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653120B1 - 운반물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반대차 - Google Patents

운반물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반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120B1
KR102653120B1 KR1020230055768A KR20230055768A KR102653120B1 KR 102653120 B1 KR102653120 B1 KR 102653120B1 KR 1020230055768 A KR1020230055768 A KR 1020230055768A KR 20230055768 A KR20230055768 A KR 20230055768A KR 102653120 B1 KR102653120 B1 KR 102653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ssette
cargo
ba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5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훈
Original Assignee
(주)한국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국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30055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1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1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 B62B3/005Details of storage means, e.g. drawers, bins or rac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H10K71/16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using selective deposition, e.g. using a mas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60Positioning, means on a cart for 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반물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반대차에 관한 것으로, 상기 운반대차는 내부에 카세트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세트 공간을 개방한 출입구를 가지는 대차본체, 상기 출입구에 배치된 도어, 운반물이 적층될 수 있으며 상기 카세트 공간에 배치된 카세트 및 출입구에서 카세트와 운반물을 내부 방향으로 가압 하는 운반물 고정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운반물 고정장치는 상기 출입구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마주하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출입구에서 움직일 수 있는 고정바 및 상기 고정바에 위치 조절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카세트 공간의 운반물을 고정하는 블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운반물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반대차{TRANSFERRING MATERIAL FIXING APPARATUS AND TRANSPORTING CAR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운반물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반대차에 관한 것이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는 풀 칼라(full color)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발광층을 패터닝해야 하는데, 이 경우, FMM(Fine Metal Mask, 이하, 마스크라 함)을 이용한 직접 패터닝 방식과, LITI(Laser Induced Thermal Imaging) 공법을 적용한 방식, 컬러 필터(color filter)를 이용하는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마스크 방식을 적용하여 대형 OLED를 제작할 때는 챔버 내에 기판과 패터닝(patterning)된 마스크를 수평으로 배치한 후에 유기 또는 무기화합물(이하, 화합물이라 함)이 포함된 증착물을 증착하게 된다.
증착된 화합물로 인해, 마스크에 형성된 패턴의 형상이 변형되어 증착공정의 효율을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마스크에 증착된 화합물의 제거를 위한 과정이 꼭 필요하다.
이에 세정할 마스크들을 운반대차의 카세트에 적층한 후 세정 장소로 운반하게 된다.
운반대차의 내부에는 카세트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운반대차의 일면에는 카세트 공간으로 카세트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일면에는 출입구 단속을 위한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입구를 통해 마스크들이 적층된 카세트가 카세트 공간에 놓인다.
카세트와 마스크들이 카세트 공간에 고정되지 못하여 운반 과정에서 움직이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마스크들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운반 과정에서 마스크들이 카세트에서 일측으로 쏠리면서 마스크에 변형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운반대차의 출입구에 고정장치를 배치하여 카세트와 마스크들을 카세트 공간에 고정하고 있다.
고정장치를 도 12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종래 고정장치가 설치된 운반대차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측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고정장치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종래 고정장치(1)는 카세트(3)와 마스크(M)를 고정하기 위해 운반대차(0)의 내부에 형성된 카세트 공간(01)의 출입구(02)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출입구(02)에는 도어(D)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장치(1)는 출입구(02)에서 운반대차(0)의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고정바(11), 고정바(11)의 상단과 하단을 운반대차(0)의 프레임(03)에 고정하는 고정수단(12)을 포함한다. 그리고 고정바(11)에는 마스크(M)와 카세트(3)에 접하는 블록(13)이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카세트(3)를 카세트 공간(01)에서 반출 시 고정바(11)의 상단과 하단에서 고정수단(12)을 각각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고정바(11)를 출입구(02)에서 들어내야 하고, 들어내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놓치게 되면서 상해가 발생하였다. 이에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블록(13)과 고정바(11)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마스크(M)의 위치에 따라 블록(13)의 위치를 조정할 수 없어 마스크(M)의 고정력이 저하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47127호 (2008.05.28.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3485호 (2018.10.02. 공고)
본 발명은 마스크가 적층된 카세트를 운반대차의 카세트 공간에 안전적으로 고정하고,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운반물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반대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운반물 고정장치는 운반대차의 카세트 공간을 개방한 출입구에 배치되어 카세트 공간에 놓인 운반물을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출입구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마주하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출입구에서 움직일 수 있는 고정바 및 상기 고정바에 위치 조절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카세트 공간의 운반물을 고정하는 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출입구에서 상기 운반대차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운반대차의 내부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운반대차의 내부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운반물 고정장치는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고정바와 연결된 힌지홈이 형성된 브래킷, 상기 제2 프레임과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 및 상기 고정바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부와 연결된 결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블록이 결합된 결합홀이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된 바몸체, 그리고 상기 바몸체의 타측에서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힌지홈과 결합된 힌지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몸체는 상기 힌지핀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홀은 상기 바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축을 가진다.
