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9353A - 픽킹 및 분류 시스템 - Google Patents
픽킹 및 분류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39353A KR20130139353A KR1020137028571A KR20137028571A KR20130139353A KR 20130139353 A KR20130139353 A KR 20130139353A KR 1020137028571 A KR1020137028571 A KR 1020137028571A KR 20137028571 A KR20137028571 A KR 20137028571A KR 20130139353 A KR20130139353 A KR 201301393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picking
- sorting
- article
- shelf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픽킹 및 분류 시스템에 따르면, 제어부는, 물품 랙으로부터 버킷으로의 1 배치 분의 픽킹 스케줄을, 버킷의 용적을 기준으로 작성하고, 창고 제어부는, 1 배치 분의 픽킹 스케줄에 의해 버킷에 실렸으나 분류 후에 트레이에 남은 물품이 있으면, 작업 도중인 상태의 트레이를, 반송차에 의해 작업 선반으로부터 제 3 트레이 보관 스페이스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토탈 픽킹 방식을 이용한 픽킹 및 분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출하처마다 정해진 품종 및 수량의 물품의 주문을 출하처별로 분류하는 픽킹 시스템으로서, 토탈 픽킹 방식에 의한 픽킹 시스템이 있다. 토탈 픽킹 방식은, 복수의 출하처의 주문을 품종별로 합계하여, 물품이 보관된 보관부로부터, 품종별로 합계된 수의 물품을 픽킹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동일한 품종별로 통합하여 픽킹된 물품이, 분류장에서 출하처별로 분류된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토탈 픽킹 방식을 이용하면, 복수의 출하처의 주문을 동일 품종별로 통합하여 픽킹할 수 있으므로, 픽킹 효율이 양호하다.
토탈 픽킹 방식에서는, 보관부가 복수의 픽킹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 영역에 작업자가 배치된다. 작업자에게 지시되는 픽킹 스케줄의 1 배치(batch)는, 분류장의 작업 스페이스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이 때문에, 보관부에서는, 픽킹 영역마다의 픽킹량에 편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어느 픽킹 영역의 작업자에게 지시되는 픽킹량이 다른 픽킹 영역의 작업자에게 지시되는 픽킹량보다 극단적으로 적은 경우가 있다. 즉, 해당 픽킹 영역의 픽킹 효율이 저하되며, 나아가서는 보관부 전체의 픽킹 효율도 저하된다.
한편, 보관부에서의 픽킹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면, 분류장에서 출하처별로 분류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부족하다는 것을 생각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픽킹된 물품이 수납된 용기가 분류장에 체류하거나 또는 넘쳐나게 되어, 해당 용기를 둘 곳이 없어져 버리는 문제가 생긴다. 즉, 픽킹에서 분류까지의 전체적인 작업의 효율은 향상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토탈 픽킹 방식에 있어서, 픽킹 영역마다의 픽킹 효율을 향상시키고, 나아가서는, 픽킹에서 분류까지의 전체적인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이하에서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복수의 양태를 설명한다. 이러한 양태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견지에 따른 픽킹 및 분류 시스템은, 복수 종류의 물품이 수납되며, 제 1 용기를 이용하여 토탈 픽킹이 행해지는 물품선반을 포함하는 복수의 픽킹 영역과 함께 이용된다. 픽킹 및 분류 시스템은, 픽킹 스케줄 작성부와, 자동 창고와,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픽킹 스케줄 작성부는, 물품선반으로부터 제 1 용기로의 1 배치 분(分)의 픽킹 스케줄을, 각 픽킹 영역에서의 작업량을 기준으로 작성한다. 자동 창고는, 토탈 픽킹 후의 제 1 용기로부터 제 2 용기로의 분류 작업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이다. 자동 창고는, 분류 스테이션과, 보관선반과, 이동 장치를 가지고 있다. 분류 스테이션은, 재치부와, 작업선반을 가지고 있다. 재치부에는, 제 1 용기가 재치(載置)된다. 작업선반에는, 제 1 용기로부터 제 2 용기로 물품을 분류할 수 있도록 제 2 용기가 재치된다. 보관선반에는, 제 2 용기가 보관된다. 이동 장치는, 작업선반과 보관선반 사이에서 제 2 용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는, 1 배치 분의 픽킹 스케줄에 의해 제 1 용기에 픽킹되었으나 분류 후에 제 2 용기에 남은 물품이 있으면, 작업 도중인 상태(working-in-progress state)의 제 2 용기를, 이동 장치에 의해 작업선반으로부터 보관선반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시스템에서는, 물품선반으로부터 제 1 용기로의 1 배치 분의 픽킹 스케줄이 픽킹 영역에 있어서의 작업량을 기준으로 작성된다. 따라서, 픽킹 영역에서의 작업량이 균등화되도록 픽킹 스케줄이 작성된다. 따라서, 극단적으로 픽킹 작업이 적은 영역이 생기기 어려워지고, 그 결과, 픽킹 효율이 향상된다. 참고로, 픽킹 영역에 있어서의 작업량은, 예컨대, 제 1 용기가 수용가능한 최대한 또는 최대한에 가까운 오더 수, 제 1 용기에 수용가능한 상품의 용적 계산 결과, 또는 작업자가 걷는 거리의 계산 결과에 의해 결정되어도 좋다.
한편, 자동 창고에서의 분류 작업에서는, 1 배치 분의 픽킹 스케줄에 의해 제 1 용기에 실렸으나 분류 후에 분류 용기에 남는 물품이 생긴다. 이러한 물품이 남은 제 2 용기, 즉 작업 도중인 상태의 제 2 용기는, 이동 장치에 의해 작업선반으로부터 보관선반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 결과, 제 2 용기가 분류 스페이스에 체류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분류 작업의 효율이 저하되지 않는다.
픽킹 스케줄 작성부는, 보관선반에 보관된 제 2 용기의 수를 파악할 수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픽킹 스케줄 작성부는, 보관선반에 보관된 제 2 용기의 수가 소정의 수를 초과하면, 작업 도중인 상태로 보관선반에 수납된 제 2 용기에 분류되어야 할 물품을 1 배치 분의 픽킹 스케줄 작성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선택한다.
상기 시스템에서는, 빈 보관선반의 수가 감소하면, 픽킹 스케줄의 내용이 조정되어, 보관선반이 가득 찬 상태가 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른 픽킹 및 분류 시스템은, 복수의 픽킹 영역과, 픽킹 스케줄 작성부와, 자동 창고와,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픽킹 영역은, 복수 종류의 물품이 수납되며, 제 1 용기를 이용하여 토탈 픽킹이 행해지는 물품선반을 포함하고 있다. 픽킹 스케줄 작성부는, 물품선반으로부터 제 1 용기로의 1 배치 분(分)의 픽킹 스케줄을, 픽킹 영역에서의 작업량을 기준으로 작성한다. 자동 창고는, 토탈 픽킹 후의 제 1 용기로부터 제 2 용기로의 분류 작업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이다. 자동 창고는, 분류 스테이션과, 보관선반과, 이동 장치를 가진다. 분류 스테이션은, 제 1 용기가 재치되는 재치부와, 제 1 용기로부터 제 2 용기로 물품을 분류할 수 있도록 제 2 용기가 재치되는 작업선반을 가진다. 보관선반에는, 제 1 용기가 보관된다. 이동 장치는, 재치부와 보관선반 사이에서 제 1 용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는, 1 배치 분의 픽킹 스케줄에 의해 제 1 용기에 실렸으나 제 2 용기로의 분류를 완성하지 못한 물품이 있으면, 물품이 남은 상태의 제 1 용기를, 이동 장치에 의해 재치부로부터 보관선반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시스템에서는, 물품선반으로부터 제 1 용기로의 1 배치 분의 픽킹 스케줄이 픽킹 영역에 있어서의 작업량을 기준으로 작성된다. 따라서, 픽킹 영역에서의 작업량이 균등화되도록 픽킹 스케줄이 작성된다. 따라서, 극단적으로 픽킹 작업이 적은 영역이 생기기 어려워지고, 그 결과, 픽킹 효율이 향상된다. 참고로, 픽킹 영역에서의 작업량은, 예컨대, 제 1 용기가 수용가능한 최대한 또는 최대한에 가까운 오더 수, 제 1 용기에 수용가능한 상품의 용적 계산 결과, 또는 작업자가 걷는 거리의 계산 결과에 의해 결정되어도 좋다.
