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581019B1 - 유화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1019B1
KR102581019B1 KR1020197031975A KR20197031975A KR102581019B1 KR 102581019 B1 KR102581019 B1 KR 102581019B1 KR 1020197031975 A KR1020197031975 A KR 1020197031975A KR 20197031975 A KR20197031975 A KR 20197031975A KR 102581019 B1 KR102581019 B1 KR 102581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emulsion
emulsion composition
gum arabic
o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4700A (ko
Inventor
켄슈케 나카타
료코 츠츠미
다케시 미우치
마코토 사카타
마사유키 니시노
Original Assignee
산에이겐 에후.에후. 아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에이겐 에후.에후. 아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에이겐 에후.에후. 아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4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01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1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emulsifi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2Clouding agents; Agents to improve the cloud-st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5Exudates, e.g. gum arabic, gum acacia, gum karaya or tragacan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02Gums
    • A23V2250/5028Arab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lloid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유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는 유성 성분, 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아라비아검 및 염을 함유하고, 또한 상기 염의 함유량이 상기 아라비아검 100질량부에 대해 90질량부 이하인 유화 조성물에 의하여 해결된다.

Description

유화 조성물
본 개시는 아라비아검을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예를 들면, 특히 음료 등에 흐린 외관을 부여할 수 있는 유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라비아검은 콩과 아카시아속의 식물의 수액으로부터 얻어지는 증점 다당류이고, 향료, 색소, 비타민 및 기능성 소재 등을 비롯한 각종 유성 성분의 유화에 이용되어 왔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탈금속 아라비아검과, 유성 물질과, 5~30질량%의 에탄올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60℃ 이상으로 가열 처리 또는 건조 처리함으로써 얻어진 개질 아라비아검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보다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음료 등의 액체 제품은 종종, 흐린 외관(또는, 반투명 혹은 불투명한 외관)(본 명세서 중, 단순히 흐림으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을 가지는 것을 소비자가 선호한다.
이와 같은 음료 제품의 흐림은 예를 들면, 혼탁제를 이용하여 음료에 O/W 에멀션을 함유시킴으로써 실현된다.
해당 혼탁제에 따르면, 유상(油相)의 성분에 의해, 음료에 호감이 가는 향기 등의 새로운 성질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공지의 혼탁제로서, 특허문헌 3에는, 브롬화 유(油)와, 저밀도의 향유 또는 식물의 조합에 기초하는 혼탁제가 제안되어 있다.
해당 흐림은 음료의 품질 유지의 관점에서, 장기적으로 및/또는 가혹한 조건 하에 있어서도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통상, 에멀션은 2개의 혼화하지 않는 액체로 분리하는 경향을 가지는,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한 2상계이기 때문에 이것이 장기적으로 및/또는 가혹한 조건 하에 있어서도 유지되는 것은 본래 곤란하다.
에멀션이 깨지면, 예를 들면, 에멀션에 함유되어 있던 유상은 부유하여 상기 음료 제품을 밀봉하는 용기의 상부의 내측에 보기 흉한 고리로서 나타나거나, 또는 반대로 침강하여 보기 흉한 침전으로서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음료 등의 액체 제품에 안정된 흐림을 부여할 수 있는(즉, 불투명도를 증강할 수 있는) 혼탁제, 특히, 그 자체의 안정성도 높은 혼탁제는 유용하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7-28912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11-41512호 공보 특허문헌 3: 미국 특허 제3353961호 공보
본 개시는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유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또한, 혼탁제에 사용될 수 있는, 안정성이 높은 유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한 특허문헌 3에 합치하여, 아라비아검을 탈금속 처리(탈염화)함으로써 아라비아검의 유화성이 향상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의 결과, 놀랍게도, 일정한 분자량을 가지는 아라비아검에 대하여 특정량의 염(예를 들면, 염화나트륨 등)을 첨가함으로써 유화 조성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양태(본 명세서 중, 이들을 종합하여 양태 1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한다.
항 A1.
물, 유성 성분, 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아라비아검 및 염을 함유하고, 또한 상기 염의 함유량이 상기 아라비아검 100질량부에 대해 90질량부 이하인 유화 조성물.
항 A2. 상기 염의 함유량이 상기 아라비아검 100질량부에 대해 0.1~90질량부인 유화 조성물.
항 A3. 상기 유성 성분의 함유량이 0.1~50질량%의 범위 내인 항 A1 또는 A2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항 A4. 상기 유성 성분의 함유량이 상기 물 100질량부에 대해 0.1~300질량부의 범위 내인 항 A1 내지 A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항 A5. 상기 아라비아검의 함유량이 5~35질량%의 범위 내인 항 A1 내지 A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항 A6. 상기 아라비아검의 함유량이 상기 유성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10~35000질량부의 범위 내인 항 A1 내지 A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항 A7. 상기 염이 주기표 제 1족 또는 제 2속에 속하는 원소의 염인 항 A1 내지 A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항 A8. 상기 염의 함유량이 0.01~10질량%의 범위 내인 항 A1 내지 A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항 A9. 다가 알코올을 더 함유하는 항 A1 내지 A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항 A10. 상기 다가 알코올이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항 A9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항 A11. 상기 유화 조성물이 유화 향료 제제, 유화 색소 제제, 유화 영양 강화제 제제, 유화 기능성 소재 재제, 또는 혼탁제인 항 A1 내지 A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항 A12. 항 A1 내지 A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수성 조성물.
항 A13. 항 A1 내지 A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음식품.
항 A14. 상기 음식품이 음료인 항 A13에 기재된 음식품.
항 A15.
물, 유성 성분 및 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아라비아검을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조성물에 염을 함유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염의 함유량이 상기 아라비아검 100질량부에 대해 90질량부 이하인 방법.
항 A16.
상기 염을 함유시키는 공정이, 일부 또는 전부 유화 입자의 형성 전에 실시되는 항 A15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본 발명은 또한 다음의 각 양태(본 명세서 중, 이들을 종합하여 양태 2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도 포함한다.
항 B1.
물, 유성 성분, 비수식(unmodified) 또는 수식(modified) 아라비아검 및 0.01질량% 이상 10질량% 미만의 염을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카르나우바 왁스를 함유하는 것을 제외한다).
항 B2. 상기 유성 성분의 함유량이 0.1~50질량%의 범위 내인 항 B1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항 B3. 상기 유성 성분의 함유량이 상기 물 100질량부에 대해 0.1~300질량부의 범위 내인 항 B1 또는 B2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항 B4. 상기 아라비아검의 함유량이 5~35질량%의 범위 내인 항 B1 내지 B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항 B5. 상기 아라비아검의 함유량이 상기 유성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10~35000질량부의 범위 내인 항 B1 내지 B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항 B6. 상기 염이 주기표 제 1족 또는 제 2속에 속하는 원소의 염인 항 B1 내지 B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항 B7. 상기 염의 함유량이 상기 아라비아검 100질량부에 대해 0.1~90질량부의 범위 내인 항 B1 내지 B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항 B8. 다가 알코올을 더 함유하는 항 B1 내지 B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항 B9. 상기 다가 알코올이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항 B8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항 B10. 항 B1 내지 B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을 각각 함유하는 유화 향료 제제, 유화 색소 제제, 유화 영양 강화제 제제, 유화 기능성 소재 제제, 또는 혼탁제.
항 B11. 항 B1 내지 B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음식품.
항 B12. 항 B1 내지 B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수성 조성물.
항 B13.
음료의 불투명도의 증강 방법으로서, 음료에 항 B1 내지 B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을 첨가하는 방법.
항 B14.
물, 유성 성분 및 비수식 또는 수식 아라비아검을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카르나우바 왁스를 함유하는 것을 제외한다)의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고, 상기 조성물에 염을 0.01질량% 이상 10질량% 미만의 함유량으로 되는 양으로 첨가하는 공정을 가지는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유화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또한 혼탁제에 사용될 수 있는, 안정성(특히, 유화 안정성)이 높은 유화 조성물이 제공된다.
도 1은 미개질 아라비아검(Acacia senegal종)을 GPC-MALLS법으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2는 유화 물리 안정성의 평가 시험(가속 시험)의 모식도이다. 왼쪽에 시험계의 측면도를, 오른쪽에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시험예 A에 있어서, 시료 A-1~A-6의 유화 물리 안정성을 시험한 결과(입도 분포)를 나타낸다.
도 4는 시험예 A에 있어서, 시료 A-7~A-9 및 A-11~A-12의 유화 물리 안정성을 시험한 결과(입도 분포)를 나타낸다.
도 5는 시험예 B에 있어서, 시료 B-1~B-7 및 B-9의 유화 물리 안정성을 시험한 결과(입도 분포)를 나타낸다.
도 6은 시험예 E에 있어서, 시료 E-1의 유화 물리 안정성을 시험한 결과(입도 분포)를 나타낸다.
도 7은 시험예 F에 있어서, 시료 F-1~F-3의 유화 물리 안정성을 시험한 결과(입도 분포)를 나타낸다.
도 8은 시험예 G에 있어서, 시료 G-1~G-3의 유화 물리 안정성을 시험한 결과(입도 분포)를 나타낸다.
도 9는 시험예 H에 있어서, 초기 표본, 7일, 14일 및 28일 경과 후의 균수(菌數)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은 미개질 아라비아검(Acacia senegal종)을 GPC-MALLS법으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11은 유화 물리 안정성의 평가 시험(가속 시험)의 모식도이다. 왼쪽에 시험계의 측면도를, 오른쪽에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시험예 A에 있어서, 시료 A-1~A-6의 유화 물리 안정성을 시험한 결과(입도 분포)를 나타낸다.
도 13은 시험예 A에 있어서, 시료 A-7~A-9의 유화 물리 안정성을 시험한 결과(입도 분포)를 나타낸다.
도 14는 시험예 B에 있어서, 시료 B-1~B-7 및 B-9의 유화 물리 안정성을 시험한 결과(입도 분포)를 나타낸다.
도 15는 시험예 E에 있어서, 시료 E-1의 유화 물리 안정성을 시험한 결과(입도 분포)를 나타낸다.
도 16은 시험예 F에 있어서, 시료 F-1~F-4의 유화 물리 안정성을 시험한 결과(입도 분포)를 나타낸다.
도 17은 시험예 G에 있어서, 시료 G-1~G-3의 유화 물리 안정성을 시험한 결과(입도 분포)를 나타낸다.
도 18은 시험예 H에 있어서, 초기 표본, 7일, 14일 및 28일 경과 후의 균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9는 시험예 I에 있어서, 시료 I-5~I-12의 유화 물리 안정성을 시험한 결과(입도 분포)를 나타낸다.
도 20은 시험예 J에 있어서, 시료 J-1~J-5의 유화 물리 안정성을 시험한 결과(입도 분포)를 나타낸다.
도 21은 시험예 K에 있어서, 시료 K-3~K-4의 유화 물리 안정성을 시험한 결과(입도 분포)를 나타낸다.
도 22는 시험예 L에 있어서, 시료 L-1~L-6의 유화 물리 안정성을 시험한 결과(입도 분포)를 나타낸다.
도 23은 시험예 M에 있어서, 시료 M-1~M-2의 유화 물리 안정성을 시험한 결과(입도 분포)를 나타낸다.
도 24는 시험예 N에 있어서, 시료 N-1~N-3의 유화 물리 안정성을 시험한 결과(입도 분포)를 나타낸다.
도 25는 시험예 O에 있어서, 시료 O-5 및 O-6의 유화 물리 안정성을 시험한 결과(입도 분포)를 나타낸다.
도 26은 시험예 P에 있어서, 시료 P-1~P-4의 유화 물리 안정성을 시험한 결과(입도 분포)를 나타낸다.
도 27은 시험예 S에 있어서, 시료 S-1~S-2의 유화 물리 안정성을 시험한 결과(입도 분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유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중, 어구 "함유하는"은 어구 "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및 어구 "로 이루어지는"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여 이용된다.
양태 A
이하에, 본 발명의 양태 A를 설명한다.
1. 유화 조성물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물, 유성 성분, 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아라비아검 및 염을 함유하고, 상기 염의 함유량이 상기 아라비아검 100질량부에 대해 90질량부 이하인 유화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물의 예는 순수, 이온 교환수 및 수도수를 포함한다.
유성 성분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유성 성분(유상을 구성하는 성분)은 유용성 소재(지용성 소재를 포함한다) 및 유성 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된다.
유용성 소재
유용성 소재로서는, 제한되지 않지만, 유용성 향료, 유용성 색소, 유용성 생리 활성 물질 등을 들 수 있다.
유용성 향료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용성 향료(지용성 향료를 포함한다. 이하, 같음.)는 향기 성분을 함유하는 유용성 또는 지용성의 물질이면 좋고, 그 한도에 있어서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음식품에 배합 가능한 가식성 향료이거나, 또는 화장료로서 인체에 적용 가능한 향료이다.
그 예로서는, 동물성·식물성의 천연 원료로부터 불휘발성 용제에 의한 추출, 휘발성 용제에 의한 추출, 초임계 추출 등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물; 수증기 증류나 압착법 등에 의해 얻어지는 정유나 회수 플레이버 등의 천연 향료; 화학적 방법으로 합성된 합성 향료; 이들의 향료를 유지나 용매에 배합·용해한 향료 베이스를 예시할 수 있다. 천연 향료의 예로서, 앱설루트, 엑스트렉트, 올레오레진 등의 추출물, 콜드 프레스 등의 정유, 팅크라 불리는 알코올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향료의 구체예로서는, 오렌지유, 레몬유, 그레이프 프루트유, 라임유, 만다린유 등의 감귤계 정유류; 라벤더유 등의 화정유 또는 앱설루트류; 페퍼민트유, 스피어민트유, 시나몬유 등의 정유류; 올스파이스, 아니스 시드, 바질, 로럴, 카르다몸, 셀러리, 클로브, 갈릭, 진저, 머스터드, 어니언, 파프리카, 파슬리, 블랙 페퍼 등의 스파이스류의 정유 또는 올레오레진류; 리모넨, 리날룰, 게라니올, 멘톨, 오이게놀, 바닐린 등의 합성 향료류; 커피, 카카오, 바닐라, 로스트 피너츠 등의 콩 유래의 추출유; 홍차, 녹차, 우롱차 등의 엑스트렉트류; 그 외, 합성 향료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향료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통상은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조합 향료로서 이용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향료"에는, 단일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향료뿐만 아니라, 이러한 조합 향료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정의된다.
유용성 색소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용성 색소(지용성 색소를 포함한다. 이하, 같음.)는 착색 성분을 함유하는 유용성 또는 지용성의 물질이면 좋고, 그 한도에 있어서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음식품에 배합 가능한 가식성 색소이거나, 또는 화장료로서 인체에 적용 가능한 색소이다.
이러한 유용성 색소로서는, 파프리카 색소, 고추 색소, 심황 색소, 안나토 색소, 토마토 색소, 매리골드 색소, 헤마토코커스조 색소, 두날리엘라카로틴, 당근 카로틴, 팜유 카로틴, β-카로틴, 아스타잔틴, 칸타잔틴, 크립토잔틴, 쿠르쿠민, 리코펜, 루테인, 아포카로테날, 푸코산틴, 제아잔틴, 캅산틴, 캅소르빈, 노르빅신, 빅신 및 클로로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유용성 색소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유용성 생리 활성 물질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용성 생리 활성 물질(지용성 생리 활성 물질을 포함한다. 이하, 같음.)은 생체에 유용한 유용성 또는 지용성의 물질이면 좋고, 그 한도에 있어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의 기재로부터 이해되는 대로, 해당 유용성 생리 활성 물질을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은 예를 들면, 약제, 영양 강화제(예: 비타민제, 아미노산제), 또는 기능성 소재 제제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음식품에 배합 가능한 가식성 물질이거나, 또는 화장료로서 인체에 적용 가능한 물질이다.
