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60082568A - 열수추출용 옻 조성물 및 그 옻 조성물을 이용한 추출액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수추출용 옻 조성물 및 그 옻 조성물을 이용한 추출액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2568A
KR20160082568A KR1020140192865A KR20140192865A KR20160082568A KR 20160082568 A KR20160082568 A KR 20160082568A KR 1020140192865 A KR1020140192865 A KR 1020140192865A KR 20140192865 A KR20140192865 A KR 20140192865A KR 20160082568 A KR20160082568 A KR 20160082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lacquer
rhus verniciflua
rh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옥순
Original Assignee
김옥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옥순 filed Critical 김옥순
Priority to KR1020140192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2568A/ko
Publication of KR20160082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5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수추출용 옻 조성물 및 그 옻 조성물을 이용한 추출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옻나무, 천궁, 원지, 복령 및 양춘사를 포함하는 제 1 조성물과, 둥굴레, 솔잎, 복분자, 산사나무 열매, 하수오, 녹차 및 감초를 포함하는 제 2 조성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조성물과 제 2 조성물은 1: 1.01~1.2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옻의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티백 형태로 제공되어 간단한 방법으로 섭취가 가능함으로써, 섭취자의 건강유지를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열수추출용 옻 조성물 및 그 옻 조성물을 이용한 추출액의 제조방법{Composition comprising Rhus verniciflua for extraction and extraction mthod of the Composition}
본 발명은 열수추출용 옻 조성물 및 그 옻 조성물을 이용한 추출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옻과 한약재를 혼합하여 옻 조성물을 구성하고 이를 열수추출함으로써, 우루시올이 검출되지 않은 안정적인 옻 추출액을 제공하는 것이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옻은 성질이 따뜻하고 어혈을 없애며 여인의 생리불순, 생리통과 산가를 낫게 하고,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하며, 회충을 죽이고, 여성의 하혈을 그치게 하고, 삼충을 없애고 폐결핵을 치료하는 효능을 가진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또한, 골다공증, 골연화 예방치료와 골수염,관절염에 좋고, 피부병, 신장병, 결핵, 신경통, 간경화, 늑막염, 담낭, 신장, 허리통, 중풍, 방광결석을 치료하고, 남성의 정력을 보하는 데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옻은 다양한 효능이 있음에도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우루시올이라는 독성분으로 인해 그대로 섭취하기는 어려우므로, 옻을 섭취하여 그 효능을 제공받고자 할 때에는 우루시올을 중화시킨 후에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옻을 섭취하고자 할 때에는 독성중화성질을 가진 식재료, 보다 구체적으로는 닭이나 오리 등과 함께 조리함으로써 옻의 독성분을 중화시킨 후에 섭취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옻 닭이나 옻 오리를 전통적인 방법으로 조리하는 형태를 살펴보면, 옻나무의 목질을 물에 끓여 수액을 추출한 다음, 상기 수액이 추출된 옻 물에 닭이나 오리를 넣어 조리함으로써 옻의 독성분은 중화시키고 유효성분은 온전하게 보전하게 된다.
