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70120502A - 눈부심 방지성 광학 적층체 - Google Patents

눈부심 방지성 광학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0502A
KR20070120502A KR1020077021710A KR20077021710A KR20070120502A KR 20070120502 A KR20070120502 A KR 20070120502A KR 1020077021710 A KR1020077021710 A KR 1020077021710A KR 20077021710 A KR20077021710 A KR 20077021710A KR 20070120502 A KR20070120502 A KR 20070120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glare
mass
refractiv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1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8387B1 (ko
Inventor
유키미츠 이와타
고이치 미카미
요시히로 니시무라
다카시 고다마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20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0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2Antiglare, refractive index matching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눈부심 방지성을 가지면서 우수한 면 반짝임 방지성과 흑색 재현성(저휘도에서의 흑색의 계조 표현)을 실현할 수 있는 눈부심 방지성 적층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광투과성 기재와, 해당 광투과성 기재 상에 눈부심 방지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광학 적층체로서, 상기 눈부심 방지층의 최표면이 요철 형상을 갖고 이루어지고, 요철부의 평균 경사각을 θa로 하고, 요철의 평균 거칠기를 Rz로 하며, 요철의 평균 간격을 Sm으로 하고, Rz와 Sm의 비율(Ψ)을 비율(Ψ)≡Rz/Sm으로 정의한 경우에 하기 일반식(Ⅰ) 및 (Ⅱ): 1. 2≤θa≤2. 5(Ⅰ); 0. 004≤Ψ≤0. 18(Ⅱ)를 동시에 만족하고, 상기 광학 적층체의 내부 헤이즈값이 0% 이상 50% 이하이며, 상기 광학 적층체의 표면 헤이즈값이 0. 5% 이상 4. 5% 이하인 것이다.
광투과성 기재, 광학 적층체, 눈부심 방지층, 요철 형상, 평균 경사각, 평균 간격, 내부 헤이즈값, 표면 헤이즈값

Description

눈부심 방지성 광학 적층체{ANTI-GLARE OPTICAL MULTILAYER BODY}
관련 출원
본원은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5―44231호 및 동 특허출원 제2005―99229호를 기초로 하는 파리 조약의 우선권을 수반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은 이들 특허 출원의 출원 내용의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CRT, 액정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에 이용되는 눈부심 방지성 광학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음극관 표시 장치(CRT),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디스플레이(ELD),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외광의 반사 또는 상의 비추어듦에 의한 콘트라스트의 저하, 시인성(視認性)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반사 방지 적층체가 빛의 산란 원리 또는 광학 간섭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의 비추어듦 또는 반사율을 저감할 목적으로 화상 표시 장치의 최표면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 화상 표시 장치,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광학 특성을 조정하여 우수한 화상 표시를 실현하기 위해 반사 방지 적층체의 하나로서 눈부심 방지성 적층체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눈부심 방지성 적층체는 화상 표시 장치 내에서의 외광의 반사 또는 상의 비추어듦에 의한 시인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용되는 것이다. 눈부심 방지성 적층체는 일반적으로 기재의 위에 요철 형상을 가진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실현된다. 종래 화상 표시 장치,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광학 특성을 조정하여 우수한 화상 표시를 실현하기 위해 반사 방지 적층체의 하나로서 눈부심 방지성 적층체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눈부심 방지성 적층체는 화상 표시 장치 내에서의 외광의 반사 또는 상의 비추어듦에 의한 시인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용되는 것이다. 눈부심 방지성 적층체는 여러 가지 입자를 첨가한 조성물을 경화하여 요철 형상으로 한 것, 또는 엠보스 부형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요철 형상으로 한 것으로서 조정된다(특허 공개2004―341070).
근래 패널 해상도의 고정밀화의 요구에 동반하여 눈부심 방지층의 요철 형상은 미세한 것으로 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는 눈부심 방지성 적층체는 넓고 큰 커브를 그리는 요철 형상의 것은 고정밀화에 부적합하게 되어 채용되는 일은 없었다. 한편 패널 해상도의 고정밀화에 동반하여 형성되는 요철 형상의 미세화는 패널 해상도의 고정밀화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지만, 디스플레이 표면으로의 외광의 반사광에 대하여 화상 표시면이 희게 보이거나(백화),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는 등의 지적이 종종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눈부심 방지성 적층체가 노트북 등의 화상 표시 표면에 사용된 경우, 어느 정도 충분한 광학 특성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지만, 디스플레이 내부에서의 백라이트 배면으로부터의 투과광이 패널 최표면에 형성된 눈부심 방지성 적층체의 요철 형상면을 투과할 때, 그 요철 형상이 미세한 렌즈의 역할을 하고, 표시되는 화소 등을 흩뜨려 버리는 상태(번쩍거림)가 발생하기 쉬워서 눈부심 방지성 적층체 자체의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워지는 일이 있었다. 특히 패널 해상도의 고정밀화에 동반하여, 이 “번쩍거림”이 발생하기 쉽고, 이것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고 있다.
이 “번쩍거림”을 해소하는 방법으로서, 선명도를 높일 목적으로 표면 요철을 치밀하게 하고, 또한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하는 수지와 굴절률차가 있는 산란 입자를 첨가함으로써 눈부심 방지성 적층체에 내부 산란 효과를 부여하는 등의 수법이 이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어느 수단도 “번쩍거림”에 대하여 양호한 해결이 이루어졌지만, 전체적인 화상 시인성이 저하되는 일이 있었다. 한편 눈부심 방지층 적층체에 있어서, 고정밀화 패널의 번쩍거림을 나아지게 하는 수법은 표면의 백화 또는 내부 산란 효과에 의한 백탁 등의 콘트라스트를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되고, “번쩍거림 방지”와 “콘트라스트 향상”은 트레이드 오프의 관계에 있으며, 양자를 만족시키는 것은 곤란했다. 예를 들면 화면 표시에서의 칠흑감(먹과 같은 광택 제거 흑색)을 포함하는 흑색 재현성, 콘트라스트 등에 있어서 악화되는 일이 있었다. 즉 명실(明室)에서의 흑색의 계조 표현, 특히 저계조에 있어서, 흑색의 그라데이션의 차를 인식하기 어려워서 감도가 낮은 일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는, 흑과 회색의 색 인식에 있어서, 색 흐려짐 및 동일한 색조의 흑으로밖에 인식할 수 없는 일이 있었다. 특히 번쩍거림 방지의 성능을 갖는 눈부심 방지성 적층체일수록 이들의 시인성은 현저히 저하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화상 표면의 번쩍거림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흑색 재현성, 특히 칠흑감을 달성할 수 있는 광학 적층체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으며,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LCD)뿐만 아니라, 음극관 표시 장치(CRT),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형광 표시관, 전계 방사형 디스플레이의 타 용도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광학 적층체가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 시에 있어서, 눈부심 방지성을 부여하면서, 또한 번쩍거림 방지성과 콘트라스트 개선성, 특히 흑색 재현성을 향상시키는, 이른바 칠흑감(먹과 같은 광택 제거 흑색)을 달성할 수 있는 광학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는 지견을 얻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눈부심 방지성 기능과 우수한 번쩍거림 방지성을 갖고, 시인성이 높은 화상 표시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광학 적층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광학 적층체는 광투과성 기재와, 해당 광투과성 기재 상에 눈부심 방지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눈부심 방지층의 최표면이 요철 형상을 갖고 이루어지고,
요철부의 평균 경사각을 θa로 하고, 요철의 평균 거칠기를 Rz로 하며, 요철의 평균 간격을 Sm으로 하고, Rz와 Sm의 비율(Ψ)을 비율(Ψ)≡Rz/Sm으로 정의한 경우에 하기 식(Ⅰ) 및 (Ⅱ):
1. 2≤θa≤2. 5(Ⅰ)
0. 016≤Ψ≤0. 18(Ⅱ)
를 동시에 만족하며,
상기 광학 적층체의 내부 헤이즈값이 0% 이상 50% 이하이고,
상기 광학 적층체의 표면 헤이즈값이 0. 5% 이상 4. 5% 이하로 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광학 적층체에 따르면, 우수한 눈부심 방지성과 칠흑감이 있는 흑색 재현성을 실현할 수 있고, 또한 높은 선명도와 우수한 번쩍거림 방지성, 콘트라스트, 문자 흐려짐 방지를 실현할 수 있으며, 또한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광학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광학 적층체에 따르면, 종래의 눈부심 방지성 적층체에서는 실현하는 것이 곤란했던 흑의 계조 표현을 현저하게 개선한 광학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동화상 표시를 실시했을 때에 있어서의 화상이 종래의 요철 형상이 없는 클리어 하드 코트층, 또한 그 위에 반사 방지층을 갖는 적층체만을 배치한 디스플레이와 대략 동일한 계조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문자의 윤곽의 샤프감, 면 반짝임을 방지한 화상이 얻어지는 것을 실현할 수 있는 광학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눈부심 방지층의 위에 표면 조정층, 저굴절률층 등의 임의의 층을 부여하는 경우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하는 요철 형상의 표면을 메우게 되어 크고 매끄러운, 원하는 요철 형상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대전 방지, 굴절률의 조정, 오염 방지 등의 여러 가지 기능을 광학 적층체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눈부심 방지층의 위에 표면 조정층 또는 임의의 층이 부여되는 경우 표면 조정층 또는 임의의 층의 표면 요철 형상이 본 발명에서의 눈부심 방지층의 표면 요철 형상의 광학 특성값과 일치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의 광학 적층체는, 그 최표면의 요철 형상이 본 발명에서 규정한 눈부심 방지층의 표면 요철 형상의 광학 특성값과 일치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광학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정의
본 명세서(실시예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
1) 10점 평균 거칠기( Rz )
평균 거칠기의 측정 방법은, 표면 형상을 2차원 또는 3차원의 프로파일로서 측정한다. 실제로는 주사형 프로브 현미경 또는 원자간력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 한다. 곡선 그 자체를 객관적으로 비교하는 것은 일반적으로는 곤란하기 때문에, 그 프로파일 곡선 데이터로부터 여러 가지 거칠기 지수를 계산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10점 평균 거칠기(Rz)를 산출한다. 따라서 10점 평균 거칠기(Rz)란, 평균값으로부터 구한 편차값 중 최대의 것에서 상위 5개의 편차값의 평균과, 최소의 것에서 하위 5개의 편차값의 절대값의 평균값의 합으로서 나타내어진다.
2) 요철의 평균 간격을 Sm (㎛) 및 평균 경사각을 θa
본 발명에 의한 광학 적층체를 구성하는 눈부심 방지층은 요철 형상을 갖는다. Sm(㎛)이란, 이 눈부심 방지층의 요철의 평균 간격을 나타내고, θa(도)는 요철부의 평균 경사각을 나타낸다. 이들은 표면 거칠기 측정기(형번: SE―3400/(주)고사카 연구소제)의 취급 설명서(1995, 07, 20 개정)에 기재된 것으로서 정의할 수 있다. θa(도)는 각도 단위이며, 경사를 종횡 비율로 나타낸 것이 △a인 경우 θa(도)=1/tan△a=1/(각 요철의 극소부와 극대부의 차(각 볼록부의 높이에 상당)의 총합/기준 길이)로 구해진다. 여기에서 “기준 길이”란, 하기의 측정 조건 1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광학 적층체의 표면 거칠기를 나타내는 파라미터(Sm, θa, Rz)를 측정하는 경우, 예를 들면 상기 표면 거칠기 측정기를 이용하여 하기의 측정 조건에 의해 측정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 측정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바람직한 것이다.
측정 조건
1: 기준 길이(거칠기 곡선의 컷오프값(λc)):
10점 평균 거칠기(Rz), 평균 경사각(θa) 측정 조건: 0. 25㎜
요철의 평균 간격(Sm) 측정 조건: 0. 80㎜
2: 평가 길이(기준 길이(컷오프값(λc)×5):
10점 평균 거칠기(Rz), 평균 경사각(θa) 측정 조건: 1. 25㎜
요철의 평균 간격(Sm) 측정 조건: 4. 0㎜
3: 촉침의 전송 속도: 0. 1㎜/s
Ψ= Rz / Sm
요철의 평균 거칠기(Rz)와 요철의 평균 간격(Sm)의 비율(Ψ)은 Ψ≡Rz/Sm으로 정의하고, 요철의 평균 거칠기(Rz)와 요철의 평균 간격(Sm)의 비를 취하는 것으로 요철의 경사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이용할 수 있다. 요철의 평균 거칠기(Rz)와 요철의 평균 간격(Sm)의 비율(Ψ)은 Ψ≡Rz/Sm으로 정의하고, 요철의 평균 거칠기(Rz)와 요철의 평균 간격(Sm)의 비를 취하는 것으로 요철의 경사의 기울기각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이용할 수 있다.
3) 반사 Y값
반사 Y값은 시마즈 제작소제 MPC3100분광 광도계로 5° 정반사율을 380∼780㎚까지의 파장 범위로 측정하고, 그 후 인간이 눈으로 느끼는 명도로서 환산하는 소프트(MPC3100 내장)로 산출되는 시감(視感) 반사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또한 5° 정반사율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광학 적층체인 필름의 이면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측정 막면과는 역순으로 흑 테이프(데라오카제)를 붙여서 측정한다.
4) 헤이즈값 , 전체 광선 투과율, 60도 그로스 및 투과 선명도
헤이즈값은 JIS K―7136에 따라서 측정할 수 있다. 측정에 사용하는 기기로서는, 반사ㆍ투과율계 HR―100(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를 들 수 있다. 눈부심 방지성 적층체의 전체 광선 투과율은 JIS K―7361에 따라서 헤이즈값과 같은 측정기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헤이즈, 전체 광선 투과율은 도공면을 광원을 향하여 측정한다. 60도 그로스는 JIS Z8741에 의해 정밀 광택계((주)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제 GM―26D)를 이용하여 측정 가능하다. 측정은 샘플의 이면 반사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샘플의 이면과 측정기의 흑 덮개를 양면 테이프(데라오카 제작소제)로 맞붙인 상태에서 실시한다. 투과 선명도는 사상성 측정기(스가 시험기(주), 품번; “ICM―1DP”)를 이용하여 JIS K7105에 준거해서 4종류의 광학 빗(0. 125㎜, 0. 5㎜, 1㎜ 및 2㎜)으로 측정한 수치의 합계로서 나타낸다.
5) 표면 헤이즈의 정의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 있는 “표면 헤이즈”는 이하와 같이 구해진다. 눈부심 방지층의 요철 상에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지(모노머 또는 올리고머 등의 수지 성분을 포함한다)를 톨루엔 등으로 희석하고, 고형분 60%로 한 것을 와이어 바로 건조 막두께가 8㎛로 되도록 도포한다. 이에 따라 눈부심 방지층의 표면 요철이 찌부러져서 평탄한 층으로 된다. 다만 이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하는 조성물 속에 레벨링제 등이 들어가 있는 것으로 리코트제가 튀기 쉽고, 젖기 어려운 경우에는 미리 눈부심 방지 필름을 비누화 처리(2㏖/ℓ의 NaOH(또는 KOH) 용액 55도에서 3분 적신 후 헹굼, 킴 와이프(kim wipe)로 물방울을 완전히 제거한 후 50도 오븐에서 1분 건조)에 의해 친수 처리를 실시하면 좋다. 이 표면을 평탄하게 한 필름은 표면 요철에 의한 헤이즈를 갖지 않는, 내부 헤이즈만을 갖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 헤이즈를 내부 헤이즈로서 구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헤이즈를 원래의 필름의 헤이즈(전체 헤이즈)에서 뺀 값이 표면 요철만에 기인하는 헤이즈(표면 헤이즈)로서 구해진다.
6) 눈부심 방지층의 층두께
눈부심 방지층의 층두께는 기재의 표시면측 계면으로부터 공기와 접하는 눈부심 방지성 요철 최표면까지를 말한다. 기재 계면으로부터 최표면까지에는 눈부심 방지층이 1층인 경우와 표면 조정층, 그 밖에 타 광학 기능층 등이 적층되어 다층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층두께의 측정 방법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LeicaTCS―NT: 라이카사제: 배율“100∼300배”)으로 광학 적층체의 단면을 투과 관찰하고, 계면의 유무를 판단하여 하기의 평가 기준으 로 판단했다. 구체적으로는, 헐레이션이 없는 선명한 화상을 얻기 위해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에 습식의 대물 렌즈를 사용하고, 또한 광학 적층체의 위에 굴절률 1. 518의 오일을 약 2㎖ 얹어서 관찰하여 판단했다. 오일의 사용은 대물 렌즈와 광학 적층체의 사이의 공기층을 소실시키기 위해 이용했다.
