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410654B1 -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654B1
KR102410654B1 KR1020220027925A KR20220027925A KR102410654B1 KR 102410654 B1 KR102410654 B1 KR 102410654B1 KR 1020220027925 A KR1020220027925 A KR 1020220027925A KR 20220027925 A KR20220027925 A KR 20220027925A KR 102410654 B1 KR102410654 B1 KR 102410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augmented reality
virtual reality
reality
devic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목
Original Assignee
유성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목 filed Critical 유성목
Priority to KR1020220027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6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654B1/ko
Priority to CN202280090086.4A priority patent/CN118556219A/zh
Priority to PCT/KR2022/009220 priority patent/WO202316737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과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 용도로 활용될 수 있게 헤드부가 일단부에 마련되는 디바이스 바디; 상기 디바이스 바디의 속도와 방향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와, 상기 디바이스 바디의 위치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디바이스 바디의 내부에 탑재되는 내부 센서; 소정의 전자기기 화면에 대한 상기 헤드부의 터치 감도를 센싱하는 터치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디바이스 바디의 외부에 탑재되는 외부 센서; 및 상기 내부 센서 및 상기 외부 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내부 센서 및 상기 외부 센서의 센싱값을 통해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을 컨트롤하거나 상기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과 상기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이 실행되게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Input Device For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과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등 그 기능성이 종래보다 월등히 확장될 수 있어서 다용도의 입력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인풋 디바이스(input device)는 소정의 전자기기,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 패드 등의 전자기기의 실행을 위한 입력 도구를 가리킨다.
제일 흔한 형태의 인풋 디바이스 중 하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인풋 디바이스(20)는 소위, 터치팬(20)이라 불리는 도구이며, 태블릿 PC나 스마트폰(10)의 조작을 위해 사용된다. 터치팬(20)이 일체로 구비된 것도 있고 별도로 활용되는 것도 있다.
도 1과 같은 형태의 인풋 디바이스(20)가 가장 흔한 형태이긴 하지만, 이러한 인풋 디바이스(20)는 전술한 것처럼 해당 스마트폰(10)의 앱 실행, 필기 등을 위한 용도로만 사용될 뿐 기능성이 다소 부족하다.
예컨대, 도 1의 인풋 디바이스(20)를 통해서는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과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다는 점에서 그 기능이 상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5-019097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4-017911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9-012273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91893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과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등 그 기능성이 종래보다 월등히 확장될 수 있어서 다용도의 입력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과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 용도로 활용될 수 있게 헤드부가 일단부에 마련되는 디바이스 바디; 상기 디바이스 바디의 속도와 방향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와, 상기 디바이스 바디의 위치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디바이스 바디의 내부에 탑재되는 내부 센서; 소정의 전자기기 화면에 대한 상기 헤드부의 터치 감도를 센싱하는 터치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디바이스 바디의 외부에 탑재되는 외부 센서; 상기 내부 센서 및 상기 외부 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내부 센서 및 상기 외부 센서의 센싱값을 통해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을 컨트롤하거나 상기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과 상기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이 실행되게 컨트롤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디바이스 바디의 일측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 바디는, 고정 바디부 및 상기 고정 바디부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카메라가 탑재되는 회전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바디부에 젖힘 가능하게 마련되는 접이식 거치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 센서는 피드백용 진동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의 단부에 레이저 포인터가 마련되고, 상기 외부 센서는, 보안 기능 필요 시 인증수단으로 활용되는 지문 센서; 및 상기 전자기기 화면에 대한 상기 헤드부의 압력 감도를 센싱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에 필기구가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디바이스 바디에 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내장되고, 상기 가상 현실 또는 증강 현실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에 QR 형태의 마커를 만들어 줌으로써, 상기 위치 센서와 마커를 통해 인풋 디바이스의 위치, 형태 정보를 제공하도록 VR 디스플레이에 장착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과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등 그 기능성이 종래보다 월등히 확장될 수 있어서 다용도의 입력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터치팬의 사용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2의 헤드부 영역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에 필기구가 결합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6은 도 2의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에 대한 활용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7의 동작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에 대한 활용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의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3은 도 2의 헤드부 영역의 저면도, 도 4는 도 2의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에 필기구가 결합한 도면, 도 5는 도 2의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블록도, 도 6은 도 2의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에 대한 활용예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100)는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과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등 그 기능성이 종래보다 월등히 확장될 수 있어서 다용도의 입력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게끔 한다.
