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779B1 - 동시 압출 장치 - Google Patents
동시 압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80001779B1 KR880001779B1 KR1019810003973A KR810003973A KR880001779B1 KR 880001779 B1 KR880001779 B1 KR 880001779B1 KR 1019810003973 A KR1019810003973 A KR 1019810003973A KR 810003973 A KR810003973 A KR 810003973A KR 880001779 B1 KR880001779 B1 KR 8800017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veying
- outlet
- inlet
- transfer
- blo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5—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 B29C48/307—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together components, e.g. melts within the di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49—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two or more extruders to feed one die or nozzle
- B29C48/495—Feedblo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2—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with means connecting the layers, e.g. tie layers or underc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30)
- 통상의 압출기와 압출 다이와 함께 사용되어 적어도 두 물질로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는 동시 압출 장치에 있어서, 개개의 이송물질들이 그곳을 통과하는 각 흐름들로 향하게 되는 다수의 압출 이송 물질을 수용하는 매니폴드와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상기 이송 물질 흐름들을 수용하고 그곳을 통과하는 동안 각각을 독립적으로 유지하는 이송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이송블록은 제 1 및 제 2 면, 공급물질의 상기 흐름들의 수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면내의 입구, 각각의 독립적인 흐름의 표면적을 감소시키고 각각의 흐름을 적어도 하나의 독립적인 형상으로 유도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면들 사이에서 상기 이송블록을 통하과하는 채널, 상기 채널의 수에 대응하고 유도하는 각각의 이송 물질 흐름에 대한 제 1 형상을 성형하는 상기 제 2 면의 출구, 및 상기 이송블록으로부터 상기 제 1 형상을 수용하는 어댑터를 가지며, 상기 어댑터는 제 1 및 제 2 면, 상기 제 1 형상을 수용하는 상기 제 1 면의 입구, 압출 다이의 입구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면의 출구, 및 상기 제 1 형상이 서로 접촉하게 되고 접촉하는 상기 제 1 형상의 전체 외형이 압출 다이에 의해 수용될 수 있게된 상기 입구 및 출구사이의 변화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압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이 상기 입구와 연통되는 변화영역과 상기 변화영역으로부터 상기 이송 물질을 수용하며 상기 출구와 연통되는 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압출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영역을 형성하는 벽이 유선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있는 이송 물질의 상기 흐름의 단면적을 상기 이송블록에 의해 형성된 상기 출구의 단면적이 될때까지 감소시키도록 형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압출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를 형성하는 벽이 유선형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 물질의 상기 흐름의 형상을 상기 이송블록에 의해 형성된 상기 출구의 형상으로 변형시키도록 형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압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가 상기 이송블록의 후면까지 연장하여 그곳을 통과하는 이송 물질들의 상기 흐름을 인접한 층들로부터 서로 분리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압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흐름내에서 제 1 이송 물질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매니폴드가 제 1 출구를 가지며, 상기 이송블록의 제 1 입구를 가지며, 제 2 흐름내에서 제 2 송 물질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매니폴드가 제 2 출구를 가지며 상기 이송블록이 제 2 입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압출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상기 매니폴드와 상기 이송블록 사이에 전환판이 설치되어, 전환판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 제 2 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상기 제 1 , 제 2 이송 물질을 수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 제 2 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 제 2 물질 흐름을 상기 이송블록의 제 1 , 제 2 입구로 이송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채널이 형성되어 사익 제 1 이송 물질 흐르을 상기 이송블록의 상기 제 2 입구로 이송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제 2 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이송 물질 흐름을 상기 이송블록의 상기 제 1 입구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동시 압출 장치.
