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249B1 -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 - Google Patents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7249B1 KR102077249B1 KR1020190135049A KR20190135049A KR102077249B1 KR 102077249 B1 KR102077249 B1 KR 102077249B1 KR 1020190135049 A KR1020190135049 A KR 1020190135049A KR 20190135049 A KR20190135049 A KR 20190135049A KR 102077249 B1 KR102077249 B1 KR 1020772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wheelchair
- boarding
- coupled
- do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66F7/0683—Scissor linkage plus tilting a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5—Hydraulic jacks
- B66F2700/055—Jacks with a single cylinder
- B66F2700/057—Pistons, e.g. telescopic; Cylinders or sealing joints; Hydraulic travel-limiting devices or shock damp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애인이 탑승하는 휠체어를 무대, 강당 등과 같은 높은 단층이 형성된 구조 및 지형에 장애인이 탑승한 상태에서 휠체어를 안전하게 올라가거나 내려올 수 있는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애인이 탑승하는 휠체어를 무대, 강당 등과 같은 높은 단층이 형성된 구조 및 지형에 장애인이 탑승한 상태에서 휠체어를 안전하게 올라가거나 내려올 수 있는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의 발전에 따라 장애인 편의시설 및 주거시설 등의 생활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다양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환경개선을 위해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및 환자들은 이동을 위해 전동 또는 수동 휠체어에 탑승하여 이동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단턱 및 단층 등의 구조의 지형, 지물을 이동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한국등록특허 "휠체어용 승강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휠체어용 승강장치가 차량의 탑승구 등에 정확하게 위치되지 않은 경우에도 승강장치 전체를 이동시키지 않고도 승강장치를 차량의 탑승구 등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원형의 가이드홈에 볼베어링이 위치하여 볼베어링이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탑승부를 회전시키고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가이드홈에는 일정간격으로 정지홈이 형성되어 이 정지홈에서 탑승부의 회전이 정지되어 탑승부의 회전 위치를 결정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위치 결정은 정지홈의 설치된 갯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어서 정지홈을 많이 설치하게 되면 구조적으로 약하게 되고, 적게 설치하면 회전각도가 커서 정교한 회전에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하차도어가 일정 높이 이상 올라가야 낮은 경사를 유지하도록 펼칠 수 있어, 일정 높이 이하에서는 높은 경사를 통해 휠체어가 올라가거나 내려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도,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에서 탑승부에 올라가면 장애인이 휠체어의 뒤를 확인할 수 없어 짧은 시간 불안한 상태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애인이 탑승한 휠체어가 이동할 수 없는 높은 단턱이 형성된 지형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대, 강당 등과 같이 높은 단턱이 형성된 위치에서 장애인의 이동이 필요한 시기에 맞춰 편리하게 원하는 위치에서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이 오르내릴 수 있는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다양한 장소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시 별도의 공간에 보관하여 관리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간에 맞춰 휠체어가 손쉽게 올라갈 수 있도록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애인이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에서 휠체어의 고정상태 및 위치를 확인하면서 승하강이 이루어져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한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휠체어를 승차시키는 승차판과 상기 승차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휠체어를 승차시키는 승차도어와 상기 승차판의 타측에 구비되어 휠체어를 하차시키는 하차도어 및 상기 승차도어와 상기 하차도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승차판과 체결되어 일정의 높이를 갖는 보호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차테이블; 상기 승차테이블의 하부에 체결되는 상단프레임; 상기 상단프레임과 하나 이상의 가이드프레임으로 체결되고, 상단프레임 또는 가이드프레임과 체결되어 리프트장치에 의해 상기 승차테이블 및 상기 상단프레임을 승하강 이동가능하며, 이동바퀴가 구비된 하단프레임; 상기 승차테이블에 구비되어 승차한 장애인이 상기 휠체어의 