예컨대, 도 6처럼 영상 통화 화면을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100)의 카메라(160) 앞에 띄워주면 서로 영상 통화할 때, 시선이 상대방 얼굴을 보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게끔 한다. 물론, 도 6과 같은 사용예는 VR 디스플레이(G)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 눈에만 그렇게 보이는 것이며, 실제 외부 사람이 볼 때는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100)의 카메라(160)를 들고 이야기하는 것처럼 보인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 바디(110), 내부 센서(130), 외부 센서(140) 및 컨트롤러(180)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바디(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100)의 외관 구조물이다. 내부 센서(130), 외부 센서(140) 및 컨트롤러(180)이 그 내부와 외부에 위치별로 탑재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 바디(110)는 펜(PEN)처럼 휴대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디바이스 바디(110)의 일단부에는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과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 용도로 활용될 수 있게 헤드부(120)가 마련된다.
참고로,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은 컴퓨터로 만들어 놓은 가상의 세계에서 사람이 실제와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최첨단 기술을 말한다. 머리에 장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인 HMD를 활용해 체험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 현실(VR)이 이미지, 주변 배경, 객체 모두를 가상의 이미지로 만들어 보여주는 반면,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은 추가되는 정보만 가상으로 만들어 보여준다. 즉 증강 현실(AR)은 현실 세계의 실제 모습이 주가 된다는 점에서 가상 현실과 다르다.
예컨대,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실제 도로 장면(Reality)에 주행 정보를 추가하여 보여주면 증강 현실(AR)이 되고, 가상의 지도(Virtual)에 주행 정보를 보여주면 가상 현실(VR)이 된다.
내부 센서(130)는 디바이스 바디(110)의 내부에 탑재되는 장치다. 이러한 내부 센서(130)는 디바이스 바디(110)의 속도와 방향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131)와, 디바이스 바디(110)의 위치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센서(132)와, 피드백용 진동모터(13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31) 및 피드백용 진동모터(133)와 달리 위치 센서(132)는 디바이스 바디(110)의 양단부 영역에 갖춰질 수 있다.
외부 센서(140)는 디바이스 바디(110)의 외부에 탑재되는 장치다. 이러한 외부 센서(140)는 소정의 전자기기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감도를 센싱하며, PC 사용 시 마우스 클릭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가한 압력의 크기를 감지하여 어플리케이션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가 내장된 장치의 경우 터치 센서와 지문인식 센서의 기능은 디스플레이 내장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외부 센서(140)는 소정의 전자기기 화면에 대한 상기 헤드부(120)의 터치 감도를 센싱하는 터치 센서(141)와, 보안 기능 필요 시 인증수단으로 활용되는 지문 센서(142)와, 전자기기 화면에 대한 헤드부(120)의 압력 감도를 센싱하는 압력 센서(143)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압력 센서(143)는 디바이스 끝단부의 압력을 인식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터치 압력을 인식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디바이스 끝단부의 압력은 가속도 센서(131)와 포스터치의 입력 알고리즘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4에는 터치 센서(141), 지문 센서(142) 및 압력 센서(143)가 외부로 드러나게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도시된 바와 달리 내장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를 터치 디스플레이 내장형이라 부를 수 있다. 물론, 도면과 달리 카메라(160)까지 내장형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이를 터치 디스플레이 내장형(UDC 타입)이라 부를 수 있다.
디바이스 바디(110)에는 배터리(150)가 충전 가능하게 내장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바이스 바디(110)의 외벽에 5핀 혹은 C타입 충전구 또는 무선충전을 통해 배터리(150)를 충전할 수 있다.
디바이스 바디(110)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60)가 마련된다. 카메라(160)를 이용해서 예컨대, 도 6과 같은 영상 통화를 구현할 수도 있다.
