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921B1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10005921B1 KR910005921B1 KR1019870012832A KR870012832A KR910005921B1 KR 910005921 B1 KR910005921 B1 KR 910005921B1 KR 1019870012832 A KR1019870012832 A KR 1019870012832A KR 870012832 A KR870012832 A KR 870012832A KR 910005921 B1 KR910005921 B1 KR 9100059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nwoven fabric
- fibers
- polyester
- thermal
- fi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25—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접착강도 측정용 샘플의 사시도.
제2도는 그 측정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동적 흡수량 측정용의 가동식 여성요부(腰部)모델의 사시도.
제4도는 가동식 여성요부 모델에 입힌 샘플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험편 2 : 밀봉부분
3 : 부직포 4 : 라미네이트지
5 : 척 6 : 가동식 여성요부 모델
8 : 튜브
본 발명은 흡수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부직포를 표면물질로서 사용하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말하면 생리용 넵킨, 종이기저귀 또는 화장용 시이트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대한 것이다.
종래, 생리용 냅킨 또는 종이 기저귀와 같은 흡수성 물품은 기본적으로 면상펄프 또는 흡수지로 제조되는 흡수층, 흡수층의 하부 및 측면에 배치된 누설방지층과 흡수층의 표면에 제공된 부직포로 기본적으로 이루어진다.
흡수성 물질의 흡수성은 관련기술의 급속한 향상으로 고흡수성 중합체와 건식 부직포와 같은 새로운 물질이 도입되어 최근에 크게 개선되고 있다. 특히 부직포에 관하여 합성섬유가 부직포 표면의 점착을 억누르는데 매우 유효하기에 지금까지 폭넓게 사용되어 오고 있는 재생 셀룰로오스에 대신하여 부직포 재료로서 현저하게 사용되어 오고 있다.
우수한 흡수성을 각기 지니는 물질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이 실제 사용시에 본래 성능을 충분히 발휘한다고는 말할 수 없는데, 이는 생리용 냅킨 또는 종이 기저귀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최대 불만족인 착용자의 가랑이로부터의 누설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는 사실로부터도 분명하다.
누설의 주요원인은 착용자의 가랑이가 움직여질 때 흡수성 물품에 적용되는 불규칙한 응력으로 인한 각 구성물질의 분리 및 흡수성 물품의 큰 미끄러짐 또는 주름등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부직포는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기 때문에 큰 응력을 받아서 방수지 또는 흡수층으로부터 쉽게 분리되게 된다. 그래서 모든 방법을 사용하여 그것들을 일체화 시키는 것이 강력히 요망되고 있다.
방수지 또는 흡수층과 부직포의 일체와 수단으로서는 압감점착제 또는 용융 접착제로 그것들을 접착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수단을 적용하면 제조단계가 매우 복잡하고 제조단가가 불가피하게 많이 들게 된다. 이에 반하여 부직포가 용융되어 간단한 열압력으로 대상물로 접합하는 소위 열접착방식이 적용되면 단계의 복잡성은 적어지고 제조단가가 약간만 상승하면서 고속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좋은 열가공성을 지니는 부직포는 단가를 별로 상승시키지 않으면서 착용자의 운동상태하에서도 흡수성 물품의 누설방지성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하다. 그러한 흡수성 물품의 고속 생산에서는 열가공성 이외에도 다른 우수한 가공성이 부직포에 요구된다.
그러나 현저하게 사용되고 있는 합성수지 부직포는 그것이 우수한 흡수성을 지닐지라도 매우 불충분한 가공성을 지닌다. 그 문제점은 크게 다음 두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제1문제점은 부직포의 열가공이 어렵다는 것이다.