상기 블록은 상기 바몸체에 배치되어 상기 카세트 또는 상기 운반물과 접하여 가압할 수 있는 블록본체, 그리고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블록본체와 연결된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는 상기 결합홀의 장축 범위에서 상기 바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는 상기 바몸체와 접하며 상기 고정수단이 체결된 베이스, 그리고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카세트 또는 상기 운반물과 접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양단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상기 운반대차의 내부 타면을 향해 점진적으로 경사져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운반물 고정장치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경사면에 배치된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상기 고정바와 연결된 레일블록 및 상기 고정바에 배치되어 상기 레일에 고정될 수 있는 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는 상기 레일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바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은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는 고정수단, 그리고 상기 바몸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수단이 체결되고 상기 카세트 또는 상기 운반물과 접할 수 있는 블록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는 상기 고정바가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양단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상기 카세트 및 상기 운반물을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운반대차는 상기와 같이 기재된 운반물 고정장치, 내부에 카세트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세트 공간을 개방한 출입구를 가지는 대차본체, 상기 출입구에 배치된 도어 및 운반물이 적층될 수 있으며 상기 카세트 공간에 배치된 카세트를 포함한다.
상기 운반물 고정장치는 상기 출입구에 배치되어 상기 카세트와 상기 운반물을 상기 대차본체의 내부면으로 가압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운반대차는 상기 운반물 고정장치와 마주하는 상기 카세트 공간의 내부면에 배치되어 상기 카세트 및 상기 운반물과 접하는 밀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세트 공간의 카세트와 운반물은 상기 밀착부재와 상기 운반물 고정장치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카세트와 운반물이 밀착부재와 운반물 고정장치의 사이에서 고정되므로 운반대차가 이동할 때 운반물과 카세트는 카세트 공간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다. 이에 운반대차 이동 중에 발생하는 진동 따위에 의해 운반물에 발생할 수 있는 변형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운반물과 카세트는 카세트 공간에서 일 방향으로 쏠리지 않아 운반물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과 카세트의 운반물이 일치하지 않으면 고정수단이 블록과 가 체결된 상태에서 블록을 바몸체에 형성된 결합홀의 장축 범위 내에서 위치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운반물에 따라 블록의 위치를 달리 설정할 수 있어 운반물의 고정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바를 대차본체에서 분리하지 않고 슬라이드 방식으로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양단으로 이동시키므로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바가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하므로 파티클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파티클에 의한 운반물의 오염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바를 힌지핀을 기준으로 회전시키거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켜 출입구에서 벗어나도록 하므로 고정바를 출입구에서 분리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자의 피로도를 예방하며, 작업자의 근골격계 손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바가 제1 프레임 또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에서 분리하지 않으므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고정바의 낙하사고가 발생하지 않아 작업자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운반대차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운반물 고정장치를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도 3의 운반물 고정장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결합부와 결속부가 분리된 상태이고, b)는 결합부와 결속부의 결합으로 바몸체가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반물 대차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도 5의 운반물 고정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도 7의 제1 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도 7의 측면도.
도 10은 도 7의 고정바가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중앙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1은 도 5의 고정바가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중앙으로 이동하여 카세트와 대상물을 가압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종래 운반대차 정면도.
도 13은 도 12의 측면도.
