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509Y1 -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1509Y1 KR200491509Y1 KR2020150005107U KR20150005107U KR200491509Y1 KR 200491509 Y1 KR200491509 Y1 KR 200491509Y1 KR 2020150005107 U KR2020150005107 U KR 2020150005107U KR 20150005107 U KR20150005107 U KR 20150005107U KR 200491509 Y1 KR200491509 Y1 KR 20049150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cover
- plate
- upper side
- tilting pie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088—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extensions of closure flaps, by closure flaps or by extensions of side flaps of a container formed by folding a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면을 가지며 상품이 위치한 보관공간을 형성한 몸체부, 상기 보관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부 상부측과 연결된 덮개부 및 상기 보관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부 하부측과 연결된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몸체부 제1 면과 연결되어 있는 제1 덮개,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는 상기 몸체부 제2 면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덮개와 중첩된 제2 덮개 및 상기 제1 덮개와 상기 제2 덮개를 결합하는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덮개는, 상기 제1 면 상부측 적어도 일부분이 간격을 두고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면과 접힐 수 있게 연결된 제1 기울림편, 상기 제1 기울림편과 연결되어 있는 제1 손잡이, 상기 제1 손잡이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면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손잡이와 분리할 수 있게 연결된 제1 판 및 제2 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덮개는, 상기 제2 면 상부측 적어도 일부분이 간격을 두고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면과 접힐 수 있게 연결된 제2 기울림편, 상기 제2 기울림편과 연결되어 있는 제2 손잡이, 상기 제2 손잡이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면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손잡이와 분리할 수 있게 연결된 제3 판 및 제4 판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제1 판과 상기 제3 판 사이, 상기 제2 판과 상기 제4 판 사이, 상기 제1 손잡이와 상기 제2 손잡이 사이에 각각 위치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커피믹스, 음료 병, 음료 팩, 음료 캔 등의 상품은 개별 포장되어 유통되기도 하지만, 박스(포장용 상자) 단위로 포장되어 대량으로 유통되기도 한다. 포장용 상자에는 운반의 편의성을 위해 손잡이가 결합되어 있다.
포장용 상자는 제조 용이성 및 원가 절감 등의 이유로 종이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손잡이의 경우 강도를 가지려고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합성수지 손잡이는 양단이 끊어진 띠 형태로 형성되고 양단이 포장용 상자에 결속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포장용 상자와 손잡이를 별도로 제작해야 하므로 금형 제작비용이 증가하고 손잡이 결합에 따른 작업 공정이 증가하게 되었다.
또한, 손잡이를 잡고 포장용 상자를 운반할 때 상품의 중량에 의해 포장용 상자와 손잡이가 분리되어 포장용 상자가 바닥에 떨어져 상품이 손상되는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포장용 상자의 포장 공정수를 줄이고 소비자가 손잡이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는, 복수의 면을 가지며 상품이 위치한 보관공간을 형성한 몸체부, 상기 보관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부 상부측과 연결된 덮개부 및 상기 보관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부 하부측과 연결된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몸체부 제1 면과 연결되어 있는 제1 덮개,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는 상기 몸체부 제2 면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덮개와 중첩된 제2 덮개 및 상기 제1 덮개와 상기 제2 덮개를 결합하는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덮개는, 상기 제1 면 상부측 적어도 일부분이 간격을 두고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면과 접힐 수 있게 연결된 제1 기울림편, 상기 제1 기울림편과 연결되어 있는 제1 손잡이, 상기 제1 손잡이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면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손잡이와 분리할 수 있게 연결된 제1 판 및 제2 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덮개는, 상기 제2 면 상부측 적어도 일부분이 간격을 두고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면과 접힐 수 있게 연결된 제2 기울림편, 상기 제2 기울림편과 연결되어 있는 제2 손잡이, 상기 제2 손잡이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면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손잡이와 분리할 수 있게 연결된 제3 판 및 제4 판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제1 판과 상기 제3 판 사이, 상기 제2 판과 상기 제4 판 사이, 상기 제1 손잡이와 상기 제2 손잡이 사이에 각각 위치한다.
