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4075A - 불용성 금속염을 사용하여 양이온성 염료, 음이온성 염료 및 안료 분산액을 부동화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불용성 금속염을 사용하여 양이온성 염료, 음이온성 염료 및 안료 분산액을 부동화시키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24075A KR19980024075A KR1019970029759A KR19970029759A KR19980024075A KR 19980024075 A KR19980024075 A KR 19980024075A KR 1019970029759 A KR1019970029759 A KR 1019970029759A KR 19970029759 A KR19970029759 A KR 19970029759A KR 19980024075 A KR19980024075 A KR 199800240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k
- jet
- paper
- metal salt
- jet pap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35—Uncoated pap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45—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containing cationic or anionic groups, e.g. morda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02—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materials
- B41M5/508—Suppo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18—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inorganic additives, e.g. pigments, clays
-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21H11/16—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modified by a particular after-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전에 의해 약간 수용성인 금속염으로 채워진 구멍을 함유한 섬유를 포함하는 특수 제조된 잉크-젯 종이를 휴렛트-팩카드 캄파니의 DeskJet(등록상표) 프린터 등의 가열식 잉크-젯 칼라 프린터에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착색제, 예를 들면 염료 또는 안료, 및 필요한 경우 착색제를 분산시키는 분산액을 함유한 잉크-젯 잉크를 특수 제조된 종이 위에 인쇄한다. 분산액의 분산력은 잉크-젯 종이에 함유된 구멍에 침전되어 있는 금속염 입자에 의해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잉크-젯 종이 위에 잉크-젯 잉크를 인쇄할 때 착색제가 종이면 위에서 간접적으로 침전된다. 염료-함유 잉크의 경우, 금속염은 염료를 직접적으로 침전시킨다. 그 결과, 잉크-젯 칼라 프린터는, 색 영역(color gamut) 및 내수성이 향상되고 인접하여 인쇄된 색 사이의 번짐이 감소되는 확실한 방법으로 고화질 칼라 영상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잉크-젯 인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펄프 섬유에 약간 가용성인 침전 금속염을 채우므로써 종이에 함유된 펄프 섬유를 개질시킨 잉크-젯 인쇄용 종이에 관한 것이다.
시판되는 가열식 잉크-젯 칼라 프린터, 예를 들면 휴렛트-팩카드 캄파니(Hewlett-Packard Company)에서 시판하는 DeskJet 프린터는, 황색, 자홍색 및 남색 잉크를 각종 비율로 조합하므로써 칼라 스펙트럼이 얻어진다. 발색된 잉크 셋트를 조합하여 얻어지는 칼라 스펙트럼은 잉크 셋트의 색 영역(color gamut)으로 지칭된다. 색 영역은 항상 이론적으로 가능한 칼라 스펙트럼의 일부이다.
이론적으로 가능한 스펙트럼이 얻어지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잉크 셋트 중의 특정 잉크의 강도가 인쇄 매질 상에 나타날 때 특정한 정도 이상에서는 효과적으로 커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쇄 매질로 이동될 수 있는 강도보다 더욱 높은 강도를 필요로 하는 스펙트럼 내의 칼라가 제조될 수 없다. 이동될 수 있는 착색제 전체량은 잉크의 착색제 농도 및 잉크의 이동가능한 부피를 포함한 많은 요인에 따라 좌우된다. 전형적으로, 잉크 제제의 다른 중요한 면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종이 위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잉크의 착색제 농도가 임의로 커질 수 없다.
감소된 색 영역에 대한 또 다른 이유는 특히 매질이 종이인 경우에 일부 잉크 착색제가 도료 매질에 침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일이 발생하면, 인쇄된 영역의 착색제 외형 강도는 인쇄 매질면으로 이동된 착색제 양을 기준으로하여 예상보다 낮아진다. 이러한 문제를 경감시키는 방법은 착색제를 종이면 위에 잔류시키거나, 또는 다른 말로 표현하면, 종이면 내로 착색제 침투를 억제하는 것이다.
잉크-젯 잉크 조성물에서, 잉크는 잉크 비히클 중에 염료 또는 안료를 분산시키므로써 제제화된다. 예를 들면, 남색 잉크는 잉크 비히클에 용해된 남색 염료를 포함한다. 잉크-젯 잉크 조성물에 사용되는 염료 분자는 종종 염료 음이온 및 양이온(예를 들면, 소듐)을 포함하는 염료 염의 형태이다. 안료-함유 착색제의 경우, 잉크 비히클은 전형적으로 하전된 분산액을 포함한다.
