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6592A -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를 함유하는 고추장 - Google Patents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를 함유하는 고추장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56592A KR20210056592A KR1020190143242A KR20190143242A KR20210056592A KR 20210056592 A KR20210056592 A KR 20210056592A KR 1020190143242 A KR1020190143242 A KR 1020190143242A KR 20190143242 A KR20190143242 A KR 20190143242A KR 20210056592 A KR20210056592 A KR 202100565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tobokryeong
- red pepper
- glutinous rice
- nasturtium
- Prior art date
Links
- 244000286838 Eclipta prostrata Speci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8
- 235000001577 Lindera glauca Nutrition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7
- 244000245109 Lindera glauca Speci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9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GXCLVBGFBYZDAG-UHFFFAOYSA-N N-[2-(1H-indol-3-yl)ethyl]-N-methylprop-2-en-1-amine Chemical compound CN(CCC1=CNC2=C1C=CC=C2)CC=C GXCLVBGFBYZDAG-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41000208241 Tropaeol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5000004424 Tropaeolum maju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5000011511 Diospyro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44000236655 Diospyros kaki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29940018973 ecklonia cava extract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41000234479 Narciss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9764 Soybean Mea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455 soybean me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1404789 Smilax glabr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8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41001512722 Ecklonia cava Species 0.000 description 17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7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6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41001512723 Eckloni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43 salt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54 spic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3251 Prur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4000261559 Smilax chin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0485 Smilax chi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1848 dysente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734 kidney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215 vagin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UUTKICFRNVKFRG-WDSKDSINSA-N (4R)-3-[oxo-[(2S)-5-oxo-2-pyrrolidinyl]methyl]-4-thiazolidine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1CSCN1C(=O)[C@H]1NC(=O)CC1 UUTKICFRNVKFRG-WDSKDSIN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49589 Afterbirth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674 Agaricus brunn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820 Arthral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8838 Aste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035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166 Bambusa arundin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491 Bambusa tul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671 Calycanthus florid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25311 Calycanthus occident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670 Calycanthus occidental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384 Capsicum annuum var.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56 Chionanthus virginic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37791 Chionanthus virginic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516 Chrysanthem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89548 Chrysanthemum x morifo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23346 Cinnamomum camph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4656 Contus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233 Headach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599 Lentinula edod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520 Lindera benzo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262 Lindera benzoin var. benzo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211 Maclu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135 Micromeria juli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429 Mirabilis expan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94411 Mirabilis expan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112 Myal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82204 Phyllostachys virid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334 Phyllostachys virid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880 Polyur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89516 Pseudomona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315 Satureja hort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114 Satureja hort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802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lass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394 Sorghum bicolo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684 Sorghum sacchar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8010073771 Soybean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040 Sprains and Strain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011 Strok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3476 Traumatic haemorrhag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453 Vigna umbell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417 Vigna umbell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2428 Woun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99 axill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25 bamboo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28 ber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503 bloody stool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72 burs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9887 col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1 dehum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8 diet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3023 diphther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475 disord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19 diur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6549 dyspep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615 epiderm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780 epistax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07 ferment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92 genitali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69 headach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861 hematochez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750 hematur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132 hemopoi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3597 hemosta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062 hydr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0 hyd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36 mis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13465 muscle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29 palatabil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66 phys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74 pois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72 poisoning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07 poiso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77 scor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68 sex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10 soybean prote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05 sweet taste sensatio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379 syphil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83 umami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5 vitamin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9 vitamin 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70—Germinated pulse products, e.g. from soy bean sprou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20—Malt products
- A23L7/25—Fermentation of cereal malt or of cereal by malt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를 함유하는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를 각각 추출하여 토복령 추출물, 감태나무 추출물 및 한련초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2) 토복령 추출물, 감태나무 추출물 및 한련초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에 엿기름과 찹쌀을 넣은 후 삭혀주는 단계; 3) 충분히 식힌 후 고춧가루, 메줏가루, 조청 및 소금을 넣어서 고추장을 담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를 함유하는 고추장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를 함유하는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토복령 추출물, 감태나무 추출물 및 한련초 추출물, 엿기름 및 찹쌀가루로 제조한 식혜를 이용한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추장은 약 200년의 역사를 가진 전통 조미식품으로 된장 및 간장과 더불어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발효식품이다. 주로 가정에서 소규모 단위로 제조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식생활 양식의 변화에 따라 개량된 방식의 공업적 규모로 생산이 가능해졌고, 이러한 경향은 편리성을 추구하는 소비자 욕구와 더불어 점차 확대되고 있다.
