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808B1 - 백색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백 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백색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백 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32808B1 KR102432808B1 KR1020180103695A KR20180103695A KR102432808B1 KR 102432808 B1 KR102432808 B1 KR 102432808B1 KR 1020180103695 A KR1020180103695 A KR 1020180103695A KR 20180103695 A KR20180103695 A KR 20180103695A KR 102432808 B1 KR102432808 B1 KR 1024328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sin composition
- white resin
- white
- epoxy
- weigh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09D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D159/00 - C09D187/00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 C08L33/068—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containing glycidyl group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poxy Resi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란체, 에폭시계 수지 및 카도계 수지를 포함하는 알칼리 가용성 수지, 중합성 화합물 및 용제를 포함하는 백색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백 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백색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백 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 소자(Light Emitting Diode, LED)를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BLU) 으로 사용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V에서 LED BLU는 빛을 실제로 발하는 부분으로써 LCD TV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에 하나이다.
백색의 LED BLU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통상 적색(Red, R), 녹색(Green, G) 및 청색(Blue, B) LED 칩을 조합하여 백색의 LED BLU를 형성하거나, 청색 LED칩과 넓은 반치폭의 발광파장을 가진 황색(Yellow, Y) 형광체의 조합을 이용하여 백색을 구현하고 있다.
하지만, 적색, 녹색, 청색의 LED 칩을 조합하는 경우에는 LED 칩의 개수 및 복잡한 공정에 따라 제조비용이 높은 문제가 있고, 청색 LED칩에 황색 형광체를 조합하는 경우에는, 녹색 및 적색의 파장구분이 되지 않아 색 순도가 떨어지고, 이에 따른 색 재현성 저하의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9480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5963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062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8065호 등에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청색의 LED칩을 사용한 백 라이트에 양자점이 포함된 광학필름을 적용하여 화상표시장치의 색 재현성 및 휘도를 향상시키고 있으나, 코팅 조성물 제조에 있어 극성이 매우 낮은 화합물의 리간드를 사용하여 톨루엔, 헥산, 클로로포름과 같은 용제의 사용이 불가피하여 작업자가 인체에 유해한 용제에 노출된 환경에서 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의 광학필름의 경우 양자점이 포함된 발광층 이외에 베리어층, 기재층 등 구조가 복잡해 지고, 이에 따른 양자점의 발광 휘도 저하가 발생하게 되며, 제조공정 중 너무 높은 온도로 필름 제작 시 양자점이 소광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광학필름 형태로 가공하기 위해 낮은 공정온도에서 진행함에 따라 장기 신뢰성에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적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휘도, 휘도 유지율, 산란 각도 등 휘도 특성과 표면 경도가 우수하여, 신뢰성이 향상된 백색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백색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백 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산란체, 에폭시계 수지 및 카도계 수지를 포함하는 알칼리 가용성 수지, 중합성 화합물 및 용제를 포함하는 백색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백색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백 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백색 수지 조성물은 에폭시계 수지 및 카도계 수지를 포함하는 알칼리 가용성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휘도, 휘도 유지율, 산란 각도 등 휘도 특성과 표면 경도,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백색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백 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발광 휘도 및 신뢰성 등에 있어서 우수한 특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산란체, 에폭시계 수지 및 카도계 수지를 포함하는 알칼리 가용성 수지, 중합성 화합물 및 용제를 포함하는 백색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백 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백색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성분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산란체
상기 산란체는 Al2O3, SiO2, ZnO, ZrO2, BaTiO3, TiO2, Ta2O5, Ti3O5, ITO, IZO, ATO, ZnO-Al, Nb2O3, SnO 및 Mg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TiO2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란체는 백색 물질이며, 색도계 측정 시 CIE 1931(x,y) 색좌표를 기준으로 x 좌표 0.25 내지 0.35 및 y 좌표 0.25 내지 0.40의 색좌표 값을 갖는 경우, 백색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산란체의 표면에 분산안정성 내지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표면처리를 할 수 있다. 표면처리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물질을 사용하여 처리를 할 수 있으며, 두 가지 표면처리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산란체의 함량은 백색 수지 조성물 중 고형분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란체가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산란체의 분산이 용이하고 입자간 간격이 적당하게 분산되어 도막이 제조되므로 바람직하다. 산란체 함량이 상기 범위 이하인 경우 산란효과가 미비하여 도막을 매우 두껍게 형성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범위 이상인 경우 산란체 이외에 알칼리 가용성 수지와 중합성 화합물의 함량이 줄어 들게 되어 제조된 도막의 기계적 특성이 낮아진다.
