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1704A -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111704A KR20080111704A KR1020070060003A KR20070060003A KR20080111704A KR 20080111704 A KR20080111704 A KR 20080111704A KR 1020070060003 A KR1020070060003 A KR 1020070060003A KR 20070060003 A KR20070060003 A KR 20070060003A KR 20080111704 A KR20080111704 A KR 200801117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veloper
- developing
- supply
- cartridge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handling means after the developing zone and before the supply, e.g. developer recovering roll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05—Arrangements for conveying toner wast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02—Developer
- G03G2215/0604—Developer solid type
- G03G2215/0614—Developer solid type one-componen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03G2215/085—Stirring member in developer contain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제 카트리지; 및 감광매체의 정전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는 현상부재와 이 현상부재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제 1 공급부재 및 상기 현상부재를 리셋하는 리셋부재가 설치되는 현상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리셋부재는, 상기 현상부재보다 상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제 카트리지를 별도로 구비하여, 소모품 교체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현상제 교반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현상유닛 내부의 현상제가 복수 개의 오거에 의해 상하 좌우로 순환하여 서로 뭉치는 것을 방지하므로, 균일한 화상 형성을 지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상형성장치, 현상유닛, 현상제 카트리지, 교반유닛, 아지테이터, 오거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현상유닛을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케이스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도 3의 단면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케이스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현상제 카트리지 111,112; 1차 교반부재
113; 2차 교반부재 120; 현상 카트리지
121; 현상부재 122; 제 1 공급부재
123; 제 2 공급부재 124,125; 제 1 및 제 2 오거
126; 현상제층 규제부재 130; 현상제 공급 통로
200; 현상제 보충유닛 310; 리셋부재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감광매체의 정전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는 개선된 구조의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인쇄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는 급지유닛(10), 복수 개의 현상유닛(20), 전사유닛(30), 정착유닛(40) 및 배지유닛(50)을 포함한다.
급지유닛(10)에서 픽업된 용지는 상기 현상유닛(20)과 전사유닛(30)을 통과하면서, 용지 표면에 화상이 인쇄되고, 정착유닛(40)에서 화상이 고착되어 배지유닛(50)을 통해 화상형성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도 1b는 상기 현상유닛(20)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색상별 현상유닛(20)은, 현상롤러(21)와, 감광매체(22) 및 클리닝 유닛(23)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현상유닛(20)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부 스트레스 등에 의해 현상제 뭉침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쇄 중에 세로 줄무늬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현상제가 충분히 교반된 후에 현상롤러(21)에 공급되어야 한다.
소형 화상형성장치는 현상롤러(21)와, 감광매체(22) 및 클리닝 유닛(23)이 일체로 구성되더라도, 각각의 부품의 사용 연한이 비슷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사무용으로 사용되는 대형 화상형성장치의 경우에는 인쇄 매수가 많으며, 현상제 소모 속도가 감광매체(22)나 클리닝 유닛(23) 등의 교체연한에 비해 빠르기 때문에, 사용자의 관리비용 절감을 위해 소진된 현상제만을 보충할 수 있도록 현상제 카트리지를 마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착탈 방식의 현상제 카트리지를 제공하면, 사용자의 소모품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현상제 카트리지에 수용된 현상제를 현상유닛으로 공급하는데 있어,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현상제 카트리지로부터 배출되는 현상제를 현상유닛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공급유닛을 마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현상제 공급유닛의 구성에 따라 공급된 현상제를 교반할 수 있는 구조 또한 마련되어야 한다. 즉, 현상제 카트리지로부터 배출된 현상제는 잘 뭉치는 경향이 있어, 교반을 충분히 해주지 않으면 뭉치면서 인쇄화상의 농도가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현상제 카트리지를 별도로 구비하여, 소모품 교체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현상제 교반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교반유닛의 구조가 개선된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은 감광매체의 정전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는 현상부재; 이 현상부재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제 1 공급부재; 및 상기 현상부재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현상부재를 리셋하는 리셋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현상유닛은 상기 리셋부재와 상기 감광매체는 0.3~0.7mm 이격되고, 상기 감광매체와 현상부재는 0.1~0.3mm 이격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상기 리셋부재로부터 회수된 현상제를 교반 및 이송하는 회수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수유닛은, 상기 리셋부재를 클리닝 하는 클리닝 블레이드가 설치되는 회수 케이스;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가 회수한 현상제를 이송하는 회수 오거; 및 상기 회수 현상제를 교반하는 회수 교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리셋부재는, 상기 회수유닛의 일측 벽면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현상유닛은 상기 리셋부재와 현상부재가 서로 접촉할 경우, 상기 현상부재의 선속도의 ±10% 범위의 값으로 선속도가 설정되는 것이 좋다.