측정 순서
1: 레이저 현미경 관찰에 의해 평균 층두께를 측정했다.
2: 측정 조건은 상기와 같았다.
3: 1화면에 대하여 요철의 최대 볼록부, 최소 오목부의 기재로부터의 막두께를 1점씩 합계 2점 측정하고, 그것을 5화면만큼 합계 10점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했다.
광학 적층체
본 발명에 의한 광학 적층체는 눈부심 방지성 특성과 우수한 흑색 재현성 및 콘트라스트를 겸비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광학 적층체의 형성 방법의 하나로서 생각되는 표면 조정층을 안티 글레어 광학 적층체(AG) 상에 형성시킴으로써 눈부심 방지층의 요철 형성은 매끄러워지고, 또한 최적의 표면 거칠기 파라미터를 갖게 하는 것으로 충분한 눈부심 방지성을 부여하면서 매우 칠흑감이 높은 눈부심 방지성 적층체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광학 특성
θa/Ψ
본 발명에 의한 광학 적층체는 눈부심 방지층의 요철부의 평균 경사각을 θa로 하고, 요철의 평균 거칠기를 Rz로 하며, 요철의 평균 간격을 Sm으로 하고, Rz와 Sm의 비율(Ψ)을 비율(Ψ)=Rz/Sm으로 정의한 경우에 하기 식(Ⅰ) 및 (Ⅱ):
1. 2(바람직하게는 1. 5)≤θa≤2. 5(바람직하게는 2. 0)(Ⅰ)
0. 016(바람직하게는 0. 018)≤Ψ≤0. 18(바람직하게는 0. 16)(Ⅱ)
을 동시에 만족하는 것이다.
내부 헤이즈 (Hi)/표면 헤이즈( Hs )
본 발명에 의한 광학 적층체의 내부 헤이즈값이 0% 이상 50% 이하(55% 이하이어도 좋다)이며, 바람직하게는 하한이 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 1% 이상이고, 상한이 45%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이하이다. 본 발명에 의한 광학 적층체의 표면 헤이즈값이 0. 5% 이상 4. 5%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하한이 1. 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5% 이상이며, 상한이 4. 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8% 이하이다.
층 구성
본 발명에 의한 광학 적층체에 대하여 도 1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광학 적층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광투과성 기재(2)의 상면에 눈 부심 방지층(4)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이 눈부심 방지층(4)은 수지와 미립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눈부심 방지층(4)의 상부에는 표면 조정층(6)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표면 조정층(6)의 표면에 눈부심 방지층(4) 또는 표면 조정층(6)의 굴절률보다도 낮은 굴절률을 갖는 저굴절률층(8)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광학 적층체가 바람직하다.
1. 눈부심 방지층
본 발명에 있어서는, 광투과성 기재의 위에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광학 적층체의 표면에 미리 조제한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시켜도 좋다. 또한 이 이외에 광학 적층체의 표면에, 1) 수지에 미립자를 첨가한 눈부심 방지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요철 형상을 가진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하는 방법, 2) 미립자를 첨가하지 않고, 수지 등만을 포함한 눈부심 방지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요철 형상을 가진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하는 방법, 3) 요철 형상을 부여하는 처리를 이용하여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미리 눈부심 방지층을 조제하는 경우 상기 1)∼3)의 방법에 의하여 별도 조제된 눈부심 방지층이어도 좋다. 눈부심 방지층의 두께는 0. 5㎛ 이상 27㎛ 이하(12㎛ 이하가 바람직하다)이며, 바람직하게는 하한이 1㎛ 이상이고, 상한이 7㎛ 이하이다.
1) 수지에 미립자를 첨가한 눈부심 방지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눈부심 방지층
미립자
미립자는 구 형상, 예를 들면 원 형상, 타원 형상 등의 것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원 형상의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R(㎛))이 1. 0㎛ 이상 2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상한이 15. 0㎛이고, 하한이 3. 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미립자의 전체의 80% 이상(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 상기 미립자의 입경 평균 분포가 R±1. 0㎛, 바람직하게는 R±0. 5㎛, 더욱 바람직하게는 R±0. 3㎛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립자의 입경 평균 분포가 상기 범위로 되어 이루어짐으로써 눈부심 방지성 적층체의 요철 형상의 균일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고, 또한 면 반짝임 등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미립자와 그 평균 입경이 다른 제 2 미립자, 제 3 입자, 복수 입자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갖는 것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R(㎛))이 하한의 3. 5㎛ 정도의 소입자 직경에 대해서는 단분산 미립자는 아니고, 평균 입자 직경이 3. 5㎛의 입도 분포를 갖는 미립자이어도 좋고, 이에 따라 효율 있게 요철층을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응집형 미립자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미립자 중에서도 응집형 미립자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집형 미립자는 동일한 미립자이어도, 또는 평균 입경이 다른 복수의 미립자로 구성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응집형 미립자는 바람직하게는 제 1 미립자와, 그 평균 입경이 다른 제 2 미립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제 2 미립자의 단체 자체 또는 그 응집부 자체만으로는 상기 눈부심 방지층에서 눈부심 방지성을 발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을 R(㎛)로 하고, 제 2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을 r(㎛)로 한 경우에 하기 식:
0. 25R(바람직하게는 0. 50)≤r≤1. 0R(바람직하게는 0. 70)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이 0. 25R 이상인 것에 의해 도포액의 분산이 용이하게 되어 입자가 응집하는 일이 없다. 또한 도포 후의 건조 공정에 있어서 플로팅 시의 바람의 영향을 받는 일이 없어서 균일한 요철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r이 0. 85R 이하인 것에 의해 미립자와 제 1 입자의 역할을 명확히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수지와, 미립자와, 제 2 미립자의 단위 면적당의 총 중량비가 미립자의 단위 면적당의 총 중량을 M1, 제 2 미립자의 단위 면적당의 총 중량을 M2, 수지의 단위 면적당의 총 중량을 M으로 한 경우에 하기의 식:
0. 08≤(M1+M2)/M≤0. 36
0≤M2≤4. 0M1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미립자와, 제 2 미립자 및 수지의 굴절률을 각각 n1, n2, n3으로 한 경우에 하기의 식:
△n=|n1-n3|<0. 15 및/또는 △n=|n2-n3|<0. 18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립자(제 2 미립자)는 무기계, 유기계의 것을 들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유기계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립자는 눈부심 방지성을 발휘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투명성의 것이 좋다. 미립자의 구체예로서는, 플래스틱 비드를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투명성을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플래스틱 비드의 구체예로서는, 스티렌 비드(굴절률 1. 59), 멜라민 비드(굴절률 1. 57), 아크릴 비드(굴절률 1. 49), 아크릴―스티렌 비드(굴절률 1. 54), 폴리카보네이트 비드, 폴리에틸렌 비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그 표면에 소수성 기를 가진 플래스틱 비드가 사용되고,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스티렌 비드를 들 수 있다.
수지
본 발명에 의한 눈부심 방지층은 (경화성)수지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지”는 모노머, 올리고머 등의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경화형 수지로서는, 투명성의 것이 바람직하고, 그 구체예로서는, 자외선 또는 전자선에 의해 경화하는 수지인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용제 건조형 수지의 혼합물, 또는 열경화형 수지의 3종류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들 수 있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아크릴레이트계의 관능기를 갖는 것, 예를 들면 비교적 저분자량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스피로아세탈 수지, 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티올폴리엔 수지, 다가알콜 등의 다관능 화합물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올리고머 또는 프레폴리머, 반응성 희석제를 들 수 있고, 이들의 구체예로서는,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메틸스티렌, N―비닐피롤리돈 등의 단관능 모노머 및 다관능 모노머, 예를 들면 폴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1, 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중합 개시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의 구체예로서는, 아세토페 논류, 벤조페논류, 미힐러벤조일벤조에이트, α―아미록심에스테르, 테트라메틸티우람모노설파이드, 티옥산톤류를 들 수 있다. 또한 광증감제를 혼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구체예로서는, n―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폴리―n―부틸호소핀 등을 들 수 있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에 혼합하여 사용되는 용제 건조형 수지로서는, 주로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는 일반적으로 예시되는 것이 이용된다. 용제 건조형 수지의 첨가에 의해 도포면의 도막 결함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광투과성 기재의 재료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셀룰로오스계 수지, 예를 들면 니트로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광투과성 기재와 대전 방지층(필요에 따라서)의 밀착성과 투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열가소성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아세트산비닐계 수지, 비닐에테르계 수지, 할로겐 함유 수지, 지환식 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셀룰로오스 유도체, 실리콘계 수지 및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수지로서는, 통상 비결정성이고, 또한 유기 용매(특히 복수의 폴리머나 경화성 화합물을 용해 가능한 공통 용매)에 가용인 수지가 사용된다. 특히 성형성 또는 제막성, 투명성이나 내후성이 높은 수지, 예를 들면 스 티렌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지환식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셀룰로오스 유도체(셀룰로오스에스테르류 등) 등이 바람직하다.
열경화성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멜라닌 수지, 구아나민 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아미노알키드 수지, 멜라민―요소 공축합 수지, 규소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서 가교제, 중합 개시제 등의 경화제, 중합 촉진제, 용제, 점도 조정제 등을 더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레벨링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에 불소계 또는 실리콘계 등의 레벨링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벨링제를 첨가한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은 도포 또는 건조 시에 도막 표면에 대하여 산소에 의한 경화 저해를 유효하게 방지하고, 또한 내찰상성의 효과를 부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레벨링제는 내열성이 요구되는 필름 형상 광투과성 기재(예를 들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에 이용된다.
눈부심 방지층의 형성법
눈부심 방지층은 미립자 또는 응집형 미립자(바람직하게는 제 1 미립자와 제 2 미립자)와 수지를 적절한 용제,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알콜,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콜류; 메틸에틸케톤(MEK),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할로겐화 탄화수소;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탄화수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혼합하여 얻은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을 광투과성 기재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되어도 좋다.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을 광투과성 기재에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롤 코트법, 미야바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등의 도포 방법을 들 수 있다.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의 도포 후에 건조와 자외선 경화를 실시한다. 자외선원의 구체예로서는, 초고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카본 아크등, 블랙 라이트 형광등, 메탈할라이드 램프등의 광원을 들 수 있다. 자외선의 파장으로서는, 190∼380㎚의 파장역을 사용할 수 있다. 전자선원의 구체예로서는, 콕크로프트왈트형, 반데그래프트형, 공진 변압기형, 절연 코어 변압기형, 또는 직선형, 다이나미트론형, 고주파형 등의 각종 전자선 가속기를 들 수 있다. 수지가 경화하고, 수지 속의 미립자가 고정되어 눈부심 방지층의 최표면에 원하는 요철 형상이 형성된다.
2) 미립자를 포함하지 않고, 수지 등을 포함한 눈부심 방지성용 조성물로 형성되는 눈부심 방지층
눈부심 방지층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와 적어도 하나의 경화성 수지 전구체를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혼합한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을 광투과성 기재 상에 부여하여 형성할 수 있다.
폴리머
폴리머는 스피노달 분해에 의해 상분리 가능한 복수의 폴리머,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스티렌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지환식 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경화성 수지 전구체는 복수의 폴리머 중 적어도 1종류의 폴리머와 상용성을 갖고 있어도 좋다. 복수의 폴리머 중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가 경화성 수지 전구체의 경화 반응에 관여하는 관능기,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로일기 등의 중합성 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폴리머 성분으로서는, 통상 열가소성 수지가 사용된다.
열가소성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스티렌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유기산비닐에스테르계 수지, 비닐에테르계 수지, 할로겐 함유 수지, 올레핀계 수지(지환식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한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설폰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설폰),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예를 들면 2, 6―크실레놀의 중합체), 셀룰로오스 유도체(예를 들면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류, 셀룰로오스카바메이트류, 셀룰로오스에테르류), 실리콘 수지(예를 들면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메틸페닐실록산),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예를 들면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등의 디엔계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 고무, 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단독 또는 2종류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티렌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스티렌계 단량체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예를 들면 폴리스티렌, 스티렌―α―메틸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비닐톨루엔 공중합체), 스티렌계 단량체와 다른 중합성 단량체[예를 들면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무수말레인산, 말레이미드계 단량체, 디엔류]와의 공중합체 등이 포함된다. 스티렌계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AS수지), 스티렌과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의 공중합체[예를 들면 스티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스티렌―메타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스티렌―메타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등], 스티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스티렌계 수지로서는, 폴리스티렌, 스티렌과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의 공중합체[예를 들면 스티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과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 AS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등이 포함된다.
(메타)아크릴계 수지로서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와 공중합성 단량체의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의 구체예로서는, (메타)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메틸, (메타)아크릴산에틸, (메타)아크릴산부틸, (메타)아크릴산t―부틸, (메타)아크릴산이소부틸, (메타)아크릴산헥실, (메타)아크릴산옥틸, (메타)아크릴산2―에틸헥실 등의 (메타)아크릴산C1―10알킬; (메타)아크릴산페닐 등의 (메타)아크릴산아릴;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N, N―디알킬아미노알킬(메타)아크 릴레이트; (메타)아크릴로니트릴; 트리시클로데칸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공중합성 단량체의 구체예로서는,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 비닐에스테르계 단량체, 무수말레인산, 말레인산, 푸말산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이들 단량체는 단독 또는 2종류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스티렌 공중합체(MS수지 등)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폴리(메타)아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타)아크릴산C1―6 알킬, 특히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성분(50∼100중량%, 바람직하게는 70∼100중량% 정도)으로 하는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유기산비닐에스테르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비닐에스테르계 단량체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프로피온산비닐 등), 비닐에스테르계 단량체와 공중합성 단량체의 공중합체(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아세트산비닐―염화비닐 공중합체, 아세트산비닐―(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 또는 그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비닐에스테르계 수지의 유도체의 구체예로서는, 폴리비닐알콜,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등이 포함된다.
비닐에테르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비닐메틸에테르, 비닐에틸에테르, 비닐프로필에테르, 비닐t―부틸에테르 등의 비닐C1―10알킬에테르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 비닐C1―10알킬에테르와 공중합성 단량체의 공중합체(비닐알킬에테르―무수말레이산 공중합체 등)를 들 수 있다. 할로겐 함유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염화비닐, 폴리불화비닐리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염화비닐―(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염화비닐리덴―(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올레핀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의 단독 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지환식 올레핀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환상 올레핀(예를 들면 노르보르넨, 디시클로펜타디엔)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예를 들면 입체적으로 강직한 트리시클로데칸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갖는 중합체), 상기 환상 올레핀과 공중합성 단량체의 공중합체(예를 들면 에틸렌―노르보르넨 공중합체, 프로필렌―노르보르넨 공중합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지환식 올레핀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상품명“아톤(ARTON)”, 상품명“제오넥스(ZEONEX)” 등으로서 입수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비스페놀류(비스페놀A 등)를 기초로 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보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등이 포함된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테레프탈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을 이용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C2―4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C2―4알킬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호모폴리에스테르, C2―4알킬렌알릴레이트 단위(C2―4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 및/또는 C2―4알킬렌나프탈레이트 단위)를 주성분(예를 들면 50중량% 이상)으로서 포함하는 코폴리에스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코폴리에스테르의 구체예로서는, 폴리C2―4알킬렌알릴레이트의 구성 단위 중 C2―4알킬렌글리콜의 일부를 폴리옥시C2―4알킬렌글리콜, C6―10알킬렌글리콜, 지환식 디올(시클로헥산디메탄올, 물첨가 비스페놀A 등), 방향환을 갖는 디올(플루오레논측쇄를 갖는 9, 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비스페놀A, 비스페놀A―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 등) 등으로 치환한 코폴리에스테르,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일부를 프탈산, 이소프탈산 등의 비대칭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아디핀산 등의 지방족C6 ―12 카르복실산 등으로 치환한 코폴리에스테르가 포함된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알릴레이트계 수지, 아디핀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이용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ε―카프로락톤 등의 락톤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도 포함된다.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통상 비결정성 코폴리에스테르(예를 들면 C2 4알킬렌알릴레이트계 코폴리에스테르 등) 등과 같이 비결정성이다.
폴리아미드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나일론46,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610, 나일론612, 나일론11, 나일론12 등의 지방족 폴리아미드, 디카르복실산(예를 들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아디핀산 등)과 디아민(예를 들면 헥사메틸렌디아 민, 메타크실렌디아민)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아미드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ε―카프로락탐 등의 락탐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이어도 좋고, 호모폴리아미드에 한정되지 않고, 코폴리아미드이어도 좋다.