- 통상의 압출기와 압출 다이와 함께 사용되어 적어도 다른 두물질로부터 층으로 된 제품을 형성시키는 동시 압출 장치에 있어서, 각 이송 물질들이 그곳을 통과하는 톡립적인 흐름속으로 향하게 되는 다수의 압출 이송 물질을 수용하는 매니폴드 수단과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다수의 상기 이송 물질들을 수용하고 그곳을 통과하는 동안 각각을 독립적으로 유지시키는 이송블록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이송블록에는 제 1 , 제 2 면이 제공되어, 제 1 면에는 상기 이송 물질의 상기 흐름들의 수와 동일한 갯수의 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흐름의 다년적을 감소시켜 각 흐름을 적어도 하나의 독립적인 형상으로 하는 상기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에서 상기 이송블록을 통과하는 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채널들중 적어도 한 채널에 휜을 제공하여 상기 분리된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이송 물질을 두개로 분할시키며, 상기 제 2 면에 출구를 상기 채널로부터 압출되는 상기 분리된 형상의 이송 물질들의 수와 동일한 갯수로 형성시켜 각각의 상기 분리된 이송 물질들에 대한 제 1 형상을 성형시키며, 상기 이송블록으로 부터 상기 제 1 형상의 이송 물질들을 수용하는 어댑터가 제공되며, 상기 어댑터에는 제 1 , 제 2 면이 제공되어, 상기 제 1 면에는 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형상의 이송 물질을 수용하며, 상기 제 2 면에는 압출 다이의 입구와 일치하는 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에는 변화영역이 형성되어, 변화영역에서 상기 제 1 형상의 이송물질들이 서로 접촉하게 되며, 그렇게 접촉된 제 1 형상의 이송 물질의 전체 형상이 압출 다이에 의해 수용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동시 압출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이 상기 입구와 연통되는 변화영역과 상기 변화 영역으로부터 상기 이송물질을 수용하며 상기 출구와 연통되는 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압출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영역을 형성하는 벽이 유선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있는 이송 물질의 단면적을 상기 이송블록에 형성된 상기 출구의 단면적이 감소시키도록 형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압출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를 형성하는 벽이 유선형으로 되어 있으며, 이송 물질의 상기 흐름의 형상을 상기 이송블록에 형성된 상기 출구의 형상으로 변형시키도록 형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압출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휜장치가 상기 랜드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압출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가 상기 이송블록의 후면에 형성되어 이송 물질들을 인접한 층들로부터 서로 분리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압출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흐름에서 제 1 이송 물질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매니폴드가 제 1 출구를 가지며, 상기 이송블록이 제 1 입구를 가지며, 제 2 흐름에서 제 2 이송 물질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매니폴드가 제 2 출구를 가지며 상기 이송블록이 제 2 입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압출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상기 매니폴드와 상기 이송블록 사이에 전환판이 설치되어, 전환판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 제 2 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상기 제 1 , 제 2 물질 흐름을 수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 제 2 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상기 제 1 , 제 2 물질 흐름을 수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 제 2 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 제 2 이송 물질 흐름을 상기 이송블록으로 이송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이송 물질 흐름을 상기 이송블록의 상기 제 2 입구로 이송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제 2 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이송 물질 흐름을 상기 이송블록의 상기 제 1 입구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압출 장치.
- 적어도 다른 두 물질로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이송 물질을 공급하는 다수의 압출기와 압출다이가 조합되고, 각각의 이송 물질이 그곳을 통과하는 독립적인 흐름속으로 향하게 되는 상기 압출기로부터 상기 이송 물질을 수용하는 매니폴드와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상기 이송 물질의 흐름들을 수용하고 그곳을 통과하는 동안 각각을 독립적으로 유지시키는 이송블록이 제공되며, 상기 이송블록에는 제 1 면과 제 2 면이 제공되며 제 1 면에는 입구가 상기 이송 물질의 흐름들의 수와 동일한 갯수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독립적인 흐름의 단면적을 감소시키고 각 흐름을 적어도 하나의 독립적인 형상으로 만드는 상기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의 상기 이송블록을 통과하는 채널을 가지며, 상기 제 2 면상에는 출구가 상기 이송블록으로부터 상기 제 1 형상의 이송 물질들을 수용하는 어댑터가 제공되며, 상기 어댑터에는 제 1, 제 2 면이 제공되며, 상기 제 1 면에는 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혀앙의 이송 물질을 수용하며, 상기 제 2 면에는 압출 다이의 입구와 일치하는 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에는 변화영역이 형성되어, 변화영역에서 상기 제 1 형상의 이송 물질들이 서로 접촉하게 되며, 그렇게 접촉된 