부직포가 아크릴섬유와 같은 열용융될 수 없는 섬유로 제조될 대 부직포가 용융될 수 없기 때문에 섬유는 전혀 대상물로 접착될 수 없다. 폴리에스테르섬유, 나일론 섬유등으로 제조된 부직포가 열에 의해 용융될 수 있을지라도 용융온도가 매우 높아서 매우 높은 처리온도 때문에 온도제어가 어렵고 용융 부직포가 다른 물질에 접촉될 때 다른 물질에 대한 손상이 클 수 있다. 따라서 부직포가 가공시 용융될 때 조차도 다음 어려움이 생긴다.
용융된 섬유가 열밀봉기(heat sealer)에 부착하여 부직포의 열접착 부분이 파괴되고, 열밀봉기에 부착하는 수지 때문에 열밀봉기의 기능이 저하된다. 가공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부직포에 저 용융 섬유를 부분적으로 혼합하여도 모든 저 용융섬유가 용융된다면 그 상황은 동일하다.
대개의 경우, 여기서 사용된 저용융섬유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와 같은 모두 동일한 용융온도를 지니는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거나, 또는 폴리에틸렌 / 폴리프로필렌 복합섬유와 같은 서로 용융온도에서 약간의 차를 지니는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가공이, 충분한 열접착 강도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높은 온도에서 진행될 때 모든 성분은 동시에 용융되며 용융성분은 즉시 밀봉기로 이행하여 밀봉기의 기능을 저하시키고 열접합 부분의 파손을 일으킨다.
저용융섬유의 혼합률이 증가할 때 이 문제점은 더 심각하다. 저용융섬유의 혼합률이 낮을 때 용융성분의 밀봉기로의 이행은 고용융섬유가 섬유상 형태를 유지하나 모든 저용융섬유가 용융되는 온도 범위에서 고용융섬유와 저용융섬유의 접합 및 서로 얽힘에 의하여 다소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열접착의 효과는 용융섬유의 저혼합률 때문에 거의 나타내지 않으며 요융성분의 밀봉기로서의 이행은 여전히 미해결인채 존재한다.
따라서 부직포의 열접합 부분의 파괴와 특히 밀봉기를 장시간 동안 운전함으로써 밀봉기에 퇴적된 융착물에 의해 야기된 손상은 본질적으로 해결될 수 없다.
두 성분 섬유 사이에서 용융온도의 큰 차를 지니는 저융점섬유로서 폴리에스테르/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를 사용함으로써 상술된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한 시도가 행해졌다.
이 경우에 통상 저용융 폴리에스테르 성분은 비결정이어서 엄밀히 말하면 용융온도를 지니지 않는다(그러나 연화점을 지닌다.) 따라서 대상물에 대한 접착은 낮아서 충분한 접착강도를 연화점 이상 온도에서 조차 얻을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합성섬유를 기초로한 부직포의 열가공은 매우 한정된 범위내에서만 진행될 수 있다.
특히 흡수성 물품에 폭넓게 사용되는 거식 열접착 부직포와 같은 바인더로서 사용된 저용융섬유의 매우 높은 혼합물을 지니는 부직포에 안정된 효과를 발위하는 열가공을 진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합성섬유기재의 부직포에 열가공을 부여하는 가장 폭넓게 적용된 방법에서는 열가공될 때 비교적 높은 접착강도를 지니는 폴리올레핀 섬유 또는 그 복합검유를 밀봉기에 용융되지 않을 정도 범위내에서 혼합한다. 그러나, 이방법은 상술한 문제점을 본질적으로 해결할 수 없으며 다음 문제점을 내포한다.
즉 제2문제점은 폴리올레핀 섬유가 사용될 때 부직포의 절단성(cuttability)이 저하되는 것이다. 생리용냅킨 또는 종이기저귀와 같은 일회용 흡수성 물품제조시 제품또는 원료를 절단하는 단계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합성섬유와 절단성은 레이온과 같은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와 비교할 때 저조하다.
