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333Y1 -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 - Google Patents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83333Y1 KR200183333Y1 KR2019980006002U KR19980006002U KR200183333Y1 KR 200183333 Y1 KR200183333 Y1 KR 200183333Y1 KR 2019980006002 U KR2019980006002 U KR 2019980006002U KR 19980006002 U KR19980006002 U KR 19980006002U KR 200183333 Y1 KR200183333 Y1 KR 20018333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n
- ball
- iron pin
- mandibular
- tip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4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recording mandibular movement, e.g. face bow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61C19/052—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with tracing appli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합평면과 정중 시상면과 하악 제1대구치의 중심와가 만나는 지점에서 나사체와 선단핀을 가지는 철핀을 설치하고, 철핀 대응 부위의 상악에 기록판을 설치한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에서, 선단핀을 가진 철핀을 너트 및 실린더 형태로 나사 결합하는 볼과;
볼을 수용하는 호형홈을 가지며 볼을 고정 가능토록 하부 기판과 결합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하부에 결합되어 치아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크기로 이루어진 기판과;
상기 기판에 고정되고 끝이 치아 표면에 안치되어 기판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지지핀을 포함하는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이며,
철핀이 너트형 볼에 나사 결합되고 지지판에는 볼이 필요시 원하는 위치로 회전 가능하므로 철핀의 위치 몇 각도를 편리하게 조정 가능하다. 또한 지지판을 지지하는 기판에 직접 지지핀을 지지토록 하므로 간단히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핀을 고정하므로 작업이 편리하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치아의 보철이나 의치 등을 만들 때 하악골의 중심위 악간관계를 알기 위하여 사용하는 철핀을 너트형의 볼에 결합시키고 볼은 지지판에 필요시 회전 가능토록 지지되어 철핀을 위치 조정 가능토록 하고, 지지판을 지지하는 기판은 지지핀을 치아에 지지토록 구성하므로, 별도로 치아 지지용 철사를 필요치 않도록 한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한 하악위(Mandibular Position)에서 상악골(Maxilla)에 대한 하악골(Mandible)의 위치적 관계를 악간관계(Maxillo-Mandibular jaw relation)이라고 하는데, 치과 환자 중 진단이나 치료를 위하여 새로운 상악골과 하악골의 악간 관계를 채득하여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전후방, 측방 및 수직의 삼차원적인 악간관계를 정확하게 채득하여야 한다. 상악골에 대한 하악골의 약간관계에 있어서 기준점을 중심위 악간관계(Central relation)이라고 하는데 이는 환자의 수직 고경(Vertical Dimension)하에서 일정하게 반복적으로 채득되는 수평적 악간관계로서 근 신경계(Neuro-muscular System)의 비긴장성 위치 관계이다. 이러한 중심위 악간 관계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으나 그중 한 가지 방법으로 구강내에 기록장치를 상악과 하악에 장착하여 환자 스스로 운동하도록 유도하여 전 후방 및 좌우 측방 운동을 통하여 묘기 기록(Gothic Arch tracing)이라는 수평 면상에 전후방 및 좌우 측방 운동의 한계 운동로의 기록(record)을 표시하게 한다.
이러한 묘기 기록의 일 예로는 제1도와 같이 도시할 수 있으며, 기록판(1)에 정점(2)을 중심으로 전방 한계 운동로(2-1)와, 좌, 우, 측방 한계 운동로(2-2)를 그리면 정점(2), 전방 한계 운동로(2-1), 및 좌, 우, 측방 한계 운동로(2-2)의 형태가 건축물의 묘기 기록 형상을 하고 있다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이러한 정점(2)을 전방 및 측방 운동이 이루는 기시점(Starting Point)으로 고려되며 하악에 부착된 기록용 철핀(Stylus)(이하에 설명함) 이 정점(2) 위치에 있을 때 중심위 악간관계(Centric relation)에 있다고 정의한다.
이때 ①편악(상악 또는 하악)의 무치악 환자나 양악(상악과 하악)의 무치악환자에서는 환자마다 갖는 고유의 수직 고경상태에서 수정적 악간관계 기록(Gothic Arch)을 통하여 그 정점인 중심위 악간관계(Centric relation)를 얻어서 그 위치에 중심 교합(Centric Occlusion)을 형성하면 된다.
그러나 ②양악(상악과 하악)의 유치악 환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치아가 닿지않도록 환자 고유의 수직 고경보다 높게 하여 치아 이개를 시킨 높이에서 수평적 악간관계를 얻어야 한다. 이때 고유의 수직 고경과의 높이 차이에 따라서 중심위 악간관계의 위치가 상악 금속판 상에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 차이를 없애기 위하여는 철핀이 기록판에 수직으로 당접하면서 선단핀(5-1)이 환자의 개폐구 운동로를 따라 접번 회전각(Angle of hinge rotation)에 맞도록 전방 기울기를 가져야 한다.
그런데 하악에 장착시 철핀의 설치 위치와 철핀의 방향이 치아의 수정위치와 고합 평면과의 좌우 수평 관계가 부정확하게 장착되므로 인하여, 상악골에 부착되는 기록판이 상악골에 대해 좌우측 어느쪽으로 기울어지면 정확한 기록이 되지 않는다. 이러한 철핀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전에 하악의 구조를 먼저 살펴보면, 제2(a)도는 하악골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2(b)도는 상악골(31)의 측면이고, 제2(c)도는 상악골(31)의 저면도, 제2(d)도는 무치악 상태의 하악골의 측면도, 제2(e)도는 제2(d)도의 하악골의 저면도로, 하악골(3)은 상악골(31)(제2(b)도)과 제2(a)도, 제3도 및 제4도에 보인 수평 기준축(Horizontal axis)(3-1)을 중심으로 결합하고, 하악골(3)에는 치아(4)들이 결합된다. 상기 수평 기준축(3-1)과 2개의 하악 중절치(mandibular central incisor)의 중앙 첨단(Central edge)은 빗금친 부분인 본빌 트라이앵글(3-2)을 이루고, 치아(4)의 수평면은 교합평면(Occlusal Plane)(3-3)을 이루고, 상기 치아(4)의 전방 중앙을 중심으로 하는 수직면을 정중 시상면(Mid-sagittal plane)(3-4)으로 부른다. 제5도와 같이 구체적인 예로써, 철핀(5)은 상기 정중 시상면(3-4)과 양 하악 제1대구치(4-1)의 중심의 교차점(3-5) 위치에 설치한다.
