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70112491A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2491A
KR20170112491A KR1020160039587A KR20160039587A KR20170112491A KR 20170112491 A KR20170112491 A KR 20170112491A KR 1020160039587 A KR1020160039587 A KR 1020160039587A KR 20160039587 A KR20160039587 A KR 20160039587A KR 20170112491 A KR20170112491 A KR 20170112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s
displayed
mobile terminal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유미
박정민
양윤석
이재화
구혜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9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2491A/ko
Priority to US15/272,061 priority patent/US10205884B2/en
Priority to EP16202275.0A priority patent/EP3226543A1/en
Publication of KR20170112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4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동작방법에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본체의 일 측에 구비되고, 적어도 제1 및 제2렌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카메라와, 카메라에 대한 촬영신호가 수신되면, 제1 및 제2렌즈를 구동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 결과 획득된 제1 및 제2이미지의 각 촬영 방향을 인식하여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된 제1 및 제2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각 촬영 방향을 기초로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사체의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그러한 예로, 이동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구비하여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그립한 상태에서 프리뷰 화면에 보여지는 이미지를 촬영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하여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를 세로방향으로 그립한 상태에서 촬영신호가 입력되면, 세로방향으로 촬영된 하나의 이미지가 획득된다. 반면, 이동 단말기를 가로방향으로 그립한 상태에서 촬영신호가 입력되면, 가로방향으로 촬영된 하나의 이미지가 획득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이 더욱 고도화됨에 따라, 한 번의 촬영신호로 카메라의 연속 촬영, 360도 촬영, 파노라마 촬영 등이 가능해졌으나, 이들 모두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그립한 방향과 일치하는 이미지들, 즉 피사체가 현재 프리뷰 화면에 보여지는 것과 동일 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들뿐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렌즈를 사용하여 동일 피사체를 서로 다른 촬영 방향으로 촬영하여 복수의 이미지들을 동시에 획득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서로 다른 촬영 방향을 갖는 복수의 이미지들을 사용자가 원하는 스타일대로 다양하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현재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다른 촬영 방향을 갖는 이미지에 쉽고 빠르게 접근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 본체의 일 측에 구비되고, 적어도 제1 및 제2렌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카메라와; 카메라에 대한 촬영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및 제2렌즈를 구동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동일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 결과 획득된 제1 및 제2이미지의 각 촬영 방향을 인식하여 저장하는 제어부와; 촬영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된 제1 및 제2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이미지는 피사체를 포함하는 프리뷰 화면과 일치하는 촬영 방향으로 촬영된 것이고, 상기 제2이미지는 상기 프리뷰 화면과 대향되는 촬영 방향으로 촬영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의 표시방향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감지된 표시방향에 근거하여, 듀얼 캡처된 제1 및 제2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의 표시방향이 가로방향이면 저장된 이미지들 중 가로 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가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되고, 디스플레이부의 표시방향이 세로방향이면 저장된 이미지들 중 세로 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가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한번의 촬영신호를 입력하여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현재 촬영 방향으로 촬영시 또는 다른 촬영 방향으로 촬영시 주요 피사체가 잘려질 경우, 적어도 다른 촬영 방향으로의 촬영 옵션을 자동 조절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는 주요 피사체가 잘리지 않고 온전히 포함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듀얼 캡처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할 때, 이미지들의 촬영 방향을 직관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뷰 스타일(view style)로 복수의 이미지들이 정렬될 수 있고, 현재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다른 방향으로 촬영된 피사체의 이미지를 현재 화면에서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듀얼 캡처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 전송시, 다른 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도 함께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관련된 이미지들을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들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보여주는 대표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피사체를 동시에 촬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4a, 도 4b, 도 4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부의 표시방향을 기초로, 듀얼 캡처된 이미지들을 다르게 정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된 특정 이미지의 다른 촬영 방향 버전을 확인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입력을 기초에 근거하여, 촬영 방향을 기초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들 리스트의 정렬방식을 다르게 변경하는 방법의 예시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특정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중에 다른 촬영 방향 버전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듀얼 캡처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리스트에서 실제 촬영 방향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a, 도 9b, 도 10a, 도 10b, 도 10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 제스처를 이용하여, 듀얼 캡처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리스트에서 연관된 다른 이미지들에 빠르게 접근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 제스처를 이용하여 연관된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a, 도 12b, 도 13a, 도 1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단말의 보조 스크린 영역을 이용하여 촬영된 이미지들의 디스플레이를 변경하는 방법의 예시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특정 이미지의 전송시 듀얼 캡처된 다른 이미지를 함께 전송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광전 센서, 미러반사형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단말기 바디의 전면 상단에는 라인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렌즈들을 포함하는 전면 카메라(121a)가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렌즈들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위치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b에는 두 개의 렌즈들이 행 라인을 따라 나란하게 도시되었으나, 더 많은 개수의 렌즈들이 횡 라인을 따라 형성되거나 행렬 방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복수의 렌즈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반 화각보다 넓은 광각을 갖는 렌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렌즈들은 서로 다른 화소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비록 여기서는 전면 카메라(121a)에만 복수의 렌즈들이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되는 후면 카메라(121b)에 복수의 렌즈들이 구비되거나 또는 전면 및 후면 카메라(121a, 121b)에 각각 복수의 렌즈들이 구비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본체의 일 측에, 적어도 제1 및 제2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를 구비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카메라에 대한 촬영신호가 수신되면, 제1 및 제2렌즈를 구동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동일한 피사체를 동시에 촬영한다. 그 결과, 한번의 촬영신호로 복수의 이미지들이 동시에 획득된다.
여기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동일 피사체를 동시에 촬영한다는 의미는, 이동 단말기(100)의 가로방향, 세로방향, 및 그 사이각을 갖는 대각선 방향 중 적어도 두 가지 방향으로 동일 피사체를 캡쳐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가로방향으로 캡쳐된 이미지는 피사체를 중심으로 가로방향으로 배경 이미지가 더 보여지고, 세로방향으로 캡처된 이미지는 피사체를 중심으로 세로방향으로 배경 이미지가 더 보여진다. 또, 대각선 방향으로 캡처된 이미지는 피사체를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경 이미지가 더 보여진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촬영 결과 획득된 제1 및 제2이미지의 각 촬영 방향을 인식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가로방향으로 촬영된 제1이미지와 세로방향으로 촬영된 제2이미지가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촬영 방향을 인식하여 저장한다는 의미는, 제1 및 제2이미지의 저장시 각 이미지에 대응되는 촬영 방향 정보가 함께 저장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이미지는 촬영시점이 동일하고 주요 피사체가 동일한 이미지들로서(이때, 동일 촬영신호에 대해 제1렌즈와 제2렌즈의 실제 촬영시점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촬영신호나 연속 촬영신호에 따라 획득되는 복수의 이미지들과는 구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동시에 촬영된 제1 및 제2이미지는, 형식상의 방향을 기준으로 다르게 인식되거나(가로방향, 세로방향, 대각선방향) 또는 실제 촬영 방향을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실제 촬영 방향, 실제 촬영 방향과 다른 제1방향, 실제 촬영 방향과 다른 제2방향).
