 2가 영어자막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라면 일본어 음성을 선택하도록 버튼 코맨드를 기술해도 좋다.
(L) 오디오 선택 메뉴, 자막 선택 메뉴를 표시하여, 오디오 스트림 선택, 자막선택을 접수받을 때에 오디오 선택 메뉴, 자막 선택 메뉴에 "디폴트 버튼"이 되는 버튼을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은 버튼에 대응하는 버튼정보는 PSR 1, PSR 2에 부정 값을 설정하는 버튼 코맨드를 가지고 있다. 디폴트 버튼의 확정에 의해 이와 같은 버튼 코맨드가 실행되면, PSR 1, PSR 2에 부정 값이 설정되고,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가 기동되어 최적의 오디오 스트림, PG_textST_stream이 선택되게 된다.
(M) 제 1 실시 예에서 만족해야 하는 조건은 (a) ~ (c)의 3개였으나, 4개 이상이라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재생장치는, 상기 실시 예에 내부 구성이 개시되어 있고, 이 내부 구성에 의거하여 양산할 수 있으므로, 공업상 이용할 수 있다. 이점에서 본 발명에 의한 재생장치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도 1(a)은 본 발명에 의한 재생장치의 사용행위에 대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은 대화화면에 대한 조작을 사용자로부터 접수하기 위한 리모컨(400)에서의 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BD-ROM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AVClip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Clip정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PL정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PL정보에 의한 간접참조를 모식화한 도면이다.
도 7은 sync_PlayItem_id, sync_start_PTS_of_PlayItem에 의한 서브 PlayItem의 동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STN_table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비디오 스트림에 대응한 entry-attribute의 세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b)는 오디오 스트림에 대응한 entry-attribute의 세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c)는 PG 스트림에 대응한 entry-attribute의 세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d)는 textST 스트림에 대응한 entry-attribute의 세트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9(e)는 IG 스트림에 대응한 entry-attribute의 세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HD에 프리로드 된 플레이리스트 정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HD 상의 플레이리스트 정보 내의 Clip_Information_file_name에 의한 파일 지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재생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PSR 1, PSR 2, PSR 15, PSR 16, PSR 30의 상세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PSR 4 ~ PSR 8의 상세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는 PSR 1의 설정 값을 취할 수 있는 상태천이를 나타낸다.
도 15(b)는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스텝 S5의 상세한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재생능력과 스트림의 속성과의 조합을 표 형식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STN_table에서의 엔트리의 순위에 의거하는 오디오 스트림 선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0(a) ~ (c)는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에 의한 오디오 스트림 선택의 제 1 구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a) ~ (c)는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에 의한 오디오 스트림 선택의 제 2 구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a) ~ (c)는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에 의한 오디오 스트림 선택의 제 3 구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a)은 PSR 2를 취할 수 있는 상태천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b)은 PSR 2에서의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4는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5는 PSR 2의 설정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6(a) ~ (c)는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에 의한 PG_textST_stream 선택의 구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STN_table에서의 엔트리의 순위에 의거하는 PG_textST_stream 선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제 2 실시 예에 의한 PlayList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제 2 실시 예에 의한 파일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a), (b)는 멀티앵글구간, 비 멀티앵글구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PSR 3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a)는 PSR 3의 상태천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b)는 PSR 3에서의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2(c)는 PSR 3에서의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3(a), (b)는 앵글구간의 선택이 어떻게 행해졌는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IG 스트림, ICS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버튼정보에 대한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어떤 DSn에 포함되는 ODS와 ICS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임의의 픽처 데이터 pt 1의 표시 타이밍에서의 화면합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은 버튼 1-A ~ 버튼 1-D의 상태천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는 ICS에서의 버튼정보의 설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은 페이지 1에서 페이지 2로의 표시 절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은 PSR 0, PSR 10, PSR 1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2(a)는 PSR 0을 취할 수 있는 상태천이를 나타낸다.
도 42(b)는 PSR 0에서의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를 나타낸다.
도 43은 PSR 0에서의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의 흐름도이다.
