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930008816B1 - 방전램프 전구와 점등회로를 갖는 가동형 전조등 - Google Patents

방전램프 전구와 점등회로를 갖는 가동형 전조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816B1
KR930008816B1 KR1019910007818A KR910007818A KR930008816B1 KR 930008816 B1 KR930008816 B1 KR 930008816B1 KR 1019910007818 A KR1019910007818 A KR 1019910007818A KR 910007818 A KR910007818 A KR 910007818A KR 930008816 B1 KR930008816 B1 KR 930008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discharge lamp
bulb
lighting circuit
circu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7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0365A (ko
Inventor
히로유끼 마끼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마쯔우라 다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마쯔우라 다까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10020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0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81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60Q1/0094Arrangement of electronic circuits separated from the light source, e.g. mounting of housings for starter circuits for discharge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mechanical means
    • B60Q1/0683Adjustable by rotation of a scr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7Discharg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7Discharge light sources
    • F21S41/172High-intensity discharg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1/192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5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esthetic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corative trim, partition walls or covers
    • F21S41/55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방전램프 전구와 점등회로를 갖는 가동형 전조등
제 1 도는 본 발명의 새로운 개념에 따라 설계된 가동형 이중 빔 차량용 전조등의 종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전조등의 정면도.
제 3 도는 제 2 도 내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전조등의 단면도.
제 4 도는 전조등의 목표물을 비추기 위하여 차량 몸체에서 반동하는 방법을 도시하며, 제 2 도내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전도등의 단면도.
제 5 도는 전조등에 사용된 각각의 방전 전구에 대하여 방전램프 전구중 하나와 그것과 근접하여 결합한 다른 수단을 함께 개략적으로 도시된 점등 회로의 회로도.
제 6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가동형 단일 빔 차량 전조등의 종단면도.
제 7 도는 제 6 도의 전도등의 정면도.
제 8 도는 제 7 도내의 Ⅷ-Ⅷ선을 따라 취한 전조등의 횡단면도.
제 9 도는 제 7 도내의 Ⅸ-Ⅸ선을 따라 취한 전조등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 방전 램프 시스템 12, 202 : 방전 램프 조립체
14, 208 : 점등 회로 조립체 16, 16a : 방전 램프전구 보조 조립체
18, 18a :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 22, 96 : 조절 수단
24 : 시동기 회로 보조 조립체 26 : 안정기 회로 보조 조립체
28, 200 : 램프 몸체 30, 210 : 렌즈
32 : 램프 챔버 92 : 전조등 하우징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차량용 전조등, 특히 광원으로서 방전 램프 전구를 사용하는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전조등 조립체를 수평 및 수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그것을 적소에 유지시키기 위한 설비를 갖는 차량용 전조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방전 램프 조립체와 전기 점등 회로 조립체 사이에 전기 접속이 개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차량용 전조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금속 할로겐 화합물 램프를 갖는 방전 램프를 차량용 전조등의 강원으로 채용하는 것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방전 램프 차량용 전조등으로 사용하는 것에는 미해결된 문제가 남아 있다. 전조등 시스템의 방전 램프 장치는 전구내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전극 사이에서 전기 방전을 일으켜 점등시키도록 각각의 방전 램프 전구에 필요한 고전압을 제공하기 위해 전압 승압기를 갖는 전기 점등 회로를 필요로 하였다. 점등 회로는 통상적으로 자동차에 장착된 밧데리에 의하여 자체적으로 동력을 공급된다.
종래의 점등 회로는 가동형 방전 램프 조립체로부터 상당한 거리에 위치하였다. 점등 회로를 램프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연장 케이블이나 코드가 사용되어 왔다. 본 출원인은 고전압의 전류를 전도하는 연장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 반대한다. 반대 이유는 케이블로부터 전류가 손실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다른 이유는 그러한 연장 케이블이 전기 노이즈를 발생시키기에 매우 용이하다는 것이다. 특히 승용차가 다량의 전기 또는 전자 장치를 갖기 때문에, 그러한 노이즈 발생원을 제거시키거나, 가능한 최소로 감소시켜야 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자동차 산업으로부터 고전압 공급케이블이 없거나 최소한의 길이를 갖는 방전 램프를 사용하는 전조등 시스템에 대한 강력한 요청이 있어 왔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한정된 형태의 차량용 전조등 시스템에 있어서, 가동형 방전 램프 조립체와 점등 회로 조립체를 전기접속시키기 위하여 종래의 케이블 또는 코드를 근본적으로 제거하거나 필요에 따라서 완전한 제거를 목적으로 한다.
간략하게, 본 발명은 차체에 장착될 가동형 전조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전조등 시스템은 보통 방전 램프조립체와 점등 회로 조립체를 포함한다. 방전 램프 조립체는 방전 램프전구를 갖는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와, 상기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에 기계적, 전기적으로 결합된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로 분리된다. 전체 방전 램프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조절나사를 갖는 조절 수단(aiming means)에 의하여 차체에 가동식으로 장착된다. 반면에, 점등 회로 조립체는 전기 점등 회로와 그 하우징을 갖는다. 점등 회로는 교류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안정기(ballast)부와, 방전 램프 전구를 전기 방전에 의하여 점등시키기 위하여 방전램프 조립체의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와 안정기부 사이에 연결된 시동기부를 갖는다. 전기 점등회로의 시동기부를 폐쇄하면, 회로 하우징은 차체에 대하여 공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방전 램프 조립체에 장착된다.
