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652187B1 -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187B1
KR102652187B1 KR1020210179647A KR20210179647A KR102652187B1 KR 102652187 B1 KR102652187 B1 KR 102652187B1 KR 1020210179647 A KR1020210179647 A KR 1020210179647A KR 20210179647 A KR20210179647 A KR 20210179647A KR 102652187 B1 KR102652187 B1 KR 102652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ial work
information
boom
weight
outrigg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0678A (ko
Inventor
오철규
이광형
Original Assignee
오철규
이광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철규, 이광형 filed Critical 오철규
Priority to KR1020210179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187B1/ko
Publication of KR20230090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18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에 탑재된 베이스 상에 붐과 탑승함으로 구성된 고소작업대가 설치되고, 차체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설치된 복수의 아웃트리거 잭을 포함하는 고소작업차의 안전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이고, 상기 붐의 안착상태정보와 상기 복수의 아웃트리거 잭의 착지상태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내부에 통신 인터페이스 및 경보 발생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 붐의 안착상태정보 및 아웃트리거 잭의 착지상태정보, 각각의 상태정보에 대한 경보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소형 고소작업차 현장 작업 시 아웃트리거 잭의 미 착지 작업이나 과부하 작업 시 원격지에서 안전관리자가 사각지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작업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고소작업차의 전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SAFETY MONITORING SYSTEM OF SMALL AERIAL WORK PLATFORM TRUCK}
본 발명은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장에서 고소 활선 작업 및 선로 작업을 위해 소형 고소작업차를 사용하여 작업하고 있다.
고소작업을 위한 소형 고소차의 경우 작업의 불편함에 따라 아웃트리거 잭을 정상적으로 착지하지 아니하고 작업을 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고, 이에 따라 전복 등으로 인한 물적 인적 재해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시 안전관리자(순찰자)가 현장을 순회하며 정상 사용 여부를 확인하고 있는 실정 탓에 인적 및 시간적 낭비가 발생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0822호 (공개일자: 2018. 10. 11)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예들의 목적은 소형 고소작업차 현장 작업 시 아웃트리거 잭의 미 착지 작업이나 과부하 작업 시 원격지에서 안전관리자가 사각지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작업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게 하는 것에 의하여 고소작업차의 전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은 차체에 탑재된 베이스 상에 붐과 탑승함으로 구성된 고소작업대가 설치되고, 차체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설치된 복수의 아웃트리거 잭을 포함하는 고소작업차의 안전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이고, 상기 붐의 안착상태정보와 상기 복수의 아웃트리거 잭의 착지상태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내부에 통신 인터페이스 및 경보 발생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 붐의 안착상태정보 및 아웃트리거 잭의 착지상태정보, 각각의 상태정보에 대한 경보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차체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아웃트리거 잭의 착지상태를 감지하는 잭 감지센서; 상기 붐의 안착상태를 감지하는 붐 안착센서; 및 상기 차체의 기울기 정보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차체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고소작업차의 작업반경 초과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잭 감지센서, 붐 안착센서 및 기울기 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정보를 미리 설정된 작업 조건 정보와 비교 판단하며, 각각의 판단결과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외부 서버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한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관리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로 고소작업차의 장비번호, 작업상태정보 및 작업조건정보를 푸쉬 알람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은 소형 고소작업차 현장 작업 시 아웃트리거 잭의 미 착지 작업이나 과부하 작업 시 원격지에서 안전관리자가 사각지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작업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고소작업차의 전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형 고소작업차 작업자의 위치 정보 및 아웃트리거 잭의 미 착지나 과부하 작업을 안전관리자가 원격지에서도 모니터링함에 따라 작업자는 상시 경각심을 가지고 작업에 임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안전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원격지에서도 고소작업차가 작업한 이력을 조회하여 해당 자료들을 작업자의 안전교육자료로 활용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고소작업차의 작업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조회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고소작업차의 잭 들림 상태를 조회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고소작업차의 작업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조회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고소작업차의 잭 들림 상태를 조회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은 차체(1)에 탑재된 베이스(2) 상에 붐과 탑승함으로 구성된 고소작업대가 설치되고, 차체(1)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설치된 복수의 아웃트리거 잭(3)을 포함하는 고소작업차의 안전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으로서, 센서부(10), 컨트롤러(20) 및 외부 서버(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은 기존 안전장치 시스템에 잭 감지센서(11) 및 붐안착 센서(12)와, 차체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13)와, 위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GPS모듈과, 원격지(즉, 외부 서버(3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LTE모뎀 또는 LORA 통신 모듈과 연결되는 컨트롤러(20)를 부가하여 원격에서 고소작업차의 작업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의 고소작업차량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에 베이스(2)가 탑재되고, 베이스(2) 상에는 고소작업대가 설치된다. 그리고, 차체(1)에는 차체(1)를 넘어지지 않게 지지하는 아웃 트리거 잭(3)이 차체(1)의 모서리부에 2개 내지 4개로 각각 설치된다.
