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362349B1 - 안경 렌즈 및 안경 - Google Patents

안경 렌즈 및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349B1
KR102362349B1 KR1020207008815A KR20207008815A KR102362349B1 KR 102362349 B1 KR102362349 B1 KR 102362349B1 KR 1020207008815 A KR1020207008815 A KR 1020207008815A KR 20207008815 A KR20207008815 A KR 20207008815A KR 102362349 B1 KR102362349 B1 KR 102362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pectacle lens
lens
blue ligh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8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2528A (ko
Inventor
요이치 오고
슌스케 시오야
šœ스케 시오야
Original Assignee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가부시키가이샤 진즈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가부시키가이샤 진즈 홀딩스 filed Critical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42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3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4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having spectral characteristics for purposes other than sun-prot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02B1/115Multi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02B1/115Multilayers
    • G02B1/116Multilayers including electrically conducting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6Reflectin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7Interference 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8Colouring materi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yeglass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렌즈 기재와 막두께 1.0 ∼ 10.0 ㎚ 의 크롬층을 함유하는 다층막을 갖고, 청색광 커트율이 21.0 % 이상이고,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주파장이 500.0 ∼ 550.0 ㎚ 의 범위이고, 또한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주파장이 500.0 ∼ 550.0 ㎚ 의 범위인 안경 렌즈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안경 렌즈 및 안경
본 발명은, 안경 렌즈, 및 이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디지털 기기의 모니터 화면은 브라운관으로부터 액정으로 교체되고, 최근에는 LED 액정도 보급되고 있지만, 액정 모니터, 특히 LED 액정 모니터는, 청색광으로 불리는 단파장광을 강하게 발광한다. 그 때문에, 디지털 기기를 장시간 사용할 때에 발생하는 안정 (眼精) 피로나 눈의 통증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청색광에 의한 눈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400 ∼ 500 ㎚ 의 파장역의 광 또는 이 파장역 부근의 광이, 청색광으로 불린다.
상기의 점에 관하여,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파장 400 ∼ 450 ㎚ 의 광을 반사시키는 성질을 갖는 다층막을 플라스틱 기재의 표면 상에 갖는 광학 물품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8052호
청색광에 의한 눈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한 수단으로는, 안경 렌즈에 있어서,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렌즈 기재의 표면 상에 청색광을 반사시키는 성질을 갖는 다층막을 형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한편, 안경 렌즈에는, 외관이 양호할 것도 요망된다. 그런데, 렌즈 기재의 표면 상에 청색광을 강하게 반사시키는 성질을 갖는 다층막을 형성하면, 안경 렌즈를 통하여 장용자의 눈에 입사되는 청색광의 광량은 저감시킬 수 있기는 하지만, 안경 렌즈의 외관이 통상적인 안경 렌즈와는 크게 달라지는 경향이 있다. 상세하게는, 렌즈 기재의 표면 상에 청색광을 강하게 반사시키는 성질을 갖는 다층막을 형성한 안경 렌즈는, 이 다층막을 갖는 측의 표면에 있어서 청색광을 강하게 반사시키기 때문에, 외관이 푸른 기를 나타낸다.
그래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청색광에 의한 눈에 대한 부담을 경감 가능함과 함께, 외관이 양호한 안경 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렌즈 기재와,
막두께 1.0 ∼ 10.0 ㎚ 의 크롬층을 함유하는 다층막을 갖고,
청색광 커트율이 21.0 % 이상이고,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주파장이 500.0 ∼ 550.0 ㎚ 의 범위이고, 또한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주파장이 500.0 ∼ 550.0 ㎚ 의 범위인 안경 렌즈,
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안경 렌즈는, 렌즈 기재에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안경 렌즈로서, 안경 렌즈의 청색광 커트율이 21.0 % 이상이다. 이와 같이 높은 청색광 커트율로 청색광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안경 렌즈에 의하면, 이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의 장용자의 눈에 입사되는 청색광의 광량을 저감시켜 청색광에 의한 장용자의 눈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안경 렌즈는, 막두께 1.0 ∼ 10.0 ㎚ 의 크롬층을 함유하는 다층막을 갖는다. 크롬 (Cr) 은, 청색광의 파장역의 광뿐만 아니라 녹색광이나 적색광 등의 가시 영역의 광범위한 파장역의 광을 흡수하는 성질을 갖는다. 다층막에 의해 청색광을 선택적으로 강하게 반사시키면 안경 렌즈의 외관이 통상적인 안경 렌즈와는 상이해지는 것에 반하여, 다층막 중의 일층으로서 크롬층을 함유시킴으로써, 통상적인 안경 렌즈와 동일한 외관을 나타내는 안경 렌즈를 실현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안경 렌즈는,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각각 측정되는 주파장이, 녹색광의 파장역인 500.0 ∼ 550.0 ㎚ 의 범위에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통상적인 안경 렌즈도, 안경 렌즈 양면에서 동일한 주파장을 나타내는 것이 많기 때문에, 상기 안경 렌즈는, 통상적인 안경 렌즈와 동일한 외관을 나타낼 수 있다.
또, 크롬은 금속이기 때문에 크롬층을 후막 (厚膜) 으로 하면 안경 렌즈의 투과율 (예를 들어 시감 투과율) 을 크게 저하시킬 우려가 있지만, 막두께 1.0 ∼ 10.0 ㎚ 의 크롬층이면, 안경 렌즈의 투과율이 크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는, 상기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청색광에 의한 눈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고, 또한 통상적인 안경 렌즈와 동일한 외관을 나타낼 수 있는 안경 렌즈, 및 이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을 제공할 수 있다.
[안경 렌즈]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안경 렌즈는,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렌즈 기재와 막두께 1.0 ∼ 10.0 ㎚ 의 크롬층을 함유하는 다층막을 갖고, 청색광 커트율이 21.0 % 이상이고,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주파장이 500.0 ∼ 550.0 ㎚ 의 범위이고, 또한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주파장이 500.0 ∼ 550.0 ㎚ 의 범위인 안경 렌즈이다.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용어의 정의 및/또는 측정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물체측 표면」이란,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이 장용자에게 장용되었을 때에 물체측에 위치하는 표면이고,「안구측 표면」이란, 그 반대, 즉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이 장용자에게 장용되었을 때에 안구측에 위치하는 표면이다. 면 형상에 관하여, 일 양태에서는, 물체측 표면은 볼록면이고, 안구측 표면은 오목면이다. 단, 이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이란, 400 ∼ 500 ㎚ 의 파장역에 흡수를 갖는 화합물을 말한다.
