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40074415A -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 - Google Patents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4415A
KR20240074415A KR1020220156467A KR20220156467A KR20240074415A KR 20240074415 A KR20240074415 A KR 20240074415A KR 1020220156467 A KR1020220156467 A KR 1020220156467A KR 20220156467 A KR20220156467 A KR 20220156467A KR 20240074415 A KR20240074415 A KR 20240074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knitting
dimensional expression
nose
whole gar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6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혁
Original Assignee
임승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승혁 filed Critical 임승혁
Priority to KR1020220156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74415A/ko
Publication of KR20240074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44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1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narrowing or widening to produce fully-fashioned goo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2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7/28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stitch patter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입체 표현이 필요한 위치에서 전방베드에 할당된 코의 일부를 후방베드로 트랜스퍼(transfer)시켜 전방베드의 트랜스퍼(transfer)된 위치에서 추가 편직을 수행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WHOLE GARMENT ARRANGEMENT METHOD CAPABLE OF THREE-DIMENSIONAL EXPRESSION}
본 발명은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입체 표현이 필요한 위치에서 전방베드에 할당된 코의 일부를 후방베드로 트랜스퍼(transfer)시켜 전방베드의 트랜스퍼(transfer)된 위치에서 추가 편직을 수행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종래 니트웨어는 앞판, 뒷판, 소매 및 부속으로 편직 후 재단, 봉제 공정을 거쳐 완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종래 니트웨어 산업은 기계, 기술의 발달과 함께 많은 변화를 거듭해 오고 있다. 1860년대의 재봉틀 발명 이후, 현재까지 의류 제조 기술의 중심을 이룬 재단과 봉제에 의한 제조 방식은 바늘과 가위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봉제선이 없는 획기적인 무봉제(Seamless Garments) 제조공정으로 진화하고 있는 것이다.
1995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개최된 국제 섬유기계 전시회인 ITMA에서 일본의 시마 세이키(Shima Seiki)사가 무봉제 니트 편기인 홀가먼트(Whole Garment)를 처음 발표하면서 무봉제 니트웨어가 현실화되었으며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제품들이 개발 및 생산되고 있다. 선진국의 니트 제조업체들은 기술 개발을 통하여 신제품을 출시하고 있으며 소비자 기호의 변화에 따라 끊임없이 새로운 니트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무봉제 니트는 니트 편직기 발달과정의 최정점에 있는 것으로 1965년 시마세이키사의 무봉제 장갑 편직기를 시작으로 1995년 무봉제 니트웨어 편직기'홀가먼트'를 통해 어패럴 분야까지 확장되었다. 최근에는 우주선 실내복으로 선정되는 등 최첨단 과학 기술이 요구되는 테크니컬 웨어까지 그 영역이 넓어지고 있다.
홀가먼트(Whole Garment) 니트웨어는 편직기계에서 한 벌의 옷이 완성되어 봉제과정을 거치지 않고 나오는 최신의 니트 제품으로서 소재 본래의 신축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운동성과 저부하성을 겸비하여 편안한 니트웨어의 본질에 가장 가까이 근접한 형태라 할 수 있다. 홀가먼트 니트웨어는 고급화, 개성화 되어가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으며 고부가가치 디자인 개발을 위한 방안이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가먼트 편직공정은 예를 들면, 카디건(cardigan)이나 앞부분이 트인 조끼(vest) 등의 니트웨어의 일부가 세로로 분할된 개구부를 구비하는 통모양 편성포(knitted fabric)나, 편성포의 일부에 트임부(slit)가 형성되고, 이 트임부를 따르는 테두리가 서로 전후로 겹친 부분을 구비하는 통모양 편성포를 홀가먼트 편직기를 통하여 편직될 수 있다.
이러한 홀가먼트 편직은 주로 튜블러(Tubular) 방식으로서, 편직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니들베드가 대향되도록 배치된 편직기에 원사를 셋팅하고, 앞면 편성포 및 뒤면 편성포에 바늘을 각각 할당하고, 각각의 바늘을 이용하여 하부에서부터 통 모양으로 편성한다.
그리고, 트임부가 있는 의류의 경우에는 앞판과 뒷판을 각각 편성한 후 연결되는 이음매부터는 앞판과 뒷판의 접합을 시작하여 통형상으로 편성한다.
