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30060016A - 표면 외장재 - Google Patents

표면 외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0016A
KR20130060016A KR1020110126288A KR20110126288A KR20130060016A KR 20130060016 A KR20130060016 A KR 20130060016A KR 1020110126288 A KR1020110126288 A KR 1020110126288A KR 20110126288 A KR20110126288 A KR 20110126288A KR 20130060016 A KR20130060016 A KR 20130060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ens
adhesive layer
focal length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운경
Original Assignee
싼웨이쎈펑(베이징)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싼웨이쎈펑(베이징)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싼웨이쎈펑(베이징)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110126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0016A/ko
Publication of KR20130060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00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9Iridescent, pearlescen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8Refra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Resistive to light or to U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반사 엠보층(19); 난반사 엠보층 하부에 형성된 제 1 렌즈층(22); 제 1 렌즈층(22) 하부의 굴절 접착층(23); 굴절 접착층(23)에 의해 상기 제 1 렌즈층(22)과 접착하는 제 2 렌즈층(24); 제 2 렌즈층 하부에 형성된 초점거리층(25); 초점거리층(25) 하부에 형성된 펄(pearl) 인쇄층; 펄 인쇄층의 착색을 조정하기 위한 착색조정 인쇄층(27); 착색조정 인쇄층(27) 하부에 형성된 차폐 인쇄층(28); 차폐 인쇄층(28) 하부에 형성된 입체 이미지층(29); 입체 이미지층(29) 하부에 형성된 베이스 잉크층(30); 및 베이스 잉크층(30) 하부에 형성된 마감 접착층(31);이 포함된 가전제품의 외관에 사용할 수도 있는 표면 외장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가전제품의 외관이 수려해지면서도 상품가치를 향상된다. 구체적으로는 특정한 이미지가 새겨진 입체 렌즈 시트를 포함하는 표면 외장재에 의해 안정된 심미감과 입체감을 주고, 고급스러움을 돋보이게 한다.

Description

표면 외장재{Surface armored sheet}
본 발명은 표면 외장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의 외관에 덧붙여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면 외장재에 형성된 입체 렌즈를 통하여 특정한 이미지로 이루어지고, 또한 시각적으로도 안정된 심미감을 가진 표면 외장재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 주로 사용하는 가전제품 가운데 냉장고, 김치 냉장고, 입식 에어콘 등의 제품들은 그 본래적 기능뿐만 아니라 육안으로 보이는 내부 인테리어로서의 기능 또한 중요시 하게 되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가전제품의 외관을 한층 더 고급스럽게 보이게 하기 위하여 컬러와 무늬 등을 도입하는 등의 여러 가지 노력이 있게 되었다.
이러한 노력에 더하여 외장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강판의 사용이나, 스텐레스판, 유리부재 등의 사용을 통해 가전제품 외관의 디자인의 변화를 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모두의 노력은 대개는 가전제품의 외관에 있어서는 단순한 디자인의 변화에 불과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최근에 와서, 모든 전자 제품이 기능과 더불어 시각적으로 보기 좋은 디자인이 구매욕을 좌우하는 중요한 결정 요소이므로, 가전제품 또한 점차 대형화되는 추세에 있으므로 실내의 중요 인테리어적인 요소가 가미된 디자인이 중시되고 있고, 이에 따른 고급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관련한 종래의 기술인 특허출원 10-2008-0015780호의 경우는 냉장고의 외장부재에 보석부재가 구비되고, 보석부재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수단이 구비되는 냉장고 및 가전제품의 외관에 관한 것이다.
특허출원 10-2008-0007114호의 경우는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부재의 후방에 투명창이 구비되고 투명창의 외측에 발광 기구가 구비되어 발광기구의 빛이 투명창을 거쳐 외장 부재의 무늬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도록 하는 냉장고 및 가전제품의 외관에 관한 것이다.
