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345B1 -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3345B1 KR102333345B1 KR1020207010137A KR20207010137A KR102333345B1 KR 102333345 B1 KR102333345 B1 KR 102333345B1 KR 1020207010137 A KR1020207010137 A KR 1020207010137A KR 20207010137 A KR20207010137 A KR 20207010137A KR 102333345 B1 KR102333345 B1 KR 1023333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veloper
- container
- introducing
- engaging
- replenishing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4—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non-rigid containers, e.g. foldable cartridges, bag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63—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2215/0665—Generally horizontally mounting of said toner cartridge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03G2215/0668—Toner discharging opening at one axial e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현상제 보급 용기(1)는, 현상제를 도입하는 도입구(11a)가 형성된 현상제 도입부(11)와, 현상제 도입부(11)와 일체적으로 변위 가능한 피걸림 결합부(11b)를 갖는 현상제 도입 장치에 착탈 가능하다. 현상제 보급 용기(1)는,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배출하는 셔터 개구(4j)가 형성된 배출부와, 걸림 결합부(30)를 갖는다. 걸림 결합부(30)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에 교차하고, 또한 현상제 도입부(11)의 변위 방향에 교차하는 소정 방향의 편측의 면에만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 결합부(30)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피걸림 결합부(11b)와 걸림 결합되어, 도입구(11a)가 셔터 개구(4j)와 연통되도록 현상제 도입부(11)를 변위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현상제 도입 장치에 착탈 가능한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사기 등의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는 미세 분말의 토너 등의 현상제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화상 형성에 의해 소비되어 버리는 현상제를, 현상제 보급 용기로부터 보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현상제 보급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 내에 마련된 현상제 도입 장치에 착탈 가능하며, 현상제 보급 용기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현상제 도입 장치의 현상제 도입부를 현상제 보급 용기의 배출구를 향해 변위시키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13-015826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13-015826호 공보에 기재된 구성을 더욱 개량한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현상제를 도입하는 도입구가 형성된 현상제 도입부와, 상기 현상제 도입부와 일체적으로 변위 가능한 피걸림 결합부를 갖는 현상제 도입 장치에 착탈 가능한 현상제 보급 용기이며, 현상제를 수용하는 회전 가능한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고,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저면에 마련된 현상제 배출부와, 현상제 보급 용기를 현상제 도입 장치에 삽입하는 방향에서 보아, 상기 현상제 배출부의 편측의 면에만 마련되고, 상기 현상제 보급 용기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피걸림 결합부와 걸림 결합되어, 상기 도입구를 상기 배출구와 연통시키기 위해 상기 배출구를 향해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현상제 도입부를 변위시키는 걸림 결합부를 갖는 현상제 보급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더욱 개량된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관한 현상제 도입 장치를 나타내며, (a)는 사시도, (b)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한 현상제 도입 장치를 나타내며, (a)는 부분 확대 사시도, (b)는 부분 확대 단면도, (c)는 현상제 도입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관한 현상제 보급 용기를 나타내며, (a)는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b)는 플랜지부 주변의 단면도, (c)는 정면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에 관한 현상제 보급 용기의 용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에 관한 플랜지부를 나타내며, (a)는 사시도, (b)는 저면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에 관한 플랜지부를 도 7의 (a)와 반대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에 관한 셔터를 나타내며, (a)는 상면도, (b)는 사시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a)는 실시 형태에 관한 셔터를 도 9의 (b)의 반대측에서 본 사시도, (b)는 도 9의 (b)의 C-C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에 관한 펌프를 나타내며, (a)는 사시도, (b)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에 관한 왕복 부재를 나타내며, (a)는 사시도, (b)는 (a)의 반대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에 관한 커버를 나타내며, (a)는 사시도, (b)는 (a)의 반대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에 있어서, (a)는 실시 형태에 관한 셔터가 현상제 도입 장치에 고정된 상태의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도입 장치의 단면도, (b)는 그때의 걸림 결합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 있어서, (a)는 실시 형태에 관한 현상제 도입부의 피걸림 결합부가 플랜지부의 걸림 결합부와 걸림 결합을 개시한 상태의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도입 장치의 단면도, (b)는 그때의 걸림 결합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에 있어서, (a)는 실시 형태에 관한 현상제 도입부의 피걸림 결합부가 플랜지부의 걸림 결합부와 걸림 결합되어 이동하고 있는 도중의 상태의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도입 장치의 단면도, (b)는 그때의 걸림 결합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에 있어서, (a)는 실시 형태에 관한 현상제 보급 용기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의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도입 장치의 단면도, (b)는 그때의 걸림 결합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에 관한 현상제 보급 용기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의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도입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19에 있어서, (a)는 비교예에 관한 셔터와 현상제 도입부의 접속부의 단면도, (b)는 실시 형태에 관한 셔터와 현상제 도입부의 접속부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실시 형태에 관한 플랜지부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a)는 제1 예의, (b)는 제2 예의, (c)는 제3 예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관한 현상제 도입 장치를 나타내며, (a)는 사시도, (b)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한 현상제 도입 장치를 나타내며, (a)는 부분 확대 사시도, (b)는 부분 확대 단면도, (c)는 현상제 도입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관한 현상제 보급 용기를 나타내며, (a)는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b)는 플랜지부 주변의 단면도, (c)는 정면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에 관한 현상제 보급 용기의 용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에 관한 플랜지부를 나타내며, (a)는 사시도, (b)는 저면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에 관한 플랜지부를 도 7의 (a)와 반대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에 관한 셔터를 나타내며, (a)는 상면도, (b)는 사시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a)는 실시 형태에 관한 셔터를 도 9의 (b)의 반대측에서 본 사시도, (b)는 도 9의 (b)의 C-C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에 관한 펌프를 나타내며, (a)는 사시도, (b)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에 관한 왕복 부재를 나타내며, (a)는 사시도, (b)는 (a)의 반대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에 관한 커버를 나타내며, (a)는 사시도, (b)는 (a)의 반대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에 있어서, (a)는 실시 형태에 관한 셔터가 현상제 도입 장치에 고정된 상태의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도입 장치의 단면도, (b)는 그때의 걸림 결합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 있어서, (a)는 실시 형태에 관한 현상제 도입부의 피걸림 결합부가 플랜지부의 걸림 결합부와 걸림 결합을 개시한 상태의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도입 장치의 단면도, (b)는 그때의 걸림 결합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에 있어서, (a)는 실시 형태에 관한 현상제 도입부의 피걸림 결합부가 플랜지부의 걸림 결합부와 걸림 결합되어 이동하고 있는 도중의 상태의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도입 장치의 단면도, (b)는 그때의 걸림 결합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에 있어서, (a)는 실시 형태에 관한 현상제 보급 용기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의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도입 장치의 단면도, (b)는 그때의 걸림 결합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에 관한 현상제 보급 용기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의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도입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19에 있어서, (a)는 비교예에 관한 셔터와 현상제 도입부의 접속부의 단면도, (b)는 실시 형태에 관한 셔터와 현상제 도입부의 접속부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실시 형태에 관한 플랜지부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a)는 제1 예의, (b)는 제2 예의, (c)는 제3 예의 측면도이다.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2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구성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
도 1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장치 본체(100a)의 상부에 원고 판독 장치(103)를 갖는다. 원고(101)는, 원고대 유리(102) 위에 놓인다. 그리고 원고(101)의 화상 정보에 따른 광상(光像)을 원고 판독 장치(103)의 복수의 미러 M과 렌즈 Ln에 의해, 상 담지체로서의 원통형의 감광체인 감광 드럼(104) 위에 결상시킴으로써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이 정전 잠상은 건식의 현상기(1성분 현상기)(201)에 의해 현상제(건식 분체)로서의 토너(1성분 자성 토너)를 사용하여 가시화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현상제 보급 용기(1)(토너 카트리지라고도 칭함)로부터 보급해야 할 현상제로서 1성분 자성 토너를 사용한 예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와 같은 예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구성으로 해도 상관없다.