단가를 낮추기 위해서는 상술된 흡수성 물품의 고속생산이 필요하다. 따라서 절단은 매우 단시간내에 행해져야 하며 절단시스템은 제한된다. 통상 적용되는 금속날을 사용하는 절단시스템에서 칼날의 내구성은 부직포와 같은 물질의 성질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부직포 측면에서 볼 때 부직포가 매우 어려운 절단처리에 의해 절단부분 이외의 다른 부분이 손상되는 것은 부적당하다. 절단성은 섬유의 점탄성과 관계가 있다고 본다.
고 점탄성을 지니는 폴리올레핀 섬유의 절단성은 매우 빈약한 반면, 보다 높은 부서지는 성질(brittleness)을 지니는 폴리에스테르섬유 또는 아크릴 섬유의 절단성은 비교적 좋다.
따라서 폴리올레핀 섬유 기재 건식 열접합된 부직포와 열가공성을 부여하기 위해 혼합된 폴리올레핀섬유를 함유하는 부직포를 가공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의 고속생산이 어렵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합성섬유기재 부직포는 고속 생산하에서 충분한 열가공성과 절단성을 동시에 만족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미그러짐 또는 주름이 없으며 높은 누설방지성을 지니는 흡수성 물품은 얻을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충분한 열가공성과 절단성, 특히 높은 강도 및 흡수성과 우수한 촉감을 지니는 부직포를 제공하고자 예의 연구를 한바,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모든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는 부직포를 발견하게 되어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흡수층, 누설방지층 및 표면층으로 통상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의 표면물질이 제1폴리에스테르와 용융온도가 제1폴리에스테르 용융온도보다 50℃ 이상 낮으며 제1폴리에스테르의 흡열 피이크 높이의 5%이상의 흡열 피이크 높이를 갖는 제2폴리에스테르로 제조된 복합섬유를 40wt%이상 함유하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데 특징이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앞서 요약된 바와 같이 제1문제점을 고찰할 때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부직포는 열가공시 적어도 다음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제1조건은 부직포의 적어도 일부분이 열 및 압력하에서 용융되어 대상물에 효과적으로 접합되는 것이다.
이것은 본 발명의 목적이 고려될 때 분명하다.
제2조건은 열과 압력하에서 용융된 부직포 성분이 밀봉기로 이행하지 않는 점이다. 제3조건은 넓은 온도범위에서 상술된 조건이 만족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제2 및 제3조건은 실제 제조시 안정한 열가공을 진행하는데 아주 중요한 용건이다.
이런 조건들에 대한 연구결과로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술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부직포가 다음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먼저, 대상물에 대한 부직포의 효율적인 접합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열 및 압력하에서 용융되며 용융후 대상물에 도달되도록 급히 유동하는 성분이 부직포에 포함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섬유중에 제2폴리에스테르는 이 성분에 해당한다. 다음에 부직포 성분의 밀봉기로의 이행과 접착부분의 파괴를 방지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이것은 열과 압력하에서 모든 수지성분이 전혀 용융되지 않은 섬유를 사용하여 달성된다.
즉 제2폴리에스테르는 열착시에 적당한 유동성으로 용융되나, 제1폴리에스테르는 용융되지만 부직포의 골격구조로서 작용하도록 섬유형태를 유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섬유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사용되어야 한다.
실제 생산시에 열접착 온도와 라인의 편차범위내에서 그러한 효과를 확실하게 달성시키기 위해서 제1과 제2폴리에스테르사이의 용융온도의 차는 적어도 50℃, 바람직하게는 100℃이상이어야 한다.
그러한 복합섬유에서 제1폴리에스테르의 용융온도가 높을수록 열가공은 보다 광범위한 온도 범위내에서 행해질 수 있다. 부직포가 열가공성에 필요로 하는 제1 및 제2조건을 동시에 충족시키려면 제1 및 제2폴리에스테르로 제조된 상술의 복합섬유는 부직포의 표면층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포되어야 한다.