이러한 유용성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유용성 약제 외에; 간유, 비타민A(레티놀 등), 비타민A유, 비타민D(에르고칼시페롤, 콜레칼시페롤 등), 비타민B2 부틸산 에스테르, 아스코르브산 지방산 에스테르, 비타민E(토코페롤, 토코트리에놀 등), 비타민K(필로퀴논, 메나퀴논 등) 등의 지용성 비타민류; 리모넨, 리날룰, 네롤, 시트로넬롤, 게라니올, 시트랄, I-멘톨, 오이게놀, 신나믹알데히드, 아네톨, 페릴알데히드, 바닐린, γ-운데카락톤 등의 식물 정유류; 레스베라트롤, 유용성 폴리페놀, 글리코실세라미드, 세사민, 포스파티딜세린, 코엔자임Q10, 유비퀴놀, 쿠르쿠민, 아스타잔틴, 루테인, α-리포산, α-리놀렌산, 에이코사펜타엔산 및 도코사헥사엔산 등의 Ω-3계 지방산; 리놀산 및 γ-리놀렌산 등의 Ω-6계 지방산; 식물 스테롤 등의 기능성 소재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용성 비타민, 코엔자임Q10, α-리포산 및 α-리놀렌산, 에이코사펜타엔산 및 도코사헥사엔산 등의 Ω-3계 지방산이다.
이들의 유용성 생리 활성 물질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유성 용매
유성 용매는 상기 유용성 소재의 용매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 구체적으로는, 상기 유용성 소재와 상용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음식품에 배합 가능한 가식성 물질이거나, 또는 화장료로서 인체에 적용 가능한 물질이다.
이러한 유성 용매로서는, 채종유, 콘유, 팜유, 대두유, 올리브유, 호호바유, 야자유, 엘레미 수지, 매스틱 수지 등의 식물성 유지류; 우지, 돈지 등의 동물성 유지류; 수크로오스아세트산이소부틸산에스테르(SAIB), 로진, 다마르 수지, 에스테르검,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중쇄 트리글리세리드(MCT)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트리글리세리드, 수크로오스아세트산이소부틸산에스테르 및 식물성 유지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트리글리세리드(보다 바람직하게는 중쇄 트리글리세리드)이다.
여기에서, 중쇄 트리글리세리드(MCT)는 탄소수 6~12 정도,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1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10의 중쇄 지방산으로 이루어지는 트리아실글리세롤을 말하고,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프릴산 트리글리세리드, 카프린산 트리글리세리드, 카프릴산 및 카프린산 혼합 트리글리세리드 등 및 이들의 혼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유성 성분으로서, 카르나우바 왁스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의 적합한 양태는 카르나우바 왁스를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을 제외하는 양태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서의 유성 성분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1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5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2질량% 이상을 들 수 있다. 유성 성분의 함량의 상한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50질량% 이하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5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서의 유성 성분의 함유량은 물 100질량부에 대해 0.1~300질량부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2~200질량부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150질량부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120질량부의 범위 내인 것이 더한층 바람직하다.
아라비아검
아라비아검은 콩과 아카시아속(특히, Acacia senegalAcacia seyal)의 수액(분비액)에 유래하는 다당류이다. 해당 수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아라비아검의 분자량은 통상, 100만 미만(통상, 20만~60만 정도)이고, 해당 분자량을 가지는 아라비아검이 일반적으로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아라비아검으로서, 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아라비아검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아라비아검에는 수식 아라비아검 및 비수식 아라비아검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 중, "수식 아라비아검"은 화학 수식된 아라비아검, 바꾸어 말하면, 천연의 아라비아검이 가지지 않는 치환기를 가지는 아라비아검을 의미한다. 이로부터 배제되는 "비수식 아라비아검"은 화학 수식되어 있지 않은 아라비아검, 바꾸어 말하면, 천연의 아라비아검이 가지지 않는 치환기를 가지지 않는 아라비아검을 의미한다.
상기 수식 아라비아검으로서는 예를 들면, 옥테닐석신산 수식 아라비아검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비수식 아라비아검"은 실질적으로 화학 수식되어 있지 않은 아라비아검이면 좋고, 화학적 수식 없이 변성된 아라비아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비수식 아라비아검"은 실질적으로 화학 수식되어 있지 않은 아라비아검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실질적으로 화학 수식되어 있지 않은 아라비아검"이란, 어떠한 이유(예를 들면, 의도하지 않은 화학 물질과의 접촉)로 천연의 아라비아검이 가지지 않는 치환기를 소수 가지지만, 이에 의해서는, 본 발명의 취지에 비추어서, 천연의 아라비아검이 가지지 않는 치환기를 가지지 않는 아라비아검으로부터 성질이 변화해 있지 않은 아라비아검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아라비아검으로서, 옥테닐석신산 수식 아라비아검이 제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비수식 아라비아검을 이용한다.
본 발명에서 아라비아검의 분자량은 중량 평균 분자량을 의미한다.
중량 평균 분자량은 광산란(MALLS) 검출기, 굴절률(RI) 검출기 및 자외선(UV) 검출기의 3개의 검출기를 온라인으로 접속한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해당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의 방법을 "GPC-MALLS"라 부른다. GPC-MALLS에 따르면, 분자량은 MALLS검출기에 의해, 각 성분의 질량(조성비)은 RI검출기에 의해, 또한 단백질 함량은 UV검출기에 의해 측정할 수 있고, 분자량 기지(旣知)의 표준의 아라비아검과 대비하지 않고, 분석 성분의 분자량 및 조성을 구할 수 있다. GPC-MALLS의 상세한 원리 및 특징은 비특허문헌: Idris, O.H.M.,Williams, P.A., Phillips, G.O.,; Food Hydrocolloids, 12(1998) p. 375-388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채용되는 GPC-MALLS의 측정 조건은 하기와 같다:
컬럼: Superose(6HR) 10/30(파마시아·바이오테크, 스웨덴)
유속: 0.5㎖/분
용출 용매: 0.2M NaCl
시료의 조제: 분석 시료를 용출 용매(0.2M NaCl)로 희석
시료 농도: 0.4%(W/V)
시료액 주입량: 100㎕
dn/dc: 0.141
온도: 실온
검출기: 1. MALLS(multi angle laser light scattering) 검출기, DAWN EOS(와이엇 테크놀로지사제, 미국), 2. RI검출기, 3. UV검출기(214㎚에서의 흡수).
상기 조건 하에서 실시한 GPC-MALLS로 얻어진 데이터를 ASTRA Version 4.5(와이엇 테크놀로지) 등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중량 평균 분자량, 회수율(%Mass), 다분산성값(P), 관성 제곱 반경(Rg)의 아라비아검의 성분의 각종 파라미터를 구할 수 있다. RI검출기에 의하여 구해진 크로마토그램 상의 모든 피크를 1피크로 하여 데이터 처리한 경우에, 얻어지는 분자량이 아라비아검에 관하여 말하는 "중량 평균 분자량(Mwt)"이다(보다 상세하게는, "1피크로서 처리한 Mwt")이다. 또한, 크로마토그램의 베이스라인으로부터의 RI차트의 상승부를 기점 및 강하하여 베이스라인과 교차한 부분을 종점으로 한 경우에, 상기에서 말하는 크로마토그램 상의 1피크란, 기점에서 종점까지의 영역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할 수 있는 아라비아검의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00만을 넘는 분자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만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만 이상 및 더한층 바람직하게는 130만 이상이다.
분자량의 상한은 아라비아검이 수용성인 한에 있어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500만 이하, 바람직하게는 450만 이하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할 수 있는 아라비아검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자량을 가지고, 또한 수용성이다. "수용성"이란, 과분량의 물에 완전히 또는 실질적으로 완전히 용해하는 성질을 말한다. 물은 순수, 이온 교환수 및 이온을 함유하는 물 등, 임의의 종류의 물일 수 있고, 또한 그 온도도 아라비아검이 용해하는 온도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즉, 물의 종류 또는 온도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물에 용해시킬 수 있는 아라비아검이면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아라비아검은 사전에 결정된 분자량으로 될 때까지 원료인 아라비아검을 60℃ 이상으로 가열 처리, 또는 60℃ 이상으로 건조 처리(이하,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개질 처리"라고도 한다)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개2000-166489, 특재 WO2003/093324, 특재 WO2005/026213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처리 조건은 오븐 등의 항온기 또는 가열기를 이용한 가열 처리이다.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가열 온도는 예를 들면, 110~130℃를 들 수 있고, 가열 시간은 예를 들면, 10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15시간 이상, 24시간 이상, 또는 48시간 이상을 들 수 있다. 시간의 상한은 목적으로 하는 아라비아검의 분자량에도 따르지만, 예를 들면, 110℃로 가열하는 경우, 72시간 정도를 들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분자량을 가지는 수용성의 아라비아검을 조제할 수 있는 방법이면, 가열 온도, 가열 시간, 가열 수단 및 가열 환경 조건(예, 상대 습도 및 폐쇄계의 유무)은 임의로 선택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가열 조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조건에서의 가열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효과는 110℃보다도 저온에서 10시간보다도 장시간 가열 처리하는 방법, 또는 110℃보다도 고온에서 단시간 가열 처리하는 방법 등에 의해서도 동일하게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자의 예로서, 80℃에서 3일~1주일 이상에 걸쳐서 가열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븐에 의한 가열 수단에 대신하여, 마이크로파 조사에 따르면, 보다 단시간에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밖에, 질소 치환 조건 하 등, 산소가 없는 조건 하에서의 가열 처리도 바람직한 처리 방법의 일종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아라비아검은 Acacia senegal종에 속하는 아라비아검인 경우, 아라비노갈락탄 단백질 함량이 16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7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상한은 아라비아검이 수용성인 한에 있어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30질량% 정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라비노갈락탄 단백질(이하, 단순히 "AGP"라고도 한다)은 그 밖에, 아라비노갈락탄(AG) 및 글리코프로테인(GP)과 아울러서 아라비아검에 포함되는 3가지의 주요한 구성 성분의 하나이다. 분자량이 100만 미만인 아라이아검(Acacia senegal종)에는 AGP가 통상 5~15질량%의 비율로 포함되어 있다.
아라비아검 중에 포함되는 AGP의 비율은 상기 GPC-MALLS법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RI검출기에 의하여 구해진 크로마토그램 상의 RI차트를, 처음에 용출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피크 1(고분자 용출 부분)와 그 이후에 용출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피크 2(저분자 용출 부분)의 2가지로 나누어서, ASTRA Version 4.5(와이엇·테크놀로지) 소프트웨어로 데이터 처리한 경우, 피크 1의 회수율(% Mass)은 GPC-MALLS에 제공한 아라비아검 중에 포함되는 AGP함유 비율(질량%)에 상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개질 아라비아검(Acacia senegal종)을 GPC-MALLS법으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크로마토그램(도 1)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RI차트의 베이스라인을 기선으로 하여, RI차트의 상승부를 "기점", RI차트가 강하하여 기선과 교차한 부분을 "종점"으로 한 경우에, 해당 기점에서 종점까지의 사이에서 RI강도가 극소로 된 점을 경계로 하면, 해당 경계와 "기점"의 사이의 영역이 피크 1이고, 경계와 "종점"의 사이의 영역이 피크 2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아라비아검은 탈염 아라비아검이어도 좋다.
탈염 아라비아검은 아라비아검을 탈염 처리(예: 전기 투석막 처리, 이온 교환 수지 처리)함으로써 얻어진다.
이로부터 이해되는 대로, 탈염 아라비아검은 금속 원자 또는 그 이온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거된 아라비아검일 수 있다.
해당 탈염 아라비아검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그 제품의 예는, 산 아라빅(제품명)(산에이 약품 무역), EFISTAB AA(제품명)(넥시라사) 등의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이용해도 좋다.
탈염 아라비아검은 바람직하게는 0~100ppm의 범위 내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0~50ppm의 범위 내의 금속 함유량을 가지는 아라비아검일 수 있다.
해당 탈염 아라비아검은 비탈염 아라비아검 및 탈염 아라비아검을 혼합함으로써 이와 같은 금속 함유량을 가지도록 금속 함유량이 조제된 아라비아검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아라비아검은 적합한 일 양태로서, 이하의 조건에 따라서 측정되는 아라비아검 수용액(브릭스 25도)의 점도가 90mPa·s 이상인 아라비아검을 포함한다. 아라비아검 수용액(브릭스 25도)의 점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300mPa·s 이하를 들 수 있다.
[점도 측정 조건]
1) 이온 교환수(20℃) 70g에 아라비아검 28g을 첨가 및 교반하여 아라비아검 수용액을 조제한다.
2) 아라비아검 수용액을 정치(5℃, 18시간)하고, 발생한 거품을 제거한다.
3) 상기 아라비아검 수용액의 브릭스(Brix)가 25도로 되도록 이온 교환수를 적절히 첨가하고, 브릭스 25도의 아라비아검 수용액을 조제한다. 해당 수용액을 시료로 한다.
4) 시료의 점도를 B형 점도계(BM형, 도키멕사제)로 측정한다.
로터: No. 2
회전수: 30rpm
회전 시간: 1분간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아라이바검은 적합한 일 양태로서, 이하의 조건에 따라서 측정되는, b값이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12 이상인 아라비아검을 포함한다. b값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30 이하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4 이하이다.
[b값 측정 방법]
1) 이온 교환수(20℃) 70g에 아라비아검 28g을 첨가 및 교반하여 아라비아검 수용액을 조제한다.
2) 아라비아검 수용액을 정치(5℃, 18시간)하고, 발생한 거품을 제거한다.
3) 상기 아라비아검 수용액의 브릭스(Brix)가 10도로 되도록 이온 교환수를 적절히 첨가하고, 브릭스 10도의 아라비아검 수용액을 조제한다. 해당 수용액을 시료로 한다.
4) 시료의 b값을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사용 장치 등]
브릭스의 측정: 디지털 당도(농도)계(PR-101α, 아타고사제)
b값의 측정: 자외 가시 분광 광도계(V-760DS, 일본 분광사제)
측정 조건: 석영 셀(10㎜×10㎜), 투과도(%T)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서의, 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아라비아검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3~40질량%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3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3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30질량%, 더한층 바람직하게는 8~30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25질량% 및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2~25질량%이다.
또한, 유화 조성물 중의 유성 성분의 총량 100질량부에 대한 상기 아라비아검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0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질량부 이상, 더한층 바람직하게는 50질량부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질량부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00질량부 이상, 더한층 바람직하게는 120질량부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화 조성물 중의 유성 성분의 총량 100질량부에 대한 상기 아라비아검 함량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35000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00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질량부 이하, 더한층 바람직하게는 600질량부 이하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질량부 이하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자량의 아라비아검 및 사전 결정량의 염을 병용함으로써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을 훨씬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염은 수용성의 염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무기염 및/또는 유기산염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식성의 무기염 및/또는 유기산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무기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무기염으로서는, 나트륨염(예를 들면, 염화나트륨 등), 칼륨염(예를 들면, 염화칼륨 등), 칼슘염(예를 들면, 락트산칼슘, 염화칼슘 등), 또는 마그네슘염(예를 들면, 염화마그네슘 등) 등을 들 수 있다.
해당 무기염의 적합한 예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락트산칼슘, 염화칼슘 및 염화마그네슘을 포함한다.
해당 무기염의 보다 적합한 예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및 염화마그네슘을 포함한다.
해당 무기염의 더욱 적합한 예는, 염화나트륨을 포함한다.
이들의 염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유기산염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유기산염으로서는, 나트륨염(예: 시트르산나트륨, 인산나트륨 등), 칼륨염(예: 시트르산칼륨, 인산칼륨 등), 또는 마그네슘염(예: 탄산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해당 유기산염의 적합한 예는, 시트르산나트륨, 인산나트륨 및 인산칼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염을 함유하고, 또한 유화 조성물에서의 상기 염의 함량이 상기 아라비아검 100질량부에 대해 90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80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질량부 이하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60질량부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화 조성물에서의 상기 염의 함량(상기 아라비아검 100질량부에 대한 염의 함량)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05질량부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1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질량부 이상, 더한층 바람직하게는 2질량부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질량부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10질량부 이상이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서의 염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01질량% 이상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5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질량% 이상, 더한층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5질량% 이상 및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2질량% 이상이다.
유화 조성물에서의 염의 함량의 상한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5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2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질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9질량% 이하, 더한층 바람직하게는 8질량% 이하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7질량% 이하이다.
아라비아검으로서, 탈염 아라비아검을 사용하는 경우, 유화 조성물에서의 유기산염의 양은 적합하게 1질량부를 넘는 양일 수 있다.