셀룰로오스 유도체 중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류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족 유기산에스테르,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등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등의 C1―6유기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고, 방향족 유기산에스테르(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벤조에이트 등의 C7―12방향족 카본산에스테르), 무기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인산 셀룰로오스, 황산 셀룰로오스 등)를 예시할 수 있고, 아세트산ㆍ질산셀룰로오스에스테르 등의 혼합산 에스테르이어도 좋다.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구체예로서는, 셀룰로오스카바메이트류(예를 들면 셀룰로오스페닐카바메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셀룰로오스에테르류, 예를 들면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히드록시C2―4알킬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등의 C1―6알킬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또는 그 염, 벤질셀룰로오스, 아세틸알킬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열가소성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아세트산비닐계 수지, 비닐에테르계 수지, 할로겐 함유 수지, 지환식 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 지, 셀룰로오스 유도체, 실리콘계 수지 및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수지로서는, 통상 비결정성이고, 또한 유기 용매(특히 복수의 폴리머나 경화성 화합물을 용해 가능한 공통 용매)에 가용인 수지가 사용된다. 특히 성형성 또는 제막성, 투명성이나 내후성이 높은 수지, 예를 들면 스티렌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지환식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셀룰로오스 유도체(셀룰로오스에스테르류 등) 등이 바람직하다.
폴리머 성분으로서는, 경화 반응에 관여하는 관능기(또는 경화성 화합물과 반응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폴리머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폴리머는 관능기를 주쇄에 갖고 있어도 좋고, 측쇄에 갖고 있어도 좋다. 상기 관능기는 공중합이나 공축합 등에 의해 주쇄에 도입되어도 좋지만, 통상 측쇄에 도입된다. 이와 같은 관능기의 구체예로서는, 축합성 기나 반응성 기(예를 들면 히드록실기, 산무수물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또는 이미노기, 에폭시기, 글리시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중합성 기(예를 들면 비닐, 프로페닐, 이소프로페닐기, 부테닐, 알릴 등의 C2― 6알케닐기, 에티닐, 프로피닐, 부티닐 등의 C2―6알키닐기, 비닐리덴 등의 C2―6알케닐리덴기, 또는 이들 중합성 기를 갖는 기(예를 들면 (메타)아크릴로일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관능기 중 중합성 기가 바람직하다.
중합성 기를 측쇄에 도입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반응성 기나 축합성 기 등의 관능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상기 관능기와의 반응성 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관능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카르복실기 또는 그 산무수물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예를 들면 (메타)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히드록실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예를 들면 (메타)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아미드계 수지), 아미노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예를 들면 폴리아미드계 수지), 에폭시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예를 들면 에폭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수지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스티렌계 수지나 올레핀계 수지, 지환식 올레핀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에 상기 관능기를 공중합이나 그라프트중합으로 도입한 수지이어도 좋다.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카르복실기 또는 그 산무수물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의 경우는 에폭시기나 히드록실기, 아미노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을 갖는 중합성 화합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히드록실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의 경우는 카르복실기 또는 그 산무수물기나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을 갖는 중합성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의 경우는 카르복실 또는 그 산무수물기나 에폭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을 갖는 중합성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의 경우는 카르복실기 또는 그 산무수물기나 아미노기 등을 갖는 중합성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합성 화합물 중 에폭시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시클로헥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시클로C5―8알케닐(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히드 록실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C1―4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C2― 6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아미노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C1―4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아민 등의 C3―6알케닐아민, 4―아미노스티렌, 디아미노스티렌 등의 아미노스티렌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나 비닐이소시아네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카르복실기 또는 그 산무수물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이나 무수말레인산 등의 불포화카본산 또는 그 무수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서는, 카르복실기 또는 그 산무수물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에폭시기 함유 화합물, 특히 (메타)아크릴계 수지((메타)아크릴산―(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와 에폭시기 함유(메타)아크릴레이트(에폭시시클로알케닐(메타)아크릴레이트나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조합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카르복실기의 일부에 중합성 불포화기를 도입한 폴리머,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의 일부에 3, 4―에폭시시클로헥세닐메틸아크릴레이트의 에폭시기를 반응시켜서 측쇄에 광중합성 불포화기를 도입한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사이클로머P, 다이셀 화학 공업(주)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에 대한 경화 반응에 관여하는 관능기(특히 중합성 기)의 도입량은 열가소성 수지 1㎏에 대하여 0. 001∼10몰, 바람직하게는 0. 01∼5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0. 02∼3몰 정도이다.
이들 폴리머는 적당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폴리머는 복수의 폴리머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복수의 폴리머는 액상 스피노달 분해에 의해 상분리 가능해도 좋다. 또한 복수의 폴리머는 서로 비상용이어도 좋다. 복수의 폴리머를 조합하는 경우 제 1 수지와 제 2 수지의 조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가공 온도 부근에서 서로 비상용인 복수의 폴리머, 예를 들면 서로 비상용인 2개의 폴리머로서 적당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수지가 스티렌계 수지(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등)인 경우 제 2 수지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예를 들면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류), (메타)아크릴계 수지(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 지환식 올레핀계 수지(노르보르넨을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 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상기 폴리C2―4알킬렌알릴레이트계 코폴리에스테르 등) 등이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제 1 폴리머가 셀룰로오스 유도체(예를 들면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류)인 경우 제 2 폴리머는 스티렌계 수지(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등), (메타)아크릴계 수지, 지환식 올레핀계 수지(노르보르넨을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 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상기 폴리C2―4알킬렌알릴레이트계 코폴리에스테르 등) 등이어도 좋다. 복수의 수지의 조합에 있어서, 적어도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류(예를 들면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등의 셀룰로오스C2―4알킬카본산에스테르류)를 이용해도 좋다.
스피노달 분해에 의해 생성된 상분리 구조는 활성 광선(자외선, 전자선 등)이나 열 등에 의해 최종적으로 경화하여 경화 수지를 형성한다. 그 때문에 눈부심 방지층에 내찰상성을 부여할 수 있어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경화 후의 내찰상성의 관점에서 복수의 폴리머 중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예를 들면 서로 비상용인 폴리머 중 한쪽의 폴리머(제 1 수지와 제 2 수지를 조합하는 경우, 특히 양쪽의 폴리머)가 경화성 수지 전구체와 반응 가능한 관능기를 측쇄에 갖는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폴리머와 제 2 폴리머의 비율(중량비)은 예를 들면 제 1 폴리머/제 2 폴리머가 1/99∼99/1, 바람직하게는 5/95∼95/5, 더욱 바람직하게는 10/90∼90/10 정도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통상 20/80∼80/20 정도, 특히 30/70∼70/30 정도이다.
상분리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폴리머로서는, 상기 비상용인 2개의 폴리머 이외에도 상기 열가소성 수지나 다른 폴리머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는 예를 들면 -100℃∼250℃, 바람직하게는 -50℃∼230℃,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0℃ 정도(예를 들면 50∼180℃ 정도)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표면 경도의 관점에서 유리 전이 온도는 50℃ 이상(예를 들면 70∼200℃ 정도),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예를 들면 100∼170℃ 정도)인 것이 유리하다.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예를 들면 1, 000, 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 000∼500, 000 정도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경화성 수지 전구체
경화성 수지 전구체로서는, 열이나 활성 에너지선(자외선이나 전자선 등) 등에 의해 반응하는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이며, 열이나 활성 에너지선 등에 의해 경화 또는 가교하여 수지(특히 경화 또는 가교 수지)를 형성 가능한 여러 가지 경화성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전구체로서는, 예를 들면 열경화성 화합물 또는 수지[에폭시기, 중합성 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알콕시실릴기, 실라놀기 등을 갖는 저분자량 화합물(예를 들면 에폭시계 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활성 광선(자외선 등)에 의해 경화 가능한 광경화성 화합물(예를 들면 광경화성 모노머, 올리고머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고, 광경화성 화합물은 EB(전자선) 경화성 화합물 등이어도 좋다. 또한 광경화성 모노머, 올리고머나 저분자량이어도 좋은 광경화성 수지 등의 광경화성 화합물을 단순히 “광경화성 수지”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광경화성 화합물에는 예를 들면 단량체, 올리고머(또는 수지, 특히 저분자량 수지)가 포함되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단관능성 단량체[(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의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비닐피롤리돈 등의 비닐계 단량체, 이소보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교가환식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등], 적어도 2개의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다관능성 단량체[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아다만탄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교가환식 탄화수소기를 갖는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3∼6 정도의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다관능성 단량체]를 예시할 수 있다.
올리고머 또는 수지로서는, 비스페놀A―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비스페놀A형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노볼락형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등),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예를 들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형 (메타)아크릴레이트, 방향족 폴리에스테르형 (메타)아크릴레이트 등), (폴리)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형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형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광경화성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경화성 수지 전구체는 단시간으로 경화할 수 있는 광경화성 화합물,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모노머, 올리고머나 저분자량이어도 좋은 수지 등), EB경화성 화합물이다. 특히 실용적으로 유리한 수지 전구체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이다. 또한 내찰상성 등의 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광경화성 수지는 분자 속에 2 이상(바람직하게는 2∼6, 더욱 바람직하게는 2∼4 정도)의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성 수지 전구체의 분자량으로서는, 폴리머와의 상용성을 고려하여 5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이하 정도이다.
경화성 수지 전구체는, 그 종류에 따라서 경화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열경화성 수지에서는 아민류, 다가카본산류 등의 경화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광경화성 수지에서는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관용의 성분, 예를 들면 아세토페논류 또는 프로피오페논류, 벤질류, 벤조인류, 벤조페논류, 티옥산톤류, 아실포스핀옥시드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광경화제 등의 경화제의 함유량은 경화성 수지 전구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 1∼2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 5∼1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8중량부(특히 1∼5중량부) 정도이며, 3∼8중량부 정도이어도 좋다.
경화성 수지 전구체는 경화 촉진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광경화성 수지는 광경화 촉진제, 예를 들면 제 3급 아민류(예를 들면 디알킬아미노안식향산에스테르), 포스핀계 광중합 촉진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폴리머와 경화성 수지 전구체의 구체적인 조합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및 적어도 하나의 경화성 수지 전구체 중 적어도 2개의 성분이 가공 온도 부근에서 서로 상분리하는 조합으로 사용된다. 상분리하는 조합으로서는, 예를 들면 (a) 복수의 폴리머끼리가 서로 비상용으로 상분리하는 조합, (b) 폴리머와 경화성 수지 전구체가 비상용으로 상분리하는 조합이나, (c) 복수의 경화성 수지 전구체끼리가 서로 비상용으로 상분리하는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조합 중 통상 (a) 복수의 폴리머끼리의 조합이나, (b) 폴리머와 경화성 수지 전구체의 조합이며, 특히 (a) 복수의 폴리머끼리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상분리시키는 양자의 상용성이 낮은 경우 용매를 증발시키기 위한 건조 과정에서 양자가 유효하게 상분리하여 눈부심 방지층으로서의 기능이 향상된다.
열가소성 수지와 경화성 수지 전구체(또는 경화 수지)는 통상 서로 비상용이다. 폴리머와 경화성 수지 전구체가 비상용으로 상분리하는 경우에 폴리머로서 복수의 폴리머를 이용해도 좋다. 복수의 폴리머를 이용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가 수지 전구체(또는 경화 수지)에 대하여 비상용이면 좋고, 다른 폴리머는 상기 수지 전구체와 상용해도 좋다.
서로 비상용인 2개의 열가소성 수지와 경화성 화합물(특히 복수의 경화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의 조합이어도 좋다. 또한 경화 후의 내찰상성의 관점에서 상기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 중 한쪽의 폴리머(특히 양쪽의 폴리머)가 경화 반응에 관여하는 관능기(상기 경화성 수지 전구체의 경화에 관여하는 관능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이어도 좋다.
폴리머를 서로 비상용인 복수의 폴리머로 구성하여 상분리하는 경우 경화성 수지 전구체는 비상용인 복수의 폴리머 중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와 가공 온도 부근에서 서로 상용하는 조합으로 사용된다. 즉 서로 비상용인 복수의 폴리머를 예를 들면 제 1 수지와 제 2 수지로 구성하는 경우 경화성 수지 전구체는 적어도 제 1 수지 또는 제 2 수지의 어느 쪽인가와 상용하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양쪽의 폴리머 성분과 상용해도 좋다. 양쪽의 폴리머 성분에 상용하는 경우 제 1 수지 및 경화성 수지 전구체를 주성분으로 한 혼합물과 제 2 수지 및 경화성 수지 전구체를 주성분으로 한 혼합물의 적어도 2상으로 상분리한다.
선택한 복수의 폴리머의 상용성이 낮은 경우 용매를 증발시키기 위한 건조 과정에서 폴리머끼리가 유효하게 상분리하여 눈부심 방지층으로서의 기능이 향상된다. 복수의 폴리머 상분리성은 양쪽의 성분에 대한 양(良) 용매를 이용하여 균일 용액을 조제하고, 용매를 서서히 증발시키는 과정에서 잔존 고형분이 백탁하는지의 여부를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간편하게 판정할 수 있다.
통상 폴리머와 수지 전구체의 경화에 의해 생성한 경화 또는 가교 수지는 서로 굴절률이 다르다. 또한 복수의 폴리머(제 1 수지와 제 2 수지)의 굴절률도 서로 다르다. 폴리머와 경화 또는 가교 수지의 굴절률의 차, 복수의 폴리머(제 1 수지와 제 2 수지)의 굴절률의 차는 예를 들면 0. 001∼0. 2, 바람직하게는 0. 05∼0. 15 정도이어도 좋다.
폴리머와 경화성 수지 전구체의 비율(중량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머/경화성 수지 전구체를 5/95∼95/5 정도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고, 표면 경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95∼60/40 정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90∼50/50, 특히 10/90∼40/60 정도이다.
용매
용매는 상기 폴리머 및 경화성 수지 전구체의 종류 및 용해성에 따라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적어도 고형분(복수의 폴리머 및 경화성 수지 전구체, 반응 개시제, 그 외의 첨가제)을 균일하게 용해할 수 있는 용매이면 좋고, 습식 스피노달 분해에서 사용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케톤류(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 에테르류(디옥산, 테트라히드로프란 등), 지방족 탄화수소류(헥산 등), 지환식 탄화수소류(시클로헥산 등), 방향족 탄화수소류(톨루엔, 크실렌 등), 할로겐화 탄소류(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등), 에스테르류(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 물, 알콜류(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시클로헥사놀 등), 셀로솔브류(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등), 셀로솔브아세테이트류, 설폭시드류(디메틸설폭시드 등), 아미드류(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이들의 혼합 용매이어도 좋다.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속의 용질(폴리머 및 경화성 수지 전구체, 반응 개시제, 그 외의 첨가제)의 농도는 상분리가 발생하는 범위 및 유연성(流延性)이나 코팅성 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1∼80중량%, 바람직하게는 5∼6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40중량%(특히 20∼40중량%) 정도이다.
