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80068871A -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열융착성 필름 및 그용도 - Google Patents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열융착성 필름 및 그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8871A
KR20080068871A KR1020087011876A KR20087011876A KR20080068871A KR 20080068871 A KR20080068871 A KR 20080068871A KR 1020087011876 A KR1020087011876 A KR 1020087011876A KR 20087011876 A KR20087011876 A KR 20087011876A KR 20080068871 A KR20080068871 A KR 20080068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propylene polymer
propylene
heat
polym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1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6567B1 (ko
Inventor
가즈히데 마루야마
이치로 다케이시
노리히데 이노우에
히로시 호야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도세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도세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8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5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02Sterilising, e.g. of complete packages
    • B65B55/04Sterilising wrappers or receptacle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8Polymer of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Wrapp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ckag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은, 프로필렌 중합체 성분(a1), 및 프로필렌 단위의 함량이 63 내지 77몰%이고 에틸렌 단위의 함량이 23 내지 37몰%인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a2)을 포함하는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 및 에틸렌 함량이 0 내지 30몰%이고 α-올레핀 함량이 0 내지 30몰%이며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관측되는 융점이 100℃ 이하이거나 또는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 연질 프로필렌 중합체(C)로 이루어지고, 또한,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을 50 내지 90질량%,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를 3 내지 25질량%, 및 연질 프로필렌 중합체(C)를 0.5 내지 40질량%[(A)+(B)+(C)=100질량%]의 범위 내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은 이 조성물을 사용한 열융착성 필름 및 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포장 봉지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 밀봉 강도가 높고, 가열처리 후에도 열밀봉 강도의 저하가 작고, 내블로킹성, 강성 및 내저온 충격 강도가 우수하다.

Description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열융착성 필름 및 그 용도{FUSION-BONDABLE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FUSION-BONDABLE FILM,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강성 및 내저온 충격성을 갖고, 또한 레토르트 살균처리 등의 열처리를 행해도 열밀봉 강도의 저하가 극히 적은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열융착성 필름 및 당해 필름을 사용하여 가열·살균처리가 필요한 피포장물을 포장한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식문화의 다양화, 조리시간의 단축, 편리성에 대한 요망으로, 미리 조리한 식품을 봉지에 넣어 밀봉한 후, 가압·가열 살균한 소위 레토르트 식품을 구입해 두고, 필요할 때에 레토르트 식품을 봉지째 뜨거운 물속에서 가열하고, 내용물을 꺼내서 식사로 제공하는 경우가 많아져 가고 있다. 이러한 레토르트 식품은, 일반 가정용뿐만 아니라 업무용으로도 보급되기 시작하고 있고, 그 때문에 대량의 식품을 한번에 포장할 수 있는 포장재료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레토르트 식품은, 장기간에 걸친 상온 보존 또는 때로는 냉장·냉동 보존되기 때문에, 그 포장재료가 되는 필름으로는 열 밀봉부에서 파손되지 않도록 높은 열밀봉 강도 및 내저온 충격 강도가 요구되고 있다. 게다가 레토르트 식품은 식품을 충전·밀봉 후에 100 내지 140℃ 정도의 고온·고압 용기에서 레토르트 살균처리하기 때문에, 포장재료로는 그것에 견딜 수 있는 열밀봉부의 내열성과 열밀봉 강도의 유지가 식품의 품질 관리면에서도 요구되고 있다.
레토르트 처리 등의 가열·살균 후의 열밀봉 강도 저하를 조금이라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프로필렌 블록 단위 95 내지 70질량%와 엘라스토머 블록 단위 5 내지 30질량%로 구성된 프로필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를 열밀봉층에 사용하는 방법(예컨대 특허문헌 1), 프로필렌 중합체 성분(A) 및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성분(B)에 특정한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성분(C)을 첨가한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예컨대 특허문헌 2) 등이 다수 제안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들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등을 사용해도, 가열·살균 후의 열밀봉 강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0-25501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03-96251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레토르트 처리 등의 가열·살균 후의 열밀봉 강도 저하를 충분히 방지할 수 있는 열융착성 필름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여러 가지로 검토한 결과, 프로필렌 중합체 성분,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성분 및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에, 프로필렌 블록 중합체를 가함으로써,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은, 프로필렌 중합체 성분(a1), 및 프로필렌 단위의 함량이 63 내지 77몰%이고 에틸렌 단위의 함량이 23 내지 37몰%인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a2)을 포함하는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 및
에틸렌 함량이 0 내지 30몰%이고 α-올레핀 함량이 0 내지 30몰%이며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관측되는 융점이 100℃ 이하이거나 또는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 연질 프로필렌 중합체(C)로 이루어지고, 또한,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을 50 내지 90질량%,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를 3 내지 25질량%, 및 연질 프로필렌 중합체(C)를 0.5 내지 40질량%[(A)+(B)+(C)=100질량%]의 범위 내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은, 프로필렌 중합체 성분(a1), 및 프로필렌 단위의 함량이 63 내지 77몰%이고 에틸렌 단위의 함량이 23 내지 37몰%인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a2)을 포함하는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 및
프로필렌 중합체(d1), 및 에틸렌 함량이 2 내지 30몰%이고 α-올레핀 함량이 2 내지 30몰%이며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되는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d2)로 이루어지는 연질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D)을 포함하는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로서,
(1)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에서의 프로필렌 중합체 성분(a1)과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a2)의 질량비가 60:40 내지 97:3의 범위 내에 있고,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a2)의 극한 점도[η]가 1 내지 7dl/g이며,
(2)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의 밀도가 0.865 내지 0.910g/cm3이고,