한편 상기 하악(3)은 제3도와 같이 측면으로 도시할 수 있고, 하악(3)의 수평기준축(3-1)을 중심으로 치아(4)의 전방 중앙까지의 연장 삼각 지점을 부르는 본빌 트라이앵글(3-2)과 치아(4)의 수평면을 이루는 교합평면(3-3)은 일정 각도의 발크 빌 앵글(Balkwill angle)(3-6)을 이룬다.
① 결국 유치악 환자의 경우에는 제2(a)도에 보인 교차점(3-5)에 상기 철핀(5)의 끝이 위치하도록 하고 제4도와 같이 철핀(5)의 각도는 본빌 트라이앵글(3-2)과 직교하고 수직면 기준으로는 역시 발크빌 앵글(3-6) 만큼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구조를 이룬다(평균 17도의 각도(하악 교합평면(3)의 수직선에 대해 전방을 향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고정됨). 그런데 철핀(5)은 이론상 발크빌 앵글(3-6) 만큼 기울어진 것이 좋으나, 환자에 따라서 수평 기준축(3-1)을 중심으로 일정하게 이동하지 않아 제4도의 지점(B1, B2)과 같은 접번 운동로(Hinge movement path) 상에 일치하도록, 철핀(5)의 각도를 17도에 한정하지 않고 조절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철핀(5)은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5도와 같이 하악의 치아에 설치되며, 철핀(5)은 지지판(6)에 나사 결합 상태로 설치되고, 지지판(6)의 양측에는 날개판(7)이 나사 (8)로 결합 고정된다. 상기 철핀(5)은 제6도와 같이 지지판(6)에 나사 결합하고 내부 중앙의 축 방향으로는 탄발핀(5-2)이 스프링(5-3)에 탄발되도록 설치된 나사체(5-4)와, 나사체(5-4)의 상단을 나사 결합하고 상단에 선단핀(5-1)이 일체로 된 너트체(5-21)로 이루어진다. 상기 날개판(7)에는 결합부재(9)를 개재하여 칠사(10)를 날개판(7)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토록 이루어진다. 이 경우 철핀(5)의 선단핀(5-1)은 하악 제1대구치(4-1)간의 연장선상(제2도의 교차점(3-5))에 오도록 하고, 역시 17도 기울어지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철핀(5)이 지지판(6)에 기울어진 상태로 나사 결합하여야 하고 선단핀(5-1)을 지지하는 너트체(5-2)가 지지판(6)에 결합되기 위하여는 제6도와 같이 일정한 안내홈(6-1)이 필요하므로 일부는 거리(L1) 만큼만 나사 결합을 이루게 되고 철핀(5)의 지지판(6)에 대한 지지력이 약하여 철핀(5)이 흔들거리는 현상이 있어 정확한 중심위 악간관계를 위한 묘기 기록의 수득시 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 물론 실제 사용할 때에는 먼저 환자의 치본을 뜨고 이를 기초로 석고로 일반적인 교합기에 치아 형태로 결합시키고 교합기의 치아 상태에서 제5도의 기록장치(20)를 조립하고, 이 상태에서 제6도에 보인바와 같이 철핀(5)에 너트체(5-21)를 결합시킨 후 제7도와 같이 캡(11)을 씌우고, 캡(11)에 부착된 핀(11-1)에 기록판(1)을 지지토록 한다. 그리고 교합기 상에서 상악 구개면 (30)에 해당하는 상기 캡(11) 대응 부위에 일정 시간이 지나면 굳게 되는 결합체(1-1)를 붙이고, 교합기 상에서 상악(31)을 누르면 제7도 상태를 이룬다. 그 상태에서 수분이 지나면 바로 굳게 되어 교합기 상에서 상악(31)을 하악(3)에서 분리시키면(제7도에는 교합기의 하악(3)의 도시를 생략함) 철핀(5)과 캡(11)은 기록판(1)과 분리되고, 기록판(1)은 상악(31)에 붙게 된다. 그리고 역시 캡(11)을 철핀(5)에서 분리시킨다. 상기 캡(11) 몇 기록판(1)의 일 예는 제8도와 같이 예시할 수 있으며, 캡(11)의 핀(11-1)에 대응하는 기록판(1)에는 핀 삽입공(1-2)이 있어 기록판과 결합 가능토록 이루어지고, 기록판(1)의 전 후단에는 기록판(1)의 수평면에 절곡된 결합돌기(1-3)가 일체로 이루어지고, 결합돌기(1-3)는 결합체(1-1)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려는 목적으로 기록판(1)에 절곡된다. 이렇게 수득한 제5도의 기록 장치(20)와, 제7도의 기록판(1)(결합체(1-1)와 일체로 된 상태)을 환자의 상악과 하악을 복제한 모형(교합기)에서 분리시킨 다음 실제로 환자의 상악과 하악에 설치하여 하악을 전방 및 측방으로 이동하면 제1도와 같이 묘기 기록이 형성된다. 실제로는 환자의 입에서 기록한 기록판(1)을 결합체(1-1)와 함께 분리하고, 형성한 묘기 기록의 정점(2)에 대응하는 구멍을 가진 별도의 원판을 구멍과 정점이 일치하도록 붙인다음 환자의 입안에서 상악 차아 및 부착물(기록판(1))과 하악 치아 및 기록장치(20) 사이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기록장치(20)와 기록판(1) 사이의 상악과 하악 부위에 별도의 결합제를 넣어 고착시킨 다음 입에서 분리시키고, 다시 교합 기상에서 상악과 하악의 복재 모형과, 결합제 형태를, 입안에서 채득한 악간관계 대로 재 부착 시켜서, 이를 기준으로 하여 보철 작업등을 수행하여 안정된 중심 교합을 제작토록 한다. 이는 특히 유치악 환자나 부분 유치악 환자에서 필요로 하고, 오랫동안 사용해온 틀니 환자 등에 있어서, 중심위 악간관계가 불확실한 환자는 이를 이용하면 정확한 악간관계를 이를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기록장치는 묘기 기록을 기록하는 과정에서 기록판의 위치가 불안정하여 혀가 철핀에 걸리기도 하고, 환자의 상악골에 대한 기록판이 수평적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지 않아 측정의 정확성이 떨어지고, 기록장치를 모형에 부착시 어려움이 있다.