구체적으로는, 1성분 비자성 토너를 사용하여 현상을 행하는 1성분 현상기를 사용하는 경우, 현상제로서 1성분 비자성 토너를 보급하게 된다. 또한, 자성 캐리어와 비자성 토너를 혼합한 2성분 현상제를 사용하여 현상을 행하는 2성분 현상기를 사용하는 경우, 현상제로서 비자성 토너를 보급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현상제로서 비자성 토너와 함께 자성 캐리어도 아울러 보급하는 구성으로 해도 상관없다.
도 1에 도시하는 현상기(2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원고(101)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감광 드럼(104)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서 토너를 사용하여 현상하는 것이다. 또한, 현상기(201)에는, 현상제 보급 시스템(200)이 접속되어 있고, 현상제 보급 시스템(200)은, 현상제 보급 용기(1)와, 현상제 보급 용기(1)가 착탈 가능한 현상제 도입 장치(8)를 갖는다. 현상제 보급 시스템(20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현상기(201)는, 현상제 호퍼부(201a) 외에, 현상 롤러(201f)가 마련되어 있다. 이 현상제 호퍼부(201a)에는, 현상제 보급 용기(1)로부터 보급된 현상제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 부재(201c)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교반 부재(201c)에 의해 교반된 현상제는, 반송 부재(201d)에 의해 반송 부재(201e) 측으로 보내진다. 그리고 반송 부재(201e, 201b)에 의해 차례로 반송되어 온 현상제는, 현상 롤러(201f)에 담지되어, 최종적으로 감광 드럼(104)과 대향하는 현상부로 공급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1성분 현상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현상제 보급 용기(1)로부터 현상제로서의 토너를, 현상기(201)로 보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2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경우, 현상제 보급 용기로부터 현상제로서의 토너 및 캐리어를 보급하는 구성으로 해도 상관없다.
카세트(105 내지 108)는, 각각 시트 등의 기록재 S를 수용한다. 화상 형성 시에는, 이들 카세트(105 내지 108) 중,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부(100d)로부터 조작자(유저)가 입력한 정보 혹은 원고(101)의 사이즈를 기초로 최적의 기록재 S를 수용한 카세트가 선택된다. 여기서 기록재 S로서는 용지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OHP 시트 등 적절하게 사용,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급송 분리 장치(105A 내지 108A)에 의해 반송된 1매의 기록재 S를, 반송부(109)를 경유하여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0)까지 반송하고, 감광 드럼(104)의 회전과, 원고 판독 장치(103)의 스캔의 타이밍을 동기시켜 반송한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0)의 기록재 반송 방향 하류측에서, 감광 드럼(104)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전사 대전기(111) 및 분리 대전기(112)가 마련되어 있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0)에 의해 반송된 기록재 S는, 전사 대전기(111)에 의해, 감광 드럼(104) 위에 형성된 현상제에 의한 화상(토너 화상)이 전사된다. 그리고 토너 화상이 전사된 기록재 S는, 분리 대전기(112)에 의해 감광 드럼(104)으로부터 분리된다. 이후, 반송부(113)에 의해 반송된 기록재 S는, 정착부(114)에 있어서 열과 압력이 가해져, 기록재 위에 토너 상이 정착된다. 그 후, 토너 상을 정착한 기록재 S는, 편면 카피의 경우에는, 배출 반전부(115)를 통과하여, 배출 롤러(116)에 의해 배출 트레이(117)로 배출된다.
한편, 양면 카피의 경우에는, 기록재 S는, 배출 반전부(115)를 통과하고, 일단, 배출 롤러(116)에 의해 일부가 장치 밖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이 후, 기록재 S의 종단이 전환 부재(118)를 통과하고, 배출 롤러(116)에 아직 끼움 지지되어 있는 타이밍에 전환 부재(118)의 위치를 전환함과 함께 배출 롤러(116)를 역회전시킴으로써, 기록재 S는, 다시, 장치 내로 반송된다. 또한, 이후, 기록재 S는, 재급송 반송부(119, 120)를 경유하여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10)까지 반송된 후, 편면 카피의 경우와 마찬가지 경로를 경유하여 배출 트레이(117)로 배출된다.
상기 구성의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있어서, 감광 드럼(104)의 주위에는 현상기(201), 클리너부(202), 1차 대전기(203) 등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 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현상기(201)는, 원고 판독 장치(103)에 의해 판독한 원고(101)의 화상 정보 등에 기초하여 감광 드럼(104)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현상제를 부착시킴으로써,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것이다. 또한, 1차 대전기(203)는, 감광 드럼(104) 위에 원하는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해 감광 드럼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클리너부(202)는 감광 드럼(104)에 잔류하고 있는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치 본체(100a)의 외장 커버의 일부인 교환용 커버(40)를 조작자가 열면, 후술하는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일부가 나타난다. 그리고 이 현상제 도입 장치(8)에 현상제 보급 용기(1)를 삽입함으로써, 현상제 보급 용기(1)는, 현상제 도입 장치(8)에 현상제를 보급 가능한 상태로 장착된다. 한편, 조작자가 현상제 보급 용기(1)를 교환할 때에는, 장착 동작과는 반대의 동작을 행하여 현상제 도입 장치(8)로부터 현상제 보급 용기(1)를 이탈시킨 후에, 새로운 현상제 보급 용기(1)를 장착한다. 또한, 교환용 커버(40)는, 현상제 보급 용기(1)를 착탈(교환)하기 위한 전용 커버이며, 현상제 보급 용기(1)를 착탈하기 위해서만 개폐된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100)의 메인터넌스는, 전방면 커버(100c)를 개폐함으로써 행해진다. 여기서, 교환용 커버(40)와 전방면 커버(100c)는 일체여도 되고, 그 경우, 현상제 보급 용기(1)의 교환이나, 화상 형성 장치(100)의 메인터넌스는 일체화된 커버(도시하지 않음)를 개폐함으로써 행해진다.
