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0180822B1 - 정숙성에 우수한 시트재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정숙성에 우수한 시트재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0822B1
KR0180822B1 KR1019960011693A KR19960011693A KR0180822B1 KR 0180822 B1 KR0180822 B1 KR 0180822B1 KR 1019960011693 A KR1019960011693 A KR 1019960011693A KR 19960011693 A KR19960011693 A KR 19960011693A KR 0180822 B1 KR0180822 B1 KR 0180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spiral
guide
sheet materia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1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228A (ko
Inventor
준이찌 나가오
슈이찌 후루야마
Original Assignee
에다 테츠야
히다찌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혼다 요시히로
가부시키가이샤 야스키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08799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281592A/ja
Priority claimed from JP808894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254083A/ja
Priority claimed from JP099680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677345B2/ja
Application filed by 에다 테츠야, 히다찌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혼다 요시히로, 가부시키가이샤 야스키쪼 filed Critical 에다 테츠야
Publication of KR960037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8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2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coacting with a fixed member
    • B26D1/20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coacting with a fixed member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2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coacting with another disc cutter
    • B26D1/24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coacting with another disc cutter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70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 B41J11/70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using a cutting tool mounted on a reciprocating carri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 Control Of Cutt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숙성에 우수한 시트재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절단날을 왕복이동해서 시트재를 절단하는 시트재절단장치에 있어서, 상호간에 반대로 감긴 관계를 갖는 전진와 복귀의 나선이 적어도 한쪽 방향 단끼리 연속해서 구성된 나선형안내로(2)를 갖춘 축체(1)와, 절단날(5a, 5b)을 지지한 상기 나선형안내로(2)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재(19)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한 이동체(4)를 갖추고, 상기 나선형안내로(2)와 걸어맞춤부재(19)는 수지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또 상기 이동체 (4)의 절단방향후부에 시트재의 절단단을 아래쪽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안내면(33a)과, 절단단을 둥근형상으로 배출하는 제2안내면(33b)와, 둥글게 된 절단단을 시트재의 이송방향아랫쪽으로 공급되는 쪽에 놓인 제3안내면(33c)등을 갖춘 강제배출부(33)을 설치하고, OA기기에 조립되어 사용이 가능한 정숙성을 갖고, 또 절단면의 파단이 없이 안정된 절단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정숙성에 우수한 시트재절단장치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와 같은 OA기기에 조립시켜 사용하도록 된 시트재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단날의 이동장치를 개량해서 정숙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안정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된 시트재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와 같은 OA기기에 탑재되는 시트재절단장치에는 예컨대 일본국 특허공고공보 소50-24466호 기재된 고정날에 선회하는 직선날을 교착압접시켜서 절단하는 이른바 로타리식 시트재절단장치와, 동국 실용공고공보 소 58-37594호에 기재된 고정날로 상하운동하는 가동날을 교착압접시켜서 절단하는 이른바 슬라이드식 시트재절단장치 등이 있지만, 이들 절단장치는 절단쪽에 해당되는 길이의 날을 구동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절단쪽이 넓게 되면 구동력이 커져 소형화시키기 어렵도록 되어 있다.
이에 대해 동국 실용공개공보 평 4-128195호에 기재된 원형날 또는 나이프형상의 날을 고정날에 압접미끄럼시켜서 이동해서 절단하는 절단장치와, 동국 특허공개공보 평 7-52085호에 기재된 날선단을 압접시킨 2매의 원형날을 갖춘 날을 이동해서 시트재를 절단하는 날이 동형의 롤라식 시트재절단장치와 같은 날이동형 절단 장치가 공지되어 있는 바, 이 같은 날이동형 절단장치는 상기 로타리식이나 슬라이드식 시트재절단장치와 비교해서 날구동에 소요되는 동력이 적어 절단쪽의 제약이 적기 때문에 큰폭의 절단에도 소형화할 수 있는 점이 유리하고, 특히 후자의 2매의 원형날을 갖춘 롤라식 시트재절단장치는 긴 고정날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소형경량화에 한층 유리하다.
이 날이동형 절단장치의 날의 이동수단에는 와이어 또는 치형벨트에 의해 날을 견인해서 왕복이동하는 이동장치가 이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이동장치는 날이 종단부로 방향변환할 때 관성에 의해서 날이 스트리퍼 등에 충돌해서 소음을 발생시키는 등 정숙성이 요구되는 OA기구의 조립장치에 적용하기에 문제가 있었다. 그런 까닭으로 날에 설치하기 위해 나사에 축체의 나사를 걸어맞춤시켜 해당축체를 정역 회전해서 날을 왕복이동하는 나사구동식의 이동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나사 구동식의 이동장치에는 날을 왕복시켰을 때에 전진 또는 복귀의 끝단에 리미트스위치를 설치해서 모터등의 구동기구의 정역절체(正逆切替)의 동작을 행하고 있다.
또한 롤라식 시트재절단장치에는 통상 절단중 시트재의 절끝단은 자유롭게 절단하고, 절단후는 자연낙하시켜서 그릇에 모으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지만, 특히 상부에 가이드가 없는 피절단시트를 프레임의 상면에 놓은 것만으로 절단조작이 가능한 프리셋트구조의 롤라식 시트재절단장치에 있어서는 구동부가 프레임의 하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동체인 날이 왕복이동할 때에 절단된 배출후의 시트재가 날에 간섭을 일으켜 모아진 시트재를 흐뜨리게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예컨대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 6-134692호나 동국 특허공개공보 평7-52085호에 원판날과 고정날 또는 원판날과 원판날이 미끄럼접합하는 절단점부터 절단후의 시트재의 전끝단을 가능하면 떨어진 위치에 강제적으로 배출되도록 한 배출구조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나사구동식 이동장치는 리미트스위치에 의해 정역절체기구와 그의 제어회로를 필요로 하고, 부품수가 많아져 복잡하기 때문에 소형저가의 요청에 대해 불리하다. 또 OA기구는 특히 절단장치의 작동에도 정숙성이 요망되어, 이에 대해 본 발명자는 절단날을 시트재의 폭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기 위해 상호간에 반대쪽으로 향하는 관제인 나선형안내로를 형성한 축체를 사용하면 현저하게 소음이 발생되고, 팩시밀리와 같은 OA기구에 조립해서 사용하면 정숙성이 요구되는 시트재절단장치에 대해서는 부적당하다고 하는 새로운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더욱 이 종래의 롤라식 시트재절단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시트재배출구조에는 시트재의 절단된 끝이 무리한 형태로 강제 배출되기 위해 시트재의 절단면이 파단으로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재절단장치의 조립개념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재절단장치의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엔드레스안내로의 제 1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축체의 안내로에 형성된 홈단면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축체의 복귀방향피치를 전진방향피치보다 크게 한 안내로의 제 1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계합부재의 1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7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으로 본 안내부재의 분해부품도.