고추장은 통상적으로 쌀, 밀가루, 보리, 수수, 팥 등의 전분질 원료에 메줏가루, 엿기름가루, 고춧가루를 섞은 후 소금으로 간을 하여 담그는 재래식 고추장의 제조방법과, 짧은 시간 안에 대량생산할 수 있는 전분질인 밀가루에 코지 또는 효소제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개량형 고추장의 제조방법이 알려져 있다.
고추장은 단백질, 지방, 비타민 A와 C 등의 영양분이 풍부하며, 탄수화물이 가수분해되어 생긴 단맛과 콩 단백에서 나온 아미노산의 감칠맛, 고추의 매운맛, 소금의 짠맛 등이 잘 조화되어, 주로 각종 찌개의 맛을 내고, 생채나 숙채, 조림, 구이 등의 조미료로 이용되고 있다.
고추장의 품질은 원료 및 코지의 종류, 원료의 배합비율, 제조방법, 소금의 농도 및 숙성 중 성분변화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최근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를 고려하여 맛, 색, 향 등의 관능적 특성뿐 아니라 기능성까지 고려한 제품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전통 고추장의 제조는 비교적 간단하나 최근 소비자들은 기호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기존의 전래적인 방법이 고 추장만으로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이에 따라 맛과 영양성이 향상된 고추장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17374호에서는 표고버섯 함유 고추장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7845호에서는 매실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3839호에서는 상황버섯 추출물 함유 고추장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3447호에서는 국화꽃 추출물 함유 고추장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5424호에서는 꾸지뽕 추출물을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다.
한편, 토복령(라틴명: Smilacis Rhizoma, 학명: Smilax china Linne, Smilax glabra Roxburgh)는 청미래덩굴과 식물인 청미래덩굴 Smilax china L.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이다. 납작하고 고르지 않은 원기둥모양이나 덩어리모양이고, 길이 5 ~ 15 cm 및 지름 2 ~ 5 cm이다. 바깥면은 회색을 띤 황갈색이고 윗면에는 군데군데 줄기의 잔기가 돌출되어 있다. 꺾인 면은 타원형이나 둔한 삼각형으로 유백색 또는 연한 적백색이다. 절편은 긴 원형 또는 불규칙한 모양이며 두께는 1 ~ 5 mm로 가장자리가 가지런하지 않다. 절단면은 유백색 내지 연한 홍갈색이며 가루성이고 점모양의 유관속 및 작은 빛나는 점들이 보인다. 질은 약간 질기고 단단하며 꺾은 면은 가루성이고 물에 적시면 점액성이다. 냄새가 약간 있으며 맛은 약간 달고 떫다. 효능으로는 청열해독(淸熱解毒)(열독(熱毒) 병증을 열을 내리고 독을 없애는 방법으로 치료하는 것을 이르는 말), 제습통락(除濕通絡)(습기(濕氣)를 제거하고 락맥을 소통시키는 것), 해독(解毒)(독성(毒性)을 풀어주는 것), 이뇨(利尿)(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것), 매독(梅毒)(성생활의 문란으로 인해 전염된 성병으로, 생식기가 헐고 헌데가 생기면서 몸에 열이 나는 병증), 오창(惡瘡)(피부가 헐었는데 아프고 가려우며 벌겋게 부으면서 곪아 터진 다음에 잘 낫지 않는 증상) 등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 참조).