도 14는 도 13의 운반물 고정장치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물 고정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운반대차에 적용될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운반물 고정장치가 적용된 운반대차 위주로 설명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운반대차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운반대차(10a)는 대차본체(100), 도어(200), 카세트(300) 및 운반물 고정장치(500)를 포함하며 운반물(M)이 적재된 카세트(300)를 운반대차(10a)의 카세트 공간(101)에 안전적으로 고정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대차본체(100)의 내부에는 카세트 공간(101)이 형성되어 있다. 카세트 공간(101)의 개방을 위해 대차본체(100)의 일면에는 출입구(102)가 형성되어 있다. 대차본체(100)는 하면에 배치된 바퀴(103)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대차본체(100)의 내부 타면에는 밀착부재(400)가 타면의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밀착부재(400)는 타면의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밀착부재(400)는 완충력을 갖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대차본체(100)의 내부 바닥에는 롤러(101a)들이 배열되어 있다. 롤러(101a)는 구동부(101b)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도어(200)는 출입구(102)에 배치되어 카세트 공간(101)을 단속한다. 도어(200)는 여닫이 구조로 대차본체(100)와 연결되어 있다. 도어(200)를 여닫이 구조로 한정하지 않는다.
카세트(300)는 출입구(102)를 통해 카세트 공간(101)에 반입되거나 반출될 수 있다. 카세트(300)는 롤러(101a)에 놓여 반입 반출될 수 있다. 카세트(300)는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이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카세트(300)에는 운반물(M)이 적재되는 선반(301)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운반물(M)은 OLED 제작을 위한 마스크일 수 있다. 그러나 운반물(M)은 기판, 웨이퍼, 유리, 패널 따위일 수도 있다. 이에 운반물(M)을 마스크로 한정하지 않는다.
운반물 고정장치(500)는 출입구(102)에 설치되어 카세트 공간(101)에 반입된 카세트(300)와 운반물(M)을 밀착부재(400) 방향으로 가압하여 카세트 공간(101)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도 3을 더 참고하여, 운반물 고정장치(500)를 자세히 설명한다.
운반물 고정장치(500)는 제1 프레임(510), 제2 프레임(520), 고정바(540) 및 블록(560)을 포함하며 출입구(102)에서 카세트(300)와 운반물(M)을 고정한다. 운반물 고정장치(500)는 브래킷(511), 결합부(530) 및 결속부(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510)과 제2 프레임(520)은 카세트 공간(101)에서 출입구(102)의 주변에 있되 제1 프레임(510)은 대차본체(100)의 내부 바닥에 있고, 제2 프레임(520)은 대차본체(100)의 내부 상면에 있다. 제1 프레임(510)과 제2 프레임(520)은 대차본체(100)의 내부 상하에서 서로 마주하며 출입구(102)의 중앙에서 대차본체(100)의 폭 방향을 따라 있다. 제1 프레임(510)과 제2 프레임(520)은 카세트 공간(101)을 출입하는 카세트(300)와 간섭되지 않게 있다.
제1 프레임(510)에는 힌지홈(512)이 형성된 브래킷(511)이 있다. 브래킷(511)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 쌍의 브래킷(511)은 제1 프레임(510)의 길이 방향 일측과 타측에 각각 있다. 한 쌍의 브래킷(511)은 제1 프레임(510)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힌지홈(512)은 한 쌍의 브래킷(511) 내부에서 상부로 개방되어 있다.
제2 프레임(520)에는 지지대(521)가 배치되어 있다. 지지대(521)는 제2 프레임(520)의 길이 방향 일측과 타측에서 한 쌍의 브래킷(511)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지지대(521)에는 결합부(530)가 있다. 결합부(530)는 볼트를 포함하며 대차본체(100)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그러나 결합부(530)는 지지대(521)에 형성된 체결홀(도시하지 않음)일 수 있다.
고정바(540)는 바몸체(541), 그리고 힌지핀(542)을 포함하며 카세트(300)의 반입 반출을 위해 대차본체(100)와 연결된 상태에서 출입구(102)에서 움직일 수 있다.
바몸체(541)는 출입구(102)에서 대차본체(1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바몸체(541)는 제1 프레임(510)과 제2 프레임(520)의 길이 방향 양측에서 상단은 결합부(530)와 연결되어 있고 하단은 한 쌍의 브래킷(511)과 연결되어 있다. 바몸체(541)는 출입구(102)에서 세워지거나 눕혀질 수 있다.