위치를 확인할 수 감지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교차부분이 회동가능한 "X"자형 프레임이 일정한 간격 이격되어 각각 배치된 이중구조로 구성되어 하단부분은 상기 하단프레임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부분은 상기 상단프레임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단프레임은 상기 승차테이블의 외형에 결합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단이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레일이 형성된 제1레일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하단프레임에는 상기 제1레일프레임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하단이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레일이 형성된 제2레일프레임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차도어는 일측 끝단이 상기 승차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하차프레임과, 상기 제1하차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휠체어가 이동하는 제1지지판과,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가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하차프레임의 타측으로 노출되는 제2하차프레임과, 상기 제2하차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휠체어가 이동하는 제2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지지판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 사이에 공간에 형성된 단턱을 마감하여 휠체어가 이동할 수 있는 보조경사판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하차프레임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하차프레임의 측면을 밀착하여 상기 제2하차프레임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승차판에 배치된 상기 휠체어의 위치를 판단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상기 휠체어의 위치를 탑승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에 따르면, 장애인이 탑승한 휠체어가 무대, 강당 등과 같이 높은 단턱이 형성된 지형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애인의 이동이 필요한 시기에 맞춰 편리하게 원하는 위치에서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이 오르내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다양한 장소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시 별도의 공간에 보관하여 관리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된 공간에 따라 휠체어가 손쉽게 올라갈 수 있도록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애인이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에서 휠체어의 고정상태 및 안전한 위치로 이동 및 확인하면서 승하강이 이루어져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차도어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차도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감지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차도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차도어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차도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감지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차도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차도어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차도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감지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차도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애인이 탑승하는 휠체어를 무대, 강당 등과 같은 높은 단층이 형성된 구조 및 지형에 장애인이 탑승한 상태에서 휠체어를 안전하게 올라가거나 내려올 수 있는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장애인이 탑승한 휠체어를 승/하차 시 단턱, 계단 등이 형성된 지형에 맞춰 높이를 조절하여 원활하게 통행하며, 탑승한 휠체어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승차테이블(10), 상단프레임(20), 하단프레임(30) 및 감지장치(40)로 구성된다.
상기 승차테이블(10)은 휠체어(100)를 승차시키는 승차판(11)과 상기 승차판(11)의 일측에 구비되어 휠체어(100)를 승차시키는 승차도어(12)와 상기 승차판(11)의 타측에 구비되어 휠체어(100)를 하차시키는 하차도어(13) 및 상기 승차도어(12)와 상기 하차도어(13)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승차판(11)에 체결되어 일정의 높이를 갖는 보호가이드(18)를 로 구성된다.
상기 상단프레임(20)은 상기 승차테이블(10)의 하부에 체결된다.
상기 하단프레임(30)은 상기 상단프레임(20)과 하나 이상의 가이드프레임(31)으로 체결되고, 상기 상단프레임(20) 또는 상기 가이드프레임(31)에 체결되어 리프트장치(32)에 의해 상기 승차테이블(10) 및 상기 상단프레임(20)을 승하강 이동가능하며, 이동바퀴(33)가 구비된다.
상기 감지장치(40)는 상기 승차테이블(10)에 구비되어 승차한 장애인이 상기 휠체어(100)의 위치를 확인한다.