한편, 자동 창고에서의 분류 작업에서는, 1 배치 분의 픽킹 스케줄에 의해 제 1 용기에 실렸으나 제 2 용기로의 분류를 완성하지 못한 물품이 생긴다. 이와 같은 물품이 남은 제 1 용기는, 이동 장치에 의해 재치부로부터 보관선반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 결과, 물품이 남은 제 1 용기 이외의 제 1 용기를 신속히 재치부로 반송(搬送)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완성이 가능한 제 2 용기로의 분류를 신속히 완성할 수 있다. 따라서, 분류 작업의 효율이 저하되지 않는다.
픽킹 스케줄 작성부는, 보관선반에 보관된 물품이 남은 상태의 제 1 용기의 수를 파악할 수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픽킹 스케줄 작성부는, 보관선반에 보관된 물품이 남은 상태의 제 1 용기의 수가 소정의 수를 초과하면, 보관선반에 수납된 물품이 남은 상태의 제 1 용기에 남은 물품과 함께 분류되어야 할 물품을, 1 배치 분의 픽킹 스케줄 작성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선택한다.
상기 시스템에서는, 빈 보관선반의 수가 감소되면, 픽킹 스케줄의 내용이 조정되어, 보관선반이 가득 찬 상태가 되는 것이 방지된다.
자동 창고는, 분류 스테이션을 복수의 장소에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컨트롤러는, 분류 작업량이 평균화되도록, 각 분류 스테이션에 반송되는 제 1 용기 및 제 2 용기를 결정한다.
상기 시스템에서는, 분류 작업이 효율화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픽킹·분류 시스템에서는, 토탈 픽킹 방식에 있어서, 영역마다의 픽킹 효율이 향상되며, 나아가서는 픽킹에서 분류까지의 전체적인 작업의 효율이 향상된다.
도 1은, 픽킹 및 분류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분류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분류 스테이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물품 관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물류 서버의 기능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픽킹 스케줄의 작성·송신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픽킹 스케줄의 일례를 나타낸 표이다.
도 8은, 창고 제어부의 기능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자동 창고에 있어서의 분류 작업시의 제어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분류 스테이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1은, 창고 제어부의 기능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분류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분류 스테이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물품 관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물류 서버의 기능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픽킹 스케줄의 작성·송신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픽킹 스케줄의 일례를 나타낸 표이다.
도 8은, 창고 제어부의 기능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자동 창고에 있어서의 분류 작업시의 제어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분류 스테이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1은, 창고 제어부의 기능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 전체적인 구성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출하처마다 정해진 품종 및 수량의 물품의 주문을 출하처별로 분류하는 픽킹 시스템으로서 토탈 픽킹 방식이 채용된 픽킹 및 분류 시스템(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픽킹 및 분류 시스템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분류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픽킹 및 분류 시스템(1)은, 픽킹 시스템(3)과, 자동 창고(5)를 가지고 있다.
(2) 픽킹 시스템
픽킹 시스템(3)은, 작업자가 복수의 물품을 버킷(27)에 픽킹하기 위한 작업장이다. 픽킹 시스템(3)은, 복수의 영역<1>∼<12>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 영역에 작업자가 할당되어 있다. 각 영역에는, 통로(7)를 따라 배치된 다수의 물품 랙(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영역에는, 디스플레이 등을 구비한 단말 장치(8)가 설치되어 있다.
픽킹 시스템(3)에서는, 복수의 출하처의 주문을 품종별로 합계하여, 물품이 보관된 물품 랙(9)으로부터, 품종별로 합계된 수의 물품이 픽킹된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가, 단말 장치(8)에서 얻어진 정보에 근거하여, 카트를 밀면서 지시받은 물품을 버킷(27)에 픽킹한다. 그 결과, 버킷(27)에는, 복수 종류의 물품이 섞인 상태로 재치된다. 작업자는, 이후 버킷(27)을 자동 창고(5)로 반송한다. 참고로, 픽킹 에리어로서는, 플로우 랙(flow rack)을 이용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3) 자동 창고
자동 창고(5)는, 픽킹 시스템(3)에서 픽킹된 물품을 트레이(43)에 분류하는 작업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이다. 자동 창고(5)는, 2열의 랙(11)을 가지고 있다. 랙(11)은 복수의 선반(13)을 가지고 있다. 2열의 랙(11) 사이에는, 주행 스페이스(15)가 확보되어 있다. 자동 창고(5)는, 주행 스페이스(15)에 배치된 복수의 반송차(17)를 가지고 있다. 반송차(17)는, 랙(11)의 각 단(段)에 대응하는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랙(11)에는, 복수의 버킷(27)과, 복수의 트레이(43)가 수납되어 있다. 버킷(27)은, 자동 창고(5)에 반입되었을 때는 픽킹 완료 버킷(27a)이고, 분류 스테이션(21)(후술)으로 반송되면 분류 중 버킷(27b)이 되며, 분류 작업이 종료되면 빈 버킷(27c)이 된다. 트레이(43)는, 자동 창고(5)에 반입되었을 때는 빈 트레이(43a)이고, 분류 스테이션(21)으로 반송되면 분류 중 트레이(43b)가 되며, 분류가 완료되면 분류 완료 트레이(43c)가 되며, 작업 도중인 상태로 종료되면 분류 미완료 트레이(43d)가 된다.
자동 창고(5)는, 랙(11)의 주행 스페이스(15)와 반대되는 측의 면에, 분류 작업을 행하는 스페이스로서의 분류 스테이션(21)을 가지고 있다. 분류 스테이션(21)은, 랙(11) 하부의 2∼4단(段)에 배치되어 있다. 자동 창고(5)는, 분류 스테이션(21)을 향해 돌출되는 제 1 컨베이어(23)를 가지고 있다. 제 1 컨베이어(23)의 선단에는, 분류 중 버킷(27b)을 재치하기 위한 버킷대(臺)(25)(도 3)가 설치되어 있다.
분류 스테이션(21)에는, 버킷대(25)에 재치된 픽킹 완료 버킷(27a)의 ID를 판독하는 제 1 ID 리더(5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꺼내어진 물품의 ID를 판독하는 제 2 ID 리더(57)도 설치되어 있다.
분류 스테이션(21)에는, 분류 중 트레이(43b)가 놓이는 작업 선반(58)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 선반(58)은, 분류 중 트레이(43b)가 놓인 복수의 서랍(59)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랍(59)에는, 분류 중 트레이(43b)가 재치되는 장소마다, 투입 장소 표시 램프(61a)와, 분류 완료 표시 램프(61b)가 설치되어 있다. 투입 장소 표시 램프(61a)는, 램프 스위치이다.
