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4274A - TGF-α 발현 억제제 - Google Patents
TGF-α 발현 억제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24274A KR20050024274A KR10-2004-7018530A KR20047018530A KR20050024274A KR 20050024274 A KR20050024274 A KR 20050024274A KR 20047018530 A KR20047018530 A KR 20047018530A KR 20050024274 A KR20050024274 A KR 200500242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gf
- expression
- inhibitors
- cells
- polypreny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linolenic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ir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폴리프레닐 카르복시산(예를 들어, 3,7,11,15-테트라메틸-2,4,6,10,14-헥사데카펜타엔산) 등의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GF-α 발현 억제제와 간염 및/또는 간경변 세포의 형질전환 억제제를 간장에서의 암의 발증, 재발(2차 발암) 또는 악성화의 억제제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폴리프레닐(polyprenyl)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형질전환 증식인자-α(transforming growth factor-α, 이하, 본 명세서에서 「TGF-α」로 기재) 발현 억제제에 관한 것이며, 또한, 본 발현 억제제에 기초한 간염세포(hepatitis cell) 또는 간경변 세포(cirrhosis cell)의 형질전환 억제제 및 간암의 발증, 재발(2차 발암) 또는 악성화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1999년의 악성 종양(malignant neoplasm)에 의한 사망자 수는 29만 6천명으로 일본에서 사망원인의 1위를 차지하였고, 그 중에서 3만명 이상이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ma)에 의해 사망하였다. 이 숫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고, 최근 20년간 약 3배로 증가하였다. 일본에서 발생하는 간세포 암의 주요한 원인으로서, 90% 이상이 B형 간염 바이러스(HBV, 이하, 본 명세서에서 「HBV」로 기재) 또는 C형 간염 바이러스(HCV, 이하, 본 명세서에서 「HCV」로 기재)의 지속감염(만성간염)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간암은 그 치료 후, 연 20~25%의 비율로 재발(2차 발암)되는 예후불량(poor prognosis)의 질환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간암의 조기발견, 조기치료와 함께, 앞으로의 중요한 과제로 만성간염으로부터의 간 발암(hepatic oncogenesis)의 억제 및 간암치료 후의 재발 억제를 들고 있다.
형질전환 증식인자-α(TGF-α)는, 간 발암 및 간암세포의 악성화(promotion/progression)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고 사료되는 증식인자이다. 간에서의 TGF-α 발현 수준은 바이러스성 간염 염증의 중독도(重篤度)(severity)와 관련이 있고, 또한,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간경변에서의 TGF-α의 과다발현(overexpression)이 간염 바이러스의 복제와 관계있다는 것도 보고되고 있다. 실제로, HBV 또는 HCV의 감염에 의한 만성 간질환 환자의 간조직에서는 건강한 사람에 비해 TGF-α의 발현이 더 높다는 것이 확인되고, 또한, 간암환자의 암조직 및 암 주위의 비암부조직(non-tumor tissue)에서도 TGF-α의 고발현이 확인되고 있기 때문에, 간염 바이러스 감염으로부터 간암이 발증하고 발달하는 과정에서 TGF-α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적으로는, 랫(rat) 간세포의 형질전환(transformation)은 TGF-α의 발현 항진과 관련이 있고, 간 화학발암물질 및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형질전환된 간세포에서 TGF-α가 고수준으로 발현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TGF-α를 과다발현시킨 이식유전자 마우스(transgenic mouse)는 자연발생적으로 간암이 높은 비율로 발증할 뿐만 아니라, 화학발암물질 및 암유전자에 의한 현저한 간 발암의 항진이 관찰된다.
이와 같이, TGF-α는 간 발암 및 간암세포의 악성화에 깊이 관여하고 있기 때문에, TGF-α를 표적으로 하는 새로운 간암 치료전략이 제기되어 오고 있다.
