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724B1 - 글래스 섬유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글래스 섬유의 제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90000724B1 KR890000724B1 KR1019810005010A KR810005010A KR890000724B1 KR 890000724 B1 KR890000724 B1 KR 890000724B1 KR 1019810005010 A KR1019810005010 A KR 1019810005010A KR 810005010 A KR810005010 A KR 810005010A KR 890000724 B1 KR890000724 B1 KR 8900007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or
- flame
- annular flange
- burner
- glas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4—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using centrifugal force, e.g. spinning through radial orifices; Construction of the spinner cups therefor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4—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using centrifugal force, e.g. spinning through radial orifices; Construction of the spinner cups therefor
- C03B37/048—Means for attenuating the spun fibres, e.g. blowers for spinner c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Treatment Of Glass Fiber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1실시예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요부의 종단면도.
본 발명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글래스 섬유를 제조하는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써, 글래스울을 형성하는 글래스 섬유에 높은 품질을 유지시킴과 함께 열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은 용융글래스를 중공원통상의 회전체 즉 로오터어의 주벽부에 뚫어진 다수의 세공에서 원심력에 의하여 사상기 주벽부의 외표면까지 토출시켜 상기 주벽부의 외표면에서 상기 세공의 개구면적에 상당하는 작은 원을 저면으로 한 용융 글래스에서 소(小)원추체를 형성하고, 상기 소원추체의 정점의 위치에서 1차 필라멘트를 형성하고, 상기 1차 필라멘트를 다시 2차적으로 연신하기 위한 분사화염류를 향하여 원심력으로 진행시켜 상기 분사화염류중에서 2차적으로 연신하여 글래스울의 구성 섬유인 2차 필레멘트로 만든 장치에서 상기 2차적으로 연신하기 위한 분사화염류 중의 상기 소원추를 파괴하지 않을 정도까지 속도가 감소한 외염 부분만 상기 주벽부의 외표면 하부에 접촉시키므로서, 연신 버어너의 기여를 연신 효과에만 한정시키지 않고 로오터어에 필요한 온도의 유지를 위하여서도 활용한 끝에 그것만으로는 아무리하여도 필요한 온도를 유지할 수 없는 개소, 즉 로오터어 상단부만을 필요 최소한의 열량으로 효과적으로 가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과 동시에 상부환상 프렌지의 상면, 또는 상면 및 하면을 접촉 통과하여 적어도 상기 상부환상 프젠지와 상기 로오터어 주벽부와의 접속위치까지 도달하는 열을 주는 소용량의 버어너를 상기 상부 환상 프젠지 내측에 그 화염의 분사방향이 상기 상부환상 프렌지의 연장면상에서, 상기 상부 환상 프렌지의 면에 평행한 각도로 되도록 배치하므로써 로오터어의 주벽부의 상부와 하부의 온도를 동일하게 함을 목적으로 하는 글래스울 섬유 화장치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원심력을 이용한 글래스울을 제조하는 장치는 용융 글래스를 매분 3000회전에 달하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로오터어의 주벽부 내면에 도입하여 로오터어의 주벽부에 다수 뚫어져 있는 세공에서 토출시켜 2차적으로 연신하기 위한 분사수단으로 글래스울을 구성하는 글래스 섬유로부터 2차 필라멘트로 변환시킨다.
이런 종류의 장치에서는 로오터어의 주벽부에 있는 다수의 가는 구멍을 통과하여 주벽부의 외면에 나온 용융글래스는 외주면에서 세공의 개구면적에 상당하는 소원을 저면으로 한 소원추체를 형성하고, 소원추체의 정점 위치에서 1차 필라멘트를 형성하고, 추가로 2차적으로 연신되어, 2차 필라멘트로 되기 위한 분사화염류로 향하여 진행하는 것이 관찰된다. 그리고 2차 필라멘트를 형성하기 위하여서는, 상기 소원추체의 정점과 소원주체의 저면간에는 2차적 연신을 일으킬 정도의 고속도의 분류(분사화염류 또는 분사기류)가 있어서는 안된다.
이 소원추체의 정점과 소원추체의 저면간에 2차적 연신을 일으킬 정도의 고속도 분사화염류 또는 분사기류가 있는 경우 소원추체가 파괴되여서 1차 필라멘트의 형성이 안된다.
더우기 이런 종류의 장치에서는 로오터어의 주벽부에 있는 다수의 세공을 통과하는 용융 글래스의 유량은 온도가 높고 따라서 점성이 낮으면 많고, 그 온도가 낮고, 따라서 점성이 크면 적어진다.
