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00029859A - 대변기 - Google Patents

대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9859A
KR20000029859A KR1019997001021A KR19997001021A KR20000029859A KR 20000029859 A KR20000029859 A KR 20000029859A KR 1019997001021 A KR1019997001021 A KR 1019997001021A KR 19997001021 A KR19997001021 A KR 19997001021A KR 20000029859 A KR20000029859 A KR 20000029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oilet
washing water
bowl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1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0856B1 (ko
Inventor
시바타신지
타카키타케시
타카오카유미코
후지노키요시
후쿠시마다케노리
타나카신고
츠보이히로시
미야하라히데타카
Original Assignee
시게후치 마사토시
도토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게후치 마사토시, 도토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게후치 마사토시
Publication of KR20000029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8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8Bowls with means producing a flushing water swir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누름에 의해, 변기보울부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버튼이 작동되었을 때, 절환밸브(41)가 보울부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수공급위치로 절환된다. 그리고나서 세정수는 제트흐름으로 Z도수로(161) 내부에 배치된 배출노즐(35)의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노즐(35)로부터의 제트흐름은 Z 도수로(161) 내부의 물과 세정수저장부(104)의 내부의 물이 Z 도수로(161)을 통해 흐르게 하고 또 제트펌프에 의해 배출되는 제트흐름과 같이, 배수트랩(102)의 입구(121)를 향해 배출되게 한다. 이것은 보울부(101)내의 오물을 한번에 배수트랩(102)으로 배출하도록 부피에서 증폭된 세정수의 큰 흐름을 공급한다.

Description

대변기{TOILET BOWL}
통상의 대변기에서는, 변기세정을 위해 세정수 탱크내에 세정수를 저류해 두고, 그 세정수를 변기 내로 방출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세정수 방출에 따라,변기내의 오물 등을 그 압력에 의해 직접 배수부로 밀려 흘러가게 해서 변기외로반송한다. 또는, 변기의 상방에 만곡하여 형성한 소위 사이폰 유로를 세정수 방출에 의해 그 만곡부에까지 세정수로 채우고, 이 사이폰 유로에 사이폰 작용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 사이폰 작용을 병용해서 오물 등을 배출부로 끌어넣고, 오물을 변기외로 반송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오물반송에 수반해서, 보울 내부의 세정수도 반송되어 변기세정도 된다. 이와 같이 탱크내의 세정수로 오물반송 및 변기세정을 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10리터 혹은 그 이상의 물을 약 30cm정도의높이로 저장해두고, 그 저장한 물의 위치에너지를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요사이, 대도시로의 인구집중이나, 세계적인 기후불순 때문에, 생활용수의 안정공급이 어렵게 되고 있다. 그래서, 각 자치체, 정부는 여러 분야에서 절수의 규제나 호소를 하고 있다. 대변기도 예외는 아니어서, 예를들면, 94년에는 미국정부가 변기세정의 수량규제를 3.5 갤론(약 13리터)에서 1.6 갤론(약 6리터)으로 저감변경한 것을 시작으로, 대만이나 싱가포르에 있어서도 절수화가 절망(切望)되고 있다. 또, 일본국내에 있어서도, 각 시 마을(군의 하부단위) 촌(면) 단위로,절수화에 대한 대응이 모색되고 있다.
절수화를 도모하기 위해 자주 이용되는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세정수 탱크내에 벽돌 등을 넣어 외관의 저수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권장된다. 그러나, 이 수법(手法)에서는, 변기세정에 필요한 양의 세정수를 얻을 수 없고, 세정불량을 일으킨다라는 점에서 충분하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상술한 절수화의 요구에 대해서, 몇가지 제안이 있지만, 그중의 하나로서,특개평54-18137호나 특공평6-99952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들 공보에 제안된 기술은, 기존의 세정수 탱크내에 세정수를 수도수압과 같은 정도로 가압해서 저장할 수 있는 서브(부)탱크를 수납하고 있다. 그리고, 변기세정시에는 이 서브탱크내에 저장되어진 수도수압과 동등한 에너지를 가진 가압수를, 변기로 방출한다. 그러나, 이들 기술에서는 세정수량을 적게 할 수 있는 반면에, 서브탱크의 설치에 필요한 만큼 세정수 탱크가 대형화한다. 이 때문에, 화장실 실내가 좁은 경우에는 이 대변기의 설치가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또한, 세정수 탱크의 위치를 낮게 해서 변기와 일체화시킨 로우실루엣타입(low-silhouette type)이라 칭해지는 대변기에서는, 디자인적인 제약때문에도 세정수 탱크를, 서브탱크의 수납이 가능한 정도로 대형화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서브탱크내의 가압세정수로 변기세정을 거의 조달하는 경우에는, 서브탱크내에 세정수가 모일 때까지는 꽤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대변기가 연속해서 사용되어져 연속세정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다음 사용자는 변기세정시, 서브탱크에 세정수가 모일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있다.
또한, 특개평5-311719호에는 별도의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이 공보의 기술은, 수평 타입의 배수트랩을 구비하는 것이지만, 그 수평관을 배수구의 앞에서 상방으로 굴곡시킨 상방에서 배수로에 연결시키고, 배수구의 앞에 유수부를 설치하고, 그 유수부로 실(봉인)부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변기의 봉수부(封水部)와 전기 유수부와의 사이 공간에 있는 공기를, 밀봉탱크내의 물을 변기에 배출하는 것에 의해 생기는, 밀봉탱크내의 부압으로 빨아들인다. 이 부압흡입으로 트랩내의 공기를 배출해, 사이폰 작용을 조기에 발생시켜서 오물 등의 배출 효과가 높아지도록 한 것이다. 더욱이, 이 기술에 있어서, 유수부에 통기공간을 설치해둔 이유로서는, 배수관측에 부압이 발생한 경우, 통기공간이 없으면, 이 부압발생에 의해, 유수부의 물만이 아니라, 변기의 봉수자체와 배수관측에 끌어들여져 배수되어 버리고, 배수관으로부터 악취가 변기 보울면으로 역류해 버리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 기술에서는, 탱크내의 부압을 이용하기 때문에, 역시 탱크에는 밀봉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봉수부 하류와 탱크내부를 접속시키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통기공간을 설치해도, 악취가 탱크내에 유입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별도 그것을 방지하는 구조도 필요하게 된다.
또한, 절수화의 요구가 있는 한편으로, 상술한 로우실루엣 타입의 대변기는,고급감을 줌으로 해서 계속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변기에서는, 세정수 탱크위치가 낮은 관계로, 세정수 탱크내의 물의 위치 에너지가 작아지게 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특개소60-203748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변기내에서 와류를 형성하도록 와류분출구를 설치하는 것으로, 위치에너지의 부족을 보충하고 있다. 그러나, 로우실루엣 타입의 변기의 세정을 충분히 하기 위해서는 종래이상으로 많은 세정수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되고, 세정능력을 유지하면서절수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세정능력을 유지하면서 요사이의 엄격한 절수요구에도 충분히 대응할수 있는 대변기, 특히 로우실루엣 타입의 대변기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변기의 보울부내의 오물을 세정수를 이용하여 변기외로 반송시켜, 변기세정을 행하는 대변기에 관한 것이다.
관련된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대변기는,
변기의 보울부내의 오물을 세정수에 의해 변기외로 반송하는 대변기이고,
전기 오물의 반송을 위해 세정수를 토출하는 토출부재와,
전기 세정수가 토출되어질 때에, 전기 보울부내의 오물의 반송에 이용되는 세정수의 유량을 증폭해서 당해 세정수를 전기 토출부로 유도하는 증폭수단을 구비한다.
이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의 대변기에 의하면, 토출부재에서 세정수를 토출해서 행하는 오물반송은, 유량증폭된 세정수로 행해진다. 따라서, 이 유량증폭된 세정수에 의해 보울내부의 오물을 변기외로 반송해서 변기세정을 도모하므로, 세정능력을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새로이 이용하는 세정수는 이 증폭전의 세정수로 해결되기 때문에, 절수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본 발명의 대변기는, 이하의 태양을 채용할 수 있다. 제1태양에서는,
전기 증폭수단은,
급수원부터 공급되어진 물을 구동유체로 하고, 전기 보울부의 오물반송을 위해 준비되어진 세정수를 피구동유체로 하여 양유체를 혼합분출하는 제트펌프(jet pump)를 구비한다, 이 제트펌프는, 전기 급수원으루부터 공급을 받은 물을 분출하는 구동노즐과, 당해 구동노즐에 대응해서 전기 양유체의 통과경로를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전기 양유체를 전기 토출부재로 유도하는 슬로우트를 구비한다.
이 태양에서는, 구동노즐부터는, 급수원과 거의 동등한 수압(통상, 1-2kgf/㎠ 정도)의 에너지를 가진 고속, 고압의 물이 분출되어진다. 그리고, 이 고속, 고압의 분출수는, 구동유체로서 슬로우트를 통과할 때에, 이젝터(ejector) 작용을 야기시켜, 피구동유체로서 미리 준비된 세정수를 섞여들게 하는 분류(噴流)가 된다.게다가, 제트펌프에 의한 분류분출(噴流噴出)을 행하는 것이므로, 그 때의 순간유량을 증대시킨다. 이 때문에, 급수원으로부터의 공급수 수량이 소량이어도, 이 공급수가 미리 준비된 세정수를 섞여들게 하는 것에 의해, 유량증폭 및 순간유량 증대가 되어진 상태로, 슬로우트로부터 토출부재로 유도되어져 토출된다. 따라서, 제트펌프를 개재(介在)시켜 유량증폭 및 순간유량증대가 꾀해진 세정수에 의해 보울부내의 오물을 변기외로 반송해서 변기세정을 도모하기 때문에, 세정능력을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새롭게 이용하는 세정수는 실제로 구동노즐로부터 분출되어진 소량의 물로 해결되기 때문에, 절수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트펌프를 개재해서 유량증폭 및 순간유량증대를 목적으로 하는 세정수를, 단지 유량증폭 세정수라 부르기로 한다.
또한, 급수원은 극히 보통으로 이용되고 있는 수도관으로 좋기 때문에, 이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어진 물을 구동노즐로부터 토출하는 것에 지나지 않으며, 세정능력의 유지와 절수화를 도모하는 것에 적합하고, 부압을 이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변기에는 밀폐구조나 내압성능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인 도기제로 할 수 있다.
게다가, 변기와는 별도로 된 세정탱크장치와 같이, 변기상면에 돌출하는 부위를 일절 없앨 수 있다. 따라서, 변기를 로우실루엣타입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디자인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한, 예를 들면, 세정수를 토출하고 국부세정을 하는 위생세정장치 등을 변기 상면에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이 위생세정장치 등에 크거나 형상의 제약을 부과하는 일이 없어진다. 이 때문에, 위생세정장치도 포함한 변기주변 전체의 디자인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보다 높은 고급감을 갖춘변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제2태양은 상기 제1태양에 있어서,
전기 구동노즐과 전기 슬로우트는, 전기 구동노즐의 노즐경 d와 전기 슬로우트의 슬로우트경 D와의 비의 치 d/D가 약 0.3-0.7로 되어 있다.
제3태양은, 상기의 제1태양에 있어서,
전기 슬로우트는, 그 슬로우트 길이 L이 전기 슬로우트의 슬로우트경 D의 약 2-6배로 되어 있다.
이들 태양에 의하면, 구동노즐로부터의 물 분출에 수반한 이젝터작용을 확실하게 일으킬 수 있고, 유량증폭 및 순간유량의 증대를 확실하게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능력을 유지하면서 보다 확실하게 절수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4태양은, 상기의 제1태양에 있어서,
전기 오물반송의 개시전에 미리 물을 저류하고, 당해 저류된 물을 전기 준비된 세정수로 하는 저장부와,
당해 저장부를 전기 슬로우트에 연통하는 연통부도 구비한다.
이 태양에 의하면, 저장부의 저류수를, 연통부를 지나 슬로우트로 유도하고,이 저류수를 구동노즐로부터의 분출수로 섞여들게하여 유량증폭 및 순간유량의 증대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5태양은, 상기 제4태양에 있어서,
전기 저장부는, 변기의 림(rim)면보다도 하방에 배설(配設)되어져 있다.
제6태양은, 상기 제5태양에 있어서,
전기 저장부는, 전기 보울부와 부분적으로 구획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7태양은, 상기 제6태양에 있어서,
전기 저장부는, 전기 보울부내에 고여 있는 고인물(유수)이 유입가능하도록되어 있다.
이들의 태양에 의하면, 저장부에는 림(RIM)에서의 토출세정수나 보울부의 고인물을 모아서, 이 물을 피구동유체로 해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로의물의 저류를 위한 만큼의 특별한 구성이 불필요하게 되고, 구성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8태양은, 상기 제4태양에 있어서,
전기 저장부는, 전기 변기에 착탈자재(着脫自在)로(착탈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태양에 의하면, 저장부의 착탈에 의해 다른 용량의 저장부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대변기의 사용처에 대응하여, 총유량의 세정수를 보울부에 유량증폭 및 순간유량의 증대를 거쳐서 토출할 수 있고, 적은 세정수로 효과적으로 오물을 반송해 보울부를 세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아원이나 오피스에서, 전자의대변기의 사용자는 오물배출량이 적은 유아인 것에 대응하고, 후자는 오물배출량이 많은 대인인 것에 대응할 수 있다. 이 결과, 보다 효과적으로 절수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9태양은, 상기 제1태양에 있어서,
전기 보울부에 고여 있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트랩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트펌프는, 전기 배수트랩의 상승관의 돌출된 개소(個所)(부분)로부터 당해 상승관의 관로를 향해서 설치되어져 있다.
이 태양에서는, 유량증폭 세정수가 배수트랩의 돌출된 개소로부터 상승관의관로를 따라서 토출되어진다. 더욱이, 보울부와 배수트랩의 상승관과는 연결되기때문에, 유량증폭 세정수의 흐름에 보울부의 고인물이 섞여들어가게 되어 운반된다. 결국, 상승관의 돌출된 개소로부터, 유량증폭 세정수는 상승관에 그 관로를 따라 흘러들어간다. 이 때문에, 상승관 및 그 하류의 관로는 이 유량증폭 세정수로 신속하게 채워져, 배수트랩에는, 확실하게 또한 조기에 사이폰 작용이 일어난다.
또한, 유량증폭 세정수의 흐름은, 세정수를 섞여들어가게한 분류이기때문에, 구동노즐의 분출수를 중심으로 하는 폭넓은(폭(幅)광(廣))흐름이 된다. 따라서, 제트펌프의 구동노즐 근방에 오물이 존재해도, 이 폭넓은 흐름으로 오물을 그 주위의 물과 함께 상승관을 따라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보울부의 오물의 양에 불문하고, 보다 확실하게 이 오물을 반송해서 변기세정을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오물반송 및 변기세정시에는, 구동노즐로부터의 세정수 토출을 도모하는 것을 지나지 않기 때문에, 절수화를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0태양은, 상기 제9태양에 있어서,
전기 슬로우트와 전기 상승관은, 전기 슬로우트의 슬로우트경 D과 전기 상승관의 관로경 K와의 비의 치 D/K가 약 0.3-0.6으로 되어 있다.
보울부의 고인물이 섞여들어감에 따른 유량증폭은, 슬로우트를 구동노즐로 가정하고, 상승관을 술로우트로 가정한 가상의 제트펌프에 의해 일어난다고 말할수 있다. 따라서, 이 태양에 의하면, 상기 가상의 제트펌프에 있어서는 구동노즐경과 슬로우트경이 그 비의 치로 약0.3-0.6이 되기 때문에, 확실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보울부의 고인물이 섞여들어가도록 유량증폭 및 순간유량의 증대를 일으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보다 확실한 오물반송 및 변기세정을 행할 수 있다.
제11태양은, 상기의 제4태양에 있어서,
전기 연통부는, 전기 저장부와 전기 슬로우트와의 연통상태를 연통, 비연통으로 절환할 수 있는 절환수단을 구비한다.
이 태양에서는, 저장부와 슬로우트를 연통상태로 해 두는 것으로, 저장부의물을 섞어들어가게 하는 것에 의해 유량증폭 및 순간유량의 증대를 도모한 세정수로 오물반송 및 변기세정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와 슬로우트를 비연통상태로 해두면, 세정수를 섞여들어가게 하는 것에 의한 유량증폭 및 순간유량의 증대를도모하는 것이 아닌 세정수를 보울부로 토출해서 오물반송 및 변기세정을 행할 수있다. 따라서, 저장부와 슬로우트의 연통상태의 절환을 통해, 세정수 토출의 방법을 나누어 사용할 수 있다.
제12태양은, 상기 제11태양에 있어서,
전기 절환수단은, 전기 연통상태의 연통, 비연통을 선택해서 절환할 수 있는수단을 구비한다.
이 태양에서는, 세정수 토출의 방법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배뇨만 한 경우에는 비연통상태로 해서 보울부에의 세정수 토출을 구동노즐로부터의 단기 세정수토출로 하고, 대변의 배변시에는 연통상태로 해서 유량증폭 세정수를 토출할 수 있다.
제13태양은, 상기 제11태양에 있어서,
전기 절환수단은, 전기 저장부내의 물이 없어졌을 때에는, 전기 연통상태를비연통상태로 절환할 수 있다.
이 태양에서는, 구동노즐로부터의 분출수로 빈 저장부내의 공기를 섞여들게한 상태이고, 구동노즐로부터 물을 분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저장부내의 세정수를 섞여들게한 상태로의 세정수 토출이, 이 세정수로 교체되어 공기를 섞여들게한 세정수 토출로 변화하는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세정수를 섞여들게한 상태로의 세정수 토출에 의해 일단 개시되어진 사이폰 작용을, 공기혼입에 의해 단절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부주의한 사이폰작용의 소멸을 초래하지 않고, 보울부에로의 오물 복귀을 초래하지 않는다.
제14태양은, 상기의 본 발명의 대변기에 있어시,
전기 증폭수단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어진 물을 구동유체로 하고, 공기를 피구동유체로 하여, 양유체를 혼합분출하는 제트펌프를 구비한다. 이 제트펌프는, 전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을 받은 물을 분출하는 구동노즐과, 당해 구동노즐에 대응해서 전기 양유체의 통과경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전기 양유체를 전기 토출부재로 유도하는 슬로우트를 구비한다.
이 태양에서, 구동노즐로부터 분출되어진 물은, 구동유체로서 슬로우트를 통과할 때에, 이젝터 작용을 일으키고, 피구동유체인 공기를 섞여들게하는 분류가 된다. 결국, 공기를 섞여들게하는 것에 의해 유량증폭 및 순간유량의 증대가 도모되어진다. 이 때문에, 급수원으로부터의 공급수 수량이 소량이어도, 이 공급수는 공기가 섞여들어가는 것에 의해 유량증폭 및 순간유량의 증대된 상태로, 슬로우트에서 토출부재로 유도되어 토출되어진다. 따라서, 유량증폭 세정수에 의해 보울부내의 오물을 변기외로 반송해서 변기세정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세정능력을 유지할수 있다. 게다가, 새로이 이용하는 세정수는 실제로 구동노즐에서 분출되어진 소량의 물로 해결되므로, 절수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피구동유체로 세정수를 준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 만큼, 절수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15태양은, 상기 제14태양에 있어서,
전기 슬로우트는, 전기 구동노즐에 물이 공급되고 있는 동안에는 대기를 도입하고, 물이 공급되지 않는 동안에는 대기를 차폐하는 대기 도입 차폐수단을 구비한다.
물이 공급되지않는 동안에는, 대변기는 사용되지 않고, 보울부는 유수상태로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동안에는 대기가 도입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슬로우트주변의 세정수, 나아가서는 보울부의 고인물이, 대기의 도입부에서 유출하는 것같은 것이 없어 바람직하다.
제16태양은, 상기 제1태양에 있어서,
전기 제트펌프는, 분출유체가 전기 보울부에 흘러 들어가도록 설치되어져 있다.
이 태양에 의하면, 유량증폭 세정수로 보울부자체의 세정, 예를 들면, 보울부표면의 세정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유량증폭 세정수의 보울부로의 유입에의해, 보울부내의 오물은 변기외로 반송되어져 변기세정이 행해진다.
제17태양은, 상기 제16태양에 있어서,
전기 제트펌프는 전기 보울부에 그 상연(上緣)(위의 가장자리)으로부터 세정수를 흘려떨어뜨리는 림 통수로로 유체를 분출하도록 설치되어져 있다.
이 태양에 의하면, 유량증폭 세정수를 보울부 상연의 림 통수로에서 흘려떨어뜨려 보울부 표면을 세정한다. 그리고 보울부의 유수에 도달한 유량증폭 세정수 에 의해, 오물반송 및 변기세정을 행할 수 있다.
제18태양은, 상기 제17태양에 있어서,
전기 제트펌프는, 전기 림 통수로에 대해서 경사 방향에서 유체를 분출하도록 설치되어져 있다.
이 태양에 의하면, 림 통수로로 유량증폭 세정수를 분출하는 것에 적합하고,그 분출방향이 경사져 있는 것이기 때문에 분출압력의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량증폭 세정수를 에너지 로스(loss)을 억제하면서 림 통수로에서 흘려 떨어뜨릴 수 있고, 보다 효과적으로 보울부 표면을 세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림 통수로가 보울부에 대해서 비스듬히 경사진 토출구를 구비하면,세정수는 보울부표면에 있어서 선회하면서 고인물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고인물에도 이 선회가 전해진다. 따라서, 고인물의 선회에 의해 배출효율이 높아지므로, 배수트랩에는 조기에 효율적으로 사이폰 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문에, 오물반송의 효율이 높아진다.
제19태양은, 상기 제16태양에 있어서,
전기 제트펌프는, 전기 보울부에 유체를 직접 분출하도록 설치되어져 있다.
이 태양에 의해서도, 유량증폭 세정수로 보울부 자체의 세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유량증폭 세정수가 보울부의 고인물에 직접 유입되기 때문에, 이 세정수에 의해 보울부내의 오물을 확실하게 반송해서 변기세정을 행할 수 있다.
제20탱양은, 상기 제19태양에 있어서,
전기 제트펌프는, 전기 보울부에 고인물에 선회를 부여하는 방향에서 유체를 분출하도록 설치되어져 있다.
이 태양에 의하면, 유량증폭 세정수의 분출에 의해 고인물 효율적으로 선회를 일으키기 때문에, 오물반송의 효율이 높아진다.
제21태양은, 상기 제20태양에 있어서,
전기 제트펌프는, 전기 유수액면의 상방 부분에서 유체를 분출하여 전기 고인물에 선회를 부여하도록 설치되어져 있다.
이 태양에 의하면, 유수액면의 상방 보울부 표면을 유량증폭 세정수에 의해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제22태양은, 상기 제16태양에 있어서,
전기 보울부에 고여있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트랩을 구비하고, 전기제트펌프는, 전기 보울부를 개재해서 전기 배수트랩의 입구를 향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 태양에서는, 제트펌프의 구동노즐에서는, 급수원과 거의 동등한 수압(통상, 1-2kgf/㎠ 정도)의 에너지를 가진 고속, 고압의 물이 분출되어진다. 그리고,이 고속, 고압의 분출수는, 이젝터 작용을 일으키고 피구동유체로서 미리 준비된 세정수를 섞여들게하는 분류가 되고, 보울부를 거쳐서 배수트랩의 입구를 향해서 직접 유출된다. 이 때문에, 배수 트랩의 입구에는 보울부를 거쳐서, 제트펌프에 의해 분류분출됨에 따라서 유량증대 및 순간유량의 증대가 도모된 상태로 세정수가 유입된다. 따라서, 이 태양에 의해서도 세정능력을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체세정수 사용량도 적어져 절수를 도모할 수 있다. 역시, 디자인의 자유도의 향상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기술한 대로이다.
제23태양은, 상기 제22태양에 있어서,
전기 보울부와 부분적으로 구획되어 형성되어지고, 전기 오물반송의 개시전에 미리 물을 저류하고, 당해 저류한 물을 전기 준비된 세정수로 하는 저장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저장부는, 전기 보울부에 고여 있는 물이 유입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태양에 의하면, 저장부를 보울부와 구획형성하면 좋은 것이므로, 이 양자를 근사(近似)하게 만들어 변기를 구성할 수 있고, 변기를 제한받지않고 로우실루엣 타입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인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더욱이, 저장부에는 보울부의 유수를 저류해서, 이 물을 피구동유체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에의 물 저류만을 위해 특별한 구성이 필요하지 않게되어, 구성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유수의 유입에 더(加)해서, 유수를 행하기 때문에 통상 림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이 저장부에 유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24태양은, 상기 제22태양에 있어서,
전기 보울부와 부분적으로 구획되어 형성되어지고, 전기 오물 반송의 개시전에 미리 물을 저류하고, 당해 저류한 물을 전기 준비해 둔 세정수로 하는 저장부와,
전기 보울부와 전기 저장부와 전기 보울부의 유수가 유통할 수 있도록 연통하는 도수로를 구비하고,
당해 도수로는, 전기 보울부 측에 전기 배수트랩의 입구와 대향하는 물토출 구를 구비하고,
전기 제트펌프는, 전기 도수로를 전기 슬로우트로 해서 전기 구동노즐을 전기 도수로내에 설치해서 구비한다.