표면층에서 복합섬유의 혼합률이 증가되면 열접착부의 파괴나 밀봉기의 수치 융착없이 접착강도는 증가되어서 부직포의 열가공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가 열가공에 필요한 제3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열가공성에 의한 접착이 가능한 낮은 온도에서 일어나는 반면 밀봉기에 대한 융착은 가능한 높은 온도에서 까지도 일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섬유의 제1폴리에스테르가 가능한 높은 용융온도를 지니며 제2폴리에스테르가 가능한 낮은 용융온도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폴리에스테르의 용융온도는 200℃ 이상이 바람직하며 제2폴리에스테르의 용융온도는 180℃이하가 바람직하다.
열가공성에만 주목할 경우 상술된 성질을 만족시키는 복합섬유의 실례(제1수지성분 / 제2수지성분)에는 폴리프로필렌 /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 에틸렌 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 폴리에틸렌과 폴리에스테르 / 비결정 폴리에스테르등이 포함된다.
그것들중 종래 폴리에스테르 / 비결정 폴리에스테르는 제2수지성분의 폴리에스테르가 비결정성이어서 낮은 열유동성을 지니기 때문에 충분한 접착강도를 얻을 수 없어서 대상물의 빈약한 접착을 부여한다.
앞서 요약된 제2문제점으로서 부직포의 절단성은 열가공성외에 고려되는 점이다.
우수한 열가공성을 지니는 상술한 폴리올레핀 기재 복합섬유는 상술된 바와 같이 부직포에 빈약한 절단성을 지닌다.
상술된 모든 점들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폴리에스테르 / 비결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의 개질을 시도하여 그 열가공성을 개선시키게 되었다. 그 결과, 절단성을 저하시키지 않고도 폴리올레핀 기재 복합섬유에 필적하는 우수한 열가공성을 지니며 종래 폴리에스테르 / 비결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로는 달성될 수 없는 우수한 강도와 촉감을 지니는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게 되었다.
개질의 요점은 종래 비결정 폴리에스테르 성분에 대하여 적당한 열유동성, 열용융후, 접착강도와 적당한 용융온도를 부여하는 것이다. 이들 물리적 성질은 수지의 분자구조와 섬유형태에서 결정구조와 복잡한 상호관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수지성분의 분자량, 섬유형태에서의 결정화도 등에 주로 착안하여 그것들을 조절하여 원하는 개질을 실현하였다. 열에 의해 용융될 때 저용융 폴리에스테르 성분의 흡열 피이크가 유동성과 접착강도에 대응하므로 그에 대한 지표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즉, 제2폴리에스테르분자량, 섬유형태에서의 결정화도 등이, 제1폴리에스테르의 흡열 피이크에 대하여 열에 의해 용융될 때 제2폴리에스테르의 흡열 피이크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식으로 증가되도록 제어되는 경우 열용융시 유동성 및 열접착강도가 증가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사실상, 열용융될 때 유동성 및 열접착강도가 빈약한 종래 비결정 폴리에스테르는 상술된 바와 같은 그 흡열 피이크의 비율은 0%이며 용융온도를 갖지 않는다. 부직포의 열가공에 필요한 상술 세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제2폴리에스테르의 흡열 피이크 높이는 제1폴리에스테르의 흡열 피이크 높이의 5%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어야 한다.
높은 용융온도와 우수한 절단성을 지니는 모든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제1폴리에스테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1폴리에스테르수지의 실례에는 가장 일반적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뿐만 아니라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도 포함된다.
제2폴리에스테르의 용융온도는 제1폴리에스테르의 용융온도보다 적어도 5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 낮게 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우수한 열가공성 및 절단성을 지니는 부직포가 다음 절차에 의하여 복합섬유(이하, "PET / 1mpPET라함)로부터 형성된다. 즉, PET / 1mpPET이외의 섬유의 절단성이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아크릴 섬유의 경우에서 만큼 좋을 때는 단지 우수한 열가공성이 그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에 부여되어야 한다.