상기 고소작업대는 기저단(미도시)과 다단 붐(4)이 관절 이음되고 기저단과 다단 붐(4) 간에는 각도조절 실린더(미도시)가 설치되며 다단 붐(4)의 선단의 관절에는 탑승함(5)이 설치된 구성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베이스(2)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작업 방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회전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고 상부의 기저단을 구동하는 장치와 다단 붐(4)을 구동하는 장치, 실린더를 구동하는 장치 및 탑승함(5)을 구동하는 장치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는 잭 감지센서(11)는 아웃트리거 잭(3)의 일부 영역에 설치되고, 붐 안착센서(12)는 다단 붐의 일 단부에 설치되며, 기울기 감지센서(13)는 컨트롤러(20)나 차체(1)의 일부 영역에 설치되고, 컨트롤러(20)는 베이스(2)에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소형 고소작업차는 아웃트리거 잭(3)을 정상적으로 착지하고 붐(4)을 상승하여 작업하여야 하는 것으로, 간혹 현장 여건상 불안전한 상황에서 잭(3) 미 착지 작업이 간헐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전도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고, 이에 따라 인적, 물적 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모니터링 시스템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원격지에서도 관리가 가능하도록 소형 고소작업차 현장 작업 시 아웃트리거 잭(3)의 미 착지 작업 및 과부하 작업 시 원격지에서 안전 관리자가 원격모니터링을 위하여 스마트폰 앱 또는 PC를 이용하여 작업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각지대에서 발생 할 수 있는 위험 작업을 모니터링하여 전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모니터링 시스템은 잭 감지센서값과 붐 안착센서값을 감지하는 GPS가 내장된 컨트롤러(20)를 이용하여 센서 상태를 감지하고 작업 조건 불일치 시(예를 들어, 붐 미 안착 상태에서 잭 미 착지)나, 과하중, 작업반경 초과 작업시 현재 안전범위를 초과한 상태 데이터를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서버(30)로 전송하고, 전송된 데이터는 인터넷이 가능한 PC에서 실시간 모니터링하도록 하며, 별도의 앱을 통해 안전관리자가 장비의 위치 정보 및 데이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센서부(10)는 붐(4)의 안착상태정보와 복수의 아웃트리거 잭(3)의 착지상태정보를 감지하는 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센서부(10)는 아웃트리거 잭(3)의 착지상태를 감지하는 잭 감지센서(11)와, 붐(4)의 안착상태를 감지하는 붐 안착센서(12)와, 차체(1)의 기울기 정보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센서(13)를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잭 감지센서(11)는 아웃트리거 잭(3)의 인출 길이를 감지하는 슬라이드 센서로 구비될 수 있고, 제품 사양은 사용 전압이 DC 5V, 사용 온도는 -20~60도, 사용 습도는 95% RH, 보호등급은 IP65, 부착형태는 네오디움 자석, 내부센서는 10Kohm 가변저항(PotentionMeter), 검출 범위는 0~5M(0.5 ~ 4.5v), 와이어는 0.2m sus 와이어, 감김 방식은 스프링 장력에 의한 자동 복귀 방식을 가진다.
또한, 상기 붐 안착센서(12)는 고소작업차의 붐안착 상태를 감지(하는 근접센서로 구비될 수 있고, 제품 사양은 사용 전압이 DC 12~24V, 사용 온도는 -25~70도, 사용 습도는 95% RH, 보호등급은 IP67, 부착형태는 네오디움 자석, 검출 거리는 20mm, 소비전류는 10mA이하, 출력은 PNP 출력을 사용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센서부(10)는 아웃트리거의 수직, 상하좌우, 기울기 정보, 위치정보 등과 같은 움직임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실시간으로 감지하기 위하여, 고도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20)는 차체(1)의 운전실이나 베이스(2) 상에 구비되는 장치로서, 내부에 통신 인터페이스 및 경보 발생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센서부(10)에 의하여 감지된 붐(4)의 안착상태정보 및 아웃트리거 잭(3)의 착지상태정보, 각각의 상태정보에 대한 경보정보를 외부 서버(30)로 출력하는 장치이다.