탈염 아라비아검을 사용하는 경우, 이것에 적합하게 무기염을 병용할 수 있다.
다가 알코올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다가 알코올을 함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방부(antiseptic) 효과가 높은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가 알코올의 예로서는,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 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소르비톨(D-소르비톨), 크실리톨, 말티톨, 에리스리톨, 만니톨, 크실로오스, 글루코오스, 락토오스, 만노오스, 올리고토오스, 과당 포도당 액당, 수크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다가 알코올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다가 알코올은 프로필렌글리콜 또는/및 글리세린이다.
다가 알코올로서 프로필렌글리콜을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서의 프로필렌글리콜의 함량의 하한은 예를 들면, 3질량%, 5질량%, 10질량%, 15질량%, 20질량%, 30질량%, 35질량%, 40질량%, 45질량%, 또는 50질량%일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 프로필렌글리콜을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서의 프로필렌글리콜의 함량의 상한은 예를 들면, 65질량%, 60질량%, 55질량%, 50질량%, 45질량%, 40질량%, 또는 35질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서의 다가 알코올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3~80질량%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6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6~50질량% 및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8~45질량%이다.
다가 알코올로서 프로필렌글리콜을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서의 프로필렌글리콜의 함량은 3~40질량%의 범위일 수 있고, 바람직한 범위는 5~30질량%,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8~25질량% 및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10~20질량%이다.
다가 알코올로서 글리세린을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서의 글리세린의 함량의 하한은 예를 들면, 5질량%, 10질량%, 15질량%, 20질량%, 30질량%, 35질량%, 40질량%, 45질량%, 또는 50질량%일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 글리세린을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서의 글리세린의 함량의 상한은 예를 들면, 80질량%, 70질량%, 60질량%, 55질량%, 50질량%, 또는 45질량%일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 글리세린을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서의 글리세린의 함량은 5~80질량%의 범위일 수 있고, 바람직한 범위는 10~70질량%,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15~60질량%,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20~50질량% 및 더한층 바람직한 범위는 25~45질량%이다.
상기와 같이, 유화 조성물에 다가 알코올을 함유시킴으로써 유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방부 효과가 높은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잇점을 가진다. 그러나 한편으로, 다가 알코올의 사용은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이러한 바, 본 발명에서는 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아라비아검 및 상기 아라비아검 100질량부에 대하여 90질량부 이하의 염을 함유시킴으로써 다가 알코올을 함유함에도 불구하고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방부 효과의 관점에서, 종래의 유화 조성물에는 통상 안식향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등의 보존료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보존료의 사용은 유화 조성물의 풍미에 악영향을 준다. 또한, 이들 보존료는 사전에 결정된 균에 효과를 이루는 한편으로, 효과를 이루기 어려운 균이 존재하는 등의 과제를 가진다. 또한, 최근의 소비자의 건강 지향에 따라, 보존료가 기피되는 경향에 있다.
본 관점에서는,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보존료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질적으로 보존료를 함유하지 않고도 방부 효과 및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pH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pH가 바람직하게는 2~7의 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2~6의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2~4.5의 범위 내, 더한층 바람직하게는 2~4의 범위 내, 특히 바람직하게는 2.2~3.8의 범위 내 및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pH 2.5~3.5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범위의 pH를 가짐으로써 유화 조성물의 안정성이 보다 향상되고, 또한, 방부 효과가 높은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유화 조성물의 pH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서 유기산 및/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산 및/또는 무기산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유기산 및/또는 무기산의 예로서는, 시트르산, 피틴산, 아스코르브산, 인산, 락트산, 아디프산, 글루콘산, 석신산, 아세트산, 타르타르산, 푸말산, 말산 및 피로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유기산 및/또는 무기산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유기산 및/또는 무기산은 시트르산, 피틴산, 아스코르브산, 인산 및 락트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그 밖의 임의 성분으로서, 수용성 비타민류, 증점 안정제, 항산화제, 킬레이트제, 또는 산화 방지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에탄올을 함유할 수 있다.
유화 안정성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유화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잇점을 가진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유화 안정성"이란, 유화성(유화 입자를 형성하기 용이함), 유화 보존 안정성(보존 시의 유화 입자의 안정성) 및 유화 물리 안정성(물리적 외력에 대한 유화 입자의 안정성)을 포함한다.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
본 발명에서는 물, 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아라비아검 및 상기 사전 결정량의 염을 함유하는 수상(水相))과 유성 성분을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본 발명에 관련되는 유화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다.
해당 혼합은 물, 유성 성분, 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아라비아검 및 상기 사전 결정량의 염이 혼합되는 한에 있어서, 그 수단 또는 방법 및 조건은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혼합은 그 자체가 유화 처리이어도 좋고, 또는 유화 처리를 동반해도 좋다.
유화 조성물의 성분의 혼합과 유화 처리의 순서는 임의이고, 예를 들면, 해당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의 조작으로서는,
(1) 유화 조성물의 성분의 전부의 종류 및/또는 양을 혼합하고, 또한 그 후 유화 처리하는 방법;
(2) 유화 조성물의 성분의 일부의 종류 및/또는 양을 혼합하고, 그 후 유화 처리하고, 그 후 유화 조성물의 성분의 나머지를 첨가하고, 또한 그 후 다시 유화 처리를 하는 방법;
(3) 유화 조성물의 성분의 전부의 종류 및/또는 양을 유화 처리에 의해 혼합하는 방법; 또는
(4) 유화 조성물의 성분의 일부의 종류 및/또는 양을 유화 처리에 의해 혼합하고, 그 후 유화 조성물의 성분의 나머지의 종류 및/또는 양을 첨가하고, 또한 그 후 다시 유화 처리에 의해 혼합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해당 유화 처리는 호모지나이저(예: 고압 호모지나이저, 호모디스퍼, 호모믹서, 폴리트론식 교반기, 콜로이드밀, 나노마이저 등) 등의 유화기를 이용한 유화 처리일 수 있다. 해당 유화 처리의 조건은, 이용하는 유화기의 종류 등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하면 좋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물, 유성 성분, 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아라비아검 및 상기 아라비아검 100질량부에 대해 90질량부 이하의 양의 염을 혼합 후, 유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은 이하의 적합한 양태를 포함한다.
물, 유성 성분, 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아라비아검 및 염을 함유하고,
상기 염의 함유량이 상기 아라비아검 100질량부에 대해 90질량부 이하인 혼합액을 조제하는 공정 및,
상기 혼합액을 유화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
또한, 본 발명에서의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은 이하의 적합한 양태를 포함한다.
(공정 1)
물, 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아라비아검 및 염을 함유하고, 상기 염의 함유량이,
상기 아라비아검 100질량부에 대해 90질량부 이하인 수상을 조제하는 공정,
(공정 2)
상기 수상과 유성 성분의 혼합액을 조제하는 공정 및,
(공정 3)
상기 혼합액을 유화 처리하는 공정을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액체 형태의 유화 조성물이어도 좋고, 분말화 수단에 의하여 분말 형태의 유화 조성물로서 제공해도 좋다. 분말화 수단은 상법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 등의 수단을 취할 수 있다. 분말화에는, 적당한 담체 등을 첨가해도 좋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유성 성분의 종류 등에 따라서 각종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성 성분이 향료인 경우, 유화 향료 제제로서 적용할 수 있고, 유성 성분이 색소인 경우, 유화 색소 제제로서 적용할 수 있다. 유성 성분이 영양 성분(예: 유용성 비타민, 유용성 아미노산 등)인 경우, 유화 영양 강화제 제제(영양 성분의 보전·강화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식품 첨가물)(예: 유화 비타민 제제 또는 유화 아미노산 제제)로서 적용할 수 있고, 유성 성분이 기능성 소재인 경우, 유화 기능성 소재 제제로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음료 등의 수성 매체에 적당한 흐림을 부여하는 혼탁제(별명, 탁함제, 클라우디)로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의 유화 입자의 입자 직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목적으로 하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는, 유화 조성물의 유화 입자 직경이 메디안 직경(체적 기준)으로 3㎛ 이하,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하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유화 조성물은 예를 들면, 음료, 디저트류, 냉과류, 제과류(예를 들면, 검류, 초콜릿류, 캔디류, 쿠키, 비스켓 등), 제빵류, 스프류, 조미료, 잼류, 과실주, 가공용 과실, 농산 가공품, 축육 가공품, 수산 가공품, 유제품, 제분, 면류, 유동식, 건강 식품, 또는 서플리먼트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합한 일 양태로서는, 유화 조성물의 유화 입자 직경이 메디안 직경(체적 기준)으로 1.2㎛ 이하, 바람직하게는 1.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0.9㎛ 이하이다. 이와 같은 유화 조성물은 예를 들면, 음료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해당 메디안 직경(체적 기준)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1㎛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이상이다.
수성 조성물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유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수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해당 수성 조성물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음식품, 향장품, 의약, 또는 의약부외품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음식품, 보다 바람직하게는 음료이다.
해당 수성 조성물에서의,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의 함량은 해당 조성물의 종류 및 용도 등에 따라서 다를 수 있지만, 예를 들면, 0.001~5질량%의 범위 내, 또는 0.01~1질량%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음식품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유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음식품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음식품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유음료, 유산균 음료, 탄산 음료, 과실 음료(예: 과즙 음료, 과즙들이 청량 음료, 과즙들이 탄산 음료, 과육 음료), 야채 음료, 야채 및 과실 음료, 리큐어류 등의 알코올 음료, 커피 음료, 분말 음료, 스포츠 음료, 서플리먼트 음료 등의 음료류;
홍차 음료, 녹차, 블렌드차 등의 차음료류(또한, 음료류와 차음료류는 "음료"에 포함된다.);
커스터드 푸딩, 밀크 푸딩, 과즙들이 푸딩 등의 푸딩류, 젤리, 바바루아 및 요구르트 등의 디저트류;
밀크 아이스크림, 과즙들이 아이스크림 및 소프트 크림, 아이스 캔디 등의 냉과류;
검(예: 스틱검, 당의검), 쵸콜릿(예: 풍미를 부가한 쵸콜릿, 코팅 쵸콜릿 등), 캔디류(예: 하드 캔디, 소프트 캔디, 당의 캔디, 태피(taffy) 등), 쿠키, 비스켓, 도너츠 등의 제과류; 제빵류;
콩소메 스프, 포타주 스프 등의 스프류;
세퍼레이트 드레싱, 난오일 드레싱, 케첩, 육즙, 소스 등의 액체 조미료류;
스트로베리 잼, 블루베리 잼, 마멀레이드, 사과잼, 살구잼, 프리저브(preserves), 시럽 등의 잼류;
적포도주 등의 과실주;
설탕 조림 체리, 살구, 사과, 딸기, 복숭아 등의 가공용 과실;
절임 등의 농산 가공품;
햄, 소시지 등의 축육 가공품;
어육 소시지, 연육, 대롱 어묵, 어묵 등의 수산 가공품;
유제품;
제분(예: 오코노미야키 가루, 다코야키 가루 등);
면류;
유동식;
건강 식품;
서플리먼트;
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음료, 디저트류(특히 적합하게는 젤리), 캔디류, 잼, 절임, 액체 조미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음료이다.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유화 안정성 향상 방법)
본 발명은 또한 이하의 양태를 가지는,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물, 유성 성분 및 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아라비아검을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고,
상기 조성물에 염을 함유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염의 함유량이 상기 아라비아검 100질량부에 대해 90질량부 이하인 방법.
본 방법은 상기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의 실시 양태 및 조제 방법과 같거나 또는 유사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유화 조성물에 염을 함유시키는 공정은 예를 들면, 상기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과 마찬가지로,
물, 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아라비아검 및 상기 사전 결정량의 염을 함유하는 수상과 유성 성분을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해당 혼합은 물, 유성 성분, 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아라비아검 및 상기 사전 결정량의 염이 혼합되는 한에 있어서, 그 수단 또는 방법 및 조건은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혼합은 그 자체가 유화 처리이어도 좋고, 또는 유화 처리를 동반해도 좋다.
유화 조성물의 성분의 혼합과 유화 처리의 순서는 임의이고, 예를 들면, 해당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의 조작으로서는,
(1) 유화 조성물의 성분의 전부의 종류 및/또는 양을 혼합하고, 또한 그 후 유화 처리하는 방법;
(2) 유화 조성물의 성분의 일부의 종류 및/또는 양을 혼합하고, 그 후 유화 처리하고, 그 후 유화 조성물의 성분의 나머지를 첨가하고, 또한, 그 후 다시 유화 처리를 하는 방법;
(3) 유화 조성물의 성분의 전부의 종류 및/또는 양을 유화 처리에 의해 혼합하는 방법; 또는
(4) 유화 조성물의 성분의 일부의 종류 및/또는 양을 유화 처리에 의해 혼합하고, 그 후 유화 조성물의 성분의 나머지의 종류 및/또는 양을 첨가하고, 또한 그 후 다시 유화 처리에 의해 혼합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상기 염을 함유시키는 공정이 일부 또는 전부 유화 입자의 형성 전에 실시되는 양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이하의 적합한 양태를 포함한다.
상기 아라비아검을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1) 물, 유성 성분, 상기 아라비아검 및 상기 염을 함유하는 혼합액을 조제하는 공정; 및
2) 상기 혼합액을 유화 처리하고, 유화 조성물을 조제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방법.
해당 적합한 양태의 보다 구체적인 예는,
A) 해당 공정 1 및 2에 있어서,
상기 물, 상기 유성 성분 및 상기 아라비아검을 함유하는 혼합 조성물에 상기 염을 더 첨가하고, 또한 유화 처리하여 상기 유화 조성물을 조제하는 구체예;
B) 해당 공정 1 및 2에 있어서,
상기 물, 상기 유성 성분 및 상기 염을 함유하는 혼합 조성물에 상기 아라비아검을 더 첨가하고, 또한 유화 처리하여 상기 유화 조성물을 조제하는 구체예;
C) 해당 공정 1 및 2에 있어서,
상기 물, 상기 아라비아검 및 상기 염을 함유하는 혼합 조성물에 상기 유성 성분을 더 첨가하고, 또한 유화 처리하여 상기 유화 조성물을 조제하는 구체예; 및
D) 해당 공정 1 및 2에 있어서,
상기 유성 성분, 상기 아라비아검 및 상기 염을 함유하는 혼합 조성물에 상기 물을 더 첨가하고, 또한 유화 처리하여 상기 유화 조성물을 조제하는 구체예를 포함한다.
만일을 위해 기재하는 데 불과하지만, 이들의 예(특히, 예 A 및 예 B)에 있어서, 상기 유화 처리는 상기한 각 혼합 조성물에 유화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고, 이 경우, 또다른 성분의 추가 후에는 또다른 유화 처리 또는 단순한 혼합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이들의 양태 및 예는 중복될 수 있다.
양태 B
이하에 본 발명의 양태 B를 설명한다.
[1] 유화 조성물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물, 유성 성분, 비수식 또는 수식 아라비아검 및 0.01질량% 이상 10질량% 미만의 염을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카르나우바 왁스를 함유하는 것을 제외한다)이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적합하게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일 수 있다.
보다 설명적으로 서술하면,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적합하게 물을 매체로서 함유하는 연속상인 수상 및 유용성 생리 활성 물질 및/또는 유성 용매를 함유하는 입자 형태의 유상(본 명세서 중, 이를 기름 함유 입자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을 함유할 수 있다.
1: 물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물의 예는 순수, 이온 교환수 및 수도수를 포함한다.
2: 유성 성분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유성 성분(즉, 유상을 구성하는 성분)은 유용성 소재(이것은 지용성 소재를 포함한다) 및 유성 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된다.
2-1: 유용성 소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소재의 예는, 유용성 향료, 유용성 색소, 및 유용성 생리 활성 물질 등을 포함한다.
2-1-1: 유용성 향료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유용성 향료(이것은 지용성 향료를 포함한다.)는 향기 성분을 함유하는 유용성 또는 지용성의 물질이면 좋고, 그 한도에 있어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용성 향료는 바람직하게는, 음식품에 첨가 가능한 가식성 향료이거나, 또는 향장품으로서 인체에 적용 가능한 향료이다.
