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200070345A - 증착 마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증착 마스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0345A
KR20200070345A KR1020207014263A KR20207014263A KR20200070345A KR 20200070345 A KR20200070345 A KR 20200070345A KR 1020207014263 A KR1020207014263 A KR 1020207014263A KR 20207014263 A KR20207014263 A KR 20207014263A KR 20200070345 A KR20200070345 A KR 20200070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osition mask
frame
substrate
organic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4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유키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70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3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6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4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 C23C14/042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using mask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4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H01L51/0011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H10K71/16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using selective deposition, e.g. using a mask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증착 마스크 장치는, 기판측에 위치하는 제1 면으로부터 제1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면에 이르는 복수의 마스크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증착 마스크와, 증착 마스크의 일부에 겹치는 개구부가 마련됨과 함께 증착 마스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증착 마스크 장치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는, 복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증착 마스크와, 증착 마스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증착 마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운반 가능한 디바이스에서 사용되는 표시 장치에 대해서, 고정밀일 것, 예를 들어 화소 밀도가 400ppi 이상일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운반 가능한 디바이스에 있어서도, 초고해상도(UHD)에 대응하는 것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고, 이 경우, 표시 장치의 화소 밀도가 예를 들어 800ppi 이상일 것이 요구된다.
표시 장치 중에서도, 응답성의 양호함, 소비 전력의 낮음이나 콘트라스트의 높음 때문에, 유기 EL 표시 장치가 주목받고 있다. 유기 EL 표시 장치의 화소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원하는 패턴으로 배열된 관통 구멍이 형성된 증착 마스크를 사용하여, 원하는 패턴으로 화소를 형성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처음에, 유기 EL 표시 장치용 기판에 대해서 증착 마스크를 밀착시키고, 다음으로, 밀착시킨 증착 마스크 및 기판을 함께 증착 장치에 투입하고, 유기 재료를 기판에 증착시키는 증착 공정을 행한다. 이 경우, 높은 화소 밀도를 갖는 유기 EL 표시 장치를 정밀하게 제작하기 위해서는, 증착 마스크의 관통 구멍의 위치나 형상을 설계를 따라서 정밀하게 재현할 것이 요구된다.
유기 재료 등의 증착 재료를 기판에 증착시키는 증착 공정을 행하는 증착 장치는, 증착 마스크와, 증착 마스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증착 마스크 장치를 구비한다. 프레임은, 증착 마스크가 휘지 않도록, 증착 마스크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지지한다. 증착 마스크는, 용접, 접착, 도금, 땜납, 또는 압착 등에 의해 프레임에 고정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증착 마스크 장치에, 기판이 설치되어, 증착 공정이 행해진다.
일본 특허 제538225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1-234385호 공보
그런데, 증착 마스크 장치에 기판을 설치할 때, 기판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와 프레임이 간섭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기판을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곤란해져서, 기판의 원하는 위치에 증착 재료를 증착할 수 없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이와 같은 과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증착 마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는, 보유 지지 부재에 의해 보유 지지된 기판과 적어도 일시적으로 조합되는 증착 마스크 장치이며, 상기 기판측에 위치하는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면에 이르는 복수의 마스크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증착 마스크와, 상기 증착 마스크의 일부에 겹치는 개구부가 마련됨과 함께 상기 증착 마스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증착 마스크의 상기 제2 면에 면하는 표면과, 상기 표면에 대향하는 이면과, 상기 표면과 상기 이면 사이에서 넓어지는 외측면과, 상기 외측면보다도 내측에 있어서 상기 표면과 상기 이면 사이에서 넓어지고, 상기 개구부에 면하는 내측면을 갖고, 상기 프레임의 상기 표면 중 상기 개구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한 복수의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증착 마스크 장치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의 증착 마스크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수용부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외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의 증착 마스크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수용부는, 상기 외측면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의 증착 마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표면은, 상기 내측면측에 위치하는 제1 표면과, 상기 외측면측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제1 표면보다도 상기 이면측에 위치하는 제2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은, 중간면을 개재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표면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중간면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의 증착 마스크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수용부는,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의 증착 마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착 마스크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표면에 용접되는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 위치해도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의 증착 마스크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증착 마스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 쌍의 단부보다도 내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면을 갖는 증착 마스크와, 상기 증착 마스크측에 위치하는 제3 면과, 상기 제3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4 면을 갖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증착 마스크와 상기 프레임은, 접합부를 개재하여 서로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접합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5 면을 더 갖고, 상기 제5 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3 면보다도 상기 제4 면측에 위치하고 있는, 증착 마스크 장치이다.
본 개시에 의하면, 기판을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어, 기판의 원하는 위치에 증착 재료를 증착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증착 마스크 장치를 구비한 증착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한 증착 마스크 장치를 사용하여 제조한 유기 EL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증착 마스크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증착 마스크 장치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a에 도시한 증착 마스크 장치의 프레임의 수용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a는 증착 마스크의 귀부에 형성되는 접합부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b는 증착 마스크 장치의 귀부에 형성되는 접합부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c는 증착 마스크 장치의 귀부에 형성되는 접합부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d는 증착 마스크 장치의 귀부에 형성되는 접합부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e는 증착 마스크 장치의 귀부에 형성되는 접합부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a는 도 3의 증착 마스크 장치를 VA-VA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한 증착 마스크 장치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도 5a의 VB부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5b에 도시한 용접흔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도 5b의 VC부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5d는 용접흔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e는 용접흔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증착 마스크의 중간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중간부를 VII-VII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금속판 위에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면 에칭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2 면 에칭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금속판으로부터 수지 및 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는 프레임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b는 프레임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는 유기 EL 기판에 증착 재료를 증착시키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b는 유기 EL 기판에 증착 재료를 증착시키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는 유기 EL 기판에 증착 재료를 증착시키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b는 유기 EL 기판에 증착 재료를 증착시키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증착 마스크의 귀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증착 마스크 장치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a는 증착 마스크 장치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b는 증착 마스크 장치의 일 변형예에 있어서, 유기 EL 기판을 프레임에 설치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c는 증착 마스크 장치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증착 마스크 장치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증착 마스크 장치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증착 마스크 장치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의 VA-VA 방향에서 본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증착 마스크 장치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는 증착 마스크 장치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1의 XXII-XXII 방향에서 본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3a는 증착 마스크 장치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의 VA-VA 방향에서 본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3b는 증착 마스크 장치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의 VA-VA 방향에서 본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3c는 증착 마스크 장치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의 VA-VA 방향에서 본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3d는 증착 마스크 장치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의 VA-VA 방향에서 본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3e는 증착 마스크 장치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의 VA-VA 방향에서 본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3f는 증착 마스크 장치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의 VA-VA 방향에서 본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3g는 증착 마스크 장치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의 VA-VA 방향에서 본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3h는 증착 마스크 장치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의 VA-VA 방향에서 본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3i는 증착 마스크 장치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의 VA-VA 방향에서 본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3j는 증착 마스크 장치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의 VA-VA 방향에서 본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3k는 증착 마스크 장치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의 VA-VA 방향에서 본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3l은 증착 마스크 장치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의 VA-VA 방향에서 본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증착 마스크 장치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5a는 보유 지지 부재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의 VA-VA 방향에서 본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5b는 보유 지지 부재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의 VA-VA 방향에서 본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건 명세서에 첨부하는 도면에 있어서는, 도시와 이해의 용이함의 편의상, 축척 및 종횡의 치수비 등을, 실물의 그것들로부터 적절히 변경하여 과장하고 있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의 일례이며, 본 개시는 이들 실시 형태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및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실시 형태끼리를 조합하거나, 복수의 변형예끼리를 조합하거나, 복수의 실시 형태와 복수의 변형예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a 내지 도 1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에서는, 유기 EL 표시 장치를 제조할 때 유기 재료를 원하는 패턴으로 기판 위에 패터닝하기 위해 사용되는 증착 마스크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 이와 같은 적용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증착 마스크 장치에 대해서, 본 개시를 적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증착 마스크 장치(10)는, 컬러 필터의 투명 전극을 형성할 때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판」, 「시트」, 「필름」이라는 용어는, 호칭의 차이만을 기초로 하여, 서로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판」은 시트나 필름이라 불릴 수 있는 부재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판면(시트면, 필름면)」이란, 대상으로 되는 판형(시트형, 필름형)의 부재를 전체적이면서 또한 대국적으로 본 경우에 있어서 대상으로 되는 판형 부재(시트형 부재, 필름형 부재)의 평면 방향과 일치하는 면을 가리킨다. 또한, 판형(시트형, 필름형)의 부재에 대해서 사용하는 법선 방향이란, 당해 부재의 판면(시트면, 필름면)에 대한 법선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하는, 형상이나 기하학적 조건 및 물리적 특성 그리고 그것들의 정도를 특정하는, 예를 들어 「평행」, 「직교」, 「동일」, 「동등」 등의 용어나 길이나 각도 그리고 물리적 특성의 값 등에 대해서는, 엄밀한 의미에 얽매이지 않고, 마찬가지의 기능을 기대할 수 있을 정도의 범위를 포함하여 해석하기로 한다.
(증착 장치)
우선, 대상물에 증착 재료를 증착시키는 증착 처리를 실시하는 증착 장치(90)에 대하여, 도 1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착 장치(90)는, 증착원(예를 들어 도가니(94)), 히터(96), 및 증착 마스크 장치(10)를 구비한다. 도가니(94)는, 유기 발광 재료 등의 증착 재료(98)를 수용한다. 히터(96)는, 도가니(94)를 가열하여 증착 재료(98)를 증발시킨다. 증착 마스크 장치(10)는, 도가니(94)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증착 재료(98)를 부착시키는 대상물인 기판, 예를 들어 유기 EL 기판(92)은, 유기 EL 기판(92)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92A)에 의해 증착 마스크 장치(10) 위에 설치된다. 여기서, 보유 지지 부재(92A)는, 예를 들어 유기 EL 기판(92)을 끼움 지지하는 클램프여도 된다.