분류 작업에 있어서, 작업자는, 먼저, 분류 중 버킷(27b)으로부터 임의로 물품을 꺼내서, 제 2 ID 리더(57)를 이용하여 물품의 ID를 판독한다. 이때, 같은 종류의 물품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라도, 작업자는 물품을 1개씩 꺼내어, ID를 판독한다. 상기 ID 판독이 행해지면, 분류 제어부(149)(도 8)가,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그 물품을 투입할 분류 중 트레이(43b)가 재치되어 있는 장소의 투입 장소 표시 램프(61a)를 점등시킨다. 이때 같은 종류의 물품이 복수의 분류 중 버킷(27b)으로 나뉘어 들어가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장소가 해당되므로, 복수 장소의 투입 장소 표시 램프(61a)가 점등된다. 참고로, 같은 종류의 물품의 오더가 있는 분류 중 트레이(43b)라도, 이미 투입이 종료되어 있으면 점등은 되지 않는다.
분류 작업에 있어서, 작업자는, 다음으로, 점등된 투입 장소 표시 램프(61a)에 대응하는 분류 중 트레이(43b)를 투입한다.
분류 작업에 있어서,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투입 장소 표시 램프(61a)를 누른다. 그 결과에 근거하여, 분류 제어부(149)는, 상기 분류 중 트레이(43b)에 대해 분류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분류가 완료된 상태이면 분류 완료 표시 램프(61b)를 점등시킨다.
자동 창고(5)는, 추가로, 상하의 단(段)에 있는 선반(13)을 접속하기 위한, 제 1 리프터(31) 및 제 2 리프터(33)를 가지고 있다. 자동 창고(5)는, 추가로, 제 1 리프터(31)와 반송차(17)를 접속하는 제 2 컨베이어(35)와, 제 2 리프터(33)를 포장 스테이션(37)에 접속하는 제 3 컨베이어(39)를 가진다. 포장 스테이션(37)은, 제 4 컨베이어(41)를 가지고 있다. 제 4 컨베이어(41)는, 분류 완료 트레이(43c)를 각 스테이션 측으로 반송하고, 추가로 빈 트레이(43a)를 제 3 컨베이어(39)측으로 반송한다. 작업자는, 제 4 컨베이어(41) 상의 분류 완료 트레이(43c)로부터 물품을 픽업하여 포장을 행한다.
자동 창고(5)는, 추가로, 입구측에 제 3 리프터(47)를 가지고 있다. 제 3 리프터(47)는, 제 5 컨베이어(51)의 반송면으로부터 픽킹 완료 버킷(27a)을 퍼올린다. 그리고, 제 5 컨베이어(51)의 상방에서 반송차(17)에 픽킹 완료 버킷(27a)을 싣는다. 참고로, 제 3 리프터(47)는, 빈 버킷(27c)을 제 5 컨베이어(51)에 내린다.
선반(13)은, 이하의 5개의 보관 스페이스로 나뉘어져 있다. 이러한 스페이스의 할당은, 고정적이어도 좋지만, 상황에 따라 가변되어도 좋다. 또한, 이러한 보관 스페이스는 주로 필요에 따라 버퍼로서 이용된다.
· 픽킹 완료 버킷(27a)을 보관하는 제 1 버킷 보관 스페이스(13a)
· 빈 버킷(27c)을 보관하는 제 2 버킷 보관 스페이스(13b)
· 빈 트레이(43a)를 보관하는 제 1 트레이 보관 스페이스(13c)
· 분류 완료 트레이(43c)를 보관하는 제 2 트레이 보관 스페이스(13d)
· 분류 미완료 트레이(43d)를 보관하는 제 3 트레이 보관 스페이스(13e)
픽킹 완료 버킷(27a)은, 제 5 컨베이어(51), 제 3 리프터(47), 및 반송차(17)에 의해 제 1 버킷 보관 스페이스(13a)에 반입된다.
빈 트레이(43a)는, 제 4 컨베이어(41), 제 2 리프터(33) 및 반송차(17)에 의해 제 1 트레이 보관 스페이스(13c)로 반입된다.
분류 시에는, 픽킹 완료 버킷(27a)은, 반송차(17), 제 1 컨베이어(23)에 의해, 제 1 버킷 보관 스페이스(13a)로부터 버킷대(25)로 반입된다. 1 배치 분의 픽킹 명령에 대응하는 픽킹 완료 버킷(27a)은 복수 개이므로, 복수 개의 픽킹 완료 버킷(27a)이 버킷대(25)에 순차로 반송된다.
분류 종료 후, 빈 트레이(43a)는, 반송차(17)에 의해 분류 스테이션(21)의 선반으로 반송된다. 분류 완료 트레이(43c)는, 반송차(17)에 의해 제 2 트레이 보관 스페이스(13d)로 반송된다. 분류 미완료 트레이(43d)는, 반송차(17)에 의해 제 3 트레이 보관 스페이스(13e)로 반송된다.
참고로, 자동 창고(5)는, 상기의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창고 제어부(141)를 가지고 있다(후술됨).
(4) 물류 센터
우선은, 물류 센터(101)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물류 센터(101)에서는, 각 판매 점포로부터 송신된 수주(受注) 정보에 따라 수주 물품이 반출되며, 이때, 수주 물품은 출하처마다 배송용 용기 등에 픽킹되어 출하처로 배송된다. 참고로, 상기 수주 정보에는, 예컨대, 판매 점포 번호, 판매 점포명, 수주 물품명, 물품 번호 또는 물품 코드, 수주 개수, 출하처, 배송 루트, 배송용 용기(예컨대, 컨테이너 등)가 포함된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물류 센터(101)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물품 관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물류 서버의 기능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류 센터(101)는, 관리부(103)와, 물품 관리부(105)로 나뉘어져 있다. 관리부(103)는, 호스트(109)와, 물류 서버(111)를 가지고 있다. 물품 관리부(105)는, 전술한 픽킹 시스템(3) 및 자동 창고(5)를 가지고 있다. 물류 서버(111)는, 픽킹 시스템(3) 및 자동 창고(5)에 대해, 네트워크(113)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관리부(103)의 호스트(109)는, 물품의 수주 및 발주나 재고 관리를 행하는 컴퓨터로서, 각 판매 점포로부터 수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주 정보로부터 출하 지시 정보를 작성한다. 출하 지시 정보는, 수주 정보에 근거하여 작성되며, 예컨대, 배치(batch) 번호, 물품 번호, 카테고리, 출하처, 배송용 용기의 들이 수, 배송용 용기의 수, 배송 코스, 로케이션, 적층 순서, 컨베이어에 의한 반출처 등이 포함된다. 출하 지시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물류 서버(111)로 송신된다.
관리부(103)의 물류 서버(111)는, 출하 지시 정보를 수신하여, 픽킹 스케줄을 작성하고, 픽킹 스케줄을 픽킹 시스템(3)의 단말 장치(8)(도 1)로 송신한다. 그 결과, 작업자는, 단말 장치(8)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근거하여, 소정의 작업 순서로 픽킹 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픽킹 스케줄이란, 픽킹 시스템(3)에 있어서, 작업자의 작업 내용, 소정의 픽킹 방식에 따라 수주 물품을 픽킹하는 픽킹 내용 등에 관한 지시 정보이다.