상기 향료의 예는,
동물성 또는 식물성의 천연 원료로부터, 불휘발성 용제 추출, 휘발성 용제 추출, 또는 초임계 추출 등, 또는 이들의 조합 등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물;
수증기 증류 또는 압착법 등에 의해 얻어지는 정유 및 회수 플레이버 등의 천연 향료;
화학적 방법으로 합성된 향료인 합성 향료;
이들의 향료를 유지 및 /또는 용매에 첨가한 및/또는 용해시킨 향료 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천연 향료의 형태의 예는,
앱설루트, 에센스 및 올레오레진 등의 추출물;
콜드 프레스 등에 의해 얻어지는 압착액; 및
알코올에 의한 추출물 또는 물 및 알코올의 혼합액에 의한 추출물(이들 추출물로서 이른바 팅크)
를 포함한다.
이들의 향료의 구체예는,
오렌지유, 레몬유, 그레이프 프루트유, 라임유 및 만다린유 등의 감귤계 정유류;
라벤더유 등의 화정유류(또는 앱설루트류);
페퍼민트유, 스피어민트유 및 시나몬유 등의 정유류;
올스파이스, 아니스 시드, 바질, 로럴, 카르다몸, 셀러리, 클로브, 갈릭, 진저, 머스터드, 어니언, 파프리카, 파슬리 및 블랙 페퍼 등의 스파이스류의 정유류(또는 올레오레진류);
리모넨, 리날룰, 게라니올, 멘톨, 오이게놀 및 바닐린 등의 합성 향료류;
커피, 카카오, 바닐라 및 로스트 피너츠 등의 콩 유래의 추출유;
홍차, 녹차 및 우롱차 등의 차 유래의 에센셜류; 및
합성 향료 화합물
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의 향료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통상은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조합 향료로서 이용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향료"는 단일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향료뿐만 아니라, 이러한 조합 향료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정의된다.
2-1-2: 유용성 색소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유용성 색소(이것은 지용성 색소를 포함한다.)는 착색 성분을 함유하는 유용성 또는 지용성의 물질이면 좋고, 그 한도에 있어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용성 색소는 바람직하게는 음식품에 첨가 가능한 가식성 색소이거나, 또는 향장품으로서 인체에 적용 가능한 색소이다.
해당 유용성 색소의 예는 파프리카 색소, 고추 색소, 심황 색소, 안나토 색소, 토마토 색소, 매리골드 색소, 헤마토코커스조 색소, 두날리엘라카로틴, 당근 카로틴, 팜유 카로틴, β-카로틴, 아스타잔틴, 칸타잔틴, 크립토잔틴, 쿠르쿠민, 리코펜, 루테인, 아포카로테날, 푸코산틴, 제아잔틴, 캅산틴, 캅소르빈, 노르빅신, 빅신 및 클로로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의 유용성 색소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2-1-3: 유용성 생리 활성 물질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유용성 생리 활성 물질(이것은 지용성 생리 활성 물질을 포함한다.)은 생체에 유용한 유용성 또는 지용성의 물질이면 좋고, 그 한도에 있어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의 기재로부터 이해되는 대로, 해당 유용성 생리 활성 물질을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은 예를 들면, 약제, 영양 강화제(예: 비타민제, 아미노산제), 또는 기능성 소재 제제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용성 생리 활성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음식품에 첨가 가능한 가식성 물질이거나, 또는 향장품으로서 인체에 적용 가능한 물질이다.
상기 유용성 생리 활성 물질의 예는,
유용성 약제;
간유, 비타민A(예: 레티놀 등), 비타민A유, 비타민D(예: 에르고칼시페롤, 콜레칼시페롤 등), 비타민B2 부틸산 에스테르, 아스코르브산 지방산 에스테르, 비타민E(예: 토코페롤, 토코트리에놀, 토코페롤 아세트산 에스테르 등) 및 비타민K(예: 필로퀴논, 메나퀴논 등) 등의 지용성 비타민류;
리모넨, 리날룰, 네롤, 시트로넬롤, 게라니올, 시트랄, I-멘톨, 오이게놀, 신나믹알데히드, 아네톨, 페릴알데히드, 바닐린 및 γ-운데카락톤 등의 식물 정유류;
레스베라트롤, 유용성 폴리페놀, 글리코실세라미드, 세사민, 포스파티딜세린, 코엔자임Q10, s, 쿠르쿠민, 아스타잔틴, 루테인 및 α-리포산;
α-리놀렌산, 에이코사펜타엔산 및 도코사헥사엔산 등의 Ω-3계 지방산; 및
리놀산 및 γ-리놀렌산 등의 Ω-6계 지방산; 식물스테롤 등의 기능성 소재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그 적합한 예는, 지용성 비타민, 코엔자임Q10 및 α-리포산; 및
α-리놀렌산, 에이코사펜타엔산 및 도코사헥사엔산 등의 Ω-3계 지방산
을 포함한다.
이들의 유용성 생리 활성 물질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2-2: 유성 용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유성 용매는 적합하게 상기 유용성 소재의 용매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 구체적으로는, 상기 유용성 소재와 상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유성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음식품에 첨가 가능한 가식성 물질이거나, 또는 향장품으로서 인체에 적용 가능한 물질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유성 용매의 예는,
채종유, 콘유, 팜유, 대두유, 올리브유, 호호바유, 야자유, 엘레미 수지 및 매스틱 수지 등의 식물성 유지류;
우지 및 돈지 등의 동물성 유지류;
수크로오스아세트산이소부틸산에스테르(SAIB), 로진, 다마르 수지, 에스테르검,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중쇄 트리글리세리드(MCT)(중쇄 지방산유) 등
을 포함한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유성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트리글리세리드, 수크로오스아세트산이소부틸산에스테르 및 식물성 유지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트리글리세리드(보다 바람직하게는 중쇄 트리글리세리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여기에서, 중쇄 트리글리세리드(MCT)는 탄소수 6~12 정도,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1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10의 중쇄 지방산으로 이루어지는 트리아실글리세롤을 말하고,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해당 중쇄 트리글리세리드(MCT)의 구체예는, 카프릴산 트리글리세리드, 카프린산 트리글리세리드, 카프릴산 및 카프린산 혼합 트리글리세리드 등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유성 성분으로서, 카르나우바 왁스를 함유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카르나우바 왁스를 실질적 또는 완전히 함유하지 않는 유화 조성물일 수 있다. 카르나우바 왁스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양태는 카르나우바 왁스가 왁스로서 기능하지 않을 정도의 양의 카르나우바 왁스를 함유하는 양태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양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5질량% 미만, 4질량% 이하, 3질량% 이하, 2질량% 이하, 또는 1질량%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적합한 일 양태는 왁스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양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유화 조성물에서의 유성 성분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1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5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 및 더한층 바람직하게는 2질량% 이상일 수 있다.
유성 성분의 함유량의 상한도 또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해당 함유량은 예를 들면, 5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45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하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35질량%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서의 유성 성분의 함유량은 물 100질량부에 대해 0.1~300질량부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2~200질량부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150질량부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120질량부의 범위 내인 것이 더한층 바람직하다.
3: 아라비아검
아라비아검은 콩과 아카시아속(특히, Acacia senegalAcacia seyal)의 수액(분비액)에 유래하는 다당류이다. 해당 수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아라비아검의 분자량은 통상, 100만(1.0백만(1.0×106)) 미만[보다 상세하게는, 통상 20만(0.2백만)~60만(0.6백만) 정도]이고, 또한 해당 분자량을 가지는 아라비아검이 일반적으로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다.
아라비아검은 통상 3가지의 주용한 구성 성분으로서, 아라비노갈락탄-단백질(AGP), 아라비노갈락탄(AG) 및 글리코프로테인(GP)을 함유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아라비아검으로서, 상기 일반적으로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아라비아검에 추가하여, 분자량이 100만(1.0백만) 이상인 아라비아검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적합하게 분자량이 100만(1.0백만) 이상인 아라비아검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아라비아검은 수식 아라이바검 및 비수식 아라비아검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중, "수식 아라비아검"은 화학 수식된 아라비아검, 바꾸어 말하면, 천연의 아라비아검이 가지지 않는 치환기를 가지는 아라비아검을 의미한다. 이로부터 배제되는 "비수식 아라비아검"은 화학 수식되어 있지 않은 아라비아검, 바꾸어 말하면, 천연의 아라비아검이 가지지 않는 치환기를 가지지 않는 아라비아검을 의미한다.
상기 수식 아라비아검의 예는, 옥테닐석신산 수식 아라비아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비수식 아라비아검"은 실질적으로 화학 수식되어 있지 않은 아라비아검이면 좋고, 또한 화학적 수식 없이 변성된 아라비아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비수식 아라비아검"은 실질적으로 화학 수식되어 있지 않은 아라비아검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실질적으로 화학 수식되어 있지 않은 아라비아검"이란, 어떠한 이유(예를 들면, 의도하지 않은 화학 물질과의 접촉)로 천연의 아라비아검이 가지지 않는 치환기를 소수 가지지만, 그러나 이에 의해서는 본 발명의 취지에 비추어서 "천연의 아라비아검이 가지지 않는 치환기를 가지지 않는 아라비아검으로부터 성질이 변화해 있지 않은 아라비아검"(즉, 본 발명의 취지에 비추어서, "천연의 아라비아검이 가지지 않는 치환기를 가지지 않는 아라비아검으로부터 성질이 변화해 있지 않은 아라비아검"과 같은 성질을 가지는 아라비아검)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아라비아검으로서, 옥테닐석신산 수식 아라비아검이 제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아라비아검은 바람직하게는, "아라비아검(다만, 옥테닐석신산 수식 아라비아검을 제외한다)"이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비수식 아라비아검이 이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라비아검의 분자량은 중량 평균 분자량을 의미한다.
중량 평균 분자량은 광산란(MALLS) 검출기, 굴절률(RI) 검출기 및 자외선(UV) 검출기의 3개의 검출기를 온라인으로 접속한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해당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의 방법을 "GPC-MALLS"라 부른다.
당업자가 통상 이해하는 대로, GPC-MALLS에 따르면,
(1) 분자량은 MALLS검출기에 의해,
(2) 각 성분의 질량(조성비)은 RI검출기에 의해 및
(3) 단백질 함유량은 UV검출기에 의해,
각각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분자량 기지의 표준의 아라비아검과 대비하지 않고, 아라비아검의 분자량 및 그 구성 성분 조성을 구할 수 있다.
GPC-MALLS의 상세한 원리 및 특징은 공지이고,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Idris, O.H.M.,Williams, P.A., Phillips, G.O.,:Food Hydrocolloids, 12(1998) p. 375-388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대하여 채용되는 GPC-MALLS의 측정 조건은 다음과 같다:
컬럼: Superose(6HR) 10/30(파마시아·바이오테크, 스웨덴)
유속: 0.5㎖/분
용출 용매: 0.2M NaCl
시료의 조제: 분석 시료를 용출 용매(0.2M NaCl)로 희석
시료 농도: 0.4%(W/V)
시료액 주입량: 100㎕
dn/dc: 0.141
온도: 실온
검출기:
1. MALLS(multi angle laser light scattering) 검출기, DAWN EOS(와이엇 테크놀로지사제, 미국)
2. RI검출기
3. UV검출기(214㎚에서의 흡수).
상기 조건 하에서 실시한 GPC-MALLS로 얻어진 데이터를 ASTRA Version 4.5(와이엇 테크놀로지) 등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중량 평균 분자량, 회수율(%Mass), 다분산성값(P), 관성 제곱 반경(Rg)의 아라비아검의 성분의 각종 파라미터를 구할 수 있다. RI검출기에 의하여 구해진 크로마토그램 상의 모든 피크를 1피크로 하여 데이터 처리한 경우에, 얻어지는 분자량이 아라비아검에 관하여 말하는 "중량 평균 분자량(Mwt)"(보다 상세하게는, "1피크로서 처리한 Mwt")이다. 또한, 크로마토그램의 베이스라인으로부터의 RI차트의 상승부를 기점 및 강하하여 베이스라인과 교차한 부분을 종점으로 한 경우에, 상기에서 말하는 크로마토그램 상의 1피크란, 기점에서 종점까지의 영역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할 수 있는 아라비아검의 분자량은 100만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00만을 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만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만 이상이고, 또한 더한층 바람직하게는 130만 이상이다.
해당 분자량의 상한은 아라비아검이 수용성인 한에 있어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해당 분자량은 예를 들면, 500만 이하, 바람직하게는 450만 이하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만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할 수 있는 아라비아검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자량을 가지고, 또한 수용성이다.
해당 "수용성"이란, 대과잉량의 물에 완전히 또는 실질적으로 완전히 용해할 수 있는 성질을 말한다.
해당 물은 순수, 이온 교환수 및 이온을 함유하는 물 등, 임의의 종류의 물일 수 있고, 또한 그 온도도 아라비아검이 용해하는 온도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즉, 물의 종류 또는 온도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물에 용해시킬 수 있는 아라비아검이면 본 발명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아라비아검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자량을 가지고, 또한 3질량 이상의 물에 실온(여기에서, 구체적으로는, 25℃)에서 완전히 또는 실질적으로 용해하는 아라비아검이다.
아라비아검은 사전에 결정된 분자량으로 될 때까지 원료인, 일반적으로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아라비아검을 60℃ 이상으로 가열 처리 또는 60℃ 이상으로 건조 처리(이하,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개질 처리"라고도 한다)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해당 조제는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특개2000-166489, WO2003/093324 및
WO2005/026213의 각각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해당 개질 처리는 적합하게 오븐 등의 항온기 또는 가열기를 이용한 가열 처리일 수 있다.
해당 가열 처리의 온도 및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가열 온도는 예를 들면, 110~130℃일 수 있고, 또한 가열 시간은 예를 들면, 10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15시간 이상, 24시간 이상, 또는 48시간 이상일 수 있다.
가열 시간의 상한은, 목적으로 하는 아라비아검의 분자량에 따라서 다를 수 있지만, 예를 들면, 110℃로 가열하는 경우, 72시간 정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분자량을 가지는 아라비아검을 조제할 수 있는 방법이면, 가열 온도, 가열 시간, 가열 수단 및 가열 환경 조건(예: 상대 습도 및 폐쇄계의 유무)은 임의로 선택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가열 조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조건에서의 가열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효과는,
(1) 110℃보다도 저온에서 10시간보다도 장시간 가열 처리하는 방법, 또는
(2) 110℃보다도 고온에서 단시간 가열 처리하는 방법 등에 의해서도 동일하게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자의 예로서 80℃에서 3일~1주일 이상에 걸쳐서 가열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븐에 의한 가열 수단에 대신하여, 마이크로파 조사에 따르면, 보다 단시간에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밖에, 질소 치환 조건 하 등, 산소가 없는 조건 하에서의 가열 처리도 바람직한 처리 방법의 일종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아라비아검은 Acacia senegal종에 속하는 아라비아검인 경우, 아라비노갈락탄 단백질 함유량이 16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7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상한은 아라비아검이 수용성인 한에 있어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해당 함유량은 30질량% 정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통상의 것으로서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것인, 분자량이 100만 미만인 아라비아검(Acacia senegal종)에는 AGP가 통상 5~15질량%의 비율로 포함되어 있다.
아라비아검 중에 포함되는 AGP의 비율은 상기 GPC-MALLS법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RI검출기에 의하여 구해진 크로마토그램 상의 RI차트를, 처음에 용출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피크 1(고분자 용출 부분)과, 그 이후에 용출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피크 2(저분자 용출 부분)의 2가지로 나누어서, ASTRA Version 4.5(와이엇·테크놀로지) 소프트웨어로 데이터 처리한 경우, 피크 1의 회수율(% Mass)은 GPC-MALLS에 제공한 아라비아검 중에 포함되는 AGP함유 비율(질량%)에 상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개질 아라비아검(Acacia senegal종)을 GPC-MALLS법으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크로마토그램(도 1)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RI차트의 베이스라인을 기선으로 하여, RI차트의 상승부를 "기점", RI차트가 강하하여 기선과 교차한 부분을 "종점"으로 한 경우에, 해당 기점에서 종점까지의 사이에서 RI강도가 극소로 된 점을 경계로 하면, 해당 경계와 "기점"의 사이의 영역이 피크 1이고, 경계와 "종점"의 사이의 영역이 피크 2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아라비아검은 탈염 아라비아검이어도 좋다.
