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3989A - 브릿지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 특히 iso 컨테이너를 취급하는 브릿지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 - Google Patents
브릿지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 특히 iso 컨테이너를 취급하는 브릿지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53989A KR20110053989A KR1020117005271A KR20117005271A KR20110053989A KR 20110053989 A KR20110053989 A KR 20110053989A KR 1020117005271 A KR1020117005271 A KR 1020117005271A KR 20117005271 A KR20117005271 A KR 20117005271A KR 20110053989 A KR20110053989 A KR 201100539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ane
- mast
- trolley
- bridge
- carri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1000288140 Gru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2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41000124872 Grus gru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7—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for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 특히 ISO 컨테이너를 취급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카트의 이동 방향에서 크레인 지지부(crane support)를 따라 이동하는 크레인 카트(crane cart)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는 수직 방향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인 마스트를 지지하고, 컨테이너를 위한 하중 지지 수단(load supporting means)은 상기 마스트에 매달려 있다.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의 취급량을 최적화하기 위해, 제 2 하중 지지 수단(17)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인 제 2 마스트(15)가 카트의 이동방향(K)에서 제 1 마스트(14)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브릿지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 특히 ISO 컨테이너를 취급하는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상기 크레인은 트롤리의 이동방향에서 크레인 캐리어(crane carrier)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크레인 트롤리(crane trolley)를 갖고 상기 크레인 트롤리는 수직방향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인 마스트(mast)를 지지하고 상기 마스트 위에서 컨테이너를 위한 하중수용수단(a load-receiving means for containers)이 매달려 있다.
유럽특허 EP 1 365 984 B1에 컨테이너 적재용으로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이 개시되는데, 특히 ISO 컨테이너용으로, 상기 크레인은,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저장영역(storage area)에서 창고로 컨테이너를 반입 또는 반출한다. 저장영역에서 상기 컨테이너는 장방형의 바닥에 줄과 열을 맞춰 정렬되어 하역되고 컨테이너끼리 4개까지 적재된다. 저장영역에서 하역 컨테이너는 저장영역의 세로방향과 나란한 종방향의 확장부를 갖고, 예를 들어, 10개의 컨테이너가 저장영역의 폭을 가로질러 서로의 옆에 좁은 간격으로 놓여진다.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은 장방형의 저장영역 가로방향을 충분히 걸치는 크레인 캐리어를 갖는데, 크레인 캐리어 위에서 그 종방향에서 크레인 트롤리의 이동이 가능하다. 브릿지 크레인 또는 캔트리 크레인이 브릿지 크레인으로 형성될 때, 크레인 캐리어는, 그 반대편 단부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러닝 기어(running gear)를 갖는데, 러닝 기어에 의해 크레인 캐리어가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브릿지 크레인의 구조에 맞게 저장영역 측면에 배치된 수직 지지부(vertiacl support)에 의해 레일은 상승하고 작업바닥에 정착된다. 그래서 브릿지 크레인은 크레인 캐리어의 러닝 기어에 의해 저장영역의 종 방향에서 이동할 수 있고 크레인 캐리어 위를 이동할 수 있는 크레인 트롤리에 의해 크레인 캐리어를 가로질러 이동할 수 있다. 브릿지 크레인 또는 캔트리 크레인이 갠트리 크레인으로 형성될 때, 크레인 캐리어를 위한 레일은 저장 영역 측면에 인접한 작업바닥에 배치되고 크레인 캐리어의 러닝 기어는 수직 지지부를 통해 크레인 캐리어의 단부단에 연결된다.
크레인 트롤리를 사용하여 컨테이너를 취급하기 위해, 크레인 트롤리에 수직방향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마스트가 제공된다. 상기 마스트는 상자형 대들보(box girder)로 형성되고 승강 장치(hoisting mechanisms)는 마스트의 상하 운동을 위해 크레인 트롤리 위로 정렬된다. 컨테이너용 하중수용수단, 특히 스프레더(spreader)는, 취급되는 컨테이너의 방향을 지향하는 마스트의 하단 단부에 매달린다. 크레인 트롤리와 하중수용수단 사이에 위치한 견고한 마스트의 사용은 케이블위에 매달려 사용되는 하중수용수단에 비해 취급시 컨테이너의 진동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유럽특허 EP 1 939 131 A2 에는 크레인 트롤리가 구비된 컨테이너 브릿지가 개시되는데, 상기 크레인 트롤리는 트롤리의 이동방향에서 서로 앞뒤에 배치된 2개의 케이블 와인딩 장치(cable-winding mechanism)를 갖는데, 케이블 와인딩 장치에서 한 쌍의 ISO 컨테이너용 하중수용수단은 승강 케이블(hoisting cables)에 의해 매달려진다. 개개의 하중수용수단은, 그러나, 유압 실린더(hydraulic cylinder)를 통해 서로에 연결되고, 상기 유압실린더는 수평방향으로 트롤리의 이동방향을 지향하는데, 상기는 각 하중수용수단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함이다. 상기에 따라 하중수용수단은 상승 및 조향 방향에서 각각이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없다.
본 발명은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의 취급량(handling capacity) 최적화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에 의해 달성된다. 발명의 장점을 갖는 실시 예는 청구항 2 내지 7에 나타난다.