물류 서버(111)의 제어부(121)는, 각종 연산 처리나 제어를 실행하는 CPU, 프로그램이 기억되는 ROM, 각종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을 가지고 있는 컴퓨터이다. 제어부(121)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픽킹 스케줄 작성부(123), 픽킹 스케줄 송신부(125), 및 픽킹 스케줄 격납부(127)를 가지고 있다. 이들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물류 센터(101)에서는, 관리부(103)의 호스트(109)가, 각 판매점(도시 생략)으로부터의 수주 정보를 수신하고, 수주 정보에 근거하여 출하 지시 정보를 작성한다.
출하 지시 정보는, 호스트(109)로부터 물류 서버(111)에 순차로 송신되며, 물류 서버(111)가 출하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픽킹 스케줄을 작성한다. 픽킹 스케줄은, 물류 서버(111)로부터 픽킹 시스템(3)의 단말 장치(8)로 송신된다. 작업자는, 픽킹 스케줄에 근거하여, 수주 물품의 출하 작업을 개시한다.
(5) 픽킹 스케줄의 작성
도 6을 이용하여, 물류 서버(111)에 있어서의 픽킹 스케줄의 작성 순서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픽킹 스케줄의 작성·송신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단계 S1에서는, 물류 서버(111)는, 호스트(109)로부터 출하 지시 정보가 송신되어 오는 것을 기다린다.
단계 S2에서는, 제어부(121)의 픽킹 스케줄 작성부(123)는, 1 배치 분 또는 복수 배치 분의 픽킹 스케줄을 작성한다. 이때 작성되는 픽킹 스케줄의 1 배치 분은, 버킷(27)의 용적을 기준으로 작성된다. 즉, 각 픽킹 영역에 있어서 어느 버킷(27)의 용적을 초과하는 오더 이후의 오더를 다음 배치로 이월시키도록 배치를 결정한다.
단계 S3에서는, 제어부(121)의 픽킹 스케줄 송신부(125)는, 1 배치 분 또는 복수 배치 분의 픽킹 스케줄을, 네트워크(113)를 통해 픽킹 시스템(3)으로 송신한다.
도 7을 참조하여, 각 픽킹 영역에 있어서의 복수 회 배치 분의 픽킹 스케줄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픽킹 스케줄의 일례를 나타낸 표이다.
도 7에서는, 제 1 배치, 제 2 배치, 제 3 배치의 픽킹 스케줄에 있어서 각 영역에 할당되는 물품의 오더가 도시되어 있다. 예컨대, 발주자 「a」의 경우, 영역<1> 및 영역<4>에 각각 1 오더가 나와 있다.
픽킹 스케줄의 1 배치는, 각 영역에서의 픽킹 오더 수가 버킷(27)의 최대 허용량(본 실시형태에서는, 8 오더)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예컨대, 영역<5>에서는, 발주자 「v」까지가 1 버킷째이며, 발주자 「H」까지가 2 버킷째가 된다. 참고로, 각 영역에서의 픽킹 오더 수는 적절히 설정가능하며, 조건에 따라 변경가능해도 좋다. 또한, 여기서의 오더란, 물품의 종류를 의미하고 있다.
이상의 결과, 각 영역에서는 각 배치에 있어서 최대한의 오더가 할당되게 되며, 이에 따라, 픽킹 시스템(3)에 있어서의 픽킹 효율이 향상된다. 참고로, 종래라면 발주자의 수로 배치(batch)를 구획지었으므로, 예컨대 발주자 「a」∼「l」의 경우에, 영역<1>, 영역<5>, 영역<9>에서는 오더 수가 5인데 반해, 영역<10>, 영역<11>에서는 오더 수가 0이다. 즉, 이 경우에는 영역<10>, 영역<11>에서는 픽킹이 행해지지 않게 된다.
(6) 자동 창고의 제어 구성
도 8을 참조하여, 창고 제어부(14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창고 제어부의 기능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창고 제어부(141)는, 각종 연산 처리나 제어를 실행하는 CPU, 프로그램이 기억되는 ROM, 각종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을 가지고 있는 컴퓨터이다. 창고 제어부(141)는, 반송차 제어부(143), 컨베이어 제어부(145), 리프터 제어부(147), 분류 제어부(149)를 가지고 있다. 반송차 제어부(143)는, 반송차(17)에 반송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컨베이어 제어부(145)는, 제 1 컨베이어(23), 제 2 컨베이어(35), 제 3 컨베이어(39), 제 4 컨베이어(41) 및 제 5 컨베이어(51)에 구동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리프터 제어부(147)는, 제 1 리프터(31), 제 2 리프터(33), 및 제 3 리프터(47)에 구동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분류 제어부(149)는, 분류 중 버킷(27b)의 ID를 제 1 ID 리더(55)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꺼내진 물품의 ID를 제 2 ID 리더(57)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분류 제어부(149)는, 완료 버튼(63)으로부터의 완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분류 제어부(149)는, 투입 장소 표시 램프(61a) 및 분류 완료 표시 램프(61b)를 점등·소등할 수 있다.
(7) 분류 작업시의 자동 창고의 제어 동작
도 9를 참조하여, 자동 창고(5)에 있어서의 분류 작업시의 각종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자동 창고에 있어서의 분류 작업시의 제어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단계 S11에서는, 창고 제어부(141)는, 1 배치 분의 버킷(27)이 자동 창고(5)에 반입되는 것을 기다린다. 이에 대한 확인은, 예컨대, 제 5 컨베이어(51)에 배치된 센서(도시 생략)의 검출 결과에 근거한다.
단계 S12에서는, 창고 제어부(141)(구체적으로는, 반송차 제어부(143), 컨베이어 제어부(145) 및 리프터 제어부(147))가, 각 구동장치에 의해 픽킹 완료 버킷(27a) 및 빈 트레이(43a)를 분류 스테이션(21)으로 반송시킨다. 이때, 전회(前回)의 분류 작업에서 작업 도중인 상태가 된 분류 미완료 트레이(43d)가 제 3 트레이 보관 스페이스(13e)에 있는 경우에는, 분류 미완료 트레이(43d)도 적절히 분류 스테이션(21)으로 반송된다. 이와 같이, 픽킹 완료 버킷(27a) 및 빈 트레이(43a)(나아가서는, 분류 미완료 트레이(43d)도)가 분류 스테이션(21)으로 옮겨진 상태에서, 작업원이 분류를 실행한다.
분류 작업 시, 작업원은, 픽킹 완료 버킷(27a)으로부터 물품을 꺼내서, 제 2 ID 리더(57)에 ID를 판독시킨다. 그 결과에 근거하여, 분류 제어부(149)는, 분류되어야 할 빈 트레이(43a)에 대응하는 투입 장소 표시 램프(61a)를 점등시키는 동시에 수량을 표시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필요한 수의 물품을 소정의 빈 트레이(43a)에 분류한다. 분류가 종료될 때마다, 작업자는 완료 버튼(63)(도 8)을 누른다. 그 결과에 근거하여, 분류 제어부(149)는, 투입 장소 표시 램프(61a)를 소등시킨다.
단계 S13에서는, 창고 제어부(141)는, 분류가 종료되는 것을 기다린다. 분류의 종료란, 픽킹 스케줄 1 배치 분의 버킷(27)이 모두 빈 상태이다. 분류가 종료되면, 분류 완료 표시 램프(61b)가 점등된다.
단계 S14에서는, 창고 제어부(141)는, 분류 미완료 트레이(43d)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Yes」이면 프로세스는 단계 S15로 이행하고, 「No」이면 프로세스는 단계 S15를 스킵하여 단계 S16으로 이행한다.