[현상제 도입 장치]
다음에, 현상제 보급 시스템(200)을 구성하는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해, 도 3의 (a) 내지 도 4의 (c)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현상제 도입 장치(8)에는,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제 보급 용기(1)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장착 스페이스)(8f)가 마련되어 있다. 장착부(8f)에는, 현상제 보급 용기(1)를 착탈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삽입 가이드(8e)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삽입 가이드(8e)에 의해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이 화살표 A 방향이 되도록,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이탈 방향이 화살표 A 방향과 역방향(화살표 B 방향)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의 (a) 내지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 장치(8)는 현상제 보급 용기(1)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로서 기능하는 구동 기어(9)를 갖고 있다. 이 구동 기어(9)는, 구동 모터(500)로부터 구동 기어열(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고, 장착부(8f)에 장착된 상태에 있는 현상제 보급 용기(1)에 대해 회전 구동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구동 모터(500)는, 제어 장치(600)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어 장치(600)는, 구동 모터(500)의 제어 외에, 화상 형성 장치(100) 전체의 제어를 행한다. 이와 같은 제어 장치(6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을 갖고 있다. CPU는, ROM에 저장된 제어 수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판독하면서 각 부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RAM에는, 작업용 데이터나 입력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CPU는, 전술한 프로그램 등에 기초하여 RAM에 수납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제어를 행한다.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장착부(8f)에는, 현상제 보급 용기(1)로부터 배출된 현상제를 도입하기 위한 현상제 도입부(11)가 마련되어 있다. 현상제 도입부(11)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시에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용기 배출구(3a4)(도 5의 (b) 참조)와 접속되고, 용기 배출구(3a4)로부터 배출되는 현상제를 도입하는 도입구(11a)를 갖는다. 현상제 도입부(11)는, 도입구(11a)가 용기 배출구(3a4)에 대해 원근 이동하는 방향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구체적으로는,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변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부(11)는, 가압 부재(스프링)(12)에 의해 도입구(11a)가 용기 배출구(3a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연직 방향 하방)으로 가압되고 있다. 그 때문에, 현상제 도입부(11)는, 도입구(11a)가 용기 배출구(3a4)에 접근하는 방향(연직 방향 상방)으로 이동할 때, 가압 부재(12)에 의한 가압력에 저항하여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장착부(8f)에는, 현상제 도입부(11)보다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의 상류측에 제1 셔터 스토퍼부(8a) 및 제2 셔터 스토퍼부(8b)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제2 셔터 스토퍼부(8a, 8b)는,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착탈 중의 현상제 보급 용기(1)에 있어서, 후술하는 셔터(4)(도 9의 (a) 등 참조)에 관해서만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한 상대 이동을 규제한다. 이 경우, 셔터(4)는, 후술하는 용기 본체(2) 등의 셔터(4) 이외의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일부에 대해 상대 이동하게 된다.
도 3의 (b) 및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연직 방향 하방에는, 현상제 보급 용기(1)로부터 보급된 현상제를 일시적으로 저류해 두는 서브 호퍼(8c)가 마련되어 있다. 이 서브 호퍼(8c) 내에는, 현상기(201)의 일부인 현상제 호퍼부(201a)(도 1 참조)로 현상제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스크류(14)와, 현상제 호퍼부(201a)와 연통된 개구(8d)가 마련되어 있다.
도 4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부(11)에는, 도입구(11a)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본체 시일(13)이 배치되어 있다. 본체 시일(13)은, 탄성체, 발포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 시일(13)은, 현상제 보급 용기(1)가 장착된 상태에서,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용기 배출구(3a4)를 둘러싸는 개구 시일(3a5)(도 5의 (b) 참조)과의 사이에서 후술하는 셔터(4)(도 9의 (a), (b) 참조)를 사이에 두고 밀착한다. 이에 의해,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용기 배출구(3a4)로부터 셔터(4)의 셔터 개구(4j)(배출구)를 통하여 도입구(11a)로 배출되는 현상제가, 현상제 반송 경로인 도입구(11a) 밖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입구(11a)의 직경은, 장착부(8f) 내의 현상제에 의해 오염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셔터(4)의 셔터 개구(4j)의 직경보다 대략 동일한 직경 내지 약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셔터 개구(4j)의 직경보다 도입구(11a)의 직경이 작은 경우, 셔터 개구(4j)로부터 배출된 현상제가 본체 시일(13)의 상면에 부착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부착된 현상제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착탈 동작 시에 현상제 보급 용기(1)의 하면에 부착됨으로써, 현상제에 의한 오염의 한 요인이 된다. 이 점을 감안하여, 도입구(11a)의 직경은, 셔터 개구(4j)의 직경에 대해 대략 동일한 직경 내지 약 2㎜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셔터(4)의 셔터 개구(4j)의 직경이 약 2㎜인 미세구(핀 홀)인 경우, 도입구(11a)의 직경은 약 3㎜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부(11)에는, 측면에 중앙측을 향해 돌출된 피걸림 결합부(11b)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이 피걸림 결합부(11b)는, 후술하는, 현상제 보급 용기(1)에 마련된 걸림 결합부(30)(도 7의 (a) 참조)와 직접 걸림 결합되어, 가이드됨으로써, 현상제 도입부(11)가 현상제 보급 용기(1)를 향해 연직 방향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다.
[현상제 보급 용기]
다음에, 현상제 보급 시스템(200)을 구성하는 현상제 보급 용기(1)에 대해, 도 5의 (a) 내지 도 13의 (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5의 (a) 내지 도 5의 (c)를 사용하여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현상제 보급 용기(1)는, 주로 용기 본체(2), 플랜지부(3), 셔터(4), 펌프부(5), 왕복 부재(6), 커버(7)를 갖는다. 현상제 보급 용기(1)는, 현상제 도입 장치(8) 내에서 도 5의 (a)에 나타내는 회전 축선 P를 중심으로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현상제를 현상제 도입 장치(8)로 보급한다. 이하에, 현상제 보급 용기(1)를 구성하는 각 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용기 본체]
용기 본체(2)는, 주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2c)를 갖는다. 또한, 용기 본체(2)에는, 용기 본체(2)가 회전 축선 P에 대해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현상제 수용부(2c) 내의 현상제를 반송하는 나선형으로 형성된 반송 홈(2a)(반송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의 일단부면측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캠 홈(2b)과, 본체측으로부터 구동을 받는 구동 받기부(2d)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캠 홈(2b)과 구동 받기부(기어)(2d)가 용기 본체(2)에 대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캠 홈(2b) 혹은 구동 받기부(2d)를 별체로서 형성하여, 용기 본체(2)에 일체적으로 설치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현상제로서, 예를 들어 체적 평균 입경이 5㎛ 내지 6㎛인 토너가 현상제 수용부(2c)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현상제 수용부(2c)는 용기 본체(2)뿐만 아니라, 용기 본체(2)와 후술하는 플랜지부(3) 및 펌프부(5)의 내부 스페이스를 합친 것이다.
[플랜지부]
계속해서, 플랜지부(3)에 대해 도 5의 (a)를 참조하면서, 도 7의 (a) 내지 도 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플랜지부(3)는, 용기 본체(2)와 회전 축선 P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현상제 보급 용기(1)가 현상제 도입 장치(8)에 장착되면, 플랜지부(3)는 장착부(8f)(도 3의 (a) 참조)에 대해 화살표 R 방향의 회전이 불가능해지도록 보유 지지된다. 또한, 플랜지부(3)의 일부에는,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배출구(3a4)가 마련되어 있고, 그 주위에는 개구 시일(3a5)이 장착되어 있다. 플랜지부(3)에는, 도 5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펌프부(5), 왕복 부재(6), 셔터(4), 커버(7)가 장착되어 있다.
우선,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3)의 일단측에는 펌프부(5)가 나사 접합되고, 타단측에는 용기 본체(2)가 도시하지 않은 시일 부재를 사이에 두고 접합된다. 또한, 펌프부(5)를 집듯이 하여 왕복 부재(6)가 배치되고, 왕복 부재(6)에 마련된 걸림 결합 돌기(6b)(도 12의 (a), (b) 참조)가 용기 본체(2)의 캠 홈(2b)(도 6 참조)에 끼워 넣어진다. 또한, 플랜지부(3)에는 셔터(4)가 내장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랜지부(3)와 셔터(4)가, 현상제 수용부(2c)에 수용된 현상제를 배출하는 배출부(300)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셔터(4)가 마련되어 있는 면은, 플랜지부(3)의 저면이다. 또한, 외관상의 외견을 향상시킬 목적과 왕복 부재(6), 펌프부(5)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한 플랜지부(3), 펌프부(5), 왕복 부재(6)의 전체를 덮도록 커버(7)가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도 5의 (b)와 같이 구성된다.