그 외에 특허출원 10-2008-0081396호, 10-2001-0055219호, 10-2005-7006342호, 10-2003-0025558호 등 여러 선 출원 특허에서 냉장고의 표면 개선 특허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 특허들은 모두가 일반적인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것이며, 시각적 심미감, 즉 입체로 이미지가 구현되는 것은 기대하기가 힘들고 고급화에 따른 디자인적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가전제품 가운데 냉장고의 경우에는 많은 음식물 등이 보관되어 수없이 열고 닫을 수밖에 없으므로 외관이 쉽게 더러워져 자주 표면을 청소해야만 하는 번거로움도 생긴다.
또한 일반적인 입체시트를 가전제품의 외관에 사용할 경우에는 플라스틱 수지로 된 렌즈의 볼록한 부분이 표면에 드러나 있어 스크래치(scratch)에도 취약한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전제품의 외관을 수려하면서도 상품가치를 향상시키는 표면 외장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특정한 이미지가 새겨진 입체 렌즈 시트를 가전제품의 외관에 사용하여 안정된 심미감과 입체감을 주어 고급스러움을 돋보이게 하는 표면 외장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난반사 엠보층(19), 상기 난반사 엠보층 하부에 형성된 제 1 렌즈층(22), 상기 제 1 렌즈층(22) 하부의 굴절 접착층(23), 상기 굴절 접착층(23)에 의해 상기 제 1 렌즈층(22)과 접착하는 제 2 렌즈층(24), 상기 제 2 렌즈층 하부에 형성된 초점거리층(25), 상기 초점거리층(25) 하부에 형성된 마감 접착층(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강화 유리층(20), 상기 강화 유리층(20)의 하부에 형성된 제 1 렌즈층(22), 상기 제 1 렌즈층(22) 하부의 굴절 접착층(23), 상기 굴절 접착층(23)에 의해 상기 제 1 렌즈층(22)과 접착하는 제 2 렌즈층(24), 상기 제 2 렌즈층 하부에 형성된 초점거리층(25), 상기 초점거리층(25) 하부에 형성된 마감 접착층(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외장재는 마이크로 렌즈 겸용의 렌티큘러(lenticular)렌즈 시트를 통하여 펄 인쇄층과 안정감 있는 반복 입체 패턴 및 45도 인터 레이싱에 의한 좌우의 입체 구현의 제한을 벗어난 자연스러운 렌티큘러 이미지의 장점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체층의 배면에 진공 증착을 통해 진공상태에서 금속이나 화합물 등을 가열 및 증발시키고, 그 증기를 물체 표면에 얇은 막으로 입히는 진공증착을 통해 원하는 투명도의 색상으로 입체층의 하부를 처리함으로서 도금한 것보다 좀 더 밝게 표현이 가능하고 보다 고급스러운 표현이 가능하며, 다양한 재질 및 컬러의 증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공해유발의 부담이 적은 효과가 있다.
또한, 입체렌즈가 시각적으로 감추어짐에 따라 평면 시트상의 상태에서 입체감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입체 렌즈 시트의 표면에 강화유리를 사용함으로서 표면의 경도를 향상시키고 관리가 용이하며, 입체 화각이 보다 좁아지므로 입체감이 상승되고 굴절율 조정 접착층의 사용에 의해 렌즈의 두께 즉, 초점거리를 자유롭게 조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충격에 의해 입체 렌즈층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표면 외장재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를 기본으로, 이로부터 변형되어 실시 된 예 가운데 하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표면 외장재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를 기본으로, 이로부터 변형되어 실시 된 예 가운데 하나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에 앞서 같은 도면 부호는 같은 구성을 나타내는 것임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표면 외장재의 분해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면 외장재는, 난반사 엠보층(19),제 1 렌즈층(22), 굴절 접착층(23), 굴절 접착층(23)에 의해 제 1 렌즈층(22)과 접착하는 제 2 렌즈층(24), 제 2 렌즈층 하부에 형성된 초점거리층(25), 초점거리층(25) 하부에 형성된 마감 접착층(31)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를 기본으로 하여 많은 다른 변형 실시 예도 가능하다. 예컨대, 초점거리층(25)의 하부와 마감 접착층(31)의 상부 사이에 펄(pearl) 인쇄층 또는 증착층을 추가로 형성한다던지, 펄 인쇄층 또는 증착층의 착색을 조정하기 위한 착색조정 인쇄층(27)을 추가로 더 형성하는 실시 예도 가능하다.