단계 S15에서는, 창고 제어부(141)(구체적으로는, 반송차 제어부(143), 컨베이어 제어부(145) 및 리프터 제어부(147))는, 각 구동장치에 의해 분류 미완료 트레이(43d)를 제 3 트레이 보관 스페이스(13e)로 반송시킨다.
도 7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제 1회째의 픽킹 스케줄에 대응하는 분류에 있어서는, 이하의 4명의 발주자에 대응하는 트레이(43)가 분류 미완료 트레이(43d)가 되어, 제 3 트레이 보관 스페이스(13e)로 반송된다. 발주자 「s」, 발주자 「u」, 발주자 「w」, 발주자 「z」이다.
단계 S16에서는, 창고 제어부(141)(구체적으로는, 반송차 제어부(143), 컨베이어 제어부(145) 및 리프터 제어부(147))는, 각 구동장치에 의해 빈 버킷(27c) 및 빈 트레이(43a)를 분류 스테이션(21)으로부터 반출시킨다. 빈 버킷(27c)은, 제 2 버킷 보관 스페이스(13b)에서 보관된다. 빈 트레이(43a)는, 제 1 트레이 보관 스페이스(13c)에서 보관된다.
(8)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
상기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표현 가능하다.
픽킹 및 분류 시스템(1)(픽킹 및 분류 시스템의 일례)은, 버킷(27)(제 1 용기의 일례)을 이용하여 토탈 픽킹이 행해지는 물품 랙(9)(물품 선반의 일례)을 포함하는 복수의 픽킹 영역과 함께 이용된다. 픽킹 및 분류 시스템(1)은, 제어부(121)(픽킹 스케줄 작성부의 일례)와, 자동 창고(5)(자동 창고의 일례)와, 창고 제어부(141)(컨트롤러의 일례)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121)는, 물품 랙(9)으로부터 버킷(27)으로의 1 배치 분의 픽킹 스케줄을, 버킷(27)의 용적을 기준으로 작성한다.
자동 창고(5)는, 토탈 픽킹 후의 버킷(27)으로부터 트레이(43)(제 2 용기의 일례)로 분류하는 작업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이다. 자동 창고(5)는, 분류 스테이션(21)(분류 스테이션의 일례)과, 보관 스페이스(13c∼13e)(보관선반의 일례)와, 반송차(17)(이동 장치)를 가지고 있다. 분류 스테이션(21)은, 버킷대(25)와, 작업 선반(58)을 가지고 있다. 버킷대(25)에는, 픽킹 완료 버킷(27a)이 재치된다. 작업 선반(58)에는, 픽킹 완료 버킷(27a)으로부터 빈 트레이(43a)로 물품을 분류할 수 있도록 빈 트레이(43a)가 재치된다. 보관 스페이스(13c∼13e)에는, 트레이(43)가 보관된다. 반송차(17)는, 작업 선반(58)과 보관 스페이스(13c∼13e)와의 사이에서 트레이(43)를 이동시킬 수 있다.
창고 제어부(141)는, 1 배치 분의 픽킹 스케줄에 의해 버킷(27)에 실렸으나 분류 후에 트레이(43)에 남은 물품이 있으면, 분류 미완료 트레이(43d)를, 반송차(17)에 의해 작업 선반(58)으로부터 제 3 트레이 보관 스페이스(13e)로 이동시킨다.
상기 시스템에서는, 물품 랙(9)으로부터 버킷(27)으로의 1 배치 분의 픽킹 스케줄이 버킷(27)의 용적을 기준으로 작성된다. 따라서, 버킷(27)에 최대한 또는 최대한에 가까운 양의 물품이 픽킹되도록, 픽킹 스케줄이 작성된다. 따라서, 극단적으로 픽킹 작업이 적은 영역이 생기기 어려워지며, 그 결과, 픽킹 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자동 창고(5)에서의 분류 작업에서는, 1 배치 분의 픽킹 스케줄에 의해 버킷(27)에 실렸으나 분류 후에 트레이(43)에 남는 물품이 생긴다. 이러한 물품이 남은 분류 미완료 트레이(43d)는, 반송차(17)에 의해 작업 선반(58)으로부터 제 3 트레이 보관 스페이스(13e)로 이동된다. 그 결과, 트레이(43)가 분류 스테이션(21)에 체류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분류 작업의 효율도 저하되지 않는다.
(9) 다른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복수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서 임의로 조합이 가능하다.
(a) 다른 실시형태로서,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 선반(58)에는 디스플레이(61)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61)는, 제 2 ID 리더(57)에서 판독된 물품이 들어있는 분류 중 트레이(43b)에 대응하는 경우에 점등된다. 또한, 디스플레이(61)에는 분류 수(數)도 표시된다.
(b) 다른 실시형태로서, 창고 제어부(141)는, 1 배치 분의 픽킹 스케줄에 의해 버킷(27)에 실렸으나 트레이(43)로의 분류를 완성하지 못한 물품이 있으면, 물품이 남은 상태의 버킷(27)을, 반송차(17)에 의해 버킷대(25)로부터 보관선반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동작은, 예컨대, 분류가 종료된 후에 이루어진다. 그 결과, 물품이 남은 상태의 버킷(27) 이외의 버킷(27)을 신속히 버킷대(25)로 배송함으로써, 완성이 가능한 트레이(43)로의 분류를 신속히 완성할 수 있다. 따라서, 분류 작업의 효율이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121)의 픽킹 스케줄 작성부(123)는, 보관선반에 보관된 물품이 남은 상태인 버킷(27)의 수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창고 제어부(141)가, 보관선반에 보관된 물품이 남은 상태인 버킷의 수를 물류 서버(111)의 제어부(121)로 송신한다. 픽킹 스케줄 작성부(123)는, 보관선반에 보관된 물품이 남은 상태인 버킷(27)의 수가 소정의 수를 초과하면, 보관선반에 수납된 물품이 남은 상태인 버킷(27)에 남은 물품과 함께 분류되어야 할 물품을, 1 배치 분의 픽킹 스케줄 작성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선택한다. 상기 시스템에서는, 빈 보관선반의 수가 감소되면, 픽킹 스케줄의 내용이 조정되어, 보관선반이 가득 찬 상태가 되는 것이 방지된다.
(c)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121)의 픽킹 스케줄 작성부(123)는, 제 3 트레이 보관 스페이스(13e)에 보관된 분류 미완료 트레이(43d)의 수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창고 제어부(141)가, 제 3 트레이 보관 스페이스(13e)에 보관된 분류 미완료 트레이(43d)의 수를 물류 서버(111)의 제어부(121)로 송신한다. 픽킹 스케줄 작성부(123)는, 제 3 트레이 보관 스페이스(13e)에 보관된 분류 미완료 트레이(43d)의 수가 소정의 수를 초과하면, 다음 픽킹 스케줄 작성시(도 6의 단계 S2)에 분류 미완료 트레이(43d)로 분류되어야 할 물품을 1 배치 분의 픽킹 스케줄 작성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선택한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제 2회째의 픽킹 스케줄에 있어서, 이하의 4개의 오더가 우선적으로 선택된다. 발주자 「s」의 나머지 1개, 발주자 「u」의 나머지 1개, 발주자 「w」의 나머지 2개, 발주자 「z」의 나머지 2개이다.
이상의 결과, 분류 미완료 트레이(43d)가 다음 분류 동작에 있어서 작업 선반(58)으로 반송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그 결과, 제 3 트레이 보관 스페이스(13e)가 가득 찬 상태로 되기가 어려워진다. 환언하자면, 상기 시스템에서는, 빈 제 3 트레이 보관 스페이스(13e)가 감소되면, 픽킹 스케줄의 내용이 조정되어, 작업 선반(58)이 가득 찬 상태가 되는 것이 방지된다.