헤드부(120)의 단부에 레이저 포인터(121)가 마련된다. 레이저 포인터(121)의 동작을 위해 별도의 스위치(미도시)가 디바이스 바디(11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스위치를 누르면 디바이스 바디(110) 내의 배터리(150)에서 레이저 포인터(121)로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레이저 포인터(121)에 의한 빛이 분사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120)에 필기구(170)가 교체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필기구(170)는 실제 필기를 할 수 있는 연필이나 볼펜을 의미할 수도 있다.
한편, 컨트롤러(180)는 내부 센서(130) 및 외부 센서(140)와 연결되고 내부 센서(130) 및 외부 센서(140)의 센싱값을 통해 전자기기의 동작을 컨트롤하거나 가상 현실(VR)과 증강 현실(AR)이 실행되게 컨트롤한다. 그뿐만 아니라 컨트롤러(180)는 통신 모듈(190)과 연계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100)가 실행되는 모든 동작을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예컨대 스마트폰이나 탭 등을 디바이스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80)는 중앙처리장치(181, CPU), 메모리(1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81)는 본 실시예에서 내부 센서(130) 및 외부 센서(140)와 연결되고 내부 센서(130) 및 외부 센서(140)의 센싱값을 통해 전자기기의 동작을 컨트롤하거나 가상 현실(VR)과 증강 현실(AR)이 실행되게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81)과 연결된다. 메모리(1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83)은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80)는 내부 센서(130) 및 외부 센서(140)와 연결되고 내부 센서(130) 및 외부 센서(140)의 센싱값을 통해 전자기기의 동작을 컨트롤하거나 가상 현실(VR)과 증강 현실(AR)이 실행되게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풋 디바이스(100)는 필기도구 및 포인터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가속도 센서(131)와 위치 센서(132)가 탑재되기 때문에 가속도 센서(131)와 위치 센서(132)로 인풋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을 감지해서 필기되는 글씨를 인식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실제 현실에서 필기가 가능하게 헤드부(120)에 필기구(170)를 부착할 수 있다. 이때의 필기구(170)은 실제 필기도구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인풋 디바이스(100)에는 헤드부(120)에 레이저 포인터(121)가 마련되기 때문에,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에서 레이저로 포인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클릭/드래그 등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의 물체를 인식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풋 디바이스(100)는 필기도구 및 포인터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상 키보드 및 가상 노트북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인풋 디바이스(100) 위치를 기준으로 사용자는 가상의 화면과 가상의 키보드를 볼 수 있다.
키보드 위에서 손가락의 움직임을 인풋 디바이스(100)에 내장된 카메라(160) 또는 사용자가 착용한 VR/AR 기기의 카메라로 인식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인풋 디바이스(100)을 눕혀서 또는 세워서 기준점을 지정할 수도 있는데, 세워서 사용하는 경우 인풋 디바이스(100)에 탑재된 카메라(160)로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분석하기 용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풋 디바이스(100)는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 화상 통화용 툴(tool)로 활용 가능하다.
예컨대, 위치 센서(132)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화면의 기준점을 설정해 줄 수 있다. 사용자가 보게 되는 화면은 착용한 장비를 통해서 보여질 수 있다. 물론, 외부 사람에게는 붉은색 원안의 화면이 안보인다.
인풋 디바이스(100)에 카메라(160)로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도 6처럼 영상 통화 화면을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100)의 카메라(160) 앞에 띄워주면 서로 영상 통화할 때, 시선이 상대방 얼굴을 보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게끔 한다.
물론, 도 6과 같은 사용예는 VR 디스플레이(G)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 눈에만 그렇게 보이는 것이며, 실제 외부 사람이 볼 때는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100)의 카메라(160)를 들고 이야기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과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등 그 기능성이 종래보다 월등히 확장될 수 있어서 다용도의 입력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8은 도 7의 동작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200) 역시, 디바이스 바디(210), 내부 센서(130, 도 6 참조), 외부 센서(140), 카메라(160) 및 컨트롤러(180, 도 6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의 구조와 기능,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피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200)에 적용되는 디바이스 바디(210)는 고정 바디부(210a)와 고정 바디부(210a)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한 회전 바디부(210b)를 포함한다.