「청색광 커트율」이란, 일본 의료용 광학 기기 공업회의 규격에 따라, 하기 식 1 에 의해 구해진다.
(식 1)
청색광 커트율 Cb = 1 - τb
식 1 중, τb 는, 일본 의료용 광학 기기 공업회의 규격에 규정되어 있는 눈에 유해한 청색광의 가중 투과율이고, 하기 식 2 에 의해 산출된다. 식 2 중, WB (λ) 는, 가중 함수이고, 하기 식 3 에 의해 산출된다. τ (λ) 는, 분광 광도계에 의해 측정되는 파장 λ㎚ 에 있어서의 투과율이다. 따라서, 청색광 커트율 Cb 에는, 흡수에 의한 청색광의 커트율과 반사에 의한 청색광의 커트율이 합산되어 있다.
[수학식 1]
(식 2)
Figure 112020031820213-pct00001
[수학식 2]
(식 3)
Figure 112020031820213-pct00002
식 3 중, E (λ) 는, 태양광의 분광 방사 조도이고, B (λ) 는 블루 라이트 해저드 함수이다. E (λ), B (λ) 및 WB (λ) 는, JIS T 7333 부속서 C 에 기재되어 있다. E (λ), B (λ) 및 WB (λ) 를 사용하여 값을 산출하는 경우, 분광 광도계에 의한 측정은, 1 ∼ 5 ㎚ 의 측정 파장 간격 (피치) 으로, 적어도 파장 380 ㎚ 에서 500 ㎚ 까지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주파장」이란, 사람의 눈으로 느끼는 광의 색 파장을 수치화한 지표이고, JIS Z 8701 에 따라 측정된다.
후술하는「시감 반사율」은, JIS T 7334 : 2011 에 따라 측정되고,「시감 투과율」은, JIS T 7333 : 2005 에 따라 측정된다.
후술하는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파장 400 ∼ 50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은, 물체측 표면으로부터 직입사되는 광 (즉 입사 각도가 0°) 에 대한 평균 반사율로서, 안경 렌즈의 물체측으로부터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파장 400 ∼ 500 ㎚ 의 파장역에서 측정되는 반사율의 산술 평균이다. 후술하는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파장 400 ∼ 50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은, 안구측 표면으로부터 직입사되는 광에 대한 평균 반사율로서, 안경 렌즈의 안구측으로부터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파장 400 ∼ 500 ㎚ 의 파장역에서 측정되는 반사율의 산술 평균이다. 측정시에, 측정 파장 간격 (피치) 은,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1 ∼ 5 ㎚ 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 있어서, 파장 400 ∼ 50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을,「청색광 반사율」로도 기재한다.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 있어서,「막두께」는, 물리 막두께이다. 막두께는, 공지된 막두께 측정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막두께는, 광학식 막두께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광학 막두께를 물리 막두께로 환산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안경 렌즈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청색광 커트율>
상기 안경 렌즈의 청색광 커트율은 21.0 % 이상이다. 청색광 커트율이 21.0 % 이상인 안경 렌즈에 의하면, 이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을 장용자가 장용 함으로써, 장용자의 눈에 입사되는 청색광의 광량을 저감시켜, 장용자의 눈에 대한 청색광에 의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청색광 커트율은 21.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2.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2.5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3.0 % 이상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23.5 % 이상인 것이 보다 한층 더 바람직하고, 24.0 % 이상인 것이 더욱 보다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 청색광 커트율은, 예를 들어 50.0 % 이하, 40.0 % 이하 또는 30.0 % 이하일 수 있다. 단, 장용자의 눈에 입사되는 청색광의 광량을 저감시키는 관점에서는 청색광 커트율은 높을수록 바람직하기 때문에, 상기에 예시된 상한을 초과해도 된다.
<주파장>
상기 안경 렌즈는,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각각 측정되는 주파장이 500.0 ∼ 550.0 ㎚ 의 범위이다. 500.0 ∼ 550.0 ㎚ 는 녹색광의 파장역이기 때문에, 양 표면에 있어서 500.0 ∼ 550.0 ㎚ 의 파장역에 주파장을 갖는 안경 렌즈는, 어느 표면측으로부터 관찰되어도 녹색의 간섭색을 나타낼 수 있다. 일반적인 안경 렌즈는 반사 방지막을 갖지만, 통상적인 반사 방지막은, 사람의 눈이 위화감을 느끼기 어려운 녹색의 간섭색을 나타내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양 표면에 있어서 각각 측정되는 파장이 500.0 ∼ 550.0 ㎚ 의 범위인 상기 안경 렌즈는, 통상적인 안경 렌즈와 동일한 외관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안경 렌즈의 각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주파장은, 500.0 ∼ 550.0 ㎚ 의 범위 내이면 된다. 일 양태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의 각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주파장은, 예를 들어 510.0 ㎚ 이상일 수 있다. 또, 일 양태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의 각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주파장은, 예를 들어 540.0 ㎚ 이하일 수도 있다.
