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625490B1 - 가습장치 및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가습장치 및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5490B1
KR100625490B1 KR1020040058203A KR20040058203A KR100625490B1 KR 100625490 B1 KR100625490 B1 KR 100625490B1 KR 1020040058203 A KR1020040058203 A KR 1020040058203A KR 20040058203 A KR20040058203 A KR 20040058203A KR 100625490 B1 KR100625490 B1 KR 100625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lower
branch
humidifier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8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5265A (ko
Inventor
와키사카에이지
타쿠시마아키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65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장치 및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건조한 공기(A)를 넣는 흡입구(2)와, 습기찬 공기(A´)를 토출하는 취출구(3)와, 흡입구(2)에서 취출구(3)로 공기(A)를 보내는 송풍기(4)와, 흡입구(2)와 송풍기(4) 사이에 개장된 흡입풍로(5)와, 송풍기(4)와 취출구(3) 사이에 개장된 취출풍로(6)와, 취출풍로(6)에 설치되어 송풍기(4)에서 송출된 건조한 공기(A)를 가열하는 가열기(7)와, 가열기(7)의 앞쪽 취출풍로(6)에 개재되어 건조한 공기(A)가 습기찬 공기(A´)로 되어 통과하는 습윤 상태의 기화필터(8)가 구비되어 있는 가습장치(1)에서, 취출풍로(6)의 중간부에는, 가열기(7)의 앞쪽에서 분기되어 취출구(3) 앞쪽에서 합류하는 복수의 분기풍로(13)가 형성되고, 복수의 분기풍로(13)에는 기화필터(8)가 각각 개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습량을 대폭으로 향상시킴과 동시에 소형화와 비용 절감을 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습장치 및 공기조화기{HUMIDIFY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도 1 은 본 발명에 관한 가습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관한 공기조화기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관한 가습장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관한 가습장치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관한 가습장치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관한 가습장치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관한 가습장치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관한 가습장치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 설명>
1,100,200,300,400  가습장치
2,101,201,301,401  흡입구
3,102,202,302,402  취출구
4,103,203,303,403  송풍기
4b,203a,303a  송풍구
5,104,204,304,404  흡입풍로
6,105,205,305,405  취출풍로
7,106,206,306,406  가열기
8,107,207,307,407  기화필터
9,108,208,308,408  공기세정체
10  제 1 송풍저항체
13,110,210,310,410 분기풍로
15,316  트레이
16  공기조화기
311  간막이부재
312  바이패스풍로
313  절환수단
314  셔터
314a  개구부
315  구동기구
317  제 2 송풍저항체
A  건조한 공기
A′ 습기찬 공기
본 발명은 가습장치 및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건조한 공기를 흡입하여 습기찬 공기를 토출하는 가습장치 및 그 가습장치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장치는 송풍기를 이용하여 풍로 안에 송출된 건조한 공기를 가열기로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를 습윤 상태의 기화필터에 통과시킴으로써 습기찬 공기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가열된 공기가 기화필터를 통과하게 되면, 가열된 공기의 열에 의해 기화필터에 침투된 수분이 기화하여 증기가 되고, 증기와 건조한 공기가 혼합됨으로써 습기찬 공기가 발생한다. 기화필터는 트레이(수조) 내에 저장된 물 속에 침지되어 있고, 기화필터는 트레이 안의 물을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흡수하여 습윤하게 된다(일본국 특개 2003 - 056870호 공보(제 3 ∼ 5 페이지, 도 2) 참조).
가습장치는 기화필터의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가습 용량을 높일 수 있으나, 기화필터가 수분을 흡수하는 능력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가습장치의 가습 용량을 대폭 늘리기 위해서는 기화필터의 가로폭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가습장치를 탑재하는 경우에는, 공기 조화기 자체가 세 로로 긴 형태일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가습장치의 가로폭이 제한되어 기화필터의 가로폭을 크게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종래에는 송풍기, 가열기 및 기화필터로 이루어진 가습장치를 복수 개 탑재하여 가습장치의 가습량을 대폭 늘렸다(일본국 특개 2001 - 317795 호 공보(제 3 ∼ 4 페이지, 도 1) 참조).