② 완전 무치악 환자의 경우에는 상악에 기록장치를 설치하고 하악에 기록판을 설치 사용하는 방식의 교합기(articulator)가 미국 특허 제4,273,533호 및 4,279,595호로 개발되었으나, 이는 무치악 환자(edentulous patient)에 이용 가능 한 것으로, 특히 철핀(stylus)이 수직으로 설치 사용되는 구성을 이루어 사용에 제한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를 해소코자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치악 환자에서 묘기 기록(Gothic arch tracing) 할 때 치아에 걸려서 턱운동에 방해가 되므로 환자의 고유한 수직 고경(Vertical dimension)보다 높혀서 턱운동을 시켜야 하므로, 수직 고경을 증가시킨 상태에서 묘기 기록 정점을 표시하게 되고, 다시 가능한 환자의 수직 고경에 가능한 가깝게 낮추어서 상하악 악간관계를 바이트 물질(Bitematerial)로 굳혀서 채득해야 한다. 이때 바이트 물질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환자 상태와 교합기 상에 장착했을 때와 오차가 크게 발생하고, 수직 고경을 높히고 낮출 때 상악 기록판에 잡힌 정점이 일정한 한 점에 잡할 수 있게 해야한다. 이를 위하여는 기록장치의 철핀을 상하 전후, 좌우로 회전 가능토록 볼에 안치시키고, 원하는 위치에서 이를 환자의 접번 운동(Hinge movement)에 맞도록 세팅시켜 편리하게 위치 및 각도를 조정 가능토록 하고 볼의 상부를 실린더 형태로 하여 철핀이 묘기 기록을 할 때 동요를 감소시켜서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려는 것이다.
① 철핀을 환자에 맞는 접번 운동로(Hinge movement path)로 기울일 수 있어 수직적 악간 관계를 변화시킬 경우에도 기록판에 한 점의 묘기 기록 정점을 얻을 수 있다.
② 수평면 상에서 상악골의 수평면에 대해 기록판의 수평면을 좌우로 대칭되도록 부착 기준대를 이용하여 더 정확히 부착시킬 수 있다.
③ 지지판을 기판에 지지토록 하고, 기판에는 지지핀이 나사 결합되도록 하여 편리하고 간단하게 결합체를 굳혀서 사용 할 수 있다.
ⓑ완전무치악 환자의 경우에는 치아가 없으므로 환자 고유의 수직 고경상태에서 수직 고경의 변화없이 수평적 악간관계(고딕아치 정점)를 잡을 수 있으므로 부착 기준대의 선단핀홈에 철핀을 끼워서 하악 교합평면에 가깝게 부착 기준대를 평행시키므로 철핀이 하악 교합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고정된다. 이렇게 고정된 철핀에 전사판(transfer plate)인 캡을 끼워 상악골에 기록판을 부착하고 부착 기준대를 이용하여 기록판을 상악 교합평면에 수평으로 일치시킨 다음 다시 전사판인 캡을 철핀에 끼워 조임 나사를 약간 풀어서 전사판과 기록판의 면을 수평되게 접합시키므로서 하악의 철핀을 재조정하여 기록판과 철핀이 수직관계가 되도록하고 조임 나사를 조여서 철핀을 고정시킨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고안은 나사체를 볼 상의 너트에 결합시키고 볼은 지지관과 기판을 사용하여 별도의 나사에 의하여 회전 또는 고정되도록 하여, 유치악 환자와 완전 무치악 환자의 경우에서 각각 다른 사용법에 맞도록 철핀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정 가능토록 하고, 기판은 입안의 치아 사이에 안치되는 크기를 갖도록 하며 기판에서 지지핀이 치아 표면에 지지되도록 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기록판에 기록된 묘기 기록 형태를 도시한 도면.
제2(a)도는 일반적인 하악골의 사시도.
제2(b)도는 일반적인 상악골의 측면도.
제2(c)도는 제2(b)도의 저면도.
제2(d)도는 일반적인 무치악 상태의 하악골의 측면도.
제2(e)도는 제2(d)도의 설명도.
제3도는 일반적인 하악골의 측면도.
제4도는 일반적인 하악골의 교합평면 상에서 철핀의 이동을 보이는 설명도.
제5도는 종래의 기록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A-A 선 확대 단면도.
제7도는 제6도 상태에서 철핀을 사용하여 기록판을 상악골에 안치시키는 경우를 설명하는 단면도.
제8도는 종래의 철핀을 매개로 일시 지지되는 캡과, 캡에 일시 결합되는 기록판의 분해 사시도.
제9(a)도는 본 고안의 일 예를 나타낸 기록장치를 사용시의 평면도.
제9(b)도는 본 고안을 무치악 환자에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평면도.
제10(a)도는 제9도의 B-B 선 단면도.
제10(b)도는 무치악 환자에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
제11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기록판의 사시도.
제12(a)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부착 기준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12(b)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부착 기준대의 분해 사시도.
제12(c)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부착 기준대의 조립상태 단면도.
제13(a)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철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13(b)도는 제13(a)도의 분해 단면도이다.