바몸체(541)의 상단에는 관통홀(541a)이 형성되어 있다. 바몸체(541)가 세워진 상태에서 관통홀(541a)은 결합부(530)와 일치할 수 있고 결합부(530)는 관통홀(541a)을 관통하여 바몸체(541)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결합부(530)에는 결속부(550)가 결속되어 있다. 결속부(550)는 너트일 수 있다. 그러나 결합부(530)가 체결홀인 경우 결속부(550)는 볼트일 수 있다. 결속부(550)에 의해 바몸체(541)는 출입구(102)에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바몸체(541)에는 결합홀(541b)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홀(541b)은 바몸체(541)의 상하 방향으로 장축을 가져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홀(541b)은 바몸체(5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힌지핀(542)은 바몸체(541)의 하단에서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힌지핀(542)은 힌지홈(512)에 걸려 있다. 힌지핀(542)은 바몸체(541)의 회전 중심이다. 바몸체(541)는 결속부(550)가 결합부(53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힌지핀(542)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바몸체(541)는 힌지핀(542)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출입구(102)에서 세워지거나 출입구(102)를 벗어나 눕혀질 수 있다.
블록(560)은 고정수단(561), 그리고 블록본체(562)를 포함하며 바몸체(541)에서 카세트(300)와 운반물(M)을 가압한다.
고정수단(561)은 볼트 구조를 가지며 결합홀(541b)을 관통하고 있다. 고정수단(561)은 결합홀(541b)의 장축 범위 내에서 고정바(540)의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블록본체(562)는 베이스(562a), 그리고 가압부재(562c)를 포함하며 바몸체(541)가 세워진 상태에서 카세트(300)와 운반물(M)을 밀착부재(400)의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블록본체(562)는 바몸체(5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결합홀(541b) 마다 위치한다. 블록본체(562)들 중 바몸체(541)의 최상단과 최하단에 있는 것은 카세트(300)와 접한다. 그리고 최상단과 최하단에 있는 블록본체(562) 사이에 있는 블록본체(562)들은 운반물(M)과 접한다. 여기서, 최상단과 최하단에 위치한 블록본체(562)의 일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최상단과 최하단에 위치한 블록본체(562)의 사이에 위치한 블록본체(562)들의 일면은 다단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562a)는 바몸체(541)와 접하고 있으며 고정수단(561)이 체결되어 있다. 밀착부재(400)와 마주하는 베이스(562a)의 일면에는 배치홈(562b)이 형성되어 있다. 배치홈(562b)에는 조절블록(563)이 배치되어 있다. 조절블록(563)은 베이스(562a)의 측면에서 체결된 무두볼트(56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조절블록(563)은 배치홈(562b)에서 위치조절될 수 있다.
가압부재(562c)는 조절블록(563)과 체결수단(565)으로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가압부재(562c)는 완충력을 갖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운반물(M)과 접하는 가압부재(562c)의 일면 형상은 접하는 운반물(M)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블록(560)은 고정수단(561)이 블록본체(562)와 가 체결된 상태에서 결합홀(541b)의 장축 범위 내에서 움직여 위치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운반물(M)에 따라 블록(560)의 위치를 달리 설정할 수 있어 운반물(M) 고정과 범용성이 향상된다..
다음은 도 4를 더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운반대차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카세트 공간(101)에 운반물(M)이 적재된 카세트(300)를 반입하기 위해 도어(200)가 열린 상태에서 결합부(530)와 결속부(550)를 분리한다. 바몸체(541)를 대차본체(100)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눕혀진 상태가 되도록 한다.
도 4의 a)를 참고하면, 카세트(300)를 카세트 공간(101)의 롤러(101a)에 위치시켜 카세트 공간(101)으로 반입한다. 이때 카세트(300)는 밀착부재(400)(도 1 참조)와 접하도록 한다. 작업자는 눕혀진 바몸체(541)를 힌지핀(542)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세운다.
도 4의 b)를 참고하면, 결합부(530)는 세워진 바몸체(541)를 관통하여 바몸체(541)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결속부(550)를 결합부(530)와 결합하여 바몸체(541)가 출입구(102)에서 세워진 상태가 되도록 한다. 결속부(550)가 결합부(530)와 결합될수록 블록(560)은 카세트(300)와 운반물(M)을 밀착부재(400)의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에 카세트(300)와 운반물(M)은 밀착부재(400)와 블록(560)의 사이에서 고정된다.