그러나, 상기 종래의 가습장치에서는 기화필터마다 송풍기나 가열기가 필요하기 때문에, 복수의 기화필터를 이용해 가습량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복수의 송풍기 및 가열기가 필요하고, 복수의 송풍기 및 가열기를 탑재시키면 가습장치의 전체 사이즈가 커짐은 물론 상당한 비용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습량을 대폭 늘림과 동시에 소형화 및 비용 절감을 꾀할 수 있는 가습장치 및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건조한 공기를 받아들이는 흡입구와, 습기찬 공기를 토출하는 취출구와,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취출구로 공기를 보내는 송풍기와,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어 있는 흡입풍로(風路)와, 해당 흡입풍로와 연통됨과 동시에 상기 취출구와 연통되어 있는 취출풍로와, 해당 취출풍로에 마련되어 상기 흡입풍로에서 송출된 건조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와, 해당 가열기 앞쪽의 상기 취출풍로에 개재되어 건조한 공기가 습기찬 공기로 되어 통과하는 습윤 상태의 기화필터를 구비하는 가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취출풍로의 중간부에는 상기 가열기의 앞쪽에서 분기되어 상기 취출구 앞쪽에서 합류하는 복수의 분기풍로가 형성되며, 해당 복수의 분기풍로에는 상기 기화필터가 각각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은,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기풍로 중 적어도 하나의 분기풍로에는, 통과하는 공기의 송풍량을 감소시키는 제 1 송풍저항체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기풍로 중 한 쪽의 분기풍로는 다른 쪽 분기풍로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한 쪽 분기풍로에 개재된 한 쪽의 기화필터는 상기 다른 쪽 분기풍로에 개재된 다른 쪽 기화필터와 비교하여 공기 투과량이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분기풍로는, 각각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 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항부터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기풍로 중 상기 한 쪽의 분기풍로 단면적은 상기 다른 쪽 분기풍로의 단면적보다도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 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항부터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기화필터의 하방에는, 상기 기화필터 하단부에 침지되는 물이 저류된 트레이가 각각 배치되고, 상기 취출풍로의 중간부의 중앙을 상하구획하여 상기 분기풍로를 형성하는 간막이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간막이 부재의 상면이 상기 분기풍로의 바닥면을 형성하되, 상기 분기풍로내에 형성된 물방울이 상기 트레이로 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분기풍로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상기 간막이 부재의 상면은 상기 트레이를 향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 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항부터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풍로에는 상기 흡입구로 들어오는 공기를 세정하는 공기세정체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 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항부터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풍로에는 상기 기화필터를 우회하여 상기 송풍기의 송풍구와 상기 취출구를 연통시키는 바이패스풍로가 형성됨과 동시에 해당 바이패스풍로와 상기 분기풍로를 택일적으로 폐색하여 송풍 방향을 절환하는 절환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 에 기재된 발명은, 제 8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분기풍로는 방 모양으로 형성된 상기 취출풍로 중간부의 중앙을 간막이부재로 상하 구획하여 형성되고, 상기 송풍기의 송풍구와 직결된 상기 취출풍로의 일단부는 상기 간막이부재의 하방에 형성되며, 상기 취출구와 직결된 상기 취출풍로의 타단부는 상기 간막이부재의 측방에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기화필터는 상기 간막이부재의 양단 하방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바이패스풍로는 상기 취출풍로의 일단부 바로 위에 위치하는 상기 간막이부재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절환수단은 복수의 상기 기화필터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중공형 셔터와, 해당 셔터를 상하로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기구로 구성되며,
상기 셔터는 상단이 폐색되어 있음과 동시에 하단이 개방되고, 측벽의 상단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셔터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바이패스풍로는 상기 셔터의 상단에 의해 폐색됨과 동시에 상기 분기풍로 안과 상기 셔터 안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연통되고,
상기 셔터가 상승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분기풍로의 입구는 상기 셔터의 측벽에 의해 폐색됨과 함께 상기 간막이부재 상방의 상기 분기풍로 안과 상기 셔터 안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 에 기재된 발명은,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복수개가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개구부 중 적어도 한쪽에는, 통과하는 공기의 송풍량을 감소시키는 제 2 송풍저항체가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1 에 기재된 발명은,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상단은 상기 트레이를 향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 및 공기조화기의 제 1, 제 2, 제 3, 제 4, 제 5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삭제
[제 1 실시 형태]
우선, 실내의 건조한 공기(A)를 흡입하여 실내에 습기찬 공기(A′)를 토출하는 가습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습장치(1)는 건조한 공기(A)를 넣는 흡입구(2)와, 습기찬 공기(A′)를 토출하는 취출구(3)와, 흡입구(2)에서 취출구(3)로 공기를 보내는 송풍기(4)와, 흡입구(2)와 송풍기(4) 사이에 개장된 흡입풍로(5)와, 송풍기(4)와 취출구(3) 사이에 개장된 취출풍로(6)와, 송풍기(4)에서 송출된 건조한 공기(A)를 가열하는 가열기(7)와, 건조한 공기(A)가 습기찬 공기(A′)로 되어 통과하는 습윤 상태의 기화필터(8)와, 흡입구(2)로 들어간 건조한 공기(A)를 세정하는 공기세정체(9)와, 습기찬 공기 (A′)를 통과시켜서 송풍량을 감소시키는 제 1 송풍저항체(10)로 구성되어 있다.
흡입구(2) 및 취출구(3)는, 송풍기(4)나 흡입풍로(5), 취출풍로(6)를 수납하는 가습장치(1)의 케이스(12)에 각각 끼워져 있고, 흡입풍로(5)와 가습장치(1)의 외부는 흡입구(2)를 통해 연통되고, 취출풍로(6)와 가습장치(1)의 외부는 취출구(3)를 통해 연통되어 있다. 흡입풍로(5)와 취출풍로(6)는 송풍기(4)를 통해 연통되어 있고, 흡입풍로(5)는 송풍기(4)의 흡입구(4a)와 접속되어 있고, 취출풍로(6)는 송풍기(4)의 송풍구(4b)와 접속되어 있다.
공기세정체(9)는 흡입구(2) 측의 흡입풍로(5) 내부에 설치되며, 흡입구(2)에서 유입되는 건조한 공기(A)는 공기세정체(9)를 통과하여 흡입풍로(5) 내에 이른다. 공기세정체(9)는 예를 들면 부직포나 활성탄시트, 정전필터 등으로 구성되고, 건조한 공기(A)는 공기세정체(9)를 통과할 때 먼지 등이 제거되고 세정된다. 가열기(7)는 송풍기(4)의 송풍구(4b)와 직결된 취출풍로(6)의 일단부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가열기(7)는 기체 가열용 히터로서, 송풍기(4)의 송풍구(4b)에서 송촐된 건조한 공기(A)는 가열기(7)를 통과할 때 가열기(7)의 열에 의해 가열된다.
