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00060579A - 케이스 - Google Patents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0579A
KR20100060579A KR1020080119214A KR20080119214A KR20100060579A KR 20100060579 A KR20100060579 A KR 20100060579A KR 1020080119214 A KR1020080119214 A KR 1020080119214A KR 20080119214 A KR20080119214 A KR 20080119214A KR 20100060579 A KR20100060579 A KR 20100060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s
case
plate
region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명
박무룡
박광호
황웅
조수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9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0579A/ko
Priority to PCT/KR2009/007015 priority patent/WO2010062124A2/ko
Publication of KR20100060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5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15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metall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46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bearing graphical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2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reflected light, e.g. matt surfaces, lustrous surface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케이스는 제 1 영역을 정의하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제 1 패턴들; 및 제 2 영역을 정의하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제 2 패턴들을 포함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제 1 패턴들 및 제 2 패턴들에 의해서,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반사율을 달라진다. 따라서, 케이스는 명암 표현 또는 그라데이션 효과가 구현되는 외관을 가진다.
케이스, 스테인레스, 패턴, 명암, 그라데이션

Description

케이스{CASE}
실시예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의 경우, 도어의 아웃 케이스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상기 강판들은 비교적 색상이 단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강판의 표면에 고유의 문양이나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들이 원하는 세련된 이미지나 고급스런 이미지를 연출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냉장고 도어의 아웃 케이스(10a)가 스테인레스판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상기 스테인레스판은 특유의 광택과 질감이 나타나므로, 냉장고의 외관을 더욱 고급스럽게 할 수 있다.
실시예는 명암 표현 또는 그라이데이션 효과 등이 구현되어, 고급스러운 외관을 가지는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는 제 1 영역을 정의하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제 1 패턴들; 및 제 2 영역을 정의하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제 2 패턴들을 포함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제조방법은 플레이트 상에 마스크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크를 사용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식각하여, 상기 플레이트 상에 제 1 영역을 정의하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제 1 패턴들 및 상기 플레이트 상에 제 2 영역을 정의하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제 2 패턴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는 제 1 패턴들 및 제 2 패턴들이 각각 형성되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패턴들 및 상기 제 2 패턴들이 형성되는 방향이 서로 다르게 때문에,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은 다른 반사율을 가진다.
즉,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에 경사지도록 입사되는 광은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가진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는 명암을 표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다수 개의 영역들이 점차적으로 높은 반사율을 가지도록 플레이트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는 위치에 따라서, 점차적으로 밝거나 어두워지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는 명암 표현 및 그라데이션 효과 등을 이용하여, 고급스러운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패턴들 및 상기 제 2 패턴들은 식각 마스크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제조방법은 제품들 사이의 편차가 적도록 제조될 수 있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플레이트, 막, 부재, 마스크 또는 층 등이 각 플레이트, 부재, 막, 마스크 또는 층 등의 "상(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이미지 의 일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B-B`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C-C`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는 냉장실 및 냉동실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1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10)는 상기 도어(10)의 전면 외관을 제공하는 아웃 케이스(10a) 및 상기 도어(10)의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10)는 상기 아웃 케이스(10a) 및 상기 도어 라이너의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10)는 상기 냉장실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11) 및 상기 냉동실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냉동실 도어(12)로 나누어진다.
또한, 상기 냉동실 도어(12)는 냉장고의 작동 상태가 표시되는 디스 플레이부(41) 및 디스 플레이부(41)의 일측에 제공되며, 냉장고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42)를 포함한다.
상기 냉장실 도어(11) 및 냉동실 도어(12)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냉장고의 도어(10)를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 핸들(2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10)에는 화려한 외관이 제공되도록 하는 이미지(15)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이미지(15)의 구성 및 형성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아웃 케이스(10a)는 플레이트(100), 보호부재(300) 및 접착부재(200)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100)는 금속기판 또는 패터닝된 수지상에 금속층이 증착된 기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되는 금속물질의 예로서는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구리, 니켈 및 티타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300)는 상기 플레이트(100) 상에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100)를 보호한다. 상기 보호부재(300)는 투명하며, 상기 보호부재(300)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은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200)는 상기 플레이트(100) 및 상기 보호부재(30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접착부재(200)는 투명하며, 상기 보호부재(300)를 상기 플레이트(100)에 접착시킨다.
