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555Y1 - 화분 받침대 - Google Patents
화분 받침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1555Y1 KR200481555Y1 KR2020150008633U KR20150008633U KR200481555Y1 KR 200481555 Y1 KR200481555 Y1 KR 200481555Y1 KR 2020150008633 U KR2020150008633 U KR 2020150008633U KR 20150008633 U KR20150008633 U KR 20150008633U KR 200481555 Y1 KR200481555 Y1 KR 20048155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ed
- holder
- pollen
- fixing
- vertical b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5—Trays for receiving multiple po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4—Mountings for wreaths, or the like; Racks or holders for flow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거치대가 상, 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전, 후 방향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한 고정대를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거치대를 수직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하여 고정하거나 또는 계단식 형태로 배치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거치대에 화분의 외주면과 맞닿는 부분에 호 형상의 거치부를 형성하여 사용함으로써, 원통 형상의 화분이 거치대에 거치시 좌, 우측 방향으로 굴러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지면 또는 바닥에 지지되는 수평바(110)와, 상기 수평바(110) 상에 수직으로 설치 고정되고 내측면에 가이드홈(130)이 형성된 수직바(120)로 이루어진 지지대(100); 상기 수직바(120)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130)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수직바(120)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 체결 고정된 고정대(200); 및 상기 고정대(200) 상에 끼움 고정되고, 화분(400)이 기울어지도록 거치되는 거치대(30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대(200)는 외측면에 복수의 끼움돌기(221)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221)에 의해 상기 고정대(20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지면 또는 바닥에 지지되는 수평바(110)와, 상기 수평바(110) 상에 수직으로 설치 고정되고 내측면에 가이드홈(130)이 형성된 수직바(120)로 이루어진 지지대(100); 상기 수직바(120)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130)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수직바(120)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 체결 고정된 고정대(200); 및 상기 고정대(200) 상에 끼움 고정되고, 화분(400)이 기울어지도록 거치되는 거치대(30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대(200)는 외측면에 복수의 끼움돌기(221)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221)에 의해 상기 고정대(20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거치대가 상, 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전, 후 방향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한 고정대를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거치대를 수직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하여 고정하거나 또는 계단식 형태로 배치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거치대에 화분의 외주면과 맞닿는 부분에 호 형상의 거치부를 형성하여 사용함으로써, 원통 형상의 화분이 거치대에 거치시 좌, 우측 방향으로 굴러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원(庭園, garden)은 흙·돌·물·나무 등의 자연재료와 인공물 및 건축물에 의해 미적이고 기능적으로 구성된 특정한 구역을 말하는데, 그 구성 요소로는 계단, 담과 울타리, 테라스, 벤치, 잔디와 지피류, 조명, 조각, 기타 장식품 등이 있다.
