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535556B1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556B1
KR102535556B1 KR1020207024358A KR20207024358A KR102535556B1 KR 102535556 B1 KR102535556 B1 KR 102535556B1 KR 1020207024358 A KR1020207024358 A KR 1020207024358A KR 20207024358 A KR20207024358 A KR 20207024358A KR 102535556 B1 KR102535556 B1 KR 102535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absorbent article
width direction
elastic member
absorbent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2932A (ko
Inventor
사토루 사카구치
야스히로 야마나카
마이카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12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61F13/53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61F2013/49025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having multiple elastic strands
    • A61F2013/49026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having multiple elastic strands with variable spac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61F2013/49025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having multiple elastic strands
    • A61F2013/49028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having multiple elastic strands with different tensile str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장착 시에 끌어올리기 쉽고, 또한 체액의 흡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흡수성 물품(10)은, 흡수 코어(31)와, 흡수 코어보다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플랩(15)을 구비한다. 흡수 코어는, 흡수 코어의 전후 방향의 전체 길이를 3등분한 영역, 가랑이 영역 및 후측 영역을 갖는다. 가랑이 영역에 있어서의 사이드 플랩의 폭 방향의 길이는 30 ㎜ 이상이다. 가랑이 영역(R13)은, 중앙 영역(R13C)과, 중앙 영역보다 폭 방향의 양 외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영역(R13S)을 갖는다. 중앙 영역의 양측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저평량부(33)가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중앙 영역의 전후 방향의 수축력은, 사이드 영역의 전후 방향의 수축력보다 높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 등의 테이프형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은, 흡수 코어와, 흡수 코어보다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플랩을 갖는 테이프형의 흡수성 물품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흡수성 물품을 장착할 때에는, 먼저, 흡수성 물품을 전개한 상태에서 흡수성 물품의 뒤 몸통 둘레 영역에 착용자의 둔부를 올려 놓는다. 그리고, 착용자의 양다리 사이에 흡수성 물품을 통과시켜, 착용자의 복부를 덮을 수 있도록 흡수성 물품을 끌어올린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7-63848호 공보
이와 같이 구성된 흡수성 물품은, 흡수 코어보다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된 사이드 플랩을 갖는다. 사이드 플랩은, 장착 시에 착용자의 다리에 닿기 쉽다. 장착 시에 사이드 플랩이 다리에 닿음으로써, 흡수성 물품을 복부로 끌어올리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장착 시의 끌어올리기 쉬움을 확보하기 위해서, 흡수 코어의 폭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흡수 코어의 폭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하면, 체액의 흡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장착 시에 끌어올리기 쉽고, 또한 체액의 흡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이 요망된다.
일 양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흡수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와, 상기 흡수 코어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플랩과, 상기 사이드 플랩에 형성된 패스닝 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전후 방향의 전체 길이를 3등분한 전측 영역, 가랑이 영역 및 후측 영역을 가지며, 상기 가랑이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사이드 플랩의 상기 폭 방향의 길이는 30 ㎜ 이상인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가랑이 영역은,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보다 상기 폭 방향의 양 외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영역을 갖고, 상기 중앙 영역의 양측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주위보다 상기 흡수 재료의 평량이 낮은 저평량부가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 영역의 상기 전후 방향의 수축력은, 상기 사이드 영역의 상기 전후 방향의 수축력보다 높다.
다른 양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흡수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와, 상기 흡수 코어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플랩과, 상기 사이드 플랩에 형성된 패스닝 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전후 방향의 전체 길이를 3등분한 전측 영역, 가랑이 영역 및 후측 영역을 가지며, 상기 가랑이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사이드 플랩의 상기 폭 방향의 길이는 30 ㎜ 이상인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가랑이 영역은,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영역을 갖고, 상기 중앙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주위보다 상기 흡수 재료의 평량이 낮은 한 쌍의 저평량부가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 영역에는, 상기 중앙 영역이 상기 사이드 영역보다 착용자측으로 돌출한 볼록 형상으로 상기 가랑이 영역의 상기 흡수 코어가 변형하도록, 상기 전후 방향으로 신축하는 중앙 탄성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모식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흡수성 물품의 A-A 단면을 따른 모식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흡수성 물품의 B-B 단면을 따른 모식 단면도이다.
도 4는 흡수성 물품의 A-A 단면에 있어서의 장착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흡수성 물품의 B-B 단면에 있어서의 장착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장착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실시형태의 개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백해진다.
일 양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흡수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와, 상기 흡수 코어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플랩과, 상기 사이드 플랩에 형성된 패스닝 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전후 방향의 전체 길이를 3등분한 전측 영역, 가랑이 영역 및 후측 영역을 가지며, 상기 가랑이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사이드 플랩의 상기 폭 방향의 길이는 30 ㎜ 이상인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가랑이 영역은,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보다 상기 폭 방향의 양 외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영역을 갖고, 상기 중앙 영역의 양측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주위보다 상기 흡수 재료의 평량이 낮은 저평량부가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 영역의 상기 전후 방향의 수축력은, 상기 사이드 영역의 상기 전후 방향의 수축력보다 높다.
본 양태에 의하면, 장착 시에 가랑이 영역을 착용자측에 근접시키도록 흡수성 물품을 끌어올리면, 가랑이 영역은, 중앙 영역이 사이드 영역보다 신체측으로 돌출한 볼록 형상으로 변형한다. 가랑이 영역의 흡수 코어가 볼록 형상으로 변형함으로써, 장착 시에 흡수 코어 전체의 폭 방향의 길이가 짧아진다. 장착 시에 사이드 플랩이 착용자의 다리에 닿기 어려워져, 흡수성 물품이 끌어올려지기 쉬워진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의 장착성(입히기 쉬움)이 향상된다. 또한, 가랑이 영역의 흡수 코어가 볼록 형상으로 변형함으로써 장착 시의 끌어올리기 쉬움을 실현하기 때문에, 가랑이 영역 전체의 폭 방향의 길이를 확보할 수 있고, 체액의 흡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중앙 영역에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신축하는 중앙 탄성 부재가 형성되어도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중앙 탄성 부재의 수축에 의해, 가랑이 영역의 흡수 코어는, 중앙 영역이 사이드 영역보다 착용자측으로 돌출한 볼록 형상으로 보다 변형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장착 시에 사이드 플랩이 착용자의 다리에 닿기 어려워져, 흡수성 물품이 보다 끌어올려지기 쉬워진다.