본원에 기술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회로 하우징은 전체 점등 회로를 폐쇄한다. 회로 하우징이 차체에 대하여 공동으로 조절 이동을 할 수 있도록 방전 램프 조립체에 장착되므로, 점등 회로는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어떠한 케이블이나 아주 짧은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방전 램프전구에 접속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회로 하우징은 점등 회로의 시동기부만 폐쇄한다. 점등 회로의 안정기부는 상술된 제 1 회로 하우징의 부근에서 차체에 단단히 장착된 제 2 회로 하우징내에서 폐쇄된다. 시동기부와 안정기부를 매우 짧은 케이블등과 같은 가요성 도체 수단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어느 방식에서도, 차량의 앞뚜껑이 개방되면, 고전압 케이블이나 다른 도체는 작동자의 용이한 접촉 범위내에 위치하거나 노출되어 있지 않다. 다른 장점으로서, 방전 램프 조립체와 점등 회로 조립체가 직접 전기적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거나, 필요에 따라서 최소한의 케이블 길이로 전기적 결합된다. 길이가 감소된 고전압 도체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는 종래 기술에 따른 것과 비교하면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아주 작은 것이다.
본 발명의 몇몇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설명과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를 고찰하면,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특징 장점과 그것을 구체화시키는 방법이 더욱 명백하게 되며, 본 발명을 최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
[실시예 Ⅰ]
우선, 본 발명의 양호한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가동형 방전 램프 시프템의 일반적 구조를 고찰하기 위하여 제 1 도 내지 제 3 도를 참조한다. 참조번호 10으로 지시된 방전 램프 시스템은 방전 램프 조립체(12)와 점등 회로 조립체(14)를 포함한다. 방전 램프 조립체(12)는 본 실시예에서 두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16)과 두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18)를 포함한다.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18)는 각각의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16)를 기계적으로 지지하도록 작용하며, 또한 그것을 점등 회로 조립체(14)에 전기적 접속시키도록 작용한다. 전체 방전 램프 조립체(12)는 제 1 도 와 제 3 도의 조절 수단(22)에 의하여 제 1 도의 차체(20)에 장착되므로써, 차체에 대하여 수평 및 수직으로 이동하게 된다.
점등 회로 조립체(14)는 시동기 회로 보조 조립체(24)와 안정기 회로 보조 조립체(26)로 양분되어 도시되어 있다. 시동기 회로 보조 조립체(24)는 두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16)를 위하여 두 점등 회로의 시동기부를 갖는다. 각 점등 회로는 제 5 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과 같은 형태이다. 안정기 회로 보조 조립체(26)는 점등 회로의 안정기부를 갖는다. 시동기 회로 보조 조립체(24)는 차체(20)에 대하여 공동으로 경사 이동을 하도록 방전 램프 조립체(12)에 장착된다.
이하, 상기 기술된 방전 램프 조립체(12),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16),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18), 조절 수단(22) 및 점등 회로 조립체(14)순으로 더욱 상세히 기술한다. 이러한 기술은 본 명세서의 명료함을 위하여 각각의 표제로 나뉘어져 있다.
[방전 램프 조립체(Discharge Lamp Assembly)]
제 1 도 내지 제 3 도를 참조하면, 방전 램프 조립체(12)는 램프 몸체(28)와 렌즈(30)를 포함한다. 합성수지로 주조된 램프 몸체(28)는 일반적으로 튜브 형상이며, 한 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다른쪽은 폐쇄되어 있다. 렌즈(30)는 램프 몸체(28)의 개방 단부에 부착되며 사로 결합하여 램프 챔버(32)를 형성한다. 상기 램프 챔버(32)내에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16)와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18)가 장착된다.
본원의 하기에서, 앞과 뒤, 전방과 후방, 그리고 그 파생어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조등의 좌,우를 각각 참조하여 사용된다. 그래서, 예를들면 렌즈(30)는 램프 몸체(28)의 개방 전단부에 부착되며, 시동기 회로 보조 조립체(24)는 램프 몸체의 후방에 장착된다. 또한, 상부와 하부, 상과 하, 상방과 하방, 그리고 그 파생어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조등의 상방 및 하방 방향을 각각 참조하여 사용된다.
램프 몸체(28)는 하나가 다른 것의 상부에 배치된 두 포물면 반사경(34)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하기에 기술된 형태로 램프 몸체(28)에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18)를 장착하기 위하여 반사경(34) 내부 중앙에 구멍(36)이 파여있다.
제 1 도 및 제 3 도는 램프 몸체(28)가 전방을 향하여 개방하는 환형 홈(40)을 형성하도록 그 앞쪽 가장자리를 따라 전체가 연장하는 L형 플랜지(38)를 갖는 것을 도시한다. 렌즈(30)는 그 주변으로부터 후방으로 꺾인 환형 림(42)을 갖는다. 렌즈 림(42)은 램프 몸체 홈(40)내에 여유있게 수용되며 접착제(44)에 의하여 그 내부에서 단단히 유지된다.
또한, 제 1 도는 램프 챔버(32)를 상부 및 하부 격실로 나누도록 램프 몸체(28)에 부착된 격벽(46)를 도시한다. 격벽(46)에 부착된 차례 캡(48)이 상부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16)를 부분적으로 폐쇄하도록 상부 격실내에 배치된다.
[방전 램프 보조 조립체(Discharge Lamp Bulb Subassemblies)]
상기 전조등 시스템(10)용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16)는 종래와 적절한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채택된 두 전구 조립체(16)는 구조적으로 동일하여, 하나에 대한 설명이 다른 것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 1 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방전 램프 조립체(12)내에 포함된 각각의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16)는 유리 재료로 된 전구 또는 인벨로프(50)를 구비하며, 상기 인벨로프(50)는 대향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핀치 시일(54)을 갖는 장축의 구 형태인 중공체(52)를 구비한다. 핀치 시일(54)은 그 안에 각각 삽입된 한쌍의 금속박을 갖는다. 이 금속박은 인벨로프(50)의 중공체(52)까지 부분 연장하는 한쌍의 각각의 막대형 전극(58)에 하나를 전기 접속시킨다. 방전 램프 전구는 전극(58)의 대향 단부 사이에 전기 방전을 일으켜 점등된다. 또한 금속박(56)은 각각의 핀치 시일(54)에 하나를 부분적으로 매입한 한쌍의 전구 헤드(60)에 연결되며 그곳으로부터 대향 방향으로 연장한다.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Bulb Carrier Subasseublies)]
방전 램프 조립체(12) 부분을 형성하는 두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18)는 종래의 것으로 구조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한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에 대한 후술은 다른 것에도 적용된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18)는 원통형이며 전기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 캐리어 베이스(62)를 가진다. 캐리어 베이스(62)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길이가 상이한 한쌍의 전구 지지 와이어(64)가 서로에 대하여 평행한 위치에서 캐리어 베이스를 지나 연장한다. 전구 지지 와이어(64)의 말단부는 금속제 브릿지(66)에 의하여 하나의 결합된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16)의 한쌍의 램프리드(60)에 결합된다.
