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920001563B1 - 인쇄술에 특히 적합한 연신된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인쇄술에 특히 적합한 연신된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563B1
KR920001563B1 KR1019860700892A KR860700892A KR920001563B1 KR 920001563 B1 KR920001563 B1 KR 920001563B1 KR 1019860700892 A KR1019860700892 A KR 1019860700892A KR 860700892 A KR860700892 A KR 860700892A KR 920001563 B1 KR920001563 B1 KR 920001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ckness
film
microns
polyester film
composi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60700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700513A (ko
Inventor
에이로오 마르셀
Original Assignee
롱 쁠랑 필름
로제 리우프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931835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2000156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롱 쁠랑 필름, 로제 리우프래이 filed Critical 롱 쁠랑 필름
Publication of KR870700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700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563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18Boards or sheets with surfaces prepared for painting or drawing pictures; Stretching frames for canva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9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 G03F7/115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having supports or layers with means for obtaining a screen effect or for obtaining better contact in vacuum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8R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쇄술에 특히 적합한 연신된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
본 발명은 오프셋판용 인쇄조판을 제조하는 기계용으로 특히 적합하고 양호한 가공성 및 우수한 투명도를 갖는 특히, 인쇄술용의 연신된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인쇄업에 사용되는 필름은 비교적 두꺼운 필름(일반적으로 두께가 30~300미크론임)인데 고투명성을 갖지만 절삭성에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여기서 “절삭성”(machinbility)라 함은 통상적으로 필름을 사용시 특별한 난점(차단등)없이 그리고 필름품질의 손실(표면 특성의 변화, 손상, 마모, 긁기, 파괴등)없이 취급하기에 적합함을 말한다. 이러한 적합성은 종종 “작업성”이라는 용어로 일컫는다. 인쇄술에는 기본적으로 감기(winding), 풀기(unwinding), 디리밍(dereaming, 예 : 사진복사) 및 레이다운[laying down, 예 : 재생기(reproducing machine)용 인쇄형 및 인쇄프레임 제조시]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투명성과 가공성은 서로 반대이고 매번 이들 사이에 최상의 조합을 찾아내야 한다는 점은 주지되어 있다.
사실상 리일(reel)의 적합성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미끄럼성을 보장하는 돌기를 필름표면에 부여하는 일반적으로 무기질의 미립자를 필름 제조용의 중합체에 도입시킴으로써 절삭성을 얻는다고 공지되어 있다. 이들 충전제의 존재는 필름의 투명성을 감소시키고 투과광내에 산란광의 백분율에 낮은 값을 얻을 수 없도록 한다.
공압출법은 충전된[따라서 미끄럼성을 줌] 얇은 바깥층과 충전되지 않은 중간층을 갖는 복합필름의 제조를 가능케 한다. 이는 투명도와 절삭성간에 유리한 조합을 갖는 필름이다.
인쇄술에 사용되는 복합 또는 다층 필름은 예를들면 프랑스특허 1,469,837, 2,177,471 및 2,232,436호에 설명되어 있다.
프랑스특허 1,469,837호에는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충전되지 않은 층과 이에 인접한 얇은 충전된 하나이상의 바깥층으로 된 인쇄술용의 연신된 복합 필름이 설명되어 있다. 입자는 평균크기 2~20미크론이고 500~50,000ppm만큼 도입된다. 바깥층의 두께가 전체판 두께의 5~25%를 점유하는 상기 필름은 전체두께가 25~50미크론인 얇은 필름인데 이는 절삭성이 양호하고 동일한 두께의 단일층 필름과 비교하여 투명도가 훨씬 뛰어나다.
본 출원인 회사의 프랑스특허 2,177,471 및 2,232,426호는 촉매잔사로부터 기원하며 미끄럼성을 부여할 수 있는 미립자가 바깥층에 함유된 공압출된 필름을 설명하고 있다.
필름을 2축 연신하기전에 서로다른 화학적 성질을 갖고 그 각각이 0.4미크론 초과의 메디안(median) 입자크기를 갖는 입자들의 혼합물로 된 소량(200ppm미만)의 미립자를 도입시킴으로써 마찰성(잘 정의된 측정 조건하에서 총 조도 0.050~0.3미크론)이 양호하고 산란광의 백분율[논의중인 기술중 헤이즈(haze)로 칭하여]이 특히 낮은 두꺼운 임의로 공압출된 필름도 제안되었다[데이진(Teijin) 일본국 특허출원공개 53/125,479 및 54/15,979호].
