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009A - 증강현실 생성 펜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생성 펜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0009A KR20180000009A KR1020160077087A KR20160077087A KR20180000009A KR 20180000009 A KR20180000009 A KR 20180000009A KR 1020160077087 A KR1020160077087 A KR 1020160077087A KR 20160077087 A KR20160077087 A KR 20160077087A KR 20180000009 A KR20180000009 A KR 201800000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ugmented reality
- generating
- pen
- coordinates
- coordin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9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57 finger m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G06K9/00402—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mage capture systems, e.g.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증강현실 생성 펜은, 공간 상으로 증강현실 객체를 생성하는 증강현실 생성 펜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생성 펜의 이동 좌표를 연산하여 상기 증강현실 생성 펜의 위치를 추적하는 좌표 연산부, 좌표 연산부에서 전달된 정보를 바탕으로 선, 면, 입체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객체 생성부, 상기 증강현실 생성 펜의 이동으로 생성된 객체들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고 인접하다고 판단된 객체들을 연결시키는 통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생성 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생성 펜을 이용하여 증강현실 문자를 생성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약도를 생성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10: 증강현실 생성 펜
12: 좌표 연산부
121: 메인좌표 생성 모듈
122: 서브좌표 생성 모듈
123: 객체좌표 연산 모듈
124: 기준평판 생성 모듈
125: 객체 판단 모듈
13: 객체 생성부
131: 선 생성 모듈
132: 면 생성 모듈
133: 입체 생성 모듈
134: 수정 모듈
14: 통합부
141: 간격 판단 모듈
142: 통합 판단 모듈
143: 연결 모듈
15: 전송부
16: 카메라
20: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21: 촬영부
22: 결합 표시부
23: 데이터 결합부
Claims (26)
- 공간 상으로 증강현실 객체를 생성하는 증강현실 생성 펜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생성 펜의 이동 좌표를 연산하여 상기 증강현실 생성 펜의 위치를 추적하는 좌표 연산부;
좌표 연산부에서 전달된 정보를 바탕으로 선, 면, 입체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객체 생성부;
상기 증강현실 생성 펜의 이동으로 생성된 객체들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고 인접하다고 판단된 객체들을 연결시키는 통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생성 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생성 펜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증강현실의 생성 및 중지를 조절하는 제어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생성 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연산부는 증강현실 객체들 생성 시에 기준이 되는 메인 기준 좌표를 생성하는 메인좌표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생성 펜.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연산부는 서로 다른 객체의 기준이 되는 서브 기준 좌표를 생성하되, 서브 기준 좌표를 상기 메인 기준 좌표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로 설정하는 서브좌표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생성 펜.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연산부는 증강현실 생성 펜의 이동으로 생성되는 좌표를 상기 메인 기준좌표에 대하여 연산하여 객체 좌표로 저장하는 객체좌표 연산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생성 펜.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연산부는 두께를 갖는 가상의 기준평판을 생성하는 기준평판 생성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생성 펜.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연산부는 상기 객체 좌표가 상기 기준평판 내에 위치할 때에만 동일한 객체의 선으로 인식하는 객체 판단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생성 펜.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생성부는 연속적으로 이어진 객체 좌표들을 하나의 선으로 인식하고 가상의 선을 생성하는 선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생성 펜.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생성부는 가상의 단일 폐곡선 또는 연결된 복수의 가상의 선들이 면을 형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복수의 가상의 선을 하나의 가상의 면으로 변환하는 면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생성 펜.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생성부는 복수의 가상의 면들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복수의 가상의 면을 하나의 입체로 변환하는 입체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생성 펜.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부는 객체들의 좌표를 이용하여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는 간격 판단 모듈과, 기 설정된 간격 내에 있는 객체들이 서로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는 통합 판단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생성 펜.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생성 펜은 주변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 또는 이미지에 상기 증강현실 생성 펜에 의하여 생성된 객체들을 결합하여 저장하는 연결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생성 펜.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생성 펜은 주변의 스마트 기기로 객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생성 펜.