용융 글래스의 온도가 더욱더 낮아지고, 따라서 점성이 매우 커지고, 로오터어의 주벽주의 가는 구멍을 통과할 수 없게 되는 경우에 공급되는 용융 글래스는 로어터에서 넘쳐나와 버릴 수 있으므로 목적하는 섬유화가 이루어질 수 없다.
용융 글래스의 점성은 온도에 의하여 크게 영향받는 것이므로 로어터의 주벽부의 가는 구멍을 통과하는 이 용융 글래스의 온도를 정하여진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주벽부의 세공에서 토출하는 용융글래스의 양 및 1차 필라멘트의 직경을 일정하게 하며, 또한 1차 필라멘트를 분사화염류에 의하여 2차적으로 연신하여 얻어지는 글래스울을 구성하는 글래스 섬유인 2차 필라멘트의 직경의 흩어지는 폭을 적게하여 양질의 글래스울을 얻는 데에 중요한 원인이된다.
그런데, 로오터어의 주벽부의 세공을 통과하는 용융글래스의 온도는 로오터어의 온도에 영향을 받아 세공부근의 로오터어 부분의 온도가 높으면 그 세공을 통과하는 용융 글래스의 온도도 높아지고, 세공 부근의 로오터어 부분의 온도가 낮으면 그 세공을 통과하는 용융 글래스의 온도도 낮아진다.
한편, 1차 필라멘트를 2차적으로 연신하는 수단은 일반적으로 고속도기체 분사류이므로 이에 의한 흡인효과 때문에 로오터어의 주위에는 제1도중 화살표(A)로 표시한 바와 같이, 환상의 2차적 연신부재(B)의 환상 내측(C)를 통하여 공기가 흡인되어 통과하고 있고, 이 통과하는 공기류가, 로오터어의 주벽부의 세공에서 토출되어오는 용융 글래스를 소원추를 거쳐 1차 필라멘트로 변환시키는데 작용하고 있다. 흡인되어 나오는 공기류는 동시에 로오터의 외주 표면에서 열을 빼앗아가고, 가는 구멍을 통과하는 용액 글래스의 유출을 곤난케 하는 원인도 된다.
따라서, 어떠한 수단으로 로오터어를 일정한 고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원심력을 이용하여 글래스 섬유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하므로 지금까지 로오터어를 가열하기 위한 수단이 수없이 제한되어 왔다. 이들의 대표적인 한가지 수단으로서 2차 연신용 분류장치를 준비하고 거기에 또 로오터어를 외측상부에서 로오터어 가열용의 버어너어로 가열하는 것을 들 수 있으나 이 장치는 로오터어의 외축에서 로오터어의 상단부를 포함한 로오터어 외주벽 전체에 대하여 화염을 접촉시키므로 상기 기술한 1차 필라멘트를 형성하기 위한 소원추체를 파괴시키지 않기 위하여는 로어터어 외측상부에 있는 로오터어 가열을 버어너어에서의 화염속도는 2차 연신시킬 정도의 속도가 있으면 안되고, 예를 들어 복사버너어(radiation burner)와 같은 가열전용 버어너가 필요하다.
따라서, 1차 필라멘트를 2차 연신시키기 위한 연신용 분류(실제로는 고압 고온증기)장치를 따로 설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전체로서의 글래스울이 방사장치는 복잡함 것으로 되고, 더우기 고압 고온증기 발생장치도 필요로 하고 전체적으로 열을 유효하게 이용한다는 견지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로오터어를 가열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는 로오터어를 그 외측에 있는 고주파 선륜에 의한 유도전류에 의하여 가열하는 수단이 있으나 이수단은 가열에 필요한 대용량의 고주파 발생장치가 필요할 뿐아니라 고주파 선륜을 장치한 글래스울 섬유화 장치 부근은 전자기적으로 차폐하여 위험을 방지할 필요가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글래스울 섬유화장치는 복잡하여질 뿐만 아니라 조업상에서도 불편한 점이 많다는 등의 결점이 있다. 로오터어를 가열하기 위한 또다른 수단은 로어터어를 내측에서 버어너로 가열하는 수단을 들 수 있으나, 종래의 여하한 수단도 본 발명이 이하에 개시하는 바와 같이 로오터어 상단부에 있는 상부 환상 프렌지의 상면 또는 상면 및 하면을 화염이 접촉통과하여 적어도 상기 환상 프렌지와 로오터어의 주벽부와의 접촉 위치까지 도달하는 열을 공급해주는 버어너를 상기 상부 황산프렌지의 내측에서 그 화염 분사방향을 상기 상부화상 프렌지의 연장면 상에서 이 프렌지의 면과 평행한 각도로 되도록 배치한 예는 없다.