제 1 형상의 이송 물질의 전체형상이 압출 다이에 의해 수용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다른 두 물질로부터 층으로 된 제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이 상기 입구와 연통되는 변화영역과 상기변화영역으로부터 상기 이송 물질을 수용하며, 상기 출구와 연통되는 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다른 두 물질로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 위한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영역을 형성하는 벽이 유선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내부에 있는 이송 물질의 흐름의 단면적을 상기 이송블록에 형성된 상기 출구의 단면적이 될때까지 감소시키도록 형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다른 두 물질로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를 형성하는 출구의 형상으로 변형시키도록 형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다른 두 물질로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제품.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가 상기 이송블록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 물질들의 흐름을 인접한 층들로부터 서로 분리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다른 두 물질로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제 1 흐름에서 제 1 이송 물질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매니폴드가 제 1 출구를 가지며 상기 이송블록이 제 1 입구를 가지며, 제 2 흐름에서 제 2 이송 물질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매니폴드가 제 2 출구를 가지며, 상기 이송블록이 제 2 입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다른 두 물질로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와 상기 이송블록 사이에 전환판이 설치되어, 전환판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 제 2 입구가 형성되어 사익 매니폴드로부터 상기 제 1 , 제 2 이송 물질 흐름을 수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 제 2 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 제 2 물질 흐름을 상기 이송블록으로 이송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이송 물질 흐름을 상기 이송블록의 제 2 입구로 이송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제 2 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이송 물질 흐름을 상기 이송블록의 상기 제 1 입구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다른 두 물질로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
- 적어도 다른 두 물질로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는장치에 있어서, 이송 물질을 공급하는 다수의 압출기와 압출 다이가 조합되고, 각각의 이송 물질이 그곳을 통과하는 각 흐름속으로 향하게 되는 상기 압출기로부터 상기 이송 물질을 수용하는 매니폴드와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다수의 상기 이송 물질들을 수용하고 그곳을 통과하는 동안 각각을 독립적으로 유지시키는 이송블록이 제공되며, 상기 이송블록에는 제 1 , 제 2 면이 제공되어 제 1 면에는 상기 이송 물질의 흐름의 수와 동일한 갯수의 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블록에는 제 1 , 제 2 면이 제공되어 제 1 면에는 상기 이송 물질의 흐름의 수와 동일한 갯수의 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에서 상기 각 흐름의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상기 이송블록을 통과하는 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흐름을 적어도 하나의 분리된 형상으로 이송시키며, 상기 채널들중 적어도 한 채널에 휜을 제공하여 상기 분리된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이송 물질을 두개로 분할시키며, 상기 제 2 면에 출구를 상기 채널로부터 압출되는 상기 분리된 형상의 이송 물질들의 수와 동일한 갯수로 형성시켜 각각의 상기 분리된 형상의 이송물질들에 대한 제 1 형상을 성형시키며, 상기 이송블록으로부터 상기 제 1 형상의 이송 물질들을 수용하는 어댑터가 제공되며, 상기 어댑터에는 제 1 , 제 2 면이 제공되어, 상기 제 1 면에는 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형상의 이송 물질을 수용하며, 상기 제 2 면에는 압출 다이의 입구와 일치하는 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구와 출구사이에는 변화영역이 형성되어, 변화영역에서 상기 제 1 형상의 이송 물질들이 서로 접촉하게 되며, 그렇게 접촉된 제 1 형상의 이송 물질의 전체 형상이 압출 다이에 의해 수용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다른 두 물질로 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수단이 상기 입구와 연통되는 변화영역과 상기 변화영역으로부터 상기 이송 물질을 수용하며, 상기 출구와 연통되는 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다른 두 물질로 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영역을 형성하는 벽이 유선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있는 이송 물질의 단면적을 상기 이송블록에 형성된 상기 출구의 단면적이 될때까지 감소시키도록 형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다른 두 물질로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를 형성하는 벽이 유선형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 물질의 형상을 상기 이송블록에 형성된 상기 출구의 형상으로 변형시키도록 형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다른 두 물질로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휜장치가 상기 랜드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다른 두물질로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가 상기 이송블록의 후면에 형성되어 이송 물질들의 흐름들을 인접한 층들로부터 서로 분리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다른 두 물질로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