이와 같이 저장된 제1 및 제2이미지는, 인식된 촬영 방향을 기초로 하여 동시에 캡처된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부(18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에 복수의 이미지들이 출력되는 경우, 제1 및 제2이미지 중 실제 촬영 방향에 대응되는 이미지만 나타날 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2이미지 중 특정 촬영 방향(가로방향, 세로방향, 대각선방향)을 갖는 어느 하나의 이미지만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또는, 제1촬영 방향을 갖는 제1이미지와 제2촬영 방향을 갖는 제2이미지가 모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특정 촬영 방향을 갖는 이미지들만 디스플레이하거나, 여기에 듀얼 캡처된 다른 촬영 방향을 갖는 이미지들을 추가하거나, 또는 이전의 이미지들을 특정 촬영 방향을 갖는 이미지들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한번의 촬영으로 동일 피사체를 서로 다른 촬영 방향으로 촬영한 복수의 이미지들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 촬영 방향을 갖는 이미지를 쉽게 확인, 선택, 편집, 정렬할 수 있도록, 획득된 복수의 이미지들이 각 촬영 방향을 기초로 디스플레이된다.
이하,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대표 흐름도이다.
먼저, 이동 단말기(100)가 구비된 복수의 렌즈를 구비한 카메라(121a)에 대한 촬영신호를 입력받는 단계가 수행된다(S10). 이때, 이전 단계로, 복수의 렌즈를 구비한 카메라(121a)가 활성화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프리뷰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프리뷰 화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촬영신호는 다양한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음성명령, 셔터 버튼의 입력, 기설정된 제스처입력, 또는 자동 셔터 동작 등에 의하여 카메라에 대한 촬영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다음, 카메라에 구비된 인접한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동일 피사체를 촬영한다(S20).
여기서, 서로 다른 방향은,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를 기준으로 가로방향, 세로방향, 대각선방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프리뷰 화면과 일치하는 방향, 즉 실제 촬영방향 및 실제 촬영방향과 다른 촬영방향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1)를 가로방향으로 쥔 상태로 피사체를 촬영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1렌즈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가로방향으로 촬영하고, 이와 동시에 제2렌즈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세로방향으로 촬영한다. 이때, 가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에 포함된 피사체의 위치는 세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에서도 동일하다. 이를 위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프리뷰화면에 포함된 주요 피사체의 위치에 기초하여, 실제와 다른 촬영 방향, 즉 세로방향으로 촬영될 가상 프리뷰화면의 레이아웃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3렌즈를 구비하는 경우, 실제 촬영 방향과 다른 대각선 방향으로 동일 피사체가 촬영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제1입력에 대응되는 제1촬영신호가 수신되면 카메라에 구비된 하나의 렌즈만을 사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 상기 제1입력과 다른 제2입력에 대응되는 제2촬영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한하여 카메라에 구비된 복수의 렌즈를 모두 사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촬영 중에, 디스플레이부(151)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그 시점에서 복수의 렌즈를 모두 사용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동일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촬영 방향으로 피사체가 촬영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촬영 결과 획득된 복수의 이미지들의 각 촬영방향을 인식하여 저장한다(S30).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가로방향으로 촬영된 제1이미지와 세로방향으로 촬영된 제2이미지의 저장시, 각각의 촬영 방향 정보를 포함하여 이미지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및 제2이미지 중 실제 촬영 방향 및 그에 일치하는 이미지를 인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이동 단말기(100)는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 방향을 기초로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40).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80)는 저장된 이미지들의 디스플레이 조건 및/또는 이미지들의 디스플레이 방식을 각 촬영 방향과 연관시켜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동시에 캡처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특정 촬영 방향을 갖는 이미지나 실제 촬영 방향에 대응되는 이미지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동시에 캡처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화면에 모두 디스플레이하고, 각각의 촬영 방향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기설정된 입력에 근거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다른 방향으로 캡처된 이미지로 전환할 수 있다. 즉, 피사체에 대한 현재의 뷰(view) 스타일을 다르게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한번의 촬영신호를 입력하여 가로 세로방향(및 대각선방향)으로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다.
이하, 도 3a 내지 도 3d는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단계(S20)와 관련된 구체적인 예시들을 보여주고 있다.
도 3a에는, 이동 단말기(100)를 세로방향으로 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된 프리뷰 화면(201)을 촬영한 예시이다.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된 프리뷰 화면(201)에 대한 촬영명령이 수신되면, 세로방향으로 촬영된 제1이미지(210)와 함께 가로방향으로 촬영된 제2이미지(220)가 동시에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이미지(210)는 피사체(‘사람’)를 포함하는 프리뷰 화면(201)과 일치하는 촬영 방향으로 촬영된 것이고, 제2이미지(220)는 상기 프리뷰 화면과 대향되는 촬영 방향으로 촬영된 것이다. 이때, 세로방향으로 촬영된 제2이미지는 프리뷰 화면(201) 보다 가로방향으로 확장된 뷰(view)를 더 가질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동시에 획득된 제1 및 제2 이미지(210, 220)는 기설정된 저장 공간에 함께 저장된다.
도 3b는, 동시에 획득된 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위치를 보여주고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촬영 방향(예, 세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내에 포함된 피사체의 위치는 다른 촬영 방향(예, 가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에서 동일하다. 예를 들어, 피사체가 세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에서 중앙(예, ‘5’)에 위치한 경우, 가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에서도 중앙(‘5’)에 위치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3c는 실제 촬영 방향으로 캡쳐될 이미지에 포함된 피사체가 다른 촬영 방향으로의 캡쳐시 해당 이미지를 벗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촬영신호의 입력에 따라, 실제 촬영 방향에 대응되는 제1이미지상에 포함된 피사체의 전부가 실제 촬영 방향과 다른 방향에 대응되는 제2이미지내에 포함되도록, 카메라(121a)의 촬영 옵션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촬영 옵션은 복수의 렌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줌-인, 줌-아웃, 줌-인/아웃의 비율, 레이아웃의 조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c을 참조하면, 가로방향으로 촬영되는 이미지(230)에 포함된 복수의 피사체가 세로방향으로 촬영시 이미지내에 전부 들어오지 않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세로방향으로 촬영할 렌즈에 대하여 줌-아웃 기능을 자동 실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가로방향으로 촬영되는 이미지(230)에 포함된 복수의 피사체들이 세로방향으로 촬영되는 이미지(240)에서도 잘림 없이 모두 포함된다. 이와 유사하게, 하나의 피사체의 일부가 잘리는 경우에도 대응되는 렌즈에 대한 줌-아웃 기능을 실행하여 촬영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위와 반대로 실제 촬영 방향에 대응되는 프리뷰 화면에서 피사체의 일부가 잘리는 경우, 실제 촬영 방향과 반대 방향에 대응되는 이미지에서는 피사체가 잘림 없이 전부 나타나도록 줌-아웃 및 줌-아웃 비율 등을 자동 조절할 수 있다. 즉, 실제 촬영 방향에서는 피사체의 일부가 잘린 상태로 이미지가 캡처되지만, 촬영 옵션이 자동으로 활성화됨에 따라, 다른 촬영 방향에서는 피사체가 잘림 없이 전부 포함된다.