이 태양에서는, 도수로를 개재해서 저장부에는 보울부의 유수을 저류하고,이 물을 피구동유체로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도수로내에 있어서, 구동노즐에서 상기와 같은 높은 압력으로 세정수가 분출되어진다. 이 구동노즐에서의 분출수는, 도수로를 슬로우트로 해서 이젝터 작용을 일으킨다. 따라서, 구동노즐에서의 분출수는, 저장부내의 물을 도수로를 통해서 대량으로 섞여들게하는 분류가되어 도수로를 통과하고, 물토출구로부터 배수트랩의 입구에 향해 직접적으로 토출되어진다. 이 때문에, 배수트랩에는, 제트펌프에 의한 분류분출에 의해서 유량증폭 세정수가 흘려들게 한다. 따라서, 이 태양에 의해서도, 높은 세정능력과 높은 절수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 때에, 종래와 같이, 부압을 이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기술한 것같이, 일반적으로 도기제의 변기를 이용할 수 있다.
제25태양은, 상기 제22태양에 있어서,
전기 저장부는, 전기 보울부에 있어서 배수트랩의 입구와 대향해 유체의 통과경로로서 형성되어진 개구부위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트펌프의 구동노즐은, 전기 저장부의 개구부의를 통해서 전기 배수트랩의 입구를 지향하도록 전기 저장부에설치되어진다.
이 태양에서는, 구동노즐에서의 상기한 고압, 고속의 분출 세정수는, 저장부의 개구부위를 통과할 때에, 이 개구부위를 슬로우트로 해서 이젝터 작용을 일으킨다. 따라서, 구동노즐에서의 분출수는, 저장부내의 물을 개구부위를 통해서 대량으로 섞여들게하는 분류가 되고, 이 개구부위로부터 배수트랩의 입구를 향해서 직접적으로 토출되어진다. 이 때문에, 이 태양에 의해서도, 배수트랩에는, 제트펌프에 의해 유량증폭 세정수를 흘려넣기 때문에, 높은 세정능력과 높은 절수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역시, 일반적인 도기제의 변기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26태양은, 상기의 제25태양에 있어서,
전기 저장부는, 전기 보울부를 형성하는 보울부벽면을 사이에 두고, 전기 보울부의 하방에 형성되어져 있다.
이 태양에서는, 보울부 벽면과, 보울부를 지지하는 태좌부(台座部)의 외벽으로 폐공간을 형성하고, 당해 폐공간을 세정수 저장부로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제27태양은, 상기 제26태양에 있어서,
전기 저장부의 내벽면은, 전기 구동노즐를 향해서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있다.
이 태양에 의하면, 저장부에 보울부 등으로부터 이물이 진입(進入)해도, 이진입한 이물은 저장부의 내벽면을 따라 구동노즐 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이 구동노즐에서 세정수의 분출이 행해지면, 구동노즐 주변의 이물은 저장부내의 물과함께 저장부에서 유출된다. 따라서, 저장부에 이물이 체류하고 오탁(汚濁)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8태양은, 상기 제25태양에 있어서,
전기 저장부의 개구부위를 향해 설치되고, 전기 구동노즐로부터 분출되어진물이 유입해서 통과하도록 전기 구동노즐과 대향하는 통상체(筒狀體)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통상체는 전기 저장부내의 세정수를 전기 구동노즐로부터 분출된 물에합류시키는 개구를 구비한다.
이 태양에서는, 통상체를 구동노즐에서의 분류가 흐를 때에 이젝터 작용을 확실하게 생기도록 할 수 있고, 이 이젝터 작용에 의해 통상체의 개구에서 저장부내의 세정수를 섞여들게 해서 흐르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배수트랩의 입구를 향한 세정수의 흐름을, 제트펌프에 의해 분류분출의 흐름 상태로 확실하게 할 수있고, 세정능력의 유지와 절수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29태양은, 상기 제28태양에 있어서,
전기 구동노즐과 전기 통상체와는 일체화해서, 전기 저장부에 설치, 고정되어져 있다.
이 태양에 의하면, 변기에의 구동노즐 및 통상체의 결합이 간편하게 됨과 동시에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제30태양은, 상기 제22태양에 있어서,
전기 배수트랩의 입구에서는, 복수의 전기 제트펌프가 지향해서 설치되어 있다.
제31태양은, 상기 제22태양에 있어서,
전기 제트펌프는, 전기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공급관과, 당해 공급관에서 분기(分岐)한 복수의 구동노즐과, 당해 복수의 구동노즐에 각각 대응하는 슬로우트를구비한다.
이들 태양에 의하면, 제트펌프에 의해 유량증폭 및 순간유량의증대가 도모된 세정수를, 여러 부분에서 배수트랩의 입구에 흘러들어가게 한다. 따라서, 이입구에는 그 개구범위에 걸쳐 구석구석까지 상기의 세정수가 유입되고, 높은 세정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제32태양은, 상기 제16태양에 있어서,
적어도 두개의 전기 제트펌프가, 분출유체를 전기 보울부로 흘러들어가도록설치되어져 있다.
이 태양에 의하면, 각각의 제트펌프에 의한 분류분출수에 의해, 보울부세정을 행할 수 있다.
제33태양은, 상기 제32태양에 있어서,
일방의 전기 제트펌프는, 전기 보울부로 그 상연으로부터 세정수를 흘려떨어뜨리는 림 통수로로 유체를 분출하도록 설치되어져 있다. 또한, 타방의 전기 제트펌프는, 전기 보울부에 유체를 직접 분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태양에 의하면, 일방의 제트펌프에 의하면 분류분출수에 의해, 림 통수로로부터의 유제분출을 통해서 보울부 표면을 세정할 수 있다. 그리고, 타방의 제트펌프에 의한 분류분출수에 의해, 보울부 표면을 직접 세정할 수 있다.
제34태양은, 상기 제33태양에 있어서,
전기 보울부에 고인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트랩을 구비하고,
전기 타방의 제트펌프는, 전기 배수트랩의 입구를 지향해서 설치되어져 있다.
이 태양에 의하면, 일방의 제트펌프에 의한 분류분출수에 의해, 림 통수로에서의 유제분출을 통하여 보울부 표면을 세정할 수 있다. 그리고, 타방의 제트펌프에 의한 분류분출수에 의해, 보울부의 오물반송 및 변기세정을 행할 수 있다.
제35태양은, 상기 제34태양에 있어서,
전기 급수원에서의 공급처를, 전기 일방의 제트펌프에서 전기 타방의 제트펌프로 순차 절환하는 공급절환수단을 구비한다.
이 태양에 의하면, 일방의 제트펌프에 의한 보울부의 표면세정과, 타방의 제트펌프에 의한 보울부의 오물반송 및 변기세정을, 순차 실행할 수 있다.
제36태양은, 상기 제35태양에 있어서,
전기 공급처 절환수단은, 전기 급수원에서의 물 공급처를 전기 타방의 제트펌프로 절환하고 나서, 전기 공급처를 다시 전기 일방의 제트펌프로 절환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 태양에 의하면, 일방의 제트펌프에 의한 보울부의 표면세정과, 타방의 제트펌프에 의한 보울부의 오물반송 및 변기세정을, 순차 실행한 후, 다시, 일방의제트펌프에 의한 보울부의 표면세정을 행할 수 있고, 이 때의 세정수를 유수로서보울부에 유치해 둘 수 있다.
제37태양은, 본 발명의 대변기에 있어서,
전기 증폭수단은, 세정수의 유량을 다단으로 증폭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제38태양은, 상기 제37태양에 있어서,
전기 증폭수단은,
급수원에서 공급된 물을 구동유체로 하고, 전기 보울부의 오물반송을 위해서준비해 둔 세정수를 피구동유체로 하여, 양유체를 혼합분출하는 제트펌프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제트펌프는, 전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을 받은 물을 분출하는 구동노즐과, 당해 구동노즐에 대응하여 전기 양유체의 통과경로를 형성하는 제1슬로우트와, 당해 제1슬로우트에 대향해서 전기 준비된 세정수를 전기 제1슬로우트를 통과한 유체를 섞여들게 하여, 전기 토출부위로 유도하는 제2슬로우트를 구비한다.
이들 태양에 의하면, 각각의 단의 유량증폭할 때 구동노즐의 분출수에 물을섞여들게하여 로스가 발생해도, 이 후단의 유량증폭에 의해 이 로스를 보충할 수있다. 따라서, 세정수는, 다단의 유량증폭에 의해 섞여들게하여 발생한 로스를 저감(低減)한 상태로 최종단의 유량증폭을 받아서 토출된다. 이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유량증폭을 받은 세정수를 토출할 수 있고, 더욱 더 오물 반송효율 및 변기세정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39태양은, 상기 본 발명의 대변기에 있어서,
전기 증폭수단은,
에어원으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구동유체로 하고, 전기 보울부의 오물반송을위해 준비된 세정수를 피구동유체로 하여, 양유체를 혼합분출한 제트펌프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제트펌프는, 전기 에어원으로부터 공급을 받은 에어를 분출하는 구동노즐과, 당해 구동노즐에 대응해서 전기 양유체의 통과경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전기 양유체를 전기 토출부재로 유도하는 슬로우트를 구비한다.
이 태양에서는, 구동노즐로부터는, 에어원과 거의 동등한 에어압(통상, 약1-2kgf/㎠정도)의 에너지를 가진 고속, 고압의 에어가 분출된다. 그리고, 이 고속,고압의 분출에어는, 구동유체로서 슬로우트를 통과할 때에, 이젝터 작용을 일으키고, 피구동유체로서 미리 준비된 세정수를 섞여들게하는 분류가 된다. 게다가, 제트펌프에 의한 분류분출을 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때의 순간유량을 증대시킨다. 이 때문에 미리 준비된 세정수가 분출에어에 섞여들게하여 유량증폭 및 순간유량의 증대가 되는 상태로 슬로우트에서 토출부재로 유도되어 토출된다. 따라서, 유량증폭 및 순간유량 증대를 받은 세정수 혼합에어에 의해 보울부내의 오물을 변기외로 반송하고 변기세정을 도모하므로, 세정능력을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구동유체로서 물을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오물반송을 위한 세정수는 미리 준비된 소량의 세정수로 해결된다. 따라서, 더욱 더 절수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세정수의 유량증폭 및 순간유량의 증대를 도모하는 것에 적합하고, 구동노즐에는 일절의 급수를 요하지 않는다. 따라서, 약 0.3kgf/㎠ 정도의 저수압지역이나 이 정도까지의 수압저하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지역 혹은 시기라도, 이 태양에 의하면, 높은 세정능력과 높은 절수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로우실루엣 타입의 변기 설치가능지역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이 태양으로도, 디자인의 자유도가 높은 로우실루엣 타입의 변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위생세정장치도 포함한 변기주변전체의 디자인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보다 고급감을 구비한 변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제40태양은, 상기의 제1태양에 있어서,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전기 제트펌프는, 전기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된 물을 분출하는 구동노즐을구비한다.
이 태양에서는, 구동노즐에서의 물 분출에 앞서 공급원에서 공급된 물을 가압한다. 따라서, 구동노즐에서는 이 가압에 의해 고압, 고속으로 물을 분출하고 이 분출수에 미리 준비한 세정수를 섞여들게 해 유량증폭과 순간유량증대를 도모하고, 이 상태로 세정수를 토출한다. 이 때문에, 상기한 것과 같이 저수압 지역이나저수압 시기여도, 혹은 저류량 지역이나 저류량 시기여도, 이 태양에 의하면, 높은세정능력과 높은 절수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로우실루엣 타입의 변기 설치가능지역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다.
제41의 태양은, 상기 제1태양에 있어서,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저급수압의 시에는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전기 제트펌프는,
전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을 받은 물을 직접 분출하는 제1구동노즐과,
전기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된 물을 분출하는 제2구동노즐과,
당해 제1과 제2의 구동노즐을 급수원의 급수압에 대응해서 선택하는 선택수단도 구비한다.
이 태양에서는, 구동노즐에서의 물 분출을 도모함에 적합하고, 낮은 급수압시에는 분출에 앞서 공급원에서 공급된 물을 가압하고, 제1구동노즐에서는 이 가압에 의해 고압, 고속으로 물을 분출한다. 그리고, 이 분출수에 미리 준비한 세정수를 섞여들게 해 유량증폭과 순간유량증대를 도모하고, 이 상태로 세정수를 토출한다. 한편, 급수압이 높은 경우에는, 급수원에서의 물을 그 높은 급수압의 그대로제2구동노즐에서 분출해서 유량증폭과 순간유량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양구동 노즐을 급수압에 대응해서 때와 장소에 따라 구분하여 적절히 쓸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태양에 의하면, 상기한 것과 같이, 저수압의 발생의 유무에 구애되지 않고, 높은 세정능력과 높은 절수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낮은 급수압시이외에는 물의 가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가압에 필요한 에너지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구제적으로는 가압기구를 간헐적으로 혹은 일시적으로 구동하면, 효율적으로 에너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42태양은, 상기 제1태양에 있어서,
급수원에서 공급된 물에 가압에어를 혼합하는 혼합수단을 구비하고,
전기 제트펌프는, 전기 혼합수단에 의해 가압에어가 혼합된 물을 분출하는구동 노즐를 구비한다.
이 태양에서는, 구동노즐로부터의 물 분출에 앞서, 공급원에서 공급된 물에 가압에어를 혼합해서 이 물을 가압한다. 따라서, 구동노즐에서는 이 가압에어혼합에 의해 고압, 고속으로 물을 분출하고, 그 분출수에 미리 준비한 세정수를 섞여들게하여 유량증폭과 순간유량증대를 도모하고, 이 상태에서 세정수를 토출한다. 이때문에, 이 태양에 의하여서도, 상기한 것과 같이 저수압지역이나 시기라도, 높은세정능력과 높은 절수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로우실루엣 타입의 변기 설치가능지역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다.
제43태양은, 상기 제42태양에 있어서,
전기 혼합수단은, 저급수압인 때에는 전기 가압에어를 혼합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 태양에서는, 구동노즐에서의 물 분출을 도모함에 적합하고, 낮은 급수압시에는 분출에 앞서 공급원에서 공급된 물에 가압에어를 혼합해서 이 물을 가압한다. 따라서, 낮은 급수압시에는, 구동노즐로부터는 이 가압에어 혼합에 의해 고압,고속으로 물을 분출한다. 그리고, 그 분출수에 미리 준비한 세정수를 섞여들게해유량증폭과 순간유량증대를 도모하고, 이 상태로 세정수를 토출한다. 한편, 급수압이 높은 경우에는, 급수원에서 공급된 물을 그 높은 급수압의 그대로 구동노즐로부터 분출해서 유량증폭과 순간유량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태양에의하여서도, 상기한 것과 같은 저수압의 발생의 유무에 불구하고, 높은 세정능력과 높은 절수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낮은 급수압시이외에는 가압에어의 혼합을필요로 하기 않기 때문에, 에어의 가압 및 그 혼합에 필요한 에너지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구제적으로 가압기구를 간헐적으로 혹은 일시적으로 구동하면, 효율적으로, 에너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44태양은, 상기 제1태양에 있어서,
전기 오물 반송의 개시전에 미리 물을 저류하고, 당해 저류한 물을 전기 준비한 세정수로 하는 저장부를 구비하고,
당해 저장부와 전기 보울부는, 전기 저장부의 저류수량 TW와 전기 보울부에유치된 유수수량 BW과의 비의 치 TW/BW가 약 0.25-0.35로 되어 있다.
배수트랩에서 일어난 사이폰 작용은, 보울부의 물이 배수트랩의 상승관에 섞여들게되어 보울부에서 물의 저항이 일어나면 소실한다. 그리고, 사이폰작용 소실바로 직전에, 비중이 가벼운 부유성 오물을 세정수와 함께 배수트랩에 끌어들여 소위 프로효과를 일으킨다. 이 태양에서는, 저장부의 저류수량 TW의 상기 범위의 조정을 거치는 것이고, 제트펌프를 개재한 세정수 토출의 종료시기와 사이폰작용 소실시기를 일치시켜, 사이폰 작용 소실시기에 합치되고 저장부의 세정수가 없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태양에 의하면, 사이폰 작용 소실시기에 확실하게 보울부의 물의 저항을 초래하고, 상기 프로효과의 실효를 높일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1은, 본발명에 관한 제1실시예의 대변기(100)의 개략단면도이다.
도2는, 도1에 있어서 2-2선 개략단면도이다.
도3은, 이 대변기(100)에 이용된 절환밸브(41)의 개략단면도이다.
도4는, 도3의 4-4선 개략단면도이다.
도5는, 우단 밸브체부(54)에 설치한 우산밸브(65)의 주변 확대도이다.
도6은, 절환밸브(41)에 의한 세정수의 절환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7은, 도6의 7-7선 개략단면도이다.
도8은, 절환밸브(41)에 의한 세정수의 절환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9는, 도8의 9-9선 개략단면도이다.
도10은, 절환밸브(41)에 있어 밸브체(50)의 복귀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11은, 이 대변기(100)에 있어 세정수의 토출모습을 측정한 실험결과를 보여주는 표이다.
도12는, 도11에 나타난 실험결과로부터 구해진 제트(jet)유량과 Z (Z)유량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13은, 마찬가지로 제트유속과 Z 유속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14는, 제2실시예의 대변기(100A)의 개략단면과 평면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15는, 도14에 있어서 15-15선 개략단면도이다.
도16은, 대변기(100A)에 있어서 제트유량과 유량비와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17은, 대변기(100A)에 있어서 Z 물토출구(106)의 개구경 D와 유량비와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18은, 대변기(100A)에 있어서 유량비와 Z 에너지와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19는, 대변기(100A)에 있어서 가라앉은 오물을 흘러가게한 정도와 Z 에너지를, 배출노즐(35)의 노즐경 d와 Z 물토출구(106)의 개구경 D의 비에 따라서 동시에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20은, 대변기(100A)에 있어서 부유 오물을 흘러가게한 정도와 유량비를,배출노즐(35)의 노즐경 d과 Z 물토출구(106)의 개구경 D의 비에 따라서 동시에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21은,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의 대변기(100B)의 개략단면도이다.
도22는, 제2실시예의 제2변형예의 대변기(100C)의 개략단면도이다.
도23은, 제2실시예의 제3변형예에 있어서의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도24은, 제2실시예의 제4변형예에 있어서의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도25는, 제3실시예의 대변기(200)의 개략단면도이다.
도26은, 제4실시예의 대변기(220)의 개략단면도이다.
도27은, 대변기(220)의 요부를 확대해서 보여주는 요부확대도이다.
도28은, 제4실시예의 제1변형 예에 있어서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도29는, 제5실시예의 대변기(230)의 개략단면도이다.
도30은, 제6실시예의 대변기(240)의 개략단면도이다.
도31은, 이 대변기(240)에 있어서 Z 도수로 형성기구(242)의 주변을 확대해서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도32는, 제7실시예의 대변기(260)의 개략단면도이다.
도33은, 이 대변기(260)의 림부 개략횡단면도이다.
도34는, 대변기(260)에 이용한 절환밸브(341)의 개략단면도이다.
도35는, 제8실시예의 대변기(270)의 개략단면도이다.
도36은, 제9실시예의 대변기(280)의 개략단면도이다.
도37은, 도36의 37-37선 개략단면도이다.
도38은, 마찬가지로 38-38선 개략단면도이다.
도39는. 제10실시예의 제트펌프의 요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40은, 도39의 40-40선 단면도이다.
도41은, 제10실시예의 대변기(300) 개략단면도이다.
도42는, 도41에 있어서 X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제트펌프(290)의 배열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43은, 도42에 있어서 Y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각 제트펌프(290)의 관계를설명하는 도면이다.
도44는, Z 물토출구(106)가 장방형(橫長方形)인 경우의 제트펌프(290)의 배열 모습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45는, Z 물토출구(106)가 대략 삼각형상인 경우의 제트펌프(290)의 배열 모습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46는, 제11실시예의 대변기(310) 개략단면도이다.
도47은, 대변기(310)에 이용한 절환밸브(41A)의 요부 횡단면도이다.
도48은, 이 절환밸브(41A)의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49는, 제12실시예의 제트펌프(360) 개략구성도이다.
도50은, 제13실시예의 대변기(370) 개략 구성도이다.
도51은, 제14실시예의 대변기(400) 개략 구성도이다.
도52는, 제15실시예에서 일어나는 변기세정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53은, 제16실시예의 요부 확대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제1실시예의 대변기는, 변기와 별체인 세정수 탱크를구비하지 않는 소위 로우실루엣 타입의 대변기이다. 이 대변기(100)은, 변기본체(101a)의 약간 전방근처에 보울부(101)을 구비한다. 보울부(101) 저부의 오물호퍼부(112)(오물을 떨어뜨려 넣는 오목한 부분)의 오벽부(奧壁部)에는, 배수트랩(102)의 입구(121)가 개설(開設)되어 있다. 또한, 오물호퍼부(112)의 전벽부(前壁部)에는, 배수트랩(102)의 입구(121)에 향해서 Z 물토출구(106)(세정수 배출구)가 대향해서 개설되어져 있다. 그리고, 이 Z 물토출구(106)로부터 세정수라 토출되면, 보울부(101)의 오물을 배수트랩(102)에서 세정수와 함께 반송해서 변기세정을 도모하는 소위, 제트세정이 실시된다.
보울부(101)의 개구주연(開口周緣)에는, 세정수를 보울부(101)의 내벽면을 따라 토출하기 위한 통수림(10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통수림(103)에서세정수가 토출되어지면, 보울부(101)의 내벽면을 세정하는 소위, 림세정이 실시된다. 또한, 오물호퍼부(112)의 오벽부 측(側)에는, 배수트랩(102)과 간섭하지 않도록, 세정수저장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결국, 이 세정수저장부(104)는, 보울부(101)와 그 오벽을 가로막아서 부분적으로 구획되어 형성되어져 있고, 변기 본체(101a)와 일체로 되어 있다.
이 세정수저장부(104)는, 상기한 Z 물토출구(106)에 도달하는 Z 도수로(161)(세정수 도수로)를 개재해서 보울부(101)과 연통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울부(101)에 세정수가 유수되어져 있으면, 세정수 저장부(104)에도 Z 물토출구(106)를 거쳐 세정수가 흘러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세정수저장부(104)에는, 보울부(101)의 유수수위와 동일 높이까지 세정수가 저류되는 것이다. 이 경우, 세정수저장부(104)의 내용적(內容積)은, 약 2 - 2.5리터이지만, 상기와 같이 해서 세정수저장부(104)에 저류된 세정수는, 약 0.5리터 정도이다. 결국, 세정수저장부(104)의 저류수량은, 보울부(101)의 통상의 유수수량 2리터에 대해서, 약 1/4로 되어 있다.
세정수 저장부(104) 상방에는, 급수관(2)과 접속된 급수밸브(105)와, 그 하류에 접속된 절환밸브(41)이 설치되어 있다. 이 급수밸브(105)는, 도시되지 않은 원격조작반에 있는 세정버튼이 눌려지면, 당해 조작반에서 시작되어진 적외광을 수광해서 관로를 소정시간에 계속되어 개방하도록 구성되어진 전자밸브이고, 통상은 급수관(2)을 폐쇄하고 있다. 한편, 절환밸브(41)은, 급수관(2)에서 급수밸브(105)를 거쳐 공급된 세정수의 공급처를, 세정수저장부(104)에서 Z 도수로(161)에까지 연장한 연결관(137)과, 통수림(103)으로 세정수를 유입하기 위한 공급관(133)으로시계열적(時系列的)으로 절환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이 절환밸브(41)에 의한 세정수공급처의 절환에 의해, 상기한 림세정에 연이어 제트세정이 행해지고,그 이후에, 다시 림세정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이 절환밸브(41)의 상세한 구성과 세정수 공급처의 절환모습에 대한 설명에 앞서, 이 실시예의 대변기(100)에 있는 변기세정을 위한 구성과 변기세정의 모습에 관해서 설명한다.