그러나, 종래 홀가먼트 편직방식은 앞/뒷판을 함께 편직하기 때문에 코 이동이 자유롭지 못해 로고와 같은 입체적인 표현을 나타내기에 많은 제약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시키기 위해 연구하던 중, 입체 표현이 필요한 위치에서 전방베드에 할당된 코의 일부를 후방베드로 트랜스퍼(transfer)시켜 전방베드의 트랜스퍼(transfer)된 위치에서 추가 편직을 수행할 경우 입체적인 표현이 가능함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60427호는 의류의 트임부 중첩구조를 개선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을 이용하여 편직된 편직물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대각선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는 제1 전방베드(110) 및 제1 후방베드(150)를 구비한 횡편기의 제1 전방베드(110)에 원사를 셋팅하는 단계; 상기 횡편기의 제1 전방베드(110)를 이용하여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의류의 몸판을 편직하는 단계; 입체 표현이 필요한 위치에서 상기 제1 전방베드(110)에 할당된 코(200)의 일부를 상기 제1 후방베드(150)로 트랜스퍼(transfer)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방베드(110)의 트랜스퍼(transfer)된 코의 위치에서 추가 편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횡편기는 상기 제1 전방베드(110) 및 제1 후방베드(150)와 교차하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는 제2 전방베드(130) 및 제2 후방베드(17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횡편기는 제2 후방베드(170)에 원사를 셋팅함으로써, 제1 전방베드(110)를 통해 몸판의 앞판을 편직하고, 제2 후방베드(170)를 통해 몸판의 뒷판을 편직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은, 상기 제1 전방베드(110)의 트랜스퍼(transfer)된 코의 위치에서 추가 편직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후방베드(150)로 트랜스퍼(transfer)된 코를 다시 제1 전방베드(110)로 트랜스퍼(transfer)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은, 상기 제1 후방베드(150)로 트랜스퍼(trasfer)된 코를 제1 전방베드(110)로 다시 트랜스퍼(transfer) 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횡편기의 제1 전방베드(110)를 이용하여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몸판을 계속하여 편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기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을 이용하여 편직된 편직물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은 입체 표현이 필요한 위치에서 전방베드에 할당된 코의 일부를 후방베드로 트랜스퍼(transfer)시켜 전방베드의 트랜스퍼(transfer)된 위치에서 추가 편직을 수행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모양으로 입체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후방베드로 트랜스퍼한 코를 다시 전방베드로 트래스퍼 시키기 때문에 앞/뒷판을 함께 편직하면서도 입체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아울러, 트랜스퍼 되는 코의 개수, 사용되는 원사의 종류 또는 조직의 디자인에 따라 입체 정도가 용이하게 조절가능한 것일 수 있다.
도 1 내지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횡편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코의 이동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a 및 6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의 이동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a 내지 7d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편직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의해 정의될 뿐이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대각선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는 제1 전방베드(110) 및 제1 후방베드(150)를 구비한 횡편기의 제1 전방베드(110)에 원사를 셋팅하는 단계; 상기 횡편기의 제1 전방베드(110)를 이용하여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몸판을 편직하는 단계; 입체 표현이 필요한 위치에서 상기 제1 전방베드(110)에 할당된 코(200)의 일부를 상기 제1 후방베드(150)로 트랜스퍼(transfer)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방베드(110)의 트랜스퍼(transfer)된 코의 위치에서 추가 편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을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횡편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의 이동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한편, 상기 도 1 내지 5에 각각 나타낸 구성들은 하나의 구현예에 불과하므로, 일부 형태의 변형 또는 구성요소의 치환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방베드 및 후방베드는 각각 전방 니들베드 및 후방 니들베드와 동일한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우선,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은 대각선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는 제1 전방베드(110) 및 제1 후방베드(150)를 구비한 횡편기의 제1 전방베드(110)에 원사를 셋팅하는 단계(S1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전방베드(110) 및 제1 후방베드(150)는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전방베드(110) 및 제1 후방베드(150)는 각각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며, 각각의 베드(110, 150)는 다수의 바늘을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전방베드(110)는 실질적으로 원사가 셋팅되어 편직물을 편직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고, 상기 제1 후방베드(150)는 좌우로 래킹(racking)이 가능하기 때문에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코 이동이 가능하여 코 줄임 역할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 줄임을 수행할 경우, 상기 제1 후방베드(150)는 상기 제1 전방베드(110)로부터 코의 일부를 트랜스퍼(transfer) 받으며, 이후 래킹(racking)을 통해 제1 전방베드(110)에 남아있는 코의 위치와 겹쳐지도록 이동된 뒤, 제1 전방베드(110)로 다시 코를 트랜스퍼(transfer) 시킴으로써 코 줄임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횡편기에서 제1 전방베드(110)가 실질적으로 편직을 수행하는 것이며, 제1 