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10115312A - 휠체어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휠체어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5312A
KR20210115312A KR1020200030894A KR20200030894A KR20210115312A KR 20210115312 A KR20210115312 A KR 20210115312A KR 1020200030894 A KR1020200030894 A KR 1020200030894A KR 20200030894 A KR20200030894 A KR 20200030894A KR 20210115312 A KR20210115312 A KR 20210115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oarding
wheelchair
phase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7125B1 (ko
Inventor
노은영
Original Assignee
노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은영 filed Critical 노은영
Priority to KR1020200030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125B1/ko
Publication of KR20210115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6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 B66B9/08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associated with stairways, e.g. for transporting disabled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8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ar or cage and w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휠체어 리프트 장치는 휠체어가 탑승하는 탑승부와, 탑승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탑승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부와, 승강부 하단에 결합되고 지면에 밀착되어 승강부와 탑승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탑승부의 후면에 배치되어 탑승부로부터 단상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 그리고 자동 상승 모드가 실행되면, 감지된 단상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탑승부가 단상의 높이까지 상승 이동하도록 승강부를 구동 제어하는 승강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본 휠체어 리프트 장치는 자동 상승 모드를 통해 탑승부를 단상 높이까지 정확하게 승강시킴으로써, 단차 구역간의 휠체어 이동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뤄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휠체어 리프트 장치{wheelchair lift device}
본 발명은 휠체어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휠체어가 탑승하게 형성되는 탑승부를 승강 이동시켜 단차를 가지는 구역 간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되, 자동 상승 모드가 실행되면 단상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탑승부를 단상의 높이까지 정확하게 상승시킴으로써 안전하고 편리하게 단차 구역 간의 이동을 가능하게하는 휠체어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장애인의 복지에 관련하여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장애인으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고 윤택한 활동과 생활이 가능하도록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 및 복지시설 등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진 장애인에게 이동 및 활동에 제약이 있는 장소가 많아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같은 생활을 누리기에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및 환자들은 휠체어에 탑승하여 이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휠체어를 탄채로 단상과 같이 단차가 큰 장소에 오르내리는 것은 불가능 하다. 물론 이러한 단차가 큰 곳에는 경사로를 설치하여 휠체어의 오르내림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지만, 단차가 큰 단상에 휠체어가 안전하고 쉽게 오르내릴 수 있을 정도로 완만한 경사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긴 경사로가 설치되야 한다는 점에서 공간 제약의 문제로 이 또한 쉽지 않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2077249호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이하, '종래기술'이라 칭한다)가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승차판에 휠체어가 탑승 가능한 승차판을 승강 이동시켜 휠체어를 탑승한 채로 단상과 같이 단차가 큰 장소에도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종래기술의 경우 단상에 오를 때, 수동 조작을 통해 승차판의 높이를 조절해야하기 때문에 승차판의 높이를 단상의 높이에 정확하게 맞추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한 번에 승차판의 높이를 단상과 정확하게 맞추지 못할 경우 높이를 재조절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높이 조절에 실패한 상태로 휠체어가 승차판에서 단상으로 오를 경우 휠체어 탑승자의 안전사고 문제가 발생 가능하다는 점에서 한계점이 존재한다.