한편, 바몸체(541)가 세워졌을 때 운반물(M)과 블록(560)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 고정수단(561)을 블록본체(562)와 가 체결한 상태에서 결합홀(541b)의 장축 범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여 블록본체(562)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후, 도어(200)를 닫은 후 운반대차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카세트(300)와 운반물(M)이 밀착부재(400)와 운반물 고정장치(500)의 사이에서 고정되므로 운반대차(10a)가 이동할 때 운반물(M)과 카세트(300)는 카세트 공간(101)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다. 이에 운반대차(10a) 이동 중에 발생하는 진동 따위에 의해 운반물(M)에 발생할 수 있는 변형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운반물(M)과 카세트(300)는 카세트 공간(101)에서 일 방향으로 쏠리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운반대차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운반대차(10b)는 대차본체(100), 도어(200), 카세트(300) 및 운반물 고정장치(6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운반물 고정장치(600)를 제외하고, 대차본체(100), 도어(200) 및 카세트(300)는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대차의 대차본체, 도어 및 카세트와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1을 더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운반물 고정장치(600)는 제1 프레임(610), 제2 프레임(620), 고정바(660) 및 블록(680)을 포함하며 출입구(102)에서 카세트(300)와 운반물(M)을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운반물 고정장치(600)는 레일(630a, 630b), 레일블록(640) 및 클램프(6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610)과 제2 프레임(620)은 카세트 공간(101)에서 출입구(102)의 주변에 있되 제1 프레임(610)은 대차본체(100)의 내부 바닥에 있고, 제2 프레임(620)은 대차본체(100)의 내부 상면에 있다. 제1 프레임(610)과 제2 프레임(620)은 대차본체(100)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제1 프레임(610)과 제2 프레임(620)은 대차본체(100)의 내부 상하에서 서로 마주한다. 제1 프레임(610)과 제2 프레임(620)은 카세트 공간(101)을 출입하는 카세트(300)와 간섭되지 않게 배치되어 있다.
대차본체(100)의 내부 타면과 마주하는 제1 프레임(610)과 제2 프레임(620)의 일면은 양단에서 중앙(C1)으로 갈수록 대차본체(100)의 내부 타면을 향해 점진적으로 경사져 경사면(611, 621)을 가진다. 이에 제1 프레임(610)과 제2 프레임(620)의 일면은 양단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카세트(300)와 가까워진다.
제1 프레임(610)과 제2 프레임(620)의 일면에는 경사면(611, 621)을 따라 레일(630a, 630b)이 배치되어 있다. 제1 프레임(610)과 제2 프레임(620)의 레일(630a, 630b)에는 각각 레일블록(640)이 결합되어 있다. 레일블록(640)은 레일(630a, 630b)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도면 도 8에서 레일(630a, 630b)에 레일블록(640)이 간격을 두고 2개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레일블록(640)의 개수는 운반물 고정장치(600)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레일블록(640)에는 블록브래킷(650)이 결합되어 있다. 2개의 레일블록(640)은 블록브래킷(650)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블록브래킷(650)에는 클램프(670)가 결합되어 있다.
클램프(670)는 블록브래킷(650)과 결합되어 있는 클램프몸체(671), 클램프몸체(671)의 내부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회전 방향에 따라 레일(630a, 630b)과 접할 수 있는 고정블록(672) 및 클램프몸체(671)의 외부에서 고정블록(672)과 연결되어 고정블록(672)을 회전시킬 수 있는 핸들(673)을 포함한다.
핸들(673)의 회전 방향에 따라 고정블록(672)이 클램프몸체(671) 내부에서 회전되며 고정블록(672)은 레일(630a, 630b)과 접하여 밀착될 수 있다. 이때 레일블록(640)은 레일(630a, 630b)을 따라 움직이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고정블록(672)이 레일(630a, 630b)에서 떨어지면 레일블록(640)은 레일(630a, 630b)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고정바(660)는 출입구(102)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단은 제2 프레임(620)과 연결된 블록브래킷(650)과 결합되어 있고 하단은 제1 프레임(610)과 연결된 블록브래킷(650)과 결합된 바몸체(661)를 포함한다.
