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383148B1 -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148B1
KR101383148B1 KR1020120014096A KR20120014096A KR101383148B1 KR 101383148 B1 KR101383148 B1 KR 101383148B1 KR 1020120014096 A KR1020120014096 A KR 1020120014096A KR 20120014096 A KR20120014096 A KR 20120014096A KR 101383148 B1 KR101383148 B1 KR 101383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guide bar
carrier
disposed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2682A (ko
Inventor
고기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샘
Priority to KR1020120014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148B1/ko
Publication of KR20130092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2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 B65G2814/031Removing from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재를 적층한 상태에서 상향 이동시켜 최상단에 위치한 자재를 다른 가공장치에 원활하게 공급하는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상방향으로 다수개가 장착되어 자재의 측면을 지지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그 상면에 자재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부재; 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상승하여 상면에 적층된 자재가 상기 가이드바에 지지되면서 상승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 { LAMINATED AND SUPPLY APPARATUS OF TIMBER }
본 발명은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재를 적층한 상태에서 상향 이동시켜 최상단에 위치한 자재를 다른 가공장치에 원활하게 공급하는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재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져 자재 자체를 사용하거나 판재에 자재를 접착하여 사용하였다.
특히 MDF, PB 등의 판재에 자재를 접합하여 패널을 만든 후, 이러한 패널을 가공하여 가구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였다.
이와 같이 판재에 자재를 부착하여 패널을 제작할 때, 판재에 자재를 공급하기 위해 자재를 적층한 후, 자재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장치가 사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자재를 적층하여 자재를 공급하는 장치로는 공개특허공보 특2003-0031695호가 게재되어 있다.
이러한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는 각목클램프장치의 편심원기둥의 회전력을 제어하여 하나씩 자재를 아래로 떨어뜨리면 각목걸림턱 및 제2,3베이스롤러에 걸쳐진 자재를 각목푸쉬장치에 의해 자재의 길이방향으로 밀어주어 다음 단계로 자재를 공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는 자재를 아래로 떨어트린 후 자재를 자재의 길이방향으로 밀어서 자재를 다음 단계로 공급하기 때문에 자재의 길이방향으로 밀려서 공급된 자재의 위치가 균등하지 않게 되고, 특히 다수개의 자재를 일정한 모양으로 맞추어서 그 모양 그대로 다음 단계에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개의 자재를 일정한 모양으로 맞추어서 지지플레이트의 상면에 적층한 후, 승강부재에 의해 자재가 흐트러지지 않게 가이드바에 지지되면서 상승되게 하여 적층된 자재의 상단에 위치하는 자재를 자재이송부에 그 모양 그대로 공급할 수 있는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상방향으로 다수개가 장착되어 자재의 측면을 지지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그 상면에 자재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부재; 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상승하여 상면에 적층된 자재가 상기 가이드바에 지지되면서 상승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재를 이송시키는 자재이송부가 상부에 배치되는 자재공급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가이드바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제1케리어를 전후 수평이송시켜 상기 자재공급부에 삽입하는 이송레일부;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케리어가 이송되는 전후방향의 수직방향인 상기 자재공급부의 좌우 양측에 상기 승강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자재공급부에 삽입된 상기 제1케리어의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상승시켜 상면에 적층된 자재를 상기 자재이송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가이드바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제2케리어;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송레일부는 상기 자재공급부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케리어와 상기 제2케리어는 상기 이송레일부의 상부에서 각각 상기 자재공급부의 전후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제1케리어와 상기 제2케리어는 상기 이송레일부를 따라 상기 자재공급부에 교차하여 이송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면에 적층된 자재가 자재이송부에 의해 이송됨에 따라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이송된 자재의 두께만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측에 배치되고, 회전가능하게 상하방향으로 장착되는 다수개의 리드스크루와; 상기 리드스크루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리드스크루에 장착되어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리드스크루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부; 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폭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지지부 사이의 최단거리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폭보다 짧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폭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재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자재와;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자재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자재와; 상기 제1자재와 상기 제2자재의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자재와 상기 제2자재를 연결하는 제3자재; 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제1자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3자재의 반대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제1자재가 상기 제3자재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가이드바와; 상기 제2자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3자재의 반대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제2자재가 상기 제3자재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가이드바와; 상기 제3자재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3자재가 좌우 양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3가이드바; 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는 상기 제1가이드바와 상기 제2가이드바 및 