탈염 아라비아검은 아라비아검을 탈염 처리(예: 전기 투석막 처리, 이온 교환 수지 처리)함으로써 얻어진다.
이로부터 이해되는 대로, 탈염 아라비아검은 금속 원자 또는 그 이온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거된 아라비아검일 수 있다.
해당 탈염 아라비아검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그 제품의 예는, 산 아라빅(제품명)(산에이 약품 무역), EFISTAB AA(제품명)(넥시라사) 등의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이용해도 좋다.
탈염 아라비아검은 바람직하게는 0~100ppm의 범위 내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0~50ppm의 범위 내의 금속 함유량을 가지는 아라비아검일 수 있다.
해당 탈염 아라비아검은 비탈염 아라비아검 및 탈염 아라비아검을 혼합함으로써 이와 같은 금속 함유량을 가지도록 금속 함유량이 조제된 아라비아검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아라비아검은 적합한 일 양태로서, 이하의 조건에 따라서 측정되는 아라비아검 수용액(브릭스 25도)의 점도가 90mPa·s 이상인 아라비아검을 포함한다.
아라비아검 수용액(브릭스 25도)의 점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300mPa·s일 수 있다.
[점도 측정 조건]
1) 이온 교환수(20℃) 70g에 아라비아검 28g을 첨가 및 교반하여 아라비아검 수용액을 조제한다.
2) 아라비아검 수용액을 정치(5℃, 18시간)하고, 발생한 거품을 제거한다.
3) 상기 아라비아검 수용액의 브릭스(Brix)가 25도로 되도록 이온 교환수를 적절히 첨가하고, 브릭스 25도의 아라비아검 수용액을 조제한다. 해당 수용액을 시료로 한다.
4) 시료의 점도를 이하의 조건으로 B형 점도계(BM형, 도키멕사제)로 측정한다.
<조건>
로터: No. 2
회전수: 30rpm
회전 시간: 1분간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아라이바검은 적합한 일 양태로서, 이하의 조건에 따라서 측정되는, Lab표색계의 b값이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12 이상인 아라비아검을 포함한다.
b값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30 및 바람직하게는 24일 수 있다.
[b값 측정 방법]
1) 이온 교환수(20℃) 70g에 아라비아검 28g을 첨가 및 교반하여 아라비아검 수용액을 조제한다.
2) 아라비아검 수용액을 정치(5℃, 18시간)하고, 발생한 거품을 제거한다.
3) 상기 아라비아검 수용액의 브릭스(Brix)가 10도로 되도록 이온 교환수를 적절히 첨가하고, 브릭스 10도의 아라비아검 수용액을 조제한다. 해당 수용액을 시료로 한다.
4) 시료의 b값을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b값 측정 방법의 사용 장치 등]
브릭스의 측정: 디지털 당도(농도)계(PR-101α, 아타고사제)
b값의 측정: 자외 가시 분광 광도계(V-760DS, 일본 분광사제)
측정 조건: 석영 셀(10㎜×10㎜), 투과도(%T)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서의, 아라비아검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3~40질량%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3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3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30질량%, 더한층 바람직하게는 8~30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25질량% 및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2~25질량%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또한, 유화 조성물 중의 유성 성분의 총량 100질량부에 대한 상기 아라비아검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질량부 이상, 더한층 바람직하게는 50질량부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질량부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00질량부 이상, 더한층 바람직하게는 120질량부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화 조성물 중의 유성 성분의 총량 100질량부에 대한 상기 아라비아검 함유량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해당 함유량은 예를 들면, 35000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00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질량부 이하, 더한층 바람직하게는 600질량부 이하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질량부 이하일 수 있다.
4: 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아라비아검 및 0.01질량% 이상 10질량% 미만의 염을 병용함으로써 유화 안정성이 높은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염은 수용성의 염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무기염 및/또는 유기산염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식성의 무기염 및/또는 유기산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무기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무기염으로서는, 나트륨염(예: 염화나트륨), 칼륨염(예: 염화칼륨 등), 칼슘염(예: 락트산칼슘, 염화칼슘), 또는 마그네슘염(예: 염화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해당 무기염의 적합한 예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락트산칼슘, 염화칼슘 및 염화마그네슘을 포함한다.
해당 무기염의 보다 적합한 예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및 염화마그네슘을 포함한다.
해당 무기염의 더욱 적합한 예는, 염화나트륨을 포함한다.
이들의 염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유기산염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유기산염으로서는, 나트륨염(예: 시트르산나트륨, 인산나트륨 등), 칼륨염(예: 시트르산칼륨, 인산칼륨 등), 또는 마그네슘염(예: 탄산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해당 유기산염의 적합한 예는, 시트르산나트륨, 인산나트륨 및 인산칼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염을 함유하고, 또한 유화 조성물에서의 상기 염의 함유량이 0.01질량% 이상 10질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서의 염의 함유량의 하한은 0.01질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05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질량% 이상, 더한층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2질량% 이상일 수 있다.
유화 조성물에서의 염의 함유량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9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질량% 이하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7질량%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서의 염의 함유량은 아라비아검 100질량부에 대해 예를 들면, 0.05질량부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1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질량부 이상, 더한층 바람직하게는 2질량부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3질량부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질량부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10질량부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서의 염의 함유량은 아라비아검 100질량부에 대해 예를 들면, 90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80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질량부 이하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60질량부 이하일 수 있다.
아라비아검으로서, 탈염 아라비아검을 사용하는 경우, 유화 조성물에서의 유기산염의 양은 적합하게 1질량부를 넘는 양일 수 있다.
탈염 아라비아검을 사용하는 경우, 이것에 적합하게 무기염을 병용할 수 있다.
5: 다가 알코올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다가 알코올을 함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방부 효과가 높은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가 알코올의 예로서는,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 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소르비톨(D-소르비톨), 크실리톨, 말티톨, 에리스리톨, 만니톨, 크실로오스, 글루코오스, 락토오스, 만노오스, 올리고토오스, 과당 포도당 액당 및 수크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다가 알코올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가 알코올은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글리콜, 혹은 글리세린,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다가 알코올로서 프로필렌글리콜을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서의 프로필렌글리콜의 함량의 하한은 예를 들면, 3질량%, 5질량%, 10질량%, 15질량%, 20질량%, 30질량%, 35질량%, 40질량%, 45질량%, 또는 50질량%일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 프로필렌글리콜을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서의 프로필렌글리콜의 함량의 상한은 예를 들면, 65질량%, 60질량%, 55질량%, 50질량%, 45질량%, 40질량%, 또는 35질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서의 다가 알코올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3~80질량%, 바람직하게는 5~6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6~50질량%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8~45질량%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 프로필렌글리콜을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서의 프로필렌글리콜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3~40질량%, 바람직하게는 5~3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25질량%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질량%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 글리세린을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서의 글리세린의 함량의 하한은 예를 들면, 5질량%, 10질량%, 15질량%, 20질량%, 30질량%, 35질량%, 40질량%, 45질량%, 또는 50질량%일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 글리세린을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서의 글리세린의 함량의 상한은 예를 들면, 80질량%, 70질량%, 60질량%, 55질량%, 50질량%, 또는 45질량%일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 글리세린을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서의 글리세린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5~80질량%, 바람직하게는 10~7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6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50질량% 및 더한층 바람직하게는 25~45질량%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화 조성물에 다가 알코올을 함유시킴으로써 유화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방부 효과가 높은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잇점을 가진다.
그러나 그 한편으로, 다가 알코올의 사용은 불합리하게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이 문제에 관해, 본 발명에서는 아라비아검 및 0.01질량% 이상 10질량% 미만의 염을 함유시킴으로써 다가 알코올을 함유함에도 불구하고 유화 안정성이 높은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방부 효과의 관점에서, 종래의 유화 조성물에는 통상 안식향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등의 합성 보존료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의 합성 보존료에는,
(1) 그 사용이, 유화 조성물의 풍미에 악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는 것 및
(2) 사전에 결정된 균에 효과를 이루는 한편으로, 효과를 이루기 어려운 균이 존재하는 것 등의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최근의 소비자의 건강 지향에 따라, 합성 보존료가 기피되는 경향에 있다.
본 관점에서는,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합성 보존료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점에 관해, 본 발명에 따르면, 실질적으로 합성 보존료의 사용을 억제해도 또는 이를 사용하지 않고도 방부성 및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6: pH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의 pH는 통상 2~7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2~6의 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2~4.5의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2~4의 범위 내, 특히 바람직하게는 2.2~3.8의 범위 내 및 더한층 바람직하게는 2.5~3.5의 범위 내이다.
본 범위의 pH를 가짐으로써 유화 안정성이 보다 향상되고, 또한, 방부성이 높은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유화 조성물의 pH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서 유기산 및/또는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산 및/또는 무기산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유기산 및/또는 무기산의 예로서는, 시트르산, 피틴산, 아스코르브산, 인산, 락트산, 아디프산, 글루콘산, 석신산, 아세트산, 타르타르산, 푸말산, 말산 및 피로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유기산 및/또는 무기산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유기산 및/또는 무기산은 시트르산, 피틴산, 아스코르브산, 인산 및 락트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그 밖의 임의 성분으로서, 수용성 비타민류, 증점 안정제, 항산화제, 킬레이트제, 또는 산화 방지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에탄올을 함유할 수 있다.
7: 유화 안정성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유화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잇점을 가진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유화 안정성"이란, 유화성(유화 입자를 형성하기 용이함), 유화 보존 안정성(보존 시의 유화 입자의 안정성) 및 유화 물리 안정성(물리적 외력에 대한 유화 입자의 안정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후기에서 실시예에 대하여 기재하는 기준으로 평가한 경우에 높은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2]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
본 발명에서는 물, 아라비아검 및 상기 사전 결정량의 염을 함유하는 수상과 유성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관련되는 유화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다.
해당 혼합은 물, 유성 성분, 아라비아검 및 상기 사전 결정량의 염이 혼합되면, 그 수단 또는 방법 및 조건은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혼합은 그 자체가 유화 처리이어도 좋고, 또는 유화 처리를 동반해도 좋다.
해당 유화 처리는 호모지나이저(예: 고압 호모지나이저, 호모디스퍼, 호모믹서, 폴리트론식 교반기, 콜로이드밀, 나노마이저 등) 등의 유화기를 이용한 유화 처리일 수 있다. 해당 유화 처리의 조건은, 이용하는 유화기의 종류 등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하면 좋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물, 유성 성분, 아라비아검 및 0.01질량% 이상 10질량% 미만의 염을 혼합 후, 유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은 이하의 적합한 양태를 포함한다.
물, 유성 성분, 아라비아검(비수식 아라비아검 또는 수식 아라비아검) 및 0.01질량% 이상 10질량% 미만의 염을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카르나우바 왁스를 함유하는 것을 제외한다)의 조제 방법이고,
상기 물, 상기 유성 성분, 상기 아라비아검 및 상기 염을 함유하는 혼합액을 조제하는 공정 및 상기 혼합액을 유화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
또한, 본 발명에서의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은 이하의 적합한 양태를 포함한다.
물, 유성 성분, 아라비아검(비수식 아라비아검 또는 수식 아라비아검) 및 0.01질량% 이상 10질량% 미만의 염을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카르나우바 왁스를 함유하는 것을 제외한다)의 조제 방법이고,
(공정 1)
상기 물, 상기 아라비아검 및 상기 염을 함유하는 수상을 조제하는 공정,
(공정 2)
상기 수상과 유성 성분의 혼합액을 조제하는 공정 및,
(공정 3)
상기 혼합액을 유화 처리하는 공정을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의 형태 또는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액체 형태이어도 좋고, 또는 분말화 수단에 의하여 분말화된 형태이어도 좋다.
해당 분말화는 상법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 등의 분말화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해당 분말화 시에는, 적당한 담체 등을 첨가해도 좋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유성 성분의 종류 등에 따라서 각종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성 성분이 향료인 경우, 유화 향료 제제로서 적용할 수 있고, 유성 성분이 색소인 경우, 유화 색소 제제로서 적용할 수 있다. 유성 성분이 영양 성분(예: 유용성 비타민, 유용성 아미노산 등)인 경우, 유화 영양 강화제 제제(영양 성분의 보전·강화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식품 첨가물)(예: 유화 비타민 제제 또는 유화 아미노산 제제)로서 적용할 수 있고, 유성 성분이 기능성 소재인 경우, 유화 기능성 소재 제제로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음료 등의 수성 매체에 적당한 흐림을 부여하는 혼탁제(별명, 탁함제, 클라우디)로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는, 유화 조성물의 유화 입자 직경이 메디안 직경(체적 기준)으로 3㎛ 이하,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하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유화 조성물은 예를 들면, 음료, 디저트류, 냉과류, 제과류(예를 들면, 검류, 초콜릿류, 캔디류, 쿠키, 비스켓 등), 제빵류, 스프류, 조미료, 잼류, 과실주, 가공용 과실, 농산 가공품, 축육 가공품, 수산 가공품, 유제품, 제분, 면류, 유동식, 건강 식품, 또는 서플리먼트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합한 일 양태로서는, 유화 조성물의 유화 입자 직경이 메디안 직경(체적 기준)으로 1.2㎛ 이하, 바람직하게는 1.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0.9㎛ 이하이다. 이와 같은 유화 조성물은 예를 들면, 음료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해당 메디안 직경(체적 기준)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08㎛이고,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이상, 더한층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이상이다.
[3] 수성 조성물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유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수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해당 수성 조성물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음식품, 향장품(이것은 화장료를 포함한다), 의약, 또는 의약부외품, 바람직하게는 음식품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음료일 수 있다.
해당 수성 조성물에서의,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의 함유량은 해당 조성물의 종류 및 용도 등에 따라서 다를 수 있지만, 예를 들면, 0.001~5질량%의 범위 내, 또는 0.01~1질량%의 범위 내일 수 있다.
[4] 음식품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유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음식품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음식품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해당 음식품의 예는, 유음료, 유산균 음료, 탄산 음료, 과실 음료(예: 과즙 음료, 과즙들이 청량 음료, 과즙들이 탄산 음료, 과육 음료), 야채 음료, 야채 및 과실 음료, 리큐어류 등의 알코올 음료, 커피 음료, 분말 음료, 스포츠 음료, 서플리먼트 음료 등의 음료류;
홍차 음료, 녹차, 블렌드차 등의 차음료류(또한, 음료류와 차음료류는 "음료"에 포함된다.);
커스터드 푸딩, 밀크 푸딩, 과즙들이 푸딩 등의 푸딩류, 젤리, 바바루아 및 요구르트 등의 디저트류;
밀크 아이스크림, 과즙들이 아이스크림 및 소프트 크림, 아이스 캔디 등의 냉과류;
검(예: 스틱검, 당의검), 쵸콜릿(예: 풍미를 부가한 쵸콜릿, 코팅 쵸콜릿 등), 캔디류(예: 하드 캔디, 소프트 캔디, 당의 캔디, 태피 등), 쿠키, 비스켓, 도너츠 등의 제과류; 제빵류;
콩소메 스프, 포타주 스프 등의 스프류;
세퍼레이트 드레싱, 난오일 드레싱, 케첩, 육즙, 소스 등의 액체 조미료류;
스트로베리 잼, 블루베리 잼, 마멀레이드, 사과잼, 살구잼, 프리저브, 시럽 등의 잼류;
적포도주 등의 과실주; 및
설탕 조림 체리, 살구, 사과, 딸기, 복숭아 등의 가공용 과실;
절임 등의 농산 가공품;
햄, 소시지 등의 축육 가공품;
어육 소시지, 연육, 대롱 어묵, 어묵 등의 수산 가공품;
유제품;
제분(예: 오코노미야키 가루, 다코야키 가루 등);
면류;
유동식;
건강 식품;
서플리먼트;
를 포함한다.
해당 음식품의 종류는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음료, 디저트류(특히 적합하게는 젤리), 캔디류, 잼, 절임, 또는 액체 조미료이고,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음료이다.
