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163U - 실내벽면 녹화용 화분 장치 - Google Patents
실내벽면 녹화용 화분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03163U KR20140003163U KR2020120010651U KR20120010651U KR20140003163U KR 20140003163 U KR20140003163 U KR 20140003163U KR 2020120010651 U KR2020120010651 U KR 2020120010651U KR 20120010651 U KR20120010651 U KR 20120010651U KR 20140003163 U KR20140003163 U KR 2014000316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pollen
- growth
- root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별도의 포트없이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식재할 수 있음은 물론 시공과 관리가 간편한 실내벽면녹화용 화분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내벽면녹화용 화분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형성되어 내부에 토양 및 식물이 식재되는 발육공간을 형성하는 화분유닛과,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마련되어 상기 발육공간의 일측을 형성하며 뿌리의 생장을 위하여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뿌리생장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내벽면녹화용 화분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형성되어 내부에 토양 및 식물이 식재되는 발육공간을 형성하는 화분유닛과,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마련되어 상기 발육공간의 일측을 형성하며 뿌리의 생장을 위하여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뿌리생장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화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벽면을 이용하여 식물을 식재하는 실내벽면 녹화용 화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원(庭園, garden)은 흙·돌·물·나무 등의 자연재료와 인공물 및 건축물에 의해 미적이고 기능적으로 구성된 특정한 구역을 말하는데, 그 구성 요소로는 계단, 담과 울타리, 테라스, 벤치, 잔디와 지피류, 조명, 조각, 기타 장식품 등이 있다.
그리고, 정원은 대개 주택의 외부공간을 실용적·심미적 목적으로 처리한 뜰을 의미한다. 정원은 주거문화의 반영일 뿐만 아니라 한 사회와 시대의 생활문화와 가치체계 및 예술이 총체적으로 결집된 장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정원은 실외 또는 실내에 많이 설치되는 것으로, 비용적으로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공간을 필요 이상으로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실내에 식물을 식재하는 경우 정원의 느낌을 살리면서 공간 활용 및 공기 정화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식물이 벽면에 배치되는 형태의 벽멱녹화용 화분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화분장치는 벽 등에 화분 받침대를 진열하여 화분 및 꽃병 등을 올려놓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해 화분 및 꽃병 등이 쉽게 파손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10-0653790호(발명의 명칭: 벽면 부착식 컬러블록화분 및 이를 이용한 컬러블록화분세트)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포트없이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실내벽면녹화용 화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시공과 관리가 간편한 실내벽면녹화용 화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식재되는 식물의 생장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실내벽면녹화용 화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실내벽면녹화용 화분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형성되어 내부에 토양 및 식물이 식재되는 발육공간을 형성하는 화분유닛과,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마련되어 상기 발육공간의 일측을 형성하며 뿌리의 생장을 위하여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뿌리생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뿌리생장부는 활성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분유닛은 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전면부와, 복수의 개구를 구비하도록 상기 전면부에서 연장되어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개구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는 지피식물, 다육식물, 넝클식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생장이 가능한 생장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뿌리생장부는 급수되는 물을 하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인접하는 프레임과의 수직연결을 위한 수직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인접하는 프레임과의 수평연결을 위한 수평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벽면녹화용 화분장치는 프레임에 복수의 화분유닛을 일체로 형성하여 별도의 화분없이 식물의 식재가 가능하며, 실내공간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줄이면서 실내의 녹화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직결합부 및 수평결합부를 통해 각 프레임을 연결함으로써 벽면녹화용 화분장치를 완성할 수 있어 시공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의 배면에 공기의 유통이 가능한 활성탄재질의 뿌리생장부를 형성하여 식물의 생장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화분유닛의 전면부에 지피식물, 다육식물, 넝쿨식물 등의 생장이 가능하도록 생장공간부를 형성하여 다양한 식물의 식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벽면녹화용 화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벽면녹화용 화분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벽면녹화용 화분장치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결합을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벽면녹화용 화분장치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벽면녹화용 화분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벽면녹화용 화분장치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결합을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벽면녹화용 화분장치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이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고안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내벽면녹화용 화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내벽면녹화용 화분장치의 측면도이다. 또 도 3은 본 고안의 벽면녹화용 화분장치에 포함되는 프레임 간의 결합을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벽면녹화용 화분장치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벽면녹화용 화분장치(10)는 프레임(20)과, 내부에 토양 및 식물이 식재되는 발육공간(31)을 형성하도록 프레임(20) 전방에 프레임(20)과 일체로 구성된 화분유닛(30)과, 프레임(20)의 배면에 마련되어 발육공간(31)의 일측을 형성하며 식물 뿌리의 생장을 위하여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한 재질로 마련된 뿌리생장부(40)를 구비한다.