제 1 도 및 제 3 도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한 방전 램프 전구 조립체(16)를 지지하는 각각의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18)가 램프 몸체(28)에 장착되는 방법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캐리어 베이스(62)상의 플랜지(68)가 램프 몸체(28) 뒤에 일체로 형성된 슬리브(70)내에 완전히 삽입될 때까지, 각각의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16)는 램프 몸체(28)내의 장착 구멍(36)중 하나에 전방으로 삽입되어 관통한다. 램프 몸체(28)로부터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의 급격한 분리 가능성에 대비하여, 슬리브(70)내의 캐리어 베이스 플랜지(68)에 의하여 잔류하는 공간에 접착제(72)가 채워진다. 한쌍의 전구 지지 와이어(64)는 캐리어 베이스(62)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74)를 가지며 점등 회로 조립체(14)에 전기 접속하도록 접착제(72)를 지나 연장한다.
그래서 두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18)는 램프 몸체(28)에 대하여 적소에서 각각의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16)를 기계적으로 지지하도록 수행한다. 또한,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18)는 후술된 방식으로 방전 램프 전구 조립체(16)를 점등 회로 조립체(14)에 접속시키도록 작용한다.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16),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18), 램프 몸체(28) 그리고 렌즈(30)가 방전 램프 조립체(12)를 구성하도록 조립되는 방법이 상술로부터 명확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방전 램프 조립체는 하기에 상세히 기술된 바와같이 조절 수단(22)을 구비한 수단에 의하여 차체(20)에 장착된다.
[조절 수단(Aiming Means)]
방전 램프 조립체(12)를 에워싸는 일반적으로 튜브형인 장착링이 제 1 도 및 제 3 도에서 참조 번호 76으로 지시되어 있다. 장착링(76)은 그 전단부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부(78)(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4개)를 갖는다. 각각의 돌출부(78)는 램프 몸체(28)상의 플랜지(38) 뒤를 향하여 지지된 보스부(80)를 갖는다.
장착링을 향하여 방전 램프 조립체(12)를 지지하는 지지링(82)은 장착링(76)의 전방에 배치된다. 지지링(82)은 렌즈(30)의 림(42)상에 플랜지(86)와 양호한 결합을 하도록 그 전단부로부터 내향으로 회전된 환형림(84)을 갖는다. 또한, 지지링(82)은 그 후단부로부터 외향으로 굽은 복수개(본 실시예에서 4개)의 돌출부(88)를 갖는다. 장착링(76)상의 돌출부(78)를 향하여 지지된, 지지링 돌출부(88)는 장착링 돌출부까지 참조번호 90에서 나사 결합된다. 그래서 전체방전 램프 조립체(12)는 지지링(82)과 장착링(76)에 의하여 단단히 유지된다.
제 1 도 및 제 3 도에서 참조번호 92는 차체(20)에 단단히 장착된 전조등 하우징을 지시한다. 전조등 하우징(92)은 점등 회로 조립체(14)의 시동기 회로 보조 조립체(24)와 마찬가지로 방전 램프 조립체(12)를 수용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개방 공간(94)을 형성한다. 장착링(76)은 전조등 하우징(92)을 향하여 활주식으로 지시된 바깥 표면을 갖는다. 장착링(76)과 지지링(82)을 갖는 방전 조립체(12)는 하기에 상세히 기술된 바와같이 조절 수단(22)에 의하여 전조등 하우징(92)에 조절식으로 장착된다.
조절 수단(22)의 주요 부품으로 전조등 하우징(92)에 장착링(76)을 고정시키는 제 1 도 내지 제 3 도의 복수개(본 실시예에서 2개)의 조절 수단(96)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 조절 수단(96)은 전조등 하우징(92)상의 돌출부(100)에 장착링(76)상의 돌출부(98)를 결합시킨다. 각 조절 나사(96)의 헤드는 장착링 돌출부(98)중 하나의 오목부(104)내에 회전식으로 수용되도록 환형 홈(102)를 갖는다. 조절 수단(96)은 전조등 하우징 돌출부(100)에 의하여 단단히 지지된 너트(106)내에 가동식으로 결합된다.
두 조절 나사(96)에 의하여 전조등 하우징(92)에 결합되는 외에, 장착링(76)은 제 4 도의 참조 번호 108로 도시된 인장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전조등을 향하여 가압된다. 제 4 도는 두 조절 수단(즉, 나사)(96)에 대하여 인장 코일 스프링(108)의 위치를 명확히 나타내는 제 2 도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인장코일 스프링(108)은 장착링(76)상의 스프링 리테이너(110)에 그리고 전조등 하우징(92)상의 다른 스프링 리케이터(112)에 후크된 대향 선단을 갖는다.
그래서, 방전 램프 조립체(12)를 조절하기 위하여, 두 조절 나사(96)는 조이거나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장착링(76) 및 지지링(82)과 마찬가지로 방전 램프 조립체(12)는 차체(20)에 대하여 수직 및 수평으로 경사 이동 가능하다.