감태나무(영문명: Greyblue spicebush, 학명: Lindera glauca(Siebold & Zucc.) Blume var. glauca)는 녹나무과로서 산기슭의 양지에서 자란다. 한국·중국·일본·타이완에 분포한다. 높이 약 5m, 지름 약 13cm이다. 겨울에도 마른 잎이 떨어지지 않으며 가지에 잔털이 빽빽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두꺼우며 타원형이거나 달걀 모양 긴 타원형이고 길이 5~10cm이다. 겉면은 털이 없고 윤이 나며 뒷면은 잿빛을 띤 녹색이고 처음에는 털이 나나 점차 없어진다. 잎자루는 길이 3~4mm이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4월에 노란색으로 피며, 잎이 필 때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는 산형꽃차례에 달린다. 화피는 6개로 갈라지고 9개의 수술은 바깥쪽 줄에 6개, 안쪽 줄에 3개가 있으며 안쪽 것은 선체(腺體)가 2개씩 있다. 꽃자루는 길이 5mm이고 털이 난다. 열매는 장과로서 공 모양이고 9월에 검은색으로 익는다. 효능으로는 중풍 마비, 관절통, 근육통, 두통, 소화불량, 산후통, 혈액순환 장애, 타박상, 삔 데, 상처 등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나물이나 차로 식용이 가능하다.
한련초(영문명: False daisy, 학명: Eclipta prostrata)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 있다. 논둑이나 습지에서 자란다. 줄기 높이는 1~60센티미터에 이른다. 몸 전체에 조금 거센 느낌의 털이 난다. 잎은 마주나고 바소꼴이며, 잎자루는 거의 없다. 길이 3~10센티미터, 폭 5~25밀리미터쯤 되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양면에 털이 있어 껄끄럽다. 꽃은 두화로 8~9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긴 꽃자루 끝에 1개씩 달리며, 설상화는 흰색이고 가운데 대롱꽃은 노란색이다. 열매는 수과로, 3~5개 모서리가 지고, 까맣게 익으며 갓털이 없다. 줄기를 자르면 검은 즙액이 나오며 잘라진 부분도 금세 까매진다. 효능으로는 지혈작용을 비롯하여 보음(補陰), 보신(補腎-정력을 도움)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근육과 뼈(筋骨)를 튼튼하게 해준다고 한다. 적용질환은 토혈과 코피를 비롯하여 혈변, 혈뇨, 외상출혈, 대장염, 이질, 디프테리아, 대하증, 소변이 희고 걸쭉한 증세, 머리카락이 세는 증세, 정력이 허해서 허리가 아픈 증세, 음부가 습하고 간지러운 증세 등을 다스리기 위해서도 쓰인다.
이에 본 발명자는 미세먼지 등 공기오염이 심한 요즘, 중금속 배출을 도와 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면서, 색, 맛, 향 및 기호도가 우수한 고추장을 제조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룰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처리 조건 및 첨가 조건 등의 제조공정을 최적화하여 품질 및 기호도를 향상시킨 기능성 고추장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토복령 추출물, 감태나무 추출물 및 한련초 추출물을 함유하여 기능성 및 기호도가 우수한 토복령 함유 고추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를 각각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한 후, 상기 추출물, 엿기름 및 찹쌀가루를 혼합한 다음 삭히는 공정을 포함하는 토복령 함유 고추장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를 각각 추출하여 토복령 추출물, 감태나무 추출물 및 한련초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ii) 찹쌀을 증숙하여 찐 찹쌀을 제조하는 단계;
iii) 토복령 추출물, 감태나무 추출물 및 한련초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에 엿기름과 찐 찹쌀을 혼합하여 삭혀서 찹쌀 식혜를 제조하는 단계; 및
iv) 상기 찹쌀 식혜에 메줏가루, 고춧가루, 조청 및 식염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를 함유하는 고추장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를 각각 추출하여 토복령 추출물, 감태나무 추출물 및 한련초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토복령 추출물, 감태나무 추출물 및 한련초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에 엿기름과 찹쌀가루를 혼합하여 삭히는 단계; 및
c) 삭힌 찹쌀 식혜를 충분히 식힌 다음, 메줏가루, 고춧가루, 조청 및 식염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를 함유하는 고추장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를 함유하는 고추장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를 함유하는 고추장을 이용한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토복령 추출물, 감태나무 추출물 및 한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추장은 기존 고추장보다 우수한 맛과 향을 내며, 토복령 추출물, 감태나무 추출물 및 한련초 추출물이 포함되어 있어 중금속 배출에 효능이 있는 건강에 유익한 새로운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토복령 추출물, 감태나무 추출물 및 한련초 추출물의 처리 조건 및 첨가조건 등의 제조 공정을 최적화하여 품질 및 기호도가 증진된 기능성 고추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토복령 추출물, 감태나무 추출물 및 한련초 추출물, 엿기름 및 찹쌀가루로 제조한 식혜를 이용한 고추장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i)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를 각각 추출하여 토복령 추출물, 감태나무 추출물 및 한련초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ii) 찹쌀을 증숙하여 찐 찹쌀을 제조하는 단계;