PET / 1mpPET이외 섬유의 절단성이 폴리올레핀 경우에서처럼 좋지 않을 때 그러한 섬유의 절단성은 그러한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에 PET / 1mpPET를 혼합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라도 부직포의 모든 층에 적어도 PET / 1mpPET의 포함이 필요하다. 영구 안정된 효과를 보증하기 위하여 PET / 1mpPET는 부직포에 평균하여 40wt% 이상 양으로 함유되어야 한다.
상술된 결과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PET / 1mpPET는 종래 폴리에스테르 / 비결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로부터 얻어질 수 없는 우수한 강도와 촉감을 지니는 부직포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건식 열접착방식의 부직포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섬유를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조건을 지금부터 기술한다.
부직포 자체의 강도와 촉감의 발란스를 부여하고자 할 때 부직포의 적어도 표면층을 조성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섬유와 복합섬유의 제2폴리에스테르의 용융온도보다 높거나 그에 필적할 수 있는 용융온도를 지니는 섬유로 이루어진다.
그것들의 평균중량비율은 40 내지 100 : 60 내지 0의 버위내가 바람직하다. 면적중량(areal weight)은 냅킨으로 사용할 경우에 전체로서는 10 내지 40g/㎡, 표면층으로서는 5 내지 15g/㎡ : 종이기저귀의 경우엔 전체로서는 30 내지 50g/㎡, 표면층으로서는 7 내지 20g/㎡가 되는게 바람직하다.
특히 폴리올레핀섬유 기재 부직포의 강도 및 촉감에 견줄만한 강도와 촉감을 얻기 위해서는 유동성의 직접적 지표인 제2폴리에스테르의 용융점도는 200℃에서 5포이즈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섬유의 섬도는 1.5 내지 10데니어일 수 있다. 강도 및 촉감을 고려할 때 1.5 내지 데이어가 바람직하다.
최근에 흡수성 물품이 적당하 흡수성을 지니기 위해서는 적덩한 친수성이 부직포에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섬유는 그 표면상에 적어도 친수성을 지니도록 요구된다. 친수성 표면을 만드는 방법에는 복합섬유의 표면을 계면활성제로 처리하여 친수화로 만드는 방법, 친수성기가 있는 단량체 또는 친수성기가 있는 중합체와 같은 친수성기를 지니는 화학물질을 복합섬유에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화학적 표면개질을 실행하는 방법, 플라즈마 가공법을 사용하는 방법 및 친수성기를 지니는 화학물질을 복합섬유에 반죽하여 물리적 표면개질을 실행하는 방법등이 포함된다.
화학적 표면개질에서 친수성기를 지니는 화학물질은 섬유표면에 화학적으로 결합될 수 있거나 친수성기를 지니는 화학물질은 섬유표면을 피복하도록 그 분자사이에 결합되어 가교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섬유제조 단계동안에 섬유를 친수화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그외에 부직포가 형성된 다음 후 처리되어 상술된 화학적 또는 물리적 표면개질 또는 계면활성제로 처리를 행함으로써 친수성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섬유의 표면에 부여 될 수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를 사용하여 열가공된 흡수성 물품을 지금부터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실시예 1 내지 12와 비교실시예1 내지 8]
[섬유, 부직포와 흡수성 물품]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섬유로서 사용된 섬유와 본 발명의 범주외의 복합섬유로서 사용된 섬유를 표1에 요약한다.
이들 섬유를 사용하여 제조된 부직포의 물리적 성질과 부직포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 및 비교 흡수성 물품의 물성을 표 2에 요약한다.
실시예 1내지 5, 실시예 9 내지 12, 비교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실시예 6 내지 8에서 부직포는 바인더섬유로서 복합섬유를 사용하는 열접착 방법으로 제조된다(140℃의 열풍을 카드웨브를 거쳐 통과시켜서 복합섬유를 다른 섬유에 융착시킴으로써 고정시키게 된다).