(증착 마스크 장치)
이하, 증착 마스크 장치(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착 마스크 장치(10)는, 증착 마스크(20)와, 증착 마스크(20)의 일부에 겹치는 개구부(15a)가 마련됨과 함께 증착 마스크(20)를 지지하는 프레임(15)을 구비한다. 프레임(15)은, 증착 마스크(20)가 휘어버리는 일이 없도록, 증착 마스크(20)를 그 면 방향으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지지한다. 증착 마스크 장치(10)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착 마스크(20)가, 증착 재료(98)를 부착시키는 대상물인 기판, 예를 들어 유기 EL 기판(92)에 대면하도록, 증착 장치(90) 내에 배치된다. 유기 EL 기판(9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기 EL 기판(92)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92A)에 의해 증착 마스크 장치(10) 위에 설치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증착 마스크(20)의 면 중, 유기 EL 기판(92)측의 면을 제1 면(20a)이라 칭하고, 제1 면(20a)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면을 제2 면(20b)이라 칭한다.
증착 마스크 장치(10)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 EL 기판(92)의, 증착 마스크(20)와 반대측의 면에 배치된 자석(93)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자석(93)을 마련함으로써, 자력에 의해 증착 마스크(20)를 자석(93)측에 가까이 끌어 당겨서, 증착 마스크(20)를 유기 EL 기판(92)에 밀착시킬 수 있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한 증착 마스크 장치(10), 유기 EL 기판(92) 및 보유 지지 부재(92A)를 증착 마스크(20)의 제1 면(20a) 측으로부터 본 경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착 마스크 장치(10)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복수의 증착 마스크(20)를 구비하고, 각 증착 마스크(20)는, 증착 마스크(2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 쌍의 단부(20e)의 근방에 위치하는 후술하는 접합부(19)에 있어서, 용접에 의해 프레임(15)에 고정되어 있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착 마스크(20)는, 증착 마스크(20)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25)을 포함한다. 도가니(94)로부터 증발하여 증착 마스크 장치(10)에 도달한 증착 재료(98)는, 증착 마스크(20)의 관통 구멍(25)을 통과하여 유기 EL 기판(92)에 부착된다. 이에 의해, 증착 마스크(20)의 관통 구멍(25)의 위치에 대응한 원하는 패턴으로, 증착 재료(98)를 유기 EL 기판(92)의 표면에 성막할 수 있다.
도 1b는, 도 1a의 증착 장치(90)를 사용하여 제조한 유기 EL 표시 장치(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유기 EL 표시 장치(100)는, 유기 EL 기판(92)과, 패턴형으로 마련된 증착 재료(98)를 포함하는 화소를 구비한다.
또한, 복수의 색에 의한 컬러 표시를 행하고 싶은 경우에는, 각 색에 대응하는 증착 마스크(20)가 탑재된 증착 장치(90)를 각각 준비하고, 유기 EL 기판(92)을 각 증착 장치(90)에 순서대로 투입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적색용 유기 발광 재료, 녹색용 유기 발광 재료 및 청색용 유기 발광 재료를 순서대로 유기 EL 기판(92)에 증착시킬 수 있다.
그런데, 증착 처리는, 고온 분위기로 되는 증착 장치(90)의 내부에서 실시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증착 처리 동안, 증착 장치(90)의 내부에 보유 지지되는 증착 마스크(20), 프레임(15) 및 유기 EL 기판(92)도 가열된다. 이때, 증착 마스크(20), 프레임(15) 및 유기 EL 기판(92)은, 각각의 열팽창 계수에 기초한 치수 변화의 거동을 나타내게 된다. 이 경우, 증착 마스크(20)나 프레임(15)과 유기 EL 기판(92)의 열팽창 계수가 크게 상이하면, 그것들의 치수 변화의 차이에 기인한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고, 이 결과, 유기 EL 기판(92) 위에 부착되는 증착 재료의 치수 정밀도나 위치 정밀도가 저하되어 버린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증착 마스크(20) 및 프레임(15)의 열팽창 계수가, 유기 EL 기판(92)의 열팽창 계수와 동등한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유기 EL 기판(92)으로서 유리 기판이 사용되는 경우, 증착 마스크(20) 및 프레임(15)의 주요 재료로서, 니켈을 포함하는 철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철 합금은, 니켈에 추가하여 코발트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증착 마스크(20)를 구성하는 금속판의 재료로서, 니켈 및 코발트의 함유량이 합계로 30질량% 이상이며 또한 50질량% 이하이고, 또한 코발트의 함유량이 0질량% 이상이며 또한 6질량% 이하인 철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니켈 혹은 니켈 및 코발트를 포함하는 철 합금의 구체예로서는, 34질량% 이상이며 또한 38질량% 이하의 니켈을 포함하는 인바재, 30질량% 이상이며 또한 34질량% 이하의 니켈에 추가하여 코발트를 더 포함하는 슈퍼 인바재, 48질량% 이상이며 또한 54질량% 이하의 니켈을 포함하는 저열팽창 Fe-Ni계 도금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증착 처리 시에, 증착 마스크(20), 프레임(15) 및 유기 EL 기판(92)의 온도가 고온에는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는, 증착 마스크(20) 및 프레임(15)의 열팽창 계수를, 유기 EL 기판(92)의 열팽창 계수와 동등한 값으로 할 필요는 특별히 없다. 이 경우, 증착 마스크(20)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상술한 철 합금 이외의 재료를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크롬을 포함하는 철 합금 등, 상술한 니켈을 포함하는 철 합금 이외의 철 합금을 사용해도 된다. 크롬을 포함하는 철 합금으로서는, 예를 들어 소위 스테인리스라 칭해지는 철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니켈이나 니켈-코발트 합금 등, 철 합금 이외의 합금을 사용해도 된다.
(프레임)
다음으로, 프레임(15)에 대하여, 도 2a에 추가하여 도 2b, 도 3, 도 5a 및 도 5b를 더욱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b는, 프레임(15)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a에 도시한 증착 마스크 장치(10)의 일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a는, 도 3의 증착 마스크 장치(10)를 VA-VA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증착 마스크 장치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도 5a의 VB부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2a, 도 2b, 도 3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5)은, 증착 마스크(20)의 제2 면(20b)에 면하는 표면(15b)(즉 제3 면)과, 표면(15b)에 대향하는 이면(15c)(즉 제4 면)과, 표면(15b)과 이면(15c) 사이에서 넓어지는 외측면(15d)과, 외측면(15d)보다도 내측에 있어서 표면(15b)과 이면(15c) 사이에서 넓어지고, 개구부(15a)에 면하는 내측면(15e)을 갖는다.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15b) 및 이면(15c)은, 증착 마스크(20)의 제1 면(20a)의 법선 방향 N을 따른 단면에서 보았을 때, 법선 방향 N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외측면(15d) 및 내측면(15e)은, 증착 마스크(20)의 제1 면(20a)의 법선 방향 N을 따른 단면에서 보았을 때, 법선 방향 N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표면(15b) 및 이면(15c)에 직교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증착 시에는, 도가니(94)로부터 증발한 증착 재료(98)는, 프레임(15)의 개구부(15a)를 통과하여 유기 EL 기판(92)에 부착된다. 또한, 프레임(15)의 외측면(15d) 및 내측면(15e)은, 증착 마스크(20)의 제1 면(20a)의 법선 방향 N을 따른 단면에서 보았을 때, 법선 방향 N으로부터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있어도 되거나, 또는 만곡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이와 같은 프레임(15)의 표면(15b) 중 개구부(15a)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복수의 수용부(15f)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복수의 수용부(15f)는, 후술하는 접합부(19)의 외측에 위치하고, 수용부의 면(151f)(즉 제5 면)은, 프레임(15)의 표면(15b)(즉 제3 면)보다도 이면(15c)(즉 제4 면)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수용부(15f)는, 보유 지지 부재(92A)에 의해 보유 지지된 유기 EL 기판(92)을 증착 마스크 장치(10)에 조합할 때, 보유 지지 부재(92A)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5a 및 도 5b 참조). 이에 의해, 유기 EL 기판(92)을 증착 마스크 장치(10)에 설치할 때 보유 지지 부재(92A)가 프레임(15)과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해, 유기 EL 기판(92)을 증착 마스크 장치(10)에 대해서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수용부(15f)는, 표면(15b)에 형성된 오목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표면(15b) 중, 수용부(15f)의 내측에 위치하는 표면(151b)과, 수용부(15f)의 외측에 위치하는 표면(152b)은, 제1 면(20a)의 법선 방향 N을 따라 본 경우에, 동일표면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보유 지지 부재(92A)가 프레임(15)과 간섭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복수의 수용부(15f)를 마련하는 것 이외에도, 보유 지지 부재(92A)가 프레임(15)과 간섭하지 않도록 프레임(15)의 폭(외측면(15d)과 내측면(15e) 사이의 거리)을 작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보유 지지 부재(92A)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한 복수의 수용부(15f)를, 프레임(15)의 표면(15b)에 이산적으로 마련함으로써, 프레임(15) 중, 두께 S1(도 5b 참조)을 갖는 수용부(15f)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프레임(15)의 전역으로 분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프레임(15)에 수용부(15f)를 마련함으로써 발생하는 프레임(15)의 강도의 저하 정도를 작게 할 수 있다. 즉, 프레임(15)의 폭을 작게 하는 경우와 비교한 경우에, 프레임(15) 중, 두께 S1(도 5b 참조)을 갖는 부분의 평면에서 볼 때의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프레임(15)의 강성 등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프레임(15)이 증착 마스크(20)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지지할 때, 증착 마스크(20)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프레임(15)에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프레임(15)에 지지된 증착 마스크(20)를 사용하여 증착 재료(98)를 유기 EL 기판(92)에 정밀도 좋게 증착시킬 수 있다.