바이러스성 만성 간염환자에서 간암이 발증하는 정확한 기작은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지만, 간줄기세포(oval cell, 이하, 본 명세서에서 「oval cell」로 기재)가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즉, oval cell은 만성간염 또는 간경변의 환자에서 증식이 발견되고, 간병변이 중독(重篤)되는 과정에 oval cell의 수가 많아지는 것이 관찰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간염 바이러스가 간에 만성염증을 일으키고 oval cell의 분열증식활성을 높임에 기인하지만, 간염 바이러스는 동시에 oval cell에 대해서 발암 개시자(oncogenic initiator)로서도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개시된 oval cell이 만성염증에 의한 분열증식활성을 항진(promotion)하고, 발암(oncogenesis)하는 기작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동물을 이용한 많은 간 화학발암 실험에 있어서도, 간암이 탈분화한 간세포로부터 유래함을 보여주는 보고가 있는 한편, 간암세포의 표현형(phenotype)이 oval cell과 유사하기 때문에, oval cell을 발생원으로 하는 간 발암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oval cell과 TGF-α와의 관련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TGF-α는 oval cell의 세포분열 촉진물질(mitogen)이며, oval cell 자체 또는 주위 간조직에서 생산된 TGF-α가 그 수용체인 상피 증식인자 수용체(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를 통해 oval cell의 증식을 자극한다. 또한, 사람의 바이러스성 만성간염에서 현저히 관찰되는 oval cell은 간염 바이러스 감염의 표적세포임과 동시에 TGF-α의 발현항진을 수반함이 확인되고 있으므로, 간염 바이러스가 발암의 초기단계에 작용(initiation)하고 TGF-α가 그 후의 촉진제로 관여함에 따라 oval cell 자체가 간암세포로 이행할 가능성이 고려되고 있다.
이와 같이, oval cell 내의 바이러스 존재와 TGF-α 발현 사이의 상호작용이 oval cell을 암화(canceration)로 유도하기 위한 중요한 인자인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동시에, oval cell 주위의 간염/간경변조직에서 과다발현하고 있는 TGF-α도, 수용체를 통해 oval cell의 암화를 촉진시킬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바이러스성 만성간염에서 확인된 oval cell 내의 TGF-α 발현을 저하시키는 것과 더불어, 간염/간경변 조직의 TGF-α 발현을 억제하는 것은 간암의 선구세포(precursor cell)인 oval cell을 침정화(deactivation)시키고, 간 발암의 억제를 유도하는 매우 중요한 기작으로 사료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TGF-α는 간염 및 간경변 세포의 형질전환과 간장의 발암 및 간암세포의 악성화에 밀접하게 관련하고 있어, 간장 중의 간조직세포 및 oval cell 내에서 과다발현 상태에 있는 TGF-α를 억제하는 것이 간염 및 간경변세포의 형질전환억제 및 간장의 발암과 간암세포의 악성화 억제와 관련될 가능성이 높다.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의 하나인 (2E,4E,6E,10E)-3,7,11,15-테트라메틸-2,4,6,10,14-헥사데카펜타엔산((2E,4E,6E,10E)-3,7,11,15-tetramethyl-2,4,6,10,14-hexadecapentaenoic acid)(개발코드 「NIK-333」)은 레티노인산 결합 단백질(retinoic acid-binding protein) 및 레티노인산 수용체(retinoic acid receptor)에 대해 친화성을 나타내거나 간암세포의 분화 유도작용 및 세포사멸 유도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임상적으로, NIK-333은 1년간의 장기투여에 의해 간암 근치치료(radical cure) 후의 재발을 유의하게 억제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게다가, 상기의 투여 중, 간기능 장해 및 다른 레티노이드에서 보여지는 부작용은 거의 확인되지 않는 안전한 약제이다(참조: N. Eng. J. Med., 334, 1561-1567 (1996)).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이 주화 간암세포(established hepatoma cell)의 TGF-α의 발현을 억제한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다(참조: Biochem. Biophys. Res. Commun., 219, 100-104(1996)). 그러나,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이 생체 간조직에 대해, 간 화학발암물질 투여에 의한 간조직 중에서 발현항진한 TGF-α를 억제하고, 간암의 선구세포로 생각되는 oval cell의 TGF-α발현을 억제한다는 것은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도 1은 무처치 동물(non-treated animal)의 간조직 사진을 보여준다. TGF-α 양성을 나타내는 oval cell의 발현은 전혀 확인되지 않는다.