[걸림 결합부]
플랜지부(3)는,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부(11)의 피걸림 결합부(11b)(도 4의 (c) 참조)와 걸림 결합 가능한 걸림 결합부(30)를 갖고 있다. 걸림 결합부(30)는, 현상제 보급 용기(1)로부터 현상제 도입부(11)로의 현상제 보급이 가능한 서로가 접속된 상태로 되도록,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현상제 도입부(11)를 현상제 보급 용기(1)를 향해 변위시킨다. 또한, 걸림 결합부(30)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취출 동작에 수반하여, 현상제 보급 용기(1)와 현상제 도입부(11)의 접속 상태가 끊어지도록, 현상제 도입부(11)가 현상제 보급 용기(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가이드한다.
걸림 결합부(30)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 하류측의 제1 걸림 결합면(3b2)과, 제1 걸림 결합면(3b2)의 상류측에 연속되도록 형성된 제2 걸림 결합면(3b4)을 갖는다. 도 5의 (c)는 현상제 보급 용기(1)를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5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걸림 결합면(3b2)과 제2 걸림 결합면(3b4)은, 회전 축선 P를 포함하는 평면 H보다 하방에 배치된다. 나아가, 회전 축선 P를 포함하는 평면 H는 수평면이며, 제1 걸림 결합면(3b2)과 제2 걸림 결합면(3b4)은, 이 수평면보다 하방에 배치된다. 현상제 도입부(11)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피걸림 결합부(11b)가 제1 걸림 결합면(3b2)과 걸림 결합됨으로써 상방으로 안내되고, 피걸림 결합부(11b)가 제2 걸림 결합면(3b4)과 걸림 결합됨으로써, 도입구(11a)가 용기 배출구(3a4)와 연통된 상태로 된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본 실시예의 걸림 결합부는 이하와 같은 구성이 된다. 하단(제1 위치)으로부터 상단(제2 위치)을 향하여 연신되어 있는 경사부(제1 부분)(31)와 평행부(제2 부분)(32)는 피걸림 결합부(11b)가 통하는 트랙(track)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5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랙은 평면 H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회전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을 가상하였을 때, 배출구와 트랙은 동일한 영역(하방 영역)에 마련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평행부(32)는 수평면 H나 상기 가상한 평면에 경사부(31)보다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도입부(11)에 있어서, 피걸림 결합부(11b)와 도입구는 회전 축선 P에 직교하는 동일 평면 위에 있다. 그 결과, 피걸림 결합부(11b)와 평행부(32)는 회전 축선 P에 직교하는 동일 평면 위에 있다. 이 트랙에 피걸림 결합부(11b)가 걸림 결합되어, 피걸림 결합부(11b)가 들어 올려지는 결과, 배출구와 도입구가 연통 가능해진다. 그리고 연통이 형성되었을 때, 현상제 보급 용기 내부와 배출구까지의 배출 경로가 형성되어, 현상제 보급 용기 내의 현상제가 도입구를 향해 배출 가능해진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걸림 결합면(3b2)은, 현상제 도입부(11)의 개봉 동작이 행해지도록,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현상제 도입부(11)를 변위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걸림 결합면(3b2)은,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현상제 도입부(11)가 현상제 보급 용기(1)의 개구 시일(3a5) 위의 일부와 접속한 상태가 되도록, 현상제 도입부(11)를 현상제 보급 용기(1)를 향해 변위시킨다. 이 때문에 제1 걸림 결합면(3b2)은,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걸림 결합면(3b2)은,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현상제 도입부(11)의 도입구(11a)가 용기 배출구(3a4)와 연통되는 방향으로, 걸림 결합된 피걸림 결합부(11b)를 안내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걸림 결합면(3b2)은,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할수록,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제1 걸림 결합면(3b2)은, 회전 축선 P에 있어서, 구동 받기부(2d)에 접근함에 따라 상방으로 연신되어 있는 형상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걸림 결합면(3b2)은 직선 형상이다. 제1 걸림 결합면(3b2)의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탈착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10 내지 50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 경사 각도를 약 40도로 하였다.
또한, 제1 걸림 결합면(3b2)은, 구동 받기부(2d)에 접근함에 따라 상방으로 연신되어 있는 형상이면,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20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걸림 결합면(3b2A)의 형상을 만곡된 경사면의 형상으로 해도 된다. 나아가, 도 2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걸림 결합면(3b2B)의 형상을 평행면과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계단형의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 20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걸림 결합면(3b2C)과 제2 걸림 결합면(3b4)을 일체화시켜, 균일한 직선형의 경사면으로 해도 된다.
한편, 제2 걸림 결합면(3b4)은,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용기 배출구(3a4)가 현상제 도입부(11)의 도입구(11a)와 연통된 상태가 되도록, 현상제 도입부(11)의 위치를 유지시킨다. 즉, 현상제 도입부(11)가 현상제 보급 용기(1)의 개구 시일(3a5) 위의 일부와 접속되고 나서, 현상제 보급 용기(1)가 셔터(4)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동안, 본체 시일(13)과 개구 시일(3a5)이 접속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바꾸어 말하면, 도입구(11a)가 개구 시일(3a5) 위의 일부와 접속되고 나서 용기 배출구(3a4)까지 이동하는 동안, 본체 시일(13)과 개구 시일(3a5)이 접속된 상태를 유지시켜, 도입구(11a)를 용기 배출구(3a4)와 연통시킨다. 이 때문에 제2 걸림 결합면(3b4)은,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걸림 결합면(3b4)은, 대략 수평한 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걸림 결합부(11b)와 걸림 결합되는 걸림 결합부(제2 걸림 결합면(3b4))는, 장착 방향 혹은 회전 축선 P와 대략 평행인 구성으로 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의 제2 걸림 결합면(3b4)에 대응하는 걸림 결합부는, 평행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사져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걸림 결합부(30)는,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3)의,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에 교차하고, 또한 현상제 도입부(11)의 변위 방향에 교차하는 소정 방향의 편측의 면에만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소정 방향은,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방향(화살표 A 방향)에 직교하고, 또한 현상제 도입부(11)의 변위 방향(연직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도 8의 화살표 D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의 좌우 방향이다. 그리고 걸림 결합부(30)는, 플랜지부(3)의 소정 방향 양측면 중 편측의 면에만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림 결합부(30)는, 플랜지부(3)의 소정 방향의 타측의 측면에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랜지부(3)는, 도 8의 화살표 D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의 좌측의 측면에 걸림 결합부(30)를 마련하지 않는 것으로 하였지만, 그 반대여도 상관없다.