상기 안경 렌즈가 21.0 % 이상인 청색광 커트율을 가지면서 양 표면에 있어서 각각 측정되는 주파장이 500.0 ∼ 550.0 ㎚ 의 범위인 것에는, 렌즈 기재가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 및 상기 안경 렌즈가 다층막 중의 일층으로서 크롬층을 함유하는 다층막을 갖는 것을 기여할 수 있다. 상기 렌즈 기재 및 상기 다층막에 대해,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렌즈 기재>
상기 안경 렌즈에 함유되는 렌즈 기재는,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렌즈 기재는, 플라스틱 렌즈 기재 또는 유리 렌즈 기재일 수 있다. 유리 렌즈 기재는, 예를 들어 무기 유리제의 렌즈 기재일 수 있다. 렌즈 기재로는, 경량이며 잘 깨지지 않고, 또한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의 도입이 용이하다는 관점에서, 플라스틱 렌즈 기재가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렌즈 기재로는, (메트)아크릴 수지를 비롯한 스티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알릴 수지,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보네이트 수지 (CR-39) 등의 알릴카보네이트 수지, 비닐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디에틸렌글리콜 등의 하이드록시 화합물의 반응에서 얻어진 우레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을 반응시킨 티오우레탄 수지, 분자 내에 1 개 이상의 디술파이드 결합을 갖는 (티오)에폭시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킨 경화물 (일반적으로 투명 수지로 불린다) 을 들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은, 중합성 조성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렌즈 기재로는, 염색되어 있지 않은 것 (무색 렌즈) 을 사용해도 되고, 염색되어 있는 것 (염색 렌즈) 을 사용해도 된다. 렌즈 기재의 굴절률은, 예를 들어, 1.60 ∼ 1.75 정도일 수 있다. 단 렌즈 기재의 굴절률은, 상기 범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의 범위 내여도 되고, 상기의 범위로부터 상하로 떨어져 있어도 된다.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 있어서, 굴절률이란, 파장 500 ㎚ 의 광에 대한 굴절률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 렌즈 기재는, 굴절력을 갖는 렌즈 (이른바 도수가 있는 렌즈) 여도 되고, 굴절력이 없는 렌즈 (이른바 도수가 없는 렌즈) 여도 된다.
상기 안경 렌즈는, 단초점 렌즈, 다초점 렌즈, 누진 굴절력 렌즈 등의 각종 렌즈일 수 있다. 렌즈의 종류는, 렌즈 기재의 양면의 면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 또, 렌즈 기재 표면은, 볼록면, 오목면, 평면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통상적인 렌즈 기재 및 안경 렌즈에서는, 물체측 표면은 볼록면, 안구측 표면은 오목면이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
상기 렌즈 기재는,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함유한다. 이것이, 상기 안경 렌즈에 21.0 % 이상의 청색광 커트율을 가져올 수 있는 이유 중 하나이다.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은,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벤조페논 화합물, 트리아진 화합물, 인돌 화합물 등의 청색광의 파장역에 흡수를 갖는 각종 화합물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한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로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및 인돌 화합물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한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로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벤조트리아졸 화합물로는,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Figure 112020031820213-pct00003
식 (1) 에 있어서, X 는, 공명 효과를 부여하는 기를 나타낸다. X 의 치환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트리아졸 고리의 5 위치이다.
X 의 예로는,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불소 원자, 요오드 원자, 술포기, 카르복시기, 니트릴기, 알콕시기, 하이드록시기, 아미노기를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불소 원자가 바람직하고, 염소 원자가 보다 바람직하다.
식 (1) 에 있어서, R2 는,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 12 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알킬기 및 알콕시기의 각각에 대해, 탄소수 1 ∼ 8 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2 ∼ 8 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4 ∼ 8 이 더욱 바람직하다.
알킬기 및 알콕시기는, 분기여도 되고 직사슬이어도 된다. 알킬기 및 알콕시기 중에서도,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알킬기의 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so-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n-옥틸기, 1,1,3,3-테트라메틸부틸기, 노닐기, 데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n-프로필기, iso-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및 1,1,3,3-테트라메틸부틸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 바람직하고,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및 1,1,3,3-테트라메틸부틸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tert-부틸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알콕시기의 예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부톡시기, 펜틸옥시기, 헥실옥시기, 헵틸옥시기, 옥틸옥시기, 노닐옥시기, 데실옥시기, 운데실옥시기, 도데실옥시기를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부톡시기, 또는 에톡시기가 바람직하다.
식 (1) 에 있어서, R2 의 치환 위치는, 벤조트리아졸릴기의 치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3 위치, 4 위치 또는 5 위치가 바람직하다.
식 (1) 에 있어서, R1 은, 탄소수 1 ∼ 3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 3 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이들의 구체예로는, R2 에 대해 예로 든 상기 예 중 탄소수가 적합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메틸기 또는 에틸기가 바람직하다.
식 (1) 에 있어서, m 은 0 또는 1 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 (1) 에 있어서, R2 의 치환 위치는, 벤조트리아졸릴기의 치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5 위치가 바람직하다.
n 은 R3 의 가수를 나타내고, 1 또는 2 이다.
식 (1) 에 있어서, R3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2 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n 이 1 인 경우, R3 은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n 이 2 인 경우, 탄소수 1 ∼ 8 의 2 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3 으로 나타내는 탄화수소기로는,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들 수 있다. R3 으로 나타내는 탄화수소기의 탄소수는, 탄소수 1 ∼ 8 이고, 탄소수 1 ∼ 3 인 것이 바람직하다.
R3 으로 나타내는 2 가의 탄화수소기의 예로는, 메탄디일기, 에탄디일기, 프로판디일기, 벤젠디일기, 톨루엔디일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메탄디일기가 바람직하다.
식 (1) 에 있어서, R3 의 치환 위치는, 벤조트리아졸릴기의 치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3 위치가 바람직하다.
R3 은,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이고, 이 경우 n 은 1 이다.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1-1) 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20031820213-pct00004
식 (1-1) 에 있어서, R1, R2, m 은, 각각 상기와 동일한 의미이고, 예시 및 바람직한 양태도 상기와 동일하다.
식 (1) 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메틸렌비스[3-(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5-(1,1,3,3-테트라메틸부틸)-2-하이드록시페닐], 메틸렌비스[3-(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5-(tert-부틸)-2-하이드록시페닐], 메틸렌비스[3-(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5-tert-부틸-2-하이드록시페닐], 메틸렌비스[3-(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5-tert-부틸-2-하이드록시페닐], 메틸렌비스[3-(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5-에톡시-2-하이드록시페닐], 페닐렌비스[3-(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5-(1,1,3,3-테트라메틸부틸)-2-하이드록시페닐], 및 하기 식 (1-1) 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의 구체예를 들 수 있다.