바몸체(661)는 레일블록(640)에 의해 제1 프레임(610)과 제2 프레임(620)의 양단에서 중앙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바몸체(661)가 레일블록(640)을 통해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하므로 파티클이 발생하지 않은다. 이에 파티클 발생으로 인한 운반물(M)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바몸체(661)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홀(661a)이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결합홀(661a)은 바몸체(66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축을 가지고 있다.
블록(680)은 고정수단(681), 그리고 블록본체(682)를 포함하며 바몸체(661)에서 카세트(300)와 운반물(M)을 가압할 수 있다.
고정수단(681)은 볼트를 포함하며 결합홀(661a)을 관통하고 있다. 고정수단(681)은 결합홀(661a)의 장축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블록본체(682)는 카세트(300) 및 운반물(M)과 마주하는 바몸체(661)의 일면에서 결합홀(661a) 마다 배치되어 있다. 이에 블록본체(682)는 바몸체(66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바몸체(661)의 최상단과 최하단에 위치한 블록본체(682)는 카세트(300)와 접할 수 있으며, 최상단과 최하단의 블록본체(682) 사이에 있는 블록본체(682)들은 운반물(M)과 접할 수 있다.
블록본체(682)의 일면은 카세트(300) 및 운반물(M)과 마주하며 접할 수 있다. 여기서, 최상단과 최하단에 위치한 블록본체(682)의 일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최상단과 최하단에 위치한 블록본체(682)의 사이에 위치한 블록본체(682)들의 일면은 다단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운반물(M)과 접하는 블록본체(682)들의 일면 형상은 접하는 운반물(M)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블록본체(682)는 완충력을 갖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블록본체(682)는 고정수단(681)이 가 체결된 상태에서 결합홀(661a)의 장축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운반물(M)에 따라 블록본체(682)의 위치를 달리 설정할 수 있어 운반물(M) 고정과 범용성이 향상된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운반대차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카세트 공간(101)에 운반물(M)이 적재된 카세트(300)를 반입하기 위해 도어(200)를 개방한다. 그리고 고정바(660)는 제1 프레임(610)과 제2 프레임(620)의 양단에 위치하도록 한다.
카세트(300)를 카세트 공간(101)의 롤러(101a)에 위치시켜 카세트 공간(101)으로 반입한다. 이때 카세트(300)는 밀착부재(400)(도 5 참조)와 접하도록 한다. 고정바(660)가 제1 프레임(610)과 제2 프레임(620)의 양단에 위치하므로 카세트(300)를 카세트 공간(101)으로 반입할 때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바몸체(661)를 제1 프레임(610)과 제2 프레임(620)의 양단에서 중앙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1 프레임(610)과 제2 프레임(620)의 경사면(611, 621)에 의해 블록본체(682)는 중앙으로 갈수록 카세트(300) 및 운반물(M)과 접하면서 카세트(300)와 운반물(M)을 밀착부재(400)의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카세트(300)와 운반물(M)은 블록(680)과 밀착부재(400)의 사이에서 고정된다.