다른 양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흡수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와, 상기 흡수 코어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플랩과, 상기 사이드 플랩에 형성된 패스닝 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 코어는,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전후 방향의 전체 길이를 3등분한 전측 영역, 가랑이 영역 및 후측 영역을 가지며, 상기 가랑이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사이드 플랩의 상기 폭 방향의 길이는 30 ㎜ 이상인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가랑이 영역은,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영역을 갖고, 상기 중앙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주위보다 상기 흡수 재료의 평량이 낮은 한 쌍의 저평량부가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 영역에는, 상기 중앙 영역이 상기 사이드 영역보다 착용자측으로 돌출한 볼록 형상으로 상기 가랑이 영역의 상기 흡수 코어가 변형하도록, 상기 전후 방향으로 신축하는 중앙 탄성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본 양태에 의하면, 장착 시에 가랑이 영역을 착용자측에 근접시키도록 흡수성 물품을 끌어올리면, 가랑이 영역의 흡수 코어는, 중앙 영역이 사이드 영역보다 신체측으로 돌출한 볼록 형상으로 변형한다. 가랑이 영역의 흡수 코어가 볼록 형상으로 변형함으로써, 장착 시에 흡수 코어 전체의 폭 방향의 길이가 짧아진다. 장착 시에 사이드 플랩이 착용자의 다리에 닿기 어려워져, 흡수성 물품이 끌어올려지기 쉬워진다. 또한, 가랑이 영역의 흡수 코어가 볼록 형상으로 변형함으로써 장착 시의 끌어올리기 쉬움을 실현하기 때문에, 가랑이 영역 전체의 폭 방향의 길이를 확보할 수 있고, 체액의 흡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중앙 탄성 부재는,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중앙 영역의 중심과 상기 중앙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와의 중심보다 외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중앙 탄성 부재가, 폭 방향에 있어서, 중앙 영역의 중심과 중앙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와의 중심보다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중앙 탄성 부재에 의한 수축력이 저평량부에 작용하기 쉽다. 저평량부는, 평량의 차이에 의한 강성차 및 중앙 탄성 부재의 수축력의 양방에 의해 신체측으로 끌어올려지기 쉬워진다. 따라서, 가랑이 영역의 흡수 코어가 볼록 형상으로 변형하여, 장착 시의 끌어올리기 쉬움을 실현하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중앙 탄성 부재는, 상기 저평량부에 겹쳐 배치되어도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중앙 탄성 부재에 의한 수축력이 저평량부에 보다 작용하기 쉽다. 평량의 차이에 의한 강성차 및 중앙 탄성 부재의 수축력의 양방에 의해 저평량부가 신체측으로 끌어올려지기 쉬워지고, 가랑이 영역의 흡수 코어가 볼록 형상으로 변형하여, 장착 시의 끌어올리기 쉬움을 실현하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중앙 탄성 부재는, 상기 중앙 영역의 상기 폭 방향의 중심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으로 떨어져 한 쌍으로 배치되어도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저평량부 사이에는, 중앙 탄성 부재와 겹치지 않는 영역이 형성된다. 중앙 탄성 부재와 겹치지 않는 영역은, 중앙 탄성 부재가 배치된 영역 및 저평량부가 형성된 영역보다 착용 시에 신체로부터 떨어져 배치되기 쉽다. 저평량부 사이와 신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체액을 확보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체액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중앙 탄성 부재는, 상기 흡수 코어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중앙 탄성 부재가 흡수 코어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중앙 탄성 부재에 의해 흡수 코어를 착용자측으로 밀어올리기 쉽다. 따라서, 중앙 탄성 부재에 의해 흡수 코어를 신체측에 근접시켜, 중앙 영역이 사이드 영역보다 착용자측으로 돌출한 볼록 형상으로 가랑이 영역의 흡수 코어가 보다 변형하기 쉬워진다. 체액의 흡수 면적을 확보하면서, 장착 시에 끌어올리기 쉬워지는 효과를 보다 얻기 쉽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중앙 탄성 부재는, 사이드 영역의 상기 흡수 코어에 겹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도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사이드 영역의 흡수 코어에 중앙 탄성 부재가 겹쳐 있지 않기 때문에, 중앙 영역이 사이드 영역과 비교하여 보다 신체측으로 끌어올려지기 쉽다. 중앙 영역이 신체측으로 돌출한 볼록 형상으로 보다 변형하기 쉽다. 체액의 흡수 면적을 확보하면서, 장착 시에 끌어올리기 쉬워지는 효과를 보다 얻기 쉽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중앙 탄성 부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을 상기 전후 방향으로 둘로 접은 접음선을 걸쳐 배치되고, 상기 중앙 탄성 부재의 상기 전후 방향의 중심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전후 방향의 중심보다 후방에 위치해도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접음선을 걸쳐 중앙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접힘 자국을 신체에 근접시킬 수 있다. 또한, 중앙 탄성 부재가 흡수성 물품의 뒤쪽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의 중심보다 후측을 보다 수축시킬 수 있다. 장착 시에 신체를 올려 놓는 영역과 중앙 탄성 부재에 의해 수축하는 영역을 근접시킬 수 있고, 장착 시에 신체로부터 연장된 영역을 신체를 따르게 하기 쉽다. 흡수 코어를 신체를 따르게 하여 배치하고, 장착 시에 다리에 흡수 코어가 걸리는 것을 억제하여, 끌어올리기 쉬워진다. 또한, 흡수 코어를 신체를 따르게 하여 배치함으로써, 체액의 흡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중앙 탄성 부재의 후단 가장자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전후 방향의 전체 길이에 대한 1/3까지의 영역보다 전측에 위치해도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흡수성 물품의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의 전체 길이에 대한 1/3까지의 영역은, 장착 시에 착용자의 신체를 올려 놓는 영역이 되기 쉽다. 장착 시에 신체를 올려 놓는 영역에 중앙 탄성 부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평활한 상태인 흡수 코어에 신체를 올려 놓고, 흡수 코어를 신체를 따라 배치하기 쉽다. 흡수 코어가 신체를 따라 배치됨으로써, 체액의 흡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중앙 탄성 부재의 후단 가장자리는, 상기 저평량부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전측에 위치해도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저평량부보다 후측의 영역은, 중앙 탄성 부재에 의한 수축력이 작용하기 어렵고, 평활한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저평량부보다 후측의 영역은, 장착 시에 신체를 올려 놓는 흡수성 물품의 후단부는, 평활한 상태로 신체를 따르기 쉽다. 흡수 코어가 신체를 따라 배치됨으로써, 체액의 흡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저평량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폭 방향의 최대 길이에 대한 1/2 이하여도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저평량부 사이는, 착용 시에 신체에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저평량부 사이의 거리가 흡수 코어의 최대 길이에 대한 1/2 이하임으로써, 착용자의 다리 사이에 배치되기 쉽고, 흡수 코어의 볼록 형상을 유지하기 쉽다. 따라서, 장착 시에 사이드 플랩이 착용자의 다리에 닿기 어려워져, 흡수성 물품이 보다 끌어올려지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저평량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가랑이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폭 방향의 최소 길이에 대한 1/2 이하여도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저평량부 사이의 거리가, 가랑이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의 최소 길이에 대한 1/2 이하임으로써, 착용자의 다리 사이에 배치되기 쉽고, 흡수 코어의 볼록 형상을 유지하기 쉽다. 따라서, 장착 시에 사이드 플랩이 착용자의 다리에 닿기 어려워져, 흡수성 물품이 보다 끌어올려지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중앙 영역의 상기 폭 방향의 굽힘 강성은, 상기 사이드 영역의 상기 폭 방향의 굽힘 강성보다 높아도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중앙 영역의 폭 방향의 굽힘 강성이 사이드 영역의 폭 방향의 굽힘 강성보다 높기 때문에, 중앙 영역의 수축력이 높은 구성에 있어서도, 중앙 영역을 평활한 상태로 유지하기 쉽다. 따라서, 체액의 흡수 면적을 보다 확보하기 쉽다. 또한, 흡수 코어를 신체를 따르게 하여 배치하기 쉬워지고, 장착 시에 다리에 흡수 코어가 걸리는 것을 억제하여, 끌어올리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중앙 영역에는, 적어도 상기 흡수 코어를 압착한 압착부가 형성되어도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압착부에 의해 중앙 영역의 굽힘 강성이 높아지고, 중앙 영역은, 평활한 상태로 유지되어, 신체를 따르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체액의 흡수 면적을 보다 확보하기 쉽다. 또한, 흡수 코어를 신체를 따르게 하여 배치하기 쉬워지고, 장착 시에 다리에 흡수 코어가 걸리는 것을 억제하여, 끌어올리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압착부는, 상기 저평량부 사이에 배치되어도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저평량부 사이의 영역은, 평활한 상태로 유지되어, 신체를 따르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체액의 흡수 면적을 보다 확보하기 쉽다. 또한, 흡수 코어를 신체를 따르게 하여 배치하기 쉬워지고, 장착 시에 다리에 흡수 코어가 걸리는 것을 억제하여, 끌어올리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중앙 영역에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신축하는 중앙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중앙 탄성 부재는, 상기 압착부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중앙 탄성 부재가 배치된 영역은, 중앙 탄성 부재의 수축에 의해 신체측으로 끌어올리고, 중앙 탄성 부재 사이의 영역은, 압착부에 의해 신체를 따라 배치되기 쉽다. 중앙 탄성 부재 사이가 신체를 따르는 것과 같은 볼록 형상으로 변형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체액의 흡수 면적을 확보하면서, 장착 시에 끌어올리기 쉬워지는 효과를 보다 얻기 쉽다.