이러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5206호의 "해양 심층수와 옻을 이용하여 옻 닭을 만드는 방법"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7284호의 "알칼리환원수와 옻을 이용하여 옻 닭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방법으로 제조된 옻 닭"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조리비용이 많이 들고, 조리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 조리방법이 까다로워 옻의 유효성분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현재 옻의 독성분인 우루시올을 제거한 옻나무 목질을 파쇄하여 이를 티백형태로 형성한 것이 고안된 바 있는데, 이로써 옻 닭이나 옻 오리 등을 통하지 아니하고도 옻의 유효성분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50122호의 "옻을 포함한 티백의 제조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선행기술은 실질적으로 옻나무만으로 구성된 것이어서 옻나무 특유의 쓴맛으로 인해 음용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7944호의 "옻티백 제조방법" 에서는, 옻나무와 함께 다량의 한약재를 첨가하여 방안이 제시되었으나, 독성이 있는 옻과 상기 독성을 갖는 한약재인 백봉령, 원지, 공사인 등은 식품에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원료로서, 상기 식품에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원료는 그 사용량이 전체의 50% 미만이어야만 식품으로서 취급가능한 것이나(식품의약안전처 제공), 상기한 특허는 그 사용량이 50% 이상인바 그 독성으로 인해 식품으로 취급될 수 없어 상용화가 어려웠다. 또한, 이를 그대로 섭취시 그 독성물질들로 인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어 그 섭취가 꺼려지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연구에서는 옻이 뛰어난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세간에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연구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생명공학연구소 옻 연구팀은 국내산 참 옻의 수액에서 우루시올 성분을 찾아냈고, 이를 3-4PPM 농도로 실험한 결과 인체 암 세포주에 대해 암세포를 죽이는 탁월한 항암활성 능력이 있다고 발표했으며, 산림청 임목육종연구소 옻 연구팀도 비슷한 시기에 옻 수액의 우루시올을 분석해 항암효과가 뛰어난 MU2 성분을 추출하는 데 성공하였으며, 옻나무를 열처리해 얻은 화칠(火漆)에서 추출한 MU2는 항암 효과가 탁월할 뿐 아니라 옻의 알레르기 현상과는 무관한 안전한 복합물질이라고 발표했다. 이 연구팀은 또 MU2에는 항산화기능과 숙취해소 기능도 있다고 밝혔다.
따라서, 옻의 열수추출물에 대한 섭취량을 늘릴 경우, 섭취자의 건강유지에 도움이 될 것인바, 그 섭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KR 10-0905206 B1 KR 10-2012-0107284 A KR 10-2012-0050122 A KR 10-1217944 B1
대한암한의학회지 vol.11 no.1 (2006) pp.23-30 1229-2621 경향신문 (1997.04.22) pp 22 "옻칠액에 탁월한 항암물질"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옻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등이 갖는 제반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옻을 포함하는 제 1 조성물과, 독성이 없는 한약재를 포함하는 제 2 조성물로 구성하되, 상기 제 1 조성물의 함량이 50% 이상이 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식품 재료로서 활용이 가능하여 상용화가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조성물을 티백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차, 식수는 물론, 옻 닭 또는 옻 오리의 조리용 육수, 기타 식품 조리용 육수로의 손쉬운 활용이 가능토록 하며, 옻의 알레르기 유발물질인 우루시올이 검출되지 않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열수추출용 옻 조성물은, 옻나무, 천궁, 원지, 복령 및 양춘사를 포함하는 제 1 조성물과, 둥굴레, 솔잎, 복분자, 산사나무 열매, 하수오, 녹차 및 감초를 포함하는 제 2 조성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조성물과 제 2 조성물은 1: 1.01~1.2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조성물은 옻나무 80~84중량%, 천궁 4~5중량%, 원지 4~5중량%, 복령 4~5중량% 및 양춘사 4~5중량%로 되고, 상기 제 2 조성물은 둥굴레 17~22중량%, 솔잎 8~10중량%, 복분자 17~22중량%, 산사나무 열매 8~10중량%, 하수오 12~14중량%, 녹차 17~22중량% 및 감초 8~10중량%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수추출용 옻 조성물은 티백에 포장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그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옻나무, 천궁, 원지, 복령 및 양춘사를 포함하는 제 1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둥굴레, 솔잎, 복분자, 산사나무 열매, 하수오, 녹차 및 감초를 포함하는 제 2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된 제 1 조성물과 제 2 조성물을 1: 1.01~1.2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된 조성물을 물에 투입하고, 80~100℃의 물로 1~3시간 동안 가열하여 상기 조성물 내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준비된 제 1 조성물과 제 2 조성물을 1: 1~1.2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후,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티백에 담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1 조성물은 옻나무 80~84중량%, 천궁 4~5중량%, 원지 4~5중량%, 복령 4~5중량% 및 양춘사 4~5중량%로 준비되고, 상기 제 2 조성물은 둥굴레 17~22중량%, 솔잎 8~10중량%, 복분자 17~22중량%, 산사나무 열매 8~10중량%, 하수오 12~14중량%, 녹차 17~22중량% 및 감초 8~10중량%로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옻의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티백 형태로 제공되어 간단한 방법으로 섭취가 가능함으로써, 섭취자의 건강유지를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옻 조성물을 이용한 추출액의 제조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 옻의 경우 그 효과가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그 섭취량이 많지 않았다. 이는 옻의 독성으로 인해 식품으로서의 가공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독성이 없으면서도, 식품으로서 가공, 유통이 가능한 열수추출용 옻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열수추출액을 제조하여 누구나 손쉽게 옻의 유효성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섭취자의 건강유지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옻나무, 천궁, 원지, 복령 및 양춘사를 포함하는 제 1 조성물과, 둥굴레, 솔잎, 복분자, 산사나무 열매, 하수오, 녹차 및 감초를 포함하는 제 2 조성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조성물과 제 2 조성물은 1 : 1.01~1.2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 1 조성물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식품에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원료"로서 가공 전 원재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원료배합 시 50% 미만(배합수 제외)이어야 하는 조성물이다.