또한, 제어부(18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촬영방향 및 제2촬영방향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이미지들에서 피사체의 일부가 잘릴 경우, 관련된 촬영 옵션이 활성화되었음을 알려주는 객체(예, 아이콘 등)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줌-아웃 기능이 실행되는 동안 프리뷰 화면의 상단에 줌-아웃 기능이 활성화되었음을 알려주는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실제 촬영 방향과 다른 촬영 방향으로 촬영될 이미지의 촬영 옵션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그러한 예가 도 3d에 도시된다. 도 3d을 참조하면, 실제 촬영 방향(예, 세로방향)에 대응되는 프리뷰 화면(202)에 기설정된 터치입력(예, 롱-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상기 프리뷰 화면(202)을 실제 촬영 방향과 다른 방향(예, 가로방향)에 대응되는 제2프리뷰화면(203)으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제2프리뷰화면(203)은 이동 단말기(100)를 가로방향으로 쥐었을 때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프리뷰화면이다. 즉, 사용자가 여전히 세로방향으로 이동 단말기(100)를 그립한 상태에서, 프리뷰 화면만 가로방향에 대응되는 화면인 제2프리뷰화면(203))으로 전환되는 것이다. 이때,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프리뷰 화면이 이동 단말기의 표시방향에도 불구하고 전화되었음을 알려주는 표시가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2프리뷰화면(203)에는 실제 촬영될 프리뷰 화면(202)에 대응되는 영역을 알려주는 제1가이드객체(202a)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프리뷰화면(203)의 프레임에는 실제 촬영 방향과 다른 방향(예, 가로방향)으로 촬영될 이미지의 레이아웃, 줌-인/아웃, 줌-인/아웃의 비율, 또는 이미지의 회전 및 회전각을 사용자가 조정하기 위한 제2가이드객체(250)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가이드객체(250)를 상/하/좌/우로 드래그하거나, 핀치-인/아웃 등을 수행하여 실제 촬영 방향과 다른 방향(예, 가로방향)으로 촬영될 이미지의 프레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d에서 제2가이드객체(250)에 표시된 점 객체에 인가된 터치입력이 제2프리뷰화면(203)의 중앙쪽으로 드래그됨에 따라, 제2가이드객체(250)의 크기가 축소되며 변경된 제2가이드객체(250”)를 기준으로 캡쳐될 가로방향의 이미지(270)가 변경된다.
즉, 실제 촬영 방향과 일치하는 세로방향의 이미지(260)와 함께, 줌-인이 적용된 가로방향의 이미지(270)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에 개시된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121a)를 통해 파노라마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를 좌우방향으로 조금씩 이동하면서 파노라마 촬영을 수행하는 중에, 디스플레이부(151)에 탭(taps)이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탭이 가해진 시점에 실제 촬영 방향과 다른 촬영방향을 갖는 이미지를 동시에 촬영하여 파노라마 이미지에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파노라마 촬영 중에 주요 피사체가 짤릴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에, 다른 촬영 방향(예, 세로방향)으로의 촬영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예, 화면에의 탭(tap))을 유도하는 가이드정보를 프리뷰 화면에 출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후 파노라마 이미지의 출력시, 주요 피사체가 짤리는 부분은 다른 촬영 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로 자동 대체할 수 있다.
다음, 도 4a, 도 4b, 도 5a, 도 5b, 도 6a 내지 도 6e, 도 7, 도 8, 도 9a, 도 9b, 도 10a, 도 10b, 도 10c, 도 11a 및 도 11b, 도 12, 도 13a, 도 13b는, 저장된 듀얼 캡처된 이미지들 중, 각 촬영 방향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40)의 다양한 예시들을 보여주고 있다.
동일 피사체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촬영하여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은,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될 수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이동 단말기(100)의 표시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동시에 촬영된 이미지를 다르게 디스플레이하는 예시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위해, 이동 단말기(100)의 센싱부(140),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및/또는 가속도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정보의 표시방향을 감지하여 제어부(180)에 전달하고, 제어부(180)는 감지된 표시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감지된 표시방향에 근거하여, 듀얼 캡처된 제1 및 제2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표시방향이 세로방향이면, 제어부(180)는 이미지들의 썸네일 리스트(301)에 세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들만 포함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썸네일 리스트(301) 중 어느 하나의 썸네일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대응되는 세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51) 전체에 출력된다. 그리고, 좌우방향으로 플리킹 터치입력이 가해짐에 따라 출력되는 이미지들도 세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들로 제한된다. 즉, 세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들만 브라우징된다.
이와 유사하게, 도 4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표시방향이 가로방향이면, 제어부(180)는 이미지들의 썸네일 리스트(302)에 가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들만 포함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미지(321)에 좌우방향으로 플리킹 터치입력이 가해짐에 따라 출력되는 이미지들도 가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들로 제한될 수 있다. 즉, 이때는 가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들만 브라우징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 본체의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의 현재 표시방향이 변경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변경된 표시방향에 대응하는 촬영 방향을 갖는 이미지들을 포함하도록 썸네일 리스트 및 브라우징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표시방향이 세로방향에서 가로방향으로 전환된 것이 감지되면, 이에 응답하여 세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들로 구성된 제1 썸네일 리스트(501)가 가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들로 구성된 제2 썸네일 리스트(502)로 전환된다.
이때,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썸네일 리스트의 스타일이 변경되었음을 알려주는 알림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팝업되었다가 사라질 수 있다.
또한, 제1 썸네일 리스트(501)를 구성하는 세로방향으로 촬영된 썸네일 이미지들은, 이동 단말기(100)의 회전 이동(510)을 따라 각각 회전 이동하면서, 가로방향으로 촬영된 썸네일 이미지들로 변경되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출력될 수 있다.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들이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회전 이동(510)을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촬영된 썸네일 이미지들이 나타났다가 가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들로 전환될 수도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4c에서 세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들로 구성된 제1썸네일 리스트(501)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 전체에 세로방향으로 촬영된 특정 이미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의 표시방향이 가로방향으로 전환되면, 출력된 특정 이미지의 다른 촬영 방향 버전, 즉 가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로 바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단말이 회전에도 불구하고 디스플레이부(151)의 표시방향이 변경되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를 회전 이동하더라도 처음의 제1 썸네일 리스트(501) 또는 제2 썸네일 리스트(502)의 출력이 그대로 유지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a 및 5b는 전술한 표시방향의 변경 없이, 현재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와 다른 촬영 방향을 특정 이미지를 확인하는 방법의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먼저, 도 5a는 복수의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썸네일 리스트에서 다른 방향으로 촬영된 특정 이미지를 확인하는 예시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썸네일 리스트(401)는 실제 촬영 방향에 대응되는 이미지들로 이루어졌다고 가정하자. 즉, 이때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표시방향에 관계없이, 실제 촬영 방향에 대응하는 이미지들로 구성되므로, 세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와 가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가 혼재할 수 있다. 이때, 실제 촬영 방향과 다른 촬영 방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는 디스플레이되지 않고 숨겨질 수 있다. 반면, 듀얼 캡처된 다른 이미지가 존재하고, 상기 리스트(401)에 디스플레이되는 각각의 이미지는 ‘대표 이미지’로 명명될 수 있다.
