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9990030148A - 산소 발생제, 탄산가스 흡수제 및 활어패류의 수송 시스템과 활어패류의 수송 방법 - Google Patents

산소 발생제, 탄산가스 흡수제 및 활어패류의 수송 시스템과 활어패류의 수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0148A
KR19990030148A KR1019980039903A KR19980039903A KR19990030148A KR 19990030148 A KR19990030148 A KR 19990030148A KR 1019980039903 A KR1019980039903 A KR 1019980039903A KR 19980039903 A KR19980039903 A KR 19980039903A KR 19990030148 A KR19990030148 A KR 19990030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carbon dioxide
shellfish
live fish
oxygen gener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9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요시 요시다
야스오 히로
준 고꾸부
지하루 니시자와
스스무 와따나베
Original Assignee
오오히라 아키라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61607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00201A/ja
Priority claimed from JP338732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69016A/ja
Priority claimed from JP169469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206266A/ja
Application filed by 오오히라 아키라,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히라 아키라
Publication of KR19990030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14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5Sorbents inside a permeable or porous casing, e.g. inside a container, bag or membran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 C01B13/0203Preparation of oxygen from inorganic compounds
    • C01B13/0211Peroxy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2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B01J20/041Oxides or hydr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6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oxides or hydroxide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0/04
    • B01J20/0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oxides or hydroxide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0/04 comprising aluminium oxide or hydroxide; comprising baux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0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comprising silic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6Alumino-silicates
    • B01J20/18Synthetic zeolitic molecular sie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 C01B13/0222Preparation of oxygen from organic compounds
    • C01B13/0225Peroxy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Packag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어패류의 수송시에 사용하는데 유용한 산소 발생제, 탄산가스 흡수제 및 활어패류의 수송 시스템, 그리고 활어패류의 수송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산소 발생제는, 고체 과산화물과 과산화물 분해 촉매를 컵법 투습도(透濕度)(40℃, 90% 상대습도)가 20 g/m2/24 시간 이상이고, 동시에 상압에서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투습성 재료로 포장한 것이다. 또한, 탄산가스 흡수제는 알칼리 토류금속 수산화물 및(또는) 산화물을, 가레이식 공기 투과도(透氣度)(JIS P8117)가 공기 100 ml 당 0.1 내지 3,000 초이고, 동시에 상압에서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기체 투과성 재료로 포장한 것이다. 또한, 활어패류의 수송 시스템은 본 발명에 관한 산소 발생제 및 탄산가스 흡수제를 수송 자루 내에 봉입한 것이다.

Description

산소 발생제, 탄산가스 흡수제 및 활어패류의 수송 시스템과 활어패류의 수송 방법.
본 발명은 활어패류의 활력 저하나 폐사를 방지하는 산소 발생제, 탄산가스 흡수제 및 활어패류의 수송 시스템과 활어패류의 수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용의 천연어나 양식어, 또는 관상어 등을 살아있는 그대로 수송하는 활어패류 수송 방법은 크게 나누어서 무수 수송, 탱크 수송 및 플라스틱 수송이 있다.
무수 수송은, 물을 사용하지 않고 공기 중에 고기가 노출된 그대로 수송하는 방법으로, 잉어, 붕어, 미꾸라지, 수레세우 등에 사용되고 있다. 공기 중에서 고기는 산소 결핍 상태가 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무수 수송은 단시간의 수송에만 이용될 수 밖에 없다.
탱크 수송은, 트럭에 부착된 수조 중에 산소통으로부터 산소를 공급하면서 고기가 헤엄을 치게 하면서 수송하는 방법으로, 대량으로 비교적 장거리 수송에 사용되지만, 고가의 전용 설비가 필요하게 되어, 수송 비용이 높아져서 용도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또, 일본 특허 공개 (평) 제4-26808호에는, 외부에 에어펌프와 탄산가스 홉착조가 구비된 용기에 고기, 물, 산소를 넣고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수송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 방법도 고가의 전용 설비가 필요하여 수송 비용이 높아져서 용도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플라스틱 수송은, 플라스틱 필름 자루에 물과 활어패류를 넣고, 상부에 공간이 있는 상태에서 밀봉하여, 다시 골판지 상자 등에 넣고 수송하는 방법으로서, 소규모, 단시간의 수송에 사용되고 있다. 플라스틱 수송은 간편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방법으로 다양한 양식어, 천연어, 또는 관상어의 수송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 수송으로는, 수송 중의 수온, 용존 산소의 농도 및 수질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24 시간 이내의 수송에도 수송 중에 고기의 활력이 저하되거나 고기가 폐사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플라스틱 수송에서는 수송 중의 고기의 활력 저하나 폐사를 방지하기 위해 고기와 함께 밀봉하는 물의 온도를 내리거나, 상부의 공간에 산소가스를 봉입시키거나, 먹이를 중단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도 활어패류의 활력 저하나 폐사의 방지에는 불충분한 것이 많았으며, 특히 기온이 상승하는 여름에는 활력이 저하하거나 폐사하는 고기가 발생하여, 활어패류의 상품 가치가 현저히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폐사된 고기는 식용의 경우 살아있는 고기에 비하여 가격이 반 이하로 저하된다. 또, 관상어의 경우에는 특히 중요하여, 수송 중에 폐사한 관상어는 전혀 가치가 없으며, 또한 고기가 활력이 없는 경우나 수송 자루 중의 한 마리가 죽어있는 경우에도 현저하게 상품 가치가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24 시간 이상을 요하는 먼거리의 수송은, 종래의 플라스틱 수송 기술로는 고기의 활력 저하 및 폐사가 발생하기가 용이하여 매우 곤란하다.
그리고 또한, 활어패류의 수송 등에 이용하기 위한 산소 발생제로서, 과산화물의 수성액과 분해제를 다중 구조의 포장체로 둘러싼 것(일본 특허 공개 (평) 제1-103902호 공보), 과산화물 등이 활성탄 층을 포함하는 투수성의 시트로 피복된 것(일본 특허 공개 (평) 제5-306104호 공보), 과산화 수소 부가 화합물 등과 고형화제와의 조성물을 포장한 것(일본 특허 공개 (평) 제7-289114호 공보) 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시에 조성물의 성분이 수중에 용출되지 않고, 조작이 간편하며, 산소를 장시간 안정하게 발생시키고, 제조 비용이 싸며,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조건 모두를 만족시키는 것은 아직까지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며, 특수한 장치나 기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구조가 단순하여 조작이 간단하며, 값이 싸고 안전하며, 또한 장시간에 걸쳐 안정된 산소를 발생시킬 수 있는 산소 발생제 및 탄산가스 흡수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이 산소 발생제 및 탄산가스 흡수제를 이용한 활어패류의 수송 시스템 및 활어패류의 수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된 산소 발생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된 활어패류의 수송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와 관련된 탄산가스 흡수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와 관련된 산소 발생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산소 발생제
2. 고체 과산화물
3 및 33. 투습성 재료
4. 과산화물 분해 촉매
11. 플라스틱 필름 자루
12. 활어패류
13. 물
20. 탄산가스 흡수제
21. 알칼리 토류금속 수산화물
22. 기체 투과성 재료
32. 유공 시트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의 산소 발생제에 접촉되는 수증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산소 발생 속도를 제어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 본 발명자들은 과산화물과 활성탄이 내수성의 투습(透濕) 재료로 포장된 산소 발생제에 있어서, 활성탄의 입경을 조절함으로써 산소 발생 속도 및 보존 안정성을 제어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알칼리 토류금속 수산화물 및(또는) 산화물을, 가레이식 공기 투과도(透氣度, JIS P8117)가 공기 100 ml 당 0.1 내지 3000 초이고 동시에 상압에서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플라스틱제의 기체 투과성 재료에 의해 포장되어 이루어진 탄산가스 흡수제가 탄산가스를 좋은 효율로 흡수하고, 탄산가스 농도의 상승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수송 자루 내에서 산소 발생제와 탄산가스 흡수제를 병용함으로써 활어패류의 활력 저하나 폐사를 방지할 수 있고 수송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고체 과산화물과 과산화물 분해 촉매가 컵법 투습도(40℃, 90% 상대습도)가 20 g/m2/24 시간 이상이고, 동시에 상압에서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투습성 재료로 포장된 산소 발생제를 제공한다.
상기 과산화물 분해 촉매는 이산화망간, 활성탄 및 카탈라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활성탄은 중앙 입경이 25 내지 5000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습성 재료는, 플라스틱제의 시트로 이루어진 미세 다공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습성 재료는 미세공을 갖는 플라스틱제의 시트로 이루어진 부직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체 과산화물은 탄산나트륨 과산화수소 부가물, 과붕산나트륨 일수화물 및 과붕산나트륨 사수화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체 과산화물과 과산화물 분해 촉매의 중량비는 100 : 0.01 내지 100 : 100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알칼리 토류금속 수산화물 및(또는) 산화물과, 가레이식 공기 투과도(透氣度, JIS P8117)가 공기 100 ml 당 0.1 내지 3000 초이고 동시에 상압에서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기체 투과성 재료가 구비되어 있고, 알칼리 토류금속 수산화물 및(또는) 산화물이 상기 기체 투과성 재료로 포장된 탄산가스 흡수제를 제공한다.
상기 알칼리 토류금속 수산화물 및(또는) 산화물은,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기체 투과성 재료는, 플라스틱제의 미공성 필름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기체 투과성 재료는 플라스틱제의 부직포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은 산소 발생제 및 탄산가스 흡수제가 상압에서 물을 통과시키는 포장 재료로 포장된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를 제공한다. 상기 상압에서 물을 통과시키는 포장 재료는 소수성의 부직포로 구성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산소 발생제 및 탄산가스 흡수제에 건조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산소 발생제 포장체 내의 건조제의 종류는 특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성능이나 취급의 용이성 등을 생각하면, 실리카겔, 활성 산화알루미늄, 제올라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체 과산화물과 건조제의 최적 중량비는, 고체 과산화물 및 촉매의 종류·함수율, 건조제의 종류, 포장 재료의 투습도 및 보존 조건에 따라 달라지지만, 대략 100 : 0.1 내지 100 : 10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산소 발생제 포장체 내에 건조제를 존재시킴으로써 포장체 내의 수증기 농도를 낮게 유지하여 보존시에 있어서의 과산화물의 안정성이 높아지고 또한 보존용의 외장 자루가 팽창되어 내용물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내의 건조제로서는, 산소 발생제의 포장체 안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 내에 건조제를 존재시킴으로써 포장체 내의 수증기 농도를 낮게 유지하여 보존시에 있어서의 알칼리 토류금속 수산화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건조제가 첨가된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체 포장체는 컵법 투습도(40℃, 90% 상대습도)가 20 g/m2/24시간 미만인 불투습성 재료로 이루어진 외장 자루 내에 보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투습성 재료로서는 알루미늄 호일, 알루미늄 증착 필름, 실리카 증착 필름, 폴리비닐알콜계 필름, 불투과성 (barrier) 나일론계 필름 및 폴리염화비닐리덴 코팅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불투습성 재료로 이루어진 외장 자루를 밀봉자루로 하는 것은 외부로부터의 수증기의 침입이 억제되고 산소 발생제 중의 건조제의 효과가 현저히 나타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극히 일부의 과산화물이 분해되어 산소가 발생했을 경우의 외장 자루의 팽창을 피하기 위하여, 외장 자루에 핀홀을 뚫어놓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핀홀을 통하여 외부에서 침입하는 미량의 수분을 흡수하기 위해, 외장 자루 내에 다시 건조제를 공존시켜도 좋다.