[점등 회로 조립체(Lightinug Circuit Assenbly)]
상기 전조등 시스템(10)내에 사용된 두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16)는 두 점등 회로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이유를 위하여, 점등 회로 조립체(14)는 상술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서 시동기 회로 보조 조립체(24)와 안정기 회로 보조 조립체(26)로 양분된다. 점등 회로 조립체(14)의 구조는 각각의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16)에 대하여 점등 회로의 전기 배치를 우선적으로 고찰하므로서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므로, 제 5 도를 참조하면 각각의 점등 회로(114)는 안정기(116)와, 시동기(118)는 콤비네이션으로 착상될 수 있다. 안정기(116)는 한쌍의 입력부(122)를 갖는 직류 승압기 회로(120)를 갖는다. 다시 제 1 도를 참조하므로써 이해할 수 있는 바와같이, 직류 승압기(120)의 입력부(122)는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장착된 밧데리(비도시)에 케이블(124)에 의하여 접속된다.
직류-교류 푸시풀 인버터 회로(126)와 제어회로(128)는 안정기(116)내에 제공된다. 직류 승압기 회로(120)의 출력부에 접속하면, 인버터 회로(126)는 승압기 회로의 직선 출력 전압을 정현파 전압으로 전환시키도록 작용한다. 제어 회로(128)는 관련된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16)의 소등 시간과 같은 매개 변수에 의하여 필요할때 승압기 회로(120)의 출력 전압을 제어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동기(118)는 LC 부하 및 시동기 회로(130)와 시동기 스타터 회로(132)를 포함한다. LC 부하 및 시동기 회로(130)의 입력부는 직류-교류 푸시풀 인버터 회로(126)에 접속된다. 시동기 스타터 회로(132)는 시동기 회로(130)에 시동 전류를 공급하며 램프 전류를 검출하는 수단(비도시)을 포함한다. LC 부하 및 시동기 회로(126)의 한쌍의 출력 단자(133)가 방전 램프 조립체(12)의 두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18)중 하나의 전구 지지 와이어(64) 단부(74)에 접속된다.
다시, 제 1 도를 참조하면, 점등 회로 조립체(14)의 시동기 회로 보조 조립체(24)가 두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16)용 점등 회로(114)의 시동기(118)를 폐쇄하는 회로 하우징(134)를 갖는다. 시동기 회로 하우징(134)은 전조등 하우징(92)내에 배치된다.
안정기 회로 보조 조립체(26)는 두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16)용 점등 회로(114)는 안정기(116)를 폐쇄하는 다른 회로 하우징(136)을 갖는다. 안정기 회로 하우징(136)은 전조등 하우징(92) 바로 뒤에서 차체(20)에 단단히 고정된다. 가요성 케이블(138)이 하우징(134, 136)내의 회로 수단을 상호 전기 접속시키는 안정기 회로 보조 조립체(26)와 시동기 회로 보조 조립체(24) 사이를 연장한다. 점등 회로 조립체(14)가 본 실시예에서 시동기 회로 보조 조립체(24)와 안정기 회로 보조 조립체(26)로 양분되지만, 가용성 케이블(138)이 두 회로 보조 조립체의 근접으로 인하여 매우 짧게 될 수 있다.
제 1 도 및 제 3 도는 점등 회로 조립체(14)의 시동기 회로 보조 조립체(24)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램프 몸체(28)에 장착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고정된 안정기 회로 보조 조립체(26)와 달리, 시동기 회로 보조 조립체(24)는 방전 램프 조립체가 조절나사(96)에 의하여 조절될 때 차체에 대하여 방전 램프 조립체(12)와 함께 상하로 움직인다.
시동기 회로 보조 조립체(24)는 램프 몸체(28) 뒤에 배치된 장착판(140)에 부착된다. 장착판(140)은 전방으로 연장하는 복수개, 본 실시예에서 3개의 장착 돌출부(142)를 갖는다. 이 장착 돌출부는 참조번호 144에서 램프 몸체(28)의 뒤에 형성된 보스부(146)까지 나사 결합된다. 제 5 도에서 두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16)용 점등 회로 시동기부(118)의 출력 단자(133)는 최소 길이의 케이블(148)에 의하여 전구 지지와이어(64)의 단부(74)에 개별적으로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구조의 차량용 전조등 시스템(10)은 작동이 편리하다. 전조등 시스템(10)에서 구체화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시동기회로 보조 조립체(24)가 가동형 방전 램프 조립체(12)에 직접 장착되며 최소 길이를 갖는 케이블(148)에 의하여 그곳에 전기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신규 형태는 상기 형태의 가동형 전조등 시스템에 사용되어 왔던 긴 케이블로부터의 불필요한 고전압 전류 손실과 전기 노이즈 발생을 완전히 제거한다.
[실시예 Ⅱ]
제 6 도 내지 제 9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가동형 전조등 시스템(10a)를 도시한다. 상기 다른 전조등 시스템은 제 1 도에 참조 번호 20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차체에 단단히 고정된 램프 몸체(200)를 갖는다. 램프 몸체(200)내에 반사경(204), 단일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16a) 그리고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18a)를 포함하는 방전 램프 조립체(202)가 장착되어 있다. 방전 램프 보조 조립체(6a)는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18a)에 의하여 반사경(204)에 장착된다.
다른 전조등 시스템(10a)의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18a)는 제 1 도 내지 제 5 도의 전조등 시스템(10)내의 유사부 즉,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16)와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18)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도시된다. 그러므로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16a)와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18a)의 여러 구성 부분은 제 1 도 및 제 3 도에서 그 대응 부분에 지시된 것과 동일한 참조번호에 의하여 제 6 도 및 제 8 도에 지시된다. 이러한 보조 조립체(16a, 18a)에 대한 반복 설명은 필요없으리라 생각되어 생략한다.