썸네일 리스트(401)의 특정 썸네일(411)(‘A1’)에 기설정된 터치 제스처(예, 롱-터치입력)이 가해지면, 터치 제스처가 가해진 특정 썸네일(411)(‘A1’)에 인접되게 팝업 윈도우(420)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팝업 윈도우(420)에는 특정 썸네일 ‘A1’과 다른 촬영 방향을 갖는 숨겨진 이미지(‘A2’)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선택된 특정 썸네일(411)(‘A1’)의 프레임에는 기설정된 터치 제스처가 유지되는 동안 하이라이팅 표시가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팝업 윈도우(420)에는 대표 이미지(‘A1’)와 연관된 또 다른 이미지 또는 숨겨진 이미지(‘A2’)와 연관된 또 다른 이미지가, 숨겨진 이미지(‘A2’)와 함께 슬라이드 쇼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대표 이미지(‘A1’) 또는 숨겨진 이미지(‘A2’)와 연관된 이미지란, 해당 이미지를 기초로 편집된 이미지들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팝업 윈도우(420)가 출력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터치 제스처가 드래그된 경로나 해제된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설정된 터치 제스처가 팝업 윈도우(420)내로 드래그된 상태에서 해제되면, 제어부(180)는 기설정된 터치 제스처가 해제된 시점에 팝업 윈도우(420)에 표시되고 있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1) 전체에 출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서 팝업 윈도우(420)에 숨겨진 이미지(‘A2’)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대표 이미지(‘A1’)에 가해진 터치 제스처가 팝업 윈도우(420)내에서 해제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숨겨진 이미지(‘A2’)를 선택한 것으로 보고, 디스플레이부(151) 전체에 숨겨진 이미지(‘A2’)(421)를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기설정된 터치 제스처가 팝업 윈도우(420)내로 드래그되지 않고 대표 이미지(‘A1’)에서 바로 해제되면, 팝업 윈도우(420)가 사라지고 대표 이미지(‘A1’)의 프레임에 출력되었던 하이라이팅 표시도 사라지게 된다.
또한, 기설정된 터치 제스처가 팝업 윈도우(420)내로 드래그되었다가 다시 해당 대표 이미지 내에서 해제되면, 해당 대표 이미지를 상기 터치 제스처가 해제된 시점에 상기 팝업 윈도우에 표시되었던 이미지로 전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이후 썸네일 리스트(401)에는 썸네일 이미지 ‘A2’가 표시되고, 다른 이미지 ‘A1’는 숨겨진다. 이때, 특정 대표 이미지가 변경되었음을 알려주는 안내 정보가 화면에 팝업되었다가 사라질 수 있다.
다음, 도 5b는 특정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중에 이와 다른 촬영 방향을 갖는 이미지를 확인하는 예시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특정 이미지(431)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플리킹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이전/다음 대표 이미지(432)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된 이미지(432)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를 잠시 확인하려는 경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432)에 정해진 터치입력(예, 롱-터치입력)이 감지되면, 해당 이미지(432)에 대응되는 다른 촬영 방향 버전의 이미지(442)로 화면이 전환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에는 전환된 이미지(442)의 촬영 방향의 정보를 포함하는 아이콘(450)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이콘의 형상은 전환된 이미지(442)의 촬영 방향(예, 가로방향)을 나타내는 이미지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전환된 이미지(442)에 가해진 터치입력이 릴리즈되면, 다시 이전에 출력되었던 이미지(432)로 변경된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대표 이미지들을 브라우징하다가, 특정 이미지에 대한 다른 촬영 방향 버전의 이미지를 쉽게 확인한 다음, 다시 이전 촬영 방향 버전으로 쉽게 돌아갈 수 있다.
한편, 다른 촬영 방향 버전의 이미지가 복수개인 경우, 예를 들어 대각선 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경우, 이미지(432)에 인가된 터치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서로 번갈아 가면서 화면이 나타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다양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촬영 방향을 기초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들 리스트의 정렬방식을 다르게 변경하는 방법들을 보여주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1촬영 방향을 갖는 제1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제스처 입력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된 제1이미지를 제2촬영 방향을 갖는 제2이미지로 전환하거나 디스플레이된 제1이미지에 제2이미지를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2이미지가 추가되는 경우, 제1이미지를 리사이징하여 한 화면에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가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제1촬영 방향을 갖는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썸네일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제스처 입력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된 썸네일 리스트를 제2촬영 방향을 갖는 이미지들로 변경하거나 또는 제1 및 제2촬영 방향을 갖는 이미지들이 모두 포함되도록 썸네일 리스트의 정렬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제스처 입력은, 사용자의 의도가 듀얼 캡처된 이미지들의 뷰 스타일(view style)을 변경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입력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6a와 같이, 단말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표시방향이 세로로 놓임에 따라 세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들만으로 구성된 리스트(501)가 출력된 상태에서, 바닥을 이용하여 페이퍼들의 모서리를 정리하듯이, 단말을 바닥 또는 물체에 소정 횟수 두드리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리스트(501)에 가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들이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리스트(501)의 뷰 스타일(view style)이 다르게 변경될 수 있다.
그 결과, 도 6a와 같이, 변경된 리스트(503)에는 각 이미지들이 세로 방향(또는, 가로방향) 및 가로 방향(또는, 세로방향) 버전이 교대로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으로 이미지들이 정렬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변경된 리스트(503)는 가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와 세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를 직관적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각 촬영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썸네일 형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서 가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들의 썸네일들(1-1, 2-1, 3-1)은 가로방향으로 길게 확장된 직사각형 이미지로 표시되고, 세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들의 썸네일들(1, 2, 3)은 세로방향으로 길게 확장된 직사각형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다시 단말을 바닥 또는 물체에 소정 횟수 두드리는 제스처가 이어서 입력되면, 변경된 리스트(503)의 뷰 스타일(view style)이 다시 한번 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스트(503)에서 세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들이 사라지고 가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들만 남겨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제1방향(예, 세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리스트(501)가 출력된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 드래그 터치입력/플리킹 터치입력이 가해진 경우, 리스트(501)의 뷰 스타일(view style)이 제1방향(예, 가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제2리스트(504)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제2리스트(504)에 다시 가로방향으로 드래그 터치입력/플리킹 터치입력이 이어서 가해지면,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 촬영된 모든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제3리스트(503)가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가로방향의 드래그 터치입력/플리킹 터치입력이 연속하여 가해지면, 처음의 디스플레이된 뷰 스타일을 갖는 리스트(501)로 돌아온다.
또 다른 예로, 도 6c 및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 캡처된 모든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리스트(503)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 촬영된 제1형상(예, 가로방향으로 길이 확장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썸네일 이미지(531)에 롱-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제1형상과 형상이 동일한 썸네일 이미지들만 포함되도록 리스트(503)의 정렬방식이 변경된다(504).
그리고, 변경된 리스트(504) 중 임의의 썸네일 이미지(541)에 다시 롱-터치입력이 가해지면, 변경된 리스트(504)의 뷰 스타일이 이전으로 복귀한다(503). 이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촬영된 제2형상(예, 세로방향으로 길이 확장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썸네일 이미지(532)에 롱-터치입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듀얼 캡처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있어서, 리스트의 뷰 스타일(view style)을 촬영 방향을 기초로 쉽고 빠르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들이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도, 대응되는 촬영 방향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은 디스플레이부(151)에 듀얼 캡처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특정 방향으로 촬영된 하나의 이미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숨겨진 다른 촬영 방향 버전의 이미지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예시이다.