또 본 발명은 산소 발생제 및 탄산가스 흡수제를 수송 자루 내에 봉입시키는 활어패류의 수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산소 발생제는, 고체 과산화물 및 과산화물 분해 촉매를 컵법 투습도(40℃, 90% 상대습도)가 20 g/m2/24시간 이상이고, 또한 상압에서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투습성 재료로 포장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산가스 흡수제는, 알칼리 토류금속 수산화물 및(또는) 산화물을, 가레이식 공기 투과도가 공기 100 ml 당 0.1 내지 3000 초이고, 또한 상압에서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플라스틱제의 기체 투과성 재료로 포장함으로써 이루어질 수가 있다.
또한, 상기 고체 과산화물은, 탄산나트륨 과산화수소 부가물, 과붕산나트륨 일수화물 및 과붕산나트륨 사수화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과산화물 분해 촉매는 이산화망간, 활성탄 및 카탈라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알칼리 토류금속 수산화물 및(또는) 산화물은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관한 산소 발생제를 수송 자루 내에 봉입하는 활어패류의 수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본 발명에 관한 탄산가스 흡수제를 수송 자루 내에 봉입하는 활어패류의 수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또 본 발명은 활어패류 및 활어패류를 생존하게 하기 위한 액체가 수용된 수송체 내에 산소 발생제를 봉입하는 활어패류의 수송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활어패류 및 활어패류를 생존하게 하기 위한 액체가 수용된 수송체 내에 탄산가스 흡입제를 봉입하는 활어패류의 수송 방법을 제공한다.
다시, 본 발명은 활어패류 및 활어패류를 생존하게 하기 위한 액체가 수용된 수송체 내에 산소 발생제 및 탄산가스 흡입제를 봉입하는 활어패류의 수송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형태 1
실시형태 1에 관한 산소 발생제 (1)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체 과산화물 (2)와 과산화물 분해 촉매 (4)를 투습성 재료 (3)으로 포장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상기 투습성 재료 (3)은 40℃, 90% 상대습도에서의 컵법 투습도가 20 g/m2/24시간 이상이며, 동시에 상압에서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 관한 활어패류의 수송 시스템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산소 발생제 (1)을 활어패류 (12) 및 물 (13)이 수용된 수송체인 플라스틱 필름 자루 (11) 내에 봉입시킨 구성을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의 고체 과산화물로서는, 탄산나트륨과 과산화수소가 2:3의 몰비로 부가된 탄산나트륨 과산화수소 부가물, 과붕산나트륨 일수화물, 과붕산나트륨 사수화물, 과산화칼슘, 과산화바륨, 과황산칼륨, 과황산수소칼륨 등의 무기 과산화물 이외에, 유기 과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보존 안정성 등의 점에서 탄산나트륨 과산화수소 부가물, 과붕산나트륨 일수화물 및 과붕산나트륨 사수화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중의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탄산나트륨 과산화수소 부가물의 시판품에는, 각종의 염 등을 첨가 또는 코팅시켜 안정성 등을 변화시킨 여러 가지 등급이 존재하지만, 그 어느 것이나 사용이 가능하다. 또, 사용하는 등급에 따라 산소 발생량 또는 산소 발생속도가 변화하므로 목표로 하는 산소 발생 지속 시간 등에 의해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과산화물 분해 촉매로서는, 각종 금속의 수산화물, 산화물, 염화물, 황산염, 아세트산염, 탄산염, 인산염, 복염, 산소산염 이외에, 산화알루미늄, 활성탄,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등의 다공질 흡착제, 카탈라제 등의 효소, 푸마르산 등의 유기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과산화물의 분해 성능이나 입수 용이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이산화망간, 활성탄 및 카탈라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중의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2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활성탄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시판품으로서 대표적인 것은 원료에 야자껍질이나 목재를 사용한 식물계 활성탄 또는 원료에 석탄이나 핏치 등을 사용한 광물계 활성탄을 들 수 있다. 또, 특히 과산화 수소의 분해 효율을 향상시킨 촉매 활성탄(도요칼곤 (주) 제품, 상품명 CENTAUR)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중의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2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중앙 입경이란, JIS-K1474의 방법으로 입도 분포를 구하여 입도 누계선 도면을 작성하여, 그 도면의 체를 통과하는 백분율이 50% 일 때의 체눈의 크기를 말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활성탄의 중앙 입경은, 25 내지 5000 ㎛이며, 45 내지 1000 ㎛일 때가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입경이 한정된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시판되는 입상 활성탄을 분쇄한 후, 체로 분류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중앙 입경이 25 ㎛이상, 5000 ㎛ 이하인 경우, 산소발생 속도가 보다 최적이되어 소정의 산소발생 지속 시간이 더욱 쉽게 얻어진다. 또, 과산화물과 활성탄을 더욱 균일하게 혼합시키기가 쉬워진다. 또한, 고체 과산화물의 안정성, 활성탄의 과산화물 분해 능력, 포장 재료의 투습성, 고체 과산화물과 활성탄의 중량비 및 목적하는 산소발생 속도 등에 따라, 상기 입경 범위 중에서도 특히 바람직한 범위는 달라지게 된다.
본 발명의 산소 발생제에 있어서는, 활성탄의 입경이 비교적 작아지면 초기의 산소발생 속도는 크지만 시간이 경과할수록 산소 발생 속도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 활성탄의 입경이 비교적 크면 초기의 산소 발생 속도는 작지만 시간이 경과할수록 산소 발생 속도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또 양자의 중간적인 입경을 선택함으로써 산소발생 속도를 초기에서 종기까지 일정하게 할 수 있다.
고체 과산화물과 과산화물 분해 촉매의 중량비는, 고체 과산화물과 과산화물 분해 촉매 및 포장 재료의 조합 및 목적하는 산소발생 지속시간에 따라 달라지지만, 100:0.01 내지 100:10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는, 촉매의 비율이 커짐에 따라 산소 발생 속도가 커지며, 어느 비율 이상에서는 산소 발생 속도가 변화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포장 재료는, 컵법 투습도(40℃, 90% 상대습도)가 20 g/m2/24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000 g/m2/24시간이며, 동시에 상압에서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투과 재료이다. 컵법 투습도(40℃, 90% 상대습도)는, JIS Z0208에 의해 측정되는 수증기 투과도이다. 또한, 포장제의 일부로서 비통기성 필름을 병용할 수도 있다.
총포장 면적 중의 투습 재료의 면적 비율이 커지면, 포장 재료 내로의 수증기 투과량이 증가하여 산소발생 속도가 커진다. 또, 투습도가 큰 투습 재료를 사용하여도 산소발생 속도가 커진다. 따라서, 적절한 산소발생 속도가 되도록 투습 재료의 비율 및 투습 재료의 종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습 재료를 사용하지 않는 비통기성 부분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필름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드라이 적층하여 얻어진 플라스틱제의 다층 연신 필름이나, 성형용기 등의 비투습 내수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투습 재료의 구체적인 예로는 미세공을 갖는 플라스틱제의 시트로부터 이루어진 미세 다공막이나, 미세공을 갖는 플라스틱제의 시트로부터 이루어진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투습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미세 다공막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플루오르화 에틸렌 수지 등으로 예시되는 합성수지 필름의 냉간 연신, 이물을 함유하는 필름의 연신, 이물을 함유하는 필름으로부터의 이물의 추출, 이물을 함유하는 필름으로부터 이물을 추출한 후에 필름을 연신하는 방법, 또는 필름으로의 전자선 조사 등의 방법이 채택된다.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미세 다공막으로서 시판되는 것으로는 예를 들면, 젤라가드(미국, 셀라니즈사 제품), FP-2(아사히가세이 고교(주) 제품), NOP(닛뽕세끼유 (주) 제품), 니트프론 NTF(닛또덴끼 고교(주) 제품), NF 시트(도꾸야마소다 (주) 제품), 셀르보아 NW11(세끼수이가가꾸 고교(주) 제품), 폴리플론 페이퍼(다이낀 고교(주)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투습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부직포의 개구부의 최대 세공경은, 2 ㎛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 부직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플루오르화 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일론 등으로 예시되는 플라스틱 섬유를 열, 압력, 접착제 등으로 접합시킨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열, 압력으로 장섬유끼리 접합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부직포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타이벡크(미국, 듀폰사 제품), 아이엘, 스판폰드(아사히 고교(주) 제품), 아크스타(도레 (주)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제의 미세 다공막이나 부직포는 열 봉합성의 향상이나 강도의 보강 등을 목적으로 하여 다른 재료에 적층될 수도 있다. 열 봉합성 향상을 위한 적층화재로서는, 미세 다공막이나 부직포보다 낮은 연화점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고 동시에 구멍을 갖는 필름(이하, 유공 (有孔) 시트라 칭함)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폴리에틸렌 아이오노머 등의 재질의 것을 들 수 있다. 유공 시트를 사용할 경우, 유공 시트를 미리 미세 다공막이나 부직포에 열융착시킬 수 있으며, 적층화재와 미세 다공막 또는 부직포를 별개로 준비하여 주변부를 열 봉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유공 시트가 포장체의 내측이 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재로서는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합성섬유의 띠모양의 것을 엮어서 된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은 폭이 10 mm 이하인 띠를 격자상으로 엮어서 가로띠와 세로띠를 열융착시킨 것이 사용된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닛세끼 와리프(닛뽕세끼유 가가꾸고교 (주) 제품)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보강재는 미세 다공막 또는 부직포와 유공 시트와의 사이에 열융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포장체의 외측으로부터 미세 다공막 또는 부직포, 보강재, 유공 시트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산소 발생제의 형상이나 제조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고체 과산화물 및 과산화물 분해 촉매의 양측을 포장 재료로 싸고, 포장 재료의 4 변을 열봉합함으로서 포장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방법의 경우, 투습 재료끼리 열봉합하거나, 투습 재료와 비투습의 내수 재료를 열봉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산소 발생제 및 탄산가스 흡수제의 양쪽을 포장하는, 상압에서 물이 통과되는 포장재로서는, 산소 발생제나 탄산가스 흡수제의 성분 고체를 통과시키지 않고, 물·산소·탄산가스를 투과시킬 수 있는 것이면 좋으며, 직포, 부직포, 종이 등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탄산가스 흡수제의 성질을 손상시키지 않는다는 점에서 소수성의 투수성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생산성의 면에서는 열봉합이 가능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의 이론적인 산소 발생량과 이론적인 탄산가스 흡수량의 몰비는,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포장 재료의 조합이나, 목적하는 산소 발생·탄산가스 흡수 지속시간 및 사용 조건에 따라 달라지지만, 대략 3:1 내지 1:3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탄산가스 흡수제의 흡수 능력은, 일반적으로 수중의 용존 탄산가스에 대한 것보다 대기 중의 탄산가스에 대한 것이 더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는 산소 발생제와 탄산가스 흡수제의 중량비 또는 각 포장체의 개수를 조절하거나, 기체를 밀폐 재료로 포장한 부낭을 봉입하여, 물에 뜨도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어패류의 수송이나 보관에 본 발명의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를 사용하는 경우는, 사용하는 계를 밀폐계 또는 밀폐계에 가까운 계로 하는 것이 발생한 산소가스가 수중에 용해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활어패류, 물, 본 발명의 산소 발생제 포장체 및 필요하다면 산소가스를 폴리에틸렌 등의 자루 중에 넣고, 고무밴드 등으로 자루의 입을 묶는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또,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는 수송 자루 내에 단순히 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송 자루의 크기, 봉입하는 어패류의 종류와 수 및 물의 양 등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산소 발생제로서 고체 과산화물 및 과산화물 분해 촉매를 사용하는 경우,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를 공기 중에 방치해 두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포장체 내에 침입하여 과산화물이 조금씩 분해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는 불투습성의 내수 재료로 봉입하여 보존하거나, 실리카겔 등의 건조제와의 공존 하에서 보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산소 발생제는 물 또는 수증기와 접촉함으로써 산소를 발생시킨다. 포장체를 액체의 물과 접촉시켜도 물이 포장 내에 침입하는 일은 없으나, 액체의 물과 평형상태에 있는 수증기가 투습 재료를 통과하여 산소 발생제와 접촉함으로써 산소가 발생한다.