카메라(160)는 회전 바디부(210b)에 탑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200)를 일정한 장소에 고정시켜 둔 상태라면 회전 바디부(210b)를 회전시켜 가면서 카메라(160)의 위치를 세팅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바디(210)에는 접이식 거치대(290)가 마련된다.
접이식 거치대(290)를 도 8처럼 젖혀서 동작시킬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200)를 세워둘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과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등 그 기능성이 종래보다 월등히 확장될 수 있어서 다용도의 입력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에 대한 활용예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VR 디스플레이(G)에 카메라(C)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VR/AR 상태에서 디스플레이(Display)에 QR 형태의 마커를 만들어 줌으로써, 위치 센서와 마커를 활용해서 인풋 디바이스(300)의 정확한 위치, 형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의 구조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예컨대 원뿔 기둥 같은 형태의 거치대(410)를 사용함으로써 디바이스(100)에 대한 거치 또는 무선충전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인풋 디바이스 110 : 디바이스 바디
120 : 헤드부 121 : 레이저 포인터
130 : 내부 센서 131 : 가속도 센서
132 : 위치 센서 133 : 피드백용 진동모터
140 : 외부 센서 141 : 터치 센서
142 : 지문 센서 143 : 압력 센서
150 : 배터리 160 : 카메라
170 : 필기구 180 : 컨트롤러
190 : 통신 모듈

Claims (6)

  1.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과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 용도로 활용될 수 있게 헤드부가 일단부에 마련되는 디바이스 바디;
    상기 디바이스 바디의 속도와 방향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와, 상기 디바이스 바디의 위치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디바이스 바디의 내부에 탑재되는 내부 센서;
    소정의 전자기기 화면에 대한 상기 헤드부의 터치 감도를 센싱하는 터치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디바이스 바디의 외부에 탑재되는 외부 센서;
    상기 내부 센서 및 상기 외부 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내부 센서 및 상기 외부 센서의 센싱값을 통해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을 컨트롤하거나 상기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과 상기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이 실행되게 컨트롤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디바이스 바디의 일측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 바디는, 고정 바디부 및 상기 고정 바디부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카메라가 탑재되는 회전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바디부에 젖힘 가능하게 마련되는 접이식 거치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 센서는 피드백용 진동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의 단부에 레이저 포인터가 마련되고,
    상기 외부 센서는,
    보안 기능 필요 시 인증수단으로 활용되는 지문 센서; 및
    상기 전자기기 화면에 대한 상기 헤드부의 압력 감도를 센싱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에 필기구가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디바이스 바디에 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내장되고,
    상기 가상 현실 또는 증강 현실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에 QR 형태의 마커를 만들어 줌으로써, 상기 위치 센서와 마커를 통해 인풋 디바이스의 위치, 형태 정보를 제공하도록 VR 디스플레이에 장착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20027925A 2022-03-04 2022-03-04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 KR102410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925A KR102410654B1 (ko) 2022-03-04 2022-03-04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
CN202280090086.4A CN118556219A (zh) 2022-03-04 2022-06-28 虚拟现实及增强现实输入设备
PCT/KR2022/009220 WO2023167371A1 (ko) 2022-03-04 2022-06-28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925A KR102410654B1 (ko) 2022-03-04 2022-03-04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0654B1 true KR102410654B1 (ko) 2022-06-22

Family

ID=82217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925A KR102410654B1 (ko) 2022-03-04 2022-03-04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410654B1 (ko)
CN (1) CN118556219A (ko)
WO (1) WO202316737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7371A1 (ko) * 2022-03-04 2023-09-07 유성목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
WO2024058434A1 (ko) * 2022-09-14 2024-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촬영하는 컨트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및 컨트롤 장치와 연결된 머리 착용형 전자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980B1 (ko) * 2006-09-01 2007-10-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감각정보 입출력 전자펜 및 전자펜을 이용한 후각정보출력방법