- 제23항에 있어서, 제 1 흐름에서 제 1 이송 물질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매니폴드가 제 1 출구를 가지며 상기 이송블록이 제 1 입구를 가지며, 제 2 흐름에서 제 2 이송 물질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매니폴드가 제 2 출구를 가지며 상기 이송블록이 제 2 입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다른 두 물질로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상기 매니폴드와 상기 이송블록 사이에 전환판이 설치되어, 전환판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 제 2 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상기 제 1 , 제 2 이송 물질 흐름을 수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 제 2 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 제 2 이송 물질 흐름을 상기 이송블록으로 이송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이송 물질 흐름을 상기 이송블록의 상기 제 2 입구로 이송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제 2 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이송 물질 흐름을 상기 이송블록의 상기 제 1 입구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다른 두 물질로부터 층으로된 제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98312 | 1980-10-20 | ||
US06/198,312 US4336012A (en) | 1980-10-20 | 1980-10-20 | Coextrusion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7272A KR830007272A (ko) | 1983-10-19 |
KR880001779B1 true KR880001779B1 (ko) | 1988-09-17 |
Family
ID=22732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10003973A Expired KR880001779B1 (ko) | 1980-10-20 | 1981-10-20 | 동시 압출 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4336012A (ko) |
EP (1) | EP0050476B1 (ko) |
JP (1) | JPS57159633A (ko) |
KR (1) | KR880001779B1 (ko) |
AU (1) | AU549649B2 (ko) |
CA (1) | CA1159619A (ko) |
DE (1) | DE3176400D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6376B1 (ko) * | 2007-08-23 | 2009-07-06 | 유상원 | 복합노즐을 갖는 다색사출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83669A (en) * | 1982-08-16 | 1984-11-20 | Cosden Technology, Inc. | Multiple-layered sheeting apparatus |
DE3325017C2 (de) * | 1983-07-11 | 1985-11-28 | Continental Gummi-Werke Ag, 3000 Hannover | Preßkopf zum Herstellen von flachen zusammenhängenden Profilsträngen aus plastischen Kautschuk- oder Kunststoffmischungen verschiedener Zusammensetzung |
US4533510A (en) * | 1983-09-19 | 1985-08-06 | Nissel Frank R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co-extruding a sheet |
JPH0673899B2 (ja) * | 1985-04-18 | 1994-09-21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押出成形用複合アダプタ |
JPH0673900B2 (ja) * | 1985-04-18 | 1994-09-21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押出成形用複合アダプタ |
JPS61283521A (ja) * | 1985-06-10 | 1986-12-13 | Idemitsu Petrochem Co Ltd | 多層樹脂材料の製造方法 |
JPH066324B2 (ja) * | 1986-04-30 | 1994-01-26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多層押出成形機 |
JPH066325B2 (ja) * | 1986-05-13 | 1994-01-26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押出成形用複合アダプタ |
US5052160A (en) * | 1986-09-11 | 1991-10-01 | Trayco, Inc. | Tile board |
US4708615A (en) * | 1986-10-29 | 1987-11-24 | The Dow Chemical Company | Low pressure drop, modular coextrusion feedblock |
DE8816689U1 (de) * | 1988-06-29 | 1990-04-05 | Reifenhäuser GmbH & Co Maschinenfabrik, 5210 Troisdorf | Vorrichtung zum Extrudieren eines mehrschichtigen Stranges aus thermoplastifizierten Kunststoffen |
US5094793A (en) * | 1990-12-21 | 1992-03-10 | The Dow Chemical Company |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nterfacial surfaces |
US5094788A (en) * | 1990-12-21 | 1992-03-10 | The Dow Chemical Company | Interfacial surface generator |
US5589122A (en) * | 1991-10-01 | 1996-12-31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Method of making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NL9201457A (nl) * | 1992-08-14 | 1994-03-01 | Rollepaal B V Maschf De | Verdeelkop voor het uit één of meer stromen geëxtrudeerd thermoplastisch kunststofmateriaal vormen van een buisvormig profiel. |