실시예 6 내지 8과 비교실시예 4 및 5에서 섬유를 서로 얽히도록 카드웨브에 대하여 고압수류(분사입력 L 55kg/㎡)을 분충함으로써 부직포를 형성하였다.
흡수성 물품을 시판의 생리용 냅킨(상품명 : 로리세이프티롱(가오오 색껜사제))에서 분리 제거하여 얻은 부직포 대신에 표 2에 언급된 바와 같은 부직포를 위치시켜서 제조하였다.
밀봉 접착가공 및 절단가공을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섬유와 부직포의 시험방법]
표 1에 도시된 섬유에 관하여 제1및 제2수지성분의 용융온도를 다음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제1수지성분의 흡열 피이크의 높이에 대한 제2수지성분의 흡열 피이크 높이의 비율을 다음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표 2의 항목 가운데서 인장강도를 다음 방법으로 부직포에 관해서 측정하였으며 접착강도 및 접착상태를, 부직포와 누설방지 시이트를 다음 밀봉 접착가공시킨 후 다음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동일 밀봉 접착가공을 부직포 및 누설방지 시이트를 일체화하도록 흡수성 물품에 관하여 실행하였으며 동적 흡수량을 다음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용융온도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섬유에 관하여는 다음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DSC를 사용하는 10℃/min 비율로 샘플을 가열시킬 때 츨정한 흡열 피이크 온도를 용융온도로서 규정하였다.
(2) 제2수지성분의 제1수지성분에 대한 흡열 피이크의 비율
제1수지성분의 흡열 피이크 높이가 H1이고 제2수지 성분의 흡열 피이크 높이가 H2일 때 이들 값은 DSC 도표로부터 읽을 수 있고 상술된 비율은 방정식 (H2/H1)×100(%)으로 산출된다.
(3) 인장강도
폭 50mm와 길이 150mm를 지니는 부직포를 집어서 인장속도 300mm/min으로 인장시켰다. 절단강도를 인장강도 값으로서 규정하였다. 부직포의 섬유배열은 부직포 샘플의 폭방향이다.
(4) 밀봉가공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관하여 부직포와 누설방지 시이트(개질 폴리에틸렌 라미네이트지)를 30m/min의 라인속도로 2mm 밀봉폭으로 열밀봉하였다.
(5) 접착강도
밀봉부분(2)을 포함하여 30mm폭을 지니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험편(1)을 밀봉시험후 샘플로부터 절단하였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3)의 선단부분과 라미네이트지(4)의 선단 부분을 각기 척(5)으로 집어서 인장시켰다.
최대 박리하중을 접착강도로서 규정하였다.
(6) 접착상태
밀봉부분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접착상태를 평가하였다.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3급 : 열접착 부분의 파손 및 밀봉기의 부착도 없다.
2급 : 부분적 파손 또는 불완전한 접착이 있었으나 밀봉기에 부착은 없다.
1급 : 열접착 부분의 파손과 밀봉기의 부착이 있어 열접착이 불가능하다.
(7) 동적 흡수량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동식 여성요부 모델(6)에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식으로 측정샘플(7)을 입혔다. 시동후 주행운동을 계속하면서 15g/min 비율로 시험액을 샘플에 튜브(8)를 주입하였다. 누설을 확인할 때 주입된 시험액의 양을 동적 흡수량으로서 규정하였다. 동적 흡수량이 클수록 누설은 적다.
(8) 절단성
밀봉가공된 흡수성 물품을 라인속도 30m/min으로 통과시키면서 회전 다이절단기(rotary die cutter)로 절단하여 절단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3급 : 절단부분이 완전히 잘려진다.
2급 : 절단부분의 일부가 절단되지 않고 남는다.
1급 : 절단될 부분이 거의 절단되지 않는다.
[표 1]
[표 2]
실시예 1 내지 12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는 열가공될 때 높은 접착강도와 우수한 접착상태를 제공하며 매우 좋은 절단성을 지닌다. 연접착에 의하여 부직포와 누설방지층을 일체화하여 얻어진 흡수성 물품은 큰 동적 흡수량을 나타낸다.
