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426B1 - 압축 공기 압력원 - Google Patents
압축 공기 압력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00006426B1 KR900006426B1 KR1019880013211A KR880013211A KR900006426B1 KR 900006426 B1 KR900006426 B1 KR 900006426B1 KR 1019880013211 A KR1019880013211 A KR 1019880013211A KR 880013211 A KR880013211 A KR 880013211A KR 900006426 B1 KR900006426 B1 KR 9000064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ressed air
- oil separator
- air
- pressure
- o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Gases (AREA)
- Compressor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구성도.
제2도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오일 분리기의 종단면도.
제3도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건조기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 압축 장치 2 : 오일 분리기
6 : 건조기 3,9 : 관로
8 : 저장조 10 : 거버너 장치
32 : 드레인 밸브 67 : 흡착제
78 : 역지 밸브
본 발명은 예를들어 차량등의 에어 브레이크용의 압축 공기 압력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압축 공기 압력원으로서는 종래 일본국 실개소 57-9320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여기에 나타나 있는 압축 공기 압력원은 공기 압축 장치로부터 토출되는 압축 공기중의 수분을 재생 가능한 흡착제를 통과시켜서 제거하는 건조기와, 건조된 압축 공기를 저장해두는 저장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 건조기는 드레인 밸브를 구비하고 있으며, 저장조내의 압력을 감시하는 거버너 장치로부터 공기 압축 장치로 공급되는 언로드 지령(공기압 신호)을 도입하고, 이 지령에 의해 상기 드레인 밸브를 개방하여, 드레인을 배출함과 동시에 재생용 저장조내의 압축 공기를 역류시켜서 흡착제의 재생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공기 압축 장치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압축 공기는 수분 이외에 유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 유분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건조기에는 오일 필터를 내장시키고 있지만, 내장 오일 필터로서는 유분 제거 효율을 충분히 높이기가 어렵기 때문에, 보다 강력하게 유분의 제거를 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별도로 오일 분리기를 설치하게 된다. ·
그런데, 오일 분리기를 추가하는 경우, 오일 분리기내의 유분 흡착 부재(메쉬재나 펠트재)도 재생할 필요가 있으므로, 건조기와 오일 분리기의 양자에 상기 언로드 지령에 의해 작동하는 드레인 벨브를 설치하게되어, 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하고, 고가로 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건조기와 오일 분리기 양자의 드레인 배출과 재생 동작을 하나의 드레인 밸브의 개방 동작에 의해 가능한 압축 공기 압력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오일 분리기와 건조기의 흡착제 사이 및 상기 오일 분리기와 상기 공기 압축 장치 사이를 서로 연락하는 통로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통로에 소정의 압력차로 상기 흡착제 측으로부터의 공기 이동을 허용하는 역지 밸브를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오일 분리기의 드레인 밸브가 개방하여 그 오일 분리기내의 압력이 저하하면, 역지 밸브가 건조기내의 압력과 통로내의 압력과의 압력차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방되어, 오일 분리기와 건조기의 내부를 대기와 언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공기 압축 장치, 2는 오일 분리기이며, 공기 압축 장치(1)가 토출하는 압축 공기는 관로(3)를 통해 오일 분리기(2)의 입구에 도입된다. 오일 분리기(2)의 출구는 역지 밸브(4)를 갖는 관로(5)에 의해 건조기(6)의 입구에 연락되고, 이 건조기(6)의 출구는 역지 밸브(7)를 거쳐 저장조(8)에 연락되며, 또 건조기(6)의 배기측은 후술하는 역지 밸브와 관로(9)를 통해 관로(3)에 접속되어 있다. 10은 거버너 장치로써, 저장조(8)내의 압력이 상한 압력까지 상승하면 언로드 지령을. 그리고 하한 압력까지 저하하면 로드 지령을 공기 압축 장치(1)에 공급한다. 이 언로드 지령은 또 오일 분리기(2)의 조절 포트에 공급된다.