- 증강 현실을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증강현실 화면을 제공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며, 공간 상에서 이동으로 증강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증강현실 생성 펜;
을 포함하고,
상기 증강현실 생성 펜은, 이동 좌표를 연산하여 상기 증강현실 생성 펜의 위치를 추적하는 좌표 연산부, 좌표 연산부에서 전달된 정보를 바탕으로 선, 면, 입체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객체 생성부, 상기 증강현실 생성 펜의 이동으로 생성된 객체들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고 인접하다고 판단된 객체들을 연결시키는 통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는 상기 증강현실 생성 펜으로부터 데이터를 전달 받아 상기 증강현실 화면 상에 상기 증강현실 생성 펜을 결합하여 표시하는 결합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는 증강현실 생성 펜에 의하여 생성된 객체를 상기 증강현실 화면에 결합하는 데이터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생성 펜은 외측으로 돌출되며 증강현실의 생성 및 중지를 조절하는 제어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연산부는 증강현실의 생성이 시작되는 메인 기준 좌표를 생성하는 기준 좌표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좌표 생성 모듈은 서로 다른 객체의 기준이 되는 서브 기준 좌표를 생성하되, 서브 기준 좌표를 상기 메인 기준 좌표에 대한 상대 좌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연산부는 증강현실 생성 펜의 이동으로 생성되는 좌표를 상기 메인 기준 좌표에 대하여 연산하여 객체 좌표로 저장하는 객체 좌표 연산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연산부는 두께를 갖는 가상의 기준평판을 생성하는 기준평판 생성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연산부는 상기 객체 좌표가 상기 기준평판 내에 위치할 때에만 동일한 객체의 선으로 인식하는 객체 판단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생성부는 연속적으로 이어진 객체 좌표들을 하나의 선으로 인식하고 가상의 선을 생성하는 선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생성부는 가상의 단일 폐곡선 또는 연결된 복수의 가상의 선들이 면을 형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복수의 가상의 선을 하나의 가상의 면으로 변환하는 면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생성부는 복수의 가상의 면들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복수의 가상의 면을 하나의 입체로 변환하는 입체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부는 객체들의 좌표를 이용하여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는 간격 판단 모듈과, 기 설정된 간격 내에 있는 객체들이 서로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는 통합 판단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제공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7087A KR20180000009A (ko) | 2016-06-21 | 2016-06-21 | 증강현실 생성 펜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제공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7087A KR20180000009A (ko) | 2016-06-21 | 2016-06-21 | 증강현실 생성 펜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제공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0009A true KR20180000009A (ko) | 2018-01-02 |
Family
ID=61004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7087A Ceased KR20180000009A (ko) | 2016-06-21 | 2016-06-21 | 증강현실 생성 펜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제공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00009A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35634A1 (en) * | 2018-01-05 | 2019-07-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to navigate a virtual content displayed by a virtual reality (vr) device |
CN110794958A (zh) * | 2018-08-03 | 2020-02-14 | 罗技欧洲公司 | 在增强/虚拟现实环境中使用的触控笔设备和输入设备 |
KR102149105B1 (ko) * | 2019-09-18 | 2020-08-27 |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 혼합현실 기반 3차원 스케치 장치 및 방법 |
KR102410654B1 (ko) * | 2022-03-04 | 2022-06-22 | 유성목 |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 |
KR20240084532A (ko) * | 2018-06-12 | 2024-06-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전자장치 및 시스템 |
WO2025023560A1 (ko) * | 2023-07-26 | 2025-01-3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현실 객체를 입력 도구로 이용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
WO2025033754A1 (ko) * | 2023-08-04 | 2025-02-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사체를 포함하는 외부 공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그 방법 |
-
2016
- 2016-06-21 KR KR1020160077087A patent/KR20180000009A/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35634A1 (en) * | 2018-01-05 | 2019-07-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to navigate a virtual content displayed by a virtual reality (vr) device |
KR20200096901A (ko) * | 2018-01-05 | 2020-08-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가상 현실 (vr) 디바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컨텐트를 네비게이트하는 방법 및 장치 |
US11188144B2 (en) | 2018-01-05 | 2021-11-3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to navigate a virtual content displayed by a virtual reality (VR) device |
KR20240084532A (ko) * | 2018-06-12 | 2024-06-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전자장치 및 시스템 |
CN110794958A (zh) * | 2018-08-03 | 2020-02-14 | 罗技欧洲公司 | 在增强/虚拟现实环境中使用的触控笔设备和输入设备 |
CN110794958B (zh) * | 2018-08-03 | 2024-04-26 | 罗技欧洲公司 | 在增强/虚拟现实环境中使用的输入设备 |
KR102149105B1 (ko) * | 2019-09-18 | 2020-08-27 |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 혼합현실 기반 3차원 스케치 장치 및 방법 |
US10909769B1 (en) | 2019-09-18 | 2021-02-02 |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Of Sejong University | Mixed reality based 3D sketching device and method |
KR102410654B1 (ko) * | 2022-03-04 | 2022-06-22 | 유성목 |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 |
WO2023167371A1 (ko) * | 2022-03-04 | 2023-09-07 | 유성목 |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용 인풋 디바이스 |
WO2025023560A1 (ko) * | 2023-07-26 | 2025-01-3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현실 객체를 입력 도구로 이용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
WO2025033754A1 (ko) * | 2023-08-04 | 2025-02-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사체를 포함하는 외부 공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그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00009A (ko) | 증강현실 생성 펜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제공 시스템 | |
US20210043008A1 (en) | Technique for recording augmented reality data | |
CN108292489B (zh) | 信息处理装置和图像生成方法 | |
Azuma | Overview of augmented reality | |
US8902158B2 (en) | Multi-user interaction with handheld projectors | |
Gauglitz et al. | Integrating the physical environment into mobile remote collaboration | |
JP3926837B2 (ja) | 表示制御方法および装置、プログラム、並びに携帯機器 | |
US12293479B2 (en) | Augmented reality eyewear with 3D costumes | |
JP5800501B2 (ja) |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及び、表示制御方法 | |
CN115735178A (zh) | 具有对话气泡和翻译的增强现实眼戴器 | |
US20100128112A1 (en) | Immersive display system for interacting with three-dimensional content | |
Henrysson | Bringing augmented reality to mobile phones | |
US9734622B2 (en) | 3D digital painting | |
KR20210031894A (ko)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 |
CN107850990A (zh) | 共享介导现实内容 | |
CN104536579A (zh) | 交互式三维实景与数字图像高速融合处理系统及处理方法 | |
JP2007042073A (ja) | 映像提示システム、映像提示方法、該映像提示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 |
WO2021147465A1 (zh) | 一种图像渲染方法、电子设备及系统 | |
TWI453462B (zh) | 智慧型電子裝置之虛擬望遠系統及其方法 | |
US11907434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
CN115735179A (zh) | 增强现实眼戴器与情绪共享 | |
US20210084197A1 (en) | Data processing | |
KR102138620B1 (ko) | 증강현실을 이용한 3d 모델 구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구현방법 | |
JP6983639B2 (ja) | 仮想空間を介して通信するための方法、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当該プログラムを実行するための情報処理装置 | |
JP2025078533A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7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