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 상기 제 1 공급부재의 회전축보다 하측에 설치된 제 2 공급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현상유닛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제 카트리지; 및 감광매체의 정전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는 현상부재와 이 현상부재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제 1 공급부재 및 상기 현상부재를 리셋하는 리셋부재가 설치되는 현상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리셋부재는, 상기 현상부재보다 상측에 배치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에 수납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 카트리지로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통로; 및 상기 현상 카트리지와 현상제 공급 통로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교반하고, 교반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 카트리지 측으로 공급하는 현상제 보충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셋부재는, 상기 현상제 보충유닛의 일측 벽면을 형성하며, 비접촉식 현상을 수행할 경우, 상기 리셋부재와 상기 감광매체는 0.3~0.7mm 이격되고, 이때, 상기 감광매체와 현상부재는 0.1~0.3mm 이격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현상부재와 접촉할 경우, 상기 현상부재의 선속도의 ±10% 범위의 값으로 선속도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 상기 제 1 공급부재의 회전축보다 하측에 설치된 제 2 공급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현상제 보충유닛은,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로부터 공급된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공급 트렌치(trench);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에 수용된 현상제를 이송하는 아지테이터(agitator);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상제 보충유닛은,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에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어, 상기 현상 카트리지로 상기 현상제를 배출하는 복수 개의 현상제 공급홀;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복수의 현상제 공급홀은, 상기 아지테이터의 회전축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는 슬릿(slit)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현상제 공급홀은, 상기 현상부재와 마주보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는, 플랙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 카트리지의 일측 끝단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 좋다.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는, 복수 개의 1차 교반부재; 및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로 배출되는 현상제를 교반하는 2차 교반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2차 교반부재는,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 입구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 상기 현상제 보충유닛으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상하로 교반하는 복수 개의 오거(auger); 및 상기 현상부재의 하측에, 상기 현상부재와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현상부재 표면에 부착된 현상제층의 두께를 규제하는 현상제층 규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 개의 오거는,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어, 공급된 현상제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송하는 제 1 및 제 2 오거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 1 오거는 상기 현상제 공급홀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오거는 상기 제 1 오거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공급부재는 상기 제 1 오거 보다 낮고 상기 제 2 오거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공급부재는, 상기 제 2 오거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 1 공급부재는 상기 현상부재와 마주보게 설치되고, 상기 제 2 공급부재는 상기 제 1 공급부재와 마주보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현상부재, 리셋부재 및 상기 제 1 및 제 2 공급부재는, 롤러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및 제 2 공급부재, 현상부재, 리셋부재 및 현상제 규제 부재에는 일정 전압이 인가되는데, 상기 전압은 AC/DC 전압인 것이 좋다.
상기 현상부재, 제 1 및 제 2 공급부재 및 제 1 및 제 2 오거는 서로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는, 최하단부가 상기 제 1 공급부재의 회전 중심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현상제 공급홀보다 높은 위치에 현상제 기준수위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상제는, 1 성분 비자성 현상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픽업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현상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현상유닛은, 컬러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의한 현상유닛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제 카트리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하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를 리셋하는 리셋롤러와, 상기 현상롤러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 제 1 공급롤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거(auger) 및 상기 현상롤러 표면의 현상제층을 규제하는 현상제층 규제부재를 구비하는 현상 카트리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 카트리지를 연결하여,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에 수납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 카트리지로 공급하는 플렉서블한 재질의 현상제 공급 통로; 및 상기 현상 카트리지와 현상제 공급 통로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교반하고, 교반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 카트리지 측으로 공급하는 현상제 보충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리셋롤러는, 상기 현상롤러의 회전축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현상제 보충유닛의 일측 벽면을 형성하고, 상기 현상제층 규제부재는 상기 현상롤러의 하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 상기 제 1 공급롤러의 회전축보다 하측에 설치된 제 2 공급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거는,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어, 공급된 현상제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송하는 제 1 및 제 2 오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오거는 상기 현상제 공급홀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오거는 상기 제 1 오거의 하측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상제 보충유닛은,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로부터 공급된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공급 트렌치(trench);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에 수용된 현상제를 이송하는 아지테이 터(agitator);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상제 보충유닛은,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에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어, 상기 현상 카트리지로 상기 현상제를 배출하는 복수 개의 현상제 공급홀;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리셋부재는 현상부재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현상부재를 리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셋부재는, 현상제에 잠기지 않은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현상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현상부재에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부재의 반대편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부재와 공급부재와 함께 롤러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현상유닛은 현상제 카트리지(110), 현상 카트리지(120), 현상제 공급 통로(130), 현상제 보충유닛(200) 및 리셋부재(310);를 포함한다.