iii) 토복령 추출물, 감태나무 추출물 및 한련초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에 엿기름과 찐 찹쌀을 혼합하여 삭혀서 찹쌀 식혜를 제조하는 단계; 및
iv) 상기 찹쌀 식혜에 메줏가루, 고춧가루, 조청 및 식염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를 함유하는 고추장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를 각각 추출하여 토복령 추출물, 감태나무 추출물 및 한련초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토복령 추출물, 감태나무 추출물 및 한련초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에 엿기름과 찹쌀가루를 혼합하여 삭히는 단계; 및
c) 삭힌 찹쌀 식혜를 충분히 식힌 다음, 메줏가루, 고춧가루, 조청 및 식염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를 함유하는 고추장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의 추출물은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를 각각 세척 및 건조한 후,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 대비 2 ~ 10배의 물에 60 ~ 100℃ 온도 하에서 3 ~ 15시간 추출한 추출물을 여과하여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고, 여기서, 토복령은 법제한 후 충분히 말린 다음 10 ~ 12시간 끓여주고 감태나무는 5 ~ 6시간 끓여주고 한련초는 5 ~ 6시간 끓여주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토복령은 전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일 구현예로서, 토복령의 수확과정에서 손상 등의 영향을 받아 변색되었거나 부패한 것을 제외한 외관이 양호한 토복령을 선별한 다음, 선별하여 정제수로 충분히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혼합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엿기름 또는 엿기름 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10 ~ 20 중량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혼합 추출물이 상기 함량 보다 적으면 기능적인 효과가 저감되고, 상기 함량 보다 많으면 맛, 향 및 기호도가 떨어지게 된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찹쌀을 물에 불린 후 분쇄한 찹쌀가루를 물과 반죽한 후 증숙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반죽 제조시, 물 대신 혼합 추출물을 일부 또는 전부 사용하여 반죽한 후 증숙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혼합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엿기름 10 ~ 20 중량부 및 찐 찹쌀 100 ~ 20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혼합 추출물이 상기 함량 보다 적으면 기능적인 효과가 저감되고, 상기 함량 보다 많으면 맛, 향 및 기호도가 떨어지게 된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혼합 추출물, 엿기름 및 찹쌀의 혼합물을 50 ~ 70℃에서 5 ~ 15시간 동안 발효시켜 찹쌀 식혜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0℃에서 8 ~ 10시간 동안 발효시켜 찹쌀 식혜를 제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상기 찹쌀 식혜를 주물러 체에 걸러 건더기는 꼭 짜서 버리고 건더기를 가라안친 후, 웃물만을 따라낸 다음, 중불에서 4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하여 졸여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고추장 베이스 혼합재료는 찹쌀 및 엿기름 외에 고춧가루, 메줏가루, 식염 등 통상의 전통 고추장에 사용하는 재료로서 메줏가루에 포함된 국균 및 엿기름의 효소 등에 의하여 전분이 당화되고 단백질이 가수분해되어 아미노산이 생성되면서 본 발명의 기능성 고추장이 만들어지게 되는데 고추장 베이스 재료의 구성 성분 추가와 조성 비율은 용도에 따라 적의 가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찹쌀 식혜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춧가루 65 ~ 75 중량부, 메줏가루 15 ~ 25 중량부, 조청 30 ~60 중량부 및 식염 10 ~ 2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고추가루, 메주가루, 조청을 먼저 넣고 