상기 제3가이드바가 각각 탈부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상승하여 상면에 적층된 자재를 상기 가이드바에 지지시키면서 상승되도록 하여 상부로 자재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이송레일부와 자재공급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자재공급부의 외부에서 상기 제1케리어에 자재를 적층 시킨 후, 상기 제1케리어가 상기 이송레일부를 따라 상기 자재공급부에 삽입하기 때문에 자재를 상기 자재공급부 외부에서 쉽게 적층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케리어와 상기 제2케리어가 상기 이송레일부를 따라 상기 자재공급부에 교차하여 이송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케리어가 상기 자재공급부에 삽입되어 적층된 자재를 상기 자재이송부에 공급하는 동안 상기 제2케리어는 자재를 적층하고, 상기 제1케리어의 자재가 상기 자재이송부에 다 공급되고 나면 상기 제2케리어가 상기 자재공급부에 삽입되어 상기 자재이송부에 자재를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상기 자재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자재의 두께만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면에 적층된 최상단의 자재는 항상 일정한 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자재이송부는 자재를 일정한 위치에서 공급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폭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지지부 사이의 최단거리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폭보다 짧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폭보다 길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지지부가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리드스크루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측 하부를 지지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가이드바와 상기 제2가이드바 및 상기 제3가이드바가 상기 제1자재, 상기 제2자재 및 상기 제3자재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자재를 이루는 상기 제1자재, 상기 제2자재 및 상기 제3자재가 측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여 상기 자재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여기에 상기 제1가이드바와 상기 제2가이드바 및 상기 제3가이드바가 탈부착 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자재, 상기 제2자재 및 상기 제3자재의 폭에 맞추어 상기 제1가이드바와 상기 제2가이드바 및 상기 제3가이드바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기 결합공에 다양하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의 지지플레이트에 자재가 적층된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의 자재공급부에 케리어가 삽입되어 있는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의 자재공급부에 케리어가 삽입되어 자재를 상승시키는 모습을 보인 사용예시도.
도 1은 본 발명의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의 지지플레이트에 자재가 적층된 모습을 보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의 자재공급부에 케리어가 삽입되어 있는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의 자재공급부에 케리어가 삽입되어 자재를 상승시키는 모습을 보인 사용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100), 가이드바(200), 지지플레이트(300), 승강부재(400), 자재공급부(500) 및 이송레일부(6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상기 이송레일부(6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수평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결합공(11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110)은 후술하는 상기 가이드바(200)가 탈부착 된다.
상기 가이드바(200)는 막대형상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바(20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상방향으로 다수개가 장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바(200)의 하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에 형성된 상기 결합공(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상방향으로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바(20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상면에 적층되는 자재(P)의 측면을 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바(200)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상방향으로 탈부착 되게 결합하는 상기 결합공(1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가이드바(200)에 대해 다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바(2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자재(P)의 두께에 따라 다수개의 결합공(110)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가이드바(200)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바(200)의 위치를 조정하여 다양한 두께의 자재(P)를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상기 가이드바(200)는 필요에 따라 각각 지름이 다른 것을 사용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상면에 적층 되는 자재(P)의 폭에 맞게 상기 결합공(110)에 결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바(200)의 단면상의 형상을 다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다각형으로 형성하게 되면 지름이 일정하지 않아 상기 자재(P)에 지지되는 위치가 일정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와 같이 일정한 지름을 갖는 원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상면에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재(P)가 상하방향으로 적층 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는 도 1 또는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40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러한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관통공(310)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관통공(31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에 상방향으로 장착된 상기 가이드바(200)가 관통되며, 이로 인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310)을 관통한 상기 가이드바(200)가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상승시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상면에 적층된 자재(P)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부재(400)는 도 1 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상기 승강부재(400)는 리드스크루(410), 모터(420) 및 지지부(4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드스크루(4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양측에 배치되고, 회전가능하게 상하방향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리드스크루(41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양측에 다수개가 배치된다.