그리고 정원은 주택의 외부공간을 실용적·심미적 목적으로 처리한 뜰을 의미한다. 정원은 주거문화의 반영일 뿐 아니라 한 사회와 시대의 생활문화와 가치체계 및 예술이 총체적으로 결집된 장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정원은 실외 또는 실내에 많이 설치되는 것으로, 비용적으로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공간을 필요 이상으로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거치대가 상, 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전, 후 방향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한 고정대를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거치대를 수직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하여 고정하거나 또는 계단식 형태로 배치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거치대에 화분의 외주면과 맞닿는 부분에 호 형상의 거치부를 형성하여 사용함으로써, 원통 형상의 화분이 거치대에 거치시 좌, 우측 방향으로 굴러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지면 또는 바닥에 지지되는 수평바(110)와, 상기 수평바(110) 상에 수직으로 설치 고정되고 내측면에 가이드홈(130)이 형성된 수직바(120)로 이루어진 지지대(100); 상기 수직바(120)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130)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수직바(120)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 체결 고정된 고정대(200); 및 상기 고정대(200) 상에 끼움 고정되고, 화분(400)이 기울어지도록 거치되는 거치대(30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대(200)는, 상기 수직바(12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고정홀(212)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212)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130)에 슬라이딩되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211)가 형성된 수직판(210); 및 상기 수직판(210) 상부에 직교되게 형성되고, 상부면에 돌기 형태의 끼움돌기(221)가 형성된 수평판(22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대(200)는 상기 수직판(21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211)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홀(212)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N)와 나사결합 되면서 관통되고 상기 고정홀(212)을 관통하여 체결된 상기 나사(N)의 끝단이 가이드홈(130)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고, 거치대(300)는, 상기 고정대(200) 상에 끼움 고정되고, 내부에 외부로부터 제공하는 물이 저장되는 몸체(310); 및 상기 몸체(310) 내부에 저장된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도록 상기 몸체(310)의 양측을 밀폐하는 측벽(320);을 포함하며, 몸체(310)는, 하부에 형성된 바닥부(312)를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되고, 기울어지게 안착된 화분(400)의 하부면이 밀착되어 지지되는 경사부(311); 및 상기 바닥부(312)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화분(400)이 외부충격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며, 화분(400)의 외주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호 형태의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화분(40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굴러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거치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끼움돌기(221)는, 상기 거치대(300)에 형성된 끼움부(315)에 끼움 고정되어 상기 거치대(300)가 상기 고정대(2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삭제
상기 경사부(311)는, 일정 각도 기울어진 각도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거치대(300)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배수공(314)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공(314)의 위치까지 물이 차오르게 되면 상기 배수공(314)을 통해 하부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거치대(300)로 물이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거치대가 상, 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전, 후 방향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한 고정대를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거치대를 수직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하여 고정하거나 또는 계단식 형태로 배치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거치대에 화분의 외주면과 맞닿는 부분에 호 형상의 거치부를 형성하여 사용함으로써, 원통 형상의 화분이 거치대에 거치시 좌, 우측 방향으로 굴러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측면도이다.
도 5 및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7 및 8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에서 고정대가 결합되는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에서 거치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측면도이다.
도 5 및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7 및 8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에서 고정대가 결합되는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에서 거치대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측면도이며, 도 5 및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7 및 8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에서 고정대가 결합되는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에서 거치대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10)는 지지대(100), 고정대(200) 및 거치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00)는 바닥에 고정되는 수평바(110)와 고정대(200) 및 거치대(300)를 고정 지지하는 수직바(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바(110)는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하여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화분 받침대(10)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직바(12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수평바(110) 상에 서로 마주보도록 수직 형태로 설치 고정될 수 있다. 수직바(120)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의 내측면에 가이드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30)은 수직바(1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고정대(200)를 상, 하측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직바(120)에 가이드홈(130)을 형성하여 사용하게 되면, 복수로 이루어진 거치대(300)의 설치가 용이하고, 특히, 수직바(120)에 설치된 거치대(300)를 이탈시키지 않고 작업자가 상, 하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고정대(200)는 수직바(120)의 내측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설치 고정되고, 수직바(120)에 형성된 가이드홈(130)을 따라 상,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며, 거치대(300)를 고정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고정대(200)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도록 수직판(210) 및 수평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판(210)은 