해당 음식품의 예는 이들의 제품의 반제품 및 중간 제품 등도 포함한다.
해당 음식품 중에는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 유래하는 기름 함유 입자가 적합하게 존재한다.
7: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유화 안정성 향상 방법)
본 발명은 또한 이하의 양태를 가지는,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물, 유성 성분 및 비수식 또는 수식 아라비아검을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카르나우바 왁스를 함유하는 것을 제외한다)의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고,
상기 조성물에 염을 0.01질량% 이상 10질량% 미만의 함유량이 되는 양으로 첨가하는 공정을 가지는 방법.
본 방법은 상기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의 실시 양태 및 조제 방법과 같거나 또는 유사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염을 함유시키는 공정이 유화 입자 형성 전에 실시되는 양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이하의 적합한 양태를 포함한다.
상기 아라비아검을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1) 물, 유성 성분, 상기 아라비아검 및 상기 염을 함유하는 혼합액을 조제하는 공정; 및
2) 상기 혼합액을 유화 처리하고, 유화 조성물을 조제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방법.
해당 적합한 양태의 보다 구체적인 예는,
A) 해당 공정 1 및 2에 있어서,
상기 물, 상기 유성 성분 및 상기 아라비아검을 함유하는 혼합 조성물에 상기 염을 더 첨가하고, 또한 유화 처리하여 상기 유화 조성물을 조제하는 구체예;
B) 해당 공정 1 및 2에 있어서,
상기 물, 상기 유성 성분 및 상기 염을 함유하는 혼합 조성물에 상기 아라비아검을 더 첨가하고, 또한 유화 처리하여 상기 유화 조성물을 조제하는 구체예;
C) 해당 공정 1 및 2에 있어서,
상기 물, 상기 아라비아검 및 상기 염을 함유하는 혼합 조성물에 상기 유성 성분을 더 첨가하고, 또한 유화 처리하여 상기 유화 조성물을 조제하는 구체예; 및
D) 해당 공정 1 및 2에 있어서,
상기 유성 성분, 상기 아라비아검 및 상기 염을 함유하는 혼합 조성물에 상기 물을 더 첨가하고, 또한 유화 처리하여 상기 유화 조성물을 조제하는 구체예를 포함한다.
만일을 위해 기재하는 데 불과하지만, 이들의 예(특히, 예 A 및 예 B)에 있어서, 상기 유화 처리는 상기한 각 혼합 조성물에 유화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고, 이 경우, 또다른 성분의 추가 후에는 또다른 유화 처리 또는 단순한 혼합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이들의 양태 및 예는 중복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각 표 중의 조성을 나타내는 수치는 특별히 기재가 없는 경우, 질량%를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 중, 이하의 기호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GumA: 비수식 아라비아검
DGFE: 데카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이하에, 본 발명의 양태 A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재료
아라비아검: 분자량이 다른 아라비아검(분자량 80만, 110만, 150만 및 400만)을 준비했다. 분자량은 명세서에 기재된 GPC-MALLS법에 의하여 산출된 값이다.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ODO): 카프릴산/카프린산=3/1, 닛신 오일리오사
유화 안정성 시험
[유화성의 평가]
음료 모델로서, 조제한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이하의 항목을 평가했다.
- D50㎛ 또는 입자 직경 D50: 메디안 직경
- 1.3㎛↑ 또는 1.3μ↑: 입자 직경이 1.3㎛ 이상인 입자 직경의 빈도
- 0.1%E(720㎚): 시료(유화 조성물)의 0.1% 물 희석액의 720㎚에서의 탁도
상기 "D50㎛" 및 "1.3㎛↑"는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상기 유화 조성물의 입도 분포를 측정했다.
입도 분포 측정 장치: Microtrac MT3000EX-Ⅱ(마이크로트랙·벨사)
측정 방법: 굴절률 1.81, 측정 범위 0.021~2000㎛, 체적 기준
상기 "0.1%E(720㎚)"는 각 시료(유화 조성물)를 이온 교환수로 0.1% 수용액에 희석하고, 해당 희석액의 720㎚의 탁도를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측정했다.
분광 광도계: 분광 광도계 V-660DS, 니혼 분코사제
측정 조건: 석영 셀, 10㎜×10㎜, 흡광도(Abs)
[유화 보존 안정성의 평가]
조제한 유화 조성물을 30mL 유리병에 충전하고, 60℃의 항온조에서 보존하고, 보존 3일 후 및 7일 후의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이하의 항목을 평가했다.
- D50㎛ 또는 입자 직경 D50: 메디안 직경, 표 중의 숫자의 단위는 ㎛이다.
- 1.3㎛↑: 입자 직경이 1.3㎛ 이상인 입자 직경의 빈도
표 중의 단위는 (%)이다.
- 0.1%E(720㎚): 시료(유화 조성물)의 0.1% 물 희석액의 720㎚에서의 탁도
혼탁제로서 적합한 탁도의 기준은 0.2~0.8의 범위 내
[유화 물리 안정성의 평가]
유화 물리 안정성의 지표의 하나로서, 고온 조건 하에서 유화 조성물을 교반한 경우의 유화 입자의 변화를 평가하는 가속 시험을 실시했다. 모식도를 도 2에 나타낸다.
사용 기구: 200mL 비커(유리제, 직경 65㎜, 높이 90㎜)
교반 날개(직경 5㎜의 금속 막대의 선단부에 직경 32㎜의 3매 날개를 구비한다)
측정 방법: 1) 200mL 비커에 시료(유화 조성물) 200g을 잰다.
2) 시료를 60℃에서 20분간 정치한다.
3) 200mL 비커 저부로부터의 높이 15㎜에 날개를 설치한다.
4) 회전수 1300rpm의 조건에서 교반 날개로 시료를 교반한다.
5) 사전 결정 시간(0분, 3분, 6분)으로 유화 조성물을 샘플링하고, 입도 분포를 측정한다.
입도 분포 측정 장치: Microtrac MT3000EX-Ⅱ(마이크로트랙·벨사)
측정 방법: 굴절률 1.81, 측정 범위 0.021~2000㎛, 체적 기준
[유화 안정성의 평가]
각 실시예에서의 유화 안정성의 평가 기준은 후기 표 A1 및 표 A2와 같다.
"평가(경시 변화)"는 유화 조성물(음료 모델)의 조제 직후(초기 표본)의 "유화 상태(평가점)"와, 평가 시(유화 보존 안정성의 시험 후, 또는 유화 물리 안정성의 시험 후)의 상기 유화 조성물의 "유화 상태(평가점)"의 차이(점수차)를 지표로 하여 평가했다.
또한, "평가(경시 변화)"는 초기 표본의 평가점이 3 이상(보통 이상)인 것을 ××, ×, ○ 및 ◎의 4단계로 판단하고, 초기 표본의 평가점이 3 미만인 것은 "-"로 판단했다.
[표 A1]
Figure 112019110370310-pct00001
[표 A2]
유화 조성물(음료 모델)의 제조 방법
유화 조성물(음료 모델)은 각 표에 나타내는 처방에 따라서 제조했다. 처방에 나타내는 소재를 3000rpm으로 5분간 교반하고, 혼합액을 조제했다. 이어서, 해당 혼합액을 고압 호모지나이저(호모지나이저 15MR-8TA, MANTON-GAULIN사제)로 균질화 처리하고(조건 350㎏/㎠, 5회), 유화 조성물을 제조했다.
시험예 A[아라비아검 분자량]
(유화 조성물의 조제)
표 A3의 처방에 따라, 유화 조성물(음료 모델)을 조제했다.
조제한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유화 안정성 시험을 실시했다.
유화성 및 유화 보존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표 A4 및 표 A5에, 또한 유화 물리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표 A6, 도 3 및 도 4에 나타낸다.
A-1~A-12의 유화 조성물의 pH는 2.5~3.5의 범위 내이었다.
[표 A3]
[표 A4]
[표 A5]
[표 A6]
염화나트륨 3% 및 9%의 첨가구(添加區)는 아라비아검 100질량부에 대한 염의 함량이 각각 17.1질량부 및 51.4질량부이다.
표 A4 및 표 A5로부터, 분자량이 110×104, 150×104 및 400×104의 아라비아검과 특정량의 염화나트륨을 병용한 유화 조성물은 염화나트륨을 함유하지 않는 유화 조성물과 비교하여 유화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유화성에서는 염화나트륨의 첨가에 의해 입자 직경이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또는 유화 보존 안정성에서는 염화나트륨 무첨가구에 비하여 유화 입자의 변동(D50, 1.3㎛↑)이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한편, 분자량이 80×104인 아라비아검을 이용한 유화 조성물은 분자량이 110×104 이상인 아라비아검을 이용한 유화 조성물과 비교하여 유화 안정성이 충분한 것으로는 인정되지 않았다.
표 A6, 도 3 및 도 4는 유화 물리 안정성의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분자량이 110×104, 150×104 및 400×104인 아라비아검과 특정량의 염화나트륨을 병용한 유화 조성물은 가속 시험 결과 후(3분 후 및 6분 후)의 유화 조성물의 입도 분포에 큰 변화가 없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상기 시료는 유화 물리 안정성이 우수해 있는 것이 나타났다.
한편, 분자량이 80×104인 아라비아검을 이용한 유화 조성물은 일정량의 염화나트륨을 함유함에도 불구하고, 유화 조성물의 입도 분포가 변동하여, 유화 입자 직경이 커지는 것이 나타났다.
시험예 B[식염 함량(1)]
(유화 조성물의 조제)
표 A7의 처방에 따라, 유화 조성물을 조제했다.
조제한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유화 안정성 시험을 실시했다.
유화성 및 유화 보존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표 A8 및 표 A9에, 또한 유화 물리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표 A10, 도 5에 나타낸다.
B-1~B-11의 pH는 2.5~3.5의 범위 내이었다.
[표 A7]
[표 A8]
[표 A9]
표 A8 및 표 A9의 결과로부터, 사전 결정량의 염화나트륨을 첨가함으로써 유화 조성물의 유화성 및 유화 보존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이 나타났다. 염화나트륨 함량이 12질량% 및 14.5질량%인 유화 조성물(시료 B-10 및 B-11)은 일부 염화나트륨의 석출이 확인되었다. 유화 조성물의 품질의 관점에서는, 염화나트륨 함량은 12질량% 이하가 바람직한 것이 시사되었다.
[표 A10]
표 A10 및 도 5는 시료 B-1~B-7 및 B-9의 유화 물리 안정성의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염화나트륨 함량이 3질량% 이상(아라비아검 100질량부에 대한 염 함량 17.1질량부)이 되면, 유화 물리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시험예 C[식염 함량(2)]
(유화 조성물의 조제)
표 A11의 처방에 따라, 유화 조성물을 조제했다.
조제한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유화 안정성 시험을 실시했다.
유화성 및 유화 보존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표 A12 및 표 A13에 나타낸다.
C-1~C-4의 pH는 2.5~3.5의 범위 내이었다.
[표 A11]
[표 A12]
[표 A13]
표 A12 및 표 A13으로부터, 사전 결정량의 염화나트륨을 첨가함으로써 유화 조성물의 유화성 및 유화 보존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이 나타났다.
시험예 D[아라비아검 이외의 유화제]
(유화 조성물의 조제)
표 A14의 처방에 따라, 유화 조성물을 조제했다.
조제한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유화 안정성 시험을 실시했다.
유화성 및 유화 보존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표 A15 및 표 A16에 나타낸다.
[표 A14]
[표 A15]
[표 A16]
분자량이 150만인 아라비아검을 이용한 D-1~D-4의 결과로부터, 사전 결정량의 식염을 첨가함으로써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유화성 및 유화 보존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이 나타났다.
유화제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데카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고, 또한 염화나트륨을 함유하지 않는 유화 조성물(D-5)은 유화 입자 직경(D50)이 0.13㎛로 작고, 혼탁제로서 적합한 탁함을 나타내지 않았다. D-5의 탁도(0.1%E(720㎚))를 측정한 바, 그 값은 0.095이고, 0.1% 수용액은 투명했다.
데카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고, 또한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D-6)은 균질화 처리 후, 유상이 일부 분리되어, 균일한 유화 조성물을 조제할 수 없었다. 해당 유화 조성물의 유화 부분에 대하여 입도 분포를 측정한 바, 유화 입자 직경(D50)은 16.54로 매우 큰 값을 나타냈다.
본 결과로부터, 종래의 기술 상식대로, 통상은 염화나트륨의 첨가는 유화 조성물의 유화를 저해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이 나타났다.
D-1 및 D-2는 다가 알코올로서 프로필렌글리콜을 함유하지 않고, D-3 및 D-4는 프로필렌글리콜을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이다. D-1 및 D-3을 비교하면, 조제 직후의 유화 입자 직경이 0.41㎛(프로필렌글리콜 없음) 및 0.88㎛(프로필렌글리콜 있음)이고, 프로필렌글리콜을 첨가함으로써 유화성이 저하하는 것이 나타났다. 또한, 유화 보존 안정성(1.3㎛↑)이 1%(프로필렌글리콜 없음) 및 15%(프로필렌글리콜 있음)이고, 프로필렌글리콜을 첨가함으로써 유화 보존 안정성도 저하하는 것이 나타났다.
한편, 프로필렌글리콜 첨가구에 다시 염화나트륨을 이용함으로써 해당 유화성 및 유화 보존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이 나타났다(D-4).
시험예 E[유지 함량]
(유화 조성물의 조제)
표 A17의 처방에 따라, 유화 조성물을 조제했다.
조제한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유화 안정성 시험(유화 물리 안정성 시험)을 실시했다.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표 A17]
도 6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분자량이 150×104인 아라비아검 및 사전 결정량의 염화나트륨을 함유함으로써 유화 물리 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유화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는 것이 나타났다.
시험예 F[염의 종류]
(유화 조성물의 조제)
표 A18의 처방에 따라, 유화 조성물을 조제했다.
조제한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유화 안정성 시험을 실시했다.
유화성 및 유화 보존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표 A19 및 표 A20에, 또한 유화 물리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표 A21 및 도 7에 나타낸다.
F-1 및 F-2의 유화 조성물의 pH는 각각 3.0 및 2.6이었다.
F-1~F-2의 유화 조성물의 탁도(0.1%E(720㎚))는 초기 표본으로부터 60℃에서 7일간 보존을 통하여 0.45~0.49의 범위 내이었다.
[표 A18]
[표 A19]
[표 A20]
[표 A21]
표 A19~표 A21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염화칼륨 및 염화마그네슘을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염을 사전 결정량 첨가함으로써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이 향상되었다.
시험예 G[pH]
(유화 조성물의 조제)
표 A22의 처방에 따라, 유화 조성물을 조제했다.
조제한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유화 안정성 시험을 실시했다.
유화성 및 유화 보존 안정성의 결과를 표 A23 및 표 A24에 나타낸다. 또한, 유화 물리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표 A25 및 도 8에 나타낸다.
[표 A22]
[표 A23]
[표 A24]
[표 A25]
시험예 H[방부 효과]
(유화 조성물의 조제)
표 A26의 처방에 따라, 유화 조성물을 조제했다.
조제한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이하에 따라서 방부 효과를 시험했다. 결과를 도 9에 나타낸다.
[방부 효과 시험]
일본 약국방(미국 약국방 US039(2016)) 보존 효력 시험 제 17 개정(최신판)의 방법에 준하여, 유화 조성물의 방부 효과를 시험했다.
(순서)
시험균을 시료(유화 조성물)에 심고, 25℃에서 보관했다. 초기 표본, 7일, 14일 및 28일 경과 후의 균수를 측정한다.
(시험균)
대장균: Escherichia coli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황색 포도 구균: Staphyloccous aures
효모: Candida albicans
흑누룩곰팡이: Aspergillus brasiliensis
[표 A26]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H-1의 유화 조성물은 일본 약국방에 준한 방부 효과 시험에 있어서, 균수의 대폭적인 감소가 확인되어, 방부 효과에 매우 우수한 것이 판명되었다.