제8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으로 본 안내부재의 조립도.
제9도는 제8도의 B-B선 단면의 나선형안내로에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재절단장치의 강제배출부를 갖춘 이동체를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강제배출부을 갖춘 이동체의 정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C-C선 단면도.
제13도는 제11도의 D-D선 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강제배출부의 안내면의 곡면형상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롤시트재의 절단상황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재의 절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축체 2 : 안내로
3 : 중공도(안내레일) 3a : 단판
4 : 이동체 5a : 제1원판날
5b : 제2원판날 6a : 제1원판날축
6b : 제2원판날축 7 : 탄성롤라(회전수단)
7a : 탄성체 8 : 압축코일스프링
9 : 제1원판날축수납부 10 : 제2원판날축수납부
11 : 축수납부 12 : 측판
13 : 기어 14 : 모타(구동수단)
15 : 피니언기어 16 : 스크류
17 : 대기위치검출용스위치 18 : 전진단검출스위치
19 : 걸어맞춤부재 20 : 안내부재
20a : 포크부 20b : 원판부(병부)
20c : 돌기 21 : 판스프링(부가수단)
21a : 요부 22 : 절단점(교접점)
23 : 절끝단 24 : 분리단부
25 : 절단면 31 : 상날
32 : 하날 33 : 강제배출부
33a : 제1안내면 33b : 제2안내면
33c : 제3안내면 41 : 구동축구멍
42 : 미끄럼부 43 : 안내체끼움구멍
44 : 큰직경부 45 : 슬릿
201 : 절단선수직면 301 : 시트면
S : 시트재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절단날의 시트재폭방방향으로 왕복작동이 용이하고, OA 기기에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정도의 정숙성을 갖추며, 또 상기 절단면이 파형으로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안정된 절단이 가능한 정숙성에 우수한 시트재절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자는 소음에 대해서 연구한 결과 축재외경에 상술한 상호간의 반대방향의 관제에 있어 나선형안내로를 형성하는 제3도에서 2e로 도시된 나선의 교차점이 존재하지만 이 교차점의 존재가 축체를 회전해서 이동체를 이동할 때, OA기구도 문제가 되어 귀에 거슬리는 금속성 소음이 발생되는 원인의 하나를 발견했다. 그래서 발명자는 금속체를 합성수지로 대체하면 이 같이 귀에 거슬리는 금속음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 주목하여 상기 나선형안내로에 걸어 맞춰지는 걸어맞춤부재를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것이 좋다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이루게 되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시트재절단장치는, 절단날을 전진방향 및 복귀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시트재를 절단하는 시트재절단장치에 있어서, 외경에 나선형안내로를 갖는 축체와, 상기 나선형안내로에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부재를 설치한 이동체와, 그 이동체에 지지된 절단날과, 상기 축체를 회전하는 구동수단등을 갖추고, 상기 나선형안내로는 전진방향의 안내로를 형성하는 전진방향의 나선과, 복귀방향의 안내로를 형성하는 복귀방향의 나선으로 구성되어, 상긴 전진방향의 나선과 상기 복귀방향의 나선과는 상호간에 역권(逆券)의 관제를 갖고, 또 전진 방향의 나선과 복귀방향의 나선과 적어도 한쪽단끼리 연속하는 나선형안내로가 수지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걸어맞춤부재가 수지성형에 의해 형성되어서 상기 이동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시트재절단장치는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축체의 나선형안내로와 여기에 걸어맞춰지는 이동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걸어맞춤부재가 수지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단날을 지지한 이동체를 이동시켜 절단할 때 금속제축체와 금속제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춤시켜서 이동체를 이동하는 경우에 비해 금속음의 발생음이 적어 정숙성을 도모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더욱이 이 나선형안내로를 수지로 성형하게 되면 나선형안내로의 성형이 용이하고 비용이 저감됨과 더불어 특별하게 윤활을 하지 않고도 마모가 감소된다는 이점이 있다. 이때 나선형안내로를 윗쪽이 넓어지는 형단면을 갖춘 나선형상홈에 의하면 교차점부의 저면에는 연속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부드럽게 걸어맞춤부재를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고, 정숙성이 한층 향상되며, 또 수지성형시 금형의 분리가 용이하며 비용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나선형안내로는 전진방향의 나선과 복귀방향의 나선등이 적어도 한 방향단끼리 연속해서 안내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구동수단을 반대로 회전시키지 않아도 전진과 복귀방향으로의 방향전환이 가능하다. 더욱이 전진방향의 나선과 복귀방향의 나선을 양단에 의해서 연속해서 단이 없이 안내로를 형성시키는 것이 회전구동수단을 역전하지 않아도 연속적으로 전진/복귀의 방향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숙화와 기구의 간소화를 위해 바람직하다.
즉 전진/복귀방향의 나선이 한쪽 방향단끼리 또는 양단으로 연속해서 단이 없이 안내로를 형성하고 있는 것에 의해 상기 축체의 회전운동이 나선안내로에 의해 이동체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서 날이 전진방향 시작점부터 마침점까지 향해서 이동해서 마침점으로 복귀방향의 나선측의 방향을 변경할 때, 이동체는 전진부터 복귀방향으로 이동해서 회전구동수단의 방향을 바꾸지 않아도 이동체의 전진방향과 복귀방향의 연속적인 방향전환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나선축체를 한쪽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절단발의 전진방향과 복귀방향의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동체가 전전/복귀변환의 단부분으로 관성에 의해 스톱퍼등의 구성부품과 충돌해서 일어나는 충돌음이 방지되고, 소음이 적고 정숙해서 구동수단의 전진/복귀방향의 절환기구가 필요하지 않은 절단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축체의 전진방향의 피치에 대해서 복귀방향의 나선피치를 크게 하면, 축체의 회전수를 변화시키지 않고도 복귀방향의 속도를 높일 수 있어 절단날을 신속하게 대기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 구성은 특히 복귀에 있어서 절단을 하지 않고 복귀의 부하가 적지 않은 경우에 유효하다.
또 상기 이동제의 걸어맞춤부재에는 상기 축체의 나선형안내로에 미끄럼해서 상기 이동체의 왕복이동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이 안내로의 넓이보다도 긴 안내로를 형성한 축체원주의 1/3이상을 덮은 안내로접촉면을 갖는 안내부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축체의 나선형안내로는 전진방향과 복귀방향의 나선이 상호간에 꼬여진 관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3도의 2e에 도시된 전진/복귀의 나선의 교차부가 존재한다. 이 때문에 절단날을 지지하는 이동체가 이 교차부분을 통과할 때 걸어맞춤부가 흔들려서 교차점의 각도부에 충돌해서 소음을 발생하기도 하고, 부하가 크면 걸어맞춤부가 정규의 안내로를 벗어나기도 하는 염려가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 의해 걸어맞춤부재에 상기 구성의 안내부를 갖추면 걸어맞춤부의 떨림이 적게 되고, 교차부분에 있어서 소음이 방지되며, 걸어맞춤부재의 탈선을 방지해서 안정된 이동이 가능하다.