수직바(120)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21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211)는 수직바(120)에 형성된 가이드홈(130)에 삽입되어 외력에 의해 가이드홈(13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수직판(210)은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가이드돌기(211)와 이격되게 하측 방향으로 고정홀(212)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홀(212)은 천공된 구멍 형태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나사(N)에 의해 수직판(210)이 수직바(12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수직판(21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211)가 수직바(120)에 형성된 가이드홈(130)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위치 조절한 후, 고정홀(212)에 체결되는 나사(N)를 이용하여 나사 체결되도록 한 상태에서 나사(N)의 끝단이 가이드홈(130)의 내측면에 밀착될 때까지 나사(N)를 조여 수직판(210)이 수직바(120)에 고정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돌기(211) 및 나사(N)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되면, 가이드돌기(211)에 의해 고정대(200)가 좌, 우측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 나사(N)에 의해 작업자가 고정대(20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수직판(2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돌기(211)를 이용하여 거치대(30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 조절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여 예로 들면, 수직판(210)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돌기(211) 중 후방에 위치한 2개의 가이드돌기(211)를 가이드홈(130)에 삽입시켜 고정하면 수직판(210)은 수직바(120)를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하고, 상부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수직판(21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211) 중 중간에 위치한 2개의 가이드돌기(211)를 가이드홈(130)에 삽입시켜 고정하면 수직판(210)이 수직바(120)를 기준으로 중앙에 위치하며, 상부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수직판(21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211) 중 전방에 위치한 2개의 가이드돌기(211)를 가이드홈(130)에 삽입시켜 고정하면 수직판(210)이 수직바(120)를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하여 계단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판(220)은 수직판(210)의 상부에 직교되게 형성되고, 거치대(300)를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수평판(220)은 상부에 돌기 형태의 끼움돌기(2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돌기(221)는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거치대(300)에 형성된 끼움부(315)에 삽입 고정되어 거치대(30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300)는 고정대(200)에 끼움 고정되고, 고정대(200)에 의해 상,하 또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며, 다양한 꽃 등이 식재된 화분(400)을 거치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거치대(300)는 몸체(310) 및 측벽(32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3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고, 수직바(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몸체(310)는 일측이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된 경사부(311)와, 경사부(311)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바닥부(312)와, 바닥부(312)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거치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311)는 화분(400)의 하단면과 수평이 되도록 바닥부(312)를 기준으로 30° 내지 40°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화분(400)이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거치되기 때문에 화분(400)의 하부면이 경사부(311)에 밀착되게 고정하게 되면 외부충격에 의해 흔들리거나 또는 거치대(3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사부(311)는 거치대(300)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공(3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공(314)은 거치대(300) 내부로 유입된 물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경사부(311)의 경사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마개(미도시)를 이용하여 개방 또는 밀폐되게 할 수 있다.
즉, 하부에 형성된 배수공(314)을 마개를 이용하여 밀폐한 다음 물이 제공되면 상부에 위치한 배수공(314) 위치까지 물이 차오르게 되는데, 이때, 물이 계속 제공되면 상부에 위치한 배수공(314)을 통해 하부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거치대(300)로 떨어지면서 몸체(310) 내부로 물이 차오르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작업자가 상부에 위치한 거치대(300)로 물을 제공하면 하부에 위치한 복수의 거치대(300)로 순차적으로 일정량의 물이 제공된다.
한편, 배수공(314)은 바닥부(312)의 중간에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는데, 바닥부(312)에 형성된 배수공(314)은 거치대(300) 내부에 잔류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313)는 화분(400)의 외주면과 맞닿는 부분에 호 형태의 라운드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화분(400)이 좌, 우측 방향으로 굴러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로 들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화분(400)을 거치대(300)에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할 경우 외부충격이 가해지면 화분(400)이 좌, 우측 방향으로 굴러다니면서 이동되어 다른 화분(400)과 충격이 가해질 수 있고, 또한, 화분(400)과 화분(40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몸체(310)의 전방에 호 형상의 거치부(313)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몸체(310)는 끼움돌기(221)에 끼워 고정될 수 있도록 끼움돌기(221)와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부(3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부(315)를 구성하여 사용하게 되면 고정대(200)를 탈거하지 않고도 거치대(300) 부분만 따로 탈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측벽(320)은 몸체(310)의 개방된 양측을 밀폐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몸체(310) 내부로 저장된 물을 저장하기 위해 용기 형태로 형성하기 몸체(310)의 양측을 밀폐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10)의 설치방법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수평바(110)를 사각 형태로 배치하고, 수평바(110) 상에 수직바(120)를 수직이 되도록 고정시킨다. 이때, 수평바(110)와 수직바(120)를 고정시킬 때 용접을 하거나 또는 "ㄴ"자 형태의 브라켓을 이용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고 수평바(110)와 수직바(120)가 직교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다음, 수평바(110)와 수직바(120)를 이용하여 지지대(100) 형태로 조립한 다음 고정대(200)가 서로 마주보도록 수직바(120)의 내측에 고정한다. 이때, 고정대(200)는 수직바(12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로 배치하고, 수직바(120)를 기준으로 하부에 형성된 고정대(200)부터 상부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고정대(200)를 순차적으로 전방, 중앙 및 후방으로 위치하도록 계단식으로 배치하여 나사(N)로 고정한다.