활어패류의 수송이나 보관에 본 발명의 산소 발생제를 사용할 경우는, 산소 발생제가 사용되는 계를 밀폐계 또는 밀폐계에 가까운 계로 하는 것이 발생된 산소가스가 수중에 용해되기 쉬워지므로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활어패류, 물, 본 발명의 산소 발생제 및 필요하다면 산소가스를 폴리에틸렌 등의 자루 중에 넣고 고무밴드 등으로 자루의 입을 묶는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3일 내지 5일 동안 계 내에서 산소의 발생이 계속되어 활어패류의 생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산소 발생제를 공기 중에 방치해 두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포장체 내에 침입하여 과산화물이 조금씩 분해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산소 발생제는, 불투습성의 내수 재료로 봉입하여 보존하거나, 실리카겔 등의 건조제와의 공존 하에서 보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보존 안정성을 중시하는 경우는, 활성탄 입경이 비교적 큰 산소 발생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2와 관련된 탄산가스 흡수제 (2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칼리 토류금속 수산화물 (21)을 기체 투과성 재료 (22)로 포장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상기 기체 투과성 재료 (22)는, JIS P8117로 규정된 가레이식 공기 투과도가 공기 100 ml 당 0.1 내지 3,000 초이고, 동시에 상압에서 물은 통과시키지 않으나 기체는 통과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 실시형태 2와 관련된 활어패류의 수송 시스템은 상기 탄산가스 흡수제 (20)을 활어패류 및 물이 수용된 수송체인 플라스틱 필름 자루 내에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봉입시킨 구성을 갖추고 있다.
탄산가스 흡수제는 지금까지 청과물의 신선도 유지 등에 사용되고 있다. 청과물은 신선도 저하의 원인이 되는 탄산가스를 서서히 발생시키기 때문에,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탄산가스 흡수제는 탄산가스 흡수량이 큰 것이 요구되어 왔으나, 흡수속도 자체는 요구된 것이 거의 없었으며, 시판되고 있는 탄산가스 흡수제의 탄산가스 흡수 속도는 그렇게 빠르지 못한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청과물과 비교하여 활어패류의 수송 중에 상부 공간부에 발생하는 시간당의 탄산가스량이 극히 많으므로, 종래의 탄산가스 흡수제로는 상부 공간부에 발생하는 탄산가스를 신속하게 흡수할 수 없다. 활어패류 수송 용도에는 탄산가스 흡수속도가 우수한 탄산가스 흡수제가 필요하다.
또한, 시판되고 있는 탄산가스 흡수제는 청과물에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내수성이 부여되어 있지 않아 물에 노출되는 조건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활어패류 수송 용도를 위한 탄산가스 흡수제는 고기와 물이 존재하는 자루 내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수송 중에 물에 노출되어도 탄산가스 흡수제 내로 물이 침입하지 않고, 동시에 알칼리성의 내용물이 수중에 유출되지 않으며, 상기와 같은 가혹한 조건 하에서 탄산가스 흡수 성능이 발휘될 필요가 있다. 또한 활어패류의 충전시에 자루 내에 봉입시키는 것을 고려하면, 탄산가스 흡수제는 활어패류와 물이 들어있는 자루 내에 봉입하여도 수중에 가라앉는 일이 없이, 수면에 떠 있는 상태로 능력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탄산가스 흡수제는 상기와 같은 활어패류의 수송 용도에 적합한 것으로서, 고기와 물이 존재하는 자루 내에서 사용되어도 우수한 탄산가스 흡수 성능을 발휘한다. 또, 상기 탄산가스 흡수제를 수송 자루 내에 봉입하는 활어패류의 플라스틱 수송에 의하면, 활어패류의 활력저하 또는 폐사가 방지될 수 있으며 수송 시간의 연장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알칼리 토류금속 수산화물로서는 수산화칼슘 또는 수산화 마그네슘이 사용된다. 수산화칼슘 또는 수산화마그네슘은 탄산가스의 흡수속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분말 또는 과립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플라스틱제의 기체 투과성 재료로서 가레이식 공기 투과도(JIS P8117)가 공기 100 ml 당 0.1 내지 3,000 초, 바람직하게는 공기 100 ml 당 1 내지 1,000 초이며, 동시에 상압에서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미공성 필름 또는 부직포를 사용한 기체 투과성 재료가 사용된다.
미공성 필름은, 0.01 내지 50 ㎛의 미세공을 갖는 폴리올레핀제의 필름이며, 이물을 함유하는 필름의 연신 또는 필름에 전자선을 조사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또, 부직포는 폴리올레핀 섬유 묶음을 교착 분산 후 열프레스로 그 장섬유끼리를 접합시킨 것이다. 미공성 필름이나 부직포는, 그대로 또는 보강이나 봉합성 부여를 위하여 다른 필름을 적층시킨 재료로서 사용된다.
플라스틱제의 기체 투과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NF 시트(도꾸야마 제품), FP-2(미쯔비시 가가꾸 제품), NOP(닛뽕세끼유 가가꾸 제품), 셀보아 NWO1(세끼수이 가가꾸고교 제품), 다이벡(듀폰 제품), 엘베스(유니찌까 제품), 룩사(아사히 가세이 제품) 등이 예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알칼리 토류금속 수산화물 및(또는) 산화물을, 가레이식 공기 투과도(JIS P8117)가 공기 100 ml 당 0.1 내지 3,000 초이며, 동시에 상압에서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플라스틱제의 기체 투과성 재료로 포장하지만, 포장재의 일부로서 비통기성의 필름을 병용할 수도 있다.
탄산가스 흡수제는 수송 자루의 상부 공간부에 접착제나 점착 테이프 등으로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포장재 전부에 가레이식 공기 투과도(JIS P8117)가 공기 100 ml 당 0.1 내지 3,000 초이며, 동시에 상압에서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플라스틱성의 기체 투과성 재료를 사용한 탄산가스 흡수제이면, 수송 자루 중에 그대로 봉입하고 수면에 뜨게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수송 자루의 크기, 봉입하는 고기의 수, 물의 양 등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산소가스량에 관해서는 수송 중의 소비를 초과하는 충분한 양을 봉입시킬 필요가 있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3과 관련된 활어패류의 수송 시스템은, 실시형태 1에서 얻은 산소발생제 (1)과, 실시형태 2에서 얻은 탄산가스 흡수제 (20)을, 활어패류 및 물이 수용된 수송체인 플라스틱 필름 자루 내에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봉입시킨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두께 160 ㎛의 폴리에틸렌제 부직포(다이벡, 미국, 듀폰사 제품) 2 장 사이에 탄산나트륨 과산화수소 부가물(SPC-G, 미쯔비시 가스 가가꾸(주) 제품) 40 g 및 분말 활성탄(쿠라레콜 PW, 쿠라레 케미말(주) 제품) 0.4 g을 충전시키고, 세로 120 mm x 가로 85 mm, 봉합 폭 10 mm가 되도록 4 변을 열봉합시킨 산소 발생제를 얻었다.
얻어진 산소 발생제 1 개를, 습식 가스 미터에 접속된 유리제 밀폐용기 (총 내용적 약 2 L) 내의 물(1 L)에 뜨게 하였다. 투입시로부터의 누적 산소가스 발생량은 24 시간 후까지가 1.5 L, 72 시간 후까지가 3.1 L, 120 시간 후까지가 3.5 L였다.
실시예 2
두께 160 ㎛의 폴리에틸렌제 부직포 2 장 대신에, 두께 160 ㎛의 폴리에틸렌제 부직포 1 장 및 구멍이 없는 폴리에틸렌 필름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드라이 적층시킨 적층 필름을 1 장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투입시로부터의 누적 산소가스 발생량은, 24 시간 후까지가 1.1 L, 72 시간 후까지가 2.4 L, 120 시간 후까지가 3.5 L였다.
실시예 3
두께 160 ㎛의 폴리에틸렌제 부직포 2 장 대신에, 두께 50 ㎛의 폴리프로필렌제 미세 다공막(쥬라가드, 미국, 셀라니즈사 제품) / 폴리에틸렌제 보강재(닛세끼 와리프, 닛뽕세끼유 가가꾸고교(주) 제품) / 좌우 상하 각 7 mm 간격으로 직경 0.3 mm의 소공을 갖는 폴리에틸렌 필름 3 층을 열융착시켜 이루어진 포장 재료 2 장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단, 유공 시트층이 포장체의 내측이 되도록 열봉합하였다.