도 5b에 있어서, 부호 S2는, 수용부(15f)가 마련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의 프레임(15)의 두께를 나타낸다. 두께 S2는, 보유 지지 부재(92A)가 프레임(15)과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보유 지지 부재(92A)의 치수에 따라서 정해진다. 예를 들어, 두께 S2는, 2㎜ 이상이어도 되고, 5㎜ 이상이어도 되고, 7㎜ 이상이어도 되며, 10㎜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두께 S2는, 20㎜ 이하여도 되고, 18㎜ 이하여도 되고, 15㎜ 이하여도 되며, 12㎜ 이하여도 된다. 두께 S2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상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하나와, 상술한 복수의 하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하나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두께 S2의 범위는, 2㎜ 이상 20㎜ 이하여도 되고, 5㎜ 이상 18㎜ 이하여도 되고, 7㎜ 이상 15㎜ 이하여도 되며, 10㎜ 이상 12㎜ 이하여도 된다. 또한, 두께 S2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상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2개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두께 S2의 범위는, 15㎜ 이상 18㎜ 이하여도 된다. 또한, 두께 S2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하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2개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두께 S2의 범위는, 7㎜ 이상 10㎜ 이하여도 된다.
수용부(15f)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있어서의 프레임(15)의 두께 S1은, 프레임(15)에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정해져 있으며, 예를 들어 두께 S1은, 5㎜ 이상이어도 되고, 10㎜ 이상이어도 되고, 15㎜ 이상이어도 되며, 20㎜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두께 S1은, 35㎜ 이하여도 되고, 30㎜ 이하여도 되고, 25㎜ 이하여도 되며, 20㎜ 이하여도 된다. 두께 S1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상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하나와, 상술한 복수의 하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하나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두께 S1의 범위는, 5㎜ 이상 35㎜ 이하여도 되고, 10㎜ 이상 30㎜ 이하여도 되며, 15㎜ 이상 25㎜ 이하여도 된다. 또한, 두께 S1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상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2개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두께 S1의 범위는, 20㎜ 이상 30㎜ 이하여도 된다. 또한, 두께 S1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하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2개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두께 S1의 범위는, 10㎜ 이상 15㎜ 이하여도 된다. 또한, 두께 S1은, 수용부(15f)가 마련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의 프레임(15)의 두께 S2에 따라서 정해져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두께 S1은, 1.5×S2 이상 3.0×S2 이하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15)의 표면(15b)의 전체 면적(도 2b에 도시한 사선 부분) 중 복수의 수용부(15f)가 마련되어 있는 부분(도 2b에 도시한 반점 무늬 부분)의 면적의 비율(이하, '수용부율'이라고도 칭함)이, 프레임(15)에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정해져 있다. 수용부율은, 예를 들어 5% 이상이어도 되고, 7% 이상이어도 되며, 9%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수용부율은, 15% 이하여도 되고, 13% 이하여도 되며, 11% 이하여도 된다. 수용부율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상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하나와, 상술한 복수의 하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하나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수용부율의 범위는, 5% 이상 15% 이하여도 되고, 7% 이상 13% 이하여도 되며, 9% 이상 11% 이하여도 된다. 또한, 수용부율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상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2개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수용부율의 범위는, 11% 이상 15% 이하여도 된다. 또한, 수용부율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하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2개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수용부율의 범위는, 5% 이상 9% 이하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수용부(15f)는, 외측면(15d)과 내측면(15e) 사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복수의 수용부(15f)는, 증착 마스크(20)의 한 쌍의 단부(20e)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수용부(15f)를 외측면(15d)과 내측면(15e) 사이에 형성함으로써, 프레임(15)의 표면(15b)에 있어서, 수용부(15f)의 외측에 두께 S1의 영역을 확보할 수 있어, 프레임(15)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외측」이란, 도 2a에 있어서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증착 마스크(2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증착 마스크(20)의 중심선 CL로부터 멀어지는 측이다. 또한, 「내측」이란, 증착 마스크(2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증착 마스크(20)의 중심선 CL에 가까워지는 측이다. 여기서, 증착 마스크(20)의 중심선 CL은, 증착 마스크(20)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중, 증착 마스크(2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 쌍의 단부(20e) 간을 이등분하는 중간점 C(도 2a 참조)를 통과하는 직선이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용부(15f)는, 내측면(15e)에 의해 구획 형성된 개구부(15a)의 변을 따라서 배열되어 있다. 도 2a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개구부(15a)는, 4개의 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복수의 수용부(15f)는, 개구부(15a)의 변 중 대향하는 한 쌍의 변을 따라서 배열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증착 마스크(20)도, 그 귀부(17)가, 복수의 수용부(15f)가 배열되는 개구부(15a)의 변과 동일한 변을 따라서 배열하도록, 프레임(15)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수용부(15f)는, 복수의 증착 마스크(20)의 귀부(17)가 배열되는 개구부(15a)의 변과는 상이한 변을 따라서 배열되어 있어도 된다.
수용부(15f)의 개수나 치수는, 유기 EL 기판(92)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92A)의 치수 등에 의해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유기 EL 기판(92)을 프레임(15)에 설치했을 때(유기 EL 기판(92)이 증착 마스크(20)의 제1 면(20a)에 접촉했을 때), 보유 지지 부재(92A)가 수용부(15f)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범위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15f)의 길이 L1(증착 마스크(20)의 길이 방향을 따른 길이(도 3 참조))은, 예를 들어 15㎜ 이상 50㎜ 이하로 할 수 있고, 수용부(15f)의 폭 W(증착 마스크(20)의 폭 방향을 따른 길이(도 3 참조))는, 5㎜ 이상이어도 되고, 10㎜ 이상이어도 되고, 15㎜ 이상이어도 되고, 20㎜ 이상이어도 되며, 25㎜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폭 W는, 50㎜ 이하여도 되고, 45㎜ 이하여도 되고, 40㎜ 이하여도 되며, 35㎜ 이하여도 된다. 폭 W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상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하나와, 상술한 복수의 하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하나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폭 W의 범위는, 5㎜ 이상 50㎜ 이하여도 되고, 10㎜ 이상 45㎜ 이하여도 되며, 15㎜ 이상 40㎜ 이하여도 된다. 또한, 폭 W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상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2개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폭 W의 범위는, 35㎜ 이상 45㎜ 이하여도 된다. 또한, 폭 W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하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2개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폭 W의 범위는, 10㎜ 이상 20㎜ 이하여도 된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수용부(15f)간의 거리 L2(도 2a 참조)는, 예를 들어 50㎜ 이상이어도 되고, 80㎜ 이상이어도 되고, 100㎜ 이상이어도 되고, 130㎜ 이상이어도 되며, 150㎜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거리 L2는, 250㎜ 이하여도 되고, 220㎜ 이하여도 되고, 200㎜ 이하여도 되며, 180㎜ 이하여도 된다. 거리 L2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상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하나와, 상술한 복수의 하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하나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거리 L2의 범위는, 50㎜ 이상 250㎜ 이하여도 되고, 80㎜ 이상 220㎜ 이하여도 되며, 100㎜ 이상 200㎜ 이하여도 된다. 또한, 거리 L2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상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2개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거리 L2의 범위는, 200㎜ 이상 220㎜ 이하여도 된다. 또한, 거리 L2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하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2개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거리 L2의 범위는, 130㎜ 이상 150㎜ 이하여도 된다.
또한, 도 2a에 있어서는, 개구부(15a)의 변을 따라서 배열되는 복수의 수용부(15f)의 주기가, 개구부(15a)의 동일한 변을 따라서 배열되는 복수의 증착 마스크(20)의 주기와 일치하고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수용부(15f)의 주기가, 복수의 증착 마스크(20)의 주기와 상이해도 된다.
또한, 프레임(15)의 내측면(15e)으로부터 수용부(15f)까지의 거리 L3(도 3 참조)은, 예를 들어 1㎜ 이상 20㎜ 이하로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 이상 20㎜ 이하로 할 수 있다. 프레임(15)의 내측면(15e)으로부터 수용부(15f)까지의 거리 L3을 3㎜ 이상으로 함으로써, 접합부(19)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접합부(19)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프레임(15)의 내측면(15e)으로부터 수용부(15f)까지의 거리 L3을 20㎜ 이하로 함으로써, 개구부(15a)의 개구 면적을 넓게 할 수 있어, 증착에 유효한 에어리어를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5)의 내측면(15e)으로부터 수용부(15f)까지의 거리 L3은, 예를 들어 1㎜ 이상이어도 되고, 3㎜ 이상이어도 되고, 5㎜ 이상이어도 되며, 10㎜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거리 L3은, 20㎜ 이하여도 되고, 18㎜ 이하여도 되며, 15㎜ 이하여도 된다. 거리 L3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상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하나와, 상술한 복수의 하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하나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거리 L3의 범위는, 1㎜ 이상 20㎜ 이하여도 되고, 3㎜ 이상 18㎜ 이하여도 되며, 5㎜ 이상 15㎜ 이하여도 된다. 또한, 거리 L3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상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2개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거리 L3의 범위는, 15㎜ 이상 18㎜ 이하여도 된다. 또한, 거리 L3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하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2개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거리 L3의 범위는, 3㎜ 이상 10㎜ 이하여도 된다.