상기 컨트롤러(20)는 차체(1)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러(20)는 차체(1)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고소작업차의 작업반경 초과여부를 판단하고, 잭 감지센서(11), 붐 안착센서(12) 및 기울기 감지센서(13)에 의하여 감지된 정보를 미리 설정된 작업 조건 정보와 비교 판단하며, 각각의 판단결과를 외부 서버(3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20)는 센서부(10)에 의한 감지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경보 발생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잭 착지상태, 붐안착상태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정보를 기초로 경보 발생부(미도시)를 통하여 경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컨트롤러(20)는 복수의 아웃트리거 잭(3) 중 어느 하나라도 미 착지상태로 다단 붐(4)을 통하여 작업중일 경우 경보 발생부를 통하여 점멸신호를 송출하거나 연속적인 경고음을 송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컨트롤러(20)는 외부 서버(30)로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작업 상태(현재 고소작업차의 작업 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를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아웃트리거 잭(3)이 미착지된 상태에서 붐(4)을 상승할 경우 경보 발생부에서는 부져음이 발생하고, 관리자에게는 아웃트리거 잭(3)이 미착지된 상태라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20)는, 잭 감지센서(11)와 붐 안착센서(12)에서의 전압 감지 길이로 환산하고, 아웃트리거 잭(3)의 착지 상태 및 붐(4)의 안착 상태 로직을 계산하며, 아웃트리거 잭(3)의 착지 상태 및 붐(4)의 안착 상태 감지와 그에 따른 로직에 따른 경광등의 점멸 또는 부져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품 사양은 사용 전압이 DC 18~30V, 사용 온도가 -20~60도, 사용 습도는 95% RH, 보호등급은 IP65, 부착형태는 네오디움 자석(또는 브라켓 형태), 센서 공급 전압은 DC+5V(500mA), 입력은 아날로그(4CH 14bit(0~5V))/디지털(DI 2CH(24V)), 출력은 디지털(DO 4CH(FET 5A)), 통신은 CAN2.0, RS485, RS232C, LTE 모뎀, LORA통신 중 적어도 하나, 모니터는 7”640X480 그래픽 터치(GRAPHIC TOUCH) LCD 방식을 취하고, 아웃트리거 4개소 실제 거리(X.Xm 0.1m pitch)를 가지며, 아웃트리거 잭(3)의 착지 상태, 미착지 상태 표시, 아웃트리거 잭(3) 감지 센서 세팅(패스워드 진입), 붐(4) 길이값 상태 세팅(패스워드 진입), 붐(4) 미안착 상태값 세팅(패스워드 진입)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20)는 원격 모니터링을 위하여 검출 데이터를 외부 서버(30)로 전송하게 되고, 이를 위하여 제품 사양은 사용 전압이 DC 24V, 사용 온도는 -20~60도, 사용 습도는 95% RH, 보호등급은 IP65, 부착형태가 하면 네오디움 자석, 통신은 RS232, 4G 네트워킹, LTE 모뎀, LORA통신 기능을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경보 발생부는 컨트롤러(20)의 제어를 통하여 센서부(10)에 의하여 감지된 아웃트리거 잭(3) 및 붐(4)의 움직임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경보음이나 경보정보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앰프 스피커, 부져나 경광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보 발생부는 붐(4) 격납 상태에서는 아웃트리거 잭 미착지시 경보음을 출력하지 않고, 아웃트리거 잭(3)이 착지된 상태에서는 황색 경광등을 점멸함과 동시에 부져음을 일정 주기로 출력하며, 한 개라도 미착지된 경우는 적색 경광등을 점멸함과 동시에 연속 부져음을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경보 발생부는 내부에 저장된 다수의 알람 정보 중 컨트롤러(20)가 발생하라고 하는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고, 해당 경보 신호를 증폭한 다음 공간에 출력하게 된다.