투입시로부터의 누적 산소가스 발생량은, 24 시간 후까지가 0.7 L, 72 시간 후까지가 2.0 L, 120 시간 후까지가 3.2 L였다.
실시예 4
도 4와 같이 두께 160 ㎛의 폴리에틸렌제 부직포 2 장 대신에, 좌우 상하 각 1 mm의 간격으로 계 0.2 mm의 소공을 갖는 두께 40 ㎛의 EVA 필름과, 두께 150 ㎛의 미세 다공막(셀포아, 세끼수이 가가꾸고교(주) 제품)를 적층시킨 적층 포장재 1 장과, 두께 160 ㎛의 폴리에틸렌제 부직포 1 장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단, EVA 층이 포장체의 내측이 되도록 열봉합하였다.
투입시로부터의 누적 산소가스 발생량은, 24 시간 후까지가 1.2 L, 72 시간 후까지가 2.7 L, 120 시간 후까지가 3.5 L였다.
실시예 5
탄산나트륨 과산화수소 부가물(SPC-G, 미쯔비시 가스 가가꾸(주) 제품) 40 g 대신에, 탄산나트륨 과산화수소 부가물(SPC-D, 미쯔비시 가스 가가꾸(주) 제품) 40 g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투입시로부터의 누적 산소가스 발생량은 24 시간 후까지가 0.6 L, 72 시간 후까지가 1.4 L, 120 시간 후까지가 2.2 L였다.
실시예 6
탄산나트륨 과산화수소 부가물(SPC-G, 미쯔비시 가스 가가꾸(주) 제품) 40 g 대신에, 과붕산나트륨 일수화물(15% 펠본, 미쯔비시 가스 가가꾸(주) 제품) 40 g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투입시로부터의 누적 산소가스 발생량은, 24 시간 후까지가 0.4 L, 72 시간 후까지가 1.5 L, 120 시간 후까지가 2.3 L였다.
실시예 7
분말 활성탄 0.4 g 대신에, 이산화망강(알드리치사제 시약) 2.0 g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투입시로부터의 누적 산소가스 발생량은, 24 시간 후까지가 1.4 L, 72 시간 후까지가 2.9 L, 120 시간 후까지가 3.4 L였다.
실시예 8
분말 활성탄 0.4 g 대신에, 카탈라제 용액(아스크스파 25, 미쯔비시가스 가가꾸고교(주) 제품) 0.2 g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투입시로부터의 누적 산소가스 발생량은, 24 시간 후까지가 1.0 L, 72 시간 후까지가 2.1 L, 120 시간 후까지가 2.8 L였다. 또한, 수중에서 과산화수소는 검출되지 않았다.
비교예 1
두께 160 ㎛의 폴리에틸렌제 부직포 2 장 대신에, 구멍이 없는 폴리에틸렌 필름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드라이 적층시킨 적층 필름 2 장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투입시로부터 120 시간이 경과하여도, 산소가스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비교예 2
탄산나트륨 과산화수소 부가물 40 g 대신, 10% 과산화수소 수용액 40 g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투입시로부터 30 분에서 2.5 L의 산소가스가 발생한 후로는 산소가스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비교예 3
분말 활성탄을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투입시로부터의 누적 산소가스 발생량은, 24 시간 후까지가 0.0 L, 72 시간 후까지가 0.1 L, 120 시간 후까지가 0.3 L였다.
실시예 9
폴리에틸렌제의 자루 중에, 금붕어 70 마리(총중량 650 g), 물 3 L 및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한 산소 발생제 3 개를 넣고, 산소가스 약 5 L를 주입시킨 후, 자루의 입을 고무밴드로 묶어서 25℃에서 방치한 결과, 48 시간 경과시에는 70 마리 전체수가 생존하고 있었고, 72 시간 경과시에는 54 마리의 금붕어가 생존하고 있었다.
비교예 4
산소 발생제를 넣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실시한 결과, 48 시간 경과시에 전체수의 금붕어가 사망하였다.
실시예 10
두께 160 ㎛의 폴리에틸렌제 부직포(다이벡, 미국, 듀폰사제) 2 장 사이에 탄산나트륨 과산화수소 부가물(SPC-G, 미쯔비시 가스 가가꾸(주) 제품) 40 g 및 중앙입경 150 내지 300 ㎛의 활성탄(쿠라레 케미말(주) 제의 입상 활성탄 쿠라레콜 PW을 분쇄, 체로 분리한 것) 0.4 g을 충전시키고, 세로 120 mm x 가로 85 mm, 봉합폭 10 mm가 되도록 4 변을 열봉합시킨 산소 발생제를 얻었다. 얻어진 산소 발생제 1 개를, 습식 가스미터에 접속된 유리제 밀폐용기 (총내용적 약 2 L) 내의 물(1 L)에 뜨게 하였다. 투입시로부터의 누적 산소가스 발생량은, 24 시간 후까지가 0.6 L, 72 시간 후까지가 3.0 L, 120 시간 후까지가 3.5 L였다.
실시예 11
중앙입경 150 내지 300 ㎛의 활성탄 대신, 중앙입경 75 내지 150 ㎛의 활성탄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투입시로부터의 누적 산소가스 발생량은, 24 시간 후까지가 0.9 L, 72 시간 후까지가 3.2 L, 120 시간 후까지가 3.5 L였다.
실시예 12
중앙입경 150 내지 300 ㎛의 활성탄 대신, 중앙입경 45 내지 75 ㎛의 활성탄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투입시로부터의 누적 산소가스 발생량은, 24 시간 후까지가 1.7 L, 72 시간 후까지가 3.4 L, 120 시간 후까지가 3.5 L였다.
실시예 13
중앙입경 150 내지 300 ㎛의 활성탄(쿠라레 케미말(주)제의 입상 활성탄 쿠라레콜 PW을 분쇄, 체로 분리한 것) 대신, 중앙입경 300 내지 600 ㎛의 촉매 활성탄(토요칼곤 (주)제, 상품명 CENTAUR를 분쇄, 체로 분리한 것)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투입시로부터의 누적 산소가스 발생량은 24 시간 후까지가 0.3 L, 72 시간 후까지가 2.8 L, 120 시간 후까지가 3.5 L였다.
실시예 14
두께 160 ㎛의 폴리에틸렌제 부직포 2 장 대신에, 두께 160 ㎛의 폴리에틸렌제 부직포 1 장 및 구멍이 없는 폴리에틸렌 필름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드라이 적층시킨 적층 필름을 1 장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투입시로부터의 누적 산소가스 발생량은, 24 시간 후까지가 0.6 L, 72 시간 후까지가 2.6 L, 120 시간 후까지가 3.5 L였다.
실시예 15
두께 160 ㎛의 폴리에틸렌제 부직포 2 장 대신에, 두께 50 ㎛의 폴리프로필렌제 미세 다공막(쥬라가드, 미국, 셀라니즈사 제품) / 폴리에틸렌제 보강재(닛세끼 와리프, 닛뽕세끼유 가가꾸고교(주) 제품)/좌우 상하 각 7 mm 간격으로 직경 0.3 mm의 소공을 갖는 폴리에틸렌 필름 3 층을 열융착시켜 이루어진 포장 재료 1 장과, 좌우 상하 각 1 mm 간격으로 계 0.2 mm의 소공을 갖는 두께 40 ㎛의 EVA 필름과 두께 150 ㎛의 미세 다공막(셀포아, 세끼수이가가꾸 고교(주) 제품)를 적층시킨 적층 포장재 1 장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단, 유공 시트층이 포장체의 내측이 되도록 열봉합하였다. 투입시로부터의 누적 산소가스 발생량은, 24 시간 후까지가 0.5 L, 72 시간 후까지가 2.2 L, 120 시간 후까지가 3.5 L였다.
실시예 16
탄산나트륨 과산화수소 부가물(SPC-G, 미쯔비시 가스 가가꾸(주) 제품) 40 g 및 중앙입경 150 내지 300 ㎛의 활성탄 0.4 g 대신에, 탄산나트륨 과산화수소 부가물(SPC-D, 미쯔비시 가스 가가꾸(주) 제품) 40 g 및 입경 45 내지 75 ㎛의 활성탄 0.8 g 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투입시로부터의 누적 산소가스 발생량은, 24 시간 후까지가 0.9 L, 72 시간 후까지가 2.1 L, 120 시간 후까지가 3.3 L였다.
비교예 5
분말 활성탄을 사용하지 않는 것 이외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투입시로부터의 누적 산소가스 발생량은, 24 시간 후까지가 0.0 L, 72 시간 후까지가 0.1 L, 120 시간 후까지가 0.3 L였다.
비교예 6
중앙입경 150 내지 300 ㎛의 활성탄 대신에, 중앙입경 5000 ㎛ 이상의 활성탄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투입시로부터 120 시간 경과하여도 산소가스 발생량은 0.1 L였다.
비교예 7
두께 160 ㎛의 폴리에틸렌제 부직포 2 장 대신에, 구멍이 없는 폴리에틸렌 필름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드라이 적층시킨 적층 필름 2 장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투입시로부터 120 시간 경과하여도, 산소가스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실시예 17
폴리에틸렌제의 자루 중에, 금붕어 70 마리(총중량 650 g), 물 3 L 및 실시예 10의 방법으로 제조한 산소 발생제 3 개를 넣고, 산소가스 약 5 L를 주입한 후, 자루의 입을 고무밴드로 묶어서 25℃에서 방치한 결과, 48 시간 경과시에서는 70 마리 전체수, 72 시간 경과시에는 55 마리의 금붕어가 생존하고 있었다.
비교예 9
산소 발생제를 넣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예 17과 동일하게 실시한 결과, 48 시간 경과시에서 전체수의 금붕어가 사망하였다.
실시예 18
한쪽 면이 다이벡(듀폰제, 가레이식 공기 투과도(JIS P8117)가 공기 100 ml 당 30 초인, 상압에서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부직포)이고, 다른 면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비통기성 필름의 8 cm x 10 cm의 작은 자루를 제작하고, 이 작은 자루에 분말상의 수산화칼슘 11 g을 봉입하여 탄산가스 흡수제를 제조하였다. 55 cm x 85 cm의 폴리에틸렌 자루에 활발한 뱀장어 약 10 kg(30 마리; 먹이 중지를 실시)과 약 1 L의 빙수를 넣고, 탄산가스 흡수제를 자루 내부의 상부 공간부에 양면 테이프로 고정시킨 후, 산소가스를 충전시켜 자루를 팽창시키고, 자루를 고무밴드로 밀봉하였다. 이 때의 상부 공간부의 용량은 약 10 L였다. 밀봉한 자루를 골판지에 넣고, 25℃ 하에서 보관하여, 24 시간 후 및 42 시간 후에 상부 공간부의 탄산가스 농도와 뱀장어의 사망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0
탄산가스 흡수제를 봉입시키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예 18과 동일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보관시간 실시예 18 비교예 10
24시간 탄산가스 농도 (%) 0.9 5.8
사망수 (마리) 0 0
42시간 탄산가스 농도 (%) 8.8 16.6
사망수 (마리) 0 23
실시예 19
분말상의 수산화마그네슘 55g을 NF 시트(도쿠야마 제품)에, 폴리에틸렌의 유공 필름이 적층된 포장재(가레이식 공기 투과도(JIS P8117)가 공기 100 ml 당 100 초인, 상압에서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미공성 필름)으로 이루어진 10 cm x 15 cm의 작은 자루에 봉입시켜, 이것을 탄산가스 흡수제로 사용하였다.