혼합한 후, 마지막으로 소금 10 ~ 11보메(baume)로 맞춰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춧가루는 고추장에서 고유의 생리활성 효능, 색 및 매운맛 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붉은 고추를 말리고, 이를 분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말하는데, 통상적으로 태양열에 직접 건조, 폴리에틸렌을 피복하여 건조 또는 건조실에서 건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줏가루는 고추장을 숙성시키면서 그 특유의 맛과 향미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메주를 건조하고 빻아서 입자화시킨 것을 말하며, 본 발명에서는 직접 전통 방식으로 제조한 메주를 건조하여 직접 빻아서 사용하거나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메줏가루를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엿기름은 고추장에 점도, 빛깔 및 단맛 등을 제공하면서 맛과 향미 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엿기름 또는 엿기름 가루는 보리에 물을 부어 싹을 내어서 건조시킨 후 분말로 만든 것이며, 바람직하게 는 겉보리에 물을 주어 싹을 틔운 것을 말려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겉보리를 사용하는 것이 당화 효소가 풍부하고 이물질에 의한 이취(異臭)가 약하며 그 자체의 풍미와 향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상기 식염은 고추장에서 장 특유의 짠맛과 방부의 염장 역할을 하며, 천일염 또는 약성이 강화된 죽염도 사용이 가능하다.
그 외 필요에 따라 설탕, 물엿 또는 주정을 추가적으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숙성은 미숙성 고추장을 항아리에 8부정도 담고, 위에 얇은 헝겊이나 망사로 덮어 25 ~ 30℃의 상온에서 90 ~ 100일 동안 햇빛에서 숙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온도 범위 내에서 숙성시키는 것이 급격하게 높은 온도에서 발효시킨 고추장보다 고추장의 맛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온도 범위 내에서 90일 미만으로 숙성시키면 고춧가루 풋내가 아직 남아있어 고추장의 맛이 떨어지고, 90 ~ 100일간 발효시킨 것을 출하하는 것이 맛과 비용 절감 측면에서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고추장은 그늘에서 보관하며, 유통기한은 바람직하게는 제조일로부터 1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일이 1년이 경과하면 고추장의 맛과 품질이 변질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를 함유하는 고추장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를 함유하는 고추장을 이용한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토복령 추출물, 감태나무 추출물 및 한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추장은 기존 고추장보다 우수한 맛과 향을 내며, 중금속 배출에 효능이 있는 건강에 유익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토복령 추출물, 감태나무 추출물 및 한련초 추출물의 처리 조건 및 첨가조건 등을 최적화하여 품질 및 기호도가 증진된 고추장 및 식품을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1> 고추장의 제조 1
<1-1>
토복령
,
감태나무
, 한련초 추출물의 제조
토복령 500 g을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살균 및 건조 기능의 원적외선 살균 건조장치에서 40 ~ 50℃의 온도 조건에서 2시간 동안 건조시킨 다음, 물 2 L에서 12시간 동안 끓여서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토복령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감태나무 500 g을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물 2 L에서 6시간 동안 끓여서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감태나무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한련초 500 g을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물 2 L에서 6시간 동안 끓여서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한련초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1-2> 엿기름물의 제조
토복령 추출물, 감태나무 추출물 및 한련초 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 상기 혼합물 2 kg에 엿기름 250 g을 넣고 60℃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하여 엿기름물을 제조하였다.
<1-3> 찐 찹쌀의 제조
찹쌀 1.5 kg을 3회 세척한 후 물에 12시간 동안 수침한 후 물기를 빼고 곱게 빻아 가루로 만들었다. 찜통 아래 물을 넣고 그 위에 체를 올린 후 물에 적은 면보자기를 깐 후, 찹쌀가루에 물을 축여 너무 질지 않고 부실부실하게 되도록 반죽한 후 젖은 면보자기에 올린 다음 7 ~ 9시간 증숙하여 찐 찹쌀을 제조하였다.