[셔터]
다음에, 셔터(4)에 대해, 도 9의 (a) 내지 도 10의 (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셔터(4)는 플랜지부(3)의 셔터 삽입부(3b1) 위(도 7의 (a) 참조)를 미끄럼 이동하도록 하여,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일부(플랜지부(3))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셔터(4)는, 배출구로서의 셔터 개구(4j)를 갖고,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착탈 동작에 수반하여,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용기 배출구(3a4)(도 7의 (b) 참조)를 개폐한다. 즉,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셔터(4)가 현상제 보급 용기(1)에 대해 이동함으로써, 현상제 도입부(11)의 도입구(11a)와 셔터 개구(4j)가 연통되고, 또한 용기 배출구(3a4)가 연통된다. 이에 의해, 현상제 보급 용기(1) 내부의 현상제를 도입구(11a)로 배출 가능해진다. 즉, 플랜지부(3)와 셔터(4)가, 현상제를 배출하는 배출부(300)(도 5의 (b) 참조)를 구성하고, 배출부(300)의 셔터(4)에는, 현상제를 배출하는 배출구로서의 셔터 개구(4j)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9의 (a) 및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셔터(4)의 셔터 개구(4j)로부터 벗어난 위치에는 현상제 밀봉부(4a)가 마련되어 있다. 현상제 밀봉부(4a)는, 현상제 보급 용기(1)를 발출하는 동작에 수반하여 셔터(4)가 현상제 보급 용기(1)에 대해 이동함으로써, 용기 배출구(3a4)를 막는다. 또한, 현상제 밀봉부(4a)는, 현상제 보급 용기(1)가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장착부(8f)(도 3의 (a) 참조)에 장착되지 않았을 때, 용기 배출구(3a4)로부터의 현상제의 누설을 방지한다. 현상제 밀봉부(4a)의 배면측(현상제 도입부(11)측)에는, 플랜지부(3)의 셔터 삽입부(3b1) 위를 미끄럼 이동하는 미끄럼 이동면(4i)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셔터(4)는, 현상제 밀봉부(4a)를 상향으로 한 자세로, 플랜지부(3)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
셔터(4)는, 현상제 보급 용기(1)가 셔터(4)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제1, 제2 셔터 스토퍼부(8a, 8b)(도 4의 (a) 참조)에 보유 지지되는 제1 스토퍼부(4b) 및 제2 스토퍼부(4c)를 갖고 있다. 또한, 셔터(4)는, 제1, 제2 스토퍼부(4b, 4c)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4d)를 갖고 있다. 지지부(4d)는, 탄성 변형 가능하고, 현상제 밀봉부(4a)의 양측면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하여 각각 연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4d)의 선단부에, 각각 제1 스토퍼부(4b)와 제2 스토퍼부(4c)를 마련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1, 제2 스토퍼부(4b, 4c)는, 지지부(4d)의 탄성에 의해 변위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스토퍼부(4b)와 지지부(4d)가 형성하는 각도 α는 예각이 되도록, 제1 스토퍼부(4b)는 경사져 있다. 이에 비해, 제2 스토퍼부(4c)와 지지부(4d)가 형성하는 각도 β는 둔각이 되도록, 제2 스토퍼부(4c)는 경사져 있다.
제1 스토퍼부(4b)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 시에,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안내부(8g)와 걸림 결합되어 변위되고, 제2 셔터 스토퍼부(8b)를 통과하여, 제1 셔터 스토퍼부(8a)와 걸림 결합된다. 제1 스토퍼부(4b)와 제1 셔터 스토퍼부(8a)가 걸림 결합됨으로써, 셔터(4)의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한 위치가 고정된다. 제2 스토퍼부(4c)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이탈 동작 시에,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제2 셔터 스토퍼부(8b)에 걸림 결합되어, 제1 스토퍼부(4b)가 제1 셔터 스토퍼부(8a)로부터 벗어나도록 변위시킨다. 이에 의해, 셔터(4)가 현상제 도입 장치(8)로부터 벗어난다.
또한, 셔터(4)는, 도 10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끄럼 이동면(4i)의 셔터 개구(4j)를 둘러싸도록, 현상제 도입부(11)와 연결하는 연결면(4k)을 갖고 있다. 도 10의 (b)에, 셔터(4)의 셔터 개구(4j) 부근의 단면도(도 9의 (b)의 C-C 단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9의 (b)의 C 방향은, 도 8의 D 방향과 동등하다. 연결면(4k)은,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소정 방향(화살표 E 방향)의 편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할수록, 현상제 도입부측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이다. 도 10의 (b)에서는, 연결면(4k)은,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즉, 연결면(4k)은, 도 7의 (a),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3)의 걸림 결합부(30)가 마련된 측으로부터 마련되어 있지 않은 측을 향해 하측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셔터 개구(4j)는, 이와 같이 경사진 연결면(4k)에 형성되어 있다.
[펌프부]
펌프부(5)에 대해, 도 11의 (a) 및 도 11의 (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펌프부(5)는, 용기 본체(2)(도 6 참조)의 구동 받기부(2d)가 받은 구동력에 의해, 현상제 수용부(2c)의 내압이 대기압보다 낮은 상태와 높은 상태로 교대로 반복하여 전환되도록 동작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작은 용기 배출구(3a4)로부터 현상제를 안정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일부에 펌프부(5)를 마련하고 있다. 펌프부(5)는 그 용적이 가변 가능한 용적 가변형 펌프이다. 구체적으로는, 펌프부로서, 신축 가능한 주름 상자형 신축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채용하고 있다.
이 펌프부(5)의 신축 동작에 의해 현상제 보급 용기(1) 내의 압력을 변화시키고, 그 압력을 이용하여 현상제의 배출을 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펌프부(5)를 수축시킬 때에는 현상제 보급 용기(1) 내가 가압 상태가 되고, 그 압력으로 압출되는 형태로 현상제가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용기 배출구(3a4)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펌프부(5)를 신장시킬 때에는 현상제 보급 용기(1) 내가 감압 상태가 되고, 외부로부터 용기 배출구(3a4)를 통해 에어가 도입된다. 이 도입된 에어에 의해 용기 배출구(3a4)나, 플랜지부(3)의 용기 본체(2)로부터 반송된 현상제를 저류하는 저류부(3a3) 부근(도 7의 (a) 참조)의 현상제가 풀려, 다음 배출이 원활하게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즉, 이와 같이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용기 배출구(3a4)나 저류부(3a3) 부근은,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운반 시 등의 진동으로 현상제 보급 용기(1) 내의 현상제가 모여, 이 부분에서 현상제가 굳어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 배출구(3a4)를 통해 에어가 도입됨으로써, 이와 같이 굳어져 버린 현상제를 풀 수 있다. 또한, 통상의 현상제의 배출 동작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에어가 도입됨으로써, 에어와 분체인 현상제가 혼성되어, 현상제의 유동성이 좋아져, 현상제의 막힘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는 효과도 있다. 이상과 같은 신축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현상제의 배출이 행해진다.
도 1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펌프부(5)는, 개구단측에, 플랜지부(3)와 접합 가능하도록 접합부(5b)를 갖고 있다. 여기서는, 접합부(5b)로서 나사가 형성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펌프부(5)는 타단측에, 후술하는 왕복 부재(6)(도 12의 (a) 및 도 12의 (b) 참조)와 동기하여 변위시키기 위해, 왕복 부재(6)와 걸림 결합되는 왕복 부재 걸림 결합부(5c)를 갖는다.