본 발명의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 특히 ISO 컨테이너를 취급하는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은 트롤리의 이동방향에서 크레인 캐리어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크레인 트롤리를 갖고 상기 크레인 트롤리는 수직방향에서 상하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마스트를 지지하며 상기 마스트 위에 컨테이너용 하중수용수단이 매달리는데, 취급량의 최적화는 트롤리의 이동방향에서 제 1 마스트 후방에 배치된 제 2 하중수용수단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인 제 2 마스트에서 달성된다. 그러므로 2개의 컨테이너가 크레인 캐리어를 따르는 크레인 트롤리의 이동과 함께 이송된다. 공통의 크레인 트롤리가 효과적으로 제공된다.
상하 방향의 움직임에 관해 제 1 마스트 위에 배치된 제 1 하중수용수단과 적어도 하나인 제 2 마스트 위에 배치된 제 2 하중수용수단에 의해 컨테이너가 각각에 대해 독립적으로 취급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제 1 마스트와 적어도 하나인 제 2 마스트는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방식으로 컨테이너는 동시에 또는 연속하여 취급될 수 있거나 또는 2개의 마스트 중 하나가 움직이지 않고 상승된 위치에 남아 있을 수 있다. 각 취급 공정 간 컨테이너에 대해 하중수용수단을 결합하기 위한 크레인 트롤리의 이동 역시 가능하다.
구조적으로 제 1 마스트는 제 1 승강 장치를 통하여 상하 이동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인 제 2 마스트는 제 2 승강 장치를 통해 상하이동 할 수 있다. 또한 각 크레인 트롤리 위에서 제 1 상하 가이드 요소(upper and lower guide elements)와 제 2 상하 가이드 요소를 통해 안내되는 제 1 및 제 2 마스트가 제공된다.
또한 크레인 캐리어가 제 1 캐리어와 제 2 캐리어로 구성되는 장점이 있는데, 상기 캐리어 위에서 트롤리 레일이 정렬되고 상기 레일 위로 크레인 트롤리가 트롤리의 이동 방향으로 움직이는데, 제 1 캐리어와 제 2 캐리어는 트롤리의 이동방향에 대해 직각인 크레인의 이동방향에서 서로 공간을 두고 이격된다.
실시 예에서 제 1 마스트와 제 2 마스트는 공통의 크레인 트롤리 위에 배치된다. 마스트 2개의 존재는 컨테이너 창고의 종방향에서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 너비의 작은 증가만을 일으킴과 동시에 크레인의 취급량을 증가시킨다.
컨테이너의 측면 진동을 효과적으로 축소 또는 방지하기 위해, 제 1 마스트와 제 2 마스트는 각 일체로 형성되고 견고하다. 접이식 마스트(telescoping mast)는 일체로 여겨지지 않고 이런 의미에서 다수의 접이식 섹션(telescope sections)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은, 크레인 캐리어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크레인 트롤리와 수직방향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마스트 및 컨테이너용 하중수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제 1 마스트와 그 후방에 위치한 제 2마스트에 대한 공통의 크레인 트롤리가 제공되고 상기 마스트는 일체형으로 견고하게 형성되므로 하중수용수단의 진동이 최소화되고, 제1 마스트와 적어도 하나 이상인 제 2 마스트에 각각 연결된 하중수용수단에 의해 컨테이너가 2개 이상 크레인 트롤리와 함께 독립적으로 이동하고 복수의 마스트가 존재하므로 크레인의 너비 증가가 크지 않으면서 취급량의 최적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하에 기술되고 도시되는데;
도 1은 항구에서의 ISO 컨테이너 취급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취급장치에서 컨테이너 창고의 선적 및 하역 영역에 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갠트리 크레인으로 형성될 때 도 2에 따른 브릿지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의 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 부근에서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대체가능한 길이의 크레인 캐리어를 갖는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에 관한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서 컨테이너가 창고에 반입 반출될 때 취급장치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8은 크레인 트롤리 영역에서 도 5를 볼 때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의 횡단면도이다.
도 1은 항구에서의 ISO 컨테이너 취급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취급장치에서 컨테이너 창고의 선적 및 하역 영역에 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갠트리 크레인으로 형성될 때 도 2에 따른 브릿지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의 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 부근에서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대체가능한 길이의 크레인 캐리어를 갖는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에 관한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서 컨테이너가 창고에 반입 반출될 때 취급장치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8은 크레인 트롤리 영역에서 도 5를 볼 때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의 횡단면도이다.
도 1은 항구 영역에서 취급장치(1)를 나타내는데, 상기 항구영역에서 컨테이너(2), 특히 ISO 컨테이너가, 취급된다. 도면에는 취급장치(1)의 부분만 나타나지만 그 필수적인 요소를 볼 수 있다. 취급장치(1)는 랜드 사이드 취급 영역(land-side handling area,3), 컨테이너 창고(4)와 물가 취급 영역(water-side handling area,5)을 포함한다.
랜드 사이드 취급 영역(3)은 컨테이너 창고(4)의 랜드 사이드 단부(4a)에 인접하고 선적 및 하역되는 화물차(8)를 위해 서로 인접해 위치하는 다수의 주차공간(7)을 구비한 인접하는 선적 및 하역 영역(6) 갖는다. 선적 및 하역 영역(6)에서 주차 구역(7) 중 하나에 주차된 화물차(8)는 컨테이너 창고(4)에서 작동되는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9)에 의해 선적 및/또는 하역된다.