도 2는 대조군(간 화학발암물질 3'-MeDAB 만을 투여)의 간조직에 발현한 oval cell이 세포질 내에 강한 TGF-α 양성소견(짙은 갈색의 염색부분은 TGF-α의 발현을 표시)을 보이고 있음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3'-MeDAB에 의해 발현한 oval cell이 NIK-333 80mg/kg/day 투여에 의해 TGF-α 약 양성(weakly positive TGF-α)을 보이고(짙은 갈색의 염색부분이 도 2에 비해 적음을 표시), TGF-α 발현이 저하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는 무처치 동물의 간조직 사진을 나타낸다. TGF-α의 발현은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도 5는 대조군(간 화학발암물질 DEN 만을 투여)의 비종양부 간조직의 TGF-α 발현을 나타낸 사진이다. 중심정맥 주위 간조직의 TGF-α의 강한 양성소견(짙은 갈색의 염색부분은 TGF-α의 발현을 표시)이 확인되고 있다.
도 6은 DEN에 의해 중심정맥 주위의 간조직에 발현한 TGF-α가 NIK-333 80mg/kg/day 투여에 의해 거의 음성화한 이미지(짙은 갈색의 염색부분이 거의 보이지 않음을 표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은 무처치 동물의 간조직 사진을 표시. TGF-α의 발현은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도 8은 DEN 투여에 의한 대조군의 비종양부 간조직의 TGF-α 발현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중심정맥 주위의 간조직에 TGF-α의 강한 양성소견(짙은 갈색의 염색부분은 TGF-α의 발현을 표시)이 확인되고 있다.
도 9는 DEN에 의해 중심정맥 주위의 간조직에 발현한 TGF-α가 NIK-333 80mg/kg/day 투여에 의해 거의 음성화한 이미지(짙은 갈색의 염색부분이 거의 보이지않음을 표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0은 무처치 동물의 간조직 사진을 나타낸다. TGF-α 양성을 보이는 oval cell의 발현은 확인되지 않는다.
도 11은 3'-MeDAB 투여에 의해 대조군의 간조직에 발현한 oval cell이 세포질 내에 강한 TGF-α 양성소견을 보이는 이미지(짙은 갈색의 염색부분은 TGF-α의 발현을 표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2는 3'-MeDAB에 의해 발현한 TGF-α 강 양성의 oval cell의 수가 NIK-333 80mg/kg/day 투여에 의해 감소하고 있음을 나타낸 이미지(짙은 갈색으로 염색된 세포의 수가 도 11에 비해 적음을 표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3은 무처치 동물의 간조직 사진을 나타낸다. 분명한 TGF-α양성소견을 보이는 세포는 확인되지 않는다.
도 14는 D-갈락토사민 염산염 투여에 의해 대조군의 간조직에 발현한 oval cell이 세포질 내에 강한 TGF-α 양성소견을 보이는 이미지(짙은 갈색의 염색부분은 TGF-α의 발현을 표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5는 D-갈락토사민 염산염에 의해 발현한 oval cell이 NIK-333 200mg/kg/day 투여에 의해 TGF-α 약 양성을 보이는 이미지(짙은 갈색의 염색부분이 도 14에 비해 적음을 표시)를 나타낸 사진이다. TGF-α 발현이 저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TGF-α의 발현억제에 의한 간염 및/또는 간경변 세포의 형질전환 억제제, 간장의 발암 억제제 및 암 악성화 억제제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간염 및/또는 간경변 세포의 형질전환 억제제(간염 또는 간경변의 악성화 억제제), 간장의 발암 억제제 및 암악성화 억제제를 찾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반복하여 왔다. 그 결과,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이 간 화학발암물질에 의해 형질전환한 간조직 세포의 TGF-α의 발현을 억제하고, 간암의 선구세포로의 가능성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는 oval cell의 TGF-α의 발현을 억제한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TGF-α 발현 억제제에 관한 것이며,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간염 및/또는 간경변세포의 형질전환 억제제(간염 또는 간경변의 악성화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하는 TGF-α의 발현 억제에 의한 간염세포 또는 간경변세포의 형질전환 억제제 및 간암의 발증, 재발(2차 발암) 또는 악성화의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다른 관점으로는, 상기의 의약 제조를 위한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의 용도,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의 TGF-α 발현 억제에 의한 간염세포 또는 간경변세포의 형질전환을 억제하는 방법, TGF-α의 발현 억제에 의해 간장의 발암 또는 암세포의 악성화를 억제하는 방법,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의 유효량을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 방법, 및, 간염세포 또는 간경변세포의 형질전환을 억제하는 방법, 간장의 암의 발증, 재발(2차 발암) 또는 악성화를 억제하는 방법, 억제를 필요로 하는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에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의 