도 7에서 디스플레이된 특정 이미지(601)를 좌우방향으로 드래그함에 따라 특정 이미지(601)와 촬영 방향이 동일한 다음/이전 이미지(602)가 저장된 순서대로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단말 본체에 기설정된 제스처, 예를 들어 단말을 바닥 또는 물체(예, 사용자의 손바닥)에 소정 횟수 두드리는 제스처가 입력되면(610),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다른 촬영 방향 버전의 이미지들이 함께 출력된다(603). 이때,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숨겨진 다른 촬영 방향을 갖는 이미지들이 나타남에 따라, 뷰 스타일(view style)이 변경되었음을 알려주는 비주얼 큐(visual cue)가 소정시간 나타났다가 사라질 수 있다.
또한, 이와 함께 가로방향으로 드래그 터치입력/플리킹 터치입력이 가해짐에 따라 모든 촬영 방향의 이미지들이 나타남을 사용자가 직관할 수 있도록, ‘All’이 표시된 아이콘(620)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표시된 아이콘(620)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뷰 스타일(view style)을 다르게 변경하고(예, 가로 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들만 보이도록), 변경된 뷰 스타일에 대응되는 이미지들의 촬영 방향을 직관할 수 있도록 아이콘(620)의 표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8은 모든 촬영 방향의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리스트에서, 실제 촬영 방향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구별되게 표시하는 방법의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도 8의 실시 예에서, 도시된 리스트(701)는 한번의 촬영으로 획득된 모든 촬영 방향의 이미지들이 포함된 경우이다 즉, 상기 리스트(701)에는 실제 촬영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도 숨김 없이 모두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같이 도시된 리스트(701)에서 임의의 썸네일 이미지에 더블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리스트(701)에 포함된 이미지들 중 실제 촬영 방향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 즉 대표 이미지들(1 내지 11)에 선택 표시(예, 하이라이팅 표시)가 출력된다(702). 대표 이미지들(1 내지 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일 수도 있고, 세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대표 이미지가 아닌 썸네일 이미지들, 즉 실제 촬영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동시에 촬영된 이미지들에는 제어명령의 입력을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스트(701)상에 표시는 되지만, 제어명령의 입력은 제한함으로써, 대표 이미지들(1 내지 11)만 큰 이미지(703)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대표 이미지들(1 내지 11)에 하이라이팅 표시가 출력된 상태에서, 임의의 대표 이미지(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다시 더블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하이라이팅 표시가 사라지고, 특정 이미지들에 대한 제어명령의 입력의 제한이 해제된다. 즉, 처음의 리스트(701)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다음으로, 도 9a, 도 9b, 도 10a, 도 10b, 도 10c는 멀티터치를 이용하여, 특정 촬영 방향 또는 실제 촬영 방향의 이미지들만 포함하는 리스트상에서 연관된 다른 이미지들에 빠르게 접근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여기서, 특정 촬영 방향을 갖는 이미지들이란, 디스플레이부(151)의 표시방향에 따라 구분되는 가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들 또는 세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실제 촬영 방향에 대응되는 이미지들 또는 실제 촬영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동시에 촬영된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어느 경우이든, 동시에 촬영된 다른 하나의 이미지(또는, 다른 복수의 이미지들)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지 않는다.
먼저, 도 9a를 참조하면, 제1 촬영 방향(가로방향/세로방향 또는 실제 촬영 방향/이와 다른 촬영 방향)을 갖는 이미지만을 포함하는 썸네일 리스트(801)가 출력된 상태에서, 썸네일 리스트(801)의 특정 라인에 인가된 투-핑거 터치입력이 제1방향(예, 디스플레이부(151)를 기준으로 아래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제1방향을 기준으로 썸네일 리스트(801)의 라인들이 소정 간격으로 벌어지도록 화면을 제어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제2 촬영 방향을 갖는 이미지가 벌어진 간격에 나타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리스트(801)의 두 번째 횡 라인에 인가된 투-핑거 터치입력이 아래방향으로 드래그되면(810), 터치입력이 가해진 두 번째 횡 라인이 드래그된 방향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고, 첫 번째 횡 라인(811)과 두 번째 횡 라인(812)이 소정 간격으로 벌어지면서 나타난 영역(820a)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번째 횡 라인과 세 번째 횡 라인도 자동으로 벌어지면서 생긴 공간에 또 다른 영역(820b)이 더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횡 라인들 간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나타난 영역의 크기가 투-핑거 터치입력의 드래그된 길이에 대응되도록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드래그된 길이에 비례하여 영역들(820a, 820b)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공간(820a)에는 그 위의 횡 라인의 이미지들과 연관된 이미지들, 예를 들어 다른 촬영 방향 버전의 이미지들(821a), 또는 이를 기초로 편집된 이미지들(821b)이 열 방향으로 길게 펼쳐진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저장된 이미지들을 스크롤하면서 검색하다가, 특정 라인에 대하여 연관된 이미지들, 즉 모든 촬영 방향 버전의 이미지들과 편집 이미지들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펼쳐진 썸네일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터치입력)된 상태에서 위로 향하는 플리킹 터치입력(라인을 벌리는 방향과 반대방향의 원-핑거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리스트(810)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횡 라인의 이미지를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로 변경할 수 있다. 즉, 리스트의 대표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
도 9b는 9a에서 수행된 과정들을 반대로 수행하여, 펼쳐진 공간을 닫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비록 도 9b에는 특정 횡 라인에 가해진 투-핑거 터치입력이 위로 드래그됨에 따라 펼쳐진 공간들(820a, 820b)이 모두 닫히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제어부(180)는 투-핑거 터치입력이 가해진 특정 라인에 대응되는 공간(820a)만 닫도록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9a 및 도 9b의 예시와 유사하게, 리스트(801)의 특정 열 라인에 투-핑거 터치입력이 가해져서 드래그된 경우, 리스트(801)의 열 라인이 드래그된 방향을 따라 벌어지면서 공간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또한, 리스트(901)에 인가된 투-핑거 터치입력이 드래그됨에 따라 펼쳐진 공간(820a)내에서, 가로방향으로 드래그 터치입력이 연속하여 가해지면, 드래그 터치입력이 가해진 영역에 따라 도 10a와 같이, 해당 횡 라인의 이미지들의 다른 촬영 방향 버전의 이미지들(1, 1-1, 2, 2-1,,…5-1)만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거나, 또는 도 10c와 같이, 해당 횡 라인의 이미지들을 기초로 편집된 이미지들(1-edit, 3- edit(1), 3-edit(2), 4-edit)만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해당 횡 라인의 이미지들과 다른 촬영 방향을 갖는 이미지들(1, 1-1, 2, 2-1,.., 5-1)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듀얼 캡처된 다른 이미지를 확인하기 위한 입력방식을 알려주는 메시지(예, “반대 방향 이미지를 보려면 위로 드래그하세요”)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하단에 표시될 수 있다.
해당 횡 라인의 이미지들과 다른 촬영 방향 버전의 이미지들(1, 1-1, 2, 2-1,,…5-1)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902), 도 10b와 같이 핀치-인 터치입력이 연속하여 가해지면(930), 공간들이 펼쳐진 리스트와 처음의 리스트(901)가 차례대로 디스플레이되면서 처음 상태로 복귀한다.
다음, 도 11a 및 도 11b는 현재의 뷰 스타일을 유지하면서, 다른 촬영 방향 버전의 이미지에 관한 정보만 확인하는 경우의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도 11a는 복수의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듀얼 캡처된 다른 이미지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예시이다.