유럽특허출원 0,124,310호에는 외층이 충전되고 헤이즈가 낮고 절삭성[마찰계수가 낮음]이고 상대적으로 다량의 충전제[5,000~10,000ppm]를 함유하고 메디안 직경이 0.2~5미크론이고 포장분야에 사용 가능하고 유리하게는 시일링성(Sealability)을 사용하는 얇은 폴리프로필렌 복합 열가소성 필름도 설명되어 있다. 이들 필름의 두께는 20미크론이하이다. 상기 문헌에는 폴리프로필렌을 기타 각종 열가소성 수지로 대체할 가능성을 언급하였으나, 실제 적용시에는 사용되는 중합체들의 성질에 많은 차이점을 고려할 때 대체가 일반적으로 불가능하다.
인쇄술 적용의 경우에는 중요한 단계는 오프셋판 제조에 필요한 인쇄조판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이는 열가소성 필름 그리고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로 만든 차단판의 도움으로 제조된다. 투명도, 절삭성, 항-뉴우톤성[2개의 필름을 겹쳐 놓거나 한 개의 필름을 유리판상에 놓았을 때 광간섭에 의하여 뉴우톤(Newton)고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성질] 이외에도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제조된 차단판은 자신이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어야 하고 특히 산업용 기계에 고속으로 위치하여 사용 가능하여야 한다. 그러나 오프셋판 제조시에 차단판을 UV노출 프레임내에 감압하여 놓는 단계는 대개 길고 따라서 전체 생산속도로 결정하게 된다. 이는 특히 0.7~2.5m2의 표면적을 갖는 대형판 제조시에 적용되는데 이때 프레임상에 판붙임(plating)시간은 최대 30분간이다.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이러한 용도에 부적합한 반면에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 미립자로 충전된 코팅수지에 용액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이들 필름은 이미 2축 연신 처리를 완료한 완성된 필름상에 반복 코팅을 필요로 한다.
현재까지 산업분야에서 직접 얻어지는 필름분야에 용액은 없다. 따라서 발생한 문제점은 코팅 처리하지 않고 산업용 기계상에 직접 제조될 수 있고, 상기 정의된 인쇄술 용도에 적합하고 동시에 양호한 투명도, 양호한 절삭성, 항-뉴우톤성을 가지며 특히 인쇄조판 제조용 기계에 고속으로 사용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정확히 만족시키며 코팅하지 않고 산업기계상에서 직접 얻어지는 두꺼운 연신된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이 필름은 투명도가 높고[분산된 투과광 7%미만] 두께 40~300미크론이고 표면조도(roughness)가 높고 높은 사용속도 및 뉴우톤 고리현상의 제거를 가능케하는 필름에 대하여 권리를 주장한다. 이들 필름은 마찰계수가 낮다.
더욱 정확하게는 본 발명의 주제는 실질적으로 충전되지 않은 연신된 층(A)(두께 : e1)과 이층의 표면들중 하나이상에 적층한 총 조도(roughness)가 0.3미크론 초과인 얇은 연신된 층(B)(두께 : e2)으로 구성된 두께 40~300미크론이고 연신된 결정질 또는 반결정질인 두꺼운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다음을 특징으로 한다:
-층(A)에 대한 층(B)의 두께비 e2/e1은 5%미만임.
-복합필름의 광산란율은 7%미만임.
본 발명의 필름은 이들이 우수한 투명도, 항-뉴우톤성 및 양호한 가공성을 보유하면서 훨씬 더 짧은[표준필름의 그것보다 5~30배 더 짧음] 프레임상의 판붙임 시간을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할만 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으로 형성한 상은 대개의 경우 종래의 필름으로 얻은 상보다 질이 더 좋다.
유리하기로는 본 발명의 필름의 두께는 50미크론이상이다.
중합체내에 존재하는 미세한 충전제가 층(B)에 조도를 준다. 층(B)에 존재하는 충전제는 중합체 조성물에 도입된 미립자 및/또는 촉매잔사로부터 기원하는 입사에 상응한다. 연신후에 층(B)를 제조하기 위한 중합체 조성물에 불활성 미립자를 도입시켜서 조도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하기로는, 도입되는 충전제의 용량 메디안 직경은 그를 함유하는 층의 두께 이상이고, 용량 메디안 직경은 일반적으로 1~10미크론 그리고 바람직하기로는 1~5미크론이다. 도입되는 충전제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0.02%~1% 그리고 바람직하기로는 0.2~0.5%이다.
첨가되는 불활성 입자의 종류는 광범위한데 이들은 무기입자(원소 주기율상의 Ⅱ, Ⅲ 및 Ⅳ족 원소의 산화물 또는 염) 또는 중합체 입자들이다. 사용 가능한 충전제중 예를들면 실리카, 실리코알루미네이트, 탄산칼슘, MgO, Al2O3, BaSO4, TiO2등이다. 유리하기로는 사용되는 충전제는 탄산칼슘(천연종 또는 침전물)인데 이는 당 기술에 있어서 특히 낮은 광산란율을 가능토록 한다. 탄산칼슘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은 또한 본 발명의 주제를 형성한다.