또한, 종래기술은 승차판의 일측에 승차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휠체어가 승차판에서 단상에 오를 시 승차도어가 외측으로 회동 개방되며 승차판과 단상을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승차도어가 승차판과 단상과의 이격 공간에 다리를 형성하도록 하였는데, 휠체어리프트 장치의 위치 선정에 실패하여 승차판과 단상과의 이격 간격이 승차도어의 길이보다 길 때에는 승차도어의 끝단이 단상에 걸리지 못하게 되어 지지력을 얻을 수 없으며, 이를 확인하지 못하고 승차도어를 통해 단상에 오를시 낙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77249호 (2020.02.07)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자동 상승 모드를 통해 휠체어가 탑승하는 탑승부를 단상의 높이에 맞추어 정확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휠체어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탑승부가 단상의 높이까지 상승한 상태에서 탑승부로부터 단상까지의 거리와 디딤판의 길이를 감안하여 디딤판의 개방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디딤판을 통한 안전한 단상 오름이 가능하도록 하는 휠체어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는, 휠체어가 탑승하는 탑승부와, 탑승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탑승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부와, 승강부 하단에 결합되고 지면에 밀착되어 승강부와 탑승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탑승부의 후면에 배치되어 탑승부로부터 단상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 그리고 자동 상승 모드가 실행되면, 감지된 단상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탑승부가 단상의 높이까지 상승 이동하도록 승강부를 구동 제어하는 승강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자동 상승 모드에서, 승강 제어부는 설정거리 이내에 단상의 측면이 감지되면 탑승부가 상승 이동되도록 승강부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상승 모드에서 탑승부의 상승 이동 시, 승강 제어부는 설정거리 이내에 단상의 측면이 감지되지 않는 시점에서 탑승부의 상승 이동이 정지된 후 하강 이동되도록 승강부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상승 모드에서 탑승부의 하강 이동시, 승강 제어부는 설정거리 이내에 단상의 측면이 감지되는 시점에서 탑승부의 하강 이동이 정지되도록 승강부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승강 제어부는 탑승부가 정지 후 하강 이동할 때에는 상승 이동할 때보다 저속으로 이동하도록 승강부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는, 휠체어가 탑승하는 탑승부와, 탑승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탑승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부와, 승강부 하단에 결합되고 지면에 밀착되어 승강부와 탑승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탑승부의 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끝단이 상향하도록 회동하여 탑승부 후면의 상측을 가로막는 차단 상태가 되거나 또는 외측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여 단상의 상면과 탑승부의 상면을 연결하는 연결 상태가 되는 단상 디딤판과, 탑승부의 후면에 배치되어 탑승부로부터 단상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 그리고 감지된 단상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차단 상태 또는 연결 상태가 되도록 단상 디딤판을 구동 제어하는 디딤판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디딤판 제어부는 단상 디딤판 개방 신호가 생성되면 연결 상태가 되도록 단상 디딤판을 구동 제어하되, 단상까지의 거리가 단상 디딤판의 길이 이상인 경우, 단상 디딤판 개방 신호가 생성되어도 차단 상태가 유지되도록 단상 디딤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휠체어 리프트 장치는 지지부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끝단에 경사부가 구비되어, 일면이 지면에 밀착되도록 외측으로 회동하면 경사부가 지면과 연결되는 상향 경사면을 형성하는 연장판과, 탑승부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휠체어가 탑승하면 끝단이 상향하도록 회동하여 탑승부 전면의 상측을 가로막는 차단 상태가 되거나, 또는 외측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여 경사부의 경사면과 탑승부의 상면을 연결하는 지면 디딤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 상승 모드로 탑승부를 상승 이동시킬 때, 단상의 벽면 감지를 통해 단상의 벽면이 감지될 때에는 탑승부가 상승하고 단상의 벽면이 감지되지 않으면 하강 후에 단상의 벽면이 감지될 때 탑승부를 정지시켜 탑승부를 단상 높이까지 정확하게 승강시킴으로써, 단차 구역간의 휠체어 이동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뤄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탑승부가 단상의 높이까지 상승한 상태에서 탑승부와 단상 간의 거리가, 탑승부와 단상을 연결하는 단상 디딤판의 길이 이상인 경우 단상 디딤판이 개방되지 않고 휠체어가 단상으로 오르는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탑승부와 단상 간의 이격 공간에 의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가이드 봉과 연장판이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지면 디딤판이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에 휠체어가 지면으로부터 탑승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에서 휠체어가 단상으로 하차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a,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부가 단상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승 