또한, 프레임(15)의 외측면(15d)으로부터 수용부(15f)까지의 거리 L4(도 3 참조)는, 예를 들어 10㎜ 이상 80㎜ 이하로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프레임(15)의 외측면(15d)으로부터 수용부(15f)까지의 거리 L4를 30㎜ 이상으로 함으로써, 프레임(15)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5)의 외측면(15d)으로부터 수용부(15f)까지의 거리 L4는, 예를 들어 10㎜ 이상이어도 되고, 20㎜ 이상이어도 되고, 30㎜ 이상이어도 되며, 40㎜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거리 L4는, 80㎜ 이하여도 되고, 70㎜ 이하여도 되고, 60㎜ 이하여도 되며, 50㎜ 이하여도 된다. 거리 L4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상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하나와, 상술한 복수의 하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하나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거리 L4의 범위는, 10㎜ 이상 80㎜ 이하여도 되고, 20㎜ 이상 70㎜ 이하여도 되며, 30㎜ 이상 60㎜ 이하여도 된다. 또한, 거리 L4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상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2개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거리 L4의 범위는, 50㎜ 이상 80㎜ 이하여도 된다. 또한, 거리 L4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하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2개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거리 L4의 범위는, 10㎜ 이상 40㎜ 이하여도 된다.
또한, 도 2a 내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15f)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 형상을 갖고 있지만, 수용부(15f)의 형상은 임의로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평면에서 볼 때 원 형상이나 타원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되고, 육각형이나 팔각형과 같은 다각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각각의 수용부(15f)는,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되며, 예를 들어 평면에서 볼 때 원 형상, 타원 형상, 육각형이나 팔각형과 같은 다각 형상을 각각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수용부(15f)는, 프레임(15)을 관통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프레임(15)을 관통하는 수용부(15f)와, 프레임(15)을 관통하지 않은 수용부(15f)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증착 마스크)
다음으로, 증착 마스크(2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착 마스크(20)는, 증착 마스크(2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 쌍의 단부(20e)를 구성하는 한 쌍의 귀부(17)와, 한 쌍의 귀부(17)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18)를 구비하고 있다.
(귀부)
우선, 귀부(17)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귀부(17)는, 증착 마스크(20) 중 프레임(15)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귀부(17)는, 제2 면(20b)측에 있어서 용접 등에 의해 프레임(15)에 고정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귀부(17) 및 프레임(15) 중 용접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는 부분을, 접합부(19)라고 칭한다. 이 접합부(19)는, 상술한 프레임(15)의 개구부(15a)와, 수용부(15f)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귀부(17)에 형성되는 접합부(19)는, 용접흔(19a)을 포함한다. 용접흔(19a)은, 증착 마스크(20)의 제2 면(20b)을 프레임(15)에 용접한 것에 기인하여 증착 마스크(20)의 제1 면(20a) 측에 형성된 흔적이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합부(19)는, 증착 마스크(20)의 폭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복수의 점 형상의 용접흔(19a)을 포함한다. 이러한 복수의 점 형상의 용접흔(19a)은, 예를 들어 증착 마스크(20)의 폭 방향을 따르는 각 위치에 있어서 귀부(17)에 레이저광을 간헐적으로 점 형상으로 조사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평면에서 볼 때의 용접흔(19a)의 배치나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접흔(19a)은, 증착 마스크(20)의 폭 방향을 따라서 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용접흔(19a)은, 예를 들어 증착 마스크(20)의 폭 방향을 따르는 각 위치에 있어서 귀부(17)에 레이저광을 연속적으로 선 형상으로 조사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경우, 용접흔(19a)이, 증착 마스크(20)의 폭 방향을 따라서 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용접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접흔(19a)이, 점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용접흔(191a)과, 선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용접흔(192a)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용접흔(19a)이, 복수의 제1 용접흔(191a)과, 복수의 제2 용접흔(192a)을 포함하고 있으며, 제1 용접흔(191a) 및 제2 용접흔(192a)은, 증착 마스크(20)의 폭 방향을 따라서 규칙적으로, 즉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각각의 제2 용접흔(192a)의 형상이 서로 상이해도 된다. 또한, 제1 용접흔(191a)이 하나만이어도 되고, 제2 용접흔(192a)이 하나만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용접흔(19a)이, 선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용접흔(192a)을 포함함으로써, 용접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용접흔(191a) 및 제2 용접흔(192a)이, 증착 마스크(20)의 폭 방향을 따라서 불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증착 마스크(2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제2 용접흔(192a) 간에 배치되는 제1 용접흔(191a)의 개수가, 서로 상이하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도, 예를 들어 각각의 제2 용접흔(192a)의 형상이 서로 상이해도 된다. 또한, 증착 마스크(2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제2 용접흔(192a) 간에 배치되는 제1 용접흔(191a)의 개수는 임의이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증착 마스크(20)의 용접 강도를 높이고 싶은 부분에 있어서, 용접흔(19a)의 밀도를 선택적으로 높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점 형상의 용접흔(19a)이, 증착 마스크(20)의 폭 방향을 따라서 다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용접흔(19a)은, 증착 마스크(20)의 폭 방향을 따라서 2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용접흔(19a)은, 증착 마스크(20)의 폭 방향을 따라서 3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4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복수의 점 형상의 용접흔(19a)이, 증착 마스크(20)의 폭 방향을 따라서 다열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용접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접흔(19a)이, 증착 마스크(20)의 폭 방향을 따라서 프레임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용접흔(19a)이, 증착 마스크(20)의 폭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기 때문에, 용접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접흔(19a)은, 귀부(17)의 제1 면(20a)으로부터 제2 면(20b)을 개재하여 프레임(15)에 이르고 있다. 용접흔(19a)은, 증착 마스크(20)의 귀부(17) 및 프레임(15) 중, 용접 시에 용융된 부분(즉 용융 영역(19f))이 고화된 부분이며, 귀부(17)의 제1 면(20a)으로부터 제2 면(20b)에 이르는 부분 및 프레임(15)의 일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 용접흔(19a)은, 증착 마스크(20)의 귀부(17)와 프레임(15)을 서로 접합하고 있다. 용접흔(19a)에 있어서는, 용접의 후에 용융 영역(19f)의 온도가 저하되어 용융 영역(19f)이 고화될 때 재료의 결정화가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용접흔(19a)은, 귀부(17) 및 프레임(15)에 걸치는 결정립을 포함한다. 이 용접흔(19a)은, 예를 들어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착 마스크(20)의 제1 면(20a)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용접흔(19a)은,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접흔(19a)의 상면(19b)이 증착 마스크(20)의 제1 면(20a)과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용접흔(19a)은,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착 마스크(20)의 제1 면(20a)에 대해서 제2 면(20b)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경우, 유기 EL 기판(92)에 대해서 증착 재료(98)를 증착시킬 때, 증착 마스크(20)와 유기 EL 기판(92)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있어서, 증착 처리 시에 증착 마스크(20)에 밀착되는 유기 EL 기판(92)을, 점선으로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유기 EL 기판(92)은, 증착 마스크(20) 중 접합부(19)가 형성되는 부분보다도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유기 EL 기판(92)이 프레임(15)에 설치될 때에는, 유기 EL 기판(92)은, 보유 지지 부재(92A)에 의해 보유 지지되면서 프레임(15)에 설치된다. 또한, 보유 지지 부재(92A)는, 유기 EL 기판(92)에 증착 재료(98)를 증착할 때 유기 EL 기판(92)으로부터 분리되어도 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귀부(17)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증착 마스크(20)가 프레임(15)에 용접된 후에, 프레임(15)의 개구부(15a)와 수용부(15f) 사이에 있어서 절단되어, 일부분이 제거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증착 마스크(2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 쌍의 단부(20e)는, 프레임(15)의 개구부(15a)와 수용부(15f) 사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중간부)
다음으로, 중간부(18)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 도 3,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부(18)는, 제1 면(20a)으로부터 제2 면(20b)에 이르는 관통 구멍(25)이 형성된 유효 영역(22)과, 유효 영역(22)을 둘러싸는 주위 영역(23)을 포함한다. 주위 영역(23)은, 유효 영역(22)을 지지하기 위한 영역이며, 유기 EL 기판(92)으로 증착되는 것을 의도한 증착 재료가 통과하는 영역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유효 영역(22)은, 증착 마스크(20) 중, 유기 EL 기판(92)의 표시 영역에 대면하는 영역이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효 영역(22)은, 예를 들어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사각형 형상, 더 정확하게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 형상의 윤곽을 갖는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 유효 영역(22)은, 유기 EL 기판(92)의 표시 영역의 형상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의 윤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유효 영역(22)은, 원 형상의 윤곽을 갖고 있어도 된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부(18)는, 증착 마스크(2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유효 영역(22)을 포함한다. 하나의 유효 영역(22)은, 하나의 유기 EL 표시 장치(100)의 표시 영역에 대응한다. 이 때문에, 도 1a에 도시한 증착 마스크 장치(10)에 의하면, 유기 EL 표시 장치(100)의 다면부 증착이 가능하다.
이하, 중간부(18)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중간부(18)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중간부(18)를 VII-VII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관통 구멍(25)은, 유효 영역(22)에 있어서, 서로 직교하는 2방향을 따라서 각각 소정의 피치로 규칙적으로 배열된다.
이하, 유효 영역(22)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증착 마스크(20)의 제2 면(20b)측으로부터 유효 영역(22)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 있어서, 각 유효 영역(22)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25)은, 당해 유효 영역(22)에 있어서, 서로 직교하는 2방향을 따라서 각각 소정의 피치로 배열되어 있다.