또 안내부가 축체의 반원주를 초과한 접촉면을 갖는 왕복방향의 끝단의 방향 전환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에, 원활한 왕복이동과 정숙성을 위해서는 안내부와 나선의 반원주보다 적은 원주의 1/3이상을 덮은 안내로접촉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이동체의 걸어맞춤부재는 상기 나선형안내로에 걸어맞춤해서 미끄럼하는 2개의 포크부와 상기 이동체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된 병부등을 갖는 포크형상의 안내부재와, 이 안내부재를 나선형안내로에 밀어부치는 부착수단을 갖춘 것이 상기 전진/복귀의 교차부분에 의해서 걸어맞춤부재의 탈선방지를 한층 확실하게 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또 이 구성에 의해 이동체가 나선형안내로의 양단에 있어서 방향전환할 때, 나선형안내로에 걸어맞춤하고 있는 포크부가 그 병부를 축에 의해 회동해서 안내로를 따르기 때문에 종단부에 있어서 왕복의 방향전환이 원활하게 행해지고, 더욱이 안내부재는 부착부단에 의해 나선형안내로에 밀착되는 형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충실하게 안내로를 따라 이동하고, 탈선해서 이음을 발생하는 것이 한층 방지된다.
또 상기 축제를 회전구동하는 구동수단은, 구동모타와, 이 구동모타의 회전을 상기 축체에 전동하는 스퍼어기어에 의해 구성됨에 의해, 기어끼리의 접촉을 원활하게 하고, 경사기어보다도 기어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하기 때문에 한층 정숙화하기 위해서 바람직하다. 이는 스퍼어기어의 나사각도는 축지지력과 정숙성을 고려해서 10도 내지 30도가 좋다.
또 본 발명의 시트재절단장치는 전진/복귀방향에 연장된 중공단면을 갖는 안내레일과, 이 안내레일의 중공단면내에 배치된 상기 축제와, 이 축체의 나선형안내로에 걸어 맞춤해서 상기 안내레일의 중공단면의 내면을 미끄럼하는 미끄럼부를 설치한 이동체등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상태의 중공단면의 안내레일 내에 축체를 배치하여 설치하면 회전부분의 노출이 적어 안전하고 소형화에 유리하다. 또 이동체의 미끄럼부가 안내레일의 내면을 이동해서 구동하기 때문에 안내레일의 상부면을 절단시 파형절단시트의 재치면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파형절단시트를 안내레일의 상부면으로 하는 것만으로 절단가능한 프리셋트구조로 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 상기 이동체의 절단운동방향뒷쪽에 절단되는 시트재의 절단끝을 절단점보다 아랫쪽방향으로 눌러주는 것에 의해 안내되는 제1안내면과, 상기 절단끝을 둥글게 배출하도록 안내하는 절단점근처를 정점으로 하는 원추곡면 또는 원추근이곡면을 형성하는 제2안내면과, 상기 둥근 절단끝을 시트재의 이송 방향아랫쪽흐름측에 놓여지게 안내하는 제3안내면을 갖춘 강제배출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는 절단하는 시트재의 형태에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특히 절끝단이 시트재의 감김에 의해서 아랫쪽방향으로 완만히 굽어지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팩시밀리등에 사용된 감열시트등의 롤시트재는 감김방향을 갖고, 이 경우 단념된 시트재의 절끝단은 제1안내면에 의해 아랫쪽방향으로 향해서 배출됨과 동시에 제15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롤시트재의 감김에 의해 완만하게 절곡된 제 2안내면의 원추곡면 또는 원추근이곡면에 의해서 아랫쪽방향으로 안내되고, 더욱이 제 3안내면에 안내되어서 아랫쪽으로 흐르는 곳으로 놓게 되고, 이에 의해 절단된 시트재가 무리않고 절단점부터 떨어진 시트재의 파단이 없이 파단에 기인하는 불연속한 절단음의 발생을 방지하여 정숙성을 증가시킴과 더불어 안정된 절단이 가능하다.
더욱이 롤시트재의 절단시에 시트재의 감김을 이용해서 무리하지 않게 배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강제배출부의 제1안내면은 상기 이동체의 절단점근처부터 시트면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5도 내지 20도의 각도를 갖는 평면이 없고, 상기 제2안내면은 상기 절단점근처를 정점으로 해서 절단운동후방에 넓은 원추각이 10도 내지 40도의 원추곡면 또는 원추근이곡면이 없고, 상기 제3안내면은 절단선에 대해서 상기 절단점근처부터 시트재의 이송방향 하부흐름측에 5도 내지 15도의 각도를 이루는 평면이 없고, 상기 제 1안내면, 제 2안내면 및 제 3안내면이 연속해서 이어져서 상기 시트재의 절끝단을 안내하는 강제배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원추근이 곡면은 수학적으로 정의된 원추면이 아니고 가공상 설치된 정도의 원추면에 의한 곡면을 갖는 것이 좋은 의미이다. 또 상기 3개의 안내면은 필요최소한의 면이고, 이 이상의 안내면을 설치한 것도 당연히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시트재절단장치는 이동체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가동원판날을 대략 직선날선단을 갖는 고정발의 날선단을 미끄럼접촉해서 시트재를 절단하는 시트재절단장치에도, 혹은 이동체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된 제 1원판날과 제 2원판날의 날선단을 미끄럼접촉해서 시트재를 절단하는 시트재절단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 시트재절단장치에 있어서 이동제가 전진 또는 복귀의 절단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가동원판날 또는 상기 제 1원판날과 제 2원판날의 어느 것 혹은 양쪽 방향을 그 날선단이 시트재를 투입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회전수단을 갖춘 것이 미려한 절단을 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재절단장치의 조립개념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재절단장치의 정면도이며,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엔드레스안내로의 제 1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축체의 안내로에 형성된 홈단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축체의 복귀방향피치를 전진방향피치보다 크게 한 안내로의 제 1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걸어맞춤부재의 1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제7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으로 본 안내부재의 분해부품도이고, 제8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으로 본 안내부재의 조립도이며, 제9도는 제8도의 B-B선단면의 나선형안내로에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러한 도면에 있어서 이동체(4)는 제 1원판날축수납부(9)와 제 2원판날축수납부(10)가 부착시키기 위한 스크류(16)에 의해 고정되고, 제 1원판날축(6a)과 제 2원판날축(6b)의 각각의 양단이 이동체(4)에 설치된 날축수납부와 상기 제 1원판날축수납부(9)와 제 2원판날축수납부(10)에 의해서 회전이 가능하게 축지지 되어 있다. 제 1원판날축(6a)과 제 2원판날축(6b)에는 각각 제 1원판날(5a)과 제 2원판날(5b)등이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고정되어 있고. 그리고 제 1원판날(5a)은 압축 코일스프링(8)에 의해 제 2원판날(5b)에 날선단이 고정되도록 밀착되어 있다. 또 제 1원판날축(6a)에 고정된 탄성롤라(7)는 제1도의 중공도(3)의 상부면과 접촉되어서 이동체(4)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고, 제 1원판날(5a)에 회전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13도는 상하 제 1원판날(5a) 및 제 2원판날(5b)의 쌍방으로 탄성롤라(7)를 고정시킨 것을 나타낸 것인 바, 외주에 탄성체(7a)가 삽입된 탄성롤라(7)를 상하 제 1원판날(5a) 및 제 2원판날(5b)에 고정시키고, 이동체(4)가 주행하면 안내레일(2)의 상하면에 탄성체(7a)가 접하여 회전하는 제 1원판날(5a)과 제 2원판날(5b)을 그 날끝이 비절단시트재로 자르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이동체(4)의 섭동부(41)가 안내레일을 구성하는 단면이 ⊃자형상의 중공도(3)의 ⊃자형 단면의 내면을 섭동하여 이동체(4)를 왕복이동시키도록 되며, 섭동부(41)에는 축체(1)의 축 방향으로 관통된 구동축구멍(41)이 구비됨과 아울러 이 구동축구멍(41)으로 축체(1)가 삽입,관통되어 있다.