억제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등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에 사용된 폴리프레닐계 화합물로는 폴리프레닐 카르복시산인 3,7,11,15-테트라메틸-2,4,6,10,14-헥사데카펜타엔산, 게라닐게라노인산(GGA: geranyl geranoic acid), 피탄산(phytanic acid)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폴리프레닐 카르복시산 에스테르, 비타민 K1, 비타민 K2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화합물로는 폴리프레닐 카르복시산, 특히 3,7,11,15-테트라메틸-2,4,6,10,14-헥사데카펜타엔산을 들 수 있고, 좀 더 바람직한 화합물로는 (2E,4E,6E,10E)-3,7,11,15-테트라메틸-2,4,6,10,14-헥사데카펜타엔산(NIK-333)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은 공지의 방법(일본국 특허공보(소)63-32058호, J. Chem. Soc. (c), 2154페이지, 1966)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TGF-α 발현 억제제는 통상,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을 조제하고, 경구 또는 비경구의 각각 적당한 투여방법에 따라 투여할 수 있다. 경구투여에 적당한 의약 조성물의 형태로서의 예로서는, 정제, 과립제, 캡슐제, 연캡슐제, 환제, 액제 등을 들 수 있고, 비경구 투여에 적당한 의약 조성물의 형태로는 주사제, 좌제(suppository)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의약 조성물은 폴리프레닐계 화합물 또는 그 약리학상 허용되는 그의 염과 통상의 제제담체(pharmaceutical carrier)의 1종 또는 그 이상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투여에 적당한 의약의 경우로는 제제담체로서, 유당, 포도당, 옥수수전분(corn starch), 자당(sucrose) 등의 조형제(excipient),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칼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등의 붕해제(disintegrant), 스테아린산칼슘, 스테아린산마그네슘, 활석(talc),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경화유(hydrogenated oil) 등의 윤활제(lubricant),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비닐알콜, 젤라틴 및 아라비아고무 등의 결합제(binder),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등의 습윤제(wetting agent) 및 기타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교미제(flavoring agent) 등을 사용하여 원하는 의약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에 적당한 의약의 경우로는 제제담체로, 물, 에탄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식물유, 한천, 트라가칸스검(gum tragacanth) 등의 희석제(diluent)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용해보조제, 현탁화제, 유화제, 안정제, 완충제, 등장화제(isotonizing agent), 보존제, 통증완화제(soothing agen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TGF-α 발현 억제제의 투여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성인 1일당 경구투여의 경우에는 50~120mg, 바람직하게는 300~900mg이며, 비경구의 경우에는 1일 1~1200mg, 바람직하게는 5~900mg의 범위이다. 상기의 투여량을 각각 하루 1~3회에 나누어 투여함에 따라 바라는 억제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다시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폴리프레닐계 화합물로 (2E,4E,6E,10E)-3,7,11,15-테트라메틸-2,4,6,10,14-헥사데카펜타엔산(이하, 「NIK-333」로 명명)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랫(rat)에서의 간 화학발암물질 3'-메틸-4-디메틸아미노아조벤젠(3'-Methyl-4-dimethylaminoazobenzene: 3'-MeDAB)에 의한 TGF-α 양성의 oval cell 유발에 대한 효과
동물은 Fischer계 수컷 랫(F344/N Slc, 6주)을 이용하여 간 화학발암물질 3'-MeDAB을 고형사료에 0.06%의 비율로 조제한 사료를 4주간 투여하여 oval cell을 유발하였다. NIK-333은 대두유에 현탁하고, 80mg/kg의 용량을 3'-MeDAB와 병행하여 4주간(1회/일) 경구투여하였다. 또한, 대조군에는 대두유(5mL/kg)를 경구투여하였다. 3'-MeDAB 투여개시 4주간 후 마취하에서 간장을 적출하여 10% 포르말린 고정 후 파라핀을 넣고, 항 TGF-α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 염색을 실시하여 TGF-α발현의 정도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도 1 내지 도 3은 3'-MeDAB의 4주간 투여에 의해 유발된 TGF-α 양성의 oval cell 유발에 대해, NIK-333의 80mg/kg/day를 4주간 동시투여한 경우의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림이다(항 TGF-α항체에 의한 면역조직학적 염색). 또한, 동시에 분석된 다른 동물에 대해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도 1은, 무처치 동물의 간조직을 나타낸다. TGF-α 양성을 보이는 oval cell의 발현은 전혀 확인되지 않는다.