및 하강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상 디딤판이 단상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개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자동 상승 모드에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가이드 봉(19,20)과 연장판(16)이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지면 디딤판(15)이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에 휠체어가 지면으로부터 탑승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에서 휠체어가 단상(P)으로 하차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는 휠체어가 탑승하는 탑승부(11), 탑승부(11)의 하단에 결합되어 탑승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부(12), 승강부(12)의 하단에 결합되고 지면에 밀착되어 승강부(12)와 탑승부(11)를 지지하는 지지부(13)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는 휠체어가 단상(P)으로부터 탑승부(11)에 탑승하거나 탑승부(11)에서 단상(P)으로 하차할 때 휠체어의 승하차가 안전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단상 디딤판(14)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상 디딤판(14)은 탑승부(11)의 후면(단상 방향의 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데, 단상 디딤판(14)은 탑승부(11)가 단상(P)의 높이에 정지한 상태에서 외측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여 단상(P)의 상면과 탑승부(11)의 상면을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함으로써, 휠체어가 단상(P)에서 탑승부(11)로 탑승하거나 탑승부(11)에서 단상(P)으로 하차할 때, 탑승부(11)와 단상(P) 사이에 이격 공간에 의한 위험을 방지한다. 이뿐 아니라 단상 디딤판(14)은 휠체어가 탑승부(11)에 탑승한 상태에서는 끝단이 상향하도록 회동하여 탑승부(11) 후면의 상측을 가로막아 휠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차단 상태가 됨으로써, 탑승부(11)의 승강 이동 중에 탑승부(11) 상의 휠체어를 낙상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는 휠체어가 지면으로부터 탑승부(11)에 탑승하거나 탑승부(11)에서 지면으로 하차할 때 휠체어의 승하차가 용이하도록 하는 지면 디딤판(15)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면 디딤판(15)은 탑승부(11)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데, 지면 디딤판(15)은 탑승부(11)가 가장 낮은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외측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여 지면과 탑승부(11) 간의 단턱을 해소시켜 주는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휠체어의 승하차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지면 디딤판(15) 역시 단상 디딤판(14)과 같이 휠체어가 탑승부(11)에 탑승한 상태에서는 끝단이 상향하도록 회동하여 탑승부(11) 전면의 상측을 가로막아 휠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차단 상태가 됨으로써, 탑승부(11)의 승강 이동 중에 탑승부(11) 상의 휠체어를 낙상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지면과 탑승부(11) 간의 단턱을 해소시켜 주는 경사면을 더욱 완만하게 형성하여 휠체어의 승하차가 더욱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는 연장판(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판(16)은 지지부(13)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끝단에 측 단면이 직각 삼각형을 이루는 경사부(16a)가 구비되어, 일면이 지면에 밀착되도록 외측으로 회동하면 경사부(16a)가 지면과 연결되는 상향 경사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지면 디딤판(15)은 외측으로 회동하면 경사부(16a)의 경사면과 탑승부(11)를 연결할 수 있다. 즉, 경사부(16a)와 지면 디딤판(15)이 함께 지면과 탑승부(11)를 연결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며, 이때 경사부(16a)와 지면 디딤판(15)이 함께 형성하는 경사면은 지면 디딤판(15)이 단독으로 형성하는 경사면에 비하여 길고 완만하게 형성되어, 이를 이용한 휠체어의 승하차를 더욱 용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지면 디딤판(15)과 경사부(16a)가 함께 경사면을 형성할 때, 지면 디딤판(15)의 끝단이 경사부(16a)의 경사면에 걸침으로써 지면 디딤판(15)이 지지되도록 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경사부(16a)의 수직면에 경사면과 단차지게 형성되는 걸침부가 형성되고 지면 디딤판(15)의 끝단이 걸침부에 걸쳐짐으로써, 지면 디딤판(15)과 경사부(16a)가 함께 경사면을 형성할 때 지면 디딤판(15)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는 탑승부(11) 승강 이동시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 탑승부(11)의 후면을 차단하는 단상 디딤판(14)과, 전면을 차단하는 지면 디딤판(15) 외에도 탑승부(11)의 양 측면을 차단하는 제1 가드부(17)와 제2 가드부(1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드부(17)는 탑승부(11)의 일측 상면에 배치되어 탑승부(11)의 일측 상면을 가로막도록 형성됨으로써, 휠체어가 탑승부(11)의 일측을 통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제2 가드부(18)는 탑승부(11)의 타측 상면에 배치되어 탑승부(11)의 타측 상면을 가로막도록 형성됨으로써, 휠체어가 탑승부(11)의 타측을 통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탑승부(11)가 승강 이동 중에는 단상 디딤판(14), 지면 디딤판(15), 제1 가드부(17), 제2 가드부(18)에 의하여 탑승부(11)의 전후좌우면 상측이 차단되어 탑승부(11)에 탑승한 휠체어를 낙상사고로부터 보호한다.