상기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2 손잡이 폭 방향 양측 외곽에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2 손잡이를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판, 상기 제2 판, 상기 제3 판 및 상기 제4 판에는 상기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2 손잡이와 연결된 절취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취편 절취로 상기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2 손잡이 폭 방향 양측에는 상기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2 손잡이를 잡을 수 있는 손잡이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홀에 손가락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2 손잡이를 잡고 들어 올리면 상기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2 손잡이는 상기 제1 판, 상기 제2 판, 상기 제3 판 및 상기 제4 판과 분리되며, 상기 제1 기울림편과 상기 제2 기울림편이 덮개부 중앙을 향해 기울어지면서 상기 제1 기울림편과 제1 손잡이가 연결된 부분과 상기 제2 기울림편과 상기 제2 손잡이가 연결된 부분이 제1 내지 제4 판 사이로 유입되고, 상기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2 손잡이의 중앙 부분이 들리면서 상기 제1 손잡이 하부측에 손을 넣어 상기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2 손잡이를 잡을 수 있는 파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울림편과 상기 제1 면의 절개선은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면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제2 기울림편과 상기 제2 면의 절개선은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2 면 외측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제1 손잡이 및 제2 손잡이에는 폭 방향을 따라 접힘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힘선은 상기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2 손잡이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는, 복수의 면을 가지며 접히어 보관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상부측과 연결되어 있고 접힐 수 있는 덮개부 및 상기 몸체부 하부측과 연결되어 있고 접힐 수 있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몸체부의 제1 면과 연결되어 있는 제1 덮개, 그리고 상기 몸체부 제2 면과 연결되어 있는 제2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덮개는, 상기 제1 면 상부측 적어도 일부분이 간격을 두고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면과 접힐 수 있게 연결된 제1 기울림편, 상기 제1 기울림편과 연결되어 있는 제1 손잡이, 상기 제1 손잡이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면과 접힐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손잡이와 분리할 수 있게 연결된 제1 판 및 제2 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덮개는, 상기 제2 면 상부측 적어도 일부분이 간격을 두고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면과 접힐 수 있게 연결된 제2 기울림편, 상기 제2 기울림편과 연결되어 있는 제2 손잡이, 상기 제2 손잡이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면과 접힐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손잡이와 분리할 수 있게 연결된 제3 판 및 제4 판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를 손가락으로 잡고 들어 올릴 때 제1 기울림편과 제2 기울림편의 상부측이 하부측을 기준으로 덮개부 중앙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제1 기울림편과 제2 기울림편의 기울림에 따라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가 더 들릴 수 있어 제1 손잡이 하부측으로 손을 전체적으로 넣을 수 있는 파지공간이 형성된다. 이에 파지공간에 의해 사용자는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에는 폭 방향으로 접힘선이 형성되고 있고, 상기 접힘선은 제1 손잡이 및 제2 손잡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을 들어 올릴 때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는 접힘선에 의해 꺾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구부러지면서 들릴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가 몸체부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므로 종래와 같이 손잡이를 몸체부에 별도로 결합하는 공정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포장용 상자의 포장에 따른 공정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의 폭 방향 가장자리는 길이 방향을 따라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요철부에 의해 사용자의 손은 제1 손잡이, 제2 손잡이로부터 미끄러지지 않아 사용자는 포장용 상자를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덮개와 제2 덮개가 중첩되면서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 또한 중첩된다. 이에 손잡이는 복수의 겹으로 형성된다. 복수 겹에 의해 손잡이는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찢어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 전개도.
도 2는 도 1의 전개도를 접는 순서를 나타낸 공정도.
도 3은 도 1의 전개도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실물을 나타낸 사진.
도 5는 도 3의 제1 및 제2 손잡이부가 들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실물을 나타낸 사진.
도 7은 도 6을 Ⅶ-Ⅶ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전개도를 접는 순서를 나타낸 공정도.
도 3은 도 1의 전개도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실물을 나타낸 사진.
도 5는 도 3의 제1 및 제2 손잡이부가 들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실물을 나타낸 사진.
도 7은 도 6을 Ⅶ-Ⅶ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 전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개도를 접는 순서를 나타낸 공정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전개도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물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5는 도 3의 제1 및 제2 손잡이부가 들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실물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7은 도 6을 Ⅶ-Ⅶ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100)는 제조 공정수를 최소화하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몸체부(1), 덮개부(2) 및 바닥부(3)를 포함한다.