도 44는 I-그래픽스 디코더(13)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5는 타임 스탬프에 의한 동기 제어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6은 초기 표시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7은 자동 활성화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8은 애니메이션 표시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9는 버튼 코맨드 실행처리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0은 UO 처리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1은 현재 버튼의 변경 처리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2는 연속 드라마를 시청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행해야하는 키 조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3은 도 52에 나타낸 페이지 1 ~ 페이지 4를 선택 메뉴, 챕터 메뉴에 어떻게 할당하는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4는 포커스 이동을 실현할 때에 각 버튼 코맨드에 기술해야하는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5는 앞 페이지의 포커스 위치와 연동하도록 포커스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6은 포커스 이동시에 일어날 수 있는 버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7(a)은 PSR 11의 상태천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7(b)은 PSR 10에 대한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7(c)은 PSR 11에 대한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8(a)은 PSR 10의 상태천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8(b)은 PSR 10의 Procedure when playback condition is changed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9는 PSR 10의 Procedure when change is requested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부호의 설명)
1 BD 드라이브 2 리드 버퍼
3 디멀티플렉서 4 비디오 디코더
5 비디오 플레인 9 P-그래픽스 디코더
10 프레젠테이션 그래픽스 플레인
11 합성부 12 폰트제네레이터
13 I-그래픽스 디코더 14 스위치
15 인터랙티브 그래픽스 플레인
16 합성부 17 컨트롤러
18 리드 버퍼 19 디멀티플렉서
20 오디오 디코더 21 스위치
22 스위치 23 시나리오 메모리
24 제어부 25 스위치
26 CLUT부 27 CLUT부
28 PSR 세트 29 조작접수
30 천이제어부 200 재생장치
300 텔레비전 400 리모컨
Claims (3)
- 그래픽스 스트림(Graphics Stream) 및 동화상 스트림(Video Stream)을 재생하는 재생장치로,그래픽스 스트림은 하나 이상의 대화제어 세그먼트와 그래픽스 데이터를 포함하고,상기 대화제어 세그먼트는 복수의 페이지정보와 타임아웃정보를 포함하며,복수의 페이지정보는 멀티페이지 메뉴의 화면 구성을 규정하는 정보이고, 각 페이지정보는 하나 이상의 버튼정보를 포함하며, 각 버튼정보는 그래픽스 데이터를 버튼 부재의 한 상태로서 표시시킴으로써 멀티페이지 메뉴를 구성하는 각 페이지 상에서 대화적인 화면구성을 실현하는 정보이고,타임아웃정보는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시간 축 중 대화적인 화면구성의 종기(終期)가 언제인가를 나타내며,재생에 제공할 그래픽스를 저장하는 플레인 메모리와,그래픽스 스트림을 디코드하여 그래피컬한 버튼 부재가 복수 배치된 페이지를 얻어서 플레인 메모리에 기록하는 디코드 수단과,현재 페이지의 번호를 저장하는 페이지번호 레지스터를 구비하고,상기 디코드 수단은 현재 페이지 상의 버튼 부재의 확정조작에 따라서 페이지번호 레지스터에 새로운 페이지번호를 설정하는 취지의 설정 코멘드를 실행하며,상기 페이지번호 레지스터에 저장된 페이지번호는 타임아웃정보에 나타내는 시각에 도달한 때에 무효화 되고,상기 페이지번호의 무효화는 디코드 수단이 이미 플레인 메모리에 기록된 페이지를 그래픽스 플레인에서 소거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 그래픽스 스트림 및 동화상 스트림을 재생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그래픽스 스트림은 하나 이상의 대화제어 세그먼트와 그래픽스 데이터를 포함하고,상기 대화제어 세그먼트는 복수의 페이지정보와 타임아웃정보를 포함하며,복수의 페이지정보는 멀티페이지 메뉴의 화면 구성을 규정하는 정보이고, 각 페이지정보는 하나 이상의 버튼정보를 포함하며, 각 버튼정보는 그래픽스 데이터를 버튼 부재의 한 상태로서 표시시킴으로써 멀티페이지 메뉴를 구성하는 각 페이지 상에서 대화적인 화면구성을 실현하는 정보이고,타임아웃정보는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시간 축 중 대화적인 화면구성의 종기가 언제인가를 나타내며,재생에 제공할 그래픽스를 저장하는 플레인 메모리와,현재 페이지의 번호를 저장하는 페이지번호 레지스터를 구비하는 컴퓨터에,그래픽스 스트림을 디코드하여 그래피컬한 버튼 부재가 복수 배치된 페이지를 얻어서 플레인 메모리에 기록하는 디코드 스텝을 실행시키며,상기 디코드 스텝은 현재 페이지 상의 버튼 부재의 확정조작에 따라서 페이지번호 레지스터에 새로운 페이지번호를 설정하는 취지의 설정 코멘드를 실행하고,상기 페이지번호 레지스터에 저장된 페이지번호는 타임아웃정보에 나타내는 시각에 도달한 때에 무효화 되며,상기 페이지번호의 무효화는 디코드 스텝이 이미 플레인 메모리에 기록된 페이지를 그래픽스 플레인에서 소거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 그래픽스 스트림 및 동화상 