식 (1-1) 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2-(3-tert-부틸-2-하이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하이드록시-5-에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5-클로로-2-(3,5-디메틸-2-하이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5-클로로-2-(3,5-디에틸-2-하이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5-클로로-2-(2-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5-클로로-2-(4-에톡시-2-하이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2-(4-부톡시-2-하이드록시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및 5-클로로-2-(2-하이드록시-4-옥틸옥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2-(3-tert-부틸-2-하이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하이드록시-5-에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5-클로로-2-(4-에톡시-2-하이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및 2-(4-부톡시-2-하이드록시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이 바람직하다.
상기 렌즈 기재는, 예를 들어, 렌즈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 (또는 수지를 얻기 위한 중합성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해,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0.05 ∼ 3.00 질량부 함유할 수 있고, 0.05 ∼ 2.50 질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0 ∼ 2.00 질량부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30 ∼ 2.00 질량부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단, 안경 렌즈의 청색광 커트율을 21.0 % 이상으로 할 수 있으면 되기 때문에, 상기 범위의 함유량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렌즈 기재의 제조 방법으로는,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켜 렌즈 형상의 성형품으로서 렌즈 기재를 얻는 방법에 있어서, 경화성 조성물에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렌즈 기재를 얻을 수 있다. 또는, 일반적으로 렌즈 기재의 염색 방법으로서 사용되는 각종 습식 또는 건식의 방법에 의해, 렌즈 기재에 청색광 흡수성 색소를 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식의 방법의 일례로는 딥법 (침지법) 을 들 수 있고, 건식의 방법의 일례로는 승화 염색법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렌즈 기재에는, 안경 렌즈의 렌즈 기재에 일반적으로 함유되는 경우가 있는 각종 첨가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렌즈 기재를, 중합성 화합물과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켜 성형하는 경우, 이러한 경화성 조성물에,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06390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0410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0862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55781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중합 촉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6301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281312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내부 이형제, 산화 방지제, 형광 증백제, 블루잉제 등의 첨가제의 1 종 이상을 첨가해도 된다. 이들 첨가제의 종류 및 첨가량, 그리고 경화성 조성물을 사용하는 렌즈 기재의 성형 방법에 대해서는, 공지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다층막>
상기 안경 렌즈는, 막두께 1.0 ∼ 10.0 ㎚ 의 크롬층을 함유하는 다층막을 갖는다. 이하에 있어서, 막두께 1.0 ∼ 10.0 ㎚ 의 크롬층을 함유하는 다층막을,「크롬층 함유 다층막」으로도 기재하고, 그 밖의 다층막을「다른 다층막」으로도 기재한다.
크롬층 함유 다층막은,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안구측 표면 상에 위치할 수도 있고, 양 표면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 일 양태에서는,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 및 물체측 표면의 일방의 표면 상에 크롬층 함유 다층막이 위치하고, 타방의 표면 상에 다른 다층막이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일 양태에서는,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 및 물체측 표면의 일방의 표면 상에 크롬층 함유 다층막이 위치하고, 타방의 표면 상에는 크롬층 함유 다층막도 다른 다층막도 위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는, 크롬층 함유 다층막은, 안경 렌즈의 적어도 물체측 표면 상에 위치할 수 있고, 물체측 표면 상에만 위치할 수도 있다. 크롬층 함유 다층막 및 다른 다층막은, 모두 렌즈 기재의 표면 상에 직접 위치해도 되고, 1 층 이상의 다른 층을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렌즈 기재의 표면 상에 위치해도 된다. 렌즈 기재와 다층막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층으로는, 예를 들어, 편광층, 조광층, 하드 코트층 등을 들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을 형성함으로써 안경 렌즈의 내구성 (강도) 을 높일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은, 예를 들어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킨 경화층일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28135호의 단락 0025 ∼ 0028, 0030 을 참조할 수 있다. 또, 렌즈 기재와 상기 다층막 사이에는, 밀착성 향상을 위한 프라이머층을 형성해도 된다. 프라이머층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28135호의 단락 0029 ∼ 0030 을 참조할 수 있다.
(크롬층 함유 다층막)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 있어서,「크롬층」은, 임의의 성막 방법에 의해 크롬 (Cr) 을 퇴적시켜 형성된 막을 의미하고, 성막시에 불가피적으로 혼입되는 불순물 및 성막을 보조하기 위하여 임의로 사용되는 공지된 첨가제를 제외하면, 크롬 (크롬 원소의 단체, 즉 금속 크롬) 으로 이루어지는 막이다. 예를 들어, 크롬층은, 막의 질량에 대해 90 ∼ 100 질량% 를 크롬이 차지하는 막이고, 95 ∼ 100 질량% 를 크롬이 차지하는 막일 수도 있다. 성막 방법으로는, 공지된 성막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성막의 용이성의 관점에서는, 성막은 증착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크롬층은, 크롬 증착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증착막이란, 증착에 의해 성막된 막을 의미한다.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증착」에는, 건식법, 예를 들어, 진공 증착법, 이온 플레이팅법, 스퍼터링법 등이 포함된다. 진공 증착법에서는, 증착 중에 이온 빔을 동시에 조사하는 이온 빔 어시스트법을 이용해도 된다. 이상의 점은, 하기의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의 성막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크롬층 함유 다층막에 함유되는 크롬층은, 막두께가 1.0 ∼ 10.0 ㎚ 이다. 이하에 있어서, 막두께 1.0 ∼ 10.0 ㎚ 의 크롬층을, 간단히 크롬층으로도 기재한다. 안경 렌즈의 투과율 (예를 들어 시감 투과율) 의 관점에서는, 크롬층의 막두께는 9.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6.0 ㎚ 이하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5.0 ㎚ 이하인 것이 보다 한층 더 바람직하고, 4.0 ㎚ 이하인 것이 더욱 한층 더 바람직하고, 3.0 ㎚ 이하인 것이 더욱 보다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 크롬층의 막두께는, 크롬층에 의한 청색광 등의 여러 가지 파장의 광의 흡수 효율의 관점에서 1.0 ㎚ 이상이고, 1.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크롬층 함유 다층막에는, 막두께 1.0 ∼ 10.0 ㎚ 의 크롬층이 1 층만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 양태에서는, 이러한 크롬층이 2 층 이상으로 분할되어, 분할된 층 사이에 다른 층이 존재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2 층 이상으로 분할된 크롬층의 합계 막두께가 1.0 ∼ 10.0 ㎚ 이다.