또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4)가 우측단의 대기위치로 되돌아 오는 것을 검출하게 되는 대기위치검출용스위치(17)가 측판(12)에 취부되어 있다.
축체(1)는 중공도(3)의 단면안에 내포되어 그 양단축이 중공도(3)의 단판(3a)과 반대측의 측판(12)으로 축수납부(11)를 매개로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축지지되어 있으며, 축체(1)의 외경에는 수지성형방법으로 나선형상의 홈안내로(2 ; 이하 안내롤이라고 함)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로(2)는 축체(1)와 일체로 또는 축체(1)와 별개로 수지성형됨으로써 축체(1)의 외경부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안내로와 후술될 결합부재를 수지성형함으로써 동작시 소음의 발생이 저감되고, 조용한 이동기구가 얻어진다. 축체(1)의 안내로(2)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진/복귀(往復路) 방향의 나선이 서로 반대로 된 관계를 가지며, 전진방향의 나선과 복귀방향의 나선이 전진/복귀의 시점과 종점에 있어서 연속된 곡선의 홈으로 이루어지고, 엔드리스(endless) 안내로를 형성하게 된다.
안내로(2)의 홈단면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시의 금형이형성(金型離形性)을 양호하게 하도록 윗쪽이 넓은 형의 단면을 형성하며, 이 형상은 제4도에서 (a)의 반원형, (b)의 V자형, (c)의 U자형으로 되어 성형시 금형이형성의 양호한 형상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안내로(2)는 전진/복귀를 등피치(等pitch)로 하여도 양호함이 제5도에 나타나 있는 바, 전진방향보다 복귀방향의 나선피치를 크게 하면 복귀로절단을 행하지 않아도 부하가 적지 않은 복귀의 이동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절단동작시간이 단축된다고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제4도의 (d), (e),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진/복귀의 안내로를 각각 2개 또는 그 이상의 병렬된 홈으로 하고, 이동체에 각 홈에 결합되는 2이상의 결합부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와 같이 하면 안내로의 홈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내로를 나선 홈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을 홈형상의 나선으로 하지 않고 돌기형상의 나선으로 해도 양호한 바, 돌기형상의 나선으로 하면 전진/복귀의 나선의 교차부분에서는 철도궤도의 교차부분 형태와 같이 나선에 간극을 설치한 결합부와 나선과의 간섭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안내레일(3)의 내면을 섭동하는 이동체(4)의 섭동부(41)에는 축체(1)의 안내로(2)에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설치되지만, 이 결합부재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로(2)의 홈폭보다 긴 접촉면을 가진 안내부재(20)를 안내로(2)에 삽입시킨다.
이 안내부재(20)는 나선형상의 홈을 가진 축체 원주의 1/3 이상을 덮도록 함으로써 안내로(2)의 나선 전진/복귀의 교차점에 걸리게 되는 탈선현상이 방지되도록 됨이 요구되는 바, 본 실시형태에서는 확실한 작동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하 구조의 결합부재를 채용하였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결합부재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한다.
제7도는 제1도의 섭동부(41)의 I-I선 단면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결합부재의 분해부품도이고, 제8도는 제1도의 섭동부(41)의 I-I선 단면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결합부재의 조립된 상태도이며, 제9도는 제8도의 Ⅱ-Ⅱ선 단면을 안내로(2)의 나선홈에 연하여 절단한 단면도이다.
결합부재(19)는 안내부재(20)와 이것을 누르는 판스프링(21)으로 이루어져 있는 바, 상기 안내부재(20)는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쌍의 포크를 가진 포크부(20a)와 이 포크의 수납부를 이루는 원판부(20b)로 되어 수지성형방법으로 성형이 된다.
포크부(20a)의 두쌍부는 안내로(2)의 나선상 홈과 결합되는 요부(凹部)를 형성하고, 안내로(2)의 나선형상 홈에 걸쳐져 그 선단이 축반주(軸半周)까지 이르게 된다.
안내부재(20)는 이동체(4)의 섭동부(41) 구동축구멍(42)에 직교하도록 설치된 안내부재삽입구멍(43)에 삽입되고, 그 원판부(20b)의 아랫면이 확경부(44)에 접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포크부(20a)의 요부가 구동축구멍(42)에 삽입된 축체(1)의 안내로(2)의 나선형상 홈에 삽입되어 홈 저부의 지름을 지지하는 형상으로 된다.
안내부재(20)는 수지성형방법으로 성형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발생음이 저감되는 조용한 이동기구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판스프링(21)은 긴 판형상으로 되어 이 긴판의 양측단부가 확경부(44)와 직교하여 관통된 슬릿(45)에 삽입되고, 그 중앙부에 안내부재(20)의 원판부(20b) 머리부분을 눌러 안내부재(20)를 축(1)의 안내로(2)에 압착시켜 주도록 되어 있다.
판스프링(21)의 중앙부에는 요부(21a)가 설치되고, 안내부재(20)의 원판부(20b) 중심에 설치된 돌기(20c)가 이 요부(21a)에 접하여 안내부재(20)를 가볍게 회동시킬 수 있도록 눌러줌과 더불어 판스프링(21)의 어긋남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축체(1)가 회전하면 안내체(20)의 포크부(20a)가 안내로(2)의 나선홈에 연하여 섭동하고, 안내로(2)의 끝단에 오게 되면 안내체(20)가 엔드리스의 안내로(2)에 연하여 반회전하되 전진로 부터 복귀까지 이동체의 이동이 원활하게 된다.