또한,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펌프부(5)는 「산부」와 「골부」가 주기적으로 형성된 주름 상자형의 신축부(주름 상자부, 신축 부재)(5a)를 갖는다. 신축부(5a)는, 그 접힘선을 따라(그 접힘선을 기점으로 하여), 화살표 B 방향으로 절첩되거나, 화살표 A 방향으로 연신하거나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은 주름 상자형의 펌프부(5)를 채용한 경우에는, 신축량에 대한 용적 변화량의 변동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안정된 용적 가변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펌프부(5)의 재료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펌프부(5)의 재료(재질)에 관해서는, 신축 기능을 발휘하고 용적 변화에 의해 현상제 수용부의 내압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재료라면 어떤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등을 사용해도 된다. 혹은, 고무, 그 밖의 신축성 재료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왕복 부재]
왕복 부재(6)에 대해, 도 12의 (a) 및 도 12의 (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2의 (a) 및 도 1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왕복 부재(6)는 상술한 펌프부(5)의 용적을 가변하기 위해, 펌프부(5)에 마련된 왕복 부재 걸림 결합부(5c)(도 11의 (b) 참조)에 걸림 결합되는 펌프 걸림 결합부(6a)를 갖는다. 또한, 왕복 부재(6)는, 조립 시에 상술한 캠 홈(2b)(도 6 참조)에 끼워 넣어지는 걸림 결합 돌기(6b)를 갖는다. 걸림 결합 돌기(6b)는, 펌프 걸림 결합부(6a) 근방으로부터 착탈 방향(도면 중 화살표 A, 화살표 B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6c)의 선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왕복 부재(6)는, 후술하는 커버(7)의 왕복 부재 보유 지지부(7b)(도 13의 (b) 참조)에 의해 암(6c)의 축선 P(도 5의 (a) 참조) 중심의 회전 변위가 규제되고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2)가 구동 기어(9)에 의해 구동 받기부(2d)로부터 구동을 받아, 캠 홈(2b)이 일체로 되어 회전할 때, 캠 홈(2b)에 끼워 넣어진 걸림 결합 돌기(6b)와 커버(7)의 왕복 부재 보유 지지부(7b)의 작용에 의해, 왕복 부재(6)는 화살표 A, B 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그것에 수반하여 또한, 왕복 부재(6)의 펌프 걸림 결합부(6a)와 왕복 부재 걸림 결합부(5c)를 통하여 걸림 결합된 펌프부(5)가 화살표 A, B 방향으로 신축 운동한다.
[커버]
커버(7)에 대해, 도 13의 (a) 및 도 13의 (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상술하였지만, 커버(7)는,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외관의 외견 향상과, 왕복 부재(6)나 펌프부(5)의 보호를 목적으로 하여,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련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커버(7)는, 플랜지부(3), 펌프부(5), 왕복 부재(6)의 전체를 덮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 1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7)에는, 현상제 도입 장치(8)의 삽입 가이드(8e)(도 3의 (a) 참조)에 가이드되는 가이드 홈(7a)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1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7)에는, 상술한 왕복 부재(6)의 축선 P(도 5의 (a) 참조)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변위를 규제하는 왕복 부재 보유 지지부(7b)가 마련되어 있다.
[현상제 보급 용기의 장착 동작]
현상제 보급 용기(1)의 현상제 도입 장치(8)로의 장착 동작에 대해, 도 14의 (a) 내지 도 17의 (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4의 (a) 내지 도 17의 (b)는, 현상제 보급 용기(1)를 현상제 도입 장치(8)에 장착할 때의, 각각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현상제 보급 용기(1)를 A 방향(도 5의 (a) 참조)으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치 본체(100a) 내로 삽입해 가면, 도 14의 (a)에 도시하는 위치에서 셔터(4)가 현상제 도입 장치(8)와 맞닿아, 셔터(4)의 현상제 도입 장치(8)에 대한 위치가 고정된다. 이 위치에서는, 현상제 보급 용기(1)와 셔터(4)의 위치는 상대 변위되어 있지 않으므로, 플랜지부(3)의 용기 배출구(3a4)는, 셔터(4)의 현상제 밀봉부(4a)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이때, 도 1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3)의 편측에 마련된 걸림 결합부(30)의 제1 걸림 결합면(3b2)과 현상제 도입부(11)의 피걸림 결합부(11b)는 아직 걸림 결합되어 있지 않다.
이 상태로부터 현상제 보급 용기(1)를 A 방향으로 더 삽입시키면, 도 1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제 보급 용기(1)는 셔터(4)를 현상제 도입 장치(8)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셔터(4)와 상대 변위된다. 그러나 도 1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3)의 제1 걸림 결합면(3b2)과 현상제 도입부(11)의 피걸림 결합부(11b)는 걸림 결합 개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도입구(11a)의 상측 방향으로의 위치는 초기 상태 그대로이다.
이 상태로부터 현상제 보급 용기(1)를 A 방향으로 더 삽입시키면, 도 1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제 보급 용기(1)는 셔터(4)에 대해 더 상대 변위된다. 그와 동시에, 도 1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부(11)의 피걸림 결합부(11b)는 플랜지부(3)의 제1 걸림 결합면(3b2)을 따라 변위된다. 이에 의해, 현상제 도입부(11)가 초기 위치보다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 도입구(11a)가 셔터(4)의 셔터 개구(4j)와 맞닿는다. 즉, 현상제 도입부(11)가 셔터(4)와 충돌하는 위치까지 상승한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는 아직, 셔터 개구(4j)와 용기 배출구(3a4)가 연통되어 있지 않다.
이 상태로부터 현상제 보급 용기(1)를 A 방향으로 더 삽입시키면, 도 1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부(11)의 피걸림 결합부(11b)는 제2 걸림 결합면(3b4)을 따라 평행 변위되므로, 도입구(11a)와 셔터 개구(4j)는 맞닿은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도 1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배출구(3a4)와 제2 걸림 결합면(3b4)의 위치 관계는 용기 배출구(3a4)를 통과하는 회전 축선 P에 직교하는 평면 L이 제2 걸림 결합면(3b4)을 통과하는 관계에 있다. 또한, 제2 걸림 결합면(3b4)을 포함하는 평면은, 회전 축선 P와 용기 배출구(3a4) 사이에 배치되는 관계에 있다. 한편, 현상제 보급 용기(1)가 셔터(4)에 대해 더 상대 변위됨으로써, 도 1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셔터 개구(4j)와 용기 배출구(3a4)가 연통된다. 이 상태에서 용기 배출구(3a4), 셔터 개구(4j), 도입구(11a)가 연통된 상태가 되어, 현상제 보급 용기(1)로부터 현상제 도입부(11)로의 현상제의 보급 동작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도 7의 (a)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결합부(30)는, 플랜지부(3)의 소정 방향 양측면 중 편측에만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걸림 결합부(30)가 없는 측의 현상제 도입부(11)의 피걸림 결합부(11b)에는, 상술한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장착 동작 시에, 상방으로 들어 올리는 작용은 하지 않는다. 이 결과,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부(11) 자체는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 버린다.
여기서, 도 19의 (a)에 도시하는 비교예와 같이, 셔터(400)의 현상제 도입부(11)와 연결하는 연결면(400k)을 경사지게 하지 않고, 대략 수평 방향으로 형성한 경우, 연결면(400k)과 현상제 도입부(11)의 본체 시일(13) 사이에 간극 G가 생겨 버리는 경우가 있다. 즉, 연결면(400k)과 본체 시일(13)의 맞닿음이 불충분한 상태가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상태에서, 현상제 보급 용기(1)로부터 현상제 도입 장치(8)로의 현상제의 보급 동작이 행해지면, 용기 배출구(3a4) 및 셔터 개구(400j)로부터 배출된 현상제의 일부가 화살표 F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설되어, 현상제 도입 장치(8) 내로 비산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상술한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면(4k)은, 플랜지부(3)의 걸림 결합부(30)가 마련된 측으로부터 마련되어 있지 않은 측을 향해 하측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도 1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부(11)가 기울어져 있어도, 연결면(4k)이 현상제 도입부(11)의 본체 시일(13)에 추종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맞닿을 수 있다. 따라서, 비교예와 같이 현상제의 비산이 발생하는 일 없이, 현상제 보급 용기(1)로부터 현상제 도입 장치(8)로 보급할 수 있다.
또한, 현상제 도입부(11)가 기우는 방향은, 걸림 결합부(30)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플랜지부(3)의 측면이 어느 것인가에 따라 바뀌므로, 연결면(4k)의 경사 방향은 그것에 맞추어 설정한다.