(d)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창고 제어부(141)는, 분류 작업량이 평균화되도록, 각 분류 스테이션(21)으로 반송할 픽킹 완료 버킷(27a) 및 빈 트레이(43a)를 결정한다. 상기 시스템에 따르면, 분류 작업의 효율화가 도모된다.
(e)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각 픽킹 영역에 있어서의 작업량은, 버킷(27)이 수용가능한 최대한 또는 최대한에 가까운 오더 수에 의해 결정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픽킹하는 상품의 수, 픽킹 작업에 필요한 것으로 산출된 시간, 버킷에 수용가능한 상품의 용적 계산 결과, 또는 작업자가 걷는 거리의 계산 결과에 의해 결정되어도 좋다.
(f) 랙의 각 단(段)에 대응하는 복수의 반송차 대신에, 1대의 스태커 크레인을 설치해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토탈 픽킹 방식을 이용한 픽킹 및 분류 시스템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 : 픽킹 및 분류 시스템
3 : 픽킹 시스템
5 : 자동 창고
7 : 통로
8 : 단말장치
9 : 물품 랙(물품선반)
11 : 랙
13 : 선반
13a : 제 1 버킷 보관 스페이스
13b : 제 2 버킷 보관 스페이스
13c : 제 1 트레이 보관 스페이스
13d : 제 2 트레이 보관 스페이스
13e : 제 3 트레이 보관 스페이스(보관선반)
15 : 주행 스페이스
17 : 반송차(이동 장치)
21 : 분류 스테이션
23 : 제 1 컨베이어
25 : 버킷대
27 : 버킷(제 1 용기)
27a : 픽킹 완료 버킷
27b : 분류 중 버킷
27c : 빈 버킷
31 : 제 1 리프터
33 : 제 2 리프터
35 : 제 2 컨베이어
37 : 포장 스테이션
39 : 제 3 컨베이어
41 : 제 4 컨베이어
43 : 트레이(제 2 용기)
43a : 빈 트레이
43b : 분류 중 트레이
43c : 분류 완료 트레이
43d : 분류 미완료 트레이
47 : 제 3 리프터
51 : 제 5 컨베이어
55 : 제 1 ID 리더
57 : 제 2 ID 리더
58 : 작업선반
59 : 서랍
61 : 디스플레이
61a : 투입 장소 표시 램프
61b : 분류 완료 램프
101 : 물류 센터
103 : 관리부
105 : 물품 관리부
109 : 호스트
111 : 물류 서버
113 : 네트워크
121 : 제어부
123 : 픽킹 스케줄 작성부
125 : 픽킹 스케줄 송신부
127 : 픽킹 스케줄 격납부
141 : 창고 제어부(컨트롤러)
143 : 반송차 제어부
145 : 컨베이어 제어부
147 : 리프터 제어부
149 : 분류 제어부 제어부
3 : 픽킹 시스템
5 : 자동 창고
7 : 통로
8 : 단말장치
9 : 물품 랙(물품선반)
11 : 랙
13 : 선반
13a : 제 1 버킷 보관 스페이스
13b : 제 2 버킷 보관 스페이스
13c : 제 1 트레이 보관 스페이스
13d : 제 2 트레이 보관 스페이스
13e : 제 3 트레이 보관 스페이스(보관선반)
15 : 주행 스페이스
17 : 반송차(이동 장치)
21 : 분류 스테이션
23 : 제 1 컨베이어
25 : 버킷대
27 : 버킷(제 1 용기)
27a : 픽킹 완료 버킷
27b : 분류 중 버킷
27c : 빈 버킷
31 : 제 1 리프터
33 : 제 2 리프터
35 : 제 2 컨베이어
37 : 포장 스테이션
39 : 제 3 컨베이어
41 : 제 4 컨베이어
43 : 트레이(제 2 용기)
43a : 빈 트레이
43b : 분류 중 트레이
43c : 분류 완료 트레이
43d : 분류 미완료 트레이
47 : 제 3 리프터
51 : 제 5 컨베이어
55 : 제 1 ID 리더
57 : 제 2 ID 리더
58 : 작업선반
59 : 서랍
61 : 디스플레이
61a : 투입 장소 표시 램프
61b : 분류 완료 램프
101 : 물류 센터
103 : 관리부
105 : 물품 관리부
109 : 호스트
111 : 물류 서버
113 : 네트워크
121 : 제어부
123 : 픽킹 스케줄 작성부
125 : 픽킹 스케줄 송신부
127 : 픽킹 스케줄 격납부
141 : 창고 제어부(컨트롤러)
143 : 반송차 제어부
145 : 컨베이어 제어부
147 : 리프터 제어부
149 : 분류 제어부 제어부
Claims (14)
- 복수 종류의 물품이 수납되며, 제 1 용기를 이용하여 토탈 픽킹이 행해지는 물품선반을 포함하는 복수의 픽킹 영역과 함께 이용되는 픽킹 및 분류 시스템으로서,
상기 물품선반으로부터 상기 제 1 용기로의 1 배치 분(分)의 픽킹 스케줄을, 각 픽킹 영역에서의 작업량을 기준으로 작성하는, 픽킹 스케줄 작성부와,
토탈 픽킹 후의 상기 제 1 용기로부터 제 2 용기로 분류하는 작업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이며, 상기 제 1 용기가 재치(載置)되는 재치부, 및 상기 제 1 용기로부터 상기 제 2 용기로 물품을 분류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용기가 재치되는 작업선반을 가지는 분류 스테이션과, 상기 제 2 용기가 보관되는 보관선반과, 상기 작업선반과 상기 보관선반 사이에서 상기 제 2 용기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장치를 가지는 자동 창고와,
상기 1 배치 분의 픽킹 스케줄에 의해 상기 제 1 용기에 픽킹되었으나 분류 후에 상기 제 2 용기에 남은 물품이 있으면, 작업 도중인 상태(working-in-progress state)의 제 2 용기를, 상기 이동 장치에 의해 상기 작업선반으로부터 상기 보관선반으로 이동시키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픽킹 및 분류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픽킹 스케줄 작성부는, 상기 보관선반에 보관된 작업 도중인 상태의 제 2 용기의 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픽킹 스케줄 작성부는, 상기 보관선반에 보관된 작업 도중인 상태의 제 2 용기의 수가 소정의 수를 초과하면, 상기 보관선반에 수납된 작업 도중인 상태의 제 2 용기에 분류되어야 할 물품을, 1 배치 분의 픽킹 스케줄 작성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픽킹 및 분류 시스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1 배치 분의 픽킹 스케줄에 의해 상기 제 1 용기에 픽킹되었으나 상기 제 2 용기로의 분류를 완성하지 못한 물품이 있으면, 상기 물품이 남은 상태의 제 1 용기를, 상기 이동 장치에 의해 상기 재치부로부터 상기 보관선반으로 이동시키는, 픽킹 및 분류 시스템.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픽킹 스케줄 작성부는, 상기 보관선반에 보관된 상기 물품이 남은 상태의 제 1 용기의 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픽킹 스케줄 작성부는, 상기 보관선반에 보관된 상기 물품이 남은 상태의 제 1 용기의 수가 소정의 수를 초과하면, 상기 보관선반에 수납된 상기 물품이 남은 상태의 제 1 용기에 남은 물품과 함께 분류되어야 할 물품을, 1 배치 분의 픽킹 스케줄 작성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픽킹 및 분류 시스템.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창고는, 상기 분류 스테이션을 복수의 장소에 가지고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는, 분류 작업량이 평균화되도록, 각 분류 스테이션에 반송되는 제 1 용기 및 제 2 용기를 결정하는, 픽킹 및 분류 시스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창고는, 상기 분류 스테이션을 복수의 장소에 가지고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는, 분류 작업량이 평균화되도록, 각 분류 스테이션에 반송되는 제 1 용기 및 제 2 용기를 결정하는, 픽킹 및 분류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1 배치 분의 픽킹 스케줄에 의해 상기 제 1 용기에 픽킹되었으나 상기 제 2 용기로의 분류를 완성하지 못한 물품이 있으면, 상기 물품이 남은 상태의 제 1 용기를, 상기 이동 장치에 의해 상기 재치부로부터 상기 보관선반으로 이동시키는, 픽킹 및 분류 시스템.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픽킹 스케줄 작성부는, 상기 보관선반에 보관된 상기 물품이 남은 상태의 제 1 용기의 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픽킹 스케줄 작성부는, 상기 보관선반에 보관된 상기 물품이 남은 상태의 제 1 용기의 수가 소정의 수를 초과하면, 상기 보관선반에 수납된 상기 물품이 남은 상태의 제 1 용기에 남은 물품과 함께 분류되어야 할 물품을, 1 배치 분의 픽킹 스케줄 작성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픽킹 및 분류 시스템.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창고는, 상기 분류 스테이션을 복수의 장소에 가지고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는, 분류 작업량이 평균화되도록, 각 분류 스테이션에 반송되는 제 1 용기 및 제 2 용기를 결정하는, 픽킹 및 분류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창고는, 상기 분류 스테이션을 복수의 장소에 가지고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는, 분류 작업량이 평균화되도록, 각 분류 스테이션에 반송되는 제 1 용기 및 제 2 용기를 결정하는, 픽킹 및 분류 시스템. - 복수 종류의 물품이 수납되며, 제 1 용기를 이용하여 토탈 픽킹이 행해지는 물품선반을 포함하는 복수의 픽킹 영역과,