컨테이너 창고(4)는 다수의 컨테이너 창고 영역(4c)을 포함하고, 상기 창고 영역은 서로에 대해 줄을 맞춰 배치되고 동시에 서로의 옆에 위치하는데, 선적 및 하역 영역(6)은 각 랜드 사이드 단부(4a)에서 컨테이너 창고 영역에 할당되며 컨테이너가 창고에 반입 반출되는 영역(10)은 물가 측 단부에서(4b) 할당된다. 각 컨테이너 창고 영역(4c)은 크레인의 이동방향(F)에서 레일(11) 위로 컨테이너 창고 영역(4c)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9)에 할당된다. 컨테이너(2)는 컨테이너 창고 영역(4c)과 선적 및 하역 영역(6) 또는 컨테이너가 창고에 반입 반출되는 영역(10) 사이에서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9)에 의해 이송된다. 하나 또는 다수의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9)에 더하여, 각 컨테이너 창고 영역(4c)은 컨테이너(2)를 위한 하역 영역(4d)을 갖는다. 하역 영역(4d)은 컨테이너(2)가 열과 행을 맞춰 정렬되는 장방형의 기초면(base surface)을 갖는다. 상기에서 컨테이너(2)는 5개까지 적층된다. 하역된 컨테이너(2)는 필수적으로 레일(11)과 나란하게 종방향 확장부를 지향하고 그래서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9)의 이동방향(F)에 위치한다. 상기 컨테이너(2)의 배향은 출입 화물차(7)가 있는 선적 및 하역 영역(6)과 컨테이너가 창고에 반입 반출되는 영역(10)에서 발견되어 각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9)은 선적 및 하역 동안 필요한 배치 수정 이외에는 컨테이너(2)를 중심으로 회전할 필요가 없다.
컨테이너 창고(4)의 물가 측 단부(4b)에서 컨테이너(2)는 컨테이너가 창고에 반입 반출되는, 또는 컨테이너가 창고로부터 선적되는 영역에서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9)에 의해 하역된다. 컨테이너가 창고에 반입 반출되는 영역(10)은 물가 취급 영역(5)에 대한 접점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선적 및 하역 영역(6)과 인접한 컨테이너 창고 영역(4c) 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각 선적 및 하역 영역(6)에서 화물차(8)를 위한 다수의 주차 구역(7)은 서로의 옆에 가능한 가깝게 배치된다. 9줄의 컨테이너(2)가 서로 옆에 하역된 창고 영역(4c)에서, 화물차(8)를 위한 6개의 주차 구역(7)은 서로 옆에 제공된다.
도 2는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9)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9)은 필수적으로 각 컨테이너 창고 영역(4c)의 하역 영역(4d)의 옆에 측면으로 배치된 레일(11)을 따르는 크레인의 이동방향(F)에서 움직일 수 있는 크레인 캐리어(12)를 반드시 포함하는데, 상기 크레인 캐리어에서 크레인 트롤리(13)는 크레인 캐리어(12)의 이동방향(F)을 가로지르는 트롤리의 이동방향(K)에서 움직일 수 있다. 제 1 마스트(14)와 제 2 마스트(15)는 트롤리의 이동방향(K)에서 크레인 트롤리(13) 위에서 앞뒤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 1 및 제 2 마스트(14,15)는 공통의 크레인 트롤리(13) 위에 매달리고 크레인 캐리어(12)를 따라 크레인 트롤리(13)에 의해 함께 이동한다. 상기 2개의 마스트(14,15) 각각은 각 마스트의 하단 단부(14a, 15a)에 부착된 하중수용수단 - 특히 스프레더 프레임- 에 의해 컨테이너(2)를 승하강하기 위해 크레인 트롤리(13)에 대해 수직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마스트(14,15)는 단단한 일체의 지브(jib)로 형성되는데, 특히 상자형 대들보의 형태이고, 상기 지브에 의해 하중수용수단(16,17)은 크레인 트롤리(13)에 대해 안내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면, 즉 수평 방향에서, 컨테이너가 있을 때 또는 컨테이너가 없을 때의 하중수용수단(16,17)의 진동은 최소화 또는 방지된다. 제공된 각 접이식 섹션 사이의 추가된 가이드로 인해 측면 안정성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제 1 및 제 2 마스트(14,15)는 짧아질 수 없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갠트리 크레인의 실시 예로서 발명에 따른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9)의 투시도이다. 명확히 하기 위해 컨테이너 창고 영역(4c)은 빈 것으로 나타낸다. 갠트리 크레인(9)은 크레인 캐리어(12)를 갖는데, 크레인 캐리어의 반대편 단부은 크레인의 이동 방향(F)에서 좌우 수직 지지부(18l,18r)를 통해 지지된다. 크레인의 이동방향(F)에서 전체적으로 갠트리 크레인은 U 모양이고 밑바닥이 개방된다. 수직 지지부(18l,18r)는 그 상단 단부에서 반대편 단부에 이르는 영역까지 크레인 캐리어(12)를 수용하고 하단 단부에서 크레인의 이동방향(F)으로 레일(11) 위의 크레인 러닝 기어(19)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크레인 캐리어(12)는 제 1 캐리어(12a)와 제 2 캐리어(12b)를 갖는 이중 캐리어로 형성되는데, 상기 두 캐리어는 크레인의 이동방향(F)에서 서로 하나의 뒤에 배치되고 같은 높이에서 공간을 두고 이격되어 위치한다. 좌측 수직 지지부(18l)와 우측 지지부(18r)는 크레인의 이동방향(F)에서 이중 지지부로 형성되는데, 상기 이중 지지부는 베이스 캐리어(base carrier,18a)에 의해 단부에 연결되어 U 모양을 형성한다. 함께 U 모양을 형성하는 수직 지지부(18l,18r)와 베이스 캐리어(18a)는 막대 모양의 메인 텐셔닝 요소(main tensioning elements,18b)를 통해 추가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메인 텐셔닝 요소(18b)는 십자모양으로 좌측의 수직 지지부(18l)와 우측의 수직 지지부(18r) 상하단 구역에 배치된다. 상단 텐셔닝 요소(18c)는, 베이스 캐리어(18a)와 평행하고 수평방향인데, 십자 모양의 텐셔닝 요소(18b) 위로 추가 제공된다.