이와 같이 승차도어(12) 및 하차도어(13)로 상기 휠체어(100)가 이동한 후 상기 가이드프레임(31) 및 상기 리프트장치(32)를 통해 상기 승차테이블(10)을 승하강시켜 단턱, 계단 등과 같이 상기 휠체어가 이동할 수 없는 지형을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장치(40)를 통해 상기 승차테이블(10)에 올라간 상기 휠체어(100)의 위치를 확인하여 장애인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승차테이블(10)은 상기 휠체어(100)를 지지하는 승차판(11)과, 상기 승차판(1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상기 승차도어(12) 및 상기 하차도어(13)와, 상기 승차도어(12) 및 상기 하차도어(13)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승차판(11)에 결합된 보호가이드(18)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승차판(11)은 상단에 상기 휠체어(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넓이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승차판(11)에는 탑승한 상기 휠체어(100)가 이동하지 않도록 휠체어바퀴를 체결하는 체결장치(미도시)를 더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승차도어(12)는 상기 승차판의 일측에 회전을 통해 펼침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휠체어(100)가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승차도어(12)는 상기 휠체어(100)가 이동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며, 힌지구조를 통해 상기 승차판(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승차판(11)의 수평 및 수평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승차도어(12)는 미사용 및 승하강시 상기 보호가이드(18)에 밀착되어 이동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크기가 감소되고, 승하강시 상기 휠체어(10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상기 승차도어(12)는 상기 승차판(11)에 탑승한 상기 휠체어(100)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를 가지는 지면, 무대, 강당 등에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100)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차도어(12)를 개폐하는 여닫음장치(5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여닫음장치(50)는 상기 승차도어(12)가 상기 보호가이드(18)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승차도어(12)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승차도어(12)는 상기 보호가이드(18) 또는 상기 승차판(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고정부재(51)와, 상기 승차도어(12)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51)가 삽입고정되는 고정돌기(52)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승차도어(12)는 상기 보호가이드(18)에 밀착된 접혀진 상태에서 임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하차도어(13)는 상기 승차판(11)의 타측에 회전을 통해 펼침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휠체어(100)가 이동한다.
이러한 상기 하차도어(13)는 상기 승차도어(12)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되, 상기 승차도어(12) 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로 형성되어 지면 및 바닥에서 상기 휠체어(100)가 상기 승차판(11)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차도어(13)에는 사용자가 손쉽게 상기 하차도어(13)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승차판(11)에 결합되어 기어구조를 통해 상기 하차도어를 회전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차도어(13)는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길이가 확장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경사각도를 형성하여 상기 휠체어(100)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제1하차프레임(14), 제1지지판(15), 제2하차프레임(16) 및 제2지지판(17)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하차프레임(14)은 일측 끝단이 상기 승차판(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4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하차프레임(14)은 힌지구조를 통해 상기 승차판(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지지판(15)은 상기 제1하차프레임(14)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휠체어(100)가 이동한다.
상기 제2하차프레임(16)은 상기 가이드홈(14a)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16a)가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하차프레임(14)의 타측으로 노출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16a)를 롤러, 바퀴 및 가이드돌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2하차프레임(16)이 상기 제1하차프레임(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지지판(17)은 상기 제2하차프레임(16)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휠체어(100)가 이동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지지판(15)과 상기 제2지지판(17)은 상기 제1하차프레임(14) 및 상기 제2하차프레임(16)의 상단에 결합되어 넓은 면적으로 통해 상기 휠체어(1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하차프레임(16)은 상기 제1하차프레임(14)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삽입 또는 돌출되어 긴 길이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하차도어(13)는 넓은 공간에서는 상대적으로 긴 길이로 인해 지면과 상기 승차판(11)의 낮은 각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휠체어(100)가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고, 협소한 공간에서는 상기 제1지지판(15)의 짧은 길이를 통해 넓은 공간보다 상대적으로 큰 각도에서 상기 휠체어(100)가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하차프레임(14)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하차프레임(16)의 