전체 방전 램프 조립체(202)는 제 8 도 및 제 9 도에서 참조번호 206으로 도시된 조절 수단에 의하여 램프몸체(200)에 장착된다. 그래서 방전 램프 조립체(202)는 램프 몸체(200)에 대하여 수평 및 수직으로 틸팅(tilting)된다.
또한 다른 전조등 시스템(10a)은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16a)를 위하여 제 6 도 및 제 8 도에서 점등 회로 조립체(208)를 갖는다. 점등 회로 조립체(208)는 램프 몸체(200)에 대하여 방전 램프 조립체(202)와 공동 틸팅 이동시키도록 방전 램프 조립체(202)의 반사경(204)에 장착된다. 전기적으로, 점등 회로 조립체(208)는 전체 점등 회로(114)가 단일 하우징 내에서 폐쇄되는 제 1 실시예의 점등 회로 조립체(14)와 상이하지만 제 5 도에서 참조 번호 114로 지시된 것과 동일 구조를 갖는다.
상술된 램프 몸체(200), 반사경(204)을 갖는 방전 램프 조립체(202), 조절 수단(206) 및 점등 회로 조립체(208)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이 각각의 표제어로 하기에서 설명된다.
[램프 몸체(Lamp Body)]
램프 몸체(200)는 제 7 도에 정면도로 도시된 바와같은 직사각형의 개방 전단부를 갖는다. 렌즈(210)는 방전 램프 조립체(202)를 조절 가능식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램프 챔버(212)를 형성하는 램프 몸체(200)의 전단부를 폐쇄한다. 렌즈(210)는 그 원주로부터 후방으로 회전된 환형 림(214)을 갖도록 형성된다. 렌즈 림(214)은 렌즈 몸체(200)의 전단부에 형성된 환형 장착 홈(216)내에 결합된다. 분리 가능성에 대비하여 램프몸체(200)상에 렌즈(210)를 유지하는, 장착 홈(216)내의 렌즈 림(214)에 의하여 발생된 공간에 접착제(218)가 채워진다.
[방전 램프 조립체(Discharge Lamp Assembly)]
방전 램프 조립체(202)는, 램프 챔버(212)내에 모두 배치된, 반사경(204),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16a)와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18a)를 포함한다. 반사경(204)은 렌즈(210)를 향하여 포물면(220)을 갖는다.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16a)를 전구 캐리어 조립체(18a)에 의해 장착하기 위하여 반사경(204)내의 중앙에 구멍(222)이 형성된다.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18a)를 반사경(204)상의 적소에서 유지시키는 접착제(226)를 수용하기 위하여 반사경(204)으로부터 슬리브(224)가 후방으로 연장한다.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18a)는 전기 지지 와이어(64)의 후단부(74)가 후방으로 많이 연장 돌출하는 제 1 도 내지 제 5 도의 전조등의 시스템(10)의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18)와 상이하다. 전구 지지 와이어(64)의 긴 후단부(74)는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같이 점등 회로 조립체(208)에 대한 전기적 접속을 목적으로 한다.
[조절 수단(Aiming Means)]
하기의 조절 수단(206)의 설명을 위하여 제 8 도 및 제 9 도를 참조한다. 방전 램프 조립체(202)의 반사경을 램프 몸체(200)에 선회식으로 결합시키는 볼과 소켓 조인트가 참조 번호 228로 도시되어 있다. 조인트(228)는 볼(230)과 소켓 부재(232)를 포함한다 .볼(230)은 램프 몸체(200)상의 보스부(236)에 나사 결합되는 스터드(234)의 한 단부에 형성된다. 소켓 부재(232)는 반사경(204)의 뒤에 형성된 중공 보스부(238)와 단단히 결합된다. 볼(230)은 소켓 부재(232)내의 소켓(240)에 선회식으로 수용된다. 그래서 그것에 장착된 점등 회로 조립체(208)와 마찬가지로, 방전 램프 조립체(202)는 고정된 램프 몸체(200)에 대하여 제한적으로 선회 가능한다.
두 조절 나사(242)가 램프 몸체(200)에 대하여 방전 램프 조립체(202)를 선회시키도록 제공된다. 볼 조인트(228)의 위치에 대한 두 조절 나사(242)의 위치는 제 7 도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하게 될 것이다.
램프 몸체(200)의 후방에서 보스부(244)를 통하여 회전식으로 연장하면, 각 조절 나사(242)는 반사경(204)에 부착된 너트(246)와 나사 결합한다. 조절 나사(242)는 램프 몸체(200)의 뒤에 배치된 헤드(248)를 갖는다. 방전 램프 조립체(202)를 조절하기 위하여, 헤드(248)는 조이거나 풀리는 방향으로 조절 나사(242)를 구동시키도록 조작될 수 있다. 그래서 방전 램프 조립체(202)는 볼과 소켓 조인트(228)에 대하여 어느 방향으로도 선회 이동할 수 있다.
[점등 회로 조립체(Lighuting Circuit Assembly)]
제 6 도 및 제 8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점등 회로 조립체(208)는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16a)를 위하여 제 5 도의 전체 점등 회로(114)를 폐쇄하는 회로 하우징(250)을 갖는다. 회로 하우징(250)은 한 샛트의 돌출부(254)를 갖는 장착판(252)에 단단히 장착된다. 이러한 돌출부는 반사경(204)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보스부(258)에 나사(256)로 고정된다.
제 6 도는 장착판(252)에서 비도시된 개구를 통하여 회로 하우징(250)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튜브형 소켓(260)을 도시한다. 소켓(260)은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18a)의 전구 지지 와이어(64) 후단부(74)에 대한 전기 접속용으로 점등 회로(114)의 출력 단자(제 5 도의 133)를 헐겁게 수용한다.