또한, 지상이나 건물 또는 외부에 위치한 관리자가 안전 상 긴급하다고 판단할 경우에는 관리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의 앱이나 무선 리모컨(즉, 리모트 컨트롤부(미도시))의 버튼을 눌러 경보 발생부에서 긴급 경보 신호가 울리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관리자의 조작에 의하여 동작되어 원격에서 경보 발생부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주변에서 스마트폰이나 리모트 컨트롤러를 가지고 있는 관리자가 특정위치의 고소작업차와 관계된 상황이 위험하다고 판단할 경우 경보 발생부에서 긴급 경보 신호가 울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모니터링 시스템은 외부 서버(30)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한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관리자 단말(즉, 스마트폰)(미도시)을 더 포함하고, 이때 외부 서버(30)는 관리자 단말로 고소작업차의 장비번호, 작업상태정보 및 작업조건정보를 푸쉬 알람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은 원격에서 특정 위치에서 작업 중인 고소작업차의 작업 상태를 조회가능하고, 도 4에서와 같이 외부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미실행 시에도 특정 위치에서 작업 중인 고소작업차의 작업 상태를 푸쉬 알람받거나 해당 위치가 위험 작업일 경우 해당 위치를 적색으로 표시한 상태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잭 들림 상태 등과 같이 위험 신호를 텍스트나 알람 신호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은 작업자가 아웃트리거 잭(3)을 정상 착지하지 아니하고 붐(4)을 상승 시켰을 경우 붐 안착센서(12)와 잭 감지센서(11)의 상태를 감지하여 작업자에게는 경보를 울리고, 원격(LTE, LORA통신 등)의 외부 서버(30)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원격지에서 장비의 정상 사용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안전관리자는 관리자 단말에 설치된 전용 앱을 통해 장비의 비 정상 동작 조건일 경우 PUSH 알람을 전달받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은 GPS 모듈을 통하여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규제 해제로 인하여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작업 반경 초과, 하중 초과시에도 외부 서버(30)로 상태를 전송하고, 고소작업차의 현재 위치까지도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 PC나 스마트폰 등의 관리자 단말을 이용하여 잭 들림 및 과부하 작업반경 초과 등의 횟수 및 시간을 조회 분석하여 작업자의 안전작업 이행 여부를 확인하고,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안전교육 자료 및 사고시 원인 분석 자료로도 활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은 차체(1)에 기울기 감지센서(13)를 장착하여 작업시 일정 기울기 이상일 경우 사전에 작업자에게 경보하여 침하에 의한 전복 등을 사전에 인지함에 따라 상시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은 소형 고소작업차 현장 작업 시 아웃트리거 잭의 미 착지 작업이나 과부하 작업 시 원격지에서 안전관리자가 사각지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작업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고소작업차의 전도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소형 고소작업차 작업자의 위치 정보 및 아웃트리거 잭의 미 착지나 과부하 작업을 안전관리자가 원격지에서도 모니터링함에 따라 작업자는 상시 경각심을 가지고 작업에 임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안전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부(10)의 표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소듐세스퀴카보네이트 및 부틸카비톨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소듐세스퀴카보네이트 및 부틸카비톨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소듐세스퀴카보네이트 및 부틸카비톨은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 후에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소듐세스퀴카보네이트 및 부틸카비톨은 전체 조성물 수용액 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방지도포용 조성물을 센서부(10)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부(10)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700 ~ 25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00 ~ 20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70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5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소듐세스퀴카보네이트 0.1 몰 및 부틸카비톨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도포막 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오염방지 도포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컨트롤러(20)를 보호하는 케이스 표면에는 흡음층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흡음층으로는 니들펀치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니들펀치 부직포로 이루어진 흡음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종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형성된다.
상기 흡음층의 두께는, 0.6 ~ 18㎜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음층의 두께가 0.6㎜ 미만에서는 충분한 흡음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18㎜를 초과하면 컨트롤부(20)와의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으므로 컨트롤러(20)의 온도를 높일 수 있는 단점이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흡음층의 단위 무게는 13 ~ 700g/m2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3g/m2 미만에서는 충분한 흡음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또한 700g/m2를 넘으면 컨트롤러(20)의 경량성 등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흡음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0.4 ~ 26데시텍스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0.4데시텍스 미만에서는 저주파 소음의 흡수가 어렵고 쿠션성도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26데시텍스를 넘으면 고주파 소음의 흡수가 어려우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흡음층의 부직포의 인장강도는 8.5Kgf/㎠으로 형성되고, 소음감소계수(NRC)는 0,650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흡음층이 컨트롤러(20)에 구비되므로 컨트롤러(20)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흡음층을 구성하는 부직포, 두께, 무게, 섬도 등의 구성 성분을 한정하고 구성비율의 수치를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 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구성 성분 및 수치 한정 비율에서 최적의 흡음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아웃트리거 잭(3)에는 금속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식 방지 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이 부식방지도포층의 도포재료는 비스페놀 A 노볼락형 글리시딜에테르 19중량%, 이소프로필아민 18중량%, 하프늄 14중량%, 유기산마그네슘 14중량%, 산화티타늄(TiO2) 9중량%, 산화알루미늄(Al2O3) 10중량%, 폴리머 플루오로케미칼 액티브 16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7㎛로 형성된다.