상기 옻나무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우수한 작용효과를 가지는 것인바, 옻나무의 목질뿐 아니라, 뿌리, 씨앗, 잎줄기를 모두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옻나무의 목질, 뿌리, 씨앗, 잎줄기를 자연건조 또는 건조기를 통해 충분히 건조한 후, 건조된 옻나무의 목질, 뿌리, 씨앗 및 잎줄기를 압착하여 분쇄하여 분말로서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건조된 옻나무를 분말이 아닌 분태 또는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천궁은 진정, 진통, 강장 등에 효능이 있으며, 혈액순환을 돕는 약재로서, 근경을 캐어 잎과 줄기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 후 이를 절단 또는 분쇄하여 사용한다.
상기 원지는 그 뿌리를 사용하는데, 정신을 안정시키고 머리를 맑게 하여 담(痰)을 제거하고 울결(鬱結)을 풀어주는 효능이 있다. 상기 원지 역시 근경을 캐어 잎과 줄기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 후 이를 절단 또는 분쇄하여 사용한다.
상기 복령은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는 잔나비걸상과의 복령(Poria cocos Wolf)의 균핵으로 바깥층을 거의 제거하고 건조한 것이다. 상기 복령은 이뇨, 억균작용, 장관이완작용, 궤양예방효과, 혈당강하작용, 심장수축력 증가, 면역증강작용, 항종양작용 등의 약리작용을 갖는 것으로, 옻나무와 함께 사용할 경우 옻나무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항종양작용이 극대화된다. 상기 복령 역시 절단 또는 분쇄하여 사용한다.
상기 양춘사는 초본식물인 양춘사(Amomum villosum LOUR)의 과실을 건조한 것으로, 이 역시 절단 또는 분쇄하여 사용한다. 양춘사의 주성분으로는 디캄폴(d-camphor), 디보네올(d-boneol), 보닐아세테이트((Bornyl acetate), 리나롤(Linalol), 네롤달(Neroldal) 등이 있어, 위장기능장애에 탁월한 효능이 있으며, 소화기 계통을 원활히 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조성물은 독성이 거의 없어 식품에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원료로서, 둥굴레, 솔잎, 복분자, 산사나무 열매, 하수오, 녹차 및 감초 모두 건조하여 그대로 사용하거나 절단 또는 분쇄하여 사용한다.
상기 둥굴레는 그 뿌리를 말려 사용하는 것으로, 강장작용(强壯作用)이 있어서 사지노권무력(四肢勞倦無力), 비위허약(脾胃虛弱), 폐결핵 등에 쓰이고 보간(補肝), 명목(明目) 및 살충시킬 목적으로도 이용된다. 그리고 노화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솔잎은 송화를 수확하기 직전에 수확하여 그늘에서 말려 사용하며, 〈향약집성방〉에서는 “솔잎 적당량을 좁쌀처럼 잘게 썰어 갈아먹으면 몸이 거뜬해지고 힘이 솟으며 추위를 타지 않는다”고 하였으며, 〈동의보감〉에서는 “솔잎을 오랫동안 생식하면 늙지 않고, 원기가 왕성해지며, 머리가 검어지고, 추위와 배고픔을 모른다”고 하였다. 상기 솔잎은 비타민A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 혈액을 깨끗하게 하고 고혈압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바, 간장질환, 위장질환, 신경계질환, 순환계질환과 피부보호에 효과가 있고, 중풍, 동맥경화증, 고혈압, 당뇨병 같은 노인성 질환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상기 복분자는 장미과의 복분자딸기(Rubus coreanus)의 채 익지 않은 열매로 만든 약재(한국, 중국)로서, 신(腎)기능을 북돋아 유정(遺精), 몽정(夢精), 유뇨(遺尿) 등에 사용하며, 시력약화를 방지하고, 몸을 가볍게 하며 머리를 검게 한다. 또한, 살결을 부드럽고 아름답게 하기도 한다. 약리작용으로 항염작용, 항산화작용, 항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작용이 보고되었다.