그리고 클램프(670)를 이용하여 바몸체(661)를 고정하여 제1 프레임(610)과 제2 프레임(620)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한편, 블록본체(682)가 운반물(M)과 일치하지 않은 경우 고정수단(681)을 블록본체(682)와 가 체결한 상태에서 결합홀(661a)의 장축 범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여 블록본체(682)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후, 도어(200)를 닫은 후 운반대차(10b)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바(660)를 대차본체(100)에서 분리하지 않고 슬라이드 방식으로 제1 프레임(610)과 제2 프레임(620)의 양단으로 이동시키므로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a, 10b: 운반대차 100: 대차본체
101: 카세트 공간 102: 출입구
103: 바퀴 101a: 롤러
101b: 구동부 200: 도어
300: 카세트 301: 선반
400: 밀착부재 500, 600: 운반물 고정장치
510, 610: 제1 프레임 511: 브래킷
512: 힌지홈 520, 620: 제2 프레임
521: 지지대 530: 결합부
540, 660: 고정바 541, 661: 바몸체
541a: 관통홀 541b, 661a: 결합홀
542: 힌지핀 550: 결속부
560, 680: 블록 561, 681: 고정수단
562, 682: 블록본체 562a: 베이스
562b: 배치홈 563: 조절블록
564: 무두볼트 562c: 가압부재
565: 체결수단 611, 621: 경사면
630a, 630b: 레일 640: 레일블록
650: 블록브래킷 670: 클램프
671: 클램프몸체 672: 고정블록
673: 핸들 M: 운반물
C1: 제1, 2 프레임의 중앙

Claims (10)

  1. 운반대차의 카세트 공간을 개방한 출입구에 배치되어 상기 카세트 공간에 놓인 운반물을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출입구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마주하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출입구에서 움직일 수 있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에 위치 조절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카세트 공간의 운반물을 고정하는 블록,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고정바와 연결된 힌지홈이 형성된 브래킷,
    상기 제2 프레임과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 및
    상기 고정바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부와 연결된 결속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바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블록이 결합된 결합홀이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된 바몸체, 그리고
    상기 바몸체의 타측에서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힌지홈과 결합된 힌지핀
    을 포함하며,
    상기 바몸체는 상기 힌지핀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운반물 고정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출입구에서 상기 운반대차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운반대차의 내부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운반대차의 내부 상면에 배치된
    운반물 고정장치.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결합홀은 상기 바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축을 가지며
    상기 블록은
    상기 바몸체에 배치되어 상기 카세트 또는 상기 운반물과 접하여 가압할 수 있는 블록본체, 그리고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블록본체와 연결된 고정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블록본체는 상기 결합홀의 장축 범위에서 상기 바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할 수 있는
    운반물 고정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블록본체는
    상기 바몸체와 접하며 상기 고정수단이 체결된 베이스, 그리고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카세트 또는 상기 운반물과 접하는 가압부재
    를 포함하는
    운반물 고정장치.
  6. 운반대차의 카세트 공간을 개방한 출입구에 배치되어 상기 카세트 공간에 놓인 운반물을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출입구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마주하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출입구에서 움직일 수 있는 고정바 및
    상기 고정바에 위치 조절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카세트 공간의 운반물을 고정하는 블록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출입구에서 상기 운반대차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운반대차의 내부 하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운반대차의 내부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양단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상기 운반대차의 내부 타면을 향해 점진적으로 경사져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경사면에 배치된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상기 고정바와 연결된 레일블록 및
    상기 고정바에 배치되어 상기 레일에 고정될 수 있는 클램프
    를 더 포함하는 운반물 고정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고정바는
    상기 레일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바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바몸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홀이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홀은 상기 바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축을 가지며 상기 블록은 상기 결합홀에서 상기 장축의 범위내에서 위치 조절할 수 있는
    운반물 고정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블록은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는 고정수단, 그리고
    상기 바몸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수단이 체결되고 상기 카세트 또는 상기 운반물과 접할 수 있는 블록본체
    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본체는 상기 고정바가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양단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상기 카세트 및 상기 운반물을 가압하는
    운반물 고정장치.
  9.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8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정의되어 있는 운반물 고정장치,
    내부에 카세트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세트 공간을 개방한 출입구를 가지는 대차본체,
    상기 출입구에 배치된 도어 및
    운반물이 적층될 수 있으며 상기 카세트 공간에 배치된 카세트
    를 포함하며,
    상기 운반물 고정장치는 상기 출입구에 배치되어 상기 카세트와 상기 운반물을 상기 대차본체의 내부면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운반대차.
  10. 제9항에서,
    상기 운반물 고정장치와 마주하는 상기 카세트 공간의 내부면에 배치되어 상기 카세트 및 상기 운반물과 접하는 밀착부재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세트 공간의 카세트와 운반물은 상기 밀착부재와 상기 운반물 고정장치 사이에서 고정되는
    운반대차.