(3) 연질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D)에서의 프로필렌 중합체(d1)와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랜덤 중합체(d2)의 질량비가 5:95 내지 70:30의 범위 내에 있으며, 또한,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을 50 내지 90질량%,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를 3 내지 25질량%, 및 연질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D)을 0.5 내지 40질량%[(A)+(B)+(D)=100질량%]의 범위 내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열융착성 필름 및 그 용도에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열융착성 필름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체는 높은 열밀봉 강도를 가지고 있으며, 게다가 가열처리 후에도 열밀봉 강도의 저하가 거의 없고, 내블로킹성, 투명성이나 내굴곡 백화성도 우수하며, 또 높은 강성 및 내저온 충격 강도를 가지고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프로필렌 중합체 성분(a1)>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에 포함되는 프로필렌 중합체 성분(a1)은,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1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하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이다. α-올레핀은 프로필렌 이외의 통상 탄소수 2 내지 10의 α-올레핀이며, 예컨대 에틸렌, 1-뷰텐, 3-메틸-1-뷰텐, 1-펜텐, 3-메틸-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및 1-옥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프로필렌 중합체 성분(a1)으로서는, 필름으로 성형한 경우의 내열성을 고려하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a2)>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에 포함되는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a2)은,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체로서, 엘라스토머적인 성상을 가지고 있다.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a2)에서의 프로필렌 단위의 함량은 63 내지 77몰%,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77몰%의 범위 내에 있고, 에틸렌 단위의 함량은 23 내지 37몰%, 바람직하게는 23 내지 30몰%의 범위 내에 있다. 프로필렌 단위의 함량이 상기의 범위에 있으면, 이 공중합체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내저온 충격 강도 및 저온 열밀봉성이 우수하고, 또 열처리 후에도 높은 밀봉 강도를 유지하는 필름을 성형할 수 있다. 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a2) 중에서의 프로필렌 단위의 함량은 13C-MNR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a2) 중에, 소량의 탄소수 4 내지 10 정도의 α-올레핀 성분 단위가 포함될 수도 있다.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a2)의 극한 점도[η]는 통상은 1 내지 7dl/g,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4.5dl/g,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3dl/g이다. 극한 점도[η]가 상기의 범위 내에 있으면, 그것을 포함하는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피쉬 아이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내블로킹성이 우수한 열융착성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은,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 성분(a1), 및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a2)을 질량비로 60:40 내지 97:3, 바람직하게는 65:35 내지 95:5, 더욱 바람직하게는 70:30 내지 89:11의 범위 내의 양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a2)의 양이 상기의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내저온 충격 강도, 강성, 초기 열밀봉 강도 및 열처리 후의 열밀봉 강도가 우수한 필름, 특히 레토르트 식품 등의 가열·살균처리가 필요한 피포장물의 포장용에 적합한 열융착성 필름을 얻을 수 있다.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 ASTM D-1238에 준거하여 230℃, 2.16kg 하중하)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g/1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8g/10분의 범위 내에 있다. 그러한 멜트 플로우 레이트값을 갖는 조성물은 필름 성형성이 양호함과 아울러, 내저온 충격 강도가 우수한 필름의 제조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은, 각각 별개로 얻은 프로필렌 중합체 성분(a1)과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a2)을 혼합하는 것으로도 얻을 수 있고, 또 후술하는 중합 공정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을 후술하는 중합 공정에 의해 제조한 경우에는,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 중에서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a2)의 양(비율)은 다음 방법으로 구한 값이다. 즉,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의 샘플(a: 그램)을 p-자일렌에 완전하게 용해시키고, 그 후 23℃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원심분리에 의해 석출물(b: 그램)을 분리하고 나서,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 중의 p-자일렌 가용부를 다음 수학식 1에 의해 산출한 값이다.
[수학식 1]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의 비율=[(a-b)/a]×100(질량%)
또한 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a2)의 극한 점도[η]는 상기 p-자일렌 가용부에 과잉의 아세톤을 가하여 공중합체 성분을 석출시키고, 이렇게 하여 회수한 석출물에 대하여, 데칼린 용매 중, 135℃에서 측정한 값이다.
프로필렌 중합체 성분(a1)과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a2)의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은, 프로필렌 중합체 성분(a1) 및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a2)을 서로 상이한 중합 공정으로 제조한 후,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프로필렌 중합체 성분(a1)의 중합 공정과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a2)의 중합 공정은 직렬일수도 또 병렬일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어느 공정이 먼저이어도 상관없지만,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중합체 성분(a1)의 중합 공정을 최초로 하는 편이, 프로필렌 중합체 성분(a1)으로서 고결정성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제 1 중합 공정은 뱃치 중합법이나 연속 중합법으로도 행할 수 있는데, 연속 중합법인 편이 바람직하다. 연속 중합 공정은 1개의 중합기로 이루어지는 1단계로 실시할 수도 있고, 복수의 중합기를 다단으로 사용하는 다단계로 실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중합 공정을 거쳐 얻어지는 프로필렌 중합체 성분(a1), 및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a2)의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은, 통상, 블록 PP라고도 불리는 경우가 많지만, 이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의 실태는 프로필렌 중합체 성분(a1)과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a2)이 혼합된 조성물이다.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는 에틸렌과 탄소수 3 이상,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의 α-올레핀과의 랜덤 공중합체이다. α-올레핀의 구체적인 예로서 1-뷰텐, 3-메틸-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1-테트라데센 및 1-옥타데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1-뷰텐, 1-헥센, 1-옥텐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α-올레핀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함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또, 상이한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끼리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바람직한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의 구체예로서는, 에틸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1-헥센 랜덤 공중합체 및 에틸렌·1-옥텐 랜덤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의 밀도는 0.865 내지 0.910g/cm3, 바람직하게는 0.875 내지 0.900g/cm3의 범위 내에 있다.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 중에서의 에틸렌 단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5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3몰%의 범위 내에 있고, 또 α-올레핀 단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20몰%의 범위 내에 있다.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는 다음에 기재하는 (I) 내지 (IV) 중 어느 하나의 물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특성을 갖는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를 포함하는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보다 내저온 충격 강도와 낙하 충격 강도가 우수한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가 (I) 내지 (IV)에 기재하는 복수의 특성을 함께 가지고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I) ASTM D-1238에 준거하여, 190℃, 2.16kg 하중하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우 레이트값이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g/1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g/10분)이다.