오일 분리기(2)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대(20)상에 재치 고정된 대경의 통형상 케이싱(21)과, 마찬가지로 기대(20)상에 재치 고정되어 상기 케이싱(21)내에 있으며 이 케이싱(21)과의 사이에 재생용 저장조(22)를 구획하는 통형상 본체(23)를 갖고 있다. 이 본체(23)는 공기 출구(24b)를 갖는 상부 덮개(24)로 덮혀지고, 바닥(25)에 복수의 구멍(25a)를 갖는 통형상체로써, 그 내부에 메쉬 부재(26a)와 펠트 부재(26b)를 다공판(40a,40b,40c,40d)을 거쳐 적충한 유분 흡착부(26)를 수납하고, 기대(20)의 상면에 직립 방향으로 도시하지 않은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기대(20)는 주위면에 개구하며 관로(3)가 접속되는 입구(28)와, 저장조(22)에 연통하고 기대 주위면에 개구하여 관로(5)에 접속되는 출구(29)를 가짐과 동시에, 상면에 개구하는 종방향의 통로(30)를 갖고, 이 통로(30)는 바닥(25)의 복수의 구멍(25a)을 통과하며 본체(23)내에 연통하고 있다. 또, 이 통로(30)에 상기 입구(28)가 측방으로 부터 개구하고 있다. 기대(20)는 하면에 개구하는 오목부(31)를 갖고, 이 오목부(31)내에 드레인 밸브(32)를 갖고 있다. 이 드레인 밸브(32)는 오목부(31)의 상부 바닥과의 사이에 제어실(33)을 구획하는 피스톤(34)을 갖고, 이 피스톤(34)에 통로(30)와 배기구(37)의 연통을 개폐하는 밸브체(35)가 부착되어 있으며, 정상시에는 폐쇄되어 있지만, 제어실(33)에 상기 조절 포트를 통해 언로드 지령이 도입되면, 피스톤(34)이 복귀 스프링(36)에 저항하여 하강하므로서 개방되어, 통로(30)를 배기구(37)에 연통시킨다.
건조기(6)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이 개구하는 통형상 케이싱(60)의 이 개구를 폐쇄하는 기대(61)상에 케이싱(60)보다 소경의 본체(62)를 재치 고정하여 케이싱(60)과 본체(62)사이에 재생용 저장조(63)를 형성하고 있다. 본체(62)는 구멍이 있는 바닥(62A)을 가진 통체로써, 역지 밸브(64a)가 끼여 있고 교축구멍(64b)을 갖는 상부 덮개(65)로 덮혀 있으며, 내부에는 오일 필터(66)와 재생 가능한 흡착제(67), 이 횹착제(67)에 다공 격벽핀(68)을 거쳐 소정의 압압력을 가해주는 스프링(69)을 수납하고, 약간 소경으로 교축된 바닥부를 기대(61)에 형성된 오목부(70)에 끼워맞춰 직립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기대(61)는 주위면에 개구하여 오목부(70)의 바닥측에 연통하는 입구(71), 마찬가지로 주위면에 개구하여 저장조(63)에 연통하는 출구(72)를 가짐과 동시에 오목부(70)의 바닥에 아래로부터 개구하는 배기구멍(73)을 갖고, 이 배기구멍(73)의 대기측 개구에 나사부착되어 이 배기 구멍(73)내에 밸브실(74)을 구획하는 마개 부재(75)의 배기구(75a)에 관로(9)가 접속된다. 상기 밸브실(74)내에는 배기 구멍(73)의 오목부(70)측 개구 주위부에 걸쳐지는 밸브체(76)와 이 밸브체(76)에 아래로 부더 압압력을 가해주는 밸브 스프링(77)으로 이루어진 역지 밸브(78)가 수납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공기 압축 장치(1)가 토출하는 압축 공기는 관로(3)를 통해 오일 분리기(2)의 입구(28)로 부터 통로(30)를 통해 본체(23)내로 들어간다. 이 압축 공기는 또 관로(9)를 경유하여 밸브실(74)로 들어가고, 밸브체(76)에 대해 안착 방향의 압압력을 부여한다. 본체(23)내에 유입한 압축 공기는 본체(23)내를 상승하고, 이 과정에서 유분 흡착부(26)에 의해 유분을 제거하여 저장조(22)내로 유출하며, 이 저장조(22)를 충만한 다음 출구(29)로부터 관로(5)로 흐르며, 역지 밸브(4)를 경유하여 건조기(6)의 입구(71)로부터 이 건조기(6)안으로 유입한다. 유입한 압축 공기는 오목부(70)로부터 본체(62)내로 들어가고, 오일 필터(66)에서 더욱 유분을 제거한 다음, 흡착제(67)의 층속을 상승하며, 이 상승 과정에서 수분이 제거되고, 역지 밸브(64a)를 경유하여 저장조(63)로 유출하여, 이 저장조(63)를 충만한뒤, 출구(72)로부터 역지 밸브(7)를 거쳐 저장조(8)로 유입한다. 건조기(6)안은 유입된 압축공기에 의해 고압(Pb)으로 되고, 이 고압(Rb)이 역지 밸브(78)의 밸브체(76)에 작용하지만, 이 밸브체(76)에는 밸브 스프링(77)측으로부터 압축 공기의 압력(Pa)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개방된 채로 있게 된다. 또한, 밸브 스프링(77)의 스프링력은 Pa=Pb로 한 경우, 오목부(70)에 모인 드레인의 무게에 의해 밸브체(76)가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작은 스프링력으로 충분하다.