도 3은 또한 제 1 캐리어(12a)와 제 2 캐리어(12b) 각각이 삼각형의 단면(triangular cross-section)을 갖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 삼각형의 단면은 이등변 삼각형으로서, 꼭지점 각이 약 30°이다. 제 1 캐리어(12a)와 제 2 캐리어(12b)의 꼭지점(12c)에서 트롤리 레일(trolley rail,20)이 부착되고 각 경우에 크레인 트롤리(13)는 트롤리의 이동방향(K)으로 트롤리 레일 위를 이동할 수 있다.
평면도에서 트롤리(13)는 필수적으로 장방형의 베이스 프레임(13a)을 포함하고, 베이스 프레임의 4개 코너에서 트롤리 러닝 기어(21)가 배치되어 트롤리 레일(20) 위를 움직일 수 있다. 크레인 트롤리(13)의 베이스 프레임(13a) 중간 부분에는 제 1 마스트(14)와 제 2 마스트(15)가 안내되는 2개의 구멍이 있다. 상기 제 1 마스트(14)와 제 2 마스트(15) 각각은 하단의 가이드 요소(32a)를 통해 베이스 프레임(13a)으로 안내된다(도 8 참조). 또한, 테이블 모양의 지지 구조(23)는 베이스 프레임(13) 위로 위치하고, 상기 구조는 평면도 상에서 장방형이고 6개의 다리(23b)를 통해 베이스 프레임(13)의 상부에서 지지되는 상부 프레임(21a)을 갖는다. 상기 제 1 마스트(14)와 제 2 마스트(15)를 위한 상부 가이드 요소(32b)는 캐리어 구조(23)의 상부 프레임(21a) 구역에 배치된다(도 8 참고).
상하 방향(H)으로 제 1 마스트(14)와 제 2 마스트(15)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 1 마스트(14)를 위한 제 1 승강 장치(25)와 제 2 마스트(15)를 위한 제 2 승강장치(26)는 크레인 트롤리(13)의 베이스 프레임(13a)에 배치된다. 그에 따라 제 1 및 제 2 마스트(14,15)는 상호 독립적으로 상하 방향(H) 이동이 가능하다. 도 3에서 제 1 마스트(14)는 상승된 위치에 있다. 반대로, 제 2 마스트(15)는 중간에 위치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 1 승강 장치(25) 및 제 2 승강 장치(26)가 베이스 프레임(13a)의 반대 측에 배치된다. 제 1 승강 장치(25)와 제 2 승강 장치(26) 각각은 서로에 대해 동축(coaxial)을 가지며 공통의 제 1 전달장치(25c)와 제 2 전달장치(26c)에 장착된 제 1 케이블 드럼(25a,26a)과 제 2 케이블 드럼(25b,26b)을 갖는데, 상기 전달장치 각각은 제 1 운전 모터(25d)와 제 2 운전 모터(26d)에 의해 구동된다. 4개의 각 케이블 드럼(25a,25b,26a 그리고 26b)은 각 경우에 2개의 제 1 케이블(27)과 2개의 제 2 케이블(28)에 의해 구동되어 4개의 케이블(27,28)은 승강 장치(25,26) 각각에 제공되며 수직방향에서 밑으로 직접 케이블 드럼(25a, 25b, 26a, 26b)으로부터 구동되거나 제 1 마스트(14)와 제 2 마스트(15)의 반대편 수평방향으로 안내되어 수평 회전 축을 구비한 편향 롤러(deflecting roller,29)를 통해 수직 아래로 90°편향된다. 제 1 케이블(27)의 단부는 제 1 하중수용수단(16)에 연결되고 제 2 케이블(28)의 단부은 제 2 하중수용수단(17)에 연결된다.