알칼리 가용성 수지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는 에폭시계 수지 및 카도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에폭시계 수지 및 상기 카도계 수지의 혼합비는 중량비 기준으로 30:70 내지 70:30이고, 바람직하게는 50:50이다. 상기 혼합비로 포함되는 경우, 표면 경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의 함량은 백색 수지 조성물 중 고형분 총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가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도막이 균일하게 형성되고 기계적 강도가 높게 제조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를 포함하는 백색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도막은, 산란 각도 0°에서의 휘도를 100%으로 하였을 때, 80%의 휘도가 측정되는 시점에서, 산란 각도가 50° 이상 내지 70° 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도막의 산란 각도가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도막의 휘도 특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를 포함하는 백색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도막은, Martens hardness를 기준으로 표면 경도가 150 N/mm2 이상 230 N/mm2 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도막의 산란 각도가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도막의 표면 경도 특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에폭시계 수지
상기 에폭시계 수지는 하기 화학식 1의 반복 단위 및 하기 화학식 2의 반복 단위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가 상기 에폭시계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표면 경도가 우수하여 도막의 보호 특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화학식 1]
[화학식 2]
상기 에폭시계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 5,000 내지 20,000g/mol인 것이 바람직하다.
카도계 수지
상기 카도계 수지는 하기 화학식 3 및 4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가 상기 카도계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내광성이 우수하고 반사율이 향상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화학식 3]
[화학식 4]
상기 화학식 3 및 4에서,
R13 및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기, 티올기, 아미노기, 니트로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며, A는 -O-, -S-, -NH-, -Si- 또는 -Se-이고,
Ar1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6 내지 15의 아릴기이고,
Y'는 산무수물 잔기이며,
Z'는 산2무수물 잔기이고,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6의 정수이고,
p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30의 정수이다.
상기 카도계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 3,000 내지 15,000g/mol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성 화합물
상기 중합성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의 중합체,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 및 그와 공중합 가능한 불포화 결합을 갖는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분자 중 2개 이상의 지환 골격을 갖는 다관능성 에폭시 화합물 (이하, 에폭시 수지로 지칭하기도 함)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로는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불포화 다가 카르복실산 등이 사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α-클로로아크릴산, 신남산 등을 들 수 있다.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푸마르산, 메사콘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등을 들 수 있다. 불포화 다가 카르복실산은 산무수물일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말레산 무수물, 이타콘산 무수물, 시트라콘산 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불포화 다가 카르복실산은 ω-카르복시폴리카프로락톤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양 말단에 카르복실기와 수산기를 갖는 폴리머의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류, 모노메틸말레인산, 5-노보넨-2-카르복실산, 모노-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레이트, 모노-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시네이트 등이 가능하다. 이들 불포화 카르복실기를 갖는 화합물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중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이 공중합 반응성 및 현상액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하여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로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 불포화 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불포화 아미노알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비닐시아나이드 화합물, 불포화 옥세탄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플로오렌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불포화 아미노알킬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불포화 글리시딜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비닐아세테이트, 비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의 비닐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등의 비닐시아나이드 화합물; 3-메틸-3-아크릴옥시메틸옥세탄, 3-메틸-3-메타크릴옥시메틸옥세탄, 3-에틸-3-아크릴옥시메틸옥세탄, 3-에틸-3-메타크릴옥시메틸옥세탄, 3-메틸-3-아크릴옥시에틸옥세탄, 3-메틸-3-메타크릴옥시에틸옥세탄, 3-메틸-3-아크릴옥시에틸옥세탄, 3-메틸-3-메타크릴옥시에틸옥세탄 등의 불포화 옥세탄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로는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예를 들면,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제조의 셀록사이드 (CELLOXIDE) 2021이나 유니온 카바이드사 (Union Carbide Corporation) 제조의 ERL4221 등; 1,2,8,9-디에폭시리모넨 (예를 들면,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셀록사이드 3000); 일본 특허 공개 평 4-36263 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평 4-170411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ε-카프롤락톤 올리고머의 양 말단에 각각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탄올과 3,4-에폭시시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이 에스테르 결합된 것 (예를 들면,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셀록사이드 2081)이나 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예를 들면, 유니온 카바이드사 제조의 ERL4299 등) 등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 4-69360 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평 4-170411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에폭시화 3-시클로헥센-1,2-디카르복실산 비스-3-시클로헥세닐메틸에스테르 및 그의 ε-카프롤락톤 첨가 생성물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에포리드 (EPOLEAD) GT301" 등의 GT300 시리즈), 및 에폭시화 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테트라키스-3-시클로헥세닐메틸에스테르 및 그의 ε-카프롤락톤 첨가 생성물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 부시끼가이샤 제조의 "에포리드 GT401" 등의 GT400 시리즈)도 각각 복수 개의 지환족 에폭시기를 갖는 경화성 에폭시 화합물로서 시판되고 있다.