도시된 리스트(1001)에서 제1터치지점에 인가된 터치입력이 가로방향으로 드래그되었다가(1010a) 릴리즈되지 않고 다시 제1터치지점으로 돌아오면(1010b), 리스트(1001)내의 각 썸네일 이미지에 듀얼 캡처된 다른 이미지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도 11a와 같이, 각 썸네일 이미지의 모서리가 접혀지는 것과 같은 표시가 출력되면서, 해당 영역에는 듀얼 캡처된 다른 이미지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듀얼 캡처된 다른 이미지의 존재 여부(1031, 빗금표시)와 듀얼 캡처된 다른 이미지의 개수, 및 이들을 기초로 편집된 이미지들의 개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1032, ‘2’개)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임의의 썸네일 이미지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해당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51) 전체에 출력되면서 듀얼 캡처된 다른 이미지에 관한 정보도 함께 표시된다(1040). 이때, 상기 정보가 표시된 영역(1040)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듀얼 캡처된 다른 이미지와 그것을 기초로 편집된 이미지를 큰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1b는 특정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듀얼 캡처된 다른 이미지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예시이다.
도시된 특정 이미지(1004)에서 제1터치지점(예,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단)에 인가된 터치입력이 세로방향으로 드래그되었다가 릴리즈되지 않고 다시 제1터치지점으로 돌아오면(1020), 특정 이미지의 일 영역(1041)에는 듀얼 캡쳐된 다른 이미지에 관한 개수 정보(‘3’)가 표시된다. 그리고, 특정 이미지에 좌우로 플리킹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표시된 정보(‘3’)에 대응되는 연관된 이미지들(1-1, 1-2, …)이 저장된 순서대로 출력된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듀얼 캡쳐된 다른 이미지의 개수 정보(또는 및 이를 기초로 편집된 이미지의 개수)(‘3’)가 표시된 영역(1041)에 롱-터치입력이 가해지면, 표시된 정보(‘3’)에 대응되는 연관된 이미지들(1-1, 1-2, …)을 한번에 편집(삭제, 텍스트 입력, 전송 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술한 롱-터치입력이 가해지면, 디스플레이부(151)에 관련된 편집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메뉴창이 팝업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1004b)(1-2)상에서 세로방향으로 드래그되었다가 돌아오는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이전 뷰 스타일로 복귀하여서 다시 처음의 이미지(1004)가 표시된다.
도 12a, 도 12b, 도 13a, 도 1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부(151)가 보조 스크린 영역을 구비한 경우, 보조 스크린 영역을 이용하여 듀얼 캡처된 이미지들을 포함한 연관된 이미지들을 불어오는 방법의 예시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먼저, 도 12a는 전술한 디스플레이부(151)으로부터 확장된 보조 스크린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부(200)의 일부분을 보여주고 있다.
도 12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200)는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151, 202)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2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활성화됨으로써 전력소모를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의 제1영역(151)은 일반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메인 스크린으로 사용되며, 이동 단말기(100) 전면의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의 제2영역(202)은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 등을 표시하는 보조 스크린 영역으로서, 제1영역(151)에서 위쪽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영역(202)의 좌측에는 듀얼 캡처를 위한 복수의 렌즈들(121a1, 121a2)을 포함하는 전면 카메라(121a)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영역(151) 및 제2영역(202)은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가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제1영역(151)은 OFF상태로 제2영역(202)은 항상 ON상태로 두어, 이동 단말기(100)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단말의 상태나 기본 정보(예, 날짜, 시간 등)를 제2영역(20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2a에서는 제2영역(202)이 제1영역(151)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영역(202)이 제1영역(201)의 하단에 위치하거나 상단 및 하단 모두에 위치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제2영역(202)을 ‘보조 스크린 영역’으로 명명하고, 제1영역(151)을 ‘메인 스크린 영역’으로 명명하기로 한다.
도 4c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표시방향이 세로방향(또는 가로방향)에서 가로방향(또는 세로방향)으로 전환됨에 따라, 듀얼 캡처된 복수의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부의 표시방향을 따라 변경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2b와 같이, 보조 스크린 영역에 터치입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를 세로방향에서 가로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 제어부(180)는 단말을 회전하기 전부터 출력되고 있던 특정 이미지의 출력이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을 회전하는 동안 보조 스크린 영역에 터치입력이 유지되면, 듀얼 캡처된 이미지들 중 세로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1001)의 출력 상태가 계속 유지된다. 이때, 보조 스크린 영역에 가해진 터치입력이 릴리즈되면, 가로방향으로 촬영된 다른 이미지로 즉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도 12b에서는 보조 스크린 영역에 대한 터치입력을 예시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부(151)의 하단, 상단, 또는 측면 영역 중 어느 하나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에서는, 메인 스크린 영역에 특정 촬영 방향의 이미지가 출력되는 동안, 보조 스크린 영역에는 다른 촬영 방향 버전의 이미지가 썸네일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다음, 도 13a는 보조 스크린 영역을 저장된 이미지들의 맵 영역으로 활용하는 예시이다. 이를 위해,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160)에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듀얼 캡쳐되고, 360도로 촬영되거나 파노라마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들이 저장되었다고 가정한다.
이때, 보조 스크린 영역에는 관련된 복수의 이미지들의 썸네일들이 미니 맵(mini map)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들이 주요 피사체를 기준으로 어느 하나가 자동 선택되어서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된 미니 맵(1210)에는 현재 메인 스크린 영역 디스플레이된 이미지(1201)의 위치를 알려주는 객체(1211)가 표시된다. 이때, 미니 맵(1210)에서 이미지를 크게 확인하고자 하는 부분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터치입력이 가해진 부분에 대응하는 듀얼 캡처된 이미지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메인 스크린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변경된 이미지(1204)의 위치를 알려주는 객체(1214)가 표시된다.
도 13b에서는 보조 스크린 영역을 이용하여 특정 이미지를 바로 가기 형태로 설정하는 예시이다. 도 13b와 같이 메인 스크린이 특정 이미지(1201)가 출력되고 보조 스크린 영역에 이와 관련된 미니 맵(mini map)(121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출력된 특정 이미지(1201)에 롱-터치입력이 가해지면, 해당 이미지를 바로 가기 형태로 저장한다. 이때, 듀얼 캡처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저장할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바로 가기 형태로 저장된 이미지는 보조 스크린 영역에 썸네일(1231)로 표시된다. 이와 함께 바로 가기 형태로 저장되었음을 알려주는 팝업 윈도우(1220)가 화면에 나타났다가 사라진다.
사용자는 메인 스크린 영역을 통해, 임의의 이미지들 또는 다른 정보를 보다가 보조 스크린 영역에 표시된 썸네일(1231)에 터치입력을 가함으로써, 언제라도 해당 이미지(1201)에 바로 접근할 수 있다.
도 14는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듀얼 캡처된 이미지들을 함께 전송하는 방법을 일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듀얼 캡쳐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디스플레이된 어느 하나의 이미지(1301)(이미지 1)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공유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메뉴(1310)가 출력된다. 출력된 메뉴(1310)에서 공유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 듀얼 캡쳐된 표시되지 않은 다른 이미지도 함께 전송할지 여부를 묻는 알림창(1320)이 팝업된다.