그리고 탑승부(11)의 일측에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가이드 봉(19)이 배치되고, 탑승부(11)의 타측에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가이드 봉(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 봉(19,20)은 수평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는 수평부와 수평부의 양 끝단으로부터 하향 연장 형성되어 수평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수직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가이드 봉(19,20)이 회동하여 펼쳐진 상태에서 수평부는 각각 제1 가드부(17)와 제2 가드부(18)의 상측에 배치되어, 휠체어 탑승자가 안전 또는 추진력 생성을 위한 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드부(17)와 제2 가드부(18) 중 어느 하나의 가드부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탑승부(11)의 상승 이동 신호, 하강 이동 신호, 단상 디딤판 개방 신호, 단상 디딤판 접힘 신호, 단상 디딤판 세움 신호, 지면 디딤판 개방 신호, 지면 디딤판 접힘 신호, 지면 디딤판 세움 신호, 연장판 개방 신호, 연장판 점힘 신호, 제1 및 제2 가이드 봉 개방 신호, 제1 및 제2 가이드 봉 접힘 신호, 자동 상승 이동 신호 및 자동 하강 이동 신호 등의 각종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21)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21)는 제1 및 제2 가드부(17, 18) 중 어느 하나의 가드부에 배치 가능할 뿐아니라 별도의 단말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는 특정 단상(P) 부근에 고정 설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휠체어의 오르내림이 요구되는 모든 단상(P)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는 보관 시 부피 감소를 위해, 단상 디딤판(14), 지면 디딤판(15), 연장판(16), 제1 가이드 봉(19), 제2 가이드 봉(20)이 회동하여 접힘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부(22)와 손잡이(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퀴부(22)는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손잡이(23)는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타측면에 배치되어,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일측면이 하향하게 휠체어 리프트 장치를 세운 상태로 바퀴부(22)를 통해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바퀴부(22)는 탑승부(11) 및 지지부(13)와 더 가깝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바퀴(22a)와, 제1 바퀴(22a)에 비하여 탑승부(11) 및 지지부(13)와 더 멀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휠체어 리프트 장치가 세워져 바퀴부(22)가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몸체를 지지할 때,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몸체가 탑승부(11)의 탑승면 방향으로 기울도록, 제1 바퀴(22a)와 제2 바퀴(22b)는 세로축이 평행하지 않게 형성되거나 지지 높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몸체가 바퀴부(22)에 지지된 상태에서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무게 중심을 낮춤으로써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를 이용하여 휠체어가 단상(P)에 오르는 순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도 1과 같이 접혀있는 상태의 휠체어 리프트 장치를 휠체어가 오를 단상(P)에 근접하도록 배치하되, 이때의 배치 방향은 지지부(13)가 지면을 지지하도록 눕히고, 단상 디딤판(14)이 단상(P)과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다음으로 휠체어가 탑승부(11)에 탑승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 가이드 봉(19,20)과 연장판(16)이 펼치고, 지면 디딤판(15)을 연장판(16)과 연결되도록 펼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가 탑승부(11)에 탑승하면 지면 디딤판(15)을 상향 회동 시켜 탑승부(11) 전면의 상측을 차단하도록 한 뒤 탑승부(11)를 상승 이동시킨다. 이때, 지면 디딤판(15)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탑승부 상승 이동 신호가 생성되어도 탑승부(11)가 상승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탑승부 상승 이동 신호가 생성되면 자동으로 지면 디딤판(15)을 상향 회동시킨 후 탑승부(11)의 상승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부(11)의 상승 이동이 종료되어 탑승부(11)가 단상 높이에서 정지하면 단상 디딤판(14)이 개방되어 탑승부(11)와 단상(P) 간을 연결하게 되고, 연결된 단상 디딤판(14)을 통해 휠체어가 단상(P)으로 오를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내용을 역순으로 수행함으로써 휠체어를 단상(P)에서 내려오도록 할 수 있다.