(II) X선 회절법에 의해 측정되는 결정화도가 바람직하게는 0 내지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30%이다.
(III)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로 측정한 중량평균 분자량(Mw)의 수평균 분자량(Mn)에 대한 비(Mw/Mn)가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이다.
(IV) 시차 주사형 열량계(DSC)를 사용하여, 승온속도 10℃/분으로의 조건에서 측정한 흡열곡선으로부터 구한 융점(Tm)을 갖지 않거나,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1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이다.
상기의 물성 범위에 있는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를 포함하는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필름을 형성하면, 보다 내저온 충격 강도 및 낙하 충격 강도가 우수한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연질 프로필렌 중합체(C)>
본 발명에 따른 연질 프로필렌 중합체(C)는, 에틸렌 단위의 함량이 0 내지 30몰%이고 탄소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 단위의 함량이 0 내지 30몰%이며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되는 융점이 100℃ 이하이거나 또는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다란, -150 내지 200℃의 범위에서, 결정 융해 열량이 1J/g 이상인 결정 융해 피크가 관측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연질 프로필렌 중합체(C)는, 타이타늄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한 고체 촉매, 또는 메탈로센 촉매의 존재하에,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 또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α-올레핀을 공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고, 그 입체 규칙성에 대해서도 아이소택틱, 신디오택틱 및 어택틱 구조 중 어느 것이라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연질 프로필렌 중합체(C)에는,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 단위가 70 내지 99몰%, 에틸렌 단위가 1 내지 30몰%,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단위가 80 내지 99몰%, 에틸렌 단위가 1 내지 20몰%(프로필렌 단위 및 에틸렌 단위의 합계로 100몰%)로 이루어지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 단위가 70 내지 99몰%, 탄소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 단위가 1 내지 30몰%(프로필렌 단위 및 α-올레핀 단위의 합계로 100몰%)로 이루어지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 단위가 40 내지 98몰%, 에틸렌 단위가 1 내지 30몰% 및 탄소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 단위가 1 내지 30몰%(프로필렌 단위, 에틸렌 단위 및 α-올레핀 단위의 합계로 100몰%)로 이루어지는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중에서, 적합한 예로서는, 프로필렌 단위가 70 내지 99몰%, 1-뷰텐 단위가 1 내지 30몰%(프로필렌 단위 및 1-뷰텐 단위의 합계로 100몰%)로 이루어지는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연질 프로필렌 중합체(C)의 가장 바람직한 형태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d2)를 들 수 있다. 이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d2) 중에서의 에틸렌 함량은 2 내지 30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3몰%이며, α-올레핀 함량은 2 내지 30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8몰%이다. 여기에서 α-올레핀으로서는 탄소수 4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의 α-올레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뷰텐, 1-펜텐, 1-헥센 및 1-옥텐이고, 또한 이들 중에서도 1-뷰텐이 가장 바람직하다.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d2)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으로 융점을 측정해도, 그 융점이 관찰되지 않는다고 하는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d2)는, 바람직하게는 타이타늄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한 고체 촉매 또는 싱글 사이트 촉매, 바람직하게는 메탈로센 촉매의 존재하에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α-올레핀을 공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으며, 그 입체 규칙성에 대해서도 아이소택틱 및 신디오택틱 구조 중 어느 것이라도 채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제1999-293062호 공보에 기재된 메탈로센 촉매에 의해 제조되는 아이소택틱 구조의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d2)에 대하여, 13C-NMR 스펙트럼을 측정함으로써 트라이애드 택티시티(mm 분률)를 산정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d2)의 mm 분률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mm 분률이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7.5%, 더욱 바람직하게는 87 내지 97%,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7%의 범위 내에 있는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d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mm값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특히 열밀봉 강도가 높으며, 또 열처리 후에도 높은 밀봉 강도를 유지하는 필름을 성형할 수 있다.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d2)의 에틸렌 함량, α-올레핀 함량 및 융점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후술의 본 발명의 필름으로 했을 때에, 열처리 후의 열밀봉 강도의 저하가 적어, 우수한 필름이 얻어진다.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d2)에 대하여, ASTM D-1238에 준거하여, 230℃, 2.16kg 하중하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우 레이트값은 통상은 0.01g/10분 내지 30g/10분, 바람직하게는 0.1g/10분 내지 20g/10분의 범위 내에 있다.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본 발명의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은,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을 50 내지 90질량%,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90질량%,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를 3 내지 25질량%,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질량% 및 연질 프로필렌 중합체(C)를 0.5 내지 40질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5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5질량%[(A)+(B)+(C)=100질량%]의 범위의 양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의 양이 3질량% 미만인 조성물을 사용한 것에서는, 얻어지는 열융착성 필름의 내충격성이 뒤떨어질 우려가 있고, 25질량%를 초과하는 조성물을 사용한 것에서는, 얻어지는 열융착성 필름이 블로킹되기 쉬워짐과 아울러 열처리 후의 열밀봉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연질 프로필렌 중합체(C)의 양이 0.5질량% 미만인 조성물을 사용한 것에서는, 얻어지는 열융착성 필름의 열처리 후의 열밀봉 강도의 저하가 개선되지 않고, 40질량%를 초과하는 조성물을 사용한 것에서는 얻어지는 열융착성 필름이 블로킹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 ASTM D-1238에 준거하여 230℃, 2.16kg 하중하)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g/1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8g/10분의 범위 내에 있다. 이러한 멜트 플로우 레이트값을 갖는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필름 성형성이 양호함과 아울러, 내저온 충격 강도가 우수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을 50 내지 90질량%,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90질량%,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를 3 내지 25질량%,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질량% 및 연질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D)를 0.5 내지 40질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질량%[(A)+(B)+(D)=100질량%]의 범위 내의 양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연질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D)은 프로필렌 중합체(d1)와 전술의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d2)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이며, 프로필렌 중합체(d1)와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d2)의 질량비[(d1):(d2)]는 5:95 내지 70:30, 바람직하게는 5:95 내지 40:60의 범위 내에 있다.