(2) 흡수성 물품의 전체 개략 구성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은, 테이프형의 일회용 기저귀이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0)의 모식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모식 평면도는, 신장 상태의 일회용 기저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흡수성 물품의 A-A 단면을 따른 모식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흡수성 물품의 B-B 단면을 따른 모식 단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신장 상태란, 흡수성 물품(10)을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까지 신장시킨 상태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자연 상태란, 패키지에 수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10)에 있어서는, 패키지로부터 흡수성 물품(10)을 꺼내어, 20℃±2℃, 상대 습도 60%±5% RH의 분위기하에 있어서 24시간 방치한 상태이다.
흡수성 물품(10)은, 서로 직교하는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을 갖는다. 전후 방향(L)은, 신체 전측과 신체 후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에 의해 규정된다. 바꿔 말하면, 전후 방향(L)은, 전개된 흡수성 물품(10)에 있어서 전후로 연장되는 방향이다. 또한, 흡수성 물품(10)은, 전후 방향(L)과 폭 방향(W)의 양방에 직교하는 두께 방향(T)을 갖는다. 두께 방향(T)은, 착용자측을 향하는 피부 대향면측(T1)과, 피부 대향면측과 반대측의 피부 비대향면측(T2)으로 연장된다.
흡수성 물품(10)은, 앞 몸통 둘레 영역(S1)과, 뒤 몸통 둘레 영역(S2)과, 중간 영역(S3)을 갖는다. 앞 몸통 둘레 영역(S1)은, 착용자의 앞 몸통 둘레(복부)에 대향하는 영역이다. 뒤 몸통 둘레 영역(S2)은, 착용자의 뒤 몸통 둘레(등부)에 대향하는 영역이고, 장착 시에 신체(둔부)가 올려 놓여지는 영역을 포함한다. 중간 영역(S3)은, 착용자의 가랑이에 위치하고, 앞 몸통 둘레 영역(S1)과 뒤 몸통 둘레 영역(S2) 사이에 배치된 영역이다. 중간 영역(S3)은,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배치되는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된 영역이다. 다리 둘레 개구부는, 흡수성 물품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폭 방향의 내측으로 움푹 들어간 부분이다.
흡수성 물품(10)은, 흡수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31)를 포함한다. 흡수 코어(31)는, 분쇄 펄프 혹은 고흡수성 폴리머(SAP),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의 흡수 재료를 포함한다. 흡수 코어(31)는, 코어 랩(32)에 의해 덮여져도 좋다. 흡수 코어(31)와 코어 랩(32)에 의해 흡수체가 구성되어도 좋다. 코어 랩(32)은, 티슈에 의해 구성되고, 흡수 코어(31)의 피부 대향면측(T1)과 흡수 코어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0)은, 흡수 코어(31)의 전후 방향의 전체 길이를 3등분한 전측 영역(R11), 가랑이 영역(R13) 및 후측 영역(R12)을 갖는다. 전측 영역(R11)의 후측에 가랑이 영역(R13)이 배치되고, 가랑이 영역(R13)의 후측에 후측 영역(R12)이 배치되어 있다. 전측 영역(R11)의 전후 방향(L)의 길이, 가랑이 영역(R13)의 전후 방향(L)의 길이 및 후측 영역(R12)의 전후 방향(L)의 길이는 동일하다.
가랑이 영역(R13)은, 중앙 영역(R13C)과, 중앙 영역(R13C)보다 폭 방향(W)의 양 외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영역(R13S)을 갖는다. 중앙 영역(R13C)은, 흡수 코어(31)의 폭 방향(W)의 중심을 걸쳐 배치되어도 좋다. 사이드 영역(R13S)은, 중앙 영역(R13C)의 폭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중앙 영역(R13C)의 양측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저평량부(33)가 형성되어도 좋다. 저평량부(33)는, 적어도 중앙 영역(R13C)의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중앙 영역(R13C)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폭 방향(W)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저평량부(33)의 외측 가장자리는, 중앙 영역(R13C)의 외측 가장자리를 규정한다. 즉, 저평량부(33)의 외측 가장자리는, 사이드 영역(R13S)과 중앙 영역(R13C)의 경계를 규정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외측부란,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외측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폭 방향(W)으로 일정한 범위를 차지하는 부분이고, 외측 가장자리란,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외측의 가장자리이다. 또한, 내측부란, 폭 방향(W)에 있어서의 내측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폭 방향(W)으로 일정한 범위를 차지하는 부분이고, 내측 가장자리란, 폭 방향(W)에 있어서의 내측의 가장자리이다.
저평량부(33)는, 전후 방향(L)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저평량부(33)는,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으면 되고, 전후 방향(L)에 대해 평행해도 좋으며, 전후 방향(L)에 대해 90도 미만의 각도로 경사져도 좋다. 저평량부(33)는, 주위의 흡수 코어(31)보다 흡수 재료의 평량이 낮은 부분이고, 주위의 흡수 코어(31)보다 두께가 얇고, 또한 강성이 낮다. 따라서, 저평량부(33)는, 장착 상태에서 변형 기점이 되기 쉽다. 흡수 코어(31)에는, 장착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형 기점이 형성되기 쉽다. 저평량부(33)는, 흡수 재료의 평량이 실질적으로 영인 부분이어도 좋고, 주위보다 적은 평량의 흡수 재료가 배치된 부분이어도 좋다. 저평량부(33)는, 폭 방향(W)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슬릿이어도 좋고, 폭 방향(W)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영인 절입이어도 좋다.