스트림을 재생하는 재생방법으로,그래픽스 스트림은 하나 이상의 대화제어 세그먼트와 그래픽스 데이터를 포함하고,상기 대화제어 세그먼트는 복수의 페이지정보와 타임아웃정보를 포함하며,복수의 페이지정보는 멀티페이지 메뉴의 화면 구성을 규정하는 정보이고, 각 페이지정보는 하나 이상의 버튼정보를 포함하며, 각 버튼정보는 그래픽스 데이터를 버튼 부재의 한 상태로서 표시시킴으로써 멀티페이지 메뉴를 구성하는 각 페이지 상에서 대화적인 화면구성을 실현하는 정보이고,타임아웃정보는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시간 축 중 대화적인 화면구성의 종기가 언제인가를 나타내며,재생에 제공할 그래픽스를 저장하는 플레인 메모리와,현재 페이지의 번호를 저장하는 페이지번호 레지스터를 구비하는 컴퓨터상에 서,그래픽스 스트림을 디코드하여 그래피컬한 버튼 부재가 복수 배치된 페이지를 얻어서 플레인 메모리에 기록하는 디코드 스텝을 실행하며,상기 디코드 스텝은 현재 페이지 상의 버튼 부재의 확정조작에 따라서 페이지번호 레지스터에 새로운 페이지번호를 설정하는 취지의 설정 코멘드를 실행하고,상기 페이지번호 레지스터에 저장된 페이지번호는 타임아웃정보에 나타내는 시각에 도달한 때에 무효화 되며,상기 페이지번호의 무효화는 디코드 스텝이 이미 플레인 메모리에 기록된 페이지를 그래픽스 플레인에서 소거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3-173208 | 2003-06-18 | ||
JP2003173208 | 2003-06-18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57023866A Division KR101036967B1 (ko) | 2003-06-18 | 2004-06-17 | 재생장치, 기록매체, 재생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0377A true KR20090060377A (ko) | 2009-06-11 |
KR101037010B1 KR101037010B1 (ko) | 2011-05-25 |
Family
ID=33534712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7009498A KR101037010B1 (ko) | 2003-06-18 | 2004-06-17 | 재생장치, 기록매체, 재생방법 |
KR20057023866A KR101036967B1 (ko) | 2003-06-18 | 2004-06-17 | 재생장치, 기록매체, 재생방법 |
KR1020087001337A KR100945333B1 (ko) | 2003-06-18 | 2004-06-17 | 재생장치, 재생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KR20057023878A KR101004505B1 (ko) | 2003-06-18 | 2004-06-17 | 재생장치, 기록매체, 기록방법, 재생방법 |
KR1020087001333A KR100945332B1 (ko) | 2003-06-18 | 2004-06-17 | 재생장치, 기록매체, 재생방법 |
KR20057023883A KR100934047B1 (ko) | 2003-06-18 | 2004-06-17 | 재생장치, 기록매체, 재생방법 |
KR1020097009496A KR101036984B1 (ko) | 2003-06-18 | 2004-06-17 | 재생장치, 기록매체, 재생방법 |
Family Applications After (6)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57023866A KR101036967B1 (ko) | 2003-06-18 | 2004-06-17 | 재생장치, 기록매체, 재생방법 |
KR1020087001337A KR100945333B1 (ko) | 2003-06-18 | 2004-06-17 | 재생장치, 재생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KR20057023878A KR101004505B1 (ko) | 2003-06-18 | 2004-06-17 | 재생장치, 기록매체, 기록방법, 재생방법 |
KR1020087001333A KR100945332B1 (ko) | 2003-06-18 | 2004-06-17 | 재생장치, 기록매체, 재생방법 |
KR20057023883A KR100934047B1 (ko) | 2003-06-18 | 2004-06-17 | 재생장치, 기록매체, 재생방법 |
KR1020097009496A KR101036984B1 (ko) | 2003-06-18 | 2004-06-17 | 재생장치, 기록매체, 재생방법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8) | US8145035B2 (ko) |
EP (8) | EP2383743B1 (ko) |
JP (9) | JPWO2004114658A1 (ko) |
KR (7) | KR101037010B1 (ko) |
CN (7) | CN102298944A (ko) |
DE (2) | DE602004030734D1 (ko) |
WO (3) | WO200501127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888307B2 (ja) * | 2003-01-15 | 2007-02-28 | 船井電機株式会社 | 光ディスク再生装置 |
KR101037010B1 (ko) * | 2003-06-18 | 2011-05-25 | 파나소닉 주식회사 | 재생장치, 기록매체, 재생방법 |
KR20050005074A (ko) | 2003-07-01 | 2005-01-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고밀도 광디스크의 그래픽 데이터 관리방법 및 그에 따른고밀도 광디스크 |
KR20050004339A (ko) | 2003-07-02 | 2005-01-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고밀도 광디스크의 그래픽 데이터 관리방법 및 그에 따른고밀도 광디스크 |
KR20050066264A (ko) | 2003-12-26 | 2005-06-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구성방법 및 실행방법과기록재생장치 |
KR101104528B1 (ko) * | 2004-02-16 | 2012-01-11 | 소니 주식회사 | 재생 장치, 재생 방법 및 기록 매체 |
KR20060043284A (ko) * | 2004-03-08 | 2006-05-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기록매체의 텍스트 서브타이틀 스트림 재생방법과 재생장치 |