프로필렌 중합체(d1)는 융점이 110 내지 165℃인 호모 폴리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이다. 바람직하게는 융점이 115 내지 150℃인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이다. α-올레핀으로서는 프로필렌을 제외한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 구체적으로는 에틸렌 및 1-뷰텐을 들 수 있다.
프로필렌 중합체(d1)의 ASTM D-1238에 준거하여, 230℃, 2.16kg 하중하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우 레이트값은 0.01 내지 50(g/10분),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g/10분)이다.
연질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D)을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의 1성분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열처리 후의 열밀봉 강도의 저하가 적고, 내충격성, 내굴곡 백화성이 우수한 필름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은,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 및 연질 프로필렌 중합체(C) 또는 연질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D)을 소정의 양으로 혼합 또는 용융 혼련함으로써 얻어지는데, 각 성분을 다단 중합 등에 의해 직접 중합하여 얻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산화방지제, 내열안정제, 윤활제, 대전방지제, 염산 흡수제, 안티블로킹제, 슬립제, 핵제, 안료, 염료, 또는 각종 중합체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산화방지제로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유기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싸이오에터계 산화방지제, 힌더드 아민계 산화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안티블로킹제로서는 산화 알루미늄, 미분말 실리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분말,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슬립제로서는 에틸렌비스스테아르아마이드 등의 비스아마이드, 올레산 아마이드, 에룩산 아마이드 등의 고급 지방산 아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윤활제로서는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르산 아연, 몬탄산 금속염 등의 고급 지방산 금속염, 및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등의 폴리올레핀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핵제로서는 다이벤질리덴솔비톨, 로진산의 부분 금속염 등의 로진계 핵제, 알루미늄계 핵제, 탈크 등을 들 수 있다.
<열융착성 필름>
본 발명의 열융착성 필름은, 상기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을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필름 성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예컨대, 1축 또는 2축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의 펠렛 또는 파우더를 용융하고, 압출기의 선단에 설치된 T 다이 또는 환상의 다이로부터 용융 수지를 필름 형상으로 압출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압출기 중의 용융 수지 온도는 200 내지 30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 수지를 T다이로부터 압출한 경우에는, 압출된 필름은 물 또는 다른 매체로 일정 온도로 설정한 롤과 접촉시켜 냉각·고화시키고, 그 후 권취된다. 환상 다이로부터 압출한 경우에는, 환상 필름의 외부 및/또는 내부를 냉각 매체, 예컨대 냉각된 공기 또는 물 등으로 냉각하고, 그 후 필름을 슬릿하거나 또는 그대로의 상태에서 권취하여 원하는 필름을 제조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필름은 그 두께가 통상 10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의 범위에 있다.
본 발명의 열융착성 필름은 단층인채로 일반 포장용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레토르트 식품 등의 가열·살균처리가 필요한 피포장물의 포장용 필름에 적합하다. 또 기재가 될 수 있는 층에 적층하여, 적층체의 형태로 동일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열융착성 적층 필름>
본 발명의 열융착성 적층 필름은 상기 열융착성 필름의 한쪽 면에 기재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체이다. 기재층으로서는 포장재료로서 사용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그 형상은 시트, 필름, 트레이, 용기 등일 수도 있다.
사용가능한 기재층의 예로서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나 시트, 이러한 시트를 열성형한 트레이나 컵 형상 용기, 또는 알루미늄박이나 종이로 형성한 동일한 형상물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예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 수지의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나일론6, 나일론66 등의 폴리아마이드의 필름, 에틸렌·바이닐알코올 공중합체 필름, 폴리바이닐알코올 필름, 폴리바이닐클로라이드 필름, 폴리바이닐리덴클로라이드 필름,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을 들 수 있다. 또, 폴리프로필렌으로서는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 또는 이러한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과 동일한 프로필렌 중합체 성분과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등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 제조·판매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재층은 1층이거나 2층 이상의 다층일 수도 있다.