또한, 상기 아웃 케이스(10a)는 상기 이미지(15)를 구현하기 다수 개의 영역들을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영역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패턴들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상기 아웃 케이스(10a)는 제 1 영역(101), 제 2 영역(102) 및 제 3 영역(1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01)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제 1 패턴(110)들로 정의된다. 이때, 상기 제 1 패턴(110)들은 상기 플레이트(100)에 형성되는 홈 패턴들이다.
상기 제 1 패턴(110)들은 약 10 내지 120㎛의 폭(W1)을 가지며, 약 50 내지 200㎛의 피치(P1)를 가지고, 약 10 내지 100㎛의 깊이(D1)를 가진다.
상기 제 2 영역(102)은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제 2 패턴(120)들 로 정의된다. 이때, 상기 제 2 패턴(120)들은 상기 플레이트(100)에 형성되는 홈 패턴들이다.
상기 제 2 패턴(120)들은 약 10 내지 120㎛의 폭(W2)을 가지며, 약 50 내지 200㎛의 피치(P2)를 가지고, 약 10 내지 100㎛의 깊이(D2)를 가진다.
상기 제 3 영역(103)은 제 3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제 3 패턴(130)들로 정의된다. 이때, 상기 제 3 패턴(130)들은 상기 플레이트(100)에 형성되는 홈 패턴들이다.
상기 제 3 패턴(130)들을 약 10 내지 120㎛의 폭(W3)을 가지며, 약 50 내지 200㎛의 피치(P3)를 가지고, 약 10 내지 100㎛의 깊이(D3)를 가진다.
이때, 상기 제 1 내지 제 3 패턴들(110, 120, 130)은 동일한 폭, 동일한 피치 및 동일한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패턴들(110, 120, 130)의 연장되는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상기 제 1 영역(101), 상기 제 2 영역(102) 및 상기 제 3 영역(103)은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가진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영역(101), 상기 제 2 영역(102) 및 상기 제 3 영역(103)은 상기 플레이트(100)에 경사지게 입사되는 광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가진다.
상기 플레이트(100)에 경사지도록 입사되는 광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어느 방향으로 진행되느냐에 따라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패턴들(110, 120, 130)에 의해서 반사되는 광의 양이 달라진다.
즉,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 1 방향으로 진행되는 광이 상기 제 1 내지 제 3 패턴(130)에 동일하게 입사된다. 이때, 상기 제 1 패턴(110)들은 상대적으로 가장 적은 광을 반사시키고, 상기 제 2 패턴(120)들은 상대적으로 중간 정도의 광을 반사시키고, 상기 제 3 패턴(130)들을 상대적으로 가장 많은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영역(101), 상기 제 2 영역(102) 및 상기 제 3 영역(103)이 비스듬히 관찰될 때, 상기 제 1 영역(101)은 가장 어둡게, 상기 제 2 영역(102)은 중간 정도로 밝게, 상기 제 3 영역(103)은 가장 밝게 관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 케이스(10a)는 제 4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4 패턴들에 의해서 정의되는 제 4 영역 및 제 5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5 패턴들에 의해서 정의되는 제 5 영역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패턴들(110, 120, 130)의 각각의 폭, 피치 및 깊이가 조절되어, 상기 제 1 영역(101), 상기 제 2 영역(102) 및 상기 제 3 영역(103)의 반사율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300)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패턴들(110, 120, 130)을 덮는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300)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패턴들(110, 120, 130)을 보호한다.
상기 보호부재(300) 및 상기 접착부재(200)는 투명하고, 다른 굴절률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보호부재(300) 및 상기 접착부재(200)에 의해서, 상기 아웃 케이스(10a)에 입사되는 광은 경로차를 가지며 반사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패턴들(110, 120, 130)은 입체감을 가지도록 표현된다.
또한, 상기 경로차로 인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3 영역들(103)의 경계부분이 흐리게 표현된다. 즉, 상기 보호부재(300) 및 상기 접착부재(200)에 의해서 상기 이미지(15)는 블러(blurr) 효과를 가지며 구현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패턴들(110, 120, 130)은 경계에 의해서 구분되지 않고, 상기 보호부재(300) 및 상기 접착부재(200)는 보다 자연스럽게 상기 이미지(15)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재(200) 및 상기 제 1 내지 제 3 패턴들(110, 120, 130) 사이에, 공기층(210)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공기층(210)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패턴(13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표면 요철에 의한 입사광에 대한 산란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입체감을 향상시킨다.