송풍기(4)의 송풍구(4b)는 위를 향하여 형성되고, 송풍기(4)의 송풍구(4b)와 직결된 취출풍로(6)의 일단부는, 송풍기(4) 상방에 연직선으로 연장되어 있다. 취출풍로(6)의 중간부에는, 가열기(7)의 앞쪽에서 두 갈래로 분기되어 취출구(3)의 앞쪽에서 합류하는 2 개의 분기풍로(13)가 형성되어 있다. 분기풍로(13)는 방 모양으로 형성된 취출풍로(6)의 중간부 중앙을 간막이부재(14)로 상하 구획하여 형성되어 있고, 한 쪽 분기풍로(13a)는 다른 쪽 분기풍로(13b)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송풍기(4)의 송풍구(4b)와 직결된 취출풍로(6)의 일단부가 간막이부재(14)의 중앙 하방에 형성되고, 취출구(3)와 직결된 취출풍로(6)의 타단부는 간막이부재(14)의 측방에 형성되어 있다.
기화필터(8)는 2 개의 분기풍로(13a), (13b) 내부에 각각 개재되어 있고, 간막이부재(14)의 양단 하방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2 개의 기화필터(8)는 두께 및 면적이 각각 동일한 것이 사용되고, 2 개의 기화필터(8) 하방에는 물이 저류된 트레이(15)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기화필터(8)의 하단부는 트레이(15) 내에 저장된 물에 침지되어 있으며, 트레이(15)는 방 모양으로 형성된 취출풍로(6)의 중간부 바닥면에 끼워져 있다. 또한, 간막이부재(14)는 단면형상이 삼각형이며, 한 쪽의 분기풍로(13a) 바닥면을 형성하는 간막이부(14)의 상면은 양측 트레이(15)를 향해 경사져 있다.
송풍량을 감소시키는 제 1 송풍저항체(10)는 예를 들면 루바나 필터 등으로 이루어지며, 다른 쪽의 분기풍로(13b) 내부에 개재되어 있다. 제 1 송풍저항체(10)는 기화필터(8)의 앞쪽 트레이(15)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한 쪽의 분기풍로(13a)와의 합류점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은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가습장치(1) 및 공기조화기(16)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트레이(15) 내에 물을 공급해 두고, 모세관 현상에 의해 기화필터(8)를 습윤시킨다. 다음에, 송풍기(4)를 각각 가동시킨다. 송풍기(4)가 가동되면, 가습장치(1) 외부의 건조한 공기(A)는 흡입구(2)에서 공기세정체(9)를 통하여 흡입풍로(5) 내에 유입된다. 공기세정체(9)에 의해 건조한 공기(A) 내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하고, 흡입풍로(5) 내에 유입되는 공기(A)를 세정한다.
흡입풍로(5) 내에 유입된 공기(A)는 송풍기(4)의 흡입구(4a)에서 송풍기(4) 내로 들어와 송풍구(4b) 에서 취출풍로(6) 의 일단부 내로 유출된다. 송풍구(4b)에서 유출된 공기(A)는 가열기(7)를 통과하고, 이 가열기(7)의 열에 의해 열풍이 된다. 가열되어 열풍이 된 건조한 공기(A)는 취출풍로(6) 중간부에 형성된 2개의 분기풍로(13a), (13b)에 각각 유입되고, 기화필터(8)를 통과한다. 기화필터(8)를 가열된 건조한 공기(A)가 통과할 때, 기화필터(8)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은 가열된 공기(A)의 열에 의해 증발한다. 그리고, 건조한 공기(A)와 증발한 수분이 혼합되어 습기찬 공기(A′)가 된다.
한 쪽(긴 쪽)의 분기풍로(13a) 내를 유통하는 공기(A′)는 기화필터(8)를 통과한 후, 일단 상승하여 그 후에 간막이부재(14)의 상방을 수평 방향으로 유통한다. 한편, 다른 쪽(짧은 쪽)의 분기풍로(13b) 내를 유통하는 공기(A′)는 기화필터(8)를 통과한 후, 상승하여 제 1 송풍저항체(10)를 통과한다. 제 1 송풍저항체(10)는 통과하는 공기(A′)의 풍량을 억제하여 공기(A´)의 풍량을 제어하고, 한쪽 분기풍로(13a) 내를 유통한 공기(A´)의 풍량과 다른 쪽 분기풍로(13b) 내를 유통하는 공기 (A´)는 거의 균등하게 된다. 그리고, 한 쪽 분기풍로(13a) 내를 유통한 공기 (A´)와 다른 쪽 분기풍로(13b) 내를 유통하는 공기 (A´)는 제 1 송풍저항체(10) 상방에서 합류하고, 취출구(3)에서 가습장치(1)의 외부로 취출된다.
다음은 상술한 가습장치(1)가 구비되어 있는 공기조화기(16)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16)는 세로로 긴 상치식 기기이고, 상단부에는 열교환기(17)나 송풍기(18)가 구비되어 냉방 또는 난방을 실시하는 공기조화장치 본체(19)가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가습장치(1)가 구비되어 있다.