본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면, 안식향산 나트륨 등의 보존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방부 효과가 우수한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양태 B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재료
비수식 아라비아검: 분자량이 다른 아라비아검(분자량 0.80백만, 1.10백만, 1.50백만 및 4.00백만)을 준비했다. 해당 분자량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GPC-MALLS법에 의하여 산출된 값이다. 이하, Gum A라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ODO): 카프릴산/카프린산=3/1, 닛신 오일리오사
본 명세서 중, 이하의 약호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데카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DGFE
프로필렌글리콜: PG
염화나트륨: NaCl
측정 불능: ND
유화 안정성 시험
[유화성의 평가]
조제한 유화 조성물(음료 모델)에 대하여 이하의 항목을 평가했다.
- D50㎛ 또는 입자 직경 D50: 메디안 직경
- 1.3㎛↑(또는 1.3μ↑): 입자 직경이 1.3㎛ 이상인 입자 직경의 빈도
- 0.1%E(720㎚): 시료(유화 조성물)의 0.1% 물 희석액의 720㎚에서의 탁도
상기 "D50㎛" 및 "1.3㎛↑"은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유화 조성물의 입도 분포를 측정했다.
<조건>
입도 분포 측정 장치: Microtrac MT3000EX-Ⅱ(마이크로트랙·벨사)
측정 방법: 굴절률 1.81, 측정 범위 0.021~2000㎛, 체적 기준
상기 "0.1%E(720㎚)"는 각 시료(유화 조성물)를 이온 교환수로 0.1% 수용액에 희석하고, 해당 희석액의 720㎚의 탁도를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측정했다.
<조건>
분광 광도계: 분광 광도계 V-660DS, 니혼 분코사
측정 조건: 석영 셀, 10㎜×10㎜, 흡광도(Abs)
[유화 보존 안정성의 평가]
조제한 유화 조성물(음료 모델)을 30mL 유리병에 충전하고, 60℃의 항온조에서 보존하고, 보존 3일 후 및 7일 후의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이하의 항목을 평가했다.
<평가 항목>
- D50㎛ 또는 입자 직경 D50: 메디안 직경
각 표 중의 수치의 단위는 ㎛이다.
- 1.3㎛↑(또는 1.3μ↑): 입자 직경이 1.3㎛ 이상인 입자 직경의 빈도.
각 표 중의 수치는 전체 입자수에 대한 비율이고, 단위는 %이다.
- 0.1%E(720㎚): 시료(유화 조성물)의 0.1% 물 희석액의 720㎚에서의 탁도.
혼탁제로서 적합한 탁도의 기준은 0.2 이상이다.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 이하, 바람직하게는 0.8 이하이다.
[유화 물리 안정성의 평가]
유화 물리 안정성의 지표의 하나로서, 고온 조건 하에서 유화 조성물(음료 모델)을 교반한 경우의 유화 입자의 변화를 평가하는 가속 시험을 실시했다. 모식도를 도 11에 나타낸다.
사용 기구: 200mL 비커(유리제, 직경 65㎜, 높이 90㎜)
교반 날개(직경 5㎜의 금속 막대의 선단부에 직경 32㎜의 3매 날개를 구비한다)
측정 방법: 1) 200mL 비커에 시료(유화 조성물) 200g을 잰다.
2) 시료를 60℃에서 20분간 정치한다.
3) 200mL 비커 저부로부터의 높이 15㎜에 날개를 설치한다.
4) 회전수 1300rpm의 조건에서 교반 날개로 시료를 교반한다.
5) 사전 결정 시간(0분, 3분, 6분)으로 유화 조성물을 샘플링하고,
입도 분포를 이하의 측정 조건으로 측정한다.
<측정 조건>
입도 분포 측정 장치: Microtrac MT3000EX-Ⅱ(마이크로트랙·벨사)
측정 방법: 굴절률 1.81, 측정 범위 0.021~2000㎛, 체적 기준
[유화 안정성의 평가]
각 실시예에서의 유화 안정성의 평가 기준은 이하의 표 B1 및 표 B2와 같다.
"평가(경시 변화)"는 유화 조성물(음료 모델)의 조제 직후(초기 표본)의 "유화 상태(평가점)"와, 평가 시(유화 보존 안정성의 시험 후 또는 유화 물리 안정성의 시험 후)의 상기 유화 조성물의 "유화 상태(평가점)"의 차이(점수차)를 지표로 하여 평가했다.
또한, "평가(경시 변화)"는 초기 표본의 평가점이 3 이상(보통 이상)인 것에 대하여, 좋은 쪽으로부터 표 B2에 따라서 A, B, C 및 D의 4단계로 평가하고, 한편, 초기 표본의 평가점이 3 미만인 것은 원래의 유화 상태가 나쁨으로 평가하고, 경시 변화의 평가를 실시하지 않았다(이것을 해당 표 중, "-"로 나타냈다).
[표 B1]
[표 B2]
유화 조성물(음료 모델)의 제조 방법
유화 조성물(음료 모델)은 각 표에 나타내는 처방에 따라서 제조했다. 처방에 나타내는 소재를 3000rpm으로 5분간 교반하고, 혼합액을 조제했다. 이어서, 해당 혼합액을 고압 호모지나이저(호모지나이저 15MR-8TA, MANTON-GAULIN사)로 균질화 처리하고(조건 350㎏/㎠, 5회), 유화 조성물을 제조했다.
시험예 A[아라비아검 분자량]
(유화 조성물(음료 모델)의 조제)
표 B3의 처방에 따라, 유화 조성물(음료 모델) A-1~A-12를 조제했다.
조제한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유화 안정성 시험을 실시했다.
유화성 및 유화 보존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표 B4 및 표 B5에, 또한 유화 물리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표 B6,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다.
유화 조성물 A-1~A-12의 pH는 2.5~3.5의 범위 내이었다.
[표 B3]
[표 B4]
[표 B5]
[표 B6]
표 B4 및 표 B5로부터, 아라비아검과 특정량의 염화나트륨을 병용한 유화 조성물은 염화나트륨을 함유하지 않는 유화 조성물과 비교하여 유화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유화성에서는 염화나트륨의 첨가에 의해 입자 직경이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또는 유화 보존 안정성에서는 염화나트륨 무첨가구에 비하여 유화 입자의 변동(D50, 1.3㎛↑)이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 유화 안정성은 아라비아검의 분자량이 커짐에 따라 보다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표 B6, 도 12 및 도 13은 유화 물리 안정성의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분자량이 1.10백만, 1.50백만 및 4.00백만의 아라비아검과 특정량의 염화나트륨을 병용한 유화 조성물은 가속 시험 결과 후(3분 후 및 6분 후)의 유화 조성물의 입도 분포에 큰 변화가 없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상기 시료는 유화 물리 안정성이 우수해 있는 것이 나타났다.
시험예 B[식염 함유량의 검토(1)]
(유화 조성물의 조제)
표 B7의 처방에 따라, 유화 조성물 B-1~B-11을 조제했다.
조제한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유화 안정성 시험을 실시했다.
유화성 및 유화 보존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표 B8 및 표 B9에, 또한 유화 물리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표 B10, 도 14에 나타낸다.
유화 조성물 B-1~B-11의 pH는 2.5~3.5의 범위 내이었다.
[표 B7]
[표 B8]
[표 B9]
표 B8 및 표 B9의 결과로부터, 사전 결정량의 염화나트륨을 첨가함으로써 유화 조성물의 유화성 및 유화 보존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이 나타났다.
또한, 염화나트륨 함유량을 12질량%로 변경하는 이외는, 상기 유화 조성물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유화 조성물을 조제했다(시료 B-10). 그러나 해당 유화 조성물은 일부, 염화나트륨의 석출이 확인되었다.
[표 B10]
표 B10 및 도 14는 시료 B-1~B-7 및 B-9의 유화 물리 안정성의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염화나트륨 함유량이 3질량% 이상이면, 유화 물리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시험예 C[식염 함유량의 검토(2)]
(유화 조성물의 조제)
표 B11의 처방에 따라, 유화 조성물 C-1~C-4를 조제했다.
조제한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유화 안정성 시험을 실시했다.
유화성 및 유화 보존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표 B12 및 표 B13에 나타낸다.
유화 조성물 C-1~C-4의 pH는 2.5~3.5의 범위 내이었다.
[표 B11]
[표 B12]
[표 B13]
표 B12 및 표 B13으로부터, 염화나트륨을 첨가함으로써 유화 조성물의 유화성 및 유화 보존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이 나타났다.
시험예 D[아라비아검 이외의 유화제의 검토]
(유화 조성물의 조제)
표 B14의 처방에 따라, 유화 조성물 D-1~D-6을 조제했다.
조제한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유화 안정성 시험을 실시했다.
유화성 및 유화 보존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표 B15 및 표 B16에 나타낸다.
[표 B14]
[표 B15]
[표 B16]
아라비아검을 이용한 D-1~D-4의 결과로부터, 사전 결정량의 식염을 첨가함으로써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유화성 및 유화 보존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이 나타났다.
유화제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데카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고, 또한 염화나트륨을 함유하지 않는 유화 조성물(D-5)은 유화 입자 직경(D50)이 0.13㎛로 작고, 혼탁제의 용도에 있어서 요구되는 성질인 탁함이 불충분했다. D-5의 탁도(0.1%E(720㎚))를 측정한 바, 그 값은 0.095이고, 0.1% 수용액은 투명했다.
데카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고, 또한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D-6)은 균질화 처리 후, 유상이 일부 분리되어, 균일한 유화 조성물을 조제할 수 없었다. 해당 유화 조성물의 유화 부분에 대하여 입도 분포를 측정한 바, 유화 입자 직경(D50)은 16.54㎛로 매우 큰 값을 나타냈다.
본 결과로부터, 종래의 기술 상식대로, 통상은 염화나트륨의 첨가는 유화 조성물의 유화를 저해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이 나타났다.
D-1 및 D-2는 다가 알코올로서 프로필렌글리콜을 함유하지 않고, D-3 및 D-4는 프로필렌글리콜을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이다. D-1 및 D-3을 비교하면, 조제 직후의 유화 입자 직경이 0.41㎛(프로필렌글리콜 없음) 및 0.88㎛(프로필렌글리콜 있음)이고, 프로필렌글리콜을 첨가함으로써 유화성이 저하하는 것이 나타났다. 또한, 유화 보존 안정성(1.3㎛↑)이 1%(프로필렌글리콜 없음) 및 15%(프로필렌글리콜 있음)이고, 프로필렌글리콜을 첨가함으로써 유화 보존 안정성도 저하하는 것이 나타났다.
한편, 프로필렌글리콜 첨가구에 다시 염화나트륨을 이용함으로써 해당 유화성 및 유화 보존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이 나타났다(D-4).
시험예 E[유지 함유량의 검토]
(유화 조성물의 조제)
표 B17의 처방에 따라, 유화 조성물 E-1을 조제했다.
조제한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유화 안정성 시험(유화 물리 안정성 시험)을 실시했다. 결과를 도 15에 나타낸다.
[표 B17]
도 15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분자량이 1.50백만인 아라비아검 및 사전 결정량의 염화나트륨을 함유함으로써 유화 물리 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유화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는 것이 나타났다.
시험예 F[염의 종류의 검토]
(유화 조성물의 조제)
표 B18의 처방에 따라, 유화 조성물 F-1~F-4를 조제했다.
조제한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유화 안정성 시험을 실시했다.
유화성 및 유화 보존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표 B19 및 표 B20에, 또한 유화 물리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표 B21 및 도 16에 나타낸다.
F-1~F-4의 유화 조성물의 pH는 3.3, 3.0, 2.6 및 2.5이었다.
F-1~F-4의 유화 조성물의 탁도(0.1%E(720㎚))는 0.45~0.52의 범위 내이었다.
[표 B18]
[표 B19]
[표 B20]
[표 B21]
표 B19~표 B21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염화칼륨 및 염화마그네슘을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염을 첨가함으로써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표 B21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염화칼슘을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이 향상되었다.
시험예 G[pH의 검토]
(유화 조성물의 조제)
표 B22의 처방에 따라, 유화 조성물 G-1~G-3을 조제했다.
조제한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유화 안정성 시험을 실시했다.
유화성 및 유화 보존 안정성의 결과를 표 B23 및 표 B24에 나타낸다. 또한, 유화 물리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표 B25 및 도 17에 나타낸다.
[표 B22]
[표 B23]
[표 B24]
[표 B25]
시험예 H[방부 효과 시험]
(유화 조성물의 조제)
표 B26의 처방에 따라, 유화 조성물 H-1을 조제했다.
조제한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이하에 따라서 방부 효과를 시험했다. 결과를 도 18에 나타낸다.
[방부 효과 시험]
일본 약국방(미국 약국방 US039(2016)) 보존 효력 시험 제 17 개정(최신판)의 방법에 준하여 유화 조성물의 방부 효과를 시험했다.
(순서)
시험균을 시료(유화 조성물)에 심고, 25℃에서 보관했다. 초기 표본, 7일, 14일 및 28일 경과 후의 균수를 측정한다.
(시험균)
대장균: Escherichia coli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황색 포도 구균: Staphyloccous aures
효모: Candida albicans
흑누룩곰팡이: Aspergillus brasiliensis
[표 B26]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화 조성물 H-1은 일본 약국방에 준한 방부 효과 시험에 있어서, 균수의 대폭적인 감소가 확인되어, 방부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이 판명되었다.
본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면, 안식향산 나트륨 등의 보존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방부 효과가 우수한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시험예 I[유지 함량의 검토]
(유화 조성물의 조제)
표 I1의 처방에 따라, 유화 조성물 I-1~I-10을 조제했다.
조제한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유화 안정성 시험을 실시했다.
유화성 및 유화 보존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표 I2 및 표 I3에, 또한 유화 물리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도 19에 나타낸다.
유화 조성물 I-1~I-10의 pH는 2.5~3.5의 범위 내이었다.
[표 I1]
[표 I2]
[표 I3]
표 I2 및 I3 및 도 19로부터, 여러 가지 유지 함량에 있어서, 염화나트륨을 첨가함으로써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이 나타났다.
시료 No. I-7~I-10은 통상은 유화 입자의 메디안 직경의 감소가 곤란한, 유지 함량이 많은 계이다. 그러나 표 I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염화나트륨을 함유함으로써 유화 입자의 메디안 직경이 대폭으로 감소했다. 또한, 도 19로부터, 염화나트륨을 첨가함으로써 유화 물리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이 나타났다.
시험예 J[염의 검토]
(유화 조성물의 조제)
표 J1의 처방에 따라, 유화 조성물 J-1~J-5를 조제했다.
염의 함유량은 양이온 농도가 0.5㏖/㎏으로 되도록 첨가했다.
조제한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유화 안정성 시험을 실시했다.
유화 물리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도 20에 나타낸다.
[표 J1]
[표 J2]
도 20으로부터, 유기산염을 첨가함으로써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이 나타났다.
시험예 K[탈염 아라비아검]
(탈염 아라비아검의 조제)
35질량% 아라비아검 수용액 200g에 이온 교환 수지(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다이아 이온 SK-1B"미츠비시 화학제) 100mL을 첨가 및 60분간 진탕했다. 진탕 후의 혼합액을 100메시의 여과지에 통액(通液)하여 이온 교환 수지를 제거하고, 탈염 아라비아검 수용액을 조제했다.
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처리 전후의 이온 농도의 분석 결과(ICP 분석 결과)를 표 K1에 나타낸다.
[표 K1]
표 K1으로부터, 아라비아검이 탈염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화 조성물의 조제)
표 K2의 처방에 따라, 유화 조성물 K-1~K-4를 조제했다.
[표 K2]
조제한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유화 안정성 시험을 실시했다.
유화 조성물 K-1 및 K-2에 대해서는, 유화성 및 유화 보존 안정성 시험을, 유화 조성물 K-3 및 K-4에 대해서는, 유화 물리 안정성 시험을 실시했다. 각각의 결과를 표 K3 및 도 21에 나타낸다.
유화 조성물 K-1~K-4의 pH는 2~3의 범위 내이었다.
[표 K3]
표 K3 및 도 21로부터, 탈염 아라비아검을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염화나트륨을 첨가함으로써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이 나타났다.
시험예 L[아라비아검 함량의 검토(1)]
(유화 조성물의 조제)
표 L1의 처방에 따라, 유화 조성물 L-1~L-6을 조제했다.
[표 L1]
조제한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유화 안정성 시험을 실시했다.