측면을 밀착하여 상기 제2하차프레임(16)을 고정하는 고정수단(70)이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수단(70)은 캠, 탄성부재를 통해 회전 시 상기 제2하차프레임(16)의 측면을 밀착시켜 고정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2하차프레임(16)의 인출된 길이를 조절하여 공간에 맞춰 길이를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수단(70)은, 밀착방식을 통해 상기 제2하차프레임(16)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나, 상기 제2하차프레임(16)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끼움홈과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어 고정하는 끼움돌기를 이용한 끼움방식 등과 같이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지지판(15)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지지판(15)과 상기 제2지지판(17) 사이에 공간에 형성된 단턱을 마감하여 상기 휠체어(100)가 이동할 수 있는 보조경사판(60)이 더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경사판(60)은 상기 제1하차프레임(14) 또는 상기 제1지지판(15)의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하차프레임(14) 또는 상기 제2지지판(17)의 인출 시 밀착되어 상기 제1지지판(15)과 상기 제2지지판(17) 사이에 경사면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보조경사판(60)은 상기 제2지지판(17)의 인입시 상기 제1지지판(15)의 하단부분을 개폐하여 외부에서 노출 않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보호가이드(18)는 상기 승차판(11)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휠체어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상단프레임(20)은 상기 승차판(11)을 하단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하단프레임(30)은 상기 상단프레임(20)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31)을 통해 상기 상단프레임(20) 및 상기 승차테이블(10)을 승하강시키며, 상기 이동바퀴(33)를 통해 용이하게 위치이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프레임(31)은 교차부분이 회동가능한 "X"자형 프레임이 일정한 간격 이격되어 각각 배치된 이중구조로 구성되어 하단부분은 상기 하단프레임(30)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부분은 상기 상단프레임(20)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프레임(31)과 상기 하단프레임(30)에 양측단이 연결된 상기 리프트장치(32)를 통해 상기 가이드프레임(31)을 승하강시킨다.
이때, 상기 리프트장치(32)는 공/유압 실린더 방식 또는 구동모터를 이용한 방식 중 적절한 방식을 모두 이용 가능하며, 제작자의 판단에 따라 상기 리프트장치(32)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회로, 콘트롤박스 및 제어버튼을 구비한 제어부(36)가 더 포함하여 안정적인 제어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단프레임(20)은 상기 승차테이블(10)의 외형에 결합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프레임(31)의 상단이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레일이 형성된 제1레일프레임(2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단프레임(30)에는 상기 제1레일프레임(21)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31)의 하단이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레일이 형성된 제2레일프레임(34)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프레임(31)을 "X자로 교차된 상태에서 상단 및 하단의 어느 하나는 상기 제1레일프레임(21) 및 상기 제2레일프레임(34)에 고정되고, 고정되지 않은 쪽은 길이방향이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36)를 조작하여 상기 리프트장치(32)에 동력을 전달하면, 상기 가이드프레임(31)은 상기 제1레일프레임(21) 및 상기 제2레일프레임(34)에 각각 형성된 레일을 따라 상기 가이드프레임(31)의 양측 끝단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교차부분이 회동되어 상기 승차테이블(10)의 승하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단프레임(30)에는 상기 이동바퀴(33)에 의해 이동을 고정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장치(35)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브레이크장치(35)는 상기 이동바퀴(33) 또는 상기 하단프레임(30)에 위치하여 상기 이동바퀴의 회전 또는 상기 지면에 밀착되어 이동을 제한한다.
또한, 상기 하단프레임(30)의 양측단 에는 강당, 무대 등에 의해 형성된 단턱에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밀착할 수 있는 밀착부재(37)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밀착부재(37)는 상기 하단프레임(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끝단에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질을 통해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장치(40)는 상기 승차판(11)에 위치한 상기 휠체어(100)의 양측 및 후면을 감지하여 장애인이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감지장치(40)는 상기 승차판(11)에 배치된 상기 휠체어(100)의 위치를 판단하는 감지수단(41)과, 상기 감지수단(41)에 의해 감지된 상기 휠체어의 위치를 탑승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감지수단(41)은, 상기 승차판(11) 또는 상기 보호가이드(18)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카메라 및 감지센서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휠체어(100)가 상기 승차판(11)에 탑승한 위치를 촬영하거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차판(11)의 상단에는 상기 휠체어가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위치를 표시하는 배치라인(11a)이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배치라인(11a)은 페인트, 테이프 등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2)는 상기 감지수단(41)을 통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촬영영상 및 감지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휠체어(100)의 위치를 표시한다.