공기조화기(16)의 사용 방법으로는, 공기조화장치 본체(19)를 가동시킴과 함께 가습장치(1)를 가동시켜서 공기조화장치 본체(19)에서 실내 공기를 냉난방함과 동시에 가습장치(1)로 실내 공기를 가습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가습장치(1) 및 공기조화기(16)에 따르면, 취출풍로(6) 중간부에는 가열기(7)의 앞쪽에서 분기되어 취출구(3)의 앞쪽에서 합류하는 2 개의 분기풍로(13a), (13b)가 형성되며, 분기풍로(13a), (13b)에는 기화필터(8)가 각각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송풍기(4) 및 가열기(7)에 대해 2 개의 기화필터(8)가 구비되고, 하나의 송풍기(4)에서 송출되어 하나의 가열기(7)에 의해 가열되는 공기(A)는 2 개의 분기풍로(13a), (13b) 내를 통과하여 2 개의 기화필터(8)에 도달하고, 2 개의 기화필터(8)에 의해 각각 습기가 포함된다. 이에 따라, 송풍기(4) 및 가열기(7)를 증가시키지 않고 기화필터(8)를 증가시킬 수 있고, 기화필터(8)를 증가시킴으로써 가습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서 가습장치(1)의 소형화 및 비용 절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쪽(짧은 쪽)의 분기풍로(13b) 내를 유통하는 공기(A´)는, 한 쪽(긴 쪽)의 분기풍로(13a) 내를 유통하는 공기(A´)와 비교하여 유통 길이가 짧은 만큼 풍량이 커지는데, 상기 가습장치(1)에서는, 다른 쪽(짧은 쪽)의 분기풍로(13b)에, 통과하는 공기(A´)의 송풍량을 감소시키는 제 1 송풍저항체(10)가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쪽(짧은 쪽)의 분기풍로(13b) 내를 유통하는 공기(A´)의 풍량이 억제되어 제한되고, 두 방향에서 합류하는 공기(A´)의 풍량이 거의 균일하게 된다. 이에 따라, 2 개의 기화필터(8)를 균등하게 사용하여 가습을 실시할 수 있고, 가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2개의 기화필터(8) 하방에는 기화필터(8) 하단부에 침지되는 물이 저류된 트레이(15)가 각각 배치되고, 한 쪽 분기풍로(13a)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간막이부재(14)의 상면은 트레이(15)를 향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습기찬 공기(A´)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쪽의 분기풍로(13a) 내를 유통함으로써 한 쪽의 분기풍로(13a) 내면에 결로가 발생하고, 물방울이 한 쪽 분기풍로(13a) 바닥면에 떨어지게 되는데, 한 쪽의 분기풍로(13a) 바닥면의 물방울은 트레이(15)로 흘러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결로에 의해 발생한 물방울을 처리할 필요가 없고 물을 재이용할 수 있다.
또한, 흡입풍로(5)에는 흡입구(2)에서 들어온 공기(A)를 세정하는 공기세정체(9)가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가습장치(1) 내에 공급되는 공기(A)는 세정된 깨끗한 공기이며, 가습장치(1)에서 취출되는 습기찬 공기 (A´)는 세정된 공기이다. 이에 따라, 습기찬 공기(A´)를 공급하는 실내를 가습함과 동시에 실내 공기를 깨끗이 할 수가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습장치(100)는 흡입구(101), 취출구(102), 송풍기(103), 흡입풍로(104), 취출풍로(105), 가열기(106), 기화필터(107), 공기세정체(108)로 구성되어 있다. 취출풍로(105)의 중간부에는 가열기(106) 앞쪽에서 두 갈래로 분기되어 취출구(102)의 앞쪽에서 합류하는 2 개의 분기풍류(110)가 형성되어 있고, 한 쪽 분기풍로(110a)는 다른 쪽 분기풍로(110b)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고 2 개의 분기풍로(110a), (110b) 내부에 기화필터(107)가 각각 개재되어 있다. 한 쪽(긴 쪽) 분기풍로(110a) 내에 개재된 한 쪽의 기화필터(107a)는 다른 쪽(짧은 쪽) 분기풍로(110b) 내에 개재된 다른 쪽의 기화필터(107b) 보다도 두께가 얇고 공기 투과량이 많은 것을 사용한다.
상기 가습장치(100)에 따르면, 2 개의 기화필터(107) 중 한 쪽(긴 쪽)의 분기풍로(110a)에 개재된 한 쪽의 기화필터(107a)는 다른 쪽(짧은 쪽)의 분기풍로(110b)에 개재된 다른 쪽의 기화필터(107b)와 비교해 공기 투과량이 많기 때문에, 한 쪽의 분기풍로(110a)로 공기(A´)가 흐르기 쉬워지고, 다른 쪽 분기풍로(110b)로 흐르는 공기(A´)는 적량으로 억제되어 다른 쪽의 기화필터(107b)를 통과하는 공기(A´)의 풍량은 적량으로 억제된다. 이에 따라, 다른 쪽 분기풍로(110b)로 흘러 들어가는 공기(A´)의 풍량이 다른 쪽의 기화필터(107b)의 처리능력 한계량(다른 쪽 기화필터(107b)가 가습 처리할 수 있는 최대풍량)에 맞추어지고, 또한 한 쪽 분기풍로(110a)로 흘러 들어가는 공기(A´)의 풍량을 한 쪽의 기화필터(107b)에 맞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쌍방의 분기풍로(110a), (110b) 내를 유통하는 공기(A´)가 합류했을 때의 가습량이 제일 많아지는 최적의 밸런스로 맞출 수 있어서, 가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습장치(200)는 흡입구(201), 취출구(202), 송풍기(203), 흡입풍로(204), 취출풍로(205), 가열기(206), 기화필터(207), 공기세정체(208)로 구성되어 있다. 취출풍로(205)의 중간부에는 가열기(206) 앞쪽에서 두 갈래로 분기되어 취출구(202) 앞쪽에서 합류하는 2 개의 분기풍로(210)가 형성되어 있다. 분기풍로(210)는, 방 모양으로 형성된 취출풍로(205)의 중간부 중앙을 간막이부재(211)로 상하 구획하여 형성되어 있고, 2 개의 분기풍로(210a), (210b)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송풍기(203)의 송풍구(203a)와 직결된 취출풍로(205)의 일단부는 간막이부재(211) 중앙의 하방에 형성되고, 취출구(202)와 직결된 취출풍로(205)의 타단부는 간막이부재(211) 중앙의 상방에 형성된다.