눈부심 방지층의 형성법
눈부심 방지층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와 적어도 하나의 경화성 수지 전구체를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와 적어도 하나의 경화성 수지 전구체를 적절한 용매와 함께 혼합한 눈부심 방지층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액상으로부터의 스피노달 분해에 의해 상분리 구조를 형성하고, 경화성 수지 전구체를 경화시켜서 적어도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액상으로부터의 스피노달 분해는 용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상분리 구조를 형성하는 조합은 예를 들면 복수의 폴리머끼리, 폴리머와 경화성 수지 전구체, 복수의 경화성 수지 전구체끼리 등이어도 좋다. 이 방법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와, 광경화성 화합물(광중합성 모노머나 올리고머 등)과, 광중합 개시제와, 열가소성 수지 및 광경화성 화합물을 가용한 용매(공통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의 스피노달 분해에 의해 상분리 구조를 형성하고, 광조사함으로써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와, 이 열가소성 수지에 비상용이고, 또한 광경화성 기를 갖는 수지와, 광경화성 화합물과, 광중합 개시제와, 수지 및 광경화성 화합물을 가용한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의 스피노달 분해에 의해 상분리 구조를 형성하고, 광조사함으로써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해도 좋다. 이들 방법에 있어서, 광투과성 기재 상에 적어도 1층의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하는 것 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인 형성 방법
눈부심 방지층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와 적어도 하나의 경화성 수지 전구체를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혼합한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을 광투과성 기재에 부여하고, 그 후 용매의 증발에 동반하는 스피노달 분해에 의해 상분리 구조를 형성하는 공정과, 경화성 수지 전구체를 경화시켜서 적어도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거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분리 공정은 통상 폴리머와, 경화성 수지 전구체와, 용매를 포함하는 혼합액(특히 균일 용액 등의 액상 조성물)을 광투과성 기재의 표면에 도포 또는 유연하는 공정과 도포층 또는 유연층으로부터 용매를 증발시켜서 규칙적 또는 주기적인 평균 상간 거리를 갖는 상분리 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화성 수지 전구체를 경화시킴으로써 눈부심 방지층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혼합액으로서 열가소성 수지와, 광경화성 화합물과, 광중합 개시제와, 열가소성 수지 및 광경화성 화합물을 가용한 용매를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스피노달 분해에 의해 형성된 상분리 구조의 광경화 성분을 광조사에 의해 경화함으로써 눈부심 방지층이 형성된다. 또한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혼합액으로서 서로 비상용인 복수의 폴리머와, 광경화성 화합물과, 광중합 개시제와, 용매를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스피노달 분해에 의해 형성된 상분리 구조의 광경화 성 분을 광조사에 의해 경화함으로써 눈부심 방지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용매의 증발을 동반하는 스피노달 분해에 의해 상분리 구조의 도메인간의 평균 거리에 규칙성 또는 주기성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피노달 분해에 의해 형성된 상분리 구조는 경화성 수지 전구체를 경화시킴으로써 즉시 고정화할 수 있다. 경화성 수지 전구체의 경화는 경화성 수지 전구체의 종류에 따라서 가열, 광조사 등, 또는 이들 방법의 조합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가열 온도는 상분리 구조를 갖는 한 적당한 범위, 예를 들면 50∼150℃ 정도에서 선택할 수 있고, 층분리 공정과 동일한 온도 범위에서 선택해도 좋다.
광학 적층체의 일부를 구성하는 눈부심 방지층은, 그 눈부심 방지층의 상분리 구조, 액상으로부터의 스피노달 분해(습식 스피노달 분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즉 폴리머와, 경화성 수지 전구체와, 용매로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의 액상(또는 균일 용액이나 그 도포층)으로부터 용매를 건조 등에 의해 증발 또는 제거하는 과정에서 농도의 농축에 동반하여 스피노달 분해에 의한 상분리가 발생하고, 상간 거리가 비교적 규칙적인 상분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습식 스피노달 분해는 통상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와, 적어도 하나의 경화성 수지 전구체와, 용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바람직하게는 균일 용액)을 지지체에 도포하고, 도포층으로부터 용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스피노달 분해에 있어서, 상분리의 진행에 동반하여 공연속상 구조를 형성하고, 또한 상분리가 진행되면 연속상이 스스로의 표면 장력 에 의해 비연속화하며, 액적상 구조(구 형상, 원 형상, 원반 형상이나 타원체 형상 등의 독립상의 해도 구조)로 된다. 따라서 상분리의 정도에 따라서 공연속상 구조와 액적상 구조의 중간적 구조(상기 공연속상으로부터 액적상으로 이행하는 과정의 상 구조)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눈부심 방지층의 상분리 구조는 해도 구조(액적상 구조, 또는 한쪽의 상이 독립 또는 고립된 상 구조), 공연속상 구조(또는 그물눈 구조)이어도 좋고, 공연속상 구조와 액적상 구조가 혼재된 중간적 구조이어도 좋다. 이들 상분리 구조에 의해 용매 건조 후에는 눈부심 방지층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분리 구조에 있어서, 눈부심 방지층의 표면에 요철 형상이 형성되고, 또한 표면 경도를 높이는 점에서는 적어도 섬 형상 도메인을 갖는 액적상 구조인 것이 유리하다. 또한 폴리머와 상기 전구체(또는 경화 수지)로 구성된 상분리 구조가 해도 구조인 경우 폴리머 성분이 바다 형상을 형성해도 좋지만, 표면 경도의 관점에서 폴리머 성분이 섬 형상 도메인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섬 형상 도메인의 형성에 의해 건조 후에는 눈부심 방지층의 표면에 원하는 광학 특성을 발휘하는 요철 형상이 형성된다.
상기 상분리 구조의 도메인간의 평균 거리는 통상 실질적으로 규칙성 또는 주기성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도메인의 평균 상간 거리는 예를 들면 1∼70㎛(예를 들면 1∼40㎛), 바람직하게는 2∼50㎛(예를 들면 3∼30㎛), 더욱 바람직하게는 5∼20㎛(예를 들면 10∼20㎛) 정도이어도 좋다.
3) 요철 형상을 부여하는 처리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눈부심 방지층
3―1) 본 발명에 의한 눈부심 방지층은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하고, 그 후에 눈부심 방지층의 표면에 대하여 요철 형상을 부여하는 부형 처리를 실시해서 요철 형상을 갖는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광투과성 기재 상에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하고, 해당 눈부심 방지층의 표면에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눈부심 방지층이 갖는 요철 형상과 반대의 요철 형상을 갖는 형을 이용한 부형 처리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의 요철 형상을 갖는 형은 엠보스판, 엠보스 롤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내용은 후기하는 3―2)와 같아도 좋다.
3―2) 본 발명에 의한 눈부심 방지층은 광투과성 기재를 눈부심 방지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 형상과 반대의 요철 형상을 갖는 형에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을 부여하고, 원하는 요철 형상을 갖고 이루어지는 눈부심 방지층으로서 형성되어도 좋다. 이 형성법에 따르면, 미립자를 배합하지 않고, 원하는 요철 형상을 갖는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한 광학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는 잇점을 갖는다. 원하는 요철 형상과 반대의 형상을 형면에 형성한 요철형을 사용하고, 경화성이 우수한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을 광투과성 기재 상에 부여한 후에 경화 처리하고, 광투과성 기재와 요철 형상을 갖는 눈부심 방지층을 일체화시켜서 광학 적층체로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을 부여하고나서 요철형으로 부형해도 좋고,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을 광투과성 기재와 요철형의 계면에 공급하고,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을 요철형과 광투과성 기재의 사이에 개재시켜서 요철 형상의 형성과 눈부심 방지층의 형성을 동시에 실시해도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엠보스 롤러 이외에 평판상의 엠보스판을 이용할 수도 있다.
엠보스 롤러 또는 평판상의 엠보스판 등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 형면은 여러가지 방법에 의해 구체적으로는, 샌드 블러스트법 또는 비드 쇼트법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샌드 블러스트법에 의한 엠보스판(엠보스 롤러)을 이용하여 형성된 눈부심 방지층은, 그 상측에 오목 형상(한편 하측에 볼록한 단면 형상)이 다수 분포한 형상으로 된다. 비드 쇼트법에 의한 엠보스판(엠보스 롤러)을 이용하여 형성된 눈부심 방지층은 상측에 볼록 형상(한편 상측에 볼록한 단면 형상)이 다수 분포된 형상으로 된다.
눈부심 방지층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 형상의 평균 거칠기가 같은 경우에 상측에 볼록부가 다수 분포된 형상을 갖고 있는 눈부심 방지층은 상측에 오목부가 다수 분포된 형상을 갖고 있는 것과 비교하여, 또한 실내의 조명 장치 등의 비추어듦이 적다고 되어 있다. 이것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비드 쇼트법에 의해 눈부심 방지층의 요철 형상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요철형을 이용하여 눈부심 방지층의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요철형에 의해 형성된 요철 형상은 상측에 볼록한 단면 형상의 부분이 하면에 볼록한 단면 형상의 부분보다 많은 것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비드 쇼트법에 의해 눈부심 방지층의 요철 형상과 반대 형상으로 형성된 요철형을 이용하여 눈부심 방지층의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요철형에 의해 형성된 요철 형상은 하측에 볼록한 단면 형상(즉 오목부)의 부분이 상측에 볼록한 단면 형상(즉 볼록부)의 부분보다도 많은 것으로서 형성된다.
요철 형면을 형성하기 위한 형재로서는, 금속, 플래스틱, 나무, 또는 이들의 복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재로서는, 강도, 반복 사용에 의한 내마모성의 관점에서 금속으로서의 크롬이 바람직하고, 경제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철제 엠보스판(엠보스 롤러)의 표면에 크롬을 도금한 것이 예시된다.
샌드 블러스트법 또는 비드 쇼트법에 의해 요철형을 형성할 때에 분사 입자(비드)의 구체예로서는, 금속 입자, 실리카, 알루미나, 또는 유리 등의 무기질 입자를 들 수 있다. 이들 입자의 입경(직경)으로서는, 100㎛∼3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입자를 형재에 분사할 때에는 이들 입자를 고속의 기체와 함께 분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때 적절한 액체, 예를 들면 물 등을 병용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요철 형상을 형성한 요철형에는 사용 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크롬 도금 등을 실시하고나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막화 및 부식 방지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2. 표면 조정층
본 발명에 있어서는, 눈부심 방지층의 요철 표면을 조정하기 위해 표면 조정층을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표면 조정층은 눈부심 방지층과 일체로 되어 눈부심 방지성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다. 따라서 표면 조정층을 형성하는 경우 표면의 요철 형상의 값인 Sm, θa, Rz 등의 광학 특성값은 본원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부 언하면 눈부심 방지층의 위에 표면 조정층이 부여되는 경우 표면 조정층의 표면 요철 형상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눈부심 방지층의 표면 요철 형상의 광학 특성값과 당연히 일치한다. 이상의 것은 표면 조정층의 하기 내용 및 실시예로부터도 이해된다.
표면 조정층은 눈부심 방지층의 요철 형상을 형성하고 있는 표면 거칠기에 있어서, 요철 스케일(요철의 산 높이와 산 간격)의 1/10 이하의 스케일로 요철 형상을 따라서 존재하고 있는 미세한 요철을 메우고, 스무딩하게 하여 매끄러운 요철을 형성시키는 것, 또는 요철의 산 간격이나 산 높이, 산의 빈도(갯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표면 조정층은 대전 방지, 굴절률 조정, 고경도화, 오염 방지성 등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표면 조정층의 막두께(경화 시)는 0. 5㎛ 이상 20㎛ 이하(12㎛ 이하가 바람직하다)이며, 바람직하게는 하한이 3㎛ 이상이고, 상한이 8㎛ 이하이다.
표면 조정제
표면 조정제로서는, 대전 방지제, 굴절률 조정제, 오염 방지제, 발수제, 발유제, 지문 부착 방지제, 고경화제 및 경도 조정제(완충성 부여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대전 방지제( 도전제 )
표면 조정층 속에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광학 적층체의 표 면에 있어서의 먼지 부착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대전 방지제의 구체예로서는, 제 4급 암모늄염, 필리디늄염, 제 1∼제 3 아미노기 등의 카티온성 기를 갖는 각종 카티온성 화합물, 설폰산 염기, 황산 에스테르 염기, 인산 에스테르 염기, 포스폰산 염기 등의 어니온성 기를 갖는 어니온성 화합물, 아미노산계, 아미노황산에스테르계 등의 양성 화합물, 아미노알콜계, 글리세린계, 폴리에틸렌글리콜계 등의 노니온성 화합물, 주석 및 티탄의 알콕시드와 같은 유기 금속 화합물 및 그들의 아세틸아세트네이트염과 같은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상기에 열기한 화합물을 고분자량화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제 3급 아미노기, 제 4급 암모늄기, 또는 금속 킬레이트부를 갖고, 또한 전리 방사선에 의해 중합 가능한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 또는 관능기를 갖는 커플링제와 같은 유기 금속 화합물 등의 중합성 화합물도 대전 방지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초미립자를 들 수 있다. 도전성 초미립자의 구체예로서는,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그와 같은 금속 산화물로서는, ZnO(굴절률 1. 90, 이하 괄호 내의 수치는 굴절률을 나타낸다.), CeO2(1. 95), Sb2O2(1. 71), SnO2(1. 997), ITO라 약칭하여 불리우는 일이 많은 산화인듐주석(1. 95), In2O3(2. 00), Al2O3(1. 63), 안티몬도프산화주석(약칭; ATO, 2. 0), 알루미늄도프산화아연(약칭; AZO, 2. 0) 등을 들 수 있다. 미립자란, 1미크롱 이하의 이른바 서브미크롱의 크기의 것을 가리키고,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경이 0. 1㎚∼0. 1㎛의 것이다.
또한 대전 방지제로서 도전성 폴리머를 들 수 있고, 그 구체예로서는, 지방족 공역계의 폴리아세틸렌, 방향족 공역계의 폴리(파라페닐렌), 복소환식 공역계의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함헤테로원자 공역계의 폴리아닐린, 혼합형 공역계의 폴리(페닐렌비닐렌)를 들 수 있고, 이들 이외에 분자 속에 복수의 공역쇄를 갖는 공역계인 복쇄형 공역계, 상기의 공역 고분자쇄를 포화 고분자로 그라프트 또는 블록 공중합한 고분자인 도전성 복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표면 조정층에 포함되는 수지와 대전 방지제의 첨가비가 5 이상 25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상한이 20 이하이고, 하한이 5 이상이다.
굴절률 조정제
표면 조정층에 굴절률 조정제를 첨가하여 광학 적층체의 광학 특성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굴절률 조정제로는 저굴절률제, 중굴절률제, 고굴절률제 등을 들 수 있다.
1) 저굴절률제
저굴절률제는, 그 굴절률이 눈부심 방지층보다 낮은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눈부심 방지층의 굴절률이 1. 5 이상이고, 저굴절률제의 굴절률이 1. 5 미만이며, 1. 45 이하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굴절률제의 구체예로서는, 실리콘 함유 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를 들 수 있 고, 그 예로서는 불화비닐리덴 30∼90중량%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5∼50중량%를 함유하는 모노머 조성물이 공중합되어 이루어지는 불소 함유 비율이 60∼70중량%인 불소 함유 공중합체 100중량부와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 80∼15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이 불소 함유 공중합체는 불화비닐리덴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을 함유하는 모노머 조성물을 공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 모노머 조성물에 있어서의 각 성분의 비율은 불화비닐리덴이 30∼90중량%, 바람직하게는 40∼8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40∼70중량%이며, 또는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이 5∼50중량%, 바람직하게는 10∼5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5∼45중량%이다. 이 모노머 조성물은 또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0∼40중량%, 바람직하게는 0∼35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30중량% 함유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 불소 함유 공중합체를 얻기 위한 모노머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다른 공중합체 성분이 예를 들면 2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된 것이어도 좋다. 이 공중합체의 구체예로서는, 플루오로에틸렌, 트리플루오로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1, 2―디클로로―1, 2―디플루오로에틸렌, 2―브로모―3, 3, 3―트리플루오로에틸렌, 3―브로모―3, 3―디플루오로프로필렌, 3, 3, 3―트리플루오로프로필렌, 1, 1, 2―트리클로로―3, 3, 3―트리플루오로프로필렌, α―트리플루오로메타크릴산 등의 불소 원자를 갖는 중합성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모노머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불소 함유 공중합체의 불소 함유 비율은 60∼7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2∼7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64∼68중량%이다. 첨가 비율이 이와 같은 범위인 것에 의해 후술의 용제에 대하여 양호한 용해성을 갖는다. 또는 불소 함유 공중합체를 성분으로서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밀착성과, 높은 투명성과, 낮은 굴절률을 갖고,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광학 적층체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불소 함유 공중합체는, 그 분자량이 폴리스티렌 환산 수평균 분자량으로 5000∼200000, 특히 10000∼1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크기의 분자량을 갖는 불소 함유 공중합체를 이용함으로써 얻어지는 불소계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가장 적합한 크기로 되고, 따라서 확실하고 가장 적합한 도포성을 갖는 불소계 수지 조성물로 할 수 있다.
불소 함유 공중합체 자체의 굴절률은 1. 45 이하, 바람직하게는 1. 4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굴절률이 이 범위에 있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광학 적층체의 반사 방지 효과가 바람직한 것으로 된다.
수지의 첨가량은 불소 함유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30∼1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5∼100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40∼70중량부이다. 또한 불소 함유 공중합체와 수지를 포함하는 중합체 형성 성분의 합계량에 있어서의 불소 함유 비율이 30∼55중량%, 바람직하게는 35∼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량 또는 불소 함유 비율이 상기한 범위 내에 있는 것에 의해 표면 조정층의 기재에 대한 밀착성이 양호하게 되고, 또한 굴절률이 낮은 양호한 반사 방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저굴절률제로서 “틈을 갖는 미립자”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틈을 갖는 미립자”는 표면 조정층의 층강도를 유지하면서, 그 굴절률을 낮추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틈을 갖는 미립자”란, 미립자의 내부에 기체가 충전된 구조 및/또는 기체를 포함하는 다공질 구조체를 형성하고, 미립자 본래의 굴절률에 비하여 미립자 속의 기체의 점유율에 반비례하여 굴절률이 저하되는 미립자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미립자의 형태, 구조, 응집 상태, 도막 내부에서의 미립자의 분산 상태에 따라 내부 및/또는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나노포러스 구조의 형성이 가능한 미립자도 포함된다.