제13(c)도는 본 고안의 철핀을 사용할 때의 요부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록판 1-1 : 결합체
1-2 : 핀 삽입공 1-4 : 결합돌기
1-5 : 묘기 기록(Gothic Arch) 예상부
1-6 : 고정판(fixed aperture) 2 : 정점(Arrow Point)
2-1 : 전방 한계 운동로(Protrusive border movement path)
2-2 : 측방 한계 운동로(Lateral border movement path)
3 : 하악골(Mandible) 3-1 : 수평 기준축(Horizontal axis)
3-2 : 본빌 트라이앵글(Bonwill Triangle)
3-3 : 교합평면(Occlusal plane)
3-4 : 정중 시상면(Mid-sagittal plane) 3-5 : 교차점
3-6 : 발크빌 앵글(Balkwill angle) 4 : 치아
4-1 : 하악 제1대구치(Mandibular first molar)
4-2 : 하악 제1대구치 중심와(Central fossa of Mandibular first molar)
5 : 철핀 5-1 : 선단핀
5-2 : 탄발핀 5-11 : 선단핀봉
5-12 : 선단핀 스토퍼 5-13 : 스프링
5-3 : 스프링 5-4 : 봉부
6 : 지지판 6-1 : 안내홈
7 : 날개판 8 : 나사
9 : 결합부재 10 : 철사
11 : 캡 20 : 기록장치
30 : 상악 개구면 31 : 상악골
40 : 볼 50 : 지지판
53 : 호형홈 54 : 조임나사
70 : 지지핀 71 : 나사
90 : 부착 기준대 91 : 선단핀홈
92 : 좌우 수평선 93 : 호형 수평띠
94 : 직교선 95 : 깊이 측정바
100 : 기록장치
즉, 본 고안은 교합평면과 정중 시상면과 하악 제1대구치가 만나는 지점에서 나사체와 선단핀을 가지는 철핀을 설치하고, 철핀 대응 부위의 상악에 기록판을 설치한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에서, 선단핀을 가진 철핀을 너트 및 실린더 형태로 나사 결합하는 볼과; 볼을 수용하는 호형홈을 가지며 기판과 이격을 두고 결합되어 볼을 고정 가능토록 결합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하부에 결합되어 치아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크기로 이루어진 기판; 및 상기 기판에 고정되고 끝이 치아 표면이나 환자의 보조구(Individual tray)에 안치되어 기판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9(a)도는 유치악 환자에 사용되는 본 고안의 평면도로, 치아(4)의 하악 제1대구치(4-1)의 중심와(4-2)의 연장선 중앙에 볼(40)의 중앙이 위치하게 하고 철핀(5)을 너트 구조의 볼(40)에 나사 결합하고, 볼(40)은 기판(60)상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대립한 지지판(50)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구성하고, 지지판(50)과 기판(60)은 상호 조임나사(54)에 의하여 결합하여 볼(40)을 압박하도록 기능한다.
상기 지지판(50)하부에는 치아 사이의 공간에 안치되는 크기의 기판(60)이 결합되고(결합 수단의 예로는 조임나사(54)를 들 수 있다), 기판(60)의 모서리부 4개소에는 치아(4)표면과 당접하는 지지핀(70)이 나사(71) 결합으로 고정된다.
제9(b)도 무치악 환자에서 사용하는 볼(40)의 중앙 위치를 유치악 환자에서와 유사한 위치(정중 시상면과 하악 제1대구치의 중심와의 교차점 대응 부위))에 위치시키고 환자의 보조구(Individual tray) 상에 4개소의 지지핀(70)을 결합시켜 위치를 고정시킨다.
제10(a)도는 제9(a)도의 A 선 확대 단면도로, 선단핀(5-1)을 선단에 가지는 봉부(5-4)는 하단에 나사부(5-5)를 두어 너트 기능의 볼(40)과 나사 결합하고, 볼(40)은 호형홈(53)을 가지는 지지판(50) 및 기판(60)을 일정 간격을 두고 대치시킨 상태에서 조임나사(54)로 볼(40)의 조임 기능을 수행토록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판(50) 하부에 결합되는 기판(60)에는 지지핀(70)이 나사(71)로 결합된다. 상기 볼(40)이 삽입되는 철핀(5)의 하부에는 나사부(5-5)가 형성되고 중앙은 봉상의 봉부(5-4)를 이루고 봉부(5-5)상단은 선단핀(5-1)을 이룬다. 상기 봉부(5-4)에 대응하는 볼(40)에는 실린더홈(41)이 형성되며, 볼(40)상단에는 실린더홈(41)과 연장되는 내경을 가지는 관상의 스커트부(42)가 일체로 형성되어, 철핀(5)으로 묘기 기록(Gothic tracing)할 때 철핀(5)이 동요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나사부(5-4)에 대응하는 볼(40)에는 나사홈(43)이 형성된다. 전사판(Transfer plate) 기능의 캡(11)은 기록판(1)을 지지하며 철핀(5)의 선단핀(5-1)에 끼워진다.
제10(b)도는 무치악 환자에서 기록판이 상악 교합정면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로, 상악골(31)에는 치아에 상응하는 상악 보조구(maxilla individual tray)를, 하악골(3)에는 역시 치아에 상웅하는 하악 보조구(mandible individual tray)를 설치한다. 기록판(1)은 상악 교합평면에 수평으로 부착되고, 기록판(1)에는 철핀(5)이 수직으로 닿도록 장착하고, 기판(60)은 모서리 4개소에서 환자의 하악 보조구 상에 지지핀(70)을 결합 고정시킨다. 기록판(1)은 결합체(1-1)로 결합 지지된다.
제11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기록판의 사시도로, 기록판(1)은 정점(2)을 포함하는 묘기 기록 예상부(1-5)의 주변에 기록판(1)의 전 후면 및 측면에서 돌출시킨 결합돌기(1-4) 및 핀 삽입공(1-2)을 포함토록 이루어진다. 이 경우 유치악 환자에서는 환자의 개폐 구조와 수직 관계로 하악 교합 평면상의 수직선에 대해 전방 경사(약 17도 정도)된 상태로,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는 상악 교합 평면에 대해 평행한 상태로 부착된다. 이는 이하에 설명하는 별도의 부착 기준대를 사용하여 좌우 경사를 교정한다.
제12(a)도는 하악 모형에 본 고안의 기록장치(100)를 정확히 균형적으로 장착하기 위한 부착 기준대의 사시도로, 철핀(5)의 선단핀(5-1)을 하악 모형의 중심과 수정에 맞도록 손쉽게 맞추기 위한 판상의 부착 기준대(90)를 구비하고,
부착 기준대(90)는 선단핀(5-1)에 끼워지는 선단핀홈(91)과, 교합평면 상에서 좌, 우 기울어짐을 측정토록 이루어진 좌우 수평선(92)과, 상기 좌우 수평선(92)의 각 중앙부에 형성되며 치아의 호형을 이루어 제2(a)도, 제2(b)도, 제2(c)도 및 제3도에 보인 교합평면(3-3)과 일치하도록 이루어진 호형 수평띠(93)와, 상기 좌우 수평선(92)과 중앙에서 직교한 직교선(94)의 선단 부위에 상악골의 깊이를 측정하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전방 깊이 측정바(95)와, 상방으로 돌출된 수직 조정바(96)로 이루어진다.