여기서, 함께 전송하기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듀얼 캡처된 다른 이미지(1-1, 1-2)가 상대방 단말로 전송된다. 그 결과, 대화창 화면(1301)에는 전송된 복수의 이미지들(1311, 1312)이 디스플레이된다.
또 다른 예에서는, 이미지1의 전송시 자동으로 이미지1-1, 이미지1-2가 함께 전송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함께 전송될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미지1-1 또는 이미지1-2)를 선택가능할 수 있도록, 리스트 형태로 사진 이미지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메뉴창(1310)의 표시 없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1(1301)에 대한 터치입력을 통해 상대방 단말로 이미지1, 1-1, 1-2가 한번에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1에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기저장된 얼굴 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터치입력이 가해진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얼굴을 인식하고, 이동 단말기(100)에 저장된 얼굴과 매칭되는 주소록을 검색하여, 한번의 터치입력으로 듀얼 캡처된 다수의 이미지들을 상대방 단마로 전송해줄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한번의 촬영신호를 입력하여 가로 세로방향으로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현재 촬영 방향으로 촬영시 주요 피사체가 잘려질 경우 다른 촬영 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에는 주요 피사체가 모두 나타나도록 자동으로 촬영 옵션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듀얼 캡처된 복수의 이미지들의 출력시 이미지들의 촬영 방향을 직관할 수 있도록 표시 및 화면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뷰 스타일(view style)로 복수의 이미지들이 정렬될 수 있고, 현재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다른 방향으로 촬영된 피사체의 이미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듀얼 캡처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 전송시, 다른 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도 함께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관련된 이미지들을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의 일 측에 구비되고, 적어도 제1 및 제2렌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 대한 촬영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및 제2렌즈를 구동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동일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 결과 획득된 제1 및 제2이미지의 각 촬영 방향을 인식하여 저장하는 제어부; 및
    촬영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된 제1 및 제2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미지는 상기 피사체를 포함하는 프리뷰 화면과 일치하는 촬영 방향으로 촬영된 것이고, 상기 제2이미지는 상기 프리뷰 화면과 대향되는 촬영 방향으로 촬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이미지상에 포함된 피사체의 전부가 상기 제2 이미지내에 포함되도록 상기 카메라의 촬영 옵션을 자동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방향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표시방향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된 제1 및 제2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방향이 변경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된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변경된 표시방향에 대응되는 촬영 방향을 갖는 다른 하나의 이미지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터치입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방향이 변경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른 하나의 이미지로의 전환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이미지들의 출력시, 상기 저장된 1 및 제2이미지 중 실제 촬영 방향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이미지만 대표 이미지로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실제 촬영 방향과 다른 촬영 방향을 갖는 다른 하나의 이미지는 숨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의 대표 이미지에 기설정된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면, 터치 제스처가 감지된 대표 이미지에 인접하도록 팝업 윈도우를 출력하고,
    상기 팝업 윈도우에는 다른 촬영 방향을 갖는 숨겨진 다른 하나의 이미지가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윈도우에는, 상기 대표 이미지 및 상기 숨겨진 다른 하나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다른 이미지가 상기 숨겨진 다른 하나의 이미지와 함께 슬라이드 쇼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터치 제스처가 상기 팝업 윈도우 내에서 해제되면, 상기 터치 제스처가 해제된 시점에 상기 팝업 윈도우에 표시되었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전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제스처가 팝업 윈도우내로 드래그되었다가 다시 해당 대표 이미지 내에서 해제되면, 해당 대표 이미지를 상기 터치 제스처가 해제된 시점에 상기 팝업 윈도우에 표시되었던 이미지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촬영 방향을 갖는 제1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제스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1이미지를 제2촬영 방향을 갖는 제2이미지로 전환하거나 상기 제1이미지에 상기 제2이미지를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제1 및 제2이미지가 썸네일 리스트에 출력되는 경우, 각 촬영 방향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썸네일 형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썸네일 리스트에서 제1촬영 방향을 갖는 제1형상의 썸네일에 제1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터치입력이 가해진 썸네일과 같은 촬영 방향으로 촬영된 제1형상의 썸네일들만 표시되도록 상기 썸네일 리스트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썸네일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썸네일에 제2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썸네일 리스트에서 실제 촬영 방향에 대응되는 썸네일에 선택 표시를 출력하고, 다른 썸네일 이미지에는 입력이 제한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 촬영 방향을 갖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된 썸네일 리스트에 가로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입력이 가해지면, 상기 썸네일 리스트를 제2 촬영 방향을 갖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제2 썸네일 리스트로 전환하거나 제1 및 제2 촬영 방향을 갖는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제3썸네일 리스트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 촬영 방향을 갖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썸네일 리스트에 인가된 투-핑거 터치입력이 제1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제1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썸네일 리스트의 라인이 소정 간격으로 벌어지면서 제2촬영 방향을 갖는 이미지가 나타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썸네일 리스트에 인가된 투-핑거 터치입력이 제1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투-핑거 터치입력이 인가된 제1라인 및 상기 제1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라인과 인접한 제2라인의 사이가 벌어지면서 상기 제1라인에 대응되는 제2촬영 방향을 갖는 이미지들이 펼쳐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제1 및 제2 이미지 중 제1촬영 방향을 갖는 어느 하나의 이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기설정된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이미지상에 제2촬영 방향을 갖는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터치입력이 가해진 것에 응답하여, 제2촬영 방향을 갖는 이미지 바로 보기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 및 제2이미지 중 특정 촬영 방향을 갖는 어느 하나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전송명령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와 다른 촬영 방향을 갖는 다른 하나의 이미지도 함께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60039587A 2016-03-31 2016-03-31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1249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587A KR20170112491A (ko) 2016-03-31 2016-03-31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5/272,061 US10205884B2 (en) 2016-03-31 2016-09-21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6202275.0A EP3226543A1 (en) 2016-03-31 2016-12-05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587A KR20170112491A (ko) 2016-03-31 2016-03-31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491A true KR20170112491A (ko) 2017-10-12

Family

ID=57517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587A KR20170112491A (ko) 2016-03-31 2016-03-31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05884B2 (ko)
EP (1) EP3226543A1 (ko)
KR (1) KR201701124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4669A (ko) * 2020-06-12 2021-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422673B2 (en) 2020-06-12 2022-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56944B (zh) 2012-11-28 2019-03-08 核心光电有限公司 多孔径成像系统和方法
KR101634516B1 (ko) 2013-06-13 2016-06-28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이중 조리개 줌 디지털 카메라
CN108519655A (zh) 2013-07-04 2018-09-11 核心光电有限公司 小型长焦透镜套件
CN105917641B (zh) 2013-08-01 2018-10-19 核心光电有限公司 具有自动聚焦的纤薄多孔径成像系统及其使用方法
US9392188B2 (en) 2014-08-10 2016-07-12 Corephotonics Ltd. Zoom dual-aperture camera with folded lens
CN112327464A (zh) 2015-01-03 2021-02-05 核心光电有限公司 微型长焦镜头模块和使用该镜头模块的相机
US10015384B2 (en) 2015-04-02 2018-07-03 Corephotonics Ltd. Dual voice coil motor structure in a dual-optical module camera
KR101963546B1 (ko) 2015-04-16 2019-03-28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소형 접이식 카메라의 오토 포커스 및 광학 이미지 안정화
CN110687655B (zh) 2015-05-28 2022-10-21 核心光电有限公司 用于双孔径数字照相机中的光学图像稳定和自动对焦的双向刚度
EP3787281B1 (en) 2015-08-13 2024-08-21 Corephotonics Ltd. Dual aperture zoom camera with video support and switching / non-switching dynamic control