원한다면 층(A)에 소량의 입자를 함유할 수 있지만, 입자는 낮은 농도로 함유되고(함유되거나) 이들이 필름의 전체 광산란율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정도이어야 한다. 예를들면 층(A)를 형성할 중합체 조성물내에 투명도를 해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의 스크랩(scrap)의 일부를 순환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도입된 충전제의 양은 복합필름중 충전된 층의 두께가 전체 복합필름 두께의 적은 부분만을 차지하기 때문에 사실상 매우 적다.
필요하다면 층(A) 자체를 복합층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은 단일층(B)를 함유할 수 있다. 이때 이는 비교적 매끄러운 층과 거친(rough)층을 함유하는 비대칭형 조도를 갖는 투명한 2층 필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필름은 상기 정의한 바와같이 한 개의 층(A) 및 2개의 층(B)로 구성된 필름일 수 있다. 이러한 전제하에 이는 그 양면에 있어서 층(B)들이 동일한지 또는 그렇지 않은지에 따라 대칭이거나 비대칭일 수 있고 거친 필름들을 갖는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은 그 특성이 동일하거나 약간 다른(대칭 또는 비대칭) 2개의 층(B)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2개의 층(B) 및 (A)의 두께 비율은 바람직하기로는 3%미만이고 이때에 투명도가 더욱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두께가 40~300미크론이고 두꺼운 층(A)와 그 한면이상에 일반적으로 두께가 0.3~3미크론, 그리고 바람직하기로는 0.5~2미크론인 매우 얇은 층(B)을 덮은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에 따르면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조도(roughness)가 0.3미크론 초과, 바람직하기로는 0.4~2미크론이고 투과광의 산란율이 5미만이다.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을 형성하는 층(A) 및 (B)는 결정질(crystalline) 또는 반결정질 폴리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결정질 또는 반결정질 폴리에스테르라 함은 슬릿다이를 통하여 용융 압축하고 비정질 필름을 2축 연신한 후에, 결정질 또는 반결정질이고 복합 필름용 지지필름 또는 지지층을 형성할 수 있는 성질[높은 모듈러스, 크기 안정성등]을 만족시키는 필름을 생성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를 의미하는 것이다.
중합체의 결정화성 또는 결정성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수단 예를들면 결정화성 또는 결정 용융 피이크를 보이는 시차열 분석에 의하여 밝힐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문헌[S.H.Lin and J.L.Koenig, the Journal of Polymer Science Polymer Symposium 71, 121~135(1984)]을 참조할 수 있다. 필름중 중합체층의 결정화도는 시차열 분석에서 관찰되며 명백하게 중합체 성질 및 물리적 처리[예 : 연신등] 및/또는 열처리[예 : 열경화]의 함수인 피이크의 표면적 증가에 따라 증가한다.
밀도 측정[밀도의 상당한 변화] 또한 간단한 방법으로써 폴리에스테르가 결정질 상태인지 반결정질 상태인지 검사할 수 있도록 한다.
필름에 기계적 성질의 만족스런 조합(높은 모듈러스, 양호한 크기 안정성등)을 부여하기 위하여 비정질 필름상에 가해지는 하나이상의 단방향 연신작업 후에 얻어지는 필름에 대하여 언급하는 연신된 필름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이는 단축연신 또는 일반적으로 직각에서 2개 방향으로 연속적이거나 동시에 하는 2축 연신 또는 매서열당 연신방향을 바꾸어 하는 3이상의 연신작업의 서열을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단방향 연신 자체를 여러단계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들면 각각의 연신은 여러단계로 하여 2회 연속 2축 연신과 같이 연신서열을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유리한 또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정의한 바와같은 필름에 상호간에 직각으로 2방향에서 2축 연신처리를 한다.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은 직쇄형이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직쇄형인 필름성형 폴리에스테르이고 결정질 또는 반결정질 폴리에스테르로 제조된 필름이다. 이 폴리에스테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카르복실산(들)로부터 또는 이들의 저급알킬 에스테르(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2, 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 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 7-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숙신산, 세바스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디페닐디카르복실산 및 핵사히드로테레프탈산)로부터 그리고 에틸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및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올 또는 폴리올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는 필수적으로 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80중량 %이상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90중량 %이상의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반복단위를 함유한다. 폴리에스테르는 또한 80중량 % 그리고 바람직하기로는 90중량 %이상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여러 가지 축중합물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유리하기로는 폴리에스테르는 o-클로로페놀중 25℃에서 측정한 고유점도 Ⅳ가 0.6~0.75d ℓ/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다.