저평량부(33)는, 적어도 가랑이 영역(R13)에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가랑이 영역(R13)으로부터 후측 영역(R12)에 걸쳐 있어도 좋으며, 가랑이 영역(R13)으로부터 전측 영역(R11)에 걸쳐 있어도 좋다. 저평량부(33)의 전단 가장자리(33F)는, 가랑이 영역(R13)에 위치하고, 저평량부(33)의 후단 가장자리(33R)는, 후측 영역(R12)에 위치해도 좋다. 각 저평량부(33)의 폭 방향(W)의 길이는, 2 ㎜ 이상 10 ㎜ 이하여도 좋고, 저평량부(33)의 전후 방향(L)의 길이는 30 ㎜ 이상 180 ㎜ 이하여도 좋다.
흡수 코어(31)에는, 압착부(35)가 형성되어도 좋다. 압착부(35)는, 적어도 흡수 코어(31)를 두께 방향(T)으로 압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코어 랩(32) 등의 다른 부재와 흡수 코어(31)가 압착됨으로써 형성되어도 좋다. 압착부(35)는, 적어도 중앙 영역(R13C)에 형성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압착부(35)는, 점형이고,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압착부(35)는, 저평량부(33)보다 전측 또한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저평량부(33)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 코어(31)를 포함하는 흡수체(30)의 피부 대향면측(T1)에는, 표면 시트(21) 및 사이드 시트(22)가 형성되어도 좋다. 표면 시트(21)는, 흡수체(30)의 폭 방향(W)의 중심을 걸쳐 배치되어도 좋다. 사이드 시트(22)는, 표면 시트(21)의 외측부를 덮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표면 시트(21) 및 사이드 시트(22)는, 예컨대 부직포나 개공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투액성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사이드 시트(22)의 내측부는, 되접혀져 겹쳐져도 좋다. 겹쳐진 사이드 시트(22) 사이에는, 전후 방향(L)으로 신축하는 누설 방지 탄성 부재(43)가 형성되어도 좋다. 누설 방지 탄성 부재(43)는, 전후 방향(L)으로 신축하는 실고무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사이드 시트(22)와 누설 방지 탄성 부재(43)는, 착용 시에 피부 대향면측(T1)으로 기립하는 누설 방지 개더를 구성한다.
흡수체(30)의 피부 비대향면측(T2)에는, 이면 시트(23) 및 외장 시트(24)가 형성되어도 좋다. 외장 시트(24)는, 이면 시트(23)의 피부 비대향면측(T2)에 형성되어도 좋다. 이면 시트(23)의 폭 방향(W)의 길이는, 외장 시트(24)의 폭 방향(W)의 길이보다 짧고, 이면 시트(23)의 전후 방향(L)의 길이는, 외장 시트(24)의 전후 방향(L)의 길이보다 짧다. 이면 시트(23)는, 액 불투과성의 필름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외장 시트(24)는, 액 투과성의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이면 시트(23)와 흡수체(30) 사이에는, 인디케이터(51)가 배치되어도 좋다. 인디케이터(51)는,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고, 또한 폭 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인디케이터(51)는, 폭 방향(W)에 있어서 저평량부(3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인디케이터(51)는, 흡수체가 체액을 흡수함으로써 변색되고, 흡수성 물품(10)의 피부 비대향면측(T2)으로부터 체액의 흡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사이드 시트(22)와 이면 시트(23) 사이, 및 사이드 시트(22)와 외장 시트(24) 사이에는,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는 다리 탄성 부재(42)가 형성되어도 좋다. 다리 탄성 부재(42)는, 전후 방향(L)으로 신축하는 띠형의 신축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다리 탄성 부재(42)의 수축에 의해, 착용 시에 흡수성 물품(10)이 다리 둘레에 피트된다.
흡수성 물품(10)은, 흡수 코어(31)보다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플랩(15)을 가져도 좋다. 사이드 플랩(15)은, 흡수 코어(31)보다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사이드 플랩(15)은,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흡수성 물품(10)의 외측 가장자리까지의 사이에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플랩(15)은, 표면 시트(21), 사이드 시트(22), 다리 탄성 부재(42), 이면 시트(23) 및 외장 시트(24)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가랑이 영역(R13)에 있어서의 사이드 플랩(15)의 폭 방향의 길이는 30 ㎜ 이상 100 ㎜ 이하여도 좋다. 가랑이 영역에 있어서 흡수 코어(31)보다 사이드 플랩(15)이 30 ㎜ 이상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 시에 사이드 플랩(15)이 착용자의 다리에 닿기 쉽다. 장착 시에 사이드 플랩(15)이 다리에 닿음으로써, 흡수성 물품을 복부로 끌어올리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사이드 플랩의 폭 방향의 길이는, 가랑이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30 ㎜ 이상이면 된다. 환언하면, 가랑이 영역에 있어서의 사이드 플랩의 길이가 변화하는 형태에 있어서는, 30 ㎜ 이상의 부분과, 30 ㎜ 미만의 부분을 가져도 좋다. 30 ㎜ 이상의 폭 방향의 길이를 갖는 사이드 플랩(15)이 적어도 일부에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장착 시에 사이드 플랩(15)이 다리에 닿기 쉬워진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0)은, 착용 시에 사이드 플랩(15)이 다리에 닿기 어렵게 구성되어 있다. 이 사이드 플랩(15)이 다리에 닿기 어려운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장착 상태의 설명에 있어서 상세히 설명한다.
사이드 플랩(15)의 외측부에는, 패스닝 테이프(91)가 형성되어 있다. 패스닝 테이프(91)는, 뒤 몸통 둘레 영역(S2)에 있어서,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고, 타겟부(92)에 고정됨으로써, 흡수성 물품(10)을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한다. 타겟부(92)는, 앞 몸통 둘레 영역(S1)에 있어서, 패스닝 테이프(91)가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랑이 영역(R13)에 있어서, 중앙 영역(R13C)의 전후 방향(L)의 수축력은, 사이드 영역(R13S)의 전후 방향(L)의 수축력보다 높게 구성되어 있다. 중앙 영역(R13C)은, 사이드 영역(R13S)보다 전후 방향(L)으로 수축하기 쉽다. 중앙 영역(R13C)과 겹치는 영역에 중앙 탄성 부재(41)가 배치됨으로써, 중앙 영역(R13C)의 전후 방향(L)의 수축력이 사이드 영역(R13S)의 전후 방향(L)의 수축력보다 높게 구성되어도 좋다. 중앙 탄성 부재(41)의 수축에 의해 중앙 영역(R13C)이 사이드 영역(R13S)보다 수축하기 쉬워진다. 중앙 탄성 부재(41)는, 장착 시에 가랑이 영역(R13)의 흡수 코어(31)가, 중앙 영역(R13C)이 사이드 영역(R13S)보다 착용자측으로 돌출한 볼록 형상으로 변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축력은, 흡수성 물품(10)의 제품 상태에 있어서의 수축력이고, 전후 방향(L)으로 신축하는 신축성 부재(본 실시형태의 중앙 탄성 부재(41))의 유효 길이 및 자연 상태에서의 수축에 의해 사이드 영역(R13S)과 중앙 영역(R13C)의 수축력을 비교할 수 있다. 자연 상태의 수축 양태가 큰 영역은, 수축력이 높은 영역이 된다.