현상제 카트리지(110)에는 1 성분 비자성 현상제가 수용되며, 복수 개의 1차 교반부재(111)(112) 및 2차 교반부재(113)를 포함한다. 1차 교반부재(111)(112)는 상기 현상제를 교반하여, 현상제 뭉침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2차 교반부재(113)는 상기 1차 교반부재(111)(112)에 의해 교반된 현상제를 현상제 공급 통로(130)로 이송한다.
현상 카트리지(120)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도시되지 않음)이나, 제어기판과 같은 화상형성장치 부품이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의 하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현상 카트리지(120)는 현상 케이스(120a)와, 상기 현상 케이스(120a)에 설치되는 현상부재(121), 제 1 공급부재(122), 제 1 오거(124), 현상제층 규제부재(126) 및 감광매체(140)를 포함한다. 상기 현상 카트리지(120)의 구조는 뒤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현상제 공급 통로(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와 현상 카트리지(120) 각각의 일측 단부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와 현상 카트리지(120) 사이에 레이저 스캐닝 유닛 등과 같은 다른 부품들이 손쉽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화상형성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130)는 조립성 향상과 현상제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플랙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상제 보충유닛(200)은, 현상제 공급 트렌치(trench)(210), 아지테이터(220) 및 복수 개의 현상제 공급홀(230)을 포함한다.
현상제 공급 트렌치(210)는 상기 현상 카트리지(120)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130)의 주입구로부터 공급된 현상제가 수용된다.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2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하단부가 상기 제 1 공급부재(122)의 회전축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지테이터(220)는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2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급된 현상제를 분쇄 및 이송한다. 상기 아지테이터(220)가 필요한 이유 는, 상기 주입구의 위치가,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210)의 일측 끝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공급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210) 전반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 및 교반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복수 개의 현상제 공급홀(230)은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2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어, 상기 현상 카트리지(120)로 상기 현상제를 배출한다. 상기 복수의 현상제 공급홀(230)은 상기 아지테이터(220)의 회전축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는 슬릿(slit)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현상제 공급홀(230)을 슬릿 형상으로 형성하면, 상기 현상제 공급홀(230)을 통해 공급되는 현상제가 인접한 현상제 공급홀(230)에서 공급되는 현상제와 함께 균일하게 보충될 수 있어, 현상부재(121) 측에 현상제 뭉침에 따른 스트레스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제 공급홀(230)들은, 상기 현상부재(121)와 마주보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만일 현상제 공급홀(230)이 현상부재(121)와 마주보게 설치될 경우, 현상제 공급홀(230)을 통해 보충된 현상제가 교반되지 않은 상태에서 바로 현상부재(121)에 부착될 수 있는데, 현상제 공급홀(230)의 배치 구조 등에 따라, 보충이 이루어진 현상제들이 서로 엉기면서, 상기 현상부재(121) 표면에 균일한 농도로 부착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리셋부재(310)는 상기 현상부재(121)의 상측에 배치되며, 소정의 전위의 AC/DC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현상부재(121) 표면에 잔류한 감광매체(140)에 미처 현상되지 못한 현상제를 흡착/제거한다. 리셋부재(310)는 현상유닛의 현상방식에 따라 그 구성이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비접촉식 현상방식에 적용된 리셋부재(310)를 제 1 실시예로, 접촉식 현상방식에 적용된 리셋부재(310)를 제 2 실시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현상유닛의 리셋부재(310)는 비접촉식 현상방식에 적용된 것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매체(140)와 현상부재(121) 각각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현상부재(121)와는 0.1~0.3mm 이격되고, 이때, 현상부재(121)와 감광매체(140)는 0.3~0.7mm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셋부재(3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상부재(121)를 중심으로 상기 감광매체(140)의 배치위치를 I사분면이라고 할 때, 상기 현상부재(121)의 상측의 Ⅱ사분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뒤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제 1 공급부재(122) 및 제 1 오거(124)는 모두 Ⅲ사분면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리셋부재(310)에 의해 현상제를 회수하기 위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유닛(360)이 마련되는 것이 좋은데, 상기 회수유닛(360)은, 회수 케이스(330), 회수 오거(340) 및 회수 교반부재(350)를 포함한다.