로오터어를 그 내측에서 버어너어로 가열하는 종래의 수단은 로오터어의 주벽부 및 로오터어의 저부에만 내측에서의 화염을 접촉시키는 것으로 상부환상 프렌지와 주벽부의 접촉위치까지 화염을 직접 접촉시킨 것은 없다.
로오터어를 그 내측에서 버어너어로 가열하는 종래의 수단은 2차 연신용의 분사류가 화염인 경우에도 그 연신용 화염에 의한 로오터어의 주에서의 가열은 의도치 않고 상기 기술한 용융 글래스의 소원추체를 파괴하는 일이 없이, 1차 필라멘트의 형성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2차 연신용 버어너어는 분사류가 로오터어에 접촉하는 위치를 유지하고 있고, 이 2차 연신용 분사류가 가져다주는 전기흡인 효과에 의하여 발생하는 공기류의 로오터어의 외주연의 냉각에 대한 보장은 로오터어에서의 방열이 심한 로오터어 저부에서 로오터어 주벽부에 걸쳐 로오터어의 내측에서 다량의 화염을 접촉시킴으로서 행하여져 있고 상방이 버어너어 부분에 의하여 닫혀져있기 때문에 방열이 그토록 심하지 않은 로오터어의 상단부로의 열의 공급은 로오터어 내측에 있어서 로오터어 저부에서 로오터어 주벽부 하단부에 주는 다량의 화염이 로오터어 저부에 접촉하고서 말아올리는 것처럼 아래에서 위로 향하여 그 화염의 선관이 로오터어 상단에 있는 상부 프렌지의 내축에 접함으로서 주는 열이 상부 프렌지를 통하여 상부 프렌지와 로오터어 주벽부의 접촉위치(가장 승온하기 어려운 위치)까지 전도하여지는 것과 로오터어 내측에서 전기다량의 화염에 의하여 로오터어 주벽부에 다량으로 공급된 열의 일부가 로오터어 주벽부를 전도하여 로오터어 주벽부와 상부 프렌지의 전기 접속위치에까지 도달하는 것에 의하여 로오터어 상단부에 필요한 온도를 공급해준다.
따라서 로오터어 내측에서 버어너어로 가열하는 종래의 수단은 필연적으로 다량의 연료 가스를 내측에 있는 버어너어에 공급하기 위한 필요성으로 인하여, 로오터어 내측의 좁은 공간에 다량의 가스를 공급하기위한 특별한 연구를 요할정도였다. 이상 열거한 세가지 수단을 어느것도 용융글래스를 로오터어에서 토출한후에, 1차 필라멘트를 2차적으로 연신하는 수단을 위한 분사류 열원과는 따로, 추가로 로오터어를 가열하기 위한 열원으로서 대용량을 필요로함으로, 에너지 절약의 필요성이 강하게 요청되는 현시점에서는 적합치 못한 것으로 되어왔다.
연료의 절약에 주안을 두고, 더우기 글래스울의 높은 품질 유지를 폭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2차적 연신을 제일의 목적으로 하여 아래로 향하여 분사하는 화염의 확대한 외염부 즉 속도가 감쇄되어 있는 것의 온도는 높은 외염부를 로오터어의 가장 열방산이 많은 하단부에 접촉시켜 로오터어 하부에 필요한 온도를 유지함과 함께 로오터어의 주벽부를 구성하는 금속을 아래서 위로 향하여 전도되는 열량만으로는, 로오터어상부에 필요한 온도를 유지하는데 부족한 열량을 보충하기 위한 최소 필요한도의 가열을 로오터어 내측 상단 부근의 특정 위치에 배치한 버어너어에 의하여 일정한 조건으로 부여하도록 한 것이며, 1차 필라멘트 형성에 악영향을 주지않는 범위에서 2차적 연신을 주목적으로 하는 분사화염류를 로오터어의 온도유지에도 극력 활용하여 로오터어 균일 온도유지를 위한 보조 가열수단은 최소의 열량으로 족하게 한 것이다.