몸체부(1)는 기설정된 넓이를 갖는 제1 내지 제4 면(11, 12, 13, 14)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면(12)은 떨어져 있으며, 제3 면(13)은 제1 면(11)과 제2 면(12)의 일측을 연결하고, 제4 면은 제2 면(12) 타측과 연결되어 있다. 제1 내지 제4 면(11, 12, 13, 14)은 접힐 수 있도록 접힘선(이웃한 면의 경계를 눌러 접을 수 있도록 한 선)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4 면(14)은 제1 면(11)의 타측에서 연장된 연결판(111)과 접착부(4)로 연결될 수 있다. 접착부(4)는 열가소성 수지(Thermoplastic-resin)로 형성될 수 있다. 접착부(4)는 양면테이프, 종이찍개(stapler)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4 면(14)과 연결판(111)이 연결되면 제1 면(11)과 제2 면(12)이 마주하고, 제3 면(13)과 제4 면(14)이 마주하며, 몸체부(1) 내부에는 물품을 담을 수 있는 보관공간(15)이 형성된다.
제2 면(12)의 기설정된 위치에는 물품을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구(121a)가 형성되어 있다. 인출구(121a)는 제2 면(12)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연결된 마개편(121)에 의해 막혀 있다. 마개편(121)는 사용자에 의해 제2 면(12)과 경계 부분이 잘리면서 분리될 수 있다.
위 설명과 도면 도 1 및 도 2에서 몸체부(1)가 제1 내지 제4 면(11, 12, 13, 14)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면의 개수에 따라 몸체부(1)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바닥부(3)는 몸체부(1) 하부측과 연결되어 보관공간(15)에 위치하며 물품을 지지한다. 바닥부(3)는 기설정된 넓이를 갖는 제1 내지 제4 바닥(31, 32, 33, 34)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바닥(31, 32, 33, 34)은 제1 내지 제4 면(11, 12, 13, 14)과 각각 접힘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내지 제4 바닥(31, 32, 33, 34)은 접힘선을 기준으로 보관공간(15)으로 접히어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중첩된 사이에 열가소성 수지 또는 양면테이프 등으로 이루어진 접착부(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제1 내지 제4 바닥(31, 32, 33, 34)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바닥(31, 32, 33, 34)은 보관공간(15) 하부측에서 물품이 이탈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바닥(31, 32, 33, 34)이 접착부에 의해 서로 결합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내지 제4 바닥(31, 32, 33, 34)은 서로 끼워져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4 바닥(31, 32, 33, 34)의 개수 및 구조는 몸체부(1)의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덮개부(2)는 몸체부(1)의 상부측과 연결되어 보관공간(15)에 위치하며 물품을 덮으며, 몸체부(1)를 들 수 있도록 한다. 덮개부(2)는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몸체부(1)와 접힐 수 있도록 연결된 제1 내지 제4 덮개(21, 22, 23, 24)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덮개(21, 22, 23, 24)는 제3 덮개(23), 제4 덮개(24), 제1 덮개(21) 및 제2 덮개(22) 순서로 접히어 중첩된다.
제1 덮개(21)는 제1 기울림편(211), 제1 손잡이(212), 제1 판(213a) 및 제2 판(213b)을 포함한다. 제1 손잡이(212), 제1 판(213a) 및 제2 판(213b)은 절취선(점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1 손잡이(212) 및 제1 판(213a) 및 제2 판(213b)이 이루는 넓이는 보관공간(15)의 둘레면이 이루는 넓이와 같다.
제1 기울림편(211)은 제1 면(11) 상부측 기설정된 지점에서 간격을 두고 하부측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제1 기울림편(211)의 양측은 제1 면(11)과 분리되어 있다. 제1 기울림편(211)의 양측은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기울림편(211)의 하부측은 제1 면(11)과 접힘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손잡이(212)는 일측이 제1 기울림편(211) 상부측과 접힘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손잡이(212) 폭 방향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요철부(222a)가 형성되어 있다. 요철부(222a)는 사용자 손이 손잡이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요철부(222a)는 생략될 수 있다.