지금, 변기세정을 위해서 원격조작반의 세정버튼이 조작되면, 절환밸브(41)은, 세정수의 공급처를, 통수림(103)이 접속된 공급관(133)으로 절환한다. 이것에 의해, 급수밸브(105)을 통과한 세정수는 공급관(133)을 거쳐서 통수림(103)으로 유도되고, 림세정이 개시된다. 결국, 통수림(103) 하면에 적당한 간격으로 뚫린 림수출공(水出孔)(132)에서 세정수가 보울부이 내벽면을 따라서 토출되고, 이 세정수에 의해 보울부의 내벽면이 세정된다. 이렇게 해서 림세정이 실시되면, 절환밸브(41)에 의해 세정수의 공급처가 연결관(137)으로 절환된다. 따라서, 급수밸브(105)을 통과한 세정수는, 연결관(137)을 거쳐서 배출노즐(35)로 보내지고, 이 배출노즐(35)에서 토출된다. 따라서, 림세정에 연이어 제트세정이 개시되고, 이하와 같이 해서 오물이 배출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137) 선단의 배출노즐(35)은, Z 도수로(161)내에 설치되어져 있고, Z 도수로(161)의 지향(指向)방향과 거의 동일방향으로 향해져 있다. Z 도수로(161)는, 배출노즐(35)에서 토출된 물과 세정수 저장부(104)내의 세정수의 유로로 되는 것이므로, 슬로우트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이 절환밸브(41)에 의해 세정수의 공급처가 연결관(137)으로 절환되면, 이 배출노즐(35)에서는, 일차 측의 압력(수도물의 급수압)과 거의 동등하게 높은 수압(약 1-2kgf/㎠)인 세정수가 고속으로 유출된다. 결국, 급수관(2)로부터 공급을 받은 물을 분출하는 배출노즐(35)과, 그 전방에 세정수의 경로를 형성하고 세정수를 Z 물토출구(160)로 유도하는 Z 도수로(161)로, 제트펌프가 구성된다. 따라서, 이 배출노즐(35)에서의 토출수는, Z 도수로(161) 내의 물은 물론 이 Z 도수로(161)와 연통되어 있는 세정수저장부(104)내의 물을 대량으로 섞여들게하는 분류가 된다. 이 때문에, 이 분류과 섞여들게된 세정수저장부(104)내의 물이지만, 제트펌프에 의한 분류분출과 같이 해서 Z 도수로(161)을 통해 Z 물토출구(106)에서 배수트랩(102)의 입구(121)를 향해서 직접적으로 토출된다. 따라서, 배수트랩(102)에는, 유량증폭 세정수가 한번에 대량의 세정수가 보내지게 되는 것이다. 결국, 보울부(101)의 세정(제트세정)에 즈음하여 실제로 토출된 세정수는, 배출노즐(35)로부터의 것이지만, 보울부(101)에는 유량증폭 세정수가 흘러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오물호퍼부(112)에 있는 오물은, 이 대량의 세정수에 밀려내려가배수트랩(102)내에 강력하게 밀려들어가게 되고, 후술하는 이 배수트랩(102)에서 배출된다. 이경우, Z 도수로(161)은, 변기본체(101a)의 전방부로 Z 물토출구(106)으로 향해 경로방향을 180°회전해서 그 Z 굴곡부(161b)의 곡률반경은 20-30mm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Z 굴곡부(161b)에 있어서 흐름의 방향절환에 의한 손실은 작다.
배수트랩(102)은, 오물 호퍼부(112)에 개구된 입구(121)에 연속해서, 상승관(122)과, 하강관(123)과, 수평관(124)를 구비하고, 연속한 굴곡유로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승관(122)은, 입구(121)에서 보울부(101)의 이면을 따라서 변기본체(101a)의 후방을 향해 경사져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강관(123)은, 상승관(122) 상단에서 하방을 향해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수평관(124)은, 하강관(123) 하단에서 변기본체(101a) 전방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선단에 있어서 변기배수구(125)가 수직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한편, 상승관(122)과 하강관(123)의 연결부분인 언덕부(127)에 물의 박리(剝離)가 생긴 경우, 하강관(123)의 오측벽(도1에 있어서 좌측벽)에 이 박리한 물이 부딪쳐서 난류가 되기 때문에, 이 오측벽에 공기를 섞여들게하고, 신속한 공기의 배출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언덕부(127)의 곡률반경은 35 - 75mm(배수트랩의 직경 φ55에 대해서, 0.6 - 1.4배 정도), 바람직하게는 55 - 65mm(배수트랩의 직경φ55에 대해서, 1.0 - 1.2배 정도)로 해서 가능한 한, 언덕부(127)에서 물이 박리하지 않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이 배수트랩(102)은, 그 도중의 2개소에 있어서 실(밀봉)을 구성하는 더블실구조를 구비하고, 배수트랩(102)에 있어서 사이폰발생을 촉진하기 위한 사이폰 발생촉진부위(126)을 하강관(123) 하단에 형성한다. 더욱이, 이 경우에 있어서 실은, 배수트랩(102)에서 발생한 사이폰을 단절하기 않는 것을 의미한다.
사이폰 발생촉진부위(126)은, 상승관(122) 상단의 언덕부(127)을 넘어서 하강관(123)에 낙하하는 물을 충돌시켜 이 물을 하강관(123)에 가능한 한 유치되도록한다. 그리고, 사이폰 발생촉진부위(126)는, 이 물을 유치하고 배수트랩(102)이 물로 가득찬 상태를 확보하고, 이렇게 하는 것으로, 배수트랩(102)에 있는 사이폰 발생을 촉진한다. 이 때문에, 사이폰 발생촉진부위(126)은, 하강관(123) 하단에서 관로내측에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단부(126a)를 구비한다. 이 수평단부(126a)의 길이는 10 - 25mm(배수트랩의 직경φ55에 대해서, 0.18 - 0.45배 정도)이다.
수평관(124)은, 상향으로 만곡된 경로로 되어 있고, 그 정상부에 제2언덕부(128)을, 정상부 앞에 유수부(129)를 구비한다. 유수부(129)는, 여기에 물이 유치된 경우에도 그 상방에 25 - 35mm(배수트랩의 직경φ55에 대해서, 0.45 -0.65배 정도)의 통기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평관(124)는 제2언덕부(128)의 하류측에서 바로 하향으로 굴곡하고, 이 하향한 굴곡부(130)를 그대로 변기배수구(125)에 연결시키고 있다.
하강관(123)은, 중력방향으로 거의 원통상으로 언덕부(127)로부터 100 - 150mm(배수트랩의 직경φ55에 대해서, 1.8 - 2.7배 정도)의 경로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하강관(123) 바로 아래 부근에 유수부(129)가 위치한다. 이와 같이, 하강관(123)의 경로 길이를 150mm이하로 했기 때문에, 언덕부(127)를 넘은 물이 사이폰 발생촉진부위(126)에 도달하기 전에 하강관(123) 오측벽에 부딪치고, 공기를 섞여들게한 난류로 되는 것은 아니고, 신속한 공기의 배출이 가능하다. 또한, 100mm이상으로 했기 때문에, 사이폰 발생촉진부위(126)에 낙하한 물에서 충분한 운동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사이폰을 보다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고, 오물배출에 유효하다.
사이폰 발생촉진부위(126)은, 수평단부(126a)로 흐름방향 보정기능도 한다.이 수평단부(126a)의 설치위치는 특별히 중요한데, 도면에 도시된 위치, 즉 하강관(123)과 수평관(124)이 교차하는 부분에 설치된다. 통상, 하강관(123)에서 수평관(124)으로 연속하는 굴곡부를 물이 구부러져 나아갈 때에는, 굴곡부 전후에서 물의 유속은 변화하고, 경로를 따른 유속분포는 불균일하게 된다. 그러나, 흐름 방향의 보정을 수평단부(126a)의 설치위치에서 행해지므로, 이 굴곡부 통과시의 유속변화를 억제하고, 유속분포의 혼란을 보정할 수 있다. 수평단부(126a)의 위치로서는, 수평관(124)의 높이 방향에 대응하고, 중앙보다 위, 천장벽으로부터 10-20mm의 위치, 즉 상기의 통기공간의 약2/3의 높이 위치가 가장 유효하게 유속의 분포의 보정을 하고, 동시에 배수트랩(102)내의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더욱기, 수평단부(126a)를 하강관(123)과 수평관(124)의 교차부 보다 높은위치에 설치하면, 이하의 불이익이 있다. 우선, 하강관(123)으로부터 수평관(124)에 연속한 굴곡부를 구부러져 내려가는 곳의 유속분포가 불균일하게 된다. 또한,수평단부(126a)에 의해 옆으로 구부러진 수류가 배수트랩(102)을 막는 흐름으로 되고, 사이폰 성장을 방해하는 것이다. 그 반대로, 이 수평단부(126a)의 설치위치를상기 보다 더 낮게 하면, 유속보정의 효과가 낮게 된다.
배수트랩(102)은, 제2언덕부(128)의 정상부에서 변기배수구(125)에 거쳐서 형성된 하향의 굴곡부(130)의 곡률반경을 40 - 65 mm(배수트랩의 직경 φ55이 대해서, 0.7 - 1.2배 정도), 바람직하게는 45 - 55 mm(배수트랩의 직경 φ55에 대해서, 0.8 - 1.0배 정도)로 크게 설정하고 있다. 또한, 배수구(125)의 개구말(끝부분)을변기본체(101a)의 저면과 같은 레벨로 하고, 변기본체(101a) 내에서의 배출경로를 가능한 한 연장하고 있다. 더욱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향 굴곡부(13C)의 곡률반경은 55mm(배수트랩의 직경φ55에 대해서, 1.0배 정도)로 설정하고 있다.
상기한 것과 갈이 오물을 배수트랩(102)에서 배출하는 제트세정을 완료하면,절환밸브(41)에 의한 세정수의 공급처가 공급관(133)에 다시 절환된다. 이 때문에, 세정수는 다시 통수림(103)으로 유도되고, 다시 림세정이 개시된다. 그리고, 이 때 림세정에 의해 림수출공(132)으로부터 유출된 세정수는, 보울부(101)이 유수로서 유치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것과 같이 세정수의 공급처의 절환을 행하는 절환밸브(41)에 관해 설명한다. 이 절환밸브(41)은, 도3의 개략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케이싱(42)를 중심으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는 수직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밸브챔버(43)을 구비한다. 이 챔버(43)는, 도면에 있는 우단부분을 지름이 확장된 확장챔버(44)로 하고 있다. 이 확장챔버(44)는, 격벽(44a)에 의해 일부 영역으로 밸브챔버(43)와 구획되어 있다. 이 밸브 케이싱(42)의 우단에는, 캡(42a)이 고정되어있다. 밸브 케이싱(42)는, 그대로 중앙부분에, 유체의 입구로 되는 유입포트(45)와, 유체의 출구로 되는 림포트(46)와 제트포트(47)를 밸브챔버(43)에 연통해서 구비한다. 이들 각 포트는, 도3의 4-4선 개략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포트(45)와 제트펌프(47)는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하고, 림포트(46)는 유입포트(45)와 직교하도록, 또한, 밸브 챔버(43)에 대해서는 각각 직교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입포트(45)에는 급수밸브(105)에서의 유로가, 림포트(46)에는 상기의 공급관(133)이, 제트펌프(47)에는 상기 연결관(137)이, 각 포트 개구부의 테이퍼부(45a-47a)를 개재해서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림포트(46)는, 기타의 포트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제트포트(47)에는, 제트포트(47)을 폐쇄하도록 힘이 가해진 밸브커버(49)가 장착되어져 있다. 따라서, 밸브커버(49)는, 제트포트(47)에 접속된 연결관(137)에서의 세정수의 간편한 역지(逆止)밸브로서 가능한다.
또한, 절환밸브(41)은, 밸브챔버(43)에 있어서 좌우에 이동자재(가능)한 밸브체(50)를 구비한다. 밸브체(50)는, 일단(도 3에 있어서 좌단)이 폐쇄되고 다단이 개구한 중공원통상의 원통체(51)를 중심으로 구성되고, 그 외주벽체(外周壁體)(52)를 밸브챔버(43)의 내주벽면을 따라 안내된 가이드부로 하고 있다. 원통체(51)의 개구단측은, 그 외주부분이 확장한 원통체(51)의 폐쇄단측에 되접어 꺽은 확장림(53)도 형성되어 있고, 이 확장림(53)은, 확장챔버(44)내를 좌우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확장림(53)에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밸브체(50)의 구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우단 밸브체부(54)가 짜 넣어 고정되어져 있다. 이 경우, 우단 밸브체부(54)와 확장림(53)의 사이에는, 벨로프렘(55)의 내주연부분이 협지되어 있고, 밸브케이싱(42)과 캡(42a)의 사이에는, 벨로프렘(55)의 외주연부분이 협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우단 밸브체부(54)는, 이 벨로프렘(55)을 개재해서 밸브챔버(43), 상세하게는 확장 밸브챔버(44)에 수밀 동시에 이동가능하게 짜 넣어져 있게 된다.
원통체(51)의 폐쇄단 외주와 외주벽제(52)의 거의 중앙부에는, 테프론에 의해 도너츠형상으로 형성된 링(56)이 설치되어 있고, 밸브챔버(43)에 대하여원통체(51)의 활주성과 밀봉성이 확보되어져 있다. 그리고, 이 원통체(51)의 폐쇄단은, 링(56)을 개재해서 밸브챔버(43)에 수밀 동시에 이동가능하께 짜 넣어진 좌단 밸브체부(57)로 되어 있다. 이 좌단밸브체부(57)와 우단밸브체부(54)로 좁혀진중공 공간은, 세정수 유입실(58)로 되어져 있다. 또한, 이 좌단 밸브체부(57)의 좌측에는, 원통체(51) 연장된 밸브체(50)을 캡(42a)의 측에 항상 부세하는 스프링(59)이 수납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59)의 부세력에 대해서 후술한다.
외주벽체(52)에는, 수직방향을 따라 긴 구멍형상의 제1연통공(60)과, 동일하게 장혈상의 제2연통공(61)과, 원형의 제3연통공(62), 제4연통공(63)이 뚫려 있다.제1연통공(60)은, 밸브체(50)이 도3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는 물론, 밸브체(50)이 좌측의 스트로크 엔드까지 이동하는 사이에 있어도 유입 포트(45)와 항상 겹쳐지도록 뚫려져 있다. 제2연통공(61)은, 밸브체(50)이 도시된 위치로부터 약간 좌측에 이동하는 사이에 있고, 림 포트(46)과 겹쳐지도록 뚫려져 있다. 이 경우,림포트(46)과 제2연통공(61)이 겹쳐져 있는 사이에 있는 밸브체(50)의 위치는, 본실시예에 있어서 밸브체(50)의 초기 위치이다. 제3연통공(62)는, 밸브체(50)가 이초기위치에서 다시 좌측으로 이동해서 제2연통공(61)이 밸브 챔버(43)의 내주벽으로 막히게 되면, 제트포트(47)에 겹쳐지도록 뚫려져 있다. 또한, 제4연통공(63)은 다시 밸브체(50)이 좌측으로 이동해서 제2연통공(61) 및 제3연통공(62)이 밸브챔버(43)의 내주벽으로 막히면, 림 포트(46)에 겹쳐지도록 뚫려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제트포트(47)와 제3연통공(62)이 겹쳐져 있는 사이의 밸브체(50)의 위치는, 제1의 이동위치이고, 림 포트(46)과 제4연통공(63)이 겹쳐져있는 사이의 밸브체(50)의 위치는, 제2의 이동위치이다. 결국, 밸브체(50)이 도3에 도시된 초기위치에서 스프링(59)의 부세력에 저항해서 좌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4의 각 연통공은, 유입포트(45), 림 포트(46) 또는 제트포트(47)에 상기한 것과 같이 순차적으로 겹쳐지게 된다. 이들 각 연통공은 세정수 유입실(58)과 연통되어 있으므로, 림 포트(46)과 제트포트(47)은, 세정수 유입관(58)을 매개로 해서 순차 유입포트(45)와 연통하는 것으로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당초는, 림포트(46)가 유입포트(45)에 연통하고(도4 참조), 다음으로 제트포트(47)가 유입포트(45)와 연통하고, 그 이후, 림포트(46)가 유입포트(45)에 다시 연통하는 것으로 된다.
우단 밸브체부(54)는, 그 우단 중앙에 함몰부(64)를 구비하고, 당해 함몰부의 저면벽에는, 고무로 형성된 우산 밸브(65)가 장착되어져 있다. 이 우산밸브(65)는, 도3 및 그 주변의 확대도인 도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앙에연통공(66)을 구비하고, 그 우산부(67)으로 함몰부(64)의 저면벽의 연통곡(68)을덮어 숨기고 있다. 따라서, 이 우산 밸브(65)는, 함몰부(64)의 저면벽을 좁힌 세정수의 유통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해서 역지 밸브로서 가능한다. 함몰부(64)의 저면벽의 좌측, 즉 세정수 유입실(58)의 측면에서 함몰부(64)의 측면으로 세정수가 통과할 때에는, 우산부(67)에 의해 연통공(68)이 막혀져 있기 때문에, 세정수는 연통공(66)을 통과할 수 있는 것에 지나지 않다. 그러나, 함몰부(64)의 측면에서 세정수 유입실(58)의 측면에 향해서는, 세정수는, 연통공(66)을 통과함과 동시에, 우산부(67)를 밀어올려 연통공(68)을 통과한다. 이 때문에, 우산 밸브(65)는 상기한것과 같이 역지 밸브로서 가능한다. 우단 밸브체부(54)와 대향하는 캡(42a)에서는, 밸브체(50)이 초기위치에 있을 때에는 연통공(66)을 관통하는 크린링 핀(69)이 설치되어져 있고, 이물에 의한 연통공(68)의 폐쇄의 방지가 도모되어져 있다. 또한, 연통공(68)은, 함몰부(64)의 저면벽 등에 피치로 2-8개정도 뚫려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해서 밸브체(50)가 짜 넣어진 밸브 챔버(43)는, 이 밸브 챔버(43)를 구획하는 구획벽으로서 기능하는 우단 밸브체부(54)와 좌단 밸브체부(57)에 의해, 이하의 제1-3의 밸브 챔버(43)에 구획되어져 있다. 제1의 밸브 챔버(70)은 양 밸브체부에서 좁혀진 영역으로 유입 포트(45)와 림 포트(46) 및 제트포트(47)와 연통되어 있다. 제2의 밸브 챔버(71)는, 우단 밸브체부(54)의 우측영역으로 함몰부(64)를 포함하고 있다. 제3의 밸브 챔버(72)는, 좌단 밸브체부(57)의 좌측영역으로 스프링(59)을 수납한다. 이 경우, 제1 밸브 챔버(70)내에는, 밸브체(50)의 세정수 유입실(58)이 위치하는 것으로 된다. 제2 밸브 챔버(71)는, 캡(42a)과 벨로프렘(55)에 의해 밀폐된 밸브 쳄버로 되어져 있고, 우단밸브체부(54)를 구비한 밸브체(50)가 초기위치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벨로프렘(55)에 의해 그 내용적이 확장하도록 되어 있다. 제3의 밸브 쳄버(72)는, 제트포트(47)과 연통해서 형성된 연통공(73)에 의해, 개방상의 밸브 챔버로 되어있다. 또한, 밸브 챔버(43)의 우측 영역인 확장 밸브 챔버(44)는, 제트포트(47)와 연통하는 연통공(74)에 의해 개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확장 밸브 챔버(44)에 있어서 우단 밸브 챔버(54)의 좌우 이동 및 밸브 챔버(43)에 있어서 원통체(51)(밸브체 50)의 좌우 이동에, 지장은 없다. 또한, 제3의 밸브 챔버(72)에 세정수가 남아있는 경우라도, 밸브체(50)이 좌측으로 이동하는 때에는, 좌단 밸브체부(57)에 의해 이 잔존 세정수는 연통공(73)으로부터 밀려 나가게 되므로, 결국 원통체(51)의 좌우 이동에 지장이 없다.
다음으로, 이 절환 밸브(41)에 의한 공급처의 절환의 모습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변기세정을 위해서의 원격조작반의 세정버튼이 조작되는 이전에 있어서는, 절환 밸브(41) 보다 상류의 급수 밸브(105)(도1 참조)는 밸브개방상태이고, 절환 밸브(41)의 유입포트(45)에서는 세정수는 유입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밸브체(50)는, 스프링(59)의 부세력만을 받고 도3에 있어서 초기위치에 위치하고, 세정수말유입이므로, 당연히 절환 밸브(41)에서 공급처로 세정수가 보내지지 않는다.지금, 상기의 세정수 버튼이 조작되면, 급수 밸브(105)가 개방되어서 절환밸브(41)로 세정수가 보내져, 이 세정수는, 거의 수도수압으로 세정수 유입실(58)에 유입한다. 이 때, 밸브체(50)은 초기위치에 있으므로, 기술한 것과 같이 림포트(46)은 세정수 유입실(58)을 매개로 해서 유입포트(45)와 연통하고 있다(도4참조). 따라서, 세정수는, 세정수 유입실(58)을 거쳐서 림포트(46)에 유출한다. 그리고, 이 림포트(46)은 공급관(133)과 접속되어 있으므로, 세정수는, 공급관(133)에 유도된 통수 림(103)에서 토출되고, 림 세정이 개시된다. 이 경우, 림 세정은, 밸브체(50)가 초기위치에 있는 사이, 즉 제2연통공(61)이 림포트(46)와 겹쳐져 있는 사이에 항상 행해진다.
상기와 같이 세정수 유입실(58)에 세정수가 유입하면, 수도수압과 거의 같은세정수 압력이, 세정수 유입실(58)에 있어서, 우단 밸브체부(54)와 좌단 밸브체부(57)에 역방향으로 걸린다(힘이 미친다). 그리고, 세정수 유입실(58)에 있어서 세정수 압력의 수압면적은, 세정수 유입실(58)의 단면적으로 규정되고, 우단 밸브체부(54)와 좌단 밸브체부(57)로 같다. 따라서, 세정수 유입실(58) 내에서 밸브체(50)에 미쳐진 세정수 압력은 상살(상쇄)된다. 그 일방, 세정수 유입실(58)에 유입된 세정수는, 우단 밸브체부(54)의 우산 밸브(65)에 있어서 연통공(66)을 거쳐서 제2의 밸브 챔버(71)로 유입한다. 이 때문에, 우단 밸브체부(54), 이어서는 밸브체(50)는, 제2의 밸브 챔버(71)내에 유입된 세정수에서, 상기 세정수 압력과 제2의 밸브 챔버(71)에 있어서 우단 밸브체부(54)의 수압면적과 정해진 힘을, 벨브체 구동력으로 해서 세정수 유입실(58)의 측면에 향해서 받는다. 그리고, 우단 밸브체부(54)가 위치한 확장 밸브 챔버(44)와 좌단 밸브 챔버(58)의 측면의 제3의 밸브 챔버(72)는, 기술한 바와 같이 연통공(73,74)에 의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체(50)은, 제 2의 밸브 챔버(71)에 세정수가 유입하는 것으로 생기는 상기의 밸브체구동력을 스프링(59)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받는다.
이 경우, 스프링(59)의 부세력은, 유입포트(45)에서 세정수가 유입되고 있지않는 사이, 즉 밸브체(50)이 무부하의 사이에는 밸브체(50)을 초기위치에 위치시킬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밸브체(50)은, 제2의 밸브 챔버(71)에의 세정수의 유입에 수반해서, 스프링(59)의 부세력에 능가하는 밸브체구동력을 받기 때문에, 스프링(59)의 부세력에 저항해서 초기위치에서 좌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밸브체(50)의 이동은 제2의 밸브 챔버(71)내에 세정수가 유입하는 사이에 항상계속해서 일어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우단 밸브체부(54)를 확장림(53)에 고정하는 것이고, 제2의 밸브챔버(71)에 있어서 우단 벨브체(54)의 수압면적을 세정수 유입실(58)에 있는 수압면적 보다 넓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2의 밸브 쳄버(71)에서는 거의 수도압력과 같이 높은 압력이 우단 밸브체부(54)에 걸리는 일과 더불어, 비교적 큰 밸브체구동력을 생기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밸브체(50)가 초기위치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면, 밸브체(50)는, 도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의 이동위치에 도달한다. 그러면, 이 도6 및 7-7선개략단면도인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까지 림포트(46)와 겹쳐져 있는 제2연통 공(61)은 밸브 챔버(43)의 내주벽면으로 폐쇄되고, 제3연통공(62)이 제트펌프(47)와 겹쳐지고, 이 제트포트(47)가 세정수 유입실(58)을 매개로 해서 유입포트(45)와 연통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세정수는, 세정수 유입실(58)을 거쳐서 제트포트(47)에 유출하고, 이 제트포트(47)에 접속된 연결관(137)에 유도되고 배출노즐(35)에서 토출되고, 제트세정이 개시된다. 결국, 초기위치에서 제1의 이동위치에로의 밸브체(50)의 이동에 추종해서, 림포트(46)와 제트포트(47)가 유입포트(45)에 순차 연통하고, 림세정에서 제트세정으로 절환된다. 이 경우, Z 세정은, 밸브체(50)이 이 제1의 이동위치에 있는 사이, 즉 제3연통공(62)이 제트포트(47)와 겹쳐져 있는 사이에 항상 행해진다. 또한, 커버(49)는, 제트포트(47)를 통과하는 세정수의 압력을 받아 지장되지 않고, 이 제트포트(47)를 개방한다.