도 7은, 도 6의 유효 영역(22)의 VII-VII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관통 구멍(25)은, 증착 마스크(20)의 제1 면(20a)으로부터, 제2 면(20b)으로 관통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증착 마스크(20)의 제1 면(20a)의 법선 방향 N에 있어서의 한쪽 측으로 되는 금속판(64)의 제1 면(64a)에 제1 오목부(30)가 에칭에 의해 형성되고, 당해 법선 방향 N에 있어서의 다른 쪽 측으로 되는 금속판(64)의 제2 면(64b)에 제2 오목부(35)가 형성된다. 제1 오목부(30)는, 제2 오목부(35)에 접속되고, 이것에 의해 제2 오목부(35)와 제1 오목부(30)가 서로 통하도록 형성된다. 관통 구멍(25)은, 제2 오목부(35)와, 제2 오목부(35)에 접속된 제1 오목부(3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오목부(30)의 벽면(31)과, 제2 오목부(35)의 벽면(36)은, 둘레 형상의 접속부(41)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접속부(41)는, 증착 마스크(20)의 평면에서 볼 때 관통 구멍(25)의 개구 면적이 최소로 되는 관통부(42)를 구획 형성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착 마스크(20)의 제1 면(20a) 측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관통 구멍(25)은, 금속판(64)의 제1 면(64a)을 따라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증착 마스크(20)의 제2 면(20b)측에 있어서도, 인접하는 2개의 제2 오목부(35)가, 금속판(64)의 제2 면(64b)을 따라서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있어도 된다. 즉, 인접하는 2개의 제2 오목부(35) 사이에 금속판(64)의 제2 면(64b)이 잔존해 있어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금속판(64)의 제2 면(64b)의 유효 영역(22) 중 에칭되지 않고 남아 있는 부분을, 톱부(43)라고도 칭한다. 이러한 톱부(43)가 남도록 증착 마스크(20)를 제작함으로써, 증착 마스크(20)에 충분한 강도를 갖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어 반송 중 등에 증착 마스크(20)가 파손되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톱부(43)의 폭 β가 너무 크면, 증착 공정에 있어서 섀도우가 발생하고, 이에 의해 증착 재료(98)의 이용 효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톱부(43)의 폭 β가 과잉으로 커지지 않도록 증착 마스크(20)가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증착 마스크 장치(10)가 증착 장치(90)에 수용된 경우, 도 7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증착 마스크(20)의 제1 면(20a)이, 유기 EL 기판(92)에 대면하고, 증착 마스크(20)의 제2 면(20b)이, 증착 재료(98)를 보유 지지한 도가니(94)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증착 재료(98)는, 점차 개구 면적이 작아져 가는 제2 오목부(35)를 통과하여 유기 EL 기판(92)에 부착된다. 도 7에 있어서 제2 면(20b)측으로부터 제1 면(20a)을 향하는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증착 재료(98)는, 도가니(94)로부터 유기 EL 기판(92)을 향하여 증착 마스크(20)의 제1 면(20a)의 법선 방향 N을 따라서 이동할 뿐만 아니라, 당해 법선 방향 N에 대해서 크게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기도 한다. 이때, 증착 마스크(20)의 두께가 크면, 비스듬히 이동하는 증착 재료(98)가, 톱부(43), 제2 오목부(35)의 벽면(36)이나 제1 오목부(30)의 벽면(31)에 걸리기 쉬워져서, 이 결과, 관통 구멍(25)을 통과할 수 없는 증착 재료(98)의 비율이 많아진다. 따라서, 증착 재료(98)의 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증착 마스크(20)의 두께 t를 작게 하고, 이에 의해, 제2 오목부(35)의 벽면(36)이나 제1 오목부(30)의 벽면(31)의 높이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즉, 증착 마스크(20)를 구성하기 위한 금속판(64)으로서, 증착 마스크(20)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두께 t가 작은 금속판(64)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증착 마스크(20)의 두께 t는, 예를 들어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하로 되어 있다. 한편, 증착 마스크(20)의 두께가 너무 작아지면, 증착 마스크(20)의 강도가 저하되고, 증착 마스크(20)에 손상이나 변형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점을 고려하여, 증착 마스크(20)의 두께 t는,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증착 마스크(20)의 두께 t는, 8㎛ 이상이어도 되고, 10㎛ 이상이어도 되고, 12㎛ 이상이어도 되고, 13㎛ 이상이어도 되며, 15㎛ 이상이어도 된다. 증착 마스크(20)의 두께 t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상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하나와, 상술한 복수의 하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하나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증착 마스크(20)의 두께 t의 범위는, 5㎛ 이상 30㎛ 이하여도 되고, 8㎛ 이상 25㎛ 이하여도 되고, 10㎛ 이상 20㎛ 이하여도 되고, 13㎛ 이상 20㎛ 이하여도 되며, 15㎛ 이상 20㎛ 이하여도 된다. 또한, 증착 마스크(20)의 두께 t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상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2개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증착 마스크(20)의 두께 t의 범위는, 20㎛ 이상 25㎛ 이하여도 된다. 또한, 증착 마스크(20)의 두께 t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하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2개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증착 마스크(20)의 두께 t의 범위는, 13㎛ 이상 15㎛ 이하여도 된다. 또한 두께 t는, 주위 영역(23)의 두께, 즉 증착 마스크(20) 중 제1 오목부(30) 및 제2 오목부(3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두께이다. 따라서 두께 t는, 금속판(64)의 두께라고 할 수도 있다.
도 7에 있어서, 관통 구멍(25)의 최소 개구 면적을 갖는 부분이 되는 접속부(41)와, 제2 오목부(35)의 벽면(36)의 다른 임의의 위치를 통과하는 직선 L5가, 증착 마스크(20)의 제1 면(20a)의 법선 방향 N에 대해서 이루는 최소 각도가, 부호θ1로 표시되어 있다. 비스듬하게 이동하는 증착 재료(98)를, 벽면(36)에 도달시키지 않고 가능한 한 유기 EL 기판(92)에 도달시키기 위해서는, 각도 θ1을 크게 하는 것이 유리해진다. 각도 θ1을 크게 하는 데 있어서는, 증착 마스크(20)의 두께 t를 작게 하는 것 외에도, 상술한 톱부(43)의 폭 β를 작게 하는 것도 유효하다.
도 7에 있어서, 부호 α는, 금속판(64)의 제1 면(64a)의 유효 영역(22) 중 에칭되지 않고 남아 있는 부분(이하, '리브부'라고도 칭함)의 폭을 나타내고 있다. 리브부의 폭 α 및 관통부(42)의 치수 r은, 유기 EL 표시 장치의 치수 및 표시 화소수에 따라서 적절히 정해진다. 예를 들어, 리브부의 폭 α는 5㎛ 이상이며 또한 40㎛ 이하이고, 관통부(42)의 치수 r은 10㎛ 이상이며 또한 60㎛ 이하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2개의 제2 오목부(35) 사이에 금속판(64)의 제2 면(64b)이 잔존해 있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인접하는 2개의 제2 오목부(35)가 접속되도록 에칭이 실시되어도 된다. 즉, 인접하는 2개의 제2 오목부(35) 사이에, 금속판(64)의 제2 면(64b)이 잔존해 있지 않은 장소가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증착 마스크 장치(10)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증착 마스크 장치(10)의 증착 마스크(20)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증착 마스크의 제조 방법
우선, 증착 마스크(20)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주로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복수매의 증착 마스크(20)에 대응하는 다수의 관통 구멍(25)을 금속판(64)에 형성한다. 바꾸어 말하면, 금속판(64)에 복수매의 증착 마스크(20)를 할당한다. 그 후, 금속판(64) 중 1장분의 증착 마스크(20)에 대응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25)이 형성된 부분을 금속판(64)으로부터 분리한다. 이와 같이 하여, 매엽형의 증착 마스크(20)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우선, 금속판(64)의 제1 면(64a) 위 및 제2 면(64b) 위에 감광성 레지스트 재료를 포함하는 레지스트막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레지스트막을 노광 및 현상한다. 이에 의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판(64)의 제1 면(64a) 위에 제1 레지스트 패턴(65a)을 형성하고, 금속판(64)의 제2 면(64b) 위에 제2 레지스트 패턴(65b)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판(64)의 제1 면(64a) 중 제1 레지스트 패턴(65a)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영역을, 제1 에칭액을 사용하여 에칭하는 제1 면 에칭 공정을 실시한다. 이에 의해, 금속판(64)의 제1 면(64a)에 다수의 제1 오목부(30)가 형성된다. 제1 에칭액으로서는, 예를 들어 염화제2철 용액 및 염산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한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판(64)의 제2 면(64b) 중 제2 레지스트 패턴(65b)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영역을 에칭하여, 제2 면(64b)에 제2 오목부(35)을 형성하는 제2 면 에칭 공정을 실시한다. 제2 면 에칭 공정은, 제1 오목부(30)와 제2 오목부(35)가 서로 통하고, 이에 의해 관통 구멍(25)이 형성되게 될 때까지 실시된다. 제2 에칭액으로서는, 상술한 제1 에칭액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염화제2철 용액 및 염산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한다. 또한, 제2 면 에칭 공정 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에칭액에 대한 내성을 가진 수지(69)에 의해 제1 오목부(30)가 피복되어 있어도 된다.
그 후,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판(64)으로부터 수지(69)를 제거한다. 수지(69)는, 예를 들어 알칼리계 박리액을 사용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알칼리계 박리액이 사용되는 경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69)와 동시에 레지스트 패턴(65a, 65b)도 제거된다. 또한, 수지(69)를 제거한 후, 수지(69)를 박리시키기 위한 박리액과는 상이한 박리액을 사용하여, 수지(69)와는 별도로 레지스트 패턴(65a, 65b)을 제거해도 된다.
그 후, 금속판(64) 중 1장분의 증착 마스크(20)에 대응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25)이 형성된 부분을 금속판(64)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증착 마스크(20)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프레임(15)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프레임의 제조 방법
우선, 프레임(15)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판(150)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금속판(150)에 대해서 절삭 등의 기계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15b)과, 표면(15b)에 대향하는 이면(15c)과, 표면(15b)과 이면(15c) 사이에서 넓어지는 외측면(15d)과, 외측면(15d)보다도 내측에 있어서 표면(15b)과 이면(15c) 사이에서 넓어지고, 개구부(15a)에 면하는 내측면(15e)을 갖는 프레임(15)이 얻어진다. 또한, 이때, 금속판(150)에 대해서 절삭 등의 기계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프레임(15)의 표면(15b) 중 개구부(15a)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복수의 수용부(15f)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프레임(15)이 제작된다. 또한, 프레임(15)은, 주형이나 3D 프린터를 사용하여 제작되어도 된다.