또한, 연결면(4k)의 경사 각도는, 현상제 도입부(11)의 경사 각도에 맞추어 설정한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제 도입부(11)는, 피걸림 결합부(11b)가 마련된 벽(11c)이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커버(7)에 마련된 벽(7c)의 내측으로 안내되면서 상승한다. 따라서, 현상제 도입부(11)는, 제2 걸림 결합면(3b4)과 피걸림 결합부(11b)의 걸림 결합 위치를 중심으로 벽(11c)이 변위되어 벽(7c)에 맞닿을 때까지 기운다. 이 때문에, 연결면(4k)의 경사 각도는, 이때의 벽(11c)과 벽(7c)이 형성하는 각도(도 18의 θ)와 일치시키도록 한다. 즉, 연결면(4k)의 경사 각도는, 벽(7c)과 벽(11c) 사이의 거리로 조정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셔터(4)의 연결면(4k)을 경사지게 하였지만, 현상제 도입부(11)측의 맞닿음면, 예를 들어 본체 시일(13)의 상면을 현상제 도입부(11)의 경사 각도에 맞추어 경사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연결면(4k) 및 현상제 도입부(11)측의 맞닿음면 모두를 경사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현상제 도입부(11)의 도입구(11a)가 연통되는 배출구를 셔터(4)의 셔터 개구(4j)로 하였지만, 셔터를 마련하지 않고, 현상제 보급 용기(1)의 용기 배출구에 현상제 도입부의 도입구를 직접, 맞닿게 하여 연통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용기 배출구가 도입구와 연통되는 배출구에 상당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등에 적합한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이 제공된다.
1: 현상제 보급 용기
2c: 현상제 수용부
3: 플랜지부
3a4: 용기 배출구
3b2, 3b2A, 3b2B, 3b2C: 제1 걸림 결합면(경사면)
4: 셔터
4j: 셔터 개구(배출구)
4k: 연결면(경사면)
8: 현상제 도입 장치
11: 현상제 도입부
11a: 도입구
11b: 피걸림 결합부
30: 걸림 결합부
200: 현상제 보급 시스템
300: 배출부
2c: 현상제 수용부
3: 플랜지부
3a4: 용기 배출구
3b2, 3b2A, 3b2B, 3b2C: 제1 걸림 결합면(경사면)
4: 셔터
4j: 셔터 개구(배출구)
4k: 연결면(경사면)
8: 현상제 도입 장치
11: 현상제 도입부
11a: 도입구
11b: 피걸림 결합부
30: 걸림 결합부
200: 현상제 보급 시스템
300: 배출부
Claims (4)
- 현상제를 도입하는 도입구를 구비하는 현상제 도입부와, 상기 현상제 도입부와 일체적으로 변위 가능한 피걸림 결합부를 갖는 현상제 도입 장치에 착탈 가능한 현상제 보급 용기이며,
현상제를 수용하는 회전 가능한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저면에 마련된 현상제 배출부와,
현상제 보급 용기를 현상제 도입 장치에 삽입하는 방향에서 볼 때에 상기 현상제 배출부의 일 측의 면에만 마련되는 걸림 결합부로서, 상기 현상제 보급 용기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피걸림 결합부와 걸림 결합되어, 상기 현상제 도입부를 상기 배출구를 향해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현상제 도입부를 변위시킴으로서 상기 도입구를 상기 배출구와 연통시키는 걸림 결합부를 갖고,
(i) 상기 현상제 배출부의 외면에 포함되고, (ii) 상기 현상제 도입부가 접촉하여 상기 도입구를 상기 배출구와 연통시키고, (iii) 현상제 보급 용기를 현상제 도입 장치에 삽입하는 방향에서 볼 때에 상기 걸림 결합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측의 부분이 상기 배출구보다 낮도록 경사진 경사면에 상기 배출구의 단부가 마련된, 현상제 보급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배출부는 상기 현상제 보급 용기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현상제 보급 용기의 일부에 대해 이동 가능한 셔터를 갖고, 상기 배출구의 상기 단부 및 상기 경사면은 상기 셔터 내에 제공되는, 현상제 보급 용기. - 현상제를 도입하는 도입구를 구비하는 현상제 도입부와, 상기 현상제 도입부와 일체적으로 변위 가능한 피걸림 결합부를 갖는 현상제 도입 장치와,
상기 현상제 도입 장치에 착탈 가능한 현상제 보급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현상제 보급 용기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부와,
상기 현상제 보급 용기의 장착 방향에 교차하고, 또한 상기 현상제 도입부의 변위 방향에 교차하는 소정 방향의 일 측의 면에만 마련되는 걸림 결합부로서, 상기 현상제 보급 용기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피걸림 결합부와 걸림 결합되어, 상기 현상제 도입부를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도입구가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걸림 결합부를 구비하고,
(i) 상기 현상제 배출부의 외벽에 포함되고, (ii) 상기 현상제 도입부가 접촉하여 상기 도입구를 상기 배출구와 연통시키고, (iii) 현상제 보급 용기를 현상제 도입 장치에 삽입하는 방향에서 볼 때에 상기 걸림 결합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측의 부분이 상기 배출구보다 낮도록 경사진 경사면에 상기 배출구의 단부가 마련된,
현상제 보급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배출부는 상기 현상제 보급 용기의 장착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현상제 보급 용기의 일부에 대해 이동 가능한 셔터를 갖고, 상기 배출구 및 상기 경사면은 상기 셔터 내에 제공되는, 현상제 보급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7038733A KR102466790B1 (ko) | 2017-09-21 | 2018-09-21 |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7181799A JP7005249B2 (ja) | 2017-09-21 | 2017-09-21 |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
JPJP-P-2017-181799 | 2017-09-21 | ||
PCT/JP2018/036620 WO2019059416A1 (ja) | 2017-09-21 | 2018-09-21 |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38733A Division KR102466790B1 (ko) | 2017-09-21 | 2018-09-21 |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1749A KR20200051749A (ko) | 2020-05-13 |
KR102333345B1 true KR102333345B1 (ko) | 2021-12-01 |
Family
ID=6581140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10137A KR102333345B1 (ko) | 2017-09-21 | 2018-09-21 |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
KR1020227039240A KR20220155406A (ko) | 2017-09-21 | 2018-09-21 |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
KR1020217038733A KR102466790B1 (ko) | 2017-09-21 | 2018-09-21 |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39240A KR20220155406A (ko) | 2017-09-21 | 2018-09-21 |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
KR1020217038733A KR102466790B1 (ko) | 2017-09-21 | 2018-09-21 |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
Country Status (14)
Country | Link |
---|---|
US (5) | US10678165B2 (ko) |
EP (2) | EP3686686B1 (ko) |
JP (1) | JP7005249B2 (ko) |
KR (3) | KR102333345B1 (ko) |
CN (2) | CN111095123B (ko) |
AU (2) | AU2018335799A1 (ko) |
BR (1) | BR112020004070A2 (ko) |
CA (2) | CA3076603C (ko) |
DE (1) | DE112018004236B4 (ko) |
EA (2) | EA039531B1 (ko) |
MA (1) | MA50197A (ko) |
MX (1) | MX2020002931A (ko) |
RU (2) | RU2752559C2 (ko) |
WO (1) | WO201905941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000091B2 (ja) | 2017-09-21 | 2022-01-19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
JP7039226B2 (ja) | 2017-09-21 | 2022-03-22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
JP7009133B2 (ja) | 2017-09-21 | 2022-01-25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補給容器 |
JP7005250B2 (ja) | 2017-09-21 | 2022-01-21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補給容器 |
CN113031415A (zh) * | 2021-03-24 | 2021-06-25 |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 碳粉筒 |
JP2023084617A (ja) | 2021-12-07 | 2023-06-19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2900B1 (ko) * | 2008-02-22 | 2009-08-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현상제카트리지, 현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JP2010256894A (ja) | 2009-03-30 | 2010-11-11 | Canon Inc |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
JP2012150319A (ja) | 2011-01-20 | 2012-08-09 | Ricoh Co Ltd |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4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68205B2 (ja) | 1997-06-19 | 2003-01-20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トナー補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3697066B2 (ja) | 1997-07-31 | 2005-09-21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トナー補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3690117B2 (ja) * | 1998-02-13 | 2005-08-31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現像装置 |
JP3847985B2 (ja) | 1998-11-04 | 2006-11-22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トナー補給容器の再生方法 |
US6314261B1 (en) | 1999-03-17 | 2001-11-06 | Canon Kabushiki Kaisha | Toner container and toner replenishing mechanism |
US7050728B2 (en) | 2003-04-25 | 2006-05-23 | Canon Kabushiki Kaisha | Developer supply container detachably mountable to image forming apparatus detecting the amount of developer remaining in the container |