회수 케이스(33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셋부재(310)를 클리닝하는 클리닝 부재(320)가 설치되며,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130)와 연결되어, 새로 공급되는 현상제와 상기 리셋부재(310)를 통해 회수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제 보충유닛(200)으로 함께 공급한다.
회수 오거(340)는 상기 회수 케이스(3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클리닝 부재(320)가 리셋부재(310)에서 제거한 회수 현상제가 굳지 않도록 교반하고, 회수된 현상제를 회수 교반부재(350) 측으로 이송한다.
회수 교반부재(350)는, 상기 회수 오거(340)가 보내온 회수 현상제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에서 공급된 새로운 현상제를 섞어두면서, 상기 현상 카트리지(110) 측으로 새로운 현상제와 회수된 현상제를 공급한다.
이처럼, 상기 리셋부재(310)가 배치되면, 상기 현상부재(121)에서 미처 현상되지 못한 잔류 현상제와 함께, 상기 감광매체(140) 현상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비산 현상제가 상기 리셋부재(310) 측으로 회수되어, 현상부재(121)의 오염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현상유닛의 상기 현상 카트리지(12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현상 케이스(120a)에는 상기 현상부재(121), 제 1 공급부재(122), 제 1 오거(12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현상부재(121)은 도 4에 도시된 감광매체(140)와 대면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 공급부재(122)에 의해 공급된 현상제를 상기 감광매체(140) 표면의 정전잠상에 부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제 1 공급부재(122)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부재(121) 측으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공급부재(122)는 상기 현상부재(121)와 일정 전위차를 가지도록 대전되어, 현상제를 정전기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 1 오거(124)는 상기 회수유닛(360) 및 현상제 보충유닛(200)을 통해 공급된 현상제를 교반하는 것으로, 상기 복수 개의 현상제 공급홀(230)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상부재(121)의 하측에는 현상제층 규제부재(126)가 설치되어, 상기 제 1 공급부재(122)로부터 현상제를 전달받은 현상부재(121) 표면의 현상제의 높이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현상유닛의 리셋부재(310)는 접촉식 현상방식에 적용된 것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매체(140)와는 이격되지만, 현상부재(121)와는 일정 닙을 가지도록 접촉 설치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한다.
현상제 보충유닛(200)은, 현상제 공급 트렌치(trench)(210), 아지테이터(220) 및 복수 개의 현상제 공급홀(230)을 포함한다.
현상제 공급 트렌치(210)는 상기 현상 카트리지(120)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130)의 주입구로부터 공급된 현상제가 수용된다.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21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하단부가 상기 제 1 공급부재(122)의 회전축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210)의 일측 벽면은 리셋부재(310)에 의해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대해서는 뒤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아지테이터(220)는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2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급된 현상제를 분쇄 및 이송한다. 상기 아지테이터(220)가 필요한 이유는, 상기 주입구의 위치가,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210)의 일측 끝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공급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210) 전반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 및 교반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복수 개의 현상제 공급홀(230)은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2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어, 상기 현상 카트리지(120)로 상기 현상제를 배출한다. 상기 복수의 현상제 공급홀(230)은 상기 아지테이터(220)의 회전축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는 슬릿(slit)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같이 접촉식 현상을 수행할 경우에는 비산현상제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현상부재(121)와 제 1 공급부재(122) 사이의 접촉압력으로 인해,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현상제에 스트레스가 발생되어 균일한 화상이 형성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현상부재(121)의 상측에 배치된 리셋부재(310)를 설치하여, 현상부재(121)에 잔류한 현상제를 다시 현상제 보충유닛(200) 측으로 회수되면서, 현상제 자체의 스트레스를 저감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상기 리셋부재(31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상부재(121)를 중심으로 상기 감광매체(140)의 배치위치를 I사분면이라고 할 때, 상기 현상부재(121)의 상측의 Ⅱ사분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뒤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제 1 및 제 2 공급부재(122)(123) 및 제 1 및 제 2 오거(124)(125)는 모두 Ⅲ사분면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클리닝 부재(320)는 상기 리셋부재(3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리셋부재(310)가 회수한 현상제를 클리닝 하여, 상기 현상제 보충유닛(200) 측으로 회수한다.