한편, 중앙 탄성 부재(41)는, 실고무 등의 신축성 부재가 전후 방향(L)으로 신축 가능한 상태로 배치된 부분이고, 전후 방향(L)으로 신축하지 않는 상태로 신축성 부재가 배치된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즉, 중앙 탄성 부재(41)는, 중앙 탄성 부재(41)를 구성하는 신축성 부재의 유효 길이 부분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겹쳐 있는 상태란, 평면에서 보아 한쪽의 부재와 다른쪽의 부재가 겹쳐 있는 상태이고, 한쪽의 부재의 피부 대향면측 또는 피부 비대향면측에 다른쪽의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이다. 겹쳐 있는 상태에서는, 한쪽의 부재와 다른쪽의 부재가 서로 접하고 있는 상태뿐만이 아니라, 한쪽의 부재와 다른쪽의 부재 사이에 다른 부재가 개재되어 있는 구성도 포함한다.
계속해서, 도 4 내지 도 6에 기초하여, 흡수성 물품(10)의 장착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흡수성 물품의 A-A 단면에 있어서의 장착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흡수성 물품의 B-B 단면에 있어서의 장착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누운 상태의 착용자를 정면측에서 시인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라인(BL)은, 착용자의 신체의 라인을 도시하고 있다.
테이프형의 흡수성 물품(10)을 장착할 때에는, 먼저, 흡수성 물품(10)을 전개한 상태에서 흡수성 물품(10)의 뒤 몸통 둘레 영역(S2)에 착용자의 둔부를 올려 놓는다. 그리고, 착용자의 양다리 사이에 흡수성 물품(10)을 통과시켜, 앞 몸통 둘레 영역(S1)에 의해 착용자의 복부를 덮을 수 있도록 흡수성 물품(10)을 끌어올린다. 흡수성 물품(10)을 착용자측으로 끌어올리면, 가랑이 영역(R13)은, 착용자의 가랑이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장착 시에, 가랑이 영역(R13)을 착용자측에 근접시키도록 흡수성 물품(10)을 끌어올리면, 저평량부(33)의 강성이 주위보다 낮기 때문에, 가랑이 영역(R13)의 흡수 코어(31)가 저평량부(33)를 기점으로 변형한다. 저평량부(33)는,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고, 중앙 영역(R13C)과 사이드 영역(R13S) 사이에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는 변형 기점이 형성된다. 이때, 중앙 영역(R13C)의 전후 방향(L)의 수축력이 사이드 영역(R13S)의 수축력보다 높기 때문에, 중앙 영역(R13C)이 사이드 영역(R13S)보다 전후 방향(L)으로 수축하여, 신체측으로 끌어올려진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랑이 영역(R13)의 흡수 코어(31)는, 중앙 영역(R13C)이 사이드 영역(R13S)보다 신체측으로 돌출한 볼록 형상으로 변형한다.
가랑이 영역(R13)의 흡수 코어(31)가 볼록 형상으로 변형함으로써, 장착 시에 흡수 코어(31) 전체의 폭 방향(W)의 길이가 짧아진다. 장착 시에 사이드 플랩(15)이 착용자의 다리에 닿기 어려워져, 흡수성 물품(10)이 끌어올려지기 쉬워진다. 또한, 가랑이 영역(R13)의 흡수 코어(31)가 볼록 형상으로 변형함으로써 장착 시의 끌어올리기 쉬움을 실현하기 때문에, 가랑이 영역(R13) 전체의 폭 방향(W)의 길이를 확보할 수 있고, 체액의 흡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저평량부(33)가 폭 방향(W)으로 이격되어 있음으로써, 저평량부(33) 사이의 영역이 착용자의 배설구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상기 영역이 배설구에 대향하여 배치됨으로써, 체액의 흡수성이 향상되고,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보다 적합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상태의 흡수성 물품(10)을 피부 비대향면측(T2)에서 시인하면, 흡수성 물품(10)은, 저평량부(33)의 외측 가장자리를 기점으로 한 변형 기점(F1), 한 쌍의 저평량부(33)의 전단 가장자리(33F)끼리를 잇는 선을 따른 변형 기점(F2), 및 한 쌍의 저평량부(33)의 후단 가장자리(33R)끼리를 잇는 선을 따른 변형 기점(F3)이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변형 기점(F1 내지 F3)에 의해 둘러싸인 대략 직사각형의 영역이, 착용자의 배설구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변형 기점(F1 내지 F3)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이 배설구에 대향하여 배치됨으로써, 체액의 흡수성이 향상되고,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탄성 부재(41)는, 평면에서 보아 중앙 영역(R13C)과 겹치는 영역에 배치되어도 좋다. 중앙 탄성 부재(41)의 수축에 의해, 가랑이 영역(R13)의 흡수 코어(31)는, 중앙 영역(R13C)이 사이드 영역(R13S)보다 착용자측으로 돌출한 볼록 형상으로 변형한다. 또한, 중앙 탄성 부재(41)는, 폭 방향(W)에 있어서, 중앙 영역(R13C)의 중심(R13CL)과 중앙 영역(R13C)의 외측 가장자리(R13CE)와의 중심(R13WL)보다 외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중앙 영역(R13C)의 외측 가장자리(R13CE)에는, 변형 기점이 되는 저평량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 탄성 부재(41)가, 폭 방향(W)에 있어서, 중앙 영역(R13C)의 중심과 중앙 영역(R13C)의 외측 가장자리와의 중심(R13WL)보다 외측에 위치함으로써, 중앙 탄성 부재(41)에 의한 수축력이 저평량부(33)에 작용하기 쉽다. 저평량부(33)는, 평량의 차이에 의한 강성차 및 중앙 탄성 부재(41)의 수축력의 양방에 의해 신체측으로 끌어올려지기 쉬워진다. 따라서, 가랑이 영역(R13)의 흡수 코어가 볼록 형상으로 변형하기 쉬워진다.
중앙 탄성 부재(41)는, 평면에서 보아 저평량부(33)에 겹쳐 배치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중앙 탄성 부재(41)에 의한 수축력이 저평량부(33)에 보다 작용하기 쉽다. 평량의 차이에 의한 강성차 및 중앙 탄성 부재(41)의 수축력의 양방에 의해 저평량부(33)가 신체측으로 끌어올려지기 쉬워지고, 흡수 코어(31)가 볼록 형상으로 변형하기 쉬워진다.