상기 가습장치(200)에 따르면, 2 개의 분기풍로(210a), (210b)는 각각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두 방향으로 유통하여 합류하는 공기 (A´)의 풍량이 거의 균일해진다. 이에 따라, 어느 한 쪽의 분기풍로(210)로만 공기(A)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두 개의 기화필터(207)를 균등하게 사용하여 가습을 실시할 수 있어 가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습장치(300)는 흡입구(301), 취출구(302), 송풍기(303), 흡입풍로(304), 취출풍로(305), 가열기(306), 기화필터(307), 공기세정체(308)로 구성되어 있다. 취출풍로(305)의 중간부에는 가열기(306) 앞쪽에서 두 갈래로 분기되어 취출구(302) 앞쪽에서 합류하는 2 개의 분기풍로(310)가 형성되어 있다. 분기풍로(310)는, 방 모양으로 형성된 취출풍로(305)의 중간부 중앙을 간막이부재(311)로 상하 구획하여 형성되어 있고, 한 쪽 분기풍로(310a)는 다른 쪽 분기풍로(310b)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송풍기(303)의 송풍구(303a)와 직결된 취출풍로(305)의 일단부는 간막이부재(311) 중앙의 하방에 형성되고, 취출구(302)와 직결된 취출풍로(305)의 타단부는 간막이부재(311) 측방에 형성되어 있다.
취출풍로(305)의 내부에는 기화필터(307)를 우회하여 송풍기(303)의 송풍구(303a)와 취출구(302)를 연통시키는 바이패스풍로(312)가 형성되어 있다. 바이패스풍로(312)는 취출풍로(305)의 일단부 바로 위에 위치하는 간막이부재(311)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간막이부재(311)의 중앙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또한, 취출풍로(305)에는 바이패스풍로(312)와 분기풍로(310)를 택일적으로 폐색하여 송풍 방향을 절환하는 절환수단(313)이 설치되어 있다. 절환수단(313)은, 두 개의 기화필터(310a), (310b)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셔터(314)와, 셔터(314)를 상하로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기구(315)로 구성되어 있다. 셔터(314)는 중공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단이 폐색됨과 동시에 하단은 개방되며, 측벽 상단부에는 기화필터(317)와 대향하는 개구부(31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셔터(314)의 외형은 취출풍로(305) 일단부의 내주면 및 바이패스풍로(312)에 의해 약간 작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셔터(314)는 취출풍로(305)의 일단부 및 바이패스풍로(312) 속에 느슨하게 삽입되어 있다. 셔터(314)의 상단면은 간막이부재(311)의 상단면과 마찬가지로 중앙에서 양측 트레이(316)를 향해 각각 경사져 있다. 또한 다른 쪽(짧은 쪽)의 분기풍로(310b) 측 개구부(314a)의 테두리 내에는 통과하는 공기의 송풍량을 감소시키는, 예를 들면 루바나 필터 등으로 이루어진 제 2 송풍저항체(317)가 끼워져 있다.
구동기구(315)는 취출풍로(305) 상단면(한 쪽 분기풍로(310a)의 상단면)에 탑재된 모터(318)와, 모터(318)의 회전축(미도시)에 부착되어 연직선 방향으로 회전하는 도르래(319)와, 일단이 셔터(314) 상단에 고정됨과 동시에 타단이 도르래(319)에 감겨있는 와이어(320)로 구성되어 있다. 와이어(320)는 취출풍구(305) 상단면에 형성된 관통공(321)에 삽입 통과되며, 취출풍로(305) 내의 셔터(314)는 와이어(320)에 매달려 설치된다.
도 6은 와이어(320)가 감겨서 셔터(314)가 상승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314)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바이패스풍로(312)는 셔터(314) 상단에 의해 폐색됨과 함께 분기풍로(305)의 입구는 개구부(317)에 대향되고, 분기풍로(305) 안과 셔터(314) 안은 개구부(314a)를 통하여 연통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314)가 상승 위치에 있을 때, 분기풍로(305)의 입구는 셔터(314) 측벽의 하단부에 의해 폐색됨과 함께 간막이부재(311) 상방의 분기풍로(305) 내에는 개구부(317)가 배치되고, 간막이부재(311) 상방의 분기풍로(305) 안과 셔터(314) 안은 개구부(317)을 통해 연통된다.
다음은, 상기 가습장치(300)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습을 실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모터(318)를 회전시켜서 셔터(314)를 하강 위치에 배치한다. 다음에, 송풍기(303)를 가동시켜, 건조한 공기(A)를 흡입구(301)에서 흡입풍로(304) 내에 넣고, 송풍기(303)를 통해 취출풍로(305) 내로 송출한다. 취출풍로(305) 내로 유입된 공기(A)는 셔터(314) 하단에서 셔터(314) 내에 들어가, 2 개의 분기풍로(310a), (310b) 내에 각각 유입된다. 한 쪽(긴 쪽) 분기풍로(310a) 내에는 개구부(317)를 지나 유입되고, 다른 쪽(짧은 쪽) 분기풍로(310b) 내에는 개구부(317)에 끼워진 제 2 송풍저항체(317)를 통과하여 유입된다. 2 개의 분기풍로(310a), (310b) 내에 각각 유입된 공기(A)는 기화필터(307)를 각각 통과하여 습기찬 공기(A´)가 되고, 취출구(302) 앞쪽에서 합류하여 가습장치(300)의 외부로 취출된다.