EP0683629A1 (en) * | 1992-12-18 | 1995-11-29 | The Pillsbury Company | Extrusion die with changeable face plate |
US5866265A (en) * | 1996-03-08 | 1999-02-02 |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 Rubber article having a surface design for high abrasion resistance |
US7052568B2 (en) * | 2002-10-28 | 2006-05-30 | Bridgestone Firestone North American Tire, Llc | Tire retreading method |
US6808780B2 (en) * | 2002-12-23 | 2004-10-26 | Eastman Kodak Company | Low birefringence film |
US20080009560A1 (en) * | 2006-06-23 | 2008-01-10 | Mckay Nicholas D Jr | Articles for reducing atmospheric odors |
US20080090050A1 (en) * | 2006-10-13 | 2008-04-17 |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 Dry top formed film |
US20080099951A1 (en) * | 2006-10-31 | 2008-05-01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Annular feedblock for coextruded film, and methods |
EP2147770B1 (en) * | 2007-03-27 | 2017-06-21 | Bridgestone Corporation | Unvulcanized rubber extruder and process for producing unvulcanized rubber |
US20090029079A1 (en) * | 2007-07-23 | 2009-01-29 | Viskase Companies, Inc. | Nylon Food Casing |
US20090295028A1 (en) * | 2008-05-30 | 2009-12-03 | Rudisill Edgar N |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multi-layered, multi-component filaments |
US20100007043A1 (en) * | 2008-07-14 | 2010-01-14 | Viskase Companies, Inc. | Multi-Tube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 |
CN102039657B (zh) * | 2009-10-26 | 2013-03-20 | 青岛科技大学 | 一种大型高分子制品挤出成型装置及工艺 |
EP2835246A1 (en) * | 2013-08-05 | 2015-02-11 | Ansa Termoplastici S.r.l.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extruded plastic elements |
DE102015108978A1 (de) * | 2015-06-08 | 2016-12-08 | Windmöller & Hölscher Kg | Verfahren für die Durchführung eines Materialwechsels bei einer Extrusionsvorrichtung |
US11396121B2 (en) * | 2018-08-20 | 2022-07-26 | N.E.W. Plastics Corp. | Extruded variegated plastic profile and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174779A (en) * | 1937-12-16 | 1939-10-03 | George Morrell Corp | Apparatus for extruding varicolored plastics |
US2456141A (en) * | 1946-05-06 | 1948-12-14 | Myerson Simon | Apparatus for extrusion molding of plastic articles |
US3461197A (en) * | 1963-03-22 | 1969-08-12 | Jerome H Lemelson |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articles |
US3464087A (en) * | 1967-08-08 | 1969-09-02 | St Regis Paper Co | Multiple-channel extrusion die for the production of multilayer thermoplastic sheet materials |
US3639573A (en) * | 1967-09-12 | 1972-02-01 | Avisun Corp | Method for making a multicolored split polyolefin yarn |
US3559239A (en) * | 1968-02-27 | 1971-02-02 | American Can Co | Multilayer extrusion die |
DE1930987A1 (de) * | 1969-06-19 | 1970-12-23 | Barmag Barmer Maschf | Extrusionswerkzeug zum Herstellen von Mehrschichtblasfolien |
US3876743A (en) * | 1971-09-03 | 1975-04-08 | Kellog Co | Process for producing overlaid extrudates |
US3767338A (en) * | 1971-09-03 | 1973-10-23 | Kellog Co | Apparatus for producing overland extrudates |
CA1007015A (en) * | 1971-09-27 | 1977-03-22 | Walter J. Schrenk | Coextrusion apparatus |
US3985484A (en) * | 1971-09-30 | 1976-10-12 | Ikegai Tekko Kabushiki Kaisha | Method of molding synthetic resins materials through high-pressure fluid cross-linking process and relevant apparatus |
US3761211A (en) * | 1972-01-17 | 1973-09-25 | Crompton & Knowles Corp | Multi-layer extrusion apparatus |
US4074958A (en) * | 1976-10-08 | 1978-02-21 | Molenaar Lester V | Apparatus for making a coil spring object |
US4081232A (en) * | 1977-02-08 | 1978-03-28 | The Anaconda Company | Fixed center tooling for an extruder that provides for concentric layers of coating material |
US4144011A (en) * | 1977-04-08 | 1979-03-13 | Nrm Corporation | Feedblock and die assembly |