상기 중합성 화합물은 백색 수지 조성물 중 고형분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합성 화합물이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백색 수지 조성물의 코팅성 및 평활성이 양호하게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중합성 화합물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강도 및 평활성이 부족하고,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높은 코팅 불량 발생으로 코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용제
상기 용제는 백색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다른 성분들을 용해 또는 분산시킬 수 있고, 다른 구성성분들과 반응하지 않는 것이면, 통상의 백색 수지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용제를 특별히 제한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도포성 및 건조성 면에서 비점이 100 내지 200℃인 유기 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제는 구체적으로 알킬렌글리콜 모노알킬에테르류, 알킬렌글리콜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류, 방향족 탄화수소류, 케톤류, 저급 및 고급 알코올류, 환상 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등의 알킬렌글리콜 모노알킬에테르류;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부틸에테르 등의 디에틸렌글리콜 디알킬에테르류;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및 메톡시펜틸아세테이트 등의 알킬렌글리콜 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류; 벤젠, 톨루엔, 크실렌, 메시틸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메틸아밀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헥사놀, 시클로헥산올,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알코올류; 3-에톡시프로피온산 에틸, 3-메톡시프로피온산 메틸 등의 에스테르류; γ-부티로락톤 등의 환상 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예시한 용제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용제는 본 발명의 백색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40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제가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롤 코터, 스핀 코터, 슬릿 앤드 스핀 코터, 슬릿 코터(다이 코터라고도 하는 경우가 있음), 잉크젯 등의 도포 장치로 도포했을 때 도포성이 양호해지는 효과를 제공하므로 바람직하다.
첨가제
본 발명에 따른 백색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 분산제, 습윤제, 실란 커플링제 및 응집 방지제 등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로는 시판되는 계면 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계면 활성제로는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불소계 계면 활성제, 불소 원자를 가지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로는 실록산 결합을 갖는 계면 활성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시판품으로는, 토레이실리콘 DC3PA, 토레이실리콘 SH7PA, 토레이실리콘 DC11PA, 토레이실리콘 SH21PA, 토레이실리콘 SH28PA, 토레이실리콘 29SHPA, 토레이실리콘 SH30PA,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오일 SH8400(토레이실리콘(주) 제조), KP321, KP322, KP323, KP324, KP326, KP340, KP341(신에쯔실리콘 제조), TSF400, TSF401, TSF410, TSF4300, TSF4440, TSF4445, TSF-4446, TSF4452, TSF4460(GE도시바실리콘(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불소계 계면 활성제로는 플루오로카본 사슬을 갖는 계면 활성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프로리네이트 FC430, 프로리네이트 FC431(스미또모 3M(주) 제조), 메가팩 F142D, 메가팩 F171, 메가팩 F172, 메가팩 F173, 메가팩 F177, 메가팩 F183, 메가팩 R30(다이니폰잉크카가꾸코교(주) 제조), 에프톱 EF301, 에프톱 EF303, 에프톱 EF351, 에프톱 EF352(신아끼따카세이(주) 제조), 서프론 S381, 서프론 S382, 서프론 SC101, 서프론 SC105(아사히가라스(주) 제조), E5844((주)다이킨파인케미컬겐큐쇼 제조), BM-1000, BM-1100(BM Chemie사 제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불소 원자를 가지는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로는 실록산 결합 및 플루오로카본 사슬을 가지는 계면 활성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가팩(상품명) R08, 메가팩 BL20, 메가팩 F475, 메가팩 F477, 메가팩 F443(다이니폰잉크카가꾸코교(주) 제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습윤제로는 예컨대 글리세린, 디에틸렌글리콜 및 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로는 예컨대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으며, 시판품으로는 SH6062, SZ6030(Toray-Dow Corning Silicon co.,Ltd. 제조), KBE903, KBM803(Shin-Etsu silicone co.,Ltd. 제조) 등이 있다.