도 6 a,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부(11)가 단상(P)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승 및 하강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a,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상 디딤판(14)이 단상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개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는, 탑승부(11)를 단상(P)의 높이까지 상승 시킬 때, 수동 상승 모드 또는 자동 상승 모드로 동작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수동 상승 모드에서는 탑승부(11)의 상승 이동 및 하강 이동 정도를 사용자가 판단하여 상승 입력 버튼과 하강 입력 버튼을 직접 입력함으로써 탑승부(11)를 단상(P)의 높이까지 이동시킬 수 있으며, 자동 상승 모드에서는 자동 상승 버튼의 입력만으로 자동으로 탑승부(11)가 단상(P)의 높이까지 자동 상승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는 상술한 자동 상승 모드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단상까지의 거리(l1)를 감지하는 감지부(30)와 단상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탑승부(11)가 단상의 높이까지 상승 이동하도록 승강부(12)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40)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감지부(30)는 객체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초음파 레벨 센서로, 탑승부(11)의 후면에 배치되되 단상 디딤판(14)이 탑승부(11)와 평행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단상 디딤판(14)의 바로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에는 자동 상승 모드가 실행되면 감지부(30)가 단상까지의 거리(l1)를 감지하도록 감지부(30)를 구동 제어하는 센서 제어부(41)와, 감지된 단상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탑승부(11)가 단상의 높이까지 상승 이동하도록 승강부(12)의 구동 모듈을 구동 제어하는 승강 제어부(42)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동 상승 모드가 실행되면 센서 제어부(41)는 감지부(30)를 동작 제어하여 탑승부(11)의 후면으로부터 단상의 벽면까지의 거리(l1)를 감지하고, 승강 제어부(42)는 감지된 거리(l1)가 설정거리 이내인 경우 탑승부(11)가 상승 이동하도록 승강부(12)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거리는 단상 디딤판(14)의 길이(l2) 미만의 거리이며, 만약, 감지된 거리가 설정거리 이상인 경우 승강 제어부(42)는 승강부(12)를 구동 제어하지 않고, 별도의 출력부를 통해 단상과의 이격거리가 너무 멀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는 배치 위치가 단상과 너무 멀어서 발생 가능한 위험을 사전에 차단함과 동시에, 단상 디딤판(14)가 단상에 정상적으로 걸쳐지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될 것을 탑승부(11)를 상승 이동시키지 않은 체로 미리 예측함으로써, 탑승부(11)를 상승 이동시킨 후에 위치 선정이 잘못됨을 판단하여 리프트 장치를 재배치하는 것에 비하여 소모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거리 이내에 단상(P)의 측면이 감지되면 승강 제어부(42)는 탑승부(11)가 상승 이동되도록 승강부(12)를 구동 제어하며, 승강 제어부(42)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부(11)의 상승 이동 시, 설정거리 이내에 단상(P)의 측면이 감지되지 않는 시점에서 탑승부(11)의 상승 이동이 정지된 후 하강 이동되도록 승강부(12)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즉, 