그러므로, 점등 회로 조립체(208)가 반사경(204)의 뒤에 나사식으로 장착되어, 전구 지지 와이어(64)의 후단부(74)가 소켓(260)내에 삽입될 수 있다. 소켓(260)내에 수용되면, 전구 지지 와이어(64)는 점등 회로(114)의 출력 단자(133)와 적절한 전기적 결합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램프 시스템(10a)에 있어서, 점등 회로 조립체(208)를 반전 램프 조립체(202)에 전기 접속시키기 위하여 케이블이나 이와 동등한 도체가 필요없다. 또한, 안정기(116)와, 시동기(118)가 반사경(204)에 장착된 단일 회로 하우징(250)내에 수용되면, 전등 회로(114)의 안정기(116)와 시동기(118) 사이에 케이블등이 필요없다.
두 가동형 전조등 시스템(10, 10a)은 단지 실시예 또는 설명만을 의미하여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도시된 여러가지 실시예의 수정 및 변형이 본 발명의 각각의 특정 이용의 참조 또는 필요물을 설계하도록 형성된 것이 종래 기술에 숙련된 자에게 명백하다.
또한, 전조등 시스템(10, 10a)의 여러 특징은 서로 변경 가능하다. 예를들면, 전조등 시스템(10)에서 방전 램프 조립체(12)와 시동기 회로 조립체(24)를 케이블(148)에 의하지 않고 서로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전조등 시스템(10)에서 점등 회로 조립체(14)를 시동기 보조 조립체(24)와 안정기 보조 조립체(26)로의 분리는 필수적이지는 않다. 점등 회로의 시동기와 안정기는 다른 전조등 시스템(10a)에서와 같이 방전 램프 조립체에 장착된 단일 하우징으로 폐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전조등 시스템(10a)에서 점등 회로 조립체(208)는 전조등 시스템(10)에서와 같이 최소한의 케이블 길이로 방전 램프 조립체(202)에 전기 접속될 수 있다. 점등 회로 조립체(208)는 안정기 보조 조립체와 시동기 보조 조립체로 양분될 수도 있으며, 시동기 보조 조립체만 방전 램프 조립체(202)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수정, 변경, 및 응용은 상기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종속항의 올바른 의미나 적절한 영역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넓게 추론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차체(20)에 장착되는 가동형 전조등 시스템에 있어서, 방전 램프 전구(50)를 갖는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16 ; 16a), 및 상기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에 기계적, 전기적으로 직접 결합된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18 ; 18a)를 갖는 방전 램프 조립체(12 ; 202)와, 상기 방전 램프 조립체(12 ; 202)를 차체에 대하여 조절 및 유지시키도록 방전 램프 조립체를 차체 장착시키는 조절 수단(122 ; 206)과, 교류 전압을 제공하는 안정기 수단(116)과 상기 방전 램프 전구를 전기 방전에 의하여 점등시키는 방전 램프 조립체(12 ; 202)의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18, 18a)와 상기 안정기 수단 사이에 전기 접속된 시동기 수단(118)을 갖는 전기 점등 회로(114), 및 상기 전기 점등 회로의 시동기 수단을 폐쇄하며 차체에 대하여 서로 접합 이동하도록 방전 램프 조립체에 장착된 회로 하우징(134 ; 250)을 갖는 점등 회로 조립체(14 ; 208)를 포함하며, 상기 점등 회로 조립체(14 ; 208)는 종래에 사용되었던 것과 같이 연장 케이블이나 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방전 램프 조립체에 전기 접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방전 램프 조립체(12 ; 202)의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18, 18a)내에 제공되고, 방전 램프 전구(50)에 전기 접속되며, 그리고 점등 회로 조립체(14 ; 208)를 향하여 방전 램프 조립체(12 ; 202)로부터 돌출하는 한쌍의 전구 지지 와이어(64)와, 점등 회로 조립체(14 ; 208)의 회로 하우징(134 ; 250)상에 형성되고, 점등 회로 조립체(14 ; 208)를 방전 램프 조립체(12 ; 202)에 전기 접속시키도록 상기 전구 지지 와이어(64)와 직접 결합하는 소켓 수단(260)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등 회로 조립체(14 ; 208)는 전기 점등 회로(114)의 안정기 수단(116)을 폐쇄하며 차체에 장착된 제 2 회로 하우징(136)을 포함하며, 상기 안정기 수단(116)은 가요성 도체 수단(138)을 통하여 시동기 수단(118)에 전기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 시스템.
  4. 차체(20)에 장착되는 가동형 전조등 시스템에 있어서, 개방 단부를 갖는 램프 몸체(28 ; 200), 상기 램프 몸체의 개방 단부를 폐쇄하고 램프 몸체와 협력하여 램프 챔버(32 ; 212)를 형성하는 렌즈(210), 방전 램프 전구(50)를 가지며 램프 챔버내에 배치된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16 ; 16a), 그리고 상기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에 기계적, 전기적으로 결합되며 램프 챔버내에서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를 기계적으로 지지하도록 램프 몸체에 장착되는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18 ; 18a)를 갖는 방전 램프 조립체(12 ; 202)와, 상기 방전 램프 조립체(12 ; 202)를 차체에 대하여 적소에 조절 및 유지시키도록 방전 램프 조립체를 차체에 장착시키는 조절 수단(23 ; 206)과, 교류 전압을 제공하는 안정기 수단(116)과 상기 방전 램프 전구를 전기 방전에 의하여 점등시키는 방전 램프 조립체(12 ; 202)의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18 ; 18a)와 상기 안정기 수단 사이에 전기 접속된 시동기 수단(18)을 갖는 전기 점등 회로(114), 및 적어도 상기 전기 점등 회로의 시동기 수단을 폐쇄하며 차체에 대하여 서로 접합 이동하도록 방전 램프 조립체의 램프 몸체에 장착된 회로 하우징(134 ; 250)을 갖는 점등 회로 조립체(14 ; 208)를 포함하며, 상기 점등 회로 조립체(14 ; 208)는 종래에 사용되었던 것과 같이 연장 케이블이나 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방전 램프 조립체에 전기 접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방전 램프 조립체(12 ; 202)의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18 ; 18a)내에 제공되고, 방전 램프 전구(50)에 전기 접속되며, 그리고 점등 회로 조립체(14 ; 208)를 향하여 램프 몸체로부터 돌출하는 한쌍의 전구 지지 와이어(64)와, 점등 회로 조립체(14 ; 208)의 회로 하우징(134 ; 250)상에 형성되고, 점등 회로 조립체를 방전 램프 조립체(12 ; 202)에 전기 접속시키도록 상기 전구 지지 와이어(64)와 직접 결합하는 소켓 수단(206)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점등 회로 조립체(14 ; 208)는 전기 점등 회로(114)의 안정기 수단(116)을 폐쇄하며 차체에 장착된 제 2 회로 하우징(136)을 포함하며, 상기 안정기 수단(116)은 가요성 도체 수단(138)을 통하여 시동기 수단에 전기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 시스템.