상기 응집 방지제에는 예컨대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을 들 수 있다.
백 라이트 유닛 및 표시 장치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백색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백 라이트 유닛과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은 제한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CFL, LED 등의 광원, 광원의 광을 도광시키는 도광판, 도광판의 상면에 확산시트, 프리즘 시트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로는 액정 표시 장치,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용이 가능한 이 분야에 알려진 모든 표시 장치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은 전술한 본 발명의 백색 수지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고, 광경화 및 현상하여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먼저, 백색 수지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한 후 가열 건조함으로써 용매 등의 휘발 성분을 제거하여 평활한 도막을 얻는다.
도포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스핀 코트, 유연 도포법, 롤 도포법, 슬릿 앤드 스핀 코트 또는 슬릿 코트법 등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도포 후 가열건조 (프리베이크), 또는 감압 건조 후에 가열하여 용매 등의 휘발 성분을 휘발시킨다. 여기에서, 가열 온도는 통상 7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이다. 가열건조 후의 도막 두께는 통상 1 내지 15㎛ 정도이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도막에, 중합을 유도하여 단단한 도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150 내지 240℃ 에서 10 내지 60 분의 포스트베이크를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하기에 개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 예시로써,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표시되었고, 더욱이 특허 청구범위 기록과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 예, 비교 예에서 함유량을 나타내는 "%" 및 "부"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질량 기준이다.
제조예 1: 결합제 수지 A의 합성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 적하 로트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플라스크를 준비하였다. 모노머 적하 로트로서, 3,4-에폭시트리시클로데칸-8-일(메타)아크릴레이트와 3,4-에폭시트리시클로데칸-9-일(메타)아크릴레이트를 몰비 50:50으로 혼합한 혼합물 20부, 아크릴산 30부,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110부, 2-히드록시메타크릴레이트 40부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4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 40부를 첨가하여 교반을 준비하였다. 연쇄 이동제 적하조로서, n-도데칸티올 6부, PGMEA 24부를 첨가하여 교반을 준비하였다. 이후 플라스크에 PGMEA 395부를 첨가하고 플라스크 내 분위기를 공기에서 질소로 교환한 후 교반하면서 플라스크의 온도를 90℃까지 승온시켰다. 그 후 모노머 및 연쇄 이동제를 적하 로트로부터 적하를 개시하였다. 적하는 90℃를 유지하면서, 각각 2 시간 동안 진행하였고 1 시간 후에 110℃까지 승온하여 5 시간동안 유지하여 고형분 산가가 110㎎KOH/g인 수지를 얻었다. GPC에 의해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평균분자량은 8,000이고, 분자량 분포(Mw/Mn)는 2.2이었다.
제조예 2: 결합제 수지 B의 합성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 적하 로트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플라스크를 준비하였다. 모노머 적하 로트로서, 3,4-에폭시트리시클로데칸-8-일(메타)아크릴레이트와 3,4-에폭시트리시클로데칸-9-일(메타)아크릴레이트를 몰비 50:50으로 혼합한 혼합물 20부, 아크릴산 30부,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80부, 2-히드록시메타크릴레이트 70부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4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 40부를 첨가하여 교반을 준비하였다. 연쇄 이동제 적하조로서, n-도데칸티올 6부, PGMEA 24부를 첨가하여 교반을 준비하였다. 이후 플라스크에 PGMEA 395부를 첨가하고 플라스크 내 분위기를 공기에서 질소로 교환한 후 교반하면서 플라스크의 온도를 90℃까지 승온시켰다. 그 후 모노머 및 연쇄 이동제를 적하 로트로부터 적하를 개시하였다. 적하는 90℃를 유지하면서, 각각 2 시간 동안 진행하였고 1 시간 후에 110℃까지 승온하여 5 시간동안 유지하여 고형분 산가가 100㎎KOH/g인 수지를 얻었다. GPC에 의해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100이고, 분자량 분포(Mw/Mn)는 2.2이었다.