상기 리셋부재(310)와 클리닝 부재(3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210)의 일측 벽면을 형성하는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리셋부재(310)의 설치에 따른 현상유닛(120)의 공간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셋부재(310)는 상기 현상부재(121)의 오염을 줄여, 상기 현상부재(121)와 제 1 공급부재(122) 각각의 클리닝 작용을 줄일 수 있어, 현상유닛의 동작시 이들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에 따른 현상제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현상부재(121)와 제 1 공급부재(122)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어, 상기 현상부재(121)와 제 1 공급부재(122)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셋부재(310)의 선속도는, 상기 현상부재(121)의 선속도의 ±10% 범위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좋다. 상기 리셋부재(310)의 선속도가 너무 빠르면, 현상부재(121)의 비산 현상제 및 잔류 현상제를 충분히 흡착할 수 없으며, 선속도가 너무 느리면, 현상부재(121)의 비산 현상제 및 잔류 현상제의 클리닝 성능이 오히려 하락하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기 현상 카트리지(12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현상 케이스(120a)에는 상기 현상부재(121), 제 1 및 제 2 공급부재(122)(123), 제 1 및 제 2 오거(124)(12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현상부재(121)은 도 4에 도시된 감광매체(140)와 대면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공급부재(122)(123)에 의해 공급된 현상제를 상기 감광매체(140) 표면의 정전잠상에 부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제 1 및 제 2 공급부재(122)(123)는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110)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부재(121) 측으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공급부재(122)(123)는 상기 현상부재(121)와 일정 전위차를 가지도록 대전되어, 현상제를 정전기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 1 및 제 2 오거(124)(125)는 동일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공급된 현상제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교반한다.
상기 제 1 오거(124)는 상기 복수 개의 현상제 공급홀(230)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오거(125)는 상기 제 1 오거(124)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상기 현상 케이스(120a)의 바닥면에 쌓인 현상제가 굳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현상부재(121)의 하측에는 현상제층 규제부재(126)가 설치되어, 상기 제 1 공급부재(122)로부터 현상제를 전달받은 현상부재(121) 표면의 현상제의 높이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공급부재(122)의 회전축은 상기 제 1 오거(124)의 회전축보다 낮고, 상기 제 2 오거(125)의 회전축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공급부재(123)의 회전축은 상기 제 2 오거(125)의 회전축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배치하는 이유는, 상기 제 1 공급부재(122)와 제 2 공급부재(123)의 역할이 상이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제 1 공급부재(122)는 상기 제 1 오거(124)와 함께, 상기 현상제 보충유닛(200)과 최대한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데, 이는 상기 현상제 보충유닛(200)으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부재(121) 측으로 용이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 2 공급부재(123)는 상기 현상제층 규제부재(126)에 의해 깍인 현상제들을 다시 상기 제 1 공급부재(122) 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므로, 현상 카트리지 몸체(121a) 바닥면에 쌓이는 현상제들을 상기 제 1 공급부재(122) 측으로 퍼 올리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공급부재(122)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오거(125) 역시, 현상 카트리지 몸체(121a) 바닥면에 쌓이는 현상제가 서로 뭉쳐 굳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오거(124)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공급부재(122)는 상기 현상부재(121)와 마주보게 설치되고, 상기 제 2 공급부재(123)는 상기 제 1 공급부재(122)와 마주보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공급부재(122)(123)는, 모두 롤러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제 2 공급부재(123)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를 가진 아지테이터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현상부재(121)와, 제 1 및 제 2 공급부재(122)(123) 및 현상제 규제 부재(126)에는 일정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는 것이 좋은데, 상기 전압은 AC/DC 전압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현상부재(121), 제 1 및 제 2 공급부재(122)(123), 제 1 및 제 2 오거(124)(125) 및 리셋부재(310)는 서로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현상제 교반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 1 및 제 2 오거(124)(125)는 현상유닛(120)의 내부에 공급된 현상제를 상하좌우로 이송하면서, 공급된 현상제가 굳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현상부재(121)와 리셋부재(310)는 현상되지 못한 스트레스를 받은 현상제와 새로 공급되는 현상제를 섞어, 스트레스 받은 현상제가 뭉치는 것을 방지하며, 현상부재와 공급부재 사이의 마찰력 또한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현상 카트리지(120)의 현상제 기준수위는, 상기 현상제 공급홀(230)보다 높은 위치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발광부와 수광부를 가지는 현상제센서를 상기 현상제 