다음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습을 실시하지 않고 송풍만을 실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모터(318)를 회전시켜서 와이어(320)를 감아올림으로써 셔터(314)를 상승시켜서 상승 위치에 배치한다. 다음에, 송풍기(303)를 가동시켜, 가습장치(300) 외부의 공기(A)를 흡입구(301)에서 흡입풍로(304) 내로 보내고, 송풍기(303)를 통해 취출풍로(305) 내로 송출한다. 이 때, 가열기(306)의 가동을 정지시켜 둔다. 취출풍로(305) 내에 유입된 공기(A)는 셔터(314) 하단에서 셔터(314) 내로 들어가, 개구부(317)에 끼워진 제 2 송풍저항체(317)를 통과하여, 기화필터(307) 앞쪽의 한 쪽 분기풍로(310a) 내에 유입된다. 한 쪽 분기풍로(310a) 내에 유입된 공기(A)는 가습장치(300) 외부로 취출된다. 또한, 가습기(306)를 가동시킴으로써 온풍을 송출할 수도 있다.
상기 가습장치(300)에 따르면, 취출풍로(305)에는 기화필터(307)를 우회하여 송풍기(303)의 송풍구(303a)와 취출구(302)를 연통시키는 바이패스풍로(312)가 형성됨과 함께 바이패스풍로(312)와 분기풍로(310)를 택일적으로 폐색하여 송출 방향을 절환하는 절환수단(313)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바이패스풍로(312)를 폐색한 경우에 분기풍로(310)는 개방되고, 송풍기(303)에 의해 송출된 공기(A)는 기화필터(307) 앞쪽의 분기풍로(310) 내로 유입된다. 또한, 분기풍로(310)를 폐색한 경우, 바이패스풍로(312)는 개방되고, 송풍기(303)에 의해 송출된 공기(A)는 기화필터(307) 앞쪽의 분기풍로(310) 내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절환수단(313)에 의해 가습 또는 송풍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분기풍로(305)는 방 모양으로 형성된 취출풍로(305) 중간부의 중앙을 간막이부재(311)로 상하 구획하여 형성되고, 송풍기(303) 송풍구(303a)와 직결된 취출풍로(305)의 일단부는 간막이부재(311) 하방에 형성되고, 취출구(302)와 직결된 취출풍로(305)의 타단부는 간막이부재(311) 측방에 형성되며, 2 개의 기화필터(307)는 간막이부재(311) 양단 하방에 각각 배치되고, 바이패스풍로(312)는 취출풍로(305) 일단부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간막이부재(311)의 중앙에 형성되고, 절환수단(313)은 2 개의 기화필터(307)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중공형 셔터(314)와, 셔터(314)를 상하로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기구(315)로 구성되며, 셔터(314)는 상단이 폐색됨과 함께 하단이 개방되며, 측벽의 상단부에는 개구부(314a)가 형성되고, 셔터(314)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바이패스풍로(312)는 셔터(314)의 상단에 의해 폐색됨과 함께 분기풍로(305) 안과 셔터(314) 안이 개구부(314a)를 통해 연통되고, 셔터(314)가 상승 위치에 있을 때 분기풍로(305)의 입구는 셔터(314) 측벽의 하단부에 의해 폐색됨과 함께 간막이부재(311) 상방의 분기풍로(305) 안과 셔터(314) 안이 개구부(317)를 통해 연통되기 때문에, 셔터(314)가 상하 이동함으로써 바이패스풍로(312)와 분기풍로(310)을 택일적으로 폐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습 또는 송풍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셔터(314)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다른 쪽(짧은 쪽)의 분기풍로(13b) 내를 유통하는 공기(A´)는, 한 쪽(긴 쪽)의 분기풍로(310a) 내를 유통하는 공기(A´)와 비교하여 유통 길이가 짧은 만큼 풍량이 커지나, 상기 가습장치(300)에서는, 다른 쪽(짧은 쪽)의 분기풍로(310b) 측의 개구부(314a)를 통과하는 공기(A)의 송풍량을 감소시키는 제 2 송풍저항체(317)가 끼워져 있기 때문에, 다른 쪽(짧은 쪽)의 분기풍로(310b) 내를 유통하는 공기(A´)의 풍량이 억제되어 제한되고, 두 방향에서 유통되어 합류하는 공기(A´)의 풍량은 거의 균일해진다. 이에 따라, 다른 쪽(짧은 쪽)의 분기풍로(310b)로만 공기(A)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2 개의 기화필터(307)를 균등하게 사용하여 가습할 수 있으므로, 가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습장치(400)는 흡입구(401), 취출구(402), 송풍기(403), 흡입풍로(404), 취출풍로(405), 가열기(406), 기화필터(407), 공기세정체(408)로 구성되어 있다. 도 8 은 도 7에 나타낸 X - X 간의 단면도이다. 도 7,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출풍로(405)의 중간부에는 2 개의 분기풍로(410)가 형성되어 있다. 한 쪽의 분기풍로(410a)는 다른 쪽 분기풍로(410b) 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고, 한 쪽(긴 쪽) 분기풍로(410a)의 단면적은 다른 쪽의 분기풍로(410b)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습장치(400)에 따르면, 한 쪽(긴 쪽)의 분기풍로(410a)의 단면적은 다른 쪽(짧은 쪽)의 분기풍로(410b) 단면적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 쪽(긴 쪽)의 분기풍로(410a) 내를 유통하는 공기(A´)의 풍량과 다른 쪽(짧은 쪽)의 분기풍로(410b) 내를 유통하는 공기(A´)의 풍량은 거의 균일해진다. 