승강 제어부(42)는 감지부(30)가 단상(P)의 벽면을 감지하지 못하면 탑승부(11)의 높이가 단상(P)의 높이보다 높아진 것으로 판단하고, 탑승부(11)를 하강 이동시켜, 탑승부(11)의 높이를 낮고 설정거리 이내에 단상의 측면이 감지되는 시점에서 탑승부(11)의 하강 이동이 정지되도록 승강부(12)를 구동 제어하여 탑승부(11)가 단상(P)의 높이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승강 제어부(42)는 탑승부(11)가 정지 후 하강 이동할 때에는 상승 이동할 때보다 저속으로 이동하도록 승강부(12)를 구동 제어하여 탑승부(11)와 단상(P) 간의 높이차가 더욱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탑승부(11) 상승 이동 과정이 종료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단상 디딤판(14)을 개방시켜 탑승부(11)과 단상(P) 간을 연결하도록 하고, 단상 디딤판(14)을 이용하여 휠체어가 단상에 오르게 된다. 여기서 단상 디딤판(14)의 개방 동작은 제어부(40)의 디딤판 제어부(43)에 의해 제어되는데, 디딤판 제어부(43)는 감지부(30)에서 감지된 단상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단상 디딤판(14)이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개방되지 않고 차단 상태를 유지되도록 단상 디딤판(14)을 구동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는 입력부(21)를 통해 단상 디딤판 개방이 입력되거나, 또는 자동 상승 모드에 의해 탑승부(11) 상승 이동 과정이 종료되면 자동으로 단상 디딤판의 개방 신호가 생성될 수 있는데, 단상 디딤판 개방 신호가 생성되면 디딤판 제어부(43)는 감지부(30)로부터 감지된 단상까지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단상까지의 거리(l1)가 단상 디딤판의 길이(l2) 미만인 경우 단상 디딤판(14)을 외측으로 회동 제어하여 단상 디딤판(14)이 개방 상태가 되도록 하지만, 만약, 단상까지의 거리(l1)가 단상 디딤판의 길이(l2) 이상인 경우 단상 디딤판 개방 신호가 생성되어도 차단 상태가 유지되도록 단상 디딤판(14)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는, 탑승부(11)가 상승 이동하기 전 시점에서 탑승부(11)와 단상(P)의 하단부 측면 간의 거리를 통해 단상 디딤판(14)을 이용한 휠체어의 단상 오름이 안전한지 사전 체크하고, 탑승부(11)의 상승 이동이 완료되어 휠체어가 단상에 오르기 위해 단상 디딤판(14)이 개방되기 직전 시점에서 탑승부(11)와 단상(P)의 상단부 측면 간의 거리를 통해 단상 디딤판(14)을 이용한 휠체어의 단상 오름이 안전한지 중복 체크함으로써,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자동 상승 모드에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자동 상승 모드에서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입력부(21)를 통해 자동 상승 모드가 입력되면(S11), 승강 제어부(42)가 단상까지의 거리가 설정거리 이내인지 판단한다(S12).
만약, 단상까지의 거리가 설정거리를 초과하는 경우(S12-N), 별도의 출력부를 통해 경고음 또는 경고 메시지가 출력되고(S13), 경고 메시지가 출력되면 사용자는 휠체어 리프트 장치를 단상에 더욱 근접하도록 이동시킨 후(S13), 자동 상승 모드를 다시 입력하여야 한다.
반면에, 단상까지의 거리가 설정거리 이내인 경우(S12-Y), 승강 제어부(42)는 승강부(12)를 구동 제어하여 탑승부(11)를 상승시킨다(S15). 이때, 감지부(30)는 탑승부(11)의 상승 중에도 지속적으로 단상의 벽면까지의 거리를 감지하고 승강 제어부(42)는 지속적으로 단상의 벽면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16). 이때, 승강 제어부(42)는 단상의 벽면이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경우(S16-Y), 탑승부(11)가 계속 상승 이동되도록 승강부(12)를 구동 제어하되(S15), 단상의 벽면이 감지되지 않으면(S16-N), 즉시, 탑승부(11)의 상승 이동이 정지하고 탑승부(11)가 저속 하강 이동하도록 승강부(12)를 구동 제어한다(S17).