그 다음, 수직바(120)에 고정된 고정대(200) 상에 거치대(300)를 끼워 고정되는데, 이때, 고정대(200)에 형성된 끼움돌기(221)에 거치대(300)에 형성된 끼움부(315)가 끼워 고정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복수의 고정대(200)에 거치대(300)를 끼워 고정한다.
이어서, 거치대(300)에 형성된 거치부(313)에 화분(400)이 기울어지게 안착시킨 다음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거치대(300)에 저장시켜 화분(400)으로 물이 공급되게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화분 받침대 100; 지지대
110; 수평바 120; 수직바
130; 가이드홈 200; 고정대
210; 수직판 211; 가이드돌기
212; 고정홀 220; 수평판
221; 끼움돌기 300; 거치대
310; 몸체 311; 경사부
312; 바닥부 313; 거치부
314; 배수공 315; 끼움부
320; 측벽 N; 나사
110; 수평바 120; 수직바
130; 가이드홈 200; 고정대
210; 수직판 211; 가이드돌기
212; 고정홀 220; 수평판
221; 끼움돌기 300; 거치대
310; 몸체 311; 경사부
312; 바닥부 313; 거치부
314; 배수공 315; 끼움부
320; 측벽 N; 나사
Claims (5)
- 지면 또는 바닥에 지지되는 수평바(110)와, 상기 수평바(110) 상에 수직으로 설치 고정되고 내측면에 가이드홈(130)이 형성된 수직바(120)로 이루어진 지지대(100);
상기 수직바(120)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130)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수직바(120)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 체결 고정된 고정대(200); 및
상기 고정대(200) 상에 끼움 고정되고, 화분(400)이 기울어지도록 거치되는 거치대(30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대(200)는,
상기 수직바(12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고정홀(212)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212)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130)에 슬라이딩 되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211)가 형성된 수직판(210); 및
상기 수직판(210) 상부에 직교되게 형성되고, 상부면에 돌기 형태의 끼움돌기(221)가 형성된 수평판(22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대(200)는 상기 수직판(21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211)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홀(212)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N)와 나사결합 되면서 관통되고 상기 고정홀(212)을 관통하여 체결된 상기 나사(N)의 끝단이 가이드홈(130)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고,
거치대(300)는,
상기 고정대(200) 상에 끼움 고정되고, 내부에 외부로부터 제공하는 물이 저장되는 몸체(310); 및
상기 몸체(310) 내부에 저장된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도록 상기 몸체(310)의 양측을 밀폐하는 측벽(320);을 포함하며,
몸체(310)는,
하부에 형성된 바닥부(312)를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되고, 기울어지게 안착된 화분(400)의 하부면이 밀착되어 지지되는 경사부(311); 및
상기 바닥부(312)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화분(400)이 외부충격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며, 화분(400)의 외주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호 형태의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화분(40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굴러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거치부(3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221)는,
상기 거치대(300)에 형성된 끼움부(315)에 끼움 고정되어 상기 거치대(300)가 상기 고정대(2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311)는,