DE602005025813D1 (de) * | 2004-06-18 | 2011-02-17 | Panasonic Corp | Wiedergabevorrichtung, Programm und Wiedergabeverfahren |
US7725010B2 (en) | 2004-08-17 | 2010-05-25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of reproducing data recorded on recording medium and local storage |
US7609939B2 (en) | 2004-08-17 | 2009-10-27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of reproducing data recorded on recording medium and local storage |
US7609945B2 (en) | 2004-08-17 | 2009-10-27 | Lg Electronics Inc. |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the recording medium |
US7613384B2 (en) | 2004-08-17 | 2009-11-03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configuring composite file structure for data reproduc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using the composite file structure |
KR100677129B1 (ko) * | 2004-09-03 | 2007-02-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인터랙티브 그래픽 스트림을 기록한 저장 매체, 그 재생장치 및 재생 방법 |
US7599611B2 (en) | 2004-09-13 | 2009-10-06 | Lg Electronics Co. |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of reproducing data recorded on the same |
KR20060047549A (ko) | 2004-10-12 | 2006-05-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로컬 스토리지를 이용한 기록매체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
KR20060065476A (ko) | 2004-12-10 | 2006-06-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기록매체, 기록매체 내의 콘텐츠 서치방법 및 기록매체재생방법과 재생장치 |
KR20060081323A (ko) | 2005-01-07 | 2006-07-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로컬 스토리지를 이용한 기록매체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
JP3928807B2 (ja) * | 2005-01-14 | 2007-06-13 | 船井電機株式会社 | 光ディスク再生装置 |
EP1843344B1 (en) * | 2005-01-28 | 2012-08-15 | Panasonic Corporation | Reproduction device, program, reproduction method |
CN1989563B (zh) * | 2005-02-01 | 2011-06-22 |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 再现装置、程序和再现方法 |
JP4968566B2 (ja) * | 2005-03-04 | 2012-07-04 | ソニー株式会社 | 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記録方法 |
JP4968506B2 (ja) * | 2005-03-04 | 2012-07-04 | ソニー株式会社 | 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WO2006109717A1 (ja) | 2005-04-07 | 2006-10-19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記録媒体、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 |
KR20070052642A (ko) * | 2005-11-17 | 2007-05-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데이터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와 데이터 전송방법 |
WO2007010779A1 (ja) * | 2005-07-15 | 2007-01-25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パケット送信装置 |
JP4870493B2 (ja) * | 2005-08-09 | 2012-02-08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システムlsi、プログラム |
US8452165B2 (en) | 2005-08-09 | 2013-05-28 | Panasonic Corporation | Recording medium, playback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
WO2007024076A2 (en) * | 2005-08-22 | 2007-03-01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
WO2007024077A2 (en) * | 2005-08-22 | 2007-03-01 | Lg Electronics Inc. |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method thereof, apparatus for recording the same,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
JP4821456B2 (ja) * | 2006-06-23 | 2011-11-24 | ソニー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データ構造、並びに記録媒体 |
JP4770601B2 (ja) * | 2006-06-23 | 2011-09-14 | ソニー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