그러한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은 공지이다. 사용되는 촉매, 안정제, 첨가제는 까다롭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후자는 층(A)를 형성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내에 촉매잔사로부터 기원하면 표면질과 투명도를 해롭게 변화시킬 수 있는 고체입자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선택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촉매는 필름의 표면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최소크기의 입자를 발생시킬 수 있다.
충전제는 바람직하기로는 에스테르와 반응 또는 교환반응 단계의 끝에 사용되는 디올내(또는 가능한 또다른 형태에 따르면 사용되는 디올들중 하나내에) 입자의 현탁액 형태로 도입된다.
그러한 현탁액은 적절한 디올내에 분산된 충전제(들)을 단순히 연마함으로써 제조한다; 이는 또한 연마작업 후에 원심분리 또는 여과하여 가장 조잡한 입자들 또는 입자들의 응집물을 제거할 수 있다; 충전제 현탄액은 예를들면 초음파를 사용한 적절한 처치와 같은 공지의 방법으로 균질화시킬 수도 있다. 이들 방법은 용량메디안 직경 및 입자크기 분포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사전에 충전제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의 뱃치(batch)를 제조한 후에 이 폴리에스테르를 비정질 필름의 압출 이전에 충전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와 혼합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각종의 종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이상의 충전된 폴리에스테르를 공압출하여 비정질 필름을 연신 처리후에 결정질이 되게하고 열경화처리하여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한는 것이 유리하다. 연신작업은 연속적으로 할 수 있다 : 우선 기계 방향으로 연신(종방향 연신)후에 기계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신(횡방향 연신)하거나 그와 반대로 즉 횡방향 연신 후에 종방향 연신할 수 있다. 하기의 데이타는 특히 폴리에스테르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자의 경우에 종방향 연신은 폴리에스테르에 대하여 3~5배로(즉 연신된 필름의 길이가 비정질 필름의 길이의 3~5배에 달함) 그리고 80~100℃에서 하고, 횡방향 연신은 3~5배로 90~120℃에서 한다.
연신작업은 또한 예를들면 각 방향에 3~5배로 80~140℃의 온도에서 상호 직각인 2개 방향(대게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동시에 할수 있다.
연신조건의 선택에 따라 돌기를 둘러싼 공동의 존재와 같은 개별 표면 성질을 발생시킬 수 있는데, 이는 중합체 및/또는 연신조건의 선택으로 실시된다.
연신작업 후에 필름을 일반적으로 180~230℃의 온도에서 역시 공지된 방법으로 열경화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정의한 바와같은 복합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하나이상의 충전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와 하나의 충전된 폴리에스테르를 공압출, 연신 및 열경화에 의하여 상기 정의한 바와같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다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충전된 폴리에스테르는 충전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의 최대 5중량 %이다.
-충전된 폴리에스테르는 그 용량 메디안 직경이 1~10미크론이고 바람직하기로는 1~5미크론인 미세한 충전제 0.02~0.5%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필름은 높은 조도, 특히 이것이 0.4미크론 초과일 때 인쇄술용도로 특히 투명도, 항-뉴우톤성 및 사진 그라비아(photogravure)기에 고속도로 사용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볼 때 매우 흥미롭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은 또한 필름에 양호한 가공성 및 빠른 레이-다운(lay-down)성이 요구되는 사진복사(photocopy) 분야에 대단히 흥미로운데, 종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단지 한 장씩 공급하여 사용되는데 반하여 본 발명의 필름은 연속적으로 묶음식 공급이 가능하다.
필요시에는 본 발명의 필름에 공지된 코팅으로써 대전방지성 도는 후속코팅층을 향하여 개량된 정착(anchoring)성을 부여하여 필름의 사용성을 개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의 성질 및 도입되는 충전제의 특성은 다음과 같이 측정된다 :
항-뉴우톤성 :
항-뉴우톤성은 50% 다색(polychrome) 스크린을 사용하여 시험할 필름의 2개 시이트를 통하여 양성 오프셋판의 상을 만들어서 시험한다. 현상후에 판위에 뉴우톤 고리가 보이지 않아야 한다. 또한 다음 시험을 할수도 있다 : 은 필름상에 원상(original)의 접촉재생에 있어서 청구된 필름을 유리와 접촉재생될 원상사이에 개입시킬 때 재생시 뉴우톤 고리가 사라진다.
조도 :
필름의 조도는 일반적으로 2개값으로 표시된다 :
-총조도값 Rt
-평균조도값 Ra[영어 용어 “중앙선 평균”(center line average)에 따라 CLA라고도 칭함].
총조도 Rt및 평균조도 Ra는 ISO 국제표준 R468에 따라 정의되고 측정된다.
총조도는 국제표준에 따라 인정될 수 있는 장치에 따라 측정된다.
측정은 10개 결과의 평균이고 각종 측정변수는 다음과 같이 선택된다 : 한계 및 절단 파장값 : 0.08미크론 ; 피일 길이 : 1.5mm; 피일러(feeler) 곡률반경 : 3미크론; 피일러 압력 : 30mg.