밸브체(50)이 도6의 제1의 이동위치에 도달한 이후에도, 급수 밸브(105)는 개방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세정수는, 연통공(66)을 거쳐서 제2의 밸브 챔버(71)에 다시 유입된다. 따라서 밸브체(50)은, 제1의 이동위치에시 다시 좌측으로 이동하고, 도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의 이동위치에 도달한다. 그러면, 이 도8 및 9-9선 개략단면도인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까지 제트포트(47)과 겹쳐져 있던 제3연통공(62)은 밸브 챔버(43)의 내주벽면에 폐쇄되고, 제4연통공(63)이 림포트(46)과 겹쳐지고, 이 림포트(46)이 세정수 유입실(58)을 매개로 해서 유입포트(45)와 다시 연통되게 된다. 따라서 세정수는, 세정수 유입실(58)을 거처 림포트(46)에 유출되고, 공급관(133)에 유도되고 통수림(103)에서 토출되고, 림세정이 다시 개시된다. 이 경우, 림세정은, 밸브체(50)가 이 제2의 이동위치에 있는사이, 즉 63이 림포트(46)와 겹쳐져 있는 사이에 항상 행해진다. 결국 제1의 이동위치에서 제2의 이동위치로의 변체(50)의 이동에 추종해서 제트포트(47)와 림포트(46)이 유입포트(45)에 순차 연통하고, 제트세정에서 림세정으로 절환한다. 이 때문에, 절환 밸브(41)을 구비한 대변기(100)에 있어서는, 변기세정의 개시당초에서, 보울부의 내벽면 세정을 위한 림세정과 보울부의 오물배출를 위한 제트세정을 순차실시한 후에, 통수림(103)에서의 세정수 토출에 의해, 보울부의 내벽면의 세정만이 아니라 보울부의 세정수 저류를 할 수 있고, 즉 림/제트/림 세정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최후의 림세정이 소정시간 행해지면, 구체적으로는, 상기의세정버튼이 조작된 후 소정시간 경과해서 급수 밸브(105)가 개방되면, 다음과 같이해서, 이 최후의 림세정은 종료함과 동시에, 밸브체(50)는 초기위치에 복귀한다. 급수 밸브(105)가 개방되고 세정수가 절환 밸브(41)에 공급되지않게 되면, 상기한제2의 밸브 챔버(71)에의 세정수의 유입은 정지한다. 이 때문에, 제2의 밸브챔버(71)에서는 이 세정수의 유입을 초래한 세정수 압력은 소실하고, 상기의 밸브체구동력은 제로로 된다. 따라서, 밸브체(50)은, 스프링(59)이 부세력만을 받아서, 제2의 이동위치(도8참조)에서 초기위치의 측면에 복귀한다. 이 때, 제2의 밸브 챔버(71)에 남겨진 세정수는, 세정수 압력을 소실하고 있으므로, 밸브체(50)의 복귀에 따라서 제2의 밸브챔버(71)에서 세정수 유입실(58)의 측으로 밀려나오게 된다. 이 때문에,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의 밸브 챔버(71)의 세정수는, 연통공(66)을 역류해서 세정수 유입실(58)에 유출됨과 동시에, 우산 밸브(65)의 우산부(67)을 밀어올려 연통공(68)을 통과한다.
그런데, 연통공(66)을 거친 제2의 밸브 챔버(71)에로의 세정수의 유입은, 그급수원이 수도이고 세정수압력이 거의 일정한 상항하에서 행해진다. 이 세정수 유입에 기인한 상기의 밸브체(50)의 이동은, 제2의 밸브 챔버(71)에 세정수가 유입하는 사이에 항상 계속해서 일어난다. 이 때문에, 밸브체(50)은 초기위치에서 제1의이동위치 및 제2의 이동위치에 정속도로 이동한다. 따라서, 세정수의 공급처를 통수림(103)에서 배출노즐(35)로, 혹은 배출노즐(35)에서 통수림(103)으로 절환할 때까지의 시간은 일정하게 되기 때문에, 통수림에로의 정량의 세정수 공급이 완료된후에는, 기타의 공급처인 배출노즐(35)에 절환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대변기(100)에 있어서는, 정량의 세정수에 의한 림세정이 행해지고나서, 제트세정으로 절환되고, 다음에는, 정량의 세정수에 의한 이 제트세정이 행해지고나서, 다시 림세정으로 절환하는 것이 된다. 그 결과, 본 실시예의 절환 밸브(41)에 의하면, 세정수의 공급처의 자동절환 및 정량절환을 행할 수 있고, 이 절환 밸브(41)을 이용한 대변기(100)에 있어서는, 림세정에서 제트세정에로의 절환 및 제트세정에서 림세정에로의 절환을 자동 또는 정량으로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이와 같은 공급처의 절환을 행하는 것에 적합하고, 세정수의 공급압력에 기초하고 있는 것을 넘는않는 제어기기나 센서 등의 전기적인 기기를 일절 필요로 하지않기 때문에, 그 구성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구성의 간략화에 수반한 비용저하도 도모할 수 있다.
이 제1실시에에 기초하여 실험데이터를 도11 내지 도13에 도시한다. 또한,배출노즐(35)의 노즐경d는 7mm, Z 물토출구(106)의 개구경D를 15mm로 해서 실험을 했다. 도11에 도시된 표에 있어서, 제트유량A,제트유속B는 배출노즐(35)의 직후에 배치된 유량계, 유속계의 수치를 각각 기록한 깃이다. Z 유량C, Z 유속D, Z 물토출구(106) 직후에 배치된 유량계, 유속계의 수치를 각각 기록한 것이다, 그리고, 도12는, 배출노즐(35)에서의 제트유량과 Z 물토출구(106)에서의 Z 유량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13은, 동일하게 제트 유속과 Z 유속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 실험데이타에서, Z 도수로(161)에 있는 세정수의 유속은, 배출노즐(35)하방에서는 당해 노즐에서 토출된 고속, 고압의 분류에 의해 큰 유속이지만, Z 물토출구(106)에서, 배출노즐(35) 하방의 약 3-4할 정도의 유속으로 저하한다. 그반면, Z 도수로(161)에 있는 세정수의 순간유량은, Z 물배출구(106)부근에서, 배출노즐(35)하방의 약 2배가까이 증폭되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배출노즐(35)에서 토출된 분류보다 이젝터 작용이 생기고, 배출노즐(35) 주변의 Z도수로(161)에 존재하는 세정수 및 세정수 저장부(104)에 저류된 세정수가 섞여들고, 이 섞여든 세정수는 상기의 분류와 함께 Z 물토출구(106)에 향해서 유출하는것이기 때문이다라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Z 물토출구(106)부근에서는, 배출노즐(35)에서의 고속, 고압의 분류가 유속분포의 균일한 대유량의 흐름으로 변환되어, 이 대유량의 세정수는 오물 호퍼부(112)의 오물을 배수트랩(102)의 입구(121)에 향해서 면을 누르도록 된다. 게다가, 오물 호퍼부(112)의 오물을 밀어 흐르게하는데 필요한 유량(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Z 유량)을 배출노즐(35)에서의 약간의 유량의 토출로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제1실시예의 대변기(100)에 의하면, 높은 세정능력과 높은 절수능력을 겸비한 대변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높은 세정능력과 높은 절수능력을 발휘하는 것에 적합하고, 부압을 이용할 필요가 없는 것이므로, 변기에는 밀폐구조나 내압성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이 제1실시예의 대변기(100)에서는, 세정수 저장부(104)를 Z도수로(161)를 매개로 해서 보울부(101)과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절환밸브(41)에 의해 세정수의 공급처가 공급관(133)의 측으로 절환되고, 통수림(103)에서 보울부(101)에 유수가 되면, 세정수 저장부(104)에도 이 유수가 인입되고 세정수 저장부(104)의 세정수 저류가 완료한다. 이 때문, 세정수 저장부(104)에의 세정수 저류를 위해 특별한 구조가 필요하지 않게 되고, 구성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세정수 저장부(104)의 세정수 저류량을 약0.5리터 정도로 하고, 보울부(101)의 통상 유수수량 2리터에 대해서, 약1/4로 했다. 따라서, 이하의 이점이 있다.
배수트랩(102)에서 일어난 사이폰 작용은, 보울부(101)의 물을 상승관(122)에 인입된 보울부(101)에 물의 저항이 일어나면 소실한다. 그리고, 사이폰작용 소실직전에, 비중의 낮은 부유성 오물을 세정수와 함께 배수트랩(102)에 인입함, 즉브로우 효과가 일어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정수 저장부(104)의 세정수 저류량을 보울부(101)의 통상의 유수수량에 대해서 상기와 같이 하는 것이고, 제트펌프을 매개로 한 세정수 토출의 종료시기와 사이폰작용 소실시기를 합치시켜, 사이폰작용소실시기에 합해져 세정수 저장부(104)의 세정수가 없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대변기(100)에 의하면, 사이폰작용 소실시기에 확실하게 보울부(101)의 물 저항을 초래하고, 상기의 브로우 효과의 실효를 높일 수 있다.
더욱이, 이 제1실시예에서는, 절환 밸브(41)의 우단 밸브 본체(54)에 장착된우산 밸브(65)을 연통공(68)을 개폐시키는 역지 밸브로서 가능시키고, 밸브체(50)의 복귀이동시에는, 연통공(66)에 더해서 이 연통공(68)을 세정수의 통과공으로 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절환 밸브(41)에 의하면, 밸브체(50)의 복귀이동시에있는 세정수의 제2의 밸브 챔버(71)에서 세정수 유입실(58)에로의 유출량을 증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밸브체(50)의 복귀속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이 복귀속도의 향상을 통해서, 다음 번의 대변기(100)의 사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절환 밸브(41)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있다.
A. 절환밸브(41)은, 밸브체(50)이 초기위치에 있는 때에는 연통공(66)을 관통하는 크린링 핀(69)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 크린링 핀(69)에 의해, 연통공(66)의 이물에 의한 폐쇄를 방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절환 밸브(41)에 세정수를 공급하면, 확실하게 그 공급처를 절환할 수 있고,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B. 절환밸브(41)은, 밸브챔버(43)의 우단측을 확장 밸브챔버(44)로 하고 이 확장밸브챔버(44)에 있어서 확장림(53) 및 우단 밸브체부(54)를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밸브체(50)에 제2의 밸브 챔버(71)의 측에서부터 작용하는 밸브체구동력을, 수압면적의 넓은 우단밸브체부(54)에서 발생시킨다. 이 때문에, 수도수압이 저하된 경우에 있어서도, 넓은 수압면적에 기초해서 비교적 큰 밸브체구동력을 발생시키고, 확실하게 밸브체(50)을 상기와 같이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절환 밸브(41)을 이용하고 림세정/제트세정/림 세정을 행하는 대변기(100)설치지역을 확대할 수 있는 것과 함께, 공급처 절환에 있어서는 변기세정형태의 절환(림세정/제트세정/림세정의 절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C. 절환밸브(41)은, 확장 밸브챔버(44)에 있어서 확장림(53) 및 우단 밸브체부(54)를 좌우 이동시켜, 밸브체(50)이 제1, 제2의 이동위치에 이동할 때에는, 확장림(53)의 반절부를 확장 밸브챔버(44)의 격벽(44a)에 겹쳐지도록 한다. 이 때문에, 이 겹침이 가능한 종류만 절환밸브(41)의 수직방향의 길이를 짧게 해도, 밸브체(50)의 이동스트로크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절환밸브(41)에 의하면, 그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형화를 통해서 대변기(100)의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2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이 제2실시예도, 상시 제1실시예와 같은 형태로 로우-실루엣타입의 대변기에 관한 것으로, 제1실시예와 공통 구성을 구비한다. 따라서, 공통된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한 부재에 관해서는 그 설명로 간략화하고, 다른 구성에 관해서 상술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의 대변기(100A)는, 그 개략단면도와 개략평면을 도시한 도14와 그 15-15선 개략단면도인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본체(101a)에 보울부(101)를 형성하고, 그 보울부(101) 저부의 오물 호퍼부(112)에서 배수트랩(102)에 오물을 밀어 흘러가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이 대변기(100A)는, 세정수 저장부(104)를 변기본체(101a)의 전방측이 구비하고, 보울부(101)과 격변(101b)으로 구획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세정수 저장부(104)는, 보울부(101)을 지지할 수 있는 태좌의 내부에 형성되고 있다. 결국,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수 저장부(104)는, 보울부(101)의 격벽(101b)에서 그 상방측이 구획되고, 그 좌우는, 주발모양으로 만곡된 측면벽(104a)으로 둘러싸여져 있다. 이와 같이, 세정수 저장부(104)는, 측면벽(104a) 및 격벽(101b)으로 구획된 폐공간으로 되어 있고, 그 영역은 도14에서 이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세정수 저장부(104)는, 보울부(101)의 측에 Z 물토출구(106)를 개구하여 구비한다. 이 Z 물토출구(106)은, 배수트랩(102)의 입구(121)과 대향하여 있고, 세정수의 통과경로로 된다. 이 때문에, 보울부(101)에 세정수가 유수되어져 있으면, 세정수 저장부(104)에도 Z 물토출구(106)를 거쳐서 세정수가 흘러들어가므로, 세정수 저장부(104)에는 이 유수의 수위가 같은 높이까지 세정수가 저류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Z 물토출구(106)을 거쳐서, 세정수 저장부(104)의 측에서 보울부(101)에도 세정수를 흘러들어가게 할 수 있다. 이 제2실시예에서는, 세정수 저장부(104)의 내용적은, 약 0.5리터로 되어 있고, 이 수량의 세정수로 변기세정이 행해진다. 더욱이, 세정수 저장부(104)에로의 유수의 유입에 지장없도록, 세정수 저장부(104)의 정상부에는 극히 작은 지름의 에어공이 뚫려져 있다.
변기본체(101a)의 후부에는, 제1실시예와 같은 형태의 급수 밸브(105)(도시생략)의 하류에 접속된 절환밸브(41)이 설치되어져 있다. 더욱이, 절환밸브(41)은, 제1실시예와 같은 형상, 세정수의 공급처를, 공급초기에서 손차로, 통수림(103)에로의 공급관(133)(도시생략)과, 세저수 저장부(104)가지 이어진 연결관(137)에 절환되고, 그 이후 다시, 공급관(133)에 절환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울부(101)에는, 림/Z/림의 순으로 세정수가 토출되어진다.
연결관(137)는, 절환밸브(41)에서 태좌를 통해서 세정수 저장부(104)의 내부에 도달하도록 만곡배관되어 있고, 그 선단에는, 배출노즐(35)을 구비한다. 이 배출노즐(35)은 세정수 저장부(104)에 있어서 Z 물토출구(106)에 향해져 있고 Z 물토출구(106)를 통해서 입구(121)을 지향하고 있다. 세정수 저장부(104)의 거부는,도15에 도시된 바와 갈이, 요부(오목한 곳)(104b)로 되어져 있고, 도면에 있는 지면 오측(구석부)가 Z 물토출구(106)로 되어져 있다. 그리고, 이 요부(104b)에 배출노즐(35)이 설치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배출노즐(35)의 전방에는 유체의 통과경로로 된 Z 물도출구(106)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 배출노즐(35)과 Z 물토출구(106)에 제트펌프가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급수밸브(105)에 의해 세정수가 공급된 그 공급처가 상기와 같이 연결관(137)으로 되면, 이 배출노즐(35)에서 세정수 저장부(104)의 내부에는, 보다 상세하게 요부(104b)에는, 1-2kgf/㎠로 높은 수압인 세정수가 고속으로 유출한다. 이 경우, 세정수 저장부(104)에는 세정수가 저류되어져 있기 때문에, 이 배출노즐(35)에서의 토출수는, 세정수 저장부(104)내의 물을 대량으로 섞여들게하는 분류로 된다. 그리고, 이 분류와 섞여들게된 세정수 저장부(104)내의 물이라든가, 제트펌프에 의한 분류분출에 의하도록 해서 Z 물토출구(106)에서 바로 배수트랩(102)의 입구(121)로 향해 토출된다. 따라서, 배수트랩(102)에는, 이와같은 유량증폭 및 순간유량의 증대를 거쳐 한번에 대량의 세정수가 보내지게 된다. 오물 호퍼부(112)에 있는 오물은, 이 대량의 세정수에 밀려흘러져 배수트랩(102)내에 강력하게 밀려보내진다. 더욱이, 대변기(100A)에 있어서는, 배출노즐(35)의 선단부에서 Z 물토출구(106)에 도달할 때까지의 영역이, 제1실시예에 있어서 Z 도수로(161)를 대신하는 Z 도수로로 되고, 슬로우트로서 가능하다. 또한, 이 대변기(100A)에서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배수트랩(102)를 구비하지만,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2실시예에 기초하는 실험데이타을 도16-20에 도시한다. 더욱이, 배출노즐(35)의 노즐경d를 7mm로 해서, 제트물토출구(106)의 직경(개구경D)을 10-15mm의 범위의 적당한 수치로 해서, 실험을 했다. Z 물토출구(106)의 직경은, 해당하는 데이타해석시에 후술한다. 또한, 측정은, 상기의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집하고, 배출노즐(35)하류에 있는 제트유량A, 제트유속B, 및 Z 물토출구(106)하류에 있는 Z 유량C, Z 유속D를 측정하고, 유량비나 유속비등을 구한다.
도16은, Z 유량 C와 제트유량 A의 유량차(C-A)에 대한 제트유량 A의 유량비를 나타내고 있고, 배출노즐(35)의 노즐경d를 7mm로 해 Z 물토출구(106)의 개구경D를 여러가지 변화시킨 경우의 유량비의 추이도 도시하고 있다. 이 도16에서, Z 물토출구(106)의 개구경D를 크게 하면 유량비는 증대하는 것이 판명된다. 게다가, Z 물토출구(106)의 개구경D가 13 또는 15mm이면, 유량비의 증대정도는 보다 커지게 되는 것이 판명된다. 또한, 이 도16에 의해, 제트유량 A을 10리터/분 이상으로 하면 유량비를 거의 일정하게 할 수 있고, Z 물토출구(106)의 개구경D를 정하는 것으로, 유량비, 이어서는 Z 물토출구(106)에서의 Z 유량C가 결정된다고 말할 수 있다.
도17은,제트유량A를 일정(16리터/분)으로 한 경우의, 유량비와 Z물토출구(106)의 개구경 D와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더욱이, 배출노즐(35)의 노즐경 d는 7mm이다. 이 도17에서도, Z 물토출구(106)의 개구경 D를 크게 하면 유량비는 증대한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도 18은 Z 물배출구(106)으로부터의 세정수의 흐름의 에너지(Z 에너지(E))와유량비의 관계를 나타낸다. 또한 이 Z에너지(E)는 물의 밀도를 ρ, 물토출부(106)의 개구면적을 S, 제트 유속을 V로 했을 경우에 나타나는 이하의 계산식으로부터 계산되었다.
16리터/분과 18리터/분의 제트(jet)유량(A)에 대한 조사가 수행되었다. 도18은 0.5 보다 낮은 유량비를 사용하여 고에너지 흐름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즉, Z 유량(C)는 제트 유량(A)의 절반 혹은 그보다 적다.
다음으로, 모의 오물을 보울부(101)에 가라앉혀서 배출의 상태를 조사했다.도 19는 보울부(101) 내에 저장된 물에 침하된 오물의 양과 Z 물토출구(106)의 개구부 직경(D)과 노즐 직경(d)(= 7mm)의 비(d/D)사이의 관계를 보이고, 또 Z에너지(E)와 비 (d/D) 사이의 관계를 보인다. 도 19로부터, Z에너지(E)와 배출되는 침하된 오물의 양 사이의 관계가, 배출된 오물의 양이 Z에너지(E)의 증가에 따라 증가된다는 것이 보여진다. 그리고, 노즐직경(d)와 개구부 직경(D)의 비가 0.46혹은 그 이상이면, 보울부(101)에 고인 물에 침강하는 오물(모의오물)을 적당하게 배출할 수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도 20은 상기 보울부(101) 내에 저장된 물에 부유되는 오물의 양과 상기비(d/D)(d=7mm) 사이의 관계를 연속적으로 보인다. 도 20으로부터, 상기 보울부(101) 내에 저장된 물에 부유된 오물(모의 오물)의 작은 입자를 배출하는 능력은 유량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0.48보다 크기 않은 노즐직경(d)과 개구부 직경(D)의 비는 높은 배출능력에 귀착된다는 것을 보인다. 침하오물 및 부유오물 모두의 경우에, 높은 배출능력은 만약 노즐직경(d)과 개구부직경(D)의 비가 0.5 약간 아래이면 얻어진다. 게다가, 만약 배출노즐(35)의 직경(d)이 7mm이면, Z 물배출구(106)의 개구에 대해서는 15mm의 직경(D)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두번째 실시예의 변기(100A)에 따르면, 연결관(137)을 통해 세정수저장부(104)의 배출노즐(35)의 세정수를 공급하고 이 노즐로부터 토출되면, 1-2 kgf/㎠인 높은 수압에서의 배출노즐(35)로부터의 토출수의 세정수저장부(104)내의 세정수를 혼합하고, 제트펌프에 의한 분출과 같이 유량증폭 및 순간유량의 증대를 행하고, Z물토출구(106)으로부터 세정수를 토출한다. 그리고, 결과는 높은 세정력과 세정수저장부(104)내에 있는 단지 0.5 리터의 세정수를 사용하여 보울부(101) 내의 오물을 배출할 수 있는 절수이다.
두번째 실시예의 대변기(100A)에서, 상기 세정수저장부(104)는 Z 물토출구(106)를 통하여 보울부(101)와 직접 연통되고, 배출노즐(35)의 전단부와 Z 물토출구(106)사이의 도수로(161)의 길이가 그것을 직선라인으로 만듦에 의해 짧아진다. 이것은 세정수저장부(104) 내에서 배출노즐(35)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수의 압력손실을 억제하고, 보울부(101)의 보다 효과적인 세정에 귀착된다.
또한, 이 두번째 실시예의 대변기(100A)의 세정수저장부(104)는 보울형상 곡선으로된 측면벽(104a)에 의해 폐쇄되게 형성된다. 그래서, 보울부(101)내에 저장된 물과 함께 세정수저장부(104)로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은 상기 곡선으로된 측면벽(104a)을 따라 홈(104b)측으로 이동한다. 배출노즐(35)이 홈(104b) 내에 위치됨에 따라, 세정수는 배출노즐(35)로부터 배출되어 세정수저장부(104)의 외부로홈(104b) 내의 이물질을 유출한다. 따라서, 외부 이물질에 의한 상기 세정수저장부(104) 내의 오염은 억제될 수 있다.
이 두번째 실시예에 따른 대변기(100A)의 변형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 21에 개략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변형 대변기(100B)는 세정수저장부(104)대신에 세정수용기(140)를 가진다. 상기 세정수용기(140)는 연통공(141) 주위에 형성된 나사에 나사체결됨에 의해 부착된다. 추가로, 연통공(141)을 거쳐, 상기 세정수용기(140)가 Z물배출구(106)에 연결된 Z 도수로(161)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세정수용기(140)는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다양한 물절약목표를 만족시키기 위해다른 용량의 세정수 용기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표가 4리터를 사용하는것이라면, 0.8 리터 세정수용기(140)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1.1리터 세정수용기(140)가 6리터목표를 위해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 2.0리터 세정수용기(140)가 8리터 목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연결관(137)에 연결된 배출노즐(35)은 Z 도수로(161)의 뒤에 배치된다.(도면을 참고로 왼쪽 측) 이 경우에. 세정수가 보울부(101)내에 저장되면, 상기 세정수는 Z 물토출구(106), 상기 Z 도수로(161) 및 연통공(141)를 통해 세정수용기(140)으로 흐를 수 있고 총량이 저장된다.
따라서, 연결관(137)으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것은 배출노즐(35)로부터 Z 도수로(161)로 세정수의 1에서 2kgf/㎠의 높은 속도를 발생시킨다. Z 도수로(161)가 연통공(141)을 통해 세정수용기(140)와 연통됨에 따라서, 세정수는 세정수용기(140)내에 완전히 저장되고, 따라서 배출노즐(35)로부터의 물의 배출은 상기 연통공(141)을 통해 세정수용기(140)로부터 오는 많은 양의 물을 함유하는 제트 흐름이 된다. 이 이유에서, 제트 펌프에 의해 형성된 제트 흐름과 같이, 세정수용기(140)로부터의 물이 섞인 이 제트 흐름은 배수트랩(102)의 입구(121)를 향해 Z물토출구(106)를 통해 직접 배출된다. 게다가 큰 부피의 세정수가 제트 펌프에 의한 순간유량증가와 유량 증폭을 통해 모두 한꺼번에 배수트랩(102)으로 전달된다. 상기 오물호퍼부(112)내의 오물은 많은 양의 세정수에 의해 배수트랩(102)으로 떠밀려진다. 그러므로 증강된 세정 능력과 높은 절수는 제1변형의 대변기(100B)에 의해서도 또한 제공된다. 절수는 세정수용기(140)가 다른 세정수 절약목표와 부합되도록 변화될 수 있는 제1변형의 대변기(100B)에 의해 더 증강될 수 있다. 특히, 유치원과 같은 어린이를 위한 기관에서의 대변기의 사용자에 의해 설치되는 오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작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기관에서의 세정수소비의 목표량은 일반적인 가정보다 낮은 수준에 설정될 수 있고, 또 물절약의 실제적인 효과는 물소비 목표에 맞는 상대적으로 작은 용량의 세정수용기(140)를 선택함에 의해 증강될 수 있다.