승강 제어부(42)는 탑승부(11)의 저속 하강 이동 중에도 단상의 벽면이 감지되는지 판단하고(S18), 만약, 지속적으로 감지되지 않으면(S18-N) 탑승부(11)으 저속 하강 이동을 유지시키되(S17), 단상의 벽면이 감지되면(S18-Y), 단상이 감지되는 시점에서 즉시 탑승부(11)가 정지하도록 승강부(12)를 구동 제어한다(S19).
그리고 탑승부(11)가 정지하면, 디딤판 제어부(43)는 단상이 설정거리 이내에 감지되는지 판단하여(S20), 설정거리 이내에 단상의 벽면이 감지되는 경우(S20-Y), 단상 디딤판(14)이 개방되도록 하지만(S21), 설정거리 이내에 단상의 벽면이 감지되지 않으면(S20-N), 별도의 출력부에서 경고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한다(S22).
경고 메시지 출력 후, 승강 제어부(42)는 탑승부(11)가 최소 높이까지 하강하도록 승강부(12)를 동작 제어하고(S23), 하강 동작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휠체어 리프트 장치를 단상에 더욱 근접하도록 이동시킨 후(S13), 자동 상승 모드를 다시 입력하여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탑승부 12: 승강부
13: 지지부 14: 단상 디딤판
15: 지면 디딤판 16: 연장판
16a: 경사부 17: 제1 가드부
18: 제2 가드부 19: 제1 가이드 봉
20: 제2 가이드 봉 21: 입력부
22: 바퀴부 22a: 제1 바퀴
22b: 제2 바퀴 23: 손잡이
30: 감지부 40: 제어부
41: 센서 제어부 42: 승강 제어부
43: 디딤판 제어부

Claims (8)

  1. 휠체어가 탑승하는 탑승부;
    상기 탑승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탑승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 하단에 결합되고 지면에 밀착되어 상기 승강부와 탑승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탑승부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탑승부로부터 단상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자동 상승 모드가 실행되면, 감지된 단상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탑승부가 단상의 높이까지 상승 이동하도록 상기 승강부를 구동 제어하는 승강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상승 모드에서, 상기 승강 제어부는 상기 설정거리 이내에 상기 단상의 측면이 감지되면 상기 탑승부가 상승 이동되도록 상기 승강부를 구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상승 모드에서 상기 탑승부의 상승 이동 시, 상기 승강 제어부는 상기 설정거리 이내에 상기 단상의 측면이 감지되지 않는 시점에서 상기 탑승부의 상승 이동이 정지된 후 하강 이동되도록 상기 승강부를 구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상승 모드에서 상기 탑승부의 하강 이동시, 상기 승강 제어부는 상기 설정거리 이내에 상기 단상의 측면이 감지되는 시점에서 상기 탑승부의 하강 이동이 정지되도록 상기 승강부를 구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제어부는 상기 탑승부가 정지 후 하강 이동할 때에는 상승 이동할 때보다 저속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승강부를 구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 장치.
  6. 휠체어가 탑승하는 탑승부;
    상기 탑승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탑승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 하단에 결합되고 지면에 밀착되어 상기 승강부와 탑승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탑승부의 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끝단이 상향하도록 회동하여 상기 탑승부 후면의 상측을 가로막는 차단 상태가 되거나 또는 외측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여 상기 단상의 상면과 상기 탑승부의 상면을 연결하는 연결 상태가 되는 단상 디딤판;
    상기 탑승부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탑승부로부터 단상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된 단상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차단 상태 또는 상기 연결 상태가 되도록 상기 단상 디딤판을 구동 제어하는 디딤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딤판 제어부는 단상 디딤판 개방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연결 상태가 되도록 상기 단상 디딤판을 구동 제어하되, 상기 단상까지의 거리가 상기 단상 디딤판의 길이 이상인 경우, 상기 단상 디딤판 개방 신호가 생성되어도 상기 차단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단상 디딤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 리프트 장치는
    상기 지지부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끝단에 경사부가 구비되어, 여 일면이 지면에 밀착되도록 외측으로 회동하면 상기 경사부가 지면과 연결되는 상향 경사면을 형성하는 연장판; 및
    상기 탑승부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끝단이 상향하도록 회동하여 상기 탑승부 전면의 상측을 가로막는 차단 상태가 되거나, 또는 외측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여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과 상기 탑승부의 상면을 연결하는 지면 디딤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 장치.