증착 마스크 장치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증착 마스크(20)를 프레임(15)에 용접하는 용접 공정을 실시한다. 이에 의해, 증착 마스크(20) 및 프레임(15)을 구비하는 증착 마스크 장치(10)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우선, 증착 마스크(20)를 프레임(15) 위에 배치한다. 다음으로,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용접 장치에 의해, 증착 마스크(20)의 제1 면(20a) 측으로부터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이에 의해,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착 마스크(20)의 귀부(17)의 일부 및 프레임(15)의 일부가 용융되어, 귀부(17)의 제1 면(20a)으로부터 제2 면(20b)을 개재하여 프레임(15)에 이르는 용융 영역(19f)이 형성된다. 이 용융 영역(19f)은, 귀부(17) 및 프레임(15)에 걸쳐 있다.
레이저광으로서는, 예를 들어 YAG 레이저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YAG 레이저광을 사용할 수 있다. YAG 레이저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YAG(이트륨·알루미늄·가닛)에 Nd(네오디뮴)을 첨가한 결정을 발진용 매질로서 구비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본파로서, 파장이 약 1064㎚의 레이저광이 생성된다. 또한, 기본파를 비선형 광학 결정에 통과시킴으로써, 파장이 약 532㎚인 제2 고조파가 생성된다. 또한, 기본파 및 제2 고조파를 비선형 광학 결정에 통과시킴으로써, 파장이 약 355㎚인 제3 고조파가 생성된다.
YAG 레이저광의 제3 고조파는, 니켈을 포함하는 철 합금에 흡수되기 쉽다. 따라서, 증착 마스크(20)의 귀부(17) 및 프레임(15)의 일부를 효율적으로 용융시키기 위해서는 레이저광이 YAG 레이저광의 제3 고조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광의 조사가 종료되면, 용융 영역(19f)의 온도가 저하되고, 용융 영역(19f)이 고화되어 용접흔(19a)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증착 마스크(20)의 귀부(17)와 프레임(15)이 용접흔(19a)에 의해 서로 접합된다. 이와 같이 하여, 프레임(15)과, 접합부(19)에 의해 프레임(15)에 접합된 증착 마스크(20)를 구비하는 증착 마스크 장치(10)를 얻을 수 있다.
그 후, 증착 마스크(20)의 귀부(17)가, 프레임(15)의 개구부(15a)와 수용부(15f) 사이에 있어서 절단되고, 귀부(17)의 일부가 제거된다.
증착 재료의 증착 방법
다음으로, 상술한 공정에 의해 얻어진 증착 마스크 장치(10)를 사용하여 유기 EL 기판(92)에 증착 재료(98)를 증착하는 증착 재료의 증착 방법에 대하여, 주로 도 13a 내지 도 1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술한 공정에 의해 얻어진 증착 마스크 장치(10)를 준비한다. 즉,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증착 마스크 장치(10), 증착 재료(98)가 수용된 도가니(94) 및 히터(96)를 구비하는 증착 장치(90)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 부재(92A)에 의해 유기 EL 기판(92)을 보유 지지하면서, 유기 EL 기판(92)의 위치 결정을 행하고, 프레임(15)에 설치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유기 EL 기판(92)의 도시하지 않은 얼라인먼트 마크와, 증착 마스크(20)의 도시하지 않은 얼라인먼트 마크를 직접 관찰하고, 당해 얼라인먼트 마크끼리가 겹치도록 유기 EL 기판(92)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또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에 의해, 유기 EL 기판(92)의 얼라인먼트 마크의 중심 위치 좌표와, 증착 마스크(20)의 얼라인먼트 마크의 중심 위치 좌표를 따로따로 측정해서, 이들의 중심 위치 좌표가 소정의 위치 관계가 되도록, 유기 EL 기판(92)의 위치 결정을 행해도 된다. 이때, 도 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 부재(92A)의 적어도 일부는, 프레임(15)의 수용부(15f)에 수용된다. 이 때문에, 프레임(15)과 보유 지지 부재(92A)가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유기 EL 기판(92)을 증착 마스크 장치(10)에 대해서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보유 지지 부재(92A)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한 복수의 수용부(15f)가, 프레임(15)의 표면(15b)에 이산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프레임(15) 중 두께 S1을 갖는, 수용부(15f)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프레임(15)의 전역에 분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프레임(15)에 수용부(15f)를 마련함으로써 발생하는 프레임(15)의 강도의 저하 정도를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증착 마스크(20)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프레임(15)에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프레임(15)에 지지된 증착 마스크(20)를 사용하여 증착 재료(98)를 유기 EL 기판(92)에 정밀도 좋게 증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수용부(15f)는, 외측면(15d)과 내측면(15e)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임(15)의 표면(15b)에 있어서, 수용부(15f)의 외측에 두께 S1의 영역을 확보할 수 있어, 프레임(15)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프레임(15)에 설치된 유기 EL 기판(92)에 증착 재료(98)를 증착시킨다. 이 때, 예를 들어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 EL 기판(92)의, 증착 마스크(20)와 반대측의 면에 자석(93)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자석(93)을 마련함으로써, 자력에 의해 증착 마스크(20)를 자석(93)측에 가까이 끌어 당겨서, 증착 마스크(20)를 유기 EL 기판(92)에 밀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히터(96)가, 도가니(94)를 가열하여 증착 재료(98)를 증발시킨다. 그리고, 도가니(94)로부터 증발시켜 증착 마스크 장치(10)에 도달한 증착 재료(98)는, 증착 마스크(20)의 관통 구멍(25)을 통과하여 유기 EL 기판(92)에 부착된다(도 1a 참조). 또한, 이때, 보유 지지 부재(92A)는, 유기 EL 기판(92)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증착 마스크(20)의 관통 구멍(25)의 위치에 대응한 원하는 패턴으로, 증착 재료(98)가 유기 EL 기판(92)에 증착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프레임(15)의 표면(15b) 중 개구부(15a)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보유 지지 부재(92A)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한 복수의 수용부(15f)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유기 EL 기판(92)을 증착 마스크 장치(10)에 설치할 때, 보유 지지 부재(92A)가 프레임(15)에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5f)가 개구부(15a)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합부(19)를 확보할 수 있어, 증착 마스크(20)의 접합부(19)의 용접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프레임(15)의 표면(15b)에 복수의 수용부(15f)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복수의 수용부(15f) 간에 있어서, 두께 S1의 영역이 확보되고, 프레임(15) 중, 두께 S1을 갖는 수용부(15f)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프레임(15)의 전역에 분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프레임(15)에 수용부(15f)를 마련함으로써 발생하는 프레임(15)의 강도의 저하 정도를 작게 할 수 있어, 증착 마스크(20)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프레임(15)에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프레임(15)에 지지된 증착 마스크(20)를 사용하여 증착 재료(98)를 유기 EL 기판(92)에 정밀도 좋게 증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수용부(15f)가, 개구부(15a)와 외측면(15d)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프레임(15)의 표면(15b)에 있어서, 수용부(15f)의 외측에 두께 S1의 영역을 확보할 수 있어, 프레임(15)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필요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면서,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및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에서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하여,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 사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도록 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얻어지는 작용 효과가 변형예에 있어서도 얻어지는 것이 명백한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증착 마스크의 제조 방법의 변형예)
상술한 본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있어서는, 에칭에 의해 증착 마스크(20)를 제작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증착 마스크(20)를 제작하기 위해서 채용되는 방법이, 에칭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술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금 처리에 의해 금속판에 관통 구멍(25)을 형성함으로써 증착 마스크(20)를 제작해도 된다.
(귀부의 변형예)
상술한 본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있어서는, 증착 마스크(20)의 귀부(17)의 두께와 중간부(18)의 두께가 동일한 예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귀부(17)의 두께와 중간부(18)의 두께가 상이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귀부(17)의 두께가 중간부(18)의 두께보다도 두꺼워져 있어도 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예를 들어 귀부(17)의 두께가 중간부(18)의 두께보다도 얇아져 있어도 된다.
(프레임의 제1 변형예)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프레임(15)의 복수의 수용부(15f)가, 개구부(15a)와 외측면(15d)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용부(15f)는, 외측면(15d)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복수의 수용부(15f)가 서로 이격되어 마련됨으로써, 프레임(15)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프레임의 제2 변형예)
상술한 본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있어서는, 프레임(15)의 복수의 수용부(15f)가, 개구부(15a)와 외측면(15d)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용부(15f)는, 개구부(15a)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개구부(15a)가 4개의 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복수의 수용부(15f)가, 개구부(15a)의 4변을 따라서 배열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상술한 유기 EL 기판(92)을 프레임(15)에 설치하는 공정에 있어서, 보유 지지 부재(92A)가 유기 EL 기판(92)의 4변을 보유 지지하도록 해도 된다.