상기 아웃 케이스(10a)는 점차적으로 다른 반사율을 가지는 영역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아웃 케이스(10a)는 점차적으로 밝아지거나 점차적으로 어두워지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300) 및 상기 접착부재(200)에 의해서, 상기 영역들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상기 아웃 케이스(10a)는 더 효율적으로 그라데이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그라데이션 효과에 의해서, 고급스러운 외관을 가진다.
도 6a 내지 도6c는 실시예에 따른 아웃 케이스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플레이트(100)에 마스크(400)가 배치된다. 상기 마스크(400)는 다수 개의 관통홀(401)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스크(400)는 포토레지스트가 도포되고, 패터닝 되어 형성된 포토레지스트 패턴일 수 있다.
상기 관통홀(401)들은 제 1 영역을 정의하기 위한 제 1 관통홀들, 제 2 영역을 정의하기 위한 제 2 관통홀들 및 제 3 영역을 정의하기 위한 제 3 관통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마스크(400)를 사용하여, 상기 플레이트(100)에 에칭 용액이 분사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관통홀(401)들에 대응하여, 상기 플레이트(100)에 홈 패턴(100a)들이 형성된다.
상기 홈 패턴(100a)들은 상기 제 1 관통홀)에 대응하는 제 1 패턴들, 상기 제 2 관통홀에 대응하는 제 2 패턴들 및 상기 제 3 관통홀에 대응하는 제 3 패턴들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 1 패턴들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패턴들은 제 2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3 패턴들은 제 3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관통홀(401)들의 폭에 의해서, 상기 홈 패턴(100a)들의 폭 및 깊이가 결정된다.
즉, 상기 관통홀(401)들의 폭이 클수록, 상기 플레이트(100)에는 상기 에칭 용액이 더 많이 분사되고, 상기 홈 패턴(100a)들의 폭 및 깊이는 더 커진다.
또한, 상기 에칭 용액에 의해서, 상기 홈 패턴(100a)들의 내측에는 미세한 요철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에칭 용액에 의해서, 상기 홈 패턴(100a)들의 난반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홈 패턴(100a)들의 명암 표현 및 그라데이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플레이트(100) 상에 접착부재(200)가 접착되고, 상기 접착부재(200) 상에 보호부재(300)가 배치되어, 상기 접착부재(200)에 접착된다. 상기 접착부재(200)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아크릴계 수지 또는 폴리에스터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로써,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패턴들에 의해서 정의되는 영역들을 포함하는 아웃 케이스(10a)가 형성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험예
도 7은 실험예에 따른 스테인레스 스틸 플레이트 및 광의 입사 방향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10b는 실험예에 따른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테인레스 스틸 플레이트들을 사용하여, 약 25㎛의 폭, 약 120㎛의 피치 및 약 55㎛의 깊이를 가지는 홈 패턴#1들이 형성된 영역#1을 가지는 플레이트#1이 형성되었다. 마찬가지로, 약 10㎛의 폭, 약 50㎛의 피치 및 약 55㎛의 깊이를 가지는 홈 패턴#2들이 형성된 영역#2을 가지는 플레이트#2이 형성되었다 마찬가지로, 약 120㎛의 폭, 약 200㎛의 피치 및 약 55㎛의 깊이를 가지는 홈 패턴#3들이 형성된 영역#3을 가지는 플레이트#3이 형성되었다.
상기 플레이트 #1,2,3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패턴#1,2,3가 형성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으로 45°(A)의 입사각으로 광(L1)을 조사하였다. 이때, 상방으로 반사되는 광의 세기는 각각 도 8a, 도 9a 및 도 10a에 도시되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패턴#1,2,3이 형성된 방향으로 45°(A)의 입사각으로 광(L2)을 조사하였다. 이때, 상방으로 반사되는 광의 세기는 각각 도 8b, 도 9b 및 도 10b에 도시되었다.