두번째 실시예에 따른 변기(100A)의 제2변형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 22에간략한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제2변형의 대변기(100C)는 상기연결관(137 )과 연결된 압력실(150)을 가진다. 상기 압력실(150)은 세정수저장부(104) 아래에 위치되고 Z 물토출부(106)를 향하는 출구(151)에 의해 Z 도수로(161) 및 세정수저장부(104)에 연결된다. 만약 세정수가 상기 보울부(101)에 저장되면, 상기 세정수는 상기 Z 물토출부(106), Z 도수로(161) 및 출구(151)를 통해 압력실(150)로 흐를 수 있고, 가득 차 있게 된다. 상기 출구(151)는 연결관(137)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서, 세정수가 연결관(137)으로부터 공급될 때, 상기 출구(151)는 이전 실시예의 배출 노즐(35)과 같은 기능을 한다.
따라서, 세정수가 연결관(137)에 공급될 때, 배출노즐(35)로부터는 상기 세정수는 압력실(137)로 1에서 2kgf/㎠의 높은 압력으로 흐르고, 또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출구(151)를 통해 높은 흐름속도로 Z 도수로(161)로 흐른다. 세정수의 유체흐름통로를 형성하는 상기 출구(151)와 Z 도수로(161)는 함께 제트 펌프를 구성한다. 그리고, 이 출구(151)로부터의 토출수는 세정수저장부(104) 내의 물을 Z 도수로(161)로 대량 혼입분출하고, 이 분출수와 혼입되어진 세정수저장부(104) 내의 물이, 제트펌프에 의한 분류분출과 같이 Z 물토출구(106)부터 직접 배수트랩(102)의입구(121)로 향하여 토출된다. 따라서, 배수트랩(102)에는 이런 유량증폭 및 순간유량의 증대를 거쳐 한번에 대량의 세정수가 보내지게 된다. 이 세정수의 강력한 힘은 오물호퍼부(112) 내의 오물을 배수트랩(102)을 통해 배출한다. 증강된 세정력과 높은 절수는 이 세번째 변형의 대변기(100C)에 의해서도 제공된다. 상기 세정수의 배출은 압력실(150)에 연결관(137)을 연결하는 자기로 이루어진 보울부 메인몸체와 압력실(15)의 사용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세번째 변형으로서 대변기(100C)는 높은 세정력과 물절약을 제공하고 상대적으로 쉽게 제조될 수 있는 대변기이다.
세번째 실시예에 다른 대변기(100A)의 세번째 변형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 23에 개략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노즐(35)의 앞에 유체흐름로를 형성하는 통체(170)가 배출노즐(35)의 선단부에 부착되고, 또 상기 배출노즐(35)과 통체(170)는 일체로 형성된다. 배출노즐(35)의 직경과 통체(170) 내의 관통공(171)의내경은 두 직경 사이의 비가 0.3에서 0.7의 빔위에 있도록 설정된다 상기 통체(170)는 측벽에 배출노즐(35)로부터의 분출유체가 세정수저장부(104)로부터의 세정수와 혼합할 수 있는 측면공(172)을 가진다. 슬로트로서 기능하는 상기통체(170)는 배출노즐(315)과 함께 제트 펌프를 구성한다. 배출노즐(35)과 통체(170)의 일체화된 장치는 부싱(173)에 의해 세정수저장부(104)의 일부를 형성하는 보울부 벽에 고정되고, 또 상기 배출노즐(35)은 연결관(137)에 연결된다.
따라서, 세정수가 연결관(137)에 공급되면, 배출노즐(35)로부터는 통체(170)의 관통공(171)에 1-2kgf/㎠의 높은 수압으로 세정수가 도면중에 백색화살표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고속으로 유출되고, 관통공(171)을 통과한다. 그리고, 관통공(171)이 상기 측면공(172)을 통해 세정수저장부(104)와 연통함에 따라, 배출노즐(35)로부터의 분출유체는 실선 화살표에 의해 지적된 바와 같이 측면공(172)을 통해 관통공(171)의 내측으로 세정수저장부(104)로부터 대량으로 물을 혼입시키는 제트 흐름이 된다. 이런 이유로, 세정수저장부(104)로부터의 물이 섞여진 이 제트흐름은 상기 관통공(171)의 선단부를 통해 배출되고, 즉, 상기 Z 물토출구(106)가 제트 펌프에 의해 생성되는 제트흐름과 같이 배수트랩(102)의 입구를 향해 직접 향한다. 상기 통체(170)의 선단부의 일부는 세정수저장부(104)와 Z 물토출부(106) 사이의 연결을 제공하도록 절제되어, 실선의 검은화살표로 지적된 바와 같은 방향으로 통체(170)의 단부로부터 세정수의 흐름이 배출될 때, 점선화살표로 지적된 바와 같이, 세정수 저장부(104)로부터의 세정수는 상기 절제부를 통해 Z 도수로(161)로 섞여 넣어진다. 결과적으로, 상기 배수 트랩(102)은 배출노즐(35)과 통체(170)로 구성된 제트 펌프에 의해 제1단계 흐름율 증폭과 통체(170)의 선단부에서 세정수의 혼입에 의해 생성된 제2단계 흐름율 증폭 후에 한번의 대량의 세정수의 흐름을 받는다. 이 세정수의 강력한 힘이 오물호퍼부(112)내의 오물을 배수 트랩(102)으로 배출한다. 그러므로 세번째 변형에 다른 이 변기는 확실하게 증강된 세정력과 많은 절수를 또한 제공한다.
세번째 변형의 대변기에서, 배출노즐(35)과 통체(170)의 일체화된 구조는 조립 및 유지시와 같은 때에 간편한 취급을 돕는다. 양측의 일체화된 구조는 또한 통체(170)에서 관통공(171)과 상기 배출노즐(35) 사이의 위치관계를 확실하게 유지할수 있다. 게다가, 상기 배출노즐(35)과 통체(170)는 탁월한 치수 정밀도를 가지는금속 혹은 수지와 같은 물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세번째 변형의 대변기는 위에서언급된 제트 펌프에 의한 제트 흐름과 같은 순간 유량 증가와 유량 증폭 후에 세정수의 배출을 확보하고, 또 확실한 고 세척력 및 증강된 물소비 절약을 제공한다.
이 세번째 변형에 더 이상의 수정이 가해질 수 있는데, 도 23에 일점쇄선에의해 표시된다. 그 구성에 의하면, 통체(170)의 단부표면을 통해 배출되는 물은 Z물토출구(106)를 통과함에 따라 세정수저장부(104)로부터의 세정수와 혼입한다. 상단부가 절단된 통체(170)와 배출 노즐(35)이 제트 펌프를 구성함에 의해, 이 변형은 한번에 상기 배수 트랩(102)으로 다량의 세정수를 공급하는 다단 증폭을 사용한다.
두번째 실시예에 다른 대변기(100A)의 4번째 변형이 이제 설명된다. 상기 4번째 변형은 또한 배출 노즐(35)과 통체를 가진다. 중요부를 단면으로 표시하는 도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체(180)는 연결관(137)에 연결된 배출노즐(35)에 대향하는 다리부재(175)를 통해 부착된다. 상기 배출 노즐(35), 상기 다리부(175) 및 통체(180)은 일체로 함께 형성된다. 배출노즐(35)의 직경과 통체(180) 내의 관통공(개구)(181)의 내경은 두 직경 사이의 비가 0.3에서 0.7 범위에 있도록 결정된다. 상기 다리부재(175)는 경사진 측벽에 등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포트(176)를 가진다. 세정수저장부(104) 내의 세정수는 상기 배출 노즐(35)의 팁과 통체(180)의 좌측단부 사이의 공간과 상기 포트(176)를 통해 통체(180)로 인도될 수 있다. 상기 다리부재(175)와 통체(180)는 제트펌프를 구성하는 배출노즐(35)을 가진 슬로트를 형성한다. 배출노즐(35), 다리부(175) 및 통체(180)의 일체 장치는 세정수저장부(104)의 일부인 벽의 고정공에 배출노즐(35)의 후단부가 나사체결에의해 대변기에 부착되고, 또 연결관(137)은 배출노즐(35)에 연결된다.
따라서, 세정수의 공급처가 연결관(137)로 되면 배출노즐(35)로부터는통체(180)의 관통공(181)을 향하고, 1-2kgf/㎠의 높은 수압으로 세정수가 도면중에백색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고속으로 유출되고, 관통공(181)로 흘러들게 된다. 그리고 배출노즐(35)로부터의 세정수가 관통공(181)로 흘러들 경우에는 배출노즐(35)로부터의 토출수는 세정수저장부(104)내의 물을 개구(176)을 지난 도면중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공(181)의 내부에 대량으로 섞여서 제트흐름이 된다. 이런 이유로, 세정수저장부(104)로부터의 물의 혼입을 가진 이 제트 흐름은 관통공(181)의 선단부를 통해 배출되는데, 즉, 제트 펌프에 의해 생성된 제트 흐름과 같이, 배수 트랩(102)의 입구(121)를 향하는 상기 Z 물토출구(106)를 향한다. 상기 통체(180)는 세정수저장부(104)와 Z 물토출구(106) 사이의 세정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아, 실선의 검은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통체(180)의 단부 주위의 통체(180)로부터 Z 물토출구(106)를 향해 분출하는 세정수는 점선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세정수저장부(104)로부터의 물과 혼입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배수트랩(102)은 배출노즐(35)과 통체(180)으로 구성된 제트 펌프에 의해 생성된 제1단계 유량증폭과 통채(180)의 선단부에서 세정수의 혼입에 의해 생성된 제2단계 유량증폭 후에 많은 세정수를 한번에 받는다. 상기 강력한 힘의 세정수는 오물호퍼부(112) 내의 오물을 배수트랩(102)으로 배출한다. 따라서, 4번째 변형에 따른 대변기 역시 확실하게 증강된 세정능력과 높은 절수를 제공한다. 세번째 변형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취급의 단순성이 실현될 수 있다.
세번째 실시예에 따른 대변기가 단면으로 대변기(200)를 보인 도 25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세번째 실시예에 따른 대변기(200)는 오물호퍼부(112)이 연결된 배수트랩(102)을 가진다. 이 대변기(200)에 있어서의 상기 배수트랩(102)은 오물호퍼부(112)보다 낮은 위치로부터 시작하는 오물호퍼부(112)에 연결된 상승관(122)을 가지고, 또 상승관의 상승포인트 옆에 입구(121)가 있다.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배수트랩(102)는 하강관(123)과, 횡견인로(124)와, 상기 상승관(122)으로부터의 배출구(125)를 가진다.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대변기(200)는 세정수저장부(104)를 가진다. 상기세정수저장부(104)는 하단면의 중앙부에 상기 상승관(122)과 연통하는 연통공(201)을 포함한다. 통체(20)는 상기 상승관(122)의 통로와 평행하게 연통공(201)이 고정된다. 상기 통체(202)는 상기 세정수저장부(104)에 닿도록 고정된다. 배출노즐(35)이 통체(202)의 아래에 있고, 통체와 같이 관통공(203)을 향해 배치된다. 따라서,상기 배출 노즐(35)은 통체(202)를 통해 상승관(122)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배출노즐(35)과 통체(202)에 의해 구성된 제트펌프는 상승관(122)의 흐름로를 향하게 된다. 상기 통체(202)의 관통공 직경(D)와 상기 상승관(122)의 흐름로 직경(K)은그 비 D/K가 약 0.3에서 0.6사이의 범위로 결정된다. 연결관(137)은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배출노즐(35)에 연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정수저장부(104)는, 통체(202)에서 관통공(203)을통해 상기 상승관(122)과 오물호퍼(112)와 연통된다. 따라서, 세정수가 보울부(101)에 고이면, 상기 세정수는 역시 상기 관통공(203)을 통해 세정수저장부(104)로 유동되고, 상기 세정수는 상기 보울부(101)에 저장된 물과 같은 수위로 세정수저장부(104) 내에 저장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세정수저장부(104)는 약 0.5리터의 용량을 가지고, 그것은 상기 보울부를 세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정수의 양을 구성한다.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대변기(200)는 물공급밸브(105)(도시되지 않음)와 림세정/제트세정/림세정과 같은 변기보울 세정 순서를 위한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밸브(105)의 하류측에 연결된 절환밸브(41)를 가진다.
위에서 처럼 구성된 제3실시예에 따른 대변기(200)에서는, 물공급밸브(105)에 의해 세정수의 공급처가 연결관(137)으로 되면, 이 배출노즐(35)로부터 통체(202)의 관통공(203)으로 향하고, 1-2 kgf/㎠의 높은 수압으로 세정수가 고속으로 유출된다. 그리고 배출노즐(35)로부터의 토출수는 상기 세정수저장부(104)로부터의 대량의 물을 혼입하는 제트흐름이 된다. 이 제트흐름과 세정수저장부(104)로부터의 혼입된 물은 제트펌프에 의해 생성된 분출과 같이 통체(202)로부티 상승관(122)으로 배출하는 흐름을 형성한다. 배출노즐(35)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상승관(122)의 상승포인트로부터 시작한 통체(202)로부터의 세정수의 흐름은 상승관(122)의 흐름로를 따라 흐른다. 오물호퍼부(112)와 상승관(122)이 결합하는 홈 내에 저장된 물(세정수)은, 점선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통체(202)로부터 이 흐름에 혼입된다. 즉, 세정수는 배출노즐(35)과 통체(202)를 포함하는 제트 펌프에 의한 유량증폭과 유량증폭 및 저장된 물의 혼입에 의한 순간유량의 증가가 일어난 후의 상태에서 상승관(122)의 흐름로를 따라 흐른다.
따라서, 많은 양의 세정수가 제트펌프에 의한 유량 증폭과 순간유량증가를 통해 한번에 배수트랩(102)의 상승관(122)으로 공급된다. 오물호퍼부(112)내의 오물은 이 세정수의 강력한 흐름을 따라 상승관(122)의 흐름로로 강하게 밀려진다. 게다가, 유량증폭 세정수의 토출에 의해 상승관(122) 및 그 하강관(123)등은 이 세정수로 신속하게 채워지고 배수트랩(102)에는, 빠르게 사이폰작용이 발생한다. 통체(202)로부터 상승관(122)으로 분사되는 세정수의 흐름에 의해 저장된 물의 혼입은 백색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넓은 흐름을 형성하여, 주위의 물과 함께 상승관(122)을 따라 상승관의 상승포인트에서 어떤 오물도 이동하게 한다. 이것은 보울부에서 오물의 양에 관계없이, 오물이 배수트랩(102)으로 확실하게 배출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것은 또한 단지 배출노즐(35)로부터의 세정수의 분출만이 세정을 위해 사용되므로, 물의 절약적 사용을 보장한다.
제4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26은 제4실시예에 따른 대변기(220)의 개략단면도이고, 도 27은 요부의 확대단면도이다. 제4실시예에 따른 대변기(220)는 상기 세정수저장부(104)와 오물호퍼부(112) 사이의 연통을 허용하기 위해 연통상태와비연통상태에서 절환되는 구성을 가진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부(101)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된 세정수저장부(104)는 격벽(101b)의 하단부에 포트(104c)와, 이 포트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222)를 가진다. 상기 배출노즐(35)은 상기포트(104c)보다 더 보울부(도면에서 좌측)의 선단을 향해 위치되고, 또 상기 배출노즐(35)과 Z 물토출구(106)사이의 공간은 위에서 설명된 대변기(100)에서와 같이, Z 도수로(161)를 형성한다. 상기 배출노즐(35)과 Z 도수로(161)은 제트펌프를 구성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222)는 지지부재(223)에 의해 포트(104c)의 단부에 부착되고 높은 부력을 가지는 판상물질로 형성된다. 세정수저장부(104)에 물이 있는 동안, 물에 떠있는 상기 개폐부재(222)는 상기 포트(104c)를 비폐쇄상태로 유지한다. 상기 개폐부재(222)와 지지부재(223) 조립체에 방해가 없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배출노즐(35)은 상기 보올부 아래의 입구(121)의 바닥벽에 부착된 벽부재(121a)에 수밀되게 고정된다. 세정수저장부(104)로부터의 물이 배출노즐(35)로부터의 세정수의 흐름에 의해 혼입될 때, 흡입력이 상기 포트(104c)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개폐부재(222)에 작용한다. 하지만, 개폐부재(222)의 부력이 상기 흡입력보다 더 커서, 상기 포트(104c)는 세정수 저장부(104)내에 물이 있는 한비폐쇄상태를 유지한다.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대변기(220)는 물공급밸브(105)(도시되지 않음)와 림세정/제트세정/림세정과 같은 대변기 보울 세정순서를 위해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밸브(105)의 하류측에 연결된 절환밸브(41)를 가진다.
이처럼 구성된 제4실시예에 따른 대변기(220)는, 물공급밸브(105)로부터의 물의 공급이 연결관(137)으로 전달될 때, 위에시 설명된 바와 같이, 세정수는 빠른속도와 높은 압력으로 배출노즐(35)로부터 Z 도수로(161)로 흐른다. 세정수저장부(104)의 포트(104c)는 비폐쇄상태이므로, 상기 배출노즐(35)로부터의 분출수는 상기 포트(104c)를 통해 세정수저장부(104)로부터 다량의 물이 혼입하는 제트 흐름이 된다. 이 제트 흐름과 세정수저장부(104)로부터 혼입된 물은 제트펌프에 의해 형성된 분출과 같이 Z 물배출구(106)로부터 배수트랩(102)의 입구(121)로 직접 향하는 흐름을 형성한다. 따라서, 다량의 세정수가 제트펌프에 의해 유량증폭과 연속유량증가를 통해 한번에 배수트랩(102)으로 공급된다. 그에 의해 오물호퍼부(112)내의 오물은 다량의 세정수에 의해 배수트랩(102)으로 밀려진다. 따라서, 증강된 세정성능과 많은 절수가 제4실시예의 대변기(220)에 의해서도 제공된다.
세정수저장부(104) 내의 모든 세정수가 배출노즐(35)로부터의 흐름에 혼입될때, 세정수저장부(104)를 비우고, 상기 포트(104c)는 개폐부재(222)에 의해 폐쇄된다. 이에 의해 세정수저장부(104) 내의 공기를 혼입하는 상태로 되어, 배출노즐(35)로부터 세정수의 배출은 없다. 따라서, 세정수저장부(104)내의 세정수를 혼입한 상태에서의 세정수 토출이, 이 세정수를 대신하여 공기를 혼입한 세정수 토출로의 변화는 없다. 이것은 세정수혼입에 따른 흐름에 의해 배수트랩(102) 내에 형성되어 시작되는 사이폰효과가 공기의 혼합에 의해 파피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그러므로 의도하지 않은 사이폰효과의 소멸을 초래하지 않고, 상기 보울부(101)로의 오물의 귀환은 없다.
비록 세정수저장부(104)의 세정수를 모두 소진할지라도, 보울부(101)에 세정수가 저장되어 있을 때, 저장된 물은 상기 개폐부재(22)를 밀 수 있고 또 세정수저장부(104)로 흘러들어갈 수 있다. 따라서, 세정수는 항상 세정수저장부(104)내에 저장된다.
제4실시예의 변형이 설명될 것이다. 제1변형에서, 차이점은 세정수저장부(104)내의 공기가 배출노즐(35)로부터의 물흐름내에 혼입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구성이다. 도 28은 제1변형의 주요부를 보인 확대단면도이다. 도 28은 두번째 실시예의 대변기(100A)의 세번째 변형에서와 같이, 배출노즐(35)이 배출노즐(35)의 정면에 유체흐름로를 형성하는 통체(170)와 함께 일체로 형성된다는 것을 보인다. 상기 통체(170)는 관통공(171)과 연통하는 측벽에 측면공(172)을 가지고, 또 상기 측면공(172)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224)를 가진다. 제4실시예의 개폐부재(222)와 같이, 상기 커버(224)는 배출노즐(35)로부터 세정수의 분출에 의해 형성되는 흡입력을 뛰어넘는 부력을 가진다. 그러므로, 이 제1변형의 경우에서, 세정수저장부(104)내의 물은 세정수저장부(104)내에 물이 있는 한 배출노즐(35)로부터의 분출수에 혼입될 수 있다. 만약 세정수저장부(104)의 물이 바닥나면, 배출노즐(35)로부터의 분출수와 공기가 혼합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4실시예에서와 같이, 의도하지 않은 사이폰효과의 소멸을 초래하지 않고, 상기보울부(101)로의 오물의 귀환은 없다. 이 변형의 대변기는 또한 높은 세정능력과 높은 물절약을 제공한다.
이 제1변형에서, 통체(170)의 선단부는 통체(170)와 격벽(101b)의 사이 및 통체(170)와 오물호퍼부(112)의 바닥벽 사이에서 밀봉재(225)에 의해 밀봉되고, 또 세정수저장부(104)는 관통공(171)을 통해 오물호퍼부(112)와 연통된다. 따라서, 세정수저장부(104) 내의 세정수가 모두 소진될지라도, 보울부내에 물이 고여 있을때, 보울부(101)에 고인 물은, 상기 커버(224)를 밀어 관통공(171)을 통해 세정수저장부(104)로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세정수는 세정수저장부(104)내에 항상 저장된다.
제5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29는 제5실시예에 다른 대변기(230)의 개략 단면도이다. 상기 대변기(230)는 상기세정수저장부(104)와 오물호퍼부(112) 사이의연결을 연통상태와 비연통상태의 사이에서 절환하는 구성을 역시 가진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부(101)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된 세정수저장부(104)는 격벽(101b)의 하단부에 포트(104c)를 가진다. 노즐기기부재(232)는 이 포트 아래의 Z 도수로(161)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배출노즐(35)는 노즐지지부재(232)에 고정된다.
상기 노즐지지부재(232)는 보울부 메인몸체(101a)에 위치된 모터(234)에 결합된다. 상기 노즐지지부재(232)는 모터(234)의 회전에 따라 Z 도수로(161) 내에서 수밀되게 이동한다. 이를 위해, 노즐지지부재(232)에 모터(234)의 회전을 연결하기 위한 전달기구가 Z 도수로(161) 내에 제공되고 또 대변기 보울벽(101c)을 수밀되게관통한다. 연결관(137)은 보울벽(101c)을 수밀되게 관통하는 통로를 통하여 노즐지지부재(232) 내에서 배출노즐(35)에 연결된다. 상기 대변기(230)는 상기 모터(23)를 원격 조작하기 위한 버튼을 가진 조작판(236)을 또한 구비한다. 상기 조작판(236)은 눌러진 버튼에 따른 대응하는 광신호를 배출하고; 상기 모터(234)는 상기 광신호에 따라 구동한다. 따라서, 버튼을 누름에 의해, 상기 노즐지지부재(232)는 전후로 이동하여 도면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제1분사위치 혹은 2점쇄선으로 표시된 제2분사위치를 잡는다. 제2분사위치로 노즐지지부재(232)가 이동함에 따라, 세정수저장부(104)의 포트(104c)를 폐쇄하는 구성이 사용된다.