KR20110091893A (ko) 2008-12-04 2011-08-1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인접 서브넷들에 접하는 섹터들에서의 멀티캐스트 통신의 지원
KR101454814B1 (ko) * 2013-08-06 2014-11-12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전자펜용 펜캡 및 이를 구비한 전자펜
KR20160081855A (ko) * 2014-12-31 2016-07-08 이솔정보통신(주) 스마트 펜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KR20180000009A (ko) * 2016-06-21 2018-01-0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증강현실 생성 펜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제공 시스템
KR20190110610A (ko) * 2017-01-30 2019-09-30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감압식 스타일러스
KR20190122735A (ko) 2017-03-30 2019-10-30 닛테츠 스테인레스 가부시키가이샤 간극부의 내염해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 관 단부 두께 증가 구조체, 용접 조인트, 및 용접 구조체
KR20210028740A (ko) * 2015-09-08 2021-03-12 애플 인크. 전자 디바이스들을 위한 스타일러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0654B1 (ko) * 2022-03-04 2022-06-22 유성목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980B1 (ko) * 2006-09-01 2007-10-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감각정보 입출력 전자펜 및 전자펜을 이용한 후각정보출력방법
KR20110091893A (ko) 2008-12-04 2011-08-1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인접 서브넷들에 접하는 섹터들에서의 멀티캐스트 통신의 지원
KR101454814B1 (ko) * 2013-08-06 2014-11-12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전자펜용 펜캡 및 이를 구비한 전자펜
KR20160081855A (ko) * 2014-12-31 2016-07-08 이솔정보통신(주) 스마트 펜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구현 시스템
KR20210028740A (ko) * 2015-09-08 2021-03-12 애플 인크. 전자 디바이스들을 위한 스타일러스
KR20180000009A (ko) * 2016-06-21 2018-01-0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증강현실 생성 펜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제공 시스템
KR20190110610A (ko) * 2017-01-30 2019-09-30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감압식 스타일러스
KR20190122735A (ko) 2017-03-30 2019-10-30 닛테츠 스테인레스 가부시키가이샤 간극부의 내염해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 관 단부 두께 증가 구조체, 용접 조인트, 및 용접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7371A1 (ko) * 2022-03-04 2023-09-07 유성목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
WO2024058434A1 (ko) * 2022-09-14 2024-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외부 환경을 촬영하는 컨트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및 컨트롤 장치와 연결된 머리 착용형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556219A (zh) 2024-08-27
WO2023167371A1 (ko) 2023-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5137B2 (en) Gesture recognition devices and methods
KR101947034B1 (ko) 휴대 기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160179210A1 (en) Input supporting method and input supporting device
KR102410654B1 (ko)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
JP5930618B2 (ja) 空間手書きシステム及び電子ペン
US9378427B2 (en) Displaying handwritten strokes on a device according to a determined stroke direction matching the present direction of inclination of the device
KR100630806B1 (ko) 동작 인식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CN102722240A (zh) 一种文字信息输入系统、手写输入设备及方法
KR102570009B1 (ko) Ar 객체 생성 방법 및 전자 장치
JP2013125487A (ja) 空間手書きシステム及び電子ペン
KR20200101481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필체 보정 방법
CN113253908B (zh) 按键功能执行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051585B1 (ko) 멀티 터치를 이용한 핸드 라이팅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CN112684887A (zh) 应用设备及其隔空手势识别方法
KR102468082B1 (ko) 필기 입력에 대한 보정 방법, 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JP6290003B2 (ja) 電子機器及び方法
JP5284523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の処理方法
JP2017191426A (ja) 入力装置、入力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5652647B2 (ja) 小型電子機器、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312601B1 (ko) 시선 추적을 이용한 시인성 개선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CN115145416A (zh) 智能化切换笔型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40036637A1 (en) Spatial positioning method of separate virtual system, separate virtual system
US2024011875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346904B1 (ko) 제스처 인식 장치 및 방법
EP2669766B1 (en) Graphical display with optical pen inp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