상기 산사나무 열매는 산사자(山査子)라고 하며, 건위제, 소화제, 정장제로 사용한다. 민간에서는 고기를 많이 먹은 다음 소화제로도 사용한다.
상기 하수오는 덩이뿌리를 건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약성은 온(溫)하고 감고(甘苦)하며 조삽(燥澁: 파슬파슬함)하다. 강장, 강정, 양혈(養血), 보간, 거풍, 소종의 효능이 있으며, 신체허약, 요통, 동맥경화, 고혈압, 만성간염, 결핵성임파선염, 장염, 용종(癰腫), 변비 등의 증상에 치료제로 쓴다.
상기 녹차는 녹색음식을 대표하는 것으로, 채취한 신선한 잎을 고온 가열하여 잎 속의 산화효소의 작용을 억제시킨 후, 비비고 말리고 정제하는 등의 가공을 거쳐 사용한다. 상기 녹차는 혈전 형성을 막아주고 콜레스테롤과 혈당을 낮추는 효과가 있으며, 충치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카테킨(catechin)이라 불리는 탄닌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항산화 효능이 높다. 상기 녹차는 건조된 잎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분말화하여 사용한다.
상기 감초는 뿌리를 건조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감미가 있는 글리시리진과 글라브릭산, 슈크로즈, 글루코즈, 리퀴리틴, 리코리시딘 등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 글리시리진은 디프테리아 독소, 파상풍 독소, 염산 코데인, 초산 스트리키닌, 뱀독, 복어독 등을 해독하는 작용이 있으며, 항염증 작용이 있어 부종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글리시리진은 혈액 중의 콜레스테롤치를 내려주어 혈압강하의 효과가 있으며, 담즙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진해작용·진통작용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소화기계통으로는 개에게 궤양을 일으키게 한 뒤 감초 달인 물을 복용시킨 결과 궤양억제작용이 나타났다. 또한, 실험적으로 유발시킨 방광결석에도 유의한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항암작용실험에서는 복수암·간암 등에 유의성 있는 억제작용을 나타내며, 임상적으로는 환자가 물변을 보고 소화가 안 되고, 식욕이 없으며 복부에 팽만감을 느낄 때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리고 위, 십이지장 궤양에 1∼3주간 복용시킨 결과 통증이 없어지거나 감소하고, 대변을 정상적으로 볼 수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위장의 경련으로 복통이 심하고 입이 마르며 설사를 할 때에도 통증을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 2 조성물은 뽕잎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도 있는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 1 조성물 및 제 2 조성물은 모두 건조하여, 절단 또는 분쇄(분태 또는 분말)로서 사용가능한 것으로, 그 건조방법 및 입자의 크기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요리용 육수 또는 차 등을 우려내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므로, 그 크기를 제한하지 않는 것이나, 그 크기가 너무 클 경우 포장이 용이하지 못하고, 우려내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이를 절단 또는 분쇄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내에서 50중량% 이상으로 첨가될 경우 식품으로서 취급될 수 없으므로, 제 1 조성물과 제 2 조성물을 중량비로서 1: 1.01~1.2로 혼합하는데, 상기 제 2 조성물이 과량으로 첨가될 경우 옻나무의 효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으므로 상기한 혼합비로서 혼합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 1 조성물은 옻나무 80~84중량%, 천궁 4~5중량%, 원지 4~5중량%, 복령 4~5중량% 및 양춘사 4~5중량%로 되고, 상기 제 2 조성물은 둥굴레 17~22중량%, 솔잎 8~10중량%, 복분자 17~22중량%, 산사나무 열매 8~10중량%, 하수오 12~14중량%, 녹차 17~22중량% 및 감초 8~10중량%로 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추출된 추출용액의 맛, 풍미, 효능, 독성 등을 고려한 배합비로서, 한 가지 성분이 너무 적어지거나 과량이 될 경우 그 맛과 풍미가 좋지 못해 식품으로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없으며, 