크롬층 함유 다층막은, 고굴절률층과 저굴절률층이 교대로 적층된 다층막 중에 크롬층을 함유하는 다층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 있어서,「고굴절률」및「저굴절률」에 관한「고」,「저」란, 상대적인 표기이다. 즉, 고굴절률층이란, 동일한 다층막에 함유되는 저굴절률층보다 굴절률이 높은 층을 말한다. 바꾸어 말하면, 저굴절률층이란, 동일한 다층막에 함유되는 고굴절률층보다 굴절률이 낮은 층을 말한다. 고굴절률층을 구성하는 고굴절률 재료의 굴절률은, 예를 들어 1.60 이상 (예를 들어 1.60 ∼ 2.40 의 범위) 이고, 저굴절률층을 구성하는 저굴절률 재료의 굴절률은, 예를 들어 1.59 이하 (예를 들어 1.37 ∼ 1.59 의 범위) 일 수 있다. 단 상기와 같이, 고굴절률 및 저굴절률에 관한「고」,「저」의 표기는 상대적인 것이기 때문에, 고굴절률 재료 및 저굴절률 재료의 굴절률은, 상기 범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고굴절률 재료 및 저굴절률 재료로는, 무기 재료, 유기 재료 또는 유기·무기 복합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성막성 등의 관점에서는 무기 재료가 바람직하다. 즉, 크롬층 함유 다층막은, 무기 다층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고굴절률층을 형성하기 위한 고굴절률 재료로는, 지르코늄 산화물 (예를 들어 ZrO2), 탄탈 산화물 (Ta2O5), 티탄 산화물 (예를 들어 TiO2), 알루미늄 산화물 (Al2O3), 이트륨 산화물 (예를 들어 Y2O3), 하프늄 산화물 (예를 들어 HfO2), 및 니오브 산화물 (예를 들어 Nb2O5)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산화물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한편, 저굴절률층을 형성하기 위한 저굴절률 재료로는, 규소 산화물 (예를 들어 SiO2), 불화마그네슘 (예를 들어 MgF2) 및 불화바륨 (예를 들어 BaF2)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산화물 또는 불화물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시에서는, 편의 상, 산화물 및 불화물을 화학량론 조성으로 표시했지만, 화학량론 조성으로부터 산소 또는 불소가 결손 혹은 과다 상태에 있는 것도, 고굴절률 재료 또는 저굴절률 재료로서 사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고굴절률층은 고굴절률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막이고, 저굴절률층은 저굴절률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막이다. 여기서 주성분이란, 막에 있어서 가장 대부분을 차지하는 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는 막의 질량에 대해 50 질량% 정도 ∼ 100 질량%, 나아가서는 90 질량% 정도 ∼ 100 질량% 를 차지하는 성분이다. 상기 고굴절률 재료 또는 저굴절률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성막 재료 (예를 들어 증착원) 를 사용하여 성막을 실시함으로써, 그러한 막 (예를 들어 증착막) 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성막 재료에 관한 주성분도, 상기와 동일하다. 막 및 성막 재료에는, 불가피적으로 혼입되는 불순물이 함유되는 경우가 있고, 또 주성분이 완수하는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성분, 예를 들어 다른 무기 물질이나 성막을 보조하는 역할을 완수하는 공지된 첨가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성막은, 공지된 성막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고, 성막의 용이성의 관점에서는, 증착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굴절률층의 막두께 및 저굴절률층의 막두께는, 층 구성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다층막에 함유되는 층의 조합, 및 각 층의 막두께는,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을 형성하기 위한 성막 재료의 굴절률과, 다층막을 형성함으로써 안경 렌즈에 가져오고자 하는 원하는 반사 특성 및 투과 특성에 기초하여, 공지된 수법에 의한 광학적 시뮬레이션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크롬층 함유 다층막의 층 구성으로는, 예를 들어, 렌즈 기재측으로부터 렌즈최표면측을 향하여,
제 1 층 (고굴절률층)/제 2 층 (크롬층)/제 3 층 (저굴절률층)/제 4 층 (고굴절률층)/제 5 층 (저굴절률층) 의 순으로 적층된 구성 ;
제 1 층 (저굴절률층)/제 2 층 (고굴절률층)/제 3 층 (저굴절률층)/제 4 층 (고굴절률층)/제 5 층 (크롬층)/제 6 층 (저굴절률층)/제 7 층 (고굴절률층)/제 8 층 (저굴절률층),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층 구성의 예시에 있어서,「/」라는 표기는,「/」의 왼쪽에 기재되어 있는 층과 오른쪽에 기재되어 있는 층이 인접하는 경우와,「/」의 왼쪽에 기재되어 있는 층과 오른쪽에 기재되어 있는 층 사이에 후술하는 도전성 산화물층이 존재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크롬 함유 다층막에 함유되는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의 조합의 바람직한 일례로는, 규소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막 (저굴절률층) 과 지르코늄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막 (고굴절률층) 의 조합을 들 수 있다.
크롬층 함유 다층막은, 이상 설명한 크롬층,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에 더하여, 도전성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 (도전성 산화물층), 바람직하게는 도전성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증착원을 사용하는 증착에 의해 형성된 도전성 산화물의 증착막의 1 층 이상을, 다층막의 임의의 위치에 함유할 수도 있다. 이 점은, 다른 다층막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도전성 산화물층에 관해서 기재하는 주성분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하다.