이하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그 구성을 설명한다. 제1도, 제2도에서, 회전축 (1)의 하단에 로오터어로 명칭되는 중공원 통상의 회전체(2)가 고착되어 있고, 이 회전체(3)과 용융글래스 토출용의 다수의 세공(4)를 뚫어서 마련되어 있는 주벽부(5)와 주벽부(5)의 상단 내측에 형성된 상부환상 프렌지(6)와로 구성되어 있고, 이 회전체(2)를 둘러싸고 연신 버어너어(7)이 배설되어 있고, 연신 버어너어(7)의 환상내측(8)내에 전기회전축(1)이 배치되어, 용융글래스(9)는 노즐(10)에서 이 환상내측(8)을 통하여 회전체(9)내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기연신 버어너어는 노즐(11)에서 고속의 내염(12)와 비교적 저속의 외염(13)과에서 이루어지는 분사화염류(14)를 분사하는 것이다. 상술한 분사 화염류(1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중공원통상의 회전축(2)의 주벽부(5)의 가는구멍(4)군에서 노출된 글래스 소원추체의 전단에 형성된 1차 필라멘트를 2차 필라멘트로 세섬화하는 것이며, 내염(12)는 이 2차 필라멘트에 세섬화할 수 있는 속도를 가지나 외염(13)부분은 전기 1차 필라멘트에 이어지는 글래스 소원추체를 파괴하지 못할 정도로 그 속도가 감소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기분사 화염류(14)중의 외염(13)부분만이 회전체(2)의 주벽부(5)의 외표면 하부에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전기연신 버어너어(7)의 노즐(11)의 위치가 선정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회전체(2)의 상부환상 프렌지(6)의 내측에 가열 버어너어(15)가 부설되어 있고, 이 가열 버어너어는 화염(16)의 분사방향이 상부환상 프렌지(6)의 연장면상에서 이 프렌지(6)의 면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되어있고, 그 가열도는 화염(16)이 상부환상프렌지(6)의 상면 또는 상면 및 하면에 접촉통과하는 것에 의하여 열이 적어도 상부환상프렌지(6)과 주벽부(5)와의 접속위치(17)에 도달하는 정도로 되어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장치는 상술의 구성이며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글래스 용융로(도시치 않음)에서 유량이 일정하게 제어되어서 노즐(10)에서 흘러내리는 용융글래스(9)는 회전축(1)을 통하여 회전하는 로오터어인 회전체(2)의 저부(3)에 도달하면 즉시 원심력에 의하여 주벽부(5)의 내측에 분배되어서, 더우기 원심력에 의하여 세공 (4)를 통과하여 주벽부(5)의 외측에 토출되어 이 외측 주벽면에서 각각의 가는 구멍 (4)의 개구면적에 상당하는 소원을 저면으로한 용융글래스의 소원추체를 형성하고, 소원추체의 정점위치에서 1차 필라멘트로 된후 연신 버어너어(7)의 노즐(11)에서 분사하는 분사화 염류의 연신능력을 갖는 내염(12)의 곳까지 보내져서 2차적으로 연신되어 2차 필라멘트로 된다. 이 2차 필라멘트가 글래스울을 구성하는 글래스 섬유이다.
그런데 연신버어너어(7)은 1차 필라멘트를 연신하여 2차 필라멘트인 글래스 섬유로 하는 것이 목적이며 그 화염분사가 속도가 클 필요가 있다. 거기서 연신버어너어 (7)의 노즐(11)에서 분사하는 환상의 분사화염류(14)와주벽부(5)의 외표면과 위치관계가 문제된다.
여기서 연신 버어너어(7)의 노즐(11)에서 분사하는 분사화염류(14)에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 요건의 하나인 소원추체를 파괴치 않을 정도로 속도가 감소한 외염(13)부분만을 주벽부(5)의 외표면 하부에 접촉시킨다는 관계에서 벗어난 경우에 대하여 검토한다. 최초의 주벽부(5)의 외표면이 그 상하공히 완전힌 분사화염류(14)에서 1차 필라멘트를 연신하여 2차 필라멘트로 하는데 족할 충분한 속도를 갖는 내염(12)부분중에 있을 경우에 대하여 말한다면, 세공(4)에서 원심력으로 주벽부(5)의 외면에 토출된 용융글래스는 즉시 2차 연신을 하기 충분한 속도를 갖는 분사화염에 접촉하므로, 소원주체를 형성치 못하고 따라서 1차 필라멘트를 형성치못함으로 세공(4)에서 토출됨과 동시에 주벽부(5)의 외면에 칠하여 붙이는 것처럼 부착되어 계속 토출되어 나오는 용융글래스에 의하여 전기칠하여 붙여진 용융글래스의 두께가 있는 두께로 되면 랜덤한 입상 또는 제오되지 않는 굵기의 섬유상으로 되어 배출 되어짐으로, 정상적 섬유화를 다하지 못한다.