그 효능에 있어서도 상호작용이 극대화되지 못해 옻나무의 독성이 충분히 제거되지 않는 등의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은 옻나무의 독성을 별도의 작업을 통해 제거하지 않더라도 상기한 제 1 조성물과 제 2 조성물을 혼합하여 열수추출할 경우, 옻의 독성이 자연스럽게 중화되어 우루시올이 검출되지 않게 되는 것인바, 상기한 배합비로서 이용해야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열수추출용 옻 조성물은, 티백 등에 포장되어 유통함으로써, 그 취급이 용이하고 뜨거운 물에 그대로 티백을 담가두어 우려낼 수 있으므로 사용성이 좋으며, 우루시올이 검출되지 않아 안정적인 섭취가 가능하여 옻나무의 소비를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열수추출용 옻 조성물을 이용하여 열수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옻 조성물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옻나무, 천궁, 원지, 복령 및 양춘사를 포함하는 제 1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옻나무 80~84중량%, 천궁 4~5중량%, 원지 4~5중량%, 복령 4~5중량% 및 양춘사 4~5중량%로 되는 제 1 조성물을 준비한다. 상기 제 1 조성물은 그 형태를 제한하지 않으며, 모두 건조된 재료로서 준비한다.
둥굴레, 솔잎, 복분자, 산사나무 열매, 하수오, 녹차 및 감초를 포함하는 제 2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다음으로, 둥굴레 17~22중량%, 솔잎 8~10중량%, 복분자 17~22중량%, 산사나무 열매 8~10중량%, 하수오 12~14중량%, 녹차 17~22중량% 및 감초 8~10중량%로 되는 제 2 조성물을 준비하되, 제 2 조성물 역시 그 형태를 제한하지 않으며, 모두 건조된 재료로서 준비한다.
상기 준비된 제 1 조성물과 제 2 조성물을 1: 1.01~1.2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준비된 제 1 조성물과 제 2 조성물을 1: 1.01~1.2 중량비로 혼합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제한하는 원료의 사용조건을 만족시키며, 열수추출 시 독성물질인 우루시올이 검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혼합된 조성물을 티백에 포장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혼합된 조성물을 티백에 포장하여 사용성을 좋게 한다. 상기 티백으로는 통상 사용되고 있는 부직포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티백의 크기 역시 제한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5~100g 씩 용량을 달리하여 포장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포장된 혼합 조성물을 물에 투입하고, 80~100℃의 물로 1~3시간 동안 가열하여 상기 조성물 내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최종적으로, 상기 티백에 포장된 혼합 조성물을 물에 투입한 후, 이를 가열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다. 이때, 상기 사용되는 물의 양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g을 기준으로 7~10ℓ 정도를 사용하는 것이나, 그 양을 가감할 수 있음은 당연하며, 가열 시간이 너무 짧으면 유효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고, 가열 시간이 길어지더라도 추가적인 추출이 진행되지 않아 생산성이 떨어지므로, 1~3시간 동안 가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추출된 추출물은 독성이 없으며, 그 맛과 풍미가 우수하여 옻 닭, 옻 오리 등의 요리를 위한 육수는 물론, 차 또는 식수로서 음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옻나무 40g, 천궁 2g, 원지 2g, 봉령 2g, 양춘자 2g을 준비하였다. 상기 옻나무, 천궁, 원지, 봉령 및 양춘자는 모두 건조하여 분쇄하였으며, 입자의 크기는 1~3mm가 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둥굴레 10g, 솔잎(새눈) 5g, 복분자 열매 10g, 산사자 열매 5g, 하수오의 덩이뿌리 7g, 녹차 10g, 감초 5g을 준비하였다. 상기 재료는 모두 건조하여 분쇄하였으며, 입자의 크기는 1~3mm가 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준비된 재료를 모두 혼합하고, 티백에 100g씩 포장하였다.