기재층이 필름 형상인 경우, 그 필름은 무연신 필름일 수도 있고, 1축 또는 2축 방향으로 연신된 필름일 수도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거기에 알루미늄이나 아연 등의 금속, 실리카, 산화 아연이나 산화 알루미늄과 같은 산화물 또는 무기 화합물을 증착한 필름일 수도 있다. 또한, 그것들을 조합시킨 복합체나 적층체일 수도 있다. 특히, 2축 연신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2축 연신 폴리아마이드 및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등이 내열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기재층의 표면에 본 발명에 따른 열융착성 필름층을 형성시켜 적층 필름을 성형하는 방법으로서는,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적층 방법을 그대로 채용할 수 있으며, 그 때 두 층의 중간에 접착층을 설치할 수 있다. 예컨대, 기재층에 우레탄계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의 앵커 코팅제를 도포하고 나서 그 위에 열융착성 필름을 드라이 라미네이트하거나, 또는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을 직접 기재층 상에 압출하여 라미네이트 내지 압출 코팅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또 기재층이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형성되는 경우에는,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공압출함으로써,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열융착층과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이 적층된 열융착성 적층 필름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열융착성 적층 필름은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열융착층의 두께를 2 내지 20㎛로 얇게 할 수도 있다.
<포장체>
본 발명의 포장체는 열융착성 필름 또는 열융착성 적층 필름을 적어도 1개의 포장재료로서 사용하고, 그 열융착성 필름층을 내표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내용물이 되는 레토르트 식품, 의약품, 의료용 기구, 펫 푸드 등의 가열·살균처리가 필요한 피포장물을 충전 또는 포장하고, 열융착성 필름층을 열밀봉함으로써 피포장물이 포장되어 있는 것이다.
포장재로서는 열융착성 필름 단층일 수도 있지만, 열융착성 적층 필름인 편이 기재층이 갖는 여러 특성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열융착성 적층 필름을 레토르트 식품 등의 포장체의 제조에 사용하는 경우, 열융착성 적층 필름의 구체예로서 다음에 기재하는 기재층과 열융착성 필름층의 조합을 들 수 있는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에스터층/열융착성 필름
폴리에스터층/폴리프로필렌층/열융착성 필름
폴리아마이드층/열융착성 필름
폴리아마이드층/폴리프로필렌층/열융착성 필름
폴리에스터층/알루미늄박/열융착성 필름
폴리에스터층/폴리아마이드층/알루미늄박/열융착성 필름
폴리아마이드층/폴리염화바이닐리덴층/폴리에스터층/열융착성 필름
본 발명의 포장체는 열융착성 필름층이 최내층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나서 열밀봉이 행해지므로, 열밀봉부의 열밀봉 강도가 높고, 또 가열처리 후에도 높은 열밀봉 강도가 유지된다.
따라서, 이 피가열·살균처리가 필요한 피포장물의 포장체는 수송시 또는 매장이나 가정 등에서의 취급시에도, 내용물인 레토르트 식품 등의 피가열·살균처리가 필요한 피포장물이 새어나갈 우려가 적고, 상온 또는 냉장·냉동하에서 장기간 보존해도 내용물은 잘 변질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피포장물은 일반의 식품은 물론, 레토르트 식품, 의약품, 의료용 기구, 펫 푸드 등의 가열·살균처리를 필요로 하는 피포장물 전반을 포함하는 것이다.
다음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그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 이들 실시예에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특별히 예고하지 않는 한, 「%」 및 「부」는 용제에 관한 것을 제외한, 「질량%」 및 「질량부」를 의미한다.
<물성값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물성값 등은 이하의 평가방법에 의해 구한 값이다.
(1) 인장탄성률(MPa)
열융착성 필름으로부터 종방향(MD) 및 횡방향(TD)으로 각각 폭; 15mm, 길이; 150mm의 스트립 시험편을 잘라내고, 오리엔테크사제 텐실론 만능시험기 RTC-1225를 사용하여, 척 간 거리; 50mm, 인장속도; 5mm/분으로, JIS K 7127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측정값은 5회의 평균값이다.
(2) 흐림도(헤이즈)(%)
Haze Meter(닛폰덴쇼쿠 공업사제 NDH-300A)를 사용하여, 열융착성 필름 1장의 흐림도를 JIS K 7105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3) 저온 충격 강도(KJ/m)
열융착성 필름으로부터 100×100mm의 시험편을 잘라내고, 도요세키사제 항온조 부착 필름 임팩트 테스터를 사용하여, 측정온도 -20℃, 해머의 선단 직경을 1/2 인치, 해머의 에너지를 3J로 하여 측정을 행했다. 측정값은 10회의 평균값이다.
또, 측정 후의 열융착성 필름의 파괴 형태를 관찰하고, 평가 기준을 다음과 같이 했다.
○: 둥근 구멍이 뚫려 있는 것
×: 균열 모양으로 파괴되어 있는 것
(4) 블로킹 강도(N/5.2cm2)
열융착성 필름으로부터 20×150mm의 시험편을 잘라내고, 2장의 시험편의 코로나 처리를 시행하지 않은 면끼리를 포개고, 5.2cm2의 면적에 4kg 하중하, 60℃에서 7일간 방치한 후, 블로킹의 정도를 측정했다. 측정값은 5회의 평균값이다.
(5) 열밀봉 강도(N/15mm)
미리, 기재층으로서 두께 12㎛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상품명; 엠브레트 PET12 유니티카사제)을 사용하고, 당해 기재층의 코로나면과 두께 7㎛의 알루미늄박을 우레탄계 접착제[다케다야쿠힌 공업제: 상품명 다케라크 A616(50%)+동 A65(3.13%)+아세트산 에틸(46.87%)]를 사용하여, 드라이 라미네이트하고, 이어서, 알루미늄박층과 열융착성 필름의 코로나면을 상기 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열융착성 필름을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여 열융착성 적층 필름을 준비했다.