이는 상기 리드스크루(41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상기 지지부(430)가 수평을 이루면서 안정적으로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드스크루(410)를 한 측에 두 개씩 형성하였다.
상기 모터(420)는 도 1,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리드스크루(410)를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모터(420)가 다수개로 이루어진 상기 리드스크루(410)를 각각 회전시키도록 각각 장착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다수개로 이루어진 리드스크루(410)를 동일한 회전력으로 회전하도록 하나의 모터(420)로 회전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4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스크루(410)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하부 양측을 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지지부(430)는 상기 모터(42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리드스크루(410)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430)가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기 위해,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폭(D1)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폭(D2)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지지부(430)의 사이의 최단거리(L1)는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폭(D1)보다 짧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폭(D2)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430)가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보다 하부에 위치하다가 상승할 때, 상기 지지부(430)의 사이의 최단거리(L1)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폭(D2)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지부(430)가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지지하지 않으면서 접촉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430)의 사이의 최단거리(L1)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폭(D1)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지부(430)가 상승하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양측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를 상하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자재공급부(5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케리어(C1) 또는 제2케리어(C2)가 삽입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상면에 적층된 자재(P)를 자재이송부(510)에 공급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케리어(C1)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 상기 가이드바(200)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자재공급부(500)에는 자재(P)를 이송시키는 상기 자재이송부(510)가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자재이송부(510)는 상기 제1케리어(C1)의 자재(P)를 이송시켜 또 다른 가공장치에 자재(P)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레일부(6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케리어(C1)를 전후방향으로 수평 이동시켜 상기 자재공급부(500)에 삽입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레일부(60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하부에 레일(601)이 배치되고, 그 위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가 상기 레일(601) 따라 지지되면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자재공급부(500)에 상기 제1케리어(C1)가 삽입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이송레일부(600)를 공지의 다양한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제1케리어(C1)가 상기 자재공급부(500)에 이송되어 삽입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이송레일부(6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재공급부(500)에 상기 제1케리어(C1)가 삽입되는 전후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케리어(C2)는 상기 제1케리어(C1)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케리어(C1)와 상기 제2케리어(C2)는 상기 자재공급부(500)를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1케리어(C1)와 상기 제2케리어(C2)는 상기 자재공급부(500)에 교대로 상기 이송레일부(600)를 따라 삽입된다.
이로 인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케리어(C1)가 상기 자재공급부(500)에 삽입되어 자재(P)를 상기 자재이송부(510)에 공급할 때, 상기 제2케리어(C2)의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에는 자재(P)를 적층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케리어(C1)의 자재(P)가 다 공급되고 나면 상기 제1케리어(C1)는 상기 자재공급부(500)에 삽입된 반대방향으로 상기 이송레일부(600)를 따라 상기 자재공급부(500)에서 빠지게 되고, 상기 제2케리어(C2)가 상기 자재공급부(500)에 삽입되어 상기 자재이송부(510)에 자재(P)를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케리어(C1)와 상기 제2케리어(C2)가 상기 자재공급부(500)에 교대로 이동하여 삽입되어 자재(P)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자재(P)를 또 다른 가공장치에 멈추지 않고 계속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1케리어(C1)를 이송시키는 이송레일부(600)가 없이 상기 제1케리어(C1)의 상부에 자재이송부(510)를 배치하고, 상기 제1케리어(C1)의 좌우 양측에 승강부재(400)를 설치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자재(P)를 상기 자재이송부(510)에 공급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설치할 경우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에 자재(P)를 적층 할 때, 상부에 배치된 상기 이송레일부(600)에 자재(P)가 걸리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상면에 자재(P)를 적층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이송레일부(600)를 설치하여 상기 제1케리어(C1)와 상기 제2케리어(C2)의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에 자재(P)를 더욱 쉽게 적층 한 후, 상기 자재공급부(500)에 삽입하여 상기 자재이송부(510)가 자재(P)를 다른 가공장치에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케리어(C1)가 이송되는 전후방향의 수직방향인 상기 자재공급부(500)의 좌우 양측에 상기 승강부재(400)가 장착된다.