중앙 탄성 부재(41)는, 평면에서 보아 중앙 영역(R13C)의 폭 방향의 중심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떨어져 한 쌍으로 배치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중앙 탄성 부재는, 좌우로 이격되어 2개씩의 실고무가 배치되어 있다. 저평량부(33) 사이에는, 중앙 탄성 부재(41)와 겹치지 않는 영역이 형성된다. 중앙 탄성 부재(41)와 겹치지 않는 영역은, 중앙 탄성 부재(41)가 배치된 영역 및 저평량부(33)가 형성된 영역보다 착용 시에 신체로부터 떨어져 배치되기 쉽다. 저평량부(33) 사이와 신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체액을 확보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체액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탄성 부재(41)는, 인디케이터(51)보다 폭 방향(W)의 외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중앙 탄성 부재(41)가 인디케이터(51)와 겹치지 않기 때문에, 중앙 탄성 부재(41)의 수축에 의해 인디케이터(51)가 수축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억제하여, 흡수성 물품(10)의 외측에서 시인했을 때의 인디케이터(51)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보다 적합하게는, 중앙 탄성 부재(41)는, 폭 방향(W)으로 이격되고, 또한 저평량부(33)와 겹치는 영역에 배치되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중앙 탄성 부재(41)와 겹치지 않는 영역은, 저평량부(33)가 형성된 영역보다 착용 시에 신체로부터 떨어져 배치되기 쉽고, 중앙 탄성 부재(41)와 겹치는 저평량부(33)는, 착용 시에 보다 신체에 근접하여 배치되기 쉽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중앙 탄성 부재(41)는, 폭 방향(W)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신축성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신축성 시트는, 한 쌍의 저평량부(33)를 걸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중앙 탄성 부재(41)는, 흡수 코어(31)의 피부 비대향면측(T2)에 배치되어도 좋다. 중앙 탄성 부재(41)가 흡수 코어(31)의 피부 비대향면측(T2)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중앙 탄성 부재(41)에 의해 흡수 코어(31)를 착용자측으로 밀어올리기 쉽다. 중앙 탄성 부재(41)에 의해 흡수 코어(31)를 신체측에 근접시켜, 흡수 코어(31)를 보다 볼록 형상으로 변형시키기 쉬워진다.
중앙 탄성 부재(41)는, 평면에서 보아 사이드 영역(R13S)에 겹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도 좋다. 즉, 중앙 탄성 부재(41)는, 중앙 영역(R13C)과 겹치는 영역에만 배치되어도 좋다. 사이드 영역(R13S)에 중앙 탄성 부재(41)가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중앙 영역(R13C)이 사이드 영역(R13S)과 비교하여 보다 신체측으로 끌어올려지기 쉽다. 중앙 영역(R13C)이 신체측으로 돌출한 볼록 형상으로 보다 변형하기 쉽다. 체액의 흡수 면적을 확보하면서, 장착 시에 끌어올리기 쉬워지는 효과를 보다 얻기 쉽다.
중앙 탄성 부재(41)는, 흡수성 물품(10)을 전후 방향(L)으로 둘로 접은 접음선(FL)을 걸쳐 배치되어도 좋다. 흡수성 물품(10)의 접음선(FL)은, 흡수성 물품(10)의 전후 방향(L)의 중심을 지나고, 또한 폭 방향(W)으로 연장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10)의 접음선(FL)은, 접힘 자국에 의해 장착 시에 신체로부터 떨어져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접음선(FL)을 걸쳐 중앙 탄성 부재(41)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접힘 자국을 신체에 근접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탄성 부재(41)의 전후 방향(L)의 중심(41CL)은, 흡수성 물품(10)의 전후 방향(L)의 중심보다 후방에 위치해도 좋다. 중앙 탄성 부재(41)가 흡수성 물품(10)의 뒤쪽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흡수성 물품(10)의 전후 방향(L)의 중심보다 후측을 보다 수축시킬 수 있다. 흡수성 물품(10)의 전후 방향(L)의 중심보다 후측에는, 장착 시에 신체(둔부)를 올려 놓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신체를 올려 놓는 영역과 중앙 탄성 부재(41)에 의해 수축하는 영역이 가까움으로써, 장착 시에 신체로부터 연장된 영역을 신체를 따르게 하기 쉽다. 따라서, 장착 시에 신체를 올려 놓은 영역은, 체압에 의해 신체에 밀착되고, 상기 신체로부터 연장된 영역은, 중앙 탄성 부재(41)에 의해 신체에 밀착되기 쉬워진다. 흡수 코어(31)를 신체를 따르게 하여 배치하고, 장착 시에 다리 등에 흡수 코어(31)가 걸리는 것을 억제하여, 끌어올리기 쉬워진다. 또한, 흡수 코어(31)를 신체를 따르게 하여 배치함으로써, 체액의 흡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탄성 부재(41)의 후단 가장자리(41R)는, 흡수성 물품(10)의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흡수성 물품(10)의 전후 방향(L)의 전체 길이에 대한 1/3까지의 영역(S4)보다 전측에 위치해도 좋다. 흡수성 물품(10)의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흡수성 물품(10)의 전후 방향(L)의 전체 길이에 대한 1/3까지의 영역은, 장착 시에 착용자의 신체(둔부)를 올려 놓는 영역이 되기 쉽다. 장착 시에 신체를 올려 놓는 영역에 중앙 탄성 부재(41)가 형성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평활한 상태의 흡수 코어(31)에 신체를 올려 놓고, 흡수 코어(31)를 신체를 따라 배치하기 쉽다. 흡수 코어(31)를 신체를 따르게 하여 배치하고, 장착 시에 다리 등에 흡수 코어(31)가 걸리는 것을 억제하여, 끌어올리기 쉬워진다. 또한, 흡수 코어(31)를 신체를 따르게 하여 배치함으로써, 체액의 흡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중앙 탄성 부재(41)의 후단 가장자리(41R)는, 저평량부(33)의 후단 가장자리(33R)보다 전측에 위치해도 좋다. 저평량부(33)보다 후측의 영역은, 중앙 탄성 부재(41)에 의한 수축력이 작용하기 어렵고, 평활한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저평량부(33)보다 후측의 영역은, 장착 시에 신체를 올려 놓는 흡수성 물품(10)의 후단부는, 평활한 상태로 신체를 따르기 쉽다. 흡수 코어(31)를 신체를 따르게 하여 배치하고, 장착 시에 다리 등에 흡수 코어(31)가 걸리는 것을 억제하여, 끌어올리기 쉬워진다. 또한, 흡수 코어(31)를 신체를 따르게 하여 배치함으로써, 체액의 흡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중앙 탄성 부재(41)의 전단 가장자리(41F)는, 저평량부(33)의 전단 가장자리(33F)보다 후측에 위치해도 좋다. 전후 방향(L)에 있어서 중앙 탄성 부재(41)가 저평량부(33)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전후 방향(L)에 있어서 저평량부(33)가 배치된 영역만이 중앙 탄성 부재(41)에 의해 수축하여, 저평량부(33)가 배치된 영역만을 보다 신체에 근접시켜 배치할 수 있다. 저평량부(33)가 배치된 영역을 정점으로 한 볼록 형상을 보다 실현하기 쉬워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평량부(33) 사이의 거리(G33)는, 흡수 코어(31)의 폭 방향의 최대 길이(31M1)에 대한 1/2 이하여도 좋다. 저평량부(33) 사이의 거리(G33)는, 저평량부(33)의 내측 가장자리끼리의 폭 방향의 거리이고, 저평량부(33)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가장 긴 폭 방향의 거리이다. 저평량부(33) 사이는, 착용 시에 신체에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저평량부(33) 사이의 거리(G33)가 흡수 코어(31)의 최대 길이(31W1)에 대한 1/2 이하임으로써, 착용자의 다리 사이에 배치되기 쉽고, 흡수 코어(31)의 볼록 형상을 유지하기 쉽다. 또한, 저평량부(33) 사이의 거리(G33)는, 가랑이 영역(R13)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31)의 폭 방향(W)의 최소 길이(31W2)에 대한 1/2 이하여도 좋다. 상기 저평량부(33) 사이의 거리가, 가랑이 영역(R13)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31)의 최소 길이에 대한 1/2 이하임으로써, 착용자의 다리 사이에 배치되기 쉽고, 흡수 코어의 볼록 형상을 유지하기 쉽다. 따라서, 장착 시에 사이드 플랩(15)이 착용자의 다리에 닿기 어려워져, 흡수성 물품(10)이 보다 끌어올려지기 쉬워진다. 또한, 저평량부(33) 사이의 거리(G33)는, 30 ㎜ 이상 35 ㎜ 이하여도 좋다. 저평량부(33) 사이의 거리(G33)가 30 ㎜ 이상 35 ㎜ 이하임으로써, 착용자의 다리 사이에 배치되기 쉽고, 흡수 코어(31)의 볼록 형상을 유지하기 쉽다.