이를 통해 상기 휠체어(100)에 탑승한 장애인은 상기 디스플레이부(42)를 통해 상기 승차판(11)에 위치한 상기 휠체어(100)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하단프레임(30)의 상단에 상기 가이드프레임(31)과 상기 리프트장치(32)를 통해 승하강 가능하도록 상기 상단프레임(20)을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상단프레임(20)의 상단에 상기 승차테이블(10)을 결합되며, 상기 승차테이블(10)은 상기 승차도어(12) 및 상기 하차도어(13)를 통해 상기 휠체어(100)가 이동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바퀴(33)를 통해 강당, 무대 등과 같이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휠체어(100)가 이동이 필요한 지역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하차도어(13)를 회전시켜 지면을 향하도록 펼쳐 상기 휠체어(100)가 올라가거나 내려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차도어(13)는 상기 제2하차프레임(16)을 상기 하단프레임(30)이 위치한 상태에서 공간여부에 따라 상기 인출시켜 상기 휠체어가 올라가기 편하도록 경사각을 최대한 낮출 수 있다.
이렇게 상기 하차도어(13)가 펼쳐진 상태에서 장애인이 탑승한 상기 휠체어(100)를 상기 승차판(11)으로 이동한다.
이후, 상기 하차도어(13)를 상부로 회전시켜 상기 휠체어(100)가 이탈하지 않도록 닫은 후 상기 가이드프레임(31) 및 상기 리프트장치(32)를 통해 상기 승차테이블(10)을 승강시킨다.
이때, 상기 휠체어(100)는 상기 감지수단(41)에 의해 상기 승차판(11)에 위치한 상태를 상기 휠체어(100)에 탑승한 장애인이 용이하게 확인하여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승차테이블(10)이 승강이 완료된 후 상기 승차도어(12)를 펼쳐 강당, 무대 등과 같이 단턱이 형성된 상단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킨 후 상기 휠체어(100)를 이동한다.
이를 통해 상기 휠체어(100)가 이동할 수 없는 높은 단턱을 가지는 무대, 강당 등을 편리하게 올라갈 수 있다.
그리고 올라가는 방법과 역방향으로 작동하여 무대 및 강당 등에 올라간 휠체어(100)를 안정적으로 내릴 수 있다.
따라서 행사 등에 따라 상기 휠체어(100)를 탑승한 장애인의 이동이 필요한 시기에 맞춰 용이하게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고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별도의 공간에 보관할 수 있어 효율적인 운영 및 관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휠체어(100)가 이동하기 위한 필요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어 장애인의 이동이 필요한 위치로 이동하여 한정적인 구역 및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효율적인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승차테이블 11: 승차판 11a: 배치라인
12: 승차도어 13: 하차도어
14: 제1하차프레임 14a: 가이드홈
15: 제1지지판 16: 제2하차프레임
16a: 이동부재 17: 제2지지판
18: 보호가이드
20: 상단프레임 21: 제1레일프레임
30: 하단프레임 31: 가이드프레임 32: 리프트장치
33: 이동바퀴 34: 제2레일프레임
35: 브레이크장치 36: 제어부
37: 밀착부재
40: 감지장치 41: 감지수단 42: 디스플레이부
50: 여닫음장치 51: 고정부재 52: 고정돌기
60: 보조경사판
70: 고정수단
100: 휠체어
12: 승차도어 13: 하차도어
14: 제1하차프레임 14a: 가이드홈
15: 제1지지판 16: 제2하차프레임
16a: 이동부재 17: 제2지지판
18: 보호가이드
20: 상단프레임 21: 제1레일프레임
30: 하단프레임 31: 가이드프레임 32: 리프트장치
33: 이동바퀴 34: 제2레일프레임
35: 브레이크장치 36: 제어부
37: 밀착부재
40: 감지장치 41: 감지수단 42: 디스플레이부
50: 여닫음장치 51: 고정부재 52: 고정돌기
60: 보조경사판
70: 고정수단
100: 휠체어
Claims (7)
- 휠체어를 승차시키는 승차판(11)과 상기 승차판(11)의 일측에 구비되어 휠체어(100)를 승차시키는 승차도어(12)와 상기 승차판(11)의 타측에 구비되어 휠체어(100)를 하차시키는 하차도어(13) 및 상기 승차도어와 상기 하차도어(13) 사이에 위치하고, 승차판(11)과 체결되어 일정의 높이를 갖는 보호가이드(1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차테이블(10);
상기 승차테이블(10)의 하부에 체결되는 상단프레임(20);
상기 상단프레임(20)과 하나 이상의 가이드프레임(31)으로 체결되고, 상기 상단프레임(20) 또는 상기 가이드프레임(31)과 체결되어 리프트장치(32)에 의해 상기 승차테이블(10) 및 상기 상단프레임(20)을 승하강 이동가능하며, 이동바퀴(33)가 구비된 하단프레임(30);