비교실시예 1에서 PET-7의 제2수지성분의 제1수지성분에 대한 흡열 피이크의 비율은 0%이기 때문에 열가공성에 의한 접착강도는 낮고 흡수성 물품의 동적 흡수량은 적으며 부직포 강도는 빈약하다.
비교실시예 2와 3은 열가공성은 좋으나 제2수지성분이 폴리올레핀이기 때문에 절단성은 나빠서 고속생산이 불가능하다.
비교실시예 4와 5는 절단성은 좋으나 본 발명에 따른 PET / 1mpPET의 혼합률이 낮기 때문에 그들의 접착강도가 낮아서 실용적이지 못하다.
비교실시예 6과 7은 열가공성은 양호하나, 실시예 4와 5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PET / 1mpPET의 혼합률은 작고 올레핀 섬유가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절단성은 빈약하다.
비교실시예 8은 이면층의 폴리올레핀 함량, PP가 100%이기 때문에 빈약한 절단성을 지닌다.
Claims (1)
- 흡수층, 누설방지층 및 표면층으로 통상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의 표면물질이 제1폴리에스테르와 이 제1폴리에스테르보다 50℃이상 낮은 용융온도 및 상기 제1폴리에스테르의 흡열 피이크 높이의 5% 이상의 흡열 피이크 높이를 갖는 제2폴리에스에르로 제조된 복합섬유를 40중량% 이상 함유하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61-294425 | 1986-12-10 | ||
JP61294425A JPH0712371B2 (ja) | 1986-12-10 | 1986-12-10 | 吸収性物品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07054A KR880007054A (ko) | 1988-08-26 |
KR910005921B1 true KR910005921B1 (ko) | 1991-08-08 |
Family
ID=1780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70012832A KR910005921B1 (ko) | 1986-12-10 | 1987-11-14 | 흡수성 물품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EP (1) | EP0270846B1 (ko) |
JP (1) | JPH0712371B2 (ko) |
KR (1) | KR910005921B1 (ko) |
CN (1) | CN87107331A (ko) |
CA (1) | CA1307923C (ko) |
DE (1) | DE3775186D1 (ko) |
ES (1) | ES2027680T3 (ko) |
HK (1) | HK16793A (ko) |
MY (1) | MY102503A (ko) |
PH (1) | PH25168A (ko) |
SG (1) | SG122492G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37419B2 (ja) * | 1989-02-01 | 1998-12-16 | 花王株式会社 | 不織布及び吸収性物品 |
ZA92308B (en) | 1991-09-11 | 1992-10-28 | Kimberly Clark Co | Thin absorbent article having rapid uptake of liquid |
US5382400A (en) | 1992-08-21 | 1995-01-17 | Kimberly-Clark Corporation | Nonwoven multicomponent polymeric fabric and method for making same |
US5405682A (en) | 1992-08-26 | 1995-04-11 | Kimberly Clark Corporation | Nonwoven fabric made with multicomponent polymeric strands including a blend of polyolefin and elastomeric thermoplastic material |
US5482772A (en) | 1992-12-28 | 1996-01-09 | Kimberly-Clark Corporation | Polymeric strands including a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and nonwoven fabric and articles made therewith |
DE10205828A1 (de) * | 2002-02-13 | 2003-08-21 | Corovin Gmbh | Composite mit absorbierender Lage |
EP2231907B1 (en) * | 2007-12-14 | 2016-04-13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Multi-component fibers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R75722B (ko) * | 1981-06-11 | 1984-08-02 | Johnson & Johnson Baby Prod | |
JPS57209054A (en) * | 1981-06-18 | 1982-12-22 | Lion Corp | Absorbable article |
NZ201073A (en) * | 1981-07-10 | 1985-12-13 | Chicopee | An absorbent thermal bonded nonwoven fabric and its use in a catamenial device |
US4530353A (en) * | 1982-11-12 | 1985-07-23 | Johnson & Johnson Products, Inc. | Unitary adhesive bandage |
JPS6023154U (ja) * | 1983-07-22 | 1985-02-16 | 日本電気株式会社 | 自動給紙装置 |
NZ212999A (en) * | 1984-08-16 | 1987-05-29 | Chicopee | Entangled non woven fabric; fusible fibres at one surface thermobonded to base fibres |