이 사실은 분사화염류(14)가 1차 필라멘트를 연신하여 2차 필라멘트로 되는 정도의 온도와 속도를 갖고 있음으로, 1차 필라멘트를 형성하기 이전에 전기 분사화염류 (14)가 세공(4)에서 토출된 용융글래스를 주벽부(5)의 외주면에서 직격하여 소원추체를 형성하고 나아가서는 1차 필라멘트를 형성하는 공간도 시간도 주지 않는 것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정상적인 섬유화를 행하기 위하여는 1차 필라멘트를 형성하는데 족할만큼의 공간 및 시간을 주지 않으면 안된다.
본 발명에서 분사화염류(14)와 주벽부(5)의 외표면과 위치관계를 한정하는 이유의 하나가 이것이다.
한편, 분사화염류(14)가 1차 필라멘트를 연신하여 2차 필라멘트로 만들기 위하여는 연신 버어너어(7)의 노즐(11)과 회전체(2)에 따라 그 상하 방향의 거리를 되도록 짧게 하고, 분사화염류(14)의 속도가 감소되어 버리지 않는 위치에 두지 않으면 안된다. 분사화염류(14)는 연신 버어너어(7)의 노즐(11)을 나와서 위에서 아래로 향하여 진행함에 따라 폭을 넓히면서 그 속도를 감소하여 간다. 본 발명 장치에서는 주벽부 5의 외표면 하부가 분사화염류(14)의 속도가 감소하여 폭이 넓어진 외염(13)에 접하여도 1차 필라멘트를 형성치 않을 정도의 악영향을 미치는 직격을 주지않은 위치 관계가 취하여져 있다. 즉 주벽부(5)의 외표면 하부가 폭이 넓어진 외염(13)에 접하여도 1차 필라멘트를 형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가능한한 환상을 이루는 분사화염류(14)와 주벽부 (5)의 외측에 나오는 용융글래스는 주벽부(5)의 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세공(4)를 통과중에 열을 잃고 온도가 저하함으로 점성이 증가하여 소정의 섬유형성에는 불충분한 량의 용융글래스만이 세공(4)를 통과 못하던가 또는 전혀 통과못할 경우 조차 있다. 주벽부(5)의 외표면 하부가 분사화염류(14)가 하방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폭이 넓어서 생기는 외염(13)에 접하여도 그의 염(13)의 속도가 감소되어 있고 전기 용융글래스의 소원추체가 1차 필라멘트를 형성할 수 있는 상태라면 되도록 주벽부(5)를 외염(13)에 접촉시켜서 주벽부(5)의 온도를 높게 유지함으로서, 세공(4)를 통과중의 용융글래스의 온도저하를 회로하고 소정의 섬유 형성에 필요한 량의 용융글래스를 세공(4)를 통과시켜서 주벽부(5)의 외측에 토출시켜 1차 필라멘트 형성의 과정을 거쳐 분사화염류(14)중에서 2차적으로 연신하여 글래스울을 구성하는 글래스 섬유인 2차 필라멘트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거기서 연신 버어너어(7)의 노즐(11)에서 분사하는 분사화염류(14)의 거동을 보면 외염(13)과 내염(12)에서 구성되는 분사화염류(14)는 연신 버어너어(7)의 노즐에서 분사한 직후로 회전체(2)의 상단부에 대한 위치에서는 그 속도가 빠르며, 외염 (13)이 아직 너무 발달되어 있지 않고 외염(13)의 폭의 넓이는 너무 크지 않은 상태에 있다.
따라서 회전체의 2의 상단부는 그 하부에 비교하여 외염(13)과의 접촉이 충분치 않음으로 온도를 높히기 힘든 상태에 있다.