다음으로, 물 8L에 티백 1개를 투입한 후, 80~9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액 5L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옻나무 40g, 천궁 2g, 원지 2g, 봉령 2g, 양춘자 2g을 준비하였다. 상기 옻나무, 천궁, 원지, 봉령 및 양춘자는 모두 건조하여 분쇄하였으며, 입자의 크기는 1~3mm가 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준비된 재료를 모두 혼합하고, 티백에 100g씩 포장하였다.
다음으로, 물 8L에 티백 1개를 투입한 후, 80~9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액 5L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2)
시중에 판매 중인 티백 녹차를 포장지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차를 우려내었다.
상기 실시예 1의 우루시올 검출 여부를 테스트하였다. 상기 테스트는 한국식품연구소에 의뢰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았다.
우루시올 검출 여부.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우루시올 검출여부 불검출 검출
상기한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우루시올이 검출되지 않아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이 없는 반면에, 제 2 조성물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우루시올이 검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2에 대한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기호도는 차를 좋아한다고 응답한 20명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맛, 향, 기호도에 대해 5점 척도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관능평가 결과.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2
3.8 3.5
3.7 3.4
기호도 3.8 3.6
5: 매우 좋음, 4: 조금 좋음, 3: 보통임, 2: 조금 나쁨. 1: 매우 나쁨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열수추출물은 비교예 2의 녹차와 그 기호도에 있어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는바, 차, 식수로서 음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그 개량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5)

  1. 옻나무, 천궁, 원지, 복령 및 양춘사를 포함하는 제 1 조성물과,
    둥굴레, 솔잎, 복분자, 산사나무 열매, 하수오, 녹차 및 감초를 포함하는 제 2 조성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조성물과 제 2 조성물은 1: 1.01~1.2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추출용 옻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성물은 옻나무 80~84중량%, 천궁 4~5중량%, 원지 4~5중량%, 복령 4~5중량% 및 양춘사 4~5중량%로 되고,
    상기 제 2 조성물은 둥굴레 17~22중량%, 솔잎 8~10중량%, 복분자 17~22중량%, 산사나무 열매 8~10중량%, 하수오 12~14중량%, 녹차 17~22중량% 및 감초 8~10중량%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 추출액.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추출용 옻 조성물은 티백에 포장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추출용 옻 조성물.
  4. 옻나무, 천궁, 원지, 복령 및 양춘사를 포함하는 제 1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둥굴레, 솔잎, 복분자, 산사나무 열매, 하수오, 녹차 및 감초를 포함하는 제 2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된 제 1 조성물과 제 2 조성물은 1: 1.01~1.2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된 조성물을 물에 투입하고, 80~100℃의 물로 1~3시간 동안 가열하여 상기 조성물 내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 조성물을 이용한 추출액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된 제 1 조성물과 제 2 조성물을 1: 1~1.2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후,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티백에 담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1 조성물은 옻나무 80~84중량%, 천궁 4~5중량%, 원지 4~5중량%, 복령 4~5중량% 및 양춘사 4~5중량%로 준비되고,
    상기 제 2 조성물은 둥굴레 17~22중량%, 솔잎 8~10중량%, 복분자 17~22중량%, 산사나무 열매 8~10중량%, 하수오 12~14중량%, 녹차 17~22중량% 및 감초 8~10중량%로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 조성물을 이용한 추출액의 제조방법.