투과량의 산란율(헤이즈) :
이 측정값은 필름의 혼탁도를 보인다. 이는 표준 ASTM D100에 따라 측정한다.
용량 메디안 직경 :
용량 메디안 직경은 입자 직경에 대한 용량 %의 누적분포곡선상에서 엷은 입자조합의 50용량 %에 해당하는 구형직경이다.
입자의 구형 등가 직경이란 그 입자의 용량과 동일한 용량을 갖는 구의 직경을 말한다.
입자크기 분포곡선은 종래기술에 설명된 각종 방법에 따라 특히 장치[HORIBA/CAPA 500]으로 원심분리하여 측광법에 의하여 만든다.
이 방법에 따르면 현탁액내에서 입자가 시간 t의 함수로서 침강하는 현탁액의 흡수율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이 흡수율은 관계식
Figure kpo00001
로 정의되고 이는 다음 공식과 같이 현탁액의 특성과 관련된다 :
Figure kpo00002
I0: 순수액체에 의한 투과광
I : 현탁액에 의한 투과광
K : 현탁액의 농도와 셀(cell) 두께의 함수인 상수
E(dx) : 소멸(extinction)계수(직경이 어떠하든지 1과 같다)
n(dx) : 직경 dx인 입자의 수
침강속도는 스토크스(Stokes) 공식에 따라 입자의 구형 등가 속도에 관련된다(참조 : T.ALLEN, Particle Size Measurement, 3rd ed., 1981).
[마찰계수의 측정]
이는 필름이 또다른 필름에 대하여 낮은 속도로 운동할 때 초기 운동시에(정적계수) 또는 운동중에(동적계수) 측정한 필름/필름 마찰의 결정이다.
상기 측정은 표준화되어 있다(표준 311A영국 표준 2782).
[복사프레임[프린팅-다운 프레임]상에 레이다운 실험]
700×1000mm 크기를 갖는 대형 프레임상에 공업용 프레임내에 레이 다운(lay down)에 의하여 포지션(positioning)시험한다.
체계적인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필름의 등급을 메길수 있었다.
-등급 C :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행동
-등급 B : 상당히 개량되나 50%미만임.
-등급 A : 50%이상 개량되어 레이다운 시간이 대폭 감소됨.
2개의 바깥층 B 및 B'가 충전되고 내부층 A는 충전되지 않은 3개층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된 복합 필름을 제조한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합체는 교환 촉매로서 아세트산 망간을 사용하여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 글리콜로 시작하여 트랜스 에스테르화 한후에 촉매로서 산화 안티몬을 사용하여 축중합시켜서 제조하였고 중합체 점도 Ⅳ는 0.64이었다.
바깥층들에 0.35중량 %(즉 3500ppm)만큼 존재하는 충전재는 교환 반응의 끝에 반응 혼합물 내에 혼화되는 글리콜 현탁액 형태로 도입되는 탄산 칼슘이다. 입자 크기 분포의 특성은 용량 메디안 직경 : 메디안 ψ=3미크론이다(HORIBA/CAPA 500으로 측정).
필름의 총 두께는 125미크론이다.
각 표면층의 두께는 1미크론이다.(e2/e1비율=0.813%).
따라서, 통상 조건하에 실시되는 2축 연신(종축 연신 후 횡축 연신)후에 하기 특성을 갖는 항-뉴우톤성의 필름을 얻는다 :
-광산란율 : 3%
-조도 Rt=0.90미크론
-조도 Ra=0.08미크론
-정적 마찰 계수 μs=0.38
-동적 마찰 계수 μd=0.35
(마찰 계수는 필름면 1을 필름면 2상에 문질러서 측정함)
이 필름은 인쇄 프레임에서 문서의 신속한 포지션을 가능케한다(오프셋판의 제조). 인쇄 프레임상에 레이다운 시험에서 등급은 A이다.
[실시예 2]
하기로 구성된 3개층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함유하는 비대칭 필름을 제조한다.
1 바깥층 B : 두께 e2=0.5미크론, BaSO4충전 0.2%-메디안 ψ=4미크론
1 충전되지 않은 내부층 : 172.5미크론
1 바깥층 B' : 두께 e2'=2미크론, 층 B와 같이 충전됨.
e2/e1=1.16%
e2'/e1=2.32%
[결과]
-면 B조도 : Rt=0.4미크론
-면 B'조도 : Rt=1미크론
-광산란율 : 3.5%
마찰 계수 : μs=0.38, μd=0.35
이 필름은 면 B'를 사용할 때 항-뉴우톤성을 보인다. 인쇄 프레임 상에 레이다운 시험지에 등급은 A이다.