금붕어 약 2.5 kg(화금 250 마리; 먹이 중지를 실시)과 물 12 L를 55 cm x 96 cm의 폴리에틸렌 자루에 넣고, 탄산가스 흡수제를 봉입시켜 수면에 뜨게 하였다. 그 후, 산소를 충전시켜 자루를 팽창시키고, 자루를 고무밴드로 밀봉하였다. 이 때의 상부 공간부의 용량은 약 20 L였다. 밀봉한 자루를 골판지에 넣고, 25℃ 하에서 보관하여, 24 시간 후, 48 시간 후 및 72 시간 후의 상부 공간부의 탄산가스 농도와 금붕어의 사망수를 측정하여, 살아있는 금붕어의 상태(활력)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1
탄산가스 흡수제를 봉입시키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예 19와 동일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보관시간 실시예 2 비교예 2
24시간 탄산가스 농도 (%) 1.3 7.2
사망수 (마리) 0 0
생존 금붕어의 상태 O X
48시간 탄산가스 농도 (%) 2.7 13.1
사망수 (마리) 0 0
생존 금붕어의 상태 O X
72시간 탄산가스 농도 (%) 6.9 20.4
사망수 (마리) 0 12
생존 금붕어의 상태 O X
주) 생존 금붕어의 상태에 대하여 O: 활동적이며, 수면 근처에서 입을 빠끔빠끔하고 있음; X: 행동이 둔하고, 수면 근처에서 입을 빠끔빠끔하고 있지 않음.
실시예 20
두께 50 ㎛의 폴리프로필렌제 미세 다공막(쥬라가드, 미국, 셀라니즈사 제품) /폴리에틸렌제 보강재(닛세끼 와리프, 닛뽕세끼유 가가꾸고교(주) 제품)/ 좌우 상하 각 7 mm 간격으로 직경 0.3 mm의 소공을 갖는 폴리에틸렌 필름 3 층을 열융착시켜 이루어진 포장 재료 2 장 사이에 탄산나트륨 과산화수소 부가물(SPC-G, 미쯔비시 가스 가가꾸(주) 제품) 40 g 및 분말 활성탄(쿠라레콜 PW, 쿠라레 케미말제) 0.4 g을 충전시키고, 세로 120 mm x 가로 85 mm, 봉합폭 10 mm가 되도록 4 변을 열봉합시킨 산소 발생제를 얻었다. 단, 유공 시트충이 포장체의 내측이 되도록 열봉합하였다.
또한, 두께 160 ㎛의 폴리에틸렌제 부직포(다이벡, 미국, 듀폰사 제품) 1 장과, 구멍이 없는 폴리에틸렌 필름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드라이 적층시킨 적층 필름 1 장과의 사이에 과립상의 수산화칼슘 30 g을 충전시켜 세로 120 mm x 가로 85 mm, 봉합폭 10 mm가 되도록 4 변을 열봉합시킨 탄산가스 흡수제를 얻었다.
폴리에틸렌제의 자루 중에, 금붕어 70 마리(총중량 약 650 g), 물 3 L 및 제조한 산소 발생제 3 개, 탄산가스 흡수제 2 개를 넣고, 산소가스 약 5 L를 주입한 후, 자루의 입을 고무밴드로 묶어서 25℃에서 방치한 결과, 120 시간 경과시까지 상부 공간의 가스의 산소 농도를 70% 이상, 탄산가스 농도를 10% 이하로 유지할 수가 있어, 금붕어는 전체수가 생존하고 있었다.
비교예 12
폴리에틸렌제의 자루 중에, 금붕어 70 마리(총중량 약 650 g) 및 물 3 L를 넣고, 산소가스 약 5 L를 주입한 후, 자루의 입을 고무밴드로 묶어서 25℃에서 방치한 결과, 48 시간 경과시에서 상부 공간 중의 가스의 산소 농도는 24%, 탄산가스 농도는 29%이며, 금붕어는 전체수가 사망하였다.
비교예 13
폴리에틸렌제의 자루 중에, 금붕어 70 마리(총중량 약 650 g), 물 3 L 및 실시예 20의 방법으로 제조한 산소 발생제 3 개를 넣고, 산소가스 약 5 L를 주입한 후, 자루의 입을 고무밴드로 묶어서 25℃에서 방치한 결과, 48 시간 경과시의 상부 공간의 가스 중의 산소 농도는 77%, 탄산가스 농도는 20%였고, 생존 금붕어는 70 마리였다. 72 시간 경과시에는 산소 농도는 74%, 탄산가스 농도는 20%였고, 생존 금붕어수는 53 마리였다. 120 시간 경과시에는, 산소 농도는 72%, 탄산가스 농도는 20%, 생존 금붕어수는 0 마리였다.
비교예 14
폴리에틸렌제의 자루 중에, 금붕어 70 마리(총중량 약 650 g), 물 3 L 및 실시예 20의 방법으로 제조한 탄산가스 흡수제 2 개를 넣고, 산소가스 약 5 L를 주입한 후, 자루의 입을 고무밴드로 묶어서 25℃에서 방치한 결과, 48 시간 경과시의 상부 공간 중의 산소 농도는 25%, 탄산가스 농도는 6%이며, 생존 금붕어수는 58 마리였다. 72 시간 경과시에서는, 산소 농도는 20%였고, 탄산가스 농도는 7%였으며, 생존 금붕어수는 0 마리였다.
실시예 21
두께 50 ㎛의 폴리프로필렌제 미세 다공막(쥬라가드, 미국, 셀라니즈사 제품) / 폴리에틸렌제 보강재(닛세끼 와리프, 닛뽕세끼유 가가꾸고교(주) 제품) / 좌우 상하 각 7 mm 간격으로 직경 0.3 mm의 소공을 갖는 폴리에틸렌 필름의 3 층을 열융착시켜 이루어진 포장 재료 2 장 사이에 탄산나트륨 과산화수소 부가물(SPC-G, 미쯔비시 가스 가가꾸(주) 제품) 40 g 및 분말 활성탄(쿠라레콜 PW, 쿠라레 케미말(주) 제품) 0.4 g을 충전시키고, 세로 120 mm x 가로 85 mm, 봉합폭 10 mm가 되도록 4 변을 열봉합한 산소 발생제 포장체를 얻었다. 단, 유공 시트층이 포장체의 내측이 되도록 열봉합하였다.
또한, 두께 160 ㎛의 폴리에틸렌제 부직포(다이벡, 미국, 듀폰사제) 1 장과, 구멍이 없는 폴리에틸렌 필름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드라이 적층시킨 적층 필름 1 장과의 사이에, 과립상의 수산화칼슘 40 g을 충전하여, 세로 120 mm x 가로 85 mm, 봉합폭 10 mm가 되도록 4 변을 열봉합한 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를 얻었다.
또한, 투수성 재료인 두께 90 ㎛의 소수성 부직포(멜피트-I, 유니셀(주) 제품) 2 장 사이에, 제조한 산소 발생제 포장체 4 개 및 탄산가스 흡수제 2 개를 넣고, 세로 200 mm x 가로 150 mm, 봉합폭 10 mm가 되도록 4 변을 열봉합한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를 얻었다.
폴리에틸렌제의 자루 중에, 금붕어 150 마리(총중량 약 1 kg), 물 10 L 및 제조한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를 넣고, 산소가스 약 20 L를 주입한 후, 자루의 입을 고무밴드로 묶어서 25℃에서 방치하였다. 72 시간 경과시의 상부 공간 가스의 산소 농도는 87%, 탄산가스 농도는 11%였다. 96 시간 경과시의 상부 공간의 가스의 산소 농도는 80%, 탄산가스 농도는 14%였다. 금붕어는 전체수가 생존하였다. 또한,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는 약 반이 물에 잠겨진 상태로 떠 있었다.
실시예 22
투수성 재료로서 소수성 부직포 대신, 두께 90 ㎛의 친수성 부직포(멜피트-II, 유니셀(주) 제품)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2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72 시간 경과시의 상부 공간 가스의 산소 농도는 84%, 탄산가스 농도는 15%이고, 금붕어는 전체수가 생존하고 있었다. 96 시간 경과시의 상부 공간 가스의 산소 농도는 77%, 탄산가스 농도는 18%이며, 금붕어는 약 90%가 생존하고 있었다. 또한,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는 약 반이 물에 잠겨진 상태로 떠 있었다.
실시예 23
금붕어 150 마리 대신 금붕어 300 마리(총중량 약 2 kg)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2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48 시간 경과시의 상부 공간 가스의 산소 농도는 84%, 탄산가스 농도는 13%였다. 72 시간 경과시의 상부 공간 가스의 산소 농도는 82%, 탄산가스 농도는 17%이며, 금붕어는 전체수가 생존하고 있었다. 또한,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는 약 반이 물에 잠겨진 상태로 떠 있었다.
비교예 15
폴리에틸렌제의 자루 중에, 금붕어 150 마리(총중량 약 1 kg), 물 10 L 및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제조한 산소 발생제 포장체 4 개 및 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 2 개를 넣고, 산소가스 약 20 L를 주입한 후, 자루의 입을 고무밴드로 묶어서 25℃에서 방치한 결과, 72 시간 경과시의 상부 공간 가스 중의 산소 농도는 80%, 탄산가스 농도는 18%이며, 금붕어는 전체수가 생존하고 있었다. 96 시간 경과시의 상부 공간 가스중의 산소 농도는 73%, 탄산가스 농도는 22%이며, 금붕어는 약 70%가 사망하였다. 또한, 산소 발생제 포장체는 약 30%가, 탄산가스 흡수 포장체는 90%가 물에 잠겨진 상태로 떠 있었다.