종이면 내로 착색제 침투를 억제하는 방법은 일단 잉크가 종이에 적용될 때 비히클 분산 특성의 방해에 달려있다. 비히클 분산 작용을 중지시키는 방법 중 하나는 잉크 용매를 증발시키는 것이다. 또는, 종이면 내로 착색제 침투는 착색제를 적용시킨 후에 잉크중 분산액의 분산력을 파괴시키므로써 감소시킬 수 있다. 용매 증발보다는 더욱 빠르게 작용하는 분산액 작용 파괴 방법이 종이면 내로 착색제 침투를 더욱 많이 감소시킨다.
반응성 잉크-젯 인쇄(Reactive Ink-Jet Printing)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694,302호는 본 출원과 동일한 양수인에게 허여된 것으로, 잉크의 수-견뢰도(water-fastness) 및 인쇄질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이 출원에서, 잉크를 인쇄 매질에 적용시키기 전이나 후에, 잉크중 염료를 종이 기판과 화학적으로 연결시키는 반응종을 인쇄 매질에 적용시킨다. 그러나, 이 방법은 인쇄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2개의 별도 프린트 헤드가 필요하다.
잉크-젯 인쇄의 기록 매질(Recording Medium for Ink-Jet Printing)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740,420호와 이성분 양이온성 기록면을 갖는 잉크-젯 기록 시이트(Ink Jet Recording Sheet Having a Bicomponent Cationic Recording Surface)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554,181호는 잉크중 착색제의 불용성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가용성 금속염을 함유한 표면 처리에 의해 개질된 기록 매질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이 방법은 인쇄 매질의 후-제조 및 표면 개질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 방법은 특히 인쇄 매질면 내로 착색제 침투를 감소시킬 필요성이 요구되지 않는다. 색 영역의 향상이 침투 감소를 필요로 한다.
잉크-젯 기록 시이트(Ink-Jet Recording Sheet)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126,010호는 수불용성 칼슘 카보네이트가 종이에 혼합되어서 충전 안료로 작용하는 기록 시이트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종이면을 추가 처리하여 물-함유 잉크가 종이에 흡수되도록 한다. 이 인쇄 매질은 잉크가 종이면 위에 보유되도록 고안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매질면 내로의 착색제 침투를 편리하고 경제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잉크 셋트가 재생시킬 수 있는 색 영역이 증가되는 잉크-젯 인쇄 방법이 여전히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펄프 섬유 구멍 내에 금속염을 편리하게 공급시키므로써 인쇄 매질(종이) 내로의 잉크 착색제 침투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인쇄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에서 금속염은 잉크 비히클의 분산 작용이 잉크 착색제의 용해 또는 사용을 중지시키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잉크-젯 인쇄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a) 약간 가용성인 침전 금속염 입자로 채워진 구멍(상기 입자를 기계적으로 보유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작으나, 잉크 비히클의 이온을 구멍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다)을 함유하는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잉크-젯 종이를 제공하는 단계;
(b) (1) 잉크-젯 잉크를 잉크-젯 종이 위에 인쇄하는 경우, 잉크-젯 종이 내의 약간 가용성인 침전 금속염 입자에 의해 침전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착색제, 및 (2) 착색제가 안료를 함유한 경우 하나 이상의 분산액을 함유하거나, 또는 착색제가 염료를 함유한 경우 분산액없이 착색제를 용해시키는 비히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잉크-젯 잉크를 제공하는 단계; 및
(c) 잉크-젯 잉크를 잉크-젯 종이면 위에 인쇄시키므로써 착색제를 잉크-젯 종이면 위에 침전시키며, 이에 의해 색 영역과 보유력이 향상되고 착색제의 침투 및 번짐이 감소되는 단계.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구멍을 함유한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잉크 젯-인쇄에서 색 영역과 보유력을 향상시킨 잉크-젯 종이가 제공된다. 상기 구멍은 약간 가용성인 침전 금속염 입자로 채워지고, 상기 구멍은 상기 입자를 기계적으로 보유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작고 잉크 비히클의 이온을 구멍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다.