후방베드(150)는 코 줄임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나, 하기 후술할 입체 표현을 위해 유사한 방법으로 상기 제1 후방베드(150)를 활용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하기에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며, 이하 설명할 제2 전방베드(130) 및 제2 후방베드(170) 또한 앞/뒤만 상이할 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횡편기는 상기 제1 전방베드(110) 및 제1 후방베드(150)와 교차하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는 제2 전방베드(130) 및 제2 후방베드(17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후방베드(170)는 상기 제1 전방베드(110)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방베드(130)는 상기 제1 후방베드(150)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횡편기는 제2 후방베드(170)에 원사를 셋팅함으로써, 제1 전방베드(110)를 통해 몸판의 앞판을 편직하고, 제2 후방베드(170)를 통해 몸판의 뒷판을 편직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전방베드(110)는 제1 후방베드(150)와, 상기 제2 후방베드(170)는 제2 전방베드(130)와 각각 하나의 쌍으로서 작동하여 몸판의 앞판 및 뒷판을 동시에 편직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베드(110, 130) 및 후방베드(150, 170)는 각각 코(200)와 빈 바늘(210)을 좌우 방향으로 교차로 위치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코(200) 이동용의 빈 바늘(210)을 항상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은 상기 횡편기의 제1 전방베드(110)를 이용하여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몸판을 편직하는 단계(S2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에는 제1 전방베드(110)를 이용하여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편직하는 단계에 대하여만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후방베드(170)를 통하여도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편직이 가능한 것이며, 이때 제1 전방베드(110)는 몸판의 앞판을 편직하는 것이고, 제2 후방베드(170)는 몸판의 뒷판을 편직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일반적인 홀가먼트 편직방법을 채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은 입체 표현이 필요한 위치에서 상기 제1 전방베드(110)에 할당된 코(200)의 일부를 상기 제1 후방베드(150)로 트랜스퍼(transfer) 시키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S20 단계를 통해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몸판을 단순 편직할 경우, 편직물의 외관이 평평하게 편직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입체적인 표현의 구현이 어려운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홀가먼트 편직방법은 입체 표현이 필요한 위치에 이를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 발명의 목적인 것이며, 이에 따라 이하 단계를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베드(110, 130) 및 후방베드(150, 170)는 각각 코(200)와 빈 바늘(210)을 좌우 방향으로 교차로 위치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코(200) 이동용의 빈 바늘(210)을 항상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일 수 있다(도 5의 S100).
이때, 입체 표현이 필요한 위치에서 상기 제1 전방베드(110)에 할당된 코(200)의 일부를 상기 제1 후방베드(150)로 트랜스퍼(transfer) 시키는 것일 수 있다(S200).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가 트랜스퍼(transfer)된 사진을 도 6a에 나타내었다. 한편, 상기 제2 후방베드(170) 및 제2 전방베드(130) 또한 필요에 따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제1 전방베드(110)를 이용할 경우에는 몸판의 앞판에 입체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제2 후방베드(170)를 이용할 경우에는 몸판의 뒷판에 입체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이하에서는 제1 전방베드(110)를 예시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은 상기 제1 전방베드(110)의 트랜스퍼(transfer)된 코의 위치에서 추가 편직을 수행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S30 단계를 통해 제1 전방베드(110)의 트랜스퍼(transfer)된 코의 위치에는 빈 바늘(210)이 위치하게 되는 것일 수 있다(도 5의 S200). 이때, 상기 횡편기를 이용한 편직을 상부로 더 이상 진행시키지 않고, 상기 빈 바늘(210)이 발생한 위치에서 추가 편직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추가 편직을 수행한 부분은 다른 부분들에 비하여 일정한 두께를 가지게 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위치에서 입체적인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랜스퍼(transfer)된 코의 개수 및 위치에 따라 입체 표현이 구현되는 모양 및 위치가 결정되는 것일 수 있으며, 추가 편직의 횟수 및/또는 원사의 종류에 따라 입체 정도가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 편직된 사진을 도 6b에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은 상기 제1 후방베드(150)로 트랜스퍼(transfer)된 코를 다시 제1 전방베드(110)로 트랜스퍼(transfer) 시키는 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S40 단계를 통해 추가 편직이 완료된 경우, 다시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의 홀가먼트 편직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1 후방베드(150)로 트랜스퍼(transfer)된 코를 다시 제1 전방베드(110)로 트랜스퍼(transfer) 시키는 것일 수 있다(도 5의 S300). 이때, 상기 트랜스퍼(transfer)된 코에는 이미 편직된 원사가 존재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시 제1 전방베드(110)로 트랜스퍼(transfer) 되는 경우 추가 편직된 부분과 맞물려 더욱 입체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은 상기 횡편기의 제1 전방베드(110)를 이용하여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몸판을 계속하여 편직하는 단계(S6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S60 단계는 상술하였던 S20 단계와 동일하게 수행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홀가먼트 편직방법을 이용하여 편직물을 완성시키는 단계인 것일 수 있다.