또한, 도 3은 좌측 수직 지지부(18l)에 컨테이너 모양의 하우징(30)이 부착되고 하우징 내부에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9)에 대한 제어 및 전력 전기 또는 전자 장치가 배치된 것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로서 제 1 마스트(14) 하단 단부(14a)에 있는 제 1 하중수용수단(16)의 결합과 제 2 마스트(15) 하단 단부(15a)에 있는 제 2 하중수용수단의 결합을 특히 잘 나타낸다. 제 1 하중수용수단(16)과 제 2 하중수용수단(17)은 상단의 제 1 서스펜션 프레임(16a)과 상단의 제 2 서스펜션 프레임(17a) 및 유효 제 1 스프레더 프레임(16a)과 제 2 스프레더 프레임(17a)에서 일반적인 방식으로 분포된다. 제 1 서스펜션 프레임(16a)과 제 2 서스펜션 프레임(17a)은 제 2 마스트(15)의 하단 단부(15a)과 제 1 마스트(14)의 상단 단부(14a) 중앙에 부착되고, 평면도에서, 필수적으로 장방형의 단면(rectangular cross-section)을 갖는다. 제 1 서스펜션 프레임(16a)과 제 2 서스펜션 프레임(17a)의 각 코너에는 4개의 제 1 케이블(27)과 4개의 제 2 케이블(28)이 부착된다. 명확히 하기 위해 제 2 케이블(28)은 생략한다.
도 4는 제 1 하중수용수단(16)이 최고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명확히 보여주는데, 컨테이너(2)의 길이에 대하여 회수된 위치로서, 좌측 2개의 수직 지지부(18l) 사이의 상단 텐셔닝 요소(18c)보다 높이 위치하여 하중수용수단(16) 및 스프레더 프레임(16b)은 구비하지만 운반되는 컨테이너(2)는 구비하지 않는 크레인 트롤리(13)는 상단의 텐셔닝 요소(18c) 위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4는 제 1 마스트(14)의 방향에서 제 1 케이블 드럼(25a)으로부터 상향 및 수평으로 구동되는 제 1 케이블(27)이 베이스 프레임(13a)의 반대 편에 장착된 편향 롤러(29) 방향에서 안내되는 것과 수평 방향의 편향 롤러에 의해 90° 수직 아래 방향으로 편향되는 것을 나타낸다. 대응되게 다른 제 1 케이블(27)과 제 2 케이블(28)이 편향되어 4개의 편향 롤러(29) 모두 베이스 프레임(13a) 위에 배치된다.
종래에 제 1 스프레더 프레임(16b)과 제 2 스프레더 프레임(17b) 각각은 제 1 체인(16c)과 제 2 체인(17c)을 통해 제 1 서스펜션 프레임(16a)과 제 2 서스펜션 프레임(17b) 위에 매달린다.
도 5는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9')의 옆모습에 관한 도 3의 정면도이다. 컨테이너 저장 영역(4c)에서 컨테이너(2)가 서로 적재된다. 각 경우에 5개의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저장 영역(4c)에서 다른 컨테이너의 꼭대기 위에 적재되고 트롤리의 이동방향(K)에서 보았을 때 서로의 옆으로 약 40 Cm 이격되어 위치한다. 대응되게 컨테이너(2)가 컨테이너 창고 영역(4c)에서 제 1 하중수용수단(16)과 제 2 하중수용수단(17)에 의해 동시에 또는 비동시지만 부분적으로 동시에 선적 및 하역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제 1 하중수용수단(16)과 제 2 하중수용수단(17), 특히 제 1 스프레더 프레임(16b)과 제 2 스프레더 프레임(16c),이 트롤리의 이동방향(K)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과 같이 크레인 트롤리(13) 위의 제 1 마스트(14)와 제 2 마스트(15)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컨테이너(2)의 제 1 및 마지막 줄에 관해, 트롤리의 이동방향(K)에서, 상기 컨테이너는 제 1 하중수용수단(16)과 제 2 하중수용수단(17)에 의해 도착되고 각 컨테이너(2)는 제 1 하중수용수단(16) 또는 제 2 하중수용수단(17)에 의해 창고 저장 영역(4c)의 각 위치에서 하역 또는 선적된다. 이를 위해 제 1 캐리어(12a)와 제 2 캐리어(12b)는 좌측의 수직 지지부(18l)와 우측의 수직 지지부(18r)를 넘어 확장되고 상기 확장은, 우측의 수직 지지부(18r)에 관하여 보면, 상승된 제 2 하중수용수단(17)은 컨테이너 저장 영역(4d)을 넘어 수평으로 확장되어 제 1 하중수용수단(16)은 컨테이너의 마지막 줄에 있는 컨테이너(2)도 선적 또는 하역할 수 있다. 좌측 트롤리(13)의 경우 대응되는 상황이 도 5에 나타나 있다.