도 2는 대조군(3'-MeDAB 만을 투여)의 간조직에 발현한 oval cell의 세포질 내에 강한 TGF-α 양성소견을 나타낸다.
도 3은 3'-MeDAB에 의해 발현한 oval cell이 NIK-333 80mg/kg/day 투여에 의해 TGF-α 약 양성을 보이며, TGF-α발현이 저하됨을 나타낸다.
상기와 동일한 실험에 대해 다른 부위의 사진촬영을 수행하여 도 10 내지 도 12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도 10은 무처치 동물의 간조직을 나타낸다. TGF-α양성을 보이는 oval cell의 발현은 확인되지 않는다.
도 11은 3'-MeDAB 투여에 의해 대조군의 간조직에 발현한 oval cell의 세포질 내에 강한 TGF-α양성소견을 나타낸다.
도 12는 3'-MeDAB에 의해 발현한 TGF-α 강 양성의 oval cell의 수가 NIK-333 80mg/kg/day 투여에 의해 감소하였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2: 랫(rat)에서의 간 화학발암물질 N-니트로소디에틸아민(N-Nitrosodiethyl amine: DEN) 투여 후의 비종양부 간조직의 TGF-α발현에 대한 효과
동물은 Fischer계 수컷 랫(F344/N Slc, 6주)을 이용하여 간 화학발암물질 DEN을 5주간 음용수에 투여(농도: 40ppm)하고, 그 후, 15주간 보통의 음용수로 사육하여 간세포암을 유발하였다. NIK-333는 대두유에 현탁하고, 80mg/kg의 용량을 DEN 투여종료 1주간 후부터 14주간(1회/일) 경구투여하였다. 또한, 대조군에는 대두유(5mL/kg)를 경구투여하였다. DEN 투여개시 20주 후, 마취하에서 간장을 적출하여 10% 포르말린에 고정한 후, 파라핀을 넣고, 항 TGF-α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염색을 실시하여 TGF-α 발현정도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도 4 내지 도 6은 DEN의 5주간 처리 후에 1주간 약을 끊고, 계속하여 NIK-333 80mg/kg/day을 14주간 투여한 경우의 비종양부 간조직의 TGF-α발현에 대한 억제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항 TGF-α 항체에 의한 면역조직염색). 또한, 동시에 분석된 다른 동물에 대해서도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도 4는 무처치 동물의 간조직을 나타낸다. TGF-α의 발현은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도 5는 대조군(DEN 만을 투여)의 비종양부 간조직의 TGF-α발현을 나타낸다. 중심정맥 주위의 간조직에 TGF-α의 강한 양성소견이 확인된다.
도 6은 DEN에 의해 중심정맥 주위의 간조직에 발현한 TGF-α가 NIK-333 80mg/kg/day 투여에 의해 거의 음성화한 결과를 나타낸다.
상기와 동일한 실험에 대해 다른 부위의 사진 촬영을 수행하여 도 7 내지 도 9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도 7은 무처치 동물의 간조직을 나타낸다. TGF-α의 발현은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도 8은 DEN 투여에 의해 대조군의 비종양부 간조직의 TGF-α발현을 나타낸다. 중심정맥 주위의 간조직에 TGF-α의 강한 양성소견이 확인된다.
도 9는 DEN에 의해 중심정맥 주위의 간조직에 발현한 TGF-α가 NIK-333 80mg/kg/day 투여에 의해 거의 음성화한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3: 랫(rat)에서의 D-갈락토사민 염산염에 의해 유발된 oval cell의 TGF-α 발현에 대한 효과
동물은 SD계 수컷 랫(Crj/CD(SD), 6주)을 이용하여 생리식염수로 200mg/mL로 조제한 D-갈락토사민 염산염 5mL/kg을 1회 복강내 투여하고 oval cell을 유발하였다. NIK-333은 대두유에 현탁하고, 200mg/kg의 용량을 1 내지 6일간 경구투여하였다. 또한, 대조군에는 대두유(2mL/kg)를 경구투여하였다. 투약개시 다음날부터 7일째되는 날까지 경시적으로, 마취하에서 간장을 적출하여 10% 포르말린에 고정한 후, 파라핀을 넣고, 항 TGF-α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 염색을 실시하여 TGF-α 발현정도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도 13 내지 도 15는 D-갈락토사민 염산염의 1회 투여에 의해 유발된 oval cell의 TGF-α 발현에 대하여, NIK-333의 200mg/kg/day을 4일간 투여한 경우의 억제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항 TGF-α항체에 의한 면역조직염색). 또한, 동시에 분석된 다른 동물에 대해서도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도 13은 무처치 동물의 간조직을 나타낸다. 분명한 TGF-α양성소견을 보이는 세포는 확인되지 않는다.