제12(b)도는 유치악 환자용으로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 부착 기준대의 분해 사시도이고 제12(c)도는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 선단핀(5-1)에 끼워지는 선단핀 홈(91)과, 교합평면 상에서 좌, 우 기울어짐을 측정토록 이루어진 수 개의 좌우 수평선(92)과, 각 좌우 수평선(92)에 일정간격으로 형성한 좌우, 측방 깊이 측정홈(92-2)과, 상기 좌우 수평선(92)의 각 중앙부에 형성되며 치아의 호형을 이루어 제2(a)도, 제2(b)도, 제2(c)도 및 제3도에 보인 교합평면(3-3)과 일치하도록 이루어진 호형 수평띠(93)와, 상기 좌우 수평선(92)과 중앙에서 직교한 직교선(94)의 선단 부위를 측정하도록 하방으로 돌출 결합하는 전방 깊이 측정바(95)와, 후방에 위치한 후방 깊이 측정바인 수직조정바(96)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 깊이 측정바(95)와 후방 깊이 측정바(96)는 좌우 측방 깊이 측정바(92-1)에 대한 전후방 기준선이 된다.
즉, 좌우 수평선(92)에는 환자 상악골의 크기에 따라 각각 2개의 좌우 깊이 측정바가 대칭으로 끼워지도록 수개의 좌우 측방 깊이 측정홈(92-2)과, 이에 좌우 대칭적으로 끼워 사용하는 좌우 측방 깊이 측정바(92-1)을 결합 사용토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부착 기준대(90) 중앙 부위에는 볼트공(98)을 형성하여 상악에 부착되는 기록판(1)을 상악골과 좌우 수평 관계를 정확히 이루도록 해주는 유도볼트(97)를 결합시킨다. 상기 유도볼트(97)는 부착기준대(90)를 수직 관계로 고정시키는 두개의 고정 너트(97-1)와, 고정 너트(97-1)를 연결해주는 고정 볼트(97-2)와, 기록판(1)을 부착 기준대(90)와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수평 유도면(97-3)으로 구성된다. 이는 전방 깊이 측정바(95)와 후방 깊이 측정바(96)를 전후방 기준선(정중 시상면과 일치)으로 잡고, 이 전후방 기준선에 대해 좌우 측방 깊이 측정바(92-1)를 같은 길이로 하여 상악골의 수평면에 맞춤으로써, 제12(c)도와 같이 부착 기준대의 면이 환자의 정중 시상면 상에서 상악골의 좌우 수평면상에 평행하게 유지되고, 부착 기준면에 동일하게 수평 유도면(97-3)에 평행하게 부착된 기록판(1)은 결과적으로 상악골의 수평면상에서 좌우 한 쪽으로 기울어 지지않고 좌우 대칭 상태로 부착된다.
제13도는 유치악 환자에서나 완성된 완전 틀니 상태에서 악관절 기능장애 환자의 구강 내에서 교합 교정시 사용하는 철핀(5)의 구성도로, 제13(a)도는 단면도이고, 제13(b)도는 분해 단면도이며, 철핀(5)을 이루는 봉부(5-4)내부에 철핀홈(5-6)을 형성하고, 선단핀(5-1)이 연장된 선단핀봉(5-11)은 상기 철핀홈(5-6)에 안내되도록 하며, 철핀홈(5-6)의 상단에는 선단핀봉(5-11)이 이동하는 선단핀봉 안내공(5-8)이 철핀홈(5-6)과 관통되도록 형성하며, 선단핀봉(5-11)의 외주에는 스프링(5-13)이 끼워져서 상부 임의 개소에 돌출한 선단핀 스토퍼(5-12)를 통하여 탄발력을 제공하고, 상기 스토퍼(5-12)는 상기 선단핀봉 안내공(5-8)을 이루는 철핀(5)부위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철핀홈(5-6)의 하부에는 보조 나사홈(5-61)을 이루고, 보조 나사부(5-7)가 나사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사용을 설명하면, 환자의 치형을 떠서 이를 기초로 석고로 치형(상, 하악 모형)을 만들고, 교합기 상에 상, 하악 모형을 임의로 부착하고(완전 무치악 환자는 폐구(閉口) 인상법(closed mouth impression technique)에 의하여 얻어진 상하악 악간관계 상태로, 유치악 환자는 중심 교합 위치(位置)(centric occulusion) 상태로 부착하고), 본 고안의 기록장치(100)를 구비하여 하악 모형에 설치한다. 설치시에는 제12(a)도 또는 제12(b)도와 같은 부착 기준대(90)를 사용하여 편리하게 초기 세팅을 할 수 있는바, 무치악 환자에서는 먼저 부착 기준대(90)를 이용하여 철핀(5)을 하악 교합평면에 대해 수직 상태에 가깝도록 세워 철핀을 정위치에 손쉽게 오도록 세팅한다. 또한 유치악 환자에서도 부착 기준대(90)를 사용하여 철핀(5)을 하악 교합평면에 대해 전방 17도 정도 경사시키고 좌우 균형을 잡는다. 상기에서 부착 기준대(90)의 전방 깊이 측정바(95), 후방 깊이 측정바(96) 및 좌우 측방 깊이 측정바(92-1)는 전후방 기준선을 제공하고, 좌우 측방 깊이 측정바는 상악골과 측방의 수평관계를 부여하여, 상악에 장착되는 기록판 부착시 제12(b)도 및 제12(c)도와 같이 상악골에 대한 기록판의 좌우 평행을 잡을 수 있어 상악골에 대한 치열과의 부조화를 미리 진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단에 의하여 치열 교정이나 의치 제작 시 또는 유치악 환자의 치료에 편리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보철의 경우에도 좌우 수평선(92)과 직교선(94) 및 호형 수평띠(93)가 있어 편리하게 대응 부위를 빨리 기준을 잡을 수 있다. 이 경우 치형이 보철이나 틀니를 요하는 경우 상술한 중심위 악간관계를 측정하기 위하여 교합기에서 미리 제9도와 같이 기록장치(100)를 만든다. 실제로는 상기와 같이 미리 환자의 치아 형태에 따라 지지핀(70)을 조정하여 원하는 위치에 기판(60)을 설치하고, 기록장치(100)를 하악 모형에서 부착 기준대(90)로 중심 등의 초기 위치를 잡고 이어 조임 나사(54)를 사용하여 철핀(5)을 일정 각도로 고정시킨다. 