제1 손잡이(212)에는 폭 방향으로 접힘선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손잡이(212) 접힘선은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사용자가 제1 손잡이(212)를 잡았을 때 제1 손잡이(212)는 접힘선에 의해 부드럽게 구부러질 수 있다. 그러나 제1 손잡이(212)의 접힘선은 생략될 수 있다.
제1 판(213a)과 제2 판(213b)은 제1 손잡이(212)를 사이에 두고 마주한다. 제1 판(213a)과 제2 판(213b)의 일측은 제1 면(11) 상부측과 접힘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판(213a)과 제2 판(213b)에는 제1 손잡이(212)와 연결된 절취편(214)이 절취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절취편(214)이 잘리면 제1 손잡이(212)의 기설정된 위치의 폭 방향 양측에는 손잡이 홀(214a)이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 홀(214a)을 통해 사용자는 제1 손잡이(212)를 잡을 수 있다.
제2 덮개(22)는 제2 면(12) 상부측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2 기울림편(221), 제2 손잡이(222), 제3 판(223a) 및 제4 판(223b)을 포함한다. 제2 덮개(22)의 제2 기울림편(221), 제2 손잡이(222), 제3 판(223a) 및 제4 판(223b)은 제1 덮개(21)의 제1 기울림편(211), 제1 손잡이(212), 제1 판(213a) 및 제2 판(213b)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 판(223a) 및 제4 판(223b)에도 절취편(224)과 손잡이 홀(224a)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부(1)가 접히었을 때 제2 덮개(22)는 제1 덮개(21)와 마주하고, 제2 덮개(22)는 제1 덮개(21) 위로 접힐 수 있다. 이에 제1 덮개(21)와 제2 덮개(22)는 서로 중첩된다. 제1 덮개(21)와 제2 덮개(22)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손잡이(212)와 제2 손잡이(222) 사이, 제1 판(213a)과 제3 판(223a) 사이 및 제2 판(213b)과 제4 판(223b) 사이에 접착부(4)를 위치시켜 이들을 결합한다(도 2 e 참조).
제1 손잡이(212)의 타측은 제2 손잡이(222)를 통해 제2 면(12)과 연결되고, 제2 손잡이(222)의 타측은 제1 손잡이(212)를 통해 제1 면(11)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손잡이(212)와 제2 손잡이(222)가 중첩되어 포장용 상자의 손잡이는 복수의 겹으로 형성된다. 복수 겹에 의해 손잡이는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찢어지지 않는다.
제3 덮개(23)는 제1 덮개(21)와 제2 덮개(22) 사이에 위치하고 제3 면(13)의 상부측과 접힘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3 덮개(23)의 넓이는 제1 덮개(21)의 넓이의 절반 정도이다. 제3 덮개(23)의 넓이는 포장용 상자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접힌 제3 덮개(23)는 제1 판(213a) 아래에 위치한다.
제4 덮개(24)는 제4 면(14)의 상부측과 접힘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4 덮개(24)의 넓이는 제1 덮개(21)의 넓이의 절반 정도이다. 제4 덮개(24)의 넓이는 제3 덮개(23)의 넓이보다 클 수 있다. 제4 덮개(24)의 넓이는 포자용 상자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몸체부(1)를 접었을 때 제4 덮개(24)는 제3 덮개(23)와 마주한다. 접힌 제4 덮개(24)는 제2 판(213b) 아래에 위치하며 그 끝은 제3 덮개(23)의 끝과 마주한다.
제3 덮개(23)의 끝과 제4 덮개(24)의 끝은 제1 손잡이(212) 아래에 위치한다.
제3 덮개(23)와 제4 덮개(24)의 넓이가 제1 덮개(21)의 넓이와 같거나 절반보다 큰 경우 제3 덮개(23)와 제4 덮개(24)는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삭제
다음으로 위에서 설명한 포장용 상자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포장용 상자 제조자는 도 1과 같이 전개도 상태로 납품할 수 있으며, 포장자는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바닥부(3)를 접어 연결하면서 제4 면(14)과 연결판(111)을 연결하여 몸체부(1)에 보관공간(15)을 형성하고 물품이 보관공간(15)에 수납되면 덮개부(2)를 접어 도 3과 같은 포장용 상자를 형성할 수 있다.