도전성 산화물층으로는, 안경 렌즈의 투명성의 관점에서, 막두께 10.0 ㎚ 이하의 산화인듐주석 (tin-doped indium oxide ; ITO) 층, 막두께 10.0 ㎚ 이하의 주석 산화물층, 및 막두께 10.0 ㎚ 이하의 티탄 산화물층이 바람직하다. 산화인듐주석 (ITO) 층이란, ITO 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층이다. 이 점은, 주석 산화물층, 티탄 산화물층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크롬층 함유 다층막 및 다른 다층막은, 도전성 산화물층을 함유함으로써, 안경 렌즈가 대전하여 티끌이나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 있어서, 크롬층 함유 다층막 및 다른 다층막에 함유되는「고굴절률층」및「저굴절률층」으로는, 막두께 10.0 ㎚ 이하의 산화인듐주석 (ITO) 층, 막두께 10.0 ㎚ 이하의 주석 산화물층, 및 막두께 10.0 ㎚ 이하의 티탄 산화물층은 고려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즉, 이들 층의 1 층 이상이 크롬층 함유 다층막 또는 다른 다층막에 함유되는 경우여도, 이들 층은「고굴절률층」또는「저굴절률층」으로는 간주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막두께 10.0 ㎚ 이하의 상기의 도전성 산화물층의 막두께는, 예를 들어 0.1 ㎚ 이상일 수 있다.
(다른 다층막)
상기 안경 렌즈가,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의 일방의 표면 상에 크롬층 함유 다층막을 갖고, 타방의 표면 상에 다른 다층막을 갖는 경우, 다른 다층막으로는, 안경 렌즈에 반사 방지막으로서 통상적으로 형성되는 다층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막으로는, 가시광 (380 ∼ 780 ㎚ 의 파장역의 광) 에 대해 반사 방지 효과를 발휘하는 다층막을 들 수 있다. 그러한 다층막의 구성은 공지되어 있다. 또, 다른 다층막은, 예를 들어 무기 다층막일 수 있다. 다른 다층막은, 예를 들어, 고굴절률층과 저굴절률층이 교대로 합계 3 ∼ 10 층 적층된 다층막일 수 있다.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의 상세한 것은, 앞서 기재한 바와 같다. 다른 다층막에 함유되는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의 조합의 바람직한 일례로는, 규소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막 (저굴절률층) 과 지르코늄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막 (고굴절률층) 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또한, 크롬층 함유 다층막 상 및/또는 다른 다층막 상에는, 추가적인 기능성 막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한 기능성 막으로는, 발수성 또는 친수성의 방오막, 방담막 등의 각종 기능성 막을 들 수 있다. 이들 기능성 막에 대해서는, 모두 공지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안경 렌즈의 반사 특성, 투과 특성>
(청색광 반사율)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렌즈 기재의 표면 상에 청색광을 강하게 반사시키는 성질을 갖는 다층막을 형성하면, 이 다층막을 갖는 측의 안경 렌즈 표면의 외관이 푸른 기를 나타낸다. 이에 반하여, 상기 안경 렌즈는, 렌즈 기재에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 및 앞서 기재한 크롬층 함유 다층막을 가짐으로써, 안경 렌즈 표면에 있어서의 청색광 반사율을 높게 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21.0 % 이상의 청색광 커트율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안경 렌즈는,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청색광 반사율 및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청색광 반사율의 적어도 일방 (바람직하게는 양방) 이, 2.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 % 이하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상기 청색광 반사율은, 예를 들어 0.10 % 이상일 수 있지만, 이것을 밑돌아도 된다.
(시감 반사율)
안경 렌즈의 외관 품질 향상의 관점에서는,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안경 렌즈의 장용감 향상의 관점에서는,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외관 품질 향상의 관점에서는,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은 1.8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3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장용감 향상의 관점에서는,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은 1.8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3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 및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은, 각각, 예를 들어 0.10 % 이상, 0.20 % 이상, 0.30 % 이상, 0.40 % 이상, 또는 0.50 % 이상일 수 있지만, 상기의 하한은 예시로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렌즈 기재의 물체측 표면 상 및/또는 안구측 표면 상에 형성되는 크롬층 함유 다층막 또는 다른 다층막의 막 설계에 의해, 상기 시감 반사율을 실현할 수 있다. 막 설계는, 공지된 방법에 의한 광학적 시뮬레이션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시감 투과율)
상기 안경 렌즈는, 일 양태에서는, 높은 시감 투과율을 갖는 투명성이 우수한 안경 렌즈일 수 있다. 상기 안경 렌즈의 시감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80.0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5.0 % 이상이다. 또, 상기 안경 렌즈의 시감 투과율은, 예를 들어 95.0 % 이하이고, 90.0 % 이하일 수도 있다. 크롬층 함유 다층막에 함유되는 크롬층을 박막 (상세하게는 막두께 1.0 ∼ 10.0 ㎚) 으로 함으로써, 시감 투과율을 크게 낮추지 않고 앞서 기재한 청색광 커트율 및 주파장을 실현할 수 있다.
[안경]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는, 상기의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이 안경에 포함되는 안경 렌즈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먼저 기재한 바와 같다. 상기 안경 렌즈는, 이러한 안경 렌즈를 구비함으로써, 안경 장용자의 눈에 대한 청색광에 의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안경은, 안경 렌즈의 양 표면에서 측정되는 주파장이 500 ∼ 550 ㎚ 의 범위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안경 렌즈와 마찬가지로 녹색의 간섭색을 나타낼 수 있다. 프레임 등의 안경의 구성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공지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실시예에 나타내는 양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1)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렌즈 기재 (렌즈 기재 A) 의 제조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술파이드 100.00 질량부,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인 2-(3-tert부틸-2-하이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0.40 질량부를 교반 혼합한 후, 촉매로서 테트라-n-부틸포스포늄브로마이드 0.05 질량부를 첨가하고, 10 ㎜Hg 의 감압하에서 3 분간 교반 혼합하고, 렌즈용 모노머 조성물 (경화성 조성물) 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이 렌즈용 모노머 조성물을, 미리 준비한 유리제 몰드와 수지제 개스킷으로 구성되는 렌즈 성형용 주형 (0.00 D, 두께 2.0 ㎜ 로 설정) 내에 주입하고, 노 내 온도 20 ℃ ∼ 100 ℃ 의 전기로 내에서 20 시간에 걸쳐 중합을 실시하였다. 중합 종료 후, 개스킷 및 몰드를 떼어낸 후, 110 ℃ 에서 1 시간 열처리하여 플라스틱 렌즈 (렌즈 기재 A) 를 얻었다. 얻어진 렌즈 기재 A 는, 물체측 표면이 볼록면, 안구측 표면이 오목면, 굴절률은 1.60 이었다.