이 경우 완전 무치악 환자의 경우는 하악 교합 평면에 수직으로, 유치악 환자는 하악 교합 평면에 대해 전방으로 17도 경사 상태로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제10도와 같이 철핀(5) 상단에 전사판(transfer plate)기능의 캡(11)을 씌우고 교합기의 상악 대응 부위(상악 구개면(30))에 겔상의 결합체(1-1)를 바른 다음, 교합기의 상악 부위를 닫으면 제7도와 같이 기록판(1)이 캡(11)에서 결합체(1-1)로 옮겨가 고정되며, 이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기록판(1)을 임시 고정시킨 결합체(1-1)가 굳은 상태에서 부착 기준대를 이용하여 기록판을 상악골에 맞도록 재조정한 다음 겔(gel)상의 결합체로 일체화 시킨다. 그러고 나서 변화된 상악 기록판에 철핀(5)이 수직 관계가 되도록 선단핀(5-1)에 캡(11)을 다시 꽂고 조임나사(54)를 풀어 캡(11)과 기록판(1)이 면접촉 되도록 한 다음 조임나사(54)를 다시 조인다. 이 경우 본 고안의 기록판(1)은 전후방 부위에 결합돌기(1-4)를 설치함이 바람직한바, 이는 결착력을 증대시키고 전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기록판(1)을 가진 결합체(1-1)와, 제9도에 보인 기록장치(100)를 교합기에서 분리한다. 그리고 이를 환자의 치아에 제9도와 같이 결합시킨다(치아의 형태가 환자 자신의 치아와, 본을 뜬 교합기에 부착된 치아 모형이 동일하므로, 제9도에서는 구별없이 환자의 치아와 교합기의 치아를 동일하게 나타내었다). 만약 약간의 오차가 있으면 나사 등을 조정하여 일정하게 재조정하면 된다(조정의 용이를 위하여 양 조임나사(54)의 헤드 방향은 상호 반대로 오도록 조립하여 필요시 헤드가 위에 있는 1개소만 조정하여 재조정하면 편리하다). 유치악 환자 구강 내에서는 철핀의 높이를 3-4mm 정도 변화시켜서 각각 묘기 기록(Gothic arch tracing)을 하여서 두(two) 정점이 일치되도록 미리 17도 전방 기울기를 가지는 철핀의 전방 기울기를 재조정한다. 그런데 철핀(5)을 조정하기 위하여는 지지판(50)의 조임나사(54)를 돌려 풀거나 조임으로써 볼(40)의 각도를 미세 조정하면 된다. 이렇게 볼(40)이 회전하고 필요에 따라서 세팅될 수 있는 것은 제10도와 같이 볼(40)과 지지판(50) 및 기판(60)의 호형홈(53)이 면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조임나사(54)를 조이면, 지지판(50) 및 기판(60)의 호형홈(53)이 볼(40)표면을 눌러서 조이기 때문이다. 본 고안에서 철핀(5)의 나사부(5-5)를 이용하여 철핀(5)을 돌려 높낮이를 조정하는 것은, 예를 들어 의치 환자가 아닌 유치악 환자의 경우, 철핀(5)의 선단핀(5-1)이 제2도에 보인 교합평면(3-3) 보다 위에 있어야 상악과 하악의 치아(4)가 상호 맞닿지 않고 하악과 함께 상기 기록장치가 이동(전방 및 측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여 기록장치(100)의 철핀(5)을 사용하여 상기 기록판(1)에 대고 전방 및 측방으로 하악을 움직이면 제1도와 같은 묘기 기록의 정점(2), 측방 한계 운동로(2-2) 및 전방 한계 운동로(2-1)를 수득하고 이를 묘기 기록을 기록하였다고 말한다. 이렇게 세팅이 되면 그 상태에서 구강 외(外)로 기록판을 꺼내어 고정판(fixed aperture)의 구멍을 정점(2)에 맞도록 왁스(wax)로 굳혀 고정시키고, 구강내에 다시 장착 시킨 다음 환자로 하여금 구멍에 철핀이 들어 가도록 물게하고 상악과 하악의 치아와 호형 기판(60) 사이를 별도의 부드러운 결합체(도시하지 않음)로 충진시켜 단단히 굳히면 상하악 악간관계가 완성된다. 이렇게 하여 기록한 기록장치(100)와, 기록판(1)과, 인기된(recorded) 바이트 메티리얼(bite material;결합체)을 환자에게서 분리하고, 이 상태에서 교합기의 상 하악 모형에서 상기 기록을 기초로 인기된 기록(record)대로 재부착하면 된다(이렇게 이루어진 교합 상태를 가지고 교합기 상태에서 진단하고 치료한다). 또한 1) 교정 보철 및 전 전체 치아의 교합조정을 필요로 하는 환자나, 2) 잘못 완성된 틀니환자나, 3) 악관절 기능장애 환자에서 스프린트(SPLINT) 장착환자 등의 경우 구강 내에 본 장치를 장착한 후 구강 내에서 바로 교정할 수도 있도록 제5도의 철핀(고정된 철핀)으로 중심위 악간 관계를 잡은후 제13(a)도의 철핀(스프링 철핀)으로 교체한 후 제13(c)도 상태대로 구강 내에서 사용한다. 이는 선단핀(5-1)이 선단핀봉(5-11)과 일체로 봉부(rod parts)(5-4)내의 철핀홈(5-6)에서 스프링(5-13)으로 탄발되므로 환자가 상악을 서서히 다물면 선단핀(5-1)이 상기 기록판(1)에 의하여 힘을 아래로 받아 철핀홈(5-6)을 따라 하강한다. 이 경우 비정상적으로 길이가 긴 치아 등에 의하여 하강이 중지되는 경우, 의사는 이를 즉시 체크하여 연마 등으로 교합조정(occulusal adjustment) 할 수 있다. 따라서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이상을 미연에 예방한 후 보철 등을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에 몇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철핀을 볼에 나사 결합시키고 볼을 필요에 따라서 회전 및 고정 가능토록 지지판에 결합되는 구성을 이루므로 편리하게 각도를 조정 사용할 수 있고, 너트 기능을 볼로써 수행하고 볼 내부에는 실린더 홈을 겸하여 형성하므로 나사체와 나사 결합하고 실린더에 의하여 요동을 줄이므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기판과 지지핀이 볼을 동시에 고정시키므로 볼을 고정시키는 수단의 높이가 낮아져 착용이 간단하다. 또한 고정성 철핀(제5도)을 제13(a)도(스프링 철핀)로 교체하여 구강 내에서 직접 교합 조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서의 부착 기준대는 상악골과 치아 교합 평면과의 부조화를 진단하고, 상악에 기록판을 장착할 때 상악골과의 수평관계를 정확히 하기 위한 유도판으로 기능을 할 수 있다.