상기 승차테이블(10)에 구비되어 승차한 장애인이 상기 휠체어(1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감지장치(40)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차도어(13)는, 일측 끝단이 상기 승차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4a)이 형성된 제1하차프레임(14)과, 상기 제1하차프레임(14)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휠체어(100)가 이동하는 제1지지판(15)과, 상기 가이드홈(14a)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16a)가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하차프레임(14)의 타측으로 노출되는 제2하차프레임(16)과, 상기 제2하차프레임(16)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휠체어가 이동하는 제2지지판(17)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하차프레임(14)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하차프레임(16)의 측면을 밀착하여 상기 제2하차프레임(16)을 고정하는 고정수단(7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31)은,
교차부분이 회동가능한 "X"자형 프레임이 일정한 간격 이격되어 각각 배치된 이중구조로 구성되어 하단부분은 상기 하단프레임(30)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부분은 상기 상단프레임(20)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프레임(20)은 상기 승차테이블(10)의 외형에 결합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프레임(31)의 상단이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레일이 형성된 제1레일프레임(21)이 구비되며,
상기 하단프레임(30)에는 상기 제1레일프레임(21)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31)의 하단이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레일이 형성된 제2레일프레임(3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판(15)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지지판(15)과 상기 제2지지판(17) 사이에 공간에 형성된 단턱을 마감하여 휠체어가 이동할 수 있는 보조경사판(6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40)는,
상기 승차판에 배치된 상기 휠체어의 위치를 판단하는 감지수단(41)과,
상기 감지수단(41)에 의해 감지된 상기 휠체어의 위치를 탑승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5049A KR102077249B1 (ko) | 2019-10-29 | 2019-10-29 |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5049A KR102077249B1 (ko) | 2019-10-29 | 2019-10-29 |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77249B1 true KR102077249B1 (ko) | 2020-02-13 |
Family
ID=69515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5049A KR102077249B1 (ko) | 2019-10-29 | 2019-10-29 |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7249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9971B1 (ko) | 2020-08-06 | 2021-04-13 | 고경자 | 완충모듈을 구비한 휠체어용 리프트 승강장치 |
KR102239978B1 (ko) | 2020-08-06 | 2021-04-14 | 고경자 | 휠체어용 리프트 승강장치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
KR20210115312A (ko) | 2020-03-12 | 2021-09-27 | 노은영 | 휠체어 리프트 장치 |
KR102356283B1 (ko) * | 2021-07-20 | 2022-02-08 | 주식회사 유디센터 | 휠체어 보관 및 리프팅 시스템 |
KR20220056392A (ko) | 2020-10-28 | 2022-05-06 | 주충호 | 이동식 휠체어 리프트 |