전방에 화분유닛(30)이 일체로 구성된 프레임(20)은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형태의 것이면 어떠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나 공간 활용을 위하여 실내의 벽면에 배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프레임(20)은 일정 두께를 가지는 사각 틀 형태로 이루어져 실내의 벽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0) 및 화분유닛(30)의 재질은 화분유닛(30)에 수용되는 토양, 식물, 물 등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철,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예로 프레임(20)이 배치된 벽면의 하중을 최소화하고 프레임(20) 및 화분유닛(30)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경량화 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프레임(20) 내부는 발육공간(31)과 통하도록 마련되며, 뿌리생장부(40)는 공기의 유통이 가능한 재질을 통해 판형태로 마련되어 프레임(20)의 배면 내부를 채우게 된다.
뿌리생장부(40)는 일 예로 토양의 유출입을 방지하는 동시에 공기의 유출입을 허용할 수 있는 활성탄 성분이 포함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재질은 판체 형태로 압축되어 뿌리생장부(40)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뿌리생장부(40)는 근권부에 에어 패스를 만들어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뿌리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순환하는 공기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 통기성을 갖는 뿌리생장부(40)는 공급받은 물을 하측으로 안내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화분장치(10)의 관수작업성 개선에도 기여하게 된다.
프레임(20) 전방에 프레임(20)과 일체로 구성되는 화분유닛(30)은 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지지부(33)와, 지지부(33)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전면부(35)와, 복수의 개구(37)를 구비하도록 전면부(35)에서 연장되어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개구형성부(38)와, 양 측면을 덮도록 폭방향 양 측단에 마련된 한 쌍의 측면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형성부(38)에 마련되는 복수의 개구(37)는 화분유닛(30)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이와 같은 화분유닛(30)은 복수개가 프레임(20) 전방에 프레임(2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배치된다. 화분유닛(30)의 내부공간는 도시되지 않은 구획판을 통해 수평방향을 따라 개구 사이에 대응하도록 구획될 수 있으며, 구획판(미도시)은 화분유닛(30)과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또 화분유닛(30)의 일측에는 물의 순환을 보다 활발하게 하기 위하여 화분유닛(30)에 공급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화분유닛(30)의 전면부(35)는 지피식물, 다육식물, 넝쿨식물의 생장이 가능한 생장공간부(39)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생장공간부(39)는 지피식물, 다육식물, 넝쿨식물 등을 식재할 수 있도록 다공성 재질이나 망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실내벽면녹화용 화분장치(10)는 상하방향이나 좌우측으로 인접한 것들끼리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벽면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가리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레임(20)은 상하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프레임(20)과의 수직연결을 위한 수직결합부(50)와, 양측방향으로 인접하게 되는 다른 프레임(20)과의 수평연결을 위한 수평결합부(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수직결합부(50)는 프레임(20)의 상단에 마련된 제1결합홈(22)과, 제1결합홈(22)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프레임(20)의 하단에 돌출되도록 마련된 제1결합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홈(22)과 제1결합부(24)는 프레임(20) 간의 상하방향 결합이 흔들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각각 수평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결합부(60)는 프레임(20)의 측단에 마련된 제2결합홈(26)과, 제2결합홈(26)에 끼워지도록 마련된 제2결합부(71)를 구비하여 프레임(2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7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70)는 상기 제2결합부(71)가 몸체(72) 양쪽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결합홈(26)은 프레임(20)의 각 모서리 쪽 측단에 구성되며, 연결부재(70)의 몸체(72) 양쪽으로 마련되는 제2결합부(71)는 상부 쪽 프레임(20) 하단에 위치한 제2결합홈(26)과 하부 쪽 프레임(20) 상단에 위치한 제2결합홈(26)에 함께 끼워지도록 몸체(72)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씩 구성된다. 