종이면 위에 착색제를 침전시키는 약간 가용성인 침전 금속염을 혼입시킨 잉크-젯 종이를 사용하면, 색 영역과 보유력이 향상되고 착색제 침투 및 인접하여 인쇄된 착색제 사이의 번짐이 감소된다.
본원에 기재된 본 발명은 잉크-젯 칼라 프린터, 특히 휴렛트-팩카드 DeskJet 프린터와 같은 가열식 잉크-젯 프린터에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종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이는 잉크-젯 잉크중 착색제 침전을 유도하므로써 색 영역과 색 보존성을 증가시키고 인쇄된 잉크-젯 잉크의 침투와 번짐을 감소시키므로써 잉크-젯 칼라 프린터가 고화질 영성을 제조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종이 시이트를 아래에 놓기 전에, 상기 종이는 종이 펄프 섬유의 구멍에 침전된 금속염을 함유한다. 금속염은 잉크 비히클의 분산력 또는 용해력을 파괴시키므로써 잉크-젯 잉크중 착색제 침전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분산력은 잉크 비히클과 염료-함유 잉크중 염료의 상호작용, 및 착색제가 안료를 함유한 경우 분산액 분자/안료의 상호작용으로부터 발생한다. 잉크 비히클 또는 안료 분자의 분산력이 금속염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파괴되는 경우, 잉크 비히클은 더이상 착색제를 용해시킬 수 없으므로 착색제가 침전한다. 침전 반응은 종이로의 침투보다 더 빠르게 발생하므로, 착색제는 실질적으로 종이면 위에 남아있다. 착색제를 실질적으로 물에 용해시킬 수 있는 성분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므로, 생성된 인쇄된 칼라는 극히 내수성이다. 인쇄된 칼라는 원지(原紙)보다 향상된 내수성을 갖는다.
종이 펄프 섬유내의 구멍 크기는 일단 침전 염이 구멍내에서 침전되면 상기 염을 포획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제지 공정 중에 연목 펄프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중요할 것이다. 물성인 구멍 크기는 펄프에 사용된 목재 형태에 좌우되며, 펄프 처리 공정에는 좌우되지 않는다. 압지(하기에서 설명함)에 사용되는 형태인 연목은 경목과 다른데, 이는 경목이 함유하는 물관 요소가 개구된 말단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어서 물관 요소의 구멍이 침전 물질을 함유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연목의 도관 및 조직은 개구된 말단이 아니여서 침전된 염을 함유할 수 있는 구멍을 갖는다. 따라서, 연목이 본 발명의 실시에서 바람직하다.
금속염은 펄프 섬유의 종이로의 공정 도중에 제거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뷸용성이어야 하고, 잉크 비히클 또는 분산액 분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유리 이온을 제공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가용성이어야 한다. 금속염이 낮은 용해도곱 상수를 갖는 각종 약간 가용성인 금속염을 함유할 수 있음이 예상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에서 사용되는 금속염은 약 5 x 10-5미만의 용해도곱을 갖는다.
무기염으로 적절하게 사용되는 양이온은 주기율표 2A 그룹의 알칼리 토금속(예를 들면, 마그네슘, 바륨 또는 칼슘)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효과적일 수 있는 금속염은 마그네슘 옥실레이트, 칼슘 설페이트, 칼슘 타르타레이트, 바륨 옥실레이트 및 바륨 플루오라이드이다. 바람직하게는, 마그네슘이 본 발명의 실시에서 양이온으로 사용된다. 금속염으로 적절하게 사용되는 음이온은 설페이트, 카보네이트 및 옥실레이트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그네슘과 관련하여 가장 바람직한 음이온은 카보네이트이다.
본 발명에서 기재한 종이 위에 인쇄하는 경우, DeskJet 850C와 DeskJet 500C 잉크-젯 프린터의 칼라 및 흑색 잉크 셋트의 성능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잉크 셋트에 대한 휴렛트-팩카드 부품 번호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또한, Canon BJC 600 잉크 셋트를 또한 시험하여, 침투 면에서의 결과가 휴렛트-팩카드 잉크에서 발견된 침투 결과와 유사하였다. 캐논 부품 번호 또한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
모든 성분의 순도는 제지 공정용으로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제품에서 사용되는 정도이다. 모든 농도는 달리 표시되어 있지 않는 한, 중량%로 표기한다.