JP4858059B2 (ja) * | 2006-10-02 | 2012-01-18 | ソニー株式会社 | 再生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
JP5034424B2 (ja) * | 2006-10-11 | 2012-09-26 | ソニー株式会社 |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
US7788395B2 (en) * | 2007-02-14 | 2010-08-31 | Microsoft Corporation | Adaptive media playback |
US8254761B2 (en) * | 2007-03-07 | 2012-08-28 | Rovi Solutions Corporation | Copying digital content by emulating playing of a recording medium by a player |
US10454995B2 (en) * | 2007-06-11 | 2019-10-22 | Crackle, Inc. |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and sharing content associated with geographic information |
US20090086095A1 (en) * | 2007-09-28 | 2009-04-02 | Gateway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laying encoded streams |
CN101437149B (zh) * | 2007-11-12 | 2010-10-20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提供多语种节目的方法、系统及装置 |
US8189998B2 (en) * | 2008-01-16 | 2012-05-29 | Rovi Solutions Corporation | Apparatus for and a method of copy-protecting a content carrying recording medium |
WO2009128246A1 (ja) | 2008-04-16 | 2009-10-22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記録媒体、記録装置、記録方法、及び再生装置 |
KR101023805B1 (ko) * | 2008-10-15 | 2011-03-21 | (주)씨디네트웍스 | 파일 입출력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보호 방법 및 장치 |
JP2010165425A (ja) | 2009-01-16 | 2010-07-29 | Funai Electric Co Ltd | 光ディスク装置 |
JP2010187158A (ja) * | 2009-02-12 | 2010-08-26 | Funai Electric Co Ltd | コンテンツ処理装置 |
CN102272842A (zh) * | 2009-03-12 | 2011-12-07 |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 再现装置、再现方法、记录介质、应用、以及创作装置 |
KR101648450B1 (ko) * | 2009-08-10 | 2016-08-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재생 장치 |
US8542854B2 (en) * | 2010-03-04 | 2013-09-24 | Logitech Europe, S.A. | Virtual surround for loudspeakers with increased constant directivity |
US9264813B2 (en) * | 2010-03-04 | 2016-02-16 | Logitech, Europe S.A. | Virtual surround for loudspeakers with increased constant directivity |
JP2011216178A (ja) * | 2010-03-18 | 2011-10-27 | Panasonic Corp | 再生装置、再生システム及びサーバ |
JP5652642B2 (ja) | 2010-08-02 | 2015-01-14 | ソニー株式会社 | データ生成装置およびデータ生成方法、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
KR20120066461A (ko) * | 2010-12-14 | 2012-06-2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콘텐츠 변환 장치 및 방법 |
US8861926B2 (en) * | 2011-05-02 | 2014-10-14 | Netflix, Inc. | Audio and video streaming for media effects |
US20140354770A1 (en) * | 2011-12-27 | 2014-12-04 | Lg Electronics Inc. | Digital broadcast receiving 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and receiving device thereof |
US9665339B2 (en) | 2011-12-28 | 2017-05-30 | Sonos, Inc. | Methods and systems to select an audio track |
JP2013179570A (ja) * | 2012-02-03 | 2013-09-09 | Panasonic Corp | 再生装置 |
CN102695096A (zh) * | 2012-05-17 | 2012-09-26 | 深圳市九洲电器有限公司 | 一种获取码流的输出图文语言的方法、装置及机顶盒 |
US9226072B2 (en) | 2014-02-21 | 2015-12-29 | Sonos, Inc. | Media content based on playback zone awareness |
US9672213B2 (en) | 2014-06-10 | 2017-06-06 | Sonos, Inc. | Providing media items from playback history |
US10009413B2 (en) * | 2014-06-26 | 2018-06-26 |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 Collaborative media playback |
US20180046337A1 (en) * | 2015-03-27 | 2018-02-15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 Video playback device and program information display method |