따라서, 제1분사위치로 노즐지지부재(232)를 후퇴함에 의해 상기 세정수저장부(104)와 Z물토출구(161)는 상기 포트(104c)를 통해 연통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배출노즐(35)과 Z 도수로(161)는 제트펌프를 형성한다. 세정수저장부(104)에서부터 배출노즐(35)로부터의 분출수의 흐름으로 혼입된 많은 양의 물은 유량을 증폭하고 또 순간유량을 증가시키며, Z 물토출구(106)으로부터 입구(121)를 향해 분사하는 흐름을 형성한다. 따라서, 오물은 배수트랩(102)으로 배출되고 또 보울부는 노즐지지부재(232)가 제1분사위치로 이동할 때 세정된다. 세정수저장부(104)와 Z도수로(161) 사이의 연통상태가 제2분사위치로 노즐지지부재(232)를 이동함에 의해 포트(104c)를 폐쇄하여 비연통상태로 만들 때, 오물이송과 대변기 보울 세정은 배출노즐(35)로부터의 세정수의 증폭되지 않은 배출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세정모드는 노즐지지부재(232)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조작판(236)을 사용함에 의해 선택적으로 절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지 소변이 세정될 때와 같이 오물이송 및 대변기 보울세정을 위해 요구되는 세정에너지가 많지않을 때, 상기 노즐지지부재(232)는 배출노즐(35)로부터의 세정수의 분출만을 사용하여 보울부(101)의 세정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제2분사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반면에 대변이 배출될 때와 같이, 오물이송과 변기보울세정을 위한 많은 세정에너지가 필요한 경우에, 상기 노즐지지부재(232)는 유량증폭 세정수에 의해 고에너지세정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제1분사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노즐지지부재(232)를 이동하기 위한 모터(234)의 사용은 사용될 제5실시예의 다음의 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노즐지지부재(232)가 제1분사위치에 있을 때 배출노즐(35)로부터의 세정수토출이 행해지면, 상기와 같이 세정수저장부(104) 내의 세정수의 양은 세정수가 혼 입됨에 따라 감소한다. 상기 세정수저장부(104) 내의 세정수의 부피는 설계된 상태에서 결정되고, 또 세정수저장부(104) 내의 물이 흐름에 혼입됨에 의해 감소되는 양은 실험 등을 통해 결정된다. 따라서, 배출노즐(35)로부터의 세정수의 토출을 개시하고 부터 세정수저장부(104) 내의 세정수가 채워질 때 가지의 소요시간도 판명된다. 그 같이, 많은 시간이 지난후에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조작판(236)이 광신호를 모터(234)로 주게 구성이 될 수 있고; 상기 모터(234)는 상기 노즐지지부재(232)를 제2분사위치로 이동시킨다. 제5실시예의 이 변형의 구조는 개폐부재(222) 및 커버(224)없이 배출노즐(35)로부터의 분출수에 공기가 섞이지 않게 상기 포트(104c)를 폐쇄한다. 따라서, 제5실시예의 이 변형에 따라서, 의도하지 않은 사이폰효과의 소멸을 초래하지 않고, 상기 보울부(101)로의 오물의 귀환은 없다.
제6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30은 제6실시예에 따른 대변기(240)의 개략단면도이다. 세정수저장부(104)대신에, 대변기(240)는 물저장부(104A)를 가진다. 상기 물저장부(104A)는 통공(241)을 통해 대기와 연통되게 격벽(101b) 아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물저장부(104A)는 세정수가 아니라 공기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비록 설명을 위해 상기 통공(241)이 보울부(101)내에 저장된 물의 표면 아래에 도시되어 있만, 실제로는 물의 표면 위이다.
물저장부(104A)는 상기 제5실시예와 같이 격벽(101b)의 하단부에 포트(104c)를 가진다. Z 도수로 형성기구(242)는 상기 포트(104c) 아래의 하부영역(101d)에 수밀되게 고정된다. 배출노즐(35)은 Z 도수로 형성 기구(242)에서 배출노즐(35)의 선단과 함께 보울부 메인 몸제(101a)에 고정된다.
상기 Z 도수로 형성기구(242)는 배출노즐(35)루부터 분출되는 세정수의 분출을 위한 Z 도수로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노즐(35)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수의 분출과맞춰 포트(104c)를 개폐한다. Z 도수로 형성기구(242)의 일부의 확대도인 도 31에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Z 도수로 형성기구(242)는 하부영역(101d)에 위치된 외부통체(243)와 내부의 내부통체(244)를 가진다.
외부통체(243)는 밀봉링(245)에 의해 하부영역(101d)에 수밀되게 끼워 고정되고, 또 오물호퍼부(112)의 사이드사의 단부 포트는 Z 물토출구(106)이다. 상기외부통체(243)는 배출노즐(35)로부터 분출된 세정수를 그 다른 측의 단부포트를 통해 인도한다. 포트(246)는 외부통체(243)의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포트(104c)와겹친다.
상기 내부통체(244)는 상기 외부통체(243)의 측벽을 따라 활주할 수 있다. 밀봉링(247)은 내부통체(244)와 외부통체(243) 사이의 수밀을 제공한다. 상기 내부 통체(244)는 상기 배출노즐(35) 측으로 하향 연장된 설편부(248)를 가진다. 상기 배출노즐(35)이 세정수를 배출할 때, 상기 설편부(248)는 상기 배출노즐(35)로부터 흘러오는 물의 제트로부터 저항을 받는다. 상기 내부통체(244)는 상기 내부통체(244)가 실선에 의해 표시된 위치에 있을 때(이하에서는 노즐분사위치라한다), 상기 포트(246)과 겹치게 측벽에 형성된 사이드포트(249)를 가진다. 상기 내부통체(244)는, 도면으로 도시되지 않은, 그 축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전-스토퍼가 구비된다.
스프링(250)이 내부통체(244)의 오른쪽 단부(도면에 대해)와 Z 물토출구(106)의 림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내부통체(244)를 배출노즐(35)의 단부를 향해 밀게 된다. 배출 노즐(35)로부터 나온 물의 분출이 없고 또 그로부터 상기설편부(248)가 저항을 받지 않을 때, 상기 내부 통체(244)는 스프링(250)의 가해진 힘을 받고 또 2점쇄선(이후에는 초기위치라 칭한다)에 의해 표시된 위치에 있다. 세정수가 배출노즐(35)로부터 배출될 때, 상기 설편부(248)는 배출저항을 받고, 상기 내부통체(244)는 노즐분사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사이드포트(246)가 상기 사이드포트(249)와 겹친다. 상기 스프링(250)의 가해진 힘은 세정수의 배출 동안에 상기 내부통체(244)와 외부통체(243)가 이와 같은 위치관계에 있도록 조절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및 외부 통체(244,243)의 중심축을 따라 향해진 상기 배출노즐(35)로, 상기 통체 내의 통홀이 Z 도수로(161)를 형성한디.
대변기(240) 내에서 세정수의 분출은 이제 설명될 것이다. 물공급원으로부터 세정수가 상기 연결관(137)으로 공급될 때,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세정수는 고속, 고압력 흐름으로서 배출노즐(35)로부터 Z 도수로(161)로 흐른다. 이와 같은 세정수의 흐름의 시작에 따라, 상기 흐름의 저항을 받고, 상기 내부통체(244)는 그 초기위치로부터 노즐분사위치로까지 정방향으로 이동하기를 시작한다. 이위치에서, 상기 양 통체의 상기 사이드포트(246,249)는 겹치고, 이들 포트는 포트(104c)에 의해 겹쳐진다. 따라서, 상기 물저장부(104A)는 Z 도수로(161)와 연통되게 되고 따라서 상기 물저장부(104A)(이 경우 공기)내의 유체는 Z 도수로(161)로 흐르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두 개의 통체가 이와 같이 위치관계에 있을 때, 상기 배출노즐(35)와 Z도수로(161)는 제트펌프를 구성한다.
배출 노즐(35)로부터 세정수 흐름에 따라, 물저장부(104A)로부터 다량의 공기가 개구(104c,246,249)를 통해 혼입되고, 상기 흐름을 제트흐름으로 형성한다. 혼입된 공기를 가진 이 제트 흐름은 제트펌프에 의해 형성된 분출과 같이 Z 물토출구(106)로부터 배수트랩(102)의 상기 입구(121)를 향해 분출되는 흐름을 형성한다. 비록 혼입된 공기지만, 유량증폭과 순간유량증가의 면에서, 상기 효과는 물이 혼입될 때와 같다. 따라서 제트펌프에 의해 유량증폭과 순간유량증가를 통해 한번에 대량의 세정수가 배출트랩(102)으로 공급된다. 오물호퍼부(112)에 있는 오물은 이 대량의 세정수에 의해 배수트랩(102)로 강하게 밀려진다. 따라서, 증강된 세정능력과 높은 물절약이 제 6실시예의 이 대변기에 의해서도 제공된다.
배출노즐(35)로부터의 세정수의 흐름이 정지될 때, 상기 내부 통체(244)는 스프링(250)의 가해진 힘에 의해 초기위치로 귀환된다. 결과적으로, 양 통체의 사이드포트는 양 통체의 측벽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물저장부(104A)와 Z 도수로(61)사이의 연통을 제거한다. 그러므로, 오물호퍼부(112)에 고인 물은 물저장부(14A)로 역으로 흐르지 않을 것이다. 상기 고인물은 개구(246,249)가 완전히 구획될 때 까지 물저장부(104A)로 흐르지 않지만, 공기와 함께 배출노즐(35)로부터 다음 흐름에 혼입되므로 혼입된 양은 매우 작고 문제를 구성하지 않는다.
제6실시예의 대변기(240)에 있어서, 유량증폭을 위해 물 대신에 공기의 혼입이 사용되고, 또 따라서, 물절약이 사용되지 않는 물의 양만큼 증강된다.
제7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32는 제 7실시예에 따른 대변기(260)의 개략단면도이고, 도 33은 대변기의 림부의 개략 단면도이다. 다른 실시예와 대변기(260) 사이의 차이점은 대변기(260)가 단지 림-베이스 세정을 사용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와 공통으로, 대변기(260)는 오물호퍼부(112) 내의 오물과 세정수가 통해서 배출되는 배수트랩(102)을 가진다.
상기 대변기(260)는 림채널(103)로 세정수를 인도하기 위한 보울부의 후방에 설치된 채널부(262)를 가진다. 상기 채널부(262)는 림채널(103)에 연결되는 Z 도수로 (161)를 가지고, 세정수저장부(104)는 공급슬로트(263)에 의해 도관에 연결된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Z 도수로(161)는 상기 림채널(103)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세정수를 인도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림채널(103)은 적당한 간격만큼 떨어진 출구(132)를 가지고, 각각의 출구(132)는 보울부(101)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Z 도수로(161)을 지나 림채널(103)으로 안내된 세정수는 림수출공(132)로부터 유출되고, 볼부(101)의 볼면에서 선회하면서 볼부(101)내에 도달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세정수가 저장된 물에 도달하므로서 배수트랩(102)에는 사이폰작용이 일어나고, 오물호퍼부(112)내의 오물이송 및 변기 세정이 행해진다. 이 사이폰작용에 대해서는 다음에 설명한다.
이 대변기(260)는 Z 도수로(161)의 후방에 부착된 배출노즐(35)을 가지고, 상기 배출노즐(35)은 물이 Z 도수로(161)로 인도되는 방향으로 향한다. 따라서, 상기 배출노즐(35)과 Z 도수로(161)은 제트펌프를 구성한다. 상기 대변기(260)는 그 끝부분이 공급슬로트(263)를 향해 지향된 보조관(264)을 또한 가진다. 상기 보조관(264)은 세정수저장부(104)에 세정수를 채우기 위해 사용된다.
제7실시예에 따른 대변기(260)에서, 림 워터 세정을 위해 한번 물이 공급되는 것이 필요하고, 세정수저장부(104)에 세정수를 한번 채우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연결관(137)으로 물공급과 보조관(264)으로 물공급을 제공하는 절환벨브(341)에 의해 달성된다.
도 34에 개략 단면도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환밸브(341)는 주 구성요소로서 밸브케이싱(342)을 가지는데, 물공급을 절환하기 위한 절환요소(343)는 절환밸브가이드공(342a)내에 활주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밸브케이싱(342)은 유입구(348), 림측배출구(349) 및 보조관측출구(350)를 가지는데, 각각은 절환밸브가 이드공(342a)으로 각각 연장된다. 이 구성에서, 유입구(348)와 보조관측출구(350)는 일직선 상에 배치되고, 림측배출구(349)는 상기 유입구(348)에 직교하고, 또 절환밸브가이드공(342a)은 유입구(348), 림측배출구(349) 및 보조관측출구(350)와 직교한다. 물공급밸브(105)로부터의 채널은 유입구(348)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137)은 림측배출구(349)에 연결되고 또 보조관(264)은 보조관측출구(350)에 연결된다. 상기 유입구(348)는 림측배출구(349) 및 보조관측출구(350)보다 약간 더 크다.
절환밸브본체(343)는 중공동체(343b)이고, 그 일단(도 34의 좌측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개방되며, 그 외주벽은 절환밸브가이드공(342a)에 의해 가이드되는 가이드부(343c)를 구성한다. 실리콘링(343c)이 수밀성과 활주성을 보장하면서 절환밸브가이드공(342a)이 내부벽과 가이드부(343c) 사이에 배치된다. 복귀링(340)은 절환밸브본체(343)를 오른쪽으로 밀도록 왼쪽(도면에서)가이드부(343c)에 수용된다.
수압부(343d)는 중공원통체(343b)의 개방단에 고정되고 캡(342c)이 수압부(343d) 주위의 밸브케이싱(342)에 부착된다. 벨로프람(bellophragm)(344)이 밸브케이싱(342)과 캡(342c) 사이의 상기 수압부(343d) 주위에 배치되고, 그에 의해 상기 캡(342c)의 내부에 압력쳄버(345)를 형성한다. 상기 압력쳄버(345)는 절환 밸브본체(343)의 원통체(343b)와 수압부(343d)내에 제공된 소공(343a)을 통해 연통된다.
림연통구(346)와 림측배출구(349)를 위한 보조관측연통구(347) 및 보조관측출구(350) 각각은 중공통체(343b)의 원주표면에 제공된다. 절환밸브본체(343)가, 도면에 도시된 위치인, 제1위치에 있을 때, 림연통구(346)와 림측배출구(349)는 겹치고 보조관측연통구(347)는 절환밸브가이드공(342a)의 내측벽에 의해 차단된다. 절환밸브본체(343)가 제2위치인, 왼쪽으로, 이동할 때, 보조관측연통구(347)와 보조관측출구(350)는 겹치고, 또 림연통구(346)는 가이드공(342a)의 내벽에 의해 차단된다. 중공원통체(343b)는 연장된 흡입연통구(343f)를 가진다. 이흡입연통구(343f)는 흡입구(348)와 겹쳐서 절환밸브본체(343)가 제1위치에 있던지 혹은 제2위치에 있든지 겹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348)는 림측배출구(349) 혹은 보조관측출구(350)에 절환밸브본체(343)를 제1혹은 제2위치로 이동함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절환밸브(341)에 의한 물공급의 절환은 이제 설명될 것이다. 상기 보울부의 세정을 위해(조작판 상의)세정버튼이 눌러질 때, 절환밸브본체(343)가 제1위치에 있으므로; 물공급밸브(105)를 통과한 세정수는 절환밸브(341)의 유입구(348)에 도달하고 림연통구(346)로부터 림측배출구(349)로 흐른다. 상기 림측배출구(349)는 연결관(137)에 연결되어서, 물은 연결관(137)을 통해서 배출노즐(35)로 흐르고, 림워터 세정을 시작하도록 림채널(103)로 분출된다.
도 32와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노즐(35)은 Z 도수로(161)와 같은 방향으로 향하도록 Z 도수로(161) 내측에 배치된다. 절환벨브(341)가 물공급밸브(105)(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연결관(137)으로 공급된 물을 절환하기 위해 사용될 때, 세정수의 고속흐름은 1에서 2kgf/㎠하에서 배출노즐(35)로부터 Z 도수로(161)로 분출된다. 배출노즐로부터의 이 흐름은 제트 흐름이 되고, Z 도수로(161)에 연결된 세정수저장부(104)로부터의 다량의 물을 혼입한다. 세정수저장부(104)로부터 혼입된 물과 함께하는 이 제트흐름은 림채널(103)을 직접 향해 마치 제트펌프에 의한 것과 같이 배출된다.
따라서, 대량의 세정수가 제트펌프에 의한 유량증폭과 순간유량증가를 통해 한번에 림채널(103)로 공급된다. 세정수는 림의 출구(132)를 통해 흐르고 또 보울부(101)의 표면을 가로질러 흐른다. 더 상세하게는, 유량증폭된 세정수는 림의 출구(132)로부터 경사지게 나타나서 고-에너지로 흘러내리고, 보울부내의 물의 양이 증가하는 동안 보울부 내에 고인물에 와류를 더하는 소용돌이 흐림이다. 이 강력한 와류는 상승관(122)의 배출효율을 증강시키고, 오물호퍼부(112)내의 오물을 배출되게하고 또 고효율로 대변기를 세정하게 배수트랩(102) 내에 사이폰작용의 신속한 형성에 귀착된다. 추가로, 절수가 위에서 언급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트펌프에 의한 유량증폭과 순간유량증가를 세정성능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얻어진다.
Z 도수로(161)로부터, 세정수가 림채널(103)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배출된다. 이것은 압력손실이 억제되게 한다. 결과적으로, 유량증폭세정수가 림의출구(132)로부터 증폭된 흐름의 에너지 감소 없이 보울부(101)로 흐른다. 볼부의 표면은 더 효과적으로 세정된다.
세정수가 연결관(137)을 통해서 공급되고 또 배출노즐(35)로부터 Z도수로(161)로 배출되는 동안, 이 물의 약간은 상기 소공(343a)을 통해 압력쳄버(345)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압력쳄버(345)내의 압력은 세정수의 공급에 따라 증가되고, 또 압력의 힘이 더 복귀스프링(340)의 가해진 힘보다 더 크게되면, 상기 절환밸브본체(343)가 왼쪽으로 이동된다. 압력쳄버(345)가 물로 가득찼을 때, 상기 절환밸브본체(343)는 제2위치에 있고, 상기 보조관측연통구(347)와 보조관측출구(350)는 상호 정렬되어, 상기 보조관측출구(350)에 연결된 보조관(264)을 통해 세정수저장부(104)로 세정수가 흐르게 한다. 특정 시간동안 보턴이 눌러진후, 물공급밸브(105)는 닫혀지고, 절환밸브(341)로의 공급흐름이 차단된다. 이것은 절환밸브본체(343)가 귀환스프링(340)의 힘에 의해 제1위치로 되돌아가게 하고, 소공(343a)을 통해 압력쳄버에서 복귀되게 한다.
림에서의 물세정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수행되고, 보울부(101)에서 물모음은 아래에서 설명될 오물이송을 따른다. 보조관(264)에 의한 세정수저장부(104)내의 세정수의 충진은 세정수저장부(104)가 가득찼을 때 끝나도록 설계된다. 이것은 위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세정수의 재충진과 림세정을 절환하기 위한 소공(343a)의 직경과 같은 부분을 조정함에 의해 수행된다.
제8실시예가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35는 제8실시예에 따른 대변기(270)의 개략 단면도이다. 상기 대변기(270)는 배출노즐(35), 세정수저장부(104) 및 배수트랩(102)와 같은 것에 대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이 대변기(270)에 대하여 다른 것은,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수출구가 Z도수로(161)를 형성하는, Z 물배출구(106)가 보울부(101)로 경사지게 개방된다. 상기 Z 물배출구(106)는 보울부(101)내에 고인 물의 표면보다 낮고, 도면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고인물에 와류를 더하는 세정수의 제트를 배출한다. 제7실시예의 대변기에서와 같이, 와류흐름과 함께 보울부(101)로 배출되는 세정수는 오물이송과 대변기 보울세정에 사용되는 배수트랩(102)내에 사이폰작용을 형성한다.
제1실시예에서 처럼, 대변기(270)는 Z 도수로(161)에 배열된 배출노즐(35)을가진다. 고인물에 와류흐름을 가하는 세정수의 제트는 배출노즐(35)와 Z 도수로(161)에 의해 구성되는 제트펌프에 의한 순간유량의 증가와 유량증폭을 하게한다. 상기 증폭된 세정수는 직접 고인물의 표면하에서 고인물에서 흐른다. 그에 의해, 강력한 와류가 생성되고 유량증폭과 순간유량증가를 통한 보울부 내의 물의 양에서 증가는, 배수트랩(102)내에 사이폰작용의 신속한 형성을 야기한다. 결과적으로 오물호퍼부(112) 내의 오물은 배출되고 또 고효율로 보울부가 세정된다. 비록 제트펌프에 의한 유량증폭과 순간유량증가하더라도, 세정능력을 유지하면서 물절약이 실현될 수 있다.
제9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제9실시예에 따른 대변기(280)는 Z 물토출부(106)가 보울부(101)로 경사지게 개방된 제7실시예의 대변기와 공통점을 갖는다. 이것은 Z 물토출부(106)가 보울부(101) 내에 고인물의 레벨 위에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 도 36은 제9실시예에 따른 대변기(280)의 개략단면도이고, 제37도는 제36도의 37-37선을 따른 개략단면도이고, 도 38은 38-38선을 다른 개략단면도이다. 상기 대변기(280)는 배출노즐(35)과 배수트랩(102)과 같은 것에 대하여 도 1및 도 2에도시된 제1실시예와 유사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변기(280)는 보울부(101)의 측벽(101e)의외측에 설치된 세정수저장부(104)를 가진다. 상기 세정수저장부(104)는 Z물배출구(106)를 형성하도록 보울부(101)를 향해 개방된다. 상기 세정수저장부(104)는 보울부의 후방으로부터 연장된 보조공급라인(104B)을 가지고;상기 배출노즐(35)은 이 보조공급라인(104B)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세정수저장부(104)는 Z 물배출부(106) 주변의 포트(282)에 의해 보조공급라인(104B)에 연결된다.
상기 보조공급라인(104B)는 그 상단부에서 림채널(103)에 배열로 연결되고 그에 의해 물공급원으로부터 물이 림위터세정을 위해 물공급관(133)으로 공급될때, 약간의 물은 세정수저장부(104)로 공급된다. 따라서, 림워터 세정이 이루어질때마다, 세정수저장부(104)는 세정수로 채워진다. 상기 포트(282)는 배출노즐(35)의 선단부에 구비되고; 세정수는 보조공급라인(104B)을 통과해 배출노즐(35)에 의해 배출된다. 따라서, 배출노즐(35)로부터 Z 물배출부(106)까지의 부분은 Z도수로(161)를 포함하고, 또 상기 Z도수로(161)와 배출노즐(35)은 제트펌프를 구성 한다.
이 대변기(280)에서 역시, 상기 Z 물배출부(106)로부터의 물의 분출은 와류운동으로 보울부(101)로 흐르고 또 제트펌프에 의한 순간유량증가와 유량증폭된다. 이것은 배수트랩(102)에서 사이폰효과의 신속한 형성을 야기하고, 높은 물절약 및세정능력의 유지 뿐만아니라 충분한 오물이송과 대변기 보울세정에 귀착된다.
게다가, 대변기(280)에서 Z 물배출구(106)는 존재하는 물의 액체표면보다 더높고, 따라서 분출수는 고인물의 표면에 도달하기 전에 보울부의 표면 주위로 소용돌이 치고, 존재하는 물의 상기 액체표면위의 보울부(101)의 표면을 효과적으로 세정한다.
제10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이전의 실시예 들은 각각 단일의 제트펌프를가진 반면에, 이 실시예는 다수개의 제트펌프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수개의 제트펌프는 배수트랩(102)의 입구(121)를 향하도록 배열되고, 이 배열은 제트펌프의 사이즈를 줄이게 한다. 도 39는 제10실시예에 따른 제트펌프의 주요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40은 도 39의 40-40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각각의 제트펌프(290)는 위에서 설명된 배출노즐(35)의 그것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가지는 배출노즐(292)과, 상기 배출노즐(292)선단의 내부에부착된 통체(294)를 가진다. 배출노즐(292)의 단부를 향해서, 상기 통체(294)는 그원주 표면의 주위에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측면개구(295)를 가진다. 배출노즐(292)의 외부로 분출된 물은 통공(296)을 통해 흐르고 측면개구(295)를 통하는 물과 혼입한다. 즉, 상기 통공(296)은 이전의 실시예의 Z 도수로(161)이고, 그를 통과하는 세정수의 순간 유량의 증가와 유량의 증폭을 수행한다.
상기 제트펌프(290)는 Z 물배출구(106)과 입구(121)의 구성에 따라서 설치된다. 도 41은 제10실시예에 따른 대변기(300)의 개략단면도이고, 도 42는 도 41의 X방향으로 본 도면이고, 또 도 43은 도 41의 Y방향을 따라 주요부이다. 도 23에 도시된 제4실시예의 대변기(220)의 경우와, 그리고 도 29에 도시된 제5실시예의 대변기(230)와 같이, 도 4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대변기(300)는 상기 보울부(101)로부터 분리되게 형성된 세정수저장부(104)를 가진다. 상기 대변기(300)가 특징으로하는 것은 세정수저장부(104)의 하단부가 큰 개구로 개방된 것과 제트펌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개구보다 더 아래의 하부영역(101d)에 배치되는 것이다.
설치장소와 다른 요소에 대한 제한 때문에, 상기 대변기(300)는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된 형상의 Z 물토출구(106)를 가진다. 세개의 제트펌프(290)는 Z 물토출구(106)의 형상을 형성하도록 일렬로 수직으로 배열된다. 이들 세개의제트펌프(290)는 제트펌프군(298)을 형성한다. 상기 제트펌프(290)는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137)으로부터 분지되어 나온 분지관(297)에 부착된다. 상기제트펌프군(298)은 대변기보울 벽면(101c)에 부착된 연결관(137)의 하부영역(101d)에 배치된다.