유화성 및 유화 보존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표 L2 및 표 L3에, 또한 유화 물리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도 22에 나타낸다.
유화 조성물 L-1~L-6의 pH는 2.5~3.5의 범위 내이었다.
[표 L2]
[표 L3]
표 L2 및 L3 및 도 22로부터, 여러 가지 아라비아검 함량에 있어서도, 염화나트륨을 첨가함으로써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이 나타났다.
시험예 M[아라비아검 함량(2)]
(유화 조성물의 조제)
표 M1의 처방에 따라, 유화 조성물 M-1~M-2를 조제했다.
[표 M1]
조제한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유화 안정성 시험을 실시했다.
유화 물리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도 23에 나타낸다.
도 23으로부터, 염화나트륨을 첨가함으로써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이 나타났다.
시험예 N[다가 알코올 함량(1)]
(유화 조성물의 조제)
표 N1의 처방에 따라, 유화 조성물 N-1~N-3을 조제했다.
[표 N1]
조제한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유화 안정성 시험을 실시했다.
유화성 및 유화 보존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표 N2 및 표 N3에, 또한 유화 물리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도 24에 나타낸다.
유화 조성물 N-1~N-3의 pH는 2.5~3.5의 범위 내이었다.
[표 N2]
[표 N3]
표 N2 및 N3 및 도 24로부터, 여러 가지 글리세린 함량에 있어서, 염화나트륨을 첨가함으로써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유화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는 것이 나타났다.
시험예 O[다가 알코올 함량(2)]
(유화 조성물의 조제)
표 O1의 처방에 따라, 유화 조성물 O-1~O-6을 조제했다.
이온 교환수에, 처방에 나타내는 소재(1)를 3000rpm으로 5분간 교반하고, 혼합액을 조제했다. 이어서, 해당 혼합액을 고압 호모지나이저(호모지나이저 15MR-8TA, MANTON-GAULIN사)로 균질화 처리했다(조건 350㎏/㎠, 4회). 해당 처리액에 소재(2)를 첨가 및 700rpm으로 1분간 교반하고, 이어서, 상기 고압 호모지나이저로 균질화 처리하고(조건 350㎏/㎠, 1회), 유화 조성물을 조제했다.
[표 O1]
조제한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유화 안정성 시험을 실시했다.
유화성 및 유화 보존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표 O2 및 표 O3에, 또한 유화 물리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도 25에 나타낸다.
유화 조성물 O-1~O-6의 pH는 2.5~3.5의 범위 내이었다.
[표 O2]
[표 O3]
표 O2 및 O3 및 도 25로부터, 여러 가지 다가 알코올에 있어서, 염화나트륨을 첨가함으로써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나타났다.
시험예 P[다가 알코올 함량(3)]
(유화 조성물의 조제)
표 P1의 처방에 따라, 시험예 O와 마찬가지로, 유화 조성물 P-1~P-4를 조제했다.
[표 P1]
조제한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유화 안정성 시험을 실시했다.
유화 물리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도 26에 나타낸다.
유화 조성물 P-1~P-4의 pH는 2.5~3.5의 범위 내이었다.
도 26으로부터, 여러 가지 글리세린 함량에 있어서, 염화나트륨을 첨가함으로써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유화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는 것이 나타났다.
시험예 Q[pH의 검토]
(유화 조성물의 조제)
표 Q1의 처방에 따라, 유화 조성물 Q-1~Q-5를 조제했다.
유화 조성물의 pH가 표 Q2에 나타내는 pH로 되도록 HCl 또는 NaOH를 이용하여 pH를 조정했다.
[표 Q1]
조제한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유화 안정성 시험을 실시했다.
유화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표 Q2 및 표 Q3에 나타낸다.
[표 Q2]
[표 Q3]
표 Q2 및 표 Q3으로부터, 여러 가지 pH에 있어서, 염화나트륨을 첨가함으로써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유화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는 것이 나타났다.
시험예 R[분말화의 검토]
(유화 조성물의 조제)
표 R의 처방에 따라, 유화 조성물 R-1~R-2를 조제했다. 해당 유화 조성물의 pH는 2.5~3.5의 범위 내이었다.
조제한 유화 조성물을 분무 건조기[스프레이 드라이어, APV Nordic Anhydro사]를 이용하여 입구 온도: 160℃, 출구 온도: 85-90℃, 20000rpm의 조건으로 분무 건조하고, 분말상의 유화 조성물을 얻었다.
분말상의 유화 조성물의 최종 처방을 표 R2에 나타낸다.
[표 R1]
[표 R2]
조제한 분말상의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유화 안정성 시험을 실시했다.
(유화 안정성 시험)
분말상 유화 조성물을 이온 교환수로 희석한 수용액을 조제하고, 해당 수용액의 유화 안정성을 시험했다. 결과를 표 R3에 나타낸다.
표 R3 중, "초기 표본"은 조제 직후의 분말상 유화 조성물의 결과를 나타낸다.
"분말(플라스틱 백)"은 분말상 유화 조성물을 폴리에틸렌 백("제품명"유니팩 E-8"생산 일본사제, 용량 20g")에 충전하고, 60℃에서 7일간 보존 후의 결과를 나타낸다.
"분말(알루미늄 증착)"은 분말상 유화 조성물을 알루미늄/PET라미네이트 필름의 지퍼 부착 백("제품명"라미집 AL-10", 생산 일본사제, 용량 20g")에 충전 및 밀봉하고, 60℃에서 7일간 보존 후의 결과를 나타낸다.
[표 R3]
표 R3으로부터, 염화나트륨을 첨가함으로써 분말상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나타났다.
시험예 S[유상 함유량의 검토]
(유화 조성물의 조제)
표 S1의 처방에 따라, 유화 조성물을 조제했다.
조제한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유화 안정성 시험을 실시했다.
유화성 및 유화 보존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표 S2에, 또한 유화 물리 안정성 시험의 결과를 도 27에 나타낸다.
유화 조성물 S-1~S-2의 pH는 2.5~3.5의 범위 내이었다.
[표 S1]
[표 S2]
표 S2로부터, 유지 함량이 38%로 많은 경우에 있어서도, 염화나트륨을 첨가함으로써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이 나타났다. 또한, 도 27로부터, 염화나트륨을 첨가함으로써 유화 물리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이 나타났다.

Claims (11)

  1. 유화 조성물로서,
    물,
    유성 성분,
    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아라비아검,
    염, 및
    다가 알코올을 함유하고, 또한,
    상기 염의 함유량이 상기 아라비아검 100질량부에 대해 90질량부 이하이고,
    상기 유화 조성물은, 유화 조성물 총 질량에 대하여 1.5~8질량%의 염을 포함하고,
    상기 염이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및 염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무기염이고,
    상기 유화 조성물의 pH가 2~4.5의 범위이며,
    상기 다가 알코올이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상기 유화 조성물은, 유화 조성물 총 질량에 대하여, 5-25질량%의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20-80질량%의 글리세린을 포함하거나, 또는 5-25질량%의 프로필렌글리콜 및 20-80질량%의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유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유화 향료 제제, 유화 색소 제제, 유화 영양 강화제 제제, 유화 기능성 소재 제제, 또는 혼탁제인
    유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수성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음식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품이 음료인
    음식품.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97031975A 2017-03-31 2018-03-30 유화 조성물 Active KR1025810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73029 2017-03-31
JPJP-P-2017-073029 2017-03-31
JP2017081562 2017-04-17
JPJP-P-2017-081562 2017-04-17
PCT/JP2018/013923 WO2018181998A1 (ja) 2017-03-31 2018-03-30 乳化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700A KR20190134700A (ko) 2019-12-04
KR102581019B1 true KR102581019B1 (ko) 2023-09-22

Family

ID=63676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975A Active KR102581019B1 (ko) 2017-03-31 2018-03-30 유화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647775B2 (ko)
EP (1) EP3603792B1 (ko)
JP (1) JP7077301B2 (ko)
KR (1) KR102581019B1 (ko)
CN (1) CN110709160B (ko)
TW (1) TWI775828B (ko)
WO (1) WO20181819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98418B2 (en) 2018-08-07 2020-06-30 Trustech Technology Corporation Target-following carrier
BR102020009853A2 (pt) * 2020-05-18 2021-11-23 Duas Rodas Industrial Ltda. Turvador para pó para bebidas instantâneas
CN119677412A (zh) * 2022-07-26 2025-03-21 国际香料和香精公司 稳健风味乳液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4288A (ja) * 2005-07-08 2007-01-25 Riken Vitamin Co Ltd チョコレート粉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50045453A1 (en) 2012-03-30 2015-02-12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Emulsified food product composition
JP2016187344A (ja) * 2011-05-27 2016-11-04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高甘味度甘味料の味質改善剤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3961A (en) * 1963-12-30 1967-11-21 Dominion Products Inc Stabilized flavoring concentrates
US4273672A (en) * 1971-08-23 1981-06-16 Champion International Corporation Microencapsulation process
US3891620A (en) 1974-01-04 1975-06-24 Mobil Oil Corp Modified natural gums
US4508744A (en) 1983-06-15 1985-04-02 The Coca Cola Company Beverage clouding agent based on carnauba wax
US4581256A (en) 1984-11-19 1986-04-08 Chemline Industries Electroless plat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JPH0242943A (ja) 1988-08-01 1990-02-13 San Ei Chem Ind Ltd 乳化食品の製造法
DE4332816A1 (de) 1993-09-28 1995-03-30 Gruenau Gmbh Chem Fab Dispergatorkonzentrat
JP3401958B2 (ja) 1994-11-21 2003-04-28 三菱化学株式会社 水中油型乳化物
DE19611135B4 (de) 1996-03-21 2004-03-11 Tetra Werke Dr.Rer.Nat. Ulrich Baensch Gmbh Mitt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iologisch vorteilhaftem bis naturnahem Aquarien- und Gartenteichwasser
JP3600833B2 (ja) 1998-12-02 2004-12-15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変性アラビアガ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AU2002323925C1 (en) 2002-05-01 2010-03-04 San-Ei Gen F.F.I., Inc. Method of modifying gum arabic
ES2347873T3 (es) 2003-04-07 2010-11-24 Phillips Hydrocolloids Research Limited Goma arábiga modificada de acacia senegal.
CA2521692A1 (en) 2003-04-09 2004-10-21 Phillips Hydrocolloids Research Limited Modified acacia and use thereof
CA2538298A1 (en) 2003-09-10 2005-03-24 San-Ei Gen F.F.I., Inc. Process for producing modified gum arabic
US20050096464A1 (en) 2003-10-30 2005-05-05 Heikki Heikkila Separation process
EP1734056A4 (en) 2004-03-25 2008-09-17 San Ei Gen Ffi Inc PROCESS FOR MODIFYING RUBBER ARABICUM, THEN MODIFIED RUBBER ARABICUM AND USE THEREOF
JP4395016B2 (ja) 2004-06-29 2010-01-06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ゲル状吸水用組成物
JP4294606B2 (ja) 2005-03-16 2009-07-15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乳化香料組成物
WO2006126472A1 (ja) 2005-05-23 2006-11-30 San-Ei Gen F.F.I., Inc. 酸性水中油滴型エマルジョン及びその食品への応用
JP2007049908A (ja) 2005-08-15 2007-03-01 Ina Food Ind Co Ltd 消化吸収抑制剤及び食品のgi値低減剤、並びにこれらが含まれた食品
JP2007151480A (ja) 2005-12-07 2007-06-21 Sanei Gen Ffi Inc 油中水型乳化食品の食感改良法
JP4651574B2 (ja) 2006-04-27 2011-03-16 小川香料株式会社 乳化組成物
JP5459939B2 (ja) 2006-06-09 2014-04-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ロチノイド含有エマルジョン組成物、その製造方法、それを含む食品及び化粧品
JP5128801B2 (ja) 2006-10-16 2013-01-23 フロイント産業株式会社 高水分散性粉末とその製造方法
US8435581B2 (en) 2006-11-29 2013-05-07 Pepsico, Inc. Food and beverage emulsifiers
JP4682177B2 (ja) 2006-12-06 2011-05-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用マイクロカプセル、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WO2009001786A1 (ja) 2007-06-22 2008-12-31 Kaneka Corporation 生理活性物質含有組成物
GB0714775D0 (en) 2007-07-30 2007-09-12 Phillips Hydrocolloids Res Ct Gum
DE102007063133A1 (de) 2007-12-24 2009-06-25 Sasol Germany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achs in Wasser Dispersionen aus selbstemulgierenden Gelkonzentraten
US8680161B2 (en) 2008-06-03 2014-03-25 Dsm Ip Assets B.V. Compositions of fat-soluble active ingredients containing gum ghatti
WO2011143566A1 (en) 2010-05-14 2011-11-17 Archer Daniels Midland Company Food compositions comprising organogels
JP5192356B2 (ja) * 2008-12-01 2013-05-08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飲料用乳化組成物
WO2010082570A1 (ja) 2009-01-13 2010-07-22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改質シュガービートペクチン及びその応用
JP2011041512A (ja) 2009-08-21 2011-03-03 Sanei Gen Ffi Inc 改質アラビアガムを含有する乳化組成物
EA026128B1 (ru) 2010-04-09 2017-03-31 ДСМ АйПи АССЕТС Б.В. Термически стабильная эмульсия "масло в воде", содержащая масло, которое содержит полиненасыщенные жирные кислоты,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KR102049488B1 (ko) 2010-06-08 2019-11-28 산에이겐 에후.에후. 아이. 가부시키가이샤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용기로의 부착 방지 방법
CN102958372B (zh) 2010-07-09 2015-02-25 长谷川香料株式会社 乳化组合物、其制造方法和含有该乳化组合物的饮食品
FR2983722B1 (fr) 2011-12-08 2014-06-27 Seppic Sa Nouvelles emulsions huile-dans-eau riches en sels, stabilisees avec des gommes naturelles, a viscosite elevee et stables au cours du temps.
ES2662443T3 (es) 2011-12-09 2018-04-06 San-Ei Gen F.F.I., Inc. Composición de emulsión y composición que contiene la misma
EP2832437A4 (en) 2012-03-28 2015-11-18 Ajinomoto Kk EMULSIFIED DISPERSIBLE AND EMULSIFIED COMPOSITION
WO2014051116A1 (ja) * 2012-09-28 2014-04-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リコピン含有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DK2721933T3 (da) 2012-10-16 2017-11-20 DÖHLER GmbH Emulsion
JP6185713B2 (ja) 2012-11-29 2017-08-23 一 八田 高乳化性卵白加水分解物
JP5576539B1 (ja) 2013-07-29 2014-08-20 高田香料株式会社 乳化組成物
CN104961840A (zh) * 2015-07-21 2015-10-07 南昌大学 一种化学改性阿拉伯胶制备方法及其应用
WO2017017248A1 (en) 2015-07-30 2017-02-02 DÖHLER GmbH Gum arabic from acacia sey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4288A (ja) * 2005-07-08 2007-01-25 Riken Vitamin Co Ltd チョコレート粉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187344A (ja) * 2011-05-27 2016-11-04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高甘味度甘味料の味質改善剤
US20150045453A1 (en) 2012-03-30 2015-02-12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Emulsified food product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03792A4 (en) 2020-12-30
CN110709160A (zh) 2020-01-17
JPWO2018181998A1 (ja) 2020-03-12
CN110709160B (zh) 2022-12-27
JP7077301B2 (ja) 2022-05-30
US20200037648A1 (en) 2020-02-06
TWI775828B (zh) 2022-09-01
EP3603792A1 (en) 2020-02-05
KR20190134700A (ko) 2019-12-04
WO2018181998A1 (ja) 2018-10-04
EP3603792B1 (en) 2024-10-23
US11647775B2 (en) 2023-05-16
TW201900033A (zh) 2019-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8045B2 (ja) 乳化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US11136417B2 (en) Low molecular gum ghatti
KR102581019B1 (ko) 유화 조성물
JP7153639B2 (ja) 乳化組成物
WO2006030850A1 (ja) 脂溶性成分の可溶化物の調製方法
JP7335812B2 (ja) 乳化組成物
WO2021230353A1 (ja) パプリカ乳化色素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7359755B2 (ja) 乳化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0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9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9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