도 14는 D-갈락토사민 염산염 투여에 의해 대조군의 간조직에 발현한 oval cell이 세포질 내에 강한 TGF-α 양성소견을 보이는 결과를 나타낸다.
도 15는 D-갈락토사민 염산염에 의해 발현한 oval cell이 NIK-333 200mg/kg/day 투여에 의해 TGF-α 약 양성을 보이고, TGF-α발현이 저하하고 있는 결과를 나타낸다.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은 간염세포나 간경변세포의 형질전환 또는 간장의 발암이나 암세포의 악성화에 관여하고 있는 TGF-α를 억제하기 때문에 간염 또는 간경변 세포의 형질전환 억제제로, 예를 들어 간염세포 또는 간경변의 악성화 억제제로 이용할 수 있고, 간장암의 발증, 재발(2차 발암) 또는 악성화의 억제제로 유용하다.
Claims (14)
-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GF-α 발현 억제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은 폴리프레닐 카르복시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TGF-α 발현 억제제.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폴리프레닐 카르복시산은 3,7,11,15-테트라메틸-2,4,6,10,14-헥 사데카펜타엔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TGF-α 발현 억제제.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폴리프레닐 카르복시산은 (2E,4E,6E,10E)-3,7,11,15-테트라메틸- 2,4,6,10,14-헥사데카펜타엔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TGF-α 발현 억제제.
- 제 1항 내지 제 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TGF-α 발현 억제제는 간염 및/또는 간경변 세포의 형질전환 억 제를 위해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TGF-α 발현 억제제.
- 제 1항 내지 제 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TGF-α 발현 억제제는 간암의 발증, 재발(2차 발암) 또는 악성화 의 억제를 위해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TGF-α 발현 억제제.
- 제 1항 내지 제 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TGF-α 발현 억제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제제담체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TGF-α 발현 억제제.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TGF-α 발현 억제제는 경구투여를 위한 의약 조성물인 것을 특징 으로 하는TGF-α 발현 억제제.
-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염세포 및/또는 간경변 세포의 형질전환 억제제.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은 폴리프레닐 카르복시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형질전환 억제제.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폴리프레닐 카르복시산은 3,7,11,15-테트라메틸-2,4,6,10,14-헥 사데카펜타엔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형질전환 억제제.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폴리프레닐 카르복시산은 (2E,4E,6E,10E)-3,7,11,15-테트라메틸- 2,4,6,10,14-헥사데카펜타엔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형질전환 억제제.
- 제 9항 내지 제 11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형질전환 억제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제제담체를 함유하는 의 약 조성물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형질전환 억제제.