(2) 다층막의 성막
렌즈 기재 A 의 양 표면을 광학적으로 가공 (연마) 하여 광학면으로 한 후에, 양 표면 상에 각각 막두께 3000 ㎚ 의 하드 코트층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킨 경화층) 을 형성하였다.
물체측의 하드 코트층 표면 상 및 안구측의 하드 코트층 표면 상에, 각각, 어시스트 가스로서 산소 가스 및 질소 가스를 사용하여, 이온 어시스트 증착에 의해 표 1 (표 1-1, 표 1-2) 에 나타내는 구성의 다층 증착막을 성막하였다.
이렇게 하여, 물체측에 크롬층 함유 다층막을 갖고, 안구측에 다른 다층막 (크롬층을 함유하지 않는다) 을 갖는 실시예 1 의 안경 렌즈를 얻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볼록면측, 오목면측 모두, 다층 증착막은, 렌즈 기재측 (하드 코트층측) 으로부터 안경 렌즈의 표면측을 향하여, 1 층, 2 층 … 의 순으로 적층하고, 안경 렌즈 표면측의 최외층이 표 1 중의 최하란에 기재된 층이 되도록 형성하였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불가피적으로 혼입될 가능성이 있는 불순물을 제외하면 표 1 에 나타내는 산화물 또는 크롬으로 이루어지는 증착원 (성막 재료) 을 사용하여 성막을 실시하였다. 각 산화물의 굴절률 및 각 층의 막두께를 표 1 에 나타낸다. 이러한 점은, 후술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실시예 2]
렌즈 기재 A 의 양 표면을 광학적으로 가공 (연마) 하여 광학면으로 한 후에, 양 표면 상에 각각 막두께 3000 ㎚ 의 하드 코트층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킨 경화층) 을 형성하였다.
물체측의 하드 코트층 표면 상 및 안구측의 하드 코트층 표면 상에, 각각, 어시스트 가스로서 산소 가스 및 질소 가스를 사용하여, 이온 어시스트 증착에 의해 표 2 (표 2-1, 표 2-2) 에 나타내는 구성의 다층 증착막을 성막하였다.
이렇게 하여, 물체측에 크롬층 함유 다층막을 갖고, 안구측에 다른 다층막 (크롬층을 함유하지 않는다) 을 갖는 실시예 2 의 안경 렌즈를 얻었다.
[비교예 1]
렌즈 기재 A 의 양 표면을 광학적으로 가공 (연마) 하여 광학면으로 한 후에, 양 표면 상에 각각 막두께 3000 ㎚ 의 하드 코트층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킨 경화층) 을 형성하였다.
물체측의 하드 코트층 표면 상 및 안구측의 하드 코트층 표면 상에, 각각, 어시스트 가스로서 산소 가스 및 질소 가스를 사용하여, 이온 어시스트 증착에 의해 표 3 에 나타내는 구성의 다층 증착막을 성막하였다.
이렇게 하여, 물체측 및 안구측에 다른 다층막 (크롬층을 함유하지 않는다) 을 갖는 비교예 1 의 안경 렌즈를 얻었다.
[비교예 2]
렌즈 기재 A 의 양 표면을 광학적으로 가공 (연마) 하여 광학면으로 한 후에, 양 표면 상에 각각 막두께 3000 ㎚ 의 하드 코트층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킨 경화층) 을 형성하였다.
물체측의 하드 코트층 표면 상 및 안구측의 하드 코트층 표면 상에, 각각, 어시스트 가스로서 산소 가스 및 질소 가스를 사용하여, 이온 어시스트 증착에 의해 표 4 에 나타내는 구성의 다층 증착막을 성막하였다.
이렇게 하여, 물체측 및 안구측에 다른 다층막 (크롬층을 함유하지 않는다) 을 갖는 비교예 2 의 안경 렌즈를 얻었다.
표 1 ∼ 표 4 에 기재된 막두께는, 광학식 막두께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광학 막두께를 물리 막두께로 환산하여 구한 값 (단위 : ㎚) 이다. 각 층의 두께는 성막 시간에 의해 제어하였다.
[표 1-1]
Figure 112020031820213-pct00005
[표 1-2]
Figure 112020031820213-pct00006
[표 2-1]
Figure 112020031820213-pct00007
[표 2-2]
Figure 112020031820213-pct00008
[표 3]
Figure 112020031820213-pct00009
[표 4]
Figure 112020031820213-pct00010
[평가 방법]
<1. 안경 렌즈의 청색광 커트율, 시감 투과율>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안경 렌즈의 직입사 투과 분광 특성을, 히타치 제작소 제조 분광 광도계 U4100 을 사용하여, 안경 렌즈의 물체측의 표면측 (볼록면측) 으로부터 물체측 표면의 광학 중심으로 광을 입사시켜 파장 380 ㎚ 에서 780 ㎚ 까지 1 ㎚ 피치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사용하여, 앞서 기재한 방법에 의해, 청색광 커트율 및 시감 투과율을 구하였다.
<2.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청색광 반사율 및 시감 반사율>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안경 렌즈의 물체측으로부터, 물체측 표면 (볼록면측) 의 광학 중심에 있어서의 직입사 반사 분광 특성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사용하여, 앞서 기재한 방법에 의해 400 ∼ 50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의 청색광 반사율 및 시감 반사율을, 각각 구하였다.
또,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안경 렌즈의 안구측으로부터, 안구측 표면 (오목면측) 의 광학 중심에 있어서의 직입사 반사 분광 특성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사용하여, 먼저 기재한 방법에 의해 400 ∼ 50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의 청색광 반사율 및 시감 반사율을, 각각 구하였다.
상기 측정은, 올림푸스사 제조 렌즈 반사율 측정기 USPM-RU 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측정 피치 : 1 ㎚).
<3. 주파장>
상기 2. 에서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 대해 얻어진 직입사 반사 분광 특성의 측정 결과를 사용하여, JIS Z 8701 에 따라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주파장을 구하였다.
또, 상기 2. 에서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대해 얻어진 직입사 반사 분광 특성의 측정 결과를 사용하여, JIS Z 8701 에 따라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주파장을 구하였다.