열융착성 적층 필름의 열융착성 필름면을 포개고, 테스터 산업사제 히트실러 TP-701-B를 사용하여, 각 온도에서, 밀봉 게이지압; 0.2MPa, 시간; 1초, 밀봉 폭; 5mm의 조건하에서 열밀봉했다. 또한, 가열은 상측에만 했다. 이어서, 열밀봉한 시험편을 15mm 폭으로 자르고, 오리엔테크사제 텐실론 만능시험기 RTM-100을 사용하여, 500mm/분의 인장속도로 박리하고, 그 최대 강도(레토르트 전)를 열밀봉 강도로 했다. 측정값은 5회의 평균값이다.
별도로, 상기 방법으로 열밀봉한 시험편을 열수 샤워식의 고압 고온 살균처리 장치에 넣어 121℃에서 30분간 처리하고, 그 후 냉각했다. 이어서, 자연 건조한 시험편을 15mm 폭으로 자르고, 마찬가지로, 오리엔테크사제 텐실론 만능시험기 RTM-100을 사용하여, 500mm/분의 인장속도로 박리하고, 그 최대강도를 살균처리 후(레토르트 후)의 열밀봉 강도로 했다. 측정값은 5회의 평균값이다.
또, 상기 각각의 열밀봉 강도로부터, 레토르트 후의 열밀봉 강도의 유지율(%)[(레토르트 후 열밀봉 강도/레토르트 전 열밀봉 강도)×100]을 구했다.
(6) 열분석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서 티·에이·인스트루먼트사제 Q100을 사용하고, 중합체 시료 약 5mg을 정밀 칭량하고, JIS K 7121에 준거하여, 질소 가스 유입량: 50ml/분의 조건하에서, -50℃부터 가열속도: 10℃/분으로 230℃까지 승온하여 시료를 일단 융해시킨 후, 230℃에 10분간 유지하고, 냉각속도: 10℃/분으로 -50℃까지 강온하여 결정화시킨 후, 다시, 가열속도: 10℃/분으로 230℃까지 승온하여 열융해 곡선을 얻고, 얻어진 열융해 곡선으로부터, 시료의 유리 전위점(Tg) 및 융점(Tm)을 구했다.
(7) 극한 점도[η](dl/g)
우벨로데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중합체 시료를 데칼린에 용해시키고, 그 용액의 점도 측정을 135℃에서 행하고, 그 측정값으로부터 극한 점도를 구했다.
(8) 에틸렌 함량
13C-NMR에 의해 구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중합체 등을 이하에 기재한다.
(가)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1); 멜트 플로우 레이트(230℃): 3.2(g/10분)
프로필렌 중합체 성분(a1-1): 86질량%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a2-1): 14질량%, 에틸렌 단위의 함량: 26.6몰%, 극한 점도[η]: 3.1dl/g
(나) 에틸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B-1); 밀도:0.885g/cm3, 에틸렌 단위의 함량: 89몰%, 결정화도: 13%, 융점: 68℃, Mw/Mn: 2.0, 멜트 플로우 레이트(190℃): 0.5g/10분
(다) 연질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D-1);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d1): 15질량%, [멜트 플로우 레이트(230℃): 7.0g/10분, Tm: 138℃,]
프로필렌·에틸렌·1-뷰텐 공중합체(d2) 85질량%[멜트 플로우 레이트(230℃): 7.0g/10분, Tm: 관측되지 않음, 에틸렌 함량 13몰%, 1-뷰텐 함량 19몰%, 메탈로센 촉매에 의해 제조, mm값: 90%]
[ 실시예 1]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1) 84.2질량%, 에틸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B-1) 14.8질량% 및 연질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D-1) 1.0질량%를 혼합하여 얻은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조성물-1)을, 40mmφ 압출기를 구비한 무연신 필름 성형기를 사용하여, 250℃의 압출온도에서, 240℃의 T다이로부터 압출하고, 25℃의 캐스팅 롤로 급냉하고, 한쪽 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두께 70㎛의 열융착성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열융착성 필름을 상기 기재된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조성물-1 대신,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1) 82.5질량%, 에틸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B-1) 14.5질량% 및 연질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 물(D-1) 3.0질량%를 혼합한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조성물-2)을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70㎛의 열융착성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열융착성 필름을 상기 기재된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조성물-1 대신,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1) 80.7질량%, 에틸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B-1) 14.3질량% 및 연질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D-1) 5.0질량%를 혼합한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조성물-3)을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70㎛의 열융착성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열융착성 필름을 상기 기재된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조성물-1 대신,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1) 76.5질량%, 에틸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B-1) 13.5질량% 및 연질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D-1) 10.0질량%를 혼합한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조성물-4)을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70㎛의 열융착성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열융착성 필름을 상기 기재된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조성물-1 대신,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1) 68.0질 량%, 에틸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B-1) 12.0질량% 및 연질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D-1) 20.0질량%를 혼합한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조성물-5)을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70㎛의 열융착성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열융착성 필름을 상기 기재된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조성물-1 대신,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1) 59.5질량%, 에틸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B-1) 10.5질량% 및 연질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D-1) 30.0질량%를 혼합한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조성물-6)을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70㎛의 열융착성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열융착성 필름을 상기 기재된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조성물-1 대신,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1) 85.0질량% 및 에틸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B-1) 15.0질량%를 혼합한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조성물-7)을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70㎛의 열융착성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열융착성 필름을 상기 기재된 방법으로 평가했다.