- 제 13항에 있어서,상기 형질전환 억제제는 경구투여를 위한 의약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 로 하는형질전환 억제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7007357A KR20100041891A (ko) | 2002-05-17 | 2003-05-16 | 간염세포 및/또는 간경변 세포의 형질전환을 억제하는 간암 예방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2-00142862 | 2002-05-17 | ||
JP2002142862 | 2002-05-17 | ||
PCT/JP2003/006116 WO2003097034A1 (fr) | 2002-05-17 | 2003-05-16 | Inhibiteurs de l'expression du tgf-$g(a)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7007357A Division KR20100041891A (ko) | 2002-05-17 | 2003-05-16 | 간염세포 및/또는 간경변 세포의 형질전환을 억제하는 간암 예방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24274A true KR20050024274A (ko) | 2005-03-10 |
Family
ID=295450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7018530A KR20050024274A (ko) | 2002-05-17 | 2003-05-16 | TGF-α 발현 억제제 |
KR1020107007357A KR20100041891A (ko) | 2002-05-17 | 2003-05-16 | 간염세포 및/또는 간경변 세포의 형질전환을 억제하는 간암 예방제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7007357A KR20100041891A (ko) | 2002-05-17 | 2003-05-16 | 간염세포 및/또는 간경변 세포의 형질전환을 억제하는 간암 예방제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2) | US20060094784A1 (ko) |
EP (1) | EP1506778B1 (ko) |
JP (2) | JPWO2003097034A1 (ko) |
KR (2) | KR20050024274A (ko) |
CN (1) | CN100428932C (ko) |
AU (1) | AU2003234925A1 (ko) |
ES (1) | ES2470369T3 (ko) |
WO (1) | WO200309703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60142038D1 (de) | 2000-04-24 | 2010-06-17 | Kowa Co | Aktivatoren de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zeptors |
WO2003097034A1 (fr) * | 2002-05-17 | 2003-11-27 | Nikken Chemicals Co., Ltd. | Inhibiteurs de l'expression du tgf-$g(a) |
JP4398862B2 (ja) | 2002-08-20 | 2010-01-13 | 興和株式会社 | 軟カプセル剤 |
GB0311081D0 (en) | 2003-05-14 | 2003-06-18 | Btg Internat Limted |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conditions |
EP2324828A1 (en) | 2003-08-18 | 2011-05-25 | BTG International Limited | Treatment for neurodegenerative conditions |
GB0504362D0 (en) | 2005-03-02 | 2005-04-06 | Btg Int Ltd | Cytokine modulators |
US20100120914A1 (en) * | 2007-03-30 | 2010-05-13 | Kowa Company, Ltd. | Medicament for prophylactic and/or therapeutic treatment of hepatic steatosis or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
JP5352459B2 (ja) | 2007-06-21 | 2013-11-27 | 学校法人城西大学 | 肝細胞増殖促進作用を有する医薬 |
JP5725490B2 (ja) * | 2010-04-14 | 2015-05-27 | 国立大学法人鳥取大学 | レチノイン酸受容体リガンドの抗腫瘍作用、発癌抑制作用を含めた種々の作用を決定する遺伝子の同定 |
WO2011135743A1 (ja) * | 2010-04-28 | 2011-11-03 | 興和株式会社 | C型肝炎の予防及び/又は治療のための医薬 |
KR102083753B1 (ko) * | 2011-04-27 | 2020-03-02 |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 포스포노크로톤산 유도체의 제조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50671A (en) * | 1881-12-13 | Mugilage-holder | ||
US63838A (en) * | 1867-04-16 | Sylvania | ||
JPS5731615A (en) * | 1980-07-31 | 1982-02-20 | Eisai Co Ltd | Remedy for skin disease with keratinization |
JPS56140949A (en) * | 1980-04-07 | 1981-11-04 | Eisai Co Ltd | 3,7,11,15-tetramethyl-2,4,6,10,14-hexadecapentaenic acid |
JPS57106638A (en) * | 1980-12-24 | 1982-07-02 | Eisai Co Ltd | Conjugated polyprenylcarboxylic acid and its derivative |
JPS58225039A (ja) * | 1982-06-22 | 1983-12-27 | Eisai Co Ltd | ポリプレニル系化合物 |
JPS6122054A (ja) * | 1984-05-09 | 1986-01-30 | Eisai Co Ltd | ポリプレニル系化合物 |
JPH0629218B2 (ja) * | 1985-03-15 | 1994-04-20 | エーザイ株式会社 | ポリプレニル系化合物 |
US4757140A (en) * | 1986-06-02 | 1988-07-12 |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 Coenzyme a derivatives of all-trans- and 13-cis retionic acid |
US4841038A (en) * | 1986-06-02 | 1989-06-20 |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 Method for preparing coenzyme a esters of all-trans- and 13-cis retinoic acids |
KR20000069429A (ko) * | 1996-12-12 | 2000-11-25 | 로렌스 티. 마이젠헬더 | 디히드로폴리프레놀의 오일 조성물 |
JPH10167960A (ja) * | 1996-12-12 | 1998-06-23 | Les-Bell:Kk | 肝細胞ガン再発抑制剤 |