JP4652783B2 (ja) | 2003-12-10 | 2011-03-16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供給容器 |
RU2407049C2 (ru) * | 2004-11-24 | 2010-12-20 |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 Контейнер подачи проявителя |
JP4603905B2 (ja) | 2005-02-24 | 2010-12-22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
JP2006323082A (ja) | 2005-05-18 | 2006-11-30 | Canon Inc | 現像剤補給容器 |
CN101395542B (zh) | 2006-03-10 | 2012-01-04 | 佳能株式会社 | 处理盒、显影剂供给盒以及电子照相成像装置 |
JP4355715B2 (ja) | 2006-05-23 | 2009-11-04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補給容器 |
BRPI0711775B1 (pt) * | 2006-05-23 | 2018-10-09 | Canon Kk | recipiente e sistema de suprimento de revelador |
US7548710B2 (en) * | 2006-10-25 | 2009-06-16 | Lexmark International, Inc. | Dual sliding shutter system |
JP2009122545A (ja) * | 2007-11-16 | 2009-06-04 | Fuji Xerox Co Ltd | 現像剤収容装置及び現像剤収容装置の生産方法 |
JP5311029B2 (ja) | 2009-02-16 | 2013-10-09 | 村田機械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2010260638A (ja) * | 2009-04-08 | 2010-11-18 |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 トナー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5777469B2 (ja) * | 2010-09-29 | 2015-09-09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
JP5556617B2 (ja) * | 2010-11-22 | 2014-07-23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粉体収容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粉体処理装置 |
JP5786375B2 (ja) * | 2011-03-04 | 2015-09-30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粉体収容器および粉体処理装置 |
JP6083954B2 (ja) * | 2011-06-06 | 2017-02-22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
WO2012169659A1 (en) | 2011-06-06 | 2012-12-13 | Canon Kabushiki Kaisha | Scintillator material and radiation detector using same |
JP5589010B2 (ja) * | 2012-01-31 | 2014-09-10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
JP6021699B2 (ja) | 2013-03-11 | 2016-11-09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
JP6137882B2 (ja) | 2013-03-11 | 2017-05-31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補給容器 |
JP6021701B2 (ja) | 2013-03-19 | 2016-11-09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
JP6180140B2 (ja) | 2013-03-19 | 2017-08-16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補給容器 |
JP6128908B2 (ja) | 2013-03-19 | 2017-05-17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補給キット及び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6025631B2 (ja) | 2013-03-22 | 2016-11-16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補給容器 |
JP6150661B2 (ja) * | 2013-08-12 | 2017-06-21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補給装置 |
JP5564612B1 (ja) * | 2013-12-27 | 2014-07-30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現像剤収容容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JP2015152768A (ja) * | 2014-02-14 | 2015-08-24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の補給容器 |
JP6320082B2 (ja) | 2014-02-28 | 2018-05-09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2016090933A (ja) | 2014-11-10 | 2016-05-23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の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
JP6385251B2 (ja) | 2014-11-10 | 2018-09-05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補給容器、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6429597B2 (ja) | 2014-11-10 | 2018-11-28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補給容器 |
JP2016090932A (ja) | 2014-11-10 | 2016-05-23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補給容器、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6566787B2 (ja) | 2015-08-27 | 2019-08-28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補給容器 |
JP7039226B2 (ja) | 2017-09-21 | 2022-03-22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
JP7000091B2 (ja) | 2017-09-21 | 2022-01-19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
JP7005250B2 (ja) | 2017-09-21 | 2022-01-21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補給容器 |
JP7009133B2 (ja) | 2017-09-21 | 2022-01-25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補給容器 |
-
2017
- 2017-09-21 JP JP2017181799A patent/JP7005249B2/ja active Active
-
2018
- 2018-09-21 WO PCT/JP2018/036620 patent/WO2019059416A1/ja unknown
- 2018-09-21 EP EP18859824.7A patent/EP3686686B1/en active Active
- 2018-09-21 CN CN201880060173.9A patent/CN111095123B/zh active Active
- 2018-09-21 MA MA050197A patent/MA50197A/fr unknown
- 2018-09-21 RU RU2020141242A patent/RU2752559C2/ru active
- 2018-09-21 BR BR112020004070-3A patent/BR112020004070A2/pt unknown
- 2018-09-21 EA EA202090779A patent/EA039531B1/ru unknown
- 2018-09-21 DE DE112018004236.7T patent/DE112018004236B4/de active Active
- 2018-09-21 EP EP22179543.8A patent/EP4102305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8-09-21 KR KR1020207010137A patent/KR10233334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9-21 AU AU2018335799A patent/AU201833579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8-09-21 EA EA202193077A patent/EA202193077A2/ru unknown
- 2018-09-21 MX MX2020002931A patent/MX2020002931A/es unknown
- 2018-09-21 RU RU2020113693A patent/RU2739998C1/ru active
- 2018-09-21 KR KR1020227039240A patent/KR2022015540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8-09-21 CN CN202211241491.XA patent/CN115407631A/zh active Pending
- 2018-09-21 CA CA3076603A patent/CA3076603C/en active Active
- 2018-09-21 CA CA3161893A patent/CA3161893A1/en active Pending
- 2018-09-21 KR KR1020217038733A patent/KR10246679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3-13 US US16/351,824 patent/US10678165B2/en active Active
-
2020
- 2020-04-30 US US16/862,747 patent/US11181851B2/en active Active
-
2021
- 2021-08-06 AU AU2021212119A patent/AU202121211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21-10-13 US US17/500,007 patent/US11592765B2/en active Active
-
2023
- 2023-01-06 US US18/093,857 patent/US11921441B2/en active Active
-
2024
- 2024-01-26 US US18/423,492 patent/US20240168407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2900B1 (ko) * | 2008-02-22 | 2009-08-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현상제카트리지, 현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JP2010256894A (ja) | 2009-03-30 | 2010-11-11 | Canon Inc |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
JP2012150319A (ja) | 2011-01-20 | 2012-08-09 | Ricoh Co Ltd |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
Also Published 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33345B1 (ko) |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 |
KR102417544B1 (ko) |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 |
KR102470949B1 (ko) |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 |
KR102359671B1 (ko) |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 |
KR102552240B1 (ko) |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 |
KR102351905B1 (ko) | 현상제 보급 시스템, 현상제 보급 용기 장착 방법 및 현상제 보급 유닛 | |
JP7254896B2 (ja) | 現像剤補給容器 | |
JP7230247B2 (ja) |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