WO2017037688A1 (en) 2015-09-06 2017-03-09 Corephotonics Ltd. Auto focus and optical image stabilization with roll compensation in a compact folded camera
US10578948B2 (en) 2015-12-29 2020-03-03 Corephotonics Ltd. Dual-aperture zoom digital camera with automatic adjustable tele field of view
KR102002718B1 (ko) 2016-05-30 2019-10-18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회전식 볼-가이드 음성 코일 모터
KR102302004B1 (ko) 2016-06-19 2021-09-14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듀얼 애퍼처 카메라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동기화
WO2018007951A1 (en) 2016-07-07 2018-01-11 Corephotonics Ltd. Dual-camera system with improved video smooth transition by image blending
CN111367039B (zh) 2016-07-07 2023-02-03 核心光电有限公司 用于折叠式光学装置的线性滚珠引导音圈电动机
CN114051092B (zh) 2016-12-28 2024-07-26 核心光电有限公司 具有延伸光折叠元件扫描范围的致动器及含其的折叠相机
KR20230170809A (ko) 2017-01-12 2023-12-19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컴팩트 폴디드 카메라
WO2018154421A1 (en) 2017-02-23 2018-08-30 Corephotonics Ltd. Folded camera lens designs
KR20230066140A (ko) 2017-03-15 2023-05-12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파노라마 스캐닝 범위를 갖는 카메라
WO2019048904A1 (en) 2017-09-06 2019-03-14 Corephotonics Ltd. STEREOSCOPIC DEPTH CARTOGRAPHY AND COMBINED PHASE DETECTION IN A DOUBLE-OPENING CAMERA
US10951834B2 (en) 2017-10-03 2021-03-16 Corephotonics Ltd. Synthetically enlarged camera aperture
JP6806919B2 (ja) 2017-11-23 2021-01-06 コアフォトニクス リミテッド コンパクト屈曲式カメラ構造
EP3552050B1 (en) 2018-02-05 2021-06-02 Corephotonics Ltd. Reduced height penalty for folded camera
EP4191315B1 (en) 2018-02-12 2024-09-25 Corephotonics Ltd. Folded camera with optical image stabilization
US10694168B2 (en) 2018-04-22 2020-06-23 Corephotonics Ltd.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ng or preventing eye damage from structured light IR/NIR projector systems
EP4109174A1 (en) 2018-04-23 2022-12-28 Corephotonics Ltd. An optical-path folding-element with an extended two degree of freedom rotation range
WO2020031005A1 (en) 2018-08-04 2020-02-13 Corephotonics Ltd. Switchable continuous display information system above camera
WO2020039302A1 (en) 2018-08-22 2020-02-27 Corephotonics Ltd. Two-state zoom folded camera
WO2020138887A1 (ko) * 2018-12-24 2020-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0144528A1 (en) 2019-01-07 2020-07-16 Corephotonics Ltd. Rotation mechanism with sliding joint
JP7233960B2 (ja) * 2019-02-25 2023-03-07 株式会社トプコン 圃場情報管理装置、圃場情報管理システム、圃場情報管理方法及び圃場情報管理プログラム
CN113891059B (zh) 2019-03-09 2024-02-13 核心光电有限公司 对双摄像机进行立体校准的方法
KR102365748B1 (ko) 2019-07-31 2022-02-23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카메라 패닝 또는 모션에서 배경 블러링을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1659135B2 (en) 2019-10-30 2023-05-23 Corephotonics Ltd. Slow or fast motion video using depth information
US11949976B2 (en) 2019-12-09 2024-04-02 Corephotonics Ltd.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a smart panoramic image
WO2021116851A2 (en) 2019-12-09 2021-06-17 Corephotonics Ltd.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a smart panoramic image
KR20220053023A (ko) 2020-02-22 2022-04-28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매크로 촬영을 위한 분할 스크린 기능
US11693064B2 (en) 2020-04-26 2023-07-04 Corephotonics Ltd. Temperature control for Hall bar sensor correction
CN117372249A (zh) 2020-05-17 2024-01-09 核心光电有限公司 全视场参考图像的图像拼接
CN117518313A (zh) 2020-05-30 2024-02-06 核心光电有限公司 用于获得超微距图像的系统
US11637977B2 (en) 2020-07-15 2023-04-25 Corephotonics Ltd. Image sensors and sensing methods to obtain time-of-flight and phase detection information
EP4045960A4 (en) 2020-07-15 2022-12-14 Corephotonics Ltd. CORRECTING THE ABERRATION OF VIEWPOINTS IN A FOLDED SCANNING CAMERA
KR102640229B1 (ko) 2020-07-31 2024-02-22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큰 스트로크 선형 위치 감지를 위한 홀 센서-자석 구조
CN116626960A (zh) 2020-08-12 2023-08-22 核心光电有限公司 用于光学防抖的方法
WO2022137213A1 (en) 2020-12-26 2022-06-30 Corephotonics Ltd. Video support in a multi-aperture mobile camera with a scanning zoom camera
CN115868168A (zh) 2021-03-11 2023-03-28 核心光电有限公司 用于弹出式相机的系统
KR102638173B1 (ko) 2021-06-08 2024-02-19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슈퍼-매크로 이미지의 초점면을 틸팅하기 위한 시스템 및 카메라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9044A (ja) * 2001-06-26 2003-01-10 Canon Inc 記録装置、再生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3030675A (ja) 2001-07-11 2003-01-31 Pioneer Electronic Corp 画像編集装置及び方法、画像記録再生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135782A (ja) 2004-11-08 2006-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像装置、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WO2010038296A1 (ja) * 2008-10-01 2012-02-23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ならびに起動用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2011210138A (ja) * 2010-03-30 2011-10-20 Sony Corp 電子機器、画像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553129B2 (en) 2011-05-10 2013-10-08 Htc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two lens modules, dual image capturing method applying for the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load into the handheld electronic device
WO2013001152A1 (en) * 2011-06-30 2013-01-03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aging content
US9001255B2 (en) * 2011-09-30 2015-04-07 Olympus Imaging Corp.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trimming and enlarging a portion of a subject image based on touch panel inputs
KR101911804B1 (ko) * 2011-10-17 2018-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에서 검색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30332512A1 (en) * 2012-06-10 2013-12-12 Apple Inc. Creating and publishing image streams
KR102034583B1 (ko) * 2013-02-28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EP2801919A1 (en) 2013-05-10 2014-11-1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977590B2 (en) * 2013-12-18 2018-05-2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6004115A1 (en) 2014-07-01 2016-01-07 Apple Inc. Mobile camera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4669A (ko) * 2020-06-12 2021-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422673B2 (en) 2020-06-12 2022-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886684B2 (en) 2020-06-12 2024-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05884B2 (en) 2019-02-12
EP3226543A1 (en) 2017-10-04
US20170289458A1 (en) 201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861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1249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3296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8001939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9533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0655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800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1249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2953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6013172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0079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3305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5010975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3945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7002517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1435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8004136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006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영상촬영 방법
KR20180023197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1004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1249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1586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5134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9277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3737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