상기 물품선반으로부터 상기 제 1 용기로의 1 배치 분(分)의 픽킹 스케줄을, 각 픽킹 영역에서의 작업량을 기준으로 작성하는, 픽킹 스케줄 작성부와,
토탈 픽킹 후의 상기 제 1 용기로부터 제 2 용기로 분류하는 작업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이며, 상기 제 1 용기가 재치되는 재치부, 및 상기 제 1 용기로부터 상기 제 2 용기로 물품을 분류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용기가 재치되는 작업선반을 가지는 분류 스테이션과, 상기 제 1 용기가 보관되는 보관선반과, 상기 재치부와 상기 보관선반 사이에서 상기 제 1 용기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장치를 가지는 자동 창고와,
상기 1 배치 분의 픽킹 스케줄에 의해 상기 제 1 용기에 픽킹되었으나 상기 제 2 용기로의 분류를 완성하지 못한 물품이 있으면, 상기 물품이 남은 상태의 제 1 용기를, 상기 이동 장치에 의해 상기 재치부로부터 상기 보관선반으로 이동시키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픽킹 및 분류 시스템.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창고는, 상기 분류 스테이션을 복수의 장소에 가지고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는, 분류 작업량이 평균화되도록, 각 분류 스테이션에 반송되는 제 1 용기 및 제 2 용기를 결정하는, 픽킹 및 분류 시스템.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픽킹 스케줄 작성부는, 상기 보관선반에 보관된 상기 물품이 남은 상태의 제 1 용기의 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픽킹 스케줄 작성부는, 상기 보관선반에 보관된 상기 물품이 남은 상태의 제 1 용기의 수가 소정의 수를 초과하면, 상기 보관선반에 수납된 상기 물품이 남은 상태의 제 1 용기에 남은 물품과 함께 분류되어야 할 물품을, 1 배치 분의 픽킹 스케줄 작성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픽킹 및 분류 시스템.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창고는, 상기 분류 스테이션을 복수의 장소에 가지고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는, 분류 작업량이 평균화되도록, 각 분류 스테이션에 반송되는 제 1 용기 및 제 2 용기를 결정하는, 픽킹 및 분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1-118705 | 2011-05-27 | ||
JP2011118705 | 2011-05-27 | ||
PCT/JP2012/060305 WO2012165070A1 (ja) | 2011-05-27 | 2012-04-17 | ピッキング及び仕分けシステ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9353A true KR20130139353A (ko) | 2013-12-20 |
Family
ID=47258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28571A KR20130139353A (ko) | 2011-05-27 | 2012-04-17 | 픽킹 및 분류 시스템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9286590B2 (ko) |
JP (1) | JP5825348B2 (ko) |
KR (1) | KR20130139353A (ko) |
CN (1) | CN103596858A (ko) |
TW (1) | TWI534057B (ko) |
WO (1) | WO2012165070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3089B1 (ko) | 2015-07-23 | 2016-11-04 |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 고속 자동 피킹 시스템 및 그 토출 구역 운영 방법 |
KR102628951B1 (ko) * | 2023-02-27 | 2024-01-25 | 쿠팡 주식회사 | 작업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
US11954638B2 (en) | 2018-05-24 | 2024-04-09 | Cainiao Smart Logistics Holding Limited | Goods picking task allocation method and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127514B2 (en) * | 2014-04-11 | 2018-11-13 |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 Dynamic cubby logic |
CN104108491B (zh) * | 2014-07-09 | 2017-02-22 | 江苏云道信息技术有限公司 | 一种自动分拣系统及方法 |
CN104843243B (zh) * | 2015-04-16 | 2017-02-22 | 顺丰速运有限公司 | 一种用于快递的分拣方法及其分拣装置 |
US10198706B2 (en) | 2015-07-31 | 2019-02-05 | Locus Robotics Corp. | Operator identification and performance tracking |
EP3387596A1 (en) | 2015-12-07 | 2018-10-17 | 6 River Systems, Inc. | Warehouse automation systems and methods using a motor-driven cart |
JP6609371B2 (ja) * | 2016-04-05 | 2019-11-20 | 株式会社日立物流 | ピッキングシステム、およびピッキング方法 |
US11000953B2 (en) | 2016-08-17 | 2021-05-11 | Locus Robotics Corp. | Robot gamification for improvement of operator performance |
US10589931B2 (en) | 2016-09-30 | 2020-03-17 | Staples, Inc. | Hybrid modular storage fetching system |
WO2018064639A1 (en) | 2016-09-30 | 2018-04-05 | Staples, Inc. | Hybrid modular storage fetching system |
US10683171B2 (en) | 2016-09-30 | 2020-06-16 | Staples, Inc. | Hybrid modular storage fetching system |
CN108116828B (zh) * | 2016-11-26 | 2020-08-28 | 苏宁云计算有限公司 | 一种货物拣选方法及装置 |
USD826508S1 (en) | 2016-12-07 | 2018-08-21 | 6 River Systems, Inc. | Enhanced warehouse cart |
US11270371B2 (en) * | 2017-03-10 | 2022-03-08 | Walmart Apollo, Llc | System and method for order packing |
JP6911492B2 (ja) * | 2017-04-28 | 2021-07-28 | 村田機械株式会社 | ピッキングシステム |
CN107626600B (zh) * | 2017-09-30 | 2024-03-12 | 北京极智嘉科技股份有限公司 | 物品自动转运系统及方法 |
CN110406870B (zh) * | 2018-04-28 | 2021-05-25 | 菜鸟智能物流控股有限公司 | 一种仓库及仓库的储物对象、货架处理方法 |
JP7065693B2 (ja) * | 2018-05-29 | 2022-05-12 | 株式会社日立物流 | 物品搬送システム、オーダー管理装置、及び、物品搬送システムの制御方法 |
CN108792387B (zh) * | 2018-06-01 | 2019-04-09 | 北京极智嘉科技有限公司 | 货架命中方法、装置、服务器和介质 |
EP3816886B1 (en) | 2018-06-01 | 2024-07-10 | Beijing Geekplus Technology Co., Ltd. | Management method, apparatus, system applied to goods-to-person system, and server and computer storage medium |
CN110577048B (zh) * | 2018-06-07 | 2022-04-12 |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 入库调度的方法和系统 |
CN109001530B (zh) * | 2018-06-21 | 2021-06-29 | 日照和川信息技术有限公司 | 一种电能表识别分拣系统 |
CN110369294A (zh) * | 2018-08-16 | 2019-10-25 |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 播种墙及播种式货物分拣系统 |