제조예 3: 결합제 수지 C의 합성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 적하 로트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플라스크에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40부, 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40부를 도입하여, 플라스크 내 분위기를 공기에서 질소로 한 후, 100℃로 승온 후 벤질메타크릴레이트 10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60부, 메타크릴산 30부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36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4부를 첨가한 용액을 적하 로트로부터 2시간에 걸쳐 플라스크에 적하하여 80℃에서 4시간 더 교반을 계속하였다. 이어서, 플라스크 내 분위기를 질소에서 공기로 하고,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15부 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0.5부 및 히드로퀴논 0.1부를 플라스크 내에 투입하여 110℃에서 6시간 반응을 계속하고, 고형분 산가가 110㎎KOH/g인 수지를 얻었다. GPC에 의해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2,000이고, 분자량 분포(Mw/Mn)는 2.5이었다.
실시 예 및 비교 예에 따른 백색 수지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을 참조하여,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백색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실시예4 | 실시예5 | 비교예1 | 비교예2 | 비교예3 | ||
산란체 | 18 | 19 | 17 | 18 | 19 | 18 | 17 | 19 | |
알칼리 가용성 수지 | 아크릴 수지 |
제조예3 | 제조예3 | 제조예3 | |||||
10 | 5 | 40 | |||||||
에폭시계 수지 | 제조예1 | 제조예1 | 제조예2 | 제조예2 | 제조예2 | 제조예2 | |||
12 | 14 | 14.5 | 30 | 27.5 | 40 | ||||
카도계 수지 |
C1 | C1 | C1 | C2 | C1 | C2 | |||
17 | 25 | 28 | 14 | 17 | 40 | ||||
중합성 화합물 | M1 | M1 | M2 | M2 | M2 | M1 | M1 | M2 | |
40 | 35 | 38 | 35 | 33 | 39.5 | 41 | 39 | ||
중합 개시제 | OXE-01 | OXE-03 | OXE-01 | OXE-03 | OXE-01 | OXE-03 | OXE-01 | OXE-03 | |
3 | 2 | 2.5 | 3 | 3.5 | 2.5 | 2 | 2 | ||
용제 | 150 | 200 | 300 | 350 | 250 | 200 | 200 | 250 |
산란체: TiO2(Chemours사 Ti-Pure R960)
알칼리 가용성 수지
카도계 수지:
C1 : 타코마테크놀로지社 TSR-TB04
C2 : 경인양행社 KBR-101
중합성 화합물:
M1 :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DPHA)
M2 : 다이셀社 EHPE-3150
용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
제조 예: 백색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의 제조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백색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도막을 제조하였다. 즉, 상기 각각의 수지 조성물을 스핀 코팅법으로 유리 기판 위에 도포한 다음, 가열판 위에 놓고 100℃의 온도에서 2분간 유지하여 용제를 휘발시켰다. 230℃의 가열 오븐에서 20분 동안 가열하여 도막을 제조하였다. 상기 도막(필름)의 두께는 13.0㎛이었다.