또한, 초점거리층(25)의 하부와 마감 접착층(31)의 상부 사이에 차폐 인쇄층(28)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초점거리층(25)의 하부와 마감 접착층(31)의 상부 사이에 입체 이미지층(29)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초점거리층(25)의 하부와 마감 접착층(31)의 상부 사이에 베이스 잉크층(30)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감 접착층(31)의 하부에는 탈착 가능한 이형필름(16)이 부착될 수도 있고, 제 1 렌즈층(22)의 상부에는 난반사를 유도하는 난반사 엠보층(19)가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렌즈층(22)의 상부에는 자외선을 차단할 목적으로 자외선 차단 접착층(21)이 더 추가될 수도 있고, 이러한 자외선 차단 접착층(21)에는 제1 렌즈층(22)과의 접착을 위해 접착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만약, 제 1 실시 예를 기본으로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이로부터 변형된 모든 실시 예를 적층하여 형성하면 도 2와 같이 된다. 각각의 층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표면 외장재의 분해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면 외장재는, 강화 유리층(20), 제 1 렌즈층(22), 굴절 접착층(23), 굴절 접착층(23)에 의해 제 1 렌즈층(22)과 접착하는 제 2 렌즈층(24), 제 2 렌즈층 하부에 형성된 초점거리층(25), 초점거리층(25) 하부에 형성된 마감 접착층(31)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를 기본으로 하여, 이로부터 변형된 다른 실시 예도 가능하다. 예컨대, 초점거리층(25)의 하부와 마감 접착층(31)의 상부 사이에 펄(pearl) 인쇄층 또는 증착층을 추가로 형성한다던지, 펄 인쇄층 또는 증착층의 착색을 조정하기 위한 착색조정 인쇄층(27)을 추가로 더 형성하는 실시 예도 가능하다.
또한, 초점거리층(25)의 하부와 마감 접착층(31)의 상부 사이에 차폐 인쇄층(28)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초점거리층(25)의 하부와 마감 접착층(31)의 상부 사이에 입체 이미지층(29)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초점거리층(25)의 하부와 마감 접착층(31)의 상부 사이에 베이스 잉크층(30)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감 접착층(31)의 하부에는 탈착 가능한 이형필름(16)이 부착될 수도 있고, 마감 접착층(31)의 상부에는 난반사를 유도하는 난반사 엠보층(19)가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렌즈층(22)의 상부에는 자외선을 차단할 목적으로 자외선 차단 접착층(21)이 더 추가될 수도 있고, 이러한 자외선 차단 접착층(21)에는 제1 렌즈층(22)과의 접착을 위해 접착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만약,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 예로부터 변형된 모든 실시 예를 적층하여 형성하면 도 4와 같이 된다. 각각의 층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모든 기본 실시 예와 변형 실시 예에 있어서 제 1 렌즈층(22)은 마이크로 렌즈 겸용의 렌티큘라 렌즈일 수 있다.
이 같은 표면 외장재는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의 외벽, 특히 도어(door)와 같이 전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본 발명의 표면 외장재를 보는 소비자들로 하여금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제 1 렌즈층(22)의 하부에 형성된 굴절 접착층(23)은 제 1 렌즈층(22)과 제2 렌즈층(24)을 일체화시키고 굴절율의 변화에 따른 화각의 조정에 의해 자유롭게 렌즈의 초점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당연하지만 굴절 접착층(23)은 양 렌즈의 접착을 위해 접착 성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렌즈층(24)의 하부에 형성된 초점거리층(25)은 제2 렌즈층(24)의 굴절조정 접착층(23)에 의한 초점거리를 조정한다. 초점거리는 렌즈의 굴절율, 초점거리층(25)의 두께 및 재질 등 많은 요소에 의해 동시에 영향받는다는 사실이 잘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초점거리층(25)의 하부에 형성된 펄 인쇄층은 도료 등을 분사 또는 인쇄를 통해 부분적으로 펄 무늬를 형성한다.