틈을 갖는 무기계의 미립자의 구체예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일본 특허 공개2001―233611호 공보에서 개시되어 있는 기술을 이용하여 조제한 실리카 미립자를 들 수 있다. 틈을 갖는 실리카 미립자는 제조가 용이하고, 그 자체의 경도가 높기 때문에 바인더와 혼합하여 표면 조정층을 형성했을 때, 그 층강도가 향상되고, 또한 굴절률을 1. 20∼1. 45 정도의 범위 내로 조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틈을 갖는 유기계의 미립자의 구체예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일본 특허 공개2002―80503호 공보에서 개시되어 있는 기술을 이용하여 조제한 중공 폴리머 미립자를 들 수 있다.
도막의 내부 및/또는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나노포러스 구조의 형성이 가능한 미립자로서는 앞서의 실리카 미립자에 추가하여 비표면적을 크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 제조되고, 충전용의 컬럼 및 표면의 다공질부에 각종 화학 물질을 흡 착시키는 제방재, 촉매 고정용으로 사용되는 다공질 미립자 또는 단열재나 저유전재에 편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중공 미립자의 분산체나 응집체를 들 수 있다. 그와 같은 구체예로서는, 시판품으로서 닛폰 실리카 공업 주식회사제의 상품명 Nipsil이나 Nipgel 중에서 다공질 실리카 미립자의 집합체, 닛산 화학 공업(주)제의 실리카 미립자가 쇄상으로 이어진 구조를 갖는 콜로이달실리카UP시리즈(상품명)로부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입자 직경의 범위 내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틈을 갖는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5㎚ 이상 30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하한이 8㎚ 이상이고, 상한이 10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한이 10㎚ 이상이고, 상한이 80㎚ 이하이다.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이 이 범위 내에 있는 것에 의해 표면 조정층이 우수한 투명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 고굴절률제 / 중굴절률제
고굴절률제, 중굴절률제는 반사 방지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 조정층에 첨가되어도 좋다. 고굴절률제, 중굴절률제의 굴절률은 1. 46∼2. 00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어도 좋고, 중굴절률제는, 그 굴절률이 1. 46∼1. 80의 범위 내의 것을 의미하며, 고굴절률제는, 그 굴절률이 1. 65∼2. 00의 범위 내의 것을 의미한다.
이들 굴절률제는 미립자를 들 수 있고, 그 구체예(괄호 내는 굴절률을 나타낸다)로서는, 산화아연(1. 90), 티타니아(2. 3∼2. 7), 세리아(1. 95), 주석도프산화인듐(1. 95), 안티몬도프산화주석(1. 80), 이트리아(1. 87), 지르코니아(2. 0)를 들 수 있다.
레벨링제
표면 조정층은 레벨링제를 첨가할 수 있다. 레벨링제의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불소계 또는 실리콘계 등을 들 수 있다. 레벨링제를 첨가한 표면 조정층은 도공면을 양호하게 하고, 도포 또는 건조 시에 도막 표면에 대하여 산소에 의한 경화 저해를 유효하게 방지하며, 또한 내찰상성의 효과를 부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오염 방지제
표면 조정층은 오염 방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오염 방지제는 광학 적층체의 최표면의 오염 방지를 주목적으로 하고, 또한 광학 적층체의 내찰성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오염 방지제의 구체예로서는, 발수성, 발유성, 지문 제거성을 발현하는 첨가제가 유효하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불소계 화합물, 규소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퍼플로로옥틸에틸트리아민실란 등의 플로로알킬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아미노기를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
표면 조정층은 적어도 표면 조정제와 수지(모노머, 올리고머 등의 수지 성분을 포함한다)에 의해 조정되어도 좋다. 표면 조정제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 수지가 고효과제로서, 또는 눈부심 방지층의 요철을 활면으로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수지로서는, 투명성의 것이 바람직하고, 그 구체예로서는, 자외선 또는 전자선에 의해 경화하는 수지인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용제 건조형 수지의 혼합물, 또는 열경화형 수지의 3종류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들 수 있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아크릴레이트계의 관능기를 갖는 것, 예를 들면 비교적 저분자량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스피로아세탈 수지, 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티올폴리엔 수지, 다가알콜 등의 다관능 화합물의 (메타)알릴레이트 등의 올리고머 또는 프레폴리머, 반응성 희석제를 들 수 있고, 이들의 구체예로서는,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메틸스티렌, N―비닐피롤리돈 등의 단관능 모노머 및 다관능 모노머, 예를 들면 폴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1, 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중합 개시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의 구체예로서는,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미힐러벤조일벤조에이트, α―아미록심에스테르, 티옥산톤류를 들 수 있다. 또한 광증감제를 혼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구체예로서는, n―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폴리―n―부틸포스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중합 개시제 또는 광중합 촉진제를 첨가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래디컬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수지계의 경우는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티옥산톤류,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이용한다. 또한 카티온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수지계의 경우는 광중합 개시제로서,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설포늄염, 방향족 요드늄염, 메탈로센 화합물, 벤조인설폰산에스테르 등을 단독 또는 혼합물로서 이용한다. 광중합 개시제의 첨가량은 전리 방사선 경화성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 1∼10중량부이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에 혼합하여 사용되는 용제 건조형 수지로서는, 주로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는 일반적으로 예시되는 것이 이용된다. 용제 건조형 수지의 첨가에 의해 도포면의 도막 결함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열가소성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아세트산비닐계 수지, 비닐에테르계 수지, 할로겐 함유 수지, 지환식 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셀룰로오스 유도체, 실리콘계 수지 및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수지로서는, 통상 비결정성이고, 또한 유기 용매(특히 복수의 폴리머나 경화성 화합물을 용해 가능한 공통 용매)에 가용한 수지가 사용된다. 특히 성형성 또는 제막성, 투명성이나 내후성이 높은 수지, 예를 들면 스티렌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지환식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셀룰로오스 유도체(셀룰로오스에스테르류 등)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광투과성 기재의 재료가 TAC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셀룰로오스계 수지, 예를 들면 니트로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광투과성 기재와 대전 방지층(필요에 따라서)의 밀착성과 투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아세틸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아세틸부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외에, 아세트산비닐 및 그 공중합체, 염화비닐 및 그 공중합체, 염화비닐리덴 및 그 공중합체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부티랄 등의 아세탈 수지, 아크릴 수지 및 그 공중합체, 메타아크릴 수지 및 그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멜라닌 수지, 구아나민 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아미노알키드 수지, 멜라민―요소 공축합 수지, 규소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서 가교제, 중합 개시제 등의 경화제, 중합 촉진제, 용제, 점도 조정제 등을 더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
표면 조정층을 형성할 때에 광중합 개시제를 이용할 수 있고, 그 구체예로서 는,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을 들 수 있다. 이 화합물은 시장 입수 가능하고, 예를 들면 상품명 이르가큐어184(치바 스페셜리티 케미컬즈사제)를 들 수 있다.
용제
표면 조정층을 형성하는 데는, 상기 성분을 용제와 함께 혼합한 표면 조정층용 조성물을 이용한다. 용제의 구체예로서는, 이소프로필알콜,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콜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할로겐화 탄화수소;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케톤류, 에스테르류를 들 수 있다.
표면 조정층의 형성법
표면 조정층은 표면 조정층용 조성물을 눈부심 방지층에 부여함으로써 형성되어도 좋다. 표면 조정층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롤 코트법, 미야바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등의 도포 방법을 들 수 있다. 표면 조정층용 조성물의 도포 후에 건조와 자외선 경화를 실시한다. 자외선원의 구체예로서는, 초고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카본 아크등, 블랙 라이트 형광등, 메탈할라이드램프등의 광원을 들 수 있다. 자외선의 파장으로서는, 190∼380㎚의 파장역을 사용할 수 있다. 전자선원의 구체예로서는, 콕크로프트왈트형, 반데그래프트형, 공 진 변압기형, 절연 코어 변압기형, 또는 직선형, 다이나미트론형, 고주파형 등의 각종 전자선 가속기를 들 수 있다.
4. 임의의 층
본 발명에 의한 광학 적층체는 광투과성 기재와, 눈부심 방지층과, 필요에 따라서 표면 조정층에 의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데, 임의의 층으로서 대전 방지층, 저굴절률층, 오염 방지층 등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다. 임의의 층은, 그것이 형성된 본 발명에 의한 광학 적층체의 최표면의 요철 형상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눈부심 방지층의 표면 요철 형상의 광학 특성값과 당연히 일치하는 것은 앞서 서술한 대로이다. 저굴절률층은 눈부심 방지층 또는 표면 조정층의 굴절률보다도 낮은 굴절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전 방지층, 저굴절률층, 오염 방지층은 표면 조정층에서 설명한, 대전 방지제, 저굴절률제, 오염 방지제 등에 수지 등을 첨가한 조성물을 조정하여 각각의 층을 형성해도 좋다. 따라서 대전 방지제, 저굴절률제, 오염 방지제, 수지 등이 동일해도 좋다.
5. 광투과성 기재
광투과성 기재는 평활성, 내열성을 구비하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광투과성 기재를 형성하는 재료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 리에테르설폰, 폴리설폰,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우레탄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를 들 수 있다. 그 밖에 지환 구조를 가진 비정질 올레핀폴리머(Cyclo―Olefin―Polymer: COP) 필름도 있고, 이것은 노르보르넨계 중합체, 단환의 환상 올레핀계 중합체, 환상 공역 디엔계 중합체, 비닐 지환식 탄화수소계 중합체 수지 등이 이용되는 기재로, 예를 들면 닛폰 제온(주)제의 제오넥스나 제오노아(노르보르넨계 수지), 스미토모 베이크라이트(주)제의 스미라이트FS―1700, JSR(주)제 아톤(변성 노르보르넨계 수지), 미츠이 화학(주)제의 아펠(환상 올레핀 공중합체), Ticona사제의 Topas(환상 올레핀 공중합체), 히다치 가세이(주)제의 옵트레츠OZ―1000시리즈(지환식 아크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의 대체 기재로서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제의 FV시리즈(저복굴절률, 저광탄성률 필름)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 열가소성 수지를 박막의 유연성에 풍부한 필름 형상체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경화성이 요구되는 사용 형태에 따라서 이들 열가소성 수지의 판 또는 유리판의 판 형상체의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광투과성 기재의 두께는 20㎛ 이상 30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이며, 하한이 30㎛ 이상이다. 광투과성 기재가 판 형상체인 경우에는 이들 두께를 넘는 두께이어도 좋다. 기재는, 그 위에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할 때에 접착성 향상을 위해 코로나 방전 처리, 산화 처리 등의 물리적인 처리 외에, 앵커제 또는 프 라이머라 불리우는 도료의 도포를 미리 실시해도 좋다.
광학 적층체의 이용
본 발명에 의한 제조 방법에 따라서 제조되는 광학 적층체는 하기의 용도를 갖는다.
편광판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편광 소자와 본 발명에 의한 광학 적층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편광 소자의 표면에 본 발명에 의한 광학 적층체를 해당 광학 적층체에서의 눈부심 방지층이 존재하는 면과 반대의 면에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편광 소자는 예를 들면 옥소 또는 염료에 의해 염색하고,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폴리비닐알콜 필름, 폴리비닐포르말 필름, 폴리비닐아세탈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비누화 필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라미네이트 처리에 있어서, 접착성의 증가를 위해, 또는 대전 방지를 위해 광투과성 기재(바람직하게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에 비누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이 화상 표시 장치는 투과성 표시체와, 상기 투과성 표시체를 배면으로부터 조사하는 광 원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 투과성 표시체의 표면에 본 발명에 의한 광학 적층체 또는 본 발명에 의한 편광판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표시 장치는 기본적으로는 광원 장치(백라이트)와, 표시 소자와, 본 발명에 의한 광학 적층체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화상 표시 장치는 투과형 표시 장치에 이용되고, 특히 TV, 컴퓨터, 워드 프로세서 등의 디스플레이 표시에 사용된다. 특히 CRT, 액정 패널 등의 고정밀 화상용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이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표시 장치가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 광원 장치의 광원은 본 발명에 의한 광학 적층체의 하측으로부터 조사된다. 또한 STN형의 액정 표시 장치에는 액정 표시 소자와 편광판의 사이에 위상차판이 삽입되어도 좋다. 이 액정 표시 장치의 각 층간에는 필요에 따라서 접착제층이 설치되어도 좋다.
(실시예)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의 실시 형태에 의해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내용은 이들 실시 형태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부” 및 “%”는 질량 기준이다.
광학 적층체를 구성하는 각 층의 조성물을 하기의 조성에 따라서 조제했다. 조성의 개요는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았다.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의 조제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1
실리카 함유 도료 조성물(다이니치 세이카(주)제, 상품명; “EXG40―77(D―30M)”(부정형 실리카의 평균 입자 직경: 1. 5㎛))을 이용하여 수지(바인더) 100질량부에 대해서 부정형 실리카(평균 입자 직경: 1. 5㎛)가 7. 5질량부, 단분산 아크릴비드를 30질량부((주)닛폰 촉매제, 입경 5. 0㎛, 굴절률 1. 53)로 되도록 하기의 조성의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1을 조제했다.
자외선 경화형 수지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PETA)를 20. 83질량부(닛폰 가야쿠사제, 굴절률 1. 51), 자외선 경화형 수지인 DPHA를 7. 34질량부(닛폰 가야쿠(주)제, 굴절률 1. 51), 아크릴계 폴리머를 2. 10질량부(더ㆍ잉크테크제, 상품명; “HRAG아크릴”분자량 75, 000), 셀룰로오스계 폴리머(프로피온산셀룰로오스)를 0. 90질량부(다이니치 세이카제, 상품명; “CAP―10V”), 광경화 개시제인 이르가큐어184를 1. 82질량부(치바 가이기사제), 마찬가지로 광경화 개시제인 이르가큐어907을 0. 23질량부(치바 가이기사제), 투광성 미립자로서의 단분산아크릴비드를 8. 39질량부((주)닛폰 촉매제, 입경 5. 0㎛, 굴절률 1. 53),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함유시키는 무기의 부정형 실리카를 3. 13질량부(다이니치 세이카(주)제, 상품명; “EXG40―77(D―30M)”에 함유되어 있는 부정형 실리카, 평균 입자 직경 1. 5㎛, 굴절률 1. 46), 실리콘계 레벨링제 10―28을 0. 09질량부(더ㆍ잉크테크사제), 실리콘계 레벨링제 10―301을 0. 07질량부(다이니치 세이카사제), 톨루엔을 45. 25질량부 및 시클로헥사논 9. 72질량부를 충분히 혼합하여 도포액으로서 조제 했다. 이 도포액을 구멍 직경 80㎛의 폴리프로필렌제 필터로 여과하여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1을 조제했다.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2
실리카 함유 도료 조성물(다이니치 세이카(주)제, 상품명; “EXG40―77(D―30M)”(부정형 실리카의 평균 입자 직경: 1. 5㎛))을 이용하여 수지(바인더) 100질량부에 대해서 부정형 실리카(평균 입자 직경: 1. 5㎛)가 7. 5질량부, 단분산 아크릴비드를 20질량부((주)닛폰 촉매제, 입경 5. 0㎛, 굴절률 1. 53)로 되도록 하기 조성의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2를 조제했다.