그런데, 유기 EL 기판(92)을 프레임(15)에 설치하는 공정에 있어서, 유기 EL 기판(92)과 증착 마스크(20) 사이에 공기가 혼입되고, 유기 EL 기판(92)에 휨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증착 재료(98)를 유기 EL 기판(92)의 원하는 위치에 증착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에 반하여 본 변형예에 의하면, 복수의 수용부(15f)가, 개구부(15a)를 둘러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유기 EL 기판(92)을 프레임(15)에 설치하는 공정에 있어서, 보유 지지 부재(92A)가 유기 EL 기판(92)의 4변을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기 EL 기판(92)을 프레임(15)에 설치하는 공정에 있어서, 유기 EL 기판(92)과 증착 마스크(20) 사이에 공기가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 부재(92A)가 유기 EL 기판(92)의 4변을 보유 지지함으로써, 유기 EL 기판(92)은, 유기 EL 기판(92)의 자중에 의해, 유기 EL 기판(92)의 중심의 근방이 가장 하방에 위치하도록 휘게 된다. 이 경우, 유기 EL 기판(92)이 증착 마스크(20)에 접촉할 때, 유기 EL 기판(92)과 증착 마스크(20)가 점 접촉하도록, 유기 EL 기판(92)을 증착 마스크(20)에 접촉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보유 지지 부재(92A)가 유기 EL 기판(92)의 4변을 보유 지지하면서 유기 EL 기판(92)을 점차 강하시킴으로써, 유기 EL 기판(92)과 증착 마스크(20) 사이에 공기가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유기 EL 기판(92)을 프레임(15)에 설치하는 공정에 있어서, 유기 EL 기판(92)에 발생하는 휨을 저감할 수 있어, 유기 EL 기판(92)이 안정된 반송이 가능하게 됨과 함께, 유기 EL 기판(92)이 파손될 위험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대형(예를 들어 G5.5Q 사이즈 또는 G6H 사이즈)의 유기 EL 기판(92)이나, 두께가 0.5㎜ 이하 정도의 얇은 유기 EL 기판(92)에 있어서도, 유기 EL 기판(92)의 안정된 반송이 가능하게 됨과 함께, 유기 EL 기판(92)이 파손될 위험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도 1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5)의 네 모퉁이에는, 수용부(15f)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여기서, 프레임(15)의 네 모퉁이란, 평면에서 볼 때, 개구부(15a)의 4변을 프레임(15)의 외측면(15d)에 이르도록 연장시킨 가상선 X와, 당해 외측면(15d)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 R(도 17c의 반점 무늬로 나타내는 영역)을 의미한다. 그런데, 프레임(15)에는, 증착 마스크(20)를 프레임(15)에 접합할 때, 증착 마스크(20)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얼라인먼트 마크 M이 마련되어 있다. 이 얼라인먼트 마크 M은, 증착 마스크(20)를 프레임(15)에 접합한 후에, 평면에서 볼 때 증착 마스크(20)에 겹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증착 마스크(20)의 위치 결정을 행할 때에는, 증착 마스크(20)의 모든 유효 영역(22)이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든 유효 영역(22)에 대한 위치 정렬을 용이하게 행하기 위해서, 얼라인먼트 마크 M은, 프레임(15)의 네 모퉁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본 변형예와 같이, 프레임(15)의 네 모퉁이에 수용부(15f)가 마련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프레임(15)의 네 모퉁이에 얼라인먼트 마크 M을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어, 증착 마스크(20)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프레임의 제3 변형예)
상술한 본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있어서는, 증착 마스크 장치(10)가, 프레임(15)에 복수의 증착 마스크(20)가 할당된 증착 마스크 장치(10)를 사용하고 있는 예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착 마스크 장치(10)가, 격자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유효 영역(22)을 갖는 단일의 증착 마스크(20)를 사용해도 된다.
(프레임의 제4 변형예)
상술한 본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있어서는, 프레임(15) 중, 두께 S1(도 5b 참조)을 갖는 부분이 프레임(15)의 전역에 분포되어 있는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5)의 표면(15b)이, 내측면(15e)측에 위치하는 제1 표면(15g)과, 외측면(15d)측에 위치함과 함께 제1 표면(15g)보다도 이면(15c)측에 위치하는 제2 표면(즉, 제5 면)(15h)을 포함하고, 제1 표면(15g)과 제2 표면(15h)은, 중간면(15i)을 개재하여 서로 연결되고, 수용부(15f)가, 제1 표면(15g)에 형성됨과 함께, 중간면(15i)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프레임(15) 중 제2 표면(15h)으로부터 이면(15c)까지의 두께는, 제1 표면(15g)으로부터 이면(15c)까지의 두께에 비하여 균일하게 작아져 있다. 도 20에 있어서, 부호 S3은, 제1 표면(15g)으로부터 이면(15c)까지의 두께를 나타내고, 부호 S4는, 제2 표면(15h)으로부터 이면(15c)까지의 두께를 나타낸다. 두께 S4는, 보유 지지 부재(92A)가 프레임(15)과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보유 지지 부재(92A)의 치수에 따라서 정해진다. 예를 들어, 두께 S4는, 2㎜ 이상이어도 되고, 5㎜ 이상이어도 되고, 7㎜ 이상이어도 되며, 10㎜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두께 S4는, 20㎜ 이하여도 되고, 18㎜ 이하여도 되고, 15㎜ 이하여도 되며, 12㎜ 이하여도 된다. 두께 S4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상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하나와, 상술한 복수의 하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하나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두께 S4의 범위는, 2㎜ 이상 20㎜ 이하여도 되고, 5㎜ 이상 18㎜ 이하여도 되고, 7㎜ 이상 15㎜ 이하여도 되며, 10㎜ 이상 12㎜ 이하여도 된다. 또한, 두께 S4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상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2개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두께 S4의 범위는, 15㎜ 이상 18㎜ 이하여도 된다. 또한, 두께 S4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하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2개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두께 S4의 범위는, 7㎜ 이상 10㎜ 이하여도 된다.
제1 표면(15g)으로부터 이면(15c)까지의 두께 S3은, 프레임(15)에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정해져 있으며, 예를 들어 두께 S3은, 5㎜ 이상이어도 되고, 10㎜ 이상이어도 되고, 15㎜ 이상이어도 되며, 20㎜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두께 S3은, 35㎜ 이하여도 되고, 30㎜ 이하여도 되고, 25㎜ 이하여도 되며, 20㎜ 이하여도 된다. 두께 S3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상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하나와, 상술한 복수의 하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하나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두께 S3의 범위는, 5㎜ 이상 35㎜ 이하여도 되고, 10㎜ 이상 30㎜ 이하여도 되며, 15㎜ 이상 25㎜ 이하여도 된다. 또한, 두께 S3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상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2개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두께 S3의 범위는, 20㎜ 이상 30㎜ 이하여도 된다. 또한, 두께 S3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하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2개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두께 S3의 범위는, 10㎜ 이상 15㎜ 이하여도 된다. 또한, 두께 S3은, 제2 표면(15h)으로부터 이면(15c)까지의 두께 S4에 따라서 정해져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두께 S3은, 1.5×S4 이상 3.0×S4 이하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15)의 제1 표면(15g)의 면적 중 복수의 수용부(15f)가 마련되어 있는 부분의 면적의 비율(수용부율)이, 프레임(15)에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정해져 있다. 수용부율은, 예를 들어 5% 이상이어도 되고, 7% 이상이어도 되며, 9%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수용부율은, 15% 이하여도 되고, 13% 이하여도 되며, 11% 이하여도 된다. 수용부율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상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하나와, 상술한 복수의 하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하나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수용부율의 범위는, 5% 이상 15% 이하여도 되고, 7% 이상 13% 이하여도 되며, 9% 이상 11% 이하여도 된다. 또한, 수용부율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상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2개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수용부율의 범위는, 11% 이상 15% 이하여도 된다. 또한, 수용부율의 범위는, 상술한 복수의 하한의 후보값 중 임의의 2개의 조합에 의해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수용부율의 범위는, 5% 이상 9% 이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수용부(15f)가 보유 지지 부재(92A)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또는 보유 지지 부재(92A)가 프레임(15)의 제2 표면(15h) 위에 위치하도록 유기 EL 기판(92)을 증착 마스크 장치(10)에 설치함으로써, 보유 지지 부재(92A)가 프레임(15)과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프레임의 제5 변형예)
상술한 본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수용부(15f)가, 증착 마스크(20)의 한 쌍의 단부(20e)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용부(15f)가, 증착 마스크(20)의 한 쌍의 단부(20e)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각각의 수용부(15f)의 전체가, 증착 마스크(20)의 한 쌍의 단부(20e)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각각의 수용부(15f)의 일부만이, 증착 마스크(20)의 한 쌍의 단부(20e)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복수의 수용부(15f)는, 복수의 증착 마스크(20) 사이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5)의 표면(15b)에 이산적으로 마련된다. 또한, 이 경우, 유기 EL 기판(92)은, 증착 마스크(20) 중 접합부(19)가 형성되는 부분보다도 외측으로 연장되지 않고, 접합부(19)가 형성되는 부분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증착 마스크(20)의 귀부(17)는, 증착 마스크(20)를 프레임(15)에 용접한 후에, 일부분이 제거된다. 이 때문에, 증착 마스크(20)의 한 쌍의 단부(20e)에 있어서, 절단에 의한 버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단부(20e)에 있어서 버가 발생한 경우, 버에 의해 증착 마스크(20)와 유기 EL 기판(92)의 밀착성이 저하되어, 증착 불량의 요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변형예에 의하면, 복수의 수용부(15f)가, 증착 마스크(20)의 한 쌍의 단부(20e)의 내측에 형성되고, 복수의 증착 마스크(20) 사이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5)의 표면(15b)에 이산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기 EL 기판(92)을, 증착 마스크(20) 중 접합부(19)가 형성되는 부분보다도 내측에 위치 부여할 수 있어, 유기 EL 기판(92)이 증착 마스크(20)의 한 쌍의 단부(20e)에 겹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증착 마스크(20)의 한 쌍의 단부(20e)에 있어서 버가 발생한 경우라도, 버에 의한 증착 마스크(20)와 유기 EL 기판(92)의 밀착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증착 불량을 회피할 수 있다.