펄인쇄층의 하부에 형성된 착색조정 인쇄층(27)은 펄 인쇄층의 반짝임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착색조정 인쇄층(27)의 하부에 형성된 차폐 인쇄층(28)은 착색조정 인쇄층(27)의 투명도에 따른 착색조정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차폐 인쇄층(28)의 하부에 형성된 입체 이미지층(29)은 제 1 렌즈층이나 제 2 렌즈층을 고려하여 미리 계산된 패턴 또는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표출한다.
입체 이미지층(29)의 하부에 형성된 베이스 잉크층(30)은 입체 이미지의 색상 보정의 역할 및 입체 이미지층(29)의 보호를 위한 것이다.
난반사 엠보층(19)은 물체의 울퉁불퉁한 상태에 빛이 비추어지면 반사되는 빛은 각각 모든 방향으로 반사되어 나가는 원리를 이용하는 층이다. 이는 보는 각도에 따라 반짝이는 새로운 패턴의 현상이 표현된다. 도 1에서는 난반사 엠보층(19)이 제 1 렌즈층(22)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지만, 도 4에서는 난반사 엠보층(19)이 베이스 잉크층(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최종적으로, 마감 접착층(31)은 냉장고의 도어와 같은 가전제품의 외관에다 본 발명의 표면 외장재를 부착할 때 손쉽게 사용하기 위하여 마감 접착층(31)의 하부에는 탈착 가능한 이형필름(16)이 부착된다.
만약 종래의 플라스틱 재질의 입체 렌즈 시트를 가전제품의 외관에 사용하면 표면 경도의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고, 이에 따른 제품 적용에 제한이 따를 수밖에 없지만,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처럼 제 1 렌즈층(22)을 박막의 강화유리층(20)과 자외선 차단 접착층(21)에 의해 일체화하여 표면경도를 향상시키면 보다 다양한 가전제품의 외관의 표면 외장재로 적용될 수 있다.
통상적인 마이크로 렌즈의 경우는 일반적인 이미지의 입체 구현이 제한적인 대신에 단순 반복 패턴을 시각적으로 안정감 있게 입체적으로 구현할 수 있고, 렌티큘러 렌즈의 경우는 일반적인 이미지에 대한 입체 구현이 용이한 반면 입체 방향의 제한, 시각적인 어지러움이 유발될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외관의 표면 외장재는 렌즈시트의 표면을 경도가 강한 강화유리층(20)을 사용하고, 자외선을 차단시킬 수 있는 접착제 수지인 자외선 차단 접착층(21)을 통하여 일체화시켜 줌으로서 유리의 장점인 표면이 보다 매끄럽고 광택이 나며 외부의 이물질 제거에 효과적인 장점을 가지면서 내부 입체 표현 잉크층의 탈색을 방지해준다.
또한 대부분의 냉장고를 포함한 가전 제품의 표면 그래픽이 복잡하고 수려하기 보다는 매일 접하는 제품의 특성상 비교적 단순한 그래픽이 적용된다.
따라서, 제2 렌즈층(24)의 배면에 펄인쇄층을 접착하여 부분적으로 펄인쇄를 행함으로서 미세 펄 입자가 마이크로 겸용의 렌티큘러 렌즈(22)에 의해 서로 다른 반사각을 가진 상태로 확대 연출됨으로서 한층 더 보석같이 반짝이는 느낌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 잉크층(30)의 하부 또는 마이크로 렌즈 겸용 렌티큘러 렌즈의 표면에 물체의 표면이 울퉁불퉁한 상태에 빛이 비추어지면 반사되는 빛은 각각 모든 방향으로 반사되어 나가는 난 반사 패턴층을 형성하여 빛이 여러 방향으로 반사 산란됨으로서 펄 인쇄층과 더불어 한층 더 보석같이 반짝이는 느낌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양자의 장점을 취하기 위해 마이크로 렌즈 겸용의 렌티큘러 렌즈(22)시트를 통하여 앞에서 설명한 펄 인쇄층과 안정감 있는 반복 입체 패턴 및 45도 인터레이싱에 의한 좌우의 입체 구현의 제한을 벗어난 자연스러운 렌티큘러 이미지의 장점을 얻을 수 있다.