자외선 경화형 수지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PETA)를 22. 39질량부(닛폰 가야쿠사제, 굴절률 1. 51), 자외선 경화형 수지인 DPHA를 7. 87질량부(닛폰 가야쿠(주)제, 굴절률 1. 51), 아크릴계 폴리머를 2. 25질량부(더ㆍ잉크테크제, 상품명; “HRAG아크릴”분자량 75, 000), 셀룰로오스계 폴리머(프로피온산셀룰로오스)를 0. 97질량부(다이니치 세이카제, 상품명; “CAP―10V”), 광경화 개시제인 이르가큐어184를 1. 95질량부(치바 가이기사제), 마찬가지로 광경화 개시제인 이르가큐어907을 0. 25질량부(치바 가이기사제), 투광성 미립자로서의 단분산 아크릴비드를 6. 00질량부((주)닛폰 촉매제, 입경 5. 0㎛, 굴절률 1. 53),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함유시키는 무기의 부정형 실리카를 3. 37질량부(다이니치 세이카(주)제, 상품명; “EXG40―77(D―30M)”에 함유되어 있는 부정형 실리카, 평균 입자 직경 1. 5㎛, 굴절률 1. 46), 실리콘계 레벨링제 10―28을 0. 09질량부(더ㆍ잉크테크사 제), 실리콘계 레벨링제 10―301을 0. 08질량부(다이니치 세이카사제), 톨루엔을 45. 07질량부 및 시클로헥사논 9. 55질량부를 충분히 혼합하여 도포액으로서 조제했다. 이 도포액을 구멍 직경 80㎛의 폴리프로필렌제 필터로 여과하여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2를 조제했다.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3
실리카 함유 도료 조성물(다이니치 세이카(주)제, 상품명; “EXG40―77(ZZ―15M)”(부정형 실리카의 평균 입자 직경: 2. 5㎛))을 이용하여 수지(바인더) 100질량부에 대해서 부정형 실리카(평균 입자 직경: 2. 5㎛)가 7. 5질량부, 단분산 아크릴비드를 30질량부((주)닛폰 촉매제, 입경 7. 0㎛, 굴절률 1. 53)로 되도록 하기 조성의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3을 조제했다.
자외선 경화형 수지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PETA)를 26. 80질량부(닛폰 가야쿠사제, 굴절률 1. 51), 자외선 경화형 수지인 DPHA를 5. 13질량부(닛폰 가야쿠(주)제, 굴절률 1. 51), 아크릴계 폴리머를 1. 47질량부(더ㆍ잉크테크제, 상품명; “HRAG아크릴”분자량 75, 000), 셀룰로오스계 폴리머(프로피온산셀룰로오스)를 2. 16질량부(다이니치 세이카제, 상품명; “CAP―10V”), 광경화 개시제인 이르가큐어184를 2. 00질량부(치바 가이기사제), 마찬가지로 광경화 개시제인 이르가큐어907을 0. 16질량부(치바 가이기사제), 투광성 미립자로서의 단분산 아크릴비드를 8. 41질량부((주)닛폰 촉매제, 입경 7. 0㎛, 굴절률 1. 53),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함유시키는 무기의 부정형 실리카를 3. 09질량부(다이니치 세이카(주)제, 상품명; “EXG40―77(Z―15M)”에 함유되어 있는 부정형 실리카, 평균 입자 직경 2. 5㎛, 굴절률 1. 46), 실리콘계 레벨링제 10―28을 0. 06질량부(더ㆍ잉크테크사제), 실리콘계 레벨링제 10―301을 0. 17질량부(다이니치 세이카사제), 톨루엔을 42. 66질량부 및 시클로헥사논 7. 54질량부를 충분히 혼합하여 도포액으로서 조제했다. 이 도포액을 구멍 직경 80㎛의 폴리프로필렌제 필터로 여과하여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3을 조제했다.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4
실리카 함유 도료 조성물(다이니치 세이카(주)제, 상품명; “EXG40―77(ZZ―15M)”(부정형 실리카의 평균 입자 직경: 2. 5㎛))을 이용하여 수지(바인더) 100질량부에 대해서 부정형 실리카(평균 입자 직경: 2. 5㎛)가 7. 5질량부, 단분산 아크릴비드를 20질량부((주)닛폰 촉매제, 입경 7. 0㎛, 굴절률 1. 53)로 되도록 하기 조성의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4를 조제했다.
자외선 경화형 수지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PETA)를 28. 83질량부(닛폰 가야쿠사제, 굴절률 1. 51), 자외선 경화형 수지인 DPHA를 5. 50질량부(닛폰 가야쿠(주)제, 굴절률 1. 51), 아크릴계 폴리머를 1. 57질량부(더ㆍ잉크테크제, 상품명; “HRAG아크릴”분자량 75, 000), 셀룰로오스계 폴리머(프로피온산셀룰로오스)를 2. 33질량부(다이니치 세이카제, 상품명; “CAP―10V”), 광경화 개시제인 이르가큐어184를 2. 15질량부(치바 가이기사제), 마찬가지로 광경화 개시제인 이르가큐어907을 0. 17질량부(치바 가이기사제), 투광성 미립자로서의 단분산 아크릴비 드를 6. 01질량부((주)닛폰 촉매제, 입경 7. 0㎛, 굴절률 1. 53),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함유시키는 무기의 부정형 실리카를 3. 33질량부(다이니치 세이카(주)제, 상품명; “EXG40―77(Z―15M)”에 함유되어 있는 부정형 실리카, 평균 입자 직경 2. 5㎛, 굴절률 1. 46), 실리콘계 레벨링제 10―28을 0. 06질량부(더ㆍ잉크테크사제), 실리콘계 레벨링제 10―301을 0. 17질량부(다이니치 세이카사제), 톨루엔을 42. 28질량부 및 시클로헥사논 7. 20질량부를 충분히 혼합하여 도포액으로서 조제했다. 이 도포액을 구멍 직경 80㎛의 폴리프로필렌제 필터로 여과하여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4를 조제했다.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5
투광성 미립자로서 입자 직경이 9. 5㎛인 단분산 아크릴비드((주)닛폰 촉매제, 굴절률 1. 53)로 바꾼 이외는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3과 마찬가지로 하여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5를 조제했다.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6
실리카 함유 도료 조성물(다이니치 세이카(주)제, 상품명; “EXG40―77(ZZ―15M)”(부정형 실리카의 평균 입자 직경: 2. 5㎛))을 이용하여 수지(바인더) 100질량부에 대해서 부정형 실리카(평균 입자 직경: 2. 5㎛)가 10질량부, 단분산 아크릴비드를 40질량부((주)닛폰 촉매제, 입경 9. 5㎛, 굴절률 1. 53)로 되도록 하기 조성의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6을 조제했다.
자외선 경화형 수지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PETA)를 27. 72질량부(닛폰 가야쿠사제, 굴절률 1. 51), 자외선 경화형 수지인 DPHA를 3. 58질량부(닛폰 가야쿠(주)제, 굴절률 1. 51), 아크릴계 폴리머를 1. 02질량부(더ㆍ잉크테크제, 상품명; “HRAG아크릴”분자량 75, 000), 셀룰로오스계 폴리머(프로피온산셀룰로오스)를 2. 64질량부(다이니치 세이카제, 상품명; “CAP―10V”), 광경화 개시제인 이르가큐어184를 1. 94질량부(치바 가이기사제), 마찬가지로 광경화 개시제인 이르가큐어907을 0. 11질량부(치바 가이기사제), 투광성 미립자로서의 단분산 아크릴비드를 10. 37질량부((주)닛폰 촉매제, 입경 9. 5㎛, 굴절률 1. 53),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함유시키는 무기의 부정형 실리카를 3. 77질량부(다이니치 세이카(주)제, 상품명; “EXG40―77(Z―15M)”에 함유되어 있는 부정형 실리카, 평균 입자 직경 2. 5㎛, 굴절률 1. 46), 실리콘계 레벨링제 10―28을 0. 04질량부(더ㆍ잉크테크사제), 실리콘계 레벨링제 10―301을 0. 21질량부(다이니치 세이카사제), 톨루엔을 41. 60질량부 및 시클로헥사논 6. 58질량부를 충분히 혼합하여 도포액으로서 조제했다. 이 도포액을 구멍 직경 80㎛의 폴리프로필렌제 필터로 여과하여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6을 조제했다.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7
자외선 경화형 수지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PETA)를 15. 24질량부(닛폰 가야쿠(주)제, 굴절률 1. 51), 자외선 경화형 수지인 DPHA를 8. 21질량부(닛폰 가야쿠(주)제, 굴절률 1. 51), 아크릴계 폴리머(미츠비시 레이욘제, 분자량 75, 000)를 2. 34질량부, 광경화 개시제인 이르가큐어184를 1. 55질량부(치바 가이기(주)제), 광경화 개시제인 이르가큐어907을 0. 26질량부(치바 가이기(주)제), 제 1 투광성 미립자로서의 단분산 아크릴비드를 9. 03질량부((주)닛폰 촉매제, 입경 7. 0㎛, 굴절률 1. 53), 제 2 투광성 미립자로서의 단분산 아크릴비드를 3. 87질량부((주)닛폰 촉매제, 입경 2. 0㎛, 굴절률 1. 53), 실리콘계 레벨링제 10―28(더ㆍ잉크테크(주)제)을 0. 01질량부, 톨루엔을 47. 51질량부 및 시클로헥사논을 11. 90질량부를 충분히 혼합하여 도포액으로서 조제했다. 이 도포액을 구멍 직경 30㎛의 폴리프로필렌제 필터로 여과하여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7을 조제했다.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8
실리카 함유 도료 조성물(다이니치 세이카(주)제, 상품명; “EXG40―77(ZZ―15M)”(부정형 실리카의 평균 입자 직경: 2. 5㎛))을 이용하여 수지(바인더) 100질량부에 대해서 부정형 실리카(평균 입자 직경: 2. 5㎛)가 7. 5질량부, 단분산 아크릴비드를 30질량부((주)닛폰 촉매제, 입경 9. 5㎛, 굴절률 1. 53), 멜라민ㆍ포름알데히드 축합물 미립자를 10질량부((주)닛폰 촉매제, 입경 1. 8㎛, 굴절률 1. 68)로 되도록 하기 조성의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8을 조제했다.
자외선 경화형 수지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PETA)를 25. 03질량부(닛폰 가야쿠사제, 굴절률 1. 51), 자외선 경화형 수지인 DPHA를 4. 80질량부(닛폰 가야쿠(주)제, 굴절률 1. 51), 아크릴계 폴리머를 1. 37질량부(더ㆍ잉크테크제, 상품명; “HRAG아크릴”분자량 75, 000), 셀룰로오스계 폴리머(프로피온산셀룰로오 스)를 2. 01질량부(다이니치 세이카제, 상품명; “CAP―10V”), 광경화 개시제인 이르가큐어184를 1. 87질량부(치바 가이기사제), 마찬가지로 광경화 개시제인 이르가큐어907을 0. 15질량부(치바 가이기사제), 제 1 투광성 미립자로서의 단분산 아크릴비드를 7. 35질량부((주)닛폰 촉매제, 입경 7. 0㎛, 굴절률 1. 53), 제 2 투광성 미립자로서의 멜라민ㆍ포름알데히드 축합물 미립자를 3. 15질량부((주)닛폰 촉매제, 입경 1. 8㎛, 굴절률 1. 68),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함유시키는 무기의 부정형 실리카를 2. 88질량부(다이니치 세이카(주)제, 상품명; “EXG40―77(Z―15M)”에 함유되어 있는 부정형 실리카, 평균 입자 직경 2. 5㎛, 굴절률 1. 46), 실리콘계 레벨링제 10―28을 0. 06질량부(더ㆍ잉크테크사제), 실리콘계 레벨링제 10―301을 0. 16질량부(다이니치 세이카사제), 톨루엔을 43. 00질량부 및 시클로헥사논 7. 84질량부를 충분히 혼합하여 도포액으로서 조제했다. 이 도포액을 구멍 직경 80㎛의 폴리프로필렌제 필터로 여과하여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8을 조제했다.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9
부정형 실리카 함유 도료 조성물(다이니치 세이카(주)제, 상품명; “EXG40―77(Z―15M)”(부정형 실리카의 평균 입자 직경: 2. 5㎛))을 3. 3g,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다이니치 세이카(주)제, 상품명; “EXG40―77(S―2)”)을 1. 5g, 실리콘계 레벨링제 10―28을 0. 03g(더ㆍ잉크테크사제), 톨루엔을 3. 3g 및 MIBK 1. 1g을 충분히 혼합하여 도포액으로서 조제했다. 이 도포액을 구멍 직경 80㎛의 폴리프로필렌제 필터로 여과하여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9를 조제했다.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10
부정형 실리카 함유 도료 조성물(다이니치 세이카(주)제, 상품명; “EXG40―77(D―30M)”(부정형 실리카의 평균 입자 직경: 1. 5㎛))을 3. 5g,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다이니치 세이카(주)제, 상품명; “EXG40―77(S―2)”)을 1. 6g, 실리콘계 레벨링제 10―28을 0. 03g(더ㆍ잉크테크사제), 톨루엔을 3. 3g 및 MIBK 1. 2g을 충분히 혼합하여 도포액으로서 조제했다. 이 도포액을 구멍 직경 80㎛의 폴리프로필렌제 필터로 여과하여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10을 조제했다.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11
자외선 경화형 수지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PETA)를 18. 29질량부(닛폰 가야쿠(주)제, 굴절률 1. 51), 자외선 경화형 수지인 DPHA를 9. 11질량부(닛폰 가야쿠(주)제, 굴절률 1. 51), 아크릴계 폴리머(미츠비시 레이욘제, 분자량 75, 000)를 2. 46질량부, 광중합 개시제인 이르가큐어184를 2. 01질량부(치바 가이기(주)제), 광중합 개시제인 이르가큐어907을 0. 28질량부(치바 가이기(주)제), 투광성 미립자로서의 단분산 아크릴비드를 5. 97질량부((주)닛폰 촉매제, 입경 3. 5㎛, 굴절률 1. 535), 단분산 스티렌=아크릴비드를 2. 36질량부(세키스이 가세이힝 공업(주)제 XX42C, 입경 3. 5㎛, 굴절률 1. 555), 실리콘계 레벨링제 10―28(더ㆍ잉크테크(주)제)을 0. 012질량부, 톨루엔을 47. 10질량부 및 시클로헥사논을 12. 29질량부를 충분히 혼합하여 조성물로서 조제했다. 이 조성물을 구멍 직경 30㎛의 폴리프로필렌제 필터로 여과하여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11을 조제했다.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12
자외선 경화형 수지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PETA)를 18. 03질량부(닛폰 가야쿠(주)제, 굴절률 1. 51), 자외선 경화형 수지인 DPHA를 8. 07질량부(닛폰 가야쿠(주)제, 굴절률 1. 51), 아크릴계 폴리머(미츠비시 레이욘제, 분자량 75, 000)를 2. 19질량부, 광중합 개시제인 이르가큐어184를 2. 10질량부(치바 가이기(주)제), 광중합 개시제인 이르가큐어907을 0. 251질량부(치바 가이기(주)제), 투광성 미립자로서의 단분산 아크릴비드를 5. 66질량부((주)닛폰 촉매제, 입경 3. 5㎛, 굴절률 1. 535), 단분산 스티렌비드를 4. 19질량부(소켄 가가쿠(주)제 SX350H, 입경 3. 5㎛, 굴절률 1. 60), 실리콘계 레벨링제 10―28(더ㆍ잉크테크(주)제)을 0. 108질량부, 톨루엔을 48. 32질량부 및 시클로헥사논 11. 08질량부를 충분히 혼합하여 조성물로서 조제했다. 이 조성물을 구멍 직경 30㎛의 폴리프로필렌제 필터로 여과하여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12를 조제했다.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13
자외선 경화형 수지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PETA)를 17. 96질량부(닛폰 가야쿠(주)제, 굴절률 1. 51), 자외선 경화형 수지인 DPHA를 8. 14질량부(닛폰 가야쿠(주)제, 굴절률 1. 51), 아크릴계 폴리머(미츠비시 레이욘제, 분자량 75, 000)를 2. 25질량부, 광중합 개시제인 이르가큐어184를 1. 98질량부(치바 가이기(주)제), 광중합 개시제인 이르가큐어907을 0. 264질량부(치바 가이기(주)제), 투광성 미립자로서의 단분산 아크릴비드를 7. 11질량부((주)닛폰 촉매제, 입경 5. 0㎛, 굴절률 1. 535), 단분산 스티렌비드를 7. 11질량부(소켄 가가쿠(주)제 SX150HLR, 입경 1. 5㎛, 굴절률 1. 565), 실리콘계 레벨링제 10―28(더ㆍ잉크테크(주)제)을 0. 112질량부, 톨루엔을 47. 456질량부 및 시클로헥사논 11. 94질량부를 충분히 혼합하여 조성물로서 조제했다. 이 조성물을 구멍 직경 30㎛의 폴리프로필렌제 필터로 여과하여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13을 조제했다.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14
부정형 실리카 매트제 분산 잉크: EXG40―77(D―30M)(평균 입자 직경 1. 5㎛의 부정형 실리카의 수지(PETE) 분산액: 다이니치 세이카제)을 이용하여 전체 고형량에 있어서의 수지의 총량을 100질량부로 했을 때에 투광성 미립자로서의 단분산 아크릴비드((주)닛폰 촉매제, 입경 5. 0㎛, 굴절률 1. 535)가 40질량부이고, 부정형 실리카가 8. 0질량부로 되도록 조제하여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14로 했다.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15
부정형 실리카 매트제 분산 잉크: EXG40―77(D―30M)(평균 입자 직경 1. 5㎛의 부정형 실리카의 수지(PETE) 분산액: 다이니치 세이카제)을 이용하여 전체 고형량에 있어서의 수지의 총량을 100질량부로 했을 때에 투광성 미립자로서의 단분산 아크릴비드((주)닛폰 촉매제, 입경 5. 0㎛, 굴절률 1. 535)가 70질량부이고, 부정형 실리카가 8.0질량부로 되도록 조제하여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15로 했다.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16
부정형 실리카 매트제 분산 잉크: EXG40―77(D―30M)(평균 입자 직경 1. 5㎛의 부정형 실리카의 수지(PETE) 분산액: 다이니치 세이카제)을 이용하여 전체 고형량에 있어서의 수지의 총량을 100질량부로 했을 때에 투광성 미립자로서의 단분산 아크릴비드((주)닛폰 촉매제, 입경 5. 0㎛, 굴절률 1. 535)가 4질량부이고, 부정형 실리카가 8. 0질량부로 되도록 조제하여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16으로 했다.