이에 따라, 2 개의 기화필터(8)를 균등하게 사용하여 가습할 수가 있고, 가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 및 공기조화기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분기배관 (13), (110), (210), (310)이 2 개 설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분기배관 (13), (110), (210), (310)을 2 개 이상 설치해도 좋으며, 분기배관 (13), (110), (210), (310)을 증가시킴으로써 가습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습장치 (1),(100), (200), (300)의 케이스(12) 속에 흡입풍로 (5), (104), (204), (304)를 개별적으로 설치하였으나, 본 발명은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흡입풍로로 사용하여, 흡입구를 케이스에 설치하여 흡입구부터 케이스 속에 공기(A)를 넣어, 케이스 내의 공기(A)를 송풍기의 흡입구에서 흡입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흡입풍로 (5), (104), (204), (304)로서 개별적으로 배관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장치의 제작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송풍저항체(10)가 기화필터(8)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기화필터(8)의 앞쪽에 제 1 송풍저항체(10)를 배치해도 좋으며, 다른 쪽(짧은 쪽) 분기풍로(13b)의 입구에 배치해도 좋다. 또한, 제 1 송풍저항체(10)를 기화필터(8)와 겹치게 해도 좋으며, 제 1 송풍저항체(10)를 설치하는 위치를 다른 쪽(짧은 쪽) 분기풍로(13b) 안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 형태에서, 한 쪽(긴 쪽)의 분기풍로(110b)에 개재된 한 쪽의 기화필터(107a)의 공기투과량을 다른 쪽(짧은 쪽) 분기풍로(110a) 에 개재된 다른 쪽 기화필터(107b)와 비교하여 크게 하기 위해, 한 쪽 기화필터(107a)의 두께를 다른 쪽 기화필터(107b)보다 작게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한 쪽 기화필터(107a)의 밀도를 다른 쪽 기화필터(107b)와 비교하여 작게 하여, 공기(A)가 통과하는 빈틈의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한 쪽 기화필터(107a)의 공기투과량을 다른 쪽 기화필터(107b)와 비교해 많게 하여도 좋다. 즉, 한 쪽 기화필터(107a)의 공기투과량이 다른 쪽 기화필터(107b)와 비교하여 많으면, 한 쪽 기화필터(107a)의 두께가 다른 쪽 기화필터(107b)와 동일하거나 커도 좋다.
또한, 상기 제 3 실시 형태에서, 취출구(202)는 가습장치(200)의 상단면에 형성되어 있으나, 취출풍로(205)의 타단부를 도 4 의 안쪽 방향으로 연장시키고, 취출구(202)를 가습장치(200)의 측면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간막이부재(211)의 상단면이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경사지게 해도 좋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 4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기구(315)에 모터(318)와 도르래(319), 와이어(320)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구동기구에 실린더나 피니온 및 랙 등을 사용하여 셔터(314)를 상하 구동시켜도 좋으며, 또는 링크 기구를 사용하여 셔터(314)를 상하 구동시켜도 좋다. 상기 제 4 실시 형태에서는 셔터(314) 개구부(314a)에 제 2 송풍저항체(317)를 끼워서 풍량을 조절하였으나, 본 발명은 제 1 송풍저항체를 다른 쪽(짧은 쪽) 분기풍로(310b)에 설치하여 제 2 송풍저항체(317)를 생략해도 좋으며, 제 1, 제 2 송풍저항체 모두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송풍기(4), (103), (203), (303), (403)가 흡입풍로(5), (104), (204), (304), (404) 와 취출풍로 (6), (105), (205), (305), (405) 사이에 개장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송풍기를 취출구의 앞쪽에 위치하는 취출풍로의 타단부 내에 설치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 흡입풍로는 흡입풍로나 취출풍로를 수납하는 케이스 내부와 연통되어 있으며, 외부의 건조한 공기(A)는 흡입구에서 흡입풍로를 통해 케이스 내부로 흡입된다. 또한, 취출풍로의 일단부는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케이스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케이스 내에 흡입된 건조한 공기(A)는 취출풍로를 통해 취출구에서 외부로 토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 및 공기조화기에 따르면, 송풍기와 취출구 사이에 개장된 취출풍로의 중간부에는, 가열기의 앞쪽에서 분기되어 취출구의 앞쪽에서 합류하는 복수의 분기풍로가 형성되고, 복수의 분기풍로에는 기화필터가 각각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송풍기 및 가열기에 대해 복수의 기화필터가 구비되고, 하나의 송풍기에서 송출되어 하나의 가열기에 의해 가열되는 공기는, 복수의 분기풍로 안을 통과하여 복수의 기화필터에 도달하고, 복수의 기화필터에 의해 각각 습기가 포함된다. 이에 따라, 송풍기 및 가열기를 증가시키지 않고 기화필터를 증가시킴으로써 가습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장치의 소형화 및 비용 절감을 꾀할 수 있다.