<1-4> 찹쌀 식혜의 제조
상기 찐 찹쌀과 상기 엿기름물을 혼합한 후 전기밥솥을 이용하여 8시간 동안 발효시켰다.
<1-5> 찹쌀 엿기름물의 제조
상기 찹쌀 식혜를 주물러 체에 걸러 맑은 물만을 따라내어 중불에서 4시간 동안 졸인 후 충분히 식혔다.
<1-6> 고추장의 제조
식힌 찹쌀 엿기름물 100 중량부에 고춧가루 70 중량부, 메줏가루 20 중량부, 조청 50 중량부를 넣고 혼합한 후, 마지막으로 식염 11보메(baume)로 맞추어 혼합하였다.
그리고 완성된 고추장을 초퍼를 이용하여 균질화한 다음, 항아리에 8부 정도 담아 헝겊을 씌운 후, 25 ~ 28℃에서 90일간 숙성하여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고추장의 제조 2
<1-1>
토복령
,
감태나무
, 한련초 추출물의 제조
토복령 500 g을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살균 및 건조 기능의 원적외선 살균 건조장치에서 40 ~ 50℃의 온도 조건에서 2시간 동안 건조시킨 다음, 물 2 L에서 12시간 동안 끓여서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토복령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감태나무 500 g을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물 2 L에서 6시간 동안 끓여서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감태나무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한련초 500 g을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물 2 L에서 6시간 동안 끓여서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한련초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1-2> 삭힌 엿기름물의 제조
토복령 추출물, 감태나무 추출물 및 한련초 추출물을 1 : 1 : 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 2 kg, 엿기름 250 g 및 찹쌀가루 1.5 kg을 혼합한 후, 전기밥솥을 이용하여 60℃에서 8시간 동안 삭혀주었다.
<1-3> 고추장의 제조
삭힌 엿기름물을 충분히 식힌 다음, 상기 삭힌 엿기름물 100 중량부에 고춧가루 70 중량부, 메줏가루 20 중량부, 조청 50 중량부를 넣고 혼합한 후, 마지막으로 식염 11보메(baume)로 맞추어 혼합하였다.
그리고 완성된 고추장을 초퍼를 이용하여 균질화한 다음, 항아리에 8부 정도 담아 헝겊을 씌운 후, 25 ~ 28℃에서 90일간 숙성하여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토복령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고추장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토복령 추출물을 제외하고, 감태나무 추출물과 한련초 추출물만 1 : 1의 중량비율로 2 kg 사용하여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감태나무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고추장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감태나무 추출물을 제외하고, 토복령 추출물과 한련초 추출물만 1 : 1의 중량비율로 2 kg 사용하여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3> 한련초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고추장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한련초 추출물을 제외하고, 토복령 추출물과 감태나무 추출물만 1 : 1의 중량비율로 2 kg 사용하여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4>
토복령
추출물만 첨가한 고추장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감태나무 추출물 및 한련초 추출물을 제외하고, 토복령 추출물만 2 kg 사용하여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5>
감태나무
추출물만 첨가한 고추장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토복령 추출물 및 한련초 추출물을 제외하고, 감태나무 추출물만 2 kg 사용하여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6> 한련초 추출물만 첨가한 고추장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토복령 추출물 및 감태나무 추출물을 제외하고, 한련초 추출물만 2 kg 사용하여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엿기름물의 체내 중금속 배출 효과
주령 SD 랫트(체중 150±15g) 20마리를 1주 동안 실험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 하기 실험을 4주간 진행하였다. 랫트를 무작위로 5개의 군(군당 4마리)으로 분류하였다.