한편, 추가적인 입체 표현이 필요한 위치가 있을 경우, S60 단계의 진행 중, 상기 S30 내지 S50 단계가 추가적으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로고와 같은 입체 표현을 구현하고자 할 경우 편직물의 상하 방향으로 입체물(입체 표현이 필요한 부분)이 연속되기 때문에 상기 S30 내지 S50 단계의 추가 수행이 진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제 2 측면은,
상기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을 이용하여 편직된 편직물을 제공한다.
본원의 제 1 측면과 중복되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본원의 제 1 측면에 대해 설명한 내용은 제 2 측면에서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원의 제 2 측면에 따른 상기 편직물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편직물은 일정한 위치에 입체적인 표현이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입체적인 표현은 몸판의 앞판 또는 뒷판 모두에 필요에 따라 형성 가능한 것일 수 있으며, 트랜스퍼 되는 코의 개수, 사용되는 원사의 종류 또는 조직의 디자인에 따라 입체 정도가 용이하게 조절 가능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편직물의 사진을 도 7a 내지 7d에 나타내었다. 도 7a 내지 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홀가먼트 편직방법을 채용할 경우 일정한 위치에서 입체 표현이 구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도 7a 내지 7d에 나타낸 편직물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다양한 디자인의 입체 표현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구성이 상기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을 이용한 편직물의 제조 (원사: 캐시미어(CASHMERE) 100%)
본 출원인이 보유하고 있는 횡편기를 이용하여 홀가먼트 편직방법으로 편직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사용한 원사는 캐시미어 100 wt% 이었으며, 입체 표현이 필요한 위치에서 전방베드의 코의 일부를 후방베드로 트랜스퍼 시키고, 전방베드의 트랜스퍼된 코의 위치에서 추가 편직을 수행한 후, 후방베드로 트랜스퍼된 코를 다시 전방베드로 트랜스퍼 시키고, 계속하여 몸판을 편직함으로써 편직물을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전방베드의 코의 일부를 후방베드로 트랜스퍼 시키는 과정 및 추가 편직 과정을 도 6a 및 6b에 각각 나타내었다. 이때 도 6a의 사진은 전방베드의 코의 일부를 후방베드로 트랜스퍼 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b의 사진은 코를 트랜스퍼 시킨 후 생긴 빈 바늘에 추가 편직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었다.