제10실시예에 다른 대변기(300)에서, 물공급원으로부터 연결관(137)으로 물이 공급될 때, 상기 세정수는 제트펌프(290)의 각각의 배출노즐(292)로부터 함께 배출된다. 따라서, 유량증폭된 세정수는 각각의 제트펌프(290)로부터 입구(121)를 향해 분사된다. 이 유량증폭된 세정수는 다수의 포인트로부터 배수트랩(102)의 입구(121)로 흐르고, 전체 입구(121)를 채우고 높은 세정능력을 발생한다. 추가로, 위에서 언급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유량증폭과 순간유량 증가를 통해 물절약이 얻어진다.
상기 제트펌프군(298)은 Z 물토출구(106)의 형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측면개구(295)를 통해 혼입된 세정수의 혼입에 있어서 극도의 차이점은 없다. 따라서, 이 구성은 각각의 제트펌프(290)로부터 다소간 균일한 유량증폭세정수를 공급하는 것과 같은 이점이 있다.
상기 제트펌프군(298)은 Z 물토출구(106)의 다른 구성과 부합되게 구성될 수있다. 예를 들어,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연장된 Z 물토출구(106)에대해, 상기 제트펌프(290)는 수평선에 배열될 수 있고, 혹은 도 45에 도시된 바와같이 삼각형 Z 물토출구(106)를 위해 삼각형에 배열될 수 있다.
제11실시예가 이제 설명된다. 이전의 실시예에서, 제트펌프에 의해 유량증폭된 세정수의 흐름은 보울부 메인몸체(101a)의 한점으로부터 배출되는 반면에, 제11실시예는 보울부 메인몸체(101a)상의 다수개의 점으로부터 세정수의 흐름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6은 제11실시예에 따른 대변기(310)의 구성을 보인다. 대변기(310)의 경우에서, 별개의 제트 펌프가 보울부(101)로 직접 배출되는 흐름과림채널(103)로부터 배출되는 흐름을 증폭하기 위해 사용된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대변기(310)는 도 14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대변기(100A)의 그것과 같은 타입의 세정구성을 사용하고, 또 도 32와 33에 도시된 제7실시예의 대변기(260)의 그것과 동일한 타입의 세정구성을 역시 사용한다.
도 46을 참고하면, 대변기(100A)에서와 같이, Z 물토출구(106)으로부터 유량증폭된 세정수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대변기(310)는 보울부(101)에 세정수저장부(104)를 가지고 또 Z 도수로(161A)의 뒤(도면에서 왼쪽)에 배출노즐(35A)을 가진다. 세정수가 연결관(137A)을 통해 배출노줄(35A)로 공급될때, 세정수저장부(104)로부터의 세정수가 하단부에서 연통공(141)을 통해 혼입되어 유량증폭된 세정수의 흐름은 입구(121)를 향해 Z 물토출구(106)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대변기(260)과 같이, 상기 대변기(310)는 도수로(161B)를 가진 채널부(262), 림 아래의 세정수저장부(104), 및 림채널(103)로부터 유량증폭된 세정수를 배출하기 위한 Z 도수로(161B)(도면에서 오른쪽)의 후방에 배출노즐(35B)을 가진다. 따라서, 세정수가 연결관(137B)을 통해 배출노즐(35B)에 공급될 때, 물공급관(263)을 통해 세정수저장부(104)로부터의 세정수가 혼입된 유량증폭된 세정수의 흐름은 림의 출구(132)를 통해 보울부(101)로 흐른다.
제1실시예에서와같이, 대변기(310)의 세정순서는 림세정/제트세정/림세정이고, 림세정을 할 때마다, 세정수저장부(104)가 다시 채워진다. 상기 대변기(310)는절환밸브(41A)를 가진다. 도 47은 절환밸브(41A)의 요부의 횡단면도이고, 도 48은절환밸브(41A)의 길이방향 개략단면도이다.
제1실시예의 절환밸브(41)에서와 같이, 상기 절환밸브(41A)는 림세정/제트세정/림세정의 연속적으로 절환한다. 상기 절환밸브(41A)는 유입포트(45), 림포트(46) 및 제트포트(47)를 가진 밸브케이싱(42)을 가진다. 밸브체(50)의 외주벽체(52)는 유입포트(45)와 항상 연통된 제1연통공(60)과, 림포트(46)와 초기에 연통되는 제2연통공(61)과, 제트포트(47)과 부차적으로 연통되는 제3연통공(62), 및 림포트(46)와 부차적으로 연통되는 제4연통공(63)을 가진다. 절환밸브(41)에서와 같이, 절환밸브(41A)의 상기 림세정/제트세정/림세정의 순서는 관련된 포트와 이들 연통공 사이의 연통 시이퀀스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연결관(137B)은 림포트(46)에 연결되고 연결관(137A)은 제트포트(417)에 연결된다.
도 47을 참고하면, 상기 절환밸브(41A)는 또한 밸브케이싱(42)에 상기 림포트(46)에 대향되게 배치된 보급관포트(80)를 가진다. 보조관(264)은 도 48이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벽체(52)에 경사나사부(80a)에 의해 보급관포트(80)에 연결된다. 상기 절환밸브(41A)는 또한 보급관포트(80)와 겹칠 수 있는 제5 및 제6연통공(81,82)을 가진다. 상기 제5 및 제6 연통공(81,82)는 도 48의 도면지의 지면에 대해 전단에 형성된다. 제5 연통공(81)은 상기 밸브체(50)가 제트포트(47)와 제3연통공(62)이 겹치는 제1위치로 상기 밸브체(50)가 왼쪽으로 이동할 때, 보급관포트(80)과 겹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제6연통공(82)은 밸브체(50)가 상기 림포트(46)와 제4연통공(63)이 겹치는 제2위치를 왼쪽으로 더 지나도록 움직일 때 상기 보급관포트(80)와 겹치도록 설치된다.
세정수의 배출과 재충진은 절환밸브(41A)에 의해 다음과 같이 달성된다. 보울부로 직접 물을 배출함에 의한 세정을 위한 밸브동작은 절환밸브(41)의 그것과 동일하여, 그것은 간략하게 설명된다.
세정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밸브체(50)는 초기위치에 있고, 그래서 공급된 물은 배출노즐(35B)로부터 림채널(103)로 배출하는 연결관(137B)과 림포트(46)를 통해 흐른다. 림채널(103)로의 흐름은 배출노즐(35B)와 Z도수로(161B)에 의해 구성된 제트펌프에 의해 유량증폭된 세정수의 흐름이다. 따라서, 림워터 세정은 림의 출구(132)로부터 보울부(101)로 배출된 유량증폭된 세정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유량증폭된 세정수는 고인물에 강력한 와류를 형성하고, 아래에서 설명될 것과 같이, 확실한 오물이송 및 보울부 세정의 조기시작에 귀착되는 사이폰작용을 효과적으로 생성한다.
세정수가 세정수유입실(58)로 계속적으로 흐르기 시작함에 따라, 상기 밸브체(50)는 초기위치에서 제1이동위치로 왼쪽으로 이동되고, 그래서 물공급원으로부터의 물은 제트포트(47)와 연결관(137A)을 통해 배출노즐(35A)로 이동하고 또 Z물토출구(106)를 향해 배출된다. Z 물배출구(106)로부터의 흐름은 배출노즐(35A)과 Z도수로(161A)로 구성되는 제트펌프에 의해 유량증폭된 세정수이다. 따라서, 제트워터세정은 Z 물토출구(106)로부터 입구(121)를 향해 배출된 유량증폭된 세정수에 의해 이루어진다. 확실한 오물이송과 보울부 세정이,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유량증폭된 세정수에 의해 제트세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점에서 제5연통고(81)과 보급관포트(80)는 겹쳐지고, 그래서 물공급원으로부터오는 물의 일부가 보급관(80)과 보조관(264)을 통해 세정수저장부(104)로 유동된다. 즉, 이전의 림워터 세정에서, 세정수저장부(104)로부터의 세정수가 사용되고, 따라서, 다음의 림워터 세정을 위한 준비를 위해 이 물이 충진된다.
세정수유입실(58)로의 세정수의 흐름이 계속됨에 따라, 상기 밸브체(50)는 제1이동위치에서부터 제2이동위치로 왼쪽으로 더 이동한다. 따라서, 물공급원으로부터의 물은 림포트(46) 및 연결관(137B)을 통해 배출노즐(35B)로 다시 유동되고,림 채널(103)로 배출된다. 이때, 유량증폭된 세정수는 보울부(101)로 배출되고, 이물은 보울부(101)를 세정하고 보울부 내에 고인물이 된다.
절환밸브(41A)에는 제2이동위치를 지나서 밸브체(50)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있고 또 물공급밸브(105)(도시되지 않음)로붜의 물의 흐름은 계속된다. 세정수유입실(58)로의 계속되는 세정수의 유입은 제2이동위치의 외쪽으로 밸브체(50)를이동시킨다. 이것은, 위에 설명된 것과 같이, 제6연통공(82)이 보급관포트(80)와 겹치게 하고, 그래서 물공급원으로부터의 물은 보급관포트(80)를 통해 다시 보조관(241)으로 인도되고 세정수저장부(104)로 배출된다. 즉, 비록 림워터세정에 의해 제트워터 세정에 따라 세정수저장부(104)로부터 오지만, 이때 배출된 세정수는 세정수저장부(104)에 저장된다. 이것은 다음의 변기보울세정, 혹은 변기보울세정의 시간에 제1림세정을 준비한다. 세정수의 위에서 설명된 제2충진의 완료에 따라, 상기 물공급밸브(105)는 공급을 차단한다. 따라서, 밸브체(50)는 절환밸브(41)와 같은 방식으로 세정수의 제2충진의 완료후에 초기위치로 귀환한다.
제11실시예의 이 대변기(310)에 있어서, 높은 세정능력이 작은량의 세정수로얻어질 수 있고, 제트펌프에 의해 생산된 유량증폭 세정수의 흐름을 림채널(103)로배출함에 의해 림워터세정을 수행하는데, 그 흐름은 그것이 림으로부터 하강함에따라 보울부 내의 고인물에 와류를 가하고, 또 제트펌프에 의해 제조된 유량증폭세정수가 직접 배출됨에 의해 세정되고, 그 흐름은 Z물토출구(106)로부터 배수트랩(102)의 입구(121)를 향해 직접 배출된다.
상기 대변기(310)에서는, 세정이 절환밸브(41A)의 사용을 통해 림세정/제트세정/림세정의 순서로 수행되므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것은 보울표면 청결, 오물이송 및 변기세정을 보장한다. 추가로, 림세정 후에, 상기 세정수저장부(104)는 보조관(264)으로부터 배출된 세정수로 채워지고, 유량증폭 세정수로의 림세정이 매번 확실하게 수행되는 것을 보장한다.
비록 위에서 설명된 제11실시예에 따른 대변기(310)에서, 유량증폭세정수로의 림세정과 유량증폭 세정수가 배수트랩(102)의 입구(121)를 향해 배출되는 제트워터세정은 다음의 변형에서 구체화 될 수 있다.
제1변형에서, 상기 대변기(330)는 와류세정, 즉, 도 35에서와 같이보울부(101)내에서 와류를 또한 만드는 유량증폭세정수에 의해 세정을 제공하도록구성된다. 제2변형에서, 유량증폭된 세정수에 의한 림세정과 도 2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승관(122)의 경로를 따라 배출된 유량증폭된 세정수에 의한 제트세정을 포함하는 구성이 사용된다. 이러한 변형은 높은 세정능력과 절수를 제공한다.
제12실시예가 이제 설명된다. 이실시예는 세정수의 유량의 다단 증폭을 특징으로 한다. 도 49는 제12실시예의 대변기에서 사용되는 제트펌프(360)의 모식도이다. 이 제트펌프(360)는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배출노즐(35)을 대체한다.
상기 제트펌프(360)는 이전의 실시예의 배출노즐(35)에 대응되는 배출노즐(35a)를 가지고, 제1통체(362)와 제2통체(364)를 가진다. 상기 제1통체(362)는 배출노즐(35a) 내부의 선단에 부착되고, 또 제1통체(362)의 통공(363)으로 물을 인도하기 위해 외주표면 주위에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측면개구(365)를 가진다. 상기 제2통체(364)는 제1통체(362) 내부의 선단에 부착되고, 또 제2통체(364)의 통공(366)으로 물을 인도하는 외주표면 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측면개구(367)를 가진다. 물공급원으로부터의 물은 연결관(137)을 통하여 배출노즐(35a)로 공급된다. 물이 통공(363)을 통해 배출노즐(35a)로부터 배출됨에 따라, 측면개구(365)를 통해 주위에 혼입된다. 결과적으로, 제1단계 유량증폭과 순간유량증가 후에 유량증폭세정수가 굵은 검은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은 방향으로 통공(363)으로부터 분출된다. 물이 상기 통공(366)을 통과함에 따라, 이 유량증폭된 세정수는 측면개구(367)을 통해 주위물에 혼입한다. 결과적으로, 2단계의유량증폭과 순간유량증가 후에 유량증폭된 세정수는, 빗금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통공(366)으로부터 배출된다. 따라서, 제트펌프(360)로부터는 다단의 유량증폭 및 순간유량증가가 행해진 유량증폭세정수가 토출된다. 이것을 이용하여 제트펌프(360)는 도 14 및 21에서 보여진 구성을 사용하여 배추노즐(35) 대신 이 제트펌프(360)을 사용하고, 도 25에 도시된 상승관(122)의 상승점에 위치하고, 높은 세정능력을 제공하는 순간유량증가와 다단 유량증폭된 세정수가 된다. 제트펌프(360)로는, 물공급원으로부터 배출노즐(35a)로의 물공급만이 필요하므로 절수가 이루어진다.
게다가, 제12실시예에 따른 제트펌프(360)에서, 상기 배출노즐(35a), 제1통체(362) 및 제2통체(364)가 단일의 장치로서 취급될 수 있고, 이것은 이 부분을 대변기에 부착하는 작업이 단순화된다.
제트펌프(360)에서 배출노즐(35a)과 통체가 일체화된 반면에, 그들은 대신에별개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통체(362)가 배출노즐(35a)의 선단으로부터분리되어 배치되고, 또 제2통체(364)가 제1통체(362)의 선단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세정수는 제1통체(362)와 배출노즐(35a)사이의 공간 또 제1통체(362)와 제2통체(364)사이의 공간을 통해 혼입될 수 있다. 다단 유량증폭 및 순간유량증가는 배출노즐(35a)이 통체로부더 분리된 때 조차도 여전히 얻을 수 있다. 그런 구성은 통체에서 각각 측면개구를 제공하는 필요를 제거할 수 있다.
제13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제13실시예의 대변기는, 세정수를 홉입하기 위해 배출노즐(35)로부터의 흐름을 사용하는 다른 실시예들과는 달리, 세정수저장부(104)내의 세정수가 노즐로부터의 압축된 공기의 흐름에 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0은 제13실시예에 따른 대변기(370)의 모식도이다. 상기 대변기(370)는 단지 보울부(101) 내에 고이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기구(도시되지 않음)을 가진다. 이를 위해, 보울부가 세정된 후 상기 물공급기구가 소정시간동안만 물공급원으로부터의 관로를 개방하고, 또 소정량의 세정수를 보울부(101)로 안내하여 고이게 하고, 이와 동시에 세정수저장부(104)에는 세정수가 공급된다.
상기 대변기(370)는 세정수저장부(104)의 아래에 형성된 Z 도수로(161)의 후방(도면에서 좌측)에 공기노즐(372)를 가진다. 상기 공기노즐(372)은 세정수저장부(104)의 하단부로부터 약간 뒤에 위치된 노즐의 선단에 오도록 하여 변기보울벽(101c)에 수밀되게 고정된다. 따라서, 공기노즐(372)와 Z 도수로(161)는 제트펌프를 형성한다. 상기 공기노즐(372)는 콘트롤러(376)에 의해 제어된다. 조작판(378)으로부터의 광신호에 응답하여, 콘트롤러(376)는 압축기(374)로부더 압축공기의 전달을 시작하고 정지한다.
따라서, 조작판(378)으로부터 콘트롤러(376)로 세정신호가 보내질 때, 상기공기노즐(372)은 고속, 고압으로 Z 도수로(161)로 압축된 공기를 배출한다. 도수로(161)를 통하는 이 압축공기의 통로는 세정수저장부(104)로 부터의 세정수를 혼입하는 이젝터효과를 생성한다.
결과적으로, 세정수저장부(104)로부터의 세정수의 혼입에 의한 유량증폭과 순간유량증가의 단계에서 배출된 공기(압축된 공기)의 흐름은 Z 도수로(161)를 따라 배출되고 또 Z 물배출구(106)으로부터 입구(121)를 향한다. 공기와 세정수의 혼합은 유량증폭 및 순간유량증가의 단계에서 배출되고 또 보울부를 세정한다. 이것은 높은 세정성능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물공급원으로부터의 세정수의 배출할 필요가 없고, 그래서 세정수저장부(104)내에서 적은 양의 물은 오물을 배출하여 내기에 충분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0.5에서 2.0리터의 물만이 필요한다. 따라서, 절수는 증강된다.
게다가, 보울부(101) 내에 고인 물을 포함하기에 충분한 물만이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것이 필요하다. 물은 배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될 필요는 없다. 추가로,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의 압력에 불구하고, 압축된 공기는 압축기(374)에 의해 등압력에서 전달될 수 있다. 이것처럼, 높은 세정능력과 절수는 이용기능한 물공급압력이 약 0.3kgf/㎠ 정도로 낮은 곳에서 조차도가능하고, 물공급압력이 정규적으로 혹은 계절적으로 0.3kgf/㎠정도로서 낮게 될 때 조차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것은 로우-실루엣(low-silhouette)타입 대변기의설치지역을 늘리는데 도움이 된다.
배수트랩(102)에서 일어난 사이폰작용이 소멸된 후에 조차도 공기노즐(372)로부터 압축된 공기를 배출하는 것을 계속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만약 사이폰작용이 무슨 이유에서로서든 소멸된다면, 오물이 상승관(122)의 외부 뒤로 흐르도록 하면서, 압축된 공기의 제트가 오물호퍼부(112) 내에 있는 오물을 상승관(122)및 하강관(123) 하부를 통해 밖으로 불어낼 수 있다.
제14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제14실시예는 급수원의 급수압 저감하에서의사용 혹은 저급수압지역에서의 사용, 혹은 수량이 적은 지역, 시기에서의 사용을 상정하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51은 제14실시예에 따른 대변기(400)의 도식도이다. 상기 대변기(400)는 이전의 실시예와 같이 림워터세정/제트워터세정/림워터세정의 같은 세정순서를 사용하는데, 이것은 보울부(101)로 분사되는 세정수를 사용하는 림워터세정과 제트워터세정을 위한 분리된 세정수공급시스템을 가진다.
도 51을 참고하면, 상기 대변기(400)는 물공급원과 연결되고 일반적으로 개방된 지수전(402)을 가진다. 상기 지수전(402)의 하류측은 림공급채널(404)과 제트공급채널(406)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림공급채널(404)은 콘트롤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되는 림밸브(408)를 가진다. 림밸브(408)가 개방되었을 때, 물공급원으로부터의 세정수는 림채널(103)로 직접 공급된다. 즉, 림공급채널(103)에서 세정수 공급압력(흐름압력 Fp)은 림채널(103)로 공급되고 또 림의 출구(132)를 통해 볼울부(101)로 내려간다. 초기의 림공급은 보울부를 세정하기 위한 것이고, 반면에 마지막 림공급은 보울부(101)에 고인 물에 제공하고 세정수저장부(104)를 충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트공급채널(406)은 압력탱크(410)의 제어밸브(412)의 입구에 연결되고, 또 압력탱크(410)로부터 세정수를 공급한다. 상기 제트공급채널(406) 역시 압력탱크(410)로부터 세정수의 흐름을 정지하기 위한 비귀환밸브(405)를 또한 가진다.
제어밸브(412)의 출구는 그 중간부에 제트밸브(414)를 가지는 연결관(137)에연결된다. 압력탱크(410) 내의 세정수는 연결관(137)을 통해 배출노즐(35)로 공급된다. 위의 실시예, 특별히 도 14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대변기(100A)처럼, 배출노즐(35)은 Z 도수로(161)의 후방에 배치되고 Z 물배출구(106)를 통해 입구(121)를 향한다. Z 도수로(161)화 함께 제트펌프를 형성하는, 배출노즐(35)로부터의 세정수의 흐름은 유량증폭된 세정수의 배출과 같이 입구(121)을 향해 배출된다. 그러므로 제트워터 세정은 시작하고, 또 오물이송과 보울부세정이 유량증폭된 정수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트밸브(414)는 콘트롤러에 의해 동작된다.
제어밸브(412)에 의해, 압력탱크(410) 내의 세정수는 소정의 압력으로 유지되어, 연결관(137)을 통해 배출노즐(35)이 세정수의 일정한 공급을 제공하게 한다.
이것은 다음의 장점을 가진다.
제트공급채널(406) 내의 상기 흐름압력(Fp)은 다른 밸브 등의 상태에 따라 변하고, 또 초기압력설정인 공급수정지압력(Sp)의 1/5 정도만큼 감소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밸브(412)는 이 흐름압력(Fp)에서 제트공급채널(406)을 통해 공급된 세정수가 압력탱크(410)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압력탱크(410)에서 공급수정지압력(Sp)에서 가압된 세정수는 그 압력에서 연결관(137)으로 공급되고, 그에 의해 비록 흐름압력(Fp)이 떨어질지라도, 배출노즐(35)로 공급된 세정수는 항상 이 공급수정지압력(Sp)이다.
상기 압력(Sp)에서 공급될 수 있는 세정수의 흐름량(Q)과 탱크부피(V)는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압력 탱크(410)가 공급수정지압력(Sp)에서 배출노즐(350로 공급할 수 있는 물의 양(Q)은, 상기 압력탱크(410)내의 공기가 공급수정지압력(Sp)이고 공기의 부피가 V1이라고 가정하면, 상태식(PV=nRT)에서, 다음 관계식이 얻어진다.
상기 물이 공급된 후에, 상기 압력탱크(410)는 완전히 공기로 채워질 것이다. 공기의 압력이 흐름압력(Fp)이므로, 관계식에 따라,
탱크부피(v)는 공기부피(V1)와 유량(Q)의 합과 같으므로, 위의 식은
로 된다.
이들 두 상태에서, 탱크에 있는 공기의 몰수와 온도는 같고, 그래서
이 실시예의 대변기는 제트펌프에 의해 유량증폭된 세정수를 사용하여 세정되므로, 유량(Q)은 약 1.2리터로 설정된다. 상기 공급수정지압력(Sp)은 1.5kgf/㎠에 또 흐름압력(Fp)는 0.5kgf/㎠로 설정되고, 그래서 공기부피(V1)는 1.8리터이다.즉, 탱크부피(V)는 3.0리터이다. 3리터의 작은탱크부피이면 충분하므로, 상기 압력탱크(410)는 상기 보울부메인몸체(101c)에 충분히 적합하게 만들어 질 수 있다.
제트펌프는 림워터세정을 위해 도한 제공된다. 세정수가 압력탱크(410)로부터 공급수정지압력(Sp)에서 그 제트펌프의 노즐로 공급될 때, 상기 압력탱크는 단지 그 목적으로 충분히 큰 부피(V)를 필요로한다.
대변기(400)의 세정과정이 설명될 것이다. 세정과정전에 림밸브(408)와 제트밸브(414)는 닫혀지고 지수전(402)이 개방되어, 물은 제트공급채널(406)로부터 압력탱크(410)로 흐른다. 추가로, 탱크에서의 세정수 압력은 세정과정 전에 공급수정지압력(Sp)까지 증가된다.
조작판(도시되지 않음)상의 세정버튼이 눌러질 때, 램밸브(408)가 개방된다.그래서, 세정수는 물공급원으로부터 림채널(103)으로 공급되고, 림세정은 위에서설명된 바와 같이, 보울부(101)의 표면세정을 위해 이루어진다. 그리고나서, 연속적으로, 림밸브(408)는 닫혀지고 또 제트밸브(414)는 개방되고, 또 가압된 세정수는 연결관(137)을 통해 배출노즐(35)로 공급된다. 상기 세정수는 공급수정지압력(Sp)에서 고속으로 배출된다. 그러므로, 흐름압력(Fp)이 낮아지더라도, 세정수는 공급수정지압력(Sp)이상에서 배출노즐(35)로부터 배출될 수 있는데, 그 압력은 항상 높다. 비록 물공급원으로부터의 물의 총량이 작더라도, 압력탱크(410)(상기 양 Q)로부터 공급될 수 있는 것보다 많은 양의 물이 공급수정지압력(Sp)에서 배출노즐(35)로 공급된다. 세정수저장부(104)로부터의 세정수를 혼입하는 배출수흐름은 유량을 증폭하고 또 순간유량을 증가시키고, 그것에 의해 오물을 배출하고 보울부를 세정하는 유량증폭된 세정수의 제트가 된다.