표면 조정층용 조성물의 조제
표면 조정층용 조성물 Ⅰ
자외선 경화형 수지인 DPHA를 39. 30질량부(닛폰 가야쿠(주)제, 굴절률 1. 51), 아크릴계 폴리머(미츠비시 레이욘제, 분자량 40, 000)를 3. 13질량부, 광경화 개시제인 이르가큐어184를 2. 12질량부(치바 가이기(주)제), 마찬가지로 광경화 개시제인 이르가큐어907을 0. 43질량부(치바 가이기(주)제), 실리콘계 레벨렝제 10―28(더ㆍ잉크테크(주)제)을 0. 19질량부, 톨루엔을 49. 35질량부 및 시클로헥사논 5. 48질량부를 충분히 혼합하여 도포액으로서 조제했다. 이 도포액을 구멍 직경 10㎛의 폴리프로필렌제 필터로 여과하여 표면 조정층용 조성물 Ⅰ을 조제했다.
표면 조정층용 조성물 Ⅱ
대전 방지층의 재료인 C―4456 S―7(ATO함유 도전 잉크, ATO의 평균 입경 300∼400㎚, 고형분 농도 45%, 닛폰 페르녹스(주)제) 21. 6g 및 자외선 경화형 수 지인 DPHA를 28. 69g(닛폰 가야쿠(주)제, 굴절률 1. 51), 광경화 개시제인 이르가큐어184를 1. 56g(치바 가이기(주)제), MIBK(메틸이소부틸케톤)를 33. 7g 및 시클로헥사논 14. 4g을 충분히 혼합하여 도포액으로서 조제했다. 이 도포액을 구멍 직경 30㎛의 폴리프로필렌제 필터로 여과하여 표면 조정층용 조성물 Ⅱ를 조제했다.
표면 조정층용 조성물 Ⅲ
지르코니아 함유 도료 조성물(JSR(주)제, 상품명; “KZ7973”, 굴절률: 1. 69의 수지 매트릭스, 고형분 50%)을 이용하여 수지 매트릭스의 굴절률이 1. 60으로 되도록 하기 조성의 활성층용 도포액 3을 조제했다.
자외선 경화형 수지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PETA)를 18. 59질량부(닛폰 가야쿠(주)제, 굴절률 1. 51),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함유시켜서 수지 매트릭스를 발현시키기 위한 지르코니아 17. 18질량부(JSR(주)제, 상품명; “KZ7973”에 함유되어 있는 지르코니아, 평균 입자 직경 40∼60㎚, 굴절률 2. 0), 지르코니아 분산제 1. 22질량부(마찬가지로 JSR(주)제, 상품명; “KZ7973”에 함유되어 있는 지르코니아 분산 안정제), 아크릴계 폴리머(미츠비시 레이욘제, 분자량 40, 000)를 0. 94질량부, 광경화 개시제인 이르가큐어184를 1. 56질량부(치바 가이기(주)제), 마찬가지로 광경화 개시제인 이르가큐어907을 0. 26질량부(치바 가이기(주)제), 실리콘계 레벨링제 10―28(더ㆍ잉크테크(주)제)을 0. 039질량부, 톨루엔을 14. 34질량부 및 시클로헥사논을 15. 76질량부, MEK 2. 80질량부를 충분히 혼합하여 도포액으로서 조제했다. 이 도포액을 구멍 직경 30㎛의 폴리프로필렌제 필터 로 여과하여 표면 조정층용 조성물 Ⅲ을 조제했다.
저굴절률층용 조성물의 조제
저굴절률층용 조성물 1
불소 수지계 저반사층 형성용 도료 조성물 34. 14g(JSR(주)제, 상품명; “TM086”)에 대하여 광중합 개시제(JSR(주)제, 상품명; “JUA701”) 0. 85g, MIBK 65g을 첨가, 교반 후 구멍 직경 10㎛의 폴리프로필렌제 필터로 여과하여 저굴절률층용 조성물 1을 조제했다.
저굴절률층용 조성물 2
하기 조성표의 성분을 교반한 후 구멍 직경 10㎛의 폴리프로필렌제 필터로 여과하여 저굴절률층용 조성물 2를 조제했다.
표면 처리 실리카졸(틈을 갖는 미립자) 14. 3중량부
(20% 메틸이소부틸케톤 용액 사용)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PETA 닛폰 가야쿠(주)제, 굴절률 1. 51) 1. 95중량부
이르가큐어907(치바 스페셜리티 케미컬즈사제) 0. 1중량부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오일 TSF4460 0. 15중량부
(상품명, GE도시바 실리콘사제)
메틸이소부틸케톤 83. 5중량부
대전 방지층용 조성물의 조제
대전 방지층의 재료는 C―4456 S―7(ATO함유 도전 잉크, ATO의 평균 입경 300∼400㎚, 고형분 농도 45%, 닛폰 페르녹스(주)제) 2. 0g 및 메틸이소부틸케톤 2. 84g, 시클로헥사논 1. 22g을 첨가, 교반 후 구멍 직경 30㎛의 폴리프로필렌제 필터로 여과하여 대전 방지층용 조성물을 조제했다.
광학 적층체의 제조
각 광학 적층체를 하기와 같이 하여 제조했다.
실시예 1
눈부심 방지층의 형성
80㎛ 두께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TD80U, 후지 사진 필름(주)제)을 투명 기재로서 이용해서,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1을 코팅용 권선 로드(메이어스 바)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70℃의 오븐 속에서 1분간 가열 건조하여 용제분을 증발시킨 후 질소 퍼지 하(산소 농도 200ppm 이하)에서 자외선을 조사선량이 30mJ로 되도록 하프 큐어에서의 조사를 하여 도막을 경화시키고, 막두께가 5㎛인 눈부심 방지성 하드 코트층을 형성했다. 또한 투광성 미립자는 입자 직경이 5. 0㎛인 단분산 아크릴비드와 부정형 실리카(평균 입자 직경 1. 5㎛)의 혼합 입자계를 사용했다.
표면 조정층의 형성
눈부심 방지층의 위에 표면 조정층용 조성물 Ⅰ을 코팅용 권선 로드(메이어스 바)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70℃의 오븐 속에서 1분간 가열 건조하여 용제분을 증발시킨 후 질소 퍼지 하(산소 농도 200ppm 이하)에서 자외선을 조사선량이 100mJ로 되도록 조사하여 도막을 경화시키고, 막두께가 3㎛인 표면 조정층을 형성했다.
실시예 2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할 때에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2를 이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눈부심 방지층을 도포하고, 또한 마찬가지로 표면 조정층 Ⅰ을 도포하여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눈부심 방지층 형성용 도료 조성물 속의 투광성 미립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입자 직경이 5. 0㎛인 단분산 아크릴비드와 부정형 실리카(평균 입자 직경 1. 5㎛)의 혼합 입자계를 사용하여 제 1 투광성 미립자의 첨가량이 실시예 1의 2/3로 되도록 했다. 표면 조정층의 막두께는 3. 0㎛로 되도록 조제했다.
실시예 3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할 때에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3을 이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눈부심 방지층을 도포하고, 또한 마찬가지로 표면 조정층 Ⅰ을 도포하여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눈부심 방지층 형성용 도료 조성물 속의 제 1 투광성 미립자에 있어서 입자 직경이 7. 0㎛인 단분산 아크릴비드를 이용하 고, 제 2 투광성 미립자에 있어서 평균 입자 직경이 2. 5㎛인 부정형 실리카를 이용한 이외는 실시예 1의 눈부심 방지층 형성용 도료 조성물과 같아지도록 조제하고, 표면 조정층의 막두께는 4. 0㎛로 되도록 했다.
실시예 4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할 때에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4를 이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눈부심 방지층을 도포하고, 또한 마찬가지로 표면 조정층 Ⅰ을 도포하여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눈부심 방지층 형성용 도료 조성물 속의 제 1 투광성 미립자에 있어서 입자 직경이 7. 0㎛인 단분산 아크릴비드를 이용하고, 제 2 투광성 미립자에 있어서 평균 입자 직경이 2. 5㎛인 부정형 실리카를 이용한 이외는 실시예 2의 눈부심 방지층 형성용 도료 조성물과 같아지도록 조제하고, 표면 조정층의 막두께는 4. 0㎛로 되도록 했다.
실시예 5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할 때에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5를 이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눈부심 방지층을 도포하고, 또한 마찬가지로 표면 조정층 Ⅰ을 도포하여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눈부심 방지층 형성용 도료 조성물 속의 제 1 투광성 미립자에 있어서 입자 직경이 9. 5㎛인 단분산 아크릴비드를 이용하고, 제 2 투광성 미립자에 있어서 평균 입자 직경이 2. 5㎛인 부정형 실리카를 이용한 이외는 실시예 1의 눈부심 방지층 형성용 도료 조성물과 같아지도록 조제하 고, 표면 조정층의 막두께는 4. 0㎛로 되도록 했다.
실시예 6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할 때에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6을 이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눈부심 방지층을 도포하고, 또한 마찬가지로 표면 조정층 Ⅰ을 도포하여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눈부심 방지층 형성용 도료 조성물 속의 투광성 미립자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입자 직경이 9. 5㎛인 단분산 아크릴비드와 부정형 실리카(평균 입자 직경 2. 5㎛)의 혼합 입자계를 사용하여 제 1 투광성 미립자, 제 2 투광성 미립자가 모두 첨가량이 실시예 1의 중량비의 4/3로 되도록 조제하고, 또한 표면 조정층의 막두께는 4. 0㎛로 되도록 했다.
실시예 7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할 때에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7을 이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눈부심 방지층을 도포하고, 또한 마찬가지로 표면 조정층 Ⅰ을 도포하여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눈부심 방지층 형성용 도료 조성물 속의 제 1 투광성 미립자에는 입자 직경이 7. 0㎛인 단분산 아크릴비드를 사용하고, 제 2 투광성 미립자에는 평균 입자 직경이 2. 0㎛인 단분산 아크릴비드를 사용했다.
실시예 8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할 때에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3을 이용하고, 표면 조정층을 제작할 때에 표면 조정층 조성물 Ⅱ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눈부심 방지층을 도포하고, 또한 마찬가지로 표면 조정층 Ⅰ을 도포하여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표면 조정층 형성용 도료에는 도전성을 갖는 표면 조정층을 형성하기 위해 ATO를 함유한 조성물을 사용했다.
실시예 9
대전 방지층의 형성
80㎛ 두께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TD80U, 후지 사진 필름(주)제)을 투명 기재로서 이용해서, 대전 방지용 조성물을 코팅용 권선 로드(메이어스 바)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50℃의 오븐 속에서 1분간 가열 건조하여 용제분을 증발시킨 후 질소 퍼지 하(산소 농도 200ppm 이하)에서 자외선을 조사선량이 30mJ로 되도록 하프 큐어에서의 조사를 하여 도막을 경화시키고, 막두께가 1㎛인 대전 방지층을 형성했다.
눈부심 방지층의 형성
대전 방지층의 위에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3을 코팅용 권선 로드(메이어스 바)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70℃의 오븐 속에서 1분간 가열 건조하여 용제분을 증발시킨 후 질소 퍼지 하(산소 농도 200ppm 이하)에서 자외선을 조사선량이 30mJ로 되도록 하프 큐어로 조사하여 도막을 경화시키고,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했다.
표면 조정층의 형성
눈부심 방지층의 위에 표면 조정층용 조성물 Ⅰ을 코팅용 권선 로드(메이어스 바)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70℃의 오븐 속에서 1분간 가열 건조하여 용제분을 증발시킨 후 질소 퍼지 하(산소 농도 200ppm 이하)에서 자외선을 조사선량이 100mJ로 되도록 조사하여 도막을 경화시키고, 막두께가 3㎛인 표면 조정층을 형성하여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10
눈부심 방지층을 형성할 때에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3을 이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눈부심 방지층을 조제했다. 또한 표면 조정층용 조성물 Ⅰ을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선량이 30mJ로 되도록 하프 큐어에서의 조사를 하여 도막을 경화시킨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표면 조정층을 형성했다.
저굴절률층의 형성
눈부심 방지층의 위에 저굴절률층용 조성물을 코팅용 권선 로드(메이어스 바)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50℃의 오븐 속에서 1분간 가열 건조하여 용제분을 증발시킨 후 질소 퍼지 하(산소 농도 200ppm 이하)에서 자외선을 조사선량이 150mJ로 되도록 조사하여 도막을 경화시키고, 막두께가 98㎚인 저굴절률층을 형성하여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11
표면 조정층 조성물 Ⅲ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제작하여 표면 조정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저굴절률층을 형성하여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11에서는 표면 조정층으로서 지르코니아 함유의 수지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표면 조정층의 굴절률이 1. 60으로 되도록 조제했다. 실시예 10의 광학 적층체보다도 반사 Y값이 내려가서 양호한 반사 방지 광학 적층체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12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8을 이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눈부심 방지층을 도포하고, 또한 마찬가지로 표면 조정층 Ⅰ을 도포하여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눈부심 방지층 형성용 도료 조성물 속의 제 1 투광성 미립자에 있어서 입자 직경이 7. 0㎛인 단분산 아크릴비드를 이용하고, 제 2 투광성 미립자에 있어서 평균 입자 직경이 2. 5㎛인 부정형 실리카를 이용하고, 제 3 투광성 미립자에 있어서 1. 8㎛의 멜라민ㆍ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을 이용한 이외는 실시예 1의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과 같아지도록 조제하고, 표면 조정층의 막두께는 4. 0㎛로 되도록 했다.
실시예 13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11을 이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눈부심 방지층을 도포하고, 또한 마찬가지로 표면 조정층 Ⅰ을 도포하여 광학 적층체 를 얻었다. 투광성 미립자에 있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단분산 아크릴비드를 이용하는 것과 함께, 제 2 투광성 미립자에 있어서 바인더 수지와의 굴절률차가 0. 04 되는 단분산 스티렌=아크릴비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내부 산란성을 내고, 고정밀의 패널로도 면 반짝임을 방지할 수 있는 광학 적층체로 되었다.
실시예 14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11을 이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눈부심 방지층을 도포하고, 또한 마찬가지로 표면 조정층 Ⅰ을 도포하여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투광성 미립자에 있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단분산 아크릴비드를 이용하는 것과 함께, 제 2 투광성 미립자에 있어서 바인더 수지와의 굴절률차가 0. 09 되는 단분산 스티렌=아크릴비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내부 산란성을 내고, 고정밀의 패널로도 면 반짝임을 방지할 수 있는 광학 적층체로 되었다.
실시예 15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13을 이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눈부심 방지층을 도포하고, 또한 마찬가지로 표면 조정층 Ⅰ을 도포하여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투광성 미립자에 있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단분산 아크릴비드를 이용하는 것과 함께, 제 2 투광성 미립자에 있어서 바인더 수지와의 굴절률차가 0. 055 되는 단분산 스티렌=아크릴비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내부 산란성을 내고, 고정밀의 패널로도 면 반짝임을 방지할 수 있는 광학 적층체로 되었다.