금속염에 추가하여, 상기 종이는 시판되는 종이 제조에서 발견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목재 펄프는 표백하므로써 제조되는 목재 펄프 등의 일반적인 제지 제조용 펄프이다. 또한, 목재 펄프를 다른 펄프 공급원과 조합할 수 있으나, 단 펄프 섬유의 구멍 크기가 적당한 범위에 있어야 한다.
[표 2]시판 종이 성분의 중량%
종이 내의 금속염 농도는 5 내지 15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7 내지 12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마그네슘 카보네이트의 중량%는 열중량 분석기(TGA; Thermogravimetric analyzer, Perkin Elmer TGA7)으로 측정할 수 있다. TGA를 사용하는 경우, 종이를 재로 만들고, 결과로 생성된 물질은 마그네슘 카보네이트의 광물 형태인 마그네슘 산화물로 추측된다. 중량%는 화학량론을 사용하여 MgCO3의 g으로 전환시킨다.
펄프 섬유 내의 구멍 크기는 약 1 내지 50마이크론의 범위일 수 있고, 바람직한 평균 크기는 약 15 내지 30마이크론이다.
바람직한 태양에서, 약 5.9중량%의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및 표 Ⅱ에 나열한 성분을 함유하며, 상기 마그네숨 카보네이트는 건조된 종이 펄프의 약 15 내지 30마이크론의 구멍에 약 83.3%가 침전되어 존재한다. 상기한 잉크 중 하나를 사용하여 종이를 인쇄한다.
[실시예]
실시예 설명 다음에, 모든 실시예와 비교예의 결과가 포함되어 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 생성된 종이는 본 발명에 따라 하중된 종이로 지칭된다. 본 발명의 종이는 비건조 펄프를 사용하기보다는 압지 종이를 침액시켜서 펄프를 재생시키므로써 제조하여 실시예를 실시하였다. 압지 종이를 사용한 것은 이들이 화학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사용된 압지 종이는 제임스 강에서 온 것으로, 그 형태는 Blotting Verigood 19 x 24-160M Basis 80, 411-01-11이다. 4개 압지 종이를 포화 마그네슘 설페이트 용액 500㎖에 하룻밤동안 침액시켰다. 침액되어 재생된 펄프로부터 과량의 용액을 제거하였다. 상기 펄프 섬유는 황산 마그네슘 용액에 적셔진 상태로 있다. 그 다음에, 이들 섬유를 포화 탄산 소듐 500㎖에 놓고, 해밀톤 비치(Hamilton Beach) 블렌더를 사용하여 5분동안 고속으로 분해시켰다. 상기 섬유를 황산 나트륨 용액으로부터 제거하여 세정수의 pH가 중성이 될 때까지 세정하였다. 섬유를 스크린 위에 고정시키므로써 종이를 시이트에 내려놓았다. 파라핀 종이를 섬유 위에 놓고 스크린을 10 lb 압연기를 사용하여 압연시켜서 과량의 물을 제거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시이트를 105℃에서 건조시켜서 모든 물을 증발시켰다.
종이에 존재하는 탄산 마그네슘의 양을 무게법으로 측정하여 9중량%임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종이를 Canon BJC 600, DeskJet 850C 및 DeskJet 500C 잉크-젯 프린터로부터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한 다음, 잉크의 침투 깊이를 측정하였다(표 3 참조, 제목 MgCO3(본 발명)). 인쇄된 매질의 횡단면을 취하여 잉크의 침투 깊이를 측정하므로써 침투 깊이를 측정하였다. 상기 샘플을 에폭시에 고정시키고, 현미경 유리 위에 마이크로톰 슬라이스를 놓으므로써 샘플을 준비하였다. 침투 깊이는 현미경 사진으로부터 측정하고 적합하게 전환하여 잉크의 실제 침투 깊이를 얻어내었다.