포장 상품의 최종 사용자는 포장용 상자(100)를 운반하기 위해 절취편(214, 224)을 분리될 수 있다. 절취편(214, 224) 분리로 형성된 손잡이 홀(214a, 224a)에 제1 손잡이(212)와 제2 손잡이(222)를 사이에 두고 엄지와 검지를 위치시켜 제1 손잡이(212)와 제2 손잡이(222)를 잡을 수 있다.
제1 손잡이(212)와 제2 손잡이(222)를 들어 올리면 제1 손잡이(212)와 제2 손잡이(222)는 제1 내지 제 4 판(213a, 213b, 223a, 223b)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1 손잡이(212) 및 제2 손잡이(222)는 접힘선에 의해 부드럽게 구부러질 수 있다.
제1 손잡이(212)와 제2 손잡이(222)를 더욱 들어 올리면 제1 기울림편(211)과 제2 기울림편(221)의 상부측은 하부측을 기준으로 덮개부(2) 중앙을 향해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제1 기울림편(211)과 제1 손잡이(212)가 연결된 부분(211a)과 제2 기울림편(221)과 제2 손잡이(222)가 연결된 부분(221a)이 제1 내지 제4 판(223b) 사이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기울림편(211)과 제2 기울림편(221)이 기울어진 각도만큼 제1 손잡이(212)와 제2 손잡이(222)는 더 들릴 수 있다. 이에 제1 손잡이(212) 하부측으로 손을 넣을 수 있는 파지공간(25)이 형성된다. 파지공간(25)으로 손을 넣어 제1 손잡이(212)와 제2 손잡이(222)를 잡으면 사용자는 포장용 상자(100)를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다.
제1 기울림편(211)과 제2 기울림편(221)의 양측이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므로 제1 손잡이(212)와 제2 손잡이(222)가 들릴 때 제1 기울림편(211)과 제1 면(11), 제2 기울림편(221)과 제2 면(12)의 연결된 부분에 가해지는 응력이 집중되지 않고 분산될 수 있다. 이에 손잡이는 물품의 무게를 충분히 견딜 수 있다.
그리고 제1 손잡이(212)와 제2 손잡이(222)가 몸체부(1)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므로 종래와 같이 손잡이를 몸체부에 별도로 결합하는 공정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포장용 상자(100)의 포장에 따른 공정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포장용 상자 1: 몸체부
11: 제1 면 111: 연결판
12: 제2 면 121: 마개편
121a: 인출구 13: 제3 면
14: 제4 면 15: 보관공간
2: 덮개부 21: 제1 덮개
211: 제1 기울림편 211a, 221a: 연결부분
212: 제1 손잡이 212a: 요철부
213a: 제1 판 213b: 제2 판
214, 224: 절취편 214a. 224a: 손잡이 홀
22: 제2 덮개 221: 제2 기울림편
222: 제2 손잡이 222a: 요철부
223a: 제3 판 223b: 제4 판
23: 제3 덮개 24: 제4 덮개
25: 파지공간 3: 바닥부
31: 제1 바닥 32: 제2 바닥
33: 제3 바닥 34: 제4 바닥
4: 접착부
11: 제1 면 111: 연결판
12: 제2 면 121: 마개편
121a: 인출구 13: 제3 면
14: 제4 면 15: 보관공간
2: 덮개부 21: 제1 덮개
211: 제1 기울림편 211a, 221a: 연결부분
212: 제1 손잡이 212a: 요철부
213a: 제1 판 213b: 제2 판
214, 224: 절취편 214a. 224a: 손잡이 홀
22: 제2 덮개 221: 제2 기울림편
222: 제2 손잡이 222a: 요철부
223a: 제3 판 223b: 제4 판
23: 제3 덮개 24: 제4 덮개
25: 파지공간 3: 바닥부
31: 제1 바닥 32: 제2 바닥
33: 제3 바닥 34: 제4 바닥
4: 접착부
Claims (7)
- 복수의 면을 가지며 상품이 위치한 보관공간을 형성한 몸체부,
상기 보관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부 상부측과 연결된 덮개부 및
상기 보관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부 하부측과 연결된 바닥부
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몸체부 제1 면과 연결되어 있는 제1 덮개,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는 상기 몸체부 제2 면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덮개와 중첩된 제2 덮개, 상기 제1 덮개와 상기 제2 덮개를 결합하는 접착부, 상기 제1 덮개와 상기 제2 덮개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부의 제3 면의 상부측과 연결되어 있으며 넓이가 상기 제1 덮개의 넓이의 절반인 제3 덮개 및 상기 몸체부의 제4 면의 상부측과 연결되어 있고 넓이가 상기 제1 덮개의 넓이의 절반인 제4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덮개는,
상기 제1 면 상부측 적어도 일부분이 간격을 두고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면과 접힐 수 있게 연결된 제1 기울림편, 상기 제1 기울림편과 연결되어 있는 제1 손잡이, 상기 제1 손잡이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면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손잡이와 분리할 수 있게 연결된 제1 판 및 제2 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덮개는,