실시예 24
두께 50 ㎛의 폴리프로필렌제 미세 다공막(쥬라가드, 미국, 셀라니즈사 제품) / 폴리에틸렌제 보강재(닛세끼 와리프, 닛뽕세끼유 가가꾸고교(주) 제품) / 좌우 상하 각 7 mm 간격으로 직경 0.3 mm의 소공을 갖는 폴리에틸렌 필름의 3 층을 열융착시켜 이루어진 포장 재료 2 장 사이에 탄산나트륨 과산화수소 부가물(SPC-G, 미쯔비시 가스 가가꾸(주) 제품) 40 g 및 이산화망간(알드리치사제 시약) 2.0 g 및 활성 산화알루미늄 2.0 g을 충전시키고, 세로 120 mm x 가로 85 mm, 봉합폭 10 mm가 되도록 4 변을 열봉합한 산소 발생제 포장체를 얻었다. 단, 유공 시트층이 포장체의 내측이 되도록 열봉합하였다.
또한, 두께 160 ㎛의 폴리에틸렌제 부직포(다이벡, 미국, 듀폰사제) 1 장과, 구멍이 없는 폴리에틸렌 필름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드라이 적층시킨 적층 필름 1 장과의 사이에, 과립상의 수산화칼슘 40 g을 충전하여, 세로 120 mm x 가로 85 mm, 봉합폭 10 mm가 되도록 4 변을 열봉합한 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를 얻었다. 또한, 투수성 재료인 두께 90 ㎛의 소수성 부직포(멜피트-I, 유니셀(주)제) 2 장 사이에, 제조한 산소 발생제 포장체 3 개 및 탄산가스 흡수제 2 개를 넣고, 세로 200 mm x 가로 150 mm, 봉합폭 10 mm가 되도록 4 변을 열봉합한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를 얻었다.
얻어진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 10 개를, 알루미 증착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폴리에틸렌 필름을 적층시킨 적층 필름 2 장(컵법 투습도 1g/m2/24 시간) 사이에 넣고, 4 변을 열봉합하였다. 상기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가 넣어지고 밀봉된 외장 자루를, 30℃, 상대 습도 80%의 항온 항습조 내에서 2 개월간 보존한 결과, 외장 자루의 팽창은 나타나지 않았다.
보존 후의 산소 발생제 포장체 1 개를, 습식 가스 미터에 접속된 유리제의 밀폐 용기(총내용적 약 2 L) 내의 물(1 L)에 뜨게하였다. 투입시부터의 누적 산소가스 발생량은, 24 시간 후까지가 1.3 L, 72 시간 후까지가 2.8 L, 120 시간 후까지가 3.4 L였다.
비교예 16
산소 발생제 포장체내 및 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 내에 활성 산화알루미늄을 충전시키지 않는 것 이외는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를 제조하고, 밀봉 외장 자루에 넣었다.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가 넣어진 외장 자루를, 30℃, 상대 습도 80%의 항온 항습조 내에서 보존한 결과, 2 주 사이에 외장 자루가 팽창하여 파열하였다.
실시예 25
두께 160 ㎛의 폴리에틸렌제 부직포(다이벡, 미국, 듀폰사제) 2 장 사이에 탄산나트륨 과산화수소 부가물(SPC-G, 미쯔비시 가스 가가꾸(주)제) 40 g 및 입경 150 내지 300 ㎛의 활성탄(쿠라레 케미말(주)제의 입상 활성탄 쿠라레콜 PW을 분쇄, 체로 분리한 것) 0.4 g 및 실리카겔 4.0 g을 충전시키고, 세로 120 mm x 가로 85 mm, 봉합폭 10 mm가 되도록 4 변을 열봉합한 산소 발생제 포장체를 얻었다. 또한, 활성 산화알루미늄 2.0 g 대신 실리카겔 4.0 g을 충전시킨 것 이외는, 실시예 24와 동일한 방법으로 탄산가스 흡수제를 얻었다.
얻어진 산소 발생제 포장체 4 개 및 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 2 개를,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소수성 부직포로 포장하고,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를 얻었다. 얻어진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 2 개를, 폴리염화비닐리덴 코팅 연신 나일론 필름과 폴리에틸렌 필름을 적층시킨 적층 필름(컵법 투습도 4 g/m2/24 시간) 2 장 사이에 넣고, 4 변을 열봉합하였다. 이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 포장체가 들어있는 외장 자루의 1 개소에 직경 0.2 mm의 핀홀을 뚫고, 30℃, 상대 습도 80%의 항온 항습조 내에서 2 개월간 보존한 결과, 과산화물 중의 유효 산소의 잔존율은 95%였다.
보존 후의 산소 발생제 포장체 1 개를, 습식 가스 미터에 접속된 유리제의 밀폐 용기(총내용적 약 2 L) 내의 물(1 L)에 뜨게하였다. 투입시부터의 누적 산소가스 발생량은, 24 시간 후까지가 0.5 L, 72 시간 후까지가 2.9 L, 120 시간 후까지가 3.5 L였다.
비교예 17
산소 발생제 포장체내 및 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 포장체내에, 실리카 겔을 충전시키지 않는 것 이외는 실시예 25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가 들어있는 외장 자루를, 30℃, 상대 습도 80%의 항온 항습조 내에서 2 개월간 보존한 결과, 과산화물 중의 유효 산소의 잔존율은 74%였다. 또한, 누적 산소가스 발생량은, 24 시간 후까지가 0.4 L, 72 시간 후까지가 1.5 L, 120 시간 후까지가 2.4 L였다.
실시예 26
활성탄 0.4 g 및 실리카겔 4.0 g 대신, 카탈라제 용액(아스크슈퍼 25, 미쯔비시가가꾸 (주)제) 0.2 g 및 절단 건조시킨 합성 제올라이트 1.0 g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25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또한, 활성 산화알루미늄 2 g 대신 절단 건조시킨 합성 제올라이트 1.0 g을 충전시킨 것 이외는, 실시예 24와 동일한 방법으로 탄산가스 흡수제를 얻었다.
보존 후의 과산화물 중의 유효 산소 잔존율은 92%였다. 또한 누적 산소가스 발생량은, 24 시간 후까지가 0.9 L, 72 시간 후까지가 2.0 L, 120 시간 후까지가 2.8 L였다.
비교예 18
산소 발생제 포장체 및 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 포장체내에, 합성 제올라이트를 충전시키지 않는 것 이외는 실시예 26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가 들어있는 외장 자루를, 30℃, 상대 습도 80%의 항온 항습조 내에서 2 개월간 보존한 결과, 과산화물 중의 유효 산소의 잔존율은 59%였다. 또한, 누적 산소가스 발생량은, 24 시간 후까지가 0.6 L, 72 시간 후까지가 1.2 L, 120 시간 후까지가 1.5 L였다.
실시예 27
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내에 실리카겔을 충전시키지 않는 것 이외는, 실시예 25와 동일한 방법으로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를 얻었다. 얻어진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 2 개 및 실리카겔 40 g을, 알루미 증착 폴리에스테르필름과, 폴리에틸렌 필름을 적층시킨 적층 필름(컵법 투습도 1 g/m2/24 시간) 사이에 넣고, 4 변을 열봉합하였다. 이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가 들어있는 외장 자루의 1 개소에 직경 0.2 mm의 핀홀을 뚫고, 30℃, 상대 습도 80%의 항온 항습조 내에서 2 개월간 보존한 결과, 과산화물 중의 유효 산소의 잔존율은 93%였다.
폴리에틸렌제의 자루 중에, 금붕어 150 마리(총중량 약 1 kg), 물 10 L 및 보존된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 1 개를 넣고, 산소가스 20 L를 주입한 후, 자루의 입을 고무밴드로 묶어서 25℃에서 방치하였다. 72 시간 경과시의 상부 공간 가스의 산소 농도는 86%, 탄산가스 농도는 11%였다. 96 시간 경과시의 상부 공간 가스의 산소 농도는 79%, 탄산가스 농도는 14%이며, 금붕어는 전체수가 생존하고 있었다.
비교예 19
산소 발생제 포장체에 실리카겔을 충전시키지 않는 것 이외는, 실시예 27과 동일하게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 2 개 및 실리카겔 56 g을,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가 들어있는 외장 자루를, 핀홀이 있는 외장 자루에 넣었다.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가 들어있는 외장 자루를, 30℃, 상대 습도 80%의 항온 항습조 내에서 2 개월간 보존한 결과, 과산화물 중의 유효 산소의 잔존율은 64%였다.
폴리에틸렌제의 자루 중에, 금붕어 150 마리(총중량 약 1 kg), 물 10 L 및 보존된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 1 개를 넣고, 산소가스 약 20 L를 주입한 후, 자루의 입을 고무밴드로 묶어서 25℃에서 방치하였다. 72 시간 경과시의 상부 공간 가스의 산소 농도는 83%, 탄산가스 농도는 12%였다. 96 시간 경과후의 상부 공간 가스의 산소 농도는 73%, 탄산가스 농도는 15%이며, 금붕어는 약 10%가 사망하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활어패류의 플라스틱 수송시나 보관시에 있어서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산소 결핍시나 유해가스 발생시 등의 긴급시의 산소 발생제로서, 또는 식물의 신선도 유지제 등으로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간편하게 되어 종래의 플라스틱 수송 방법에 큰 변경을 초래하지 않고, 활어패류의 활력 저하를 방지하며 수송 중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수송 시간의 연장이 도모되기 때문에, 지금까지 불가능하였던 먼 지역으로의 활어패류의 플라스틱 수송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32)

  1. 고체 과산화물과,
    과산화물 분해 촉매와,
    컵법 투습도( 40℃, 90% 상대습도)가 20 g/m2/24 시간 이상이고 동시에 상압에서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투습성 재료가 구비되어, 상기 고체 과산화물과 과산화물 분해 촉매가 상기 기체 투습성 재료로 포장된 산소 발생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물 분해 촉매가 1종 이상의 이산화 망간, 활성탄 및 카탈라제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산소 발생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의 중앙 입경이 25 내지 5,000 ㎛인 산소 발생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습성 재료가 플라스틱제의 시트로 이루어진 미세 다공막인 산소 발생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습성 재료가 미세공을 갖는 플라스틱제의 시트로 이루어진 부직포인 산소 발생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과산화물이 1종 이상의 탄산나트륨 과산화수소 부가물, 과붕산나트륨 일수화물 및 과붕산나트륨 사수화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산소 발생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과산화물과 과산화물 분해 촉매의 중량비가 100 : 0.01 내지 100 : 100인 산소 발생제.
  8. 알칼리 토류금속 수산화물 및(또는) 산화물과,
    가레이식 공기 투과도(JIS P8117)가 공기 100 ml 당 0.1 내지 3,000 초이고 동시에 상압에서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기체 투과성 재료가 구비되어 상기 알칼리 토류금속 수산화물 및(또는) 산화물이 상기 투과성 재료로 포장된 탄산가스 흡수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토류금속 수산화물 및(또는) 산화물이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으로부터 선택되는 탄산가스 흡수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투과성 재료로서 플라스틱제의 미공성 필름을 사용하는 탄산가스 흡수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투과성 재료로서 플라스틱제의 부직포를 사용하는 탄산가스 흡수제.