종이의 횡단면 현미경도는 표면을 도장하는 잉크층을 나타내므로, 예상한 바와 같이 착색제의 고정 및 침투 방지를 설명한다. 잉크 상에서 실시한 침투 시험은 500 시리즈 프린터의 염료, 및 DeskJet 850C 프린터의 염료-함유 칼라 잉크 셋트에 대해 감소된 침투(즉, 향상)를 나타내었다(표 3 참조). 이 종이의 현미경 검사는 상기 종이의 섬유가 비교적 긴 것을 나타내었다. 상기 구멍은 경목으로부터 제조된 종이의 구멍과 비교할 때 물리적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상기 차이점을 더욱 강조하기 위하여, 경목은 임의의 침전물이 하중된 채로 남아있는 부위를 더욱 소량으로 함유한다. 주요 연목 구조물은 도관 및 조직 세포이며, 둘다 세포벽 내에 밀폐된 구멍을 함유하여 침전 염을 포획한다. 그러나, 경목은 물관 요소 또한 주성분으로 함유한다. 물관 요소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개구된 말단이어서 펄프 세정 공정중에 침전된 물질이 새나간다. 상기 두 경우에 구멍 크기는 약 1 내지 50마이크론의 범위일 수 있다.
잉크 안정도를 시험하기 위하여, 휴렛트-팩카드 DeskJet 850C 프린터를 사용하여 종이를 인쇄하였다. 종이를 침액시키고 3일동안 교반한 후에, 상기 섬유를 사용하여 상기 방법에 따라 종이를 재생시켰다. 재생 종이는 청색이였으며, 이는 재생 공정 도중에 섬유 위에 잉크가 잔류하였음을 나타낸다. 또한, 인쇄된 시이트는 물에 있었으나, 거의 한달후에도 깊고 풍부한 색을 보존하였다.
색 영역은 특정 색상의 포화도, 색조 및 명도를 나타낸다. 본원에서, 관찰자가 통상적인 종이와 탄산 마그네슘-하중 핸드 시이트를 비교하여, 증가된 색 영역을 정성적으로 측정하였다. 2㎜ 구멍이 있는 Macbeth RD 913을 사용하여 광학 밀도값을 얻었다. 본 실시예의 침전된 탄산 마그네슘 시이트는 DeskJet 850C 프린터 상의 휴렛트-팩카드 프라미엄 잉크젯 종이를 예외로하여 다른 모든 샘플보다 더 향상된 성능을 가졌다. 본 발명의 다른 금속염 또한 시험하였다. DeskJet 560C와 500C 프린터의 경우, 침전된 탄산 마그네슘이 남색, 황색 및 흑색에 대한 광학 밀도에서 HP 프리미엄 Inkjet 종이를 잇따랐다. 탄산 칼슘이 침전된 시이트가 자홍색에 적합하였다. Canon BJC 600 프린터 상에서 침전된 탄산 마그네슘은 모든 칼라에 대해 Eureka!35(하기에 설명됨)보다 더욱 높은 광학 밀도를 생성하였다.
비교예 1
통상적으로 하중된 종이를 제조하기 위하여, 탄산 마그네슘을 상기 섬유와 혼합하였다. 섬유를 스크린 상에 고정시키므로써 종이를 시이트에 내려놓았다. 파라핀 종이를 섬유 위에 놓고 스크린을 10 lb 압연기로 압연시켜서 과량의 물을 제거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시이트를 105℃에서 건조시켜 모든 물을 증발시켰다. 탄산 마그네슘은 통상적으로 처리한 시이트에서 2중량%임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금속염이 섬유벽에 침전된 반면, 통상적으로 처리한 시이트의 경우에는 금속염이 펄프와 혼합되어서 펄프 섬유 사이에 기계적으로 포획된다. 침전 물질의 경우, 상기 염은 섬유의 세포벽 내에 가둬진다.
통상적으로 하중된 종이를 Canon BJC 600, DeskJet 850C 및 DeskJet 500C 잉크-젯 프린터로부터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하였다. 광학 밀도값을 측정하여 표 4에서 통상적인 MgCO3제목하에 나열하였다.
비교예 2
평평한 종이를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처리한 종이에 대한 상기 방법을 실시하였으나, 단 염 용액의 처리를 하지 않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압지 종이를 펄프 중에 분산시킨 다음, 스크린 상에 침착시키고 건조시켰다.
평평한 종이를 Canon BJC 600, DeskJet 850C 및 DeskJet 500C 잉크-젯 프린터로부터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하였다. 광학 밀도값을 측정하여 표 4에 압지 제목하에서 나열하였다.