한편 회전하는 로오터어인 회전체(2)에 대한 용융글래스(9)의 공급사항을 보면, 회전체 2의 저벽(3)에 도달한 용융글래스는 원심력에 의하여 주벽부(5)의 내측에 분배되는 것이나, 이때 용융글래스는 주벽부(5)의 내측을 아래서 위로 향하여 뛰오르듯 올라간다. 이때 용융글래스를 갖고 있던 열은 저벽(3) 및 주벽부(5)의 아래서부터 차례로 방출됨으로 주벽부(5)의 상부에 도달한 용융글래스는 주벽부(5)의 하부 내면에 있는 용융글래스에 비교하여 그 온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여기에 말한 주벽부(5)의 내축을 아래에서 위로 향하여 떠오를 때에 용융글래스가 방열하는 것에 기인한다. 주벽부 (5)의 상부에 도달한 용융글래스의 온도저하와 전술의 분사화염류(14)의 폭을 넓히는 것이 상부에서는 적은 것에 의하여 외염(13)에 점하기 어려운 것에 기인하는 주벽부 (5) 상부의 온도를 높이기 힘듬이 상승적으로 가산되어 필라멘트는 하부에 있는 세공 (4)를 통과하여 주벽부(5)의 외측으로 나와서 형성되는 1차 필라멘트에 비교하여 가느다란 상태로 나온다. 이 가느다란 1차 필라멘트가 주벽부(5)의 상부에 있는 가는 구멍에서 나와 연신 버어너어(7)의 노즐(11)에서 분사 직후의 속도의 빠른 분사화염류 (14)로 연신되는 것임으로 이리하여 얻어지는 2차 필라멘트의 직경은 주벽부(5)의 하부에 있는 세공(4)에서 나오는 굵은 1차 필라멘트가 연신 버어너어(7)의 노즐(11)에서 분출하고 나서 속도를 감소하면서 하방으로 향한 분사화염류(14)로 연신되어 얻어지는 2차 필라멘트의 직경에 비교하여 매우 가늘어진다. 즉 본 발명의 하나의 구성 요건인 분사 주벽부(5)에서는 상부와 하부에 비교하여 온도를 높일 수가 없다.
이로 인하여 현재 본 발명의 또 하나의 구성 요건인 회전체(2)의 상단부에 대한 효과적인 가열 수단을 만약 사용않기로 한 경우와 거동을 말한다면 주벽부(5)에 뚫어진 다수의 세공(4)중에 상부에 있는 세공(4)를 통과하는 용융글래스는 하부에 있는 세공 (4)를 통과하는 용융글래스에 비교하여 온도가 낮고 점성이 커짐으로 상부에 있는 세공 (4)를 통과할때의 유체저항이 커지고, 따라서 상부에 있는 세공(4)를 통과하는 용융글래스의 량은 하부에 있는 세공(4)를 통과하는 용융글래스의 량에 비하여 적어진다. 따라서 상부에 있는 세공(4)를 통과하여 주벽부(5)의 외측으로 나가서 형성되는 1차 분사화염류(14)와 주벽부(5)의 외표면 하부와의 위치관계를 충족하고 있었다할지라도, 본 발명의 또하나의 구성요건인 회전체의 상단부에 대한 효과적인 가열수단을 만약 사용않는다고 하면 주벽부(5)의 상부에서 나온 2차 필라멘트는 매우 가늘고, 주벽부(5)의 하부에서 나온 2차 필라멘트는 매우 굵어져서 결과로서 이들 2차 필라멘트의 접적물인 글래스울 섬유직경이 흩어지는 폭이 큰 조잡품으로 되어 버리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그 하나의 구성요건인 연신용의 분사화염류와 주벽부의 외표면과의 위치관계를 충족하는 것에 의하여 연신용의 분사화염류에 의한 용융 유리의 소원추의 파괴에 기인하는 1차 필라멘트형성 불능을 회피하면서 진술한 분사화염류의 일부분인 속도가 느리고 온도가 높은 외염(13) 부분을 주벽부(5)의 외표면 하부에 접촉시켜 회전체(2)의 온도 유지에 필요한 영량의 대부분을 주도록 상기 연신용의 분사화염류(14)를 활용하면서 다시 본 발명의 또하나의 구성 요건인 상부 프렌지(6)의 상면 또는 상면 및 하면을 접촉통과하여 적어도 전기 상부환상 프렌지(6)과 주벽부와의 접속위치(17)에 까지 도달할 열을 주는 가열 버어너어(15)를 전기 상부환상프렌지(6)의 내측에서 그 화염의 분사 방향을 전기 상부환상 프렌지(6)의 연장면상에서 전기상부 환상 프렌지(6)의 면에 평행한 각도T(통상 60°내지 90°)로 배치하는 것에 의하며, 주벽부(5)의 상단부를 필요 최소한의 예를 들면 연신 버어너어(7)에 요하는 연료의 약 3내지 40%의 연료로 효과적으로 가열하여 주벽부(5)의 상부와 하부와에 균일하게 온도 유지를 끝내고 글래스울을 구성하는 섬유인 2차 필라멘트의 직경의 균일화를 끝낼 수 있었다. 전술과 같은 조건을 구비한 본 발명에 의하여 일견 매우 단순한 구조의 섬유화 장치이면서 품질좋은 유리울을 소량의 연료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러면서 구조도 소형 간단하게 할 수가 있고 작업성도 양호한 것이다.