KR1020140192865A 2014-12-30 2014-12-30 열수추출용 옻 조성물 및 그 옻 조성물을 이용한 추출액의 제조방법 KR201600825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865A KR20160082568A (ko) 2014-12-30 2014-12-30 열수추출용 옻 조성물 및 그 옻 조성물을 이용한 추출액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865A KR20160082568A (ko) 2014-12-30 2014-12-30 열수추출용 옻 조성물 및 그 옻 조성물을 이용한 추출액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568A true KR20160082568A (ko) 2016-07-08

Family

ID=56504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865A KR20160082568A (ko) 2014-12-30 2014-12-30 열수추출용 옻 조성물 및 그 옻 조성물을 이용한 추출액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25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5733A1 (ko) * 2017-01-22 2018-07-26 김화원 옻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결핵 예방용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48105A (ko) * 2017-10-30 2019-05-09 임태웅 비린내가 억제되고 풍미가 개선된 아귀즙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206B1 (ko) 2007-05-17 2009-07-02 서희동 해양 심층수와 옻을 이용하여 옻 닭을 만드는 방법
KR20120050122A (ko) 2010-11-10 2012-05-18 주식회사 오향 옻을 포함한 티백의 제조방법
KR20120107284A (ko) 2011-03-21 2012-10-02 차대헌 알칼리환원수와 옻을 이용하여 옻 닭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방법으로 제조된 옻닭
KR101217944B1 (ko) 2011-06-29 2013-01-02 이주일 옻티백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206B1 (ko) 2007-05-17 2009-07-02 서희동 해양 심층수와 옻을 이용하여 옻 닭을 만드는 방법
KR20120050122A (ko) 2010-11-10 2012-05-18 주식회사 오향 옻을 포함한 티백의 제조방법
KR20120107284A (ko) 2011-03-21 2012-10-02 차대헌 알칼리환원수와 옻을 이용하여 옻 닭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방법으로 제조된 옻닭
KR101217944B1 (ko) 2011-06-29 2013-01-02 이주일 옻티백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경향신문 (1997.04.22) pp 22 "옻칠액에 탁월한 항암물질"
대한암한의학회지 vol.11 no.1 (2006) pp.23-30 1229-2621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5733A1 (ko) * 2017-01-22 2018-07-26 김화원 옻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결핵 예방용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48105A (ko) * 2017-10-30 2019-05-09 임태웅 비린내가 억제되고 풍미가 개선된 아귀즙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1591B1 (ko) 기능성 커피콩 제조 방법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140322B1 (ko) 홍삼, 당귀, 천궁, 황기, 대추, 백출, 작약, 감초, 계피 및 숙지황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6463504B2 (ja) 発毛促進、脱毛緩和及び改善、血糖調節、胃腸障害の症状緩和及び改善用健康補助食品
KR20030026939A (ko) 구아바잎을 주성분으로한 당뇨병치료용, 비만개선용,노화방지용차의 효과적인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건강식품
KR101166883B1 (ko) 당귀, 천궁, 갈근, 작약, 숙지황, 황기, 홍삼, 건강, 감초, 계피 및 대추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33946A (ko) 한약재를 포함하는 된장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32851A (ko) 흰점박이 꽃무지를 주재료로 하는 환의 제조방법
KR20190140879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또는 음용수
KR20110056906A (ko) 구기자, 오미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홍삼, 대추 및 감초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3527625B2 (ja) 飲料用ホウトウクウ組成物
KR101816821B1 (ko) 항암활성을 갖는 기능성 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56908A (ko)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2568A (ko) 열수추출용 옻 조성물 및 그 옻 조성물을 이용한 추출액의 제조방법
KR100794445B1 (ko) 알레르기 치료효과를 갖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이를이용한 천연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06552B1 (ko) 율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암 치료용 조성물과 그 추출방법
JP2004352626A (ja) 植物由来成分を含有する抗コレステロール剤
KR100884844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비타 사과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67942B1 (ko) 항균 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15936B1 (ko) 밤을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쌍화탕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90793B1 (ko) 차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차 조성물
KR102515041B1 (ko) 새싹삼을 이용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69404A (ko) 감동의 차 새콤달콤함 콜라겐 비타 사과 홍차(과일 침출차)
KR20050023546A (ko) 상황버섯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술의 제조방법 및 그 술
KR20170024320A (ko) 꾸지뽕 나무 발효 추출물과 전복의 한방 복합 열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건강 기능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693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124

Effective date: 2016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