또한, 중앙 영역(R13C)의 폭 방향(W)의 굽힘 강성은, 사이드 영역(R13S)의 폭 방향(W)의 굽힘 강성보다 높아도 좋다. 중앙 영역(R13C)의 폭 방향(W)의 굽힘 강성이 사이드 영역(R13S)의 폭 방향(W)의 굽힘 강성보다 높기 때문에, 중앙 영역(R13C)의 수축력이 높은 구성에 있어서도, 중앙 영역(R13C)을 평활한 상태로 유지하기 쉽다. 흡수 코어(31)를 신체를 따르게 하여 배치하고, 장착 시에 다리 등에 흡수 코어(31)가 걸리는 것을 억제하여, 끌어올리기 쉬워진다. 또한, 흡수 코어(31)를 신체를 따르게 하여 배치함으로써, 체액의 흡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중앙 영역(R13C)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의 굽힘 강성이, 사이드 영역(R13S)의 폭 방향(W)의 굽힘 강성보다 높게 구성되어 있으면 되고, 중앙 영역(R13C)은, 사이드 영역(R13S)과 동일한 굽힘 강성의 영역을 부분적으로 갖고 있어도 좋다.
중앙 영역(R13C)에는, 적어도 흡수 코어(31)를 압착한 압착부(35)가 형성되어도 좋다. 압착부(35)에 의해 중앙 영역(R13C)의 굽힘 강성이 높아지고, 중앙 영역(R13C)은, 평활한 상태로 유지되어, 신체를 따르도록 배치되기 쉽다. 흡수 코어(31)를 신체를 따르게 하여 배치하고, 장착 시에 다리 등에 흡수 코어(31)가 걸리는 것을 억제하여, 끌어올리기 쉬워진다. 또한, 흡수 코어(31)를 신체를 따르게 하여 배치함으로써, 체액의 흡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중앙 탄성 부재(41)는, 압착부(35)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도 좋고, 평면에서 보아 압착부(35)와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중앙 탄성 부재(41)가 배치된 영역은, 중앙 탄성 부재(41)의 수축에 의해 신체측으로 끌어올리고, 중앙 탄성 부재(41) 사이의 영역은, 압착부(35)에 의해 신체를 따라 배치되기 쉽다. 중앙 탄성 부재(41) 사이가 신체를 따르는 것과 같은 볼록 형상으로 변형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체액의 흡수 면적을 확보하면서, 장착 시에 끌어올리기 쉬워진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압착부(35) 이외의 구성에 의해 중앙 영역(R13C)의 굽힘 강성이 사이드 영역(R13S)의 굽힘 강성보다 높게 구성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굽힘의 흡수 코어(31)의 평량이 사이드 영역(R13S)의 흡수 코어(31)의 평량보다 높음으로써, 중앙 영역(R13C)의 굽힘 강성이 사이드 영역(R13S)의 굽힘 강성보다 높게 구성되어도 좋다. 또는, 중앙 영역(R13C)에 겹치는 자재를, 사이드 영역(R13S)에 겹치는 자재보다 많게 하거나, 중앙 영역(R13C)에 겹치는 자재의 강성을 사이드 영역(R13S)에 겹치는 자재의 강성보다 높게 하거나 함으로써, 중앙 영역(R13C)의 굽힘 강성이 사이드 영역(R13S)의 굽힘 강성보다 높게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다른 형태에 있어서, 압착부(35)는, 저평량부(33) 사이에 배치되어도 좋다.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저평량부(33) 사이에 압착부(35)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저평량부(33) 사이의 영역은, 평활한 상태로 유지되고, 신체를 따르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체액의 흡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의 평량」의 측정은, 이하의 측정 방법에 의해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흡수성 물품(10)이 패키지 등에 봉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패키지로부터 꺼내고, 그 상태에서 20℃±2℃, 상대 습도 60%±5% RH의 분위기하에 있어서 12시간 방치한 샘플을 이용한다. 포장 시트 등에 의해 포장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포장 시트를 개봉하고, 접혀진 흡수성 물품을 전개한다. 계속해서, 평량을 측정하는 부분을 흡수성 물품으로부터 잘라내고, 잘라낸 부분으로부터 표면 시트 등, 흡수 코어 이외의 부분을 제거한다. 그리고, 흡수 코어의 평량을 측정하는 부분의 면적 및 중량을 측정한다. 중량과 면적에 기초하여 평량을 산출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굽힘 강성」은, 걸리 강연도에 의해 측정된 값이어도 좋다. 걸리 강연도의 측정은, (주) 야스다 세이키 세이사쿠쇼 제조의 No311의 걸리식 유연도 시험기를 이용하여, JIS-L1096에 준거하여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걸리 강연도의 측정 샘플의 폭 방향의 길이는, 30 ㎜, 전후 방향의 길이는, 25 ㎜로 할 수 있다.