또한 좌측에서만 레일(20)과 결속된 제 1 캐리어(12a)와 제 2 캐리어(12b)의 길이 신장이 가능하며, 좌측에는 좌측의 수직 지지부(18l)에 측면으로 배치된 하우징(30)이 있다. 상기 길이 신장은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9) 구조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상기 길이 신장이 우측의 수직 지지부(18r)에 대하여 우측에서 평행하게 배치된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9')에서 실행된다면, 수직 지지부(18r,18l) 사이의 구역은 컨테이너(2) 저장에 쓰일 수 없고, 예를 들어, 다만 이동 통로(31)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선택가능한 길이의 크레인 캐리어(12)를 구비한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에 관한 도 3의 정면도이다. 언급한 바와 같이, 제 1 캐리어(12a)와 제 2 캐리어(12b)가 좌측의 수직 지지부(18l)와 우측의 수직 지지부(18r) 구역에서 단부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는, 트롤리의 이동방향(K)에서, 창고 영역(4c)에 적재된 컨테이너(2)의 제 1 및 마지막 줄은 창고 영역(4c)에서, 트롤리의 이동 방향(K)에서 앞 부분인, 컨테이너(2)의 제 1 줄에 관한 제 1 하중수용수단(16)을 장착한 제 1 마스트(14)와 트롤리의 이동 방향(K)에서 뒷 부분인, 컨테이너(2)의 마지막 줄에 관해 제 2 하중수용수단(16)을 장착한 제 2 마스트(15)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취급장치(1)에서 컨테이너 창고(4)의 선적 및 하역 영역(6)에 관한 확대도이다. 도 7을 보면 컨테이너가 창고에서 반입 및 반출되는 영역(10)에서 자동화 안내 차량(automated guided vehicles,33)을 위한 다수의 주차 공간(7)이 가능한 가깝게 서로 옆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창고 영역(4c)에는 서로에 인접하여 하역된 컨테이너(2) 9줄이 있고, 내부에 자동화 안내 차량(33)에 의해 선적 및 하역되는 컨테이너가 4개의 주차 공간(7)에 제공된다. 컨테이너(2)를 위한 주차공간(7)은 컨테이너가(2)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9) 또는 자동화 안내 차량(33)에 의해 선적 또는 하역되는 고정된 지지 프레임(7a)을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이를 위해 지지 프레임(7a)은 자동화 안내 차량(33)이 출입방향에서 안쪽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하역 표면을 제공받는데, 하역 표면에서 자동화 안내 차량(33)에 의해 상승되는 컨테이너(2)는 하역 표면에서 하역되거나 선적될 수 있다.
또한, 도 8은 크레인 트롤리(13)로부터 도 5에 따른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9)의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서 제 1 마스트(14)와 제 2 마스트(15) 각각은 크레인 트롤리(13)의 베이스 프레임(13a) 영역에 있는 하단 가이드 요소(32a)와 캐리어 구조(23)의 상단 프레임(23a)영역에 있는 상단 가이드 요소(32b)를 통해 안내된다. 상하 가이드 요소(32a,32b)는 각 경우에 반대편에 위치하여 4개의 지점에서 제 1 마스트(14)와 제 2 마스트(15)를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guide rollers)로 형성된다.
상기 기술은 브리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9,9')에 관한 것으로, 상기 크레인은 갠트리 크레인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크레인을 승강 레일(11)이 구비된 브릿지 크레인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취급장치 2 컨테이너
3 랜드사이드 취급 영역 4 컨테이너 창고
4a 랜드사이드 단부 4b 물가 단부
4c 컨테이너 창고 영역 4d 하역 영역
5 물가 취급 영역 6 선적 및 하역 영역
7 주차공간 7a 지지 프레임
8 화물차
9, 9'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
10 컨테이너가 창고에 반입 또는 반출되는 영역
11 레일 12 크레인 캐리어
12a 제 1 캐리어 12b 제 2 캐리어
12c 꼭대기 13 크레인 트롤리
13a 베이스 프레임 14 제 1 마스트
14a 제 1 마스트의 하단 15 제 2 마스트
15a 제 2 마스트의 하단 16 제 1 하중수용수단
16a 제 1 서스펜션 프레임 16b 제 1 스프레더 프레임
16c 제 1 체인 17 제 2 하중수용수단
17a 제 2 서스펜션 프레임 17b 제 2 스프레더 프레임
17c 제 2 체인 18a 베이스 캐리어
18b 메인 텐셔닝 요소 18c 상단 텐셔닝 요소
18l, 18l' 좌측 수직 지지부
18r 우측 수직 지지부 19 크레인 러닝 기어
20 트롤리 레일 21 트롤리 러닝 기어
22 하단 구멍 23 지지구조
23a 상단 프레임 23b 다리
24 상단 구멍 25 제 1 승강 장치
25a 제 1 케이블 드럼 25b 제 2 케이블 드럼
25c 제 1 전달 장치 25d 제 1 드라이브 모터
26 제 2 승강 장치 26a 제 1 케이블 드럼
26b 제 2 케이블 드럼 26c 제 2 전달 장치
26d 제 2 드라이브 모터 27 제 1 케이블
28 제 2 케이블 29 편향 롤러
30 하우징 31 이동 통로
32a 하단 가이드 요소 32b 상단 가이드 요소
33 자동화 안내 차량 F 크레인의 이동 방향
H 상하 방향 K 트롤리의 이동방향
3 랜드사이드 취급 영역 4 컨테이너 창고
4a 랜드사이드 단부 4b 물가 단부
4c 컨테이너 창고 영역 4d 하역 영역
5 물가 취급 영역 6 선적 및 하역 영역
7 주차공간 7a 지지 프레임
8 화물차
9, 9'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
10 컨테이너가 창고에 반입 또는 반출되는 영역
11 레일 12 크레인 캐리어
12a 제 1 캐리어 12b 제 2 캐리어
12c 꼭대기 13 크레인 트롤리
13a 베이스 프레임 14 제 1 마스트
14a 제 1 마스트의 하단 15 제 2 마스트
15a 제 2 마스트의 하단 16 제 1 하중수용수단
16a 제 1 서스펜션 프레임 16b 제 1 스프레더 프레임
16c 제 1 체인 17 제 2 하중수용수단
17a 제 2 서스펜션 프레임 17b 제 2 스프레더 프레임
17c 제 2 체인 18a 베이스 캐리어
18b 메인 텐셔닝 요소 18c 상단 텐셔닝 요소
18l, 18l' 좌측 수직 지지부
18r 우측 수직 지지부 19 크레인 러닝 기어
20 트롤리 레일 21 트롤리 러닝 기어
22 하단 구멍 23 지지구조
23a 상단 프레임 23b 다리
24 상단 구멍 25 제 1 승강 장치
25a 제 1 케이블 드럼 25b 제 2 케이블 드럼
25c 제 1 전달 장치 25d 제 1 드라이브 모터
26 제 2 승강 장치 26a 제 1 케이블 드럼
26b 제 2 케이블 드럼 26c 제 2 전달 장치
26d 제 2 드라이브 모터 27 제 1 케이블
28 제 2 케이블 29 편향 롤러
30 하우징 31 이동 통로
32a 하단 가이드 요소 32b 상단 가이드 요소
33 자동화 안내 차량 F 크레인의 이동 방향