도 8a 내지 10b를 참조하면, 플레이트#1에 형성된 영역#1의 입사 방향에 따른 반사율 편차가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다. 즉, 약 25㎛의 폭, 약 120㎛의 피치 및 약 55㎛의 깊이를 가지는 홈 패턴#1들이 형성된 영역#1은 보이는 위치에 따라서 명암이 현저히 달라진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이미지의 일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B-B`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C-C`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6c는 실시예에 따른 아웃 케이스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7은 실험예에 따른 스테인레스 스틸 플레이트 및 광의 입사 방향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10b는 실험예에 따른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2)

  1. 제 1 영역을 정의하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제 1 패턴들; 및
    제 2 영역을 정의하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제 2 패턴들을 포함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들 및 상기 제 2 패턴들은 홈 패턴인 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들 및 상기 제 2 패턴들은 10 내지 120㎛의 폭, 50 내지 200㎛의 피치 및 10 내지 100㎛의 깊이를 가지는 케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 및 상기 제 2 패턴을 덮는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케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 및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케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 및 상기 제 1 패턴 및 상기 제 2 패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접착부재보다 더 낮은 굴절률을 가지는 저굴절률층을 포함하 는 케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굴절률층은 공기층인 케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금속을 포함하는 케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 및 상기 제 2 패턴은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케이스.
  10. 플레이트 상에 마스크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크를 사용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식각하여, 상기 플레이트 상에 제 1 영역을 정의하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제 1 패턴들 및 상기 플레이트 상에 제 2 영역을 정의하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제 2 패턴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케이스를 제조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들 및 상기 제 2 패턴들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1 패턴들 및 상기 제 2 패턴들은 10 내지 120㎛의 폭, 50 내지 200㎛의 피치 및 10 내지 100㎛의 깊이를 가지는 케이스를 제조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를 배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플레이트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포함하는 케이스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080119214A 2008-11-27 2008-11-27 케이스 KR2010006057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214A KR20100060579A (ko) 2008-11-27 2008-11-27 케이스
PCT/KR2009/007015 WO2010062124A2 (ko) 2008-11-27 2009-11-26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214A KR20100060579A (ko) 2008-11-27 2008-11-27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579A true KR20100060579A (ko) 2010-06-07

Family

ID=42226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214A KR20100060579A (ko) 2008-11-27 2008-11-27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060579A (ko)
WO (1) WO2010062124A2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528B2 (ja) * 1987-04-21 1994-04-13 東リ株式会社 床被覆材の形成方法
US5051273A (en) * 1990-01-16 1991-09-24 Nippon Oil And Fats Company, Limited Method of preparation of a patterned decorative material
JPH08258498A (ja) * 1995-03-24 1996-10-08 Suzuki Sogyo Co Ltd 暗視可能な装飾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
JP2002028561A (ja) * 2000-07-13 2002-01-29 Toshiba Corp 装飾体の製造方法、パネルの製造方法、パターン形成方法、パターン形成物の製造方法、装飾体の製造装置、装飾体
JP2005329451A (ja) * 2004-05-21 2005-12-02 Fuji Photo Film Co Ltd アルミニウム板の表面加工方法及び平版印刷版用支持体並びに平版印刷版
EP2732471B8 (en) * 2011-07-14 2019-10-09 ABB Schweiz AG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62124A2 (ko) 2010-06-03
WO2010062124A3 (ko)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6330B1 (ko) 전자 디바이스에서 코스메틱 어필을 위한 다이크로익 유리
US9041563B2 (en) Legend highlighting
KR101452507B1 (ko) 장식재 및 장식 물품
US20120015157A1 (en) Decoration plat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DE112018003912T5 (de) Gemusterte glasschichten in elektronischen vorrichtungen
JP7264176B2 (ja) 装飾部材および装飾部材の製造方法
CN107810169A (zh) 高亮度表面
CN105531221A (zh) 用于灰度级着色的纳米结构化的表面
CN109830398A (zh) 一种照射发光键帽及其制作方法
US20100330331A1 (en) Panel for a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JP2005134789A (ja) 装飾部材
KR101714309B1 (ko) 외장재
CN207395289U (zh) 面板部件、冰箱
KR20100060579A (ko) 케이스
KR20100086746A (ko)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WO2021212803A1 (zh) 一种多彩变色膜
CN104715697B (zh) 家用电器
CN209401538U (zh) 一种照射发光键帽
JP2018135012A (ja) 車両用加飾部材
CN112389053A (zh) 车载传感器盖
JP6211134B1 (ja) 照光式表示板及び照光式表示板の製造方法
KR20100072447A (ko) 유리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60016A (ko) 표면 외장재
KR200369687Y1 (ko) 유리판 장식재
JP2011068123A (ja) 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