  12. 산소 발생제 및 탄산가스 흡수제가 상압에서 물을 통과시키는 포장 재료에 의해 포장된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압에서 물을 통과시키는 포장 재료가 소수성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인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발생제가 제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산소 발생제인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가스 흡수제가 제8항 내지 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탄산가스 흡수제인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발생제에 건조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발생제 및 탄산가스 흡수제에 건조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제가 1종 이상의 실리카겔, 활성 산화알루미늄, 제올라이트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
  19. 컵법 투습도( 40℃, 90% 상대습도)가 20 g/m2/24 시간 미만인 불투습성 재료로 이루어진 포장재에 의해 포장된 제16항 또는 17항 기재의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
  20. 산소 발생제 및 탄산가스 흡수제를 수송 자루 내에 봉입하는 활어패류의 수송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발생제가 고체 과산화물 및 과산화물 분해 촉매를 컵법 투습도( 40℃, 90% 상대습도)가 20 g/m2/24 시간 이상이고 동시에 상압에서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투습성 재료로 포장한 것인 활어패류의 수송 시스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가스 흡수제가 알칼리 토류금속 수산화물 및(또는) 산화물을 가레이식 공기 투과도가 공기 100 ml 당 0.1 내지 3,000 초이고 동시에 상압에서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플라스틱제의 기체 투과성 재료로 포장한 것인 활어패류의 수송 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과산화물이 1종 이상의 탄산나트륨 과산화수소 부가물, 과붕산나트륨 일수화물 및 과붕산나트륨 사수화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활어패류의 수송 시스템.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물 분해 촉매가 1종 이상의 이산화망간, 활성탄 및 카탈라제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활어패류의 수송 시스템.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토류금속 수산화물 및(또는) 산화물이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활어패류의 수송 시스템.
  26. 제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산소 발생제를 수송 자루 내에 봉입하는 활어패류의 수송 시스템.
  27. 제8항 내지 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탄산가스 흡수제를 수송 자루 내에 봉입하는 활어패류의 수송 시스템.
  28. 제12항 내지 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를 수송 자루 내에 봉입하는 활어패류의 수송 시스템.
  29. 활어패류 및 활어패류를 생존시키기 위한 액체가 수용된 수송체 내에 산소 발생제를 봉입하는 활어패류의 수송 방법.
  30. 활어패류 및 활어패류를 생존시키기 위한 액체가 수용된 수송체 내에 탄산가스 흡수제를 봉입하는 활어패류의 수송 방법.
  31. 활어패류 및 활어패류를 생존시키기 위한 액체가 수용된 수송체 내에 산소 발생제 및 탄산가스 흡수제를 봉입하는 활어패류의 수송 방법.
  32. 활어패류 및 활어패류를 생존시키기 위한 액체가 수용된 수송체 내에 산소 발생제 및 탄산가스 흡수제를 상압에서 물을 통과시키는 포장 재료로 포장시킨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를 봉입하는 활어패류의 수송 방법.
KR1019980039903A 1997-09-26 1998-09-25 산소 발생제, 탄산가스 흡수제 및 활어패류의 수송 시스템과 활어패류의 수송 방법 Ceased KR199900301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61607 1997-09-26
JP26160797A JPH11100201A (ja) 1997-09-26 1997-09-26 酸素発生剤包装体及び活魚の輸送方法
JP97-338732 1997-12-09
JP33873297A JPH11169016A (ja) 1997-12-09 1997-12-09 酸素発生剤包装体及び活魚の輸送方法
JP1694698A JPH11206266A (ja) 1998-01-29 1998-01-29 活魚の輸送方法
JP98-16946 1998-01-29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9402A Division KR20050098779A (ko) 1997-09-26 2005-08-29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 및 활어패류의 수송시스템과 활어패류의 수송 방법
KR1020050079401A Division KR20050091682A (ko) 1997-09-26 2005-08-29 탄산가스 흡수제 및 활어패류의 수송 시스템과 활어패류의수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148A true KR19990030148A (ko) 1999-04-26

Family

ID=2728162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9903A Ceased KR19990030148A (ko) 1997-09-26 1998-09-25 산소 발생제, 탄산가스 흡수제 및 활어패류의 수송 시스템과 활어패류의 수송 방법
KR1020050079402A Ceased KR20050098779A (ko) 1997-09-26 2005-08-29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 및 활어패류의 수송시스템과 활어패류의 수송 방법
KR1020050079401A Ceased KR20050091682A (ko) 1997-09-26 2005-08-29 탄산가스 흡수제 및 활어패류의 수송 시스템과 활어패류의수송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9402A Ceased KR20050098779A (ko) 1997-09-26 2005-08-29 산소 발생제/탄산가스 흡수제 포장체 및 활어패류의 수송시스템과 활어패류의 수송 방법
KR1020050079401A Ceased KR20050091682A (ko) 1997-09-26 2005-08-29 탄산가스 흡수제 및 활어패류의 수송 시스템과 활어패류의수송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6306352B1 (ko)
EP (2) EP1514841A3 (ko)
KR (3) KR19990030148A (ko)
CN (2) CN1659957A (ko)
DE (1) DE69837586T2 (ko)
TW (1) TW40372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7896A (ko) * 2004-01-29 2005-08-04 박재학 산소발생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03720B (en) * 1997-09-26 2000-09-01 Mitsubishi Gas Chemical Co Oxygen generating agent, carbon dioxide gas absorbent, the transport system and the transport method of living fish
US7273567B1 (en) * 1999-11-24 2007-09-25 Microactive Corp. Energy-activated compositions for controlled sustained release of a gas
DE60041262D1 (de) * 1999-05-18 2009-02-12 Microactive Corp Energieaktivierte zusammensetzung zur kontrollierten, zeitverzögerten gasfreisetzung
US20030099837A1 (en) * 1999-12-22 2003-05-29 Dirk Mockel Thermoplastic multi-layered film with a layer of vinylcyclohexane-based polymer
NL1017129C2 (nl) * 2001-01-16 2002-07-17 Rp Zeewolde B V Samenstelling voor het verhogen van het zuurstofgehalte in water.
WO2003054508A2 (en) * 2001-10-23 2003-07-03 Anteon Corporation Integrated oxygen generation and carbon dioxide absorp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s
DE10324563A1 (de) * 2003-05-30 2004-12-30 Söchting, Klaus, Dr. Verfahren zur Versorgung eines biologisch genutzten wäßrigen Systems mit Sauerstoff, und eine Vorrichtung und ein Set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CA2489738C (en) * 2004-12-10 2007-06-26 Atlantic Aqua Farms Inc.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for seafood
CN1317065C (zh) * 2005-01-21 2007-05-23 清华大学 高活性钙基co2吸收剂及其制备方法
US20060219184A1 (en) * 2005-04-01 2006-10-05 Wilson Charles L Compartmentalized Plastic Bags That Deliver Stress-Reducing Chemicals to Fish During Transport or Treatment
JP2008021629A (ja) * 2006-07-11 2008-01-31 Samsung Sdi Co Ltd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US20080081364A1 (en) * 2006-10-03 2008-04-03 Greenfield Richard M Preservation system for stratabound microorganisms
US20090107409A1 (en) * 2007-10-30 2009-04-30 Charles Qian Yu Container for transport and acclimation of fish and their acclimation to new environments
KR101251891B1 (ko) * 2008-01-21 2013-04-08 김현식 위생대
FR2930725B1 (fr) * 2008-04-30 2010-08-13 Oreal Compositions a base de complexes polymere-peroxyde d'hydrogene et leurs utilisations
US20100255162A1 (en) * 2009-04-06 2010-10-07 Cryovac, Inc. Packaging with on-demand oxygen generation
US20120015081A1 (en) * 2010-03-31 2012-01-19 Multisorb Technologies, Inc. Oxygen and carbon dioxide absorption in a single use container
US20110243483A1 (en) * 2010-03-31 2011-10-06 Multisorb Technologies, Inc. Oxygen and carbon dioxide absorption in a single use container
GB201108336D0 (en) * 2011-05-18 2011-06-29 Emco Packaging Systems Ltd Packaging inclusion for controlling or modifying the atmosphere in packaging
CN102923927B (zh) * 2011-11-08 2014-10-01 福州光宇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污染水体底泥复氧型修复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349668A (zh) * 2012-05-31 2015-02-11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氧气发生二氧化碳吸收剂组合物、及氧气发生二氧化碳吸收剂包装体、以及鲜活水产品的输送方法
JP6028182B2 (ja) * 2012-07-06 2016-11-16 株式会社光未来 水素ガスの密封袋、及び水素ガスの溶解方法
US9365425B2 (en) 2012-08-31 2016-06-14 Water Star, Inc. High pressure dissolved oxygen generation
WO2015122021A1 (ja) * 2014-02-17 2015-08-20 マリンバイオ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魚介類の麻酔方法および装置
US10021867B2 (en) 2014-06-02 2018-07-17 Judy L. Tipton Fish transfer bag
CN104003495B (zh) * 2014-06-16 2015-07-08 唐山亨通科技有限公司 一种油脂类污水处理的方法及化学药剂
CN104255593A (zh) * 2014-09-05 2015-01-07 李松霖 一种鲜活鱼的运输方法
CN105214597A (zh) * 2015-09-21 2016-01-06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中温二氧化碳吸收剂及其成型方法
CN105214598B (zh) * 2015-10-22 2017-09-01 北京林业大学 一种高性能co2吸附材料及其制备方法
CN105617554B (zh) * 2016-01-23 2019-04-12 汕头大学医学院第一附属医院 一种能够释放水份及氧气的颗粒式防窒息急救口罩
CN105617555B (zh) * 2016-01-23 2018-11-02 汕头大学医学院第一附属医院 一种能够释放水份及氧气的管道式防窒息急救口罩
CN107117582A (zh) * 2016-02-24 2017-09-01 曹荣华 一种可局部快速产生氧气的组合物
CN106106320B (zh) * 2016-08-01 2019-03-05 江苏大学 一种用于鲟鱼低温保活运输装置的氧气缓释器
CN106305577A (zh) * 2016-08-23 2017-01-11 山东商业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水产品无水保活的智能储存箱
CN106719264B (zh) * 2016-09-09 2020-04-14 日照市海洋与渔业研究所 短蛸苗种增殖放流的活体运输方法
CN106628549B (zh) * 2017-03-15 2018-08-21 黑龙江八一农垦大学 多功能二氧化碳吸收袋及其应用
CN107646785B (zh) * 2017-11-12 2022-11-25 华北理工大学 一种鱼类供氧装置
CN108067180B (zh) * 2018-01-11 2021-03-30 重庆大学 一种钇镁-钙基co2吸附剂及其制备方法