H 상하 방향 K 트롤리의 이동방향
Claims (7)
- 트롤리의 이동방향에서 크레인 캐리어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수직방향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인 마스트를 지지하는 크레인 트롤리를 포함하고,상기 마스트 위에서 컨테이너를 위한 하중수용수단이 매달려있는 ISO 컨테이너를 취급하는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에 있어서,
제 2 하중수용수단(17)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인 제 2 마스트(15)는 트롤리의 이동방향(K)에서 보았을 때 제 1 마스트(14)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 -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마스트(14)와 적어도 하나인 제 2 마스트(15)는 제 1 마스트(14)에 배치된 제 1 하중수용수단(16)과 적어도 하나인 제 2 마스트(15)에 배치된 제 2 하중수용수단(17)에 의한 상하 방향(H)의 움직임에 관해 각 컨테이너가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취급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 1 마스트(14)는 제 1 승강 장치(25)를 통해 상하 이동하고 적어도 하나인 제 2 마스트(15)는 제 2 승강장치(25)를 통해 상하 이동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마스트(14)와 제 2 마스트(15)는 크레인 트롤리(13) 위에서 각각 제 1 상하 가이드 요소와 제 2 상하 가이드 요소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크레인 캐리어(12)는 제 1 캐리어(12a)와 제 2 캐리어(12b)를 포함하고, 상기 크레인 캐리어 위에 트롤리 레일(20)이 배치되어 크레인 트롤리(13)가 트롤리의 이동 방향(K)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제 1 캐리어(12a)와 제 2 캐리어(12b)는 트롤리 이동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크레인의 이동 방향(F)에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
-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에 있어서, 제 1 마스트(14)와 제 2 마스트(15)는 크레인 트롤리(13) 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
-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에 있어서, 제 1 마스트(14)와 제 2 마스트(15)는 일체로 형성되고 견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08046154A DE102008046154A1 (de) | 2008-09-06 | 2008-09-06 | Brücken- oder Portalkran, insbesondere zum Handhaben von ISO-Containern |
DE102008046154.7 | 2008-09-0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53989A true KR20110053989A (ko) | 2011-05-24 |
Family
ID=41401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7005271A KR20110053989A (ko) | 2008-09-06 | 2009-08-25 | 브릿지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 특히 iso 컨테이너를 취급하는 브릿지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8517192B2 (ko) |
EP (1) | EP2321213B1 (ko) |
JP (1) | JP5480902B2 (ko) |
KR (1) | KR20110053989A (ko) |
AT (1) | ATE541808T1 (ko) |
DE (1) | DE102008046154A1 (ko) |
DK (1) | DK2321213T3 (ko) |
ES (1) | ES2380902T3 (ko) |
PT (1) | PT2321213E (ko) |
WO (1) | WO201002607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08061198A1 (de) | 2008-12-09 | 2010-06-10 | Gottwald Port Technology Gmbh | Verfahren und eine Anlage zum Umschlag von normierten Ladungssträgern, insbesondere ISO-Containern und Wechselaufbauten, zwischen Schiene und Straße |
DE102008061197B4 (de) * | 2008-12-09 | 2010-08-05 | Gottwald Port Technology Gmbh | Brücken- oder Portalkran für den Umschlag von normierten Ladungsträgern |
SG165205A1 (en) * | 2009-03-24 | 2010-10-28 | Nsl Engineering Pte Ltd | Improved container crane |
KR101874320B1 (ko) * | 2011-11-29 | 2018-07-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호이스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호이스트 반송시스템 |
FI125422B (fi) | 2013-12-12 | 2015-10-15 | Konecranes Oyj | Järjestely kuormauselimen heilahduksen vaimentamiseksi nosturissa |
DE102015101756A1 (de) | 2015-02-06 | 2016-08-11 | Terex MHPS IP Management GmbH | Kran, insbesondere Brückenkran oder Portalkran, mit mindestens einem Kranträger |
DE102015101755A1 (de) | 2015-02-06 | 2016-08-11 | Terex MHPS IP Management GmbH | Kran, insbesondere Brückenkran oder Portalkran, mit mindestens einem Kranträger |
DE102015202734A1 (de) | 2015-02-16 | 2016-08-18 | Terex Cranes Germany Gmbh | Kran und Verfahren zum Beeinflussen einer Verformung eines Auslegersystems eines derartigen Krans |
CN110342407A (zh) * | 2019-08-21 | 2019-10-18 | 王波昌 | 一种滑动伸缩悬臂龙门吊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536351A (en) * | 1967-11-13 | 1970-10-27 | Fruehauf Corp |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lifting and spacing cargo containers |