또한, 포크부(20a)가 안내로(2)에 걸쳐져 판스프링(21)으로 부터 회동이 용이하도록 눌러져 있되, 안내로(2)의 전진/복귀 교차점에서 탈선하지도 않게 되고 소음의 발생도 감소된다.
축체(1)의 측판(12) 측단부에는 기어(13)가 고정되고, 기어(13)는 모타(14)의 피니언기어(15)와 치합 구동수단을 구성하여 축체(1)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기어(13) 및 피니언기어(15)는 수지성형과 관제되는 비틀림각도(15)를 가진 헬리컬기어로 되어 있는 바, 헬리컬기어의 비틀림각도는 소음과 축추력(軸推力) 지점으로 부터 10도 내지 30도가 바람직하며, 헬리컬기어는 직치기어에 비하여 발생음이 적지만, 상기 축체와 결합부재의 수지화와 더불어 소음이 저감되고, 조용한 절단장치가 될 수 있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 시트재절단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4)가 우측단 대기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모터(14)를 회전시키고, 피니언기어(15)와 기어(13)를 매개로 축체(1)가 회전하며, 축체(1)의 안내로(2) 나선홈에 결합된 안내부재(20)의 포크부(20a)에 전진방향의 힘이 가해진다.
이로 부터, 안내부재(20)는 안내로(2)를 섭동하면서 이동체(4)를 전진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때 제 1원판날(5a)은 탄성롤라(7)로 부터 회전구동되어 그 원주날단이 피절단시트재를 자르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진방향으로 이동하고, 도면과 같이 중공도(3)의 윗면에 놓인 시트재를 회전하는 제 1원판날(5a)과 제 2원판날(5b)의 사이에서 절단한다.
제2도와 같이 이동체(4)가 우측단에 있는 전진방향 끝단에 도달함으로써 시트재의 절단이 종료되는 바, 시트재의 절단이 끝나고 다시 축체(1)의 회전이 제속되면 안내부재(20)는 안내로(2)의 곡률변화에 따라서 전진방향 끝단에서 전진방향의 나선으로 부터 복귀방향의 나선으로 변화한다.
구체적으로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a)방향을 향하여 이동되어 있는 안내부재(20)는 종단부에서 화살표(b)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어서 화살표(c)로 향하고, 다시 회동하여 화살표(d)의 복귀방향을 향한다.
이로부터, 안내부재(20)는 이번에는 복귀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이동체(4)를 복귀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복귀방향 나선의 단에 도달한 이동체(4)는 전술한 바 안내부재(20)가 전진방향 끝단에 도달할 때와 같이 되고, 복귀방향의 나선으로 부터 전진방향의 나선으로 바뀌게 된다.
이어서, 이동체(4)가 종단부에서 방향변환함과 더불어 안내부재(20)는 그 병부(20b)가 이동체(4)의 섭동부(41)로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여 주고, 방향변환하는 나선의 안내로를 따라서 포크부(20a)가 자유로이 회전하되 안내로에선 원활하게 회전하게 된다.
제2도에서와 같이 이동체가 복귀를 이동하여 좌측의 대기위치에 이르면, 대기위치를 검출하는 대기위치검출스위치(17)에 의해 구동력이 차단되고, 이동체(4)는 대기위치에서 정지된 시트재 절단의 1사이클작동을 종료하게 된다.
상기 절단동작에 있어서, 상기 축체등을 수지화한 본 발명에 의한 시트재절단장치는 상기 구동계의 헬리컬기어의 효과와 아울러 종래 장치에 비하여 소음의 발생을 대폭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한 바, 그 소음의 측정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소음측정의 실례]
[측정조건]
축제의 치수 : 축체지름 φ6㎜, 나선피치 7㎜
축체회전수 : 5000 rpm
축체 및 결합부재의 재질 : 본 발명재 : 폴리에스테르 수지성형품
비교재 : 순 알루미늄 기제가공품
구동제 : 직치 기어를 사용한 경우와 경사진 기어를 사용한 경우
소음측정방법 : JIS 28731에 기초하여 음향제에 의한 무부하 동작시의 소음을 시트재 절단장치로 부터 1m 떨어진 위치에서 측정했음.
측정결과: 비교재 - 순 알루미늄 축체, 직치 기어 67 dB
본 발명재 - 폴리아세탈 수지축체, 직치 기어 61 dB
폴리아세탈 수지축제, 경사진 기어 58 dB
상기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작시의 소음이 본 발명의 수지축체는 비교재의 종래 금속제의 축체에 비해 6 dB이 저하되고, 더욱이 경사진 기어를 사용하여 비교재와 비교하였을 때는 9 dB의 소음저감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 시트재 절단장치에 따르면 절단날이 대기위치로 부터 시트절단을 시작하고, 절단후 대기위치로 복귀하기까지의 전진방향 및 복귀방향으로 절단날의 1사이클 왕복이동이 축체를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가능하다. 따라서 이동체의 왕복을 위해 이 축체(1)를 반전시키는 제어회로나 끝단에 있는 리미트스위치 등이 필요가 없게 됨에 따라, 장치의 간소화 및 저 제조단가가 이루어진다. 또한 나선상의 안내로는 연속적으로 반전하기 때문에 전진방향 끝단 또는 복귀방향 끝단에서 이동체의 충돌에 의한 소음이 없어 정숙성이 뛰어나다. 또 부가적인 작용으로 구동원의 회전방향이 틀리는 경우에도 전진방향과 복귀방향의 동작이 가능함에 따라 모터의 극성이 틀려도 모타가 가열 파손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안내로의 나선을 전진로의 피치보다 복귀로의 피치를 크게 하게 되면, 복귀로에서 절단을 하지 않는 경우에 부하가 작은 복귀로의 이동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절단의 동작행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안내로를 각 2개 또는 그 이상으로 배열한 홈으로 하여 이 이동체에 각 홈에 관제하는 2개 이상의 걸어맞춤부를 설치하게 되면 안내로의 홈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제의 나선상 안내로와 걸어맞춤부재를 수지화로 하고, 또 구동제에 경사진 기어를 사용함에 따라 소음을 10% 이상 저감시킬 수 있다.