비스페놀 A 노볼락형 글리시딜에테르, 이소프로필아민은 부식 방지 및 변색 방지 등의 역할을 하고, 하프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역할을 한다.
유기산마그네슘은 코팅피막의 표면에 내알칼리성과 습동성 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고, 폴리머 플루오로케미칼 액티브는 계면활성 역할을 하며, 산화티타늄, 산화알루미늄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코팅 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외부서버(30)의 표면에는 살균기능 및 사용자의 스트레스 완화 등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된 환경용 방향제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방향제 물질과 기능성 오일의 혼합 비율은 상기 방향제 물질 95~97중량%에 상기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안젤리카오일(Angelica oil) 50중량%, 시트로넬라오일(Citronella oil) 50중량%로 구성된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 물질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5중량%를 초과하면 그 효과가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경제성이 떨어진다. 안젤리카오일(Angelica oil)은 스트레스 완화, 긴장완화, 살균 등에 좋은 효과가 있고, 시트로넬라오일(Citronella oil)은 심리적으로 마음을 정화하고 고양시키며 두통, 우울증, 신경통 등에 작용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혼합된 방향제 물질이 외부서버(30)의 표면에 코팅됨에 따라, 외부서버(30)의 표면을 살균 처리하고 사용자의 스트레스 등을 경감시키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환경용 방향제 물질 및 기능성 오일에 대해 구성 성분을 한정하고 혼합 비율의 수치를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 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구성 성분 및 수치 한정 비율에서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외부 서버(30)의 저면에는 고무재질의 진동흡수부가 더 설치 될 수 있다. 이 진동흡수부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진동흡수부의 원료 함량비는 고무 60중량%, 디부틸치오우레아 8중량%, 칼슘스테아레이트 6중량%, 카아본블랙 19중량%, 3C(N-PHENYL-N'-ISOPROPYL- P-PHENYLENEDIAMINE) 3중량%, 유기퍼옥사이드 4중량% 를 혼합한다.
디부틸치오우레아는 가황촉진 향상 등을 위해 첨가되며, 칼슘스테아레이트는 연화제 역할을 위해 첨가되고, 카아본블랙은 내마모성, 열전도성 등을 증대하거나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3C (N-PHENYL-N'-ISOPROPYL- P-PHENYLENEDIAMINE)는 산화방지제로 첨가되며, 유기퍼옥사이드는 촉진제 등의 역할을 위해 첨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진동흡수부의 탄성, 인성 및 강성이 증대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진동흡수부의 수명이 증대된다.
고무재질의 인장강도는 155Kg/㎠ 로 형성된다.
고무재질 구성 물질 및 구성 성분을 한정하고 혼합 비율의 수치 등을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 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구성 성분 및 수치 한정 비율에서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 차체 2: 베이스
3: 아웃트리거 잭 4: 붐
5: 탑승함 10: 센서부
11: 잭 감지센서 12: 붐 안착센서
13: 기울기 감지센서 20: 컨트롤러
30: 외부 서버

Claims (3)

  1. 차체에 탑재된 베이스 상에 붐과 탑승함으로 구성된 고소작업대가 설치되고, 차체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설치된 복수의 아웃트리거 잭을 포함하는 고소작업차의 안전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이고,
    상기 붐의 안착상태정보와 상기 복수의 아웃트리거 잭의 착지상태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내부에 통신 인터페이스 및 경보 발생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 붐의 안착상태정보 및 아웃트리거 잭의 착지상태정보, 각각의 상태정보에 대한 경보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차체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아웃트리거 잭의 착지상태를 감지하는 잭 감지센서;
    상기 붐의 안착상태를 감지하는 붐 안착센서; 및
    상기 차체의 기울기 정보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차체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고소작업차의 작업반경 초과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잭 감지센서, 붐 안착센서 및 기울기 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정보를 미리 설정된 작업 조건 정보와 비교 판단하며, 각각의 판단결과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센서부의 표면에는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되되,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소듐세스퀴카보네이트 및 부틸카비톨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소듐세스퀴카보네이트 및 부틸카비톨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고,
    상기 컨트롤러를 보호하는 케이스 표면에는 니들펀치 부직포로 이루어진 흡음층이 형성되되, 상기 흡음층의 두께는, 0.6 ~ 18㎜이고, 상기 흡음층의 단위 무게는 13 ~ 700g/m2이고, 상기 흡음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0.4 ~ 26데시텍스의 범위이고, 상기 흡음층의 부직포의 인장강도는 8.5Kgf/㎠으로 형성되고, 소음감소계수(NRC)는 0,650으로 형성되고,