CN108607483B (zh) * 2018-04-28 2020-12-22 汉广中药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具有氧气缓释功能的中药材养护剂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CN109007018A (zh) * 2018-09-11 2018-12-18 李继云 一种保鲜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AU2020104019B4 (en) * 2018-11-23 2021-05-27 Southern Cross Marine Culture R&D Pty Ltd Method of packaging shellfish
CN110562590B (zh) * 2019-09-22 2021-06-04 扬州科信包装印刷有限公司 一种新型的活性包装材料
EP4125847A4 (en) 2020-04-03 2024-06-19 Lpoxy Therapeutics, Inc. ENTERAL AEROBIZATION THERAPY
CN112219784B (zh) * 2020-10-20 2022-03-15 杭州空气盒子包装有限公司 一种气柱保护的充氧鲜活水产品运输袋及其使用方法
CN112478421A (zh) * 2020-12-05 2021-03-12 任杰 一种分层自疏松型袋装干燥剂
KR20240095216A (ko) 2021-09-29 2024-06-25 엘폭시 세라퓨틱스 인코퍼레이티드 장 호기화 요법
TWI789157B (zh) * 2021-12-10 2023-01-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氣體產生裝置
CN115180882B (zh) * 2022-05-30 2023-06-16 湖北工业大学 一种内源碳化轻质板的制备方法
CN115214999B (zh) * 2022-09-21 2022-12-16 山东鑫义食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项调节型海产品储存罐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5041A (en) * 1968-08-20 1971-02-23 Aleck G Brooks Method of carrying and storing live fish
US3593711A (en) * 1969-02-28 1971-07-20 Mine Safety Appliances Co Dual canister chemical-type life support system
US3604416A (en) * 1969-04-28 1971-09-14 Universal Oil Prod Co Emergency oxygen system
US3728988A (en) * 1971-01-22 1973-04-24 Mattel Inc Marine life storage habitat medium and shipping method
US3714307A (en) * 1971-02-24 1973-01-30 Kanegafuchi Spinning Co Ltd Aqueous coagulation of salt containing polyurethane to form porous sheet
US3920803A (en) * 1972-10-20 1975-11-18 Foote Mineral Co Oxygen-generating granules
US4423080A (en) * 1975-03-10 1983-12-27 Bedrosian And Associates Controlled atmosphere produce package
JPS52142897A (en) * 1976-05-24 1977-11-29 Midori Anzen Kogyo Respiring bag for emergency respirator
DE2633344C2 (de) * 1976-07-24 1982-09-23 Drägerwerk AG, 2400 Lübeck Sauerstoffatemschutzgerät mit sauerstoffabgebender Chemikal-Patrone
US4164218A (en) * 1977-12-09 1979-08-14 Midori Anzen Company, Ltd. Personal escape breathing apparatus
US4409978A (en) * 1980-06-16 1983-10-18 Portable Air Supply Systems, Corp. Portable,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JPS5951244B2 (ja) * 1981-11-10 1984-12-13 凸版印刷株式会社 鮮魚類の保存方法
US4498190A (en) * 1983-10-05 1985-02-05 Garlick Iii Fred W Aquatic animal containing devices
JPS61197406A (ja) * 1985-02-22 1986-09-01 Toppan Printing Co Ltd 酸素発生体
NZ212177A (en) * 1985-05-23 1988-10-28 Nz Govern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live fish
JPS62278104A (ja) * 1986-05-28 1987-12-03 Daiichi Sangyo Kk 酸素発生方法およびその発生器
JPS63156001A (ja) * 1986-08-07 1988-06-29 Meiwa Kouyu Kk 酸素発生部材
JPS63182203A (ja) * 1987-01-23 1988-07-27 Toichi Kitamura 酸素発生固形剤
CA1301533C (en) * 1987-03-31 1992-05-26 William Duncan Powrie Preservation of cut and segmented fresh fruit pieces
JPS63285102A (ja) * 1987-05-15 1988-11-22 Daiwa Kasei Kogyo Kk 酸素発生方法および発生装置
JP2562327B2 (ja) * 1987-08-21 1996-12-11 俊夫 西村 ドライタイプ用の酸素発生器
JPH01103902A (ja) 1987-10-15 1989-04-21 Daiwa Kasei Kogyo Kk 酸素供給用包装体
US4963327A (en) * 1988-03-23 1990-10-16 Z-Gard, Inc. Oxygen generating module
JPH02203726A (ja) * 1988-12-14 1990-08-13 Morishita Gijutsu Kenkyusho:Kk 活魚の輸送方法
US4926795A (en) * 1989-02-14 1990-05-22 Hom, Inc. Method of reinstating acceptable flavor to off-flavor catfish by treatment with peroxide additives
US4962728A (en) * 1989-03-27 1990-10-16 Monsanto Company Use of potassium kurrol's salt to preserve live fish
CA2014500C (en) * 1989-04-17 1996-09-24 Yoshitsugu Sakata Acidic gas absorbent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US5050535A (en) * 1989-08-07 1991-09-24 Mckellar Kelly Bag for containing live fish
DE59005958D1 (de) * 1989-08-19 1994-07-07 Henkel Kgaa Verfahren zur granulierung von perboratmonohydrat.
US5029578A (en) * 1989-09-15 1991-07-09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Oxygen breathing apparatus simulator
JPH03108428A (ja) * 1989-09-22 1991-05-08 Onoda Autoclaved Light Weight Concrete Co Ltd 魚類に発生する寄生虫の駆除方法
JP2931340B2 (ja) * 1989-11-14 1999-08-09 株式会社クラレ 二酸化炭素吸収剤
JPH03183427A (ja) * 1989-12-13 1991-08-09 Yoshiaki Nagaura 活魚を輸送する方法
JPH0426808A (ja) 1990-05-22 1992-01-30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コネクタ切替接続装置
JPH0429840A (ja) * 1990-05-25 1992-01-31 Asahi Chem Ind Co Ltd 通気性包材及びその包体
GB2245809B (en) * 1990-06-25 1994-03-16 Csir Method for transportation of live fish
US5159895A (en) * 1990-07-09 1992-11-03 Helling Robert W Packaged article assembly
JPH0475546A (ja) * 1990-07-14 1992-03-10 Kuraray Chem Corp 活魚及び鑑賞魚の水槽浄化剤
JPH04267828A (ja) * 1991-02-25 1992-09-24 Ushio Inc 魚類運搬方法
US5186165A (en) * 1991-06-05 1993-02-16 Brookdale International Systems Inc. Filtering canister with deployable hood and mouthpiece
JPH05306104A (ja) * 1992-04-30 1993-11-19 Mitsubishi Rayon Co Ltd 酸素発生材
US5492741A (en) * 1992-06-19 1996-02-20 Fuji Photo Film Co., Ltd. Packaging material for photographic photosensitive materials and light-shielding bag formed thereof
US5463983A (en) * 1992-10-06 1995-11-07 Nagaura; Yoshiaki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live fish
RU2075319C1 (ru) * 1993-07-01 1997-03-20 Тамбов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хим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Регенеративный продукт для изолирующих дыхательных аппаратов
JPH07289114A (ja) 1994-04-21 1995-11-07 Mitsubishi Rayon Co Ltd 酸素発生材
EP0944305B1 (en) * 1996-12-13 2003-01-29 Chemoxal S.A. Use of peracetic acid in fish farming
TW403720B (en) * 1997-09-26 2000-09-01 Mitsubishi Gas Chemical Co Oxygen generating agent, carbon dioxide gas absorbent, the transport system and the transport method of living fish
JP2000262181A (ja) * 1999-03-18 2000-09-26 Kamihata Yogyo Kk 生物輸送セ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7896A (ko) * 2004-01-29 2005-08-04 박재학 산소발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37586D1 (de) 2007-05-31
EP0905086A2 (en) 1999-03-31
KR20050091682A (ko) 2005-09-15
CN1659957A (zh) 2005-08-31
CN1199560C (zh) 2005-05-04
US6306352B1 (en) 2001-10-23
KR20050098779A (ko) 2005-10-12
US6612259B2 (en) 2003-09-02
EP0905086B1 (en) 2007-04-18
EP1514841A2 (en) 2005-03-16
EP0905086A3 (en) 2003-12-03
CN1212829A (zh) 1999-04-07
TW403720B (en) 2000-09-01
DE69837586T2 (de) 2007-12-27
US20020001548A1 (en) 2002-01-03
EP1514841A3 (en) 201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30148A (ko) 산소 발생제, 탄산가스 흡수제 및 활어패류의 수송 시스템과 활어패류의 수송 방법
JP6185911B2 (ja) 酸素発生・炭酸ガス吸収剤包装体、及び活魚介類の輸送方法
US4485133A (en) Oxygen absorbent packaging
CA2332843A1 (en) Carbon dioxide atmosphere modifiers for packaging
JP2000211901A (ja) 二酸化塩素含有ゲル状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保管方法並びに二酸化塩素含有ゲル状組成物の充填体と二酸化塩素含有ゲル状組成物の充填体収納袋及び二酸化塩素含有ゲル状組成物収納容器
GB2491007A (en) Inclusion for controlling or modifying the atmosphere in packaging comprising reactive material within a semi-permeable envelope
JP2004244036A (ja) 品質保持剤包装体
US20040081727A1 (en) Gas-release packet with frangible sub-packet
JPH11100201A (ja) 酸素発生剤包装体及び活魚の輸送方法
JP3246538B2 (ja) 蓋用パッキング
JPH11206266A (ja) 活魚の輸送方法
JPH11208713A (ja) 酸素発生・炭酸ガス吸収剤包装体及び活魚の輸送方法
JP2000041527A (ja) 酸素発生剤・炭酸ガス吸収剤包装体及び活魚介類の輸送方法
JP3129685U (ja) 炭酸ガス吸収包装袋
JPH11169016A (ja) 酸素発生剤包装体及び活魚の輸送方法
JP2000032869A (ja) 酸素発生剤・炭酸ガス吸収剤包装体及び活魚の輸送方法
JP3116227U (ja) 気体透過性、水分不透過性不織布からなるオゾン氷カプセル
JP2666381B2 (ja) 脱酸素剤用包装フィルム
WO1992017384A1 (en) Package of drug, method of making said package, and method of and device for feeding said package
JP3033259B2 (ja) 脱酸素剤包装体
JP2002284216A (ja) 脱酸素機能を有する蓋
JP3651719B2 (ja) 品質保持方法
JPH05338675A (ja) 野菜類の鮮度保持剤及び保存方法
GB2599337A (en) A pack atmosphere support system for live seafood during extended air-freighted distribution chains
JPH02263645A (ja) 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9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09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829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12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6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6011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12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61103

Appeal identifier: 2006101000399

Request date: 20060119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11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119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8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3092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119

Effective date: 20061103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61103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60119

Decision date: 20061103

Appeal identifier: 2006101000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