1) 정상군
2) 중금속 공급군(대조군)
3) 중금속 및 <실시예 1>의 찹쌀 엿기름물 공급군
4) 중금속 및 <비교예 1>의 찹쌀 엿기름물 공급군
5) 중금속 및 <비교예 2>의 찹쌀 엿기름물 공급군
6) 중금속 및 <비교예 3>의 찹쌀 엿기름물 공급군
7) 중금속 및 <비교예 4>의 찹쌀 엿기름물 공급군
8) 중금속 및 <비교예 5>의 찹쌀 엿기름물 공급군
9) 중금속 및 <비교예 6>의 찹쌀 엿기름물 공급군
중금속 | Pb (15 ppm 공급) |
Cd (15 ppm 공급) |
As (15 ppm 공급) |
Hg (15 ppm 공급) |
정상군 | - | - | - | - |
대조군 | +++ | +++ | +++ | +++ |
<실시예 1> 투여군 | + | + | + | + |
<비교예 1> 투여군 | ++ | +++ | +++ | ++ |
<비교예 2> 투여군 | + | ++ | ++ | ++ |
<비교예 3> 투여군 | ++ | +++ | +++ | +++ |
<비교예 4> 투여군 | ++ | +++ | +++ | ++ |
<비교예 5> 투여군 | ++ | +++ | +++ | ++ |
<비교예 6> 투여군 | +++ | +++ | +++ | +++ |
4주의 실험 기간이 종료한 후, 랫트를 희생시켜 간, 신장 및 혈액을 채취하였으며, 각 군별로 각 채취물을 분석하였다.
간, 신장 및 혈액에서 중금속 함량을 분석한 결과, <실시예 1>의 찹쌀 엿기름물의 공급군은 3주째 모든 중금속 함량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비교예 5 ~ 6>의 찹쌀 엿기름물 공급군은 전체적으로 큰 변화는 없었으며, <비교예 1 ~ 4>의 찹쌀 엿기름물 공급군은 일부 중금속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실시예 1>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었음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2>
토복령
함유 고추장의 관능 평가
각 항목의 측정 시험은 무작위로 추출한 남녀 각 20명씩 40명의 패널에게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들에서 제조된 고추장을 번갈아 맛보게 한 후 결과를 좋고 나쁨에 따라 5등급으로 나누어 판단하게 하는 관능 시험으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의 평균값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판단기준은 다음과 같다.
(5점 채점법) 1: 매우 나쁨 2: 나쁨 3: 보통 4: 좋음 5: 매우 좋음
구분 | 맛 | 향 | 색 | 전체적인 기호도 |
실시예 1 | 4.3 | 4.5 | 4.2 | 4.3 |
실시예 2 | 4.2 | 4.3 | 4.3 | 4.3 |
비교예 1 | 3.6 | 3.5 | 3.6 | 3.6 |
비교예 2 | 2.8 | 3.0 | 3.2 | 3.0 |
비교예 3 | 3.2 | 2.9 | 2.9 | 3.0 |
비교예 4 | 3.8 | 3.6 | 3.8 | 3.8 |
비교예 5 | 2.6 | 2.6 | 2.7 | 2.7 |
비교예 6 | 2.2 | 2.0 | 2.0 | 2.1 |
상기와 같이 <실시예 1 ~ 2>의 고추장에 대한 평균기호도는 4.3으로 연령층 전반에 걸쳐 기호도가 좋음 이상으로 조사되었으며, 관능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향이나 구수한 맛, 단맛에서 일반 고추장에 비하여 높은 점수를 얻었을 뿐 아니라 짠맛이나 매운 맛에 있어서도 비교예들 및 일반 고추장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기호도가 좋은 독특한 맛과 향을 구현한다는 평을 얻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 i)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를 각각 추출하여 토복령 추출물, 감태나무 추출물 및 한련초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ii) 찹쌀을 증숙하여 찐 찹쌀을 제조하는 단계;
iii) 토복령 추출물, 감태나무 추출물 및 한련초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에 엿기름과 찐 찹쌀을 혼합하여 삭혀서 찹쌀 식혜를 제조하는 단계; 및
iv) 상기 찹쌀 식혜에 메줏가루, 고춧가루, 조청 및 식염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를 함유하는 고추장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에서 토복령 추출물, 감태나무 추출물 및 한련초 추출물은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를 각각 세척 및 건조한 후 물에 우려낸 후 여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를 함유하는 고추장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i)에서 토복령 추출물, 감태나무 추출물 및 한련초 추출물은 1 ~ 2 : 1 ~ 2 : 1 ~ 2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를 함유하는 고추장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i)에서 혼합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엿기름 10 ~ 20 중량부 및 찐 찹쌀 100 ~ 20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를 함유하는 고추장의 제조방법.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토복령 추출물, 감태나무 추출물 및 한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추장.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3242A KR102305520B1 (ko) | 2019-11-11 | 2019-11-11 |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를 함유하는 고추장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3242A KR102305520B1 (ko) | 2019-11-11 | 2019-11-11 |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를 함유하는 고추장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6592A true KR20210056592A (ko) | 2021-05-20 |