Claims (12)

  1. 건조한 공기를 받아들이는 흡입구와, 습기찬 공기를 토출하는 취출구와,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취출구로 공기를 보내는 송풍기와,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어 있는 흡입풍로(風路)와, 해당 흡입풍로와 연통됨과 동시에 상기 취출구와 연통되어 있는 취출풍로와, 해당 취출풍로에 마련되어 상기 흡입풍로에서 송출된 건조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와, 해당 가열기 앞쪽의 상기 취출풍로에 개재되어 건조한 공기가 습기찬 공기로 되어 통과하는 습윤 상태의 기화필터를 구비하는 가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취출풍로의 중간부에는 상기 가열기의 앞쪽에서 분기되어 상기 취출구 앞쪽에서 합류하는 복수의 분기풍로가 형성되며, 해당 복수의 분기풍로에는 상기 기화필터가 각각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기풍로 중 적어도 하나의 분기풍로에는, 통과하는 공기의 송풍량을 감소시키는 제 1 송풍저항체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기풍로 중 한 쪽의 분기풍로는 다른 쪽 분기풍로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한 쪽 분기풍로에 개재된 한 쪽의 기화필터는 상기 다른 쪽 분기풍로에 개재된 다른 쪽 기화필터와 비교하여 공기 투과량이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분기풍로는, 각각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
  5. 제 1 항부터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기풍로 중 상기 한 쪽의 분기풍로 단면적은 상기 다른 쪽 분기풍로의 단면적보다도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
  6. 제 1 항부터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기화필터의 하방에는,
    상기 기화필터 하단부에 침지되는 물이 저류된 트레이가 각각 배치되고,
    상기 취출풍로의 중간부의 중앙을 상하구획하여 상기 분기풍로를 형성하는 간막이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간막이 부재의 상면이 상기 분기풍로의 바닥면을 형성하되,
    상기 분기풍로내에 형성된 물방울이 상기 트레이로 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분기풍로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상기 간막이 부재의 상면은 상기 트레이를 향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
  7. 제 1 항부터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풍로에는 상기 흡입구로 들어오는 공기를 세정하는 공기세정체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
  8. 제 1 항부터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풍로에는 상기 기화필터를 우회하여 상기 송풍기의 송풍구와 상기 취출구를 연통시키는 바이패스풍로가 형성됨과 동시에 해당 바이패스풍로와 상기 분기풍로를 택일적으로 폐색하여 송풍 방향을 절환하는 절환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분기풍로는 방 모양으로 형성된 상기 취출풍로 중간부의 중앙을 간막이부재로 상하 구획하여 형성되고, 상기 송풍기의 송풍구와 직결된 상기 취출풍로의 일단부는 상기 간막이부재의 하방에 형성되며, 상기 취출구와 직결된 상기 취출풍로의 타단부는 상기 간막이부재의 측방에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기화필터는 상기 간막이부재의 양단 하방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바이패스풍로는 상기 취출풍로의 일단부 바로 위에 위치하는 상기 간막 이부재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절환수단은 복수의 상기 기화필터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중공형 셔터와, 해당 셔터를 상하로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기구로 구성되며,
    상기 셔터는 상단이 폐색되어 있음과 동시에 하단이 개방되고, 측벽의 상단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셔터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바이패스풍로는 상기 셔터의 상단에 의해 폐색됨과 동시에 상기 분기풍로 안과 상기 셔터 안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연통되고,
    상기 셔터가 상승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분기풍로의 입구는 상기 셔터의 측벽에 의해 폐색됨과 함께 상기 간막이부재 상방의 상기 분기풍로 안과 상기 셔터 안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복수개가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개구부 중 적어도 한쪽에는, 통과하는 공기의 송풍량을 감소시키는 제 2 송풍저항체가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상단은 상기 트레이를 향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습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040058203A 2003-12-24 2004-07-26 가습장치 및 공기조화기 KR1006254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27444A JP3984223B2 (ja) 2003-12-24 2003-12-24 加湿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JP-P-2003-00427444 2003-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265A KR20050065265A (ko) 2005-06-29
KR100625490B1 true KR100625490B1 (ko) 2006-09-20

Family

ID=34786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8203A KR100625490B1 (ko) 2003-12-24 2004-07-26 가습장치 및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984223B2 (ko)
KR (1) KR100625490B1 (ko)
CN (1) CN1302240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1513A1 (ko) * 2012-03-22 2013-09-26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307B1 (ko) * 2007-03-26 2008-10-1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공기청정가습기
KR101378264B1 (ko) * 2011-05-03 2014-03-25 최재구 가열식 가습기
KR101873593B1 (ko) 2011-12-12 2018-08-01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잔수회수부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JP6365030B2 (ja) * 2014-01-10 2018-08-0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清浄機
KR101769817B1 (ko) * 2015-10-30 2017-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0993B2 (ja) * 1999-07-28 2003-07-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加湿装置
JP3545315B2 (ja) * 2000-05-09 2004-07-21 株式会社テクノ菱和 空気調和機及び湿度制御方法
JP4660031B2 (ja) * 2001-08-09 2011-03-30 三洋電機株式会社 加湿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1513A1 (ko) * 2012-03-22 2013-09-26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기
KR101916886B1 (ko) * 2012-03-22 2018-11-08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265A (ko) 2005-06-29
CN1637354A (zh) 2005-07-13
CN1302240C (zh) 2007-02-28
JP2005188780A (ja) 2005-07-14
JP3984223B2 (ja) 2007-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870B1 (ko) 환기장치
JP6272489B2 (ja) 除湿機
US7363770B2 (en) Air conditioner
CN106765648A (zh) 除湿空调一体机
JP2008122061A (ja) 加湿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空気調和機
KR100625490B1 (ko) 가습장치 및 공기조화기
KR101917819B1 (ko) 냉-난방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제습기
CN107923635A (zh) 除加湿装置
JP5397235B2 (ja) 除湿機
KR20170086435A (ko) 가습 기능을 갖는 공기청정 장치
JP4770621B2 (ja) 加湿機能付空気清浄機
KR101016310B1 (ko) 공기조화기
KR101957682B1 (ko) 제가습 장치
KR20060095058A (ko) 공기조화기
JP4524883B2 (ja) 加湿機能付温風機
JP5314118B2 (ja) ワンスパン用床設置空調機
WO2017047120A1 (ja) 除加湿装置
JP2004233022A5 (ko)
KR101403010B1 (ko) 가습 제습 복합기
JP2004347282A (ja) 空気調和機
CN214664850U (zh) 空气调节装置
KR20210090833A (ko) 공기조화장치
CN216868674U (zh) 一种空气调节设备
KR101335230B1 (ko) 가습 제습 복합기
JP2019074219A (ja) 熱交換形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