[실시예 3]
총 두께 125미크론인 3개층으로 된 비대칭 필름을 제조한다. 표면층들은 각각 두께 0.5미크론(층 B) 및 2미크론(층 B')이고 실리카[Syloid 244
Figure kpo00003
]로 충전되어 있다.
-메디안 ψ: 2미크론
-중량 농도 : 0.2%(2개층들에서)
-e2/e1: 0.4%
-e2'/e1: 1.60%
[필름 특성]
-광산란율 : 3%
-조도 Rt=0.65미크론(층 B')
Rt=0.3미크론(층 B)
-마찰계수 : μs=0.4, μd=0.36
이 필름은 항-뉴우톤성이다. 이는 공업적 규모로 제조의 주제가 되었다. 이는 오프셋판용 인쇄 조판을 제조하는 기계에 고속도로 사용 가능하다. 인쇄 프레임상에 레이다운 시험에서 등급은 A이다.
[실시예 4]
총 두께 125미크론인 3개층으로 된 비대칭 필름을 제조한다. 표면층들은 두께가 각각 0.5미크론(층 B) 및 2미크론(층 B')이고 탄산 칼슘으로 충전된다 :
-메디안 ψ= 2.1미크론
-중량 농도=0.25%(2개층들에서)
-e2/e1= 0.4%
-e2'/e1= 1.60%
[필름 특성]
-광산란율 : 3%
-조도 Rt=0.45미크론(층 B')
Rt=0.25미크론(층 B)
-마찰계수 : μs=0.4, μd=0.36
이 필름은 인쇄 조판 제조용 기계에 고속으로 사용될 수 있다. 등급은 A이다.
[실시예 5]
총 두께 170미크론인 3개층으로 된 대칭 필름을 공업적 라인 상에서 제조한다. 표면층들은 두께가 1.5미크론이고 실리카로 충전된다 :
-메디안 ψ= 1.23미크론
-중량 농도=0.25%(2개층에서)
-e2/e1= 0.9%
-e2'/e1= 1.9%
[필름 특성]
-광산란율 : 4.3%
-조도 Rt=0.72미크론
-마찰계수 : μs=0.39, μd=0.29
이 필름은 항-뉴우톤성이다. 이는 오프셋판용 인쇄 조판 제조에 사용되는 기계에서 고속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인쇄 프레임 상에 레이다운 시험에서 등급은 A이다.
[비교예]
비교용으로 기타 시험을 하였는데, 필름의 총 두께, 충전제의 사용량 및 충전제의 메디안 직경을 변경시키고 필름의 성질(헤이즈, 조도, 마찰 계수)를 측정하고 프레임 상에 레이다운 시험의 등급을 결정한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4
결론 : 투명도가 좋고 조도가 높고 동시에 프레임상에 레이다운 속도가 우수한 필름을 얻기 위한 요건은 다음과 같다 :
-두꺼운 필름을 사용한다.
-적절한 평균 직경을 갖는 특정 충전제를 선택하고 적당량의 충전제를 사용한다. 또한 모든 필름은 절삭성임을 알 수 있다(정적 마찰 계수
Figure kpo00005
0.50, 동적 마찰계수
Figure kpo00006
0.40).

Claims (22)

  1. 필수적으로 비충전된 두께 e1의 연신층(A)와 이의 양면 중 하나 이상에 피복된 총조도가 0.3미크론 이상인 두께 e2의 연신된 얇은 층(B)로 구성되고, -e2/e1으로 표시된 층(B) 및 (A)의 두께 비율이 5%미만이고, -복합 필름으로부터 투과된 산란광의 백분율은 7미만이며, 두께가 40~300미크론이고 연신된 결정질 또는 반결정질의 두꺼운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층(B)는 불활성 입자로 충전되고, 이 충전제의 용량 메디안 직경은 이를 함유하는 층의 두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폴레에스테르 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충전제의 용량 메디안 직경이 1~10미크론 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필름(B)에 도입되는 충전제의 양이 0.02%~1%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층(B) 및 (A)의 두께 비율이 3%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과된 산란광의 백분율이 5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
  7.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
  8. 하나 이상의 충전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와 하나의 충전된 폴리에스테르를 공압출, 연신 및 열경화함으로써, 필수적으로 비충전된 두께 e1의 연신층(A)와 이미 양면 중 하나 이상에 피복된 총조도가 0.3미크론 이상인 두께 e2의 연신된 얇은 층(B)로 구성되고, -e2/e1으로 표시된 층(B) 및 (A)의 두께 비율이 5%미만이고, -복합 필름으로부터 투과된 산란광의 백분율은 7미만이며, 두께가 40~300미크론이고 연신된 결정질 또는 반결정질의 두꺼운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충전된 폴리 에스테르는 충전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의 5중량 %이하이고, -충전된 폴리에스테르는 그 용량 메디안 직경이 1~10미크론인 미세한 충전제를 0.02~0.5%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충전제의 용량 메디안 직경이 1~5미크론인 방법.