US10937460B2 (en) * | 2016-06-09 | 2021-03-02 | Apple Inc. | Media files and protocols supporting runtime dependent tracks |
CN109951767A (zh) * | 2019-03-11 | 2019-06-28 | 青岛海信传媒网络技术有限公司 | 一种音频信号播放方法及装置 |
CN110111646A (zh) * | 2019-06-11 | 2019-08-09 | 深圳市美朵科技有限公司 | 一种带有磁吸充电口的多功能电子激光笔 |
US11636855B2 (en) | 2019-11-11 | 2023-04-25 | Sonos, Inc. | Media content based on operational data |
US11080011B1 (en) | 2020-03-20 | 2021-08-03 | Tap Sound System | Audio rendering device and audio configurator device for audio stream selection, and related methods |
US11887230B1 (en) * | 2023-06-02 | 2024-01-30 | Dell Products L.P. |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data |
Family Cites Families (4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85389A (ja) | 1988-01-21 | 1989-07-24 | Hitachi Ltd | 螢光体及びそれを用いた螢光ランプ |
US5805762A (en) * | 1993-01-13 | 1998-09-08 | Hitachi America, Ltd. | Video recording device compatible transmitter |
US5745643A (en) * | 1995-04-06 | 1998-04-28 | Kabushiki Kaisha Toshiba | System for and method of reproducing playback data appropriately by the use of attribute information on the playback data |
JPH08287616A (ja) | 1995-04-11 | 1996-11-0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オーディオデータ符号化記録装置及びオーディオデータ復号再生装置及び蓄積媒体 |
DE69624732T2 (de) * | 1995-08-21 | 2003-03-13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Wiedergabe von optischen Platten, welche dynamisches Schalten von reproduzierten Daten ermöglichen |
JP3550459B2 (ja) * | 1996-03-29 | 2004-08-04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記録媒体再生装置 |
KR100423772B1 (ko) * | 1996-03-29 | 2004-06-30 |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 인터랙티브한재생진행의성능을향상시킨멀티미디어광디스크,재생장치및재생방법 |
JPH09282848A (ja) * | 1996-04-05 | 1997-10-31 | Pioneer Electron Corp | 情報記録媒体並びにその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
WO1998013769A1 (fr) * | 1996-09-27 | 1998-04-02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Procede de production d'un train multimedia permettant une reproduction selective de donnees video et systeme auteur a disque optique multimedia |
KR19980067874A (ko) * | 1997-02-13 | 1998-10-15 | 김광호 | 다중 앵글 재생시스템에서의 앵글정보 표시방법 |
JPH10234016A (ja) | 1997-02-21 | 1998-09-02 | Hitachi Ltd |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映像表示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
KR100233667B1 (ko) * | 1997-03-06 | 1999-12-01 | 윤종용 |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멀티앵글 재생방법 |
JP3814928B2 (ja) | 1997-03-20 | 2006-08-30 | ソニー株式会社 | データ再生装置及びデータ再生方法 |
EP0973166A4 (en) | 1997-03-28 | 2002-03-06 | Aiwa Co | AUDIO PLAYBACK DEVICE |
KR19980075486A (ko) * | 1997-03-31 | 1998-11-16 | 배순훈 |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반복 재생 방법 |
JP4478219B2 (ja) | 1997-04-09 | 2010-06-09 | ソニー株式会社 | メニュー制御用データ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ならびにメニュー制御方法および装置 |
US6208802B1 (en) * | 1997-08-07 | 2001-03-27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Optical disk, reproduction apparatus, and reproduction method |
JP4416846B2 (ja) | 1997-08-22 | 2010-02-17 | ソニー株式会社 | メニュー制御用データ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ならびにメニュー制御方法および装置 |
US5929857A (en) * | 1997-09-10 | 1999-07-27 | Oak Technology,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constructing a graphic user interface from a DVD data stream |