상기 제2 면 상부측 적어도 일부분이 간격을 두고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면과 접힐 수 있게 연결된 제2 기울림편, 상기 제2 기울림편과 연결되어 있는 제2 손잡이, 상기 제2 손잡이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면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손잡이와 분리할 수 있게 연결된 제3 판 및 제4 판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제1 판과 상기 제3 판 사이, 상기 제2 판과 상기 제4 판 사이, 상기 제1 손잡이와 상기 제2 손잡이 사이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제3 덮개의 끝과 상기 제4 덮개의 끝은 상기 제1 손잡이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손잡이 및 제2 손잡이에는 폭 방향을 따라 접힘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힘선은 상기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2 손잡이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사용자가 제1 손잡이와 상기 제2 손잡이를 잡았을 때 제1 손잡이와 상기 제2 손잡이는 상기 접힘선에 의해 부드럽게 구부러질 수 있고, 상기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2 손잡이 폭 방향 양측 외곽에는 사용자 손이 상기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2 손잡이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포장용 상자. - 삭제
- 제1항에서,
상기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2 손잡이를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판, 상기 제2 판, 상기 제3 판 및 상기 제4 판에는 상기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2 손잡이와 연결된 절취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취편 분리로 상기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2 손잡이 폭 방향 양측에는 상기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2 손잡이를 잡을 수 있는 손잡이 홀이 형성되는 포장용 상자. - 제3항에서,
상기 손잡이 홀에 손가락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2 손잡이를 잡고 들어 올리면 상기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2 손잡이는 상기 제1 판, 상기 제2 판, 상기 제3 판 및 상기 제4 판과 분리되며, 상기 제1 기울림편과 상기 제2 기울림편이 덮개부 중앙을 향해 기울어지면서 상기 제1 기울림편과 제1 손잡이가 연결된 부분과 상기 제2 기울림편과 상기 제2 손잡이가 연결된 부분이 제1 내지 제4 판 사이로 유입되고, 상기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2 손잡이의 중앙 부분이 들리면서 상기 제1 손잡이 하부측에 손을 넣어 상기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2 손잡이를 잡을 수 있는 파지공간이 형성되는 포장용 상자. - 제1항에서,
상기 제1 기울림편과 상기 제1 면의 절개선은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면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제2 기울림편과 상기 제2 면의 절개선은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2 면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포장용 상자.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5107U KR200491509Y1 (ko) | 2015-07-29 | 2015-07-29 | 포장용 상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5107U KR200491509Y1 (ko) | 2015-07-29 | 2015-07-29 | 포장용 상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0553U KR20170000553U (ko) | 2017-02-09 |
KR200491509Y1 true KR200491509Y1 (ko) | 2020-04-21 |
Family
ID=58404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5107U KR200491509Y1 (ko) | 2015-07-29 | 2015-07-29 | 포장용 상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1509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8297B1 (ko) * | 2018-05-31 | 2019-08-07 | 김병열 | 포장용 가방 |
KR102008292B1 (ko) * | 2018-05-31 | 2019-08-07 | 김병열 | 포장용 가방 |
KR200492642Y1 (ko) * | 2018-07-16 | 2020-11-16 | 씨제이제일제당 (주) |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 |