  10. 필수적으로 비충전된 두께 e1의 연신층(A)와 이의 양면 중 하나 이상에 피복된 총 조도가 0.3미크론 이상인 두께 e2의 연신된 얇은 층(B)로 구성되고, -e2/e1으로 표시된 층(B) 및 (A)의 두께 비율이 5%미만이고, -복합 필름으로부터 투과된 산란광의 백분율은 7미만이며, 두께가 40~300미크론이고 연신된 결정질 또는 반결정질의 두꺼운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인쇄술용으로서, 특히 오프셋판용 인쇄조판 제조용으로서의 용도.
  11. 제8항에 있어서, 층(B)는 불활성 입자로 충전되고, 이 충전제의 용량 메디안 직경은 이를 함유하는 층의 두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충전제의 용량 메디안 직경이 1~10미크론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필름(B)에 도입되는 충전제의 양이 0.02%~1%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2개층(B) 및 (A)의 두께비율이 3%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투과된 산란광의 백분율이 5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16.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층(B)는 불활성 입자로 충전되고, 이 충전제의 용량 메디안 직경은 이를 함유하는 층의 두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용도.
  18. 제17항에 있어서, 충전제의 용량 메디안 직경이 1~10미크론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용도.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필름(B)에 도입되는 충전제의 양이 0.02%~1%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용도.
  20.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2개층(B) 및 (A)의 두께 비율이 3%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용도.
  21.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투과된 산란광의 백분율이 5%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용도.
  22.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용도.
KR1019860700892A 1985-04-15 1986-04-11 인쇄술에 특히 적합한 연신된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 Expired KR920001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505841A FR2580226B1 (fr) 1985-04-15 1985-04-15 Films polyesters, composites, etires utilisables notamment pour arts graphiques. procede d'obtention de tels films
FR85/05841 1985-04-15
PCT/FR1986/000118 WO1986006024A1 (fr) 1985-04-15 1986-04-11 Films polyesters, composites, etires utilisables notamment pour arts graphiqu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700513A KR870700513A (ko) 1987-12-29
KR920001563B1 true KR920001563B1 (ko) 1992-02-18

Family

ID=9318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700892A Expired KR920001563B1 (ko) 1985-04-15 1986-04-11 인쇄술에 특히 적합한 연신된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4840836A (ko)
EP (1) EP0260258B1 (ko)
JP (1) JPS62502456A (ko)
KR (1) KR920001563B1 (ko)
AT (1) ATE43291T1 (ko)
AU (1) AU597575B2 (ko)
BR (1) BR8607099A (ko)
CA (1) CA1281870C (ko)
DE (1) DE3663479D1 (ko)
DK (1) DK166441B1 (ko)
ES (1) ES8707746A1 (ko)
FI (1) FI87325C (ko)
FR (1) FR2580226B1 (ko)
NO (1) NO171152C (ko)
PT (1) PT82397B (ko)
WO (1) WO19860060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3402A (en) * 1987-08-21 1990-10-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ilms containing liquid crystalline polymers
JPH0796264B2 (ja) * 1989-01-23 1995-10-18 東レ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ロール
US4997735A (en) * 1989-04-28 1991-03-05 Eastman Kodak Company Vacuum contacting process for photographic elements
US5181288A (en) * 1989-05-30 1993-01-26 The Mediscus Group Inc. Therapeutic turning bed
US5294474A (en) * 1989-07-27 1994-03-15 Rhone-Poulenc Films Composite polyester films and their use as protective layers for photopolymer plates, and photopolymer plates comprising said films
FR2650220B1 (fr) * 1989-07-27 1991-10-04 Rhone Poulenc Films Films polyesters composites et leur utilisation comme couche de protection pour plaques photopolymeres et plaques photopolymeres les comportant
JP2555739B2 (ja) * 1989-08-31 1996-11-20 東レ株式会社 二軸配向熱可塑性樹脂フイルム
DE4015658A1 (de) * 1990-05-16 1991-11-21 Hoechst Ag Oberflaechenstrukturierte folie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FR2664533B1 (fr) * 1990-07-16 1994-09-30 Rhone Poulenc Films Films polyesters composites et leur utilisation comme couche de protection pour plaques photopolymeres et plaques photopolymeres les comportant.