<4. 간섭색>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안경 렌즈를, 관찰자가 안경 렌즈의 물체측 (볼록면측) 으로부터 육안으로 관찰하여 간섭색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표 5]
Figure 112020031820213-pct00011
마지막으로, 상기 서술한 각 양태를 총괄한다.
일 양태에 의하면,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렌즈 기재와 막두께 1.0 ∼ 10.0 ㎚ 의 크롬층을 함유하는 다층막을 갖고, 청색광 커트율이 21.0 % 이상이고,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주파장이 500.0 ∼ 550.0 ㎚ 의 범위이고, 또한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주파장이 500.0 ∼ 550.0 ㎚ 의 범위인 안경 렌즈가 제공된다.
상기 안경 렌즈는, 청색광에 의한 눈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고, 또한 통상적인 안경 렌즈와 동일한 외관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양태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는, 렌즈 기재의 물체측 표면 상 및 안구측 표면 상에 다층막이 위치하고, 상기 크롬층을 함유하는 다층막이, 렌즈 기재의 물체측 표면 상에 위치하는 다층막이다.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각종 양태는, 임의의 조합으로 2 개 이상을 조합할 수 있다.
이번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지 제한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생각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안경 렌즈 및 안경의 제조 분야에 있어서 유용하다.

Claims (3)

  1.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렌즈 기재와,
    막두께 1.0 ∼ 10.0 ㎚ 의 크롬층을 함유하는 다층막을 갖고,
    청색광 커트율이 21.0 % 이상이고,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주파장이 500.0 ∼ 550.0 ㎚ 의 범위이고, 또한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주파장이 500.0 ∼ 550.0 ㎚ 의 범위이고,
    상기 렌즈 기재의 물체측 표면에 있어서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이 1.80 % 이하인, 안경 렌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기재의 물체측 표면 상 및 안구측 표면 상에 다층막이 위치하고,
    상기 크롬층을 함유하는 다층막은, 상기 렌즈 기재의 물체측 표면 상에 위치하는 다층막인, 안경 렌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
KR1020207008815A 2017-09-29 2018-09-28 안경 렌즈 및 안경 KR1023623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91685 2017-09-29
JP2017191685A JP6873880B2 (ja) 2017-09-29 2017-09-29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PCT/JP2018/036304 WO2019065991A1 (ja) 2017-09-29 2018-09-28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528A KR20200042528A (ko) 2020-04-23
KR102362349B1 true KR102362349B1 (ko) 2022-02-14

Family

ID=65902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8815A KR102362349B1 (ko) 2017-09-29 2018-09-28 안경 렌즈 및 안경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13258B2 (ko)
EP (1) EP3690521B8 (ko)
JP (1) JP6873880B2 (ko)
KR (1) KR102362349B1 (ko)
CN (1) CN111149044B (ko)
WO (1) WO201906599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6540A1 (ja) * 2013-09-30 2015-04-02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透明プラスチック基材及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
WO2015137282A1 (ja) * 2014-03-14 2015-09-17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ミラーコートレンズ
WO2016088763A1 (ja) * 2014-12-01 2016-06-09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752B2 (ja) 1990-03-30 1994-03-23 ホーヤ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レンズの製造方法
JP2644671B2 (ja) 1993-08-31 1997-08-25 ホーヤ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レンズ用組成物及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JP2695599B2 (ja) 1993-09-29 1997-12-24 ホーヤ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レンズの製造方法
JPH09255781A (ja) 1996-01-17 1997-09-30 Mitsubishi Gas Chem Co Inc 新規なエピスルフィド化合物
JP3709901B2 (ja) 1996-01-31 2005-10-26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ゴム組成物
DE19820225A1 (de) * 1998-05-06 1999-11-11 Basf Ag Mehrschichtige cholesterische Pigmente
DE60025554T2 (de) * 2000-07-07 2006-09-14 Sola International Holdings, Ltd., Lonsdale Optisches Element mit einer Spiegel-Oberflächenbesch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r Beschichtung
AUPQ949600A0 (en) * 2000-08-17 2000-09-07 Sola International Holdings Ltd Anti-reflection coated lens
JP5173076B2 (ja) 2010-09-29 2013-03-27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光学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128135A (ja) 2010-12-15 2012-07-05 Seiko Epson Corp 光学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2886332C (en) * 2012-09-28 2018-04-17 Nikon-Essilor Co., Ltd. Optical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057887B1 (en) * 2014-05-06 2015-06-16 Blue Light Eye Protection, Inc. Materials and methods for mitigating the harmful effects of blue light
CN103984120B (zh) * 2014-05-30 2015-06-10 奥特路(漳州)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防蓝光光学镜片的制造方法
JP6415587B2 (ja) 2014-10-17 2018-10-31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EP3248055A4 (en) * 2015-01-19 2018-10-24 OptimEyes4U, Inc Ophthalmic spectacle lenses, materials and method
US20170097521A1 (en) * 2015-10-01 2017-04-06 Tokai Optical Co., Ltd. Optical product and spectacle lens
US9995950B2 (en) * 2016-01-29 2018-06-12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Spectacle lens for car driv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6540A1 (ja) * 2013-09-30 2015-04-02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透明プラスチック基材及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
WO2015137282A1 (ja) * 2014-03-14 2015-09-17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ミラーコートレンズ
WO2016088763A1 (ja) * 2014-12-01 2016-06-09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90521B1 (en) 2024-02-07
US20200264341A1 (en) 2020-08-20
JP6873880B2 (ja) 2021-05-19
WO2019065991A1 (ja) 2019-04-04
EP3690521A4 (en) 2021-09-01
EP3690521B8 (en) 2024-03-13
EP3690521A1 (en) 2020-08-05
KR20200042528A (ko) 2020-04-23
JP2019066651A (ja) 2019-04-25
CN111149044A (zh) 2020-05-12
CN111149044B (zh) 2022-03-08
US11513258B2 (en) 202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9655B1 (ko) 안경 렌즈 및 안경
KR102148582B1 (ko) 안경 렌즈 및 안경
KR102189656B1 (ko) 안경 렌즈 및 안경
US11262601B2 (en) Spectacle lens and spectacles
KR102362349B1 (ko) 안경 렌즈 및 안경
JP6473282B1 (ja)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