JP3389843B2 (ja) * | 1997-10-17 | 2003-03-24 | 日本電気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デ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 |
JPH11185389A (ja) * | 1997-12-16 | 1999-07-09 | Toshiba Corp | 音声再生装置 |
JP3597690B2 (ja) * | 1998-01-21 | 2004-12-08 | 株式会社東芝 | デジタル情報記録再生システム |
JPH11225307A (ja) | 1998-02-05 | 1999-08-17 | Sony Corp | 映像データ記録媒体および映像データ再生装置 |
JP3357288B2 (ja) | 1998-04-10 | 2002-12-16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情報記録媒体及び再生装置 |
JPH11296997A (ja) * | 1998-04-10 | 1999-10-29 | Pioneer Electron Corp | 情報記録媒体及び再生装置 |
JP3429690B2 (ja) * | 1998-10-26 | 2003-07-22 | 隆清 玄 | ゲーム装置 |
JP2000207874A (ja) | 1999-01-13 | 2000-07-28 | Onkyo Corp | 再生装置 |
US7536705B1 (en) * | 1999-02-22 | 2009-05-19 | Tvworks, Llc |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distribution of selectable presentations |
US6372764B1 (en) | 1999-03-02 | 2002-04-16 | Merck & Co., Inc. | Pyrrolidine modulators of chemokine receptor activity |
JP4292654B2 (ja) * | 1999-03-19 | 2009-07-08 | ソニー株式会社 | 記録装置および方法、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
JP3199711B2 (ja) * | 1999-04-02 | 2001-08-20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光ディスクとその記録装置および再生装置 |
GB9930787D0 (en) * | 1999-12-30 | 2000-02-16 |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rerting data streams |
US7088911B2 (en) * | 2000-04-26 | 2006-08-08 | Sony Corporation |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
GB2364465A (en) * | 2000-06-30 | 2002-01-23 | Nokia Oy Ab | A broadcast network |
KR20020008512A (ko) * | 2000-07-20 | 2002-01-31 | 윤종용 | Dvd 플레이어의 앵글 기능 프로그램 방법 |
KR100358119B1 (ko) * | 2001-02-09 | 2002-10-2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디지털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스트리밍 장치및 그 방법 |
JP3680007B2 (ja) | 2001-06-29 | 2005-08-10 | 株式会社東芝 | 編集機能を有する映像データ再生方法及び再生装置 |
JP3724719B2 (ja) | 2001-10-02 | 2005-12-07 | ソニー株式会社 | 再生装置 |
AUPS058602A0 (en) * | 2002-02-15 | 2002-03-14 | Canon Kabushiki Kaisha | Represent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data items |
JP2003333503A (ja) | 2002-05-13 | 2003-11-21 | Sharp Corp | 映像再生装置 |
US8181205B2 (en) * | 2002-09-24 | 2012-05-15 | Russ Samuel H | PVR channel and PVR IPG information |
DE602004026036D1 (de) * | 2003-01-31 | 2010-04-29 | Panasonic Corp | AUFZEICHNUNGSMEDIUM, WIEDERGABEVORRICHTUNG, AUFZEICHNUNGSVERFAHREN, PROGRAMM UND WIEDERGABEVERFAHREN für einen Grafikdatenstrom zur Definition von interaktiven Schaltflächen. |
KR101037010B1 (ko) | 2003-06-18 | 2011-05-25 | 파나소닉 주식회사 | 재생장치, 기록매체, 재생방법 |
-
2004
- 2004-06-17 KR KR1020097009498A patent/KR10103701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4-06-17 WO PCT/JP2004/008860 patent/WO200501127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4-06-17 KR KR20057023866A patent/KR10103696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4-06-17 CN CN2011101223709A patent/CN102298944A/zh active Pending
- 2004-06-17 JP JP2005507270A patent/JPWO2004114658A1/ja active Pending
- 2004-06-17 KR KR1020087001337A patent/KR10094533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4-06-17 EP EP20110165754 patent/EP2383743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6-17 CN CN200480023716.8A patent/CN1839627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6-17 WO PCT/JP2004/008830 patent/WO2004114658A1/ja active IP Right Grant