JPS547467A (en) * | 1977-06-20 | 1979-01-20 | Tokan Kogyo Co Ltd | Manufacture of dual layer plastic articles |
JPS5539361A (en) * | 1978-09-14 | 1980-03-19 | Tokan Kogyo Co Ltd | Preparation of compound layer plastic material and its manufacturing device |
FR2437289A1 (fr) * | 1978-09-27 | 1980-04-25 | Ono | Dispositif d'alimentation d'une filiere de fabrication de feuilles en matiere thermoplastique |
DE3025564A1 (de) * | 1980-07-05 | 1982-02-04 | Hoechst Ag, 6000 Frankfurt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mehrschichtiger flachfolien aus thermoplastischen kunststoffen durch coextrusion |
-
1980
- 1980-10-20 US US06/198,312 patent/US4336012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1
- 1981-08-27 CA CA000384695A patent/CA1159619A/en not_active Expired
- 1981-09-01 AU AU74810/81A patent/AU549649B2/en not_active Ceased
- 1981-10-14 EP EP81304800A patent/EP0050476B1/en not_active Expired
- 1981-10-14 DE DE8181304800T patent/DE3176400D1/de not_active Expired
- 1981-10-20 JP JP56167809A patent/JPS57159633A/ja active Granted
- 1981-10-20 KR KR1019810003973A patent/KR880001779B1/ko not_active Expir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6376B1 (ko) * | 2007-08-23 | 2009-07-06 | 유상원 | 복합노즐을 갖는 다색사출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050476B1 (en) | 1987-09-02 |
JPS57159633A (en) | 1982-10-01 |
EP0050476A2 (en) | 1982-04-28 |
US4336012A (en) | 1982-06-22 |
JPH0155088B2 (ko) | 1989-11-22 |
AU549649B2 (en) | 1986-02-06 |
EP0050476A3 (en) | 1983-02-09 |
AU7481081A (en) | 1982-04-29 |
CA1159619A (en) | 1984-01-03 |
DE3176400D1 (en) | 1987-10-08 |
KR830007272A (ko) | 1983-10-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880001779B1 (ko) | 동시 압출 장치 | |
US4405547A (en) | Method of coextruding diverse materials | |
US6902385B2 (en) | Blown-film extrusion die | |
US3487505A (en) | Laminates | |
US4731004A (en) | Side-by-side co-extrusion of film using multiple materials | |
US6837698B2 (en) | Multilayer coextrusion die and method | |
US3397428A (en) | 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thermoplastic resinous composite articles | |
EP0201617A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co-extruding a sheet | |
JPH05237910A (ja) | 多層管状製品の螺旋送りダイス装置 | |
US5516474A (en) | Thermally distinct layer coextrusion | |
US5190711A (en) | Methods for processing polymers | |
US5211898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a plurality of molten resin jet streams into T die | |
US6409494B1 (en) | Device for the extrusion of multi-layer plastic films, boards or tubes | |
US5045264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extruded plastic film with strips embedded therein of a second thermoplastic material | |
EP035306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a plurality of molten resin jet streams into T die | |
JPS63502016A (ja) | モジュラー押出ヘッド | |
JPS6238132B2 (ko) | ||
US3764245A (en) | Apparatus for producing light structural board of thermoplastic resin | |
EP0345987B1 (en) | Methods of making multiple layer sheet materials, methods of processing polymers, extrusion apparatus, polymeric sheet materials and packaging made therefrom | |
JPH11309770A (ja) | 多層押出成形方法および装置 | |
JP2014030938A (ja) | 多層押出成形装置 | |
JPS62240525A (ja) | 共押出しフイ−ドブロツク | |
CA1200357A (en) | Extruding laminated sheet with alteration of stream dimensions in die | |
JPH08192452A (ja) | 多層シート・フィルム成形装置 | |
JPS6313730A (ja) | 押出成形用複合アダプ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110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610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110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80816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81129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8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881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