Claims (1)
- 기저벽(3), 용융글래스 토출용의 다수의 세공(4)이 천설된 주벽부(5) 및 주벽부(5) 상단 안쪽에 위치하는 상부환상 프렌지(6)를 갖는 중공 원통상의 회전체(2)와, 이 회전체(2)에서 토출된 글래스 소원추체의 선단에 형성된 1차 필라멘트를 2차 필라멘트로 세섬화하는 연신 버어너어(7)의 노즐(11)을 갖춘 원심식 글래스 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신 버어너어(7)의 노즐(11)은 이 노즐에서 분사된 화염류(14)중에서 상기 글래스 소원추체를 파괴치 않을 정도까지 속도가 감소된 외염(13)부분만이 상기 중공원통상 회전체(2)의 주벽부(5)의 외표면 하부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설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중공원통상 회전체(2)의 상부환상 프렌지(6)내측에는 가열 버어너어 (15)가 부설되어 있고, 이 가열 버어너어(15)는 화염의 분사방향이 상부환상 프렌지 (6)의 연장면에서 상부환상 프렌지(6)의 면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되어있으며, 그 가열도합은 화염(16)이 상기 상부환상 프렌지(6)의 상면 또는 상면 및 하면에 접촉 통과하여 열이 적어도 이 환상프렌지(6)와 중공원통상 회전체(2)의 주벽부(5)와의 접속위치 (17)까지 도달할 정도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섬유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80207 | 1980-12-19 | ||
JP55180207A JPS57106532A (en) | 1980-12-19 | 1980-12-19 | Manufacturing apparatus for glass fiber |
JP180207/80 | 1980-12-1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7453A KR830007453A (ko) | 1983-10-21 |
KR890000724B1 true KR890000724B1 (ko) | 1989-03-30 |
Family
ID=16079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10005010A KR890000724B1 (ko) | 1980-12-19 | 1981-12-19 | 글래스 섬유의 제조장치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4392878A (ko) |
EP (1) | EP0054933B1 (ko) |
JP (1) | JPS57106532A (ko) |
KR (1) | KR890000724B1 (ko) |
AT (1) | ATE8380T1 (ko) |
AU (1) | AU528949B2 (ko) |
CA (1) | CA1168451A (ko) |
DE (1) | DE3164779D1 (ko) |
IN (1) | IN154126B (ko) |
IT (1) | IT1172162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68241A (en) * | 1982-09-29 | 1984-08-28 | Breidenthal Jr Robert E | Method and apparatus for fiberizing meltable materials |
JPS59223246A (ja) * | 1983-05-31 | 1984-12-15 | Toyo Ganmen Kogyo Kk | 中空筒状回転体を用いるガラスの繊維化装置 |
JP2796757B2 (ja) * | 1990-09-04 | 1998-09-10 | パラマウント硝子工業株式会社 | ガラス繊維の製造方法及び装置 |
CZ290109B6 (cs) * | 1991-08-02 | 2002-06-12 | Isover Saint-Gobain | Způsob výroby minerální vlny z roztaveného minerálního materiálu a zařízení pro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
CA2175381A1 (en) * | 1993-11-05 | 1995-05-11 | David P. Aschenbeck | Method of making glass fiber insulation product |
US5785996A (en) * | 1996-11-27 | 1998-07-28 | Owens 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 Fiber manufacturing spinner and fiberizer |
KR20060015255A (ko) * | 2003-05-16 | 2006-02-16 | 파라마운트 글래스코교 가부시기가이샤 | 유리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
US8104311B2 (en) * | 2006-05-09 | 2012-01-31 | Johns Manville | Rotary fiberization process for making glass fibers, an insulation mat, and pipe insulation |
WO2008116176A1 (en) * | 2007-03-21 | 2008-09-25 |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 Rotary fiberizer |
CN103910485B (zh) * | 2013-01-09 | 2016-01-13 | 常州金源机械设备有限公司 | 一种玻璃纤维纤化机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303904B (ko) * | 1955-02-28 | |||
US3177058A (en) * | 1956-04-18 | 1965-04-06 | Owens Corning Fiberglass Corp | Apparatus for processing heatsoftenable materials |
FR1229753A (fr) * | 1959-01-27 | 1960-09-09 | Saint Gobain | Perfectionnement à la fabrication de fibres à partir de matières thermoplastiques, notamment de fibres de verre |