공급홀(230)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여, 현상 케이스(120a) 내부의 현상제 수위가 항상 상기 현상제 공급홀(230)의 높이보다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상제수위를 유지하면, 보충되는 현상제의 뭉침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현상유닛은 모노 타입의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며, 컬러 타입의 화상형성장치에 적용할 경우에는 상기 현상유닛을 각 색상별로 복수 개를 마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제 카트리지를 별도로 구비하여, 소모품 교체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현상제 교반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현상유닛 내부의 현상제가 복수 개의 오거에 의해 상하 좌우로 순환하여 서로 뭉치는 것을 방지하므로, 균일한 화상 형성을 지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현상부재의 상측에 배치된 리셋부재에 의해 스트레스 받은 현상제가 회수되어, 회수된 현상제와 새로 공급되는 현상제가 섞이면서, 현상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상제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리셋부재가 현상부재의 잔류 현상제를 제거하므로, 현상부재와 공급부재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어, 마찰열에 따른 각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7)
- 감광매체의 정전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는 현상부재;이 현상부재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제 1 공급부재; 및상기 현상부재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현상부재를 리셋하는 리셋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리셋부재와 상기 감광매체는 0.3~0.7mm 이격되고,상기 감광매체와 현상부재는 0.1~0.3mm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리셋부재로부터 회수된 현상제를 교반 및 이송하는 회수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유닛은,상기 리셋부재를 클리닝 하는 클리닝 블레이드가 설치되는 회수 케이스;상기 클리닝 블레이드가 회수한 현상제를 이송하는 회수 오거; 및상기 회수 현상제를 교반하는 회수 교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부재는,상기 회수유닛의 일측 벽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5 항에 잇어서,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부재는,상기 현상부재와 접촉할 경우, 상기 현상부재의 선속도의 ±10% 범위의 값으로 선속도가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공급부재의 회전축보다 하측에 설치된 제 2 공급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제 카트리지; 및감광매체의 정전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는 현상부재와 이 현상부재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제 1 공급부재 및 상기 현상부재를 리셋하는 리셋부재가 설치되는 현상 카트리지;를 포함하며,상기 리셋부재는, 상기 현상부재보다 상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 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에 수납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 카트리지로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통로; 및상기 현상 카트리지와 현상제 공급 통로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교반하고, 교반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 카트리지 측으로 공급하는 현상제 보충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리셋부재와 상기 감광매체는 0.3~0.7mm 이격되고,상기 감광매체와 현상부재는 0.1~0.3mm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리셋부재로부터 회수된 현상제를 교반 및 이송하는 회수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유닛은,상기 리셋부재를 클리닝 하는 클리닝 블레이드가 설치되는 회수 케이스;상기 클리닝 블레이드가 회수한 현상제를 이송하는 회수 오거; 및상기 회수 현상제를 교반하는 회수 교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부재는,상기 회수유닛의 일측 벽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부재는,상기 현상부재와 접촉할 경우, 상기 현상부재의 선속도의 ±10% 범위의 값으로 선속도가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부재는,상기 현상제 보충유닛의 일측 벽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상기 제 1 공급부재의 회전축보다 하측에 설치된 제 2 공급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보충유닛은,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로부터 공급된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공급 트렌치(trench); 및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에 수용된 현상제를 이송하는 아지테이터(agita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보충유닛은,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에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어, 상기 현상 카트리지로 상기 현상제를 배출하는 복수 개의 현상제 공급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현상제 공급홀은,상기 아지테이터의 회전축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는 슬릿(sli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홀은,상기 현상부재와 마주보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는,플랙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는,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 카트리지의 일측 끝단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는,복수 개의 1차 교반부재; 및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로 배출되는 현상제를 교반하는 2차 교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교반부재는,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 