    상기 아웃트리거 잭에는 부식 방지 도포층이 도포되되, 상기 부식방지도포층의 도포재료는 비스페놀 A 노볼락형 글리시딜에테르 19중량%, 이소프로필아민 18중량%, 하프늄 14중량%, 유기산마그네슘 14중량%, 산화티타늄(TiO2) 9중량%, 산화알루미늄(Al2O3) 10중량%, 폴리머 플루오로케미칼 액티브 16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7㎛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서버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한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관리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로 고소작업차의 장비번호, 작업상태정보 및 작업조건정보를 푸쉬 알람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10179647A 2021-12-15 2021-12-15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Active KR102652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647A KR102652187B1 (ko) 2021-12-15 2021-12-15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647A KR102652187B1 (ko) 2021-12-15 2021-12-15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678A KR20230090678A (ko) 2023-06-22
KR102652187B1 true KR102652187B1 (ko) 2024-03-27

Family

ID=86988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647A Active KR102652187B1 (ko) 2021-12-15 2021-12-15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1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5386A (ja) 2007-08-02 2009-02-19 Aichi Corp 高所作業車の点検装置
JP2015515957A (ja) 2012-05-09 2015-06-04 マニタウォック クレイン カンパニーズ, エルエルシーManitowoc Crane Companies, Llc クレーン監視装置
KR101904359B1 (ko) * 2017-12-18 2018-10-05 에이치앤케이멕테크 주식회사 다단붐 작업장치 상태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286B1 (ko) * 2003-05-06 2008-04-16 주식회사 세인이엔지 고소작업차의 신축식 다단붐
KR20180110822A (ko) 2017-03-30 2018-10-11 주식회사수산중공업 크레인 차량 및 크레인 차량의 안전 제어 방법
KR102333672B1 (ko) * 2019-10-01 2021-11-30 오철규 아웃트리거를 사용하는 이동식 크레인의 전도 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5386A (ja) 2007-08-02 2009-02-19 Aichi Corp 高所作業車の点検装置
JP2015515957A (ja) 2012-05-09 2015-06-04 マニタウォック クレイン カンパニーズ, エルエルシーManitowoc Crane Companies, Llc クレーン監視装置
KR101904359B1 (ko) * 2017-12-18 2018-10-05 에이치앤케이멕테크 주식회사 다단붐 작업장치 상태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678A (ko)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269495A1 (en) Safety equipment
Neitzel et al. A review of crane safet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US20150217981A1 (en)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utilizable in a fall arresting and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of same
US8950605B2 (en) Monitoring and alarm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ry
CN205575355U (zh) 一种自动扶梯踏板安全防护装置
KR101250774B1 (ko) 위험지역 감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CA2925776C (en) Fall protection device
CN102092640B (zh) 起重机的安全监控装置、方法以及包括该装置的起重机
JP5519171B2 (ja) クレーン衝突防止装置
KR102652187B1 (ko) 소형 고소작업차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KR20140132602A (ko) 타워크레인의 원격관리장치
US9767968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persons in the vicinity of an HF field-emitting device
KR102333672B1 (ko) 아웃트리거를 사용하는 이동식 크레인의 전도 방지 시스템
KR100765415B1 (ko) 음성알림장치를 갖춘 고가 소방인명구조장비
KR20240051809A (ko) 테이블 리프트를 활용한 고소작업자 안전시스템
CN205419384U (zh) 电梯应急装置
KR102320448B1 (ko) 산업 재해 방지를 위한 중량물 낙하위험 경보 시스템
JP3102524U (ja) 吊荷警報装置
JP2024082139A (ja) 高所作業車における熱中症リスクの監視方法及び監視装置
KR20250085278A (ko) 말비계의 추락 방지용 안전 시트
KR20250070188A (ko) 안전매트를 이용한 안전 작업장치
JP2024175762A (ja) 高所作業安全管理システム
Galpin Fall Protection and Cranes: How to Provide Fall Protection in Industrial Crane Environments
CN115043341A (zh) 一种塔式起重机倾覆预警系统
JP2005218725A (ja) 高所作業車用安全帯フック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3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3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