(프레임의 제6 변형예)
상술한 본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있어서는, 프레임(15)의 표면(15b) 중, 수용부(15f)의 내측에 위치하는 표면(151b)과, 수용부(15f)의 외측에 위치하는 표면(152b)은, 제1 면(20a)의 법선 방향 N을 따라 본 경우에, 동일 표면상에 위치하고 있는 예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에 기재한 바와 같이, 프레임(15)은, 다양한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2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5)의 표면(15b) 중, 수용부(15f)의 외측에 위치하는 표면(152b)이, 수용부(15f)의 내측에 위치하는 표면(151b)보다도 증착 마스크(20)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프레임(15) 중, 수용부(15f)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어, 프레임(15)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2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5)의 표면(15b) 중, 수용부(15f)의 내측에 위치하는 표면(151b)이, 수용부(15f)의 외측에 위치하는 표면(152b)보다도 증착 마스크(20)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보유 지지 부재(92A)가 프레임(15)과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2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5)의 표면(15b) 중, 수용부(15f)의 외측에 위치하는 표면(152b)의 일부가, 제1 면(20a)의 법선 방향 N을 따라 본 경우에, 예를 들어 외측을 향함에 따라서 프레임(15)의 이면(15c)측으로 경사져 있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도 2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5)의 표면(15b) 중, 수용부(15f)의 외측에 위치하는 표면(152b)의 일부가, 제1 면(20a)의 법선 방향 N을 따라 본 경우에, 곡선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보유 지지 부재(92A)가 프레임(15)과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23e 내지 도 23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15f)가 외측면(15d)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수용부(15f)의 면(151f)이 외측을 향함에 따라서 증착 마스크(20)측으로 경사져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도 2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15f)의 단부가, 제1 면(20a)의 법선 방향 N을 따라 본 경우에, 프레임(15)의 표면(15b) 중, 수용부(15f)의 내측에 위치하는 표면(151b)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도 23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15f)의 단부가, 프레임(15)의 표면(15b) 중, 수용부(15f)의 내측에 위치하는 표면(151b)보다도 증착 마스크(20)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수용부(15f)의 면(151f)(즉 제5 면)의 일부가, 프레임(15)의 표면(15b) 중, 수용부(15f)의 내측에 위치하는 표면(151b)보다도 증착 마스크(20)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도 23g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151b)보다도 프레임(15)의 이면(15c)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보유 지지 부재(92A)가 프레임(15)과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23h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15f)가, 내측을 향함에 따라서 증착 마스크(20)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도 23h의 파선 참조)(152f)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프레임(15)의 수용부(15f)에 있어서, 프레임(15)의 두께를 두껍게할 수 있어, 프레임(15)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도, 도 23i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용부(15f)는, 외측면(15d)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프레임(15)의 수용부(15f)에 있어서, 프레임(15)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어, 프레임(15)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23j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부(152f)가, 제1 면(20a)의 법선 방향 N을 따라 본 경우에, 프레임(15)의 표면(15b) 및 수용부(15f)의 면(151f)에 대해서 매끄럽게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23k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부(152f)의 형상이, 제1 면(20a)의 법선 방향 N을 따라 본 경우에, 파상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도 23l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부(152f)의 형상이, 제1 면(20a)의 법선 방향 N을 따라 본 경우에, 곡선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프레임의 제7 변형예)
또한,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수용부(15f)에 보유 지지 부재(92A)가 복수 수용되어 있어도 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하나의 수용부(15f)에 2개의 보유 지지 부재(92A)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하나의 수용부(15f)에 수용되는 보유 지지 부재(92A)의 개수는 3개 이상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수용부(15f)에 보유 지지 부재(92A)가 복수 수용되는 경우, 각각의 수용부(15f)의 평면에서 볼 때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수용부(15f)의 개수를 적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프레임(15)을 제작하는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보유 지지 부재의 변형예)
상술한 본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있어서는, 보유 지지 부재(92A)가, 유기 EL 기판(92)을 끼움 지지하는 클램프인 예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 부재(92A)가, 유기 EL 기판(92)을 끼움 지지하지 않고, 유기 EL 기판(92)의 면 중, 증착 마스크(20)측의 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보유 지지 부재(92A)가 유기 EL 기판(92)을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도 2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 부재(92A)가, 보유 지지 부재(92A)에 대해서 유기 EL 기판(92)을 점착시키기 위한 점착 부재(921)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보유 지지 부재(92A)에 대해서 유기 EL 기판(92)을 점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유 지지 부재(92A)가 유기 EL 기판(92)을 효과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Claims (8)

  1. 보유 지지 부재에 의해 보유 지지된 기판과 적어도 일시적으로 조합되는 증착 마스크 장치이며,
    상기 기판측에 위치하는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면에 이르는 복수의 마스크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증착 마스크와,
    상기 증착 마스크의 일부에 겹치는 개구부가 마련됨과 함께 상기 증착 마스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증착 마스크의 상기 제2 면에 면하는 표면과, 상기 표면에 대향하는 이면과, 상기 표면과 상기 이면 사이에서 넓어지는 외측면과, 상기 외측면보다도 내측에 있어서 상기 표면과 상기 이면 사이에서 넓어지고, 상기 개구부에 면하는 내측면을 갖고,
    상기 프레임의 상기 표면 중 상기 개구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한 복수의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증착 마스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수용부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외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증착 마스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수용부는, 상기 외측면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있는, 증착 마스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표면은, 상기 내측면측에 위치하는 제1 표면과, 상기 외측면측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제1 표면보다도 상기 이면측에 위치하는 제2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은, 중간면을 개재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표면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중간면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있는, 증착 마스크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수용부는,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증착 마스크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 마스크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표면에 용접되는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 위치하는, 증착 마스크 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증착 마스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 쌍의 단부보다도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증착 마스크 장치.
  8.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면을 갖는 증착 마스크와,
    상기 증착 마스크측에 위치하는 제3 면과, 상기 제3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4 면을 갖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증착 마스크와 상기 프레임은, 접합부를 개재하여 서로 접합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접합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5 면을 더 갖고,
    상기 제5 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3 면보다도 상기 제4 면측에 위치하고 있는, 증착 마스크 장치.
KR1020207014263A 2017-11-01 2018-10-15 증착 마스크 장치 KR202000703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12018 2017-11-01
JP2017212018 2017-11-01
PCT/JP2018/038261 WO2019087749A1 (ja) 2017-11-01 2018-10-15 蒸着マスク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345A true KR20200070345A (ko) 2020-06-17

Family

ID=66331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4263A KR20200070345A (ko) 2017-11-01 2018-10-15 증착 마스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291510A1 (ko)
EP (1) EP3705600A4 (ko)
JP (1) JPWO2019087749A1 (ko)
KR (1) KR20200070345A (ko)
CN (2) CN209816256U (ko)
TW (1) TW201918573A (ko)
WO (1) WO20190877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0345A (ko) * 2017-11-01 2020-06-17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증착 마스크 장치
WO2020009088A1 (ja) * 2018-07-03 2020-01-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EP3886195A4 (en) * 2018-11-19 2022-07-20 LG Innotek Co., Ltd. ALLOY METAL PLATE AND DEPOSITION MASK WITH IT
US11805678B2 (en) 2019-11-21 2023-10-3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mask assembl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ask assembly,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KR20220034993A (ko) * 2020-09-11 2022-03-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증착 장치 및 증착 장치의 마스크 착좌 방법
CN113265615A (zh) * 2021-04-13 2021-08-17 上海大学 用于纳米量热仪定位衬底蒸镀的硅掩模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4385A (ja) 2000-02-24 2001-08-31 Tohoku Pioneer Corp メタル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5382259B1 (ja) 2013-01-10 2014-01-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金属板、金属板の製造方法、および金属板を用いて蒸着マスクを製造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7271B2 (ja) * 2001-06-29 2011-06-22 三洋電機株式会社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の製造方法
JP2004296309A (ja) * 2003-03-27 2004-10-21 Tohoku Pioneer Corp 成膜装置及びこれを用いて製造される有機el素子
JP2007131935A (ja) * 2005-11-14 2007-05-31 Seiko Epson Corp 基板ホルダ、マスクホルダおよび蒸着装置
CN103866235A (zh) * 2012-12-10 2014-06-18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薄膜蒸镀设备和制造oled显示装置的方法
KR102136788B1 (ko) * 2013-10-14 2020-07-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증착용 마스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증착 장치
JP6304412B2 (ja) * 2017-02-06 2018-04-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金属フレーム付き蒸着マスクの製造方法、有機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パターンの形成方法
KR20200070345A (ko) * 2017-11-01 2020-06-17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증착 마스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4385A (ja) 2000-02-24 2001-08-31 Tohoku Pioneer Corp メタル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5382259B1 (ja) 2013-01-10 2014-01-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金属板、金属板の製造方法、および金属板を用いて蒸着マスクを製造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18573A (zh) 2019-05-16
CN109750255A (zh) 2019-05-14
JPWO2019087749A1 (ja) 2020-11-26
US20200291510A1 (en) 2020-09-17
EP3705600A4 (en) 2021-07-14
EP3705600A1 (en) 2020-09-09
WO2019087749A1 (ja) 2019-05-09
CN209816256U (zh) 2019-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0345A (ko) 증착 마스크 장치
KR102471409B1 (ko) 증착 마스크 장치 및 증착 마스크 장치의 제조 방법
US11211558B2 (en) Deposition mask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eposition mask device
TWI684653B (zh) 蒸鍍遮罩,蒸鍍遮罩裝置,蒸鍍遮罩的製造方法及蒸鍍遮罩裝置的製造方法
JP2022141899A (ja) 蒸着マスク装置の製造方法及び蒸着マスク装置の製造装置
US10035162B2 (en) Deposition mask for forming thin-film patterns
CN213232465U (zh) 蒸镀掩模、蒸镀掩模装置以及中间体
JP2015127446A (ja) 蒸着マスク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保護フィルム付き蒸着マスク
CN110819938B (zh) 蒸镀掩模、蒸镀掩模装置及其制造方法、蒸镀方法
JP6221585B2 (ja) 蒸着マスクおよび蒸着マスクの製造方法
JP2016196675A (ja) 蒸着マスク製造方法
JP2021147705A (ja) 蒸着マスク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7406717B2 (ja) 蒸着マスク
JP6701543B2 (ja) 蒸着マスクおよび蒸着マスクの製造方法
JP7047828B2 (ja) 蒸着マスクおよび蒸着マスクの製造方法
JP2023058422A (ja) フレーム、蒸着マスク装置、蒸着方法および蒸着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