  7. 가동형 전조등 시스템에 있어서, 램프 몸체와, 상기 램프 몸체에 장착되어 서로 결합하여 램프 챔머(32 ; 212)를 형성하는 렌즈(30 ; 210)와 ; 상기 램프 챔버내에 배치되며 렌즈를 향하는 반사경(34 ; 204), 방전 램프 전구(50)를 가지며 상기 반사경과 렌즈 사이에 배치된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16 ; 16a), 그리고 상기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에 기계적, 전기적으로 결합되며 램프 챔버내에서 방전 램프 전구 보조 조립체를 기계적으로 지지하도록 반사경에 장착된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18 ; 18a)를 갖는 방전 램프 조립체(12 ; 202)와, 상기 방전 램프 조립체를 대하여 조절 및 유지시키도록 방전 램프 조립체를 차체에 장착시키는 조절 수단(22 ; 206)과, 교류 전압을 제공하는 안정기 수단(116)과 상기 방전 램프 전구를 전기 방전에 의하여 점등시키는 방전 램프 조립체(12 ; 202)의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18 ; 18a)와 상기 안정기 수단 사이에 전기 접속된 시동기 수단(118)을 갖는 전기 점등 회로(114), 및 상기 전기 점등 회로의 시동기 수단을 폐쇄하며 차체에 대하여 서로접합 이동시키도록 방전 램프 조립체의 반사경에 장착된 회로 하우징(134 ; 250)을 갖는 점등 회로 조립체(14 ; 208)를 포함하며, 상기 점등 회로 조립체(14 ; 208)는 종래에 사용되었던 것과 같이 연장 케이블이나 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방전 램프 조립체에 전기 접속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방전 램프 조립체(12 ; 202)의 전구 캐리어 보조 조립체(18 ; 18a)내에 제공되고, 방전 램프 전구(50)에 전기 접속되며, 그리고 점등 회로 조립체를 향하여 반사경(34 ; 204)으로부터 돌출하는 한쌍의 전구 지지 와이어(64)와, 점등 회로 조립체(14 ; 208)의 회로 하우징상(234 ; 250)에 형성되고, 점등 회로 조립체(14 ; 208)를 방전 램프 조립체(12 ; 202)에 전기 접속시키도록 상기 전구 지지 와이어(64)와 직접 결합하는 소켓 수단(260)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 시스템.
KR1019910007818A 1990-05-18 1991-05-15 방전램프 전구와 점등회로를 갖는 가동형 전조등 Expired - Fee Related KR9300088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833890A JP2592005B2 (ja) 1990-05-18 1990-05-18 車輌用前照灯
JP128338 1990-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365A KR910020365A (ko) 1991-12-20
KR930008816B1 true KR930008816B1 (ko) 1993-09-15

Family

ID=14982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7818A Expired - Fee Related KR930008816B1 (ko) 1990-05-18 1991-05-15 방전램프 전구와 점등회로를 갖는 가동형 전조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19275A (ko)
JP (1) JP2592005B2 (ko)
KR (1) KR930008816B1 (ko)
DE (1) DE4116049A1 (ko)
FR (1) FR2662122B1 (ko)
GB (1) GB22441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15394A1 (de) * 1993-05-08 1994-11-10 Bosch Gmbh Robert Scheinwerfer für Fahrzeuge
JPH06341110A (ja) * 1993-06-02 1994-12-13 Hiroyuki Mizukami 骨格構造形式の橋及びその架設工法
JP2744401B2 (ja) * 1993-08-12 1998-04-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2589375Y2 (ja) 1993-09-17 1999-01-27 ピア株式会社 自動車のランプ用ハーネス装置
TW347547B (en) * 1994-05-17 1998-12-11 Toshiba Light Technic Kk Discharge lamp and illumin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JP3010518B2 (ja) * 1994-06-28 2000-02-2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JP3061248B2 (ja) * 1995-01-20 2000-07-1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FR2732654B1 (fr) * 1995-04-06 1997-06-20 Valeo Vision Projecteur pour vehicule automobile a lampe a alimentation alternative
US5633710A (en) * 1995-10-04 1997-05-27 Egs Inc. System for self-aligning vehicle headlamps
JP3193604B2 (ja) * 1995-12-25 2001-07-3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放電バルブを有する車両用灯具
JPH09204820A (ja) * 1996-01-25 1997-08-05 Kurabe Ind Co Ltd 車輌用灯具
DE19634750A1 (de) * 1996-08-28 1998-03-05 Hella Kg Hueck & Co Scheinwerfersystem für Kraftfahrzeuge
JPH10208505A (ja) * 1997-01-24 1998-08-07 Koito Mfg Co Ltd 車輌用前照灯
US6310765B1 (en) 1997-06-20 2001-10-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olytic capaci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3145966B2 (ja) * 1997-09-11 2001-03-1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JP3737295B2 (ja) * 1997-11-11 2006-01-1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2000113995A (ja) * 1998-02-25 2000-04-21 Mitsubishi Electric Corp 放電ランプ用点灯制御装置及び該装置に用いられるhブリッジ回路
US6833675B2 (en) * 1998-05-12 2004-12-21 Musco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blocking ultraviolet radiation from arc tubes
US6313570B1 (en) 1999-02-18 2001-11-06 Lars Anders Bergkvist High intensity gas discharge aircraft lighting
DE19926690A1 (de) * 1999-06-11 2000-12-14 Berchtold Gmbh & Co Geb Operationsleuchte mit Entladungslampen
JP2001101909A (ja) * 1999-09-30 2001-04-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装置
US6376992B1 (en) * 1999-12-23 2002-04-23 Godfrey Engineering, Inc. Sealed beam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system for aircraft
EP1394467B1 (en) * 2000-02-17 2008-07-23 Denso Corporation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and mounting structure therefor
JP2002150830A (ja) * 2000-11-07 2002-05-24 Denso Corp 放電灯装置
JP2002150829A (ja) * 2000-11-07 2002-05-24 Denso Corp 放電灯装置