입구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상기 현상제 보충유닛으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상하로 교반하는 복수 개의 오거(auger); 및상기 현상부재의 하측에, 상기 현상부재와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현상부재 표면에 부착된 현상제층의 두께를 규제하는 현상제층 규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오거는,동일 직경으로 형성되어, 공급된 현상제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송하는 제 1 및 제 2 오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26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오거는 상기 현상제 공급홀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고,상기 제 2 오거는 상기 제 1 오거의 하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27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공급부재는 상기 제 1 오거 보다 낮고 상기 제 2 오거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고,상기 제 2 공급부재는, 상기 제 2 오거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28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공급부재는 상기 현상부재와 마주보게 설치되고,상기 제 2 공급부재는 상기 제 1 공급부재와 마주보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29 항에 있어서,상기 현상부재, 리셋부재 및 상기 제 1 및 제 2 공급부재는, 롤러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29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및 제 2 공급부재, 현상부재, 리셋부재 및 현상제 규제 부재에는 일정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31 항에 있어서,상기 전압은 AC/DC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29 항에 있어서,상기 현상부재, 제 1 및 제 2 공급부재 및 제 1 및 제 2 오거는 서로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는,최하단부가 상기 제 1 공급부재의 회전 중심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18 항에 있어서,상기 현상제 공급홀보다 높은 위치에 현상제 기준수위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는,1 성분 비자성 현상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1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리셋부재는, 현상제에 잠기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현상부재를 리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화상형성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는 본체; 및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감광매체의 정전잠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유닛;을 포함하며,상기 리셋부재는, 현상제에 잠기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현상부재를 리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은,컬러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4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제 카트리지;상기 현상제 카트리지 하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를 리셋하는 리셋롤러와, 상기 현상롤러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 제 1 공급롤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거(auger) 및 상기 현상롤러 표면의 현상제층을 규제하는 현상제층 규제부재를 구비하는 현상 카트리지;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 카트리지를 연결하여,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에 수납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 카트리지로 공급하는 플렉서블한 재질의 현상제 공급 통로; 및상기 현상 카트리지와 현상제 공급 통로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교반하고, 교반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 카트리지 측으로 공급하는 현상제 보충유닛;을 포함하며,상기 리셋롤러는, 상기 현상롤러의 회전축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현상제 보충유닛의 일측 벽면을 형성하여, 현상제에 잠기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현상부재를 리셋하고,상기 현상제층 규제부재는 상기 현상롤러의 하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상기 제 1 공급롤러의 회전축보다 하측에 설치된 제 2 공급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오거는,동일 직경으로 형성되어, 공급된 현상제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송하는 제 1 및 제 2 오거를 포함하며,상기 제 1 오거는 상기 현상제 공급홀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고,상기 제 2 오거는 상기 제 1 오거의 하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보충유닛은,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현상제 공급 통로로부터 공급된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공급 트렌치(trench);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에 수용된 현상제를 이송하는 아지테이터(agita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보충유닛은,상기 현상제 공급 트렌치에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어, 상기 현상 카 트리지로 상기 현상제를 배출하는 복수 개의 현상제 공급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 현상부재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현상부재를 리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리셋부재.
- 제 45 항에 있어서,상기 리셋부재는 현상제에 잠기지 않은 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리셋부재.