평가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35117256-PCT00001
표 1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6의 열융착성 필름은 우수한 저온 충격 강도를 유지하며, 높은 열밀봉 강도를 가지고 있고, 게다가 가열처리 후(레토르트 후)에도 열밀봉 강도의 저하가 거의 없다. 이에 반해, 연질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D-1)을 배합하지 않은 비교예 1에서는, 가열처리 후(레토르트 후)의 열밀봉 강도가 저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열융착성 필름은 높은 열밀봉 강도를 가지고 있고, 게다가 가열처리 후에도 열밀봉 강도의 저하가 극히 작고, 내블로킹성도 우수하며, 또 높은 강성 및 내저온 충격 강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열융착성 필름은 범용 포장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레토르트 식품 등의 가열·살균처리를 필요로 하는 피포장물의 포장 필름으로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열융착성 적층 필름은, 상기의 특성을 갖는 열융착성 필름이 열밀봉층으로서 표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레토르트 식품을 비롯한 각종 피포장물의 포장재로서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토르트 식품 등의 가열·살균처리를 필요로 하는 피포장물의 포장체는 가열처리 후에도 높은 밀봉 강도를 유지하고, 외관도 우수하며, 또한 상기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포장체는 가열·살균처리 과정, 수송 과정, 게다가 장기간에 걸친 상온 내지 냉장·냉동 보존 조건하에서도, 밀봉부의 박리 또는 파열이 발생하기 어려워,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8)

  1. 프로필렌 중합체 성분(a1), 및 프로필렌 단위의 함량이 63 내지 77몰%이고 에틸렌 단위의 함량이 23 내지 37몰%인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a2)을 포함하는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 및
    에틸렌 함량이 0 내지 30몰%이고 α-올레핀 함량이 0 내지 30몰%이며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관측되는 융점이 100℃ 이하이거나 또는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 연질 프로필렌 중합체(C)로 이루어지고, 또한,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을 50 내지 90질량%,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를 3 내지 25질량%, 및 연질 프로필렌 중합체(C)를 0.5 내지 40질량%[(A)+(B)+(C)=100질량%]의 범위 내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2. 프로필렌 중합체 성분(a1), 및 프로필렌 단위의 함량이 63 내지 77몰%이고 에틸렌 단위의 함량이 23 내지 37몰%인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a2)을 포함하는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 및
    프로필렌 중합체(d1), 및 에틸렌 함량이 2 내지 30몰%이고 α-올레핀 함량이 2 내지 30몰%이며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되는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 프로필 렌·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d2)로 이루어지는 연질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D)을 포함하는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로서,
    (1)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에서의 프로필렌 중합체 성분(a1)과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a2)의 질량비가 60:40 내지 97:3의 범위 내에 있고,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a2)의 극한 점도[η]가 1 내지 7dl/g이며,
    (2)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의 밀도가 0.865 내지 0.910g/cm3이고,
    (3) 연질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D)에서의 프로필렌 중합체(d1)와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랜덤 중합체(d2)의 질량비가 5:95 내지 70:30의 범위 내에 있으며, 또한,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A)을 50 내지 90질량%,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를 3 내지 25질량%, 및 연질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D)을 0.5 내지 40질량%[(A)+(B)+(D)=100질량%]의 범위 내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B)가, 융점(Tm)이 30 내지 110℃의 범위 내에 있는 에틸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인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성 필름.
  5. 제 4 항에 있어서,
    열융착성 필름이 피가열·살균 포장물의 포장용인 열융착성 필름.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따른 열융착성 필름의 한쪽 면에 기재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성 적층 필름.
  7. 제 6 항에 있어서,
    열융착성 적층 필름이 피가열·살균 포장물의 포장용인 열융착성 적층 필름.
  8.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따른 열융착성 필름 또는 열융착성 적층 필름층을 열융착함으로써 피가열·살균포장물이 포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KR1020087011876A 2005-10-21 2006-10-13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열융착성 필름 및 그용도 KR1009365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07375 2005-10-21
JP2005307375 2005-10-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871A true KR20080068871A (ko) 2008-07-24
KR100936567B1 KR100936567B1 (ko) 2010-01-13

Family

ID=37962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1876A KR100936567B1 (ko) 2005-10-21 2006-10-13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열융착성 필름 및 그용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03223B2 (ko)
EP (1) EP1947142B1 (ko)
JP (1) JP5063357B2 (ko)
KR (1) KR100936567B1 (ko)
CN (1) CN101291985B (ko)
TW (1) TW200728384A (ko)
WO (1) WO20070463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955A (ko) * 2019-09-26 2022-05-10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히트 시일용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42553B1 (en) * 2006-07-13 2011-09-21 Mitsui Chemicals, Inc.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ultilayer laminate made of the same, article obtained by having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dhered thereto, and method for protecting surface of article
JP5263845B2 (ja) * 2008-02-29 2013-08-14 サンアロマー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CN105252860A (zh) * 2008-04-03 2016-01-20 东赛璐株式会社 热熔合性多层膜
US20100055429A1 (en) * 2008-08-15 2010-03-04 Toray Plastics (America), Inc. Heat sealable monoaxially oriented propylene-based film with directional tear
US20120251749A1 (en) * 2008-08-15 2012-10-04 Toray Plastics (America), Inc. Heat sealable monoaxially oriented propylene-based film with directional tear
JP5369985B2 (ja) * 2009-08-07 2013-12-18 東洋紡株式会社 レトルト食品包装用フィルム
WO2011039314A1 (en) * 2009-09-29 2011-04-07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Heat-sealable polyolefin films
WO2013080854A1 (ja) * 2011-11-28 2013-06-06 三井化学東セロ株式会社 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二軸延伸フィルム及びその用途