DE60001683T2 (de) * | 1999-04-23 | 2003-12-18 | Nikken Chemicals Co., Ltd. | Verfahren zur Reinigung von 3,7,11,15-Tetramethyl-2,4,6,10,14-hexadecapentaenonsäure |
DE60142038D1 (de) * | 2000-04-24 | 2010-06-17 | Kowa Co | Aktivatoren de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zeptors |
WO2003097034A1 (fr) * | 2002-05-17 | 2003-11-27 | Nikken Chemicals Co., Ltd. | Inhibiteurs de l'expression du tgf-$g(a) |
US6984742B2 (en) * | 2003-04-18 | 2006-01-10 | Nikken Chemicals Co., Ltd. | Method for preparing polyprenyl compounds |
-
2003
- 2003-05-16 WO PCT/JP2003/006116 patent/WO2003097034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3-05-16 KR KR10-2004-7018530A patent/KR20050024274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03-05-16 ES ES03752675.3T patent/ES2470369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05-16 US US10/513,784 patent/US2006009478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3-05-16 JP JP2004505033A patent/JPWO2003097034A1/ja not_active Withdrawn
- 2003-05-16 AU AU2003234925A patent/AU200323492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3-05-16 CN CNB038111799A patent/CN100428932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5-16 KR KR1020107007357A patent/KR20100041891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03-05-16 EP EP03752675.3A patent/EP1506778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8
- 2008-08-25 US US12/230,137 patent/US2009006942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0
- 2010-06-09 JP JP2010131603A patent/JP2010189446A/ja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1891A (ko) | 2010-04-22 |
CN1652764A (zh) | 2005-08-10 |
EP1506778B1 (en) | 2014-03-26 |
ES2470369T3 (es) | 2014-06-23 |
WO2003097034A1 (fr) | 2003-11-27 |
JP2010189446A (ja) | 2010-09-02 |
EP1506778A4 (en) | 2009-12-16 |
US20060094784A1 (en) | 2006-05-04 |
JPWO2003097034A1 (ja) | 2005-09-15 |
US20090069424A1 (en) | 2009-03-12 |
EP1506778A1 (en) | 2005-02-16 |
CN100428932C (zh) | 2008-10-29 |
AU2003234925A1 (en) | 2003-1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90069424A1 (en) | TGF-alpha expression inhibitors | |
KR102338085B1 (ko) | 담즙울체성 질환의 치료 방법 | |
EP1611885A1 (en) | Use of an inducing agent for the treatment of blood, viral and cellular disorders | |
US10537541B2 (en) | Treatment of focal segmental glomerular sclerosis (FSGS) using therapeutically effective oral doses of 10-nitro-9(E)-octadec-9-enoic acid | |
CN111182904A (zh) | 包含acc抑制剂的组合治疗 | |
US8501806B2 (en) | Methods for preventing or reducing colon carcinogenesis | |
WO2015160213A1 (ko) |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516677B1 (ko) | 지방성 간 질환의 치료용 의약 조성물 | |
JP5289310B2 (ja) | 微小管破壊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癌細胞増殖抑制剤 | |
WO2009107322A1 (ja) | がん治療用医薬組成物 | |
JP2019529477A (ja) | 非アルコール性脂肪肝疾患治療のための医薬組成物および方法 | |
KR101461252B1 (ko) | 지방간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성 간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 | |
WO2012075957A1 (zh) | 咖啡酸苯乙酯类衍生物在制备抗肿瘤血管形成的药物中的用途 | |
CN115813920B (zh) | 1,2,4三唑并4,3-b哒嗪衍生物在制备治疗慢性肾病的药物中的应用 | |
US11628163B2 (en) | 1-piperidinepropionic acid for treating a fibrosing disease | |
JP5792322B2 (ja) | ビタミンdおよびメトホルミン含有医薬組成物 | |
KR20210015883A (ko) | 당뇨 제어 및 염증성장질환 치료의 향상을 위한 구조적으로 변형된 지방산 | |
KR20230128307A (ko) |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치료를 위한 산소-함유 구조적으로개선된 지방산을 포함하는 병용요법 | |
TWI477277B (zh) | 一種化合物用於製備預防b型肝炎藥物的用途 | |
CN117883441A (zh) | 一种含有小檗碱和牛磺酸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 |
CN113521082A (zh) | 雷公藤甲素在制备预防和/或治疗肝病的药物中的应用 | |
CN112755192A (zh) | 双环醇类化合物在制备用于预防或治疗动脉粥样硬化疾病的药物中的应用和药物组合物 | |
KR20070084122A (ko) | 장폴립 억제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MND | Amendment | ||
B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309 Effective date: 2011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