일정 각도 기울어진 각도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거치대(300)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배수공(314)이 형성되되,
상기 배수공(314)의 위치까지 물이 차오르게 되면 상기 배수공(314)을 통해 하부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거치대(300)로 물이 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8633U KR200481555Y1 (ko) | 2015-12-30 | 2015-12-30 | 화분 받침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8633U KR200481555Y1 (ko) | 2015-12-30 | 2015-12-30 | 화분 받침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1555Y1 true KR200481555Y1 (ko) | 2016-10-18 |
Family
ID=57234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8633U KR200481555Y1 (ko) | 2015-12-30 | 2015-12-30 | 화분 받침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1555Y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93168A (ja) * | 2001-09-27 | 2003-04-02 | Kokuyo Co Ltd | 収納家具 |
JP2006129846A (ja) * | 2004-11-09 | 2006-05-25 | Okumura Corp | 壁面緑化設備の植栽ブロック受け皿 |
KR101474346B1 (ko) | 2013-02-26 | 2014-12-18 | 김준범 | 화분걸이조립체 |
KR101491565B1 (ko) | 2014-06-24 | 2015-02-16 | 윤병섭 | 다용도 화분 조립체 |
KR200476518Y1 (ko) | 2012-11-20 | 2015-03-09 | 대한민국 | 실내벽면 녹화용 화분 장치 |
KR101510463B1 (ko) | 2012-01-26 | 2015-04-10 | 안청근 | 다층 화분 |
-
2015
- 2015-12-30 KR KR2020150008633U patent/KR200481555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93168A (ja) * | 2001-09-27 | 2003-04-02 | Kokuyo Co Ltd | 収納家具 |
JP2006129846A (ja) * | 2004-11-09 | 2006-05-25 | Okumura Corp | 壁面緑化設備の植栽ブロック受け皿 |
KR101510463B1 (ko) | 2012-01-26 | 2015-04-10 | 안청근 | 다층 화분 |
KR200476518Y1 (ko) | 2012-11-20 | 2015-03-09 | 대한민국 | 실내벽면 녹화용 화분 장치 |
KR101474346B1 (ko) | 2013-02-26 | 2014-12-18 | 김준범 | 화분걸이조립체 |
KR101491565B1 (ko) | 2014-06-24 | 2015-02-16 | 윤병섭 | 다용도 화분 조립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80110188A1 (en) | Multifunctional hanging-type plant-growing assembly | |
KR200477950Y1 (ko) | 수직 정원 화분 장치 | |
US20110232184A1 (en) | Stackable planter support apparatus | |
KR101317939B1 (ko) | 다단조립식 화분 | |
KR20140003163U (ko) | 실내벽면 녹화용 화분 장치 | |
KR200453179Y1 (ko) | 회전식 다층 화분 받침대 | |
KR101603205B1 (ko) | 오아시스 지지구조를 포함하는 화환받침대 | |
KR200481555Y1 (ko) | 화분 받침대 | |
CN215872794U (zh) | 一种园林绿化用盆栽支撑装置 | |
KR20140005044U (ko) | 실내 조경용 화분 | |
KR20150103390A (ko) | 무동력 관수 화분 | |
KR20130123002A (ko) | 다용도 화분받침 | |
KR101229172B1 (ko) | 이동식 화분 급수장치 | |
KR102081449B1 (ko) | 입형화분 프레임 | |
KR20170027038A (ko) | 화분 진열대 | |
KR20070119940A (ko) | 화분 받침대 | |
KR101260430B1 (ko) | 실내용 식물재배장치 | |
KR20130130940A (ko) | 분리형 화환대 | |
KR101491565B1 (ko) | 다용도 화분 조립체 | |
KR101502840B1 (ko) | 벽면 장식용 화분걸이 | |
KR20140040946A (ko) | 화분겸용 화분받침대 | |
KR101885029B1 (ko) | 보조거치대의 위치가변이 가능한 걸림식 화분 거치대 | |
KR200294933Y1 (ko) | 화분 받침대 | |
KR200227649Y1 (ko) | 화분 받침대 | |
KR200375649Y1 (ko) | 화분 받침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