Claims (5)
- 교합정면과 정중 시상면과 하악 제1대구치가 만나는 지점에서 나사체와 선단핀을 가지는 철핀을 설치하고, 철핀 대응 부위의 상악에 기록판을 설치한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에서, 선단핀(5-1)을 가진 철핀(5)을 너트 및 실린더 형태로 나사 결합하는 볼(40)과; 볼(40)을 수용하는 호형홈(53)을 가지며 볼(40)을 고정 가능토록 하부 기판(60)과 결합하는 지지판(50)과; 상기 지지판(50) 하부에 결합되어 치아(4)와 수평 상의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크기로 이루어진 기판(60)과; 상기 기판(60)에 고정되고 끝이 치아(4) 표면에 안치되어 기판(60)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4개의 지지핀(70)을 포함하는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40)은 철핀(5)을 수용토록 내부에 관통 형성한 실린더홈(41)과, 실린더홈(41)이 볼(40) 상하부로 연장된 스커트(42)와, 실린더홈(41)하부에 일체로된 나사홈(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
-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철핀(5)은 하부에서 볼(40)중심축 부위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5-5)와, 나사부(5-5) 선단에서 즉 방향으로 일체로 돌설시킨 선단핀(5-1)과, 나사부(5-4)와 선단핀(5-1)사이를 연결하며 볼(40)의 나사홈(43) 및 실린더홈(41)에 안치되는 봉부(5-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
-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철핀(5)은 선단핀(5-1)의 노출 길이를 제한하는 선단핀 스토퍼(5-2)와, 스토퍼 아래로 연장한 선단핀봉(5-11)과, 스토퍼(5-2)와 선단핀봉(5-11)을 수용하는 철핀홈(5-6)을 가지는 봉부(5-4)와, 봉부(5-4)하부 외주에 일체로 되어 볼(40)과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5-5)와, 상기 나사부(5-5) 내경이 공간을 이루며 공간 내주연에서 일부 나사 결합하여 하부를 막는 보조 나사부(5-7)와, 상기 선단핀봉(5-11)의 스토퍼(5-2)에 탄발력을 제공토록 상기 철핀홈(5-6)에 수용된 스프링(5-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
- 기록장치의 선단핀(5-1)에 끼워지는 선단핀홈(91)과, 교합평면 상에서 좌,우 기울어짐을 측정토록 이루어진 수 개의 좌우 수평선(92)과, 좌우 측방의 깊이를 측정하는 좌우 측방 깊이 측정바(92-1)와, 상기 좌우 수평선(92)의 각 중앙부에 형성되며 치아의 호형을 이루어 교합평면과 일치하도록 이루어진 호형 수평띠(93)와, 상기 좌우 수평선(92)과 중앙에서 직교한 직교선(94)의 선단 부위에 상악골의 깊이를 측정하도록 하방으로 돌출 결합하는 전방 깊이 측정바(95)와, 후방에 위치한 후방 깊이 측정바인 수직조정바(96)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 수평선(92)에는 대칭적으로 좌우 측방 깊이 측정바를 끼워 사용하는 수개의 좌우 깊이 측정홈(9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착 기준대에는 볼트공(98)을 형성하여 상악에 부착되는 기록판(1)을 상악골과 좌우 수평 관계를 정확히 이루도록 해주는 유도볼트(97)를 결합시키며, 상기 유도볼트(97)는 부착기준대(90)를 수직 관계로 고정시키는 고정 너트 (97-1)와, 고정 너트(97-1)를 연결해주는 고정 볼트(97-2)와, 기록판(1)을 부착 기준대(90)와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수평 유도면(97-3)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판 부착 기준대.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06002U KR200183333Y1 (ko) | 1998-04-16 | 1998-04-16 |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 |
US09/290,137 US6106285A (en) | 1998-04-16 | 1999-04-13 | Apparatus for tracing centric relation of mandible |
EP99107685A EP0950384B1 (en) | 1998-04-16 | 1999-04-16 | Apparatus for tracing centric relation of mandible |
DE69918484T DE69918484T2 (de) | 1998-04-16 | 1999-04-16 | Gerät zum Abtasten der zentrischen Relation der Mandibel |
JP10923499A JP3815916B2 (ja) | 1998-04-16 | 1999-04-16 | 下顎の中心位顎間関係記録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06002U KR200183333Y1 (ko) | 1998-04-16 | 1998-04-16 |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9660U KR19990039660U (ko) | 1999-11-15 |
KR200183333Y1 true KR200183333Y1 (ko) | 2000-06-01 |
Family
ID=19533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06002U KR200183333Y1 (ko) | 1998-04-16 | 1998-04-16 |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6106285A (ko) |
EP (1) | EP0950384B1 (ko) |
JP (1) | JP3815916B2 (ko) |
KR (1) | KR200183333Y1 (ko) |
DE (1) | DE69918484T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71534B2 (ja) * | 2002-12-25 | 2006-04-26 | 太美雄 大前 | 義歯製作時の咬合調整器具 |
US20050112523A1 (en) * | 2003-11-24 | 2005-05-26 | Massad Joseph J. | Method for developing balanced occlusion in dentistry |
US20070231774A1 (en) * | 2004-10-12 | 2007-10-04 | Global Dental Impression Trays, Inc. | Occlusal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for diagnostic evaluation of maxillomandibular relationships in edentulous patients |
JP4384096B2 (ja) * | 2005-02-01 | 2009-12-16 | 充夫 進藤 | 咬合矯正改善システムと補正カンペル平面取得装置並びに咬合矯正改善具 |
JP4848650B2 (ja) * | 2005-03-16 | 2011-12-28 | 有限会社日本デンタルサポート | 歯列矯正支援システム並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指標部材及び配設装置 |
US7503763B2 (en) * | 2006-03-30 | 2009-03-17 | Casting-In Co., Ltd. | In-mouth cavity tracing device |
US8382686B2 (en) * | 2007-04-17 | 2013-02-26 | Gnath Tech Dental Systems, Llc |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mandibular movement |
US20090117514A1 (en) * | 2007-11-07 | 2009-05-07 | Global Dental Impression Trays, Inc. | Method and components for producing edentulous dentures |
US8070489B2 (en) * | 2008-03-28 | 2011-12-06 | Global Dental Impression Trays, Inc. | Integrated modular dental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ntures |
ES2759799T3 (es) * | 2009-05-19 | 2020-05-12 | Dentca Inc | Método y aparato para preparar una dentadura postiza |
US8998615B2 (en) | 2009-05-19 | 2015-04-07 | Dentca,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denture |
US20140238414A1 (en) * | 2013-02-22 | 2014-08-28 | Kelly Lucas | AGP night guard - for a bruxism patient with or without a severe malocclusion |