펄 인쇄층 대신 증착층을 형성하여도 된다. 이는 진공상태에서 금속이나 화합물 등을 가열 및 증발시키고, 그 증기를 물체 표면에 얇은 막으로 입히는 진공증착을 통해 원하는 색상을 만듦으로서, 도금한 것보다 한층 더 다양한 투명도에 따른 밝기 표현이 가능하므로 보다 고급스러운 표현이 가능하다.
증착의 재료로는 주로 알루미늄(Al), 금(Au), 은(Ag), 동(Cu), 크롬(Cr) 또는 주석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이들 재료의 조합에 따라 증착층의 투명도(100% ~ 50%)가 조절된다.
그리고, 입체이미지층(29)의 배면의 베이스 잉크층(30)은 시온잉크를 사용하여 착색한다. 시온잉크는 온도의 변화를 색의 변화로 기능하는 잉크이다.
온도에 의해 색을 변화시키는 물질은 많이 있으나 실용적으로는 온도변화에 의한 변색이 확실하고 변색의 온도 폭이 좁아야 한다.
시온잉크의 종류를 들면, 온도가 원래 상태로 되돌아와도 복색되지 않는 불가역형과 복색되는 가역형이 있는데, 주로 후자가 실용화되고 있다.
현재 실용되고 있는 가역형 시온잉크는 금소착염, 코레스텔릭 액정, 메타모컬러 3종류이다.
온도에 따라 변하는 시온 안료는 -15℃에서 +65℃까지 각 온도별로 색깔이 변하는 각 그레이드가 있다.
20℃에서 2℃ 상승할 때 변하는 안료 그레이드와 31℃, 43℃, 65℃에서 변하는 안료 그레이드가 있다.
일반적인 시온 안료 31℃ TP인 경우, 33℃에서는 컬러가 없어졌다가 원래온도로 낮아 졌을 때에는 원래컬러로 되돌아 온다.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실내온도의 변화폭을 고려하여 0℃ ~ 40℃ 가 적절한 그레이드하고 할 것이다.
그러나 해외의 여러 나라의 기온과 온도의 변화가 다양함으로서 제품의 스펙 또한 당연히 달라질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입체 이미지층(26)의 배면에 시온잉크 착색을 통해 입체 엠보로 구성된 엠보 시트의 엠보 패턴면을 그라비아 인쇄기 또는 스크린 인쇄를 통해 착색한다.
도2 및 도4와 같은 변형 실시 예에서 각 층사이의 공간, 예를 들어 입체 인쇄층(29)과 베이스 잉크층(30) 양 옆의 빈 공간 및 그 상부의 공간은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이들 층을 형성할 시에 인쇄 패턴이 묻지 않은 공간을 표현할 따름임을 유의하여야 한다. 인쇄에 의해 각종 층들을 형성할 때에는 패턴이 형성되는 영역이 있고 그렇지 않은 영역도 있을 것이므로 이들의 차이점을 단지 빈 공간으로 처리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든 도면에서 각 층들은 그 형성과정을 알아보기 쉽게 나타낸 것일 뿐이고, 두께에 비례하여 표현되지 않았음도 유의하여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6: 이형 필름층 17: 입체렌즈 입사광
18: 난반사 입사광 19: 난반사 엠보층
20: 강화 유리층 21: 자외선 차단 접착층
22: 제 1 렌즈층 23: 굴절조정 접착층
24: 제2 렌즈층 25: 초점거리층
26: 펄인쇄층 또는 증착층 27: 착색조정 인쇄층
28: 차폐 인쇄층 29: 입체 이미지층
30: 베이스 잉크층 31: 마감 접착층

Claims (14)

  1. 난반사 엠보층(19);
    상기 난반사 엠보층 하부에 형성된 제 1 렌즈층(22);
    상기 제 1 렌즈층(22) 하부의 굴절 접착층(23);
    상기 굴절 접착층(23)에 의해 상기 제 1 렌즈층(22)과 접착하는 제 2 렌즈층(24);
    상기 제 2 렌즈층 하부에 형성된 초점거리층(25); 및
    상기 초점거리층(25) 하부에 형성된 마감 접착층(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외장재.