- 2004-06-17 EP EP20040746320 patent/EP1638328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6-17 JP JP2005511982A patent/JP433215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6-17 EP EP20080152149 patent/EP1921623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6-17 US US10/558,950 patent/US8145035B2/en active Active
- 2004-06-17 KR KR20057023878A patent/KR10100450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4-06-17 KR KR1020087001333A patent/KR10094533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4-06-17 KR KR20057023883A patent/KR10093404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6-17 CN CN2008100048344A patent/CN101261862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6-17 DE DE200460030734 patent/DE602004030734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6-17 KR KR1020097009496A patent/KR10103698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4-06-17 CN CNB200480023712XA patent/CN100473140C/zh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6-17 EP EP20040746299 patent/EP1638327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6-17 EP EP20080152148 patent/EP1921622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6-17 JP JP2005511981A patent/JP4243278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6-17 CN CN2004800238090A patent/CN1839628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6-17 EP EP20100172200 patent/EP2254124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6-17 EP EP20040746329 patent/EP1677532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6-17 WO PCT/JP2004/008851 patent/WO200501127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4-06-17 US US10/558,766 patent/US7912352B2/en active Active
- 2004-06-17 US US10/558,949 patent/US7672570B2/en active Active
- 2004-06-17 EP EP20090174937 patent/EP2149882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6-17 DE DE200460013006 patent/DE602004013006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6-17 CN CN200810004833XA patent/CN101261861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6-17 CN CN2011101448647A patent/CN102281422A/zh active Pending
-
2008
- 2008-01-28 US US12/021,093 patent/US7885516B2/en active Active
- 2008-01-28 US US12/021,117 patent/US7881589B2/en active Active
- 2008-10-20 JP JP2008269335A patent/JP4243317B1/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10-20 JP JP2008269334A patent/JP457121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10-20 JP JP2008269332A patent/JP4243316B1/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10-20 JP JP2008269333A patent/JP4560116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
- 2009-04-23 JP JP2009105282A patent/JP475087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4-23 JP JP2009105281A patent/JP4659102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5-06 US US12/436,690 patent/US820879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
- 2010-12-27 US US12/978,999 patent/US850386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
- 2011-05-03 US US13/099,712 patent/US20110206346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37010B1 (ko) | 재생장치, 기록매체, 재생방법 | |
JP3962760B2 (ja) | 再生装置、プログラム、再生方法 | |
JP4624937B2 (ja) | 再生装置、プログラム、再生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