KR1020230055768A 2023-04-27 2023-04-27 운반물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반대차 KR102653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5768A KR102653120B1 (ko) 2023-04-27 2023-04-27 운반물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반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5768A KR102653120B1 (ko) 2023-04-27 2023-04-27 운반물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반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3120B1 true KR102653120B1 (ko) 2024-04-01

Family

ID=90666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5768A KR102653120B1 (ko) 2023-04-27 2023-04-27 운반물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반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1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405180A (zh) * 2024-07-01 2024-07-30 南通云尚找家纺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道路运输用货物搬运装置
CN118545131A (zh) * 2024-07-29 2024-08-27 江苏凯林冷链科技有限公司 一种面板生产用紧固装置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4688A (ja) * 1998-11-27 2000-06-16 Hitachi Ltd キャリアカセ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80047127A (ko) 2006-11-24 2008-05-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수납용 카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반송장치
JP2013125957A (ja) * 2011-12-16 2013-06-24 Mitsubishi Electric Corp ウエハ冷却保管庫
JP2014007344A (ja) * 2012-06-26 2014-01-16 Disco Abrasive Syst Ltd 収容カセット
KR101381068B1 (ko) * 2013-03-26 2014-04-04 주식회사 한일하이테크 액정 패널 적재 카세트
KR20140119603A (ko) * 2013-03-28 2014-10-10 주식회사 티이에스 카세트 이송용 수동대차
KR101804721B1 (ko) * 2017-01-06 2017-12-06 정해만 기판검사를 위한 후면 개폐기능을 구비한 액정표시소자(lcd) 기판 적재용 카세트
KR101903485B1 (ko) 2018-03-27 2018-10-02 (주)상아프론테크 기판 적재용 카세트
KR20200014966A (ko) * 2018-08-02 2020-02-1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마스크 보관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4688A (ja) * 1998-11-27 2000-06-16 Hitachi Ltd キャリアカセ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80047127A (ko) 2006-11-24 2008-05-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수납용 카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반송장치
JP2013125957A (ja) * 2011-12-16 2013-06-24 Mitsubishi Electric Corp ウエハ冷却保管庫
JP2014007344A (ja) * 2012-06-26 2014-01-16 Disco Abrasive Syst Ltd 収容カセット
KR101381068B1 (ko) * 2013-03-26 2014-04-04 주식회사 한일하이테크 액정 패널 적재 카세트
KR20140119603A (ko) * 2013-03-28 2014-10-10 주식회사 티이에스 카세트 이송용 수동대차
KR101804721B1 (ko) * 2017-01-06 2017-12-06 정해만 기판검사를 위한 후면 개폐기능을 구비한 액정표시소자(lcd) 기판 적재용 카세트
KR101903485B1 (ko) 2018-03-27 2018-10-02 (주)상아프론테크 기판 적재용 카세트
KR20200014966A (ko) * 2018-08-02 2020-02-1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마스크 보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405180A (zh) * 2024-07-01 2024-07-30 南通云尚找家纺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道路运输用货物搬运装置
CN118545131A (zh) * 2024-07-29 2024-08-27 江苏凯林冷链科技有限公司 一种面板生产用紧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3120B1 (ko) 운반물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반대차
CN115384999A (zh) 用于储存系统的服务车辆
TWI711570B (zh) 物品搬送裝置及具有其之物品搬送設備
TW201332863A (zh) 物品保管設備及物品保管設備之維修方法
JP4960823B2 (ja) 自動倉庫
KR100220859B1 (ko) 원통형 중량물 틸팅장치
KR102115230B1 (ko)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
JPH08217211A (ja) 盤製造装置
JP4449867B2 (ja) 搬送装置
JP3534231B2 (ja) 物品保管設備における物品入出庫装置
JP4085637B2 (ja) 物品移載装置
JPS6225597B2 (ko)
JP3393667B2 (ja) 焼成用台車の棚板移載装置
JP2559559B2 (ja) 鋼板入出庫装置
TWI857257B (zh) 保管棚架及高架搬運車系統
JP4092763B2 (ja) 搬送装置および受け渡し装置
KR102408793B1 (ko) 피가공물 자동 이송 시스템
WO2024202741A1 (ja) 作業足場及び自動倉庫
JP3665729B2 (ja) 駐車装置の車両ドア閉扉装置
JPH10238154A (ja) 物品格納装置
JP4097905B2 (ja) プリント基板供給装置
WO2008004659A1 (fr) Chariot pour dispositif de transport
JP3806897B2 (ja) 組立ライン装置
JP3775849B2 (ja) 荷処理装置の往復台
JP4097575B2 (ja) 台車収納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