더욱이 나선상의 안내로는 수지성형으로 성형되기 때문에 저렴한 가격으로 양산이 이루어지며, 안내로를 윗쪽이 넓은 형태의 단면을 갖는 홈형으로 하게 되면, 수지성형 때의 금형 분리성이 개선됨과 더불어 교차점부의 저면에 연속적인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어 정숙성의 향상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나선상 안내로에 걸어 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재의 안내부재는 돌기부의 포크부가 안내로의 ⅓원주 이상으로 걸쳐서 원활히 추종되기 때문에 상기 이동체를 이동 구동하는 전진/복귀의 교차부분에서 탈선할 염려가 없다. 또 안내부재는 병부가 이 동체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축체 종단부의 이동체의 방향변환 때에도 안내로를 따라 회전하여 원활하게 이동하여 안정된 왕복이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시트절단 장치는 전진방향으로 연장된 안내레일의 중공지지대의 내부에 축제를 배설하고, 이 중공 지지대의 내부를 미끄럼왕복하는 이동제의 미끄럼이동부에 상기 축체의 나선상 안내로에 걸어 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를 설제하여 이동체를 이동해서 시트재를 절단하기 때문에 회전부분의 노출없이 안전한 소형화에 유리하며, 안내레일의 상부에 안내부재 없이 피절단시트를 안내레일의 상면으로 올러 놓아도 절단이 가능한 프리세트 구조를 이를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전진로에서 시트가 절단되는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시트재 절단장치는 복귀로에 있어서도 시트재를 절단할 수 있는바, 이 경우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판(3A)에 전진로단 검출 스위치(18)를 설치함에 따라, 이 이동체(4)의 전진로단을 검출해서 모타(14)의 구동력으로 절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이동체에 강제 배출부를 설치한 시트재 절단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강제 배출부를 설치한 시트재 절단장치의 이동체를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11도는 이동체의 정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C-C선 단면도, 제13도는 제11도의 D-D선 단면도 및, 제14도는 강제배출부의 안내면 곡면형상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4)는 제1도에 도시된 이동체(4)에 대응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이동체(4)는 제 1원판날(5a)을 축지한 상부날대(31)와 제 2원판날(5b)를 축지한 하부날대(32)로 이루어지고, 이들날 사이에 피절단시트를 통과시킬 간극(4a)을 형성시키어 끝단의 연결부(31a)에 의해 일체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하부날대(32)와 일체인 미끄럼이동부(41)는 중공대(3)의 내부를 미끄럼이동해서 이동체(4)를 왕복이동 시킨다.
상기 하부날(32)에는 절단점인 상기 제 1원판날(5a)과 제 2원판날(5b)의 교접점 후부에 강제배출부(33)가 설치되어 있는 바, 이 강제배출부(33)는 절단된 시트재의 절단날을 절단점에서 하방으로 눌러 안내하는 제 1안내면(33a)과, 절단날을 둥글게 배출하듯이 안내하는 제 2안내면(33a), 둥그렇게 말려진 절단날을 하류측에 보내듯이 안내하는 제 3안내면(33c)으로 되어 있다.
제14도는 강제배출구의 안내면의 단면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면(3이, 상기 중공대(3)의 상위면)과, 이에 수직한 절단방향의 절단선 X-X의 면(201)을 가상해, 이면에 대한 상기 안내면의 각도를 나타낸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안내면(33a)은 시트면(301)의 면에 대해 상기 절단점(22)의 근방(22')으로 부터 절단방향의 후방을 향해 아래쪽으로 β=13 9°의 각도를 이루어 평면을 이루고 있다 제 2안내면(33b)은 상기 절단점 근방(22')을 정점으로 해서 후방이 넓은 원추각 α=20°의 원추곡면 또는 근사 원추곡면을 이룬 제 1안내면(33a)이 원추면과 원활하게 연속되어 있다.
제 3안내면(33c)은 상기 절단선 X-X에 수직한 면(201)에 대해 상기 절단점근방(22')으로 부터 아래쪽에 γ=7.5°각도를 이룬 평면을 이루어 제 2안내면(33b)의 원추면과 원활하게 연속하여 있다. 상기 안내면에 의해 강제배출부(33)는 도면의 e-f-g-h로 표시된 평면과 곡면의 연속한 면을 형성하고, 이 면에 의해 절단단을 둥글게 말면서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3안내면(33c)의 곡면 g-h는 시트면에 수직하여도 좋지만,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 조금 기울어지게 되면 시트재를 감기가 용이해진다.
상기 안내면은 제 1안내면(33a)의 각도(β)가 너무 크게되면 절단단을 무리하게 누르게 되어 선단이 걸리고, 반대로 너무 작게되면 효과가 적다. 또 제 2안내면(33b)의 원추각도(α)가 너무 작게되면 절단면에 거치른 물결면이 발생하고, 너무 크게 설정되면 절단단을 둥글게 마는 효과가 적게 된다. 그리고 제 3안내면(33)의 각도(γ)가 너무 작으면 절단단이 절단점으로 부터 멀리 떨어지지 않게 되어 시트재가 왕복이동하는 회전날에 걸리게 되고, 너무 크게되면 용지단면에 물결면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 각도들은, 엄밀하게는 시트재의 재질이나 두께 등에 의해 변하게 되지만 통상 제 1안내면(33a)의 각도는 5°∼20°, 제 2안내면(33b)의 원추각은 10°∼40°, 제 3안내면(33c)의 각도는 5°∼15°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트재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부날(32)의 하부측면(32c)은 잘라내고, 상부날(31)과 하부날(32)의 간극(4a)의 전단(시트재 전단방향의 선단 31b, 32b)은 시트재를 안내하도록 확대되며, 상기 상부날(31)의 후단에는 튀어오른 돌부(31c)가 설치되어 이동체(4)가 후퇴하여 대기위치로 돌아올 때 시트재가 걸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하, 도면들을 기초하여 상기 구성의 강제배출부를 설치한 시트재 절단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15도는 시트재를 절단할 경우의 절단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재(5)를 화살표 X를 따라 절단하게 되면, 절단단(23)은 제 1원판날(5a)과 제 2원판날(5b)의 교접하는 절단점(22)으로 부터 아래쪽으로 이격됨과 더불어, 이 아래쪽에 이력된 형상이 되어 절단된다. 이 절단단(23)이 이동체(4)와 간섭되지 않기 위해서는 절단단(23)을 남긴 시트재의 절단 이격된 단부(24)로 부터 가능한 분리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바, 이 때문에 종래 배출구조에는 이 절단단(23)가 강제적으로 확대된 것같이 튀어 물러간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이 다양한 강제적인 배출구조는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재의 선단(25)에 물결형상이 생기는 좋지 않은 경우가 발생한다.
한편, 시트재 절단장치의 다수는 롤 상에 감겨진 롤시트재의 절단에 사용되기 때문에 인출되는 시트재에는 감겨진 여운의 잔재가 남는 경우가 종종 있는 바, 예를 들어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γ)의 롤 상에 감겨진 시트재(S)를 꺼내 화살표(X)선을 따라 절단하게 되면, 꺼내진 시트재(S)에는 반경(γ)보다 큰 반경(R)의 감아진 잔재가 남기 때문에 절단단(23)의 궤적은 절단점(22)을 정점으로 원추의 저면원주를 그리며 절단 분리된다.