DE4034869A1 (de) * 1990-11-02 1992-05-07 Hoechst Ag Flaechenhafter formkoerper mit wenigstens einseitig regelmaessig strukturierter oberflaeche
GB9110902D0 (en) * 1991-05-21 1991-07-10 Ici Plc Polymeric film
GB9324989D0 (en) * 1992-12-23 1994-01-26 Ici Plc Polymeric film
US5626942A (en) * 1993-05-05 1997-05-06 Toray Industries, Inc. Polyester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5674443A (en) * 1994-09-26 1997-10-07 Skc Limite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ester film
FR2725051B1 (fr) 1994-09-28 1997-01-03 Rhone Poulenc Films Elements transparents pour photocopie electrostatique
US5795528A (en) * 1996-03-08 1998-08-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for making a multilayer polyester film having a low coefficient of friction
JP2000052517A (ja) * 1998-08-04 2000-02-22 Unitika Ltd 複層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7141293B2 (en) * 2003-04-22 2006-11-28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Coextruded, hot-sealable and peelable polyester film having high peeling resistance,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US7223459B2 (en) * 2003-04-22 2007-05-2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Coextruded, hot-sealable and peelable polyester film,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US7186452B2 (en) * 2003-04-22 2007-03-06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Coextruded, hot-sealable and peelable polyester film having high peeling resistance,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US7144615B2 (en) * 2003-04-22 2006-12-05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Coextruded, hot-sealable and peelable polyester film,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DE10352431A1 (de) * 2003-11-10 2005-06-0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Peelfähige Polyesterfolie mit selbsttätiger Entlüftung,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352430A1 (de) * 2003-11-10 2005-06-0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Peelfähige Polyesterfolie mit verbesserter Sauerstoffbarrier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5626A (en) * 1965-02-22 1970-06-02 Ici Ltd Thermoplastic laminates having improved surface properties
US3983285A (en) * 1972-02-16 1976-09-28 La Cellophane Composite polyester film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BE795478A (fr) * 1972-02-16 1973-08-16 Cellophane Sa Films composites en polyesters et leur procede de fabrication
JPS57123050A (en) * 1980-12-01 1982-07-31 Toray Industries Polyester composite film
EP0035835B1 (en) * 1980-03-12 1984-03-14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Polyester film composites
US4375494A (en) * 1980-03-12 1983-03-01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Polyester film composites
US4533509A (en) * 1983-04-28 1985-08-06 Mobil Oil Corporation Low coefficient of friction film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60258B1 (fr) 1989-05-24
FI87325C (fi) 1992-12-28
US4840836A (en) 1989-06-20
CA1281870C (fr) 1991-03-26
ES8707746A1 (es) 1987-08-16
ATE43291T1 (de) 1989-06-15
NO171152B (no) 1992-10-26
PT82397B (pt) 1994-07-29
DK598086A (da) 1986-12-12
FR2580226B1 (fr) 1987-08-14
EP0260258A1 (fr) 1988-03-23
AU5693986A (en) 1986-11-05
BR8607099A (pt) 1988-02-09
AU597575B2 (en) 1990-06-07
FR2580226A1 (fr) 1986-10-17
KR870700513A (ko) 1987-12-29
FI874528A0 (fi) 1987-10-14
WO1986006024A1 (fr) 1986-10-23
JPS62502456A (ja) 1987-09-24
NO865000L (no) 1987-02-12
NO865000D0 (no) 1986-12-11
FI874528L (fi) 1987-10-14
DK598086D0 (da) 1986-12-12
DE3663479D1 (en) 1989-06-29
FI87325B (fi) 1992-09-15
ES553960A0 (es) 1987-08-16
NO171152C (no) 1993-02-03
PT82397A (pt) 1986-11-05
DK166441B1 (da) 199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563B1 (ko) 인쇄술에 특히 적합한 연신된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910008997B1 (ko)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US4828918A (en) Transparent composite polyester films capable of being used in particular for producing high-gloss metallized films
US5612138A (en) Polyester raw material, and film produced therefrom
KR100248317B1 (ko) 이축배향적층폴리에스테르필름
KR960005446B1 (ko) 자기기록매체용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림
KR0158461B1 (ko) 2축 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75471A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JPH09291157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TWI504669B (zh) 聚酯樹脂組成物及使用該組成物的聚酯薄膜
JP4734237B2 (ja) 反射板用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633595B2 (ja) 遮光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1204959A (ja) ポリエステル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EP0686870A1 (en) Laminated base film for photographic film
JPS60229732A (ja) 粗さの少ない薄い延伸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磁気テ−プ製造におけるその使用
US6607822B2 (en) Biaxially oriented film support for magnetic recording media
JP3075932B2 (ja) 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2008138068A (ja) 遮光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GB2091631A (en) Base film for magnetic recording tape
JP2003183420A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5311051A (ja) ポリエチレンナフタレート組成物
KR970010468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JP3061821B2 (ja) 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およびポリエステル組成物
JPH1081766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06161030A (ja) 写真感光材料用フイ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612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901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612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1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2011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205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207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207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4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1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1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1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1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2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1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1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08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0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