KR102305520B1 KR102305520B1 (ko) | 2021-09-27 |
Family
ID=76142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3242A KR102305520B1 (ko) | 2019-11-11 | 2019-11-11 |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를 함유하는 고추장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5520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03045A (ko) * | 2008-06-30 | 2010-01-07 |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 천일염 및 한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예방용 조성물 |
KR20160139194A (ko) * | 2015-05-27 | 2016-12-07 | 이재열 | 기능성 천연고추장 제조방법 |
-
2019
- 2019-11-11 KR KR1020190143242A patent/KR10230552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03045A (ko) * | 2008-06-30 | 2010-01-07 |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 천일염 및 한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예방용 조성물 |
KR20160139194A (ko) * | 2015-05-27 | 2016-12-07 | 이재열 | 기능성 천연고추장 제조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amjnnn님의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online], 2018.01.23. [2021.04.15. 검색], 인터넷:<URL : https://blog.naver.com/amjnnn/221191427793>*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05520B1 (ko) | 2021-09-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3386B1 (ko) | 생약추출물을 첨가한 능이버섯 세갈비 양념소스를 이용한 양념갈비 및 그 제조방법 | |
CN105410272A (zh) | 一种莲须荷叶茶及其加工方法 | |
KR101163564B1 (ko) | 한방 보리 된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된장 | |
KR20170136710A (ko) | 간장초절임 깻잎장아찌의 제조방법 | |
KR101220828B1 (ko) | 지장수 수육 바비큐 제조방법 | |
KR101079172B1 (ko) |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숙성 대추정과 | |
KR101518412B1 (ko) | 명태찜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명태찜 | |
KR101766288B1 (ko) | 사과현미국수와 그 제조방법 | |
CN105519744A (zh) | 一种金樱子茶固体饮料及制作方法 | |
KR101401646B1 (ko) | 기능성 국수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기능성 국수 | |
KR101877229B1 (ko) | 아스파라거스 및 차조기잎 성분을 포함하는 떡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
KR102305520B1 (ko) | 토복령, 감태나무 및 한련초를 함유하는 고추장 | |
KR100920494B1 (ko) | 복분자 열매와 잎을 이용한 복분자차의 제조방법 | |
KR102323687B1 (ko) | 은행 견과와 도라지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앙금의 제조 방법 | |
KR101402600B1 (ko) | 즉석국수 제조방법 | |
CN103931977A (zh) | 一种腊味蓝莓糕点及其制备方法 | |
KR102175589B1 (ko) | 귤과 사과를 이용한 빵의 제조방법 | |
KR101469932B1 (ko) | 황태 곤드레나물 밥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03918980B (zh) | 一种竹笋养生粥及其制备方法 | |
KR101111288B1 (ko) | 기능성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 |
KR101976835B1 (ko) | 감을 이용한 양갱의 제조방법 및 그 양갱 | |
KR101311902B1 (ko) | 호박과 고구마로 조성된 황금색 된장의 제조방법 | |
KR102128836B1 (ko) | 오죽잎을 이용한 오죽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죽면 | |
CN106307404A (zh) | 一种鳝鱼调味卤汁及其制作方法 | |
CN106307396A (zh) | 一种薰衣草清香夏威夷果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