본 발명의 시트재 절단장치는 이점을 감안하여 절단단(23)을 이 원추면에 따라 안내하는 것에 의해 절단단(23)을 절단 분리한 단부(24)로 부터 무리하지 않게 크게 분리시킴으로서 간섭이 없이 시트재 단면에 물결형상이 발생하지 않는 절단이 가능한 시트재 절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강제배출부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축체(1)를 회전하게 되면 이동체(4)가 안내레일(2)을 따라 화살표 X선의 절단방향으로 이동해서 탄성롤(14, 15)이 제 1원판날(5a)과 제 2원판날(5b)을 회전시키고, 이 날의 선단이 시트재를 끌어들이듯이 회전하면서 이동하여 시트재를 절단한다. 이렇게 절단된 시트재는 제 1안내면(33a)이 후방방향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절단단(23)이 먼저 하측방향으로 눌러진다. 그 다음 이 절단단(23)이 접하는 제 2안내면(33b)의 원추면 측면은 각도(γ)만 후방쪽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절단단은 외측으로 떨어지지만, 이와 동시에 제 2안내면(33b)은 원추면을 형성하고, 또 시트재는 감겨진 잔재가 남아 있기 때문에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단은 이 왼추면에 안내되어 무리없이 배출된다. 또한 절단단(23)은 제3안내면(33c)에 안내된 하류측에 놓이면서 배출된다. 따라서 종래 절단장치의 튀어 물러난 부분과 같이 절단단을 무리하게 넓히는 것이 없기 때문에 시트재 단면에 주름과 같은 물결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강제배출부를 구비한 시트재 절단장치에 따르면, 이동제의 시트재의 배출측에 절단된 시트재의 절단단을 아래쪽 방향으로 누르듯이 안내하는 제 1안내면(33a)과 절단단을 동그랗게 배출하듯이 안내하는 제 2안내면(33b), 및 동그랗게 감겨진 절단단을 하류측에 보내듯이 안내하는 제 3안내면(33c)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감겨진 를 시트재를 절단할 때 이 절단단이 안내면들을 따라 안내되어 무리 없이 배출될 뿐만 아니라, 시트재의 간섭을 일으킴이 없이 이 시트재의 주름도 없는 안정된 절단이 가능하다.
이 강제배출부의 제1안내면의 시트면에 대한 각도(β)는 5°∼15°, 제 2안내면의 원추각(γ)은 10°∼40°, 제 3안내면의 절단선에 대한 각도(γ)는 5°∼20°로 설정하게 되면 양호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체에 제 1원판날과 제 2원판날을 설치한 롤식 시트재 절단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 이동체(4)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는 한개의 가동원판날을 안내레일에 고정된 고정날에 맞닿게 하여 시트재를 절단하는 롤식 시트재 절단장치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시트재 절단장치에 따르면 축체의 한 방향으로만 회전날의 방향전환이 연속적으로 가능함에 따라, 종래 시트재의 절단장치에 있어서 필수적인 왕복방향으로의 교체 이동시키는 제어회로가 불필요하여 이 회전날의 이동정지에 필요한 리미트스위치 숫자를 줄여 부품수의 저감이 이루어짐으로서 시트재 절단장치의 간소화와 저 제조단가에 일익을 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절단장치에는 피할 수 없었던 절단방향후단에 있어서 이동제의 관성에 의한 충돌음이 없게되고, 왕복안내로를 엔드리스(Endless)안내로로 하게되면, 양단에 있어서의 충돌음의 발생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재 절단장치는 이동체를 이동하는 축제와 걸어 맞춤부를 수지로 하였기 때문에 나선상의 안내로의 성형이 용이하고 원가를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금속제축제의 절단장치와 비교해서 소음이 월등히 저감되고 더욱이 축체의 구동을 기울어진 기어에 의해 행하기 때문에 기어의 구동음을 감소시키어 저속성이 요구되는 OA기기의 시트재 절단장치로서는 최적의 장치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동체를 이동 구동하는 걸어맞춤부재로서 안내로의 나선상홈에 걸리어 이동체에서 회동자유롭게 지지되는 포크상의 안내부재를 이용하기 때문에 이 나선의 전진/복귀 교차부분에 있어서의 탈선위험이 없고, 축체종단부의 이동체 방향변환도 원활히 이루어져 안정된 절단복귀의 왕복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회전하는 축체를 중공대의 안내레일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서 회전부분의 노출이 야기되지 않아 소형 및 안전성이 향상되고, 피절단시트를 안내레일의 상면에 올려 놓게 되어도 절단가능한 프리세트홈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재 절단장치는 이동체의 배출측에 시트재의 절단단을 아래쪽방향으로 누른 제 1안내면과, 절단끝을 둥글게 한 제 2안내면과, 이것을 아랫쪽으로 흐르는 쪽으로 놓아서 제3안내면을 갖는 강제배출부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감고남은 롤시트재를 절단할 때 절단단이 무리하지 않고 절단점에서 떨어져 간섭도 없고 파단도 없이 안정된 절단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절단시의 파단에 의해 단속음도 없이 한층 정성성이 증가되고, 또 원판날에 설치된 회전수단에 의해 절단시에 원판날의 날선단이 시트재를 밀어넣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되어 절단되기 때문에 원활하고 깨끗하게 절단이 가능하다.

Claims (13)

  1. 절단날을 전진방향 및 복귀방향으로 이동시켜 시트재를 절단하는 시트재 절단장치에 있어서, 외경에 나선형안내로를 갖는 축체와, 상기 나선형안내로에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재를 설치한 이동체와, 이 이동체에 지지된 절단날과, 상기 축체를 회전하는 구동수단을 갖추고, 상기 나선형안내로는 전진방향의 안내로를 형성하는 전진방향의 나선과, 복귀방향의 안내로를 형성하는 복귀방향의 나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진방향의 나선과 상기 복귀방향의 나선등과 서로 반대로 감겨진 관계에 있고, 또 전진방향의 나선과 복귀방향의 나선등이 적어도 한쪽 단끼리 연속하는 나선형안내로가 수지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걸어맞춤부재가 수지성형에 의해 형성되어서 상기 이동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숙성에 우수한 시트재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방향의 나선과 상기 복귀방향의 나선등은 양단에 있어서 연속해서 단이없이 안내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숙성에 우수한 시트재절단장치.