EP2719357B1 (de) * | 2012-10-11 | 2017-05-24 | Tridenta Dentaltechnik Gmbh | Verfahren, Übertragungsvorrichtung und Schablonenkörper zum Herstellen von Zahn- oder/und Knochenersatz für ein Gebiss |
CN102908199B (zh) * | 2012-11-21 | 2015-05-13 | 蔡林凯 | 一种牙床平衡器及利用该平衡器制作牙床定位器的方法 |
WO2016123527A1 (en) * | 2015-01-30 | 2016-08-04 | Stanic Miroslav Mike |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making casts for fabrication of dental prosthesis |
US9788919B1 (en) * | 2016-05-31 | 2017-10-17 | King Saud University | Centric relation bite registration tool |
CN110831541B (zh) | 2017-05-29 | 2021-05-25 | 周丈晴 | 用于制造牙科假体的对准设备 |
CN109350276A (zh) * | 2018-10-24 | 2019-02-19 | 同济大学 | 一种用于确定口腔上下颌位置关系的装置及其应用 |
CN111743649B (zh) * | 2020-06-18 | 2022-07-01 | 金鑫 | 多功能终印模装置、使用方法及数字化全口义齿制作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776474A (en) * | 1928-04-23 | 1930-09-23 | Messerman Theodore | Method and means for obtaining balanced occlusion |
US2389063A (en) * | 1943-05-06 | 1945-11-13 | Ervin G Lang | Denture prosthesis |
US2481203A (en) * | 1946-11-29 | 1949-09-06 | Maurice Y Nicole | Gothic arch tracing device |
US3431649A (en) * | 1964-02-28 | 1969-03-11 | Niles F Guichet | Dental face bow |
US3482312A (en) * | 1967-07-03 | 1969-12-09 | Donald G Smith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dental restorations |
CA1069354A (en) * | 1976-04-01 | 1980-01-08 | Corbett, Andrew Napoleone | Occlusal programming unit |
US4279595A (en) | 1979-08-10 | 1981-07-21 | Della Croce John B | Articulator |
US4273533A (en) | 1979-08-10 | 1981-06-16 | Della Croce John B | Method for constructing dentures |
DE3918004A1 (de) * | 1989-06-02 | 1990-12-06 | Hoch Ulrich Werner | Vorrichtung zur bissregistrierung fuer die herstellung von zahnersatz |
US5044950A (en) * | 1989-11-29 | 1991-09-03 | Stanley Hobish | Therapeutic training device and method for fitting dentures |
DE4014975C1 (ko) * | 1990-05-10 | 1991-10-24 | Girrbach Dental Gmbh, 7530 Pforzheim, De | |
US5186624A (en) * | 1991-11-07 | 1993-02-16 | Tresco, Inc. | Dental measuring instrument and method |
-
1998
- 1998-04-16 KR KR2019980006002U patent/KR20018333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9
- 1999-04-13 US US09/290,137 patent/US6106285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04-16 JP JP10923499A patent/JP3815916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04-16 DE DE69918484T patent/DE69918484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04-16 EP EP99107685A patent/EP0950384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950384B1 (en) | 2004-07-07 |
DE69918484T2 (de) | 2005-04-14 |
EP0950384A2 (en) | 1999-10-20 |
JPH11318956A (ja) | 1999-11-24 |
US6106285A (en) | 2000-08-22 |
KR19990039660U (ko) | 1999-11-15 |
JP3815916B2 (ja) | 2006-08-30 |
EP0950384A3 (en) | 2001-04-25 |
DE69918484D1 (de) | 2004-08-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183333Y1 (ko) |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 | |
US5176515A (en) | Dental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 |
US11259907B2 (en) | Device for recording centric jaw relation and orientation jaw relation simultaneously | |
JP3579793B2 (ja) | 歯科用咬合器及びその変換プレート | |
US20070231774A1 (en) | Occlusal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for diagnostic evaluation of maxillomandibular relationships in edentulous patients | |
US5090901A (en) | Face bow and adjustable occlusal fork | |
JPS5918053B2 (ja) | 顎の中心関係および顎運動の記録を行う際に用いる口腔内記録装置 | |
JP3181517U (ja) | バイトフォーク | |
US5586884A (en) | Dental articulator | |
US5044950A (en) | Therapeutic training device and method for fitting dentures | |
US6287113B1 (en) | Full reproduction articulator | |
US4500289A (en) | Denture occlusal mounting translator | |
KR100251238B1 (ko) |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 | |
RU2082351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центрального соотношения челюстей | |
KR20050108660A (ko) | 3차원 상하악 악간관계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 |
US4619611A (en) | Dental articulator | |
CN110740706A (zh) | 咬合记录器具和咬合器 | |
KR200320649Y1 (ko) |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스테레오 기록장치 | |
KR102105277B1 (ko) | 교합기 | |
Robinson | Equilibrated functional occlusions | |
JPH0636812Y2 (ja) | 咬合器 | |
JP2003220079A (ja) | 咬合分析装置とその分析方法及びリファレンスマーカー | |
JPH0621457Y2 (ja) | 咬合器 | |
RU2602044C2 (ru) | Способ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переноса положения верхней челюсти с учетом индивидуальных параметров, окклюзионная вилка с определением положения в пространстве и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модели верхней челюсти в пространстве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этого способа | |
JP2002263120A (ja) | 義歯製作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222 Year of fee payment: 13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