CN111661549B (zh) * | 2019-03-07 | 2022-01-07 |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 出库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US10618735B1 (en) * | 2019-03-11 | 2020-04-14 | Coupang Corp. | Computerized systems and methods for assisted picking processes |
US10783462B1 (en) * | 2019-04-17 | 2020-09-22 | Coupang Corp. | Warehouse batch product picking optimization using high density areas to minimize travel distance |
US10878377B1 (en) * | 2019-11-19 | 2020-12-29 | Coupang Corp. | Computer-implemented methods and systems for efficient sortation of items based on limited access to item information |
US20210150474A1 (en) * | 2019-11-19 | 2021-05-20 | Coupang Corp. | Computer 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distribution of orders based on system parameters |
JP7267907B2 (ja) * | 2019-12-05 | 2023-05-02 | 株式会社日立インダストリアルプロダクツ | 管理システム及び物品の入出庫の管理方法 |
CN115231168A (zh) * | 2021-04-22 | 2022-10-25 | 杭州壹悟科技有限公司 | 一种仓储作业系统及方法 |
EP3971114A4 (en) * | 2020-04-26 | 2023-03-08 | Hangzhou Yiwu Technologies Co., Ltd. | WAREHOUSE OPERATING SYSTEM AND METHOD |
CN111689115A (zh) * | 2020-07-17 | 2020-09-22 | 江苏速升自动化装备股份有限公司 | 一种带有立体仓库的生产线 |
JP7517948B2 (ja) | 2020-11-02 | 2024-07-17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物流倉庫制御システム及び物流倉庫制御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16403A (ja) * | 1990-05-07 | 1992-01-21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仕分け方法 |
AU3923395A (en) * | 1994-11-24 | 1996-06-17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Order-picking cell |
BR9915047A (pt) * | 1998-11-04 | 2001-08-07 | Honda Motor Co Ltd | Sistema de transferência. |
WO2003008306A1 (fr) | 2001-07-18 | 2003-01-30 | Chuo Logistics Engineering Co., Ltd. | Procede et appareil de tri |
JP3945619B2 (ja) * | 2001-07-18 | 2007-07-18 | 有限会社中央ロジスティクス・エンジニアリング | 仕分装置 |
JP2005335916A (ja) * | 2004-05-28 | 2005-12-08 | Mitsubishi Electric Engineering Co Ltd | 商品仕分けシステム |
JP4709586B2 (ja) * | 2005-06-14 | 2011-06-22 | 三菱電機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物品配送仕分けシステム |
JP2007039181A (ja) | 2005-08-02 | 2007-02-15 | Murata Mach Ltd | ピッキングスケジュール作成システム |
US7941244B2 (en) * | 2007-09-25 | 2011-05-10 | Amazon Technologies, Inc. | Stow and sortation system |
AT506887A1 (de) * | 2008-05-26 | 2009-12-15 | Tgw Mechanics Gmbh | Lager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selben |
WO2011113053A1 (en) * | 2010-03-12 | 2011-09-15 | Casepick Systems, Llc | Replenishment and order fulfillment system |
-
2012
- 2012-04-17 KR KR1020137028571A patent/KR2013013935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2-04-17 WO PCT/JP2012/060305 patent/WO2012165070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4-17 CN CN201280024468.3A patent/CN103596858A/zh active Pending
- 2012-04-17 US US14/118,907 patent/US9286590B2/en active Active
- 2012-04-17 JP JP2013517921A patent/JP5825348B2/ja active Active
- 2012-05-25 TW TW101118781A patent/TWI534057B/zh active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3089B1 (ko) | 2015-07-23 | 2016-11-04 |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 고속 자동 피킹 시스템 및 그 토출 구역 운영 방법 |
US11954638B2 (en) | 2018-05-24 | 2024-04-09 | Cainiao Smart Logistics Holding Limited | Goods picking task allocation method and device |
KR102628951B1 (ko) * | 2023-02-27 | 2024-01-25 | 쿠팡 주식회사 | 작업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
WO2024181614A1 (ko) * | 2023-02-27 | 2024-09-06 | 쿠팡 주식회사 | 작업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249730A (en) | 2012-12-16 |
WO2012165070A1 (ja) | 2012-12-06 |
JP5825348B2 (ja) | 2015-12-02 |
US9286590B2 (en) | 2016-03-15 |
CN103596858A (zh) | 2014-02-19 |
US20140107833A1 (en) | 2014-04-17 |
JPWO2012165070A1 (ja) | 2015-02-23 |
TWI534057B (zh) | 2016-05-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139353A (ko) | 픽킹 및 분류 시스템 | |
US9725242B2 (en) | System and method for the joint picking of breakable and unbreakable articles | |
US10354221B2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gressive picking | |
US863495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returned goods in an order-picking system | |
CN107408285B (zh) | 仓库管理系统、仓库和仓库管理方法 | |
JP6183279B2 (ja) | ピッキング設備における物品供給方法、支持体分割方法、及び、ピッキング作業実行方法 | |
JP2018167950A (ja) | 自動物流システム | |
JP5748107B2 (ja) | 物品仕分設備の物品入出庫方法 | |
JP2020050472A (ja) | ピッキング荷合わせシステム | |
JP2022180082A (ja) | 物品保管設備 | |
JP5082059B2 (ja) | ピッキング自動倉庫 | |
JP4090227B2 (ja) | 処理設備 | |
JP6421875B2 (ja) | 集品システム及び集品方法 | |
JP4026468B2 (ja) | 物品取扱い設備 | |
CN105143070B (zh) | 用于交付产品的方法和系统 | |
JP4388595B2 (ja) | ピッキング方法及びピッキング装置 | |
JP6107501B2 (ja) | 仕分け設備 | |
JP4296254B2 (ja) | ピッキング装置及び方法 | |
JP5135508B2 (ja) | ピッキング方法及びピッキング装置 | |
JP7247436B2 (ja) | 物流システム | |
JPH09118312A (ja) | 商品の自動仕分・梱包方法 | |
JP7192719B2 (ja) | 物品搬送設備 | |
JP7375952B2 (ja) | 自動倉庫システム、および倉庫選定方法 | |
JP7275584B2 (ja) | 投入ステーションシステム | |
JP6737227B2 (ja) | 仕分け設備及び仕分け設備における物品の仕分け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