KR20210072655A (ko) | 2019-12-09 | 2021-06-17 | (주)거성문화 | 음료용 포장상자의 손잡이 구조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98619A (en) | 1983-10-24 | 1985-02-12 | Champion International Corporation | Carton with carrying handle |
JP2000509686A (ja) | 1997-02-26 | 2000-08-02 | リヴァーウッド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コーポレーション | ストラップ型ハンドル付物品キャリア及び上面パネルアクセス |
KR200352889Y1 (ko) | 2004-03-05 | 2004-06-14 | 국일판지 주식회사 | 포장용 상자 |
KR200407978Y1 (ko) | 2005-11-21 | 2006-02-06 | (주) 대림칼라 | 손잡이 일체형 포장박스 |
KR200428425Y1 (ko) | 2006-07-13 | 2006-10-11 | 박성석 | 상자의 손잡이 구조와 그 상자 |
KR200468138Y1 (ko) * | 2011-06-14 | 2013-07-26 | (주) 창성피앤텍 | 손잡이 일체형 포장박스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82199A (en) * | 1983-12-02 | 1986-04-15 | Manville Service Corporation | Carton and blank therefor |
KR101124669B1 (ko) | 2009-09-30 | 2012-03-19 | 이기석 | 손잡이를 갖는 포장용 상자 |
US8955736B2 (en) * | 2012-02-16 | 2015-02-17 |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 Carton with handle |
-
2015
- 2015-07-29 KR KR2020150005107U patent/KR200491509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98619A (en) | 1983-10-24 | 1985-02-12 | Champion International Corporation | Carton with carrying handle |
JP2000509686A (ja) | 1997-02-26 | 2000-08-02 | リヴァーウッド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コーポレーション | ストラップ型ハンドル付物品キャリア及び上面パネルアクセス |
KR200352889Y1 (ko) | 2004-03-05 | 2004-06-14 | 국일판지 주식회사 | 포장용 상자 |
KR200407978Y1 (ko) | 2005-11-21 | 2006-02-06 | (주) 대림칼라 | 손잡이 일체형 포장박스 |
KR200428425Y1 (ko) | 2006-07-13 | 2006-10-11 | 박성석 | 상자의 손잡이 구조와 그 상자 |
KR200468138Y1 (ko) * | 2011-06-14 | 2013-07-26 | (주) 창성피앤텍 | 손잡이 일체형 포장박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0553U (ko) | 2017-0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91509Y1 (ko) | 포장용 상자 | |
KR101282966B1 (ko) | 포장박스용 손잡이 | |
EP3060489B1 (en) | Carton with carry handles | |
US6216871B1 (en) | Package and method for packaging of batches of articles of undetermined volume | |
KR200492642Y1 (ko) |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 | |
KR101533801B1 (ko) | 절첩식 포장상자 | |
KR101126340B1 (ko) | 상부적층이 용이한 포장용 종이박스 | |
CN106232487B (zh) | 用于储存产品的包装件 | |
CN106660655A (zh) | 具有支撑柱和孔口的展示托盘 | |
US20070215682A1 (en) | Carton having handling-facilitating apertures | |
BE1026377B1 (nl) | Draagbaar handgreepsamenstel | |
KR101735937B1 (ko) | 포장용 박스 | |
JP6048903B1 (ja) | 水平保持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101713017B1 (ko) | 포장용 종이박스 | |
US20070228120A1 (en) | Handled container | |
EP2429923B1 (en) | Pizza packaging | |
KR20170019851A (ko) | 즉석식품용 세트포장용기 | |
JP2014156254A (ja) | 梱包箱及び梱包体 | |
US20140079342A1 (en) | Packag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ckage, and use of such package | |
JP5974413B1 (ja) | 帯支持式容器運搬袋 | |
KR102244462B1 (ko) | 식품 포장상자 | |
KR20210072655A (ko) | 음료용 포장상자의 손잡이 구조 | |
KR100741380B1 (ko) | 포장박스 잠금 방법 및 포장박스 | |
JP7331390B2 (ja) | 段ボール箱、梱包体 | |
JP2005162255A (ja) | 折りたたみ式通い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