KR102696430B1 (ko) * | 2024-04-01 | 2024-08-19 | (주)다성테크놀로지 | 전동식 장애인 휠체어용 리프트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37491A (ja) * | 1994-02-28 | 1995-09-12 | Wako Kogyo Kk | 車両用昇降装置 |
JPH08157155A (ja) * | 1994-12-01 | 1996-06-18 |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 身障者兼用エレベータ乗りかご |
JP2001031379A (ja) * | 1999-07-22 | 2001-02-06 | Takashi Ito | 車椅子用リフト |
KR101083365B1 (ko) * | 2011-05-19 | 2011-11-14 | (주)다성테크놀로지 | 휠체어 승강장치 |
-
2019
- 2019-10-29 KR KR1020190135049A patent/KR10207724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37491A (ja) * | 1994-02-28 | 1995-09-12 | Wako Kogyo Kk | 車両用昇降装置 |
JPH08157155A (ja) * | 1994-12-01 | 1996-06-18 |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 身障者兼用エレベータ乗りかご |
JP2001031379A (ja) * | 1999-07-22 | 2001-02-06 | Takashi Ito | 車椅子用リフト |
KR101083365B1 (ko) * | 2011-05-19 | 2011-11-14 | (주)다성테크놀로지 | 휠체어 승강장치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15312A (ko) | 2020-03-12 | 2021-09-27 | 노은영 | 휠체어 리프트 장치 |
KR102239971B1 (ko) | 2020-08-06 | 2021-04-13 | 고경자 | 완충모듈을 구비한 휠체어용 리프트 승강장치 |
KR102239978B1 (ko) | 2020-08-06 | 2021-04-14 | 고경자 | 휠체어용 리프트 승강장치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
KR20220018393A (ko) | 2020-08-06 | 2022-02-15 | 고경자 | 휠체어용 리프트 승강장치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
KR20220056392A (ko) | 2020-10-28 | 2022-05-06 | 주충호 | 이동식 휠체어 리프트 |
KR102423522B1 (ko) | 2020-10-28 | 2022-07-20 | 주충호 | 이동식 휠체어 리프트 |
KR102356283B1 (ko) * | 2021-07-20 | 2022-02-08 | 주식회사 유디센터 | 휠체어 보관 및 리프팅 시스템 |
KR102696430B1 (ko) * | 2024-04-01 | 2024-08-19 | (주)다성테크놀로지 | 전동식 장애인 휠체어용 리프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77249B1 (ko) |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 | |
US8739935B2 (en) | Portable wheel chair lift | |
KR101020722B1 (ko) | 장애인 휠체어 승강 리프트 | |
KR100936020B1 (ko) | 저상식 휠체어 리프트 | |
KR101372262B1 (ko) | 휠체어용 승강장치 | |
CA1119131A (en) | Wheelchair lift | |
KR101924901B1 (ko) | 휠체어 리프트장치 | |
KR101800553B1 (ko) | 노약자 및 장애인 전용 전동의자 | |
KR102239978B1 (ko) | 휠체어용 리프트 승강장치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 |
JP3034245B1 (ja) | 車椅子用の座席ユニット及び車椅子 | |
KR20210055412A (ko) | 계단 승월 장치 | |
KR102239971B1 (ko) | 완충모듈을 구비한 휠체어용 리프트 승강장치 | |
JP3042326B2 (ja) | 車両用シートの昇降装置 | |
JP3146414B2 (ja) | 玄関リフト | |
KR100454007B1 (ko) | 휠체어 리프트장치 | |
JP2927749B2 (ja) | 車椅子用リフト | |
JP7031054B1 (ja) | 介護用移動式人体吊り上げリフト | |
JP4296121B2 (ja) | 昇降用椅子 | |
KR200153406Y1 (ko) | 매입형 승강식 휠체어 이동장치 | |
JP2984237B2 (ja) | 階段用昇降装置 | |
JP3035006U (ja) | 身体障害者等のためのリフター | |
JP2004313476A (ja) | 段差移動用リフト | |
JP2671098B2 (ja) | 階段昇降装置 | |
WO2024170016A1 (en) | Assembly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 wheelchair for transporting persons with disability | |
JP2875939B2 (ja) | 階段昇降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