JP2002170407A (ja) 2000-12-01 2002-06-14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US7059745B2 (en) * 2002-02-07 2006-06-13 Musco Corporation Lighting fixture with quick-disconnect light source mount
AU2002251908C1 (en) * 2001-02-07 2006-04-06 Musco Corporation HID Lighting Fixture with Quick-Disconnect Light Source Mount
US6672747B2 (en) 2001-08-07 2004-01-06 Denso Corporation Vehicle headlamp having removable lighting control unit
FR2843445B1 (fr) * 2002-08-08 2005-05-27 Valeo Vision Dispositif projecteur equipe d'un module complementaire pour vehicule automobile
CA2437458A1 (en) * 2002-08-09 2004-02-09 Alexandre Curthelet Modular headlight system for recreational vehicles
FR2850729B1 (fr) * 2003-02-04 2006-03-17 Valeo Vision Dispositif projecteur equipe d'un module complementaire encastrable pour vehicule automobile
FR2852381B1 (fr) * 2003-03-14 2005-05-27 Valeo Vision Dispositif de blindage pour une connexion entre un projecteur et un module complementaire
CN102317679B (zh) * 2009-02-16 2013-12-25 三菱电机株式会社 头灯光源用照明装置
WO2013154052A1 (ja) * 2012-04-09 2013-10-1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US9772088B1 (en) * 2014-05-13 2017-09-26 David Ralph LoPresti High intensity discharge multiple light array system
JP2016015219A (ja) * 2014-07-01 2016-01-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US10823356B1 (en) * 2019-12-20 2020-11-03 Valeo Vision Device and method of focusing a ligh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17831C3 (de) * 1972-04-13 1980-01-10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Kraftfahrzeug-Scheinwerfer
JPS59130002A (ja) * 1983-01-14 1984-07-26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照明装置
US4513357A (en) * 1983-01-19 1985-04-23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Headlamp unit with timed switching between two lights
JPS59134020A (ja) * 1983-01-19 1984-08-01 Toshiba Corp 車輛用前照灯装置
NL191257C (nl) * 1984-02-27 1995-04-18 Philips Nv Koplampsysteem.
DE3519611A1 (de) * 1985-05-31 1986-12-04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8000 München Kraftfahrzeugscheinwerfereinheit
NL8600226A (nl) * 1985-11-19 1987-06-16 Philips Nv Gesokkelde voertuig-koplamp.
JPS6396803A (ja) * 1986-10-14 1988-04-27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照明器具
DE3641852A1 (de) * 1986-12-08 1988-06-16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Kfz-scheinwerfer-einheit
DE3743612A1 (de) * 1987-12-22 1989-07-06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Hochdruckentladungslampe
JPH0247701U (ko) * 1988-09-28 1990-04-03
JPH03136938A (ja) * 1989-10-23 1991-06-11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放電灯ヘッドラン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116049A1 (de) 1991-12-05
JPH0426002A (ja) 1992-01-29
FR2662122A1 (fr) 1991-11-22
GB2244123B (en) 1993-08-04
US5119275A (en) 1992-06-02
KR910020365A (ko) 1991-12-20
GB2244123A (en) 1991-11-20
GB9108544D0 (en) 1991-06-05
FR2662122B1 (fr) 1994-04-08
JP2592005B2 (ja) 1997-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8816B1 (ko) 방전램프 전구와 점등회로를 갖는 가동형 전조등
US5113330A (en) Aimable headlamp having a discharge lamp bulb and a lighting circuit therefor
US5879073A (en) Vehicular lamp having discharge bulb
US4075468A (en) Visor and mirror assembly
JP4190624B2 (ja) 自動車用ヘッドライト
KR100380502B1 (ko) 차량용 등기구
US20030058656A1 (en) Vehicle headlight discharge lamp
JP2002170407A (ja) 車両用前照灯
US6550935B1 (en) Illumination device having an inverter and an igniter disposed in a lamp body
JPS63231801A (ja) ヘッドライト及びコネクタのアセンブリ
KR101174597B1 (ko) 차량용 전조등
US6276812B1 (en) Electric lamp and lighting system for said lamp
JP3274752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3201158B2 (ja) 車両用灯具
JPH04149901A (ja) 東輌用前照灯
US1561625A (en) Vehicle searchlight
JP2815721B2 (ja)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2000149617A (ja) 車両用ランプ
JPH08227601A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2709581B2 (ja) 超小型小電力電球の接続固定装置
JP3193629B2 (ja) 放電バルブを有する車両用灯具
JPH07115615B2 (ja) メタルハライド放電ランプ装置
JP2595181Y2 (ja) 放電灯を用いた車両用灯具
JP2815720B2 (ja)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4032717B2 (ja) 車両用前照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05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105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304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3082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31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31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31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9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9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