비교예 3
2개의 시판 종이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이들 종이를 Eureka!35 브랜드 종이(제임스 리버 코포레이션; James River Corporation) 및 휴렛트-팩카드 프리미엄 잉크젯 종이 부품 번호 HP 51634Y로 명명하였다. 이들 종이를 Canon BJC 600, DeskJet 850C 및 DeskJet 500C 프린터로부터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한 다음, 잉크의 침투 깊이를 측정하였다. 침투 깊이를 표 3에서 Eureka!(제임스 리버) 및 HP 프리미엄 잉크-젯 종이 제목하에 각각 나열하였다. 광학 밀도값을 측정하여 Eureka! 및 HP 프리미엄 잉크젯 제목하에 나열하였다.
[표 3a]침투 자료
본원에 개시된, 약간 가용성인 침전 금속염을 종이에 사용하여서 잉크중 착색제의 침전을 야기시키는 방법은 잉크-젯 칼라 프린터, 특히 가열식 잉크-젯 프린터에 서 상업적인 용도를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약간 가용성인 침전 금속염을 종이에 사용하여서 가열식 잉크-젯 칼라 인쇄에 사용되는 잉크에 착색제의 침전을 발생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당해 기술에서 숙련된 자에게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없이 명확한 특성에 각종 변화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이 쉽게 명백해질 것이며, 이러한 변화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한정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8)
- 약간 가용성인 침전 금속염 입자로 채워져 있고 상기 입자를 기계적으로 보유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작고 잉크-젯 인쇄에 사용되는 잉크의 비히클의 이온이 이동해 올 수 있도록 충분히 큰 구멍을 함유하는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잉크-젯 인쇄의 색 영역(color gamut) 및 보유력을 향상시킨 잉크-젯 종이.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입자가 하나 이상의 양이온과 하나 이상의 음이온, 및 약 5 x 10-5미만의 용해도곱을 갖는 금속염을 포함하는 잉크-젯 종이.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하나 이상의 양이온이 마그네슘, 바륨 및 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음이온이 설페이트, 카보네이트 및 히드록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잉크-젯 종이.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약간 가용성인 금속염이 탄산 마그네슘, 수산화 마그네슘, 탄산 칼슘, 황산 칼슘, 수산화 칼슘, 황산 바륨, 수산화 바륨 및 탄산 바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잉크-젯 종이.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약간 가용성인 침전 금속염이 상기 종이에서 약 5 내지 15중량% 범위의 농도를 갖는 잉크-젯 종이.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구멍의 크기가 약 1 내지 50마이크론의 범위 내에 있고 실제로 밀폐된 말단을 갖는 잉크-젯 종이.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입자가 본질적으로 약 5 내지 약 15중량%로 존재하는 탄산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멍이 약 1 내지 약 50마이크론 범위내의 크기를 갖는 잉크-젯 종이.
- (a) 제 1항에 따른 잉크-젯 종이를 제공하는 단계;(b) (1) 하나 이상의 착색제, 및 (2) (ⅰ) 상기 착색제가 안료를 함유한 경우, 하나 이상의 착색제를 비히클 중에 분산시킬 수 있는 분산력을 갖는 하나 이상의 분산액을 함유하거나, 또는 (ⅱ) 상기 착색제가 염료를 함유한 경우, 분산액없이 착색제를 용해시키는 비히클을 포함하며, 이 때 (3) 잉크-젯 종이위에 잉크-젯 잉크를 인쇄할 때 잉크-젯 종이에 있는 약간 가용성인 침전 금속염 입자에 의해 상기 착색제가 침전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잉크-젯 잉크를 제공하는 단계; 및(c) 잉크-젯 종이면 위에 잉크-젯 잉크를 인쇄시켜서 잉크-젯 종이면 위에 하나 이상의 착색제를 침전시키므로써 색 영역과 보유력을 향상시키고 하나 이상의 착색제의 침투 및 번짐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잉크-젯 인쇄에서 색 영역과 보유력을 향상시키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71471296A | 1996-09-16 | 1996-09-16 | |
US8/714,712 | 1996-09-1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24075A true KR19980024075A (ko) | 1998-07-06 |
Family
ID=24871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29759A KR19980024075A (ko) | 1996-09-16 | 1997-06-30 | 불용성 금속염을 사용하여 양이온성 염료, 음이온성 염료 및 안료 분산액을 부동화시키는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EP (1) | EP0829374A3 (ko) |
JP (1) | JPH10100533A (ko) |
KR (1) | KR19980024075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MY125712A (en) | 1997-07-31 | 2006-08-30 | Hercules Inc | Composition and method for improved ink jet printing performance |
SE535416C2 (sv) | 2010-02-11 | 2012-07-31 | Stora Enso Oyj | Ytbehandlingskomposition för papper, kartong eller annan fiberbana |