상기 승강부재(400)는 상기 이송레일부(600)를 따라 이송되어 상기 자재공급부(500)에 삽입된 상기 제1케리어(C1) 또는 상기 제2케리어(C2)의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를 상승시킨다.
즉, 상기 승강부재(400)는 상기 자재공급부(500)에 삽입된 상기 제1케리어(C1) 또는 상기 제2케리어(C2)의 상기 지지부(430)에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자재(P)가, 상기 자재이송부(510)에 의해 이송되어 다른 가공장치에 공급됨에 따라 남은 나머지 자재(P)를 상승시켜 상기 가이드바(200)의 상부에 자재(P)가 위치하도록 상승시킨다.
이러한 상기 승강부재(400)는 상기 자재이송부(510)에 의해 이송된 자재(P)의 두께만큼씩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를 상승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승강부재(400)가 상기 자재이송부(510)에 의해 이송된 자재(P)의 두께보다 많이 또는 적게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를 이송시키게 되면, 그 위에 적층된 최상단의 자재(P)의 위치가 일정하지 않게 되어 상기 자재이송부(510)가 자재(P)를 원활하게 공급받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승강부재(400)가 상기 자재이송부(510)에 의해 이송된 자재(P)의 두께만큼씩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상면에 적층된 자재(P) 중 최상단의 자재(P)의 위치를 일정하게 하여 상기 자재이송부(510)가 일정한 위치에서 자재(P)를 원활하게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바(200)는 제1가이드바(210), 제2가이드바(220) 및 제3가이드바(23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제1가이드바(210), 상기 제2가이드바(220) 및 상기 제3가이드바(230)는 자재(P)의 측면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자재(P)는 제1자재(P1), 제2자재(P2) 및 제3자재(P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자재(P1)는 막대형상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2자재(P2)도 막대형상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자재(P2)는 상기 제1자재(P1)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3자재(P3)는 상기 제1자재(P1)와 상기 제2자재(P2)가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자재(P1)와 상기 제2자재(P2)를 연결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자재(P)를 상기 제1가이드바(210), 상기 제2가이드바(220) 및 상기 제3가이드바(230)가 지지한다.
상기 제1가이드바(210)는 상기 제1자재(P1)를 기준으로 상기 제3자재(P3)의 반대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제1자재(P1)가 상기 제3자재(P3)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바(220)는 상기 제2자재(P2)를 기준으로 상기 제3자재(P3)의 반대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제2자재(P2)가 상기 제3자재(P3)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3가이드바(230)는 상기 제3자재(P3)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3자재(P3)가 좌우 양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3가이드바(230)는 상기 제3자재(P3)의 좌우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이 배치되어 상기 제3자재(P3)가 좌우 양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제3가이드바(230)는 상기 제3자재(P3)의 양 끝단을 한 쌍씩 지지하도록 두 쌍 이상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바(210), 상기 제2가이드바(220) 및 상기 제3가이드바(230)가 상기 제1자재(P1), 상기 제2자재(P2) 및 상기 제3자재(P3)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자재(P)는 유동 되지 않고 일정하게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에 적층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자재(P) 적층 및 자재 공급장치의 작동 과정 및 사용 상태를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1케리어(C1)의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상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재(P)를 적층 한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바(210)는 상기 제1자재(P1)를 기준으로 상기 제3자재(P3)의 반대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제1자재(P1)가 상기 제3자재(P3)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바(220)는 상기 제2자재(P2)를 기준으로 상기 제3자재(P3)의 반대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제2자재(P2)가 상기 제3자재(P3)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3가이드바(230)는 상기 제3자재(P3)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3자재(P3)가 좌우 양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제3가이드바(230)는 상기 제3자재(P3)의 좌우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이 배치되어 상기 제3자재(P3)가 좌우 양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바(210), 상기 제2가이드바(220) 및 상기 제3가이드바(230)를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자재(P1), 상기 제2자재(P2) 및 상기 제3자재(P3)가 일정 모양으로 배치되어 적층된다.