따라서 수평결합부(60)는 수평방향으로 인접한 프레임(20) 사이를 연결함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프레임(20) 사이의 결합력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또 화분유닛(30)의 표면에는 자연석 질감의 도료가 도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분유닛(30)이나 프레임(20)의 표면에 자연석 질감의 도료를 도포함으로 인해 화분유닛(30)을 자연석과 같이 표현할 수 있으며, 화분유닛(30)이 식물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진 환경을 표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도료는 화분유닛과 일체감을 갖도록 프레임 표면에도 도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실내벽면녹화용 화분장치(10)가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발육공간(31)에는 토양이 충진되고, 토양이 충진된 발육공간(31)에는 상기 개구(37)를 통해 식물이 식재된다. 이 상태에서 상부 쪽 화분유닛(30)의 개구(37)를 통해 화분유닛(30) 내부로 물을 공급하게 되면, 토양으로 공급된 물은 배면 쪽 뿌리생장부(40)를 통해 화분장치(10) 전체에 걸쳐 하부 쪽으로 고르게 안내될 수 있게 된다.
또 뿌리생장부(40)는 근권부에 에어 패스를 만들어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뿌리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순환하는 공기의 양을 증대시킴으로써 발육공간(31)에 식재된 식물의 원활한 생장이 가능하도록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고안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벽면녹화용 화분장치, 20: 프레임,
22: 제1결합홈 24: 제1결합부
26: 제2결합홈 30: 화분유닛,
31: 발육공간, 33: 지지부,
35: 전면부, 37: 개구
39: 생장공간부, 40: 뿌리생장부,
50: 수직결합부 60: 수평결합부
70: 연결부재 71: 제2결합부
22: 제1결합홈 24: 제1결합부
26: 제2결합홈 30: 화분유닛,
31: 발육공간, 33: 지지부,
35: 전면부, 37: 개구
39: 생장공간부, 40: 뿌리생장부,
50: 수직결합부 60: 수평결합부
70: 연결부재 71: 제2결합부
Claims (7)
-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형성되어 내부에 토양 및 식물이 식재되는 발육공간을 형성하는 화분유닛과,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마련되어 상기 발육공간의 일측을 형성하며 뿌리의 생장을 위하여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뿌리생장부를 포함하는 벽면녹화용 화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뿌리생장부는 활성탄을 포함하는 벽면녹화용 화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유닛은 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전면부와, 복수의 개구를 구비하도록 상기 전면부에서 연장되어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개구형성부를 포함하는 벽면녹화용 화분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지피식물, 다육식물, 넝클식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생장이 가능한 생장공간부를 포함하는 벽면녹화용 화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뿌리생장부는 급수되는 물을 하측으로 안내하는 벽면녹화용 화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인접하는 프레임과의 수직연결을 위한 수직결합부를 포함하는 벽면녹화용 화분장치. -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인접하는 프레임과의 수평연결을 위한 수평결합부를 포함하는 벽면녹화용 화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10651U KR200476518Y1 (ko) | 2012-11-20 | 2012-11-20 | 실내벽면 녹화용 화분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10651U KR200476518Y1 (ko) | 2012-11-20 | 2012-11-20 | 실내벽면 녹화용 화분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3163U true KR20140003163U (ko) | 2014-05-28 |
KR200476518Y1 KR200476518Y1 (ko) | 2015-03-09 |
Family
ID=52444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10651U KR200476518Y1 (ko) | 2012-11-20 | 2012-11-20 | 실내벽면 녹화용 화분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6518Y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7475B1 (ko) * | 2019-08-08 | 2019-11-21 | 김태호 | 개량된 조립구조를 갖는 적층식 식재포트 조립체 |