- 제 45 항에 있어서,상기 리셋부재는 상기 현상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현상부재에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부재의 반대편에 설치되며, 상기 현상부재와 공급부재와 함께 롤러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리셋부재.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0003A KR20080111704A (ko) | 2007-06-19 | 2007-06-19 |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US11/934,872 US7831175B2 (en) | 2007-06-19 | 2007-11-05 | Developer cartridge guide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CNA2008100886553A CN101329533A (zh) | 2007-06-19 | 2008-04-10 | 显影剂盒导向单元以及具有该导向单元的成像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0003A KR20080111704A (ko) | 2007-06-19 | 2007-06-19 |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11704A true KR20080111704A (ko) | 2008-12-24 |
Family
ID=40136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60003A KR20080111704A (ko) | 2007-06-19 | 2007-06-19 |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7831175B2 (ko) |
KR (1) | KR20080111704A (ko) |
CN (1) | CN101329533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367176B1 (en) * | 2007-09-04 | 2022-07-13 | Kabushiki Kaisha Toshiba | Cartridge body, ton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oner cartridge |
KR100891117B1 (ko) * | 2008-03-03 | 2009-03-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제 수용부재 |
JP5624294B2 (ja) * | 2009-09-02 | 2014-11-12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イメージング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JP5776263B2 (ja) * | 2011-03-28 | 2015-09-09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6256288B2 (ja) * | 2014-10-14 | 2018-01-10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6531976B2 (ja) * | 2015-05-15 | 2019-06-19 | 株式会社リコー | 画像形成装置 |
JP6687882B2 (ja) * | 2015-12-17 | 2020-04-28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現像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72168A (en) * | 1990-09-05 | 1992-12-15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Electrophotographic system haivng a developing device with a plurality of toner feeders |
JPH06222659A (ja) * | 1993-01-28 | 1994-08-12 | Toshiba Corp | 現像装置 |
JP2707982B2 (ja) | 1994-09-30 | 1998-02-04 | 日本電気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
KR19990055986A (ko) | 1997-12-29 | 1999-07-15 | 윤종용 | 현상롤러의 크리닝 장치 |
JP2000258983A (ja) | 1999-03-11 | 2000-09-22 | Canon Inc | 現像剤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3958511B2 (ja) * | 2000-09-28 | 2007-08-15 | 株式会社リコー |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US6721516B2 (en) * | 2001-01-19 | 2004-04-13 | Ricoh Company, Ltd. | Image forming apparatus |
JP4259074B2 (ja) * | 2002-09-17 | 2009-04-30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現像剤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US7277664B2 (en) * | 2002-09-20 | 2007-10-02 | Ricoh Company, Limited | Image forming device, powder feeding device, toner storage container, powder storage container, and method of recycling the containers |
JP4366117B2 (ja) * | 2003-05-21 | 2009-11-18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トナー補給装置 |
US7428395B2 (en) * | 2005-03-21 | 2008-09-23 | Kabushiki Kaisha Toshiba |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developing unit to make developing and simultaneous cleaning and image forming method |
JP4290157B2 (ja) * | 2005-11-21 | 2009-07-01 | シャープ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US20070154236A1 (en) * | 2005-12-29 | 2007-07-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eveloping cartridge f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ver for protecting photosensitive medium |
KR101421142B1 (ko) * | 2007-05-21 | 2014-07-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
2007
- 2007-06-19 KR KR1020070060003A patent/KR2008011170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7-11-05 US US11/934,872 patent/US783117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
- 2008-04-10 CN CNA2008100886553A patent/CN101329533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80317507A1 (en) | 2008-12-25 |
US7831175B2 (en) | 2010-11-09 |
CN101329533A (zh) | 2008-1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66944B2 (en) | Developing device for developing images by adhering developer onto electrostatic images | |
US7580657B2 (en) | Developing device in image-forming device | |
US8145102B2 (en) |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discharge device having a discharge port | |
JP5146724B2 (ja) |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US8135314B2 (en) |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developing latent image | |
JP2006163292A (ja) | 現像装置 | |
KR20080111704A (ko) |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
KR101421142B1 (ko) |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
JP4167002B2 (ja) |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09058649A (ja) |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JP4963980B2 (ja) |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JP5037253B2 (ja) |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 |
JP2008257213A (ja) |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JP5688675B2 (ja) |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JP5622076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4897278B2 (ja) | 現像装置、作像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JP6642785B2 (ja) | 現像装置 | |
JP4852286B2 (ja) |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05215483A (ja) | 現像装置 | |
JP2011248169A (ja) | 現像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
KR20100071498A (ko) | 화상형성장치 | |
JP4415677B2 (ja) | 現像装置 | |
JP4784187B2 (ja) | 現像装置 | |
JP5471979B2 (ja) |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6070304B2 (ja) |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