위와 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에 자재(P)를 적층한 후 상기 제1케리어(C1)를 상기 이송레일부(600)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자재공급부(500)에 삽입한다.
이렇게 상기 자재공급부(500)에 제1케리어(C1)가 삽입되면, 상기 자재공급부(500)의 상단에 위치한 상기 자재이송부(510)가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상면에 적층된 최상단의 자재(P)를 공급 받아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자재이송부(510)는 일정한 모양으로 적층된 자재(P)를 그 모양 그대로 파지하여 다른 가공장치에 이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자재이송부(510)가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상면에 적층된 자재(P) 중 최상단의 자재(P)를 다른 가공장치에 공급함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40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를 상승시켜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에 적층된 나머지 자재(P) 중 최상단의 자재(P)를 이송된 자재(P)의 두께만큼 상승시켜 상기 자재이송부(510)에 의해 이송된 자재(P)의 자리를 채워주게 된다.
즉, 상기 승강부재(400)가 상기 자재이송부(510)에 의해 이송된 자재(P)의 두께만큼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를 상승시켜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에 적층된 나머지 자재(P) 중 최상단의 자재(P)가 상기 자재이송부(510)에 의해 이송된 자재(P)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승시킨다.
그러고 나면, 상기 자재이송부(510)는 다시 적층된 자재(P)를 이송시키게 되고, 상기 승강부재(400)는 이송된 자재(P)만큼 또다시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를 상승시킨다.
이러한 과정으로 상기 자재이송부(510)에 자재(P)가 공급되면서 상기 제1케리어(C1)의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에 적층된 자재(P)가 다 소진되고 나면 상기 제1케리어(C1)는 이송레일부(600)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반대편에 위치하는 상기 제2케리어(C2)가 상기 자재공급부(500)에 삽입되어 상기 제1케리어(C1)와 같은 과정으로 자재(P)를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케리어(C1)와 상기 제2케리어(C2)가 교차하여 상기 자재공급부(500)에 삽입되어 자재(P)를 공급함으로써, 자재(P)를 계속하여 상기 자재이송부(510)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를 상승시키는 상기 승강부재(400)의 상기 지지부(430)가 상기 자재공급부(500)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케리어(C1)가 상기 이송레일부(600)를 따라 삽입되면 상기 모터(42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모터(42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리드스크루(410)를 따라 상기 지지부(430)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430)가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리드스크루(410)의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상면에 적층된 자재(P)를 상기 자재공급부(5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자재이송부(510)에 자재(P)를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인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베이스플레이트 110: 결합공 200: 가이드바
210: 제1가이드바 220: 제2가이드바 230: 제3가이드바
300: 지지플레이트 310: 관통공 400: 승강부재
410: 리드스크루 420: 모터 430: 지지부
500: 자재공급부 510: 자재이송부 600: 이송레일부
601: 레일
P: 자재 P1: 제1자재 P2: 제2자재
P3: 제3자재 C1: 제1케리어 C2: 제2케리어

Claims (6)

  1.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상방향으로 다수개가 장착되어 자재의 측면을 지지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그 상면에 자재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부재; 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상승하여 상면에 적층된 자재가 상기 가이드바에 지지되면서 상승되도록 하고,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면에 적층된 자재가 자재이송부에 의해 이송됨에 따라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이송된 자재의 두께만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자재를 이송시키는 자재이송부가 상부에 배치되는 자재공급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가이드바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제1케리어를 전후 수평 이송시켜 상기 자재공급부에 삽입하는 이송레일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케리어가 이송되는 전후방향의 수직방향인 상기 자재공급부의 좌우 양측에 상기 승강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자재공급부에 삽입된 상기 제1케리어의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상승시켜 상면에 적층된 자재를 상기 자재이송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가이드바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제2케리어;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송레일부는 상기 자재공급부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케리어와 상기 제2케리어는 상기 이송레일부의 상부에서 각각 상기 자재공급부의 전후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제1케리어와 상기 제2케리어는 상기 이송레일부를 따라 상기 자재공급부에 교차하여 이송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측에 배치되고, 회전가능하게 상하방향으로 장착되는 다수개의 리드스크루와;