  3.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방향의 나선의 피치에 대해서 복귀 방향의 나선의 피치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숙성에 우수한 시트재절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안내로는 윗쪽이 넓게 형단면을 갖는 나선형상홈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숙성에 우수한 시트재절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체의 나선형안내로에 미끄럼 이동해서 상기 이동체의 복귀이동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안내로의 폭보다도 긴 안내로를 형성한 축체의 원주 1/3이상을 덮는 안내로 접촉면을 갖는 안내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숙성에 우수한 시트재절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걸어맞춤부재는, 상기 나선형안내로에 걸어맞춤해서 미끄럼이동하는 2개의 포크부와 상기 이동체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병부를 갖는 포크형상의 안내부재와, 이 안내부재를 상기 나선형안내로에 밀어부치는 부가수단 등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숙성에 우수한 시트재절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체를 회전구동하는 구동수단은, 구동모타와, 이 구동모타의 회전을 상기 축제에 전달하는 경사기어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숙성에 우수한 시트재절단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전진/복귀방향에 연장된 중공단면을 갖는 안내레일과, 이 안내레일의 중공단면내에 배치된 상기 축체와, 이 축체의 나선형안내로에 걸어맞춤되어서 상기 안내레일의 중공단면의 내면을 미끄럼이동하는 미끄럼이동부를 설치한 이동체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숙성에 우수한 시트재절단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절단운동 방향후부에 절단되는 시트재의 전단단을 절단점에서 아랫쪽 방향으로 누르도록 안내되는 제 1안내면과, 상기 절단단을 둥글게 배출하도록 안내하는 절단점근처를 정점으로 원추곡면 또는 원추근이곡면을 형성하는 제 2안내면과, 상기 둥글게 된 절단단을 시트재의 이송방향하부로 흐르는 쪽에 놓여지도록 안내하는 제 3안내면등을 갖춘 강계배출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숙성에 우수한 시트재절단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배출부의 제 1안내면과, 상기 이동체의 절단점 근처에서 시트면에 대해서 아랫쪽으로 5도 내지 20도의 각도을 이루는 평면이 없고, 상기 제 2안내면은 상기 절단점근처를 정점으로 해서 절단운동 후부 방향으로 넓어지는 원추각이 10도 내지 40도의 원추곡면 또는 원추근 이곡면이 없고, 상기 제 3안내면은 절단선에 대해서 상기 절단점근처에서 시트재의 이송 방향아래쪽으로 5도 내지 15도의 각도를 이루는 평면이 없고, 상기 제 1안내면, 제 2안내면 및 제 3안내면이 연속해서 이루어져 상기 시트재의 절단단을 안내하는 강제배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숙성에 우수한 시트재절단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된 가동원판날과 혹은 직선날선단을 갖는 고정날 등을 갖추고, 이 원판발의 원주날앞과 고정날의 날선단을 미끄럼접촉해서 시트재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숙성에 우수한 시트재절단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제 1원판날과 제 2원판날을 갖추고, 이 2개의 원판날의 날앞쪽을 미끄럼접촉해서 시트재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숙성에 우수한 시트재절단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가 전진 또는 복귀의 절단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가동원판날 또는 상기 제 1원판날과 제 2원판날의 어느것 혹은 양방향을 그 날앞쪽이 시트재를 밀어넣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숙성에 우수한 시트재절단장치.
KR1019960011693A 1995-04-13 1996-04-13 정숙성에 우수한 시트재절단장치 KR01808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087999A JPH08281592A (ja) 1995-04-13 1995-04-13 シート切断装置
JP95-87999 1995-04-13
JP95-238958 1995-08-25
JP23895895 1995-08-25
JP96-88947 1996-03-19
JP8088947A JPH09254083A (ja) 1996-03-19 1996-03-19 シート材切断装置
JP09968096A JP3677345B2 (ja) 1995-08-25 1996-03-29 静粛性に優れたシート材切断装置
JP96-99680 1996-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228A KR960037228A (ko) 1996-11-19
KR0180822B1 true KR0180822B1 (ko) 1999-04-01

Family

ID=27467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1693A KR0180822B1 (ko) 1995-04-13 1996-04-13 정숙성에 우수한 시트재절단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0180822B1 (ko)
GB (1) GB2299778B (ko)
TW (1) TW4903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7653B1 (ko) * 1996-03-19 2000-01-15 혼다 미츠히로 시트 절단용 절단운반대와 이를 이용한 시트절단기
US6206512B1 (en) 1999-01-29 2001-03-27 Hewlett-Packard Company Replaceable ink delivery tube system for large format printer
US5911530A (en) * 1997-09-02 1999-06-15 Hewlett-Packard Company Wheel-driven rotary cutter for printer
US5882128A (en) * 1997-09-02 1999-03-16 Hewlett-Packard Company Self-adjusting wheel for directly positioning and holding media during a cutting operation in a printer
US20050252354A1 (en) * 2004-05-14 2005-11-17 Tzu-Feng Tseng Flat media cutting device
JP5187503B2 (ja) 2008-03-07 2013-04-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ッター装置、記録装置
JP5380865B2 (ja) 2008-03-11 2014-01-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4839494B1 (ja) * 2010-12-15 2011-12-21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固定刃支持装置、用紙切断装置、およびプリンタ
CN108501077B (zh) * 2018-02-09 2019-08-06 浙江理工大学 带清洗功能的可变倾角自动喂入式高效切丝及切片机
CN113928022A (zh) * 2021-09-13 2022-01-14 赵启发 一种热敏打印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42464C2 (de) * 1975-09-24 1978-03-02 Hermann Berstorff Maschinenbau Gmbh, 3000 Hannover Schneidvorrichtung für Kautschukbahnen mit Verstärkungseinlage
US4099435A (en) * 1977-02-28 1978-07-11 John Dusenbery Company, Inc. Cutting knife for winding machines
IT1273818B (it) * 1994-02-28 1997-07-10 Gd Spa Dispositivo per il taglio trasversale di un nastr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90370B (en) 2002-06-11
GB2299778B (en) 1997-04-30
GB2299778A (en) 1996-10-16
KR960037228A (ko) 1996-11-19
GB9607795D0 (en) 199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0822B1 (ko) 정숙성에 우수한 시트재절단장치
KR0131443B1 (ko) 시이트재의 절단장치
US6148708A (en) Cutting apparatus with motor
US5503053A (en) Sheet material cutting device
KR100216161B1 (ko) 시트 절단 기구
US5613788A (en) Cutting device for cutting a print carrier in a printer
KR100237653B1 (ko) 시트 절단용 절단운반대와 이를 이용한 시트절단기
NL1007361C2 (nl) Perforator.
EP1250987A2 (en) Paper cutter having a rotary knife and a stationary knife
EP0555190A2 (en) Method and machine for cutting rolls of paper and the like
US5904085A (en) Sheet material cutting apparatus
US4379646A (en) Paper feed roll rotated by print head carrier movement
US5273223A (en) Nozzle mounting arrangement on a stator coil winding machine
US6076446A (en) Reciprocating mechanism of a sheet material cutting device
EP0813935B1 (en) Paper cutting device
JP3837156B2 (ja) 用紙切断装置
US5003856A (en) Paper cutter
US4462290A (en) Tube cut-off machine
JP3677345B2 (ja) 静粛性に優れたシート材切断装置
US3937102A (en) Noise suppression
CA1144041A (en) Spring coiling machine with improved feed roll drive means
KR100493590B1 (ko) 권선기
SU136627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готовлени цилиндрических деталей с коническими концами из проволоки
JPH11226893A (ja) シート材切断装置
AU636543B2 (en) Driving device for a plate-shaped body feeding kic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