  2. 강화 유리층(20);
    상기 강화 유리층(20)의 하부에 형성된 제 1 렌즈층(22);
    상기 제 1 렌즈층(22) 하부의 굴절 접착층(23);
    상기 굴절 접착층(23)에 의해 상기 제 1 렌즈층(22)과 접착하는 제 2 렌즈층(24);
    상기 제 2 렌즈층 하부에 형성된 초점거리층(25); 및
    상기 초점거리층(25) 하부에 형성된 마감 접착층(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외장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거리층(25)의 하부와 상기 마감 접착층(31)의 상부 사이에 펄(pearl) 인쇄층 또는 증착층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외장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펄 인쇄층 또는 상기 증착층의 착색을 조정하기 위한 착색조정 인쇄층(27)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외장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거리층(25)의 하부와 상기 마감 접착층(31)의 상부 사이에 차폐 인쇄층(28)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외장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거리층(25)의 하부와 상기 마감 접착층(31)의 상부 사이에 입체 이미지층(29)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외장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거리층(25)의 하부와 상기 마감 접착층(31)의 상부 사이에 베이스 잉크층(30)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외장재.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접착층(31)의 하부에는 탈착 가능한 이형필름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외장재.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층(22)은 렌티큘라 렌즈인 특징으로 하는 표면 외장재.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외장재는 가전제품의 외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외장재.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외장재는 가전제품의 외관에 부착되어 입체감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외장재.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접착층(31)의 상부에 난반사 엠보층(1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외장재.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층(22)의 상부에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자외선 차단 접착층(21)이 더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외장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 접착층(21)은 상기 제1 렌즈층(22)과의 접착을 위해 접착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외장재.
KR1020110126288A 2011-11-29 2011-11-29 표면 외장재 KR201300600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288A KR20130060016A (ko) 2011-11-29 2011-11-29 표면 외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288A KR20130060016A (ko) 2011-11-29 2011-11-29 표면 외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016A true KR20130060016A (ko) 2013-06-07

Family

ID=48858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288A KR20130060016A (ko) 2011-11-29 2011-11-29 표면 외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00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3388A (ko) * 2017-05-08 2018-11-16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언더바디 커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112782865A (zh) * 2020-07-06 2021-05-11 温国梁 光学凹凸纹路叠加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3388A (ko) * 2017-05-08 2018-11-16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언더바디 커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112782865A (zh) * 2020-07-06 2021-05-11 温国梁 光学凹凸纹路叠加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507B1 (ko) 장식재 및 장식 물품
US9296254B2 (en) Molded resin product and process for surface treatment thereof
CN102179962A (zh) 具有立体效果的装饰材料
JP2021523404A (ja) 装飾部材および装飾部材の製造方法
JP5748603B2 (ja) 加飾フイルム構造体及び加飾成形部材
JP5784405B2 (ja) 加飾フイルム構造体及び加飾成形部材
KR20130111704A (ko) 가전제품 외장재
KR20130060016A (ko) 표면 외장재
KR101400118B1 (ko) 입체감을 갖는 장식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WO2018103142A1 (zh) 一种聚光变炫光装饰片及生产工艺
KR102342498B1 (ko) 엘이디 조사에 의한 미세 비드 발광 표지판
JP2008035873A (ja) 加飾容器
KR20100086746A (ko)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JP6571453B2 (ja) 化粧材
JP4845414B2 (ja) パール模様装飾体
JP5949128B2 (ja) 加飾フイルム構造体及び加飾成形部材
WO2018021505A1 (ja) 乗物用の加飾用部品
JP6354473B2 (ja) 立体印刷物
KR101459785B1 (ko)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39762A (ko) 특수 버티칼과 제조 방법
JP2003066162A (ja) 時計用ソーラ文字板
JP2013223928A (ja) 加飾フイルム構造体及び加飾成形部材
CN213405198U (zh) 一种盖帽和具有该盖帽的化妆品容器
JP4978903B2 (ja) 樹脂成形品、およびその表面処理方法
JP2009255326A (ja) 光輝性成形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