    상기 리드스크루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리드스크루에 장착되어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리드스크루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부; 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폭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지지부 사이의 최단거리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폭보다 짧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폭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재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자재와;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자재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자재와;
    상기 제1자재와 상기 제2자재의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자재와 상기 제2자재를 연결하는 제3자재; 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제1자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3자재의 반대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제1자재가 상기 제3자재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가이드바와;
    상기 제2자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3자재의 반대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제2자재가 상기 제3자재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가이드바와;
    상기 제3자재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3자재가 좌우 양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3가이드바; 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는 상기 제1가이드바와 상기 제2가이드바 및 상기 제3가이드바가 각각 탈부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
KR1020120014096A 2012-02-13 2012-02-13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 KR101383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096A KR101383148B1 (ko) 2012-02-13 2012-02-13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096A KR101383148B1 (ko) 2012-02-13 2012-02-13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682A KR20130092682A (ko) 2013-08-21
KR101383148B1 true KR101383148B1 (ko) 2014-04-10

Family

ID=49217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096A KR101383148B1 (ko) 2012-02-13 2012-02-13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1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44396B (zh) * 2014-11-04 2016-06-08 广西大学 一种用于冲压板料拆垛的分离装置
CN108147096B (zh) * 2017-12-18 2019-05-24 广东利迅达机器人系统股份有限公司 板状产品用的不停歇上料设备
CN112520428A (zh) * 2020-11-20 2021-03-19 湖州慧能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机器人抓取用板料自动提升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106U (ko) * 1998-05-13 1999-12-15 김영건 반도체 스트립 공급장치
KR20030069453A (ko) * 2002-02-20 2003-08-27 민삼환 판재 적재 시스템
KR20090101586A (ko) * 2008-03-24 2009-09-29 민경세 골판지포장판재의 적재장치
KR20100021195A (ko) * 2008-08-14 2010-02-2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타이어 적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106U (ko) * 1998-05-13 1999-12-15 김영건 반도체 스트립 공급장치
KR20030069453A (ko) * 2002-02-20 2003-08-27 민삼환 판재 적재 시스템
KR20090101586A (ko) * 2008-03-24 2009-09-29 민경세 골판지포장판재의 적재장치
KR20100021195A (ko) * 2008-08-14 2010-02-2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타이어 적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682A (ko) 201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68234B (zh) 自动上料设备
CN107250011B (zh) 用于将扁平元件堆提供给加工装置的供料系统
JP2010024514A5 (ko)
KR101383148B1 (ko)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
CN107250010B (zh) 用于将可堆叠的扁平元件堆传送到加工装置的传送系统
CN108045821B (zh) 一种铜排自动化平面仓库
KR101387004B1 (ko) 대형 프레스 자동화 생산라인의 고효율 소재 이송장치
KR101629871B1 (ko) 3d 프린터용 벨트 홀더
CN103482369B (zh) 一种效率高效的码砖机
CN107257768B (zh) 用于将扁平元件堆的可堆叠扁平元件分份以作进一步加工的分份系统
EP1908710B1 (en) Apparatus for handling sheet-like products
KR101074362B1 (ko) 평판용 수직연속 도금장치의 행어 이송기구
KR20140119603A (ko) 카세트 이송용 수동대차
CN109110215B (zh) 木地板装箱机
JP5294001B2 (ja) ピッキング設備
CN111003523B (zh) 板材堆垛并转移设备
CN105540233A (zh) 一种物料跨平台分流装置
JP2007204174A (ja) 段ばらし装置
KR20150017411A (ko) 트레이 순환장치
KR101257557B1 (ko) 시트 가공 장치
KR101777393B1 (ko) 알루미늄판재 절단장치
CN206318315U (zh) 剪板机送料架
KR101113924B1 (ko) 소폭 피시비 공급장치
JP5904061B2 (ja) リフタ機構付部品供給装置
JP4229327B2 (ja) ブランク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