JP2590058B2 (ja) * | 1985-07-19 | 1997-03-12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
1986
- 1986-12-10 JP JP61294425A patent/JPH0712371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7
- 1987-11-06 EP EP87116382A patent/EP0270846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7-11-06 DE DE8787116382T patent/DE3775186D1/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7-11-06 ES ES198787116382T patent/ES2027680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7-11-11 PH PH36057A patent/PH25168A/en unknown
- 1987-11-14 KR KR1019870012832A patent/KR91000592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7-12-05 MY MYPI87003155A patent/MY102503A/en unknown
- 1987-12-09 CN CN198787107331A patent/CN87107331A/zh active Pending
- 1987-12-09 CA CA000553872A patent/CA1307923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2
- 1992-12-01 SG SG1224/92A patent/SG122492G/en unknown
-
1993
- 1993-03-04 HK HK167/93A patent/HK16793A/xx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S63147460A (ja) | 1988-06-20 |
CA1307923C (en) | 1992-09-29 |
KR880007054A (ko) | 1988-08-26 |
CN87107331A (zh) | 1988-07-20 |
JPH0712371B2 (ja) | 1995-02-15 |
SG122492G (en) | 1993-02-19 |
HK16793A (en) | 1993-03-12 |
EP0270846B1 (en) | 1991-12-11 |
MY102503A (en) | 1992-06-30 |
PH25168A (en) | 1991-03-27 |
ES2027680T3 (es) | 1992-06-16 |
DE3775186D1 (de) | 1992-01-23 |
EP0270846A1 (en) | 1988-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MX2010007861A (es) | Piezas laminadas unidas por extrusion para articulos absorbentes. | |
JPS62275458A (ja) | 吸収性物品 | |
MXPA02006534A (es) | Telas no tejidas termoplasticas biodegradables para manejo de fluido. | |
EP0908549B1 (en) | Nonwoven fabric of long fibers and absorbent article made therefrom | |
WO1997015262A1 (fr) | Article absorbant | |
US20050136224A1 (en) | Ultrasonic bonding and embossing of an absorbent product | |
MXPA01010254A (es) | Panos limpiadores microcrepados. | |
JPH07292551A (ja) | 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吸収性物品 | |
WO1998022643A1 (en) | A non-woven fabric comprising filaments and an absorbent article using the same | |
KR910005921B1 (ko) | 흡수성 물품 | |
US5318552A (en) | Absorbent article having an improved non-woven fabric layer | |
JP4103269B2 (ja) | 延伸不織布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 |
ZA200205227B (en) | Biodegradable nonwoven webs for fluid management. | |
JP3949172B2 (ja) | 長繊維不織布と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 |
JPH04146300A (ja) | 積層紙 | |
JP2647858B2 (ja) | 吸収性物品 | |
JP3774105B2 (ja) | 包装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包装袋 | |
JP3821256B2 (ja) | 長繊維不織布、そ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 | |
JP3697801B2 (ja) | 長繊維不織布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 |
JP4665364B2 (ja) | 熱融着性複合繊維及びこれを用いた繊維成形体、繊維製品 | |
JP2837419B2 (ja) | 不織布及び吸収性物品 | |
JP4026241B2 (ja) | 熱融着性複合繊維、不織布及びその不織布を用いた吸収性物品 | |
JPH10212651A (ja) | 長繊維不織布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 |
JPH0441762A (ja) | 嵩高不織布及びその製造法 | |
JPH10168729A (ja) | 長繊維不織布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