JPS5141273B1 (ko) * | 1970-12-30 | 1976-11-09 | ||
JPS5211826B2 (ko) | 1972-10-18 | 1977-04-02 | ||
JPS5352569U (ko) * | 1976-10-06 | 1978-05-06 | ||
JPS61248826A (ja) * | 1985-04-25 | 1986-11-06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荷役装置 |
US5183305A (en) * | 1989-12-18 | 1993-02-02 | Nordstrom Immo R |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cargo containers |
US5718550A (en) | 1992-04-16 | 1998-02-17 | Mi-Jack Products, Inc. | Load transferring system |
JPH10503742A (ja) * | 1994-05-20 | 1998-04-07 | タックス インジェニュールゲゼルシャフト エムベーハー | 荷物積載クレーン |
DE19612990C2 (de) * | 1996-03-22 | 2001-01-04 | Mannesmann Ag | Hubeinrichtung |
DE19700469A1 (de) * | 1997-01-09 | 1998-07-16 | Krupp Foerdertechnik Gmbh | Einrichtung für das Ent- und Beladen von Schiffen |
DE19923813A1 (de) * | 1999-05-20 | 2000-12-07 | Mannesmann Ag | Umschlaganlage für Stückgut, insbesondere für ISO-Container |
ES2237555T3 (es) | 2000-02-23 | 2005-08-01 | Gottwald Port Technology Gmbh | Deposito de contenedores vacios para el almacenamiento intermedio de contenedores vacios iso. |
DE10145513A1 (de) * | 2001-09-14 | 2003-04-10 | Siemens Ag | Verladeeinrichtung für ISO-Container |
WO2003104132A1 (en) * | 2002-06-01 | 2003-12-18 | Stinis Beheer B.V. | Hoisting frame and method for its use |
JP4295784B2 (ja) * | 2006-12-26 | 2009-07-15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クレーン |
-
2008
- 2008-09-06 DE DE102008046154A patent/DE102008046154A1/de not_active Withdrawn
-
2009
- 2009-08-25 WO PCT/EP2009/060905 patent/WO2010026076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08-25 PT PT09782142T patent/PT2321213E/pt unknown
- 2009-08-25 EP EP09782142A patent/EP2321213B1/de not_active Not-in-force
- 2009-08-25 KR KR1020117005271A patent/KR2011005398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9-08-25 DK DK09782142.5T patent/DK2321213T3/da active
- 2009-08-25 ES ES09782142T patent/ES2380902T3/es active Active
- 2009-08-25 AT AT09782142T patent/ATE541808T1/de active
- 2009-08-25 US US13/062,112 patent/US851719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8-25 JP JP2011525507A patent/JP5480902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K2321213T3 (da) | 2012-05-07 |
EP2321213A1 (de) | 2011-05-18 |
DE102008046154A1 (de) | 2010-03-18 |
JP5480902B2 (ja) | 2014-04-23 |
US8517192B2 (en) | 2013-08-27 |
ATE541808T1 (de) | 2012-02-15 |
JP2012501932A (ja) | 2012-01-26 |
US20110163058A1 (en) | 2011-07-07 |
WO2010026076A1 (de) | 2010-03-11 |
ES2380902T3 (es) | 2012-05-21 |
PT2321213E (pt) | 2012-04-10 |
EP2321213B1 (de) | 2012-0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053989A (ko) | 브릿지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 특히 iso 컨테이너를 취급하는 브릿지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 | |
KR101107745B1 (ko) | 두 개의 병립형 스프레더를 갖는 갠트리형 적재기 | |
KR101147569B1 (ko) | 물품 운반 장치 | |
JP6215323B2 (ja) | 高架クレーン及び少なくとも2つの高架クレーンの組立体 | |
JP5588446B2 (ja) | 旋回装置およびそこから吊設される昇降フレームを備えたブリッジクレーンまたはガントリクレーン | |
CA1135222A (en) | Cantilever straddle carrier | |
CN106029547A (zh) | 一种设有集装箱中间存放区的堆垛起重机 | |
RU2268835C2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контейнеров | |
WO2008038564A1 (fr) | Pont roulant gerbeur | |
JP5629267B2 (ja) | 標準貨物保持器、特にisoコンテナおよびスワップボディを鉄道と道路との間で移載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 |
CN116923930A (zh) | 集装箱自动化仓库 | |
CN211496814U (zh) | 一种刚性导柱吊具 | |
JP7293723B2 (ja) | スタッカクレーン | |
KR20230034498A (ko) | 텔레스코픽 방식의 스태커 크레인 | |
CN102666354B (zh) | 用于集装箱码头和用于一般运输任务的跨车 | |
FI120337B (fi) | Konttilukki | |
TWI687367B (zh) | 搬運台車 | |
JPH1179409A (ja) | コンテナターミナル | |
JPH10175738A (ja) | コンテナターミナル | |
EP2774812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of a concrete element | |
JP2002003162A (ja) | 照明装置を備えた荷役装置 | |
JP6662472B2 (ja) | スタッカクレーン | |
JP2023064396A (ja) | 格納装置 | |
JPH1087009A (ja) | コンテナターミナル | |
JPH10175706A (ja) | コンテナターミナ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