저장조(8)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거버너 장치(10)가 상기 언로드 지령을 발생하면, 공기 압축 장치(1)는 압축 공기의 토출을 정지하고, 오일 분리기(2)의 드레인 밸브(32)가 개방된다. 드레인 밸브(32)가 개방하면, 드레인이 배출됨과 동시에 저장조(22)의 압축 공기가 공기 출구(24b)를 통과해 본체(23)내로 역류하고, 유분 흡착 부재(27)에 부착되어 있는 유분을 제거하면서 흘러내려, 배기구(37)로부터 대기중으로 유출된다. 공기 압축 장치(1)가 압축 공기의 토출을 정지하고, 드레인 밸브(32)가 개방하면, 관로(3) 및 관로(9)내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저하하므로, 건조기(6)의 역지 밸브(78)의 밸브체(76)는 본체(62)측으로부터 고압(Pb)을 받고 있지만, 배기 구멍(73)측으로부터 받는 압력(Pa)이 대기압으로 저하하기 때문에, 양자의 차가 밸브 스프링(77)에서 설정한 소정압을 초과하면, 역지 밸브(78)가 개방한다. 역지 밸브(78)가 개방되면, 오목부(70)의 바닥에 모여 있던 드레인이 배출한 다음, 저장조(63)내의 압축 공기가 교축 구멍(64b)을 통해 본체(62)내로 유입하고, 흡착제(67)를 재생하면서 흘러내려 배기구(75a)로부터 관로(9)로 유출하며, 관로(3)를 통과해 오일 분리기(2)의 드레인 밸브(32)를 경유하여, 이 오일 분리기(2)의 배기구(37)로부터 대기중으로 유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압축 장치(1)가 토출하는 압축 공기를 오일 분리기(2)를 통과한 다음, 오일 필터(66)를 내장한 건조기(6)에 공급하므로서, 상기 압축 공기를 직접 건조기(6)에 인도하는 종래의 것에 비해 압축 공기중의 유분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
게다가, 건조기(6)에는 언로드 지령을 받아 개방하는 드레인 밸브는 설치되어 있지만, 오일 분리기(2)의 드레인 밸브(32)가 개방하여 이 오일 분리기(2)내의 압력이 저하하면, 역지 밸브(78)가 본체(62)의 압력과 관로(9)의 압력차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방되어 유분 흡착부(26)의 청정과 흡착제(67)의 재생이 행해지므로, 재생 효율이 저하할 우려가 없고, 저장조(8)에는 항상 유분과 수분이 충분히 제거된 압축 공기를 저장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건조기에는 드레인 밸브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오일 분리기를 단순히 추가하는 경우에 비해 가격을 싸게 할 수가 있으며,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가 있다.