CN104411503A (zh) * | 2012-08-01 | 2015-03-11 | 凸版印刷株式会社 | 凹版胶印印刷用凹版和印刷线路板 |
US10974513B2 (en) | 2017-07-06 | 2021-04-13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Ink supply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10020A (en) * | 1980-06-12 | 1985-04-09 | Pulp And Paper Research Institute Of Canada | Lumen-loaded paper pulp, its production and use |
DE69012821T2 (de) * | 1989-07-24 | 1995-02-16 |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Wash. | Zellwandauffüllung von nie getrockneten zellstoffasern. |
JPH06219043A (ja) * | 1993-01-25 | 1994-08-09 | New Oji Paper Co Ltd |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
-
1997
- 1997-06-30 KR KR1019970029759A patent/KR1998002407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7-09-01 JP JP9236055A patent/JPH10100533A/ja active Pending
- 1997-09-02 EP EP97306764A patent/EP0829374A3/en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829374A2 (en) | 1998-03-18 |
EP0829374A3 (en) | 1999-12-15 |
JPH10100533A (ja) | 1998-04-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E69701717T2 (de) | Pigmentverarbeitung in Papierbeschichtungszusammensetzungen zur Leistungsverbesserung von Tintenstrahldrucken | |
DE69201931T2 (de) | Zerflussverminderung durch Verwendung zwitterionischer Tenside und kationischer Farbstoffe. | |
DE60038527T2 (de) | Tintensatz, Herstellung von gefärbten Bereichen auf dem Aufzeichnungsmedium und Tintenstrahlaufzeichnungsgerät | |
DE69024759T2 (de) | Fixierung von Reaktivfarbstoffen auf Papier für Tintenstrahlaufzeichnung | |
DE69211819T2 (de) | Tintenstrahlaufzeichnungsmaterial für Archivzwecke | |
DE69828579T2 (de) | Tintezusammensetzung | |
DE69425724T2 (de) | Flüssige Zusammensetzung und Tintensortiment, Bildaufzeichnungsverfahren und Vorrichtung und Vorrichtung dafür | |
DE60306744T2 (de) | Tintenstrahldruckverfahren und System zur Beständigkeit gegen Trockenreibung | |
DE69703868T2 (de) | Farbtintenstrahl-Aufzeichnungsverfahren | |
DE60131619T2 (de) | Verfahren zur Herstellung agglomerierter feinteiliger Partikel, flüssige Zusammensetzung, Tintenset, Verfahren zur Formung farbiger Bereiche auf Tintenstrahl aufzeichnungsmedium | |
KR100499440B1 (ko) | 도핑된 침강 실리카 | |
DE19505295C2 (de) | Tintenstrahl-Aufzeichnungsblatt | |
US6833008B2 (en) | Surface treatment for printing applications using water-based ink | |
DE60027107T2 (de) | Bilderzeugungsverfahren, Tintensatz, durch Tintenstrahl gedrucktes Bild, bedruckter Gegenstand, oberflächenbehandelter Gegenstand und Verfahren zur Oberflächenbehandelung | |
DE60103572T2 (de) | Farbtintenset und Aufzeichnungsverfahren | |
DE69507764T2 (de) | Aufzeichnungsmaterial und Bildaufzeichnungsverfahren, das dieses Material verwendet | |
DE69632843T2 (de) | Aufzeichnungspapier | |
RU2373240C2 (ru) | Чернила для струйной печати на пористом материале-носителе с повышенной стойкостью к образованию подтеков при воздействии влаги | |
DE602004008513T2 (de) | Tintenzusammensetzung für den tintenstrahldruck | |
DE69709063T2 (de) | Wässriges tintenaufnahme-tintenstrahlempfangsmedium, welches einen wasserbeständigen tintenstrahldruck erzeugt | |
DE69211071T2 (de) | Tintenstrahldruckpapier | |
EP1610955B1 (en) | Image forming process and ink set therefor | |
US8080504B2 (en) | Pretreatment liquid for water-based ink printing applications | |
KR19980024075A (ko) | 불용성 금속염을 사용하여 양이온성 염료, 음이온성 염료 및 안료 분산액을 부동화시키는 방법 | |
JPS60109894A (ja) |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