시험 예: 백색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의 물성 평가
1. 휘도 및 유지율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백색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도막의 휘도를 Spectrum meter(Ocean Optics사 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광원의 면적이 넓을수록 높은 휘도 특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측정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하드베이크(Hard bake)를 230℃에서 60분간 진행하여, 하드베이크 전의 휘도와 후의 휘도를 측정하고 휘도가 유지되는 유지율(%)을 확인하여, 측정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2. 산란 각도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백색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도막의 산란 각도를 Ez-Con(EZContrast XL88)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측정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산란 각도 O°(수직)에서의 휘도를 100%으로 하였을 때, 80%의 휘도가 측정되는 시점의 각도를 의미하며, 산란 각도가 크다는 것은, 직광(O°(수직))을 기준으로 더 큰 각도로 산란을 시킨다는 것이므로, 산란 각도가 클수록 백 라이트 유닛(도막)의 성능, 즉, 휘도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3. MH(Martens hardness) 표면 경도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백색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도막의 표면 경도를, 경도계(HM500; Fischer사 제품)로 Vicker indenter를 사용하여 0.03μm/sec의 속도로 도막을 누르고 10초 동안 멈추었다가 같은 속도로 indenter를 빼는 방법으로 Martens hardness를 측정하고, 측정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실시예4 | 실시예5 | 비교예1 | 비교예2 | 비교예3 | |
휘도(cd/m2) | 3.25 | 3.28 | 3.32 | 2.74 | 3.15 | 2.13 | 2.11 | 1.98 |
유지율(%) | 85 | 88 | 95 | 80 | 96 | 75 | 65 | 58 |
산란 각도(°) | 58 | 63 | 53 | 54 | 68 | 32 | 35 | 34 |
MH 표면 경도(N/mm2) | 168 | 158 | 188 | 151 | 215 | 37 | 65 | 31 |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색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백 라이트 유닛은 휘도 및 유지율이 높아, 휘도 특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 비교예 1 내지 3과 비교하여, 산란 각도가 매우 높아, 휘도 특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 비교예 1 내지 3 과 비교하여, MH 표면 경도가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백색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백 라이트 유닛을 제조하는 경우, 휘도 특성 및 표면 경도, 신뢰성이 우수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 산란체;
에폭시계 수지 및 카도계 수지를 포함하는 알칼리 가용성 수지;
중합성 화합물; 및
용제를 포함하며,
상기 카도계 수지는
하기 화학식 3 및 4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수지 조성물:
[화학식 3]
[화학식 4]
상기 화학식 3 및 4에서,
X는 각각 독립적으로 , , , 또는 이며, *는 결합손을 나타내고,
R13 및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기, 티올기, 아미노기, 니트로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며, A는 -O-, -S-, -NH-, -Si- 또는 -Se-이고,
Ar1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6 내지 15의 아릴기이고,
Y'는 산무수물 잔기이며,
Z'는 산2무수물 잔기이고,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6의 정수이고,
p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30의 정수이다.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계 수지 및 상기 카도계 수지를 포함하는 알칼리 가용성 수지를 포함하는 백색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도막은, 산란 각도 0°에서의 휘도를 100%으로 하였을 때, 80%의 휘도가 측정되는 시점에서, 산란 각도가 50° 이상 70° 이하의 값을 가지는 것인, 백색 수지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계 수지 및 상기 카도계 수지의 포함하는 알칼리 가용성 수지를 포함하는 백색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도막은, 표면 경도가 Martens hardness를 기준으로 150 N/mm2 이상 230 N/mm2 이하의 값을 가지는 것인, 백색 수지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계 수지 및 상기 카도계 수지의 혼합비는 중량비가 30:70 내지 70: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수지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란체는 Al2O3, SiO2, ZnO, ZrO2, BaTiO3, TiO2, Ta2O5, Ti3O5, ITO, IZO, ATO, ZnO-Al, Nb2O3, SnO 및 Mg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수지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백색 수지 조성물 중 고형분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산란체는 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알칼리 가용성 수지는 20 내지 6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중합성 화합물은 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백색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용제 4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수지 조성물.
- 청구항 1, 2 및 4 내지 8 중 어느 한 항의 백색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백 라이트 유닛.