CN104098847A (zh) * 2013-04-07 2014-10-15 宁波东生建材有限公司 抗冻抗菌玻纤高性能复合管材原材料制作方法及其复合管
US9676169B2 (en) * 2014-07-31 2017-06-13 Toray Plastics (America), Inc. Biaxially oriented high density polyethylene film with improved sealant layer
EP3196016B1 (en) * 2014-08-22 2020-01-29 Mitsui Chemicals, Inc. Laminate film and packaging bag using same
JP6445913B2 (ja) * 2015-03-31 2018-12-26 三井化学東セロ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CN107848680B (zh) * 2015-08-31 2019-07-19 东丽薄膜先端加工股份有限公司 蒸煮包装用聚丙烯系密封膜及使用其的层叠体
KR20170114173A (ko) * 2016-04-05 2017-10-1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저온 실링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저온 실링 특성을 갖는 무광 필름
JP7066965B2 (ja) * 2016-06-02 2022-05-16 凸版印刷株式会社 蓄電装置用外装材
JP6634003B2 (ja) * 2016-12-06 2020-01-22 株式会社武田産業 ポリプロピレン系シーラント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
EP3560690B1 (en) * 2016-12-26 2022-02-23 JSP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foamed particle molded article provided with skin
US10898616B1 (en) 2017-07-11 2021-01-26 Teleflex Medical Incorporated Peelable heat-shrink tubing
EP3808809A1 (de) * 2019-10-16 2021-04-21 Evonik Operations GmbH Amorphes poly-alpha-olefin enthaltendes polyolefingemenge
JP7395317B2 (ja) * 2019-10-31 2023-12-11 三井化学株式会社 積層体
CN111662656B (zh) * 2020-06-18 2022-04-15 圣威达橡塑(常州)有限公司 一种聚烯烃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1647375B (zh) * 2020-06-18 2022-04-15 圣威达橡塑(常州)有限公司 一种基于胶粘性低聚物的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5991039B (zh) * 2021-10-20 2024-08-06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低雾度高抗冲热封聚丙烯复合薄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3210278A1 (ja) * 2022-04-28 2023-11-02 凸版印刷株式会社 シーラントフィルム、包装材及び包装体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0774B2 (ja) * 1995-04-18 2004-09-29 三井化学株式会社 柔軟性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MX9800203A (es) * 1996-05-06 1998-04-30 Montell Technology Company Bv Composiciones de poliolefina para peliculas sellables con calor que tienen resistencia controlada a la peladura.
KR100495176B1 (ko) * 1998-02-10 2005-06-14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 비연신 필름
JP4074024B2 (ja) 1998-02-10 2008-04-09 三井化学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無延伸フィルム
JP3678580B2 (ja) * 1998-04-06 2005-08-03 三井化学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射出成形体
JP2000129053A (ja) 1998-10-28 2000-05-09 Mitsui Chemicals Inc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無延伸フィルム
JP3783496B2 (ja) * 1998-12-07 2006-06-07 三井化学株式会社 水蒸気滅菌用中空容器
JP4297546B2 (ja) 1999-03-09 2009-07-15 オカモト株式会社 多層積層体
JP2001172402A (ja) * 1999-12-16 2001-06-26 Mitsui Chemicals Inc レトルトフィルムおよびレトルトフィルム用樹脂組成物
JP3905006B2 (ja) * 2001-09-20 2007-04-18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熱融着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JP2003096251A (ja) 2001-09-20 2003-04-03 Grand Polymer Co Ltd 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US20030176555A1 (en) * 2002-01-08 2003-09-18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lypropylene-based resin composition and its injection molded article
SG113461A1 (en) * 2002-05-09 2005-08-29 Sumitomo Chemical Co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heat-shrinkable film obtained from the same
US6906143B2 (en) * 2002-05-15 2005-06-14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ropylene-ethylene block copolymer
KR101045559B1 (ko) * 2003-03-28 2011-07-01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전이금속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올레핀 중합용 촉매
JP4453432B2 (ja) * 2004-05-06 2010-04-21 住友化学株式会社 二軸延伸多層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955A (ko) * 2019-09-26 2022-05-10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히트 시일용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31162B (ko) 2010-10-01
EP1947142A1 (en) 2008-07-23
US8003223B2 (en) 2011-08-23
CN101291985A (zh) 2008-10-22
US20090258243A1 (en) 2009-10-15
JP5063357B2 (ja) 2012-10-31
EP1947142B1 (en) 2011-10-12
JPWO2007046307A1 (ja) 2009-04-23
WO2007046307A1 (ja) 2007-04-26
KR100936567B1 (ko) 2010-01-13
TW200728384A (en) 2007-08-01
CN101291985B (zh) 2011-05-11
EP1947142A4 (en) 200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567B1 (ko) 열융착성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열융착성 필름 및 그용도
JP5276323B2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該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から得られる延伸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該積層体から得られる延伸フィルム
US7651779B2 (en) Resin composition having easy-openable property
JP2013112736A (ja) 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及び、その用途
JP5968543B2 (ja) 易開封性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用途
JP5855126B2 (ja) プロピレン共重合体組成物、二軸延伸フィルム及びその用途
JP4935123B2 (ja) 積層ポリプロピレン系無延伸フィルム
JP5255433B2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成形体、シート、および容器
JP5227031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単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JP6585366B2 (ja) プロピレン系共重合体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フィルム
JP6717639B2 (ja) 多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法
JP2003183462A (ja) 熱融着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JP2003096251A (ja) 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JP2013111826A (ja) 積層フィルム
US6682793B1 (en) Multi-layered polymeric structures including a layer of ethylene copolymer
KR100845504B1 (ko) 열밀봉성 필름 및 그 용도
JP6445913B2 (ja) 積層フィルム
JP6199599B2 (ja) 熱融着性フィルム、積層体及び包装体
JP6942530B2 (ja) 多層二軸延伸フィルムおよび転写フィルム
JP2004249568A (ja) 熱融着性プロピレン系重合体フィルム、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用途
JP2003055510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