Claims (1)
- 공기의 압축 장치와, 이 공기 압축 장치로부터 토출되는 압축 공기중의 유분을 제거하는 오일 분리기와, 이 오일 분리기로부터의 압축 공기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재생 가능한 흡착제를 수용한 건조기와, 이 건조기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저장하는 저장조와, 이 저장조내의 압력이 제1소정치에 도달하면 공기 압축 장치에 언로드 지령을 부여하고 제1소정치보다 낮은 제2소정치에 도달하면 로드 지령을 부여하는 거버니 장치와, 상기 오일 분리기와 공기 압축 장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거버너 장치의 언로드 지령에 따라 상기오일 분리기의 공기 압축 장치측을 외기에 연락하는 드레인 밸브를 갖는 압축 공기 압력원에 있어서, 상기오일 분리기와 상기 흡착제 사이 및 상기 오일 분리기와 상기 공기 압축 장치 사이를 서로 연락하는 통로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통로에 소정의 압력차로 상기 흡착제측으로부터의 공기 이동을 허용하는 역지 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압력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988007620U JPH0647548Y2 (ja) | 1988-01-26 | 1988-01-26 | 圧縮空気圧力源 |
JP63-7620 | 1988-01-26 | ||
JP?7620 | 1988-01-2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11622A KR890011622A (ko) | 1989-08-21 |
KR900006426B1 true KR900006426B1 (ko) | 1990-08-31 |
Family
ID=31212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80013211A KR900006426B1 (ko) | 1988-01-26 | 1988-10-10 | 압축 공기 압력원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H0647548Y2 (ko) |
KR (1) | KR90000642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821604B1 (en) | 2012-02-27 | 2022-01-12 | Nabtesco Automotive Corporation | Oil separator |
CN104350247B (zh) | 2012-02-27 | 2017-12-15 | 纳薄特斯克汽车零部件有限公司 | 油分离器 |
CN106150978B (zh) | 2012-02-27 | 2020-02-28 | 纳博特斯克汽车零部件有限公司 | 分油器 |
EP2848296B1 (en) | 2012-05-10 | 2019-07-03 | Nabtesco Automotive Corporation | Air dryer with oil separator |
WO2014006928A1 (ja) * | 2012-07-02 | 2014-01-09 | ナブテスコオートモーティブ 株式会社 | オイルセパレータ |
JP6247278B2 (ja) * | 2013-02-26 | 2017-12-13 | ナブテスコオートモーティブ株式会社 | オイルセパレータ及びエア系統 |
JP6441392B2 (ja) * | 2017-02-15 | 2018-12-19 | ナブテスコオートモーティブ株式会社 | オイルセパレータ、圧縮空気供給装置、及び車両 |
-
1988
- 1988-01-26 JP JP1988007620U patent/JPH0647548Y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8-10-10 KR KR1019880013211A patent/KR90000642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01114025U (ko) | 1989-08-01 |
JPH0647548Y2 (ja) | 1994-12-07 |
KR890011622A (ko) | 1989-08-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029486A (en) | Pneumatic compactor for particulate desiccant | |
WO2014061582A1 (ja) | 圧縮空気乾燥装置 | |
KR880009683A (ko) | 압축 공기 압력원 시스템 | |
KR900006426B1 (ko) | 압축 공기 압력원 | |
JPH0646496Y2 (ja) | 圧縮空気源装置 | |
JP2670856B2 (ja) | 圧縮空気乾燥装置 | |
JPH0639782Y2 (ja) | 圧縮空気圧力源装置 | |
JPS64991Y2 (ko) | ||
JPH0575448B2 (ko) | ||
JPH0640943B2 (ja) | 圧縮空気源装置 | |
JP6144154B2 (ja) | 圧縮空気乾燥装置 | |
KR900006425B1 (ko) | 압축 공기 건조 장치 | |
JPS6025527A (ja) | 圧縮空気の乾燥装置 | |
JPS6094116A (ja) | 圧縮空気乾燥装置 | |
JPS60104786A (ja) | 乾燥装置を備えた圧縮空気源 | |
JP3093311B2 (ja) | 圧縮空気乾燥装置 | |
KR940000928Y1 (ko) | 압축공기 건조장치 | |
JPH067777Y2 (ja) | エアドライヤ装置 | |
JPH0771610B2 (ja) | 圧縮空気源装置 | |
JPH09271627A (ja) | 圧縮空気乾燥装置における排気音の低減方法および圧縮空気乾燥装置 | |
JPS6327771Y2 (ko) | ||
JPS6078617A (ja) | 圧縮空気乾燥装置における再生用圧縮空気の確保方法 | |
JPH0545381Y2 (ko) | ||
JPH0236796B2 (ja) | Kuatsukikyoeadoraiyasochi | |
JPS6344095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80721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