- 청구항 9의 백 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BLU)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3695A KR102432808B1 (ko) | 2018-08-31 | 2018-08-31 | 백색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백 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CN201910760638.8A CN110872455B (zh) | 2018-08-31 | 2019-08-16 | 白色树脂组合物、背光单元以及显示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3695A KR102432808B1 (ko) | 2018-08-31 | 2018-08-31 | 백색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백 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5796A KR20200025796A (ko) | 2020-03-10 |
KR102432808B1 true KR102432808B1 (ko) | 2022-08-16 |
Family
ID=69716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3695A KR102432808B1 (ko) | 2018-08-31 | 2018-08-31 | 백색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백 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432808B1 (ko) |
CN (1) | CN110872455B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56304A (ja) | 2012-01-26 | 2013-08-15 | Tokyo Ohka Kogyo Co Ltd | 感光性組成物、パターンおよびパターンを有する表示装置 |
JP2015028619A (ja) * | 2013-07-30 | 2015-02-12 | 東友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 | ディスプレイ装置の前面遮光層形成用感光性樹脂組成物 |
JP2015197677A (ja) | 2014-03-31 | 2015-11-09 | 東友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Dongwoo Fine−Chem Co., Ltd. | 着色感光性樹脂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画像表示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21006A (ko) * | 2010-08-31 | 2012-03-08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
RU2601329C2 (ru) * | 2011-02-24 | 2016-11-10 | Басф Се | Новые осветительные приборы |
JP6095023B2 (ja) * | 2012-05-25 | 2017-03-15 |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 感光性樹脂組成物、パターン、パターンの製造方法、ベゼルパターンの製造方法、及び、ディスプレイパネル |
JP5841570B2 (ja) * | 2012-10-19 | 2016-01-13 | 太陽インキ製造株式会社 | 硬化性樹脂組成物、ソルダーレジスト形成用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塗膜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 |
KR102062687B1 (ko) | 2013-01-23 | 2020-01-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양자점 복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
KR101859637B1 (ko) | 2013-08-23 | 2018-05-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발광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KR101628065B1 (ko) | 2014-08-07 | 2016-06-08 | 주식회사 엘엠에스 | 발광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이의 경화물, 광학 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
KR101690624B1 (ko) | 2015-03-31 | 2016-12-28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비카드뮴계 양자점을 포함하는 광학 시트 |
CN106349806A (zh) * | 2016-08-31 | 2017-01-25 | 东莞市蓝邦电子五金材料有限公司 | 一种柔性液态感光白色油墨及其应用方法 |
KR102080235B1 (ko) * | 2016-10-28 | 2020-02-2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흑색 감광성 수지막 및 컬러필터 |
-
2018
- 2018-08-31 KR KR1020180103695A patent/KR10243280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8-16 CN CN201910760638.8A patent/CN110872455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56304A (ja) | 2012-01-26 | 2013-08-15 | Tokyo Ohka Kogyo Co Ltd | 感光性組成物、パターンおよびパターンを有する表示装置 |
JP2015028619A (ja) * | 2013-07-30 | 2015-02-12 | 東友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 | ディスプレイ装置の前面遮光層形成用感光性樹脂組成物 |
JP2015197677A (ja) | 2014-03-31 | 2015-11-09 | 東友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Dongwoo Fine−Chem Co., Ltd. | 着色感光性樹脂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画像表示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5796A (ko) | 2020-03-10 |
CN110872455B (zh) | 2022-07-08 |
CN110872455A (zh) | 2020-03-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86763B1 (ko) | 고내열성, 고해상도의 네거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막 | |
WO2021145283A1 (ja) | 着色硬化性組成物 | |
US9657123B2 (en) | Photoresist composition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 |
CN106662809A (zh) | 着色感光性树脂组合物 | |
JP2021152145A (ja) | 着色硬化性樹脂組成物 | |
KR102432808B1 (ko) | 백색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백 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 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
CN103217866A (zh) | 感光性树脂组合物 | |
JP5802461B2 (ja) | 硬化性樹脂組成物 | |
JP5802460B2 (ja) | 硬化性樹脂組成物 | |
KR101759740B1 (ko) | 경화막 | |
US20230106988A1 (en) | Colored resin composition | |
US20230043562A1 (en) | Colored resin composition | |
KR20170111912A (ko) |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화상표시장치 | |
JP6722442B2 (ja) | 化合物、着色硬化性樹脂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液晶表示装置 | |
KR20210053885A (ko) | 조성물, 이것을 함유하는 접착제, 그 경화물 및 그 제조 방법 | |
CN103293854A (zh) | 感光性树脂组合物 | |
JP2014106266A (ja) | 感光性樹脂組成物 | |
JP5935276B2 (ja) | 硬化性樹脂組成物 | |
KR20130002949A (ko) | 경화성 수지 조성물 | |
KR101292385B1 (ko) | 경화성 수지 조성물 | |
JP2016166341A (ja) | 硬化性樹脂組成物 | |
WO2024171920A1 (ja) | 着色硬化性樹脂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表示装置、及び固体撮像素子 | |
WO2024171921A1 (ja) | 着色硬化性樹脂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表示装置、及び固体撮像素子 | |
KR101097045B1 (ko) | 디스플레이 칼라필터 보호용 경화성 수지 조성물 | |
KR101953923B1 (ko) |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조성물로 형성된 보호막을 구비한 컬러 필터 및 표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