따라서, 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유량증폭된 세정수는 높은 세정능력과 대변기에서의 절수를 제공한다. 게다가, 이 세정능력과 절수는 흐름압력(Fp)이 불구하고 실현되고 그러므로 낮은 공급수정지압력(Sp)을 가지는 영역과, 다른 트랩이나 지역적인에서 심한 사용 때문에 대변기로 적은 물이 공급되는 것을 포함하는, 어떤 이유에서 공급수압력이 낮은 시간에 조차도 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대변기(400)는 낮은 물공급압력지역과 유량이 적은 지역을 포함하는 넓은 영역에서 로우-실루에트 타입이 사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위에서 설명된 제트 세정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림밸브(408)는 상기 제트밸브(414)의 닫힘과 동시에 개방되고, 또 림세정은 보울부(101)내에 물을 다시 채우기 위해 다시 시작하고 또 세정수저장부(104)에 세정수를 충진한다.
제15실시예가 이제 설명될 것이다. 비록 제14실시예와 같이 이것은 물공급원이, 지역적인 특성을 포하하는 낮은 공급압력을 가지는 지역을 위해 설계되었고, 제15실시예는 세정수가 단지 가압되고 공급압력이 낮은 때 배출된다. 이를 위해, 이 제15실시예의 대변기는 다음의 부가물을 가진 대변기(400)를 포함한다 이 제15실시예의 대변기는 배출노즐(35)에 의해 배치된, 도 51에 이점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배출노즐(35C)을 가진다. 제트공급채널(406)로부터 분지된 바이패스관(415)에 의해 압력탱크(410)와 연결관(137C)을 바이패스하고, 세정수는 압력탱크(410)를 바이패스하면서, 세정수는 물공급원 압력에서 배출노즐(35C)로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관(415)는 상기 바이패스관을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제트밸브(417)를 가진다. 이 설명을 위하여, 상기 제트밸브(414)는 "제1제트밸브(414)로 칭해지고 또 제트밸브(417)는 "제2 제트밸브"로 밸브사이에서 구별된다. 유사하게, 상기 배출노즐(35)은 "제1분사노즐(35)"로 칭해지고 또 상기 배출노즐(35C)은 "제2분사노즐(35C)로서 칭해진다.
따라서, 제15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노즐(35,36)의 사용은 구별될 수 있고,또 둘다 유량증폭된 세정수에 위해 세정을 위해 사용될 것이다. 제15실시예에서,노즐의 사용은 다음과 같이 구별된다. 도 52는 본 실시예의 대변기에서 세정순서의 순서도이다.
도 52에 도시된 과정은 세정버튼이 눌러졌을 때 각 시간에서 제15실시예에서대변기의 제어수단에 의해 유효하게 된다. 과정이 시작될 때, 총압력(P)(흐름압력Fp)가 지수전(402)의 하루측에 제공된 압력센서(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얻어진 압력이 읽혀진다(단계 S500). 그리고나서, 압력(P)이 소정압력(PO)보다 더 큰지 아닌지를 결정한다(단계 S510). 상기 압력(PO)은 공급수정지압력(Sp)의 약80%이도록 설정된다. 물공급원으로부터 배출노즐로 직접 물을 배출할 때 압력이 특정되고, 압력(PO)은 보울부 세정 및 배출을 위한 유량의 증폭과 순간유량의 증가를 위해 고속과 고압의 흐름을 제공한다.
단계 S510에서의 결정이 긍정적일 때, 그 시간에서의 공급압력은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그래서 단계 S520에서 림세정/제트세정/림세정의 세정순서로 되도록다음의 밸브제어가 수행된다. 특히, 상기 림밸브(408)는 개방되고 상기 림세정이 시작되며, 보울부의 표면이 림으로부터의 물에 의해 세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림밸브(408)가 닫혀지고 제2제트밸브(417)이 개방된다. 결과적으로, 물공급원으로부터의 물은 제2배출노즐(35C)로 직접 공급되고 또 고속, 고압 제트로 배출되고, 또제트워터세정이 제2배출노줄(35C)과 함께 시작한다. 결과는 높은 세정능력과 절수로 믿을 만한 오물이송과 보울부의 세정이다. 그리고나서, 보울부에 물을 채우고 세정수를 채워 마지막 림워터세정을 하도록 다시 상기 제2제트밸브(417)는 닫히고상기 림밸브(408)는 개방된다.
만약 단계 S510)에서의 결정이 부정적이면 이것은 그 시간에서 고속과 고압제트로 물을 배출하기 위한 공급압력이 너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단계 S530에서, 림세정/제트세정/림세정의 세정순서를 위한 다음의 밸브제어가 수행된다. 먼저, 단계 S520에서 처럼, 상기 림밸브(408)는 제1림워터세정을 수행하기 위해 동작된다. 그리고나서 상기 제1제트밸브(414)는 압력탱크(410)에서 공급수정지압력(Sp)에서 가압된 세정수를 제1배출노즐(35)로 공급하도록 작동되고 고속, 고압세정제트로서 배출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제1배출노즐(35)를 사용한 제트세정에 의해 높은 세정능력과 절수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확실한 오물이송 및 변기세정을 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계 S520에서처럼, 상기 림밸브(408)는 마지막 림세정을 위해 다시 동작된다.
제트펌프에 의해 생성된 유량증폭된 세정수의 배출에 의한 세정에 대해서, 물공급압력이 낮을 때, 제15실시예에 따른 위에서 설명된 대변기는 제1배출노즐(35)이 고속과 고압으로 제1배출노즐(35)이 배출하도록 압력탱크(410)내의 압력 하에서 저장된 세정수를 사용하고, 상기 유량증폭된 세정수는 입구(121)로 흐른다(단계 S530). 공급수압력이 충분히 높으면, 세정수는 물공급원으로부터 제2분사노즐(35C)로 배출되는 높은 공급수압력으로 직접 공급되고, 입구(121)로 유량증폭된 세정수를 형성한다(단계 S520). 따라서, 공급수압력이 어떻든지, 제15실시예에 따른 대변기는 높은 세정능력과 절수로 믿을 만한 오물이송과 대변기 세정을 제공한다.
제16실시예가 설명되는데, 이는 배출노즐로부터 가압된 공기와 세정수의 혼합을 배출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53은 본 실시예의 대변기의 주요부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6실시예의 대변기에서는, 배출노즐(434)이,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사용된 배출노즐(35)를 대신하여 사용된다. 이 배출노즐(435)는 대변기보울벽체(101c)에 수밀되게 부착되고, 또 분사노즐(35)처럼 동일한 방향성을 가진다.
상기 배출노즐(435)는 연결관(137)과의 접속부 근처에, 공기와 물을 혼합하기 위한 혼합관부(437)를 가진다, 상기 혼합관부(437)는 공기는 통과할 수 있으나액체는 통과하지 못하는 미세공을 가진다. 상기 배출노즐(435)은 혼합관부(437)가들어 있는 밀폐실(439)을 가지고;가압된 공기는 압력펌프(440)로부터 밀폐실(439)로 공급된다. 연결관(137)을 통해 배출노즐(435)로 흐르는 세정수는 혼합관부(437)의 하류부에서 가압된 공기와 혼합된다. 따라서, 가압된 공기가 혼합된 세정수는 배출노즐(435)와 Z 도수로(161)로 형성된 제트펌프에 의해 유량증폭된 세정수의 흐름으로 배수트랩 입구(121)를 향해 배출노즐(435)로부터 배출된다.
압축된 공기와 물의 혼합에 의해 제공된 유량증폭의 졍도, 즉, 세정수의 에너지(제트에너지)가 설명된다.
Z 물배출구(106)로부터 흐르는 세정수의 Z 에너지(E)는 ρw가 물의 밀도, S가 Z 물토출구(106)의 개구의 면적, 그리고 V가 Z흐름속도인 다음의 식으로부터 얻어진다.
이식의 Z 에너지(E)는 공기-물 혼합이 없을 때이다.
만약 η가 물내의 공기혼합비율이라면, Qa는 공기흐름의 공기양이고 Qw는 물흐름의 양이며, 그래서 혼합비 η는 Qa/Qw이다. 또한, 만약 ρa가 공기밀도라면,공기가 혼합율η의 비율로 혼합한 상태의 세정수의 밀도 ρ'는, 물의 밀도 ρw, 공기유량 Qa, 세정수유량 Qw 및 공기의 밀도 ρa를 사용하여 이하와 같이 된다.
상기 혼합율로 공기가 혼합된 세정수의 Z 에너지(E')는
로 표현된다. 그리고 ρ'를 대입하고 V를 (Qw + Qa)/S로 대체하면, 상기 Z에너지(E')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그러므로, 제16실시예에 따른 대변기의 경우에, 배출노즐(435)을 통한 세정수 흐름과 섞인 공기는 Z 에너지를배 증가할 수 있다. 이것은 배출노즐(435)로 공급된 세정수의 압력이 낮을 때 조차도, 유량증폭된 세정수의 배출이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량증폭된 세정수는 유량증폭과 순간유량증가의 상태에서 Z 물토출구(106)로부터 입구(121)로 배출된다. 따라서, 공급수의 압력이 어 떻든지간에, 대변기는 높은 세정능력과 절수와 함께 믿을 만한 오물이송과 변기세정을 제공한다.
제16실시예의 변형에서, 압력센서는, 위의 제15실시예와 같이, 배출노즐(435)로 공급되는 세정수의 공급압력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만약 검출된 압력이 고속과 고압의 세정수의 배출을 제공하기에 너무 낮으면, 즉, 만약 압력이 위의 압력(PO)보다 작으면, 공기는 상기 흐름에 혼합된다. 이 변형에서, 공기에 혼합함에 의해 세정수의 고에너지 배출을 만들기 위한 펌프(440)의 사용은 공급수압력이 낮을 때로 한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펌프(440)는 간헐적 혹은 일시적으로만 구동될 필요가 있고, 이 것은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을 돕니다.
앞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되었다. 하지만, 설명된 실시예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정의된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변기의 보울부 내의 오물을 세정수를 사용하여 변기 외부로 이송하고, 변기세정을 행하는 대변기의 절수화 대책에 유용한 것이다.

Claims (45)

  1. 오물을 이송하기 위한 세정수를 토출하는 물토출부재; 그리고
    상기 세정수가 분출될 때, 상기 오물의 이송에 사용하기 위한 세정수의 유량을 증폭시키고, 상기 변기보울내의 상기 오물을 이송하기 위해, 상기 증폭된 유량의 세정수를 상기 물토출부재로 인도하는 증폭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변기보울의 보울부내의 오물이 세정수에 의해 상기 변기보울의 외부로 이송되는 대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수단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나타내는 구동유체와 상기 보울부 내의 상기오물의 이송을 위해 공급되는 세정수를 나타내는 피구동유체를 함께 섞어 분출하기위한 구동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펌프는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분출하기 위한 구동노즐과 상기 물토출부재로 상기 양측 유체를 인도하고 상기 구동노즐에 대해 상기 양유체의 흐름경로를 형성하는 슬로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노즐의 직경(d)과 상기 슬로트의 직경(D)의 비(d/D)는 약 0.3에서 0.7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로트는 상기 슬로트의 직경(D)의 약 2에서 6배인길이(L)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기는:
    상기 오물 이송의 시작전에 물을 저장하기 위하고 또 상기 공급된 세정수로서 상기 저장된 물을 사용하기 위한 저류부; 그리고
    상기 저류부가 상기 슬로트와 교류하게 만들기 위한 연통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는 변기보울 림표면 아래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는 상기 보울부로부터 부분적으루 분리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는 상기 보울부내 저장된 물이 상기 저류부로유입가능한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는 상기 변기보울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됨을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기는:
    상기 보울부내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트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펌프는 상기 배수트랩의 상승관의 상승점에 배치되고 상기 상승관의 관로를 지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로트의 직경(D)에 대한 상기 상승관의 직경(K)의 비(D/K)는 약 0.3에서 0.6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재는 상기 저류부와 상기 슬로트의 연통과 비연통 사이를 절환하는 절환수단을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수단은 상기 연통상태 사이에서 연통 및 비연통을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수단은 상기 저류부내에 물이 존재하지 않을때 상기 관로 연통상태를 비연통상태로 절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수단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나타내는 구동유체와 공기를 나타내는 피구동유체 모두를 섞어 분출하기 위한 배출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펌프는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물을 배출하기 위한 구동노즐과 상기 구동노즐에 관계된 상기 양 유체의 흐름로를 형성하고 상기 물토출부재로 상기 양 유체를 인도하는 슬로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로트는 상기 구동노즐에 물이 공급될 때 공기흐입을 허용하기 위하고 물이 공급되지 않을 때 공기 흡입을 차단하기 위한 공기흡입차단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펌프는 상기 보울부로 분출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펌프는 상기 유체가 림채널로 배출되게 설치되는데, 이는 상기 보울부의 상단부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보울부로 상기 세정수를 분출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펌프는 상기 림채널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유체를 분출시키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펌프는 상기 보울부로 유체가 직접 분출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하는 대변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펌프는 상기 보울부내에 저장된 물이 선회하게하는 특정방향으로 유체를 배출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펌프는 상기 저장된 물의 표면 위의 위치로부터 상기 저장된 물 내에 선회를 일으켜 배출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기는:
    상기 보울부에 고인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트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펌프는 상기 보울부를 거쳐 상기 배수트랩의 입구를 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기는;
    상기 보울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오물이송의 시작 전에 물을 저장하고 또 상기 공급된 세정수로서 상기 저장된 물을 사용하는 저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류부는 상기 보울부 내에 저장된 물이 상기 저류부로 유입되게 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기는;
    상기 보울부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오물이송의 시작 전에 물을 저장하고 또 상기 공급된 세정수로서 상기 저장된 물을 사용하는 저류부; 그리고,
    상기 보울부와 상기 저류부가 연통하게 하고, 상기 보울부내에 저장된 물의 흐름을 허용하기 위한 도수로를 구비하고, 상기 도수로는 상기 보울부의 일측에 상기 배수트랩의 상기 입구에 대향하는 배수구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 펌프는 상기 슬로트로서 상기 도수관을 포함하고, 또 상기 구동 노즐은 상기 도수관 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는:
    유체의 흐름로를 형성하고 상기 보울부 내에서 상기 배수 트랩의 상기 입구에 대향하게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펌프의 구동 노즐은 상기 저류부의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배수트랩의 상기 입구를 향하돌고 상기 저류부 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는 상기 보울부를 구성하는 벽부재를 가로질러 상기 보울부 아래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브의 내측벽 표면은 상기 구동 노즐을 향하여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기는:
    상기 저류부의 상기 개구부로 개방되고 상기 구동노즐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노즐로부터 분출된 물이 흘러서 통과하게 하는 관체를 포함하고. 상기 관체는 상기 구동노즐로부터 분출된 물과 저류부 내에 존재하는 세정수를 합치는 개구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노즐과 상기 관체는 서로 일체로 되고 상기 저류부에 설치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31. 제 23 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배출 펌프가 상기 배수트랩의 입구를 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32.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펌프는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분지된 다수개의 구동 노즐, 및 상기 다수개의 구동 노즐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개의 슬로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3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펌프의 적어도 두개는 상기 보울부로 분출유체를 유입되게 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펌프의 하나는 림 채널로 분출유체를 배출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보울부로 세정수를 분출하도록 상기 보울부의 상부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고, 또
    상기 배출 펌프의 나머지는 보울부로 직접 분출유체가 분출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기는:
    상기 보울부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트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른 배출 펌프는 상기 배수트랩의 입구를 향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하는 대변기.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기는 상기 하나의 배출 펌프에서 상기 다른 배출 펌프로,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물공급선을 순차적으로 절환하기 위한 공급절환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37. 제 36 항에 있어서, 공급절환수단은 다른 배출 펌프로 절환된 후에, 상기 다른 배출 펌프에서 상기 하나의 배출 펌프로 다시 상기 급수원으로부터의 물공급선을 절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3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수단은 다단 방식으로 세정수의 유량을 증폭하기 위한 다단 증폭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증폭 수단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나타내는 구동유체와 상기 보울부에서 상기 오물의 이송을 위해 공급된 세정수를 나타내는 피구동유체 모두를 섞어 배출하는 배출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펌프는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분출하기 위한 구동 노즐, 상기 양 유체의 관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구동노즐에 대응되게 배치된 제1슬로트, 그리고 상기 제1 슬로트에 대향하고 상기 세정수를 상기 제1슬로트를 통과한 유체에 혼합시켜서 상기 물토출부재로 인도하기 위한 제2슬로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4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수단은:
    공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나타내는 구동유체와 상기 보울부 내의 상기 오물의 이송을 위해 공급된 세정수를 나타내는 피구동유체 모두를 섞어 배출하는 배출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펌프는 상기 공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배출하기 의한 구동 노즐과 상기 물토출부재로 상기 양 유체를 인도하고 상기 구동 노즐에 응답하여 상기 양 유체의 흐름 경로를 형성하는 슬로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4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기는: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 펌프는 상기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구동노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4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기는:
    급수원이 낮은 급수압력을 가질 때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 펌프는: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직접 배출하기 위한 제1구동노즐:
    상기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2구동노즐; 및
    상기 급수원의 급수압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구동노즐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4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기는: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압된 공기와 혼합하기 위한 혼합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 펌프는 상기 혼합수단에 의해 가압된 공기와 혼합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구동노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수단은 상기 급수원이 낮은 급수압력을 가질 때 상기 공급된 물과 가압된 공기를 혼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대변기.
  4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기는:
    상기 오물이송의 시작 전에 물을 저장하고 상기 공급된 세정수로서 저장된 물을 이용하기 위한 저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류부에 저장된 물의 양(TW)과 상기 보울부에 존재하는 물의 양(BW)의 비율(TW/BW)의 범위는 약 0.25에서 0.35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KR10-1999-7001021A 1996-08-06 1997-08-05 대변기 KR100490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39650 1996-08-06
JP23965096 1996-08-06
JP8773097 1997-03-21
JP???9/87730 1997-03-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859A true KR20000029859A (ko) 2000-05-25
KR100490856B1 KR100490856B1 (ko) 2005-05-24

Family

ID=26428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1021A KR100490856B1 (ko) 1996-08-06 1997-08-05 대변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15853A (ko)
JP (1) JP3538842B2 (ko)
KR (1) KR100490856B1 (ko)
CN (1) CN1175150C (ko)
TW (1) TW350892B (ko)
WO (1) WO19980058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1351A1 (ko) * 2017-02-16 2018-08-23 강현웅 사이클론식 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D28957A (id) * 1999-09-27 2001-07-19 Toto Ltd Kakus siram dan alat pemasok air penyiram
US20040040080A1 (en) * 2002-08-30 2004-03-04 American Standard, Inc. Toilet assembly
JP3632976B2 (ja) * 2002-08-30 2005-03-30 東陶機器株式会社 開閉弁装置
US7305721B2 (en) * 2002-09-25 2007-12-11 Toto Ltd. Toilet bowl device
US7020908B2 (en) * 2003-01-20 2006-04-04 Kohler Co. Toilets with quick flush trapways
US7047574B2 (en) * 2003-02-27 2006-05-23 Geberit Technik A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varying a volume of a liquid held by a toilet receptacle
US8032956B2 (en) * 2005-11-21 2011-10-11 Ideal Standard International Bvba Multi-phase, high energy flushing system
US8082605B2 (en) * 2006-09-08 2011-12-27 Dan Marius Andreiu Low flow hygienic apparatus and methods
JP4110578B1 (ja) * 2006-12-28 2008-07-02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ITMI20071284A1 (it) * 2007-06-27 2008-12-28 Fausta Donnini Apparecchio sanitario per la raccolta e l'eliminazione di rifiuti organici
DE102007031903A1 (de) * 2007-07-09 2009-01-22 Airbus Deutschland Gmbh Spülvorrichtung für eine Vakuumtoilette mit einer Düsenanordnung
KR100901186B1 (ko) * 2008-05-14 2009-06-04 이수인 (주)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US8615822B2 (en) * 2009-05-31 2013-12-31 Fluidmaster, Inc. Air pressure activated toilet flushing system
KR100941293B1 (ko) 2009-10-29 2010-02-11 권태윤 수세식 좌변기
CA2789807C (en) 2010-07-20 2018-05-01 As Ip Holdco, Llc High performance toilets capable of operation at reduced flush volumes
PT2628546E (pt) * 2012-02-16 2014-10-07 Geberit Int Ag Braço com chuveiro para sanita com jacto inferior
CN110056065A (zh) * 2014-08-18 2019-07-26 骊住株式会社 冲水马桶
KR101776003B1 (ko) * 2015-09-25 2017-09-07 강윤기 사이클론식 변기
JP6202476B2 (ja) * 2016-03-09 2017-09-27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KR101721377B1 (ko) * 2016-08-18 2017-04-10 계림요업주식회사 트랩상단부 급속충전에 의해 사이펀 작용이 촉진되는 절수형 변기
US20180080923A1 (en) * 2016-09-19 2018-03-22 David R. Hall Toilet Bowl Optical Engine
JP6828426B2 (ja) * 2016-12-26 2021-02-10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JP6928866B2 (ja) * 2017-03-30 2021-09-01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CN109853691A (zh) * 2018-12-11 2019-06-07 厦门派夫特卫浴科技有限公司 一种马桶冲刷控制系统
US11668085B2 (en) 2019-02-28 2023-06-06 Kohler Co. Rim jet nozzle system for toilets
JP6970392B2 (ja) * 2020-02-04 2021-11-24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2262A (en) * 1977-07-01 1979-03-06 Hamilton William H Flush toilet system
JPS5919678U (ja) * 1982-07-30 1984-02-06 株式会社イナックス ゼツト孔付き便器
JPS60203748A (ja) * 1984-03-06 1985-10-15 株式会社イナックス サイホンボルテックス便器
US5204999A (en) * 1989-03-30 1993-04-27 Toto Ltd. Flush water supply system for toilet stool
US5046201A (en) * 1990-04-16 1991-09-10 Kohler Co. Pressurized flush toilet tank
JPH0630280A (ja) * 1991-03-19 1994-02-04 Nec Eng Ltd 2値画像データのブロック別選択型符号化前処理方式
JPH04327619A (ja) * 1991-04-26 1992-11-17 Toto Ltd サイホンジェット式便器
JP3077129B2 (ja) * 1992-04-30 2000-08-14 東陶機器株式会社 水洗式便器
JPH05311719A (ja) * 1992-05-14 1993-11-22 Fluidmaster Inc トイレおよびトイレを動作する方法
JP3077130B2 (ja) * 1992-06-12 2000-08-14 東陶機器株式会社 サイホンジェット式便器
JPH06299585A (ja) * 1993-04-16 1994-10-25 Inax Corp 気泡サイホン便器
DK0663035T3 (da) * 1993-08-02 2000-05-22 Geberit Technik Ag Skylleindretning til et vandklos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1351A1 (ko) * 2017-02-16 2018-08-23 강현웅 사이클론식 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0856B1 (ko) 2005-05-24
JP3538842B2 (ja) 2004-06-14
US6115853A (en) 2000-09-12
CN1227618A (zh) 1999-09-01
WO1998005829A1 (fr) 1998-02-12
CN1175150C (zh) 2004-11-10
TW350892B (en) 199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0856B1 (ko) 대변기
CN101688389B (zh) 具有用于防止溢出的辅助水箱的坐便器
US7661153B2 (en) Flush toilet
CN100582402C (zh) 水洗大便器
CN101506439B (zh) 冲水大便器
JP2836856B2 (ja) 給水及び排泄物処理システム
CN102776934B (zh) 冲水大便器
JP2004156382A (ja) 便器
KR20140015322A (ko) 변기 세정 장치 및 수세식 변기
TWM562868U (zh) 混合式沖水系統
US7594282B2 (en) Western-style toilet facility
JP2009243052A (ja) 水洗大便器
US5218726A (en) Water conserving toilet
US6295660B1 (en) Toilet tank with sediment removal assembly
US20020000246A1 (en) Suction-type siphon for a flushing device
JPH10137711A (ja) 真空式汚水排水方法
CN115404956A (zh) 一种抽吸式马桶
CN208917945U (zh) 一种建筑真空马桶
JP2004084473A (ja) 水洗便器
JP2003090074A (ja) 大便器
CN220847876U (zh) 一种马桶
JPH08151671A (ja) タンク一体型ワンピース便器
CN214090209U (zh) 一种具有喷射虹吸防臭功能的小便器
JPH0230545Y2 (ko)
CN108824577A (zh) 一种建筑真空马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