KR1020200030894A 2020-03-12 2020-03-12 휠체어 리프트 장치 KR102347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894A KR102347125B1 (ko) 2020-03-12 2020-03-12 휠체어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894A KR102347125B1 (ko) 2020-03-12 2020-03-12 휠체어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312A true KR20210115312A (ko) 2021-09-27
KR102347125B1 KR102347125B1 (ko) 2022-01-03

Family

ID=77925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894A KR102347125B1 (ko) 2020-03-12 2020-03-12 휠체어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1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11496B1 (ko) * 2023-12-15 2024-09-26 제이더블유글로벌 주식회사 휠체어를 탑승한 장애인용 반신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304Y1 (ko) * 2009-07-07 2010-01-13 전병두 보조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리프트장치
KR101695723B1 (ko) * 2015-09-24 2017-01-12 주식회사 에스오티시스템즈 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및 상기 고소작업장치의 동작방법
KR102044146B1 (ko) * 2019-07-02 2019-11-13 정재성 이동식 휠체어 리프트 장치
KR102077249B1 (ko) 2019-10-29 2020-02-13 (주)다성테크놀로지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304Y1 (ko) * 2009-07-07 2010-01-13 전병두 보조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리프트장치
KR101695723B1 (ko) * 2015-09-24 2017-01-12 주식회사 에스오티시스템즈 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및 상기 고소작업장치의 동작방법
KR102044146B1 (ko) * 2019-07-02 2019-11-13 정재성 이동식 휠체어 리프트 장치
KR102077249B1 (ko) 2019-10-29 2020-02-13 (주)다성테크놀로지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11496B1 (ko) * 2023-12-15 2024-09-26 제이더블유글로벌 주식회사 휠체어를 탑승한 장애인용 반신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7125B1 (ko) 2022-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782B1 (ko) 계단 겸용 수직형 리프트장치 및 그 작동방법
US7103935B2 (en) Marine gangway to enable handicapped users to move between floating and fixed landings and related methods
US10787342B2 (en) Wheelchair lift apparatus
KR102044146B1 (ko) 이동식 휠체어 리프트 장치
KR102077249B1 (ko)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
JP5268480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KR100936020B1 (ko) 저상식 휠체어 리프트
KR102347125B1 (ko) 휠체어 리프트 장치
JP2009024337A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KR102325075B1 (ko) 계단 승월 장치
KR102548162B1 (ko) 이동용 계단 겸용 수직 승강형 리프트 장치
KR20160037509A (ko) 휠체어 리프트를 구비한 장애인용 버스
KR102298545B1 (ko) 휠체어 리프트 장치
KR102282965B1 (ko) 장애인용 휠체어 리프트
KR20220061325A (ko) 계단 겸용 휠체어리프트의 편하중에 의한 과부하 감지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JP6095410B2 (ja) バリアフリー乗下船設備
CN211271755U (zh) 电动仿生移动装置
KR102339790B1 (ko) 환자 이송 장치
KR100454007B1 (ko) 휠체어 리프트장치
JP6916825B2 (ja) 乗下船装置
JP2000225166A (ja) 昇降式搬送車
JP2003040596A (ja) オーダーピッキング車
JP2552831Y2 (ja) 立体駐車装置
JP2567178Y2 (ja) 立体駐車装置
JP2984237B2 (ja) 階段用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