KR102101997B1 (ko) * | 2019-07-18 | 2020-04-17 | 주식회사 그린공간 | 수직 적층 구조의 식생 시스템 |
KR102103575B1 (ko) | 2019-09-19 | 2020-04-23 |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 모듈식 플랜터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 시스템 |
KR102162634B1 (ko) * | 2020-02-24 | 2020-10-07 | 김태호 | 간소화된 조립구조를 갖는 적층식 식재포트 조립체 |
KR20210092414A (ko) | 2020-01-16 | 2021-07-26 | 주식회사 아인기업 | 실내 벽면 녹화용 식물 재배 시스템 |
KR20210157822A (ko) * | 2020-06-22 | 2021-12-29 | 삼성물산 주식회사 | 식물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68684B1 (ko) | 2015-10-29 | 2017-08-17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수직형 수경재배기 |
KR200481555Y1 (ko) | 2015-12-30 | 2016-10-18 | 도시농업협동조합 | 화분 받침대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22109A (ja) * | 2006-02-24 | 2007-09-06 | Kamigakigumi:Kk | 緑化ブロックの製造方法 |
JP2010017161A (ja) * | 2008-07-14 | 2010-01-28 | Toho Leo Co | 壁面緑化パネル |
-
2012
- 2012-11-20 KR KR2020120010651U patent/KR200476518Y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1997B1 (ko) * | 2019-07-18 | 2020-04-17 | 주식회사 그린공간 | 수직 적층 구조의 식생 시스템 |
KR102047475B1 (ko) * | 2019-08-08 | 2019-11-21 | 김태호 | 개량된 조립구조를 갖는 적층식 식재포트 조립체 |
KR102103575B1 (ko) | 2019-09-19 | 2020-04-23 |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 모듈식 플랜터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 시스템 |
KR20210092414A (ko) | 2020-01-16 | 2021-07-26 | 주식회사 아인기업 | 실내 벽면 녹화용 식물 재배 시스템 |
KR102162634B1 (ko) * | 2020-02-24 | 2020-10-07 | 김태호 | 간소화된 조립구조를 갖는 적층식 식재포트 조립체 |
KR20210157822A (ko) * | 2020-06-22 | 2021-12-29 | 삼성물산 주식회사 | 식물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6518Y1 (ko) | 2015-03-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6518Y1 (ko) | 실내벽면 녹화용 화분 장치 | |
US10701870B2 (en) | Multifunctional hanging-type plant-growing assembly | |
KR101139614B1 (ko) | 벽면식재장치 | |
KR102137860B1 (ko) | 수직 다층 식물 재배 장치 | |
US20110258925A1 (en) | Vertical planter | |
US20160037733A1 (en) | Modular wall system for vertical gardens | |
KR200474733Y1 (ko) |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 |
KR101488380B1 (ko) | 수직 정원 모듈 | |
KR20120128526A (ko) | 기둥구조 걸이식 다층 수경 재배기 | |
KR20190137201A (ko) | 입형정원 시스템 | |
KR200479346Y1 (ko) | 조립식 실내 녹화용 화분구조체 | |
KR101187406B1 (ko) | 이끼 패널과 이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 | |
CN211268043U (zh) | 一种室内垂直绿化墙 | |
KR100817549B1 (ko) | 다용도 조립식 화분 | |
KR101510956B1 (ko) | 벽걸이 화분프레임 | |
KR20210057606A (ko) | 수직 정원 | |
KR102229646B1 (ko) |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가진 녹화 벽체형 식생 구조물 | |
KR102281940B1 (ko) | 벽면 설치용 식물 포트의 적층 설치 구조 | |
KR200475146Y1 (ko) | 벽면 녹화용 화분 장치 | |
RU76774U1 (ru) | Мхово-торфяной блок (варианты) и гидроп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на их основе | |
CN211482094U (zh) | 一种活动式家居装饰立体绿化柱 | |
CN217445972U (zh) | 多功能绿植盆 | |
KR20120080456A (ko) | 복합 실내정원 | |
CN202635202U (zh) | 一种多用途花盆 | |
KR101187405B1 (ko) |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와 이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70R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