US3265477A (en) * | 1963-05-20 | 1966-08-09 | Owens Corning Fiberglass Corp | Apparatus for forming and collecting mineral fibers |
US3395005A (en) * | 1964-12-15 | 1968-07-30 | Johns Manville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heat softenable material |
US3928009A (en) * | 1972-03-02 | 1975-12-23 | Walter Merton Perry | Rotary forming unit for fine mineral fibers |
-
1980
- 1980-12-19 JP JP55180207A patent/JPS57106532A/ja active Granted
-
1981
- 1981-12-11 CA CA000392140A patent/CA1168451A/en not_active Expired
- 1981-12-14 US US06/330,261 patent/US4392878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1-12-17 IT IT49932/81A patent/IT1172162B/it active
- 1981-12-18 AT AT81110590T patent/ATE8380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1-12-18 DE DE8181110590T patent/DE3164779D1/de not_active Expired
- 1981-12-18 AU AU78667/81A patent/AU528949B2/en not_active Ceased
- 1981-12-18 EP EP81110590A patent/EP0054933B1/en not_active Expired
- 1981-12-19 KR KR1019810005010A patent/KR89000072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1-12-19 IN IN1433/CAL/81A patent/IN154126B/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U7866781A (en) | 1982-06-24 |
EP0054933B1 (en) | 1984-07-11 |
IN154126B (ko) | 1984-09-22 |
EP0054933A1 (en) | 1982-06-30 |
DE3164779D1 (en) | 1984-08-16 |
CA1168451A (en) | 1984-06-05 |
ATE8380T1 (de) | 1984-07-15 |
KR830007453A (ko) | 1983-10-21 |
IT1172162B (it) | 1987-06-18 |
AU528949B2 (en) | 1983-05-19 |
JPS57106532A (en) | 1982-07-02 |
IT8149932A0 (it) | 1981-12-17 |
US4392878A (en) | 1983-07-12 |
JPS621335B2 (ko) | 1987-01-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116656A (en) | Method of manufacturing fibers of inorganic material and apparatus for same | |
US4033742A (en) | Method for producing glass fibers | |
KR890000724B1 (ko) | 글래스 섬유의 제조장치 | |
FI104321B (fi) | Menetelmä mineraalivillan valmistamista varten ja niiden mukaisesti valmistettu mineraalivilla | |
FI79690B (fi) | Foer foerframstaellning av fibrer avsedd braennare inne i vilken foerbraenningen sker. | |
KR900004380B1 (ko) | 유리섬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 |
JP4008495B2 (ja) | 鉱質ウール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 | |
JP4188614B2 (ja) | ガラス繊維製造方法および同製造装置 | |
JP4895149B2 (ja) | ガラス繊維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 |
KR20060015255A (ko) | 유리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 |
JPS6086051A (ja) | 繊維の製造方法 | |
JP2796757B2 (ja) | ガラス繊維の製造方法及び装置 | |
US3649233A (en) |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glass or other fibers from thermoplastic materials | |
JPS6320774B2 (ko) | ||
JPS59223246A (ja) | 中空筒状回転体を用いるガラスの繊維化装置 | |
CN114988694A (zh) | 一种用于玻璃纤维棉生产的离心机 | |
SU1335538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лучени волокна из расплава | |
JPH0477328A (ja) | ガラス繊維の製造方法 | |
US3192024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glass fibers | |
US2387118A (en) | Atomizing apparatus | |
JPS5846458B2 (ja) | 熱軟化性物質の繊維の製造装置 | |
JPS62252336A (ja) | 繊維の製造方法及び装置 | |
JPS62275037A (ja) | 繊維の製造方法 | |
JP2990632B2 (ja) | 無機短繊維の製造方法及び無機短繊維製造装置 | |
CA109911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glass fib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10321 Year of fee payment: 13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