실시예 2.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을 이용한 편직물의 제조 (원사: 모섬유(WOOL) 100%)
상기 실시예 1에서 원사를 모섬유 100 wt%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편직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을 이용한 편직물의 제조 (원사: VIS 39% / PO 39% / ELITTE 22%)
상기 실시예 1에서 원사를 VIS 39 wt% / PO 39 wt% / ELITTE 22 wt%의 합성소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편직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을 이용한 편직물의 제조 (원사: LINEN 80% / NYLON 20%)
상기 실시예 1에서 원사를 LINEN 80 wt% / NYLON 20 wt%의 합성소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편직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편직물의 외관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편직물의 사진을 도 7a 내지 7d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7a 내지 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연소재의 원사(실시예 1 및 2) 또는 합성소재의 원사(실시예 3 및 4) 어떤 것을 사용하여도 입체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로고와 같이 입체적인 표현이 필요한 부분에 원하는 모양으로 입체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도면과 실시예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 또는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고, 이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의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제1 전방베드
130: 제2 전방베드
150: 제1 후방베드
170: 제2 후방베드
200: 코
210: 빈 바늘

Claims (6)

  1. 대각선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는 제1 전방베드(110) 및 제1 후방베드(150)를 구비한 횡편기의 제1 전방베드(110)에 원사를 셋팅하는 단계;
    상기 횡편기의 제1 전방베드(110)를 이용하여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몸판을 편직하는 단계;
    입체 표현이 필요한 위치에서 상기 제1 전방베드(110)에 할당된 코(200)의 일부를 상기 제1 후방베드(150)로 트랜스퍼(transfer)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방베드(110)의 트랜스퍼(transfer)된 코의 위치에서 추가 편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편기는 상기 제1 전방베드(110) 및 제1 후방베드(150)와 교차하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는 제2 전방베드(130) 및 제2 후방베드(170)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편기는 제2 후방베드(170)에 원사를 셋팅함으로써,
    제1 전방베드(110)를 통해 몸판의 앞판을 편직하고,
    제2 후방베드(170)를 통해 몸판의 뒷판을 편직하는 것인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은,
    상기 제1 전방베드(110)의 트랜스퍼(transfer)된 코의 위치에서 추가 편직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후방베드(150)로 트랜스퍼(transfer)된 코를 다시 제1 전방베드(110)로 트랜스퍼(transfer) 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은,
    상기 제1 후방베드(150)로 트랜스퍼(trasfer)된 코를 제1 전방베드(110)로 다시 트랜스퍼(transfer) 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횡편기의 제1 전방베드(110)를 이용하여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몸판을 계속하여 편직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
  6. 제1항의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을 이용하여 편직된 편직물.
KR1020220156467A 2022-11-21 2022-11-21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 KR202400744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6467A KR20240074415A (ko) 2022-11-21 2022-11-21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6467A KR20240074415A (ko) 2022-11-21 2022-11-21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4415A true KR20240074415A (ko) 2024-05-28

Family

ID=91277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6467A KR20240074415A (ko) 2022-11-21 2022-11-21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744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87116B1 (en) Knitting method for knitting fabric and knitted product
US6651462B2 (en) Method of knitting neck portion of knit wear by using flat knitting machine, and the knitwear
JP2568135B2 (ja) 筒状編地の切込部分の編成方法
EP2631340A1 (en) Piping process method for end part of knitted fabric
KR100643535B1 (ko) 횡편기에 의한 니트 웨어의 칼라의 편성방법 및 칼라의편성방법을 형성시키기 위한 니트 디자인 장치
JP2018061632A (ja) 織物調マットレス・ティッキング用ジャカード編地及びその編成方法
JP3071147B2 (ja) 衿付衣服の編成方法
CN101189378B (zh) 在身片筒状部上具有开襟部的针织服装及其编织方法
US7577488B2 (en)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CN100537869C (zh) 具有插肩袖的针织品的编织方法和具有插肩袖的针织品
WO2011004694A1 (ja) 袖と身頃を有するニットウェアおよびその編成方法
US6655175B1 (en) Method for joining knitted fabrics and joined knitted fabrics
CN112831902A (zh) 一种在双针床横机上编织圆筒状令士的方法
KR20240074415A (ko) 입체 표현이 가능한 홀가먼트 편직방법
JP5466948B2 (ja) 二重筒状編地の端部接続方法
EP1835058B1 (en) Method of knitting tubular fabric
JP4054710B2 (ja) 端末編組織および該端末編組織を備えた衣類
ER Developments in apparel knitting technology
JP7233205B2 (ja) 編地の編成方法、及び編地
KR102460427B1 (ko) 의류의 트임부 중첩구조를 개선한 홀가먼트 편직방법
KR102080798B1 (ko) 기능성 원단용 환편기의 편성방법 및 장치
CN104746227A (zh) 编织物的编织方法以及编织物的制造方法
KR101883572B1 (ko) 다공성 무봉제 니트 의류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니트 의류 원단
JP2017214671A (ja) 編み製品および編み製品の製造方法
KR20230148450A (ko) 옷깃 제작용 편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