이상, 전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양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 조금도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한편, 2018년 1월 29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18-012882호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착 시에 끌어올리기 쉽고, 또한 체액의 흡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10: 흡수성 물품
15: 사이드 플랩
21: 표면 시트
22: 사이드 시트
23: 이면 시트
24: 외장 시트
30: 흡수체
31: 흡수 코어
R11: 전측 영역
R12: 후측 영역
R13: 가랑이 영역
R13C: 중앙 영역
R13S: 사이드 영역
32: 코어 랩
33: 저평량부
41: 중앙 탄성 부재
42: 다리 탄성 부재
43: 누설 방지 탄성 부재
51: 인디케이터
91: 패스닝 테이프
92: 타겟부
L: 전후 방향
W: 폭 방향
T: 두께 방향
T1: 피부 대향면측
T2: 피부 비대향면측
S1: 앞 몸통 둘레 영역
S2: 뒤 몸통 둘레 영역
S3: 중간 영역

Claims (17)

  1.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흡수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와,
    상기 흡수 코어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플랩과,
    상기 사이드 플랩에 형성된 패스닝 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전후 방향의 전체 길이를 3등분한 전측 영역, 가랑이 영역 및 후측 영역을 가지며,
    상기 가랑이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사이드 플랩의 상기 폭 방향의 길이는 30 ㎜ 이상인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가랑이 영역은,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보다 상기 폭 방향의 양 외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영역을 갖고,
    상기 중앙 영역의 양측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주위보다 상기 흡수 재료의 평량이 낮은 저평량부가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 영역의 상기 전후 방향의 수축력은 상기 사이드 영역의 상기 전후 방향의 수축력보다 높은 것인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영역에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신축하는 중앙 탄성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3.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흡수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와,
    상기 흡수 코어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플랩과,
    상기 사이드 플랩에 형성된 패스닝 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전후 방향의 전체 길이를 3등분한 전측 영역, 가랑이 영역 및 후측 영역을 가지며,
    상기 가랑이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사이드 플랩의 상기 폭 방향의 길이는 30 ㎜ 이상인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가랑이 영역은,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영역을 갖고,
    상기 중앙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주위보다 상기 흡수 재료의 평량이 낮은 한 쌍의 저평량부가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 영역에는, 상기 중앙 영역이 상기 사이드 영역보다 착용자측으로 돌출한 볼록 형상으로 상기 가랑이 영역의 상기 흡수 코어가 변형하도록, 상기 전후 방향으로 신축하는 중앙 탄성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탄성 부재는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중앙 영역의 중심과 상기 중앙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와의 중심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탄성 부재는, 상기 저평량부에 겹쳐 배치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탄성 부재는, 상기 중앙 영역의 상기 폭 방향의 중심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으로 떨어져 한 쌍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탄성 부재는, 상기 흡수 코어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탄성 부재는, 상기 사이드 영역의 상기 흡수 코어에 겹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탄성 부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을 상기 전후 방향으로 둘로 접은 접음선을 걸쳐 배치되고,
    상기 중앙 탄성 부재의 상기 전후 방향의 중심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전후 방향의 중심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
  10.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탄성 부재의 후단 가장자리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전후 방향의 전체 길이에 대한 1/3까지의 영역보다 전측에 위치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
  11.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탄성 부재의 후단 가장자리는, 상기 저평량부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전측에 위치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
  12.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평량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폭 방향의 최대 길이에 대한 1/2 이하인 흡수성 물품.
  13.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평량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가랑이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 코어의 상기 폭 방향의 최소 길이에 대한 1/2 이하인 흡수성 물품.
  1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영역의 상기 폭 방향의 굽힘 강성은, 상기 사이드 영역의 상기 폭 방향의 굽힘 강성보다 높은 것인 흡수성 물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영역에는, 적어도 상기 흡수 코어를 압착한 압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상기 저평량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영역에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신축하는 중앙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중앙 탄성 부재는, 상기 압착부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KR1020207024358A 2018-01-29 2018-01-30 흡수성 물품 KR1025355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12882 2018-01-29
JP2018012882A JP6374624B1 (ja) 2018-01-29 2018-01-29 吸収性物品
PCT/JP2018/002947 WO2019146126A1 (ja) 2018-01-29 2018-01-30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932A KR20200112932A (ko) 2020-10-05
KR102535556B1 true KR102535556B1 (ko) 2023-05-22

Family

ID=63165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358A KR102535556B1 (ko) 2018-01-29 2018-01-30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3738561B1 (ko)
JP (1) JP6374624B1 (ko)
KR (1) KR102535556B1 (ko)
CN (1) CN111655212A (ko)
AU (1) AU2018405255B2 (ko)
BR (1) BR112020013832A2 (ko)
MY (1) MY193374A (ko)
PH (1) PH12020551054A1 (ko)
RU (1) RU2743323C1 (ko)
SA (1) SA520412530B1 (ko)
TW (1) TWI795520B (ko)
WO (1) WO20191461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8008043T5 (de) * 2018-10-01 2021-06-17 Kao Corporation Wegwerfwinde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9765A (ja) * 2002-07-23 2004-02-19 Kao Corp おむつ
WO2011105109A1 (en) 2010-02-27 2011-09-01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wearing article
WO2013000539A1 (de) 2011-06-30 2013-01-0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ieb eines kraftfahrzeugs
JP2016120017A (ja) * 2014-12-24 2016-07-0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パッド
JP2017217160A (ja) * 2016-06-06 2017-12-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4855B2 (ja) * 2000-05-31 2007-06-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691397B2 (ja) * 2001-02-07 2005-09-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着用物品
DE60312780T2 (de) * 2002-07-23 2008-01-24 Kao Corp. Wegwerfwindel
JP4092319B2 (ja) * 2004-09-06 2008-05-28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8211078B2 (en) * 2005-02-17 2012-07-0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s capable of taking complex three-dimensional shape in use
JP5486346B2 (ja) * 2010-02-27 2014-05-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5897829B2 (ja) * 2011-07-01 2016-03-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5977590B2 (ja) * 2012-06-18 2016-08-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6726416B2 (ja) 2015-09-28 2020-07-22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6175529B1 (ja) * 2016-03-02 2017-08-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6268379B2 (ja) 2016-07-08 2018-01-31 石原ケミカル株式会社 無電解ニッケル又はニッケル合金メッキ用のニッケルコロイド触媒液並びに無電解ニッケル又はニッケル合金メッキ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9765A (ja) * 2002-07-23 2004-02-19 Kao Corp おむつ
WO2011105109A1 (en) 2010-02-27 2011-09-01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wearing article
WO2013000539A1 (de) 2011-06-30 2013-01-0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ieb eines kraftfahrzeugs
JP2016120017A (ja) * 2014-12-24 2016-07-0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パッド
JP2017217160A (ja) * 2016-06-06 2017-12-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0013832A2 (pt) 2020-12-01
CN111655212A (zh) 2020-09-11
KR20200112932A (ko) 2020-10-05
EP3738561B1 (en) 2022-11-30
EP3738561A1 (en) 2020-11-18
MY193374A (en) 2022-10-07
TW201940148A (zh) 2019-10-16
EP3738561A4 (en) 2021-03-24
PH12020551054A1 (en) 2021-09-01
JP6374624B1 (ja) 2018-08-15
RU2743323C1 (ru) 2021-02-17
AU2018405255B2 (en) 2024-02-15
JP2019129905A (ja) 2019-08-08
TWI795520B (zh) 2023-03-11
WO2019146126A1 (ja) 2019-08-01
SA520412530B1 (ar) 2024-05-28
AU2018405255A1 (en) 202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7778B2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JP6195772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2569786B1 (ko) 흡수성 물품
KR102508046B1 (ko) 흡수성 물품
WO2013077360A1 (ja) 使い捨ておむつ
EP2832330B1 (en) Disposable diaper
JP7268994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20096749A (ja) 吸収性物品
KR102508042B1 (ko) 흡수성 물품
KR102535556B1 (ko) 흡수성 물품
JP5291258B1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170062496A (ko) 흡수성 물품
JP2019130278A (ja) 吸収性物品
WO2020036113A1 (ja) 使い捨ておむつ
JP7215951B2 (ja) テープ式使い捨ておむつ
JP7132026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4422426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6775554B2 (ja) 吸収性物品
JP6677772B2 (ja) 使い捨ておむつ
WO2020036164A1 (ja) 使い捨ておむつ
JP6891453B2 (ja) 吸収性物品
JP6676422B2 (ja) 使い捨て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