비교예 1
80㎛ 두께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TD80U, 후지 사진 필름(주)제)을 투명 기재로서 이용해서,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16을 코팅용 권선 로드(메이어스 바)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70℃의 오븐 속에서 1분간 가열 건조하여 용제분을 증발시킨 후 질소 퍼지 하(산소 농도 200ppm 이하)에서 자외선을 조사선량이 100mJ로 되도록 조사를 하여 도막을 경화시키고, 막두께가 3㎛인 눈부심 방지성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고, AG1의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투광성 미립자로서 평균 입자 직경이 2. 5㎛인 부정형 실리카를 이용한 눈부심 방지성 광학 적층체(AG)이다.
비교예 2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17을 이용하여 평균 입자 직경이 1. 5㎛인 부정형 실리카를 사용한 이외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조제했다. 비교예 2도 부정형 실리카를 이용한 눈부심 방지성 광학 적층체(AG)이다.
비교예 3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14를 이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눈부심 방지층을 도포하고, 또한 마찬가지로 표면 조정층 Ⅰ을 도포하여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완성된 눈부심 방지성 광학 적층체는 θa, Ψ 모두 작고, 칠흑감, 눈부심 방지성이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 4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15를 이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눈부심 방지층을 도포하고, 또한 마찬가지로 표면 조정층 Ⅰ을 도포하여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완성된 눈부심 방지성 광학 적층체는 θa, Ψ 모두 크고, 디스플레이 화면이 백화되어 보여서 칠흑감이 없으며, 또한 면 반짝임 방지 효과도 없었다.
비교예 5
눈부심 방지층용 조성물 16을 이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눈부심 방지층을 도포하고, 또한 마찬가지로 표면 조정층 Ⅰ을 도포하여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완성된 눈부심 방지성 광학 적층체는 θa, Ψ 모두 작고, 칠흑감, 눈부심 방지성이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평가 시험
실시예와 비교예의 광학 적층체에 대하여 하기 평가 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평가 1: 광학 특성 시험
본 명세서의 정의에 따라서 헤이즈값(%), 60도 그로스, Sm, Ψ(=Rz/Sm), 반사 Y값(5도 반사), 표면 저항을 측정했다.
평가 2: 칠흑감 시험
각 광학 적층체의 필름면과 반대측으로 크로스 니콜의 편광판에 맞붙인 후 3파장 형광 하에서 관능 평가를 실시하여 칠흑감을 하기 기준에 의하여 상세하게 평가했다.
평가 기준
평가○: 먹과 같은 흑색을 재현할 수 있었다.
평가△: 먹과 같은 흑색을 약간 재현할 수 있었지만, 제품으로서는 충분하지 않았다.
평가×: 먹과 같은 흑색을 재현할 수 없었다.
평가 3: 번쩍거림 시험
HAKUBA제 뷰어(라이트 뷰어7000PRO) 상에, 0. 7㎜ 두께의 유리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 패턴판(105ppi, 140ppi)을, 패턴면을 아래로 해서 놓고, 그 위에 얻어진 광학 적층체의 필름을 요철면을 공기측으로 하여 얹고, 필름이 뜨지 않도록 필름의 테두리를 손가락으로 가볍게 누르면서 암실에서 번쩍거림을 눈으로 관찰하여 평가했다.
평가 기준
평가◎: 140ppi에서 번쩍거림이 없어서 양호했다.
평가○: 105ppi에서 번쩍거림이 없어서 양호했다.
평가×: 105ppi에서 번쩍거림이 보여서 불량했다.
평가 4: 눈부심 방지성 평가 시험
얻어진 광학 적층제의 이면에 흑의 아크릴판을 광학성 점착제로 붙이고, 수평의 책상에 샘플을 놓아서 책상으로부터 2. 5m 위쪽에 있는 백색 형광등관(32와트×2개)의 에지 부분의 비추어듦을 눈으로 관찰하여 평가했다.
평가 기준
평가○: 에지가 비추어들지 않아서 양호한 눈부심 방지성을 가졌다.
평가×: 에지가 비추어들어서 눈부심 방지성이 뒤떨어졌다.
[표 1]
Figure 112007068502271-PCT00001
Figure 112007068502271-PCT00002
Figure 112007068502271-PCT00003
[표 2]
Figure 112007068502271-PCT00004
Figure 112007068502271-PCT00005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성 광학 적층체는 CRT, 액정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 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Claims (6)

  1. 광투과성 기재 및 해당 광투과성 기재 상에 눈부심 방지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광학 적층체로서,
    상기 눈부심 방지층의 최표면이 요철 형상을 갖고 이루어지고,
    요철부의 평균 경사각을 θa로 하고, 요철의 평균 거칠기를 Rz로 하며, 요철의 평균 간격을 Sm으로 하고, Rz와 Sm의 비율(Ψ)을 비율(Ψ)≡Rz/Sm로 정의한 경우에 하기 식(Ⅰ) 및 (Ⅱ):
    1.2 ≤ θa ≤ 2.5(Ⅰ)
    0.016 ≤ Ψ ≤ 0.18(Ⅱ)
    를 동시에 만족하며,
    상기 광학 적층체의 내부 헤이즈값이 0% 이상 50% 이하이고,
    상기 광학 적층체의 표면 헤이즈값이 0.5% 이상 4.5% 이하인
    광학 적층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방지층의 요철 형상의 표면에 표면 조정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광학 적층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방지층의 표면 또는 상기 표면 조정층의 표면에 상기 눈부심 방지층 또는 상기 표면 조정층의 굴절률보다도 낮은 굴절률을 갖는 저굴절률층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광학 적층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적층체의 내부 헤이즈값이 0% 이상 55% 이하인
    광학 적층체.
  5. 편광 소자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 소자의 표면에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를 해당 광학 적층체에서의 눈부심 방지층이 존재하는 면과 반대의 면에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편광판.
  6. 투과성 표시체 및 상기 투과성 표시체를 배면으로부터 조사하는 광원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투과성 표시체의 표면에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 또는 제 5 항에 기재된 편광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077021710A 2005-02-21 2006-02-21 눈부심 방지성 광학 적층체 KR1011983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44231 2005-02-21
JPJP-P-2005-00044231 2005-02-21
JPJP-P-2005-00099229 2005-03-30
JP2005099229 2005-03-30
PCT/JP2006/303061 WO2006088205A1 (ja) 2005-02-21 2006-02-21 防眩性光学積層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0502A true KR20070120502A (ko) 2007-12-24
KR101198387B1 KR101198387B1 (ko) 2012-11-07

Family

ID=36916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1710A KR101198387B1 (ko) 2005-02-21 2006-02-21 눈부심 방지성 광학 적층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61832B2 (ko)
JP (3) JPWO2006088205A1 (ko)
KR (1) KR101198387B1 (ko)
TW (1) TWI406770B (ko)
WO (1) WO200608820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608A (ko) * 2017-08-04 2020-01-28 주식회사 다이셀 방현 필름
WO2024038397A1 (ko) * 2022-08-18 2024-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지막, 수지막의 제작 방법, 표시 장치, 광학 부재 및 편광 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482B1 (ko) * 2004-09-13 2007-05-18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반사시트 및 이를 채용한 백라이트 유닛
CN101449183A (zh) * 2006-03-16 2009-06-03 大赛璐化学工业株式会社 防眩光膜
US8431219B2 (en) 2007-01-22 2013-04-30 Dai Nippon Printing Co., Ltd. Optical layered body including an antiglare layer containing organic particles and nonspherical silica particles
JP5194486B2 (ja) * 2007-02-28 2013-05-08 住友化学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9048092A (ja) * 2007-08-22 2009-03-05 Tomoegawa Paper Co Ltd 光学積層体
JP4967943B2 (ja) * 2007-09-12 2012-07-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5078520B2 (ja) * 2007-09-19 2012-11-2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098654A (ja) * 2007-09-28 2009-05-07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KR20100127293A (ko) * 2008-03-25 2010-12-03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방현성막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9244465A (ja) * 2008-03-31 2009-10-22 Nitto Denko Corp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014240B2 (ja) * 2008-04-28 2012-08-29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および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防眩フィルム
JP2010020268A (ja) 2008-06-09 2010-01-28 Sony Corp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防眩性フィルム、光学層付偏光子、ならびに表示装置
JP2010020267A (ja) * 2008-06-09 2010-01-28 Sony Corp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防眩性フィルム、光学層付偏光子、ならびに表示装置
JP2013238867A (ja) * 2008-06-09 2013-11-28 Sony Corp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防眩性フィルム、光学層付偏光子、ならびに表示装置
JP2010015109A (ja) * 2008-07-07 2010-01-21 Sony Corp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防眩性偏光子、ならびに表示装置
JP5422150B2 (ja) * 2008-07-30 2014-02-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100024935A1 (en) * 2008-08-04 2010-02-04 Ecolab Inc. Usage of micron or submicron size transparent or translucent beads to improve reflectance
KR20100020906A (ko) * 2008-08-13 2010-02-23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눈부심방지성 필름, 광학층이 부착된 편광자 및 표시 장치
JP2010085759A (ja) * 2008-09-30 2010-04-15 Fujifilm Corp 防眩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1081217A (ja) * 2009-10-07 2011-04-21 Nitto Denko Corp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ならびに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1197426A (ja) * 2010-03-19 2011-10-06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シート、及び映像表示装置
JP2011221197A (ja) * 2010-04-08 2011-11-04 Suntechopt Co Ltd アンチグレア拡散フィルム
JP6355185B2 (ja) * 2011-09-27 2018-07-11 エスケイシー ハイテク アンド マーケティ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高輝度光学シートを製造する方法
JP6250278B2 (ja) * 2012-12-28 2017-12-20 恵和株式会社 光拡散シート及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CN105531606B (zh) * 2013-09-25 2019-03-22 木本股份有限公司 硬涂膜及附表面构件的显示元件
JP6458408B2 (ja) * 2014-08-28 2019-01-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のギラツキ発生の評価方法
JP6972762B2 (ja) * 2017-08-16 2021-11-24 凸版印刷株式会社 フィルム状モールド及びこれを用いた撥水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7335716B2 (ja) * 2017-12-11 2023-08-30 株式会社ダイセル 防眩フィルム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JP2019105693A (ja) * 2017-12-11 2019-06-27 株式会社ダイセル 防眩フィルム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JP2019105695A (ja) * 2017-12-11 2019-06-27 株式会社ダイセル 防眩フィルム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JP2019105692A (ja) * 2017-12-11 2019-06-27 株式会社ダイセル 防眩フィルム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JP7335719B2 (ja) * 2017-12-11 2023-08-30 株式会社ダイセル 防眩フィルム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KR102313377B1 (ko) * 2018-05-11 2021-10-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눈부심 방지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21079A (ko) 2020-08-12 2022-0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2526659A (zh) * 2021-01-27 2021-03-19 叶县广达铝业有限责任公司 一种机动车号牌用反光铝卷带及其生产工艺和反光铝板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9301A (en) * 1987-07-15 1989-01-23 Asahi Chemical Ind Surface plate for preventing reflection and its production
JPH09193333A (ja) * 1996-01-16 1997-07-29 Dainippon Printing Co Ltd 防眩性フィルム
JP2000025000A (ja) * 1998-07-16 2000-01-25 Showa Alum Corp エントリーシート
JP2000206317A (ja) * 1999-01-14 2000-07-28 Dainippon Printing Co Ltd 防眩フィルム、偏光板、表示装置及び防眩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3515426B2 (ja) * 1999-05-28 2004-04-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202402A (ja) * 2000-10-31 2002-07-19 Fuji Photo Film Co Ltd 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2162508A (ja) * 2000-11-24 2002-06-07 Toray Ind Inc 光拡散性フィルム
JP2002189106A (ja) * 2000-12-20 2002-07-05 Dainippon Printing Co Ltd 防眩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防眩性フィルムを用いた表示装置
JP2002196117A (ja) * 2000-12-25 2002-07-10 Nitto Denko Corp 光拡散層、光拡散性シート及び光学素子
JP3989176B2 (ja) * 2001-01-17 2007-10-10 古河スカイ株式会社 被覆層の密着性および加工性に優れた成形加工用熱可塑性樹脂被覆アルミニウム合金板の製造方法
JP4683747B2 (ja) 2001-03-05 2011-05-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帯電防止防眩フィルム
JP3703133B2 (ja) * 2001-03-12 2005-10-05 日東電工株式会社 光拡散性シート及び光学素子
JP2002267814A (ja) * 2001-03-14 2002-09-18 Fuji Photo Film Co Ltd 防眩性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2311421A (ja) * 2001-04-12 2002-10-23 Rohm Co Ltd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328228A (ja) * 2001-04-27 2002-11-15 Fuji Photo Film Co Ltd 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3004903A (ja) * 2001-06-21 2003-01-08 Fuji Photo Film Co Ltd 防眩フィルム、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030118750A1 (en) * 2001-12-14 2003-06-26 Eastman Kodak Company Microvoided light diffuser containing optical contact layer
JP2003222713A (ja) * 2002-01-31 2003-08-08 Fuji Photo Film Co Ltd 防眩性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467822B1 (ko) * 2002-02-15 2005-0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
JP4032771B2 (ja) * 2002-02-22 2008-01-16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低反射フィルム、前記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表示装置
JP4242595B2 (ja) * 2002-02-25 2009-03-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4174344B2 (ja) 2002-03-15 2008-10-29 日東電工株式会社 反射防止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光学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03085424A1 (fr) 2002-04-08 2003-10-16 Nitto Denko Corporation Feuille a diffusion de lumiere, dispositif optique, et afficheur d'image
JP2003344614A (ja) * 2002-05-28 2003-12-03 Nitto Denko Corp 光拡散性シート、光学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075498B2 (ja) * 2002-07-18 2008-04-16 凸版印刷株式会社 防眩性積層体及び表示媒体
JP2004050607A (ja) 2002-07-19 2004-02-19 Sumitomo Chem Co Ltd 光拡散性樹脂積層板
JP2004061853A (ja) * 2002-07-29 2004-02-26 Nitto Denko Corp 防眩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04271735A (ja) 2003-03-06 2004-09-30 Fuji Photo Film Co Ltd 硬化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の製造方法、硬化膜、反射防止膜、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4211474B2 (ja) 2003-04-28 2009-01-21 凸版印刷株式会社 成型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341070A (ja) * 2003-05-13 2004-12-02 Fuji Photo Film Co Ltd 防眩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画像表示装置
JP2005024885A (ja) * 2003-07-02 2005-01-27 Fuji Photo Film Co Ltd 液晶表示装置
JP4384506B2 (ja) 2004-01-06 2009-12-16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防眩性膜
JP4390578B2 (ja) * 2004-02-10 2009-12-24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防眩シート
US7662483B2 (en) * 2004-09-29 2010-02-16 Dai Nippon Printing Co., Ltd. Optical laminate
TWI411817B (zh) * 2005-02-21 2013-10-11 Dainippon Printing Co Ltd Optical laminates
TWI417564B (zh) * 2005-02-21 2013-12-01 Dainippon Printing Co Ltd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optical laminate
TWI409169B (zh) * 2005-02-21 2013-09-21 Dainippon Printing Co Ltd Anti-glare optical laminate
KR101408637B1 (ko) * 2005-03-30 2014-06-17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방현성 광학 적층체
US8163393B2 (en) * 2007-03-19 2012-04-24 Dai Nippon Printing Co., Ltd. Anti-dazzling optical lamina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608A (ko) * 2017-08-04 2020-01-28 주식회사 다이셀 방현 필름
WO2024038397A1 (ko) * 2022-08-18 2024-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지막, 수지막의 제작 방법, 표시 장치, 광학 부재 및 편광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6088205A1 (ja) 2008-07-10
JP5823264B2 (ja) 2015-11-25
US7661832B2 (en) 2010-02-16
TW200640684A (en) 2006-12-01
JP2014194551A (ja) 2014-10-09
JP5846243B2 (ja) 2016-01-20
TWI406770B (zh) 2013-09-01
WO2006088205A1 (ja) 2006-08-24
KR101198387B1 (ko) 2012-11-07
JP2012108516A (ja) 2012-06-07
US20090052043A1 (en)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387B1 (ko) 눈부심 방지성 광학 적층체
KR101200200B1 (ko) 광학 적층체
KR101202050B1 (ko)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1202089B1 (ko) 광학 적층체, 그것을 이용한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344622B1 (ko) 방현성 광학 적층체
JP5103824B2 (ja) 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5509594B2 (ja) 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US8485673B2 (en)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layered body, production apparatus of optical layered body, optical layered body,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8493660B2 (en) Optical layered body comprising a light-transmitting substrate and antiglare layer,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110124376A (ko) 방현성 광학 적층체
KR20080085742A (ko) 방현성 광학 적층체
KR20080003317A (ko) 방현성 광학 적층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